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06334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334A
KR20090106334A KR1020090009500A KR20090009500A KR20090106334A KR 20090106334 A KR20090106334 A KR 20090106334A KR 1020090009500 A KR1020090009500 A KR 1020090009500A KR 20090009500 A KR20090009500 A KR 20090009500A KR 20090106334 A KR20090106334 A KR 2009010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bundle
message
subscrip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효
이국희
황승오
정보선
김준형
금지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334A/en
Priority to US12/418,184 priority patent/US20090253416A1/en
Priority to JP2011502866A priority patent/JP4914950B2/en
Priority to PCT/KR2009/001754 priority patent/WO2009145498A2/en
Priority to CA2719976A priority patent/CA2719976C/en
Priority to EP09754963A priority patent/EP2274847A4/en
Priority to CN2009801116712A priority patent/CN101981839A/en
Publication of KR2009010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33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서비스들로 구성된 사용자 정의 번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oriented customized service by providing a user-defined bundle composed of services selected by a user in consideration of a user's preferen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사용자 정의 번들 수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분배/조정부(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으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을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방송 서비스 가입 관리부(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BSM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인지,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구매 수락 여부를 포함한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BSM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eiving a user-defined bundle in a terminal of a portable broadcasting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rvice guide from a 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 unit (BSDA); Generating a user-defined bundle based on desired content or service, including the user-defined bundle in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a broadcast service subscription management uni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 and the BSM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or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sponse message; and if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is a message,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including whether to accept the purchase from the user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BSM. It includes the process of doing.

Description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MOBILE BROADCAST SYSTEM}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MOBILE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roadcas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in a portable broadcast system.

이동통신 시장은 기존 기술들의 재조합 또는 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생산을 지속적으로 요구받고 있으며,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방송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휴대 단말기(이하, "이동 단말")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있다. 이러한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시장 수요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급증하는 사용자 요구, 기존의 음성 서비스 외에 방송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전략, 그리고 수요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IT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동 통신 서비스와 IP의 융합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이동 통신 시장 뿐 아니라, 일반 유선 시장 속에서도 무선 또는 방송 등에 존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 을 도입하고, 적용시키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전방위적인 융합은 유선, 무선 방송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동일한 소비 환경을 만들게 되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arket is constantly demanding the production of new services through recombination or integration of existing technologies.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technologie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etc. are used in conventional broadcasting systems 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t is in the step of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terminal"). IT is strengthe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by accommodating such potential and actual market demands, increasing user demands for multimedia services, strategies of operators to provide new services such as broadcasting services in addition to existing voice services, and demands of consumers. With companies' interests in mind, the convergence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IP is becoming a big trend in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mobile technology. This has led to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wireless or broadcasting, not only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but also in the general wired market. This omnidirectional convergence creates the same consumption environment for various services regardless of wired or wireless broadcasting. It became.

한편,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pen Mobile Alliance : OMA)는 개별 모바일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로서, 이동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특히, 상기 OMA의 워킹 그룹 중 OMA BCAST(Mobile Broadcast Working Group)에서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표준을 연구하고 있다. OMA BCAST는 서비스 가이드,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전송기술, 서비스 및 컨텐츠 보호 기술, 서비스 가입, 로밍 등 휴대 단말 환경에서 IP 기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표준화하고 있다.Meanwhile, the Open Mobile Alliance (OMA) is an organization that researches standards for interoperability of individual mobile solutions, and is mainly responsible for setting various application standards for mobile games and Internet services. In particular, the OMA BCAST (Mobile Broadcast Working Group) of the working group of the OMA is studying a technical standard for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using a mobile terminal. OMA BCAST standardizes technologies for providing IP-based broadcasting services in mobile terminal environments such as service guide, download and streaming transmission technology, service and content protection technology, service subscription, and roaming.

상기 설명한 유무선 환경의 융합으로 인한 통합 서비스 제공의 시장 흐름에 따라, OMA BCAST등 휴대 방송 기술도 모바일 환경을 넘어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이다.In accordance with the market flow of integrated service provision due to the convergence of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described above, portable broadcasting technologies such as OMA BCAST will evolve to provide services in a wired and wireless integrated environment beyond the mobile environment.

한편, BCAST 시스템에서는 BCAST 사업자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싶은 서비스들을 묶어서 번들이라는 묶음으로 제공을 하게 된다. 이 번들이라 하는 묶음은 현재 일반 케이블 텔레비전 또는 위성 텔레비전에서 제공되는 채널 패키지와 유사한 개념이다. 이러한 번들은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의한 묶음으로 사업자의 판단 하에 정의가 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은 사용자 군에게 적합하도록 구성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업자 기반의 번들은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도에 따른 직접적인 선택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번들 이외의 번들을 원할 경우 이를 요청하거나 신청할 수 있는 없기 때문에 선호도에 따른 사용자의 직접적인 선택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CAST system, the services that the BCAST provider wants to provide to users are bundled and provided as a bundle. This bundle, called a bundle, is similar in concept to the channel package currently offered in conventional cable television or satellite television. Such a bundle is a bundle defined in advance by the operator to provide a service, and is defined at the operator's discretion. In general, most commonly configured to suit a large number of user groups, such a carrier-based bundle does not support a dire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s. Therefore, if a user wants a bundle other than the bundle provided by the operator, the user cannot request or apply for the bundle. Therefore, a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user's dire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a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서비스들을 번들로 구성하고 가입하여 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번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defined bundle that can be used by bundling, subscribing and using services directly selected by a user in consideration of a user's preference in a portabl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사용자 정의 번들 수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분배/조정부(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으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을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방송 서비스 가입 관리부(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BSM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인지,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구매 수락 여부를 포함한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BSM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eiving a user-defined bundle in a terminal of a portable broadcasting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rvice guide from a 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 unit (BSDA); Generating a user-defined bundle based on desired content or service, including the user-defined bundle in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a broadcast service subscription management uni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 and the BSM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or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sponse message; and if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is a message,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including whether to accept the purchase from the user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BSM. It includes the process of do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서비스들로 구 성된 사용자 정의 번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user-oriented customized service by providing a user-defined bundle composed of services select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specific details app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Will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BCAST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 는 메시지 스키마 테이블의 설명은 하기 <표 1a>과 같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esented a representative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entities defined in BCAST of 3GPP (3G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which is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or OMA (Open Mobile Alliance), which is a standard organization for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will be identically used. However, these standards and nam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they are applicable to systems having similar technical backgrounds.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schema tab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description is as shown in Table 1a.

하기 <표 1a>에서 이름(Name)은 해당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값과 속성값에 대한 명칭을 나타낸다. 타입(Type)은 해당 이름이 요소값 혹은 속성값 중 어떤 형태인지를 의미한다. 요소값은 E1, E2, E3, E4와 같은 값을 가지며, E1은 전체 메시지에 대한 상위 요소값을 의미하며, E2는 E1의 하위 요소값, E3는 E2의 하위 요소값, E4는 E3의 하위 요소값을 나타낸다. 속성값은 A로 표시하며 A는 해당 요소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예로 E1 아래의 A는 E1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범주(Category)은 해당 요소값 혹은 속성값이 필수 내용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필수인 경우 M 값을 갖고, 옵션인 경우 O 값을 가진다. 카디넬리티(Cardinality)는 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0, 0..1, 1, 0..n, 1..n 의 값을 가진다. 0은 옵션을 의미하며, 1은 필수관계를 의미하며, n은 다수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로 0..n은 해당 요소값이 없을 수도 있고 n 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Description)은 해당 요소 또는 속성값이 의미하는 바를 나타내며, 데이터형(Data Type)은 해당 요소값 혹은 속성값에 대한 데이터 형태를 나타낸다.In Table 1a, Name represents names of element and attribute values that constitute the message. Type means whether the name is an element value or an attribute value. Element values have the same values as E1, E2, E3, and E4, where E1 is the upper element value for the entire message, E2 is the lower element value of E1, E3 is the lower element value of E2, and E4 is the lower element of E3. Represents an element value. Attribute values are denoted by A, where A represents the attribute value of the element. For example, A below E1 indicates an attribute value of E1. Category is us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element value or attribute value is mandatory or not. It has M value if it is required and O value if it is optional. Cardinality represents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and has values of 0, 0..1, 1, 0..n, and 1..n. 0 means option, 1 means mandatory relationship, and n means that it can have many values. For example, 0..n means that the element value may be absent or may have n values. Description indicates what the corresponding element or attribute value means, and Data Type indicates the data type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value or attribute value.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1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BCAST에서 정의한 표준에 기반하였기에 BCAST에서 정의한 절차 또는 메시지 요소 등을 활용할 경우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standard defined by BCAST,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procedure or message element defined by BCAST is omitted.

이하에서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를 들기 위하여 휴대 방송 기술 표준 중의 하나인 OMA BCAST 기술을 바탕으로 설명하나, 이 설명이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OMA BCAST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portable broadcasting technology standards, to give specific examples in the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응용 계층 및 그 이하 계층 전송 계층까지의 표준 기술을 제정하고 있는 OMA의 BCAST 작업 그룹의 논리 구조도이다. 1 is a logical structure diagram of a BCAST working group of OMA which establishes a standard technology for an application layer and a lower layer transport layer for a mobile broadcast service.

먼저 도 1에 나타낸 논리 개체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CC)(101)는 BCAST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컨텐츠를 공급하며, 상기 컨텐츠는 통상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파일, 예를 들면 영화, 오디오, 비디오를 위한 데이터 등이 될 수 있겠다. 또한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는 서비스 가이드 생성 및 상기 서비스가 전송될 전송 베어러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속성(Attribute)을 BCAS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BCAST Service Application)(102)에 제공한다.First, the logical entitie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ontent creation (CC) 101 supplies content that is the basis of a BCAST service, which may be a file for a normal broadcast service, such as data for a movie, audio, video, or the like. .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01 provides a BCAST service application 102 with an attribute of the content for generating a service guide and determining a transport bearer to which the service is to be transmitted.

BCAST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02)은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BCAST 서비스의 데이터를 공급받아서 이를 이용해 미디어 인코딩, 컨텐츠 보호, 양방향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속성을 BCAST 서비스 분배/조정부(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103)와 BCAST 가입 관리부(BAST Subscription Management)(104)에 제공한다. The BCAST service application 102 receives the data of the BCAST service from the content provider 101 and processes it into a form suitable for providing media encoding, content protection, and interactive services. In addition, the attributes of the content supplied from the content provider 101 are provided to a B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 103 and a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104.

BCAST 서비스 분배/조정부(103)는 상기 BCAS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02)으로부터 공급받은 BCAST 서비스 데이터들을 이용해서 파일 및 스트리밍 전송, 서비스 수집, 서비스 보호, 서비스 가이드 생성 및 전송, 서비스 공지(Notification)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BCAST 서비스 분배/조정부(103)는 상기 서비스를 방송 분배 시스템(Broadcast Distribution System)(112)에 맞도록 조정한다.The BCAST service distribution / coordinator 103 uses the BCAST service data supplied from the BCAST service application 102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file and streaming transmission, service collection, service protection, service guid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ervice notification. Do this. In addition, the BCAST service distribution / adjustment unit 103 adjusts the service to match the 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112.

BCAST 가입 관리부(104)는 BCAST 서비스 사용자의 가입 및 요금 관련 기능과 같은 서비스 규정, BCAST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규정, BAST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한다.The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unit 104 manages hardware such as service provision, such as subscription and charge related functions of BCAST service users, regulation of information used for BCAST service, and terminals receiving BAST services in hardware or software.

단말기(Terminal)(105)는 컨텐츠 및 서비스 가이드와 컨텐츠 보호등과 같은 프로그램 지원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BDS 서비스 분배부(BDS Service Distribution)(111)는 상기 방송 분배 시스템(112) 및 연동 네트워크(Interaction Network)(113)와 상호 통신을 통해서 휴대 방송 서비스를 다수의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The terminal 105 receives program support information such as content and service guides and content protection and provides a broadcast service to the user. The BDS Service Distribution 111 transmits a portable broadcast servic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112 and the Interaction Network 113.

방송 분배 시스템(112)은 방송 채널을 통한 휴대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며, 예를 들면, 3GPP의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3세대 동기 이동통신 표준기구인 3GPP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의 BCMCS(Broadcast Multicast Service), 디지털 방송 표준 기구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의 DVB-H(DVB-Handheld) 또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방송/통신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겠다. 연동 네트워크(113)는 양방향 채널을 제공하며,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The 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112 transmits a portable broadcast servic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For example, BCMCS of 3GPP'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and 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a third-generation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organization. (Broadcast Multicast Service), DVB-H (DVB-Handheld) or IP (Internet Protocol) based broadcast / communication network of digital broadcast standard (DVB). The interworking network 113 provides a bidirectional channel and may be, for example, a cellular network.

다음으로 상기 논리 개체들 간의 연결 통로인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들을 설명한다. 참조 포인트는 목적에 따라 다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가지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소정의 목적을 위해서 2개 이상의 논리 개체들간의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며, 이를 위한 메시지 형식과 프로토콜 등이 적용된다. Next, reference points which are connection paths between the logical entities will be described. The reference point has a plurality of interfac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is interface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logical entities for a predetermined purpose, and a message format and a protocol for this purpose are applied.

BCAST-1(121)은 컨텐츠 및 컨텐츠 속성의 전송로이며, BCAST-2(122)는 컨텐츠가 보호(Content-protected)되거나 컨텐츠가 보호되지 않은(Content-unprotected) BCAST 서비스와 상기 BCAST 서비스의 속성 및 컨텐츠 속성의 전송로이다. BCAST-1 121 is a transmission path of content and content attributes, and BCAST-2 122 is a content-protected or content-unprotected BCAST service and a property of the BCAST service. And a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ent attribute.

BCAST-3(123)는 BCAST 서비스의 속성, 컨텐츠의 속성, 사용자 우선(User preference) 및 가입(Subscription) 정보, 사용자 요청,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전송로이다. The BCAST-3 123 is an attribute of a BCAST service, an attribute of a content, user preference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a user request, and a transmission path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BCAST-4(124)는 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 서비스 가이드에 사용되는 속성,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및 서비스 보호(Service Protection)에 사용되는 키(Key)의 전송로이다. The BCAST-4 124 is a transmission path of a notification message, an attribute used for a service guide, a key used for content protection, and service protection.

BCAST-5(125)는 보호된(Protected) BCAST 서비스, 보호되지 않은(Un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된(Content-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되지 않은(Content-unprotected) BCAST 서비스, BCAST 서비스 속성, 컨텐츠 속성, 공지(Notification), 서비스 가이드,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킷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와 방송(Broadcast)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와 시그널의 전송로이다. BCAST-5 (125) includes protected BCAST service, unprotected BCAST service, content-protected BCAST service, content-unprotected BCAST service, BCAST It is transmitted through security material and broadcast channel such as service property, content property, notification, service guide,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RO and kit value used for BCAST service protection. It is the channel of all data and signals.

BCAST-6(126)은 보호된(Protected) BCAST 서비스, 보호되지 않은(Un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된(Content-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되지 않은(Content-unprotected) BCAST 서비스, BCAST 서비스 속성, 컨텐츠 속성, 공지(Notification), 서비스 가이드,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킷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와 연동(Interaction)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와 시그널의 전송로이다. BCAST-6 (126) is a protected BCAST service, an unprotected BCAST service, a content-protected BCAST service, a content-unprotected BCAST service, BCAST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action channel with security materials such as service attributes, content attributes, notifications, service guide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ROs and kit values used for BCAST service protection. It is the channel of all data and signals.

BCAST-7(127)은 서비스 규정(provisioning), 가입(Subscription) 정보,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키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 등의 수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의 연동(Interaction)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우선(preference) 정보의 전송로이다. The BCAST-7 127 includes security elements such as service provisioning, subscription information, device management,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RO and key values used for BCAST service protection. It is a transmission path of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n interaction channel of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reception of a material.

BCAST-8(128)은 BCAST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가 연동(Interaction)되는 전송로이다. BDS-1(129)은 보호된(protected) BCAST 서비스, 보호되지 않은(Unprotected) BCAST 서비스, BCAST 서비스 속성, 컨텐츠 속성, 공지(notification), 서비스 가이드 및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키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의 전송로이다.BCAST-8 128 is a transmission path through which user data for BCAST service is interacted. BDS-1 129 is a DRM (DRM) used for protected BCAST services, unprotected BCAST services, BCAST service properties, content properties, notifications, service guides, and BCAST service protection. Digital Right Management) This is the transmission path of security material such as RO and key value.

BDS-2(130)는 서비스 규정(provisioning), 가입(Subscription) 정보,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및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키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의 전송로이다. X-1(131)은 상기 BDS 서비스 분배부(111)와 방송 분배 시스템(112)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The BDS-2 130 includes security elements such as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RO and key values used for service provisioning, subscription information, device management, and BCAST service protection. material). X-1 131 is a reference point between the BDS service distribution unit 111 and the 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112.

X-2(132)는 상기 BDS 서비스 분배부(111)와 연동 네트워크(113)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2 132 is a reference point between the BDS service distribution unit 111 and the interworking network 113.

X-3(133)은 방송 분배 시스템(112)과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3 133 is a reference point between 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112 and terminal 105.

X-4(134)는 BDS 서비스 분배부(111) 및 방송 채널을 통한 상기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4 (134) is a reference point between the BDS service distribution unit 111 and the terminal 105 through a broadcast channel.

X-5(135)는 BDS 서비스 분배부(111) 및 인터랙션 채널을 통한 상기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5 135 is a reference point between the BDS service distribution unit 111 and the terminal 105 through the interaction channel.

X-6(136)은 연동 네트워크(113)와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6 136 is a reference point between the interworking network 113 and the terminal 105.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OMA BCAST내에서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생성을 위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각 프래그먼트를 연결하는 실선은 각 프래그먼트 간의 상호 참조를 의미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model of a service guide for generating a service guide in OMA BCAS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FIG. 2, a solid line connecting each fragment means a cross reference between each fragment.

첨부된 도 2와 같이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Service Guide Data) 모델은 전체 서비스 가이드의 상위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그룹(Administrative)(200), 서비스, 컨텐츠, 스케줄 등 서비스 가이드의 핵심 부분인 핵심 그룹(Core)(220), 서비스 또는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억세스 그룹(Access)(230), 가입 및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공급 그룹(Provisioning)(210)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관리 그룹(200)은 서비스 가이드 전송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201), 공급 그룹(210)은 구입 아이템(PurchaseItem)(211), 구입 데이터(PurchaseData)(212), 구입 채널(PurchaseChannel)(213)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service guide data model includes an administrative group 200 that provides upper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entire service guide, a core group that is an essential part of a service guide such as services, contents, and schedules. Core 220, an Access 230 that provides access information to access a service or content, and a Provisioning 210 that includes subscrip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Each component of the management group 200 is a service guide delivery interpreter (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201, the supply group 210 is a purchase item (PurchaseItem) 211, purchase data (PurchaseData) 212, purchase channel It consists of (PurchaseChannel) 213.

그리고 핵심 그룹(220)은 서비스(Service)(221), 스케쥴(Schedule), 컨텐트(Content)(223)로 구성되며, 억세스 그룹(230)은 억세스(Access)(231), 세션 해석(Session Description)(232)으로 구성된다. The core group 220 includes a service 221, a schedule, and a content 223, and the access group 230 includes an access 231 and a session description. 232).

그 외에 서비스 가이드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4개의 그룹 이외에 프리뷰 데이터(PreviewData)(241)와 상호 데이터(InteractivityData)(251)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한 각 구성들을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프래그먼트(Fragment)라 부른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ervice guide information includes preview data 241 and interactivity data 251 in addition to the above four groups.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is called a fragment, which is the minimum unit constituting the service guide.

상술한 각 프래그먼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서비스 가이드 전송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프래그먼트(201)는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래그먼트를 담고 있는 서비스 가이드 전송 유닛(ServiceGuideDeliveryUnit : SGDU)이 위치하는 전송 세션 정보를 알려주며 SGDU에 대한 그룹핑(Grouping) 정보 및 통지(Notification)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입점(Entry Point)을 알려준다.Looking at each of the fragment component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guide transmission interpreter (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fragment 201 informs the transmission session information that the service guide transmission unit (ServiceGuideDeliveryUnit: SGDU) containing the fragments constituting the service guide, the SGDU It informs the entry point for receiving the grouping information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서비스(Service) 프래그먼트(221)는 전체 서비스 가이드 중심으로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컨텐트(Content)들의 상위 집합체로 서비스의 내용, 장르, 서비스 지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he service fragment 221 is a superset of contents included in the broadcast service centered on the entire service guide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genre, and service area of the service.

스케쥴(Schedule)프래그먼트(222)는 스트리밍(Streaming),  다운로딩(Downloading)등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트 각각의 시간정보를 나타낸다. The schedule fragment 222 represents time information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service, such as streaming and downloading.

컨텐트(Content) 프래그먼트(223)는 방송되는 컨텐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 타겟 유저 그룹, 서비스 지역, 장르 등을 포함한다. The content fragment 223 inclu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roadcasted content, a target user group, a service area, a genre, and the like.

억세스(Access) 프래그먼트(231)는 서비스를 볼 수 있도록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접속 세션에 대한 전송 방법, 세션 정보 등을 제공한다. The access fragment 231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so that the service can be viewed, and provides a transmission method, ses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access session.

세션 해석(SessionDescription) 프래그먼트(232)는 억세스 프래그먼트(Access)(231)에 포함될 수도 있고, URI형태로 위치 정보를 알려주어 단말기가 해당 세션 해석(SessionDescripion) 프래그먼트(232)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세션 해석 프래그먼트(232)는 해당 세션에 존대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 코덱 정보 등을 제공한다. The SessionDescription fragment 232 may be included in the Access Fragment 231 or the terminal may inform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URI so that the terminal may check the corresponding SessionDescription fragment 232 information. The session interpretation fragment 232 provides address information, codec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multimedia content existing in the session.

구입 아이템(PurchaseItem) 프래그먼트(211)는 서비스, 컨텐트, 시간 등의 번들(Bundle)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구입 아이템(PurchaseItem) 프래그먼트(211)을 가입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e PurchaseItem fragment 211 provides a bundle of services, content, time, etc. to help the user subscribe or purchase the corresponding PurchaseItem fragment 211.

구입 데이터(PurchaseData) 프래그먼트(212)는 서비스 혹은 서비스 번들에 대한 가격 정보, 프로모션 정보 등 구매, 가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The purchase data fragment 212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on purchase and subscription, such as price information and promotion information about a service or a service bundle.

구입 채널(PurchaseChannel) 프래그먼트(213)는 가입 혹은 구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알려준다. 서비스 가이드 전송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프래그먼트(201)는 서비스 가이드 수신을 위한 인입점(Entry Point)및 프래그먼트의 컨테이너(Container)인 SGDU에 대한 그룹핑 정보(Grouping Information)를 알려준다.The purchase channel fragment 213 informs access information for subscription or purchase. The service guide transmission interpreter (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fragment 201 informs grouping information about an entry point for receiving a service guide and an SGDU that is a container of the fragment.

또한, 프리뷰 데이터(PreviewData) 프래그먼트(241)를 통해 서비스, 스케쥴, 컨텐트에 대한 Preview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호 데이터(InteractivityData) 프래그먼트(251)를 통해 해당 서비스, 스케쥴, 컨텐트에 따라 방송 중에 Interactive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은 도 2의 상위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상세 내용 및 값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 값(Element) 및 속성(Attribute) 값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view data (PreviewData) fragment 241 provides the preview information on the service, schedule, content, or through the interactivity data (InteractivityData) fragment 251 according to the service, schedule, content according to the interactive service during the broadcast You can als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service guide may be defined through various element values and attribute values for providing details and values based on the higher data model of FIG. 2.

그리고, 본 발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가이드의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세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은 본 내용에 포함하지 않았으나 상기의 상세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이 본 발명을 제약하는 것은 없으며 휴대 방송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가이드 제공에 있어 필요에 의해 정의된 모든 요소 값 및 속성 값에 본 발명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이다.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element values and attribute values for each fragment of the service guide are not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e above detailed element values and attribute values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e mobile broadcasting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element values and attribute values defined as needed in providing a service guide. 3 is a message flow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의 논리적인 객체 단말기(301), BCAST 서비스 분배/조정부(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이하 BSDA)(302) 및 BCAST 가입 관리부(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이하 BSM)(303)은 각각 상기 도 1의 105, 103 및 104과 동일한 객체이다. 304 단계에서 단말기(301)는 BSDA(302)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여 그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상기 304 단계를 통하여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하여 BCAST 사업자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301)로 제공된다. 상기 304 단계에서 BSM(303)은 필요시 서비스 가이드에 기재되어 있는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번들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가이드의 서비스 및 컨텐츠 프래그먼트에 UDBAllowed 요소를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 구성은 하기 <표 1b> 및 <표 1c>와 같다.The logical object terminal 301 of FIG. 3, the B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 (BSDA) 302, and the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CSM) 303 are respectively illustrated in FIG. 1. Are the same objects as 105, 103 and 104. In step 304, the terminal 301 receives the service guide from the BSDA 302 and shows the contents to the user. Information on all services and contents provided by the BCAST service provider is provided to the terminal 301 through the service guide transmitted through step 304. In step 304, the BSM 303 may inform the user that a bundle can be directly configured by the user, if desired, for the services and contents described in the service guide. To this end, UDBAllowed elements are added to the service and content fragments in the service guide to inform the user. The structure is as follows <Table 1b> and <Table 1c>.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0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1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2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3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4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3

305 단계에서 사용자는 단말기(301)가 사용자에게 보여준 서비스 가이드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305 단계에서 사용자는 BCAST 사업자가 제공하는 번들 이외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단말기(301)는 사용자가 원하는 번들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305 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이 구성되면 306 단계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301)는 BSM에게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을 한다. 상기 306 단계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는 기존 BCAST에서 정의한 서비스 가입 요청 메시지에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추가하여 전송을 한다. In step 305, the user selects a desired service or content through the service guide shown by the terminal 301 to the user. In step 305, the user selects a service or content other than the bundle provided by the BCAST service provider, so that the terminal 301 configures a bundle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user-defined bundle is configured in step 305, the terminal 301 requests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to the BSM through step 306. The user 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in step 306 is added by adding the following elements to the servic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defined in the existing BCAST.

UserDefinedBundle 요소는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 정의 번들에 대한 요청이 있음을 알리기 위함이다. The UserDefinedBundle element is for informing that the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has a request for a user-defined bundle.

UDBService 요소는 사용자가 서비스 가이드에서 선택한 사용자 정의 번들에 추가하고 싶은 서비스의 식별자를 나타낸다.The UDBService element represents an identifier of a service that the user wants to add to the custom bundle selected in the service guide.

notification 요소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서비스에 대하여 통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The notification element 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a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service selected by the user.

UDBcontent 요소는 사용자가 서비스 가이드에서 선택한 사용자 정의 번들에 추가하고 싶은 컨텐츠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The UDBcontent element represents an identifier of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add to the custom bundle selected in the service guide.

PurchaseItemID는 사업제가 제공하는 번들을 사용자가 구성하는 번들에 추가하고 싶을 경우 사용한다.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 구성은 하기 <표 2a> 내지 <표 2g>와 같으며 상기 서술하지 않은 요소의 설명 및 사용법은 기존에 BCAST에서 정의되어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PurchaseItemID is used when you want to add the bundle provided by the project to the bundle you configure.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is as shown in Tables 2a to 2g, and description and usage of elements not described above are no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y are previously defined in BCAST.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5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0

상기 306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BSM(303)은 307 단계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번들의 수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만약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 할 수 없을 경우 BSM(303)은 바로 310 단계의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응답 메시지에 수용 할 수 없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요청한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경우 BSM(303)은 요청 받은 메시지 내의 서비스 및 컨텐츠에 기반하여 과금 되는 가격을 산정하여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308 단계를 통하여 단말기(301)에게 전송한다. 상기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의 구성은 하기 <표 3a> 내지 <표 3c>와 같다. Upon receiving the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in step 306, the BSM 303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bundle requested by the user in step 307. In this case, if the user's request cannot be processed, the BSM 303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the fact that the user cannot accept the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response message in step 310. However, if the user can support the custom bundl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the BSM 303 calculates the price charged based on the service and the content in the requested message, and generates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301 in step 308. send. Configuration of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is as shown in Table 3a to Table 3c.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3

상기 <표 3a>의 PriceNegotiationRequest 요소는 사용자가 요청한 사용자 정의 번들의 구매 가격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를 나타낸다.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 요소 중 requestID는 상기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요소이다. UDBPrice요소는 사용자가 요청 사용자 정의 번들의 구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validTo 요소는 상기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구매 가격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고, currency는 제공되는 구매 가격의 단위를 나타낸다. SubscriptionPeriod는 사용자가 가입 요청을 한 사용자 정의 번들의 가입 유효 기간을 나타낸다. The PriceNegotiationRequest element of Table 3a indicates a message for notifying the purchase price of the user-defined bundle requested by the user. The requestID of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element is an element for identifying the message. The UDBPrice element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purchase price of the user-defined bundle requested by the user, and the validTo element represents the validity period of the purchase price provided through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and currency represents a unit of the purchase price provided. . SubscriptionPeriod represents the subscription validity period of the user-defined bundle for which the user has requested a subscription.

상기 <표 3b>의 TermOfUse는 서비스 가입 약관을 나타내기 위한 요소이고, type은 약관 종류를 나타내는 요소이다.TermOfUse of <Table 3b> is an element for indicating a service subscription condition, and type is an element for indicating a kind of agreement.

상기 <표 3c>의 id는 약관의 고유 식별자이며, userConsentReqiured는 명시적으로 사용자 동의의 필요 여부를 나타낸다. Country 및 language는 각각 약관이 해당되는 국가 및 언어를 나타내고, PreviewDataIDRef는 별도의 PreviewData를 통하여 약관을 표시할 경우 사용되고, TermsofUseText는 실제 약관이다. 상기 308 단계를 통하여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301)는 BSM(303)에서 제시한 가격을 사용자에게 알린 후, 309 단계에서 사용자의 가입 여부를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BSM(303)에게 전송한다. 전송되는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의 구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Id in Table 3c is a unique identifier of the agreement, and userConsentReqiured explicitly indicates whether user consent is required. Country and language respectively indicate the country and language to which the terms apply, PreviewDataIDRef is used when displaying the terms through separate PreviewData, and TermsofUseText is the actual terms. After receiving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in step 308, the terminal 301 notifies the user of the price suggested by the BSM 303, and then in step 309, the terminal 301 informs the BSM 303 of the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send. The configuration of the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is shown in Table 4 below.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4

상기 <표 4>의 PriceNegotiationResponse 는 사용자가 요청한 사용자 정의 번들의 구매 가격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requestID는 상기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요소이며. subscribe는 사용자가 BSM(303)에서 제시한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의 가격에 동의 또는 거절에 대한 가입 확정 여부를 것을 나타낸다. userConsent는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에게 약관 동의를 했을 경우 이에 대한 답변을 나타내기 위한 요소이다. 310 단계는 최종적으로 BSM(303)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의 가입 요청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는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이다.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의 가입 요청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는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의 구성은 하기 <표 5a> 내지 <표 5e>와 같으며 기존에 BACST에 정의된 가입 요청 메시지 중 일부 요소를 추가한다. PriceNegotiationResponse in Table 4 is an element representing a message for notifying the purchase price of the user-defined bundle requested by the user. requestID is an element for identifying the message. subscribe indicates whether the user confirms the subscription to the agreement or rejection of the price of the custom bundle service proposed by the BSM 303. userConsent is an element to indicate the response when the user agrees to the terms in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Finally, step 310 is a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informing the BSM 303 of the result of the subscription request of the user-defined bundle. The configuration of the custom bundle response message informing the result of the subscription request of the custom bundle is shown in Tables 5a to 5e and adds some elements of th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previously defined in the BACST.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5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6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7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8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9
Figure 112009007341929-PAT00069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5d>의 메시지 요소 중 UserDefinedBundle 요소는 본 메시지에 사용자 정의 번들에 대한 응답임을 알리기 위함이다. UDBService 요소는 사용자가 서비스 가이드에서 선택한 사용자 정의 번들에 추가한 서비스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상기 <표 5e>의 메시지 요소 중 UDBcontent 요소는 사용자가 서비스 가이드에서 선택한 사용자 정의 번들에 추가한 컨텐츠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PurchaseItemID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번들을 사용자가 정의한 번들에 추가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메시지를 통하여 가입 성공 및 실패를 설정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표 5a>의 globalStatusCode를 BCAST에서 정의한 바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311 단계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암호키(LTKM)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BCAST에서 정의한 방식을 따르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DefinedBundle element among the message elements shown in Table 5d is to inform the present message that it is a response to the user-defined bundle. The UDBService element represents the identifier of the service that the user added to the custom bundle selected in the service guide. The UDBcontent element of the message elements of Table 5e indicates an identifier of content added to the user-defined bundle selected by the service guide. PurchaseItemID indicates that the bundle provided by the provider has been added to the bundle defined by the user. In addition, through this message, subscription success and failure can be set. In particular, globalStatusCode in Table 5a is set and used immediately as defined in BCAST. Finally, step 311 shows how to obtain an encryption key (LTKM) necessary for the use of content or services, and follows the method defined by BCAST.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5a> 내지 <표 5e>의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하기 <표 6a> 내지 <표 6e>과 같은 구성을 가진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은 기존에 BACST에 정의된 가입 요청 메시지 중 일부 요소를 추가한다. 하기 <표 6a> 내지 <표 6e>과 같이 구성된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는 BSM(303)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을 통하여 수신한 서비스, 컨텐츠 또는 구매 아이템을 모두 한 개의 구매 아이템으로 묶어서 처리할 경우에 사용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s of Tables 5a to 5e, a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having a configuration as shown in Tables 6a to 6e may be used. Add some elements of th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defined in BACST. The custom bundle response messag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6a> to <Table 6e> is used when the service, content, or purchase items received through the custom bundle from the BSM 303 are bundled and processed as one purchase item. do.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0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1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2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3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4
Figure 112009007341929-PAT00074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6a> 내지 <표 6e>의 메시지 요소 중 <표 6e>에 기재된 UserDefinedBundle 요소는 본 메시지에 사용자 정의 번들에 대한 응답임을 알리기 위함이다. 또한 <표 6e>에 기재된 PurchaseItemFragment 및 PurchaseDataFragment는 BSM(303)에서 구매 프래그먼트를 새롭게 사용자를 위하여 서버에서 정의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를 제공해줄 때 사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DefinedBundle element described in Table 6e of the message elements of Tables 6a to 6e is to inform the present message that it is a response to the user-defined bundle. In addition, PurchaseItemFragment and PurchaseDataFragment described in Table 6e are used when BSM 303 newly defines a purchase fragment on a server for a user to provide a custom bundle service.

상기 PurchaseItemFragment는 사용자 정의 번들의 서비스, 컨텐트, 시간 등의 번들을 제공하며, 상기 PurchaseDataFragment는 상기 PurchaseItemFragment의 번들에 대한 가격 정보, 프로모션 정보 등 구매, 가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의된 응답 메시지를 나타내는 <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는 BCAST 시스템 구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를 상기 <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표 6a> 내지 <표 6e>를 사용할 경우 상기 도 3의 311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301)와 BSM(303)은 상기 <표 6a> 내지 <표 6e>를 통하여 주고 받은 PurchaseItemFragement 및 PurchaseDataFragment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BCAST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BCAST 서비스 가입 절차를 다루지 않는다. The PurchaseItemFragment provides a bundle of a service, content, time, etc. of the user-defined bundle, and the PurchaseDataFragment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on purchase and subscription, such as price information and promo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bundle of the PurchaseItemFragment. <Table 5a> to <Table 5e> or <Table 6a> to <Table 6e> indicating the response message defined above may be optionally used depending on the BCAST system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is not limited to the <Table 5a> to <Table 5e> or <Table 6a> to <Table 6e>,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hen using <Table 6a> to <Table 6e>, in order to perform step 311 of FIG. 3, the terminal 301 and the BSM 303 exchange the PurchaseItemFragement and PurchaseDataFragment received through the <Table 6a> to <Table 6e>. You can also follow the usual BCAST service signup proces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ver the usual BCAST service subscription procedur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1 단계에서 단말기(301)는 BSDA(302)으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한다. 단말기(301)는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싶은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단말에게 알려주면, 단말기(301)는 402 단계에서 이를 사용자 정의 번들로 묶어서 403 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로 생성하여 BSM(303)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403 단계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는 상기 도 3의 설명에서 서술한 <표 2a> 내지 <표 2g>와 같다. 상기 403 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301)는 서버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기다리다가 404 단계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여 405 단계에서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한다. 즉, 단말기(301)는 메시지의 종류가 번들 구매 메시지인지, 거절 메시지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404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가 아닌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일 경우 BSM(303)에서 가입을 불허한 상황이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301)는 사용자 정의 번들 구매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의 <표 5a> 또는 <표 6a>에 기재된 globalStatusCode는 가입 실패를 나타낸다. 상기 405 단계에서 메시지가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표 3a> 내지 <표 3c>)일 경우 단말기(301)는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금액을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을 하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 문의 요청에 대해서 수락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거절할 경우 단말기(301)는 410 단계에서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에 거절을 설정하고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BSM(303)에게 전송을 한다. 이후 단말기(301)는 411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에 가입 실패를 BSM(303)으로부터 통보 받는다. 이때 상기 메시지의 globalStatusCode는 가입 실패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BSM(303)에서 제시한 가격에 구매를 결정할 경우 즉, 사용자가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에 대해서 수락한 경우, 단말기(301)는 407 단계를 통하여 구매 수락의 내용을 포함한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표 4>)를 생성하여 BSM(303)에게 전송한다. 상기 407단계를 통하여 BSM(303)에게 구매 문의 응답(<표 4>)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301)는 408 단계에서 BSM(303)으로부터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를 수신한다. 단말기(301)는 상기 405 단계 또는 411 단계와 다르게 408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의 경우에는 가입 성공이 globalStatusCode 요소에 표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409 단계를 통하여 단말기(301)는 BCAST에서 정의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사용시 필요한 암호키(LTKM) 값을 수신한다. In step 401 the terminal 301 receives a service guide from the BSDA (302). When the terminal 301 shows the received service guide to the user,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or service that he / she wants to see and informs the terminal, the terminal 301 bundles it in a user-defined bundle in step 402 and the user in step 403. It generates a definition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BSM 303. In this case, the message generated in step 403 is as shown in Tables 2a to 2g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terminal 301 which transmits the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in step 403 waits for a response message from the server and receives a message in step 404 to determine the type of message in step 405. That is, the terminal 301 determines whether the type of message is a bundle purchase message or a rejection message. If the message received in step 404 is not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but a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Table 5a> to <Table 5e> or <Table 6a> to <Table 6e>), the BSM 303 registers a subscription. The terminal 301 terminates the user-defined bundle purchasing process because of an unacceptable situation. At this time, the globalStatusCode described in Table 5a or Table 6a of the message indicates a subscription failure. When the message is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Table 3a> to <Table 3c>) in step 405, the terminal 301 requests the user to confirm the amount of money included in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and the user makes a purchase inquiry. Determine if the request has been accepted. If the user refuses, the terminal 301 sets a rejection in the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in step 410, generates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BSM 303. Thereafter, the terminal 301 is notified of the failure to join the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through the BSM 303 in step 411. At this time, the globalStatusCode of the message indicates a subscription failure. When the user decides to purchase at the price suggested by the BSM 303, that is, when the user accepts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301 transmits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 Table 4>) is generated and sent to the BSM 303. In step 407, the terminal 301, which has sent a purchase inquiry response (Table 4) message to the BSM 303, receives a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Table 5a) to Table 5e from the BSM 303 in step 408. FIG. Or <Table 6a> to <Table 6e>). In the case of the message received in step 408, the terminal 301 is marked with the globalStatusCode element, unlike step 405 or step 411. Finally, through step 409, the terminal 301 receives a cryptographic key (LTKM) value required for using the content or service defined in BCAS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BSM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B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1 단계에서 BSM(303)은 단말기(301)로부터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501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형식은 상기 <표 2>와 같으며 메시지를 검토한 BSM(303)은 502 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BSM(303)에서 서비스 제공 불가를 결정할 경우 BSM(303)은 503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에 가입 처리 불가를 표기하여 단말기(301)에게 전송하고 종료한다. 이때 전송되는 메시지는 상기 <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와 같으며 globalStatusCode요소를 가입 실패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In step 501, the BSM 303 receives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301. The message format received in step 501 is as shown in Table 2. The BSM 303 reviewing the message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a user-defined bundle service in step 502. When the BSM 303 determines that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the BSM 303 indicates the subscription processing impossible in the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through step 503,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301 and terminates.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message is shown in Tables 5a to 5e or Tables 6a to 6e, and the globalStatusCode element is set as a subscription failure.

그러나 상기 502 단계에서 BSM(303)이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을 허용할 경우 BSM(303)은 504 단계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번들에 대하여 과금할 가격을 정한 후 상기 <표 2a> 내지 <표 2g>와 같이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기(301)에게 전송한다. 505 단계에서 BSM(303)은 상기 504 단계에서 전송한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며 즉,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메시지 분석 후 사용자가 구매 거절을 했을 경우 507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의 globalStatusCode요소를 가입 실패로 설정하여 단말기(301)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506 단계에서 사용자가 가입 수락을 했을 경우 BSM(303)은 508 단계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응답 메시지(<표 5a> 내지 <표 5e> 또는 <표 6a> 내지 <표 6e>)에 가입 성공을 globalStatusCode 요소에 설정하여 단말기(301)에게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509 단계를 통하여 BSM(303)은 BACST에서 정의한 방법에 따라서 단말기(301)에게 컨텐츠 또는 서비스 사용에 필요한 암호키(LTKM)를 전송한다. However, if the BSM 303 allows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in step 502, the BSM 303 determines a price to be charged for the bundle defined by the user in step 504, and the <Table 2a> to <Table 2g>.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1 as shown. In step 505, the BSM 303 receives a response to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in step 504, that is, receives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and when the user declines the purchase after analyzing the message, the user through step 507. A globalStatusCode element of the definition bundle response message (<Table 5a> to <Table 5e> or <Table 6a> to <Table 6e>) is set as a subscription failure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1. However, if the user accepts the subscription in step 506, the BSM 303 succeeds in the user-defined bundle response message (<Table 5a> to <Table 5e> or <Table 6a> to <Table 6e>) in step 508. It is set in the globalStatusCode element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1. Finally, in step 509, the BSM 303 transmits an encryption key (LTKM) necessary for using a content or service to the terminal 301 according to the method defined in BACST.

**

도 1은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응용 계층 및 그 이하 계층 전송 계층까지의 표준 기술을 제정하고 있는 OMA의 BCAST 작업 그룹의 논리 구조도,1 is a logical structure diagram of a BCAST working group of OMA which establishes a standard technology for an application layer and a lower layer transport layer for a mobile broadcast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OMA BCAST내에서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생성을 위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model for a service guide for generating a service guide in OMA BCAS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3 is a message flow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흐름도,4 is a flowchar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BSM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B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사용자 정의 번들 수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ceiving a user-defined bundle at a terminal of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방송 서비스 분배/조정부(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으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Receiving a service guide from a 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 (BSDA);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정의 번들을 생성하는 과정과,Creating a custom bundle based on the content or service desired by the user,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을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방송 서비스 가입 관리부(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으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user defined bundle in a user 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to a broadcast service subscription management uni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 상기 BSM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인지,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BSM is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or a user-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sponse message; 상기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구매 수락 여부를 포함한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BSM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And in the case of the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generating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including whether to accept the purchase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the purchased inquiry response message to the BSM. 휴대 방송 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가입 관리부(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에서의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broadcast service subscription management uni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 of the portable broadcasting system,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custom bundl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custom bundle service through the custom bundle join request message;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상기 사용자 정의 번들 서비스에 대해서 결정한 과금을 구매 문의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When providing the custom bundle service, including the charge determined for the custom bundle service in a purchase inquiry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로부터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문의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사용자의 가입 수락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Receiving a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from the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user accepts the subscription through the purchase inquiry response message; 상기 가입 수락 여부를 사용자 정의 번들 가입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And a step of including whether to accept the subscription in a user defined bundle subscription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terminal.
KR1020090009500A 2008-04-04 2009-02-0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Ceased KR20090106334A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00A KR20090106334A (en) 2008-04-04 2009-02-0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US12/418,184 US20090253416A1 (en) 2008-04-04 2009-04-03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JP2011502866A JP4914950B2 (en) 2008-04-04 2009-04-06 User-defined bundl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in mobile broadcast system
PCT/KR2009/001754 WO2009145498A2 (en) 2008-04-04 2009-04-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CA2719976A CA2719976C (en) 2008-04-04 2009-04-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EP09754963A EP2274847A4 (en) 2008-04-04 2009-04-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DEFINED BOUQUET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CN2009801116712A CN101981839A (en) 2008-04-04 2009-04-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defined bundles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897 2008-04-04
KR1020080121222 2008-12-02
KR1020090009500A KR20090106334A (en) 2008-04-04 2009-02-0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334A true KR20090106334A (en) 2009-10-08

Family

ID=4153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500A Ceased KR20090106334A (en) 2008-04-04 2009-02-0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33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45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JP4914950B2 (en) User-defined bundl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in mobile broadcast system
CN10191924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guide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US20140289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downloading related contents by terminal through broadcast service
CA271779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9038343A2 (en)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therefor
EP2353289B1 (en) Service guide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ervice
CA2977718C (en) Service signaling extensions
US201402897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rmware of terminals in a broadcast system
US20090254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in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CN109964486A (en) broadcast identifier signaling
TW201108653A (en) Rich media-enabled service guid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service
US10389461B2 (en) Method for decoding a service guide
KR2009010633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KR2009010632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 bundl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TW201733373A (en) Components indication in service annou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3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