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750A -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content playlist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content playli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3750A KR20090033750A KR1020070098940A KR20070098940A KR20090033750A KR 20090033750 A KR20090033750 A KR 20090033750A KR 1020070098940 A KR1020070098940 A KR 1020070098940A KR 20070098940 A KR20070098940 A KR 20070098940A KR 20090033750 A KR20090033750 A KR 200900337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playlist
- attribute
- keyword list
- recommend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저장한 단말에 적용되는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복수의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며,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른 필드검색을 통해 실시간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자동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는 플레이리스트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추천받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 content playlist applied to a terminal storing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ecommended keyword lists through clustering of a sound source listened to by a user. By sugges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playlist in real time through the field search according to the user,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 playlist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without having to create a playlist himself.
음악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메들리, 음악채널 Music Content, Playlists, Recommendations, Medley, Music Channels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저장한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를 저장한 단말에 적용되는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toring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 content playlist applied to a terminal storing content.
최근 컴퓨터는 물론, 휴대폰이나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다양한 이동 단말(mobile device)을 통한 음악 콘텐츠 재생이 보편화되고 있다. Recently, music contents playback through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P3 play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the like, have become popular.
사용자는 음악 콘텐츠를 자신이 직접 골라서 재생할 수도 있으나, 재생할 음악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재생할 음악 콘텐츠를 추천받는 방식은, 주로 음원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대용량 콘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할 것 같은 음악 리스트를 제공받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The user may select and play music content himself or herself, but may be recommended music content to play. Here, the method of recommending the music content to be played is generally a form in which a music list that a user may prefer is provided from a large-capacity content server mainly for sound source sales.
그러나, 점차 컴퓨터와 다양한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단말의 저장 공간이 커짐에 따라 대용량 서버 대신 개인 단말에서 많은 음원을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개인 단말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리스트 추천 기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However, as the storage space of a personal terminal including a computer and various mobile terminals increases, it is possible to hold many sound sources in the personal terminal instead of a large capacity server. Therefore, in the future, playlist recommendation function for music contents stored in personal terminal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콘텐츠를 저장한 단말에서 효율적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commending a playlist in a terminal storing conten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복수의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며,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른 필드검색을 통해 실시간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자동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ecommended keyword lists through clustering of a sound source listened to by a user,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 playlist in real time through a field search according to a keyword inputted by a user with reference to the same. Suggest how to generat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으로부터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속성에 대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사용자 취향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mmending a playlist for a content stored in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an attribute from a sound source listened to by a user; And analyzing user tastes through clustering of the extracted attributes and providing a recommendation keyword li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여기서,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으로부터 태그 정보 또는 내용기반 오디오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xtracting of the attribute, it is preferable to extract at least one attribute from the sound source listened to by the user using tag information or content-based audio analysis information.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추출된 속성에 대한 심볼릭 데이터 클러스터링(symbolic data clustering)을 통해 사용자 취향으로 매핑될 수 있는 추 천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하며, 심볼릭 데이터 클러스터링은 온톨로지(ontology)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oviding the recommendation keyword list may generate a recommendation keyword list that may be mapped to a user's taste through symbolic data clustering for the extracted attribute, and the symbolic data clustering may use an ontology database. Preferably to be carried out.
또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추출된 속성에 대하여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기본 클러스터(basic cluster)를 구성하는 단계; 기본 클러스터에 대하여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하위 관계에 있는 클러스터들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1차 클러스터링 단계; 추출된 속성 간에 클러스터 유사도를 계산하여 비슷한 클러스터들을 그룹화하는 2차 클러스터링 단계; 및 2차 클러스터링 결과에 대한 클러스터 이름을 생성하여 추천 키워드리스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때 클러스터 이름은 그룹화된 클러스터에서 상위개념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viding of the recommendation keyword list may include configuring a basic cluster having the same value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attribute; A primary clustering step of hierarchically grouping clusters in a parent-child relationship using an ontology database with respect to the primary cluster; A second clustering step of grouping similar clusters by calculating cluster similarity between extracted attributes; And generating a cluster name for the secondary clustering result as a recommendation keyword list, wherein the cluster name is preferably generated using attribute values of a higher concept in the grouped clust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취향 분석 결과에 기초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이용한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mmending a playlist for a content stored in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recommendation keyword list based on a user taste analysis result; And performing a search for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keyword input using the recommended keyword list, and generating a playlist in real time using the search result.
여기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취향 분석결과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recommendation keyword lis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t least one recommendation keyword list based on the user taste analysis result to the user using the ontology database.
또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키워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인덱싱 정보를 기초로 필드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필드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generating of the playlist may include receiving a keyword from a user using the displayed at least one recommendation keyword list; Performing field search based on indexing information of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using the input keyword; And generating a playlist for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in real time using the field search resul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추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추출하는 속성 추출부; 추출된 속성에 대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사용자 취향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취향 분석부; 및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이용한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에 따라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ylist for a content stored in a terminal, comprising: an attribute extractor extracting at least one attribute from a sound source listened to by a user; A user taste analyzer for analyzing user tastes through clustering of the extracted attributes and providing a list of recommended keywor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a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keyword input using the recommended keyword list, and generates a playlist in real time using the search result. Is achiev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저장한 단말에서 효율적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즉,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복수개의 음악 채널에 대한 추천 키워드리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플레이리스트가 동적으로 실시간 생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레이리스트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추천받을 수 있다. 즉, 간편하게 음악 DJ 또는 메들리(medley)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commending a playlist in a terminal storing content are provided. That is, a list of recommended keywords for a plurality of music channels is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with respect to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a playlist for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search engine is dynamically generated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 playlist that matches his or her taste without having to create the playlist directly. That is, the music DJ or medley function can be provided simply.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장치의 구성의 일 예이다.1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장치는 속성 추출부(10), 사용자 취향 분석부(20) 및 검색부(30)를 구비한다. 또한,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50) 및 색인 데이터베이스(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속성 추출부(Feature Extraction module)(10)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으로부터 속성(feature)을 추출한다. 속성 추출부(10)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으로부터 ID 3 태그 정보나, 또는 내용기반 오디오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무드(mood), 주제(theme), 아티스트(artist), 장르(genre), 앨범(album), 연도(year) 등과 같은 분류기준에 따른 속성들을 추출한다.The
사용자 취향 분석부(User Preference Analysis module)(20)는, 속성 추출부(10)에서 추출된 속성들에 대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사용자 취향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기초로 추천 키워드리스트(recommended keyword-list)를 제공한다. 즉, 속성 추출부(10)에서 추출된 속성에 대한 심볼릭 데이터 클러스터링(symbolic data clustering)을 통해 사용자 취향으로 매핑될 수 있는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효율적인 클러스터링을 위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온톨로지(ontology) 데이터베이스(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ser
또한, 추천 키워드 리스트는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 제목 리스트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와 무드 속성을 결합한 "클래식/잔잔한 음악"이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티스트와 장르 속성을 결합한 "이효리/댄스음악" 등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keyword list indicates a playlist title list including at least one attribute reflecting a user's taste.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 classic / tranquil music " combining the user's favorite genre and mood attributes, or " Lee Hyo Lee / Dance music " combining the user's favorite artist and genre attributes.
검색부(Retrieval module)(30)는, 사용자 취향 분석부(20)에서 제공되는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실시간 검색을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의 메타 데이타에 대한 역색인(Inverted Index) 정보가 인덱싱 데이터베이스(60)에 미리 구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청취한 음원으로부터 무드(mood), 주제(theme), 아티스트(artist), 장르(genre), 앨범(album), 연도(year) 등과 같은 분류기준에 따른 속성들을 추출한다(S500).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50)를 이용하여 추출된 속성에 대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하여 사용자 취향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기초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0). 이제 제공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면, 인덱싱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S700).Referring to FIG. 2, first, attribut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mood, theme, artist, genre, album, year, etc., are read from a sound source listened to by a user. Extract (S500). Clustering the extracted attributes using the ontology database 50 is performed to analyze the user's taste and generate a recommendation keyword li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provide it to the user (S600). Now, when a user inputs a keyword using the provided recommended keyword list, the user searches for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using the indexing database, and generates a playlist in real time using the search result (S700).
이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step of the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음원으로부터 속성을 추출하는 방법(S500)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S500 of extracting an attribute from a sound source.
도 3을 참조하면, 속성 추출부(10)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악 리스트를 입력으로 받아 사용자 취향 분석에 사용될 음악 속성들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ID3 태그 정보를 이용(S510)할 뿐만 아니라, 내용 기반 오디오 분석 방법으로 무드(mood)와 주제(theme) 분류 정보를 더 이용(S520)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이때, 무드 분류(mood classification)는 MP3 부분 디코딩(Partial Decoding)을 통해 압축 영역에서 음색(Timbre)과 박자(Temp)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분류된다. 구체적인 무드 분류 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2005. 11. 11.자로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특허출원 제2005-107957호의 "고속 음악 무드 분류 방법 및 장치"를 참조한다.At this time, the mood classification is classified at high speed by using timbre and tempo information in the compressed region through MP3 partial decoding. For a specific mood classification method, refer to "High speed music mood class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5-107957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November 11, 2005.
또한, 주제 분류(theme classification)는 ID3 태그 정보를 추출한 다음 곡 의 제목과 가사로부터 주제 분류에 필요한 속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류한다. 주제 분류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6. 2. 23.자로 출원되어 2007.08.28.자로 공개된 한국특허출원 제2006-17768호의 "곡명을 이용한 음악 주제 분류 방법 및 장치"를 참조한다. 그밖에 ID3 태그 추출에서 얻어진 아티스트(Artist), 장르(Genre), 앨범(Album), 연도(Year) 등을 포함하여 복수의 음악 관련 속성(Feature)을 이용한다. 도시된 속성의 예는 사용자 취향과 관련도가 높은 대표적인 속성들을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속성들을 더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me classification extracts ID3 tag information, and then extracts and classifies attributes necessary for subject classification from the title and lyrics of the song. For a specific method for subject classification, refer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17768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on February 23, 2006 and published on August 28, 2006, entitled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music subject using music titl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usic-related features are used, including an artist, a genre, an album, a year, and the like obtained from ID3 tag extraction. The illustrated attributes are merely exemplary representative attributes highly related to user tas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Various attributes may be further used.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 내의 음악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 취향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자동 생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generate a playlis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aste for the music content in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To this end, a process of analyzing a user's taste is necessary.
도 4는 사용자 청취 음악에 대한 취향 분석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취향 분석부(20)가 추출된 속성에 대한 심볼릭 데이터 클러스터링(symbolic data clustering)을 통해 사용자 취향으로 매핑될 수 있는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도시된다. 사용자 취향 분석은 구체적으로 다음 4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aste analysis method for user listening music. Referring to FIG. 4, a detailed process of generating, by the
1) 기본 클러스터 구성 단계(1) Basic cluster configuration steps ( S610S610 ))
먼저, 사용자 취향 분석부(20)는 속성 추출부(10)에서 추출된 각각의 속성에 대하여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기본 클러스터(Basic Cluster)를 구성한다. 도 5를 참 조하면, 속성1(아티스트)에서 김광석이라는 동일한 속성값을 가지는 음원들 즉, 곡명1, 2, 3을 하나의 기본 클러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효리라는 동일한 속성값을 가지는 음원들, 즉 곡명 3,...,m 을 하나의 기본 클러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속성2(장르)의 경우 댄스, 발라드, 블루스 등과 같은 동일한 속성값을 가지는 음원들을 각각 기본 클러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First, the
2) 1차 클러스터링 단계(2) First clustering step ( S620S620 ))
다음으로, 사용자 취향 분석부(20)는 기본 클러스터에 대하여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상하위 관계에 있는 클러스터들을 그룹화하여 계층적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이때 통합된 클러스터는 상위 개념의 속성값이 클러스터의 중심어(centroid)로 결정되며, 후술하는 클러스터 네이밍(Cluster Naming) 단계에서 사용된다. Next, the
최종적으로 생성된 속성 내의 클러스터에 대해 기준값(threshold) 이하의 음원(MP3)으로 구성된 클러스터는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준값은 해당 속성에 대한 평균 문서 개수에 기반하여 평균적인 분포가 아닌 이상분포로 볼 수 있는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luster composed of the sound sources MP3 below the threshold for the cluster in the finally generated attribute is deleted. 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as a reference that can be viewed as an abnormal distribution rather than an average distribution based on the average number of documents for the attribute.
예를 들면, 전체 곡수가 n이고, 현재 속성 내의 클러스터 개수가 m이면 평균 클러스터의 크기는 n/m이 된다. 그러므로 클러스터의 크기가 기준값인 n/m보다 크다면 이는 평균 분포 이상의 발생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사용자가 선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grains is n and the number of clusters in the current attribute is m, the average cluster size is n / m. Therefore, if the size of the cluster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n / m,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user prefer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bove the average distribution. If this is expressed as an expression, it is as follows.
여기서, 가중치(weight)는 1보다 큰 값으로 응용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weight is greater than 1 and can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간단한 예로, 현재 100곡의 음원(MP3)를 보유하고 있고, 장르 분포가 댄스, 발라드, 재즈, 록이 있으며, 각각 12곡, 19곡, 51곡, 18곡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평균 발생 빈도는 100/4인 25곡이 된다. 따라서, 25곡 이상인 재즈는 사용자가 특별히 좋아하는 장르라고 판단할 수 있다. As a simple example, suppose you have 100 sound sources (MP3), and the genre distribution includes dance, ballad, jazz, and rock, and consists of 12, 19, 51, and 18 song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verage occurrence frequency is 25 pieces, which is 100/4.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jazz which is 25 or more pieces is a genre which a user especially likes.
3) 2차 클러스터링 단계(3) Second clustering stage ( S630S630 ))
다음으로, 사용자 취향 분석부(20)는, 속성 간의 클러스터 유사도를 계산하여 비슷한 클러스터들을 그룹화(grouping)한다. 이때 그룹간 유사도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음원(MP3 파일)의 분포를 이용하여 구하게 된다. 즉, AND 연산을 통해 중복되는 문서가 많을수록 두 그룹의 유사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user
클러스터 A와 B는 각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음원의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dA1은 특정 음원 d1이 클러스터 A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유사도(Similarity)는 0에서 1 사이 값을 가지며, 유사도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두 클러스터는 유사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사도가 특정 기준값보다 높으면 두 클러스터를 통합하게 된다. 이때, 기준값은 응용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Clusters A and B may be represented by a vector of sound sources included in each cluster. dA1 means whether a specific sound source d1 is included in the cluster A. Similarity (Similarity) has a value between 0 and 1, and the closer the similarity value is to 1, the hig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clusters. Therefore, if the similarity is higher than a certain threshold, the two clusters will be merged. 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may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예를 들어, 장르 속성 중 "발라드"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음원이 {1, 3, 20, 46, 60, ...} 등 25곡이고, 아티스트 속성 중 "이문세"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음원이 {1, 3, 46, 70, ...} 등 15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통된 곡(|A∩B|)이 10곡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유사도는 10/30=0.33이 된다. 구해진 유사도 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 두 클러스터를 결합하게 되며, 후술하는 클러스터 네이밍 단계에서 "이문세/발라드"라는 형태의 클러스터 이름이 생성된다.For example, 25 songs such as {1, 3, 20, 46, 60, ...} are included in the "Ballard" cluster among genre attributes, and {1, 3, 20, 46, 60, ...} are included in the "Lee Moon Se" cluster among artist properties. , 3, 46, 70, ...}. Suppose that a common song (| A∩B |) is 10 songs. In this case, the similarity is 10/30 = 0.33. If the obtained similarity valu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two clusters are combined. In the cluster naming step described later, a cluster name of the form “Lee Mun Se / Ballard” is generated.
4) 클러스터 4) cluster 네이밍Naming (( namingnaming ) 단계() step( S640S640 ))
마지막으로 사용자 취향 분석부(20)는, 생성된 클러스터에 대해 중심어(Centroid)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에 대한 이름을 생성한다. 생성된 이름은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이름('추천 키워드리스트'라고도 함)에 해당한다. 추천 키워드리스트는 음악 채널(Music Channel) 또는 메들리(Medley)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Finally, the
도 5를 참조하면, 속성 내의 1차 클러스터링 과정과, 속성 간의 2차 클러스 터링 과정을 거쳐 "이문세/발라드" 또는 "김광석/슬픈 음악"이라는 추천 키워드리스트(플레이리스트 제목)를 얻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a process of obtaining a recommendation keyword list (playlist title) of “Lee Moon Se / Ballard” or “Kim Kwang Seok / Sad Music” through a first clustering process within an attribute and a second clustering process between the attributes is illustrated. It is.
도 6은 키워드 검색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laylist by keyword search.
도 6을 참조하면, 검색부(30)는, 추천된 복수의 키워드리스트(플레이리스트 제목)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한 추천 키워드리스트를 이용하여 단말에 저장된 음원(MP3 파일)에 대하여 필드검색(field search)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선택한 추천 키워드리스트가 "이문세/발라드"라면, "아티스트: 이문세"와 "장르: 발라드"에 대한 필드 검색을 한 다음 그 검색 결과에 대해 AND 연산을 하여 플레이리스트를 결정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recommended keyword lists (playlist titles), the
한편, 검색부(30)는 검색된 음원(MP3)들을 순위화(ranking) 하여 최종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순위화 과정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자주 듣는 음악 또는 최신 음악이 상위에 랭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서는 단말에 저장된 음악에 대한 인덱싱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ID3 태그 정보와 무드, 주제 분류 정보에 대한 색인을 한 다음 역색인(Inverted Index) 형태로 인덱싱 데이터베이스(60)를 구축하여 사용한다. 인덱싱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정은 오프라인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do this, it must have indexing information about music stored in th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xing of ID3 tag information, mood, and subje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using a search engine, and then an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저장한 단말에서 효율적으로 플레이 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즉,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복수개의 음악 채널에 대한 추천 키워드리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플레이리스트가 동적으로 실시간 생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레이리스트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추천받을 수 있다. 즉, 간편하게 음악 DJ 또는 메들리(medley)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commending a playlist in a terminal storing content are provided. That is, a list of recommended keywords for a plurality of music channels is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with respect to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a playlist for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search engine is dynamically generated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 playlist that matches his or her taste without having to create the playlist directly. That is, the music DJ or medley function can be provided simply.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장치의 구성의 일 예,1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플레이리스트 추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음원으로부터 속성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an attribute from a sound source;
도 4는 사용자 청취 음악에 대한 취향 분석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aste analysis method for user listening music;
도 5는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도,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ustering method;
도 6은 키워드 검색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laylist by keyword search.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8940A KR101540429B1 (en) | 2007-10-01 | 2007-10-01 |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8940A KR101540429B1 (en) | 2007-10-01 | 2007-10-01 |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3750A true KR20090033750A (en) | 2009-04-06 |
KR101540429B1 KR101540429B1 (en) | 2015-07-31 |
Family
ID=4075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89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0429B1 (en) | 2007-10-01 | 2007-10-01 |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0429B1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75025A3 (en) * | 2011-11-16 | 2013-07-11 | Google Inc. | Start page for a user's personal music collection |
US8489606B2 (en) | 2010-08-31 | 2013-07-1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usic search apparatus and method using emotion model |
US8996580B2 (en) | 2009-10-22 | 2015-03-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play list based on user experience in portable multimedia player |
KR20150112351A (en) * | 2014-03-27 | 2015-10-0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 |
KR20150143950A (en) * | 2014-06-13 | 2015-12-24 |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by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
US10476923B2 (en) | 2013-04-05 | 2019-11-12 | Arris Enterprises Llc | Filtering content for adaptive streaming |
KR20200049193A (en) | 2018-10-31 | 2020-05-0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KR20200059720A (en) | 2018-11-21 | 2020-05-2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for operating contents using recognition meta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WO2021108166A1 (en) * | 2019-11-25 | 2021-06-03 | Gracenote, Inc. |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recommendations based on attribute vectors |
KR20210130080A (en) * | 2020-04-21 | 2021-10-29 | (주)드림어스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Playlists |
WO2022196973A1 (en) * | 2021-03-19 | 2022-09-22 |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 |
KR20220137313A (en) * | 2021-04-02 | 2022-10-12 | (주)피큐레잇 | Personalized content curation system and content proposal method based on bookmark history |
KR102461297B1 (en) * | 2022-08-19 | 2022-11-01 | 아케인 주식회사 | A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usic sour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0040A (en) * | 2005-10-11 | 2007-04-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recommend audio songs |
KR100749045B1 (en) * | 2006-01-26 | 2007-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imilar song searching method and its device using summary of music contents |
-
2007
- 2007-10-01 KR KR1020070098940A patent/KR10154042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96580B2 (en) | 2009-10-22 | 2015-03-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play list based on user experience in portable multimedia player |
US8489606B2 (en) | 2010-08-31 | 2013-07-1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usic search apparatus and method using emotion model |
WO2013075025A3 (en) * | 2011-11-16 | 2013-07-11 | Google Inc. | Start page for a user's personal music collection |
CN104094253A (en) * | 2011-11-16 | 2014-10-08 | 谷歌股份有限公司 | Start page for a user's personal music collection |
US10476923B2 (en) | 2013-04-05 | 2019-11-12 | Arris Enterprises Llc | Filtering content for adaptive streaming |
KR20150112351A (en) * | 2014-03-27 | 2015-10-0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 |
KR20150143950A (en) * | 2014-06-13 | 2015-12-24 |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by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
KR20200049193A (en) | 2018-10-31 | 2020-05-0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KR20200059720A (en) | 2018-11-21 | 2020-05-2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for operating contents using recognition meta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WO2021108166A1 (en) * | 2019-11-25 | 2021-06-03 | Gracenote, Inc. |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recommendations based on attribute vectors |
US11681747B2 (en) | 2019-11-25 | 2023-06-20 | Gracenote, Inc. |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recommendations based on attribute vectors |
KR20210130080A (en) * | 2020-04-21 | 2021-10-29 | (주)드림어스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Playlists |
KR20210130081A (en) * | 2020-04-21 | 2021-10-29 | (주)드림어스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ed Playlists |
WO2022196973A1 (en) * | 2021-03-19 | 2022-09-22 |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 |
KR20220131465A (en) * | 2021-03-19 | 2022-09-28 |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Methods and devices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 |
US12399935B2 (en) | 2021-03-19 | 2025-08-26 | Kakao Entertainment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 |
KR20220137313A (en) * | 2021-04-02 | 2022-10-12 | (주)피큐레잇 | Personalized content curation system and content proposal method based on bookmark history |
KR102461297B1 (en) * | 2022-08-19 | 2022-11-01 | 아케인 주식회사 | A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usic sour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0429B1 (en) | 2015-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0429B1 (en) | Content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8438168B2 (en) | Scalable music recommendation by search | |
Bogdanov et al. | Semantic audio content-based music recommendation and visualiz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examples | |
US8321456B2 (en) | Generating metadata for association with a collection of content items | |
US883861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recommended music using emotional information of music | |
US11636835B2 (en) | Spoken words analyzer | |
Knees et al. | Intelligent user interfaces for music discovery | |
Cai et al. | Scalable music recommendation by search | |
JP4711683B2 (en) | Method for creating and accessing a menu of audio content without using a display | |
US20100217755A1 (en) | Classifying a set of content items | |
Schedl et al. | Exploring the music similarity space on the web | |
Bogdanov et al. | Content-based music recommend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examples | |
Knees et al. | Intelligent User Interfaces for Music Discovery: The Past 20 Years and What's to Come. | |
Pachet et al. | Popular music access: The Sony music browser | |
Yürekli et al. | Exploring playlist titles for cold-start music recommendation: an effectiveness analysis | |
Schedl et al. | Context-based music similarity estimation | |
Pohle et al. | Building an interactive next-generation artist recommender based on automatically derived high-level concepts | |
Vashistha et al. | A Novel Music Recommendation System Using Filtering Techniques | |
Myna et al. | Hybrid recommender system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 |
EP425013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usic pitching | |
Jani | Fast content independent playlist generation for streaming media | |
Schedl | Web-based and community-based music information extraction | |
Vellachu et al. | Tag Based Audio Search Engine | |
Skowronek et al. | Quality of music classification systems: how to build the reference | |
Lachtar et al. | Conceptual search of songs using domain ontology and semantic lin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7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