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21515A -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515A
KR20070021515A KR1020050075812A KR20050075812A KR20070021515A KR 20070021515 A KR20070021515 A KR 20070021515A KR 1020050075812 A KR1020050075812 A KR 1020050075812A KR 20050075812 A KR20050075812 A KR 20050075812A KR 20070021515 A KR20070021515 A KR 2007002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location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홍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515A/en
Publication of KR2007002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515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의 일정을 관리해주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사용자가 일정 정보 및 일정이 행해지는 위치 정보가 설정하여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일정 관리 서버에 전송할 때마다 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일정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일정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위치 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따라 일정 정보에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aging a schedule of a plurality of users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any user sets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schedule is to be transmitted to a schedul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nd registering it every time; notifying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and extract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ransmitting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과 위치 정보를 등록한 후 해당 시간에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일정을 행하는 사용자에게 일정에 필요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rovide schedule information to a user at a corresponding time after registering schedule and location information, but also provide convenience information to a user who performs a schedule by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chedule.

위치, 이동 통신 단말기, LBS Location, mobile terminal, LBS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A DAY'S PROGRAM BASED LO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FOR MANAGING A DAY'S PROGRAM BASED LO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으로 한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에 연결된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for explaining a location-based schedul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by a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기지국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base station

112 : 이동 통신 교환기 114 : 홈 위치 등록기112: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14: home location register

120 : PSTN 122 : 유선 단말기120: PSTN 122: wired terminal

124 : 전화기 140 : 일정 관리 서버124: phone 140: scheduling server

142 : 컨텐츠 DB 144 : 사용자 DB142: content DB 144: user DB

150 : 컨텐츠 제공 서버 그룹150: content providing server group

본 발명은 일정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chedule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역시 선택적인 사용에서 필수적인 사용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지갑이나 시계는 놓고 가더라도 이동 통신 단말기는 들고 갈 만큼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실생활의 일부로서 자리 잡았다.With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rs' percep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also changing from selective use to essential use. Therefore, even if a wallet or a watch is left, the mobile terminal has become a part of real life so as to carry the mobile terminal.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성능 개선 역시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화려한 출력 화면과 다양한 개인 정보 관리 기능은 기본적인 기능이 된지 오래이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련 기능이나 위치 추적 기능까지도 널리 보급되기에 이르렀다.In additi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rapidly progressing, and the colorful output screen and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 have been basic functions for a long time, and even multimedia data related functions and location tracking functions have been widely spread.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통화나 데이터 서비스를 제외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체 기능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일정 관리 기능이다. 현대인의 생활이 복잡해지면서 가장 용한 알정 관리의 수단으로 시간을 이용하고 있으며, 항상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이러한 시간을 관리하는 일정 관리 수단이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있다.Among these various functions, 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is most often used as an internal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pt for a call or a data service. As the life of modern people is complicated, time is used as the most convenient means of managing the information, and various types of schedule management means for managing such time have been develop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are always carried.

가장 일반적인 일정 관리에 있어서도, 일정을 정하고 일정의 종류를 정하며, 지속 시간과 반복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에 별도로 모닝콜 등을 개별 지정할 수 있으며, 일정 관리나 기념일에 의해서도 알람을 정해줄 수 있다.Even in the most common schedule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set a schedule, set a schedule type, and set a duration and a repetition. In addition, a wake-up call can be separately designated, and alarms can be set by schedule management or anniversaries.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시간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얻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 공통적인 표준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제어 방식, 메뉴에 의한 지정 방식으로 여러 종류의 알람을 시간 기반으로 하여 제공하고 있다.The mobile terminal has the advantage of using the standard time common to all users because it periodically gets information about the time from the base station, and various types of alarms are specified based on various control methods and menus. It is provided by.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일정에 대한 설정은 오로지 시간에 대한 고려만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제한을 유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집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정한 일정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회사에서 울린다거나 설정해 둔 모닝콜이 여행지에서도 울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 위치 변화에 의한 상황별 일정 재 설정이 수동으로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is general schedule is set only by considering the time, which causes a restriction on the user. For example, a schedule set for home use may ring or be set by the user inadvertently. Wake-up calls can also ring at destinations.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is necessary to manually reset the schedule for each situation due to the change of the user position.

그리고, 사용자는 시간에 의해서만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에 의해서도 행동을 결정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단순 시간 기반의 알람 기능은 제약이 많다.In addi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user should determine the action not only by time but also by space, the existing simple time-based alarm function has many limitations.

예를 들어, 퇴근하는 경우 집근처 가게에서 물건을 사야 하거나 점심 시간에 근처 은행을 지날 때 은행 업무를 보아야 한다거나 언제든지 특정 장소를 다시 지나치는 경우 어떠한 일을 확인해야 한다거나 하는 보다 실제 생활에 적당한 일정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For example, if you are away from work, you need to buy something at a nearby store, go to a nearby bank at lunch, check your banking, or go back to a certain place at any time to see what happens. It does not provide a function.

특히, 최근에 등장하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비스나 친구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위치 기반 서비스(LBS))은 고가의 인공 위성을 이용한 GPS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들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의 전력 차이를 통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새롭게 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기능들이 구비되어 있다. In particular, a recently used service that tracks the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or a friend's location (LBS) is not only a GPS using expensive satellites, but also neighboring base stations. Since it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because it is possible through the power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newly rel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functions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그러나, 이러한 위치 정보와 일정 관리를 연계한 서비스들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However, services that link location information with schedule management are not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과 위치 정보를 등록한 후 해당 시간에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일정을 행하는 사용자에게 일정에 필요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registering the schedule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user at the corresponding time, as well as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chedule to the user performing the schedu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enhance user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의 일정을 관리해주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사용자가 일정 정보 및 상기 일정이 행해지는 위치 정보가 설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일정 관리 서버에 전송할 때마다 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일정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정 정보에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aging a schedule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any user sets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schedule is performed, thereby set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wired. Receiving and registering each time transmission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otifying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And compar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extracting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으로 한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에 연결된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 기지국(110), 이동 통신 교환기(112), 홈 위치 등록기(114), PSTN(120), 유선 단말기(132), 전화기(134), 일정 관리 서버(140), 컨텐츠 DB(142), 사용자 DB(144) 및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50/1∼150/n)로 이루어진 컨텐츠 제공 서버 그룹(150)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for explaining a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12 are shown in FIG. ), Home location register 114, PSTN 120, wired terminal 132, telephone 134,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content DB 142, user DB 144 and multiple content providing servers (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group 150 consisting of 150/1 to 150 / n.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일정 관리를 위한 일정 정보 및 해당 일정이 행해질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일정 관리 메뉴를 제공하며, 일정 관리 메뉴에 의해 설정된 일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지국(110) 및 이동 통신 교환기(112)를 통해 일정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는데, 여기서 위치 및 일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음성 통화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기지국(110)에 위치 등록 요구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menu for inputting schedule information for schedule manage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schedule is to be performed, and moves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to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station. It transmits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switch 112, where the loc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a voice call and a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quests location registration from the base station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일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140)에 등록할 수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컴퓨터와 같은 유선 단말기(122)를 이용하여 일정 관리 서버(140)에 접속하여 일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등록시키거나, 전화기(124)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로 일정 관리 서버(140)에 자신의 일정 정보와 일정이 행해질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기(124) 또는 유선 단말기(122)를 이용할 시에는 PSTN(120) 및 이동 통신 교환기(112)를 통해 일정 관리 서버(140)에 접속된다.As such, although the user may register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using a wired terminal 122 such as a computer) may be used in another method. 140,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or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che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by a voice call using the phone 124. Here, when the telephone 124 or the wired terminal 122 is used,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is connec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PSTN 1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12.

기지국(110)은 섹터 단위로 할당된 통신 영역을 각각 관장하고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호 처리, 핸드오프 및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특히, 기지국(110)은 능동적인 부가 서비스를 위해 망 관리자가 등록한 기지국으로, 해당 기지국의 지역 식별 번호(LAID : Location Area ID)는 홈 위치 등록기(114)에 저장 관리된다. 이러한 기지국(110)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 등록을 요구하면, 기지국(110)은 자신의 지역 식별 번호를 이동 통신 교환기(112)에 전달하여 홈 위치 등록기(114)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등록하게 된다.The base station 110 manages communication areas allocated on a sector basis and performs call processing, handoff, and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ntering the communication area. In particular, the base station 110 is a base station registered by the network manager for the active additional service, and the area identification number (LAID: Location Area ID) of the base st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er 114.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quests the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base station 110, the base station 110 transmits its area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12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14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of 100 will be registered.

이동 통신 교환기(112)는 일정 관리 서버(140) 및 기지국(110)과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기지국(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14)에 저장하고 일정 관리 서버(140)로부터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의 요구에 따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14)에서 추출하여 일정 관리 서버(140)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12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and the base station 11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10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14.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tracted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114 and provid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n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일정 관리 서버(140)는 이동 통신 교환기(112)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 전화기(124) 및 유선 단말기(122)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설정된 위치 정보 및 일정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DB(144)에 저장하는데, 이때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110)의 지역 식별 번호로 변환되어 사용자 DB(144)에 저장된다.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set from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telephone 124, and the wired terminal 12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12.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he area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user DB 144.

일정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DB(144)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수시로 체크하여 해당 날짜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일정 정보를 단문 메시지 형 태로 전송하며, 일정 정보를 전송하고 나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교환기(112)로부터 수신한 후 이와 사용자 DB(144)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일정 정보에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DB(142)에서 인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한다.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checks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B 144 from time to time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on the corresponding date, and then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12,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B 144 is compared and matched, the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information is fetched from the content DB 142 and moved.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일정 관리 서버(140)는 컨텐츠 제공 서버 그룹(150)의 컨텐츠 제공 서버들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 DB(142)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s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group 150 and stores the content in the content DB 142.

사용자 DB(144)에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일정 정보와 일정이 진행되는 장소, 즉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110)의 지역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일정 정보 및 컨텐츠 정보가 전송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The user DB 144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set by a plurality of users and the area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place where the schedule proceeds,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The phone number of the terminal 100 is stored.

컨텐츠 DB(142)에는 컨텐츠 서버 그룹(150)에서 전송된 컨텐츠 정보가 지역 식별 번호별로 저장되어 있다.In the content DB 142,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server group 150 is stored for each region identification nu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일정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process in which a user registers his / her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 a schedule management serv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urnam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receives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by a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일정 관리 메뉴에 들어가 일정 정보 및 일정 정보가 행해질 위치 정보를 설정한 후 이를 기지국(110) 및 이동 통신 교환기(112)를 통해 일정 관리 서버(140)에 접속하여 전송하거 나 자신의 유선 단말기(122) 또는 전화기(124)를 이용하여 PSTN(120) 및 이동 통신 교환기(112)를 통해 일정 관리 서버(140)에 접속하여 일정 정보 및 일정이 행해질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200).Referring to FIG. 2, a user enters a schedule management menu into his mobile terminal 100, sets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schedule information is to be performed, and then schedules th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12. Ac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via the PSTN 1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12 using its wired terminal 122 or telephone 124. And location information to be scheduled (S200).

이에 일정 관리 서버(140)는 일정 정보를 사용자 DB(144)에 저장함과 더불어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지역 식별 번호를 사용자 DB(144)에 저장한다(S202).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user DB 144 and also stores the regio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DB 144 (S202).

일정 관리 서버(140)는 이와 같은 단계S200, S202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DB(144)에 저장시키고, 수시로 컨텐츠 서버 그룹(150)으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지역 식별 번호별로 컨텐츠 정보를 분류하여 컨텐츠 DB(142)에 저장시킨다.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repeatedly performs such steps S200 and S202 to receive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set by a plurality of users, store them in the user DB 144, and from time to time, contents from the content server group 150.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content DB 142 according to the area identification number.

그런 다음, 일정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DB(144)를 검색하여 임의의 사용자에게 전송될 일정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204).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searches the user DB 144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schedul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ny user (S204).

단계 S204의 판단 결과, 전송될 일정 정보가 있는 경우 일정 관리 서버(140)는 해당 일정 정보를 사용자 DB(144)에서 인출한 후 이를 단문 메시지 형태로 해당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0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4, when there is schedul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retrieves th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user DB 144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user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206).

이후, 일정 관리 서버(140)는 일정 정보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08).Thereafter,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determines whether a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ing the shor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 information (S208).

단계 S208의 판단 결과,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 관리 서버(140)는 일정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10), 단계 S210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종료된 경우 단계 S204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 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확인 메시지의 수신 대기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8, if the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nded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S210), and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nd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10, to step S204. Proceeds to perform the subsequent steps, otherwi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ption waiting time of the confirmation message has elapsed by a predetermined time (S212).

단계 S212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경우 일정 관리 서버(140)는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다시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단계 S208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2,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proceeds to step S206 and again sends a shor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therwise proceeds to step S208 and continues to move.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단계 S208의 판단 결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일정 관리 서버(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기지국(110)의 지역 식별 번호를 이동 통신 교환기(112)에 요청하여 제공받는다(S21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08, when the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transmits the area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110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12. The request is provided (S214).

그런 다음, 일정 관리 서버(140)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지역 식별 번호와 사용자 DB(144)에 저장된 일정이 행해지는 위치 정보, 즉 일정이 행해지는 장소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지역 식별 번호를 비교한다(S216).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transmits the regio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confirmation mess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chedule is stored in the user DB 144, that is,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 where the schedule is performed. Compare the area identification number of (S216).

단계 S216의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일정 관리 서버(140)는 단계 S214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기지국의 지역 식별 번호를 갖고 일정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DB(142)에서 인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1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6, if there is a mismatch,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proceeds to step S214 and performs the subsequent steps. Otherwis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carries the regio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and provides th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 with the content DB 142. Withdraw from and transmit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18).

예를 들어, 일정이 고객과의 점심 약속인 경우 일정 관리 서버(140)는 기지국의 지역 식별 번호를 갖는 컨텐츠 정보들 중 음식점에 관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the schedule is a lunch appointment with a customer,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140 extracts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restaurant from among the content information having the regio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이러한 컨텐츠 정보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 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Such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과 위치 정보를 등록한 후 해당 시간에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일정을 행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gistering schedule and location information, not only the schedu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at a corresponding time, but also the cont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performing the schedul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과 위치 정보를 등록한 후 해당 시간에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일정을 행하는 사용자에게 일정에 필요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rovid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user at a corresponding time after registering the schedule and location information, but also provide convenience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he user who performs the schedule,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

Claims (10)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의 일정을 관리해주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managing a schedule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임의의 사용자가 일정 정보 및 상기 일정이 행해지는 위치 정보가 설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일정 관리 서버에 전송할 때마다 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Receiving and registering whenever any user sets schedu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schedule is performed and transmits it to a schedul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일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일정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와,Notifying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Compar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정 정보에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Extracting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및 일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로 상기 일정 관리 서버에 전송되거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일정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loc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voice call using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less Internet. W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및 일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유선 단말기 또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설정되어 상기 일정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loc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is set using a wired terminal or a telephone of the user and is transmit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정 정보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schedule informa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the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notifi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일정 정보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응되는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 통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And the schedule information is repeatedly notified until a confirm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hort message is receiv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및 일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정보가 통보되는 유효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setting of the loc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may include setting a valid time at which the schedule information is notifi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유효 시간은, 고정 시간이나 소정의 범위를 갖는 시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effective time is a time domain having a fixed time or a predetermined range,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일정에 따라 해당 위치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부하는 단계The transmitting of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may include sen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arrived at a corresponding location according to a sche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message is a short message or a voice message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내용과 연관성을 갖는 상기 위치 내의 컨텐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일정 관리 방법.The content information is location-base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nformation in the location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KR1020050075812A 2005-08-18 2005-08-18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eased KR200700215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12A KR20070021515A (en) 2005-08-18 2005-08-18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12A KR20070021515A (en) 2005-08-18 2005-08-18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15A true KR20070021515A (en) 2007-02-23

Family

ID=4365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812A Ceased KR20070021515A (en) 2005-08-18 2005-08-18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515A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309A (en) * 2000-02-24 2001-09-06 김세권 Internet Service System For Informing A Memorial Day.
JP2002112343A (en) *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Portable terminal and data notice method
JP2003032721A (en) * 2001-07-03 2003-01-31 Nortel Networks Ltd Position and event trigger type of notification service
KR20030021502A (en)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큐서베이 System for proving added information related to a memorial day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56445A (en)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sending message alarming the appointed time and position
JP2004334305A (en) * 2003-04-30 2004-11-25 Fujitsu Ltd E-mail device and information addition program
KR20050010199A (en) * 2003-07-18 2005-01-27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A Refiner for Manufacturing High Refinement Glass
KR20050037665A (en)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KR20050045465A (en) * 2003-11-11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ation based alarm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223782A (en) * 2004-02-09 2005-08-18 Nec Access Technica Ltd Mobile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309A (en) * 2000-02-24 2001-09-06 김세권 Internet Service System For Informing A Memorial Day.
JP2002112343A (en) *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Portable terminal and data notice method
JP2003032721A (en) * 2001-07-03 2003-01-31 Nortel Networks Ltd Position and event trigger type of notification service
KR20030021502A (en)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큐서베이 System for proving added information related to a memorial day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56445A (en)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sending message alarming the appointed time and position
JP2004334305A (en) * 2003-04-30 2004-11-25 Fujitsu Ltd E-mail device and information addition program
KR20050010199A (en) * 2003-07-18 2005-01-27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A Refiner for Manufacturing High Refinement Glass
KR20050037665A (en)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KR20050045465A (en) * 2003-11-11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ation based alarm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223782A (en) * 2004-02-09 2005-08-18 Nec Access Technica Ltd Mobile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7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6935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forwarding of communication services
US200801882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88187A2 (en) Mobile communications subscriber profile matching system
CN1011032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determination of a wireless device within an environment
CN10139362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rompts in a portable device
JP2008097365A (e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2217380A (en) Bypassing enhanced services
JP2011501883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a zone related call
JP2003116169A (e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15677A (en) Virtual Phone Number Service System and Method
US8000678B1 (en) Information provisioning for emergency calls
KR20080043108A (en) Reserv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KR20070021515A (en) Location-based Schedu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98978B1 (en) Speed Dial System and Method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020008970A (en) Method for management of schedul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US823827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5309524A (en) Application server,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20060117851A (en)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pla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20110000822A (en) Method for providing address book update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JP5735359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KR101167059B1 (en) Method for provi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06178525A (en) Reservation system, reservation program and operation method of reservation system
KR20060071445A (en) Location-based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for same
JP2000201377A (en) Narrow area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