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086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2086A KR20100012086A KR1020080073773A KR20080073773A KR20100012086A KR 20100012086 A KR20100012086 A KR 20100012086A KR 1020080073773 A KR1020080073773 A KR 1020080073773A KR 20080073773 A KR20080073773 A KR 20080073773A KR 20100012086 A KR20100012086 A KR 201000120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or
- frequency band
- receiving
- electromagnetic waves
- wireless electromagne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및 상기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전자기파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housing that can accommodate a battery, at least one conduc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and the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It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 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device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various design forms are required. The design form also includes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안테나부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One of such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can be considered for the antenna portion.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는 안테나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unit implement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슬림화된 안테나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mer antenna uni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는 본체, 도전체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에는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수용부에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가 배치된다. 도전체는 수용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전자기파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한다. 도전체는 절연재에 의하여 덮여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conductor, and a controller.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battery. At least one conduc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conductor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edge of the receiver. The control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to proces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 The conductor may be covered by an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전체는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자는 도전체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용부는 안착부와 수용단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가 안착되는 안착부는 수용부의 중앙에 형성된다. 도전체가 장착되는 수용단부는 안착부와 단을 이루도록 수용부의 모서리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다. 본체에는 본체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수용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단자는 관통홀을 통하여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ductor may be formed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conduc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accommodation portion may be forme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a receiving end. The seating part in which the battery is sea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The receiving end to which the conductor is mounted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edge of the receiving part so as to form a step with the seating part.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end portion to penetrate a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 하는 내장 도전체가 장착될 수 있다. 내장 도전체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도전체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제어부는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관련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may be equipped with a built-in conduc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The built-in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econd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one of the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first or second frequency b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associated with a Bluetooth o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도전체는 수용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체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제2 도전체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ducto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first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econd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first frequency band.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부에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도전체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슬림한 안테나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limmer antenna portion by disposing a conducto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본 발명은 본체 내부와 배터리 수용부에 각각 도전체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슬림한 멀티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안테나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unit having a slimmer multi-frequency band can be formed by disposing conductors in the body and the battery housing.
본 발명은 다중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 송수신에 적합한 도전체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nductor suit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of a multi-frequency band.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단말기 본체(110, 이하 '바디'라 함)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프론트 케이스(111) 또는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조작부(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가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 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implemented by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method such as a joystick. Can b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거나,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조작부(117)는 제1 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functional terms, the
음향 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의 저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14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상입력부(141)는 제1 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econd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14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제2 영상입력부(14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42)와 거울부(143)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42)는 제2 영상입력부(14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43)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14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블루투스 통신 또는 GPS 통신 등을 위한 안테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상기 안테나부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44)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44)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unit for a call, Bluetooth communication, or GPS communication. The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전원공급부(120)의 일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에는 리세스된 형태의 수용부(121)가 형성된다. 수용부(121)의 중앙에는 배터리(122)가 안착되는 안착부(121a)가 형성된다. 안착부(121a)는 배터리(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122)의 외관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배터리(122)는 휴대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한다. 안착부(121a)에는 배터리(122)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12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에 수용되는 배터리(122)는 전원공급부(120)를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수용부(121)에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123)가 배치된다. 도전체(123)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체(123)는 무선 전자기파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160, 이하 도 9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도전체(123)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부를 이 룬다.At least one
도전체(123)는 수용부(121)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전체(123)의 몸체(123a)는 일 방향으로 긴 금속박(金屬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3a)의 일단에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123b)가 돌출된다. 연결단자(123b)는 몸체(123a)의 일단이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수용단부(121b)가 안착부(121a)와 단을 이루도록 수용부(121)의 모서리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단부(121b)는 안착부(121a)의 모서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단부(121b)는 배터리(122)를 감싸는 리어 케이스(112)의 구조 강도를 보다 크게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배터리(122)를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receiving
수용단부(121b)에는 도전체(123)가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체(123)가 수용단부(121b)에 배치되고 몸체(123a)에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몸체(123a)가 수용단부(121b)에 융착되는 방법이 있다. 도전체(123)의 장착은 도전체(123)를 사출 금형에 삽입하고, 수용단부(121b)가 형성되는 리어 케이스(112)를 사출하는 이중사출의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The
도전체(123)의 일면에는 절연재(125)가 도전체(123)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를 도전체(123)에 흐르는 전하로부터 해주는 이점이 있다. 절연재(125)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테이프 등이 될 수 있다.An insulating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21)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덮개(126)가 리어 케 이스(112)에 장착된다. 덮개(126)를 단말기 바디(110)에 고정시키는 록킹장치(127)가 덮개(126) 및 단말기 바디(110)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게 설치된다. 록킹장치(126)는, 예를 들어 수용부(121)의 상측과 덮개(126)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끼워질 수 있는 후크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도 4는 도 1의 라인 (IV-I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라인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 면에는 윈도우(113a)가 결합 된다. 윈도우(113a)는, 디스플레이 모듈(113b)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3b)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13b)과 윈도우(113a)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Referring to FIG. 4, a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116a)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116a)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An
회로기판(118)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18)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회로기판(118)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b)이 윈도우(113a)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18)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16b)가 조작 패드(116a)에 대응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스위치(116b) 조작 패드(116a)에 대한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스위치(116b)와 조작 패드(116a)는 제1 조작부(116, 도 1 참조)로 분류될 수 있다. The
회로기판(118)에는 제1 영상입력부(115)를 이루는 제1 카메라 모듈(115a) 및 제2 영상입력부(141, 도 1 참조) 이루는 제2 카메라 모듈(141a)이 장착될 수 있다.The
리어 케이스(112)에는 리어 케이스(112)를 관통하도록 수용단부(121b)에 형성되는 관통홀(121c)이 구비된다. 도전체(123)의 연결단자(123b)는 관통홀(121c)을 통하여 회로기판(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일반적으로 안테나부를 이루는 도전체(123)의 일단(123c)은 전기적으로 접지되지 않도록 주변의 다른 도전물질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도전체(123)는 관통홀(121c)을 통하여 회로기판(118)과 연결되므로, 도전체(123)와 회로기판(118) 등의 전자부품 사이에는 리어 케이스(112)가 배치된다. 따라서 도전체(123)의 일단(123c)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자부품들, 예를 들어 회로기판(118) 등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도전체(123)와 수용단부(121b)에 의하여 슬림화된 구조의 안테나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general, one end 123c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122)는 배터리 셀(122a) 및 커버(122b)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122a)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되도록 전기가 충전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122a)은 내부에 금속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물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다. 배터리(122)의 외관은 배터리 셀(122a)을 감싸는 커버(122b)에 의하여 형성된다. 커버(122b)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단부(121b)에 장착되는 도전체(123)의 일단(123c)은 최소한 커버(122b)의 두께만큼 금속물과 이격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도 6은 도 1의 라인 (IV-IV)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단말기 바디(210)의 내부에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내장 도전체(231)가 장착된다. 내장 도전체(231)는 캐리어(232)에 패턴화된 형태로 부착되어 내장 안테나(230)를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232)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terminal body 210, a built-in
내장 도전체(231)의 단부에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회로기판(218)으로 구현된다.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내장 도전체(231)는 회로기판(218)과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 도전체(231)와 연결되는 회로기판(218)의 필터부는 900 내지 1800 Mhz의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내장 도전체(231)는 900 내지 1800 Mhz의 주파수를 송수신하기 적합한 형태로 형성한다. 내장 도전체(231)의 형태는 실험적 또는 시뮬레이션 등으로 선정될 수 있다.The built-in
도전체(223)는 회로기판(218)과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블루투스 또는 GPS에 관련한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통화 등을 위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관련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내장 도전체(231) 및 도전체(223)가 각각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 을 송수신하기 적합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기 적합한 안테나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the built-in
도 7은 도 6의 제어부에 형성되는 스위칭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witching unit formed in the control unit of FIG. 6.
회로기판(218)에는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는 스위칭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도전체(223) 및 내장 도전체(231)가 각각 RF 스위치(241, RF switch)와 연결된다. RF 스위치(241)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RF 스위치(241)는 주파수 대역이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선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등을 위한 주파수 대역은 각 나라별로 다르다. 스위칭부(240)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나라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 가능한 안테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 도전체(231)는 일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기 적합하도록 형성하고, 도전체(223)는 타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기 적합하도록 형성한다. In general, the frequency band for the call of the mobile terminal is different for each country. By providing the
RF 스위치(241)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242, Diplexer)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스위칭부(24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RF 스위치(241) 및 다이플렉서(242, Diplexer) 등을 함께 형성한 FEM(front end module)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도 8은 도 1의 라인 (V-V)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전체(353)는 수용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353a, 353b)로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용부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수용단부(321a, 321b)가 형성되며, 각 수용단부에는 제1 및 제2 도전체(353a, 353b)가 각각 장착된다.The
제1 도전체(353a)는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제2 도전체(353b)는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The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체(353a, 353b)를 형성함으로써,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안테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별도 설명 없이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By forming the first and
한편, 이상에서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100)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r type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모듈(161), 조작부(116,117), 영상 입력부(115,141), 음향입력부(118),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19), 방송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0), 제어부(160)을 포함한다.9, the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 다.The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를 포함한다.The
조작부(116,1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17)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영상입력부(115,14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영상입력부(115,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4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음향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6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 다.The
음향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센싱유닛(16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인터페이스(119)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메모리(164)는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저면 사시도.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1의 라인 (IV-IV)를 따라 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도 5는 도 1의 라인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도 6은 도 1의 라인 (IV-IV)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도 7은 도 6의 제어부에 형성되는 스위칭부의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witching unit formed in the control unit of FIG. 6.
도 8은 도 1의 라인 (V-V)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3773A KR101463825B1 (en) | 2008-07-28 | 2008-07-28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3773A KR101463825B1 (en) | 2008-07-28 | 2008-07-28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086A true KR20100012086A (en) | 2010-02-05 |
KR101463825B1 KR101463825B1 (en) | 2014-11-20 |
Family
ID=4208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37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3825B1 (en) | 2008-07-28 | 2008-07-28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382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35788B2 (en) | 2011-09-19 | 2016-05-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27518A (en) * | 1999-10-26 | 2001-05-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terminal device |
KR100722880B1 (en) * | 2005-10-20 | 2007-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witching module and terminal with said switching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2007049718A (en) * | 2006-09-01 | 2007-02-22 | Nec Corp | Mobile telephone device and built-in antenna thereof |
-
2008
- 2008-07-28 KR KR1020080073773A patent/KR1014638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35788B2 (en) | 2011-09-19 | 2016-05-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3825B1 (en) | 2014-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60382B2 (en) |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437991B1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65109A (en) | Handheld terminal | |
KR20110003854A (en) | Mobile terminal | |
KR20100030166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10131750A (en) | Mobile terminal | |
KR101454240B1 (en) | Earj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00030970A (en) |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0983728B1 (en) | Handheld terminal | |
KR20090027514A (en) |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 |
KR101418284B1 (en) | Terminal unit for a SIM card socket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46382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474446B1 (en) | Portable terminals and batteries used therein | |
KR20090000533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63816B1 (en) |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404744B1 (en) | Loop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10018208A (en) | Mobile terminal | |
KR101474449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7037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13618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016888B1 (en) | Handheld terminal | |
KR20100080039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653152B1 (en) |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10032335A (en) | Handheld terminal | |
KR20090079467A (en) | Handheld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1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11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