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41891A -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891A
KR20080041891A KR1020060110062A KR20060110062A KR20080041891A KR 20080041891 A KR20080041891 A KR 20080041891A KR 1020060110062 A KR1020060110062 A KR 1020060110062A KR 20060110062 A KR20060110062 A KR 20060110062A KR 20080041891 A KR20080041891 A KR 20080041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user
area
unit
coordi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현
이동훈
윤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891A/en
Publication of KR2008004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9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리모콘, 로봇청소기 이를 이용한 청소시스템, 복수영역의 좌표설정 및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시스템은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및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입력받는 수신부와, 상기 입력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값을 맵에 대응시키는 맵핑부와, 이동을 위해 소정의 구동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맵핑부에 대응되는 좌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지역들이 우선적으로 청소됨에 따라, 제품 사용의 만족을 느끼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a cleaning system using the robot cleaner, a coordinate setting and a cleaning method of a plurality of areas.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unit including a location calculator that calculates a current user's location and a controller that calculates coordinate values of the calculated current location when a user designates an area to be cleaned. Moving to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ordinate value,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coordinate value to a map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a predetermined driving source for movement and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unit. It includes a robo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product as the desired areas are cleaned first.

Description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리모콘, 로봇청소기 이를 이용한 청소시스템, 복수영역의 좌표설정 및 청소방법{Remote Control and Robot Cleaner for Cleaning Designation Area and Method of Coordinates Setting, Cleaning}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Robot Cleaner Cleaning System Using It,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Remote Control and Robot Cleaner for Cleaning Designation Area and Method of Coordinates Setting,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for designating a specific area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로봇청소기의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a coordinate setting method of a plurality of cleaning areas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을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method of a plurality of regions designa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area setting method of a plurality of areas designated by a user using a laser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입력부 101 : 광송수신부100: input unit 101: optic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02 : 위치계산부 103 : 제어부102: position calculation unit 103: control unit

104 : 좌표값전송부 105 : 신호부104: coordinate value transmission unit 105: signal unit

201 : 알림부 202 : 수신부201: Notification unit 202: Receiving unit

203 : 배터리부 204 : 구동부203: battery unit 204: driving unit

205 : 로봇제어부 206 : 맵핑부205: robot control unit 206: mapping unit

207 : 저장부207: storage unit

본 발명은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리모콘, 로봇청소기 이를 이용한 청소시스템, 복수영역의 좌표설정 및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a cleaning system using the robot cleaner, a coordinate setting and a cleaning method of a plurality of areas.

현재 로봇청소기에 적용된 청소 방법은 로봇이 청소알고리즘에 따라 임의로 동작하여 청소를 수행하던지, 혹은 내부적으로 지도를 통해서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여 청소를 하거나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회전과 직진 등을 조정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Currently, the cleaning method applied to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by the robot operating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cleaning algorithm, or by cleaning the situation by grasping the situation internally through a map or by adjusting the rotation and straightness with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a way.

그러나 로봇이 전적으로 자동으로 청소할 경우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청소를 원하는 지역을 하지 않아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However, if the robot cleans completely automatically, the user may feel frustrated because the user does not prefer the area to be cleaned first.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리모컨을 이용해 회전과 직진 등을 지정하여 로봇을 원하는 청소지역에 도달시킬 수가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지역이 있을 때마다 계속 리모컨을 이용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In this case, the robot can reach the desired cleaning area by designating the rotation and straight direction using the remote control.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use the remote control every time there is an area to be clean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청소하기를 원하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청소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해소하는 청소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system to solve the frustration that the user feels by intensively cleaning the area that the user wants to clean fir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로봇청소기를 원하는 복수의 지역을 쉽게 청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a method for easily cleaning a plurality of areas desired robot clea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은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상기 지정한 위치로 광을 발산하고, 상기 발산된 광이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광송수신부와, 상기 광이 발산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상기 발산된 광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control for designating a specific area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light to the designated location when the user designates a desired area for cleaning, and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area designated by the user by using the optical transmitter and receiver which receives the return signal, the position calculator which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at which the light is emitted, and the time at which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and the emitted light are return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다른 리모콘은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 치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other remote control for designating a specific area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a posi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user's position when the user designates the area to be cleaned and to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로봇청소기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입력받는 수신부와, 상기 입력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값을 맵에 대응시키는 맵핑부와, 이동을 위해 소정의 구동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맵핑부에 대응되는 좌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for cleaning a specific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oordinate that receives a coordinate value of a specific reg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mapping unit that maps the coordinate value to a map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and predetermined for movement. And a robo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r to move to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unit and a driver for operating a drive source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은 우선적으로 청소를 하기 원하는 지역들에 대한 우선적인 청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당 청소지역을 지정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the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cleaning areas us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puts a signal for designating a corresponding cleaning area in order to perform priority cleaning for areas to be cleaned first, and the cleaning designated by the user. Calculating coordinates for the area.

본 발명의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청소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서 해당 좌표로 이동하여 청소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leaning method of a plurality of areas designated by a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coordinate values of a cleaning area designated by a user, and determining the coordinate position and priority on a map stored therein by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And performing cleaning by mov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priority.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은 우선적으로 청소를 하기 원하는 지역들에 대한 우선적인 청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지역을 지정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와 로봇이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청소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 위에 따라서 해당 좌표로 이동하여 청소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setting a cleaning area of a plurality of areas designated by a user using the laser po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signal for designating a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n order to perform the priority cleaning of areas desired to be cleaned first; Calculating coordinat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receiving coordinate valu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and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the coordinate positions and priorities on a map stored therein. Determining and mov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to perform clean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the following drawings,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for designating a specific area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서,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은 입력부(100), 광송수신부(101), 위치계산부(102), 제어부(103), 좌표값전송부(104) 및 신호부(105)를 포함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for designating the specific area for cleaning the specific area is the input unit 100, the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01,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102, the control unit 103, the coordinate value transmission unit 104 And a signal unit 105.

상기 실시예는,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특정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The embodiment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mote controller for setting a specific area that a user wants to clea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지역을 미리 정한 후 리모콘을 해당 지역으로 가르킨 후 상기 입력부(100)에 구비된 소정의 버튼을 누른다. 상기 리모콘에는 다양한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 중 특정 버튼을 지정하여 '청소지역확인'버튼으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user presets a desired area for cleaning and then points the remote control to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n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provided in the input unit 100. The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It is preferable to designate a specific button among the buttons and assign it to the 'cleaning area confirmation' button.

사용자가 상기 '청소지역확인' 버튼을 누르면, 상기 광송수신부(101)에서는 소정의 광이 발산된다. 상기 광은 다양한 종류의 광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 퍼지는 현상이 적도 직진성이 좋은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leaning area confirmation' button, th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01 emits a predetermined light. Various types of light may be used as the ligh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laser light having good equatorial straightness.

상기 광송수신부(101)에서 발산된 레이저광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영역으로 발산되고, 상기 지정영역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송수신부(101)로 다시 입력된다.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01 is emitted to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is reflected from the designated area, and is input back to th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01.

상기 위치계산부(102)는 상기 사용자가 '청소지역확인'버튼을 누를 때, 현재 리모콘이 위치한 위치의 좌표를 계산한다. 상기 좌표계산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GPS를 이용한 현재 위치 탐색방법을 사용하거나, 광흐름센서(OFS)나 자이로센서 등을 사용하여 현재 리모콘이 위치한 위치의 좌표를 쉽게 구할 수 있다.The location calculation unit 102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when the user presses the 'cleaning area confirmation' button. The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may use various techniqu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easily obtained by using the current location search method using GPS or by using an optical flow sensor (OFS) or a gyro sensor.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광송수신부(101)에서 레이저광이 발산된 시간과 상기 발산된 레이저광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지역과 현재 리모콘이 위치한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위치계산부(102)에서 계산된 현재 리모콘이 위치한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의 좌표값을 계산한다.The control unit 103 calculates a time at which the laser beam is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01 and a time at which the emitted laser light is reflected and returned to calculate a distance where the user wants to clean and the distance where the current remote control is locate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area desired to be cleaned by the user is calculated by us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remote controller calculated by the position calculator 102.

상기 좌표값전송부(104)는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지역의 좌표값을 외부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좌표값전송부(104)는 상기 좌표값을 로봇청소기로 전송하게 된다.The coordinate value transmitter 104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area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outside to be cleaned. In general, the coordinate value transmitter 104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 to the robot cleaner.

상기 신호부(105)는 상기 좌표값전송부(104)에서 전송된 좌표값이 소정의 외 부 기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청소기에 데이터의 로스(loss)없이 전송이 되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데이터가 저장에 성공하여 이에 대한 전송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사용자에게 전송성공을 알려주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성공여부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비프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gnal unit 105 is a coordinate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value transmission unit 104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machi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loss of data to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When the data is successfully stored and transmits a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it receives the message and informs the user. Various methods of informing a user of a successful transmission can be implemented.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o indicate the success or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eep to recognize the user.

도 1에서 도시된 리모콘 장치는 상기 설명한 방법 이외에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시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지정하였으나,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특정 지역에 직접 위치하여, '청소지역확인'버튼을 누르면, 상기 광송수신부에서 레이저광을 발산 없이 현재 리모콘이 위치한 좌표값을 계산하여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remot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may set an area that the user wants to clean. In the above, the user indicates an area to be cleaned using a laser pointer, but the user is directly positioned in a specific area to be cleaned and presses the 'cleaning area check' button, without emitting the laser light from the optical transmitter / receiver.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and transmit the coordinates where the remote control is located.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특정영역을 설정하는 횟수는 여러번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실수로 특정영역을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0)에 구비된 '청소지역취소'버튼을 눌러 바로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지역을 청소영역으로 지정한 경우 상기 입력순서대로 우선권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times a user sets a specific area to be cleaned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If a user mistakenly sets a specific area, the user can immediately delete it by pressing the 'clear cleaning area' button provided in the input unit 100. When the user designates a plurality of areas as the cleaning area, priority is given to the input order.

이하, 상기 리모콘에 의해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전송받은 로봇청소기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the robot cleaner which receives the coordinate values of a specific area by the remot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로봇청소기의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서, 로봇청소기는 알림부(201), 수신부(202), 배터리부(203), 구동부(204), 로봇제어부(205), 맵핑부(206) 및 저장부(207)를 포함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201, a receiver 202, a battery unit 203, a driver 204, a robot controller 205, a mapping unit 206, and a storage unit 207. .

상기 실시예는, 외부에서 전송된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수신받고 이에 따르 청소를 행하는 로봇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which receives coordinate values of a specific are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cleans accordingly.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202)는 상기 리모콘에서 전송된 청소를 원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수신한다. 상기 수신한 좌표값은 로봇제어부(205)로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2, the receiver 202 receives a coordinate value of a specific area to be cleaned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ler 205.

상기 로봇제어부(205)는 상기 수신한 특정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맵핑부(206)로 전송한다. 상기 맵핑부(206)는 상기 특정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현재 저장된 맵과 대응시킨다. 상기 맵핑부(206)에 저장된 맵은 현재 로봇청소기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지도를 저장하고 있는데, 이는 초기에 기저장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로봇청소기가 동작하며 얻어진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맵이 될 수 있다.The robot controller 205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eceived specific area to the mapping unit 206. The mapping unit 206 maps coordinate values of the specific area with the currently stored map. The map stored in the mapping unit 206 stores a map of the area where the robot cleaner is currently located, which is initially stored and used, or is generated by using the data for the area obtained by the robot cleaner being operated. Can be a map.

상기 로봇제어부(205)로 전송된 특정영역에 대한 좌표값은 저장부(207)에 저장된다. 상기 좌표값을 입력된 순서대로 우선권이 부여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모콘에서 이번에 입력된 좌표값에 대한 취소신호가 전송되면, 저장되었던 좌표값은 삭제된다. Coordinate values for the specific area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ler 205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7. Priority is given and stored in the order of inputting the coordinate values, and when the cancel signal for the input coordinate value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stored coordinate values are deleted.

상기 로봇제어부(205)는 전송된 특정영역의 좌표값이 상기 저장부(207)에 아무런 문제없이 저장되면 저장완료신호를 알림부(201)를 통하여 전송한다.The robot controller 205 transmits a storage completion signal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201 when the transmitted coordinate value of the specific reg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7 without any problem.

상기 로봇제어부(205)는 상기 맵핑부(206)에 대응된 좌표값 및 우선순위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204)를 제어하여 상기 로봇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203)의 배터리양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배터리의 양이 소정의 임계 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로봇청소기가 충전장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robot controller 205 controls the driving unit 204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 and priority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unit 206 to allow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check the battery amount of the battery unit 203 in real time so that the robot cleaner moves to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amount of the battery fall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또한, 청소영역을 설정하기 이전의 영역을 미리 저장하여 청소가 종료된 경우 이전 영역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store the area before setting the cleaning area in advance so as to be located in the previous area when the cleaning is finished.

상기 도 2의 블록도는 본 발명에서 필요한 구성만을 개시하였으나 이하 전체적은 로봇청소기의 블록도를 살펴보고 각 구성요소가 하는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block diagram of FIG. 2 discloses only the configuration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overall block diagram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role of each component are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서, 로봇 청소기는 로봇제어부(205), 부제어부(410), 알림부(201), 저장부(207), 좌측바퀴 구동부(430), 좌측바퀴 구동용 모터(432), 제 1, 제 2 회전량 감시부(440, 460), 우측바퀴 구동부(450), 우측바퀴 구동용 모터(452), 청소 구동부(470), 집진용 모터(472), 브러시 구동부(480), 브러시 구동용 모터(482), 디스플레이부(484), 수신부(202), 조도 센서(300), 배터리부(203), 거리센서(320), 보조센서(330), 무접점 터치센서(340), 바닥센서(350) 및 맵핑부(206)로 구성된다. 부제어부(410)는 알림부(201), 수신부(202), 조도 센서(300), 배터리부(203)와 각각 접속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obot cleaner 205, the sub-control unit 410, the notification unit 201, the storage unit 207, the left wheel driving unit 430, the left wheel driving motor 432, the first , Second rotation amount monitoring unit 440, 460, right wheel driving unit 450, right wheel driving motor 452, cleaning driving unit 470, dust collecting motor 472, brush driving unit 480, brush driving Motor 482, display unit 484, receiver 202, illuminance sensor 300, battery unit 203, distance sensor 320, auxiliary sensor 330, contactless touch sensor 340, floor It consists of a sensor 350 and a mapping unit 206. The sub-control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unit 201, the receiver 202, the illuminance sensor 300, and the battery unit 203, respectively.

동 도면에 있어서, 로봇제어부(205)는 부제어부(410), 저장부(420), 좌측바퀴 구동부(430), 제 1, 제 2 회전량 감시부(440, 460), 우측바퀴 구동부(450), 청소 구동부(470), 브러시 구동부(480), 디스플레이부(484), 거리센서(320), 보조센서(330), 무접점 터치센서(340), 및 바닥센서(450)에 접속되어, 소정의 청소 알고 리즘에 따라 청소의 진행을 제어한다.In the same figure, the robot controller 205 includes the sub-control unit 410, the storage unit 420, the left wheel driving unit 430,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mount monitoring units 440 and 460, and the right wheel driving unit 450. ), The cleaning driving unit 470, the brush driving unit 480, the display unit 484, the distance sensor 320, the auxiliary sensor 330, the contactless touch sensor 340, and the floor sensor 450, The progress of cleaning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leaning algorithm.

상기 부제어부(410)는 리모컨 센서, 조도 센서(300), 배터리부(203)와 각각 접속되어, 로봇제어부(205)의 제어 기능을 보조한다. 예로, 부제어부(410)는 리모컨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리모컨 신호, 조도 센서(300)로부터 제공되는 외부의 밝기 정보, 배터리부(203)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각기 받아 로봇제어부(205)로 보고한다.The sub-control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sensor, the illumination sensor 300, and the battery unit 203, respectively, to assist the control function of the robot control unit 205. For example, the sub-control unit 410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remote control sensor, the external brightnes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sensor 300, and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ttery unit 203, respectively, and reports it to the robot control unit 205. do.

상기 저장부(207)는 로봇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청소 로봇이 청소도중 발생하는 메모리 맵, 청소 로봇의 현재 위치, 방전체의 크기, 및 모서리의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07 is controlled by the robot control unit 205 to store a memory map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robot clea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leaning robot, the size of the discharge bod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ner, and the like.

상기 좌측바퀴 구동부(430)는 로봇제어부(205)의 제어에 따라 좌측바퀴 구동용 모터(432)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방 좌측에 설치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청소 로봇의 좌측 이동을 관장한다.The left wheel driving unit 43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eft wheel driving motor 432 under the control of the robot control unit 205, and drives the left wheel of the cleaning robot by driving the wheel installed on the front left side.

상기 제 1 회전량 감시부(440)는 좌측바퀴의 회전량에 따라 좌측바퀴의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로봇제어부(205)로 전달한다.The first rotation amount monitoring unit 440 measures the moved distance of the left wheel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left wheel and transmits it to the robot control unit 205.

상기 우측바퀴 구동부(450)는 로봇제어부(205)의 제어에 따라 우측바퀴 구동용 모터(452)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방 우측에 설치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청소 로봇의 우측 이동을 관장한다.The right wheel driving unit 45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ight wheel driving motor 452 under the control of the robot control unit 205 and drives the wheels installed on the front right side to manage the right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상기 제 2 회전량 감시부(460)는 우측바퀴의 회전량에 따라 우측바퀴의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로봇제어부(205)로 전달한다.The second rotation amount monitoring unit 460 measures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right wheel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right wheel and transmits it to the robot controller 205.

상기 청소 구동부(470)는 로봇제어부(205)의 제어에 따라 집진용 모터(472) 의 구동을 제어하여, 바닥의 오물이나 먼지 등이 소정의 흡입구 또는 흡입관을 통해 집진실로 들어가도록 한다.The cleaning driving unit 47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472 under the control of the robot controller 205 to allow dirt or dust on the floor to enter the dust collecting chamber through a predetermined suction port or suction pipe.

상기 브러시 구동부(480)는 로봇제어부(205)의 제어에 따라 브러시 구동용 모터(482)의 구동을 제어하여, 청소 로봇의 바닥에 설치된 브러시를 구동해서 바닥의 오물이나 먼지 등을 쓸어 담거나 카펫 등을 턴다.The brush driver 48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brush driving motor 482 under the control of the robot controller 205, and drives the brush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cleaning robot to sweep dirt or dust on the floor or carpet. Turn your back.

상기 디스플레이부(484)는 로봇제어부(205)의 제어에 따라 청소 로봇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거나 청소 시간에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484 displays various states of the cleaning robot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eaning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robot controller 205.

상기 거리센서(320)는 3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청소 로봇의 전방 및 좌우에 각기 설치된다. 각 센서는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청소 로봇 주위의 벽이나 장애물의 거리를 탐지하여 로봇제어부(205)로 보고한다.The distance sensor 320 is composed of three sensors,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and left and right of the cleaning robot. Each sensor transmits a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es the reflected signal to detect and report the distance of the wall or obstacle around the cleaning robot to the robot controller 205.

상기 보조센서(330)는 적외선을 출사한 적외선 발광소자와 반사광을 수신하는 수광 소자로 구성되는 적외선 센서 8개로 구성되어, 청소 로봇의 전방 좌측, 우측에 3개씩, 청소 로봇의 바닥 좌측, 우측 1개씩 총 8개가 설치된다. 이 보조센서(330)는 거리센서(320)를 보좌하여 청소 로봇의 구동이 더욱 원활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sensor 330 is composed of eight infrared sensors composed of an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infrared ligh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three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ing robot, the bottom left and right 1 of the cleaning robot. A total of eight will be installed. The auxiliary sensor 330 assists the distance sensor 320 to more smoothly drive the cleaning robot.

상기 무접점 터치센서(340)는 충돌 센서로서, 거리센서(320)와 보조센서(330)가 탐지하지 못하는 장애물이나 벽, 갑작스러운 충돌 발생 등을 검출하여 로봇제어부(205)로 보고한다.The contactless touch sensor 340 is a collision sensor and detects and reports an obstacle, a wall, a sudden collision, etc. which the distance sensor 320 and the auxiliary sensor 330 do not detect and reports to the robot controller 205.

상기 바닥센서(350)는 청소 로봇의 바닥 좌측, 우측에 각기 설치되어, 계단이나 바닥의 패인 곳 등으로 청소 로봇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The floor sensor 35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of the cleaning robot, respectively, so that the cleaning robot does not fall to the stairs or the pit of the floor.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리모콘 및 로봇청소기로 이루어진 청소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cleaning system composed of a remote controller and a robot cleaner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cleaning areas using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and 5, a method of setting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cleaning areas using a remot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below.

단계 401은 청소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다. 사용자는 로봇청소기가 우선적으로 청소를 하기 원하는 복수의 지역을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들에 대한 우선적인 청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리모컨에 부착된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청소지역을 지정하고 리모컨의 "청소지역확인'버튼을 누른다.Step 401 is a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leaning area. The user may want a plurality of areas where the robot cleaner prefers to be cleaned first. To prioritize cleaning of these areas, the user can specify the desired cleaning area using the laser pointer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 and press the "cleaning area confirmation"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단계 402는 청소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상기 리모컨은 실내 측위 장비에 의해 현재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리모컨에 설치된 자이로 센서 등 3차원 방향을 알 수 있는 센서로 청소지역 확인 버튼이 눌렸을 때의 리모컨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청소 지정 위치에서 리모컨으로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의 소요시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면, 현 위치로부터 청소를 원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피타고라스 정리를 통하여 계산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 개의 청소지역을 로봇에게 전송할 수 있다. 지정된 좌표는 로봇으로 전송된다.Step 402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cleaning area. The remote control can know its current position by the indoor positioning equipment. In addition, it is a sensor that knows three-dimensional direction such as a gyro sensor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 and it can measure the angle of the remote control when the cleaning area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and it takes the time required for the laser reflected back to the remote control from the designated cleaning position You can get it. Using this information,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point to be cleaned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Pythagorean theorem, and finally the point desired by the user can be calculated. The user may repeat this process to transmit a plurality of cleaning areas to the robot. The specified coordinates are sent to the robot.

상기와 같이 레이저 빔을 사용하지 않고 로봇에게 지정위치를 좀 더 정확하고 쉽게 알려줄 수도 있다. 즉, 실내 측위 장치에 의해 리모컨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므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들고 청소를 원하는 위치에 미리 가서 리 모컨의 "청소지역확인"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의 현재 좌표는 쉽게 계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bot can be more accurately and easily informed of the designated position without using the laser beam. In other words, since it is easy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by the indoor positioning device, the user grabs the remote control and advances to a desired position for cleaning, and then presses the "check cleaning area"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The user's current coordinates can then be easily calculated.

단계 403은 청소로봇에 좌표값을 전송하는 과정으로써, 상기 계산된 좌표값 또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좌표값을 해당 로봇청소기에 전송한다.Step 403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a coordinate value to the cleaning robot,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coordinate value or the coordinate value at which the current user is located to the robot cleaner.

도 5의 단계 501은 상기 도 4의 단계 401과 동일한 과정이다. 다만, 상기 도 4의 단계 401은 리모컨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계이며, 상기 도 5의 단계 501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바라본 단계이다.Step 501 of FIG. 5 is the same process as step 401 of FIG. 4. However, step 401 of FIG. 4 is a step of viewing the remote controller, and step 501 of FIG. 5 is a step of viewing of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method of a plurality of regions designa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로봇 청소기가 지정영역을 청소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6, a process of cleaning the designated area by the robot cleaner is as follows.

단계 601은 좌표값을 수신하는 과정이다. 상기 리모컨에 의하여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지역에 대한 좌표값이 계산된 이후 로봇청소기는 이에 대한 데이터 값을 수신하다.Step 601 is a process of receiving a coordinate value. After the coordinate values for the area desired to be cleaned by the remote controller are calculated, the robot cleaner receives the data values.

단계 602는 지도상에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 후 저장하는 과정이다. 청소로봇은 청소를 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 메모리상에 청소지역에 대한 지도를 가지고 있다. 이 지도는 청소를 하기 위해 돌아다니면서 동적으로 그려지는 지도이며, 청소로봇이 정밀한 청소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지고 있다.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된 좌표를 로봇은 수신하고 이들을 로봇이 가지고 있는 지도에 버튼이 눌린 지점의 좌표와 우선순위가 저장된다.Step 602 is a process of determining and storing coordinate positions and priorities on a map. The cleaning robot has a map of the cleaning area in memory for cleaning. This map is drawn dynamically while moving around for cleaning, and is intended by the cleaning robot for precise cleaning. The robot receives the coordinate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stores them on the map with the coordinates and priority of the point where the button is pressed.

단계 603 내지 단계 604는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써, 성공적으로 저장되면 신호를 내어 사용자에게 알린다. Steps 603 to 604 are processe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has been successfully stored. If the data is successfully stored, a signal is signaled to the user.

단계 605는 해당좌표로 이동 후 청소하는 과정으로써, 상기 지도에 저장된 좌표값과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지역을 청소한다.Step 605 is a process of cleaning after mov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and determines the coordinate value and priority stored in the map and cleans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the priority.

단계 606은 로봇 청소기가 청소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였으면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방전 여부를 판단하다(S607). 해당 로봇청소기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여 로봇청소기의 배터리가 방전상태에 다다르면 해당 충전장치로 이동하여 충전을 한다(S608).Step 606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cleaner has finished cleaning, and if so,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cleaner discharges the battery (S607). When the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reaches a discharge state by checking the battery state of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moves to the charging device to charge the battery (S608).

단계 609는 이전 청소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으로써, 청소 후, 다른 지역을 청소하다가 왔다면 기존에 청소를 수행하던 위치로 돌아가 기존 청소를 수행한다.Step 609 is a process of moving to the previous cleaning area, and after cleaning, if the other area has been cleaned, it returns to the location where the cleaning was previously performed and performs the existing clean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area setting method of a plurality of areas designated by a user using a laser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401 내지 403은 상기 도 4의 과정과 동일하고, 단계 601 내지 609는 상기 도 6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since steps 401 to 403 are the same as the process of FIG. 4, and steps 601 to 609 are the same as the process of FIG. 6,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지역들이 우선적으로 청소됨에 따라, 제품 사용의 만족을 느끼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product as the desired areas are cleaned first.

Claims (35)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상기 지정한 위치로 광을 발산하고, 상기 발산된 광이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광송수신부;A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hich emits light to the designated position when the user designates an area to be cleaned and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when it is reflected back; 상기 광이 발산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및A posi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at which the light is emitted; And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상기 발산된 광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alculate coordinates of an area designated by a user by using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and the time for the emitted light to return.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및A location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location of a current user when a user designates an area to be cleaned; And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alculate a calculated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posi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특정영역 지정 명령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And a input unit for executing the specific region designation comman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계산된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의 좌표의 값을 청소로봇으로 전송하는 좌 표값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And a coordinate valu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value of the coordinates of the area designated by the user to the cleaning robo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전송한 좌표값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의 청소를 위해 특정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Remote control for designating a specific area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unit to notify the user by receiving it when the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transmitted coordinate value is transmitted.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입력받는 수신부;A receiver which receives coordinate values of a specific reg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상기 입력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값을 맵에 대응시키는 맵핑부;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coordinate values to a map using the input coordinate values; 이동을 위해 소정의 구동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A driving unit for operating a predetermined driving source for movement; And 상기 맵핑부에 대응되는 좌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로봇청소기.And a robo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o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 및 수신순서에 따른 우선순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로봇청소기.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specific are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receiving order.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저장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성공한 경우 이를 상기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 청소를 위한 로봇청소기.The robot cleaner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outside of the successful storage of data.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상기 지정한 위치로 광을 발산하고, 상기 발산된 광이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광송수신부와, 상기 광이 발산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와 상기 발산된 광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및When the user designates the area to be cleaned, the light is emitted to the designated position, and when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back, the ligh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t, a position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where the light is emitted, and 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calculate coordinates of an area designated by a user by using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and the time when the emitted light is returned; And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입력받는 수신부와, 상기 입력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값을 맵에 대응시키는 맵핑부와, 이동을 위해 소정의 구동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맵핑부에 대응되는 좌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로 이루어진 특정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pecific are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coordinate value to the map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Drive unit for operating a predetermined drive source for movement and the mapping unit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onsisting of a robot cleaner including a robo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to move to a corresponding coordinate position.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는 영역을 지정한 경우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및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position calculator which calculates a position of a current user and a controller which calculates coordinate values of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when a user designates an area to be cleaned; And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을 입력받는 수신부와, 상기 입력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값을 맵에 대응시키는 맵핑부와, 이동을 위해 소정의 구동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맵핑부에 대응되는 좌표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로 이루어진 특정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pecific are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coordinate value to the map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Drive unit for operating a predetermined drive source for movement and the mapping unit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onsisting of a robot cleaner including a robo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to move to a corresponding coordinate position.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리모콘은 특정영역 지정 명령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And the remot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for executing a specific area designation command.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리모콘은 계산된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의 좌표의 값을 청소로봇으로 전송하는 좌표값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The remote control further comprises a coordinate valu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value of the coordinates of the area specified by the user to the cleaning robot, the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제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리모컨은 전송한 좌표값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The remote control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by receiving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transmitted coordinate value, wherein the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the specific area.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로봇청소기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특정영역의 좌표값 및 수신순서에 따른 우선순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을 청 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specific are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receiving order.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로봇청소기는 저장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성공한 경우 이를 상기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시스템.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outside of the successful storage of data in the storage unit. 우선적으로 청소를 하기 원하는 지역들에 대한 우선적인 청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당 청소지역을 지정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Receiving a signal for designating a corresponding cleaning area by a user in order to perform preferential cleaning for areas to be cleaned first; And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The method of setting a coordinate of a plurality of cleaning area using a remote control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제 16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청소지역을 지정한 신호는 복수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And a plurality of signals for designating the cleaning area are input to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cleaning areas using the remote controller. 제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의 좌표는 리모컨의 현재 위치, 리모컨의 각도 및 상기 리모컨에서 송신된 광이 반사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ordinates of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the angle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time when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is reflected. How to set the coordinates.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계산된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좌표를 로봇 청소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을 이용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coordinates of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to the robot cleaner.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청소를 시행하기 위한 청소지역을 지정한 후 청소확인버튼을 누르는 단계; 및Pressing a cleaning confirmation button after a user designates a cleaning area for performing cleaning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And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And calculating coordinat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청소확인버튼을 누르는 단계는 적어도 한번 이상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And pressing the cleaning confirmation button by the us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is performed at least once or more.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청소를 시행하기 위한 청소지역을 지정하는 방법은 상기 리모컨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 설정방법.And a method of designating a cleaning area for the user to perform cleaning in advance using a laser pointer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계산된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로봇 청소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청소영역의 좌표를 결정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data about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to the robot cleaner,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cleaning areas designated by the user.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청소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전송받는 단계;Receiving coordinate valu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상기 전송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the coordinate position and priority on a map stored therein by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And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서 해당 좌표로 이동하여 청소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And cleaning by moving to the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priority.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전송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성공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것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And determining the coordinate position and priority in the map stored therein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and informing the user when the data about the coordinates is successfully stored. How to clean the area.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지역에 대한 청소가 종료된 이후 사용자가 청소지역을 지정하기 이전의 기존 위치로 회귀하여 기존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And after the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s ended, returning to an existing location before the user designates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ing the existing cleaning.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지역에 대한 청소가 종료된 이후 배터리 상황을 체크하여 충전장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 And after the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s ended, checking the battery status and moving to the charging device. 제 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은 경우 청소지역을 지정하기 이전의 기존 위치로 회귀하여 기존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방법.If the battery is not discharge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existing cleaning by returning to the existing location before the designation of the cleaning area. 우선적으로 청소를 하기 원하는 지역들에 대한 우선적인 청소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지역을 지정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Receiving a signal specifying a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n order to perform preferential cleaning for areas to be preferentially cleaned;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에 대한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coordinat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로봇이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청소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전송받는 단계;Receiving, by the robot, the coordinate values for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상기 전송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the coordinate position and priority on a map stored therein by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And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서 해당 좌표로 이동하여 청소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And moving to a corresponding coordinate according to the priority to perform cleaning.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청소지역을 지정하는 신호는 복수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And a plurality of signals for designating the cleaning area are input to the cleaning area setting method of the plurality of areas specified by the user.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청소지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은 리모컨의 현재 위치, 리모컨의 각도 및 상기 리모컨에서 송신된 전파가 반사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clean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angle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time when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reflected. How to set up cleaning area for multiple areas.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전송받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에 상기 좌표위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성공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것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And determining the coordinate position and priority in the map stored therein us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and informing the user when the data about the coordinates is successfully stored. How to set the cleaning area for the zone.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지역에 대한 청소가 종료된 이후 사용자가 청소지역을 지정하기 이전의 기존 위치로 회귀하여 기존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After the cleaning for the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s finished, the cleaning area setting of the plurality of user-specified area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existing cleaning by returning to the existing location before the user specifies the cleaning area Way.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지역에 대한 청소가 종료된 이후 배터리 상황을 체크하여 충전장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And after the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s finished, checking the battery status and moving to the charging device.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은 경우 청소지역을 지정하기 이전의 기존 위치로 회귀하여 기존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복수의 영역의 청소지역 설정방법.If the battery is not discharge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existing cleaning by returning to the previous location before the designation of the cleaning area.
KR1020060110062A 2006-11-08 2006-11-08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Withdrawn KR200800418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62A KR20080041891A (en) 2006-11-08 2006-11-08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62A KR20080041891A (en) 2006-11-08 2006-11-08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91A true KR20080041891A (en) 2008-05-14

Family

ID=3964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62A Withdrawn KR20080041891A (en) 2006-11-08 2006-11-08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891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62B1 (en) * 2007-12-27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charging system
KR20140126539A (en) * 2013-04-23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Moving robot,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06738B1 (en) * 2008-07-28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the driving method
WO2015060672A1 (en) * 2013-10-25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WO2017010724A1 (en) * 2015-07-14 201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Moving body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moving body
US9571625B2 (en) 2009-08-11 2017-02-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209877A1 (en) 2018-04-23 2019-10-31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US12376722B2 (en) 2021-08-13 2025-08-0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62B1 (en) * 2007-12-27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charging system
KR101506738B1 (en) * 2008-07-28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the driving method
US9571625B2 (en) 2009-08-11 2017-02-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89371B2 (en) 2009-08-11 2019-05-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26539A (en) * 2013-04-23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Moving robot,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60672A1 (en) * 2013-10-25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US10678236B2 (en) 2013-10-25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WO2017010724A1 (en) * 2015-07-14 201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Moving body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moving body
WO2019209877A1 (en) 2018-04-23 2019-10-31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EP3928329A4 (en) * 2018-04-23 2022-12-21 SharkNinja Operating LLC METHOD OF LIMIT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N AREA OF INTEREST
US11687092B2 (en) 2018-04-23 2023-06-27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US12376722B2 (en) 2021-08-13 2025-08-0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891A (en) Remote control for cleaning a specific area, clean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coordinate setting and cleaning method for multiple areas
EP3813623B1 (en) A plurality of autonomous cleaners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3417755B1 (en) Autonomous traveling device
EP3911480B1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plurality of mobile robots
EP2457486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849442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JPWO2019097626A1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US20040083570A1 (en) Robot cleaner, robot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977673A2 (en) Wall-following robot cleaner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JP5805841B1 (en) Autonomous mobile body and autonomous mobile body system
US11269348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cally moving service device
JP6619967B2 (en) Autonomous mobile device, autonomous mobile system, and environmental map evaluation method
EP4505927A1 (en) Automatic cleaning device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50072300A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29852A (en) Cleaning robot for enabling set up data of cleaning area and verification of after cleaning real cleaning area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017900A (en) Map creation method and map creation device
KR20100109289A (en) Robot cleaner with real-time sensing and method thereof
EP3493013B1 (en) Moving robot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CN114601399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cleaning equipment, clean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8303804A (en) Multi-robot cooperation method and cooperation system
KR101943359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895314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4117497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478657B1 (en) Robot cleaner system
JP2021101298A (en) Autonomous travel 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