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566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4566A KR20050094566A KR1020040019739A KR20040019739A KR20050094566A KR 20050094566 A KR20050094566 A KR 20050094566A KR 1020040019739 A KR1020040019739 A KR 1020040019739A KR 20040019739 A KR20040019739 A KR 20040019739A KR 20050094566 A KR20050094566 A KR 200500945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yle
- region
- information
- dialog
- text subtit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서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텍스트 서브타이틀(Text Subtitle) 스트림 파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은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과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으로 구분하여 기록하되,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에는 다이알로그내의 리전(region)별 적용되는 복수개의 스타일 정보(Style Info)들을 기록하고, 상기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에는 다이알로그를 구성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적용되는 스타일 정보로서,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내의 스타일 정보(Style Info)들중 어느하나를 링크하는 링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통해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을 규격화된 정보로서 광디스크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상기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의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subtitle stream file construction method, a playback method, and a playback apparatus in a high-density optical disc such as a Blu-ray Disc (BD). In the construction of a text subtitle stream file,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is provided. The stream is divided into a dialog style unit (DSU) and a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recorded, and a plurality of style information (Style Info) applied to each region of the dialog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And recording the text data constituting the dialog i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style information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as style information applied to the text data. Characterized by recording the link information for linking any one of these Text subtitle is possible to record in the optical disc as standardized information, the stream file, will be an efficient reproduction of the recorded text subtitle stream file has becomes possible advantages.
Description
본발명은 고밀도 광디스크내에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Text Subtitle stream) 파일을 기록하고,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roducing method and 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in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nd for efficiently reproducing the recorded text subtitle stream.
광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기록 매체(HD-DVD), 예를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이하 "BD"라고 한다)가 개발되고 있다. As optical recording media, optical discs capable of recording large amounts of data are widely used. Among them, recently, a new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medium (HD-DVD) capable of recording and storing high-definition video data and high-quality audio data for a long time, for example, Blu-ray Disc (hereinafter referred to as "BD"). ) Is being developed.
차세대 HD-DVD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D)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Blu-ray Disc (BD), the next-generation HD-DVD technology, is a next-generation optical recording solution that can contain data that significantly surpasses the existing DVD. Recently, the world's standard technical specifications with other digital devices have been established.
관련하여,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을 응용한 광기록재생기의 개발도 시작되었으나, 아직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이 완비되지 못하여 완성된 광기록재생기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게 사실이다. In relation to the Blu-ray Disc (BD) standard, the development of the optical record player has also begun, but the Blu-ray Disc (BD) standard is not complete yet,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complete optical record player.
특히, 상기와 같은 블루레이 디스크(BD)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메인 AV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인 AV 데이터와 관련된 보조 데이터로서 텍스트 서브타이틀 정보와 같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가 제공되어야 함은 물론,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메인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체계화되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order to efficiently reproduce the data recorded in the Blu-ray Disc BD as described above, various data for user convenience such as text subtitl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s auxiliary data related to the main AV data as well as the main AV data. In addi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producing the main data and the auxiliary data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should be systematically provided.
그러나, 현재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에서는 상기 보조 데이터 특히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에 대한 통일된 규격사항이 완비되어 있지 않아, 본격적인 블루레이디스크(BD) 기반의 광기록재생기를 개발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광디스크내에 기록하고, 이를 재생하는 데 있어 특히 문제가 된다 할 것이다.However, the current Blu-ray Disc (BD) standard does not have a unified standard for the auxiliary data, especially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and thus has many limitations in developing an optical Blu-ray Disc (BD) -based optical recorder. In this situation, this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text subtitles on an optical disc.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블루레이 디스크 (BD)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내에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을 구성하고, 이를 재생하는 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바, 그 기술적과제는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d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in a high density optical disc such as a Blu-ray Disc (BD). The technical challenges are as follows.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의 구성시, 스타일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When construct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organizing style information.
또한 상기 구성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재생하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xt subtitl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producing the configured text subtitle stre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구성방법은, 텍스트 서브타이틀(Text Subtitle) 스트림 파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은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과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으로 구분하여 기록하되,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에는 다이알로그내의 리전(region)별 적용되는 복수개의 스타일 정보(Style Info)들을 기록하고, 상기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에는 다이알로그를 구성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적용되는 스타일 정보로서,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내의 스타일 정보(Style Info)들중 어느하나를 링크하는 링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of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configur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the text subtitle stream is a dialog style unit (DSU). ) And a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the plurality of style information applied for each region in the dialog are recorded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and the dialog presentation is recorded. A link for recording text data constituting a dialog in the unit (DPU) and linking any one of style information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as style information applied to the text data. Characterized by record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구성방법은, 텍스트 서브타이틀(Text Subtitle) 스트림 파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글로벌 스타일 정보로 구성된 스타일 정보 집합을 기록하고, 특정 프레젠테이션 타임(PTS)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데이터에 적용되는 글로벌 스타일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스타일 정보 집합내의 어느하나의 글로벌 스타일 정보를 지정하는 링크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another text subtitle stream file configuration method of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figur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records a set of style information composed of at least one global style information, 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global style applied to the text data displayed at the presentation time (PT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rding the link information designating any one of the global style information in the style information s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방법은,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과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으로 구분되어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Text Subtitle) 스트림을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내의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을 독출하고,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내의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을 재생하되, 상기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에 기록된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에 의해 지정된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내의 특정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 style)를 활용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method for reproducing a high-density optical disc text subti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laying the text subtitle stream recorded by being divided into a dialog style unit (DSU) and a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Reads the dialog style unit (DSU) in the subtitle stream and plays back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in the text subtitle stream, with a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recorded i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reproduces by utilizing specific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 style)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designat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장치는, 하나의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과 복수의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으로 구성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프리로딩하여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내에 저장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에 기록된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을 재생하되, 상기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에 기록된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에 의해 지정된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내의 특정 리전 스타일 정보 (region_styles)를 활용하여 재생하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reproducing a high density optical disc text subti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composed of one dialog style unit (DSU) and a plurality of dialog presentation units (DPUs), performs the text subtitle stream. Reproduces and stores a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recorded in a text subtitle stream stored in the buffer, and by a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recorded in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And a text subtitle decoder for playing by utilizing specific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_styles) in the designated dialogue style unit (DSU).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텍스트 서브타이틀(Text Subtitle)스트림 파일의 구성방법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figuring a text subtitle stream file of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widely used as possible now, but in certain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erms rather than names.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한 "메인 데이터"의 의미는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타이틀(Title) 정보로서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MPEG2 포맷으로 기록되고 이를 "메인 AV스트림" 이라고도 한다.In this regard, the meaning of "main dat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video and audio data provided to a user by a disc author as a title information recorded in an optical disc, and is generally recorded in MPEG2 format. Also known as the "main AV stream."
또한, "보조 데이터"의 의미는 상기 "메인 데이터"의 재생시 사용자에게 재생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메인 데이터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에는 서브타이틀정보, 인터액티브 그래픽 스트림, 프레젠테이션 그래픽 스트림, 사운드 정보, 브라우저블 슬라이드쇼를 포함한 부가적 오디오 데이터 등이 포함되며, 각각의 보조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MPEG2 포맷으로 메인 AV스트림에 멀티플렉싱 (multiplexing)되어 기록되거나, MPEG2 포맷 또는 다른 포맷으로, 메인 AV스트림과는 독립적인 스트림 파일에 기록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auxiliary data" means all data related to main data provided for the user's convenience in playing back the "main data", including subtitle information, interactive graphic streams, presentation graphic streams, Sound information, additional audio data including browsable slideshows, etc.,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auxiliary data, are recorded multiplexed onto the main AV stream in MPEG2 format, or in MPEG2 format or other formats. It may also be recorded in a stream file independent of the AV stream.
또한, 본발명에서 보조 데이터로서 "서브타이틀"의 의미는, 일종의 자막정보로서, 사용자가 현재 재생중인 영상(메인 AV데이터)을 특정언어의 자막과 함께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광디스크가 지원하는 서브타이틀중 해당언어의 서브타이틀을 선택하면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어 지는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브타이틀은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바, 특히 텍스트 데이터 (Text data)로 기록되어진 서브타이틀을 "텍스트 서브타이틀 (Text Subtitle)" 이라고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ubtitle" as auxiliary data is a kind of subtitle information. When a user wants to watch a video (main AV data) currently being played with subtitles of a specific language, the subtitle supported by the optical disc If the subtitle of the language is selected, it mean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ccordingly, the subtitles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 particular, the subtitles recorded as text data are referred to as "text subtitles".
관련하여 본발명에서는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Text Subtitle)"이 MPEG2 포맷으로 구성되며, 메인 데이터와는 독립적인 스트림 파일로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Text Subtitle) 스트림 파일"을 구성하여, 이를 광디스크내에 기록하고,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Text Subtitle) 스트림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Subtitle" is configured in the MPEG2 format and is recorded as a stream file independent of the main data.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cording the same on an optical disc and reproducing the recorded "Text Subtitle stream file".
이하, 상기 메인데이터 및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포함한 보조데이터를 디스크내에 기록하는 기록형태 및 이를 관리하는 파일 구조 (File structure)에 대해 도1~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recording format for recording auxiliary data including the main data and text subtitle data in a disc and a file structure for manag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먼저, 도1은 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아래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BD디렉토리 (BDMV)가 존재하고, BD디렉토리 (BDMV) 내에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티 (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상위파일) 정보로서 인덱스 파일 (index.bdmv)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를 포함함과 아울러, 실제 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재생정보와 이를 재생하는 방법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4개의 디렉토리로서,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 (PLAYLIST), 클립인포 디렉토리 (CLIPINF),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 및 보조데이터 디렉토리 (AUXDATA)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 4가지 종류의 디렉토리 및 이에 포함되는 파일에 대해 우선 설명하고, 이후 본발명과 관련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정보와 파일간의 관련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First, FIG. 1 shows a file structure for managing data recorded on a disc, where at least one BD directory exists under one root directory, and a user exists in the BD directory. It contains the index file (index.bdmv) and the object file (MovieObject.bdmv) as general file (parent file) information to ensure interactivity with the file, and plays back data recorded on the actual disk. As four directories having information on information, a method of playing them, and the like, a playlist directory (PLAYLIST), a clip information directory (CLIPINF), a stream directory (STREAM), and an auxiliary data directory (AUXDATA) are provided. Hereinafter, the above four types of directories and files included therei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relation between text subtitle information and fil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내에는 디스크내에 특정 포맷으로 기록된 메인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이를 "메인 AV스트림"이라고 한다)에 대한 파일들과 텍스트 서브타이틀과 같은 보조 스트림 (이를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이라고 한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 파일은 현재 널리 알려진 엠펙2 (MPEG2) 방식의 트랜스포트(Transport) 패킷 (packet)으로 기록되어 지므로, 스트림 파일 (01000.m2ts, 02000.m2ts, 10001.m2ts)의 확장명을 "*.m2ts"로 사용될 것이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10001.m2ts)"의 경우, 메인 AV스트림과는 상이한 보조데이터의 성격을 가지므로, 이경우는 예를들어 파일 확장명을 "*.txtst"로 구분사용 할 수도 있을 것이다. First, in the stream directory (STREAM), auxiliary streams such as files and text subtitles for the main video and audio streams (called "main AV streams") recorded in a specific format on the disc (called "text subtitle streams"). Is independently present, and as described above, the stream file is recorded as a transport packet of the MPEG2 method, which is now widely known, and thus, the stream file (01000.m2ts, 02000). .m2ts, 10001.m2ts) extension will be used as "* .m2ts", but the "text subtitle stream (10001.m2ts)" has a different nature of auxiliary data than the main AV stream. For example, you can use file extensions separated by "* .txtst".
상기와 같은 스트림 파일을 BD규격에서는 특히 "클립 스트림파일(clip stream file)" 이라고 명명하기도 하며, 본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가 AV스트림과는 별도의 파일(seperated file)형태로 즉,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10001.m2ts 또는 .txtst)로 존재하게 될 것이다. In the BD specification, such a stream file is sometimes called a "clip stream fil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text subtitle data is in the form of a separate file from the AV stream. That is, it will exist as a text subtitle stream file (10001.m2ts or .txtst).
클립인포 디렉토리 (CLIPINF)는 상기 각각의 스트림(*.m2ts) 파일과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Clip info) 파일(*.clpi)들로 구성되어 진다. 특히, 클립인포 파일(*.clpi)은 대응하는 스트림 파일의 속성정보 및 타임정보 (timing information)등을 기록하는 바, 상기 정보중에는 엔트리 포인트 맵(Entry Point Map) 방식에 의해 프레젠테이션 타임 스탬프 (PTS: Presentation Time Stamp)와 소스 패킷 넘버 (SPN: Source Packet Number)를 테이블(table) 형태로 일대일 대응한 후, 후술할 플레이아이템 (PlayItem) 또는 서브 플레이아이템 (SubPlayItem)에 의해 제공되는 타임정보(In-Time, Out-Time)로부터 해당하는 스트림 파일(*.m2ts)의 특정 위치를 서치(search)가능하게 하는 맵핑정보(mapping)가 클립의 종류에 따라서 구비되어 있기도 한다.The clip information directory (CLIPINF) is composed of each stream (* .m2ts) file and one-to-one corresponding clip info file (* .clpi). In particular, the clip information file (* .clpi) records attribute information and timing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stream file. Among the information, the presentation time stamp (PTS) is determined by an entry point map method. :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a Presentation Time Stamp (SPN) and a Source Packet Number (SPN) in a table form, and then time information (In) provided by a PlayItem or a SubPlayItem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Mapping information for searching a specific position of a corresponding stream file (* .m2ts) from -Time and Out-Time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type of clip.
상기와 같이 서로 일대일 대응하는 스트림(*.m2ts)파일과 클립인포 파일 (*.clpi)을 묶어 BD 규격에서는 이를 "클립(clip)"이라고 명명한다. 따라서 클립인포 디렉토리 (CLIPINF)내의 파일 "10001.clpi"은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내의 파일, 예를들어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파일 "10001.m2ts"에 대한 속성정보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파일 "10001. clpi"과 "10001.m2ts"가 하나의 클립(clip)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stream (* .m2ts) file and a clip information file (* .clpi)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bundled together, and the BD standard calls it "clip." Therefore, the file "10001.clpi" in the clip information directory (CLIPINF) contain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file in the stream directory (STREAM), for example,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10001.m2ts", and the file "10001. clpi "and" 10001.m2ts "form one clip.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 (PLAYLIST)는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로 구성되며, 각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특정 클립(clip)이 재생되는 시간 (playing interval)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레이아이템(PlayItem)을 포함하고 있다. The playlist directory (PLAYLIST) consists of playlist files (* .mpls), and each playlist file (* .mpls) contains at least one play that specifies the playing interval for a particular clip. Contains an item (PlayItem).
따라서, 플레이아이템(PlayItem)은 재생을 원하는 특정 클립(Clip), 즉 플레이아이템 (PlayItem)내에서 클립명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클립(clip)의 재생시작 시각(In-Time)과 재생종료 시각(Out-Time)에 대한 타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클립인포(*.clpi)내의 맵핑정보에서 활용되어 짐은 전술한 바 있다.Therefore, the PlayItem (PlayItem) is the playback start time (In-Time) and the end time of playback of a particular clip (i.e. clip) specified by the clip name (Clip_Information_File_name) in the PlayItem (PlayItem). (Out-Time) has time information, which has been used in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clip information (* .clpi) has been described above.
결국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레이아이템 (PlayItem)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클립(clip) 조합의 재생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재생 파일정보가 된다. As a result, the playlist file (* .mpls) becomes basic playback file information for playing a desired clip combination by combining at least one PlayItem.
또한,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내에는 보조데이터의 재생관리를 위한 서브 플레이아이템 (SubPlayItem)이 구비되기도 하는 바, 예를들어,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하는 서브 플레이아이템 (SubPlayItem)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레이아이템 (PlayItem)과는 동기(synchronized)되어 데이터 재생되는 방식이 될것이나, 블라우저블 슬라이드 쇼를 재생하는 서브 플레이아이템 (SubPlayItem)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레이아이템 (PlayItem)과는 비동기(non-synchronized)되어 데이터 재생되는 방식이 될 것이다.Also, a playlist file (* .mpls) may include a subplayitem (SubPlayItem)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auxiliary data. For example, a subplayitem (SubPlayItem) for playing a text subtitle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data is played bac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layItem. However, when a SubPlayItem for playing a browsable slide show is provided, the data is asynchronous with the PlayItem. non-synchronized data playback.
본발명과 관련하여서는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포함한 보조 데이터를 상기 서브 플레이아이템 (SubPlayItem)으로 관리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of managing auxiliary data including a text subtitle as the subplayitem (SubPlayItem)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보조데이터 디렉토리 (AUXDATA)는, 디스크 재생을 위한 보조데이터 파일을 별도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예를들어, 사용자에 더욱 친숙한 디스크 재생을 지원하기 위해 클릭사운드(Click sound)를 제공하기 위한 "사운드파일 (Sound.bdmv)"과,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시 적용되는 "폰트파일 (*.font 또는 *.otf)"등을 기록하게 된다. The auxiliary data directory (AUXDATA) is an area for separately recording auxiliary data files for disc playback. For example, an auxiliary data directory (AUXDATA) provides a "sound file" for providing a click sound to support user-friendly disc playback. Sound.bdmv) " and " font files (* .font or * .otf) " applied to the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s.
따라서, 특정 사용예에 있어서는 보조데이터의 일종인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10001.m2ts)을 보조데이터 디렉토리 (AUXDATA)내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in a specific use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record the text subtitle stream 10001.m2ts, which is a kind of auxiliary data, in the auxiliary data directory AUXDATA.
또한, 전술한 BD디렉토리(BDMV)내에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티 (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로서 인덱스 파일(index.bdmv)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이 존재하는 바, 특히 인덱스 파일(index.bdmv)은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 위주로 구성되며,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내에는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메뉴 정보(Menu)와 타이틀(Title) 정보가 구비되어 진다. In addition, an index file (index.bdmv) and an object file (MovieObject.bdmv) exist as a general file for ensuring interactivity with a user in the above-described BD directory (BDMV). (index.bdmv) mainly consists of an index table, and a user selectable menu information and a title information are provided in the index table.
도2는 상기 파일구조와 관련된 정보들이 디스크내에 기록되는 형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디스크내주로부터 보면, 전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정보로서 파일시스템 정보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과, 기록된 스트림 (*.m2ts)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인포 파일과, 상위파일(일반파일)로서 인덱스 파일(index.bdmv),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이 기록되는 영역 (이를 "Database Area"라고도 한다), 및 오디오/비디오/그래픽 등 메인 데이터와 텍스트 서브타이틀과 같이 메인 데이터에 멀티플헥싱(multiplexing)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보조 데이터가 기록되는 스트림 파일 영역 (Stream Area)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Fig. 2 briefly shows a form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e structure is recorded on a disc. From the inside of the disc, a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and a recorded stream as system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entire file are shown. Playlist files and clip information files for playing (* .m2ts) files, and areas where index files (index.bdmv) and object files (MovieObject.bdmv) are recorded as parent files (regular files) (referred to as "Database Area"). "," And a stream file area in which auxiliary data, such as audio / video / graphics and main data and text subtitles, which are independently multiplexed in the main data, are recorded. Able to know.
따라서, 사용자(User)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영역(Database Area)내의 파일정보 및/또는 스트림 파일 영역 (Stream Area)내의 스트림 관리정보를 통해 재생을 원하는 메인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와, 이의 재생방식을 결정하여 활용하게 된다.Accordingly, a user determines and utilizes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fil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rea and / or stream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stream file area and a reproduction method thereof. Done.
이하,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우선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새로이 정의하고, 정의된 관리정보를 포함하여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과, 기록된 스트림 파일을 재생하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 method of newly defining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producing the text subtitle, and configuring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including the defined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text subtitle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recorded stream fi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3은 본발명의 한화면내에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와 메인 데이터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으로, 메인 데이터에 시간적으로 동기되어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가 제공되어 짐을 보여주는 것이다.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xt subtitle data and the main dat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on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that the text subtitle data is provid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in data in time.
도4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관리하는 방법을 파일구조상의 파일정보와 연계하여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은 플레이리스트내의 서브 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에 의해 관리되며, 하나의 서브 플레이아이템(SubPlayItem)내에 복수개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클립(Clip)이 함께 재생관리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reproducing and managing a text sub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file information on a file structure. The text sub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aged by a SubPlayItem in a playlist. A plurality of text subtitle clips (Clips) are reproduced and managed together in one subplayitem (SubPlayItem).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레이리스트(PlayList) 파일내에는 메인 AV 클립(Clip)을 재생관리 하는 플레이아이템(PlayItem)이 적어도 하나이상 존재하고, 메인 AV데이터에 관련된 텍스트 서브타이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서브 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으로 관리하게 되는 바, 예를들어, 영어(English)로 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클립1과, 한국어(Korean)로 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클립2가 각각 존재하며, 상기 각각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클립1, 클립2는 시간적으로 메인 AV데이터와 동기(synchronized)되어 있어, 원하는 프렌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 time)에 메인 AV데이터와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질 것이다.Specifically, at least one PlayItem (PlayItem) for managing the playback of the main AV clip (Clip) in the PlayList (PlayList) file, and if there is a text subtitle related to the main AV data Managed as a SubPlayItem, for example, there is a text subtitle clip 1 in English and a text subtitle clip 2 in Korean, respectively. The title clips 1 and 2 are synchronized with the main AV data in time, and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main AV data at a desired presentation time.
따라서,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되는 프레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 time)과 화면내에 재생되는 위치(position) 및 크기(size) 등에 대한 정보가 최소한의 관리정보로서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하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다양한 관리정보를 광디스크내 파일정보로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refore, in order to reproduce the text subtitle, it can be seen that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ation time to be played and the position and size to be played in the screen is required as the minimum management information. A method of recording various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producing the subtitle as file information in the optical dis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5a ~ 도5c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내에 기록되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5a는 다이알로그 (Dialog) 정보, 도5b는 리전(region) 정보, 도5c는 스타일정보(Style Info)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ext subtitle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a text subtitle st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dialog information, FIG. 5B is region information, and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style information.
도5a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관리 하는 정보로서, 다이알로그 (Dialog)정보에 관한 것으로, "다이알로그(Dialog)"란, 특정 프레젠테이션 타임 (presentation time)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의미한다.FIG. 5A is information for reproducing and managing a text sub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s to dialog information, wherein "Dialog" means at least one or more text data existing within a specific presentation time. Refers to management information that integrates and manages (Text data).
즉, 화면내 재생시간을 알려주는 프레젠테이션 타임 (presentation time)은 일반적으로 "PTS (Presentation Time Stamp)"로 표시하며, 특정의 PTS 구간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다이알로그(Dialog)로 정의하므로서, 재생관리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ation time that informs the playing time of the screen is generally expressed as a "PTS (Presentation Time Stamp)", and defines the entire text subtitle displayed during a specific PTS section as a dialog. Therefore, the playback management can be convenient.
예를들어, PTS(k)와 PTS(k+1)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가 2라인(line)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모든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는 동일 다이알로그(Dialog)에 의해 정의되어 짐을 알수 있다. 관련하여, 다이알로그 (Dialog)내에 포함되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의 문자(character code)수에 대한 조건은 최대 100개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For example, if the text subtitle data displayed during the PTS (k) and PTS (k + 1) time is composed of two lines, all the text subtitle data are defined by the same dialog. I can see that. In this regard, a maximum of 100 conditions for the number of character codes of the text subtitle data included in the dialog may be desirable.
도5b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관리 하는 정보로서, 리전(region)정보에 관한 것으로, "리전(region)"이란, 특정 프레젠테이션 타임 (presentation time)내에 존재하는 다이알로그(Dialog)를 구성하는 정보로서, 후술할 스타일 정보(Style Info, 특히 "글로벌 스타일 정보")가 동일하게 적용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하나의 다이알로그(Dialog)내에는 최대 2개의 리전(region)이 존재가능하다. 즉, 다이알로그(Dialog)는 하나의 리전(region)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2개의 리전(region)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존재 할 수 있게 된다. FIG. 5B is information for reproducing and managing a text sub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s to region information, and a "region" constitutes a dialog existing within a specific presentation time. As information to be described, it refers to an area to which style information (Style Info, in particular, “global style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equally applied, and up to two regions may exist in one dialog. That is, a dialog may be composed of one region and two regions.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하나의 다이알로그(Dialog)내에 최대 2개의 리전(region)만이 존재가능하도록 정의한 이유는,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시, 디코딩 부담을 고려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다이알로그(Dialog)내에 최대 n개(n>=2)의 리전(region)이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relation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defining only a maximum of two regions in one dialog is that the decoding burden is taken into account when reproducing a text subtitle. It is obvious that at most n (n> = 2) regions can be defined in the Dialog.
도5c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관리 하는 정보로서, 스타일 정보(Style Info)에 관한 것으로, "스타일 정보(Style Info)" 란, 텍스트 서브타이틀 테이터를 화면내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정보로서, 화면내 위치(position), 크기(size), 배경색(backround color)등은 필수적인 스타일 정보 (Style Info)에 해당되며, 이외에도, 정렬방법(Text Alignment), 텍스트플로(Text flow)등 필요에 따라 규격으로 다양한 정보를 스타일 정보(Style Info)로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Fig. 5C is information for reproducing and managing text subtit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style information, and " Style Info " is information specifying how to display text subtitle data on the screen. The position, size, and background color of the screen correspond to essential sty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lignment method, text flow, etc.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defined as style information and used as a standard.
관련하여, 본발명에서는 스타일 정보(Style Info)를 크게 "글로벌 스타일 정보(Global Style Info)"와 "로컬 스타일 정보(Local Style Info)"로 구분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바, 이는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더욱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utilize style information by dividing the style information into "Global Style Info" and "Local Style Info". This is to make various displays.
즉, "글로벌 스타일 정보(Global Style Info)"는 리전(region)별로 동일하게 적용하는 스타일 정보(Style Info)로서, 화면내 텍스트 서브타이틀의 각 리전(region)의 위치 및 크기등을 지정하는 정보로서, 이를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_styles)" 라고도 한다. 도5c에서는 2개의 리전(region #1, #2)별로 서로 상이한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_styles)"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으로, 리전1(region #1)은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_styles)로 "position1, size1, color=blue"를 가지는 경우이고, 리전2(region #2)는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_styles)로 "position2, size2, color=red"를 가지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That is, "Global Style Info" is Style Info applied to each region in the same manner, and information specifying the location and size of each region of the text subtitle in the screen. This is also referred to as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_styles). FIG. 5C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wo regions (region # 1, # 2) have different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_styles)”. For example, region 1 (region # 1) represents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_styles). This is a case where "position1, size1, color = blue" is shown, and region 2 (region # 2) shows a case where "position2, size2, color = red" is used as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_styles).
또한, "로컬 스타일 정보(Local Style Info)"는 리전(region)내의 각 텍스트 테이터 라인(line)별 또는 텍스트 테이터 문자(character)별로 적용되는 스타일 정보(Style Info)로서, 이를 "인라인 스타일 정보 (inline _styles)" 라고도 한다. 예를들어, 도5c에서는 리전(region) #1내에 "인라인 스타일 정보 (inline_styles)"가 적용된 경우로서, 텍스트 데이터중 "mountain"부분을 다른 텍스트 데이터와는 상이한 인라인 스타일 정보 (inline _styles)를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Further, "Local Style Info" is Style Info applied to each text data line or text data character in a region, and is referred to as "Inline Style Information ( inline _styles) ". For example, in FIG. 5C, when "inline_styles" is applied to region # 1, the "mountain" portion of the text data is applied with inline style information (inline_styles) different from other text data. The case is shown.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중 특정의 인라인 스타일 정보 (inline _styles)가 적용되는 데이터를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이라 한다.In this regard, the data to which specific inline style information (inline_styles) of text data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a "text string".
도6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들어, 도1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10001.m2ts"의 구조가 될 것이다.FIG.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10001.m2ts" of FIG.
즉,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은 엠펙2 방식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Transport stream)으로 구성하되, 스트림내에 구성되는 트랜스포트 패킷 (TP; Transport Packet)은 모두 동일한 PID(Packet Identifier)로서 예를들어 "PID=0x18xx"와 같이 부여되어 진다. 따라서, 광기록재생장치는 입력 스트림중 "PID=0x18xx"이 부여된 트랜스포트 패킷(TP)을 독출하므로서, 용이하게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만을 독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That is, the text subtitle st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MPEG-2 transport stream, and all of the transport packets (TP) included in the stream are the same as PID (Packet Identifier). Is assigned as "PID = 0x18xx". Therefore, the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reads out the transport packet TP to which " PID = 0x18xx " is assigned to the input stream,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ad only the text subtitle stream.
또한, 복수의 트랜스포트 패킷(TP)은 하나의 "패킷 스트림(PES; Packet Elementary Stream)"을 구성하게 되는 바, 본발명에서는 전술한 다이알로그 (Dialog)마다 하나의 패킷 스트림(PES)을 형성하므로서, 다이알로그(Dialog) 재생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ansport packets TP constitute one "Packet Elementary Stream" (PES).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packet stream (PES) is formed for each of the dialog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ialog playback becomes easy.
또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내의 첫번째 패킷 스트림(PES)에는 전술한 스타일 정보(Style info)중 리전 스타일 정보 (region styles)의 집합 단위로서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 (DSU; Dialog Style Unit)"이 기록되고, 두번째 이후 나머지 패킷 스트림(PES)에는 실제 다이알로그(Dialog) 정보가 기록되는 단위로서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 (DPU; Dialog Presentation Unit)"이 기록되는 구조가 된다. In the first packet stream (PES) in the text subtitle stream, a "Dialog Style Unit" (DSU) is recorded as a set unit of region styles in the aforementioned style information. The second and subsequent packet streams (P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is recorded as a unit in which actual dialog information is recorded.
따라서, 도6과 같은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구조를 따를 경우, 전술한 도5a ~ 도5c에서 정의한 각 다이알로그(Dialog) 정보는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를 의미하고, 다이알로그(Dialog) 정보내의 스타일 정보(Style Info)는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 (DSU)에서 정의된 다양한 리전 스타일 정보 (region styles) 셋(set)중의 어느하나를 링크(link)하는 정보(region_style_id)와 인라인 스타일 정보(inline styles)를 의미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following the text subtitle stream structure as shown in FIG. 6, each dialog information defined in FIGS. 5A to 5C described above means a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the dialog information in the dialog information. Style Info includes information (region_style_id) and inline styles that link any one of a variety of region styles set defined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Will mean).
관련하여, 본발명에서는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에는 규격으로 정한 최대 갯수의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 styles) 셋(set)이 기록되는 바, 예를들어 최대 60개의 고유한 스타일 정보가 기록되고 이들은 각각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로 구별되어 있다.In this invention, the dialog style unit (DSU) records the maximum number of region styles (sets) set by the standard, for example, up to 60 unique style information is recorded. Each of these is identified by a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도7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내에 기록되는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과,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구체적인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신택스(syntax)는 도8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Fig. 7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alog style unit (DSU) and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recorded in the text subtitle st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gard, specific text subtitle stream syntax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즉,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은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 style)를 최대 60개까지 기록하고 이들을 각각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로 구분하였다. 상기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별로는 다양한 리전 스타일 정보를 기록한 리전 스타일 셋(region style set)이 기록됨과 아울러 사용자 변경가능한 스타일 셋(user changeable style set)이 각각 기록된다. 관련하여 구체적인 리전 스타일 정보의 내용은 도9b에서, 사용자 변경가능한 스타일 정보의 내용은 도9c에서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That is, the dialog style unit (DSU) records up to 60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 style), and divides them by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For each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a region style set recording various region style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 user changeable style set is recorded. Relevant content of region styl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B and content of user changeable styl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C.
또한,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은 텍스트 데이터(Text data) 및 텍스터 데이터가 프레젠테이션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정보(PTS set)가 기록됨과 아울러, 각각의 리전(region)별 적용되는 스타일 정보를 기록하게 되는 바, 전술한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내의 특정 리전 스타일 정보중의 어느 하나를 링크하는 정보를 기록하게 되고, 이러한 링크정보를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 _id) 라고 한다. In additio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records text data and time information (PTS set) indicating the time when text data is presented, and records style information applied to each region. As a result, information linking any one of the specific region style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dialog style unit (DSU) is recorded, and such link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a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따라서, DPU#1은 하나의 리전(region)으로 구성되고, 텍스트 데이터(Text data #1)에 적용되는 리전 스타일은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의 "region_style_id = k"를 적용하는 경우이고, DPU#2는 두개의 리전(region)으로 구성되고, 첫번째 리전내의 텍스트 데이터(Text data #1)에 적용되는 리전 스타일은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의 "region_style_id = k"를 적용하고, 두번째 리전내의 텍스트 데이터(Text data #2)에 적용되는 리전 스타일은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의 "region_style_id = n"을 적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DPU#3과 DPU#4는 각각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의 "region_style_id = n" 및 "region_style_id = m"을 각각 스타일 정보로 적용하게 된다.Therefore, DPU # 1 is composed of one region, and the region style applied to text data # 1 is a case where "region_style_id = k" i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is applied. # 2 consists of two regions, and the region style applied to text data # 1 in the first region applies "region_style_id = k" i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in the second region. The region style applied to the text data (Text data # 2) refers to a case where "region_style_id = n" i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is applied. Similarly, DPU # 3 and DPU # 4 apply "region_style_id = n" and "region_style_id = m" in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as style information, respectively.
한편, 상기 리전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에 의해 링크되는 스타일 정보는 해당 리전(region)내의 모든 텍스트 데이터(Text data)에 동일하게 적용되게 되나 (즉, 글로벌 스타일 정보),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내의 특정의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에 있어서 스타일 정보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에만 적용되는 로컬 스타일 정보로서 인라인 스타일 정보(inline style)을 정의하여 활용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yle information linked by the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is equally applied to all text data (Text data) in the region (ie, global style information), text data (Text data)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change the style information in a specific text string within the text string, the inline style information is defined and used as local style information applied only to the text string.
관련하여 구체적인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 신택스(syntax)에 대해서는 도10a, 도10b에서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In this regard, specific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syntax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이하, 도8 ~ 도10b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 (DSU) 및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 (DPU)의 신택스(syntax)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yntax structures of the dialogue style unit (DSU) and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B.
우선, 도8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Text_subtitle _stream()")의 신택스(syntax)를 도시한 것으로, 본발명의 "Text_subtitle _stream()"은, 스타일정보(Style Info) 셋(set)을 정의하는 하나의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에 관한 "dialog_style_unit()" 신택스(syntax)와, 실제 다이알로그(Dialog)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의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에 관한 "dialog_presentation_unit()" 신택스(syntax)로 구성되어 짐을 알수 있다. First, FIG. 8 shows the syntax of the text subtitle stream ("Text_subtitle _stream ()")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xt_subtitle _stream ()"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t of Style Info. "Dialog_style_unit ()" syntax for one dialog style unit (DSU) defining the " dialog_presentation_unit (DPU) " for a plurality of dialog presentation units (DPU) in which actual dialog information is recorded. You can see that it consists of syntax.
이하 도9a ~ 도9c는 상기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를 의미하는, "dialog_style_unit()" 에 관한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9A to 9C show a detailed configuration of "dialog_style_unit ()", which means the dialogue style unit (DSU).
도9a는 본발명의 "dialog_style_unit()"의 전체 구성에 관한 것으로, "dialog_style_unit()"내에는 다이알로그(Dialog)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스타일 정보(Sytle Info)의 셋(set)을 정의하는 "dialog_styleset()"이 정의되어 짐을 알 수 있다. FIG. 9A relates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dialog_style_unit ()"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ialog_style_unit ()", "dialog_styleset" defines a set of various style information (Sytle Info) utilized in a dialog. () "Is defined.
도9b는 상기 "dialog_style_unit()"내에 정의되는, 본발명의 "dialog_style set()" 에 관한 것으로, "dialog_style set()"내에는 전술한 리전 스타일 정보 (region-styles) 외에도, 스타일 정보의 변경 허용여부를 표시하는 "Player_style_flag" 및 사용자에 의한 스타일 정보 변경범위를 정의하는 "user_changeable_styleset()" 와 칼라(color) 정보를 지시하는 "palette()"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9B relates to the "dialog_style set ()"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in the "dialog_style_unit ()". In addition to the region-styles described above, the style information is changed in the "dialog_style set ()". There are "Player_style_flag" which indicates whether to allow it, "user_changeable_styleset ()" which defines the range of style information change by the user, and "palette ()" which indicates the color information. .
우선, 상기 리전 스타일 정보 (region-styles)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전(region)별로 정의되는 "글로벌 스타일 정보(Global Style Info)"를 의미하는 것으로, 각각의 리전 스타일(region style)마다 식별정보("region_style_id")를 부여하고, 특정의 "region_style_id" 에 해당하는 스타일 정보 셋(set)을 정의하게 된다.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region-styles mean "global style information" defined for each reg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on-style) is defined for each region style. "region_style_id") is assigned, and a style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_style_id" is defined.
따라서,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 내에서는 상기 다이알로그 (Dialog)에 적용되는 "region_style_id"를 기록해 둠으로서, 해당 다이알로그(Dialog)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는, "dialog_style set()"내의 동일한 "region_style_id"로 정의된 스타일 정보 셋(set)값을 적용하여 재생하게 된다.Therefore, the "region_style_id" applied to the dialog is recorded in the dialog presentation unit (DPU), and when the dialog is to be played, the same "" in the dialog_style set () "is recorded. Plays by applying the style information set defined by "region_style_id".
관련하여, "region_style_id" 마다 제공되는 스타일 정보 셋(set)에 포함되는 개별 스타일 정보(Style Info)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relation to this, individual style information (Style Info) included in a style information set provided for each "region_style_i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해당 리전(region)의 화면내 위치 및 크기를 정의하는 정보로서, "region_horizontal_position", "region_vertical_position", "region_width" 및 "region_height"가 제공되고, 해당 리전(region)의 배경색(background color)에 관한 "region_bg_color_index" 정보가 제공되어 진다. First, "region_horizontal_position", "region_vertical_position", "region_width", and "region_height" are provided as information defin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creen of the region,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region is provided. Information about "region_bg_color_index" is provided.
다음으로, 해당 리전(region)내 텍스트의 시작(origin) 위치를 정의하는 정보로서, "text_horizontal_position" 및 "text_vertical_position" 제공되고, 텍스트의 쓰기방향(좌->우, 우->좌, 상->하)을 정의하는 "text_flow" 와, 텍스트의 정렬방향(왼쪽, 가운데, 오른쪽)을 정의하는 "text_alignment"가 정의되는 바, 특히 "text_flow"의 경우 특정 다이알로그 (Dialog)내에 복수개의 리전(region)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다이알로그 (Dialog)내의 각 리전(region)은 모두 동일한 "text_flow"값을 가지도록 정의되며, 이는 사용자의 시청혼란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Next, as information defining the origin position of text in the region, "text_horizontal_position" and "text_vertical_position" are provided, and the writing direction of the text (left-> right, right-> left, up->) is provided. Defines "text_flow" and "text_alignment" which defines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text (left, center, and righ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ext_flow", a plurality of regions are defined in a specific dialog. ) Exists, each region in the dialog is defined to have the same "text_flow" value, in order to prevent user's viewing confusion.
또한, 스타일 정보 셋(set)에 포함되는 개별 스타일 정보(Style Info)로서, 리전(region)내 각 라인(line)간의 간격을 지정하는 "line_space"와, 실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폰트(font) 정보로서, "font_type", "font_style", "font_size" 및 "font_color_index" 정보가 제공되어 진다.In addition, as individual style information included in a style information set, "line_space" for specifying an interval between lines in a region, and font information for actual text data. "Font_type", "font_style", "font_size" and "font_color_index" information are provided.
한편, "dialog_style set()"내에 기록되는 "Player_style_flag"는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재생장치(Player)가 보유한 스타일 정보의 활용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로서, 예를들어, "Player_style_flag = 1b"인 경우에는 디스크내 "dialog_style set()"에 정의된 스타일 정보외에 재생장치(Player)가 장치내에 자체 구비한 스타일 정보를 활용하여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고, "Player_style_flag = 0b"인 경우에는 디스크내 "dialog_style set()"에 정의된 스타일 정보만을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Player_style_flag" recorded in "dialog_style set ()"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disk author (Author) can use the style information held by the player, for example, "Player_style_flag = 1b".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style information defined in the "dialog_style set ()" in the disk, the player allows the player to play the text subtitle using the styl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device, and "Player_style_flag = 0b". This means that only style information defined in "dialog_style set ()" on disk can be used.
도9c는 상기 "dialog_style set()"내에 정의되는, 본발명의 "user _changeable_style set()" 에 관한 것이다.Fig. 9C relates to the "user_changeable_style set ()"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within the "dialog_style set ()".
관련하여, 본발명의 "user_changeable_style set()"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한 스타일 정보(Style Info)의 종류 및 변경가능 범위를 미리 정의 해둠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의 스타일 정보를 변경 하기위채 활용되는 정보이다.In this regard, the "user_changeable_style set ()"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fines the type and range of changeable style information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style information of the text subtitle data. This information is used.
그러나, 도9b에서 전술한 모든 스타일 정보를 사용자가 변경가능 하도록 한다면, 이는 오히려 사용자의 혼란만을 가중시킬 우려가 크므로, 본발명에서는 "font_size"와 "region_horizontal/vertical_position" 만을 변경가능한 스타일 정보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아울러 "font_size"의 증감에 따라 변경되는 "text position" 및 "line space"의 증감도 동시에 정의할 수도 있다. However, if all the styl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in FIG. 9B is changeable by the user, this may increase the user's confus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nt_size" and "region_horizontal / vertical_position" are defined as changeable styl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ut also may be defined at the same time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ext position" and "line space" that is changed by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font_size".
즉, 전술한 "region_style_id"별로 "user_changeable_style set()"이 정의되고, 예를들어, 특정의 "region_style_id = k" 내에는 최대 25가지 정도의 사용자 변경 스타일 정보 ("user_style_id")를 "user_changeable_style set()"내에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user_changeable_style set ()" is defined for each of the "region_style_id" mentioned above. For example, up to 25 kinds of user change style information ("user_style_id") can be stored in "user_changeable_style set () within a specific" region_style_id = k ". It is possible to define within "".
또한, 각각의 "user_style_id"별로는 변경가능한 "region_horizontal/ vertical_position"의 변경이동 방향를 각각 지정하는 "region_horizontal _position_direction" 과 "region_vertical_position_direction" 정보가 제공되고, 각 방향으로 1회 변경분를 픽셀(pixel)단위로 지정하는 "region_horizontal _position_delta"와 "region_vertical_position_delta" 정보가 구비되어 진다.In addition, "region_horizontal _position_direction" and "region_vertical_position_direc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change movement direction of changeable "region_horizontal / vertical_position" are provided for each "user_style_id", and one change in each direction is specified in pixels. "region_horizontal _position_delta" and "region_vertical_position_delta" information are provided.
즉, 예를들어, "region_horizontal_position_direction = 0" 이면 오른쪽(right)으로 변경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region_horizontal _position_direction = 1" 이면 왼쪽(left)으로 변경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region_vertical_position_direction = 0"이면 아래(down)로 변경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region_vertical_position_direction = 1"이면 위(up)로 변경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region_horizontal_position_direction = 0" means to move to the right, and "region_horizontal_position_direction = 1" to change to the left. If "region_vertical_position_direction = 0", (change) to (down). If "region_vertical_position_direction = 1", it means to change to up.
또한, 각각의 "user_style_id"별로는 변경가능한 "font_size"의 변경 방향을 지정하는 "font_size_inc_dec" 정보와, "font_size"의 1회 변경분을 픽셀(pixel)단위로 지정하는 "font_size_delta" 정보가 구비되어 진다.Each "user_style_id" is provided with "font_size_inc_dec"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hange direction of "font_size" which can be changed, and "font_size_delta" information for specifying one change of "font_size" in pixel units. .
즉, 예를들어, "font_size_inc_dec = 0"이면, "font_size"가 증가(increase)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font_size_inc_dec = 1"이면, "font_size"가 감소 (decrease)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if "font_size_inc_dec = 0", i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font_size" increases, and if "font_size_inc_dec = 1", it defines as the direction in which "font_size" decreases. It can be utilized.
관련하여, 상기 본발명의 "user_changeable_style set()"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_changeable_style set ()"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에 포함된 모든 "region_style()"에서 정의되는 "user_control_style()"의 갯수는 동일하다. 즉, 모든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에 적용가능한 "user_control_style" 수는 동일하다.First, the number of "user_control_style ()" defined in all "region_style ()" included in the dialog style unit (DSU) is the same. That is, the number of "user_control_style" applicable to all dialog presentation units (DPUs) is the same.
둘째, 각 "user_control_style()"은 서로다른 "user_style_id"에 의해 대표되고, 사용자가 임의의 "user_style_id"를 선택한 경우 모든 "region_style()"에 대해서 동일한 순서의 "user_control_style()"이 적용된다.Second, each " user_control_style () "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 user_style_id ", and the same order of " user_control_style () " is applied to all " region_style () "
세째, 하나의 "user_control_style()"에는 모든 변경가능한 스타일들의 조합이 함께 정의된다. 즉, "region_position"과 "font_size"가 각각 분리되어 정의되지 않고 동시에 함께 정의된다.Third, in one "user_control_style ()" all combinations of modifiable styles are defined together. That is, "region_position" and "font_size" are not defined separately, but together.
네째, 이동방향 (*_direction) 혹은 증감표시 (*_inc_dec)가, 각각의 변경분 (*_delta)과 독립적으로 구분되어 기록되어 진다. 즉, 실제 변경되는 스타일 정보값(style value)을 갖지 않고 변경분(*_delta)만을 정의해둠으로서, 실제 변경되는 스타일 정보값 (style value)을 구하기 위해서는 "region_style()"에서 정의된 값에다 변경분 (*_delta)만큼을 합하여 최종치를 구하여야 한다.Fourth, the direction of movement (* _direction) or increment (* _inc_dec) is recorded separately from each change (* _delta). That is, by defining only a change (* _delta) without having a style value that is actually changed, in order to obtain a style value that is actually changed, the value defined in "region_style ()" is defined. The final value should be obtained by adding up the changes (* _delta).
도9d는 상기 "dialog_style set()"내에 정의되는 본발명의 팔렛 정보( "Palette()") 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이알로그(Dialog)내에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의 칼라(color) 변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팔렛 엔트리 (palette_entry-id)별로 고유의 휘도(Y_value) 및 색상(Cr_value, Cb_value) 값과 텍스트 데이터의 투명정도를 지정하는 "T_value"를 구비하여, 복수의 팔렛 엔트리 (palette_entry-id)를 기록하여 둔 정보가 된다.Fig. 9D relates to the pallet information ("Palette ()")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dialog_style set ()". This is to provide color change information of the text subtitle data recorded in the dialog, and the unique luminance (Y_value) and color (Cr_value, Cb_value) values and text for each palette entry (palette_entry-id). "T_value" which designates the transparency of data is provided, and it is the information which recorded the some pallet entry (palette_entry-id).
이하 도10a, 도10b는 상기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를 의미하는, "dialog_presentation_unit()" 에 관한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0A and 10B illustrate a detailed configuration of "dialog_presentation_unit ()", which stands for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도10a는 본발명의 "dialog_presentation_unit()" 의 전체 구성에 관한 것으로, 우선 "dialog_presentation_unit()"은 해당 다이알로그(Dialog)의 프레젠테이션 타임 (presentation time)을 지정하는 "dialog_start_PTS" 와 "dialog _end_PTS" 정보가 정의된다.FIG. 10A relates to the entire configuration of "dialog_presentation_unit ()"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ialog_presentation_unit ()" indicates "dialog_start_PTS" and "dialog _end_PTS" information specifying a presentation time of a corresponding dialog. Is defined.
다음으로 해당 다이알로그(Dialog)내에서 칼라(color) 정보의 변화를 표시하는 "palette_update_flag"을 구비하되, "palette_update_flag = 1b"인 경우는 색상의 변화(업데이트)가 있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새로이 색상을 정의하는 "palette()" 정보를 별도 기록하게 된다.Next, "palette_update_flag" is displayed to indicate the change of color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dialog. If "palette_update_flag = 1b", the color is changed (update). Defines "palette ()" information separately.
또한, 다음으로, 리전(region) 정보를 정의하는 "dialog_region()" 을 기록하되, 본발명은 하나의 다이알로그내에 최대 2개의 리전(region)이 구비되는 경우로서 각각의 리전(region)별로 "dialog_region()" 정보를 구비하게 된다. In addition, next, record "dialog_region ()" which defines region inform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up to two regions are provided in one dialog. dialog_region () "information.
상기 "dialog_region()"내에는, 도9b에서 전술한 스타일 정보(region styles)중의 어느하나를 지정하는 "region_style_id" 정보와, 이전 다이알로그 리전(region)과의 연속재생 여부를 식별토록 하는 "continuous_present_flag" 정보가 기록되어 진다. In the " dialog_region () ", " region_style_id " information designating any one of the style information (region styl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9B, and " continuous_present_flag " "The information is recorded.
아울러 "dialog_region()" 내에는, 실제 해당 리전(region) 정보내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로컬 스타일 정보(Local Style Info)를 정의하는 "region_subtitle()" 정보가 기록된다 .In addition, in "dialog_region ()", text data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nformation and "region_subtitle ()" information defining local style information (Local Style Info) are recorded.
도10b는 상기 "dialog_region()"내에 정의되는 "region_subtitle()" 정보에 관한 것으로, "region_subtitle()" 은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과 텍스트 스트링에 적용되는 인라인 스타일 정보(inline style)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FIG. 10B relates to "region_subtitle ()" information defined in the "dialog_region ()", where "region_subtitle ()" is a text string and a set of inline style information applied to the text string. Consists of.
우선, "region_subtitle()" 내의 타입(type)이 "type=0x01" 인 경우는 텍스트 스트링을 의미하고, 따라서 "text_string()" 내에 문자 코드(char_data_byte)를 기록하게 된다. First, when the type in "region_subtitle ()" is "type = 0x01", it means a text string. Therefore, the character code (char_data_byte) is recorded in "text_string ()".
또한, "region_subtitle()" 내의 타입(type)이 "type=0x01" 가 아닌 경우에는, 인라인 스타일 정보(inline style)를 의미하며, 예를들어, "type=0x02" 인 경우는 폰트셋(Font set)의 변경을 의미하고 "inline_style_value()"에는 관련된 클립인포(ClipInfo)에서 지정된 폰트ID 값을 기록하게 되고, "type=0x03" 인 경우는 폰트 스타일(Font style)의 변경을 의미하고 "inline_style_value()"에는 해당하는 폰트 스타일값을 기록하게 되고, "type=0x04" 인 경우는 폰트 크기(Font size)의 변경을 의미하고 "inline_style_value()"에는 해당하는 폰트 크기값을 기록하게 되고, "type=0x05" 인 경우는 폰트 칼라(Font color)의 변경을 의미하고 "inline_style_value()"에는 관련된 팔렛(palette)에서 지정된 인덱스값을 기록하게 되고, "type=0x0A" 인 경우는 라인 변경(line break)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진다.In addition, when the type in "region_subtitle ()" is not "type = 0x01", it means inline styl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ype = 0x02", the font set (Font) set), and the font ID value specified in ClipInfo is recorded in "inline_style_value ()". If "type = 0x03", it means the font style is changed and "inline_style_value". In () ", the corresponding font style value is recorded. If" type = 0x04 ", the font size is changed. In" inline_style_value () ", the corresponding font size value is recorded. In case of type = 0x05 ", it means to change font color. In" inline_style_value () ", the index value specified in the related palette is recorded. In case of" type = 0x0A ", the line change (line It is defined as meaning break.
예를들어, 전술한 도5c에서 리전(region) #1에 해당하는 텍스트 테이터중 "mountain"을 하나의 "text_string"으로 기술하되 ("text_string = mountain"), 로컬 스타일 정보(Local Style Info)로서 "inline_style type = 0x04 (Font size 변경)"로 하고, "inline_style_value() = xxx"로 하므로서, 해당 "text_string = mountain" 의 폰트 크기 (Font_size)를 원하는 값(xxx)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FIG. 5C, "mountain" of text data corresponding to region # 1 is described as one "text_string" ("text_string = mountain"), and as local style information. By setting "inline_style type = 0x04 (change Font size)" and "inline_style_value () = xxx", it becomes possible to play the font size (Font_size) of "text_string = mountain" to the desired value (xxx). .
도11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 재생을 포함한 광기록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메인 데이터와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및 관련 재생관리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픽업부(11)와 픽업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픽업부(11)로 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상기 시스템내 필요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Fig. 1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ext subtitle data re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pickup section 11 for reading main data, text subtitle stream and related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is shown. And the servo 14,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ickup section 11, restores the playback signal received from the pickup section 11 to a desired signal value, or modulates the signal to be recorded into a signal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And a signal processor 13 for transmitting the data, a memory 15 for sto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system, and a microcomputer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또한, AV디코더 및 텍스트 서브타이틀(Text ST) 디코더(17)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출력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AV인코더 (18)는 광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들어 엠펙2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 (13)에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AV decoder and the text subtitle (Text ST) decoder 17 finally decode the output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 and provide the same to the user, and the AV encoder 18 records the signal on the optical disc.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the input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of a specific format, for example, MPEG2 (MPEG2) transport stream, and provided to the signal processor 1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
또한, 버퍼(18)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디코딩하기 위해, 미리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프리로딩(preloading)하여 저장하는 용도로 활용되며, 제어부(12)는 전체 광기록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언어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재생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버퍼(18)에 해당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을 프리로딩(preloading)하여 저장하고, 프리로딩 (preloading)되어 버퍼(18)에 저장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정보중 전술한 다이알로그(Dialog) 정보, 리전(region) 정보 및 스타일 정보(Style Info) 등을 참조하여, 실제 텍스트 데이터를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특정 크기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텍스트 서브타이틀 디코더(17)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buffer 18 is used for preloading and storing the text subtitle stream in advance in order to decode the text sub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ler 1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s a control element, when a text subtitle playback request command of a specific language is input by the user, the text subtitle stream is preloaded and stored in the buffer 18, and is preloaded to store the buffer (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dialog information, region information, and style information among the text subtitle stream information stored in 18), the actual text data is displayed in a specific size on a screen at a specific size. The text subtitle decoder 17 is controlled.
즉, 상기 텍스트 서브타이틀 디코더(17)는, 상기 버퍼(18)내에 프리로드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에 기록된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을 재생하되, 상기 다이알로그 프레젠테이션 유닛(DPU)내에 기록된 리전 스타일 아이디(region_style_id)에 의해 지정된 전술한 다이알로그 스타일 유닛(DSU)내의 특정 리전 스타일 정보(region style)를 활용하여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하게 된다. That is, the text subtitle decoder 17 reproduces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recorded in the text subtitle stream preloaded in the buffer 18, but is recorded in the dialogue presentation unit (DPU). The text subtitle is played by utilizing specific region style information (region style) in the above-described dialog style unit (DSU) designated by the region style ID (region_style_id).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Or mo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to further improve various other embodiments Changes, substitutions or additions will be possible.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 재생장치를 통해,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을 규격화된 정보로서 광디스크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상기 기록된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의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configuration method and reproduction method and playback apparatus of the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to be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as standardized information, and the recorded text subtitle stream file.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an advantage of enabling efficient playback.
도1은 본발명의 고밀도 광디스크의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이고,1 shows a file structure of a high density optical disc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발명의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형태를 도시한 것이고,Fig. 2 shows the recording form of the high density optical disc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의 화면내 디스플레이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3 illustrates an in-screen display form of a text subtitle st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의 재생관리를 위한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이고,4 shows a file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of a text subtitle st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 ~ 도5c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관리정보의 활용을 도시한 것이고,5A to 5C show utilization of re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producing the text sub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6 illustrates a text subtitle stream fi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 구조에서 스타일 정보의 적용을 도시한 것이고,7 illustrates application of style information in the text subtitle stream fi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 도10b는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의 신택스(syntax)를 도시한 것이고, 8-10B illustrate the syntax of the text subtitle st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발명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재생을 포함한 전체 광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11 shows the entir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ext subtitle stream re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2 : 제어부 16 : 마이컴12 control unit 16 microcomputer
18 : 버퍼 17 : (텍스트 서브타이틀) 디코더18: Buffer 17: (Text Subtitle) Decoder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9739A KR20050094566A (en) | 2004-03-23 | 2004-03-23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PCT/KR2005/000013 WO2005065055A2 (en) | 2004-01-06 | 2005-01-04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RU2006128572/28A RU2378720C2 (en) | 2004-01-06 | 2005-01-04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back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EP05704438A EP1721319A2 (en) | 2004-01-06 | 2005-01-04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JP2006546853A JP2007518205A (en) | 2004-01-06 | 2005-01-04 | RECORDING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 RECORDING TEXT / SUBTITLE STREAM |
BRPI0506712-0A BRPI0506712A (en) | 2004-01-06 | 2005-01-04 | physical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KR1020067015903A KR20060136441A (en) | 2004-01-06 | 2005-01-04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US11/028,530 US20050147387A1 (en) | 2004-01-06 | 2005-01-05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TW094100293A TW200523908A (en) | 2004-01-06 | 2005-01-05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US11/602,970 US20070127885A1 (en) | 2004-01-06 | 2006-11-22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9739A KR20050094566A (en) | 2004-03-23 | 2004-03-23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4566A true KR20050094566A (en) | 2005-09-28 |
Family
ID=3727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9739A Pending KR20050094566A (en) | 2004-01-06 | 2004-03-23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94566A (en) |
-
2004
- 2004-03-23 KR KR1020040019739A patent/KR20050094566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362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recording media and text subtitle streams | |
KR20050078907A (en) | Method for managing and reproducing a subtitle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
JP2007518205A (en) | RECORDING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 RECORDING TEXT / SUBTITLE STREAM | |
JP4599396B2 (en)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ext subtitle stream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 |
KR20070007307A (en) |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various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
KR2007002832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record carrier and text subtitle streams | |
CN100555438C (en) | Recording medium and record and reproducting method and device with the data structure that is used to manage text subtitle | |
KR20050072255A (en) | Method for managing and reproducing a subtitle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
US7571386B2 (en) |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associated therewith | |
KR2006012906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recording media and text subtitle streams | |
KR10110239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ext subtitle stre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 |
KR20080068088A (en) | Data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 |
US20070189318A1 (en) |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data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 |
US20050198053A1 (en) |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text subtitle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 |
KR20060047266A (en) | Recording medium, method of playing back and recording device | |
KR10105362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recording media and text subtitle streams | |
CN1950903B (en) |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text subtitle data | |
KR101137354B1 (en) |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associated therewith | |
RU2367036C2 (en) | Recording medium with data structure for managing text subtitles, and recording and displaying methods and devices | |
KR20050087350A (en) | Method for managing and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
KR2005009456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
RU2378720C2 (en)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back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
RU2380768C2 (en) | Record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text caption streams decoding | |
KR2005009283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text subtitle stream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
KR20060136441A (en)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