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8670A -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 Google Patents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670A
KR20080028670A KR1020060094260A KR20060094260A KR20080028670A KR 20080028670 A KR20080028670 A KR 20080028670A KR 1020060094260 A KR1020060094260 A KR 1020060094260A KR 20060094260 A KR20060094260 A KR 20060094260A KR 20080028670 A KR20080028670 A KR 2008002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free
central system
free call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안성
Original Assignee
박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안성 filed Critical 박안성
Priority to KR102006009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670A/ko
Publication of KR2008002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67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 제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더 많은 회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입자 회원 확보 또는 가입자 회원의 유치를 위하여, 유저들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방문 및 회원 등록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명함을 매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으로서, 통신 사업자로부터 무료통화 상품권을 구입하여 무료통화 상품권에 대응하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영업자에게 배부할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록된 명함을 제작하여, 이를 영업자에게 배부하고, 영업자는 이를 무료통화권을 발급받을 사용자에게 교부하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등록을 하고, 회원등록을 한 다음에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 및 발신번호를 입력하여 무료통화권을 발급받아 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매개로 함으로써, 영업자는 인터넷 사이트의 회원가입을 위한 영업활동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이 명함을 받은 사람은 무료통화 상품권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인터넷 사이트 운영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보다 많은 회원확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Figure 112006070453683-PAT00001
명함, 회원, 가입자, 유치, 확보, 무료통화, 휴대폰, 광고몰, 광고 커뮤니티

Description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METHOD OF RECRUITMENT FOR SUBSCRIBER USING A BUSINESS CARD}
도 1은 제1 발명에 따른 광고 중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발명에 따른 광고 중계 시스템의 각 구성 간 개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발명에 따라 광고주와 광고몰 중앙 시스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발명에 따라 광고몰 중앙 시스템과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발명에 따라 광고주와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발명에 따라 개인광고 웹 페이지와 커뮤니티 그룹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발명에 따라 제1회원과 제2회원의 수수료 분배규칙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발명에 따라 광고주와 커뮤니티그룹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9는 제1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도 1 및 도 2의 시스템 기반의 광고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명함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무료통화 상품권 명함을 받은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무료통화 발급 절차의 일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절차를 영업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절차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돋구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첨언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 제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더 많은 회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입자 회원 확보 또는 가입자 회원의 유치를 위하여, 유저들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방문 및 회원 등록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회사는 더욱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케팅을 하며,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게 된다. 오늘날 인터넷 네트워크의 일상적인 보급과 생활화에 따라서 인터넷 사이트는 단순히 마케팅의 수단만이 아니라, 이를 매개로 한 네트워크 자체가 하나의 시장으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이 네트워크에서 더 많은 회원을 확보한다는 것은 더 큰 시장을 형성한다는 의미이기도 하거니와 이는 곧 매출의 신장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비즈니스는 가입자 회원 확보가 관건이 되고 있으며, 가입자 유치를 위해 엄청난 광고 비용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각종 보험, 금융, 유무선 통신 서비스, 회원전용판매, 포털 사이트 등은 회원의 숫자가 사업의 존망을 좌지우지하는 면이 있는데, 이중 포털 사이트의 경우에는 인터넷 사이트가 제공하는 자체 서비스에서 회원을 유도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에, 다른 사업들의 경우에는 주로 오프라인에서 회원을 유치하고, 인터넷 네트워크는 오프라인상에서 등록된 회원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는 성격이 있다. 즉 이 경우 가입자 회원의 유치는 주로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회원 모집 및 등록은 다시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기 재작업을 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온라인 상에서 직접 회원 등록을 하는 경우에는 회사(사이트 운영자)가 요구하는 필요 정보를 유저(가입자)가 필요한 형식에 맞게 직접 기재하기 때문에, 입력된 회원 정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용이하게 정리, 가공할 수 있어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구축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적인 장점 때문에, 향후 회원의 유치 및 회원 등록 프로세스는 유저의 자발적인 의사로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기업도 온라인을 통해 자발적으로 회원등록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야 하지만, 온라인을 통한 회원유도를 촉발하거나 회원등록의 계기가 되는 비즈니스 모델이 특별히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오프라인의 영업과,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회원등록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의 영업의 대상이 되는 유저가 회사의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여 회원등록을 하도록 유도하는 계기가 존재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오프라인상의 영업과 온라인상에서의 회원가입을 연계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한편, 오프라인상의 영업과 온라인상에서의 회원가입을 연계함으로써, 자발적인 회원가입을 유도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가입자 회원 유치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인 영업은 '명함'의 교환으로부터 이루어지는바, 그 '명함'을 매개체로 하여 온라인상에서의 회원가입을 촉진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명함을 받은 유저가 해당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여 회원등록을 하기 위한 계기 또는 유도책으로서, 유저에게 특정 혜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저에게 제공되는 그 혜택이 일반적으로 유저가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는 유무선 전화통화료에 관한 것으로 함으로써, 통신회사의 가입자의 전화 통화를 촉진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회사 또는 유선통신회사의 매출을 증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내 통신시장의 신장에도 기여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가가 제안하였던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55880호로 특허출원되어 있고, 이것은 아직 공개되어 있지 않은바, 위 특허출원 제2006-55880호의 발명(이하, '제 1 발명'이라 한다)에 따라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회원등록이 더욱 촉진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서도 본 발명이 요청되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공개되지 않은 위 발명가의 선특허출원 내용은 본 발명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위 특허출원 제2006-55880호의 발명 내용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발명의 목적은 광고주가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시스 템에 자동으로 탑재할 수 있으며, 최종 소비자가 능동적인 경제 주체로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것 이외에 새로운 경제적 이익이 발생할 수 있는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소비자는 구입한 상품이나 서비스 이외에 새로운 재화를 얻을 수 있으며, 광고주에게는 광고비 지출이 실거래에 직접 관련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새로운 광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 1 발명의 목적은 광고에 관한 패러다임을 바꾸는 의미를 지닌다. 즉, 종래 광고주가 지출하여야 하는 광고비는 유통비용으로서 상품가격에 반영되어 그대로 소비자들에게 전가되었으나, 제 1 발명에 따른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에 의해, 광고비는 실제 거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만 거래를 성사시킨 광고 매체의 운영자에게 지급되고, 또한 지급된 광고비가 최종 소비자들에게 나누어지게 된다. 제 1 발명의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광고 매체의 운영자는 보다 많은 광고비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 더욱 많은 최종 소비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활동을 하게 되고, 최종 소비자들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함과 동시에 지금까지 받지 못했던 소정의 금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광고 매체와 밀접해지게 된다.
또한, 새로운 광고 매체 운영자의 이익과 최종 소비자의 이익은 실제 거래가 발생하여야만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제 1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광고주의 광고효과를 비약적으로 증대시키면서 실재 매출의 증가와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으로서: 통신 사업자로부터 무료통화 상품권을 구입하여 무료통화 상품권에 대응하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영업자인 다수의 제 1 회원에게 배부될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분류하고, 영업자 식별표지가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영업자에게 전달될 제 2 회원 교부용 명함에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기록하여 명함을 제작함으로써 영업자 명함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업자 명함을 교부받은 유저 단말이 인터넷을 통해 해당 명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 단말이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회원, 즉 제 2 회원으로서 가입하는 단계와, 상기 영업자 명함에 기록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 및 발신번호를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하는 단계와, 제 2 회원 단말로부터 입력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회원 가입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무료통화권 발급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례로서, 무료통화권 발급 이벤트가 발생 되면, 무료통화권이 발급되었음을 기록하고 영업자인 제 1 회원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은 이동통신 무료통화 상품권인 것이 좋다.
또한, 영업자인 제 1 회원이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개인 광고 웹 페이지를 분양받으면서, 상기 무료 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유상으로 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먼저 제 1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고 이하 본 발명의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제 1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광고기획사 역할의 광고 몰 운영자는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을 구축한다. 이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의미는 쇼핑몰과 같이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 데이터가 구축되며 누구라도 고유 도메인을 통해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이다. 또한 물리적으로는 그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베이스의 집합체와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 서버를 의미한다.
이 광고몰 중앙 시스템(1)에는 다수의 하위 도메인을 가지며, 이 하위 도메 인을 통해 광고몰이 각 회원들의 개별적인 "퍼스널 광고 미디어(Personal Advertisement Media, PAM)"(2)(퍼스널 광고 미디어는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웹 페이지 형식을 가지므로, 이를 "개인 광고 웹 페이지(2)"로 달리 표현할 수 있으나, 이는 상호 동일한 의미임을 첨언한다)로 분양된다. 즉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의 상위 도메인이 "http://www.abc.com"이라고 가정하면, 예컨대 하위 도메인은 "http://www.abc.com/member1"이 되며, 가입 회원의 수만큼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이 분양된다.
한편, 소비자들은 인터넷(3)을 통해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근할 수는 있으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입은 하위 도메인을 통해 인터넷(3) 접속할 수 있는 퍼스널 광고 미디어(2)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서 소비자들은 반드시 어느 한 퍼스널 광고 미디어(2)를 통해야하고, 해당 퍼스널 광고 미디어(2)에 속하는 1명 이상의 소비자들을 해당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커뮤니티 그룹(4)"으로 정의한다. 상위 도메인이 같고 관련 상품이 같다 하더라도, 최종 소비자가 어느 커뮤니티 그룹(4)에 가입되어 있는지에 따라 각각의 구매활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n개의 퍼스널 광고 미디어(2)가 존재하면, n개의 커뮤니티 그룹(4)이 존재하는 시스템이다.
광고주(5)는 커뮤니티 그룹(4)에 속해 있는 소비자들에게 구매의뢰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배송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상호 역할과 기능의 관점에서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 다.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은 광고주(5)와 사전 계약을 통해 마케팅 협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몰 중앙 시스템(1)은 광고주(5)에게 본 발명의 새로운 광고 미디어 기반의 PAM 시스템을 제공하고, 광고주(5)는 상품 및 서비스 정보 데이터를 제공한다. 광고몰 중앙 시스템의 웹 사이트 서버는 온라인을 통하여 광고주(5)에게 광고주명, 상품 또는 서비스 명,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가격과 규격 등에 관한 정보, 이미지 파일 등을 업로드 할 수 있는 광고 이벤트 등록 모듈을 제공하고, 광고주는 이 광고 이벤트 등록 모듈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상품정보나 서비스 정보 데이터를 등록하면(광고 이벤트 등록), 중앙 시스템(1)의 웹 사이트 서버는 자신의 광고몰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업로드 한다.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은 미리 등록한 가입 회원(이를 "제 1 회원"이라 정의한다)에게 퍼스널 광고 미디어(2)를 분양하며,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운영자는 광고몰 분양에 따른 대가를 로열티로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을 운영하는 회사에 지급한다.
소비자는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웹 페이지의 회원으로 가입한다(이를 "제 2 회원"이라 정의한다). 소비자들은 1인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커뮤니티 그룹(4)을 형성하며,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운영자는 중앙 시스템(1)으로부터 분양받은 광고몰(개인 광고 웹 페이지)을 통해 광고주의 상품들과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커뮤니티 그룹(4)에 속하는 제 2 회원에게 제공한다. 제 2 회원은 퍼스널 광고 미디어(2)에 게시되어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입을 의뢰하며, 구매가 성사된 후 생기는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운영자 수익 의 광고비 이익은 미리 정해진 수수료 규칙에 의하여 제 2 회원에게 분배된다.
퍼스널 광고 미디어(2)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면 퍼스널 광고 미디어(2)는 중앙 시스템을 통해 구매 이벤트가 기록되며, 이 구매 이벤트에 따라 소정의 광고비가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운영자 계좌로 이체된다.
한편, 해당 상품의 배송과 서비스의 제공은 상기 광고몰 중앙 시스템(1) 또는 퍼스널 광고 미디어(2)의 운영자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직접 광고주의 별도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며, 커뮤니티 그룹(4)에 속한 소비자의 대금결제는 상기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의 결제처리 서버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매 이벤트를 중앙 시스템(1)에 기록하고, 대금결제에 관한 처리는 광고주(5)의 결제처리 서버를 통해 직접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3 내지 도 6, 도 8은, 상기 도 1과 도 2의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 간의 보다 구체적인 역할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광고주(5)와 광고몰 중앙 시스템(1)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고 몰 중앙 시스템(1)은 광고주(5)에게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광고주(5)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광고하고, 직접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기반의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고, 광고주(5)는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 데이터를 제공한다. 광고 몰 중앙 시스템(1)은 광고주(5)로부터 광고 이벤트 등록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광고 데이터(상품 및 서비스 정보 컨텐츠)를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업로드 한다.
이때,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은 광고주의 마케팅에 협력하지만, 광고효과 기대 명목의 금전적 대가 및 수수료를 받지는 아니한다. 즉,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은 광고주(5)로부터 수수료를 청구하지 아니한다는 점이, 광고주에게 반드시 과금처리를 수행하였던 종래의 시스템과 명백한 차이이다. 이로써 광고비가 필수불가피하게 지급되어야만 하는 "유통비용"이라는 관념을 해소한다.
도 4는 광고몰 중앙 시스템(1)과 퍼스널 광고 미디어인 개인광고 웹 페이지(2)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의 웹 사이트에는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로부터 광고주가 제공한 상품 정보 및 서비스 정보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다. 그리고 광고몰 중앙 시스템(1)의 운영자는 이 웹 사이트를, 웹 사이트의 인증회원인 퍼스널 광고 미디어의 운영자에게 개인광고 웹 페이지(2)로 분양한다. 개인광고 웹 페이지(2)는 1개의 웹 페이지만 할당되는 것이 아닌, 상기 중앙 시스템의 웹 사이트가 인터넷을 통해 게시하는 다수의 상품 정보 및 서비스 정보 컨텐츠가 저장된 웹 페이지이기 때문에,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가 보유하는 다수의 프레임과 다수의 웹 페이지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광고몰의 분양은 광고몰 중앙 시스템의 웹 사이트와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인터넷 사이트의 구성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운영 ID를 분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회원1에게 "member1"이라는 운영 ID를 분양하고, 회원1은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분양받은 "member1"와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의 게시된 상품 정보 및 서비스 정보 컨텐츠의 광고 및 판매에 관한 권한을 획득한다. 도메인의 관점에서 보자면,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는 상위 도메인을 가지며, 회원1의 "member1"의 하위 도메인을 가진다. 그러나 중앙 시스템은 회원에게 광고몰을 분양하면서, 웹 화면에서의 광고 데이터의 위치조정, 추가와 삭제에 관하여, 회원의 의도에 맞게 편집할 수 있도록 소정의 편집모듈을 제공하며, 회원은 이 편집모듈을 통해 자신의 기호 및 의도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양받은 광고몰을 개인광고 웹 페이지로서 회원이 운영하기 위하여, 중앙 시스템(1)은 상기 개인광고 웹 페이지(2)에 가입하는 제 2 회원에 관한 회원등록ㆍ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중앙 시스템(1)은 개인광고 웹 페이지(2)의 운영자(1차 회원) 자신의 웹 페이지 커뮤니티 생성 모듈과 커뮤니티 관리 모듈을 제공하며, 커뮤니티 생성 모듈을 통해 개인 광고 웹 페이지(2)에 속하는 제 2 회원의 커뮤니티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규칙을 미리 정하며, 제 2 회원은 이 커뮤니티 생성 모듈을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제 1 회원의 개인 광고 웹 페이지(2)에 등록하면 자동으로 해당 제 1 회원의 커뮤니티가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모듈은, 커뮤니티에 속한 제 2 회원들의 구매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 수수료 배분 규칙, 게시판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개인 광고 웹 페이지(2)의 운영자인 제 1 회원만이 이용할 수 있다.
광고몰에 대한 운영 ID를 분양받은 제 1 회원은 분양의 대가로 광고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자에게 로열티를 지급한다. 분양받은 제 1 회원은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자의 계좌로 일정 금액의 로열티를 지급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자신의 개인광고 웹 페이지에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 였을 때, 그 구매 이벤트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비율에 따른 로열티를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자의 계좌로 지급한다.
도 5는 광고주(5)와 개인광고 웹 페이지(2)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 발명의 광고 시스템은 광고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의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고, 웹 사이트에 게시되는 상품정보 컨텐츠 등은 광고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에 의해 자동으로 중계되기 때문에, 광고주와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 간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광고주는 광고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를 통해서 상품정보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상품의 구입은 개인광고 웹 페이지(2)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고주(5)와 개인광고 웹 페이지(2) 간의 관계는 제1 발명의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하다. 개인광고 웹 페이지(2)의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소비자는 개인광고 웹 페이지(2)를 통해 구매의뢰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광고와 실질적인 매매의 성립은 개인광고 웹 페이지(2)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광고주(5)는 개인광고 웹 페이지(2)에서 매매가 성립되는 경우에, 그 대가를 중앙 시스템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개인광고 웹 페이지(2) 운영자의 예금계좌 지급한다. 상품 구입에 관한 매매가 실제 성립되지 않는 경우라면 광고주(5)는 어떠한 비용도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광고 시스템과 같은 불필요한 광고비 지출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개인광고 웹 페이지(2)와 그 개인광고 웹 페이지(2) 내에 구성되는 커뮤니티 그룹(4)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소비자는 퍼스널 광고 미디어인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회원으로 가입한다. 중앙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러한 회원들은 제 1 회원인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의 웹 페이지의 회원이기 때문에 제 2 회원의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비자는 다수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 2 회원의 커뮤니티 그룹(4)을 형성하게 된다. 오늘날 인터넷상의 사적 커뮤니티 구성은 보편적인 정보교환의 통로가 되고 있으며, 제1 발명은 이러한 인터넷상의 사적 커뮤니티를 광고와 구매의 통로로 설정한다. 상기 제 2 회원의 커뮤니티 그룹은 제 1 회원의 가족, 친구, 동호인이 될 수 있으며, 인터넷 검색을 통해 우연히 알게 된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그룹에 소속된 제 2 회원의 공통성은 상기 해당 커뮤니티 그룹이 속해 있는 개인광고 웹 페이지에 가입되어 있으며, 그 개인광고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그룹의 공통성은 첫째 소비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과, 둘째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효과를 가진다.
제1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제 2 회원이 최종 소비자로서 개인 광고 웹 페이지(2)에 게시되어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그 소비자에게 광고료의 일부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 상품이나 서비스가 실제 판매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지불되어야 하는, 일종의 유통비용으로서의 광고비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없기 때문에, 그러한 비용을 소비자의 이익으로 줄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소비자인 제 2 회원에게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이 실질적으로 인하되는 의미가 있다.
도 7은 제 1 회원이 제 2 회원에게 광고료의 이익을 분배하는 구조를 개략적 으로 나타낸다.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인 제 1 회원이 자신의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2차 회원에게 광고료의 일부를 주기 위해서, 해당 제 1 회원은 커뮤니티 그룹 내의 수수료 분배규칙을 미리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광고료의 90%는 제 1 회원의 이익으로 하고, 광고료의 10%를 소비자인 제 2 회원의 이익으로 정할 수 있다. 해당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모든 제 2 회원에게 동일한 수수료 분배율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제 2 회원의 커뮤니티의 활성화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상이한 수수료 분배율을 적용하여 차등 분배할 수도 있다. 한편,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제 2 회원의 은행 계좌는 중앙 시스템의 계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되며, 상기 수수료 분배율 또한 중앙 시스템의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된다.
도 8은 광고주(5)와 커뮤니티 그룹(4)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전통적인 소비자와 판매자의 관계의 의미가 있다. 광고주(5)는 커뮤니티 그룹(4)에 속한 소비자의 대금입금에 따라 해당 상품을 배송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구매에 관련된 모든 이벤트는 중앙 시스템의 운영 서버에 기록된다.
위와 같은 시스템을 위해서,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는, 광고 이벤트 등록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되는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가 광고몰 분양에 대한 중앙 시스템 운영자에게 지급하는 로열티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로열티 정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광고주가 개인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에게 지급하는 광고료의 정산을 위하여 광고료 정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이 광고료 정산 데이터베이스는 광고주의 은행계좌로부터 입금되는 광고료를 관리하며, 실제 커뮤니티 그룹에 속해 있는 소 비자들의 구매 이벤트 데이터와 동기화한다. 제1 발명의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는 구매 이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매 이벤트 관리 데이터를 구비하며, 개인 광고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제 1 회원들과 제 1 회원들이 운영하는 커뮤니티 그룹에 속하는 제 2 회원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각 회원들의 은행 계좌를 관리하는 계좌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도 9는 제1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광고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고몰인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에는 광고주의 상품 정보 및 서비스 정보 컨텐츠가 광고 이벤트 등록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업로드 되어 구축된다. 제 1 회원(1차 회원)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미리 정해진 인증 절차를 따라 회원 정보 등을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여 개인 광고몰인 개인광고 웹 페이지를 분양받는다(S10). 분양의 방식은 소정의 편집기능이 주어진 하위 도메인의 운영 ID를 분양받는 것이다. 즉, 분양받은 운영 ID를 이용하여 상품 및 서비스 광고 및 판매에 관한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의 모든 컨텐츠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쇼핑몰을 만들기 위한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 소비자들은 인터넷 주소창에 하위 도메인을 입력하여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상위 도메인의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상위 도메인의 웹 사이트와 하위 도메인의 웹 사이트가 최종 소비자(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2차 회원)에게 제공하는 상품정보나 서비스 정보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없다. 개인 광고 웹 페이지는 실질적으로 상품 판매에 관한 상위 도메인 웹 사이트의 운영이 1차 회 원에게 일임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n개의 1차 회원이 존재한다면 분양된 n개의 개인광고 웹 페이지가 존재하고, 이는 결국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가 n개 존재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다음으로 광고몰을 분양받은 제1회원은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개인광고 웹 페이지를 구축하게 되며, 중앙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프로그램으로 회원등록ㆍ관리 프로세스를 개설한다(S20). 이 회원관리ㆍ관리 프로세스는 웹 커뮤니티 프레임을 만드는 웹 툴(Web tool)의 의미를 지닌다(아직 커뮤니티 그룹에 가입한 2차 회원이 없기 때문에 실제 커뮤니티 그룹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제2회원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개인 광고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에 가입한다. 1인 이상의 제2회원이 가입하게 되면 커뮤니티 생성 모듈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커뮤니티 그룹에 속하게 된다(S30). 제2회원의 정보는 상기 중앙 시스템 운영 서버에 자신이 속한 제1회원의 인식표지와 함께 저장되며, 제1회원에게 제공된다.
제2회원은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를 검색하고, 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구매를 의뢰한다(S40). 다음의 S50 단계는 결제 및 상품배송, 서비스 제공 단계이다. 제2회원이 웹상에 표시되는 온라인 구매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정해진 온라인 결제 절차에 따라 신용카드 또는 은행 계좌 이체 등으로 결제를 수행하면 구매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 구매 이벤트는 중앙 시스템 운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광고주 및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에게 통지된다. 구매의뢰 및 결제처리가 완료됨에 따라서 광고주는 해당 상품이나 해당 서비스를 자신의 배송 시스템을 통해 해당 제2회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실제 거래가 발생함에 따라서, 광고주는 광고의 대가를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에게 지급한다(S60). 제1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실제 판매와 연결되지 않는 광고(온라인상에서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게시)에 대해서는 광고비를 지출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주의 광고비 지출의 입장에서 보자면 실제 광고와 판매는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광고주는 중앙 시스템 운영 서버를 통해 구매 이벤트를 수신받으면 처리된 결제정보와 비교한 후, 계약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금액에 따라 광고비를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의 계좌로 온라인 송금한다. 편의상 제1회원의 은행계좌 정보는 중앙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며, 광고주의 예금계좌로부터 광고몰 중앙 시스템이 관리하는 예금계좌를 거쳐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에게 지급된다.
다음으로, 제1회원과 제2회원 간의 수수료 분배 규칙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제1회원과 제2회원 간의 수수료 분배 규칙이 존재하면, 광고비를 받은 제1회원은 자신의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구매자인 제2회원에게 해당 광고비의 일정액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제2회원의 은행 계좌에 온라인 이체한다. 제2회원의 은행 계좌는 광고몰 중앙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며, 수수료 분배 규칙에 관한 데이터 또한 중앙 시스템의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기 때문에, 제1회원으로부터 제2회원으로의 광고비 일부 지급은 각 개인이 개별적으로 행 하는 것이 아니라(개별적으로 행하면 제1회원의 개인 의사에 따라 그 지급이 임의적이 되는 위험이 있다) 중앙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광고주로부터 온라인 입금된 광고비를 미리 정해진 절차를 따라 중앙 시스템 운영 서버가 제1회원과 제2회원에게 자동으로 분배하는 것이 좋다(S80).
중앙 시스템 운영자와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간의 로열티 지급 문제는 위에서 충분히 밝힌 바와 같다. 개인 광고 웹 페이지를 분양받는 제 1 회원이,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분양 대가로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자의 계좌로 로열티를 지급하게 되는데, 그 방식이 일정 금액의 로열티를 지급하는 방법, 자신의 커뮤니티 그룹에 속한 제 2 회원의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그 구매 이벤트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비율에 따른 로열티를 지급하는 방법, 또는 위 2 가지 방법의 혼합 형태로 로열티를 지급하는 방법이 있다. 편의상 중앙 시스템 운영자는 광고주로부터 지급되는 광고비 중 로열티를 미리 공제할 수도 있다.
제1 발명의 위 실시례들의 구체적인 한정이나 균등변형에 의해 그 권리범위가 부당하게 제한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발명이 제대로 실시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혀지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제 1 회원과 제 2 회원의 가입 및 등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영업과 온라인상에서의 회원가입의 매체로 '명함'을 이용하면서, 회원가입 및 등록을 촉진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회원 유치 방법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기업 서버(30)는 다름 아닌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광고몰의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회원 유치를 중시하는 인터넷 사이트 운영의 주체라면 여기에서의 기업 서버(30)에 해당될 것이다.
기업(30)는 통신 사업자(40)로부터 무료 통화 상품권을 구입하며, 통신 사업자(40)는 기업(30)에게 무료 통화 상품권(예컨대 3000원 한도에서 무료로 전화통화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판매한다. 그리고 기업(30)은 이를 영업자(10)(제1 발명에서는 제1 회원을 지칭하며, 광의적인 의미로는 그가 회원으로서 유치하는 영업 대상자가 사이트의 회원가입을 하게 되며, 그 영업 대상자가 제2 회원이 되고, 그 제 2 회원과의 관계에서 제 1 회원으로 명명하는 것으로 한다)에게 통신 사업자(40)에게 구입한 무료통화 상품권을 배부한다. 그 배부의 방식은 별도의 상품권을 배부하는 것이 아니라, 무료통화 상품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교부하는 것이다.
그 명함은 '명함'의 속성상 영업자(10)의 개인정보(성명, 기업명, 연락처 등)가 기재되어 있으며, 부가하여 무료통화 상품코드가 기재되어 있다. 영업자(10)는 이 명함을 오프라인 영업활동 중에 만나는 사람들에게 교부하게 될 것이며, 이때 자신의 명함에 기재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코드의 존재를 알리고, 그것을 이용하여 무료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명함에 기재되어 있는 사이트에 방문하여 회원가입을 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게 된다.
영업자(10)로부터, 영업자(10)의 명함을 받은 사용자(20)는 인터넷 네트워 크(50)를 통해 상기 기업 서버(30)에 접속하며, 소정의 회원 등록 절차에 따라 회원 가입을 하게 되며, 다음으로 자신의 휴대폰 발신자 번호와 영업자(10)로부터 받은 명함에 기재된 무료통화 상품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무료통화 쿠폰(상품권)을 발급받게 된다. 사용자(20)는 무료통화 쿠폰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만큼 무료통화를 즐길 수 있고, 해당 통화에서 대해서는 이미 통신사업자(40)와 기업(30) 간에 결제처리가 별도로 이루어졌으므로, 가입된 이동 통신 회사는 별도의 요금을 청구하지 않는 시스템이다.
도 11은 영업자(10)에게 배부되며, 최종적으로는 사용자(20)에게 교부될 본 발명에 따른 영업자 명함(100)의 개략적인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영업자 명함(100)에는 영업자(10)의 이름, 기업의 명칭, 연락처뿐만 아니라, 해당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란(120)과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란(110)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기재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방문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면 소정의 무료통화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안내표시부가 더 구비된다. 영업자(10)는 이 영업자 명함(100)을 사용자(20)에게 교부하면서 오프라인상의 영업활동을 하는 한편, 영업자 명함(100)에 기재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의 활용과 이를 매개로 한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의 회원 가입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기업은 통신 사업자로부터 무료통화 상품권을 유상으로 구입한다(S1). 그리고 통신 사업자로부터 구입한 무료통화 상품권에 대응하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에 마련되는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영업자인 다수의 제 1 회원에게 배부될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영업자별로 분류하고, 영업자 식별표지가 붙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상품권 코드 데이베이스를 갱신한다.
다음으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록된 명함을 제작한다(S2). 이 명함은 영업자에게 전달될 명함이며, 또한 제 2 회원 (대상자) 에게 교부될 교부용, 영업용 명함이기도 하며, 도 11과 같이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영업자에게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배부하고(S3), 영업자가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사용자에게 교부한다(S4).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받은 사용자는 유저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명함에 기재된 인터넷 사이트에 방문하여(S5),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해진 회원 등록 절차에 따라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제 2 회원으로서 회원 가입을 하고(S6),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 번호 등을 입력하여 무료통화권을 온라인을 통해 발급받고 이 무료통화권을 사용하게 된다(S7).
도 13은 무료통화 상품권 명함을 받은 사용자 유전 단말이 그 명함에 기재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이용하여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발급받는 프로세스를 도 시하고 있다. 이는 위의 도 12의 실시례의 후반부에 대한 프로세스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무료통화 상품권 명함을 받은 사용자는 유저단말을 통해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방문한다(S11). 그리고 유저 단말은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가 프로그램으로 미리 정한 회원 등록 절차에 따라 회원 정보와 아이디,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의 운영 서버의 회원으로 가입한다(S12). 다음으로 무료통화권을 발급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을 하며, 이를 위해 발신번호를 등록하고 명함에 기재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다(S13).
다음으로 입력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 그리고 중복된 코드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이 판단 단계에서 해당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고, 중복된 코드가 아니라면 무료통화권 발급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15). 한편, 이 입력 정보는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한편, 무료통화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의 서버로 전송된다.
발급된 무료통화 상품권의 사용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료통화 상품권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는, SKT™, KTF™, LGT™과 같은 이동통신회사로서, 이 동통신회사가 직접 무료통화권을 발급하고, 무료 통화를 위한 호 연결시 무료통화임을 표시하는 식별절차를 거치도록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무료통화 상품권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는 별정통신 사업자로서, 무료통화 상품권의 이용에 따른 통화연결에 대해서는 이동통신회사와 별정통신 사업자 간의 계약에 의해 사전조치를 행하고, 무료통화권을 발급받은 사용자는 별정통신 서비스 접속번호인 '080-XXX-XXXX'를 통해 별정통신 사업자의 교환기에 접속하고, 접속 후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착신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전화가 연결된다. 이 경우 비록 이동통신회사의 기지국과 교환기 등을 경유하여 통화가 개시되지만 사용자가 별통신 서비스 접속번호로 접속하였기 때문에 해당 이동통신회사의 과금은 사용자에게 부과되지 아니한다.
위에서는 무료통화 상품권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를 이동통신망과 연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동통신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내, 시외 전화, 국제 전화를 아우르는 유선통신망도 무료통화 상품권을 제공하는데 시스템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오늘날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이고, 그만큼 무료통화 상품권도 이동통신 무료통화 상품권이 유효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무료 통화권 발급을 영업자의 관점에서 살펴본 실시례를 나타낸다. 중앙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자면, 제 1 회원의 영업자를 관리한다는 점에서, 영업자의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관점에서 보자면 자신의 개인 광고 웹 페이 지의 '커뮤니티 그룹'에 소속될 제 2 회원의 정보를 영업자가 인식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실시례다.
먼저 영업자에게 명함으로 발부된 무료통화 상품권 정보를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S21), 이는 영업자 식별표지가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갱신된다. 다음으로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절차에 따라 사용자 유저 단말의 회원가입 및 무료통화권 발급 이벤트가 발생하면(S22),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는 해당 무료통화 상품권이 기재된 명함의 소유자, 즉 영업자 정보를 기록하고(S23), 영업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S24).
이에 따라 제 1 회원인 영업자의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제 2 회원인 사용자(명함 교부받은 자)의 회원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고 저장되며, 제 1 회원은 상기 제 1발명에서 상세히 설명한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운영자로서, 제 2 회원은 전체 중앙 시스템의 회원임과 동시에 해당 개인 광고 웹 페이지의 회원이며 커뮤니티 그룹의 일원으로서 지위를 가지게 된다.
중앙 시스템과 영업자의 관계를 살펴보자면, 영업자는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광고 웹 페이지를 분양받게 되는데, 영업자는 분양시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유상으로 구입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 방법의 권리범위가 다른 실시례로 설명되고 있는 자동광고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참조는 될 수 있으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상의 영업과 온라인상에서의 회원가입이 명함을 매개로 수월하게 연계되고, 자발적인 회원가입이 유도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가입자 회원 유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명함을 받은 유저가 해당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여 회원등록을 하기 위한 계기 또는 유도책으로서 유저에게 무료통화권이라는 특정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유용한 혜택이 유저에게 돌아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통신회사의 가입자의 전화 통화를 촉진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회사의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국내 통신시장의 신장에도 기여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례로서 제1 발명으로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따르면, 광고주, 광고대행자, 소비자들 모두 수익자가 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Claims (4)

  1.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으로서:
    통신 사업자로부터 무료통화 상품권을 구입하여 무료통화 상품권에 대응하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영업자인 다수의 제 1 회원에게 배부될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분류하고, 영업자 식별표지가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영업자에게 전달될 제 2 회원 교부용 명함에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를 기록하여 명함을 제작함으로써 영업자 명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업자 명함을 교부받은 유저 단말이 인터넷을 통해 해당 명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이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
    상기 영업자 명함에 기록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 및 발신번호를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상품권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무료통화권 발급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무료통화권 발급 이벤트가 발생 되면, 무료통화권이 발급되었음을 기록하고 영업자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통화 상품권은 이동통신 무료통화 상품권인,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영업자인 제 1 회원이 상기 중앙 시스템 웹 사이트 운영 서버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개인 광고 웹 페이지를 분양받으면서, 상기 무료 통화 상품권 코드가 기재된 명함을 유상으로 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 방법.
KR1020060094260A 2006-09-27 2006-09-27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Abandoned KR20080028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60A KR20080028670A (ko) 2006-09-27 2006-09-27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60A KR20080028670A (ko) 2006-09-27 2006-09-27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670A true KR20080028670A (ko) 2008-04-01

Family

ID=3953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260A Abandoned KR20080028670A (ko) 2006-09-27 2006-09-27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86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821B2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shopping mall
AU7511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iling demographic data
JP3440040B2 (ja) 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217716B1 (ko) 각종 카드와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사용/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US20120209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rchant&#39;s Benefit-focused Electronic Coupon Distribution Business
US201802608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payments and receiving rebates
US20070288312A1 (en) Purchase-transaction-settled online consumer referral and reward service using real-time specific merchant sales information
US20090299820A1 (en) Contingent fee advertisement publishing service provider system and method
CA2688270A1 (en) System and method of organizing a distributed online marketplace for goods and/or services
KR20010096672A (ko) 신용카드를 이용한 할인쿠폰 시스템 및 할인쿠폰서비스제공방법.(물품/서비스구매에 따른 카드거래 승인의 완료이전에 일어나는 할인프로세스)
JP2006277717A (ja) 特典情報管理方法及び特典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812045B1 (ko)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06727A (ko) 동시다중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US20120136699A1 (en) On-Line System of Coupon Placement and Redemption
KR101298634B1 (ko)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서버를 활용한 전자할인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4258A (ko) 이동통신 전자할인쿠폰을 이용한 모바일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1103966B1 (ko) 지불 게이트웨이와 연동한 상품광고 중개 시스템
KR20010078968A (ko) 인터넷을 매체로 한 소프트웨어 에이에스피의 제공 방법
KR100981255B1 (ko) 온라인상에서 선구매권의 판매를 통한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40001065A (ko) 유료 디지털 컨텐츠 판매촉진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쿠폰의 운영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20010074051A (ko)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 서비스 방법
KR20080028670A (ko) 명함을 매개로 한 가입자 유치방법
JP7141664B1 (ja) 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6602A (ko) 광고주와 사용자간의 거래에 대해 추가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65286B1 (ko) 추천인이 기재된 네트워크 마케팅의 회원등록신청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1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