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8223A -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 Google Patents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223A
KR20080028223A KR1020060093763A KR20060093763A KR20080028223A KR 20080028223 A KR20080028223 A KR 20080028223A KR 1020060093763 A KR1020060093763 A KR 1020060093763A KR 20060093763 A KR20060093763 A KR 20060093763A KR 20080028223 A KR20080028223 A KR 20080028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password
ar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6009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223A/en
Publication of KR2008002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22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hentica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password redundancy input and preventing exposure of a password.

본 발명은 인증 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 및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hentication device comprising: a key butt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password and generate and transmit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an apparatu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by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wherein the digit authentication includes the number of input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storage digits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 Comparing N2), if the N1 and the N2 are not the same, confirms whether the N1 and the N2 maintain a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a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if the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is maintai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hentica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duplicate password input, which is regarded as being recognized, to prevent exposure of a password.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고 타인이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주시하는 경우에도 쉽게 비밀번호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의 노출 방지효과 및 보안성 증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use everyday, even if the other person observes the password input process can not easily grasp the passwor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and increase the security.

Description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 {Verif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ouble Password Input}Verif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ouble Password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는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recognizing a duplicate password inp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인증 장치 102: 디지털-도어락100: authentication device 102: digital-door lock

104: 현금 지급기 110: 버튼 키 입력부104: cash machine 110: button key input unit

120: 인증 제어부 130: 인증정보 저장부120: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30: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장치 제어부 150: 전원부140: device control unit 150: power unit

160: 구동부 170: IC 카드 인식부160: drive unit 170: IC card recognition unit

본 발명은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하고, 입력된 자릿수 및 숫자 배열과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과 비교한 후 자릿수 인증 및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여 비밀번호의 중복 입력을 인식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hentica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password redundancy input and preventing exposure of a password. More specifically, after receiving the password, the user recognizes the number of digits and the array of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compares the number of digits and the array of numbers and the number of digits and numbers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number array authent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hentication device for recognizing duplicated inputs and preventing exposure of a password to perform authentication.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 입력 방식의 대표적인 인증 장치로는 디지털-도어락 및 현금 지급기가 있다. Representative authentication devices of the commonly used key input method include a digital door lock and an ATM.

그 중 먼저 종래의 디지털-도어락에 대해 설명하자면, 일반 가정, 상점, 정부 기관, 기업 등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 자물쇠에서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을 가진 고가의 기계적 장치와 기계적 메커니즘에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단지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출입문의 잠금 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기(Electromagnetic)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도어락은 키 입력부를 통한 인증 수단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의 다양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인증하고,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한다.First of all, the conventional digital-door lock is described. In general, homes, shops, government agencies, businesses, etc., widely use an access control system for restricting access of unauthorized outsiders. Access control systems are used in many forms, ranging from simple, low-cost locks to expensive mechanical devices with complex mechanical mechanisms, and electronic devices that combine mechanical technology with electronic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that operates only by mechanical mechanisms (Mechanism), the digital-door lock using the electromagnetic (Electromagnetic) technology is widely used. The digital-door lock has a variety of input methods such as an authentication means input method through a key input unit, a magnetic card method coated with a magnetic stripe, a radio frequency (RF) card method, an integrated circuit (IC) card method,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and the like.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used to authenticate a person and prevent illegal intrusion.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도어락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비 밀번호 입력과 키 입력이 가능한 방식의 디지털-도어락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키를 소지하는 것에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만 디지털-도어락을 해제하는 경우가 많다. 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digital door lock is a digital door lock with a password input and a key input method. Since most users feel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to carry a key, the digital-door lock is often released only by a password input method.

비밀번호 입력 방식은 보통 4 자리 ~ 12 자리까지 숫자를 입력하여 디지털-도어락을 해제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기억하기 쉬운 자동차 번호, 군번, 전화번호 및 생일 등에 해당하는 4 자리의 숫자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은 출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뒤(옆)에서 타인(도용자)이 이를 주시하는 경우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업자가 비밀번호 입력시 직접 손으로 가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비밀번호를 쉽게 외우지 못하도록 12 자리로 설정하거나,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느끼게 하며, 사용자 자신이 비밀번호를 잊어버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password input method, a digital door is unlocked by entering a number from 4 to 12 digits, and most users use 4 digits corresponding to a car number, a group number, a phone number, and a birthday that are easy to remember. However, such a password input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a password i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nother person if the other person (theft user) watches the back when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operator may manually enter the password and enter the password, or set the password to 12 digits so that the password cannot be easily memorized, or change the password frequently. However, these methods ar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himself can forget the password.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5-0010999 및 국내실용신안공보 20-028265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비밀번호의 앞 또는 뒤에 허수 키를 입력하더라도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된 경우 비밀번호를 인식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이 존재한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overcoming these shortcoming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010999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2656, when a password is sequentially entered even if an accessor enters an imaginary key before or after the password. There is a techniqu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recognizing a password.

하지만, 종래의 허수 키를 이용한 종래 기술은 비밀번호 도용 방지라는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통상 비밀번호 앞 또는 뒤에 허수를 입력할 때 사용자의 입력 패턴이 간헐적 사용으로 개인의 성향에 따라 더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등 부자연스러운 행동으로 도용자(타인)가 허수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용자는 출입자가 입력하는 허수를 포함한 비밀번호를 모두 기억하거나 메모해 놓았다가, 입력된 비밀번호를 하나씩 매칭시켜 보는 경우 중복되는 숫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using the imaginary imaginary key has some effects in terms of preventing password theft. However, when the imaginary input is entered before or after the password, the user's input pattern is intermittently used, which is faster or slower depending on the personal tendency. Such an unnatural behavior makes it possible to grasp that the hijacker (other) is an imaginary number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ectiveness is inferior. In addition, the hijacker memorizes all the passwords including the imaginary number entered by the accessor,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asswords are easily exposed by overlapping numbers when matching the input passwords one by one.

한편, 종래의 현금 지급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 대해 설명하자면, 초기의 금융거래는 고객이 해당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오프 라인상에서 금융거래였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금융기관은 자체 금융기관의 서버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CD(Cash Dispenser) 또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의 자동화기기를 곳곳에 설치하여 원격지에서의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후 금융기관들은 보다 나은 고객 서비스를 위해 각자의 금융망을 통합한 금융공동망을 구축하여, 거래 금융기관에 상관없이 CD 또는 ATM을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하였다.On the other hand, to describe the conventional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initial financial transaction was a financial transaction offline when the customer visits the financial institu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inancial institutions have installed automated equipment such as CD (Cash Dispenser) or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connected to servers of their financial institutions in various places to enable financial transactions at remote locations. Since then, financial institutions have built a financial common network that integrates their own financial networks for better customer service, enabling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CD or ATM regardless of trading financial institutions.

하지만, 종래의 현금 지급기 역시 비밀번호 4자리를 사용하므로, 비밀번호 입력시 뒤(옆)에서 타인이 이를 주시하는 경우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sh dispenser also uses a four-digit passwor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assword i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the other person if the other person observes it from behind (side) when entering the password.

따라서, 간단한 비밀번호 4 자리를 사용하더라도, 타인에게 노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용자 임의로 익숙하게 습관화된 비밀번호를 반복(2번 이상)적으로 입력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가 필요하나 이는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고 있다.Therefore, even if a simple four-digit password is used, if a user repeatedly enters a password that is accustomed to the user habitually (two or more times) when there is a risk of exposure to others, a device for recognizing it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is still required. Not provid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비밀번 호에 해당하는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하고, 입력된 자릿수 및 숫자 배열과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과 비교한 후 자릿수 인증 및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여 비밀번호의 중복 입력을 인식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a password, recognizes the number of digits and the array of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the number of digits after comparing the number of digits and number array and the number of digits and number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device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and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to recognize duplicate input of a password and prevent exposure of a passwor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증 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 및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hentication device, comprising: a key butt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password and generate and transmit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an apparatu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by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wherein the digit authentication includes the number of input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storage digits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 Comparing N2), if the N1 and the N2 are not the same, confirms whether the N1 and the N2 maintain a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a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if the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is maintai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hentica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duplicate password input, which is regarded as being recognized, to prevent exposure of a passwor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디지털-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 상기 입 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장치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을 해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door lock (Authorized Door Lock) for authenticat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user, a key butt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password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 apparatus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and generate a unlock signal;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unlock signal from the device controller to unlock the door lock, wherein the digi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input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torage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N1. And when N2 is not equal to each other, confirms whether N1 and N2 maintain a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t is considered to be authenticated when maintaining a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It provides a digital-door lock to prevent password exposure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현금 지급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 IC 카드를 인식한 후 상기 IC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IC 카드 인식부; 및 상기 IC 카드 인식부로부터 상기 IC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겅하는 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 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현금 지급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key butto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inputting the password to generate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C card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IC card after recognizing the IC card; And a device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IC card from the IC card recognition unit and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wherein the digi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number of input digits (N1) and the number of storage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f the N1 and the N2 is not the sa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1 and the N2 maintain a constant constant (k) In case of maintaining a constant constant (k) as a result of the check, it provides a cash dispenser that prevents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by recognizing the password inp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장치(100)는 버튼 키 입력부(110), 인증 제어부(120), 인증정보 저장부(130), 장치 제어부(140) 및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증 장치(100)는 키 입력 방식의 모든 인증 장치를 의미하며, 그 중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디지털-도어락(102)과 현금 지급기(104)를 도 1b와 도 1c에 각각 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도록 하겠다.The authent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key input unit 110,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 device control unit 14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The authentic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ll authentication apparatuses of a key input method, and among them, a digital-door lock 102 and an ATM 104 are disclosed in FIGS. 1B and 1C, respectively. I'll explain below.

버튼 키 입력부(110)는 실외측에 위치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버튼 키 입력부(110)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제어부(120)로 송신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버튼 키 입력부는 0 내지 9의 숫자 키를 비롯하여 '#' 키, '*' 키 등을 구비하고 있으다. 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password from a user in order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t an outdoor side. 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receives a password, generates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The button key input unit includes a '#' key, a '*' key, and the like as well as numeric keys 0 to 9.

인증 제어부(120)는 인증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는 MPU(MPU : Micro Processor Unit)로 구성되며, 버튼 키 입력부(110), 인증정보 저장부(130) 및 장치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있다. 인증 제어부(120)는 버튼 키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입력 인증정보와 인증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저장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인증 성공 신호 또는 인증 실패 신호로서 생성하여 장치 제어부(14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includes an MPU (Micro Processor Unit) that includes an authentication algorithm, and is connected to 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nd the device controller 140.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with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outpu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or an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It generates as and transmits to the device control unit 1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제어부(120)는 버튼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인증정보에 포함된 자릿수(N1)와 숫자 배열을 인식한다. 또한, 인증 제어부(120)는 인증정보 저장부(130)로부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N2)와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N1과 N2를비교하여, N1과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N1과 N2가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자릿수 인증을 수행한다.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and recognizes the digit N1 and the numeric arrangement included in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recognizes the number of digits (N2) and the numeric arrangement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mpares N1 and N2, N1 and N2 is not the same If not,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to check whether N1 and N2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1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2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3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4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5
,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1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2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3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4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5
,

인증 제어부(120)는 N1과 N2가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과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반복 배치한 숫자 배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숫자 배열 인증 과 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확인 결과, 숫자 배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제어부(120)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장치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N1 and N2 satisfy Equation 1,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numeric array of repeated storage information and compares them with the numerical array repeatedly arranged to check whether the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is consistent. Perform. This number array authentic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when the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succeeds,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generates a signal for authentication succes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evice controller 140.

인증정보 저장부(130)는 인증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증정보 저장부(130)는 인증 장치(100)의 비밀번호를 포함한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기 저장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비밀번호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포함한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is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an authentication operation, and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data. The nonvolatile memory may be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ytes, or a Flash memory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locks. .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tores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assword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00. The pre-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password set by the user, the number of digits of the password, and an array of numbers.

장치 제어부(140)는 직렬, 병렬 포트 및 클럭 회로를 구비한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증 제어부(120) 및 전원부(150)와 연결되어 있다. 장치 제어부(140)는 인증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인증 성공 신호 또는 인증 실패 신호를 토대로 인증 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장치 제어부(140)는 인증 제어부(120)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면, 인증 성공에 따른 인증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microprocessor a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 serial, a parallel port, and a clock circuit, and a memory in which an operating system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evice is stored.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provided. Connected to 150. The devic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or the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When the device controller 140 receive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the devic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10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전원부(150)는 장치 제어부(140)를 통해서 인증 장치(100)의 전술한 모든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내부 전원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 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all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00 through the device control unit 140, and is composed of an internal power source using a battery and / or an external power source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도 1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gital-door 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02)은 인증 장치(100)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버튼 키 입력부(110), 인증 제어부(120), 인증정보 저장부(130), 장치 제어부(140), 전원부(150) 및 구동부(160)를 포함한다.The digital-door lock 102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key input unit 110,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nd a device control unit as one embodiment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00. 140, a power supply unit 150, and a driving unit 160.

버튼 키 입력부(110), 인증 제어부(120), 인증정보 저장부(130), 장치 제어부(140), 전원부(150)는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구동부(160)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 구동 장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서보모터, 모티스(Mortis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장치 제어부(140)로부터 해정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락을 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he device control unit 14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and the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A relay driving device, a solenoid driving device, a servo motor, a Mortis, and the like are configured to receive the unlock signal from the device controller 140, and performs a function of unlocking the door lock.

도 1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금 지급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Figure 1c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T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금 지급기(104)는 인증 장치(100)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버튼 키 입력부(110), 인증 제어부(120), 인증정보 저장부(130), 장치 제어부(140), 전원부(150) 및 IC 카드 인식부(170)를 포함한다.Cash dispenser 10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key input unit 110,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he device control unit 140 as one embodiment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00 ), A power supply unit 150 and an IC card recognition unit 170.

버튼 키 입력부(110), 인증 제어부(120), 인증정보 저장부(130), 장치 제어부(140), 전원부(150)는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IC 카드 인식부(170)는 IC 카드가 삽입된 경우 IC카드를 인식한 후 IC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장치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utton key input unit 110,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he device control unit 14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and the IC card recognition unit 170. When the IC card is inserted, the IC card recognizes the IC card and receives information of the IC car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evice controller 14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는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recognizing a duplicate password inp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인증 장치(100)(디지털-도어락(102) 또는 현금 지급기(104))의 키 버튼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키 버튼 입력부(110)는 비밀번호의 자릿수(N1) 및 숫자 배열을 포함한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12341234를 입력한 경우, 입력 인증정보의 자릿수(N1)는 8자리가 되고, 숫자 배열은 12341234가 된다.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using the key button input unit 110 of the authentication apparatus 100 (digital door lock 102 or the cash dispenser 104) for authentication, the key button input unit 110 displays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password. ) And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eric array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password 12341234,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eight digits and the numeric array is 12341234.

인증 제어부(120)는 키 버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 인증정보를 수신한다(S210).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receives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key button input unit 110 (S210).

인증 제어부(120)는 수신한 인증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의 자릿수(N1 = 8 자리) 및 숫자 배열(12341234)을 인식한다(S220).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recognizes the number of digits (N1 = 8 digits) and the numeric array 12341234 of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from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20).

인증 제어부(120)는 인증정보 저장부(130)로부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자릿수(N2)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다(S230). 입력 인증정보의 비밀번호는 최초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숫자 또는 `*`, `#`의 문자를 포함한 임의의 숫자 또는 문자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장 인증정보의 비밀번호를 1234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N2)는 4 자리가 되며, 숫자 배열은 1234가 된다.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nd recognizes the digit N2 and the numeric array (S230). The password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ny number or letters including numbers or letters of `*` and `#` by the user's sele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word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ssumed to be 123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explain. That is, the number of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four digits, the number array is 1234.

인증 제어부(120)는 입력 인증정보의 자릿수(N1)와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N2)를 비교하여 동일한 자릿수(N1 = N2)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자릿수 인증을 수행한다(S240). 예를 들면, 입력 인증정보의 자릿수(N1)을 8로 가정하고 저장 인 증정보의 자릿수(N2)을 4로 가정하여 비교하면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compares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number of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for checking whether the number of digits N1 = N2 is the same (S24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8 and the number of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ssumed to be 4,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not the same.

단계 S240의 자릿수 인증의 수행 결과, 입력 인증정보의 자릿수(N1)와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N2)가 동일한 자릿수(N1 = N2)가 아닌 경우 입력 인증정보의 자릿수(N1)와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N2)가 수학식 1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50). 여기서 k는 1 이상의 정수이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digit authentication of step S240, when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not the same number of digits (N1 = N2),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digit N2 satisfies Equation 1 (S250). K is an integer of 1 or more.

즉,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N1을 8로 가정하고 N2를 4로 가정하여 보면, N1(8) = N2 × 2(4 × 2)이므로 수학식 1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인증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반복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출입자가 비밀번호를 3 번 중복 입력하는 경우 N1(12) = N2 × 3(4 × 3)의 수학식 1이 성립되고, 4 번 입력하는 경우 N1(16) = N2 × 4(4 × 4)의 수학식 1이 성립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123412로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는 N1 = N2 × k의 수학식 1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인증 제어부(120)는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 실패 신호를 생성한다.That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N1 is 8 and N2 is 4, Equation 1 is established since N1 (8) = N2 × 2 (4 × 2). Therefore,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user repeatedly inputs the password. For example, if an accessor enters a password three times, N1 (12) = N2 × 3 (4 × 3), Equation 1 is established, and if the user enters it four times, N1 (16) = N2 × 4 (4 Equation 1 of 4) is established. If the user incorrectly inputs the password as 123412, since Equation 1 of N1 = N2 × k is not established,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password is incorrectly input and generates an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단계 S250의 확인 결과, 입력 인증정보의 자릿수(N1)와 저장 인증정보의 자릿수(N2)가 일정 상수배(k)의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 제어부(120)는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과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비교하여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를 중복하여 배치한 숫자 배열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한다(S260).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250, when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digits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intain a relationship of a constant constant k,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nd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to check whether or not the numerical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consistent with the number array of duplicated numbers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60).

이러한 숫자 배열 인증 단계(S26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입력 인증정 보의 숫자 배열이 (X1, X2, X3, ..., XN1)이고,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Y1, Y2, Y3, ... , YN2)이라 할 때 아래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에 한하여 숫자 배열 인증이 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numerical array authentication step (S260) is described. The number array of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X 1 , X 2 , X 3 , ..., X N1 ), and the number array of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Y 1 , Y 2 , Y 3 , ..., Y N2 ) is regarded as a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only if the following relationship holds.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6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7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6
Figure 112006070083491-PAT00007

위의 예를 기초로 다시 설명하면, 입력 인증정보 숫자 배열이 12341234 (N1 = 8)이고,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1234(N2 = 4)인 경우, 입력 인증정보 숫자 배열의 5번째 자리(즉, 위 수식에서 k = 1, i = 1)의 숫자인 X5의 값인 1과 저장 인증정보 숫자 배열의 첫번째 자리(즉, i = 1)의 숫자인 Y1 = 1이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반복하여 입력 인증정보 숫자 배열의 6, 7, 8번째 자리(즉, 위 수식에서 k = 1, i = 2,3,4)의 값인 X6, X7, X8의 값인 2, 3, 4가 각각 해당되는 저장 인증정보 숫자 배열의 숫자인 Y2, Y3, Y4의 값인 2, 3, 4와 일치하는지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물론, k = 0인 경우에도 위의 인증과정이 수행되며 이는 숫자 배열 중 앞부분에 있는 숫자가 저장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과정인 것이다.Based on the above example, i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number array is 12341234 (N1 = 8)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number array is 1234 (N2 = 4), the fifth digit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number array ( That is, in the above formula, 1, which is the value of X 5 , which is k = 1, i = 1), and Y 1 , which is the number of the first digit of the stored array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i.e., i = 1). Compares equality = 1 Repeatedly enter the 6, 7, 8th digits of the numeric array of authentication credentials (ie k = 1, i = 2,3,4 in the formula above), 2, 3, 4, which are the values of X 6 , X 7 , and X 8 Check sequentially to see whether the numbers of Y2, Y3, and Y4, numbers 2, 3, and 4, respectively, of the corresponding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numeric arrays. Of course, the above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even when k = 0, which means that the number in the front of the numeric array matches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따라서, 모든 k값과 모든 i값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숫자 배열이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Therefore, the numeric array is regarded as authenticated only when all k values and all i values satisfy Equation 2 above.

만일,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12341233인 경우에는 k = 0 내지 1, i = 1 내지 3까지는 위 수학식 2를 만족하게 되지만, k = 1, i = 4인 경우 X8은 3으로 서, Y4인 4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인증 제어부(120)는 인증 실패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If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12341233, k = 0 to 1, i = 1 to 3 satisfy the above Equation 2, but if k = 1, i = 4, X 8 is 3, Since the Y 4 does not match 4 ,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단계 S260의 확인 결과, 숫자 배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제어부(120)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장치 제어부(140)로 전송한다(S260).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260, if the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succeeds,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control unit 140 (S260).

장치 제어부(140)는 인증 제어부(120)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한 후 인증 성공에 따른 인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S270). 즉, 디지털-도어락(102)의 장치 제어부(140)는 인증 제어부(120)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부(160)로 도어락을 해정하도록 제어하는 해정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현금 지급기(104)의 장치 제어부(140)는 인증 제어부(120)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한 후 현금 인출을 위한 다음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 device controller 140 receive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0 and then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S270). That is, the device control unit 140 of the digital-door lock 102 receives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and then transmits a deactiv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to be released to the driving unit 160, and the cash dispenser 104. Afte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0, the device control unit 140 performs the next step for cash withdraw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중복 입력한 경우, 비밀번호의 자릿수와 숫자 배열을 인식하여 비밀번호가 반복 입력되었음을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평상시에는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고 타인이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주시하는 경우에도 쉽게 비밀번호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의 노출 방지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epeatedly inputs a password, by recognizing the number of digits and the numeric array of the password and determining that the password has been repeatedly inputte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a simple and convenient manner. Even if you watch the password input process, the password can not be easily identified, thereby preventing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의 정확한 자릿수를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숫자 배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because it checks the exact number of digits of the password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numeric array.

Claims (6)

인증 장치에 있어서,In the authentication device,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A key butt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 password and generates and transmits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입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 및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 De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by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The number of digits authentication includes comparing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number of digits of storage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N1 and N2 are not equal to each other, N1 and N2 are constant. An authentication apparatu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o maintain a constant multiple (k), a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to maintain a constant constant multiple (k) to recognize the password duplicat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gnized to prevent exposure of the passwor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숫자 배열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중복 배치한 것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중복 배치한 것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인증 장치.The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confirms whether or not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password duplication input, which prevents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when generat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디지털-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있어서,In the digital door lock that authenticate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erson,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A key butt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 password and generates and transmits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입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 및An apparatus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and generate a unlock signal; And 상기 장치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을 해정하는 구동부A driving unit for unlocking the door lock by receiving the unlock signal from the device control unit 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디지털-도어락.The number of digits authentication includes comparing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number of digits of storage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N1 and N2 are not equal to each other, N1 and N2 are constant. A digital-door lock that checks whether or not to maintain a constant multiple (k), and prevents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by recognizing the password input duplic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garded as authenticated if a constant constant (k) is maintained as a result of the check .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숫자 배열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중복 배치한 것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중복 배치한 것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디지털-도어락.The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confirms whether or not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digital-door lock, which prevents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by recognizing the duplicate password input,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the matching with the duplicate arrangement. 현금 지급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 있어서,I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입력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부;A key button input unit which receives a password and generates and transmits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저장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stor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입력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자릿수 및 숫자 배열을 인식한 후 자릿수 인증과 숫자 배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each digit and the number array, performs digit authentication and the number array authentic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C 카드를 인식한 후 상기 IC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IC 카드 인식부; 및IC card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IC card after recognizing the IC card; And 상기 IC 카드 인식부로부터 상기 IC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Device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IC card from the IC card recognition unit and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uccess 를 포함하되, 상기 자릿수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입력 자릿수(N1)와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저장 자릿수(N2)를 비교하여 상기 N1과 상기 N2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N1과 상기 N2가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정 상수배(k)를 유지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현금 지급기.The number of digits authentication includes comparing the number of digits N1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number of digits of storage N2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N1 and N2 are not equal to each other, N1 and N2 are constant. A cash dispenser that checks whether or not to maintain a constant multiple (k), and prevents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sult of the check maintains a constant constant (k).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숫자 배열 인증은 상기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중복 배치한 것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입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이 상기 저장 인증정보의 숫자 배열을 중복 배치한 것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중복 입력을 인식하여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는 현금 지급기.The numeric array authentication confirms whether or not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numeric array o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he numeric array of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f a coincidence with the overlapping arrangement, the ATM for recognizing a duplicate password inpu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to prevent exposure of the password.
KR1020060093763A 2006-09-26 2006-09-26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Withdrawn KR200800282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763A KR20080028223A (en) 2006-09-26 2006-09-26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763A KR20080028223A (en) 2006-09-26 2006-09-26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223A true KR20080028223A (en) 2008-03-31

Family

ID=3941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763A Withdrawn KR20080028223A (en) 2006-09-26 2006-09-26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822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2051B2 (e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cure access signal
US8458484B2 (en) Password generator
US6213391B1 (en) Portable system for personal identification based upo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US64667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digital communications
CN101297327B (en) Procedure for control of interlock and lock
US20080024272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lock machine
CN103390297A (en) Multiple security control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3054072A1 (en) Id authentication
US201201025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a function protected by authentification of a user, in particular for the access to a resource
JP2000132658A (en) Authentication ic card
Manohar et al. A Novel Two Level Bank Security System using IoT based Controller
KR100729369B1 (en) Universal computer hacking prevention and electronic / mechanical password lock security system using difference of input time between each character information
KR20080028223A (en) Authentication device that prevents exposure of password by recognizing duplicate password input
KR100483236B1 (en) Door Lock Opening/Setting System
KR100665351B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temporary authentication means and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method
US10645070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KR20100050814A (en) Identfication system using variable passwor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5048148A1 (en) Security system
CN112116734A (en) Bank integrated service processor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KR100790027B1 (en) Password exposure prevention digital door lock and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RU2260840C2 (en) Protection means
KR100662701B1 (en) Release condition setting lock / release system and its provision method
Fowora et al. Towards the Integration of Iris Biometrics in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
KR1006300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ariz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