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6954A -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 Google Patents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954A
KR20100016954A KR1020080076622A KR20080076622A KR20100016954A KR 20100016954 A KR20100016954 A KR 20100016954A KR 1020080076622 A KR1020080076622 A KR 1020080076622A KR 20080076622 A KR20080076622 A KR 20080076622A KR 20100016954 A KR20100016954 A KR 2010001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ain device
unit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7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6954A/en
Publication of KR2010001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95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최대 전력 효율을 가지고 휴대용 기기와 접속되어 표시장치로 이용될 수 있는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독립된 전원을 가지며, 유선 연결부, 통신 매체로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부, 유선 연결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입력부 및 외부로부터 영상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절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막고, 휴대용 기기의 표시장치로 필요시 초기화 등의 부가 조작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eparat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by being connected to a portable device with maximum power efficiency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has a wired connection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ing a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ZigBee, etc. as a communication medium, a wired connection uni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processed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power saving by input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immediately us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without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initialization if necessary.

Description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기술발전과 무선통신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컴퓨터 업무수행이 가능하고 무선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기들, 예를 들어 랩탑컴퓨터, 노트형 퍼스컴, 팜P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 휴대용 PC(Hand Held PC, HPC),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들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것이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들은 액정기술 및 고집적회로기술의 발달로 인해 선명한 화질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졌다. 특히 TFT-LCD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미니 노트북 PC, 휴대용 PC(Hand Held PC, HPC) 등에 장착되면서 장소를 불문하고 뛰어난 휴대성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다.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일체되어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에 일체되어 개인적인 휴대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의 장착이 요구되는 기기들이 여러 종류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에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되어야 한다. 특히 차량 등에 고화질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네비게이션이나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의 표시장치로 이용될 수 있으나, 다른 휴대용 기기들의 표시장치로는 이용될 수 없다.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로 분리된 다른 휴대용 기기들의 표시장치로 이용될 경우, 다른 기기들과 디스플레이장치간의 접속 문제나 전력 효율이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최대 전력 효율을 가지고 휴대용 기기와 접속되어 표시장치로 이용될 수 있는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becomes more common, various devices capable of freely performing computer tasks and providing mobile multimedia functions that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regardless of location, such as a laptop computer and a notebook type Personal computers, Palm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 Held PCs (HPCs), Smart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etc. An important part of these mobile devices is the display device. Recently, display devices have been miniaturized and reduced in size due to the development of liquid crystal technology and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In particular, TFT-LCDs are used in car navigation systems, mini notebook PCs, and handheld PCs (Hand Held PCs, HPCs). The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display device is integrated into a navigation system and can be mounted and used in a vehicle. The display device can be integrated into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o enable personal portability. However,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of devices requiring mounting of display devices, different display devices should be mounted on these portable devices. In particular, a high-definition display is mounted on a vehicle, so that the display may be used as a display device of a navigation 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er, but may not be used as a display device of other portable devices. When the display device is used as a display device of other portable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connection problems or power efficiency between the other devices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problematic.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by being connected to a portable device with maximum power efficiency not only by wire but also wireless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최대 전력 효율을 가지고 휴대용 기기와 접속되어 표시장치로 이용될 수 있는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etach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by being connected to a portable device with maximum power efficiency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할 영상신호를 보내는 메인 장치와 분리되어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메인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인 유선 연결부, 상기 메인 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저 하드웨어 레벨의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무선 모듈인 무선 통신부,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상기 유선 연결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모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동작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부,및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독립된 전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isplay device which is separated from a main device sending a video signal to be re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nnect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s a wired connection unit which is a connection unit where the main device is wired to the display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is a wireless module having a minimum hardware level protocol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data processed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rom the main device.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mode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an operation mode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setting by an input of an image signal from the main device, and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동작모드는 초기화과정을 마치고 전원소비를 최소화한 최대 절전 모드,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가 연결된 유선 모니터 모드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재생할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무선 모니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is a hibernate mode tha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a wired monitor mode to which the main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and receiving a video signal to be play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may include a wireless monitor m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할 영상신호를 보내는 메인 장치와 분리 되어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a)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메인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인 유선 연결부에 입력 신호가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인 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저 하드웨어 레벨의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무선 모듈인 무선 통신부에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이 들어오는지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a)단계 이전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유선 연결부에 입력 신호가 없고 상기 (c) 단계에서 무선 통신부에 통신 요청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초기화과정을 마치고 전원소비를 최소화한 최대 절전 모드를 유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which is separated from a main apparatus sending a video signal to be reproduced and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includes: (a) inputting a video signal from the main apparatus;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signal in a wired connection that is a wired connection to the device, and (c)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is a wireless module that embeds a protocol of the lowest hardware level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nd checking whether a commun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wherein the order of steps (b) and (c) may be changed from each other, before the step (a) or in the step (b). If there is no input signal in the wired connection and there is no communication reques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step (c), the display apparatus is initially set. After the process to maintain the hibernation mod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에 의한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원을 켜면 일단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재생할 영상신호를 보내는 메인 장치를 유선으로 접속하거나 무선 통신의 요청이 들어올시만 해당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막고, 휴대용 기기의 표시장치로 필요시 초기화 등의 부가 조작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ired / wireless detach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hibernation mode once the power is turned on,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main device to which the video signal to be played is wired or switch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only when a request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recei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initialization if necessary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장치(110)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20)를 나타낸다. 메인 장치(110)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재생할 영상신호를 보내는 기기, 예를 들어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휴대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네비게이션 단말기(PND; Portable Navigation Device)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20)는 독립된 전원을 가지고 있으며, 메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재생할 수 있는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 예를 들어 LCD, OLED등이 해당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ain device 110 and a display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The main device 110 is a device that sends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puter (mobile computer),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computer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portable navigation device (PND), and the like. The display apparatus 120 h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may be a separat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n LCD or an OLED,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apparatus by wire or wirelessly to receive and reproduce an image signal from the main apparatus.

디스플레이장치(120)는 메인 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전원을 켜면 일단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한다. 최대 절전 모드란 초기화과정을 마치고 전원소비를 최소화한 상태를 말하며, 이하 후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장치(110)가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이동 컴퓨터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신호를 받아 재생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메인 장치(110)가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인 것은 예시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20)를 차량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를 통한 재생화면을 여러 사람이 함께 시청할 수 있다. 메인 장치(110)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인 경우 상기 휴대용 기기를 통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120)을 통해 보다 큰 화면으 로 시청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20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device to receive a signal, and operate in a hibernation mode once the power is turned on. The hibernation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described below.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main device 110 is a mobile computer, the display device 120 receives and reproduces an image signal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mobile computer. Here, the main device 110 is an example of a mobile computer. When the display device 120 is used in a vehicle, several people can watch a playback screen through a mobile computer. When the main device 110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image through the portable device may be viewed on a larger screen through the display device 1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독립된 전원을 가지며, 입력부(210), 제어부(220), 메모리부(230), 무선 통신부(240). 오디오/비디오 코덱(250), 표시부(260), 유선 연결부(270), 스위칭부(280)를 포함한다.The display apparatus 200 h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controller 220, a memory unit 23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The audio / video codec 250, the display unit 260,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and the switching unit 280 are included.

입력부(210)는 조작패널(212), 터치패널(214) 및 USB연결부(216)를 포함한다. 조작패널(212)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조작을 위한 키가 마련된 패널로서, 예를 들어 전원, 볼륨, 밝기 등과 같은 조작키와 단축키 등을 가지며, 후술하는 동작모드 키를 포함한다. 터치패널(214)은 접촉결과에 따라 신호처리를 하며,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와 같이 마우스를 필요로 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USB연결부(216)는 USB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와 연결된다. The input unit 210 includes an operation panel 212, a touch panel 214, and a USB connection unit 216. The operation panel 212 is a panel provided with keys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operation panel 212 includes operation keys such as power, volume, brightness, and the like, and a shortcut key, and includes operation mode keys described later. The touch panel 214 performs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tact result, and is generally used as a user interface in an application requiring a mouse such as a web browser. The USB connector 216 is connected to input devices such as a USB keyboard and a mouse.

제어부(220)는 CPU(222)와 보조처리부(224)를 포함한다. CPU(22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하며 제어한다. 보조처리부(224)는 CPU(222)를 보조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조작패널(212), 터치패널(214), 및 유선 연결부(270) 등을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과정에서 CPU(222)의 처리를 보조한다.The controller 220 includes a CPU 222 and an auxiliary processor 224. The CPU 222 processes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The auxiliary processor 224 is a processor that assists the CPU 222. For example, the CPU 222 is assisted in the input / output processing of data through the operation panel 212, the touch panel 214, and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메모리부(230)는 메인 메모리(232)와 플래쉬 메모리(234)를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232)는 CPU(222)가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명령어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일반적인 운영체계의 주요 부분과 응용프로그램의 일부 및 현재 사용중이 데 이터 등이 저장된다. 플래쉬 메모리(234)는 CPU(222)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동작모드 설정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unit 230 includes a main memory 232 and a flash memory 234. The main memory 232 stores instructions and data so that the CPU 222 can use it quickly, and main parts of a general operating system, a part of an application program, and data currently in use are stored. The flash memory 234 stor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related to performance of the CPU 222, and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무선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저 하드웨어 레벨의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수신기와 안테나를 갖는 무선 모듈이다. 여기서, 통신 매체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능한 통신 매체의 하나인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short range)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이다. 예를 들어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휴대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기기 간에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비허가 대역인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출력이 1uW(클래스3)로 약 10미터, 100mW(클래스1)로는 약 100미터 통신이 가능하다. 초광대역통신은 수 나노 혹은 피코 초의 매우 좁은 펄스를 사용함으로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매우 낮은 스펙트럼 전력 밀도가 존재한다. 다른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신호 에너지를 수 GHz 대역폭에 걸쳐 스펙트럼으로 분산하여 송신함으로써 다른 협대역 신호에 간섭을 주지 않고 주파수에 관계없이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 매체로 이용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은 예시이며, 그밖에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이 적용가능하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is a wireless module having a receiver and an antenna that embed a protocol of the lowest hardware level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Here,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as the communication medium. Bluetooth, one of possible communication media, is a technolog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t low power in a short rang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it aims to transfer information between devices such as a mobile computer,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ersonal computer (PC). Bluetooth uses an unlicensed frequency of 2.4 GHz, capable of communicating about 10 meters at 1uW (class 3) and about 100 meters at 100 mW (class 1).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ses very narrow pulses of several nanoseconds or picoseconds, resulting in very low spectral power density over a very wide frequency band. In order not to affect other communication systems, signal energy is spread in a spectrum spread over a few GHz bandwidth,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frequency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narrowband signals.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ZigBee, etc., which may be used as a communication medium, are examples, and other technologies that may be us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re applicable.

오디오/비디오 코덱(250)은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소정 포맷으로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CPU(222)의 제어에 의해 디코딩을 수행한다.The audio / video codec 250 decodes audio / video data encoded in a predetermined format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22.

표시부(260)는 메인 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되는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휴대가능한 TFT-LCD, OLED가 사용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60 receives the video signal from the main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displays data processed outside. In general, portable TFT-LCDs and OLEDs can be used.

유선 연결부(270)는 메인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이며, 동시에 메인 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보조 처리부(224)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보조 처리부(224)는 메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판단하고, 유선 연결상태를 CPU(222)에 제공한다. CPU(22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유선 접속에 대응하여 처리한다.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is a connection unit in which the main device is wired to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when the main device is wired, the wire connection unit 270 provides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auxiliary processor 224. Accordingly, the auxiliary processor 224 determines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by wire, and provides the wired connection state to the CPU 222. The CPU 222 process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wired connection.

스위칭부(280)는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비디오데이터를 CPU(222)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표시부(260)에 출력되는 비디오데이터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구조에 대응하여 두 가지 경로를 갖는다. 유선 접속일 경우 유선 연결부(27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경로와, 무선 접속일 경우 무선 통신부(24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경로를 갖는다. 스위칭부(280)는 접속 상태에 대응하여 CPU(222)의 제어에 따라서 비디오데이터의 경로를 선택하여 출력한다.The switching unit 280 selectively switches the vide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22. The video data output to the display unit 260 has two path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isplay apparatus. In the case of a wired connection, a path for outputting video data input from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and a path for outputting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in the case of a wireless connection. The switching unit 280 selects and outputs a path of video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PU 222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llustrates an operation mode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키(300)는 최대 절전 모드(310), 유선 모니터 모드(320) 및 무선 모니터 모드(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모드 키(300)는 USB 연결부를 통한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으며, 하드 웨어적으로는 단축키를 조작패널(212)에 마련한다. 동작모드 키의 모드전환은 USB 연결부를 통한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거나, 상태에 따라 제어부(220)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모드전환이 일어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3, an operation mode ke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bernation mode 310, a wired monitor mode 320, and a wireless monitor mode 330. The operation mode key 300 may be input by a mouse or a keyboard through a USB connection, and a hardware shortcut key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panel 212. Mode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key may be input by a mouse or a keyboard through a USB connection, or mode switching occurs automatically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ler 220 according to a st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원을 켜면 바로 최대 절전 모드(310)로 동작한다. 최대 절전 모드(310)는 초기화과정을 마치고 전원소비를 최소화한 상태를 의미한다. 유선 모니터 모드(320)는 유선 연결부(270)를 통해 메인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지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수행한다. 무선 모니터 모드(330)는 메인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기능을 수행할 경우, 유선 모니터 모드(320) 또는 무선 모니터 모드(330) 중 하나로 설정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전원이 켜있을 경우는 최대 절전 모드(310)로 설정되어 전원소비를 최소화한다.The display device operates in the hibernation mode 310 immediately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The hibernation mode 310 refers to a state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The wired monitor mode 320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ain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In this case, the display apparatus only performs a display function. The wireless monitor mode 330 refers to a state in which an image signal is input from the main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Therefore, whe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display function, it is set to either the wired monitor mode 320 or the wireless monitor mode 330. When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without performing a display function, the display device is set to a hibernation mode 310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전환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210)를 통해 동작모드가 설정되면, CPU(222)는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메인 메모리(232)에 저장하고,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한다. 동작모드 설정은 입력부(210)의 조작패널(212)을 통해 입력할 수 있거나,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210, the CPU 222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set operation mode in the main memory 232 and controls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set operation mode. Operation mode setting may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panel 212 of the input unit 210, or may be made automatically by the input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main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원을 켜면 먼저 최대 절전 모드(310)로 동작한다.(S410) 그런 다음,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된다.(S420)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 입력이 일어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먼저 유선 연결부(270)를 체크한다(S430) 유선 연결부(270)에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 체크한다.(S440) 유선 연결부(270)에 입력되는 신호가 있다면 제어부(220)는 유선 모니터 모드(320)로 동작한다.(S450) 이에 따라 보조 처리부(224)는, 유선 연결상태를 CPU(222)에 제공하며 CPU(22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유선 접속에 대응하여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display device operates in a hibernation mode 310 first (S410). Then, a video signal is input from the main device (S420). The device first checks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S430)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signal input to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S440) If there is a signal input to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the controller 220 is in the wired monitor mode. In operation S450, the auxiliary processor 224 provides the wired connection state to the CPU 222, and the CPU 222 process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wired connection.

만약, 유선 연결부(270)를 체크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없다면(S440) 무선 통신부(240)를 체크한다(S460). 무선 통신부(240)에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request)이 있는지 체크한다(S470). 여기서 '통신 요청'이란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신 매체로 이용하는 경우, 메인 장치로부터 연결시 인증요청이 들어오는 것을 말하며, 통신 매체마다 그 형식이 다를 수 있다.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request)이 있다면 제어부(220)는 '무선 모니터 모드(330)'로 동작한다(S480). 이에 따라 보조 처리부(224)는, 무선 연결상태를 CPU(222)에 제공하며 CPU(22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무선 접속에 대응하여 처리한다. 디스플레이장치와 메인 장치가 무선 접속으로 연결되면 서로간의 기기 인식 작업이 수행된다. 통신 매체에 따라 방식이 차이 나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신 매체로 이용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메인 장치가 인증이 수행되어 인증 이후 영상신호를 전송받는다.If there is no signal input by checking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S44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is checked (S46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checks whether there is a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S470). Here, the 'communication request', for example, when Bluetooth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medium, means that an authentication request comes in when connecting from the main device, and the format may be different for each communication medium. If there is a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the controller 220 operates in the 'wireless monitor mode 330' (S480). Accordingly, the auxiliary processor 224 provides the wireless connection state to the CPU 222, and the CPU 222 process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wireless connection. When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main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recogni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The method varies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dium. For example, when Bluetooth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medium, the display device and the main device are authenticated to receive an image signal after authentication.

만약 무선 통신부(240)에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request)이 없다면(S470) 제어부(220)는 동작모드를 최대 절전 모드(310)로 전환한다.(S410).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S470), the controller 22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hibernation mode 310 (S410).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전환의 일 예에서 단계 S420 다음에 먼저 유선 연결부(270)를 체크하는 것(S430)은 예시이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단계 S420 다음에 먼저 무선 통신부(240)를 체크한다(S460). 무선 통신부(240)에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request)이 있는지 체크한다(S470).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request)이 있다면 제어부(220)는 '무선 모니터 모드(330)'로 동작한다(S480). 만약 무선 통신부(240)에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request)이 없다면(S470) 유선 연결부(270)를 체크한다(S430) 유선 연결부(270)에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 체크한다.(S440) 유선 연결부(270)에 입력되는 신호가 있다면 제어부(220)는 유선 모니터 모드(320)로 동작한다.(S450) 만약, 유선 연결부(270)를 체크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없다면(S440) 제어부(220)는 동작모드를 최대 절전 모드(310)로 전환한다.(S410). In an example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hecking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after step S420 is an example. 4,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is first checked after step S420 (S46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checks whether there is a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S470). If there is a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the controller 220 operates in the 'wireless monitor mode 330' (S480).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request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S470) check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S430) checks whether there is a signal input to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S440) wired connection unit If there is a signal input to 270, the controller 220 operates in the wired monitor mode 320 (S450). If there is no signal input by checking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S440), the controller 220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hibernation mode 310 (S410).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는 항상 최대 절전 모드(310)를 유지할 수 있다. 최대 절전 모드(310) 상태에서 유선 연결부(270)에 신호가 입력되거나 무선 통신부(240)에 통신 요청(request)이 들어올 경우 제어부(220)를 통해 모드전환이 일어나 디스플레이장치가 본격적으로 표시장치기능을 수행한다.Through this process, when the display apparatus does not operate, the hibernation mode 310 may be maintained at all times. In the hibernation mode 310,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wired connection unit 270 or a communication request is receiv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0, a mode switching occurs through the control unit 220, thereby causing the display device to function in earnest. Do this.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invention being thus describe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ame way may be varied in many ways.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llustrates an operation mode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전환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재생할 영상신호를 보내는 메인 장치와 분리되어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In the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d and wireless, separated from the main device for sending a video signal to play, 상기 메인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인 유선 연결부; A wired connection that is a connection where the main device is wired to the display device; 상기 메인 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저 하드웨어 레벨의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무선 모듈인 무선 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is a wireless module having a lowest hardware level protocol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상기 유선 연결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data processed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main unit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모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동작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n operation mode setting of th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n operation mode state; And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독립된 전원을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setting by an input of an image signal from the main device and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모드는 초기화과정을 마치고 전원소비를 최소화한 최대 절전 모드;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가 연결된 유선 모니터 모드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무선 모니터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operation mode is a hibernation mode tha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And a wired monitor mode to which the main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and a wireless monitor mode to receive an imag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최대 절전 모드에서 상기 무선 모니터 모드로 동작모드 전환시 상기 메인 장치와 인증이 수행되어 인증 이후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displaying the imag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rom the main device aft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main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hibernation mode to the wireless monitor mod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유선 연결부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가 연결되거나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는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main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d connection unit or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in a hibernation mode when the image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재생할 영상신호를 보내는 메인 장치와 분리되어 유무선으로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wired and wireless separated from the main device for sending a video signal to play, (a)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단계;(a) inputting a video signal from the main device; (b) 상기 메인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인 유선 연결부에 입력 신호가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b) checking whether the main device has an input signal in a wired connection that is a wired connection to a display device; And (c) 상기 메인 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저 하드웨어 레벨의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무선 모듈인 무선 통신부에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이 들어오는지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c) checking whether a commun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is a wireless module including a lowest hardware level protocol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a)단 계 이전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유선 연결부에 입력 신호가 없고 상기 (c) 단계에서 무선 통신부에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초기화과정을 마치고 전원소비를 최소화한 최대 절전 모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The order of steps (b) and (c) may be changed, and there is no input signal to the wired connection before step (a) or in step (b)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step (c).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to maintain the power saving mod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유선 연결부에 입력 신호가 있으면 유선 모니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n the wired monitor mode if there is an input signal to the wired connection in step (b).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이 들어오면 무선 모니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And (c) operating in a wireless monitor mode when a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ain device is receiv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1020080076622A 2008-08-05 2008-08-05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Withdrawn KR201000169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622A KR20100016954A (en) 2008-08-05 2008-08-05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622A KR20100016954A (en) 2008-08-05 2008-08-05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954A true KR20100016954A (en) 2010-02-16

Family

ID=4208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622A Withdrawn KR20100016954A (en) 2008-08-05 2008-08-05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6954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831A (en) * 2012-08-01 2014-0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ow to manage audio output of the vehicle head unit
RU2567378C2 (en) * 2011-01-21 2015-11-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413803B2 (en) 2011-01-21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582239B2 (en) 2011-01-2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787725B2 (en) 2011-01-21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10135900B2 (en) 2011-01-21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WO2022255506A1 (en)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67378C2 (en) * 2011-01-21 2015-11-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413803B2 (en) 2011-01-21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582239B2 (en) 2011-01-2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9787725B2 (en) 2011-01-21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10135900B2 (en) 2011-01-21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10382494B2 (en) 2011-01-21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US10911498B2 (en) 2011-01-21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KR20140017831A (en) * 2012-08-01 2014-0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ow to manage audio output of the vehicle head unit
WO2022255506A1 (en)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US12184749B2 (en) 2021-06-01 2024-12-3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4238B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7895458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00016954A (en)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KR20120134765A (en) Method for displyaing home-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US20150103247A1 (en) Remote resource access interface apparatus
JP200715097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6484283A (en)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714860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screens
US9781679B2 (en) Electronic system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systems
JP2008242946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key depression decision method
JP744255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JP5146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US200702829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254729B2 (en) Processing system and memory module having frequency selective memory
JP201023162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247014A1 (en) Electronic apparatus, input signal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3838600A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riving conditions based on operating state
US20100287395A1 (en) Computer system for processing data in non-operational stat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5718141A (en) Method for moving desktop icons and mobile terminal
US20140267096A1 (en) Providing a hybrid touchpad in a computing device
US20120262378A1 (en) Touch flat pane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omputer processing functions
WO2023108577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80192712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CN222394349U (en) Computer motherboard and computer
KR20120018539A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