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289A - Indexing call recording files that can be execu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Google Patents
Indexing call recording files that can be execu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3289A KR20070083289A KR1020060013746A KR20060013746A KR20070083289A KR 20070083289 A KR20070083289 A KR 20070083289A KR 1020060013746 A KR1020060013746 A KR 1020060013746A KR 20060013746 A KR20060013746 A KR 20060013746A KR 20070083289 A KR20070083289 A KR 200700832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recording
- recording file
- file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내용이 녹음된 녹음 파일을 인덱싱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of indexing a recording file in which call contents are record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통화 녹음 파일 인덱싱 방법은 통화가 녹음되어 생성되는 녹음 파일에 통화 상대방 정보를 반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통화 상대방 정보를 참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녹음 파일을 검색하여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스트에 제공된 각각의 녹음 파일이 누구와 통화한 내용에 대한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어 원하는 녹음 파일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The call recording file indexing method execut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in a recording file generated by recording a call, and stores the same in a memory, and searches for a recorded file stored in the memory by referring to the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Provide a list.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find out who each recorded file provided in the list is about the contents of the call and can easily find the desired recorded fi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통화 녹음 파일 인덱싱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2 illustrates a method for indexing a call recording file executab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통화 녹음 파일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call recording file.
도 2b는 통화 녹음 파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recording f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내용이 녹음된 녹음 파일을 인덱싱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of indexing a recording file in which call contents are recorded.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중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콜 레코딩(call recording) 기능을 제공한다. 콜 레코딩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녹음 파일을 찾아서 다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녹음 파일이 많아진 경우에, 사용자는 어떤 녹음 파일이 누구와 통화한 내용에 대한 것인지를 분간할 수가 없다. 통상 녹음 파일명은 통상 녹음 순서대로 001, 002와 같이 넘버링되기 때문에 원하는 녹음 파일을 찾는 것이 쉽지 않으며, 하나 하나 선택해서 들어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call recording function to record the contents of a call during a call. The call recording feature allows the user to record the call and, if necessary, find and listen to the desired recording file. However,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recording files, the user cannot distinguish which recording files are with whom. Since the recording file names are normally numbered in the order of recording, such as 001 and 002, it is not easy to find a desired recording file, and it is inconvenient to select and listen one by on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상대방별로 녹음 파일을 인덱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dexing a recording file for each call counterpa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통화 녹음 파일 인덱싱 방법은 통화가 녹음되어 생성되는 녹음 파일에 통화 상대방 정보를 반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통화 상대방 정보를 참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녹음 파일을 검색하여 리스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recording file indexing method executab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in a recording file generated by recording a call and stores the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in a memory. By referring to the recording files stored in the memory, a list is provided.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상대방 정보를 가지고 녹음 파일을 인덱싱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리스트에 제공된 각각의 녹음 파일이 누구와 통화한 내용에 대한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어 원하는 녹음 파일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dexing of a recorded file with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o whom the respective recorded files provided in the list are to whom. You can easily find the recording you want.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키패드(100)와, 메뉴 및 동 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300)와, 이 무선 통신부(300)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40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500) 및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같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ically includes a keypad 100, a display unit 200 for displaying a menu and an operation state, and a
우선 키패드(100)와,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20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메모리(50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롬 영역에는 폰북 데이터베이스(530)가 저장되며, 알려진 바와 같이 폰북 데이터베이스(530)는 각 레코드별로, 이름, 전화번호(휴대폰), 집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등의 필드를 포함한다.First, the keypad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which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have a conventional well-known configuration. The memory 500 is divided into a ROM region in which control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is stored, and a RAM region in which data generated during a terminal control operation are temporarily stored. In addition, the phone book database 530 is stored in the ROM area. As is known, the phone book database 530 includes fields such as a name, a phone number (mobile phone), a home phone number, and a company phone number for each record.
무선 통신부(300)는 기지국과의 셀 방식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 입출력회로(400)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무선 통신부(300)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60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탈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 다.The
이 같은 통상적인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알려진 바와 같이 통화 녹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화 녹음에 대한 일 방식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통화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음성 입출력회로(400)에서 증폭된 송신 음성과, 무선 통신부(300)를 통해 수신되어 음성 입출력회로(400)에서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 및 증폭된 수신 음성을 합성한다. 그리고 합성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압축 코드로 변환시켜 압축(예를 들어 .MMF 파일의 형태를 가진다)하며, 압축된 데이터를 메모리(500)에 저장한다. 이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통화시 송수신되는 음성이 녹음될 수 있으며, 녹음 기술 자체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can provide a call recording function as is known. Hereinafter, a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ethod for recording a call. First, during the call, the received voice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amplified by the voice input /
도 2a는 통화 녹음 파일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통화 중 키 조작을 통해 통화 녹음 명령을 한다. 제어부(600)는 사용자로부터의 녹음 명령이 있음을 확인하고(단계 S200), 일 실시예에 따라 통화 상대방 정보인 상대방 전화번호가 폰북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10). 호 착신의 경우에 상대방 전화번호는 알려진 바와 같이 CID(Caller IDentification) 기능에 의해 획득된다. 반대로 호 발신의 경우에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키패드(100)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폰북 데이터베이스(530)로부터 선택되므로, 제어부(600)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알 수 있다. 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call recording file. The user commands a call recording through key manipulation during a call. The control unit 600 confirms that there is a recording command from the user (step S20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hecks whether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which is the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honebook database 530 (step S210). In the case of incoming calls,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is obtained by the Caller IDentification (CID) function as is known.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call origination, since the counterpart phone number is directly input from the keypad 100 or selected from the phonebook database 530, the controller 600 can know the counterpart phone number.
폰북 데이터베이스(530)에 상대방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알려진 기술적 방식에 따라 통화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 파일을 생성하되, 상대방 전화번호를 녹음 파일에 반영한다(단계 S220). 상대방 전화번호를 녹음 파일에 반영하는 것은 녹음 파일에 추가로 정의되는 전화번호 필드에 상대방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예에 따라 파일명을 'No name_1'이라고 명명하고, 뒤의 순번은 이후 녹음 파일 생성시 계속 증가시켜 녹음 파일을 구분한다.If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s not stored in the phonebook database 530, the controller 600 records the call voice according to the known technical method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a recording file, but reflects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n the recording file ( Step S220). Reflecting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n the recording file may be recording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n the phone number field defined in addition to the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le name is named 'No name_1', and the subsequent sequence is continuously increased to generate a recording file to distinguish the recording file.
폰북 데이터베이스(530)에 상대방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제어부(600)는 통화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 파일을 생성하되, 통화 상대방 정보인 상대방 전화번호 및 상대방 이름을 녹음 파일에 반영한다(단계 S23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600)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녹음 파일에 추가로 정의되는 전화번호 필드에 기록하며, 폰북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동일 레코드 상의 이름 필드에 기록되어 있는 상대방 이름을 녹음 파일의 파일명에 포함시킨다. 일 예에 따라 파일명은 '홍길동_1'이라고 명명하고, 뒤의 순번은 이후 홍길동과의 통화에 대한 녹음 파일 생성시 계속 증가시켜 녹음 파일을 구분한다.If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s stored in the phone book database 530, the control unit 600 generates a recording file by recording the voice of the call, but reflects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and the other party's name, which is the other party's information, in the recording file (step S230). .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0 records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n the phone number field further defined in the recording file, and the other party is recorded in the name field on the same record as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book database 530. Include the name in the file name of the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le name is named 'Hong Gil-Dong_1', and the subsequent sequence is further increased to generate the recording file for the call with Hong-Gil-Dong to distinguish the recording files.
이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녹음 종료 명령이 발생하거나 통화가 종료되면(단계 S240), 제어부(600)는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 파일을 메모리(500)에 저장한다(단계 S250).Thereafter, when a recording end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occurs or a call ends (step S240), the controller 600 ends recording and stores the recorded file in the memory 500 (step S250).
도 2b는 통화 녹음 파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키 조작을 통해 통화 녹음 파일이 저장된 메뉴를 선택하여 통화 녹음 파일 리스트를 요청한다. 제어부(600)는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녹음 파일 리스트 요청을 확인하고(단계 S300),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검색 조건을 제시한다(단계 S310). 검색 조건 은 도시된 바와 같이 ① 날짜별, ② 전화번호별, ③ 이름별, ④ 직접 검색 등이 될 수 있다. 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recording file. The user requests a list of call recording files by selecting a menu in which call recording files are stored through key manipulation. The controller 600 confirms the call recording file list request from the user (step S300), and presents various search cond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step S310). The search conditions may be ① by date, ② by phone number, ③ by name, and ④ by direct search.
사용자는 제시된 검색 조건 중 원하는 검색 조건을 선택한다. ① 날짜별을 선택하면, 제어부(6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녹음 파일의 날짜 필드를 검색하여, 날짜순서대로 소팅(sorting)된 녹음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200)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처리한다(단계 S320). ② 전화번호별을 선택하면, 제어부(6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녹음 파일의 전화번호 필드를 검색하여 번호가 빠른 전화번호 순서대로 소팅된 녹음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200)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처리한다(단계 S330). The user selects a desired search condition among the presented search conditions. ① When selecting by date, the control unit 600 searches the date field of th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memory 500, and displays the list of recorded files sorted in the order of date on the display unit 200 screen ( Step S320). ② By selecting the telephone number, the control unit 600 searches the telephone number field of th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memory 500 and displays the list of recorded files sorted in the order of the telephone numbers with the highest number on the display unit 200. (Step S330).
③ 이름별을 선택하면, 제어부(6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녹음 파일의 파일명을 검색하여 파일명 순서대로 소팅된 녹음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200)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처리한다(단계 S34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명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폴더 안에 동일한 이름의 파일명을 가진 녹음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다. 즉, 홍길동 폴더, 김갑순 폴더, 삼순이 폴더 등으로 분류하고, 그 폴더 하위에 각 이름을 포함한 파일명을 가진 녹음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분류한다. 이 같은 통화 상대방별 분류 및 각 분류 하위에 해당되는 녹음 파일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은 ② 전화번호별에도 적용될 수 있다.If selecting by name, the control unit 600 searches the file names of the recorded files stored in the memory 500 and displays the list of recorded files sorted in the order of the file names on the display unit 200 screen (step S3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folder is created for each file name having the same name, and a list of recorded files having the file name with the same name is provided in each generated folder. That is, it is classified into Hong Gil-dong folder, Kim Gap-soon folder, and Sam Soon folder, and the list of recorded files having file names including each name under the folder is classified. Such a method of providing a classification of each call counterpart and a list of recording files corresponding to each classification subordinate may be applied to ② by phone number.
④ 직접 검색을 선택하면, 제어부(600)는 일 예에 따라 파일명의 일부 혹은 전부의 입력을 요청한다. 사용자가 키 조작을 통해 상대방 이름을 입력하면, 제어부(600)는 입력된 이름을 가진 파일명을 메모리(500)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녹음 파 일 리스트를 표시부(200)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처리한다(단계 S350).④ If the direct search is selected, the controller 600 requests input of part or all of the file name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other party's name through key manipulation, the controller 600 searches the memory 500 for the file name having the input name and displays the searched recording file list on the display unit 200 screen (step S350). ).
사용자는 제공된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녹음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데, 특히 파일명이 상대방 이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찾고자 하는 녹음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녹음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 명령을 하면, 제어부(600)는 선택된 녹음 파일을 메모리(500)로부터 읽어들여 재생 처리하고, 호 연결 명령을 하면 선택된 녹음 파일의 전화번호 필드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단계 S360)(단계 S370). 일 예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녹음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play)을 제외한 레이아웃 화면에서 통화 키(send)를 누름으로써 호 연결 명령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녹음 파일을 청취한 후 그 상대방에게 전화를 하고 싶을 때 별도로 폰북 화면으로 가서 전화번호를 찾거나 아이들(idle) 화면으로 가서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recording file from the provided list. In particular, when the file name includes the other party's name,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desired recording file.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recording file and plays a command, the control unit 600 reads and plays the selected recording file from the memory 500. When the call connection command is made, the control unit 600 stores the selected recording file as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telephone number field of the selected recording file. A call connection is attempted (step S360) (step S37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user may make a call connection command by pressing a call key on the layout screen except play for playing the selected recording file. Therefore, when you want to call the other party after listening to the recording file, you can go directly to the phone book screen to find the phone number or go to the idle screen (idle), you can try to connect the call immediately.
이 외에도 녹음 파일의 전화번호 필드에 기록되어 있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폰북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그 녹음 파일을 선택하여 폰북 검색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recorded in the telephone number field of the recording file is stored in the phone book database 530, the recording file may be selected to enable the phone book searc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통화 녹음 파일 인덱싱 방법은 통화 상대방 정보를 가지고 녹음 파일을 인덱싱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리스트에 제공된 각각의 녹음 파일이 누구와 통화한 내용에 대한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어 원하는 녹음 파일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indexing a call recording file execut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dexing of a recording file with call counterpart information. It's easy to find out whether or not you're looking for an easy way to find the recording you want.
또한 본 발명은 녹음 파일을 청취한 후 그 상대방에게 전화를 하고 싶을 때 별도로 폰북 화면으로 가서 전화번호를 찾거나 아이들(idle) 화면으로 가서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you want to call the other party after listening to the recording file to go to the phone book screen to find the phone number or go to the idle screen (idle), without having to enter the phone number, try to call immediately Make it possible.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3746A KR20070083289A (en) | 2006-02-13 | 2006-02-13 | Indexing call recording files that can be execu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3746A KR20070083289A (en) | 2006-02-13 | 2006-02-13 | Indexing call recording files that can be execu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3289A true KR20070083289A (en) | 2007-08-24 |
Family
ID=3861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3746A Ceased KR20070083289A (en) | 2006-02-13 | 2006-02-13 | Indexing call recording files that can be execu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8328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6153A1 (en) * | 2015-06-24 | 2016-12-2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name for communication data file of video communication of terminal |
KR102796560B1 (en) | 2024-04-23 | 2025-04-16 | 주식회사 리턴제로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assification services for voice data based on speak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2372A (en) * | 1996-03-15 | 1997-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voice memo function |
KR20050041478A (en) * | 2003-10-31 | 2005-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creating individual-information including call log and for using the created information |
KR20060024693A (en) * | 2004-09-14 | 2006-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record call history of IP phone |
-
2006
- 2006-02-13 KR KR1020060013746A patent/KR20070083289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2372A (en) * | 1996-03-15 | 1997-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voice memo function |
KR20050041478A (en) * | 2003-10-31 | 2005-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creating individual-information including call log and for using the created information |
KR20060024693A (en) * | 2004-09-14 | 2006-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record call history of IP pho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6153A1 (en) * | 2015-06-24 | 2016-12-2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name for communication data file of video communication of terminal |
CN106303351A (en) * | 2015-06-24 | 2017-01-0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The communication data filename of a kind of terminal video communication generates method and device |
KR102796560B1 (en) | 2024-04-23 | 2025-04-16 | 주식회사 리턴제로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assification services for voice data based on sp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4887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JP4240807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 |
US6782278B2 (en) | Dialing method for dynamically simplifying international call in cellular phone | |
US20030022697A1 (en) | Dialing method for effecting international call in intelligent cellular phone | |
KR20090073256A (en) | Docking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ata exchange | |
EP1170932B1 (en) | Audible identification of caller and calle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CN100562192C (en) |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with image input unit | |
KR100825406B1 (en) | Voice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 |
CN1845564B (en) | Method for call origination using shor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7555311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
CN101111027A (en) | Method for setting speed di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
KR20070083289A (en) | Indexing call recording files that can be execu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US2006011617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incoming call or message reception through vo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12954103B (en) | A call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fixed telephone | |
KR20090078210A (en) |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call contents in mobile terminal | |
JPH10164210A (en) | Mobile phone | |
JPH09200303A (en) | Telephone set | |
KR100829250B1 (en) | How to display menu of SIM card equipped mobile terminal | |
US20030210778A1 (en) | Active telephone directory method and apparatus | |
CN1399459A (en) | Method for simplifying mobile phone cross-regional dialing with random storage | |
KR100407352B1 (en) | Method for phone search during ones absenc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50058820A (en) | Phone number storing method under calling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1345920A (en) | Telephone set | |
KR20060008795A (en) | Short message display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KR20100042794A (en) | Method for manag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