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05732A -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 Google Paten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732A
KR20070105732A KR1020060038279A KR20060038279A KR20070105732A KR 20070105732 A KR20070105732 A KR 20070105732A KR 1020060038279 A KR1020060038279 A KR 1020060038279A KR 20060038279 A KR20060038279 A KR 20060038279A KR 20070105732 A KR20070105732 A KR 2007010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range wire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재덕
Original Assignee
(주)오픈브레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브레인테크 filed Critical (주)오픈브레인테크
Priority to KR102006003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732A/en
Publication of KR2007010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73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는 소정 영역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 및 무선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경우, 기설정된 제1 제어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제어되도록 기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 영역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정 영역 내에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an interface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a predetermined region, a devi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control unit so that at least one device is controlled by a first preset control metho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or exits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ling device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Control apparatus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providing the service by means of the same}Control apparatus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ontrol apparatus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pproximately, and providing the service by means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1 is a view referred to a schematic description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블럭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operation method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장치를 통해 홈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예, 그리고6 is an example of a menu screen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지자가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보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notify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mote location by detecting that a h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home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10 : 무선통신부 220 : 중앙처리부2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central processing unit

230 : 메모리부 240 : 기기 제어부 230: memory unit 240: device control uni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홈내의 기기를 제어하거나 이를 원격지에 있는 기기에 통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entering and exiting a home,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in the home. O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to a remote device or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은 나날이 발전하여 가정까지 연결된 초고속 인터넷과 홈내의 기기들 간에 연결된 홈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얻고 원하는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도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개발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홈내의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것이다. 보일러, 가스 등의 제어는 물론, 집에 누가 방문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알려주거나, 집 안의 어린아이나 노약자의 동태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도 상용화되었다. 그리고, 홈내에 진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적외선 리모콘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홈내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Home Automation has been developed day by day and the ubiquitous era where the high speed internet connected to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devices in the home are organically combined to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and operate the desired device. have. Accordingly, various home automation devic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have been proposed and developed. The most representative one is to remotely control the devices in the home from the outsid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controlling boilers, gas, and other servic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notified when someone visits the home, or a service that allows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in the house to be seen remotely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commercialized.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may be controlled in the home by using a function such as an infrared remote controller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들은 홈내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일이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이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사람의 출입에 따라 자동적으로 홈내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However, home automation systems using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umbersome to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control the devices in the home. That is, since the person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detect the entry into the home, it is im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evices in the home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of the person.

한편, 최근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어나면서 맞벌이 부부가 늘고 있으며, 가정당 자녀 수가 점점 줄어 한집에 한 자녀인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가정의 아이들은 부부가 모두 직장에 나가면 혼자 학교에 갔다 오고, 학원을 가며 부모가 퇴근하여 돌아올 때까지 혼자서 생활해야 하는데, 항상 부모는 아이가 걱정되어 수시로 전화로 확인하느라 일이 제대로 손에 잡히지 않는다. 또 한, 유괴와 같은 사회 범죄가 늘어가면서 홀로 생활하는 아이들에 대한 안전 문제도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ecent acceleration of nuclear familyization and the increase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the number of working-in-law couples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children per household is often reduced, so it is common for one child to be in one house. Children in these families have to go to school alone when both couples go to work, go to school and live alone until their parents return home. Always parents a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 so they check on the phone from time to time. Do not. In addition, as social crimes such as kidnappings increase, the safety of children living alone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만일 아이가 홈내 출입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를 이동통신 등을 통해 부모에게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다면 부모는 아이 걱정을 조금은 덜고 일에 전념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정해진 시간 범위에 아이가 홈내 출입하는 것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아이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부모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알려주거나, 부모의 이동전화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아이의 출입 정보가 오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면 아이의 안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신속히 부모가 알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서비스가 될 것이다.If the child can detect the entry into the home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notify the parents via mobile communication, parents will be able to lessen the child's worries and concentrate on work. Furthermore, when the child is not detected to enter or leave the home within the specified time r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wned by the child is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parent's mobile terminal, or the child's access information does not come at the preset time on the parent's mobile phone. If you do not have a feature that tells the user is a very useful service because parents can quickly know if there is a problem with your child's safe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지자가 홈내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에 따라 홈내의 기기를 제어하거나 이를 외부에 통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detect a h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d out of the home, thereby controlling or notifying the device in the home. Is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는,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방식으로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포함한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an interfac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evic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entral proces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은, 소정 영역에 진입한 기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 기설정된 제1 제어방식에 따라 제어가능하게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re-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is possible; And when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control target device that is controlab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chem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영역에 진입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통신 가능 및 통신 불가능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서비스 서버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신가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소정 영역 내에 진입한 것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communication and non-communic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Notifying any one of a predetermined service server, and notifying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area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It may provide a service including a.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홈내에 고정 설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에 설치한 장치와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등과 연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지자가 홈내 출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여러 가지 홈내 기기를 제어하거나 이를 외부에 통보하여 주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and a devic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re fixedly installed in a ho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ble to communicate with a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It detects entry and exits and uses it in conjunction with a home automation system.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detect that the h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d out of the home to control various devices in the home or to notify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가 홈내에 설치되며, 전등, 출입문, 냉난방 기기 등과 같은 홈내 제어대상 기기와 제어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가능 영역(250)내로 진입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1 is a view referred to a schematic descrip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me, and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in a home such as a light, a door, 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so as to be controllable. In addi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is configured to enab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refo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nters into the communicable area 25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are mutually different. Communication is possible.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하며, 홈내 제어대상 기기의 설정 및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이들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들은 기존의 적외선 방식의 무선통신(IrDA)이 커버했던 영역은 물론 음성이나 비디오까지 커버하면서 다목적 무선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and software for setting and controlling a home-controlled device is installed. The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wireless interface covering not only the area covered by conventional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IrDA) but also voice or video.

이와 같은 구성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신가능 영역(250)으로 진입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찾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주기적인 신호에 응답하기 위해 수신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신가능 영역(250) 내에 들어오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신가능 영역(250)내에 들어오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는 홈내 제어대상 기기들을 제어한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nters the communicable area 250,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becomes possible. That i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200 periodically transmits a signal for searching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in a waiting state to respond to a period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detect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nters the communicable area 25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nters the communicable area 250,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controls the devices to be controlled in the home according to a method previously set by the user.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홈내 제어대상 기기의 설정 및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미리 정한 프로토콜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와 연결된 제어대상 기기들의 제어 방법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내용을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홈내에 들어와서 실시간으로 홈내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software for setting and controlling the in-home control target devic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preset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by using a predetermined protocol, To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enter the home and control the controlling device in the home in real time.

통신가능 영역(25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와의 통신 방식, 송신 출력, 수신감도, 안테나 이득 등에 의해 결정되는 송수신 신호의 통달거리로서, 통상적으로 홈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수십 m의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홈내 제어대상 기기들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홈내 제어대상 기기에는, 전등, 출입문, 냉난방 기기, 가스 밸브, A/V 기기, PC 등과 같이 동작 제어가 필요한 홈내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홈내 기기들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와 유 선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장치의 기능을 각 제어대상 기기에 각각 직접 연결하는 형태의 구성도 가능하다.The communicable area 250 is a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determined by the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output, reception sensitivity, antenna gain, and the like, and typically covers the inside of the home.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distance of several tens of meters. In addition, the devices to be controlled in the home are connected to be controll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The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home includes all the devices in the home which need operation control such as a light, a door,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a gas valve, an A / V device, a PC and the like. These home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by wire or in the sam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a func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each control target device is also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10), 중앙처리부(220), 메모리부(230), 및 기기 제어부(24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central processing unit 220, a memory unit 230, and a device control unit 240.

무선통신부(210)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RF 회로부 및 기저대역 회로부 등을 포함한다. 중앙처리부(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홈내 제어대상 기기들의 설정 데이터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하며, 저장된 설정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에 따라 홈내 제어대상 기기가 제어되도록 기기 제어부(240)를 제어한다. 중앙처리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홈내 출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provides an interfac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an antenna, and includes an RF circuit unit and a baseband circuit unit for this purpo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stores the setting data of the control devices in the hom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memory unit 230. The devic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in-home control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ored setting data and the progra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or out of the home according to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메모리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전 설정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기제어부(240)는 중앙처리부(220)의 제어에 따라 홈내 기기들을 제어한다. 기기 제어부(240)는 전등 제어부(241), 출입문 제어부(243), 가스밸브 제어부(245), 냉난방 기기 제어부(247) 등과 같이 각각 대응하는 기기를 제어한다. The memory unit 230 is a memory for storing control data prese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that is not erased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device controller 240 controls devices in the hom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or 220. The device control unit 240 controls corresponding devices such as the light control unit 241, the door control unit 243, the gas valve control unit 245, the air conditioning unit control unit 247, and the like.

도 2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200)와 각 제어 대상 기기가 유선으 로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격이 저렴하고 각 제어 대상 기기에 별도 장치의 부착이 최소화되므로 외관이 깨끗한 장점이 있어, 신축 건물에는 적용하기 좋지만 기존 건물에 부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배선 공사 등이 필요하게 된다.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 and each control target device are connected by wire. Such a configuration is inexpensive and minimizes the attachment of a separate device to each control target device, which has the advantage of clean appearance, which is good for new buildings, but wiring work is required for additional installation in existing build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가 홈내 출입 여부를 체크할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전에 등록한다(S305).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록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진입한 경우와 홈내를 벗어난 경우 각각 홈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환경을 설정한다(S310).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operation method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firs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register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check whether a user enters or exits a home in advance (S305).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gistered, a control environment for controlling the devices in the home is se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home and the home, respectively (S310).

제어환경이 설정되며,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는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5).The control environment is set,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home (S315).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기에 다음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고, 실제로 블루투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들이 구현되어 있다. 즉, 임의의 기기를 처음 연결할 때에 이를 등록(Pairing)시키는 절차를 거치면, 서로 유일한 코드를 나누어 가져 이 후부터는 이들 기기가 타 기기의 갑섭을 받지 않고 신뢰성 있는 통신 채널을 확보한다. 이때 보안성이 요구되는 기기의 경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an implement the following operations in order to implement software, and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Bluetooth, thes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other words, when a device is connected for the first time, the process of pairing it with each other divides unique codes from each other, and since then, these devices secure a reliable communication channel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devices. In this case, the device may require a user to enter a password.

한번 등록된 기기는 채널이 연결되었다가 끊기면 주기적으로 상대 기기를 찾아서 채널 상태(품질)가 좋아지면 다시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Once registered, the device periodically searches for an external device when the channel is connected and disconnected, and automatically connects again when the channel status (quality) improves.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의 위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홈내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예컨대 10초마다 한번씩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시도하고(Paging), 상대 기기는 이러한 시도를 언제든지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으면(Paging Scan),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출입하는 것을 감지해낼 수 있다. 벽이나 가구등과 같은 장애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의 통신 거리가 일반적으로 집의 크기와 비슷한 반경 20~30m 정도이므로, 집 가까이에 오면 통신이 되기 시작하고 집을 떠나 멀어지면 통신이 끊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Using the above functions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is install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periodically attempt to connect with the counterpart device, for example, once every 10 seconds ( Paging), if the other device is prepared to receive such an attempt at any time (Paging Scan), it can detect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home.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obstacles such as walls and furniture, the distanc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or Zigbee is generally 20 ~ 30m, which is similar to the size of a house. When the communication starts and leaves the house away from the communication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home approximately.

S320 단계의 판단결과,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진입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진입시 설정된 제어를 수행한다(S32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0, when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ho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set control when entering the home (S320).

이후,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5).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aves the home (S335).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를 벗어난 경우에는,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고 종료한다(S34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에 진입하거나 벗어나는 경우에 따라 홈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aves the home, it performs the set control and ends (S340). By such a process, the mobile device may be controlled in the home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or leaves the hom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홈내 출입을 감지하는 부분과 각 제어 대상 홈내 기기가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orm in which a part for detecting entry into a ho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vice within a control target home are connected by the sam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즉, 무선통신부(410), 중앙처리부(420), 그리고 기기 제어부에 속하는 메모 리부(430)와 전등 제어부(445), 출입문 제어부(455)의 기능 및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대상 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입을 감지하는 부분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4에서, 제1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441, 451)은 각각 무선통신부( 410)와 통신하여 중앙처리부(420)의 제어명령을 각각 제1 및 제2 제어부(443, 453)에 전달한다. 제1 및 제2 제어부(443),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전등제어부(445) 및 출입문 제어부(455)의 동작을 제어한다.That is,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20, the memory unit 430, the light control unit 445, and the door control unit 455 belonging to the device control uni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part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relessly connected.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441 and 451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to transmit control commands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20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443 and 453, respectively. d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443, the light control unit 445 and the door control unit 455 for controlling the controlling device is controlled.

이와 같이 무선으로 연결할 경우 각 제어 대상까지의 배선 공사가 필요 없어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는 반면 각 제어 대상 기기에 별도의 무선장치가 부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wireless connection is not required because the wiring work to each control target is not easy to install, while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a separate wireless device is attached to each control target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장치와 각 제어 대상 기기에 각각 직접 연결한 형태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embodi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each control target device.

즉,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510, 560)는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 출입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중앙처리부(520, 550)는 각각 전등 제어부(540) 및 출입문 제어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 제어 대상까지의 배선 공사가 필요 없어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는 반면 각 제어 대상 기기에 별도의 무선장치가 부착되어야 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510 and 560 detect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or out of the home, and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processing units 520 and 550 respectively detect the light control unit 540 and the door. Control the controller.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for wiring work to each control targ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while a separate wireless device must be attached to each control target devi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홈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는 홈내의 전등, 출입문, 및 가스 밸브를 제어하는 메뉴 화면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것을 예로써 나타낸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nu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menu screen for controlling lights, doors, and gas valves in a home is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먼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홈내 기기 제어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기기 설정 메뉴 화면(601)이 표시된다. 제어기기 설정 메뉴 화면(601)은 홈내 기기 중에서 설정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메뉴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제어기기 설정 메뉴 화면(601)에 표시된 홈내 기기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기기를 선택한다.First, when a user selects a menu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ler setting menu screen 601 is displayed. The controller setting menu screen 601 is a menu screen for selecting a setting target device from among the home devices, and the user selects a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from the home devices displayed on the controller setting menu screen 601.

사용자가 제어기기 설정 메뉴 화면(601)에서 전등을 선택한 경우, 전등 제어를 위한 메뉴 화면(603)이 하위 메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전등을 선택한 경우에는 홈내 여러 제어 가능한 전등 중에서도 세부적으로 하나의 제어 대상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거실등을 선택한 경우, 거실등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605)이 표시된다. 이 화면을 통해 해당 전등을 세부 제어하기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홈내에 진입하는 경우, 거실등이 자동적으로 켜지도록 할 것인가, 혹은 제어하지 않을 것인가(꺼짐)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홈내를 벗어나는 경우 거실등을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것인가, 혹은 제어하지 않을 것인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a light on the controller setting menu screen 601, the menu screen 603 for light control is displayed as a lower menu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a light, one control target may be selected again in detail among various controllable lights in the home. When the user selects the living room light, a menu screen 605 for selecting how to control the living room light is displayed. This screen allows you to make detailed selections for the lamp.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home,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he living room 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not controlled (off). Likewise, if you leave the home, you can choose whether to turn off the living room lights automatically or not.

제어기기 설정 메뉴 화면(601)에서, 출입문을 선택한 경우, 출입문 제어를 위한 메뉴 화면(607)이 표시된다. 출입문 제어를 위한 메뉴 화면(607)에서 사용자는 출입문에 대한 세부적인 제어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집 가까이 접근할 때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알려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밀번호 입력창(506)이 표 시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출입문 앞에서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열쇠를 소지하지 않아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입문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홈 내를 벗어나는 경우, 출입문이 자동으로 잠김도록 할 것인지, 혹은 제어하지 않는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controller setting menu screen 601, when a door is selected, a menu screen 607 for door control is displayed. In the menu screen 607 for door control, the user may set detailed control items for the door. That is, when approaching close to the home to infor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password input window 506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correct password in front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automatically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without having a key. Similarly, when leaving the home, it is possible to choose whether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or not controlled.

제어기기 설정 메뉴 화면(601)에서 가스 밸브(611)를 선택한 경우, 가스밸브 제어를 위한 메뉴 화면(611)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가스밸브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즉 집 밖을 나갈 때 자동으로 가스 밸브가 잠기도록 설정함으로써, 가스밸브를 잠그지 않은 상태로 가스렌지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외출한 경우에도 안심할 수 있다.When the gas valve 611 is selected on the controller setting menu screen 601, the menu screen 611 for controlling the gas valve is displayed. The user selects how to control the gas valve from this screen. That is, by setting the gas valve to automatically lock when you go out of the house, you can rest assured even if you go out with food on the stove without the gas valve is lock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가 설치된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보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7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method of notify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mote location by detecting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gistered user enters a home install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referred to description.

도 7을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760)가 홈내에 고정 설치되며, 사전에 등록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750)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760)와 통신 가능한 통신영역(770)에 진입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760)와 통신가능하게 된다. 통신영역(770)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750)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760)와 통신 가능한 영역으로, 통상적으로 수십 m내로 진입하면, 이 범위에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 통신에 실패하여 집에서 멀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760 is fixedly installed in a home, and the pre-register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u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760. When entering the communication area 770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760 is enabled. The communication area 770 is an area in whic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can communicate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760. Wh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enters a range of tens of meters, the communication area 770 can detect tha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enters and exits the home. If you are out of this range, you will be unable to communicate and will be away from your home.

제1 이동통신 단말기(750)는 홈내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760)와 통신 가능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통신영역에 진입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원격지의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혹은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달한다. Wh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760 installed in the hom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automatically transmits th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communication area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mote location set in advance, or Deliver to the carrier server.

원격지의 제2 이동통신 단말기(700)는 등록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750)가 홈내 출입하는 것을 통보받기를 원하는 등록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제1 이동통신 단말기(750)를 아이가 소지하고, 제2 이동통신단말기(750)가 부모가 소지한 경우라면, 아이가 집 가까이 가면 그 정보를 출입정보 서비스 서버(730)를 통하거나, 혹은 직접 부모의 이동통신 단말기(700)에 통보할 수 있다.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00 of the remote location is a registered device that wants to be notified that the register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enters and exits the home. For example, if the child possesse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and the parent possesses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the child passe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access information service server 730 when the child approaches the house. Or directly notify the parent's mobile terminal 700.

이동통신망(720)에 접속되는 출입정보 서비스 서버(730)는 무선통신 수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750)가 홈내에 출입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가공하여 이 정보를 원하는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70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부가 서비스 서버이다. The access information service server 730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20 store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50 with the built-in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enters and receives from the home, and then requests th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00 of a remote location. It is an additional service server that has a function to delive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등록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자가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원격지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registered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me and notif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In this manner, the mobile communication supplementary service may be provid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홈내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홈내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한 결과를 원격지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통보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ntering and exiting the ho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reby controlling the in-home control target device. Can be. In addition, the result of detecting that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home may be notif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Claims (11)

소정 영역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an interfac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a predetermined region;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 및A device controller to control at least one device; And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경우, 기설정된 제1 제어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기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And a central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device controller so that the at least one device is controlled by a preset first control metho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소정 영역을 벗어나 통신 불가능한 경우, 기설정된 제2 제어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기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device control unit so that the at least one device is controlled by a second preset control metho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communicate outside the predetermined are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chem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기기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유선 및 근거리 무선통신 수 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The device control unit and the at least one device i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able connection through any one of the wired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소정 영역내에 진입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개별적인 통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trol the at least one device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device after entering the predetermined area. 소정 영역에 진입한 기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re-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is possible; An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경우, 기설정된 제1 제어방식에 따라 제어가능하게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And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device to be controllably connected according to a first control scheme when the communication result is possibl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소정 영역을 벗어나 통신 불가능한 경우, 기설정된 제2 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And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set control metho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nable to communicate outside the predetermined area. 소정 영역에 진입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 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통신 가능 및 통신 불가능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서비스 서버로 통보하는 단계; 및Notifying any one of communication enabled and non-communicable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ice server according to whether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can communicate with the preset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신가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소정 영역 내에 있는 것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And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information, notifying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How to Provide Services.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신 불가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소정 영역 밖에 있는 것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And notifying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the predetermined area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non-communi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서비스 서버는, 예정된 시간에 상기 통신 가능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입 정보가 없음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And notifying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here is no access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ervice server fails to receive the communication availability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입정보를 저장한 후, 저장된 출입 정보를 요청하는 기기로, 소정 기간 동안의 출입 정보나 통계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The service server, after stor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r statistic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device requesting the stored access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short dist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KR1020060038279A 2006-04-27 2006-04-27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eased KR200701057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79A KR20070105732A (en) 2006-04-27 2006-04-27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79A KR20070105732A (en) 2006-04-27 2006-04-27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732A true KR20070105732A (en) 2007-10-31

Family

ID=3881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279A Ceased KR20070105732A (en) 2006-04-27 2006-04-27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73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82B1 (en) * 2010-11-12 2011-05-24 주식회사 신우테크 Solar street ligh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82B1 (en) * 2010-11-12 2011-05-24 주식회사 신우테크 Solar street ligh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5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US10943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KR100856871B1 (en)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US11949683B2 (en) Guest access to control devices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US8390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appliances based on parking management
KR1022522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CN101253460A (en) RF interconnected HVAC system and security system
CN105182786A (en) Intelligent household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KR101923901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thereof
WO2008097477A1 (en) Networked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US201603414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with active infrared sensors
CN204926478U (en) Controlling means , control system
AU2024202157A1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CN107852340B (en) Hub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CN110069018A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equipment control method based on two dimensional code networking setting
JPH10136110A (en) Domestic information system
KR20070105732A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220001903A (en) Cloud platform based apartment home smart home system
KR101179993B1 (en)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KR200273825Y1 (en) Intelligent Door Video Phone System for Specifying Visitor Signaling Location
JP2022158169A (en) 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