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164A -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3164A KR20070063164A KR1020050123123A KR20050123123A KR20070063164A KR 20070063164 A KR20070063164 A KR 20070063164A KR 1020050123123 A KR1020050123123 A KR 1020050123123A KR 20050123123 A KR20050123123 A KR 20050123123A KR 20070063164 A KR20070063164 A KR 200700631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home
- upnp
- providing server
- home net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콘텐츠를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하는 홈 게이트웨이와, 홈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UPnP 기반의 OS가 탑재된 유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UPnP 기반의 IP 셋톱박스와, 공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UPnP 표준기술을 IP 셋톱박스와 PC 내에 적용하여 PC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comprising: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a home gateway serving as a network point for providing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service user, and a home. Wired terminal equipped with UPnP-based OS that downloads content provided from content providing server via gateway, UPnP-based IP set-top box sharing downloaded content through wired terminal, and image to display shared content It includes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UPnP standard technology in the IP set-top box and the PC, it is possible to easily share the media content files stored in the PC, thereby providing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i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home network system in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shar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콘텐츠 제공 서버 202 :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200: content providing server 202: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204 : 인터넷 206 : 홈 게이트웨이204: Internet 206: Home Gateway
208 :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반 IP 셋톱박스208: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based IP Set Top Box
210 : 영상기기 212 : UPnP 기반 PC210: video device 212: UPnP-based PC
HN : 홈 네트워크H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을 셋톱박스에서 공유하는데 적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me network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shar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suitable for sharing various media files stored in a PC in a set-top box.
최근 들어, '가정'을 시장 중심에 두는 홈 네트워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focused on home networks, which focus on 'homes'.
홈 네트워크란 가정의 모든 통신과 전자기기를 연결해 집안과 외부에서 모두 통제하는 것을 뜻한다. 연결 대상은 TV, PC, 오디오, 전화, 팩스, 프린터 등 영상·음향·정보가전 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도어-록 냉난방장치 등 생활가전까지 다양하다.Home network means connecting all th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in the home and controlling the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me. The connection targets are not only video, audio and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TV, PC, audio, telephone, fax, and printer, but also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door-lock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ors.
홈 네트워크 산업은 통신 건설 가전 등 3개 산업이 융합돼야 한다.In the home network industry, three industries, including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home appliances, should be converged.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는 통신업계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 시장의 포화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로 홈 네트워크를 육성하고 있으며 가전업계 역시 기존의 백색 가전에서 디지털 정보가전, 디지털 컨버전스(conversions) 가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The telecom industry in charge of building networks is fostering home networks as a new business to overcome the saturation of the high-speed Internet market. Promoting.
건설업체도 차별화와 고급화를 위해 홈 네트워크 도입이 필수다.Construction companies also need to adopt a home network in order to differentiate and enhance their quality.
IT 벤처업계에서는 음성인식 기술, 로봇 개발 기술, 임베디드(embeded) 소프트웨어,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홈 네트워크 사업을 준비 중이다.The IT venture industry is preparing for the home network business in various fields such a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robot development technology, embedded software, and digital contents.
특히, 한 가정에 복수의 PC(Personal Computer)를 두는 추세인데다 네트워크 게임이 활성화되고, 전국의 대부분 가구에서 초고속 통신을 가입하는 등 홈 네트워크 산업의 기반은 이미 갖춰진 상태다.In particular, the home network industry is already well established, with the tendency to have a plurality of personal computers (PCs) in one home, network games being activated, and most households joining high-speed communications.
PC나 특정 관련 장비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던 환경과는 달리 지금의 인터넷 환경은 모든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고 접속되는 환경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중에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인터넷 환경이다.Unlike the environment in which PCs and certain related devices wer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to an environment in which all devices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is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access a desired service during the move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가정 내의 환경도 기존과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가전제품들이 고유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들 간에 서로 네트워킹 하고자 하고 상호 원하는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With these changes, the environment in the home is also changing significantly. Not only do household appliances perform unique functions, but there is a growing movement to network between products and share mutually desire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들도 기존의 TV나 에어컨을 제어하던 단순한 기능의 리모컨이 아닌 더 지능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TV나 오디오 등을 서로 연결하고 가정 내에서 제품들 간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기술들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users are demanding an environment that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anytime and anywhere more intelligently than a simple remote control that used to control an existing TV or air conditioner. Various home network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connect TVs and audio to each other and to connect products in the home.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술은 정보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전 제어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홈 게이트웨이에서 각 가전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Such home network technology implements a home appliance control protocol for controlling information home appliances to control and monitor each home appliance at a home gateway.
인터넷 접속 환경이 구비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P 셋톱박스(Internet Protocol Set-Top Box)(108)라는 장비가 기본적으로 포함된다. IP 셋톱박스(108)란 IP망, 즉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TV와 같은 영상기기(110)로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IP 셋톱박스(108)를 통해 인터넷 망(104)으로부터의 외부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플레이해주게 된다.In the home network system provided with the Internet connection environment, as shown in FIG. 1, a device called an Internet Protocol Set-
그런데, 각 가정마다 구비되는 PC(112) 내에는 이미 사용자가 저장해 놓은 각종 미디어 파일들이 존재하는데,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가전 제어 프로토콜이나 IP 셋톱박스 환경에서도 PC(112) 내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들을 공유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are various media files stored by the user in the PC 112 provided in each home. In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 the media files stored in the PC 112 are shared even in a home appliance control protocol or an IP set-top box environment. There is a limit that you can not.
한편, 최근의 소프트웨어 미들웨어로서, JINI, HWW(Home Wide Web),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등이 표준으로 제시되어 경쟁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 UPnP는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다양한 기기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들어주는 표준이다. 예를 들어, UPn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프린터가 접속되었을 때 드라이버의 설치와 같은 별도의 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software middleware, JINI, Home Wide Web (HWW), 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as standards and are developing competitively. Among them, UPnP is a standard that makes it easy to use services provided by various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For example, UPnP allows you to use the printer directly when the printer is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such as installing the driver.
UPnP 가능기기는 UPnP에서 정의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그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의 기능 및 표현 기능을 제공한다. UPnP 가능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네트워크 내의 제어 포인트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UPnP-enabled devices support the protocol defined by UPnP and provide definition and presentation functions for the services supported by the device. Services provided by UPnP-capable devices can be used through control points or internet browsers in the network.
제어 포인트는 UPnP의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이용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가능한 서비스들을 찾아 그 서비스로부터 XML 언어로 기술된 서비스 정의를 얻어서 제어한다. UPnP 가능기기들의 응용분야는 크게 사무용이나 가정용이 될 전망인데, 일반 가정은 컴퓨터나 통신망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UPnP 가능기기의 응용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The control point uses UPnP's 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SSDP) to find available ser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o control the service definitions described in XML language from the services. The application field of UPnP capable devices is expected to be largely for office or home use. In general,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UPnP capable devices is in the spotlight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in computers and communication networks.
UPnP는 여러 기업체들이 UPnP 포럼을 구성하여 만들고 있는 사실상의 산업 표준이다. UPnP 네트워크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포인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포인트로 명령을 입력하여 각종 디바이스들을 찾아내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포인트와 디바이스 간에는 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가정 내의 데이터 네트워크, AV 네트워크와 제어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통신한다고 할지라도 IP만 지원된다면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UPnP is the de facto industry standard that many companies have formed to create the UPnP Forum. The UPnP network consists of a control point for controlling the device and a plurality of devices for providing a service. Therefore, the control point provides a user interface, and the user can input commands to the control poi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find and control various devices.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network using the IP protocol between the control point and the device, even if the data network, the AV network, and the control network in the hom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different physical media, integrating into a single network if only IP is supported. It is possible.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UPnP 표준기술을 IP 셋톱박스에 적용한다면, PC에 저장된 각종 미디어 콘텐츠들을 홈 네트워킹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는데 착안하였다.Applicant has conceived that if the UPnP standard technology is applied to an IP set-top box, various media contents stored in a PC can be shared through home networking.
본 발명은 상술한 착안에 의한 것으로, UPnP 표준기술을 PC와 IP 셋톱박스에 적용하여 PC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홈 네트워크 환경의 거실, 방 등에서 자유로이 공유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cept, by applying the UPnP standard technology to the PC and IP set-top box content shar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that can freely share media content files stored in the PC in the living room, room, etc. of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댁내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로서,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콘텐츠를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하는 홈 게이트웨이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UPnP 기반의 OS가 탑재된 유선 단말기와, 상기 유선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UPnP 기반의 IP 셋톱박스와, 상기 공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ent shar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that controls the devices in the home by an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serving content via the Internet, and A home gateway serving as a network point for providing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service user, a wired terminal equipped with a UPnP-based OS for downloading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via the home gateway; A content sharing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a UPnP-based IP set-top box for sharing content downloaded through the wired terminal and a video device for displaying the shared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202), 인터넷(204), 홈 네트워크(HN) 내의 홈 게이트웨이(206), IP 셋톱박스(208), 영상기기(210), PC(212)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인터넷(204)을 통해 직접 서비스 사용자(208, 210, 212)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202)를 경유하여 서비스 사용자(208, 210, 212)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인터넷(204)과 홈 게이트웨이(206)를 경유하여 PC(212)로 임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202)는 홈 네트워크(HN) 내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홈 게이트웨이(206)가 인터넷(204)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또는 여러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한다.The Internet
홈 게이트웨이(206)는 인터넷(204)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202)에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의 콘텐츠, 예컨대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수행한다.The
IP 셋톱박스(208)는 홈 게이트웨이(206)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콘텐츠, 즉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영상기기(21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IP 셋톱박스(208)는 본 실시예에 따라 UPnP 기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IP 셋톱박스(208)는 후술하는 PC(212)를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UPnP 표준이 적용된다.The IP set-
영상기기(210)는, 예컨대 TV, 홈시어터 시스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IP 셋톱박스(208)에서 공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C(212)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206)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미디어 콘텐츠 파일)를 다운로드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라 UPnP 기반의 OS가 탑재된다. 즉, UPnP 표준이 적용됨으로써, 상술한 IP 셋톱박스(208)의 콘텐츠 공유가 가능한 것이다.The PC 212 is a means for downloading the content (media content file) provided from the
이때, PC(212)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정할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의 PC(2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UPnP 기반의 OS를 탑재할 수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At this time, the PC 212 will be limited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does not characterize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C 212 of FIG. 2 may include a media player,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which may be equipped with an UPnP-based O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clearer in the claims which follow.
본 발명에 의하면, UPnP 표준기술을 IP 셋톱박스와 PC 내에 적용하여 PC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UPnP standard technology in the IP set-top box and the PC, it is possible to easily share the media content files stored in the PC, thereby providing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i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 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concretely based on the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Of course,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re possible for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below-mentioned claim.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3123A KR20070063164A (en) | 2005-12-14 | 2005-12-14 |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3123A KR20070063164A (en) | 2005-12-14 | 2005-12-14 |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3164A true KR20070063164A (en) | 2007-06-19 |
Family
ID=3836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3123A Ceased KR20070063164A (en) | 2005-12-14 | 2005-12-14 |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3164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8508B1 (en) * | 2006-07-20 | 2008-01-2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ultimedia Content Sharing Service Method Using Network and Its System |
KR100889075B1 (en) * | 2007-11-14 | 2009-03-16 |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 How to share content using IPTV set-top box |
KR100981237B1 (en) * | 2008-06-02 | 2010-09-1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Home media service device |
WO2011053008A3 (en) * | 2009-10-30 | 2011-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
WO2014073760A1 (en) * | 2012-11-06 | 2014-05-15 | 가온미디어(주) | Set-top box based cloud service method |
-
2005
- 2005-12-14 KR KR1020050123123A patent/KR2007006316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8508B1 (en) * | 2006-07-20 | 2008-01-2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ultimedia Content Sharing Service Method Using Network and Its System |
KR100889075B1 (en) * | 2007-11-14 | 2009-03-16 |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 How to share content using IPTV set-top box |
KR100981237B1 (en) * | 2008-06-02 | 2010-09-1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Home media service device |
WO2011053008A3 (en) * | 2009-10-30 | 2011-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
US10008108B2 (en) | 2009-10-30 | 2018-06-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
WO2014073760A1 (en) * | 2012-11-06 | 2014-05-15 | 가온미디어(주) | Set-top box based cloud service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6209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device on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and playing content using the device | |
KR10180954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 using universal web appl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 |
US797883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adapted service environment | |
EP231405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put in home network using upnp | |
US7343427B2 (en) |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 |
US2007025871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to non-internet protocol devices | |
US20020040408A1 (en)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IP-based network system | |
US20090024717A1 (en) | Media file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20080097035A (en) | Home network device control service and / or internet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 |
CN1984138A (en) | Ip remote device | |
US20070033288A1 (en) | Method of using pause time information on media content in UPnP environment | |
KR2012000743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high definition video telephony between computer devices | |
US8176343B2 (en) |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 |
KR20050078541A (en) | Protocol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home network devices | |
CN101438563A (en) | Storage Capacity Query for UPNP AV Media Server CDS | |
KR20070063164A (en) |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
US20070276516A1 (en) | Apparatus,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directing multiple devices to perform a complex task | |
JP5674090B2 (en) | Content transfer system, content transfer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 |
KR100745722B1 (en) | Media Adaptation Apparatus, Media Renderer and Intelligent Mutimedia Service System in Home Network Environment | |
KR10105936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rol screen between DMS device and DMC / DPM device in DLAN | |
KR100952280B1 (en) | How to remotely control rebooting of residential gateway installed in home | |
Mukhtar et al. | Using Universal Plug-n-Play for Device Communication in Ad Hoc Pervasive Environments | |
KR100794033B1 (en) | Network System Operation Method | |
Baier et al. | My Home is my Network or how to HAVi | |
Hoc | Using Universal Plug-n-Play for Device Communication in Ad Hoc Pervasi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