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822A - Emotion 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earch server - Google Patents
Emotion 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earch ser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0822A KR20090080822A KR1020080006799A KR20080006799A KR20090080822A KR 20090080822 A KR20090080822 A KR 20090080822A KR 1020080006799 A KR1020080006799 A KR 1020080006799A KR 20080006799 A KR20080006799 A KR 20080006799A KR 20090080822 A KR20090080822 A KR 20090080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cabulary
- emotional
- item
- insensitive
- sear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7—Thesauruses; Synony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검색 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arch server.
본 발명은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에 있어서, 아이템, 어휘 연계 정보 및 아이템 색인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를 연계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고,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와 아이템를 연계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 및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고, 아이템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rch server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items,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and item index information; A database construc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lexical linkage information by linking an emotional vocabulary and an insensitive vocabulary, and generating item index information by linking an emotional vocabulary or an insensitive vocabulary with items; And receiving a search keyword, extracting an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search keyword using the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and using one or more items linked to the extracted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using item index information. It provides a search server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rch management to provide a search.
본 발명에 의하면, 검색 서버는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아이템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에 대한 적절한 풍부한 아이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server expands the search keyword to an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search keyword to search for an item,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bundant items appropriate for a desired feeling or emo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검색 서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관련된 아이템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한 색상이나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에 대한 적절한 풍부한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검색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arch server. More specifically, by searching for related items by expanding the search keyword with the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input search keyword, the user is not simply a color or a form, but a rich item appropriate for the feeling or emotion desired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ding method,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a search server.
요즈음,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동영상 및 음악 등의 콘텐츠인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아이템 제공을 위해 웹 사이트의 검색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키워드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Nowadays, there are many websites that search and provide items which are contents such as images, videos, and music that the user wants. In order to provide such items, the search server of the website receives a search keyword input from the user and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item. Search and provide.
종래의 아이템 검색 및 제공 서비스를 위한 검색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1차원적으로 직접 매칭되는 아이템만을 검색하여 제공한 다, 예를 들어 검색 키워드가 '낙엽'과 같은 비감성 어휘라면 '낙엽'에 적접적으로 매칭되는 '낙엽'이 포함된 이미지만을 제공해준다. The conventional search server for the item search and provision service searches and provides only items that are directly matched in one dimension to the search key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search keyword is an insensitive vocabulary such as 'fallen leaves', It only provides images that contain 'fallen leaves' that match the 'fallen leaves'.
하지만, 아이템 검색 및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낙엽'이라는 비감성 어휘를 검색 키워드로 입력했지만, '낙엽'으로부터 연상되는 '고독', '쓸쓸함' 및 '외로움' 등과 같은 감성 어휘에 연계되는 아이템까지 제공받고 싶은 경우, 종래의 아이템 검색 및 제공 서비스는 비감성 어휘로부터 연상되는 감성 어휘에 대한 아이템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색 키워드로 '외로움'이란 검성 어휘를 입력하여 감성적인 느낌에 대한 적절한 이미지를 아이템으로 제공받고 싶은 경우에도, 종래의 아이템 검색 및 제공 서비스는 감성 어휘와 연계된 비감성 어휘 관련 아이템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lthough a user using the item search and providing service inputs an insensitive vocabulary of 'fallen leaves' as a search keyword, an item linked to an emotional vocabulary such as 'solitude', 'loneliness' and 'loneliness' associated with the 'falling leaves'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be provided, the conventional item searching and providing ser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an item for an 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an insensitive vocabulary. In addition, even if a search keyword is entered as a search keyword of 'loneliness' and a user wants to receive an appropriate image of an emotional feeling as an item, the conventional item search and provision service provides an insensitive vocabulary related item associated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관련된 아이템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한 색상이나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에 대한 적절한 풍부한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expanding the search keyword to an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input search keyword to search for related items, it is not a simple color or shape to the user, but a feeling or emotion desired by the user Its main purpose is to search for and provide appropriate rich items fo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에 있어서, 아이템, 어휘 연계 정보 및 아이템 색인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를 연계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고,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와 아이템를 연계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 및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고, 아이템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earch server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items,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and item index information; A database construc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lexical linkage information by linking an emotional vocabulary and an insensitive vocabulary, and generating item index information by linking an emotional vocabulary or an insensitive vocabulary with items; And receiving a search keyword, extracting an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search keyword using the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and using one or more items linked to the extracted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using item index information. It provides a search server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rch management to provide a searc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검색 서버가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가 연계된 어휘 연계 정보 및 상기 감성 어휘 또는 상기 비감성 어휘와 아이템이 연계된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감성 어휘 또는 상기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아이템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성 어휘 또는 상기 비감성 어휘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ethod of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by the search server, (a) lexical linking information and the emotional relationship is linke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al Generating item index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vocabulary or the insensitive vocabulary; (b) receiving a search keyword; (c) extracting the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search keyword using the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d) searching for one or more items associated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or the insensitive vocabulary using the item index information; And (e) providing the one or more item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감성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있어서, (a) 문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으로 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 및 상기 감성 어휘와 상기 비감성 어휘의 어휘 관계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어휘 관계를 가지는 상기 감성 어휘와 상기 비감성 어휘를 연계하여 상기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아이템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 정보 와 매칭되는 상기 감성 어휘 또는 상기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상기 아이템과 연계하여 상기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ethod of building a database based on emotion, (a) search for a vocabulary using document data, the search by the emotional vocabulary, insensitive vocabulary and the Extracting a lex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insensitive vocabulary; (b) generating and storing the lexical association information by linking the emotional vocabulary having the lexical relationship with the insensitive vocabulary; (c) identify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n item and extracting the emotional word or the non-emotional word match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using the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And (d) generating and storing the item index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extracted emotional vocabulary or the insensitive vocabular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a) 제 1 감성 어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제 1 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감성 어휘를 키워드로 하는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ceiving a first emotional vocabulary; (b) selecting an insensitive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first emotional vocabulary; And (c) searching for an item using the insensitive vocabulary as a keywor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검색 서버는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관련된 아이템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한 색상이나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에 대한 적절한 풍부한 아이템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server expands the search keyword to an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input search keyword and searches for related items. It is effective to search for and provide abundant items appropriate for emotion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 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은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기(120) 및 단말기(12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하여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요청받아 해당 아이템을 검색하여 단말기(120)로 제공하는 검색 서버(1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entire system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tem search service through a wir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이템은 유선/무선상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콘텐츠는 사용자 또는 기업에서 생성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플래시 파일 등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텍스트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 아이템은 사용자에게 유상으로 제공되거나 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 means wired / wireless content. Content refers to images, audio, video, flash files, etc. created by users or companies, and can be combined with text in some cases. In addition, this item may be provided to the user for free or for free.
단말기(120)는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하여 검색 서버(100)로 아이템 검색 서비스 요청시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데, 이렇게 입력된 검색 키워드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20)는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110)과 연결되어 검색 서버(100)와 네트워킹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핸드 헬드(Hand-Held) 컴퓨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전술한 '비감성 어휘'에는 인간의 감성을 내포하지 않는 어휘로서 낙엽, 바다, 산, 학교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감성 어휘'에는 인간의 감성을 내포하는 어휘로서 고독, 쓸쓸함, 기쁨, 따뜻한, 차가움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insensitive vocabulary', for example, fallen leaves, sea, mountains, schools, etc. may be examples of vocabulary not containing human emotion. In addition, the 'emotional vocabulary' may include loneliness, loneliness, joy, warmth, coolness, and the like as a vocabulary containing human emotion.
검색 서버(100)는 단말기(120)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통하여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수신한 검색 키워드를 파악하여 검색 키워드와 대응하는 또는 연계하는 아이템을 검색하여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When the
검색 서버(100)가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검색하는 절차는 크게 두가지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 첫 번째 단계는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어휘(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추출된 어휘(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에 연계되는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이다. The
첫 번째 단계를 위해서, 검색 서버(100)는 인터넷상의 웹 문서 및 워드 넷(WordNet) 등과 같은 어휘 관련 프로그램 등으로부터 다수의 어휘 및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추출하고, 이러한 어휘들 간의 연계 정보를 생성하고 있어야한다. 이렇게 소정의 어휘 관계를 가진 어휘들 간의 연계 정보가 생성되어있다면,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어휘를 추출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어휘 관계를 가진 어휘들 간의 연계 정보를 '어휘 연계 정보' 또는 '어휘 네트워크 색인 정보'라 한다. For the first step, the
도 5를 참조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낙엽'이라는 비감성 어휘가 있을 때, 이로부터 연상될 수 있는 '쓸쓸함'이란 감성 어휘가 추출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고독', '외로움' 등의 감성 어휘가 추가로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낙엽', '쓸쓸함', '고독', '외로움' 등이 연상어 관계 및 유사어 관계에 의해서 서로 연계되어 어휘 연계 정보가 생성된다. 만약, 입력된 검색 키워드가 '외로움'이라면, 기 생성된 어휘 연계 정보로부터 연계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인 '낙엽', '쓸쓸함', '고독'을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vocabulary linking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FIG. 5, when there is an insensitive vocabulary of 'fallen leaves', a emotional vocabulary of' lonelines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it can be extracted, and ' Emotional vocabulary such as loneliness and loneliness can be further extracted. Thus, 'falling leaves', 'loneliness', 'loneliness', 'loneliness', etc. are linked to each other by the association of the association word and similar words to generate the lexical link information. If the input search keyword is 'loneliness', 'falling leaves', 'loneliness', and 'solitude', which are linked emotional words or insensitive words, may be extracted from the generated vocabulary linking information.
전술한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어휘(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것은 입력된 검색 키워드 이외에도 여러 개의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는 효과가 생기게 되므로, 입력된 하나의 검색 키워드로 아이템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이에 대해 연계된 어휘를 모두 이용하여 더욱 풍부한 감성에 기반한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Extracting the vocabulary (emotional vocabulary, insensitive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above-described search keyword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search keywords in addition to the input search keyword, and thus does not search for an item by the input search keyword. By using both the entered search keyword and the related vocabulary,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items based on richer emotions.
또한, 전술한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어 추출된 어휘(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검색하는 두 번째 단계를 위해서는, 검색 서버(100)는 저장하고 있는 아이템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속성 정보와 관련이 있는 어휘(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찾아 해당 아이템과 연계하고 연계된 정보를 사전에 준비해두어야 한다. 이렇게 어휘와 아이템 간의 연계 정보가 생성되어있다면, 해당 아이템을 검색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휘와 아이템 간의 연계 정보를 '아이템 색인 정보'라 한다. In addition, for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n item using the extracted vocabulary (emotional vocabulary, insensitive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above-described search keyword, the
도 6를 참조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이템 A'의 속정 정보가 '낙엽', '쓸쓸함', '고독', '외로움' 중 하나와 관련이 있다면, '아이템 A'는 '낙엽', '쓸쓸함', '고독', '외로움'등의 어휘(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와 연계될 수 있고, 도 6와 같은 아이템 A'가 '낙엽', '쓸쓸함', '고독', '외로움'와 연계되었다는 아이템 색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아이템 색인 정보가 미리 준비되어 있으면, '외로움'이란 검색 키워드에 대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통해 추출된 '낙엽', '쓸쓸함', '고독'이란 어휘를 아이템 색인 정보에서 '낙엽', '쓸쓸함', '고독', '외로움'와 연계되는 '아이템 A'를 포함한 모든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item index inform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if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Item A' is related to one of 'fallen leaves', 'loneliness', 'solitude', and 'loneliness', 'Item A' May be associated with vocabulary such as' falling leaves', 'loneliness',' solitude ', and' loneliness' (emotional vocabulary, insensitive vocabulary), and item A 'as shown in FIG. Item index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olitude' and 'loneliness' may be generated. If the item index information is prepared in advance, the words 'lost', 'lost', and 'solitude' extracted from the vocabulary linking information about the search keyword 'loneliness' are 'lost', 'lost' in the item index information. You can search for all items, including item A, which is associated with loneliness and loneliness.
위에서 언급한 아이템은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이다. 예를 들면, 특정 감성 어휘와 연계될 수 있는 스킨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의 콘텐츠가 아이템이 될 수 있다. The items mentioned above are content that includes one or more in images, audio and video. For example, an item may be content such as a skin image, a video, and music that may be associated with a specific emotional vocabular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210),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 및 검색 관리부(2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데이터베이스(210)는 아이템, 소정의 어휘 관계를 가지고 어휘들이 연계된 정보인 어휘 연계 정보 및 어휘와 아이템이 연계된 정보인 아이템 색인 정보를 저장한다. 어휘 연계 정보를 통해서는 어떠한 어휘들이 어떠한 어휘 관계를 가지고 연계되어 있는 알 수 있으며, 아이템 색인 정보를 통해서는 어떠한 아이템에 대한 속성과 유사한 어떠한 어휘들이 연계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The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어휘 연계 정보 및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데,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를 연계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고,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와 아이템을 연계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한다. The database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는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의 웹 문서 및 어휘 관련 프로그램 등 다양한 문서 데이터로부터 감성 어 휘 및 비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어휘를 추출하고, 추출된 어휘 간의 어휘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및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등의 데이터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웹 문서로부터 어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린스턴 대학의 인지 과학 연구소에서 개발된 영어의 의미 어휘 목록인 워드 넷(WordNet)이란 어휘 관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 및 어휘 간의 어휘 관계를 추출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의 언어 간 번역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만약 추출된 어휘가 영어인 경우 한국어로 번역을 한다. In addition, th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에 추출하는 감성 어휘 및 비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어휘는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의 품사일 수 있으며, 어휘 간의 어휘 관계는 유의어 관계, 동의어 관계, 반의어 관계, 상위어 관계, 하위어 관계, 등위어 관계, 전체어 관계, 부분어 관계, 양태어 관계, 수반어 관계, 연상어 관계 및 관계어 관계 등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vocabulary including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insensitive vocabulary extracted to th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에서 추출하는 어휘 간의 어휘 관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When explaining the vocabulary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bulary extracted by the database
위에서 언급한 유의어 관계는 의미가 유사한 두 개 이상의 어휘 간의 관계이고, 동의어 관계는 형태는 다르나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두 개 이상의 어휘간의 관계이고, 반의어 관계는 동일한 의미 분야에 속하고 그 가운데에서 반대적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 간의 관계이다. 예를 들어 '예쁨'과 '아름다움'은 유의어 관계 또는 동의어 관계에 있으며, '빠르다'와 '느리다'는 반의어 관계이다. The synonym relationship mentioned above is a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vocabularies with similar meanings, and a synonym relationship is a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vocabularies that have different forms but the same meaning, and the antonym relationship belongs to the same field of meaning and the opposite meaning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bulary representing. For example, 'pretty' and 'beauty' are synonymous or synonymous, and 'fast' and 'slow' are the opposite.
제 1 어휘가 제 2 어휘의 한 종류이면, 제 2 어휘는 제 1 어휘의 상의어라고 하고 제 1 어휘는 제 2 어휘의 하위어라고 한다. 이때 두 어휘의 관계를 상위어 관계 또는 하위어 관계라 한다. 예를 들어 '과일'과 '사과'는 상의어 관계 또는 하위어 관계에 있다. If the first vocabulary is one kind of the second vocabulary, the second vocabulary is referred to as the upper term of the first vocabulary, and the first vocabulary is referred to as the lower vocabulary of the second vocabulary. 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ocabulary is called a parent word relationship or a child word relationship. For example, 'fruit' and 'apple' are in shark or subword relationships.
제 1 어휘와 제 2 어휘가 동일한 상위어를 가지고 있다면 제 2 어휘는 제 1 어휘의 등위어라고 하고, 두 어휘는 등위어 관계에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야구'와 '축구'는 운동이라는 동일한 상위어를 가지는 등위어 관계이다. If the first vocabulary and the second vocabulary have the same superior word, the second vocabulary is said to be the equal word of the first vocabulary, and the two vocabularies are said to be equivalent. For example, 'baseball' and 'soccer' are equivalence relations with the same synonyms of exercise.
제 1 어휘가 제 2 어휘의 부분이면 제 2 어휘는 제 1 어휘의 전체어라 하고, 제 1 어휘는 제 2 어휘의 부분어라고 한다. 이러한 두 어휘는 전체어 또는 부분어 관계에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와 '페달'은 전체어 관계 또는 부분어 관계에 있다. If the first vocabulary is part of the second vocabulary, then the second vocabulary is referred to as the entire word of the first vocabulary, and the first vocabulary is referred to as the partial vocabulary of the second vocabulary. These two vocabularies are said to be in full or partial terms. For example, 'bicycle' and 'pedal' are either whole or partial.
제 2 어휘라는 행동이 특정 상황에서 제 1 어휘의 행동을 하는 경우, 제 2 어휘는 제 1 어휘의 양태어라 하고, 두 어휘는 양태어 관계에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더듬다'와 '말하다'는 양태어 관계이다. When an action called a second vocabulary acts as a first vocabulary in a specific situation, the second vocabulary is said to be an aspect of the first vocabulary, and the two vocabularies are said to be in a symbolic relationship. For example, 'stutter' and 'speak' are modal relations.
제 1 어휘라는 행동을 할 때 반드시 제 2 어휘의 행동을 한다면 제 2 어휘는 제 1 어휘에 수반된다고 하고, 두 어휘는 수반어 관계에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잠'과 '코골이'는 수반어 관계이다. If the second vocabulary is necessarily performed when the first vocabulary is acted, the second vocabulary is said to accompany the first vocabulary, and the two vocabularies are said to be accompanying words. For example, sleep and snoring are accompanying words.
하나의 어휘로부터 다른 어휘가 연상되는 경우 두 어휘는 연상어 관계에 있다. '태극기'로부터 '애국심'이 연상되는 경우 '태극기'와 '애국심'은 연상어 관계 에 있다. 두 어휘가 소정의 의미나 행위로 관련될 수 있을 때, 두 어휘를 관계어 관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부하다'와 '도서관'는 관계어 관계이다. When a vocabulary is associated with one vocabulary, the two vocabulary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When 'patriotism' is associated with 'Taegeukgi', 'Taegeukgi' and 'patriotism'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When two words can be related to a certain meaning or action, the two words can be referred to as relations. For example, 'study' and 'library' are related.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는 생성된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여 해당 아이템과 연계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로 생성하되, 여기서 속성 정보는 해당 아이템을 표현하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영상 정보 등에서 하나 이상이다.In addition, the
검색 관리부(230)는 단말기(120)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아이템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앞서 추출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여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The
또한, 검색 관리부(230)는 검색한 아이템에 대한 누적된 검색 랭킹을 계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위에서 언급한 '아이템'은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이다. 예를 들면, 특정 감성 어휘와 연계될 수 있는 스킨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의 콘텐츠가 아이템이 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items" are contents including one or more in images, audio, and video. For example, an item may be content such as a skin image, a video, and music that may be associated with a specific emotional vocabular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100)에 의하면,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연계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관련된 아이템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한 색상이나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에 대한 적절한 풍 부한 아이템까지도 검색하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서버(100)가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가 연계된 어휘 연계 정보 및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와 아이템이 연계된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 단말기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S302), S300 단계에서 생성된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S304), S300 단계에서 생성된 아이템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S306) 및 S306단계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308)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전술한 S300 단계에서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는, 인터넷상의 웹 문서 및 어휘 관련 프로그램 등의 문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휘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에 의하여 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 및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의 어휘 관계를 추출하는 단계, 동의어 관계 및 반의어 관계 등의 어휘 관계를 가지는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를 연계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above-described step of generating the vocabulary linkage information at step S300, the step of searching for a vocabulary using document data such as a web document and a vocabulary related program on the Internet, the emotional vocabulary, the insensitive vocabulary,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insensitive vocabulary by searching Extracting a lexical relationship of the vocabulary, and generating lexical linkage information by linking an emotional vocabulary having an lexical relationship such as a synonym relationship and an antonym relationship with an insensitive vocabulary.
또한 전술한 S300 단계에서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는, 아이템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아이템의 속성 정보와 매칭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이렇게 추출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아이템 과 연계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ocedure of generating the item index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step S300, the step of identify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tem, extracting the emotional vocabulary or insensitive vocabulary match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tem and the extracted emotional vocabulary or insensitivity Generating item index information by associating the vocabulary with the item.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방법에 의하면,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연계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아이템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한 색상이나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과 관련된 적절한 아이템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arch method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tem is searched by expanding a search keyword with an emotional or non-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an input search keyword, thereby providing a simple color or shape to a user. Rather, it may provide a search service for an appropriate item related to a feeling or emotion desired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감성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문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휘를 탐색하고, 이러한 탐색에 따라 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 및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의 어휘 관계를 추출하는 단계(S400), 소정의 어휘 관계를 가지는 감성 어휘와 비감성 어휘를 연계하여 어휘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402), 저장된 아이템의 속성 정보를 파악하고, 기 저장된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속성 정보와 매칭되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S404) 및 S404 단계에서 추출된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를 저장된 아이템과 연계하여 아이템 색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40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motion-based database, searching for a vocabulary using document data, and extracting a vocabulary relationship between an emotional vocabulary, an insensitive vocabulary, and an emotional vocabulary and an insensitiv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search (S400) ), Generating and storing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by linking the emotional and non-emotional vocabulary having a predetermined vocabulary relationship (S402), grasp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tored item, and use the stored vocabulary association information to store the attribute of the item. Extracting an emotional or insensitive vocabulary matching the information (S404) and generating and storing item index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tored vocabulary or 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ed in step S404 (S406). .
전술한 문서 데이터는 인터넷상의 웹 문서 또는 어휘 관련 프로그램에서의 문서일 수 있다. The aforementioned document data may be a web document on the Internet or a document in a lexical related program.
검색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어휘 연계 정보 및 아이템 색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연계되 는 감성 어휘 또는 비감성 어휘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확장된 검색 키워드로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검색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단순한 색상이나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이나 감정과 관련된 적절한 아이템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방법은 비감성 어휘가 다수인 경우에는 비감성 어휘가 어느 정도 감성 어휘와 매칭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방법의 전체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otion-based item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checking how the insensitive vocabulary matches the emotional vocabulary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insensitive vocabularies. Accordingly, the entire process of the emotion-based item sear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방법의 전체 과정은 제 1 감성 어휘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제 1 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및 비감성 어휘를 키워드로 하는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entire process of the emotion-based item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first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an insensitive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first emotional vocabulary, and an item using the non-emotional vocabulary as a keyword. Searching.
전술한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이전에 제 1 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제 2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제 1 감성 어휘 또는 제 2 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비감성 어휘를 선택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 second 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before selecting the insensitive vocabulary. In this case, the step of selecting the insensitive vocabulary may include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or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2 Choose an insensitive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또한, 전술한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는,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지수가 높은 제 1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 1 비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제 1 감성 어휘 및 제 2 감성 어휘를 비교하여 제 1 감성 어휘와 제 2 감성 어휘가 양의 관계인 경우 제 1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selecting the insensitive vocabulary may include selecting a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having a high linkage index using the vocabulary linkage information and a first emotional vocabulary and a second 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Comparing the vocabulary and selecting the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when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second emotional vocabulary are positive.
또한, 전술한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는,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지수가 가장 높은 제 1 비감성 어휘 및 제 1 비감성 어휘보다 연계 지수가 낮은 제 2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 1 비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제 1 감성 어휘 및 제 2 감성 어휘를 비교하여, 제 1 감성 어휘와 제 2 감성 어휘가 음의 관계인 경우, 제 1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지 않고 제 2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selecting the insensitive vocabulary may include selecting the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having the highest linkage index and the second insensitive vocabulary having a lower linkage index than the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using the vocabulary linkage information; Comparing the first emotional word and the second emotional word associated with the first insensitive word, when the first emotional word and the second emotional word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the second insensitive word is not selected without selecting the first insensitive word. Selecting the vocabulary.
전술한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검색된 아이템의 키워드가 제 1 비감성 어휘 및 제 2 비감성 어휘이며,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 1 비감성 어휘가 제 1 감성 어휘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감성 어휘와 제 2 비감성 어휘에 대한 연계 지수를 기준으로 아이템을 검색 결과에 포함시킬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keyword of the searched item is a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and a second insensitive vocabulary, and the first insensitive vocabulary is associated with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insensitive vocabular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include an item in a search result based on a linkage index for the first emotional word and the second insensitive word using the vocabulary linkage information.
또한, 전술한 아이템을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검색된 아이템을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해당 아이템이 검색되도록 한 비감성 어휘를 표시한다. In addition, after the above-mentioned searching for the item, the searched item is displayed on the user display, and an insensitive vocabulary for searching for the corresponding item is displayed.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s follows.
다수의 감성 어휘, 비감성 어휘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제 1, 2 등으로 구별 지을 수 있다. 검색 서버(100)가 제 1 감성 어휘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감성 어휘와 연계되어 있는 비감성 어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앞서 설명한 어휘 연계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역의 관계로, 하나의 감성 어휘에 다수의 비감성 어휘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독’이라는 감성 어휘에 (낙엽, 0.8), (눈물, 0.7)(노을, 0.6), (술, 0.3), (케이크, -0.5) 등으로 비감성 어휘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숫자(연계 지수)는 감성 어휘와 얼마나 관련성 이 높은가를 보여준다. 케이크의 경우, -0.3은 고독이라는 감성 어휘와 반대되는 비감성 어휘임을 나타낸다.Since a plurality of emotional vocabulary and insensitive vocabulary can exist, it can be distinguished into first and second. When the
어휘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감성 어휘와 관련된 비감성 어휘를 다수 찾게 되면, 앞서 살펴본 연계 지수를 이용하여 관련도가 높은 비감성 어휘를 찾을 수 있다. 고독의 예에서 ‘낙엽’이 선택된다. 그러면, 이 낙엽이 감성 어휘와 어느정도 연관성이 높은지에 대해 다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비감성 어휘에 대한 다수 감성 어휘가 매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감성 어휘에 매핑된 다른 감성 어휘와 제 1 감성 어휘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낙엽에 대하여 (고독, 0.8), (쓸쓸함, 0.9)가 매핑되어 있다면 ‘고독’이라는 제 1 감성 어휘와 ‘쓸쓸함’이라는 제 2 감성 어휘를 비교하여 서로 양의 관계(유의어, 유사어, 포함어 등)라면 ‘낙엽’을 비감성 어휘로 선택한다.When a plurality of insensitive vocabulary related to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is found using the vocabulary linkage information, a highly relevant insensitive vocabulary may be found using the linkage index described above. In the example of loneliness, 'falling leaves' are chosen. Then, the leaves can be searched again to see how closely the leaves are relate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For example,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is compared with other emotional vocabularies mapped to the insensitive vocabulary, using data mapped with the multiple emotional vocabulary for the insensitive vocabulary of FIG. 5. For example, if (Lonely, 0.8) and (Lonely, 0.9) are mapped to the fallen leaves, the first emotional vocabulary of 'loneliness' is compared to the second emotional vocabulary of 'lonely' (positive words, synonyms). , Leaves, etc.), 'fallen leaves' is selected as an insensitive vocabulary.
한편, ‘기쁨’이라는 감성 어휘에 (눈, 0.7)이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case where (eye, 0.7) is mappe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of 'joy' is as follows.
‘기쁨’이라는 감성 어휘에 매핑된 비감성 어휘가 ‘눈’인 경우 ‘눈’이 ‘기쁨’이라는 감성 어휘와 제대로 매핑되어 있는지 검토한다. 즉 ‘눈’이라는 단어에 매핑된 감성 어휘를 조사한 결과 (기쁨, 0.5), (슬픔, 0.6)인 경우, 기쁨과 슬픔은 음의 관계(반대어)이므로, ‘눈’을 검색 대상의 비감성 어휘로 선택하지 않고 다른 비감성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If the unemotional vocabulary mappe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of 'joy' is 'eye', examine whether the 'eye' is properly mappe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of 'joy'.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motional vocabulary mapped to the word 'eye', (joy, 0.5) and (sorrow, 0.6), joy and sadness are negative relationships (opposite words), so 'eye' is the insensitive vocabulary of the search target. You can choose another insensitive vocabulary instead of selecting.
또한, 아이템에 둘 이상의 키워드가 있는 경우, 해당 키워드에 의해 검색 결과에 포함시킬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two or more keywords in the item,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include them in the search results by the corresponding keywords.
예를 들어, 앞서 ‘고독’이라는 키워드에서 ‘낙엽’이라는 비감성 어휘가 선택되어 ‘낙엽’을 키워드로 하는 아이템이 다수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각 아이템의 키워드에 대하여 감성 어휘와의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sensitive vocabulary of 'fallen leaves' is selected from the keyword 'solitude', so that a large number of items having 'fallen leaves' as a keyword may be selec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ssociation of the keyword of each item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예를 들어, 제 1 아이템의 키워드가 ‘낙엽’, ‘눈물’ 이라면, ‘눈물’이라는 단어 역시 ‘고독’과 연계 지수가 높으므로 제 1 아이템은 검색 결과로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 2 아이템의 키워드가 ‘낙엽’, ‘케이크’이라면, ‘케이크’이 ‘고독’과 반대의 연계 지수를 가지므로, 제 2 아이템은 제외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keywords of the first item are 'fall leaves' and 'tear', the word 'tear' also has a high index of association with 'solitude', and thus the first item may be included as a search result. However, if the keyword of the second item is 'falling leaves' or 'cake', since the 'cake' has a linkage index opposite to 'solitude', the second item may be excluded.
선택된 비감성 어휘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검색하고, 검색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입력된 감성 어휘와 연관된 아이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어떤 비감성 어휘가 선택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An item may be searched based on the selected insensitive vocabulary, and the retrieved item may be displayed as an item associated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input to the user. In this case, it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which insensitive vocabulary is selec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에 대한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search serve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대한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database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휘 연계 정보에 대한 예시도,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lexical associa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템 색인 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item index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item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검색 서버100: search server
110: 유무선 통신망110: wired or wireless network
120: 단말기120: terminal
210: 데이터베이스210: database
220: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부220: database deployment management unit
230: 검색 관리부230: search management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6799A KR100943962B1 (en) | 2008-01-22 | 2008-01-22 | Emotion 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earch ser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6799A KR100943962B1 (en) | 2008-01-22 | 2008-01-22 | Emotion 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earch ser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822A true KR20090080822A (en) | 2009-07-27 |
KR100943962B1 KR100943962B1 (en) | 2010-02-26 |
Family
ID=4129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6799A Active KR100943962B1 (en) | 2008-01-22 | 2008-01-22 | Emotion 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earch ser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3962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19410A3 (en) * | 2010-03-24 | 2011-11-17 | Taykey, Ltd. | A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mining web based user generated content for creation of term taxonomies |
KR101143450B1 (en) * | 2010-11-24 | 2012-05-23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Providing method and system of emotional augmented memory service |
US8782046B2 (en) | 2010-03-24 | 2014-07-15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for predicting future trends of term taxonomies usage |
KR101451757B1 (en) * | 2011-12-02 | 2014-10-16 | (주)아크릴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internet searching based on sensitivity information |
US8965835B2 (en) | 2010-03-24 | 2015-02-24 | Taykey Ltd. | Method for analyzing sentiment trends based on term taxonomies of user generated content |
US9183292B2 (en) | 2010-03-24 | 2015-11-10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real-time detection of an hidden connection between phrases |
US9613139B2 (en) | 2010-03-24 | 2017-04-04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real-time monitoring of a sentiment trend with respect of a desired phrase |
US9652997B2 (en) | 2011-08-24 | 2017-05-1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emotion basis lexeme information on an emotion lexicon comprising calculation of an emotion strength for each lexeme |
US9946775B2 (en) | 2010-03-24 | 2018-04-17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etection of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
KR20190011184A (en)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reserved word and attribute language |
KR20190011176A (en)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Search method and apparatus using property language |
US10600073B2 (en) | 2010-03-24 | 2020-03-24 | Innovid Inc. |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the performance of advertisements and predicting future behavior of the advertise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030B1 (en) * | 2013-02-26 | 2015-03-04 | (주)아크릴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ensitivity information and device performing the same |
KR102263317B1 (en) | 2019-04-25 | 2021-06-14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ttribute language |
KR102280345B1 (en) | 2019-04-25 | 2021-07-22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commended items using language unit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6506A (en) * | 1999-04-17 | 2000-11-15 | 정명수 | Method for the lookup and presentation of the goods employing a sensivility vocabulary |
JP2002099574A (en) | 2000-09-26 | 2002-04-05 | Tsutaya Online:Kk | Content search system and coll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content search data |
KR20050012549A (en) * | 2003-07-25 | 2005-02-02 | 이성하 | Method for managing and searching target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
-
2008
- 2008-01-22 KR KR1020080006799A patent/KR100943962B1/en active Active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54615B2 (en) | 2010-03-24 | 2016-09-27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for predicting user behaviors based on phrase connections |
US10268670B2 (en) | 2010-03-24 | 2019-04-23 | Innovid Inc. | System and method detecting hidden connections among phrases |
US8782046B2 (en) | 2010-03-24 | 2014-07-15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for predicting future trends of term taxonomies usage |
US9613139B2 (en) | 2010-03-24 | 2017-04-04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real-time monitoring of a sentiment trend with respect of a desired phrase |
US8930377B2 (en) | 2010-03-24 | 2015-01-06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mining web based user generated content for creation of term taxonomies |
US8965835B2 (en) | 2010-03-24 | 2015-02-24 | Taykey Ltd. | Method for analyzing sentiment trends based on term taxonomies of user generated content |
US9165054B2 (en) | 2010-03-24 | 2015-10-20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for predicting future trends of term taxonomies usage |
US9183292B2 (en) | 2010-03-24 | 2015-11-10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real-time detection of an hidden connection between phrases |
WO2011119410A3 (en) * | 2010-03-24 | 2011-11-17 | Taykey, Ltd. | A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mining web based user generated content for creation of term taxonomies |
US10600073B2 (en) | 2010-03-24 | 2020-03-24 | Innovid Inc. |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the performance of advertisements and predicting future behavior of the advertisement |
US9767166B2 (en) | 2010-03-24 | 2017-09-19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user behaviors based on phrase connections |
US9946775B2 (en) | 2010-03-24 | 2018-04-17 | Taykey Ltd. |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etection of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
KR101143450B1 (en) * | 2010-11-24 | 2012-05-23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Providing method and system of emotional augmented memory service |
US9652997B2 (en) | 2011-08-24 | 2017-05-1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emotion basis lexeme information on an emotion lexicon comprising calculation of an emotion strength for each lexeme |
KR101451757B1 (en) * | 2011-12-02 | 2014-10-16 | (주)아크릴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internet searching based on sensitivity information |
KR20190011185A (en)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Visualization method of reserved word and apparatus thereof |
KR20190011176A (en)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Search method and apparatus using property language |
KR20190011184A (en)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reserved word and attribute language |
KR20200085688A (en) | 2017-07-24 | 2020-07-15 |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reserved wo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3962B1 (en) | 2010-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3962B1 (en) | Emotion based item search service provision method,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search server | |
JP6461980B2 (en) | Coherent question answers in search results | |
US10169453B2 (en) |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using search engine intelligence | |
KR101040119B1 (en) | Content Search Device and Method | |
KR101060594B1 (en) | Keyword Extraction and Association Network Configuration for Document Data | |
US1055246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sensitive contextual searching | |
US778826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ntext based summary | |
CN101796511B (en) | Identify Semantic Relationships in Indirect Speech | |
JP201152960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ing datasets by using semantic vector and keyword analysis | |
US20130117303A1 (en) | Data search device, data search method, and program | |
US10621252B2 (en) | Method for searching in a database | |
JP2012027788A (en) | Document retrieval system, document retrieval method, and program | |
De Nies et al. | Bringing Newsworthiness into the 21st Century. | |
Spitz et al. | EVELIN: Exploration of event and entity links in implicit networks | |
JP2017220179A (en) |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KR20110023304A (en) | Conceptual Network-based User Profile Composition Method and System and Personalized Query Expansion System | |
JP4499179B1 (en) | Terminal device | |
KR101308821B1 (en) | Keyword extraction system for search engines and extracting method thereof | |
JP6106489B2 (en) | Semantic analyzer and program | |
KR102279125B1 (en) | Terminal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preference filter | |
KR20180099099A (en) | Method for content search based on natural language anf apparatus for the same | |
JP2005234772A (en) | Document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JP6800478B2 (en) | Evaluation program for component keywords that make up a Web page | |
JP4496797B2 (en) |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
JP2007233724A (en) | Document retrieval system, its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