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32741A -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 Google Patents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741A
KR20060032741A KR1020040081686A KR20040081686A KR20060032741A KR 20060032741 A KR20060032741 A KR 20060032741A KR 1020040081686 A KR1020040081686 A KR 1020040081686A KR 20040081686 A KR20040081686 A KR 20040081686A KR 20060032741 A KR20060032741 A KR 20060032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effective bandwidth
quality
packet
tok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2907B1 (en
Inventor
김동회
송평중
전경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8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907B1/en
Publication of KR2006003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90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품질(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자원 활용도를 증가시키도록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할당 또는 재할당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이 입력되는 적용 시스템;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 측정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와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 비교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을 토큰 발생률로 대기시키는 토큰 버킷; 및 토큰 버킷에서의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조절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능동 유효 대역폭 방식보다도 구현이 용이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토큰 버킷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 대역폭을 할당 또는 재할당함으로써, 이종 트래픽에 대한 품질을 만족시키면서도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allocating or reallocating effective bandwidth in order to increase resource utilization by using minimum resources while satisfying QoS requirem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a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for each traffic,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a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n application system for inputting an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applied system;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measured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with the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pectively; A token bucket that waits an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parameter at a token generation rate; And a packet conditioner for processing the input packet according to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in the token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oken bucket model that is easier to implement an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active effective bandwidth scheme, the system can be allocated or reallocated the effective bandwidth to use a minimum amount of resources while satisfying the quality of heterogeneous traffic. Can be optimized.

품질 요구사항, 능동 유효 대역폭, 토큰 버킷, 자원 활용도Quality requirements, active effective bandwidth, token buckets, resource utilization

Description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A method for allocating effective bandwidth according to QoS requirement of each traffic, and a system therefore}A method for allocating effective bandwidth according to QoS requirement of each traffic, and a system therefo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토큰 버킷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token bucket method for implement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of FIG.

도 3은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과 VoIP(voice over IP)가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구해진 유효 대역폭과 패킷 손실률(packet loss rate)과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an effective bandwidth and a packet loss rate obtained by applying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al-time video streaming and voice over IP are input.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도 4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과 VoIP 트래픽이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구해진 유효 대역폭과 핸드오버 실패율(handover drop rate)과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an effective bandwidth and a handover drop rate obtained by applying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al-time video streaming and VoIP traffic are input.

도 5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과 VoIP 트래픽에 대한 QoS 요구사항이 주어졌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유효 대역폭의 값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lue of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ed to apply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given QoS requirements for real-time video streaming and VoIP traffic.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할 경우, VoIP 트래픽 모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P traffic model when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할 경우, VoIP 트래픽 모델 파라미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VoIP traffic model parameters when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할 경우,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 모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video streaming traffic model when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할 경우,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 모델 파라미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video streaming traffic model parameter when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품질(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자원 활용도(resource utilization)를 증가시키도록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할당 또는 재할당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nd more particularl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utilization by using the minimum possible resources while satisfy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A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allocating or reallocating effective bandwidth to increase resource utilization.

최근 들어 인터넷에서는 인터넷 폰 등과 같이 종단간 QoS 보장을 요구하는 많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에 현재의 인터넷에서는 여전히 최선형(best-effort) 패킷 전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즉, 기존의 데이터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서도 모든 트래픽이 차별 없이 가능한 한 빠르고 많은 대역폭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패킷 전달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패킷 전달 방식은 실시간 응용 서비스가 요구하는 엄격한 QoS 보장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Recently, the demand for many real-time multimedia application services that require end-to-end QoS guarantees such as Internet phones is increasing in the Internet. On the other hand, best-effort packet forwarding services are still provided in the current Internet. In other words, not only existing data services but also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should provide packet forwarding in such a way that all traffic utilizes the bandwidth as quickly as possible without discrimination. This packet forwarding scheme provides the strict QoS guarantees required by real-time application services. Could not be satisfied.

이에 따라, IETF에서는 Integrated Services(Intserv) 작업 그룹과 Differentiated Services(Diffserv) 작업 그룹 등을 결성하여 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통합된 QoS 제공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IETF has formed an Integrated Services (Intserv) work group and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work group to conduct research on how to provide integrated QoS in an IP-based network.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대역폭은 트래픽의 최대 요구 대역폭과 평균 대역폭 사이의 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사용된 유효 대역폭은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예를 들어, 요구된 최대 패킷 손실률, 요구된 최대 지연, 요구된 최소 산출량 등)을 고려하면서 재할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effective bandwidth is defined as a value between the maximum required bandwidth and the average bandwidth of the traffic. In addition, the effective bandwidth used may be reallocated taking into account the per-traffic QoS requirements (e.g., maximum packet loss rate required, maximum delay required, minimum yield required, etc.).

종래의 유효 대역폭 기술은 실시간에서 취합된 트래픽 추적이나 통계적 모델들을 적용하여 계산되거나, 또는 실시간 트래픽 추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Conventional effective bandwidth techniques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traffic tracking or statistical models collected in real time, or may be calculated directly from real time traffic tracking.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 유효 대역폭은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임계값으로도 사용되어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유효 대역폭의 개념은 제한된 자원을 가진 네트워크에서 QoS 요구사항에 대한 만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The effective bandwidth calculated in the above manner may also be used as a threshold for satisfying the QoS requirements and used to satisfy the QoS requirements. Accordingly, the concept of effective bandwidt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QoS requirements in networks with limited resources.

한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2003-7004297호(2003년 3월 25일 출원)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설계, 추적, 측정, 예측 및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7004297 (filed March 25, 2003) discloses an invention entitled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tracking, measuring, predicting and optimiz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disclosed.

상기 선행 발명은 물리적 환경의 사이트 특정 모델을 포함하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들과 네트워크가 전개되는 물리적 환경을 기초로 한 다양하고 상이한 계산들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설계, 추적, 측정, 예측 및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ceding invention involves designing, tracking, measuring, and predict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site specific model of a physical environment and performing various different calculations based on the components us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network is deployed. And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한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3-0007431호(2003년 2월 6일 출원)에는 "최소 자원 및 대역폭을 사용해 정보를 전송하는 원격억세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정보 전송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0007431 (filed February 6, 2003), the invention named "remote access service syste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minimum resources and bandwidth"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와 같이 실시간에서 취합된 트래픽 추적 방법은 복잡한 계산을 통하여 유효 대역폭을 계산하기 때문에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계적 모델에 의한 유효 대역폭 계산 방법은 트래픽의 순시적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raffic tracking method collected in real time as i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because the effective bandwidth is calculated through a complex calculation. In addition, the effective bandwidth calculation method using a statistical mode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instantaneous change of traffic.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트래픽에 대한 품질을 만족시키면서도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증가시키기 위한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n effective bandwidth according to a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for each traffic for increasing system optimization by using minimum resources while satisfying the quality of heterogeneous traffic.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큰 버킷 모델과 같은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상 용이하면서도 트래픽의 순시적 변화를 반영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reflecting the instantaneous changes of traffic while being easy to implement using a simple device such as a token bucket model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은,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별 서비스품질(QoS)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이 입력되는 적용 시스템;An application system to which an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is input;

상기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ystem;

상기 측정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와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measured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with the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pectively;

상기 비교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을 토큰 발생률로 대기(queuing)시키는 토큰 버킷; 및A token bucket configured to queu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parameter at a token generation rate; And

상기 토큰 버킷에서의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조절기Packet conditioner for processing the input packet according to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in the token bucket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There is a feature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패킷 조절기는 상기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재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acket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by actively reallocating the effective bandwidth to the application system to satisfy the QoS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여기서,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을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로 각각 버퍼링하여, 기설정된 토큰 발생률로 발생하는 토큰에 따라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입력하는 버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may be buffered for each of the traffic classes to further include a buffer for inputting to the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oken generated at a preset token generation rate.

여기서, 상기 입력 패킷은 상기 트래픽별로 서로 다른 평균 발생 데이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put p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generated data rate different for each traffic.

여기서, 상기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는 패킷 손실률 또는 핸드오버 실패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 may be a packet loss rate or a handover failure rate.

여기서, 상기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quired QoS parameters for each target traffic may be provided from a parameter table.

여기서, 상기 패킷 조절기는 상기 비교된 상기 파라미터의 차이값이 적어지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acket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effective bandwidth so that the difference value of the compared parameter is reduc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은,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별 서비스품질(QoS)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에 있어서,In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이 입력된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a) measuring a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 that occurs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applied system to which the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is input;

b) 상기 측정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와 요구되는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b) comparing the measured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with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c) 토큰 버킷의 토큰 발생률로 상기 비교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을 대기(queuing)시키는 단계;c) queuing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parameter with the token generation rate of the token bucket;

d) 상기 토큰 버킷의 유효 대역폭에 따라서 상기 입력된 패킷을 다시 처리하는 단계; 및d) reprocessing the input packet according to the effective bandwidth of the token bucket; And

e) 상기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 로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재할당하는 단계e) actively reallocating the effective bandwidth to the applied system to satisfy the traffic specific QoS requirements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There is a feature consisting of.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을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로 각각 버퍼링시키는 단계; a-2) 기설정된 토큰 발생률로 발생하는 토큰에 따라 상기 입력 패킷을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a) may include: a-1) buffering the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for each traffic class; a-2) inputting the input packet to the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oken generated at a preset token generation rate; And a-3) measuring a QoS parameter for each traffic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ystem.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는 패킷 손실률 또는 핸드오버 실패율로서,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QoS parameters for the target traffic required in step b) may be provided from a parameter table as a packet loss rate or a handover failure rate.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파라미터의 차이값이 적어지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step 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ffective bandwidth is adjusted so that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arameter compared in step b)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능동 유효 대역폭 방식보다도 구현이 용이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토큰 버킷(token bucket)과 같은 간단한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 대역폭을 할당 또는 재할당함으로써, 이종 트래픽에 대한 품질을 만족시키면서도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imple model such as a token bucket that is easier to implement an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active effective bandwidth scheme, by allocating or reallocating effective bandwidth, the quality of heterogeneous traffic can be satisfied. You can optimize your system using the least resource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 버킷 모델과 같은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이 용이하면서도 트래픽의 순시적 변화를 반영하는 유효 대역폭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계산된 유효 대역폭은 시스템 설계시 트래픽별로 QoS 요구사항들과 연관을 지으면서 동작하면서 QoS 요구사항에 맞게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재할당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device such as a token bucket model is provided to provide a method of calculating an effective bandwidth that is easy to implement and reflects an instantaneous change in traffic. In this case, the calculated effective bandwidth operates while associating with the QoS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in the system design and actively reallocates the effective bandwidth according to the QoS requirements.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은 버퍼(110-1, …, 110-n), 적용 시스템(140), 비교기(150-1, …, 150-n), 토큰 버킷(130-1, …, 130-n) 및 패킷 조절기(120-1, …, 120-n)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ffers 110-1, ..., 110-n, application system 140, comparators 150-1, ..., 150-n, token buckets 130-1, ..., 130-n and packet conditioners 120 -1, ..., 120-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에서, 상기 적용 시스템(140)은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이 입력되는데, 이때, 상기 버퍼(110-1, …, 110-n)는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을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로 각각 버퍼링하여, 기설정된 토큰 발생률로 발생하는 토큰에 따라 상기 적용 시스템(140)에 입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system 140 receives an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wherein the buffer 110- 1,..., 110-n respectively buffer the input packets for each traffic class for each traffic class and input them to the application system 140 according to a token generated at a preset token generation rate.

여기서, 상기 적용 시스템(140)은 자신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pplication system 140 may include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QoS parameters for each traffic generated as a result of its operation.

상기 비교기(150-1, …, 150-n)는 상기 측정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와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각각 비교하게 된다.The comparators 150-1,..., And 150-n compare the measured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with the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pectively.

상기 토큰 버킷(130-1, …, 130-n)은 상기 비교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을 토큰 발생률로 대기(queuing)시키게 된다.The token buckets 130-1,..., 130-n queue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parameter at a token generation rate.

상기 패킷 조절기(120-1, …, 120-n)는 상기 토큰 버킷(130-1, …, 130-n)에서의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킷을 처리하고, 또 한, 상기 패킷 조절기(120-1, …, 120-n)는 상기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상기 적용 시스템(140)에 재할당한다.The packet conditioner 120-1,..., 120-n processes the input packet according to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in the token bucket 130-1,..., 130-n. The packet conditioners 120-1,..., 120-n actively reallocate the effective bandwidth to the application system 140 to satisfy the traffic-specific QoS requirements.

구체적으로, 입력된 트래픽 클래스들의 패킷들은 해당 버퍼(110-1, …, 110-n)로 입력된다. 즉, 트래픽 종류에 따라서 다른 데이터율(data rate)로 해당 버퍼(110-1, …, 110-n)에 입력되고, 토큰 버킷(130-1, …, 130-n)에서 일정한 토큰 발생률로 처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생률은 유효 대역폭이 된다.Specifically, the packets of the input traffic classes are input to the corresponding buffers 110-1, ..., 110-n. That is, the data is input to the corresponding buffers 110-1, ..., 110-n at different data rates according to the traffic type, and processed at a constant token generation rate in the token buckets 130-1, ..., 130-n. do. At this time, the token gen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an effective bandwidth.

예를 들어, 제1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서비스는 해당 버퍼(110-1, …, 110-n)에 버퍼링된 후에, x 토큰 발생률(token/sec)로 발생하는 토큰을 받아서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140)에 입력된다.For example, the first service will be described below. After the first service is buffered in the corresponding buffers 110-1,..., 110-n, the first service is input to the system 140 to receive and apply a token generated at an x token generation rate (token / sec).

여기서, 입력 트래픽의 평균 발생 데이터율이 토큰 발생률(token/sec) x보다 작다면 패킷 손실은 발생하지 않겠지만, 그 반대의인 경우, 패킷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효 대역폭(토큰 발생률)과 패킷 손실률 사이에는 반비례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Here, if the average generated data rate of the input traffic is less than the token generation rate (token / sec) x, no packet loss will occur, but vice versa, packet loss will occur. Therefore, there will be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 bandwidth (token occurrence rate) and the packet loss rat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유효 대역폭을 적용하고자 하는 적용 시스템(140)에서 입력 패킷을 처리한 후에 실제 측정된 제1 서비스의 QoS 파라미터들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해 요구된 목표 QoS 파라미터값과의 차이를 비교기(150-1)를 통해 비교하게 된다. 이때, 요구된 QoS 파라미터값은 파라미터 테이블(160-1)로부터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로는 패킷 손실률 또는 핸드오버 실패율일 수 있다.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QoS parameters of the first service actually measured and the target QoS parameter value required for the first service after processing the input packet in the application system 140 to apply the effective bandwidth as described above ( 150-1) for comparison. At this time, the requested QoS parameter value is provided from the parameter table 160-1. The parameter may be a packet loss rate or a handover failure rate.

이후, 상기 파라미터값들의 차이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유 효 대역폭(토큰 발생률)의 값을 패킷 조절기(120)를 통해 조절하게 된다.Thereafter, the value of the effective bandwidth (token generation rate) for the first service is adjusted through the packet conditioner 120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ameter values becomes smaller.

마찬가지로, 제n 서비스에 대해서는 버퍼(110-n), 비교기(150-n), 파라미터 테이블(160-n), 토큰 버킷(130-n) 및 패킷 조절기(120-n)를 통해 제1 서비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 대역폭의 값이 조절될 수 있다.Similarly, for the n-th service, the buffer 110-n, the comparator 150-n, the parameter table 160-n, the token bucket 130-n, and the packet conditioner 120-n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rvice. In the same way the value of the effective bandwidth can be adjusted.

한편, 도 2는 도 1의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토큰 버킷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token bucket method for implement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트래픽의 특성을 규정하는 모델로서는 토큰 버킷(210)의 개념이 있다. 이러한 토큰 버킷(210)은 두 가지 주요한 파라미터로서 토큰 발생률 R과 버킷의 크기 B를 들 수 있다. 상기 R은 비교적 긴 시간 동안의 평균 데이터 전송률을 규정하고 있으며, B는 짧은 시간동안 R을 초과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률을 규정하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 언급하자면, 시간 T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RT+B를 넘어서지 못한다.Referring to FIG. 2, there is typically a concept of a token bucket 210 as a model for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The token bucket 210 may have two main parameters, a token generation rate R and a bucket size B. R defines an average data rate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B defines a data rate that can exceed R for a short time. To be more precise,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during time T does not exceed RT + B.

또한, 상기 토큰 발생률 R은 한 플로우에 대한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대역폭(bytes/second)에 대한 요구사항으로서, 이것은 상기 버킷에 들어가는 평균 데이터율(average data rate)과 목적지(target)에서의 상기 버킷(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율로 만들어진다Also, the token generation rate R is a requirement for continuously provided bandwidth (bytes / second) for a flow, which is the average data rate entering the bucket and the bucket at the target ( Data rate is output at 210)

다시 말하면, 상기 버킷(210)은 어떤 순간 전송될 수 있는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카운터로 볼 수 있다. 상기 버킷(210)은 카운터가 초당 R 바이트로 증가함에 따라, R의 속도로 버킷의 용량(최대 카운터 값)까지 바이트 토큰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이때, IP 패킷은 도착 후 처리를 위해 큐(220)에 대기하 게 된다. 이때, 만약 IP 데이터의 크기에 맞는 충분한 토큰이 버킷(210) 내에 존재하게 되면, 그 패킷은 즉시 처리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버킷으로부터 해당되는 수만큼의 토큰이 빠져나가게 된다. 만약 패킷이 도착했을 때 충분한 토큰이 버킷(210)에 확보되지 않게 되면 그 패킷은 이러한 플로우의 Tspec(traffic specification)을 초과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Tspec에 위배되는 패킷은 최선형(best-effort) 서비스를 받거나, 폐기처분되거나 또는 추후 폐기처분될 수 있도록 표시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bucket 210 may be viewed as a counter indicating the amount of data in bytes that can be transmitted at any moment. The bucket 210 is filled by byte tokens up to the bucket's capacity (maximum counter value) at a rate of R as the counter increments in R bytes per second. At this time, the IP packet is waiting in the queue 220 for processing after arrival. At this time, if enough tokens for the size of the IP data exist in the bucket 210, the packet can be processed immediately. This will pull that number of tokens out of the bucket. If enough tokens are not secured in bucket 210 when a packet arrives, the packet has exceeded the traffic specification (Tspec) of this flow. Typically, a packet that violates Tspec uses a method of marking the packet so that it can receive best-effort service, be discarded or discarded later.

상기 토큰 버킷 방식에 의해 허용되는 IP 데이터의 전송률은 장기적으로 볼 때 R이 된다. 그러나, 휴지기간이나 비교적 저속으로 패킷이 유입되는 시간 구간이 존재한다면, 상기 버킷(210)에는 토큰이 쌓일 것이고, 결과적으로 약속된 전송률보다 B 바이트만큼을 더 수용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rate of the IP data allowed by the token bucket method becomes R in the long term. However, if there is an idle period or a time interval in which packets are introduced at a relatively slow rate, tokens will accumulate in the bucket 210, and consequently can accommodate more B bytes than the promised transmission rat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토큰 버킷 모델을 사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유효 대역폭을 계산할 수가 있고, 이렇게 계산된 유효 대역폭값을 시스템(140)에 적용한 후에 실측한 QoS 파라미터값들과 요구되는 목표 QoS 파라미터값들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토큰 버킷 모델을 사용하여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effective bandwidth, which is simple and excellent in performance, by using the token bucket model described above, and the QoS parameter values and the requirements measured after applying the calculated effective bandwidth value to the system 140 can be calculated. Effective bandwidth can be actively adjusted using the token bucket model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QoS parameter values.

한편, 도 3은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과 VoIP(voice over IP)가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구해진 유효 대역폭과 패킷 손실률(packet loss rate)과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3 shows the effective bandwidth and packet loss rate obtained by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al-time video streaming and voice over IP are inpu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utual relationship of.

도 3을 참조하면, 사용된 VoIP 트래픽과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가지는 호(call)들은 평균 0.1로 포아송 과정(Poisson process)으로 발생하였고, 또한, 단말의 이동은 랜덤 방향 모델로 발생하여 모의 실험한 결과들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포아송 과정은 아무렇게나 일어나는 사상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모형화한 것을 말한다.Referring to FIG. 3, calls with VoIP traffic and real-time video streaming used were generated in a Poisson process with an average of 0.1.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UE occurred in a random direction model and simulated. Were used. Here, the Poisson process refers to a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behavior of thought that occurs randomly.

도 3에 도시된 유효 대역폭과 패킷 손실률에 대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이 증가함에 따라서 패킷 손실률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입력되는 트래픽에 대하여 토큰 버킷에서 사용한 토큰 버킷의 토큰 발생률(즉, 유효 대역폭)이 작다면 패킷 손실률은 커질 것이고, 반대인 경우, 패킷 손실률은 작아질 것이다. 결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과 패킷 손실률 사이에는 반비례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From the results of the effective bandwidth and the packet loss rate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packet loss rate decreases as the effective bandwid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If the token generation rate (ie, effective bandwidth) of the token bucket used by the token bucket for the incoming traffic is small, the packet loss rate will be large, and vice versa, the packet loss rate will be small. Eventually there will be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 bandwidth and packet loss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최소 자원 사용하면서 시스템에서 요구된 패킷 손실률을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정된 패킷 손실률과 요구된 패킷 손실률 사이의 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토큰 버킷의 토큰 발생률(유효 대역폭)을 재할당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required packet loss rate in the system while using minimum resource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controls the token generation rate (effective bandwidth) of the token bucket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acket loss rate and the required packet loss rate. Will be reassigned.

한편, 도 4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과 VoIP 트래픽이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구해진 유효 대역폭과 핸드오버 실패율(handover drop rate)과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 bandwidth obtained by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over drop rate when the real-time video streaming and VoIP traffic is input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과로부터 유효 대역폭이 증가함에 따라서 핸드오버 실패율이 작아짐을 알 수가 있고, 그 반대인 경우, 핸드오버 실패율이 커짐을 알 수가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 that the handover failure rate decreases as the effective bandwidth increases, and vice versa, the handover failure rate increases. The reason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한 셀 내에서 지원될 수 있는 전체 대역폭(bandwidth)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사용자만이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높은 유효 대역폭을 할당하게 되면, 한 셀에서 지원되는 사용자의 수는 작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핸드오버 실패율이 증가되게 된다. 따라서, 최소 자원을 사용하면서 시스템에서 요구된 핸드오버 실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현재의 측정된 핸드오버 실패율과 요구된 핸드오버 실패율 사이의 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유효 대역폭을 할당하면 된다.Since the total bandwidth that can be supported in a cell is limited, only a limited user is served. In such a situation, if a high effective bandwidth is allocated to each user, the number of users supported in a cell is small, and eventually the handover failure rate is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keep the handover failure rate required by the system while using minimum resources, the effective bandwidth should be allocated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measured handover failure rate and the required handover failure rate.

한편, 도 5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과 VoIP 트래픽에 대한 QoS 요구사항이 주어졌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유효 대역폭의 값을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value of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ed to apply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iven the QoS requirements for real-time video streaming and VoIP traffic.

도 5를 참조하면, VoIP 트래픽과 실시간 비디오 트래픽에 대한 패킷 손실률(packet loss rate) 요구사항을 1%로 설정했을 때, 그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유효 대역폭값은 VoIP 트래픽이 31kbps이고 실시간 비디오 트래픽이 33Kbps가 된다. 또한, 핸드오버 실패율(handover drop rate) 요구사항을 8%로 설정했을 때, 그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VoIP 트래픽과 실시간 비디오 트래픽에 대한 유효 대역폭은 31 kbps로 같은 값이 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packet loss rate requirement for VoIP traffic and real-time video traffic is set to 1%, an effective bandwidth value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 is 31 kbps of VoIP traffic and 33 Kbps. In addition, when the handover drop rate requirement is set to 8%, the effective bandwidth for VoIP traffic and real-time video traffic satisfying the requirement is equal to 31 kbps.

따라서, 상기 VoIP 트래픽과 실시간 비디오 트래픽에 대한 패킷 손실률과 핸드오버 실패율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유효 대역폭은 VoIP 트래픽은 31kbps가 되고, 실시간 비디오 트래픽에 대하여33 kbps가 된다. 만 약에 각각의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이 달라지게 되면, 할당되는 유효 대역폭값도 달라질 수 있다.Therefore, the minimum effective bandwidth required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packet loss rate and handover failure rate requirements for the VoIP traffic and real-time video traffic is 31 kbps and 33 kbps for real-time video traffic. If the QoS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re different, the effective bandwidth value allocated may also be different.

도 3과 도 5의 결과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 설계시에 요구되는 QoS 파라미터(예를 들어, 핸드오버 실패율과 패킷 손실률 등)를 만족시키면서 가능한 최소 자원 사용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대역폭값을 조절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of FIG. 3 and FIG. 5, the effective bandwidth value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use the minimum possible resources while satisfying QoS parameters (e.g., handover failure rate, packet loss rate, etc.) required in design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You can find it useful.

한편, 전술한 VoIP 트래픽과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에 대한 모델과 파라미터값들은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 9까지의 값을 사용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적용할 경우, VoIP 트래픽 모델, 도 7은 VoIP 트래픽 모델 파라미터, 도 8은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 모델, 및 도 9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 모델 파라미터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을 위한 모델 및 파라미터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del and parameter values for the above-described VoIP traffic and real-time video streaming used values of, for example, FIGS. 6 to 9. 6 is a VoIP traffic model, FIG. 7 is a VoIP traffic model parameter, FIG. 8 is a real time video streaming traffic model, and FIG. 9 is a real time video streaming traffic model parameter when applying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illustrates each. 6 to 9 are models and parameters for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according to QoS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 트래픽에 대한 품질을 만족시키면서도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system optimization by using the minimum resources possible while satisfying the quality for heterogeneous traffic.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토큰 버킷 모델과 같은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유효 대역폭을 계산하고, 계산된 유효 대역폭과 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여러 가지 QoS 요구사항과의 상호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가능한 최소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oS requirement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effective bandwidth by a simple method such as the token bucket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effective bandwidth and various QoS requirements required for system design. You can optimize your system using the least resources possible while still being satisfied.

Claims (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별 서비스품질(QoS)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이 입력되는 적용 시스템;An application system to which an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is input; 상기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ystem; 상기 측정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와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들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measured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with the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respectively; 상기 비교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을 토큰 발생률로 대기(queuing)시키는 토큰 버킷; 및A token bucket configured to queu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parameter at a token generation rate; And 상기 토큰 버킷에서의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에 따라 상기 입력된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조절기Packet conditioner for processing the input packet according to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in the token bucket 를 포함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킷 조절기는 상기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재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And the packet conditioner actively reallocates the effective bandwidth to the applying system to satisfy the QoS requirement for each traff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을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로 각각 버퍼링하여, 기설정된 토큰 발생률로 발생하는 토큰에 따라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입력하는 버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And buffering the input packets for each traffic class for each of the traffic classes, and further inputting a buffer to the applying system according to a token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token generation rat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입력 패킷은 상기 트래픽별로 서로 다른 평균 발생 데이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The effective packet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of the traffic,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packet is a different average generated data rate for each traff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는 패킷 손실률 또는 핸드오버 실패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The QoS parameter for each traffic is a packet loss rate or handover failure rat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The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are provided from a parameter tabl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킷 조절기는 상기 비교된 상기 파라미터의 차이값이 적어지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시스템.And the packet conditioner adjusts the effective bandwidth so that the difference value of the compared parameter is reduced.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별 서비스품질(QoS)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에 있어서,In 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이 입력된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a) measuring a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 that occurs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applied system to which the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is input; b) 상기 측정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와 요구되는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b) comparing the measured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with required target traffic-specific QoS parameters; c) 토큰 버킷의 토큰 발생률로 상기 비교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트래픽 클래스별 유효 대역폭을 대기(queuing)시키는 단계;c) queuing the effective bandwidth for each traffic clas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parameter with the token generation rate of the token bucket; d) 상기 토큰 버킷의 유효 대역폭에 따라서 상기 입력된 패킷을 다시 처리하는 단계; 및d) reprocessing the input packet according to the effective bandwidth of the token bucket; And e) 상기 트래픽별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재할당하는 단계e) actively reallocating the effective bandwidth to the applied system to satisfy the traffic-specific QoS requirements 를 포함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tep a) comprises: a-1)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 입력 패킷을 상기 트래픽 클래스별로 각각 버퍼링시키는 단계;a-1) buffering the input packet for each traffic class for each traffic class; a-2) 기설정된 토큰 발생률로 발생하는 토큰에 따라 상기 입력 패킷을 상기 적용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 및a-2) inputting the input packet to the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oken generated at a preset token generation rate; And a-3) 상기 적용 시스템의 동작 결과로 발생하는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a-3) measuring QoS parameters for each traffic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applied system 를 포함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b) 단계의 요구된 목표 트래픽별 QoS 파라미터는 패킷 손실률 또는 핸드오버 실패율로서,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The required target traffic QoS parameter of step b) is a packet loss rate or handover failure rate, and is provided from a parameter tabl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d)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파라미터의 차이값이 적어지도록 상기 유효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에 따른 유효 대역폭 할당 방법.The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each traffic, characterized in that step d) adjusts the effective bandwidth so that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arameter compared in the step b) is reduced.
KR1020040081686A 2004-10-13 2004-10-13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Expired - Fee Related KR1005829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86A KR100582907B1 (en) 2004-10-13 2004-10-13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86A KR100582907B1 (en) 2004-10-13 2004-10-13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741A true KR20060032741A (en) 2006-04-18
KR100582907B1 KR100582907B1 (en) 2006-05-25

Family

ID=3714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6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2907B1 (en) 2004-10-13 2004-10-13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907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09B1 (en) * 2005-12-08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andwidth Allocation Device and Method
KR100780396B1 (en) * 2007-06-18 2007-11-28 주식회사 셀런 Traffic Control Method of IPTV Service
KR100845671B1 (en) * 2006-12-28 2008-07-1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OSS parameter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wideband communication network
KR100853697B1 (en) * 2006-12-07 2008-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ource Request Method,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Request Ran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843832B2 (en) 2005-12-08 2010-1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039695B1 (en) * 2009-04-14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KR101233232B1 (en) * 2011-05-16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using session managment for quality of service
CN115378879A (en) * 2022-08-22 2022-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Data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2674A (en) 2022-12-26 2024-07-03 에스엠파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daptive bandwidth in a radio traffiic transmission no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83B1 (en) * 2000-09-25 2005-03-1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Hierarchical prioritized round robin(hprr) scheduling
KR100585934B1 (en) * 2003-12-26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ynamic Management of Traffic Controller's Parameter and Service Class Definition Rule Table in Rout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09B1 (en) * 2005-12-08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andwidth Allocation Device and Method
US7843832B2 (en) 2005-12-08 2010-1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53697B1 (en) * 2006-12-07 2008-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ource Request Method,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Request Ran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055268B2 (en) 2006-12-07 2011-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requesting resources,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and apparatus thereof using bandwidth request ran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45671B1 (en) * 2006-12-28 2008-07-1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OSS parameter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wideband communication network
KR100780396B1 (en) * 2007-06-18 2007-11-28 주식회사 셀런 Traffic Control Method of IPTV Service
WO2008156260A1 (en) * 2007-06-18 2008-12-24 Celrun Co, . Ltd. Traffic control method for iptv broadcasting service
KR101039695B1 (en) * 2009-04-14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KR101233232B1 (en) * 2011-05-16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using session managment for quality of service
CN115378879A (en) * 2022-08-22 2022-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Data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907B1 (en)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553B2 (en) 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for long-term fairness to non-elastic traffic on a cellular basestation
JP4500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llocation of network resources
KR100984982B1 (en) Admission Control and Resource Allo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US7502317B2 (en) Method for differentiating services and users in communication networks
JP2001103120A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raffic in communication network
CN102917466A (en) Priority scheduling and admission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Romanchuk et al. Method for processing multiservice traffic in network node based on adaptive management of buffer resource
US12199876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0582907B1 (en) Effective Bandwidth Allo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ccording to Traffic Quality Requirements
JP2009509397A (en) Improved dimensioning method for HSDPA traffic
Lindemann et al. Adaptive performance management f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networks
JP2946462B1 (en) Packet scheduling control method
JP2008219714A (en) Communication device
Koubaa et al. Loss-tolerant QoS using firm constraints in guaranteed rate networks
Zho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pplication-based QoS control in software-defined wireless networks
KR101446441B1 (en) Timestamp Adjustment for Packet Loss Differentiation in Weighted Fair Queuing
Wang et al. A priority-based weighted fair queueing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
Omotoye et al. Congestion Management on GSM Networks using Traffic Class Prioritization
Abramova Analysis of the Impact of Priority Traffic Control Mechanisms on Network Quality of Service
KR100527339B1 (en) Method of scheduling for guaranteeing QoS in Ethernet-PON
Shi et al. An evaluation of fair packet schedulers using a novel measure of instantaneous fairness
Wigard et al. Packet scheduling with QoS differentiation
JP2010166582A (en) Permission control and resource allo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quality of service
Gemikonakli et al. Exploring service and buffer management issues to provide integrated voice and data services in single and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Chen et al. Study of the traffic scheduler by using correlation heu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5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51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