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041A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part of an original content set by a use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part of an original content set by a u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9041A KR20050119041A KR20040044223A KR20040044223A KR20050119041A KR 20050119041 A KR20050119041 A KR 20050119041A KR 20040044223 A KR20040044223 A KR 20040044223A KR 20040044223 A KR20040044223 A KR 20040044223A KR 20050119041 A KR20050119041 A KR 200501190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 designated
- original content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및 배포의 염려 없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가 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콘텐츠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소정의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In order to provide content processed by a user-selected and designated portion without fear of unauthorized dup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user-specifi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desired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content as a source based on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conver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into a format reproducible in a predetermined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통화 개시를 위한 호 연결시 재생되는 벨소리 및/또는 링백톤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 및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processed into a portion directly designated by a us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for ringtones and / or ringback tones that are reproduced when a call is connected to initiate a call into a selected and designated part by a user.
근래, 이동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개인 휴대 전화기가 상당한 다수의 사용자에 보급되어, 이에 따라 개인 휴대 전화기에 관한 서비스 관련 기술도 양과 질적으로 급격히 발전해왔다. 그 중에서도, 통화 개시를 위한 호 연결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 및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링백톤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점차 다양화되어 왔으며, 벨소리 및 링백톤을 위한 콘텐츠의 개발과 더불어 상기 콘텐츠의 제공 서비스 기술도 아울러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personal mobile phones have spread to a considerable number of users, and accordingly, service related technologies related to personal mobile phone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Among them, user needs for ringtones output from the called mobile terminal and ringback tone service output from the calling mobile terminal have been diversified.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technology is also very active.
그러나, 예컨대 기존 벨소리 서비스는 벨소리 전문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벨소리 콘텐츠를 왑이나 웹에서 다운로드 받는 서비스 형태이었으며, 서비스되는 콘텐츠는 사용자들의 선택이나 기호에는 무관하게 전문 제작자들에 의해 선택, 제작되어진 콘텐츠로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음악을 들으면서 자신이 원하는 곡 및 그 구간을 선택하는 등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를 지향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청되었다.However, the existing ringtone service, for example, was in the form of a service that downloads the ringtone content produced by a ringtone professional producer from the web or a web, and the serviced content is selected and produced by a professional producer regardless of user's choice or preference. It was limited. Therefore,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variety of content services aimed at a user, such as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ice such as selecting a desired song and a section thereof while listening to music directly, has been requested.
이러한 요청에 따라, 종래, 상기 벨소리 및 링백톤에 관한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부분만을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된 콘텐츠를 자신 또는 타인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콘텐츠의 편집 작업이 사용자의 소정 단말기 (예컨대 범용 컴퓨터 시스템)상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소스가 되는 본래의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내에 저장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상기 기술은 본래의 콘텐츠가 정당한 권한 없이 복제, 배포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 단점이 있었다.In response to the request, conventionally, the user can edit any part desired by the user for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ingtone and the ringback tone on the user's terminal, and transmit the edited content to his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was a technique for providing content in a way.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the editing work of the content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terminal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of the user, and the original content serving as the source has to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herefore, the above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herent in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l content is copied and distributed without proper authority.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선택하고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processed by a user directly selected and designa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배포의 염려 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processed into a portion designated by a user without fear of unauthorized copying or distribution of content.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되는 동안,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콘텐츠의 소정 위치에 관한 정보인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지정 위치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소스가 되는 원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당해 원콘텐츠의 저장장치로부터 추출하는 원콘텐츠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원콘텐츠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을 콘텐츠가 재생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콘텐츠 가공 모듈; 및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le the multimedia content is streamed to the user's terminal, A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content designated by a user; An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part or all of the original content which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to be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storage device of the original content; A content processing module for converting a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content is to be played; And a content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content to be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1)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되는 동안,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콘텐츠의 소정 위치에 관한 정보인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소스가 되는 원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당해 원콘텐츠의 저장장치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추출된 원콘텐츠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을 콘텐츠가 재생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4)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 while the multimedia content is streamed to the user's terminal, Receiving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2) extracting a part or all of the original content that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from the storage of the original content; (3) converting the portion of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content is to be played; And (4) transmitting the processed content to be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d by a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이하, 간략히 ‘시스템’이라고도 함) 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100이 이용되는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18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1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10 및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18을 통한 데이터 통신은 이미 알려진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기술 사상의 상세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show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2 of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the user, and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8.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8 may be performed by a known communication protocol, the details of the technical idea is already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required for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only within.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성의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적 구성의 상세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computer system capable of functioning as a server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client computer in a wired network environment of a client-server configuration. Details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such a computer system are already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동 통신 단말기 10은 CDMA 및 GSM은 물론 WCDMA 방식 등에 근거한 통상의 통화 기능은 물론,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하, 간략히 ‘콘텐츠’라고도 함)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음성 및 영상 출력 장치 (예컨대,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s well as a general call function based on CDMA and GSM as well as a WCDMA scheme. 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multimedia conten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ontent'). It is preferred that the device is provided with a voice and video output device (e.g., a speaker and a display) so as to enable reproduction of the same.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및 유선 통신 단말기 50의 영상 및 음성 출력 장치에서 출력이 가능하도록 적합화된 벨소리, 링백톤, 음악, 이미지, 동영상 등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집합이다. 이하,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 콘텐츠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10 및/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 50간의 통화 개시를 위한 호 연결시에 있어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출력되는 착신음(이른바 ‘벨소리’) 및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10 및/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 50에 출력되는 링백톤 (즉, 통화 연결음)을 위한 오디오 파일인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t of video and audio data, such as a ringtone, ringback tone, music, image, and video, which are adapted to be output from video and audio output de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Hereinafter, the content is audio content, when a call connection for initiating a cal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is performed, the ring tone (so-called 'ring tone') and the calling party output to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example that is an audio file for a ringback tone (ie, ring back tone)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사용자 단말기 12는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 100과 유무선 통신망 18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서 제공되는 원콘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당해 콘텐츠에 있어서 원하는 부분을 지정하도록 하여 그 정보를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전송한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 12는 소정의 데이터 전송 라인 (도시 안됨)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10과 접속하여 시스템 100으로부터 수신한 가공된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세히는 후술한다.The user terminal 12 is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that is generally widely used, and preferably has a function requi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system 100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8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 receives the original content provided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designate a desired portion of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user terminal 12 may conn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line (not shown) and transmit the processed content received from the system 1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은 시스템 1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의 소스가 되는 원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원콘텐츠 저장장치의 일예이다. 원콘텐츠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이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게 제공하는 변환후의 콘텐츠로 가공되기 전의 본래의 콘텐츠로서, 예컨대, 음악 콘텐츠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콘텐츠 저장장치(예컨대, 데이터베이스) 16은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시스템 100의 내부에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어도 좋다.The raw content storage device 16 is an example of a raw content storage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original content that is a source of content desired by a user provided by the system 100. The original content is original content before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into the converted content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music cont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eg, database) 16 is configured independently, but may be included as a component in the system 100.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에 저장되어 있는 원콘텐츠를 액세스하면서, 사용자 단말기 12에 원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한다 (S1).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원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원콘텐츠 전송 요청 정보를 먼저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원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하여도 좋다. 상기 원콘텐츠 전송 요청 정보에는 원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by streaming while accessing the original content stored in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S1). The system 100 may first receive the original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original content desir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2,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Preferably, the original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riginal conten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의 저작권 문제를 고려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 12에 원콘텐츠의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에 원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암호화 등을 통하여 콘텐츠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in a streaming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copyright problem of the original content. As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may transmit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in a download manner,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rotect the content through encryption or the like.
한편, 사용자 단말기 12에는 소정의 미디어 플레이어 (도시안됨)가 미리 설치되어, 시스템 100 및 사용자 단말기 12간의 원콘텐츠의 스트리밍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 단말기 12의 운영 체제에 적합한 언어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media player (not shown) is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to perform streaming transmission of original content between the system 100 and the user terminal 12. The media player is a computer program configured in a language suitable fo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12. Since the media player is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 12에 설치되어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송되는 원콘텐츠에서 원하는 부분을, 클릭하는 등의 소정의 방법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지정된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 (이하, “지정 위치 정보”라 한다)를 시스템 100에 전송한다 (S2). Next, the media play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allows the user to designate a desir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to be transmitted by a predetermined method such as cli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 to the system 100 (S2).
원콘텐츠에 있어 소정 부분의 지정 및 지정 위치 정보의 전송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 12에 미리 설치되어 동작하는 소정의 모듈 (도시안됨)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상기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 12에 운영체제에 적합한 언어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예컨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플러그인 (Plug-in)되어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비한 모듈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original content, designation of a predetermined portion and transmission of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are preferably performed by the media play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module (not shown) that is pre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user terminal 12. The module is a computer program configured in a language suitable for an operating system in the user terminal 12,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ogram that is driven by being plugged into the media play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having the above function is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원콘텐츠를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으로부터 추출한다 (S3). 이어서, 시스템 100은 수신한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을 콘텐츠가 재생될 단말기 16 또는 5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형한다. 이렇게 가공될 콘텐츠의 일부분을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으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저장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는 저작권 침해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Next, upon receiving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 the system 100 extracts the original cont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S3). Subsequently, the system 100 transforms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terminal 16 or 50 on which the content is to be reproduced based on the received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Instead of extracting a part of the content to be processed from the user's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that may be caused by storing the content on the user terminal by extracting from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한편, 시스템 100은 수신한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만을 추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의 추출된 부분에 대하여만 포맷 변환을 수행하면 된다.The system 100 may extract onl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ystem 100 only needs to perform format conversion on the extract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콘텐츠가 벨소리인 경우, 가공된 콘텐츠를 통신망 18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전송한다 (S4). 이동 통신 단말기 10은 변환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통화 개시를 위한 호 연결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원하는 부분을 벨소리로 출력한다. Next, when the content is a ringtone,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8 (S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s and stores the converted content, and outputs a desired portion of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s a ringtone when a call is connected to initiate a call.
한편, 콘텐츠가 링백톤인 경우, 시스템 100은 통화 개시를 위한 호 연결시에,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의 요청에 따라 가공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S5).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10 또는 유선 통신 전화기 50에 가공된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S6), 발신자는 당해 가공된 콘텐츠를 링백톤으로서 출력한다. 시스템 100,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 및 이동 통신 단말기 10 또는 유선 통신 전화기 50간의 콘텐츠의 전송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is a ringback tone,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at the time of call connection for call initiation (S5).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calling mobile terminal 10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lephone 50 (S6), whereby the caller outputs the processed content as ring back tone. Transmission of content between the system 100,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lephone 50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을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nother embodiment. 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에 저장되어 있는 원콘텐츠를 액세스하면서, 사용자 단말기 12에 원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한다 (S1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 12에 설치된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콘텐츠에서 원하는 부분을 소정의 방법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그 지정 위치 정보를 시스템 100에 전송한다 (S12). First,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original content stored in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and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by streaming (S11). Next, the media play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allows the user to designate a desir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by a predetermined method, and transmits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S12).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원콘텐츠를 원콘텐츠 저장장치 16로부터 추출한다 (S13). 그리고, 시스템 100은 수신한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만을 추출하여 포맷 변환을 수행하거나, 원콘텐츠 전체를 추출하여 추출된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콘텐츠가 재생될 단말기 16 또는 5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Next, when the system 100 receives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 the system 100 extracts the original cont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S13). Then, the system 100 extracts onl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to perform format conversion, or extracts the entire original content to reproduce the content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Convert it to a format suitable for your needs.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가공된 콘텐츠를 통신망 18을 통하여 사용자측 단말기 12에 전송한다 (S14).Nex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8 (S1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 12는 수신한 가공된 콘텐츠를 소정의 메모리 (도시안됨)에 저장하고, 소정의 데이터 전송 라인 (도시안됨)을 통하여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S15).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서는 가공된 콘텐츠를 벨소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user terminal 12 stores the received processed content in a predetermined memory (not shown) and transmit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line (not shown) (S15). ).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use the processed content as a rington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100이 이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18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1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10 및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 및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100과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가 분리되어 있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show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2 of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the user,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and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8. In this embodiment, the system 100 and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are separated.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는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에 저장되어 있는 원콘텐츠를 액세스하면서, 사용자 단말기 12에 사용자가 요청한 원콘텐츠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 12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원콘텐츠를 전송하여 시스템 100이 원콘텐츠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2 while accessing the original content stored in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so that the user terminal 12 can designate a desired part. Meanwhile,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ystem 100 performs the processing of the original content.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는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에 저장되어 있는 원콘텐츠를 액세스하면서, 사용자 단말기 12에 원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한다 (S21).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por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irst,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original content stored in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and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by streaming (S2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 12에 설치된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콘텐츠에서 원하는 부분을 소정의 방법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지정된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인 지정 위치 정보를 당해 원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시스템 100에 전송한다 (S22).Next, the media play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allows the user to designate a desir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assigns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portion,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To transmit (S22).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수신한 원콘텐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를 경유하여 원콘텐츠를 추출한다 (S23). 그리고, 시스템 100은 수신한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콘텐츠가 재생될 단말기 16 또는 5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형하여 가공한다. 한편, 시스템 100은 수신한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만을 추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의 추출된 부분에 대하여만 포맷 변환을 수행하면 된다.Next, the system 100 extracts the original content via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 (S23). The system 100 transforms and processe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terminal 16 or 50 on which the content is to be reproduced based on the received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The system 100 may extract onl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ystem 100 only needs to perform format conversion on the extract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콘텐츠가 벨소리인 경우, 가공된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전송하며 (S24), 콘텐츠가 링백톤인 경우, 통화 개시를 위한 호 연결시에,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의 요청에 따라 가공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S25). 링백톤 서비스 서버 40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10 또는 유선 통신 전화기 50에 가공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S26).Next, when the content is a ringtone,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24). When the content is a ringback tone, when the call is connected to initiate a call,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requests. The processed content is transmitted according to (S25). The ringback tone service server 4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calling mobile terminal 10 or the wired telephone 50 (S2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을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other embodiment. 6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는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에 저장되어 있는 원콘텐츠를 액세스하면서, 사용자 단말기 12에 원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한다 (S31).First,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original content stored in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and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by streaming (S3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 12에 설치된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콘텐츠에 있어 원하는 부분을 소정의 방법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지정된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인 지정 위치 정보를 당해 원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시스템 100에 전송한다 (S32).Next, the media play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allows the user to designate a desir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by a predetermined method, and designates the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designated portion,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Transfer to 100 (S32).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수신한 원콘텐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를 경유하여 원콘텐츠를 추출한다 (S33). 이 경우, 시스템 100은 수신한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만을 추출하여 포맷 변환을 수행하거나, 원콘텐츠 전체를 추출하여 추출된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콘텐츠가 재생될 단말기 16 또는 5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Next, the system 100 extracts the original content via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 (S33). In this case, the system 100 extracts onl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to perform format conversion, or extracts the entire original content to reproduce the content for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Convert to a format suitable for 50.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가공된 콘텐츠를 통신망 18을 통하여 사용자측 단말기 12에 전송한다 (S34).Nex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8 (S3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 12는 수신한 가공된 콘텐츠를 소정의 메모리 (도시안됨)에 저장하고, 소정의 데이터 전송 라인 (도시안됨)을 통하여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가공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S35). Next, the user terminal 12 stores the received processed content in a predetermined memory (not shown) and transmits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line (not shown) (S35). ).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원콘텐츠에 있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 102,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소스가 되는 원콘텐츠를 추출하는 원콘텐츠 추출 모듈 104, 상기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콘텐츠에 있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에 대하여,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모듈 108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에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소스가 되는 원콘텐츠를 전송하는 원콘텐츠 전송 모듈 11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for receiving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the origin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12, extracting the original content that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to be provided by the user An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and a content delivery module 108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content to a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for the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riginal content transmission module 110 for transmitting original content, which is a source of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to the user terminal 12.
정보 수신 모듈 102는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콘텐츠의 소정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12,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원콘텐츠 추출 모듈 104는 원콘텐츠 저장장치 16로부터 당해 원콘텐츠를 추출한다. 원콘텐츠 추출 모듈 104는 상기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에 있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만을 추출하여도 좋다.The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extracts the original cont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The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may extract only a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상기 지정 위치 정보는 원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에 대한 소정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콘텐츠 20에서 그 일부인 30을 지정된 경우, 지정 위치 정보는 원콘텐츠 20의 부분 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지점 22, 24 또는 26일 수 있다. 즉, 부분 30의 시점, 내부의 지점 또는 종점을 가리키는 정보 등을 지정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원콘텐츠 추출 모듈 104는 지정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점 22, 24 또는 26로부터 각각 (1) 후방 소정 구간 a 만큼 추출하거나, (2) 전방 소정 구간 b 및 후방 소정 구간 c 만큼 추출하거나, 또는 (3) 전방 소정 구간 d 만큼 추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point of a portion designated by a user in the original cont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designates 30 which is a part of the original content 20,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various points 22, 24, or 26 that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ortion 30 of the original content 20. That i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ing point, the internal point or the end point of the part 30 can be used as the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extracts (1) the rear predetermined section a, or (2) the front predetermined section b and the rear predetermined section c, respectively, from points 22, 24, or 26 indicated by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or ( 3) Only a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may be extrac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extracting the front predetermined section d.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제공되는 변환후의 콘텐츠의 길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서 재생 가능한 시간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CDMA 시스템하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10이 재생할 수 있는 벨소리의 길이는 대략 5초 내지는 10초 정도의 재생 시간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원콘텐츠 추출 모듈 104은 수신하고 있는 원콘텐츠를 대략 5 내지 10초 정도의 길이로 가공한다.The length of the content after conversion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preferably limited to the time that can be reprodu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e current CDMA system, the length of the rington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reproduce is about 5 seconds to about 10 seconds. Therefore, the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in the present embodiment processes the received original content into a length of about 5 to 10 seconds.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콘텐츠 추출 모듈 104에 의해 소정 길이로 가공된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서 재생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변환한다. 예컨대,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원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서 재생 가능한 MMF, DAT, MA1, MA2, MA3, CMX, Genaral MIDI, NSND 등의 파일 형태로 변환한다.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converts the content processed by the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into a file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converts the original content into a file type such as MMF, DAT, MA1, MA2, MA3, CMX, Genaral MIDI, NSND, etc., which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한편,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성능을 고려하여 변환되는 파일의 용량을 다양하게 결정하여도 좋다. 예컨대,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성능 (예컨대, 4poly, 16poly, 40poly 등의 재생 성능)에 대응하여 콘텐츠가 약 100byte 내지 30Kbyte 범위의 파일 용량을 가지도록 샘플링 레이트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변환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사용자 단말기 12에 설치된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성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여 변환을 수행하여도 좋다. 나아가,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가 제공될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성능 정보를 추출한 후, 이에 기초하여 변환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식별 정보는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전화 번호 등이 될 수 있다.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may variously determine the capacity of the converted file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variously selects and converts a sampling rate so that the content has a file capacity ranging from about 100 bytes to 30 Kbytes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playback performance of 4poly, 16poly, 40poly, etc.).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may receive in advance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rom the media play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and perform the convers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Furthermore,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which content is to be provided from the media player, extracts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performs convers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ood.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for example, a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또한,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스트리밍 수신되는 원콘텐츠를 WAV 형태의 파일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서 재생 가능한 MMF 등의 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 변환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converts the origi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streaming into a WAV file format, and then converts the content into a file such as an MMF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file conversion technique is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로써, 원콘텐츠 추출 모듈 104는 원콘텐츠 전체를 추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콘텐츠 가공 모듈 106은 상기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의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만에 대하여 파일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riginal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may extract the entire original conten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performs the file conversion operation only on the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original content based on the designated position information.
콘텐츠 전송 모듈 108은 콘텐츠 가공 모듈 106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컨대, 콘텐츠가 벨소리인 경우, 콘텐츠 전송 모듈 108은 변환된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정보 수신 모듈 102는 미리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 10에 관한 식별 정보,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 10의 전화 번호 등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ent delivery module 108 transmits the content converted by the content processing module 106 to a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s a ringtone, the content transmission module 108 transmit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preferably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rom the user terminal 12 in advance.
다른 실시예로써, 콘텐츠 전송 모듈 108은 가공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12는 데이터 전송라인을 통하여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 10으로 수신한 콘텐츠를 전송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delivery module 108 may transmit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2 transmits the received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nnect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line.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로써, 원콘텐츠 전송 모듈 110이 본 발명의 시스템 100과는 독립하여 상기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로서 구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 수신 모듈102는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원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원콘텐츠 식별 정보를 더욱 수신한다. 또한, 콘텐츠 추출 모듈 104는 상기 수신한 원콘텐츠 식별 정보를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에 전송하고, 대응하는 원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여 추출한다. 그 밖의 동작들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Next, as another embodiment, a case where the original content delivery module 110 is configured as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independently of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i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receives the orig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rigin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12. In addition, the content extraction module 104 transmits the received orig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and requests and extracts the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original content. The other ope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통상적인 범용 컴퓨터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programming a conventional general purpose computer system. Howev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nd implement dedicated hardware for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느 경우에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포함되는 상기 모듈들 102 내지 110 각각은 상호간에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미 널리 알려진 운영체계나 통신 프로토콜 등의 소프트웨어 (도시되지 않음)와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장치 등의 하드웨어 (도시되지 않음)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함에 요구되는 공지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지의 구성요소와 그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지된 기능 등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ny case, each of the modules 102 to 110 included i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via a bus, and may include software such as a widely known operating system or communication protocol ( (Not shown) and hardware (not shown)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memory device may be used to perform known functions requir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Known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nd known functions performed by them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상기 모듈들 102 내지 110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일부나 전부를 독립된 하드웨어인 서버로 구현한 서버의 집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적 구현의 변형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설계상의 선택사항에 지나지 않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urthermore,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a set of servers in which some or all of one or a combination of the modules 102 to 110 are implemented as servers which are independent hardware. This modification of hardware implementation is merely a design option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하,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이 수행하는 동작의 예들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Such a method may be examples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시스템 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원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한다 (S202).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원콘텐츠 전송 모듈 110이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로서 구성된 경우,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가 원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한다.First, the system 100 transmits original content desir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2 (S20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original content delivery module 110 is configured as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2.
다음으로, 사용자는 원콘텐츠에서 원하는 부분을 지정하고,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에 설치된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S204). 다른 실시예로써, 원콘텐츠 전송 모듈 110이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로서 구성된 경우, 시스템 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원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원콘텐츠 식별 정보를 더욱 수신한다.Next, the user designates a desired portion of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system 100 receives designation posi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redetermined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from a media play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S204).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original content delivery module 110 is configured as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he system 100 further receives orig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riginal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으로부터 당해 원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부분을 추출한다 (S206). 다른 실시예로써, 시스템 100은 S204에서 수신한 원콘텐츠 식별 정보 및 지정 위치 정보를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에 전송하고, 당해 원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부분을 추출한다.Next, the system 100 extracts a predetermined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based on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S206). In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204 to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and extracts a predetermined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original content.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소정 길이로 추출된 콘텐츠를 콘텐츠가 재생될 이동 통신 단말기 10 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 50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S208).Next, the system 100 converts the content extrac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to 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in which the content is to be reproduced (S208).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에 전송한다 (S210). 예컨대, 시스템 100은 변환된 콘텐츠를 콘텐츠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10, 유선 통신 단말기 50 또는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content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format to the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S210). For example, the system 100 may transmit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or the user terminal 12 in response to the content.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먼저, 시스템 100 또는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가 사용자가 원하는 원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한다 (S302).First, the system 100 or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desir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2 (S302).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사용자 단말기 12로부터 상기 소정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정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S304). 다른 실시예로써, 시스템 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원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원콘텐츠 식별 정보를 더욱 수신한다.Next, the system 100 receives design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 (S304). In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may further receive orig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riginal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원콘텐츠 저장장치 16으로부터 당해 원콘텐츠의 전체를 추출한다 (S306). 다른 실시예로써, 시스템 100은 S304에서 수신한 원콘텐츠 식별 정보 및 지정 위치 정보를 원콘텐츠 제공 서버 14에 전송하고, 당해 원콘텐츠의 전체를 추출한다. Next, the system 100 extracts the entire original cont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storage device 16 (S306). As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original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304 to the origi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4, and extracts the entire original content.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지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에 있어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부분에 대하여 콘텐츠가 재생될 이동 통신 단말기 10 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 50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S308).Next, the system 100 converts the extracted content into 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in which the content is to be reproduced for a predetermined portion designated by the user based on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S308).
다음으로, 시스템 100은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에 전송한다 (S310). 예컨대, 시스템 100은 변환된 콘텐츠를 콘텐츠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10, 유선 통신 단말기 50 또는 사용자 단말기 12에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content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format to the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S310). For example, the system 100 may transmit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50, or the user terminal 12 in response to the content.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선택하고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provide multimedia content processed into a portion selected and designat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배포의 염려 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부분으로 가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ultimedia content processed into a portion designated by a user without fear of unauthorized copying or distribution of the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100이 이용되는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2 conceptu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3 conceptu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100이 이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4 conceptu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system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5 conceptu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콘텐츠 제공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6 conceptually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process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7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지정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원콘텐츠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original content in order to explain the designa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44223A KR20050119041A (en) | 2004-06-15 | 2004-06-15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part of an original content set by a u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44223A KR20050119041A (en) | 2004-06-15 | 2004-06-15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part of an original content set by a us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041A true KR20050119041A (en) | 2005-12-20 |
Family
ID=3729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40044223A Withdrawn KR20050119041A (en) | 2004-06-15 | 2004-06-15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part of an original content set by a u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11904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1972B1 (en) * | 2006-04-11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ile playback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
KR100722512B1 (en) * | 2005-10-26 | 2007-05-28 |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ring back tone service |
KR100747450B1 (en) * | 2005-07-22 | 2007-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ultimedia cont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call waiting and its method |
KR100878045B1 (en) * | 2006-10-20 | 2009-01-13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Mobile scrap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
-
2004
- 2004-06-15 KR KR20040044223A patent/KR2005011904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7450B1 (en) * | 2005-07-22 | 2007-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ultimedia cont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call waiting and its method |
KR100722512B1 (en) * | 2005-10-26 | 2007-05-28 |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ring back tone service |
KR100691972B1 (en) * | 2006-04-11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ile playback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
KR100878045B1 (en) * | 2006-10-20 | 2009-01-13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Mobile scrap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379611A1 (en) | Systems and Method for Music Remixing | |
US906593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audio synthesis | |
US710704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media | |
JP4264564B2 (en) | Data receiving apparatus, reception status display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 |
US20020013784A1 (en) | Audi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WO2007092341A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ingtone definition sharing | |
JP2009093206A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 |
WO2005039212A1 (en) | Downloading system of self music file and method thereof | |
KR20050119041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part of an original content set by a user | |
MX2010009048A (en) | Method, device, system and terminal for processing coloring ring back tone. | |
KR100597965B1 (en) | Audio service method using mobile phone and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convert audio signal | |
KR102387273B1 (en) | Ring-back tone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speech synthesis | |
JP2005049692A (en) |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20057926A (en) | Ring-tone composing and editing method about portable mobile phones | |
KR10058714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ll connection sound provi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KR100625908B1 (en) | Photobell content providing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ing user's ordered image and ringtone | |
JP3971424B2 (en) | Data distribution system | |
JP3712967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OMMUNICATION PROGRAM | |
JP2002123273A (en) | Information terminal | |
KR20090131523A (en) | Online DVB Music Service System and Method | |
JP4540072B2 (en) | Online music reception method on information terminals | |
KR10062264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listening service of ring back tone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KR20040032372A (en) |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ell sound service of mobile station | |
CN100550940C (en) | The system and method that is used for setting individual audible ringing message breath | |
KR20050092973A (en) | Method for providing bell download service using realtime broadcasting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