[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69089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089A
KR20100069089A KR1020080127669A KR20080127669A KR20100069089A KR 20100069089 A KR20100069089 A KR 20100069089A KR 1020080127669 A KR1020080127669 A KR 1020080127669A KR 20080127669 A KR20080127669 A KR 20080127669A KR 20100069089 A KR20100069089 A KR 20100069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
key button
phonemes
virtual keyboard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089A/en
Publication of KR2010006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08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하는 디바이스(Device)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될 시,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해당 방향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3번 이내의 입력 만으로 모든 글자의 입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When an entry into the character input mode is detected, 5 × 2 phonemes are arranged in one key button. 3, includ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and inputting a phoneme arrang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mong five phonemes in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when a drag input having a directional direction is detected after a touchdown on the keybutt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 the characters can be entered only within the input.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2x6의 가상 키보드 상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를 배치하고,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in particular, in th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e phoneme is placed in the center and up, down, left and right of each key button on the 2x6 virtual keybo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all phonemes by one drag.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손가락이나 포인팅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에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일종의 입력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스마트 폰, 무인 현금 지급기, 팜 피씨(Palm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등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touch screen provides an interface for a user to input a command or information to a terminal by touching an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a finger or a pointing device. Here, the touch screen is a kind of input device, and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 unmanned cash dispenser, a Palm PC,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은 크게 필기체 입력 방법과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필기체 입력 방법은 평소에 종이에 펜으로 글씨를 쓰듯이 화면에 스타일러스 펜으로 글씨를 씀으로써 문자를 입력한다. 상기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법은 화면에 일반 키보드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진 자그마한 키보드를 표시하여 펜 클릭으로 문자를 입력한다. Charact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is largely divided into a handwriting input method and a soft keyboard input method. In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a character is input by writing a letter with a stylus pen on a screen as if writing a pen on a paper. In the soft keyboard input method, a small keyboard having a user interface in the form of a general keyboard is displayed on a screen to input characters by a pen click.

상기 필기체 입력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받는 장치에서 화면에 쓰인 필기체에 대한 인식률이 떨어지는 경우 자주 오타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오타를 지우고 다시 정확히 요구되는 필기체를 써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필기체 입력 방법은 입력속도와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법의 경우, 키보드상의 모든 키를 PDA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 각 키버튼이 사용할 수 있는 크기가 4x4mm정도로 작아, 스타일러스(Stylus)펜과 같은 보조 도구를 사용해서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조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잘못 입력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움직이는 버스안에 있거나 걸어가는 중일 경우, 입력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Frequently, a typo may occur when a recognition rate for a handwritten text written on a screen is reduced in a device that receives a text by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In this case, the user must clear the typo and write the required cursive again. Therefore,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has a problem of low input speed and accuracy. In the above soft keyboard input method, each key button can be used as small as 4x4mm to display all the keys on the keyboard on the PDA screen, so that characters can be input only by using an auxiliary tool such as a stylus pe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likely to be incorrectly input even when using such an aid.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in a moving bus or walking, a lot of input errors occur.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보조도구 없이 손가락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양의 소프트 키보드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 키보드들의 공통점은, 사용자가 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좀 더 손쉽게 한글이나 영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자소(즉, 자음과 모음)를 배치했다는 것이며, 손가락만을 사용하기 위하여 키버튼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키버튼의 크기를 최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프트 키보드들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하나의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더라도 사용자가 키버튼을 여러번 눌러야 하는 문제 점이 있다. 특히 복자음이나 복모음을 입력할 경우 이러한 문제가 더욱 부각되어 나타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various types of soft keyboards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in which characters can be input by only a finger without an aid. The common feature of these soft keyboards is that they place letters (ie, consonants and vowels) so that users can easily input Korean or English using only their fingers. Is to maximize the size of the button. Therefore, when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soft keyboard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press a key button several times even if one consonant or a vowel is input. In particular, this problem is more highlighted when inputting a vowel consonant or a vowel vowel.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입력이 불편하다는 것 이외에도, 키보드의 배열이 각 소프트웨어마다 고유하게 정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매번 키보드를 바꿀 때마다 키보드의 배열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며, 사람에 따라서 주어진 키보드의 배열이 입력하기에 불편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A common problem with these prior arts is that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typing, the layout of the keyboard is uniquely defined for each software so that each time the user changes the keyboard, it takes time to get used to the layout of the keyboard. In some cases, the layout of a given keyboard is often inconvenient to type.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시, 손가락을 이용한 문자 입력 시간을 최소화하고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a character input time using a finger and increasing usability when inputting characters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2x6의 가상 키보드 상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를 배치하고,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phonemes at the center,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each key button on a 2x6 virtual keyboar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inputting all the phonemes with a single drag.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소프트 키보드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키보드의 배열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맞는 키보드의 배열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n arrangement of keyboard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y allowing a user to freely select an arrangement of keyboards by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oft keyboar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하는 디바이스(Device)에서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될 시,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 이 감지될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해당 방향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the devic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when the entry into the character input mode, 5 key to one key button Displaying a 2x6 virtual keyboard having two phonemes arranged, and when a drag input having a directional drag after a touch-down is detected on a key button, input phonemes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mong the five phonemes in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하는 디바이스(Device)에서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될 시,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해당 방향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racter input device in the devic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when the entry to the character input mode is detected, a key button 5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2 × 6 virtual keyboard in which two phonemes are arranged, and when a drag input having directionality after touch-down is detected on a key button, a phonem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mong five phonemes in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input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put uni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2x6의 가상 키보드 상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를 배치하고,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함으로써, 3번 이내의 입력 만으로 모든 글자의 입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버튼의 개수를 최소화 함으로써, 키버튼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만들 수 있어, 표준 키보드 크기에 맞도록 가상 키보드를 만들더라도 오타없이 손가락만으로 충분히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프트 키보드의 종류에 따라서는 표준 키보드보다 높이가 큰 가상 키보드 크기를 도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경우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화면을 가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2x6의 낮은 높이의 가상 키보드 크기를 도입하는 경우 이와 같이 화면을 가리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phoneme on the center,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key button on a 2x6 virtual keyboar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inputting all phonemes with a single drag, input of all letters by only three times or less is input. This has a possible advantag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by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buttons, the size of the key button can be made large enough, even if a virtual keyboard is made to fit the standard keyboard size, enough characters can be input with only a finger without typo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oft keyboard, a virtual keyboard size that is larger than a standard keyboard is often introduced. In this case, the screen may be hidden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However, when the virtual keyboard size of 2x6 low height is introduc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from being cove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2x6의 가상 키보드 상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를 배치하고,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phoneme in the center and up, down, left and right of each key button on the 2x6 virtual keyboar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inputting all the phonemes by one drag. .

본 발명에서는 기존 터치 스크린 키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상 키보드 배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as follow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ouch screen keyboard.

첫째로,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버튼이 충분히 커야 하므로, 2x6의 가상 키보드를 제안한다. First, a key button must be large enough to input characters with a finger, so a 2x6 virtual keyboard is proposed.

둘째로, 하나의 키버튼에 다섯 개의 자소를 배치하여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음과 모음을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하고 특수문자를 가운데 배치함으로써 자음과 모음을 좀더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다. 또한, 왼손잡이를 배려하여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Secondly, five phonemes are placed on one key button so that all phonemes can be entered with a single drag. At this time, consonants and vowels are placed on both edges and special characters are placed in the center so that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entered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left-handed consideration allows the selection of consonant and vowel positions as op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of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제어부(100), 저장부(102), 입력부(104), 표시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storage unit 102, an input unit 104, and a display unit 106.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에서 2x6의 가상 키보드 상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를 배치하고,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troller (MPU: Micro-Processor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up, down, left, right, and right sides of each key button on a 2x6 virtual keyboard in a text input mode. It handles the function of placing all the phonemes in the window and inputting all the phonemes in one drag.

저장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에서 2x6의 가상 키보드 상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를 배치하고, 모든 자소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02 stores microcodes and various reference data of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programs, and various kinds of updatable storage data.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phoneme is placed at the center a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key button on the virtual keyboard of 2x6, and stores a program for inputting all the phonemes by one drag.

입력부(104)는 숫자키 버튼들과 다수의 기능키 버튼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The input unit 104 includes numeric key button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 buttons, and provide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00.

표시부(106)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 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106)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모두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106 displays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device,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 large amount of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s, the display unit 106 displays a 2 × 6 virtual keyboard in which a phoneme is disposed at the center and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key button in the character input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text input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메뉴 선택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였을 시, 상기 디바이스는 203단계에서 각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2, in operation 201, th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enters a text input mode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for example, selecting a text input menu. When the user enters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device displays a virtual keyboard of 2x6 having phonemes arranged at the center of each key button and up, down, left, and right in step 203.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x6의 가상 키보드는 도 3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한글 입력 모드의 경우, 상기 도 3의 (a)와 같이, 복자음과 복모음을 포함한 모든 한글 자음과 모음을 2x6의 가상 키보드상에 한꺼번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배치하고 가운데 특수문자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왼손잡이를 배려하여 상기 도 3의 (a)에서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도 3의 (b)와 같이 배치할 수도 있다. Here, the 2x6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Hangul input mode, as shown in FIG. 3A, all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ncluding the consonant consonants and the vowel consonants can be arranged on a 2x6 virtual keyboard at a time. At this time,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can be arranged by dividing the left and the right, respectively, and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middl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left-handedness, the consonants and vowels may be changed in FIG. 3 (a) and arranged as shown in FIG. 3 (b).

다음으로 영문 대문자 입력 모드의 경우, 상기 도 3의 (c)와 같이, 모든 영문 대문자와 숫자를 2x6의 가상 키보드상에 한꺼번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역시, 영문 대문자와 숫자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배치하고 가운데 특수문자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 3의 (c)에서 영문 대문자와 숫자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도 3의 (d)와 같이 배치할 수도 있다. Next, in the case of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as shown in (c) of FIG. 3, all English capital letters and numbers can be placed on a 2x6 virtual keyboard at a time. In this case, the uppercase letters and numbers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special characters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and the positions of uppercase letters and numbers in FIG. 3 (c) may be changed as shown in FIG. You can also place it.

다음으로 영문 소문자 입력 모드의 경우에도, 상기 도 3의 (e)와 같이, 모든 영문 소문자와 숫자를 2x6의 가상 키보드상에 한꺼번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역시, 영문 소문자와 숫자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배치하고 가운데 특수문자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 3의 (e)에서 영문 소문자와 숫자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도 3의 (f)와 같이 배치할 수도 있다. Next, even in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as shown in (e) of FIG. 3, all lowercase letters and numbers can be placed on the 2x6 virtual keyboard at once. In this case, the lowercase letters and numbers in English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special characters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and the lowercase letters and numbers in English may be changed in FIG. 3 (e), as shown in FIG. You can also place it.

마지막으로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의 경우, 상기 도 3의 (g)와 같이, 모든 숫자 및 특수문자를 2x6의 가상 키보드상에 한꺼번에 한꺼번에 배치할 수 있다. Finally, in the case of the numeric and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s shown in (g) of FIG. 3, all the numeric and special characters may be arranged all at once on the 2x6 virtual keyboard.

이후, 상기 디바이스는 205단계에서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터치 다운(Touch Down)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207단계에서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In operation 205, the device determines whether a touch down event occurs. When the touch down event occurs, the device determines whether dragging occurs in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in step 207.

상기 207단계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209단계에서 해당 키버튼의 상측에 배치된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211단계에서 해당 키버튼의 하측에 배치된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213단계에서 해당 키버튼의 좌측에 배치된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215단계에서 해당 키버튼의 우측에 배치된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하지 않을 시, 상기 디바이스는 217단계에서 해당 키버튼의 중심에 배치된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When dragging upward in step 207, the device inputs a character disposed above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n step 209 and displays the entered character on the screen. In addition, when dragg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device inputs a character disposed below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n step 211,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on the screen, and when dragging in the left direction, the device In step 213, the character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input, and the entere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drag occurs in the right direction, the device inputs a character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n step 215,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on the screen, and drags in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If not, the device inputs a charact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n step 217 and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도 3의 (a)를 예로 들어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는 'ㄱ'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에 대한 한번의 터치 다운으로 상기 'ㄱ' 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ㄱ'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을 터치 다운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ㄲ'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ㄱ'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을 터치 다운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ㄺ'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ㄱ'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을 터치 다운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ㄳ'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ㄱ'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을 터치 다운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ㅋ'을 입력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a) of FIG. 3 as an example, a user may input the letter 'a' with a single touchdown on a key button on which 'a' consonants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ㄲ' by dragging the key button on which the 'a' consonant is arranged in an upward (↑) direction and touch down the key button on which the 'a' consonant is disposed If you drag downward (↓) in one state, you can enter 'ㄺ'.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ㄳ' by dragging the key button on which the 'a' consonant is arranged in a left (←) direction and touch down the key button on which the 'a' consonant is disposed In one state, drag to the right (→) to input 'ㅋ'.

이후, 상기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The device then terminate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x6의 가상 키보드는, 상기 도 3과 같은 기본적인 배치이외에도, 사용자 정의에 따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별도의 설정화면이 필요하며, 사용자는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가상 키보드 상에서 자소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개인의 특성에 맞는 가상 키보드의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2x6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arrangement as shown in FIG. 3, various arrangements are possible according to user definition. To this end, a separate setting screen is required, and the user can freely arrange the phoneme on the virtual keyboard through the setting screen. As a result, the virtual keyboard can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이러한 사용자 정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약사항이 필요하다. 즉, 한글 자소 중 가상 키보드 상에 필수로 배치되어야 하는 필수 자소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선택 자소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The following restrictions are required in constructing such a custom virtual keyboar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mandatory phoneme which must be arranged on the virtual keyboard among the Hangul phonemes and a selection phoneme that can be selectively arranged.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2x6의 사용자 정의 가상 키보드의 배치를 살펴보면, 먼저, 한글 복자음을 제외한 경음, 격음 등의 자소는 필수 자소로서, 가상 키보드 내에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즉,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 자음은 모두 가상 키보드 배열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두 개의 필수 자소로서 조합이 가능한 복자음은 선택 자소로서, 가상 키보드 내에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즉, '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 자음은 가상 키보드 배열에서 제외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the layout of the 2x6 user-defined virtual keyboard with reference to FIG. 4, first, phonemes, such as a rhythm and a vowel except for the Hangul Bokja, are essential phonemes and are essentially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That is, all of the consonants ',', ',', ',', ',', ',', ',', ',', ',' ',' do. Next, a consonant that can be combined as two essential phonemes is optionally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as a selection phoneme. That is, 'ㄳ, ㄳ, ㄶ, ㄵ, ㄻ, ㄼ, ㄽ, ㄾ, ㄿ, ㅀ, ㅄ' consonants may be excluded from the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또한, 한글 복모음을 제외한 모든 모음은 필수 자소로서, 가상 키보드 내에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즉,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모음은 모두 가상 키보드 배열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두 개의 필수 자소로서 조합이 가능한 복모음은 선택 자소로서, 가상 키보드 내에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즉, 'ㅐ,ㅔ,ㅢ,ㅚ,ㅟ,ㅘ,ㅝ,ㅒ,ㅖ,ㅙ,ㅞ' 모음은 가상 키보드 배열에서 제외될 수 있다. In addition, all vowels except the Korean vowel vowels are mandatory phonemes and are essentially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In other words, the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collection should all be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layout. Next, a compound vowel that can be combined as two essential phonemes is optionally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as a selection phoneme. That is, the ㅐ, ㅔ, ㅢ, ㅚ, ㅟ, ㅘ, ㅝ, ㅒ, ㅖ, ㅙ, ㅞ collection can be excluded from the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그외, 숫자 및 특수문자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배열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may be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가상 키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 혹은 그 이하의 자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드래그 방향 또한 하나의 키버튼을 구성하는 자소의 배치에 따 라 다르게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키버튼에 9개의 자소가 배치된 가상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입력하기 위한 드래그 방향 또한, 중심 및 상/하/좌/우측 방향 외에 우상/우하/좌상/좌하측 방향이 더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가상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입력하기 위한 드래그 방향이 중심 및 우상/우하/좌상/좌하측 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 virtual keyboard in which five phonemes are arranged in one key button as an example. However, more or less phonemes may be arranged, and a drag direction for inputting one letter may also be one key. I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honem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virtual keyboard in which nine phonemes are arranged in one key button, and the dragging direction for inputting the same is in addition to the center and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as well as top right / bottom / top left / bottom. There may be more directions. As another example, a virtual keyboard having five phonemes arranged in one key button may be configured, and a drag direction for inputting the same may be configured as a center and a right top / bottom / top left / bottom side. Besides,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of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text input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x6의 가상 키보드의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 및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ayout of a 2x6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x6의 사용자 정의 가상 키보드의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layout of a 2x6 user-defined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하는 디바이스(Device)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될 시,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When the entry into the text input mode is detected, displaying a 2x6 virtual keyboard having five phonemes arranged on one key button;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해당 방향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when a drag input having a directionality is detected on the key button after the touchdown, inputting a phonem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mong the five phonemes in the key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5개의 자소는 하나의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five phonemes are arranged in the center and up, down, left and right of one key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치되는 자소는, 입력 가능한 모든 한글 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영문 대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영문 소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특수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한 단위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방법. The phoneme arranged on the virtual keyboard may include all of at least one of all Korean characters inputtable, all English uppercase letters inputtable, all English lowercase letters inputtable, all special characters inputtable, and all unit numbers inputtable. How to.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 키보드는,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과 모음이 배치된 키버튼을 양쪽 가장자리로 나누어 배치하고, 특수문자가 배치된 키버튼을 가운데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virtual keyboard may be arranged by dividing the key button with consonants and the key button with vowels arranged at both edges, and arranging a key button with special characters arranged at the center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지 않을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중심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when a drag input having a directionality is not detected after the touchdown, inputting a phonem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ve phonemes in the key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 키보드 내 자소는, 사용자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honemes in the virtu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variety of arrangement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use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상 키보드 내 자소는, 하나의 자소로 구성된 기본 자소와, 두 개의 동일한 기본 자소로서 조합이 가능한 자소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honeme in the virtual keyboard essentially comprises a basic phoneme composed of one phoneme and a phoneme which can be combined as two identical basic phonemes.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상 키보드 내 자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본 자소로서 조합이 가능한 자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honeme in the virtu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honeme that can be combined as two different basic phonem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하는 디바이스(Device)에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In a character input device in a device using a touch screen,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될 시, 하나의 키버튼에 5개의 자소가 배치된 2x6의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2x6 virtual keyboard in which five phonemes are arranged in one key button when an entry into the text input mode is detected;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해당 방향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phoneme arrang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mong the five phonemes in the key button when a drag input having a directionality is detected after the touchdown on the keybutton.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5개의 자소는 하나의 키버튼의 중심 및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ive phonemes are arranged in the center and up, down, left and right of one key button.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치되는 자소는, 입력 가능한 모든 한글 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영문 대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영문 소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특수문자, 입력 가능한 모든 한 단위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honemes arranged on the virtual keyboard may include all of at least one of all Korean characters inputtable, all English uppercase letters inputtable, all English lowercase letters inputtable, all special characters inputtable, and all one unit numerals inputtable.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상 키보드는, 자음이 배치된 키버튼과 모음이 배치된 키버튼을 양쪽 가장자리로 나누어 배치하고, 특수문자가 배치된 키버튼을 가운데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virtual keyboard is arranged by dividing the key button with the consonants arranged and the key button with the vowels arranged at both edges, and the key button with the special characters arranged in the cent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put unit, 키버튼 상에서, 터치 다운 후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지 않을 시, 해당 키버튼 내 5개의 자소 중, 중심에 배치된 자소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the drag input having a directional direction after the touch down is not detected on the key button, the phonem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five phonemes in the key button is inpu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상 키보드 내 자소는, 사용자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honeme in the virtu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variety of arrangement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s definition.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가상 키보드 내 자소는, 하나의 자소로 구성된 기본 자소와, 두 개의 동일한 기본 자소로서 조합이 가능한 자소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honeme in the virtual keyboard is essenti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ic phoneme composed of one phoneme and a phoneme that can be combined as two identical basic phonemes.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가상 키보드 내 자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본 자소로서 조합이 가능한 자소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honeme in the virtu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honeme that can be combined as two different basic phonem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KR1020080127669A 2008-12-16 2008-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Ceased KR201000690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669A KR20100069089A (en) 2008-12-16 2008-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669A KR20100069089A (en) 2008-12-16 2008-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089A true KR20100069089A (en) 2010-06-24

Family

ID=4236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669A Ceased KR20100069089A (en) 2008-12-16 2008-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08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57A1 (en) * 2010-08-25 2012-03-0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Touch-type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US9658770B2 (en) 2013-06-26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ting of character
KR20190000614A (en) * 2017-06-23 2019-01-03 이장호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KR20200102228A (en) * 2019-02-21 2020-08-3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input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57A1 (en) * 2010-08-25 2012-03-0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Touch-type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US9658770B2 (en) 2013-06-26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ting of character
KR20190000614A (en) * 2017-06-23 2019-01-03 이장호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KR20200102228A (en) * 2019-02-21 2020-08-3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input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399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JP6115867B2 (en)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enabling intera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via one or more multi-directional buttons
RU2277719C2 (en) Method for operation of fast writing system and fast writing device
US8542206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US10936086B2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JP4316687B2 (en) Screen touch input device
US20060055669A1 (en) Fluent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on touch-sensitive display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20110141027A1 (en) Data entry system
JP2013527539A5 (en)
KR20100000617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8009711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US20140173522A1 (en) Novel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Remote Selection Menu and Touch Screen Movements
US20100289750A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Device
KR201000690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050048758A (en) Inputting method and appartus of character using virtual button on touch screen or touch pad
KR100647827B1 (en) Touch character input device
JP4614505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Hirche et al. Adaptive interface for text input on large-scale interactive surfaces
JP2005275635A (en) Method and program for japanese kana character input
KR201000671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WO2014176218A1 (en) Method and system of data entry on a virtual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