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731A - How to link user defined keyword with name server - Google Patents
How to link user defined keyword with name ser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57731A KR20060057731A KR1020040096764A KR20040096764A KR20060057731A KR 20060057731 A KR20060057731 A KR 20060057731A KR 1020040096764 A KR1020040096764 A KR 1020040096764A KR 20040096764 A KR20040096764 A KR 20040096764A KR 20060057731 A KR20060057731 A KR 20060057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alias
- site
- login
- inter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1/302—Administrative registration, e.g. for domain names at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도하는 방식의 키워드 명명 방법과 외부의 네임 서버 키워드 연동 및 자동로그인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별칭 서비스 또는 키워드 서비스 제공회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공된 별칭의 정의를 통해서 웹 사이트를 접근하는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웹 사이트의 URL이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별칭을 자신이 직접 정의하며 이러한 자신의 정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네임 서버의 키워드 연동에 관한것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인터넷 단말기에 별칭 처리 프로그램을 설치하며 사용자의 웹 사이트 별칭에 대한 정의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DB의 형태로 저장되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액세스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문자열을 끌어와서 사용자가 정의한 별칭 DB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며, 여기에 해당 문자열이 없을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네임서버의 DB에서 별칭을 검색하는 과정을 거치며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사용자의 별칭에 대응하는 URL 또는 IP주소를 찾으면 사용자의 입력 문자열을 검색된 해당 URL 또는 IP 주소로 치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의에 의해 인터넷을 접근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향후 방문할 웹 사이트들에 대해 사용자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는 1단계, 사용자의 정의를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DB 형태로 저장하는 2단계, 자신의 정의를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 별칭 DB에 없는 키워드에 대해 외부의 네임 서버가 제공하는 키워드 데이타를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자신에게 맞게 웹 사이트에 대한 별칭의 정의를 사용자가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포함하며 또한 사용자 별칭에 의한 웹 사이트 접근과 자동로그인 기능을 결합하여 웹 사이트 접속과 동시에 해당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별로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한 사이트 정보,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및 사이트에서 필요시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서 비밀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정보를 인터넷 상에 연결된 로그인 포탈 시스템에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이트에 접근함으로써 복수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각각의 사이트마다 매번 단순 반복적인 로그인 정보 입력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미리 로그인 포탈 시스템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의해 원클릭으로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로 빠르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고 또한 다른 사이트로의 전환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로그인 포탈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과 기능 수행을 처리하는 웹 서버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로 구성되며 기능 수행 단계로는 신규 사용자가 가입하여 사용자 정보와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와 해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1 단계, 로그인 포탈 시스템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이트들을 로그인 포탈 시스템이 나열해주는 2 단계,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사이트를 선택했을 때 로그인 포탈 시스템이 사용자가 선택한 사이트로의 로그인 작업과 화면 전환을 수행해주는 3 단계를 포함하며 로그인 포탈 시스템과 사용자 별칭에 의한 웹 사이트 접속을 동 시에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driven method of keyword naming and external name server keyword interworking and automatic login, and accesses a web site through the definition of an alias provided unilaterally by an existing alias service or a keyword service provider. Unlike the method, the user directly defines an alias corresponding to the URL, domain name, or IP address of the website, and supports the user to access the Internet by using this definition and the keyword server of the name server. In order to use this method, a user installs an alias processing program on his or her internet terminal, and the definition of the user's web site alias is defined in the DB on the user's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by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Stored in the form of an alias processing program From the user's terminal, the user inputs the string entered to access the Internet and searches the alias DB defined by the user first.If the string does not exist, the alias is searched from the DB of the name server specified by the user. When the search process finds a URL or IP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user's alias, it replaces the user's input string with the searched URL or IP address to support access to the Internet by the user's definition. Step 1 to define user's own alias for web sites to visit, Step 2 to save user's definition in DB form on user's Internet terminal or external server, update, add, delete It includes three steps that do not exist in the user alias DB It includes a method and system that supports the user to lead the definition of the alias for the website for each user by using keyword data provided by an external name server for the keyword. Site information, login ID, password, and social security number and certificate password if required by the site to combine the site access and automatic login function to log in to the web site at the same time as the web site access. By storing the login information including the database as a database in a login portal system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ccessing each site using the same, a user who uses multiple sites does not go through a simple repetitive login information input procedure for each site. In order to quickly access the desired information and to quickly switch to another site while logged in to the site with one click by the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in advance in the login portal system, the login portal system uses the user interface screen. It consists of a web server that handles the provisioning and functioning, and a DB server that stores the user's information.As a function performing step, a new user joins and enters user information, the site they frequently use, and login information for the site Step 1 to save; Step 2 to list the sites entered by the user using the user information entered in the login portal system; Step 2 when the user selects a site to be moved. Login operation and before screen It includes three steps to perform the conversion, including simultaneously accessing the website by the login portal system and user alias.
도메인 이름, 별칭, 키워드, 로그인, 네임 서버Domain name, alias, keyword, login, nameserver
Description
도 1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한 별칭 처리 프로그램가 사용자 별칭 DB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사용자가 정의한 해당 도메인 이름으로 치환하여 인터넷을 접근하는 것을 보여주는 전체적 구성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an alias processing program located in a user terminal accesses the Internet by replacing an alias input by a user with a corresponding domain name defined by a user using a user alias DB.
UC : 별칭 처리 프로그램UC: alias processing program
UD : 사용자 별칭 DBUD: user alias DB
WB : 인터넷 툴
WB: Internet Tools
도 2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의 기능을 순서도로 나타낸 그림이다. 우측의 단계들은(st30, st40, st50) 사용자 별칭 DB의 구성과 추가, 삭제, 변경에 관한 동작을 보여주며 좌측의 단계들은(st60, st70, st80, st90, st100, st110, st120, st130, st140) 사용자 별칭 DB를 이용하여 인터넷 툴 또는 웹 브라우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에 대한 처리를 보여준다.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function of an alias processing program. The steps on the right (st30, st40, st50) show the configuration, add, delete, and change of user alias DB, and the steps on the left (st60, st70, st80, st90, st100, st110, st120, st130, st140 ) Shows the processing of user's input string entered in internet tool or web browser using user alias DB.
도 3은 도 1의 전체 구성도를 세분화하여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며 사용자 별칭 DB(UD)가 사용자의 단말기(UT)에 위치하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
FIG. 3 is an example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in detail, and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the user alias DB UD is located in the user terminal UT.
도 4은 도 1의 전체 구성도를 세분화하여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며 사용자 별칭 DB(UD)가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
FIG. 4 is an example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in detail,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user alias DB (UD) is located at an external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도 5는 사용자 별칭 DB(UD)는 사용자 단말기(UT)에 위치하고 사용자 별칭 DB에 없는 입력문자열에 대해 외부의 네임 서버 DB를 추가로 검색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
FIG. 5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the user alias DB UD can additionally search an external name server DB for an input string located in the user terminal UT and not present in the user alias DB.
도 6은 사용자 별칭 DB(UD)가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별칭 DB에 없는 입력문자열에 대해 외부의 네임 서버 DB를 추가로 검색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
FIG. 6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an external name server DB can be additionally searched for an input string not included in the user alias DB in a state where the user alias DB (UD) is located at an external server.
도 7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하였을 때 해당 문자열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처리하여 별칭에 대응하는 URL로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주는 동작을 보여준다.
FIG. 7 illustrates an operation of driving a web browser by replacing a string with a URL corresponding to the alias when the user inputs a string in a web browser address input window.
도 8은 사용자가 별칭을 정의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의 별칭 정의 버튼 - 도 8에서는 키워드정의 버튼 - 을 클릭하는 것을 보여주는 STEP 1과, 이에 따라 사 용자에게 팝업되는 다이얼로그 박스에 의해 사용자 해당 웹 사이트를 자신이 사용할 별칭으로 입력하는 STEP 2를 보여준다.
FIG. 8 shows a user clicking his / her own web site by using a dialog box popped up to the user, and
도 9는 사용자가 자신이 편집기를 이용하여 직접 사용자 별칭 DB를 추가, 삭제, 변경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STEP 3가 보여지며 그림은 기존에 m 이라는 별칭과 http://www.metanav.co.kr 이라는 URL의 쌍으로 저장된 별칭 레코드에서 사용자가 "m" 이라는 별칭을 "메" 라는 별칭으로 변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FIG. 9 shows
도 10은 사용자 별칭 DB가 외부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에게 저장된 별칭 정의를 하이퍼 텍스트로 제시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별칭 정의가 문자열 대신 하이퍼 텍스트 클릭에 의해 입력되고 구동되는 실시예의 하나이다.
FIG. 10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alias DB is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and presents the alias definition stored to the user in hypertext, and the alias definition of the user is input and driven by clicking the hypertext instead of a string.
기존에는 키워드 서비스 회사가 도메인 이름을 닷 네임 표기 방식 대신에 표지어 형태로 별칭을 정하고 사용자가 별칭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해당 별칭에 대응되는 URL 또는 IP 주소로 변환하여 포워딩 해주는 방식의 서비스 회사 주도형 키워드 서비스 방식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포워딩 방식으로 사용되는 키워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키워드를 별칭이라고 명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별칭 서비스 회사가 주도하는 키워드 주소 서비스 방식은 별칭과 대응되는 URL 또는 IP주소를 서비스 업체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방식이어서 사용자가 기대하는 사이트로 연결되지 않거나 별칭과 무관한 사이트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키워드 서비스 회사가 정의한 이름이 길어도 모두 그대로 타이핑해야만 해당 사이트로 접근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는 별칭으로 연결되는 사이트가 실제 자신이 접근하고자 의도했던 사이트인지 여부를 실제연결이 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keyword service company sets domain name as cover letter instead of dot name notation method, and user enters alias into address box and converts forwarding by converting URL or IP address corresponding to corresponding alias. There was a way of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keyword in a keyword service used in such a forwarding method is called an alias. However, the existing keyword address service method led by the alias service company is a method of unilaterally determining the URL or IP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alias, so that the user does not connect to the site that the user expects, or to an unrelated site. There is this. In addition, even if the name defined by the keyword service company is long enough for the sites that users frequently use, they can only be accessed by typing the same name, and whether the site linked to the alias entered by the user is actually the site he intended to acces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you do not know until the actual connection.
별칭은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정의되어야 하지만 서비스 업체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편리보다는 서비스 업체의 사업 목적에 기인한 것이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별칭들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별칭은 사용자가 별칭으로 방문하여 사용자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마다 사용 빈도가 높은 별칭은 개개인마다 다르며 공통으로 주로 사용하는 별칭은 금융기관, 관공서, 주요 검색엔진과 포탈사이트 정도로 등록된 전체 별칭에 대해 극히 일부라고 할 수 있으며 키워드 주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별칭과 실제 웹 사이트와의 연관성, 해당 페이지의 유해성 여부를 검증하지 않고 등록하는 경우에는 일반 사용자가 그대로 이용할 때 피해나 별칭과 관련된 각종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Aliases should be defin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ut the one-sided scheme of the service provider is due to the business purpose of the service company rather than the user's convenience,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are many aliases that are not verifi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n addition, the alias that is mainly used by each user is repeatedly used by the user after the user visits the alias and confirms that the user is directly connected. The aliases that are used frequently by users vary from person to person. Commonly used aliases are only a fraction of the entire aliases registered for financial institutions, government offices, major search engines, and portal sites. If you register without ver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lias and the actual web site and the harmfulness of the page, it may cause damages or various disputes related to the alias when the general user uses it.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이고 또한 사용자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사용자가 기억하고 표기하기 쉬운 사용자 중심의 별칭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needs to increase the connectivity to the site he wants, and user-centered aliases that are easy for the user to remember and mark for sites that the user frequently uses, and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helps the user. This is to suggest a way of becoming.
또한 현재 인터넷상에 많은 포탈 사이트들이 존재하는데 이들 사이트는 검색 엔진, 이메일, 전자상거래 등 각각의 전문화된 기능들이 있기에 인터넷 사용자들은 하루에도 여러 번씩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가장 알맞은 사이트로 화면을 이동하고 로그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명의 사용자가 이들 각각의 사이트들에서 서로 다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 매번 각각의 사이트에 대한 비밀번호와 아이디를 따로 기억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 경우 개별 사이트들에 대한 로그인 화면을 거쳐야 하므로 인터넷 주소 입력과 화면이동, 로그인 정보 입력에 따른 수고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정보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드폰이나 이메일 등을 통한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In addition, there are many portal sites on the Internet, and these sites have specialized functions such as search engines, e-mail, and e-commerce, so that Internet users can move to the site most suitable for their needs several times a day. You must go through the login process. If a user has different IDs and passwords at each of these sites, it is inconvenient to remember the password and ID for each site separately. In this case, you have to go through login screens for individual sites, so it takes time and effort to enter an internet address, move screens, and enter login information. Also, if you can't remember the login information for a site you don't use often, you may have to go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your phone or email.
이러한 기존의 로그인 방식과 로그인 정보를 분실했을 때 회복시켜주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특히 많은 사이트(S606, S608, S610)에 가입한 사용자일수록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또한 매번 로그인 절차에 따른 시간과 노력으로 인한 근본적인 불편사항은 각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마다 감수해야 하는 것이었다. 또한 컴퓨터 키보드에 비해 문자 입력이 비교적 불편한 양방향 TV, PDA, 휴대폰, 기타 인터넷과 연결된 신용카드를 비롯한 각종 단말기들를 이용하여 개별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등 로그인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더 소요된다.
The existing login method and a method of recovering when the login information is lost are inconveni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especially for users who have subscribed to many sites (S606, S608, S610), and the time and time required for each login procedure. The fundamental inconvenience caused by the effort was the cost of logging in to each site. In addition, when accessing individual sites us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interactive TV, PDA, mobile phone, and internet-connected credit card, which are relatively inconvenient to enter text, it takes time for login process such as ID and password input for login. And more effort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서비스 업체 중심의 별칭 정의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액세스 방식을 따라야 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사이트 또는 향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웹 사이트의 URL 또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별칭의 정의를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고 저장하며 이를 인터넷 접근시에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를 정의함에 있어서 간단한 준비작업으로 별칭을 정의하여 이를 향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마다 언어, 문자, 지역적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칭을 정의하는 문자 코드에 의한 제약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용자 개개인의 개별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기존의 인터넷 주소 체계 및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표준에 접목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인터넷 툴의 동작에 변경을 주지 않고 사용자의 별칭에 대한 정의와 개인적 특성이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following an existing service provider-oriented alias definition and a method of access by a service provi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RL or a URL of a web site that is expected to be visited by a user. The user must define and store the definition of the alias corresponding to the IP address and make it available for Internet access. In addition, in defining a site that i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the user should be able to define an alias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Also, different languages, characters, and local characteristics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Therefore, in order to accommodate such differences, constraints on character codes defining aliases should be minimiz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can be reflected, and at the same time can be applied to the standard of the existing Internet address system and interface, and the defini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lias without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user's Internet tools. This should be applicable.
또한 사용자별로 자신들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정보를 인터넷 상에 연결된 로그인 포탈 시스템의 DB 서버(S602) 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이트를 액세스함으로써 복수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반복적인 로그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빠르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하며 현재 액세스 하는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의 전환 또한 로그인 정보의 입력 절차를 사용자가 하지 않고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게 전환 될 수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a user who uses a plurality of sites by storing login information including a login ID and a password for a site frequently used by each user in a DB server (S602) of a login portal system connected on the Internet, and accessing each site using the same. Users should be able to access the information they want quickly without repeating the login process. Switching from the currently accessed site to another site also inputs the user in advance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without the user entering the login informa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convert quickly us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명칭에 있어서, 특정한 웹 사이트를 한정하기 위하여 도메인 이름, URL, IP 주소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명칭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인터넷 주소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별칭과 키워드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인터넷 툴이라 함은 인터넷과 연결된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웹 브라우저가 대표적이며 메신저, 티커(Ticker), 이메일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검색 툴바는 물론 인터넷을 통해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무자동화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인터넷을 통해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인터넷 툴 이라는 용어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In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names such as domain name, URL, and IP address are used to limit a specific web si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ternet address" is used as a term for these names, and aliases and keywords are used in the same sense. In addition, the Internet tool refers to software that is operated through the Internet on a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A representative web browser is a messenger, ticker, email client software, search toolbar, and a tool that can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Internet. Internet software is defined as any software that includes software for office automation and that can send and receive data over the Interne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발명의 전체적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의 하나이다.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인터넷을 액세스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과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정의를 저장하는 사용자 별칭 DB(UD)와 함께 웹 브라우저(WB)와 사용자 별칭 DB(UD)의 사이에서 입력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수행하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존재한다. 단순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URL 또는 IP 주소를 필요로 하는 인터넷 툴을 통칭하여 WB 라고 표현하며 인터넷 툴 또는 웹 브라우저에 대해 웹 브라우저 라고만 표기한다. 이를 항목별로 설명하면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은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며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을 대기하고 있다가 입력된 문자열이 URL 인 경우에는 처리를 하지 않으며 URL이 아닌 경우에는 별칭으로 판단하여 별칭에 대응되는 URL을 사용자 별칭 DB와 네임서버의 DB에서 순서대로 검색한다. 입력된 문자열을 검색 결과로 나온 URL로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으로 리턴한다. 또한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은 사용자의 별칭 정의를 위한 처리 부분도 가지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현재 방문중인 웹 사이트에 대해서 자신이 별칭을 정의하려고 한다면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현재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별칭 정의 추가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게 한다.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이 그 자체로서 별칭과 별칭에 대응하는 URL이나 IP 어드레스 또는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하이퍼 텍스트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입력문자열에 대한 검색이나 치환의 필요가 없고 단지 제공된 하이퍼 텍스트에 링크된 최종 주소로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을 구동시켜 주게 된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erminal has a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for accessing the Internet and a user alias DB (UD) that stores the user's definition of the website, between the web browser (WB) and the user alias DB (UD). There is an alias processing program (UC) that searches and replaces input strings.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Internet tool that requires a URL or IP addres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B, and the web tool is referred to only as a web browser. Explaining this item by item,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works with the web browser and waits for the user's input string in the web browser address bar. If the input string is a URL, it is not processed. Search for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alias in the user alias DB and the DB of the name server. Replace the entered string with the URL from the search result and return it to the web browser address bar.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also has a processing portion for defining aliases of users. If a user wants to define an alias for the web site he is currently visiting, the user interface can be added, changed or deleted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If the input string of the user input from a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itself has an alias and a URL or IP address or domain name corresponding to the alias, for example in the case of hypertext, There is no need for a search or replacement, and it just launches a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with the final address linked to the provided hypertext.
도 2에서는 이러한 처리를 순서도로써 표시하고 있다. 별칭에 대한 정의를 입력받 고 저장하고 변경 또는 삭제하는 루틴이 st30, st40, st40에 표시되어 있으며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부터 입력된 문자열을 끌어와서 사용자 별칭 DB(UD)를 검색하고 외부의 네임 서버 DB를 검색하여 검색된 URL 이나 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중의 하나로 치환하여 이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에게 리턴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을 구동시키는 루틴이 st60, st70, st80, st90, st100, st110, st120, st130, st140에 나타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이 정의하지 않은 별칭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외부의 네임 서버를 지정하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은 입력문자열이 사용자 별칭 DB(UD)에 없는 경우에는 외부의 네임 서버의 별칭 DB를 통해 입력문자열을 추가로 검색할 수 있다. 외부의 네임 서버를 통해서 별칭을 검색하고 입력된 문자열을 치환해주는 사항 자체는 이미 본 발명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명세는 본 발명에서 다루지 않으나 다만 사용자 별칭 DB(UD)에 없으나 사용자가 외부의 네임 서버를 지정한 경우에는 공지된 기술을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In Fig. 2, this process is indicated by a flowchart. Routines for getting, saving, changing, or deleting alias definitions are shown in st30, st40, and st40. You can retrieve the user alias DB (UD) by dragging the input string from a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Routing the external name server DB to one of the searched URL, IP address or domain name and returning it to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the routine to run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is st60, st70, It is shown in st80, st90, st100, st110, st120, st130, and st140. If the user wants to use a definition for an alias that he or she does not define, specify an external name server. If the input string is not in the user alias DB (UD), the alias DB of the external name server is specified. You can search further through the input string. Searching for an alias through an external name server and substituting the input string itself are already known techniques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detailed specification thereof is not cov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user alias DB (UD) is not present but the user If you specify a name server, you can further combine known technologies.
도 3에서는 도 1의 구성도에서 사용자 별칭 DB(UD)를 사용자의 단말기(UT)에 위치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도 1의 구성도에서 사용자 별칭 DB(UD)를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게 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4의 차이점은 사용자 별칭 DB(UD)가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있는가 또는 외부의 서버에 있는가의 차이일 뿐이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있을 경우의 장점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별칭에 대한 URL, 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을 바로 구해서 웹 브라우저 또 는 인터넷 툴(WB)을 구동시키므로 접속속도가 외부의 서버를 거치는 경우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단점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 공간 및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므로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제약이 있는 핸드폰이나 PDA의 경우에는 도 4의 구성이 보다 합리적이다. 그러나 접근을 위한 대기 시간은 도 3보다 떨어진다.
3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alias DB UD is located in the terminal UT of the user in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alias DB (UD) is located in an external server in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The difference between FIG. 3 and FIG. 4 is only a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user alias DB (UD) is in the user terminal or in an external server. However, the advantage of being inside the user terminal is that the user can get the URL, IP address or domain name of the alias directly from the user terminal and run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Is the poin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storage terminal and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is required in the user terminal, so the configuration of FIG. However, the waiting time for access is lower than that in FIG.
도 5의 구성도는 사용자 별칭 DB(UD)는 사용자 단말기(UT)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네임서버를 지정하여 사용자 별칭 DB(UD)에 없는 별칭에 대해 네임 서버의 별칭 DB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도 6의 구성도는 사용자의 별칭 DB(UD)가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며 사용자 별칭 DB(UD)에 없는 별칭에 대해 네임 서버의 별칭 DB를 이용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5의 구성은 도 3의 구성에 네임 서버를 추가한 것이며 도 6의 구성은 도 4의 구성에 네임 서버를 추가한 것이다. 여기에서 외부의 서버는 사용자의 별칭 DB(UD)를 저장하는 역할과 네임 서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의 서버를 이용하면서 별도의 외부의 네임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도는 여기에 제시된 것 이외에도 얼마든지 더욱 세분화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자 별칭 DB(UD)가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위치하는가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가 여부 및 사용자가 2차적 별칭의 검색 및 이용을 위하여 네임 서버를 지정하였는지 혹은 지정하지 않았는지의 차이에 의해 세분화된 구성도이다.
5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alias DB (UD) is located in the user terminal (UT) and allows the user to use the alias DB of the name server for an alias not present in the user alias DB (UD) by designating a name server. . 6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lias DB (UD) of a user is located in an external server and uses an alias DB of a name server for an alias not in the user alias DB (UD). The configuration of FIG. 5 adds a name server to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d the configuration of FIG. 6 adds a name server to the configuration of FIG. 4. Here, the external server can perform the role of storing the user's alias DB (UD) and the name server at the same time, and can use a separate external name server while using the external server. As such, the configuration diagram can be further subdivided in addition to the ones presented here, but basically, whether the user alias DB (UD)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searches for and uses the secondary alias. For this purpose, the configuration is broken down by the difference between specifying a name server or not.
순서도 1에 의한 전체적 구성과 순서도 2에 의한 전체적 처리 흐름에 의해 본 발명 의 기본 사상을 웹 브라우저에 적용하면 도 7과 같은 실시예가 나온다. 웹 브라우저에 입력된 사용자의 별칭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끌어와서(Hooking) 사용자 별칭 DB(UD)에서 검색한 이후 검색된 문자열로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에게 리턴함으로써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별칭으로 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웹 사이트를 접근할 수 있게 해 준다.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면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면서 사용자의 입력 문자열을 대기하다가 이에 대한 별칭의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별칭에 대한 정의를 추가, 변경, 삭제하려고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호출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화면에 대한 URL과 함께 사용자의 별칭에 대한 정의를 받아들이고 변경, 삭제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은 프로그램의 구현에 달린 사항이며 첨부된 그림에 나와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하나이다.
When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eb browser by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자신이 기억하고 입력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해당 사이트를 접근하고자 하는데 것으로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들에 대해 사용자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는 1단계, 사용자가 정의한 내용을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기나 외부의 서버에 DB 형태로 저장하는 2단계, 자신의 정의를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하는 3단계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ants to access the site by defining aliases that are easy to remember and enter for the sites that he frequently uses. For this purpose, the user himself uses the Internet addresses that he frequently uses. It consists of 1 step of defining aliases that are easy to use, 2 steps of saving user definitions in the form of DB on the user's Internet terminal or external server, and 3 steps of updating, adding, or deleting their definitions.
상기의 1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접근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별칭을 정의한다. 도메인 이름을 닷 네임 방식으로 적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별칭을 매핑 시킨다. 이러한 사용자의 정의는 하나의 사이트에 대해 여러 개의 중복된 정의를 만들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the alias is defined for the sites that the user frequently accesses as follows. Write down the domain name in dot name format and map the user defined alias. These user definitions can create multiple duplicate definitions for a site.
인터넷 주소 사용자가 정의한 별칭Alias defined by Internet address user
------------------------------------------------------------------------------------------------------------------------------ --------------------------
http://www.kipo.go.kr 특 (예)http://www.kipo.go.kr Special (example)
http://www.kipo.go.kr 1 (예)http://www.kipo.go.kr 1 (Yes)
http://www.metanav.co.kr m (예)http://www.metanav.co.kr m (example)
http://www.metanav.co.kr 메타냅 (예)http://www.metanav.co.kr meta-nap (example)
http://www.yahoo.co.kr y (예)http://www.yahoo.co.kr y (example)
http://www.kbstar.co.kr kb (예)
http://www.kbstar.co.kr kb (example)
이상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는 하나의 사이트에 대해 여러가지의 별칭으로 표현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표현하는 별칭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모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가능하다. 특히 PDA나 핸드폰으로 인터넷을 접근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이와 같이 자신이 입력하기 쉬운 축약형 이름으로 정의하여 접근하는 것은 입력이 불편한 단말기에서는 더욱 효과적인 표기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사이트 에 대해 여러가지의 별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칭을 이와 같이 정의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상태에서, 방문중인 사이트에 대해 별칭을 정의하기 위하여 별칭 정의용 툴 또는 편집기를 열고 현재 방문 중인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별칭을 별칭 정의용 툴 또는 편집기에 입력함으로 해당 사이트에 대한 별칭을 정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사용자 별칭 DB(UD)에 대한 편집기를 통하여 별칭에 대한 정의를 입력할 수 있다. 편집기를 통한 별칭의 정의는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대해 익히 URL이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를 알고 있을 때 보다 바람직한 방식이다.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xpress and define various aliases for a single site. The alias can be expressed by any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that the user can input. In particular, when a user wants to access the Internet using a PDA or a mobile phone, the user may define a short name that is easy to input by the user. You can also define multiple aliases for a site. When a user wants to define an alias like this, when a user visits a specific website with a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he opens a tool or editor for defining aliases to define the alias for the site being visited. For the website you are visiting, you define the alias as an easy-to-use alias to define the alias for the site by entering the alias into the tool or editor for alias defini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enter the definition of the alias through the editor for the user alias DB (UD) without directly visiting the site. Defining aliases through the editor is more desirable when the user knows the URL, domain name, or IP address for the site.
2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정의한 사용자의 별칭 리스트를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있는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상적인 것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별칭 리스트를 DB로 저장하는 것이지만 사용자 단말기의 기기 특성상 사용자의 단말기에 직접 저장이 어렵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데스크탑에서 작성한 이들 별칭 DB(UD)를 자신의 핸드폰이나 PDA에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칭 DB(UD)를 외부의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2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별칭 및 이에 대응하는 특정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별칭 DB에 개별적 별칭 레코드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사용자 별칭 DB를 연결하는 단계와 입력된 별칭과 방문중인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에서 어느 하나와 쌍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In the second step, the alias list of the user defined in the first step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of the user's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Ideally, the alias list i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as a DB.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device, it is difficult to save it directly on the user's terminal, or the user can use these alias DBs (UD) that he / she created on his / her desktop in his mobile phone or PDA If you want to use it, you can save and use alias DB (UD) in an external server. In the second step, the user adds the user's alias and the corresponding web site's domain name, IP address, or URL as an individual alias record in the user's alias DB.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connects the user alias DB. And storing the paired pair with either the input alias and the domain name, IP address, or URL of the web site being visited.
3 단계에서는 자신의 정의를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하는 사항이며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나 사이트의 내용이 변경 되었거나 또는 자신이 사용하는 별칭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에 이를 사용자 자신이 정의했던 별칭 DB(UD)에서 변경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버튼의 클릭이나 하이퍼 텍스트로 표시된 편집기의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별칭 DB(UD)에 대한 편집기를 열어주는 단계와 사용자 별칭 DB(UD)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별칭 DB를 화면에 출력해 주는 단계와 사용자가 사용자 별칭 DB에서 특정 항목의 별칭 레코드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변경 또는 삭제된 내용을 사용자 별칭 DB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편집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별칭을 삭제, 변경하는 것 뿐만아니라 새로운 별칭 정의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상기의 1 단계와 3 단계를 위한 인터페이스로는 마우스 클릭 메뉴에 별칭 DB(UD) 갱신에 대한 메뉴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을 하여 나타난 사이트의 주소와 설명에 대해 마우스 클릭으로 해당 내용을 가져와서 편집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에디터를 이용하는 방법, 여러 개의 리스트를 준비해서 열거한 이후 이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입력방식이 제공된다.
As the interface for
상기의 작업 단계들 이외에 실제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 창에 문자열을 입력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UC)라고 칭한다.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조회하는 사용자 별칭 DB는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위치한다. 별칭 처리 프로그램(UC) 프로그램은 사용자로 부터 입력된 문자열을 받아들여서 별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별칭 DB(UD)와 네임서버의 DB 순서로 검색을 실시하여 입력된 별칭에 대응되는 URL 주소를 검색하여 입력 문자열을 검색된 URL로 치환하여 리턴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steps, a program is needed to handle the actual user inputting a string in the Internet address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rogram is called an alias processing program (UC).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is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alias DB searched by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is located in the user's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program accepts the string input from the user,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alias, searches the user alias DB (UD) and the name server's DB in order and searches for the UR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alias. Returns a string replaced with the retrieved URL.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역할은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 창에 입력한 문자열이 닷 네임 표기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이며 닷 네임이 아닌 경우 이를 별칭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사용자 별칭 DB(UD)에서 해당 별칭에 대응되는 도메인 이름을 조회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주소 창에 치환해주는 것이다. 닷 네임에 의한 표기에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치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역할은 단지 문자열의 치환 작업이므로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를 별칭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The role of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is whether the string entered in the Internet address window is by dot name notation. If it is not the dot name, the alias is determined as an alias and the alias is defined in the user alias DB (UD) defined by the user. It searches for the domain name corresponding to and replaces it in the user's Internet address window. The notation by dot name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of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and the role of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is only a substitution operation of a string, so aliasing a site desired by the user without affect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be accessible.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역활에서 치환이라함은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이 키워드였을 때 해당 키워드와 대응된 URL을 먼저 사용자가 정의한 DB에서 검색하여 있는 경우 해당 URL로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나 인터넷 툴로 넘겨주 며 만약 사용자가 정의한 DB에 없을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네임서버에서 입력문자열로 들어온 키워드에 대응되는 URL로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나 인터넷 툴로 넘겨주는 동작이다.
Substitution in the role of alias processing program (UC) means that when the string entered in the internet address bar is a keyword, if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is searched in the DB defined by the user first, the URL is converted into the corresponding web browser or If it does not exist in the DB defined by the user, it converts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entered as an input string from the name server specified by the user and passes it to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클라이어트 프로그램이 읽어와서(Hooking), 닷(.)이 없으면 키워드로 판단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URL을 DB에서 검색한다. 닷(.)이 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은 URL과 키워드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의 한가지 예이며 이것은 본 발명의 청구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한글코드를 사용하는 한글.com 이 도메인 이름 표준 방법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기에 이러한 환경에서는 한글코드의 포함여부만으로는 즉시 키워드라고 판단할 수 없으며 닷(.)의 포함여부가 키워드인지 URL인지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이므로 단지 키워드 판별방식의 한가지 예로써 제시되었을 뿐이다.
The client program reads the character string entered by the client, and if there is no dot (.), It determines that it is a keyword and searches the DB for a URL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dot is one example of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URL from a keyword,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ntly, Hangul.com, which uses Hangul code, is used as one of the domain name standard methods. Therefore, in this environment, whether or not the Hangul code is included can not be immediately determined as a keyword. Since it is one of the methods, it is merely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keyword discrimination method.
검색과정은 우선적으로 사용자가 정의해 둔 키워드 DB에서 해당 문자열이 있는지를 먼저 검색하며 해당 문자열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URL로 변환하여 인터넷 툴의 주소창으로 리턴한다. 만약 사용자가 정의해 둔 DB에 해당 문자열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해 둔 네임서버의 DB에서 해당 문자열을 검색하여 해당 문자열에 대응되는 URL로 변환하여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으로 URL을 리턴한다. 즉, 사용자가 인터넷 웹사이트를 액세스하는 과정에서의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하는 역활이란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에 닷(.)이 없는 경우 이를 키워드라 판단하여 사용자의 키워드 DB 와 네임서버의 키워드 DB에서 검색을 실행하며 대응되는 URL로 변환하여 인터넷 툴로 리턴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URL을 리턴받은 웹 브라우저는 웹 브라우저의 동작 방식에 변화없이 입력받은 URL을 그대로 처리하여 인터넷을 액세스한다.
The search process first searches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string in the keyword DB defined by the user, and if the string exists, converts it to the corresponding URL and returns it to the address bar of the Internet tool. If the string does not exist in the DB defined by the user, the string is searched in the DB of the name server specified by the user, converted into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string, and the URL is returned to the address bar of the web browser. In other words, the role of an alias processing program when a user accesses an Internet website is regarded as a keyword when there is no dot (.) In the input string of the user, and the search is performed on the keyword DB of the user and the keyword DB of the name server. It simply executes and converts it to the corresponding URL and returns it to the Internet tool. The web browser that receives the URL accesses the Internet by processing the input URL without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web browser.
만약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이 사용자로 부터 받아들이는 입력문자열이 만약 하이퍼텍스트(Hyper Text)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별칭의 정의와 함께 링크에 대한 정의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의 별칭과 별칭에 대응되는 URL,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를 검색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입력된 별칭의 링크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리턴하여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이 해당 링크로 바로 구동할 수 있게 한다.
If the input string that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accepts from the user is in the form of Hyper Text and has both an alias definition and a link definition, the alias of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There is no need to search for a URL, domain name, or IP address that corresponds to the name and alias, and simply return the link of the entered alias to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so that the web browser or internet tool (WB) directly launches the link. To do it.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주소창에 입력된 문자열의 처리를 치환으로 한정했을때의 장점은 기존의 인터넷 액세스의 표준 방식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고 툴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별칭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여 대기하다가 주소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별칭인 경우 처리하는 사항은 치환에 국한된다. 즉, 인터넷 툴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와 툴 사이에서 별칭 처리 프로그램의 Hooking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입력받는 문자열이 표준 방식의 URL이므로 인터넷 툴의 변형을 요구하지 않으며 인터넷 사용의 표준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별칭 정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근할 수 있다.
The advantage of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UC) is that it restricts the processing of strings entered in the address bar to substitutions, which accepts the standard way of accessing the Internet and does not require tool changes. That is,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waits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character string input in the address bar is an alias, the processing is limited to substitution. That is, from the Internet tool's point of view, the string that is finally input through the hooking process of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between the user and the tool is a standard URL, so it does not require modification of the Internet tool and the user can maintain the standard of using the Internet as it is. You can access the internet using alias definition according to user's characteristics.
상기한 치환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인터넷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킹(Hooking) 기술이 사용이며 후킹 기술은 인터넷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다. 사용자가 외부의 네임서버를 지정하지 않았거나 또는 지정해 둔 외부의 네임서버에도 해당 문자열에 대응되는 URL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문자열을 검색 엔진으로 보내어 검색을 실행하는 방법 또는 해당문자열이 키워드 정의에 없다는 출력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프로그램 구현에 따른 방법의 차이이며 없는 키워드에 대한 처리 방식은 본 발명이 다루는 항목은 아니다.
The method used for the above substitution is a hooking technique commonly used in internet programming, and the hooking technique is a known technique generally used in internet programming. If the user does not specify an external name server or if the external name server does not have a corresponding URL, the input string is sent to the search engine to execute a search, or the output does not exist in the keyword definition. Can show messages This exampl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the processing method for the missing keywords is not an item covered by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자신의 별칭을 직접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은 실제 별칭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사이트가 사용자가 검증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들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기에 이것은 구현 및 사용의 타당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이전에 포워딩 서비스나 기타 이름으로 제공되는 별칭 서비스들은 실제 별칭으로 주로 접근되는 사이트는 금융기관, 관공서, 검색 및 포탈 사이트가 대부분이며 다른 사이트의 경우 별칭으로 입력했을 때 별칭과 무관한 성인, 기타 유해 사이트인 경우가 많기에 사용자들의 실제 별칭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편리함과 함께 서비스 업체의 일방적 등록에 의해 검증이 안된 사이트는 별칭을 사용하지 않고 검색을 하여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feasible for users to define and use their own aliases because the sites that can be accessed by actual aliases are often limited to sites that users can verify and use with confidence. Prior to the present invention, alias services provided by forwarding services or other names are mostly financial institutions, government offices, search and portal sites that are mostly accessed by aliases, and in the case of other sites, adults who are not related to the aliases when entered as aliases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access the actual aliases of users because there are many other harmful sites. In addition, it is common to search and access a site that has not been verified by one-way registration of a service company without using an alias.
본 발명은 기존의 서비스 업체 일방적인 정의를 사용자가 이용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별칭 정의를 자신이 기억하 고 입력하기 쉬운 방식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게 한다는 점이 다르며 사용자 별칭 DB(UD)는 사용자 자신에게 한정되므로 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도 없고 네트워크의 구성을 변경시키는 사항도 없으며 사용자 개개인에게 기대햇던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임으로써 별칭이 갖는 편리함을 사용자 개개인이 자신에게 맞게 재단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user uses the existing service provider unilateral definition, the difference is that the user directly define his alias definition in a way that is easy to remember and enter the user alias Since DB (UD) is limited to users, there is no influence on others, no change in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 convenience of aliases can be provided to each user by increasing the connection to the site expected by each user. Tailor it and use it.
본 발명은 또한 특정 웹 사이트가 로그인 절차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웹 사이트 접근과 로그인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을 포함한다.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은 사용자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S604)와 사용자별로 자주 이용하는 각각의 개별 사이트에 대한 인터넷주소, 아이디, 비밀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정보 집합을 저장하는 DB 서버(S602)로 구성된다. 상기의 웹 서버(S604)와 DB 서버(S602)는 하나의 컴퓨터에 함께 구성할 수도 있고 트래픽이나 연산부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기능을 분리하여 여러 개의 서버로 기능을 분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 개의 서버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의 웹 서버(S604) 기능과 DB 서버(S602)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형태로 기술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gin portal system (S600)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 website access and login when a specific website needs a login procedure.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is composed of a web server providing a user screen interface (S604) and a DB server (S602) storing a set of login information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an ID, and a password for each individual site frequently used for each user. do. The web server (S604) and the DB server (S602) can be configured together on a single computer, or can be configured by distributing the functions to multiple servers by separating functions to distribute traffic or computational load. In this artic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 server has a web server (S604) function and a DB server (S602) function of a login portal system.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서의 웹 서버(S604)는 사용자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화면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구성된다. (1)사용자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신규회원 가입하는 화면(도면 4 참조), (2)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S606, S608, S610)에 대한 정보와 그 사이트(S606, S608, S610)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변경 및 추가 삭제 할 수 있는 화면(첨부된 도면 2 참조), (3) 사용자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 하였을 때 그가 전에 입력한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사용자의 화면에 사이트를 표시해주는 화면(S500), (4) 사용자가 개별 사이트(S606, S608, S610)를 클릭할 때 해당 사이트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와 사이트주소 정보를 함께 호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로의 로그인 기능을 수행하고 결과로 나온 해당사이트의 화면(S502), (5) 화면의 상부 또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 그 사용자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입력해둔 사이트(S606, S608, S610)의 이름이나 아이콘을 계속 표시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현재의 사이트 화면에 대한 액세스를 마치고 다른 사이트를 액세스하기 위해 그 사이트의 이름이나 아이콘을 선택하여 마우스 오버나 클릭 등으로 다른 사이트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사이트에 대해서 상기한 (4)의 기능을 반복하여 수행해주는 선택할 사이트 표시부 화면(S500), 상기 총 5가지의 화면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된다.
The web server S604 in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provides a user screen interface, and the user screen is composed of five types as follows. (1) a screen for a user to sign up for a new member in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see Fig. 4), (2) information on sites (S606, S608, S610) that the user frequently uses and the site (S606, S608, S610 screen for storing, changing and adding and deleting login information including his / her ID and password (see attached Figure 2), (3) when the user logs in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Screen (S500) to display the site on the user's screen by reading previously entered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4) When a user clicks on an individual site (S606, S608, S610), the user's login information and site The user can log in to the desired site by calling the address information together, and the user logs into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site (S502), (5)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or a specific position of the screen. While still displaying the name or icon of the site (S606, S608, S610) entered in (S600), the user selects the name or icon of the site to finish accessing the current site screen and access another site. When selecting another site by mouse-over or click, etc., the selected site display unit screen (S500) which repeatedly performs the above function (4) for the selected site is provided in the user interface.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이상적으로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며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그래픽 화면이나 텍스트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이 제공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로그인 포탈에 한번 로그인 하는 것으로 기능이 시작되며 로그 아웃을 하면 기능을 종료하며 로그 아웃 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켜둔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게 차단한다.
Ideally, the user interface screen uses a web browser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parate graphic screen or tex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starts with the user logging in to the login portal once, and when the user logs out, the function is terminated. Block the information from being used.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DB 서버(S602)는 웹 서버(S604)가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로그인 정보와 사이트(S606, S608, S610) 주소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 했을 때 그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했던 사이트(S606, S608, S610)에 대한 주소 정보와 로그인 정보를 웹 서버(S60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로그인 정보란 사이트마다 로그인에 필요한 사항이 다를 수 있기에 각각의 사이트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회원별로 저장되는 대상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 항목에는 사이트명, 사이트 URL,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인증서 비밀번호가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매사이트인 옥션의 경우 로그인 필요한 사항은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 이외에 주민등록번호 뒷번호 7자리가 추가로 필요하며 금융거래와 관련된 사이트에는 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한 사이트도 있다. 인증서 자체는 사용자가 자신의 PC나 단말기에 관리하며 로그인 포탈 시스템은 인증서가 필요한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별로 사용자의 인증서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포탈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의 로그인 정보 전송이나 인증서 비밀번호의 전송에는 보안 요구사항이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들 정보 전송에 SSL(Secure Socket Layer)를 사용한 정보전송을 제공한다. 보안의 수준이나 보안 기능의 사용 여부는 사이트별로 고객의 선택에 의해 보안 수준을 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DB server S602 of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stores the login information and the sites S606, S608, and S610 address input from the user while the web server S604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the user logs in the login portal system (S602). When the user logs in at S600, the user may transmit address information and login information about the sites S606, S608, and S610 to which the user inputs the login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S604. The login information referred to here is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ite because the requirements for login may differ from site to site. The target site information database item stored for each member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include a site name, a site URL, a login ID, a password, a social security number, and a certificate password. For example, the auction site, Auction, requires a 7-digit number after the social security number in addition to the login ID and password. Some sites that require a certificate login are required for financial transactions. The certificate itself is managed by the user on his or her PC or terminal, and the login portal system can store the user's certificate password for each site for the site that requires the certificate. Security requirements may also be added to the transfer of login information or certificate passwords between the login portal system and the us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Secure Socket Layer (SSL) for these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level of security or the use of security features provides the ability to set the level of security at the customer's choice.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단계인 사용자 정보 입력 및 저장 단계(첨부된 도면 1 참조), 2 단계인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읽어서 사용자 화면에 로그인할 수 있는 사이트(S606, S608, S610)를 표시해 주는 단계(도면 5 상단 사이트 표시부 참조), 3 단계인 개별 사이트(S606, S608, S610)로의 이동 및 로그인 된 화면(S502) 표시 단계로 구성된다.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단계 1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신규가입에 대한 처리 단계이다. 단계 1에서는 상기한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웹 서버 가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 화면 (1)에서 사용자가 신규회원으로 가입하게 되면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 자체에 대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서 아이디 중복체크를 실시한 이후 중복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아이디 사용을 허락하며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S606, S608, S6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름을 나열한다.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서는 각각의 개별 사이트(S606, S608, S610)마다 로그인에 필요한 사항인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 이외에도 해당 사이트에서 로그인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CGI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 주소가 미리 정의되어 있어야 하므로 관리자는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S606, S608, S610)들에 대해 미리 이러한 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신규가입자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클릭 로그인 기능을 사용할 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이트(S606, S608, S610)를 열거하며 사용자가 사이트를 선택하고 해당 사이트 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 값들을 입력 받아서 사이트(S606, S608, S610) 정보와 함께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한 사용자 화면 (2)와 관련하여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이미 가입한 사용자가 자신의 사이트를 추가 삭제하거나 내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을 입력 받아서 데이타베이스의 내용을 갱신한다.
단계 2는 상기한 단계 1의 과정을 마친 회원이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할 때 저장된 회원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읽어서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며 일치할 경우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으로 로그인 시켜준다. 단계 2에서의 사용자 화면은 상기한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상기 사용자 화면 (3)과 연관되며 사용자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 하였을 때 입력되어 있는 개별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사용자의 화면에 그가 입력했던 사이트(S606, S608, S610)들을 나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3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의 상기 사용자 화면 (4)와 (5)에 대한 기능이며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 된 사용자가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사이트(S606, S608, S610)의 이름이나 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사이트에 대한 개별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와 함께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CGI 프로그램의 인터넷주소를 호출하는 단계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클릭 한번으로 자신이 선택한 사이트로 바로 로그인 되며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 된 상태의 화면(S502)에서 자신이 접근하고자 하는 정보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사용자 화면 (5)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사이트의 이름을 화면의 특정위치에 나열해주고 있다가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서의 작업을 마치고 다른 사이트를 액세스하기 위해 다른 사이트를 선택하면 단계 3은 그 사이트에 대한 단계3의 기능이 반복된다.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해야 한다.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 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①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 2가지를 입력하는 방법, ② 로그인 아이디는 쿠키 나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방송 수신기기의 고유번호에 의해 결정되어 입력되며 사용자는 단지 비밀번호 1가지 항목만 입력하는 방법, ③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 모두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거나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전화번호에 의해 결정되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모두 입력되고 사용자는 단지 엔터 키만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의 방식 중 ②와 ③의 단축형 방식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PDA나 양방향 TV 또는 휴대폰과 같이 문자입력이 어려운 경우에 더욱 필요할 수 있다.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할 때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 것인지 정할 수 있게 한다.
In order to use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the user must log in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There are three ways to log in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① How to input two kinds of login ID and password, ② The login ID is determined by cookie or phone number of user terminal or unique number of broadcasting receiver, and user inputs only one item of password, ③ Login Both the ID and password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determined by the unique number or the phone number of the terminal so that both the ID and password are entered and the user only enters the enter key. Among the above methods, the abbreviated methods of ② and ③ may be more necessary when a user's terminal is difficult to input text such as a PDA, a two-way TV or a mobile phone. The method of logging in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allows the user to determine how to use his / her information when entering his information.
또한 로그인 정보이외에 인증서와 인증서에 대한 비밀번호가 추가로 필요한 금융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에도 로그인 포탈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인증서 사용방식에 로그인 포탈 시스템의 로그인 정보 저장 기능을 결합한 것이며 로그인 포탈 시스템에서 보관하는 정보는 사용자의 해당 사이트 URL, 로그인 아이디, 로그인 비밀번호의 공통된 DB 필드에 추가로 인증서 비밀번호를 필드를 두고 여기에 인증서 비밀번호를 저장해 둔다. 인증서는 사용자의 PC나 단말기에 파일이나 하드웨어를 이용해서 사용자 측에 보관되므로 기존의 인증서 관리와 동일하지만 인증서 비밀번호를 로그인 포탈 시스템이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인증서 비밀번호가 필요한 사이트에 로그인 하는 경우 로그인 포탈 시스템이 제공하므로 인증서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일일이 인증서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 측에 저장된 인증서에 대해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방식은 단지 사용자가 선택한 사이트에 대해 인증서 비밀번호가 있는 경우 로그인 포탈 시스템은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인증서 비밀번호 입력 필드에 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며 사용자는 단지 엔터 키를 입력하는 것으로 해서 인증서 로그인 과정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인증서에 대해서는 보안이 문제될 수 있는데 인증서가 사용자 측에 보관되고 있기에 인증서 관리에 있어서 보안의 수준은 동일하다. 인증서 비밀번호를 사용자 측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 누출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로그인 포탈 시스템과 사용자 PC 사이의 비밀번호와 로그인 정보의 전달은 128비트 SSL(Secure Socket Layer)를 선택함으로써 이에 비밀번호 전송에 따른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gin portal system can be used to log in to financial sites that require a certificate and a password for the certificate in addition to the login information. This combines the use of the login portal system's login information storage method with the existing certificate usage method,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ogin portal system has a certificate password field in addition to the common DB fields of the user's site URL, login ID, and login password. Save your certificate password here. Since the certificate is stored on the user's PC or terminal by using a file or hardware, it is the same as the existing certificate management, but when the login portal system stores the certificate password and the user logs in to the site that requires the certificate password, the login portal The system provides a certificate password so that users do not have to enter a password for the certificate. The method of providing a password for a certificate stored on the user side is simply that if there is a certificate password for the site selected by the user, the login portal system enters the certificate password in the Certificate Password input field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and the user only enters the Enter key. Entering this will facilitate the certificate login process. Security may be a problem for certificates, and since the certificates are stored on the user side, the level of security is the same in certificate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certificate password to the user side, there may be a concern about password leakage, but the transfer of password and login information between the login portal system and the user's PC is performed by selecting 128-bit SSL (Secure Socket Layer). It can solve security problems.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한 이후에 사용자는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 자체의 초기 화면 대신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S606, S608, S610)에 바로 로그인한 화면이 표시될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웹 브라우저의 도구 메뉴에서 홈페이지 설정하는 것과 같은 옵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자신의 시작 페이지를 함께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첫째,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한 이후 사용자 화면에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이 제공하는 사용자의 사이트 선택 표시부(S500)와 함께 사용자가 선호하는 시작화면이 나타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에 시작 페이지를 정의하는 필드를 추가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한 이후에 사용자가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에 로그인 하였을 때 사용자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사용자의 시작페이지 항목에 저장된 사이트(S606, S608, S610)를 표시해주고 만약 사용자의 시작 페이지 항목에 특별한 정의가 되어있지 않다면 디폴트로 로그인 포탈 시스템(S600)이 제공해주는 페이지를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해준다.
After logging in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the user may want to display a screen for logging in directly to the sites S606, S608, and S610 that he frequently uses, instead of the initial screen of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itself. To do this, you need to provide options such as setting the home page from the Tools menu of a web browser. This is to set up their own start page together with using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In this case, first, after the user logs in to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the user's preferred start screen is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together with the site selection display unit S500 of the user provided by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In order to support this function,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adds a field defining a start page to a page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receives a user's input, and stores it in a database, and then the user enters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When the user logs in, the user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database to display the sites (S606, S608, S610) stored in the user's start page item. If there is no special definition in the user's start page item, the login portal system (S600) defaults. The provided page is displayed on the user's screen.
기업체에서는 업무상 주로 사용하는 분야에 대한 사이트들이 있으며 또한 회사의 보안이나 업무의 성격상 연결을 차단해야 할 사이트들도 있을 수 있으며 일반 사용 자들에 있어서도 개개인의 연령이나 인터넷 활용 용도에 따라 연결을 기대하는 분야의 사이트와 함께 연결을 원하지 않는 범주의 사이트들도 있을 수 있다. 인터넷 주소의 표기에서 닷 표기법 대신 별칭의 사용은 인터넷 초심자나 어린 학생들에게 보다 편리할 수 있는데 사용자 자신의 접근이 많은 사이트들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별칭을 직접 정의함으로써 별칭에 대한 서비스 회사의 일방적인 별칭등록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고 인터넷 상의 표지와 관련된 권리침해나 선점 등에 대한 문제를 사용자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의 별칭 DB(UD)를 이용함으로써 네임서버를 거치지 않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속도가 빨라지며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와 자신의 정의에 의하여 인터넷을 접근할 수 있다.
There are sites that are mainly used by businesses in the field of business, and there may be sites that need to block the connection due to the security of the company or the nature of the work. Also, general users are expected to connect according to their age and usage of the Internet. There may be other categories of sites that you do not want to link with the sites in the field. The use of aliases instead of the dot notation in the notation of Internet addresses may be more convenient for beginners or younger students. The service company's one-sided alias for aliases is defined by the user directly defining the alias for sites he or she has access to. It can prevent side effects from registration and reduce the user's problems related to infringement of rights and preemption related to signs on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user can increase the connectivity to the desired site, and by using the alias DB (UD) of the user's terminal, the connection speed to the user's desired site is faster because the user does not go through the name server. Can access the intern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이트마다 따로 기억하거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주며 한번의 클릭만으로도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반복적 입력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단축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근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양방향 TV나 PDA, 휴대폰, 신용카드 단말기 등 인터넷이나 VAN에 연결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각종 단말기들에 적용할 경우 사이트 연결이나 전환을 위하여 해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일일이 기입하는 절차에 따른 시간과 수고를 매번 소요할 필요 없이 바로 원하는 사이트의 해당 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매번 로그인에 소요되는 시간 및 오타에 의한 시간 소모 등 단순 반복적 작업과 불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사이트에 접근하고자 하는 원래의 목적, 즉 그 사이트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나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의 전환을 원클릭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aves the time and effort for the user to remember the ID and password for sites that are frequently used on the Internet for each site or to enter login information, and can perform this process with just one click.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due to the user's repetitive input.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VAN such as two-way TV, PDA, mobile phone, credit card terminal, etc., which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site is filled in for site connection or conversion. You can access the information of the site you want without having to spend time and effort according to the procedure each time, and users can get away from simple repetitive tasks and inconveniences such as time spent logging in and time caused by typos. You can quickly access the original purpose you are looking for: the information you are looking for or the services you want to use, and you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switch from one site you are currently accessing to another.
본 발명은 사용자 별칭 DB의 저장 위치 변경한다든지, 외부의 서버를 추가로 더욱 세분화한다든지, DB를 분산구조로 구성한다든지, DB 대신 화일(File)이나 쿠키(Cookie)의 형태로 저장한다든지, 별칭 처리 프로그램을 서버에 위치시키고 사용자 별칭 DB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한다든지, 사용자의 별칭 정의를 아이콘화 하거나 버튼화하거나 텍스트화 한다든지, 또는 일부 항목을 불완전한 형태로 구성하거나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해 무수히 많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별칭 정의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의 정의를 활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를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접근하게 지원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이며 이러한 사용자가 주도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별칭의 정의와 활용 및 기록매체의 변형 실시로 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torage location of the user alias DB, to further subdivide the external server, to configure the DB in a distributed structure, or to store in the form of a file (File) or cookie (Cookie) instead of the DB By placing the alias processing program on the server and storing the user alias DB on the user terminal, iconizing, buttoning, or textifying the alias definition of the user, or configuring or adding or deleting some items in incomplete form, A myriad of variations are possible. However, it is a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ore a user's alias definition for a specific web site and to make the web site more accessible to the user by utilizing the stored user's definition and an alias for a web site led by the user. It should be protected from the definition and use of the data and the modification of the record carrier.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764A KR20060057731A (en) | 2004-11-24 | 2004-11-24 | How to link user defined keyword with name ser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764A KR20060057731A (en) | 2004-11-24 | 2004-11-24 | How to link user defined keyword with name ser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731A true KR20060057731A (en) | 2006-05-29 |
Family
ID=3715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6764A Withdrawn KR20060057731A (en) | 2004-11-24 | 2004-11-24 | How to link user defined keyword with name ser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5773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24927A1 (en) * | 2011-08-12 | 2013-02-21 | Heo Jun | Open database management system |
KR101253347B1 (en) * | 2010-12-22 | 2013-04-10 | 선병일 |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arch simple address in navigation |
WO2013100373A1 (en) * | 2011-12-26 | 2013-07-04 | Park Suk-Il | Method of providing auto id service on the basis of keyword identification retrieval |
US10417333B2 (en) | 2014-05-08 | 2019-09-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d. |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
2004
- 2004-11-24 KR KR1020040096764A patent/KR2006005773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347B1 (en) * | 2010-12-22 | 2013-04-10 | 선병일 |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arch simple address in navigation |
WO2013024927A1 (en) * | 2011-08-12 | 2013-02-21 | Heo Jun | Open database management system |
WO2013100373A1 (en) * | 2011-12-26 | 2013-07-04 | Park Suk-Il | Method of providing auto id service on the basis of keyword identification retrieval |
US10417333B2 (en) | 2014-05-08 | 2019-09-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d. |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US11182554B2 (en) | 2014-05-08 | 2021-11-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90980B2 (en) | Mapping specific user credentials to temporary user favorite credentials | |
US20060168509A1 (en) | System and method to map favorite values for specific values during electronic form filling | |
US20060253586A1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net Tool | |
KR20010103670A (en)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a network using message aliasing functions having shadow callback functions | |
JP2004513419A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internet interactions | |
KR20090067419A (en) | One-click loginer | |
JP2004102470A (en) | Method for displaying bulletin board information, and system for displaying bulletin board information | |
KR100361160B1 (en) | Managing system for web-based desktop service | |
JP2002259215A (en) | Access control system | |
KR20060057731A (en) | How to link user defined keyword with name server | |
JP4630468B2 (en) | E-mail access system compatible with WWW browser and computer program used therefor | |
KR20150140298A (en) | Smart Navigation Services | |
KR20010008206A (en) | Method for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and performing automatic accessing on Internet and terminal device employing the same | |
JP2005122606A (en) | Information browsing apparatus, information browsing system, and information browsing program | |
KR20040053761A (en) | Login Portal System and its Architecture for One-click Login | |
KR100336115B1 (en) | Method for lower domain service and system for the same | |
KR100466357B1 (en) | User Specific Alias Naming Scheme and Method on Domain Names | |
JP7515667B1 (en) | Groupware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100389116B1 (en) | Representation method which can refer to destinations of objects consistently and system for the same | |
JP7526863B1 (en) | Shared email system,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 |
KR20010110013A (en) | The method for managing ID and password | |
KR20130041329A (en) | Url replacement system | |
KR20000059137A (en) | Integrated homep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20020007946A (en) | System for auto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in internet | |
JP5028444B2 (en) |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search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