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1732A - 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 Google Patents

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732A
KR20050091732A KR1020057011207A KR20057011207A KR20050091732A KR 20050091732 A KR20050091732 A KR 20050091732A KR 1020057011207 A KR1020057011207 A KR 1020057011207A KR 20057011207 A KR20057011207 A KR 20057011207A KR 20050091732 A KR20050091732 A KR 2005009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identification
image
identification
hash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핌 티. 튤스
마텐 이. 반 디지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9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32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2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ion devices synchronised or initially set up in a particular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CCIPHERING OR DECIPHERING APPARATUS FOR CRYPTOGRAPHIC OR OTHER PURPOSES INVOLVING THE NEED FOR SECRECY
    • G09C5/00Ciphering apparatus or method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involving the concealment or deformation of graphic data such as designs, written or prin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시각적 암호를 위한 시스템은,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일련의 이미지들을 암호화하기 위한 서버(1), 암호화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말기(2), 서버로부터 단말기(2)로 암호화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매체(4), 및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 장치(3)를 포함한다. 키 식별은 서버(1)에 의해 생성되고, 단말기(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복호 장치(3)는 키 식별을 감지하고 키 세트로부터 대응하는 키를 선택한다. The system for visual cryptography comprises a server 1 for encrypting a series of images using a set of keys, a terminal 2 for displaying the encrypted images, and transmission of encrypted images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2. Transmission medium 4, and a decryption apparatus 3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image displayed on the terminal. The key identification is generated by the server 1 and displayed by the terminal 2. The decryption apparatus 3 detects the key identification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key from the key set.

Description

시각적 암호 시스템의 키 동기화{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본 발명은 암호 시스템들의 키 동기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암호 장치의 제 1 키 세트와 복호 장치의 제 2 키 세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암호 장치는 이미지들을 암호화할 수 있고 상기 복호 장치는 이미지들을 복호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ey synchronization of cryptographic system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 first key set of an encryption device with a second key set of a decryption device, wherein the encryption device can encrypt images and the decryption device decrypts the images. can do.

암호 시스템들에서 키 세트들을 사용하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후속 메시지들은 키 세트의 상이한 키들을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상이한 메시지들에 대한 상이한 키들의 사용은 부정한 자가 임의의 메시지들을 복호화하는 것을 훨씬 어렵게 한다. 그 외에도, 단일 키의 숙지는 단일 메시지만 복호화되게 하여, 모든 다른 메시지들은 비밀을 유지한다. It is well known to use key sets in cryptographic systems, and subsequent messages are encrypted using different keys of the key set. The use of different keys for different messages makes it much more difficult for a fraudster to decrypt any messages. In addition, the knowledge of a single key allows only a single message to be decrypted, keeping all other messages secret.

물론, 키 세트들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는데, 즉, 암호 장치 및 복호 장치 모두 동일한 메시지를 암호 또는 복호화하기 위해 동일한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이 동기화가 실패하면, 메시지들을 정확하게 복호화할 수 없을 것이다. Of course, there is a need to synchronize the key sets, i.e., both the encryption device and the decryption device must ensure that the keys of the same key set are used to encrypt or decrypt the same message. If this synchronization fails, you will not be able to decrypt the messages correctly.

인증되지 않은 자들에 의해 이미지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컨텐트가 판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하나의 기술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제EP 0 260 8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시각적 암호라고도 또한 알려진 이 기술은 2개의 패턴을 이용하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인식될 수 없고 인식 가능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패턴들이 오버레이(overlaid)된다. 이를 위해, 원래 이미지는 2개의 랜덤한 부분들 또는 패턴들로 변환되고, 이들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인지 가능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들 패턴들 중 하나는 복호화 키로서 작용하기 위해 투명 도안 상에 프린트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패턴들이 오버레이되면, 이 패턴들이 조합되어 시청자의 눈에서 "복호화"된다. It is also known to encrypt the image to prevent it from being recognized by unauthorized persons or to prevent the content from being read. One technique for encrypting an image is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ent application EP 0 260 815. This technique, also known as visual cryptography, uses two patterns, each of which is not individually recognizable and the patterns are overlaid to produce a recognizable image. To this end, the original image is converted into two random parts or patterns, none of which contain any perceivable image information. One of these patterns is printed on a transparent pattern or displayed on an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display to act as a decryption key. When these patterns are overlaid, these patterns are combined to "decode" in the viewer's eyes.

개별적으로 암호화된 대량의 이미지들을 시청할 때, 성가신 투명 도안들로 작업하기보다는 디코딩(복호)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두 가지 타입의 이미지 복호 장치들은 투명 장치 및 불투명 장치로 구별될 수 있다. When viewing large quantities of individually encrypted images,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decoding (decryption) device rather than working with annoying transparent drawings. Two types of image decoding devices can be divided into transparent devices and opaque devices.

투명 복호 장치들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 분야에서 사용된 투명 시트들(transparent sheets)을 모방하고, 하나의 패턴("공유")의 암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복호 장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기 때문에, 다른 패턴의 이미지는 장치를 통해 보여질 수 있고 2개의 이미지 패턴은 전과 같이 시청자의 눈에서 조합된다. 투명 시트 대신 투명 장치를 사용하는 이점은 장치가 단일 이미지 부분보다는 복수의 이미지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후속 이미지들은 상이한 키들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복호 장치들은 LCD(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2개의 이러한 스크린들은 원래 이미지를 재구성하도록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하기 위해 오버레이된다. LCD 스크린들을 채용하는 투명 장치의 적절한 예는 미국 특허 출원 제02075527.8[PHNL02012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럽 특허 출원의 장치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정 셀들의 편향 회전 효과(polarization rotating effect)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매우 편리한 블랙 앤 화이트 이미지들의 암호 및 복호화를 허용한다. 유럽 특허 출원 제02078660.4[PHNL020804]는 컬러 이미지들도 또한 복호화되도록 하는 투명 복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Transparent decryption devices essentially mimic the transparent sheets used in the prior art and display an encrypted image of one pattern (“shared”). Since the decoding device is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different patterns of images can be seen through the device and the two image patterns are combined in the viewer's eyes as before. An advantage of using a transparent device instead of a transparent sheet is that the device can display multiple image portions rather than a single image portion. Thus, subsequent images may use different keys. Transparent decryption devices advantageously use LCD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s, two of which are overlaid to "decrypt" the encrypted image to reconstruct the original image. Suitable examples of transparent devices employing LCD screens are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02075527.8 [PHNL020121]. In the device of the European patent application, the use of the polarization rotating effect of the liquid crystal cell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made. This allows for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very convenient black and white images. European patent application 02078660.4 [PHNL020804] discloses a transparent decoding device which also allows color images to be decoded as well.

불투명 복호 장치들은 암호화된 이미지를 감지하고, 복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호화는 장치 자체에서 실행되고 디스플레이는 완성된 복호화 이미지를 보여주며, 암호화된 이미지는 장치에 의해 마스크된다. 이러한 디코딩 장치의 예는 유럽 특허 출원 제02079579.5호[PHNL021058]에 개시되어 있다. 디코딩 장치는 이미지를 복호화하기 위해 키를 사용할 수 있다.The opaque decryption devices may detect the encrypted image, perform decryption, and display the decrypted image. Decryption is performed on the device itself and the display shows the completed decrypted image, and the encrypted image is masked by the device. An example of such a decoding device is disclos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02079579.5 [PHNL021058]. The decoding device may use the key to decrypt the image.

이미지 디코딩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복호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나, 암호 보안 방식으로 다수의 이미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하여, 상이한 키들이 후속 이미지들을 복호화하는데 이용되는 키 세트를 채용해야 한다. 그러나 키 세트의 사용은 키 세트 동기화의 문제를 도입한다. 특정 키 시퀀스가 미리 결정되는 경우에도, 암호 장치 및 복호 장치는 상이한 순간에 키들을 우연히 변경할 수 있거나, 장치들 중 하나가 키들을 전혀 변경하지 않을 수 있어서, 키 동기화를 실패를 유발한다. 이것은 복호 장치가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할 수 없게 할 것이다. An image decoding apparatus will generally need at least one key to decrypt an image. However, to encrypt and decrypt multiple images in a cryptographically secure manner, one must employ a set of keys in which different keys are used to decrypt subsequent images. However, the use of a key set introduces the problem of key set synchronization. Even if a particular key sequence is predetermined, the encryption device and the decryption device may accidentally change the keys at different moments, or one of the devices may not change the keys at all, causing the key synchronization to fail. This will prevent the decryption device from decrypting the encrypted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yptographic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복호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2 shows schematically a cross section of a decoder for use in the system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사용된 이미지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used in a system and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효과적인 방식으로 암호 장치 및 복호 장치의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ynchronization of an encryption apparatus and a decryption apparatus in a simple effective man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암호 장치 및 이미지 복호 장치의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ynchronization of an image encryption apparatus and an image decryption apparatus.

따라서, 본 발명은, 암호 장치의 제 1 키 세트 및 복호 장치의 제 2 키 세트를 동기화하는 방법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ynchronizing a first key set of an encryption apparatus and a second key set of the decryption apparatus:

상기 암호 장치가 상기 제 1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 및 연관된 키 식별을 생성하는 단계,The cryptographic device generating an encrypted image and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using the keys of the first key set,

상기 암호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The cryptographic device sending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to a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by the display device,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는 단계,The decoding device detecting the key identification;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검출된 키 식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들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The decrypting device decrypting the encrypted images using a key of the second key se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key identification, and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And displaying, by the decoding apparatus, the decoded image.

즉, 암호 장치는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해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고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된 키와 대응하는 키 식별을 생성한다. 암호화된 이미지 및 키 식별은 모두는 복호 장치가 키 식별을 검출하도록 허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다. 복호 장치는 키 세트의 키를 식별하기 위해 키 식별을 사용한 다음, 이렇게 식별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한다. 복호 장치가 (암호화된) 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모두를 구비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cryptographic device uses the key of the key set to encrypt the image and generates a key iden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used to encrypt the image. Both the encrypted image and the key identification are sent to the display device allowing the decryption device to detect the key identification. The decryption apparatus uses the key identification to identify the key of the key set and then decrypts the encrypted image using the key thus identified. Preferably, the decoding device is used in the form of both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encrypted) image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coded) image.

암호화된 이미지와 키 식별을 전송함으로써, 키 동기화를 항상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암호화된 이미지와 키 식별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대신, 키 식별은 예를 들면 특정 수의 암호화된 이미지들이 전송된 후에나 특정량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키 식별은 요청시에만 전송될 수 있다. 키 식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전송이 요구되지 않을 때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By sending the encrypted image and the key identification,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key synchronizat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send all encrypted images and key identifications,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Instead, the key identification may be sent periodically, for example only after a certain number of encrypted images have been transmitted or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Alternatively, the key identification can be sent only upon reques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generating the key identification may be omitted when no transmission is required.

키 식별이 실제 키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키 식별이 전송 중에 가로채게 될 수 있을 때 암호적으로 보안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키 식별이 키와 연관된 코드(예를 들면, 키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 식별이 키로부터 유도된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간섭 보호도(degree of tamper protection)를 제공한다.It is possible for the key identification to be the same as the actual key. However, this is not cryptographically secure when key identification can be intercepted in transit.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identification is a code (eg, key number) associated with the key.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 key identification is a code derived from the key. This provides a degree of tamper protection.

양호한 실시예에서, 키 식별은 해시값이다. 해시값들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는 암호 키와 같은 소스값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값이며, 함수의 형태는 암호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해시 함수는 일방 함수, 즉 역 함수를 결정할 수 없는 함수이다. 결과적으로, 키의 해시값은 쉽게 결정될 수 있지만, 해시값으로부터 키를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키 식별의 가로채기는 키 자체를 손상(compromise)시키지 않는다. 그 외에도, 임의의 (인증되지 않은) 키 변경은 상이한 해시값을 유발할 것이고, 암호화된 이미지의 인증되지 않은 복호화를 방지할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key identification is a hash value. Hash values are values that can be derived from a source value such as an encryption key using a hash function, and the form of the function is well known in the cryptography field. Typically, a hash function is a function that cannot determine a one-way function, that is, an inverse function. As a result, the hash value of the key can be easily determined, but it is impossible to derive the key from the hash value. In this way, interception of key identification does not compromise the key itself. In addition, any (unauthenticated) key changes will result in different hash values and will prevent unauthorized decryption of the encrypted image.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는 단계는:In a particularly advantageous embodiment, the step of the decoding device detecting the key identification is: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해시값을 검출하고 이를 검출된 해시값으로서 저장하는 서브단계,A substep of the decoding apparatus detecting the hash value and storing the hash value as the detected hash value;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제 2 키 세트의 해시값들을 계산하고 상기 각각의 계산된 해시값과 상기 검출된 해시값을 매칭이 발견될 때까지 비교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And the decoding device calculates hash values of the second key set and compares each of the calculated hash values and the detected hash value until a match is found.

복호 장치의 키 세트의 해시값과 검출된 해시값을 매칭함으로써 정확한 키를 쉽게 찾을 수 있다. The exact key can be easily found by matching the hash value of the key set of the decryption apparatus with the detected hash value.

물론, 복호 장치의 제 2 키 세트의 해시값을 사전 계산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상당량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한다. 해시값들이 신속히 계산될 수 있으므로 해시값들을 저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calculate and store the hash value of the second key set of the decryption apparatus. However, this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memory space. We found that it is desirable not to store hash values because hash values can be calculated quickly.

키 식별이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키 식별은 암호화된 이미지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간단한 키 식별의 전송과 복호 장치에 의한 용이한 검출 모두를 제공한다. 키 식별은 암호화된 이미지의 서브-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서브-이미지는 심볼, 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서브-이미지는 일련의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 부가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Although the key identification may be sent separately, the key identification is preferably part of the encrypted image. This provides both simple transmission of key identification and easy detection by the decryption device. The key identification may form a sub-image of the encrypted image. This sub-image may be a symbol, code, or the like. The sub-images can be encrypted using additional keys that are preferably the same for a series of images.

양호한 실시예에서, 키 식별은 바코드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바코드는 복호 장치에 의해 쉽게 인식 및 판독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코드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코드의 부분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시간 다중화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부분들은 바코드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key identification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barcode. Bar codes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read by the decoding device. However, other forms of code may also be used. In particular, a time multiplexing code can be used where parts of the code are displayed sequentially. These portions may or may not be constructed by barcodes.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에 사용된 이미지들은 단색 이미지들 또는 컬러 이미지들이 될 수 있다. 시각적 암호 및 유사한 응용들에서 컬러 이미지들을 렌더링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들은 유럽 특허 출원 제02078660.4호[PHNL020804EPP]가 특히 적당하다. The images used for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monochrome images or color images. Various techniques for rendering color images in visual cryptography and similar applications can be used, but liquid crystal display techniques are particularly suitable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02078660.4 [PHNL020804EPP].

본 발명은 또한, 암호 장치의 제 1 키 세트 및 복호 장치의 제 2 키 세트를 동기화하는 시스템으로서: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for synchronizing a first key set of an encryption device and a second key set of a decryption device:

상기 제 1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 및 연관된 키 식별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암호 장치,An encryp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encrypted image and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using the keys of the first key set, and for transmitting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to a display device;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and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고, 상기 키 식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들을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복호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And a decryption device for detecting said key identification, decrypting said encrypted images using a key of said second key set corresponding to said key identification, and displaying said decrypted image. .

이러한 형태의 시스템으로, 키 세트들의 동기화가 쉽게 달성될 수 있다. With this type of system, synchronization of key sets can be easily achieved.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복호 장치로서, 암호화된 이미지 및 키 식별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상기 감지된 키 식별에 기초하여 키를 선택하는 키 선택 수단, 감지된 암호화된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 및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 장치도 또한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ryption apparatus for use in the defined system, comprising: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n encrypted image and key identification, key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key based on the detected key identification, and detecting the detected encrypted image. Decrypting means for decrypting using the selected key;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coded image.

유리하게, 센서 수단은 LED(발광 다이오드) 회로, 바람직하게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회로의 일부이다. Advantageously, the sensor means is part of an LED (light emitting diode) circuit, preferably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ircuit.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 설명될 것이다. The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단지 비제한적 예로서 도시된 시스템은 서버(1), 단말기(2), 복호기(또는 디코더; 3) 및 통신 네트워크(4)를 포함한다. 서버(1)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단말기(2)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을 생성 및 암호화한다. 통신 네트워크(4)는 LAN, 전화망(POTS), 인터넷, 또는 간단한 케이블 또는 유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 및 단말기(2) 둘 다는 전용 장치들이 될 수 있거나, 적어도 단말기(2)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을 구비한 범용 컴퓨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호기(3)는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암호 장치이다. 서버(1) 및 복호기(3) 모두는 복수의 암호 키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키 세트가 제공된다. 이들 키들은 DES와 같은 적절한 암호 처리에 사용된다. 사용된 특정 암호 처리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The system shown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only in FIG. 1 includes a server 1, a terminal 2, a decoder (or decoder) 3 and a communication network 4. The server 1 generates and encrypts image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4. The communication network 4 may consist of a LAN, a telephone network (POTS), the Internet, or a simple cable or wire. Both the server 1 and the terminal 2 can be dedicated devices or, at least in the case of the terminal 2, can be composed of general-purpose computers with a display screen 21. The decryptor 3 is an encryption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Both server 1 and decoder 3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key s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ryptographic keys. These keys are used for proper cryptography such as DES. The specific cryptographic processing used is not essential.

도 2의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호기(3)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들(31), 감지된 이미지에 대해 암호 동작들을 수행하는 연관된 메모리를 구비한 프로세서(32), 및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도 1의 34)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들(33)을 포함할 수 있는 복호 장치이다. 전기 도체들 또는 광섬유들은 감지기들(31), 프로세서들(32) 및 디스플레이 소자들(33)에 접속한다. 암호 키들의 세트는 프로세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따라서, 복호기(3)는 암호화된 이미지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를 복호화하고, 결과로서 생긴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2)는 비신뢰 장치(non-trusted device)이고, 복호기(3)는 사용자에 의해 바람직하게 휴대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되는 신뢰 장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호기 내에 저장된 키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As show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2, the decoder 3 includes a processor 31 for sensing the displayed image, and a processor 32 having an associated memory for performing cryptographic operations on the sensed image. And display elements 33 forming a display screen (34 in FIG. 1) for displaying the decoded image. Electrical conductors or optical fibers connect to the detectors 31, the processors 32 and the display elements 33. The set of cryptographic keys is stored in processor memory. Thus, the decoder 3 can detect the encrypted image, decrypt the image, and display the resulting decrypted image. The terminal 2 is a non-trusted device, and the decoder 3 is a trusted device which is preferably carried by the user and stored in a safe place when not in use. In this way the keys stored in the decoder are not compromised.

도 1의 시스템의 키 세트들의 동기화는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서버(암호 장치;1)는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암호화한다. 이 이미지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디스플레이 장치; 2)로 전송된다. 단말기(2)가 키들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면,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이미지는 인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랜덤한 이미지("스노(snow)")의 현상을 가질 수 있다. Synchronization of the key sets of the system of FIG. 1 is accomplished as follows. The server (cipher apparatus) 1 encrypts an image using a key of a key set. This image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display device) 2 displaying the image. If the terminal 2 does not own the keys, it cannot decrypt the encrypted image. The displayed encrypted image does not contain recognizable information and may have a phenomenon of a random image (“snow”).

사용자는 복호기가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호기(복호 장치; 3)를 배치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암호화된 이미지는 2개의 이미지 부분을 가지며, 제 1 이미지 부분(5)은 암호화된 이미지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이미지 부분(6)은 키 식별을 포함한다. 복호기(3)는 바람직하게 동시에 두 이미지를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1) 상에 보여진 이미지의 일부가 제 2 이미지 부분(6)인지를 결정하도록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크린 섹션(21)은 두 번째(키 식별) 이미지 부분(6)에 할당되므로 이 이미지 부분은 그 위치에 기초하여 인식 가능하다. The user places a decoder (decoding device) 3 so that the decoder can detect an image. The encrypted image shown schematically in FIG. 3 has two image parts, the first image part 5 comprises an encrypted image part and the second image part 6 comprises a key identification. The decoder 3 is preferably arranged to sense both images at the same time and to determine if the part of the image shown on the display screen 21 is the second image part 6.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screen section 21 is assigned to the second (key identification) image part 6 so that this image part is recognizable based on its position.

도시된 예에서, 제 2 이미지 부분(6)은 바코드를 포함한다. 복호기(3)가 디스플레이(21)를 "스캐닝"할 수 있게 하고, 널리 공지된 전자 이미지 스캐닝 기술들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검출한다. 이 경우, 특정 부분을 제 2 이미지 부분에 할당할 필요가 없다. 바코드 대신, 다른 코드들 또는 심볼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들이 패턴 인식 기술들을 사용하여 복호기(3)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전체 코드가 한 순간에 디스플레이될 필요는 없으며, 코드의 일부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데(즉, 상이한 순간들에) 소위 시간 다중화 코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특정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순간 빛남(또는 플래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부분들은 바코드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코드들에 의해 스스로 표시될 수 있다. In the example shown, the second image portion 6 comprises a barcode. Allows the decoder 3 to "scan" the display 21 and detects the barcode using well known electronic image scanning techniques.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assign a specific portion to the second image portion. Instead of a barcode, other codes or symbols (in combination) may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se codes can be recognized by the decoder 3 using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s. The entire code does not need to be displayed at one moment, but portions of the code are displayed sequentially (ie at different moments) so-called time multiplexing codes can be used. This can be accomplished by flashing (or flashing) certain display elements. Portions of the code may be represented by themselves by a barcode or by any other suitable code.

실제 이미지들 및 키 식별을 시간 다중화하는 것, 즉 동시적이 아니라, 예를 들면, 교대로 제 1 이미지(5) 및 제 2 이미지(6)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time multiplex the actual images and the key identification, ie to show the first image 5 and the second image 6 alternately, but not simultaneously.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호기(3)는 키 식별 또는 키 식별을 표현하는 코드를 얻기 위하여 제 2 이미지 부분(6) 내에 포함된 바코드를 인식 및 복호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 이미지 부분(6) 내에 포함된 (바)코드는 키의 해시값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the decoder 3 recognizes and decrypts the barcode contained in the second image part 6 to obtain a key identification or a code representing the key identific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r) code contained in the two image portion 6 is a hash value of the key.

복호기(3)는 키의 해시값을 계산하고, 이를 검출된 해시값과 비교하고, 검출된 해시값과 계산된 해시값이 매칭하지 않는 경우 다음 키로 계속함으로써 이 검출된 해시값을 키 세트의 키들 중 하나와 매칭하도록 시도한다. 매칭이 발견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된 것임이 틀림없다. 매칭이 발견되면, 복호기는 제 1 이미지 부분(5)을 복호화하고 그 결과로서 생긴 복호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데 관련된 키를 사용한다. 제 1 이미지 부분(6)의 위치에서, 마스크 영역(예를 들면, 블랭크 영역)은 키 식별을 마스크하기 위해 복호기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The decoder 3 calculates the hash value of the key, compares it with the detected hash value, and continues with the next key if the detected hash value does not match the calculated hash value. Try to match one of the If no match is found, then an error must have occurred. If a match is found, the decoder uses the associated key to decrypt the first image portion 5 and display the resulting decrypted image.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e portion 6, a mask area (eg blank area) can be inserted by the decoder to mask the key identification.

작은 판독 또는 전송 에러들을 허용하기 위하여, 검출된 해시값 및 계산된 값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상당히 유사한 경우에도 "매칭"이 발견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널리 공지된 해밍 차이 측정을 사용하여 검출된 값과 계산된 값 사이의 적절한 최대 수용할 수 있는 "차이(distance)"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이가 영이고, 따라서 상기 값들이 동일할 것을 요구한다. In order to allow small read or transfer errors, it can be determined that "matching" is found even if the detected hash value and the calculated value are not the same but quite similar. This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by determining an appropriate maximum acceptable "distance" between the detected value and the calculated value using well known Hamming difference measurements. Howev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difference is zero, thus requiring the values to be the same.

부정확한 키 식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임의의 전송 에러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제 키 식별은 에러 검출을 허용하는 CRC(Cyclical Redundancy Check) 값 또는 유사한 검사값으로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any transmission errors that may cause incorrect key identification to be displayed, the actual key identification may optionally be extended to a Cycical Redundancy Check (CRC) value or similar check that allows error detection.

서버 및 복호기의 키 세트들은 사실상 동일하며, 즉 서버 암호처리에 사용될 때 서버 키 세트의 각각의 키는 복호기의 복호화 처리에 사용될 때 복호기 키 세트의 연관된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서버 키 세트 및 복호기 키 세트는 동일하겠지만, 이는 이 경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키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The key sets of the server and the decoder are virtually identical, ie each key of the server key set when used for server encryption generates an image that can be decrypted using the associated key of the decoder key set when used for decryption processing of the decoder. . In most embodiments, the server key set and decoder key set will be the same, but this is not required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K => KID => K'K => KID => K '

여기서 K는 제 1 키 세트의 키이고, KID는 대응하는 키 식별이고, K'는 키 식별에 의해 식별된 제 2 키 세트의 키이다. 제 1 키 K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키 K'를 식별하기 위해 복호기에 의해 사용되는 키 식별 KID가 생성된다. 대부분의 암호 시스템들에서, K 및 K'는 동일할 것이다. Where K is the key of the first key set, KID is the corresponding key identification, and K 'is the key of the second key set identified by the key identification. Based on the first key K, a key identification KID is generated that is used by the decoder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key K '. In most cryptographic systems, K and K 'will be the same.

상기 설명에서, 복호기(복호 장치; 3)가 전체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것은 그 경우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실시예들은 복호기(3)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출원 제 EP 0 260 815호에 개시된 "시각적 암호" 기술들을 허용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함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복호기(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며, 한 부분 또는 이미지의 "일부"는 복호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부분 또는 "일부"는 단말 디스플레이(21)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LCD 스크린들을 채용하는 투명 장치의 적절한 예는 유럽 특허 출원 제02075527.8호[PHNL020121]에 기재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02078660.4[PHNL020804]는 컬러 이미지들이 복호화되도록 허용하는 투명 복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투명 장치들은 또한 디스플레이된 키 식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들(도 2의 31) 또는 다른 적절한 감지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ecoder (decoding device) 3 displays the entire decoded image. This is not necessary in that case, and it is conceivable that the embodiments display only part of the image in order to allow the "visual cryptography" techniques disclosed in, for example, European patent application EP 0 260 815. . In these embodiments, the decoder 3 is at least partly transparent, one part or part of the image is displayed by the decoder and the other part or part is displayed by the terminal display 21. Suitable examples of transparent devices employing LCD screens are describ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02075527.8 [PHNL020121]. European patent application 02078660.4 [PHNL020804] discloses a transparent decoding device that allows color images to be decoded. However, these transparent devices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detectors (31 in FIG. 2) or other suitable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displayed key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키를 식별하는 정보가 암호화된 이미지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 정보를 복호 장치에 의해 검출되도록 허용한다는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신뢰 장치가 키들 자체의 어떠한 지식도 가지지 않음에 따라, 비신뢰 장치(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키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다른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viewpoint that information identifying the key can be displayed in an encrypted image and allows this information to be detected by the decryption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nother aspect that an untrusted device (ie, display device) can b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keys as the untrusted device does not have any knowledge of the keys themselves.

본 발명이 "시각적 암호"와 같이 이미지들을 암호적으로 전달하는 시스템들에 특히 응용 가능하지만, 이미지들 이외의 데이터 항목들이 암호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다른 암호 시스템들에도 또한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암호화된 데이터(파일들)가 컴퓨터들 사이에 전달되고 컴퓨터 스크린들이 키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에 응용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systems that cryptographically deliver images, such as "visual cryptography," it is also applicable to other cryptographic systems where data items other than images may be cryptographically protected. For example, it is contempl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computer where encrypted data (files) are transferred between computers and computer screens are used for key synchronization.

본 명세서에 사용된 임의의 용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서는 안됨을 주지한다. 특히, 단어들 "포함(comprise(s) 및 comprising)"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단일(회로) 소자들은 다수의 (회로) 소자들 또는 그 등가물들로 구성될 수 있다. It is noted that any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figur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 words “comprise (s) and comprising” are not meant to exclude any elemen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Single (circuit) elements may consist of multiple (circuit) elements or their equivalents.

당업자는 본 발명이 상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물들 및 부가물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addi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암호 장치의 제 1 키 세트 및 복호 장치의 제 2 키 세트를 동기화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synchronizing a first key set of an encryption device and a second key set of a decryption device: 상기 암호 장치가 상기 제 1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 및 연관된 키 식별을 생성하는 단계,The cryptographic device generating an encrypted image and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using the keys of the first key set, 상기 암호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The cryptographic device sending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to a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by the display device,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는 단계,The decoding device detecting the key identification;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검출된 키 식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들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The decrypting device decrypting the encrypted images using a key of the second key se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key identification, and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Displaying, by the decoding device, the decode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식별은 상기 키로부터 유도된 코드인, 동기화 방법.The key identification is a code derived from the ke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키 식별은 해시값인, 동기화 방법.The key identification is a hash valu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는 단계는:Detecting the key identification by the decryption device: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해시값을 검출하고 이를 검출된 해시값으로서 저장하는 서브단계,A substep of the decoding apparatus detecting the hash value and storing the hash value as the detected hash value; 상기 복호 장치가 상기 제 2 키 세트의 해시값들을 계산하고 상기 각각의 계산된 해시값과 상기 검출된 해시값을 매칭이 발견될 때까지 비교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And the decoding device calculates hash values of the second key set and compares each of the calculated hash values and the detected hash value until a match is fou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식별은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의 일부인, 동기화 방법.And the key identification is part of the encrypted imag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키 식별은 바코드 및/또는 시간 다중화 코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기화 방법.The key identif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s a barcode and / or a time multiplexing code. 암호 장치의 제 1 키 세트 및 복호 장치의 제 2 키 세트를 동기화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synchronizing a first set of keys of a cryptographic device and a second set of keys of a decryption device: 상기 제 1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 및 연관된 키 식별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암호 장치,An encryp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encrypted image and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using the keys of the first key set, and for transmitting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to a display device;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키 식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encrypted image and its associated key identification, and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고, 상기 키 식별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세트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들을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복호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And a decryp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key identification, decrypting the encrypted images using a key of the second key set corresponding to the key identification, and displaying the decrypted imag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 식별은 상기 키로부터 유도된 코드인, 동기화 시스템.The key identification is a code derived from the key.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키 식별은 해시값인, 동기화 시스템.The key identification is a hash valu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장치는: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decoding device is: 상기 해시값을 검출하고 이를 검출된 해시값으로서 저장하고,Detect the hash value and store it as the detected hash value, 상기 제 2 키 세트의 해시값들을 계산하고 각각의 계산된 해시값과 상기 검출된 해시값을 매칭이 발견될 때까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키 식별을 검출하는, 동기화 시스템.And calculate the hash values of the second key set and detect the key identification by comparing each calculated hash value with the detected hash value until a match is foun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 식별은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의 일부인, 동기화 시스템.And the key identification is part of the encrypted imag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 식별은 바코드 및/또는 시간 다중화 코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기화 시스템.The key identif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s a barcode and / or a time multiplexing code. 청구항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복호 장치로서, 상기 복호 장치는,A decoding device for use in the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2, wherein the decoding device comprises: 암호화된 이미지 및 키 식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 상기 감지된 키 식별에 기초하여 키를 선택하기 위한 키 선택 수단, 감지된 암호화된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 및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복호 장치.Sensing means for detecting an encrypted image and key identification, key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key based on the detected key identification, decrypting means for decrypting a sensed encrypted image using the selected key;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coded imag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감지 수단은 포토 다이오드들로 구성되는, 복호 장치.And said sensing means is comprised of photodiodes.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감지 수단은 LED 회로, 바람직하게는 OLED 회로의 일부인, 복호 장치.Said sensing means being part of an LED circuit, preferably an OLED circuit.
KR1020057011207A 2002-12-18 2003-11-17 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Withdrawn KR200500917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80388.8 2002-12-18
EP02080388 2002-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32A true KR20050091732A (en) 2005-09-15

Family

ID=3252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207A Withdrawn KR20050091732A (en) 2002-12-18 2003-11-17 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76567A1 (en)
JP (1) JP2006511114A (en)
KR (1) KR20050091732A (en)
CN (1) CN1729495A (en)
AU (1) AU2003276597A1 (en)
WO (1) WO200405575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2209B2 (en) 2005-06-27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video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JP4379483B2 (en) 2007-04-05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EP2323308B1 (en) * 2009-11-12 2016-03-23 Morpho Cards GmbH A method of assigning a secret to a security token, a method of operating a security token, storage medium and security token
TWI430217B (en) * 2011-08-08 2014-03-11 Ind Tech Res Inst Verification methods and systems
CN102289869A (en) * 2011-08-30 2011-12-21 华南理工大学 Credit card antitheft method based on image sharing and system thereof
CN103873885A (en) * 2012-12-10 2014-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Streaming media sharing request system and streaming media supply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BR102014007666B1 (en) * 2014-03-28 2023-01-10 Samsung Eletrônica Da Amazônia Ltda METHOD FOR AUTHENTICING MOBILE TRANSACTIONS USING VIDEO ENCRYPTION AND METHOD FOR VIDEO ENCRYPTION
JP6911923B2 (en) * 2017-08-02 2021-07-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Encrypted communication device, encrypted communication system, encrypted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9727294A (en) * 2018-05-28 2019-05-07 成都信息工程大学 A Threshold Visual Cryptographic Matrix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796A (en) * 1991-05-30 1993-02-09 Motorola, Inc. Encryption synchronization combined with encryption key identification
JPH05323267A (en) * 1992-05-26 1993-12-07 Toshiba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110539B1 (en) * 1999-03-22 2006-09-19 Kent Ridge Digital Labs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data
FR2806230B1 (en) * 2000-03-09 2002-05-24 France Telecom METHOD AND DEVICE FOR CONFIDENTIAL READING OF DATA
CA2330166A1 (en) * 2000-12-29 2002-06-29 Nortel Networks Limited Data encryption using stateless confusion 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6597A1 (en) 2004-07-09
WO2004055757A1 (en) 2004-07-01
JP2006511114A (en) 2006-03-30
EP1576567A1 (en) 2005-09-21
CN1729495A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yang et al. Keylogging-resistant visual authentication protocols
US20100002884A1 (en) Optical Out-Of-Band Key Distribution
KR101608184B1 (en)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05515500A (en) Secure data entry dialog using visual encryption
KR20040079990A (en) Secure visual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NO307120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nd a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US20060210080A1 (en) 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US200600988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remote message composition
JP2006508602A (en) Key synchronization in image encryption system
KR20050091732A (en) Key synchronization in a visual cryptographic system
KR20040111673A (en) Tamper-resistant visual encryption method and device
WO2011052180A1 (en) Encrypted message transmission device, program, encrypte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system
Bowers et al. Drifting keys: Impersonation detection for constrained devices
US92642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cure display module
WO2011102805A1 (en) Securing interactive sessions using barcodes with visual cue
KR1016347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ITM attack
HK1212487B (en)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Millican et al. SAVVIcode: Preventing Mafia Attacks on Visual Code Authentication Schemes (Short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