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63977A -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977A
KR20050063977A KR1020030095235A KR20030095235A KR20050063977A KR 20050063977 A KR20050063977 A KR 20050063977A KR 1020030095235 A KR1020030095235 A KR 1020030095235A KR 20030095235 A KR20030095235 A KR 20030095235A KR 20050063977 A KR20050063977 A KR 2005006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camera
camera im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9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977A/en
Publication of KR2005006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97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에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모 즉, 서명이나 문구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diting a camera image memo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allows a terminal user to insert a memo, i.e., a signature or a phrase, into a still image or video captured by a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영상 화면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이나 표현이 담긴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원하는 위치에 편집해 넣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렇게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 처리하는 등 보다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editing a camera video memo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 such as a signature or a phrase containing a unique personality or expression can be edited in a desired position on a camera video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various types of camera image services, such as storing or transmitting the camera image inserted in the memo.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카메라 영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에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모 즉, 서명이나 문구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image taken with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terminal user to insert a desired memo, that is, a signature or a phrase, into a still image or a video captured by the terminal camera. It relates to a camera video memo editing method in.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PCS 폰이나 셀룰러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와 더불어 점차 소형화되고,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ost people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CS phones, cellular phones, PDAs, etc., and 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with high sensitivity and light weight of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imple call function.

그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 또는 탈착식으로 외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음성 통신 뿐만 아니라 영상 통신까지도 가능하고, 또한 촬영된 영상 데이터(정지 연상 또는 동영상)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데이터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로 옮기거나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or removable external digital camera is widely used.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such a digital camera,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video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image data (still) The image or video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nd may be transferred to a computer or transmit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data input / output connector.

또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한 사진을 소정의 영상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인화 서버로 전송해서 인화 신청하고, 이를 우편이나 택배 등으로 받아볼 수 있는 모바일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mobile print service that provides a print application by sending a picture taken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mobile print server using a predetermined image data transmission function and prints it by mail or courier service.

그런데,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 화면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경우 단순히 그 영상 파일에 대한 제목만을 설정할 수 있을 뿐, 그 촬영된 영상 자체에 개인의 독특한 개성이나 표현이 담긴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편집해 넣을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when storing or transmitting a video screen shot using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simply set a title for the video file. The downside is that it does not provide the ability to edit notes such as signatures or phrases with expression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화면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이나 표현이 담긴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원하는 위치에 편집해 넣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edit a memo, such as a signature or phrase containing a unique personality or expression on the video screen shot by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dit the desired position It is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영상 화면에 소정의 메모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 처리하는 등 보다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image service of various forms, such as storing or transmitting a camera image with a memo inserted into a memory by allowing a predetermined memo to be inserted into a camera imag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to make it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과; 상기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에 메모를 삽입하기 위한 영상 메모 편집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모드로 천이한 후에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에서 입력받은 메모 내용을 카메라 영상에 삽입한 후에 상기 메모 내용이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process of displaying a camera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uni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LCD window; When the video memo editing function for inserting a memo into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LCD window is selected, the user inputs the memo contents from the terminal user after the user changes to the camera video memo editing mode; And inserting the memo content received in the camera image into the camera image and displaying the camera image in the LCD window.

그리고,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은 후에 상기 카메라 영상 화면 상에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를 제공하여 카메라 영상에 입력 메모 내용을 삽입할 위치를 선택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editing a camera image memo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cursor is provided on the camera image screen after receiving memo contents from the terminal user to insert input memo contents into a camera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the location.

여기서, 상기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는, 카메라 영상에 삽입될 메모와는 관계없이 그 메모 삽입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임의의 도형 형태를 갖는 커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cursor may be a cursor having an arbitrary shape so that the memo insertion position can be selected irrespective of the memo to be inserted into the camera image.

또한, 상기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는, 카메라 영상에 삽입될 메모 내용으로 구성된 커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cursor may be a cursor including memo contents to be inserted into a camera image.

나아가,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은, 상기 메모 내용이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 영상 파일로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USB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 처리부를 통해 다른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editing a camera image memo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mera image having the memo content inserted therein is stored as a camera image file in a memory unit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user, or via a USB interface unit or a wireless process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devic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 화면에 개인이 원하는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편집해 넣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개인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 처리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editing a memo such as a signature or a phrase desired by an individual on an image screen shot using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rough this, a camera image with a personal memo inserted into a memory. It is possible to store or transmit proces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is is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1)와, 영상 메모 편집부(12)와, LCD 구동부(13) 및 주 제어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camera image memo editing apparat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camera unit 11, the image memo editing unit 12, the LCD driver 13 and the main control unit 14 ) Is made.

카메라부(11)는 주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각종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 후에 카메라 렌즈로 보이는 촬영 대상의 이미지 캡쳐(capchur)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주 제어부(14)로 전달해 준다.The camera unit 11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to perform various initialization operations, and then capture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through an image capture of a photographing target as seen by a camera lens. Pass it on.

영상 메모 편집부(12)는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영상 화면에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삽입해 주는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영상의 원하는 위치에 메모를 삽입할 수 있도록 메모 삽입 위치 선택 기능을 제공한다.The video memo editing unit 12 provides a camera video memo editing function for inserting a memo such as a personal signature or a phrase input by the terminal user to the video screen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and also allows the terminal user to It provides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memo can be inserted at the desired position of camera image.

LCD 구동부(13)는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단말기 사용자가 보고 편집할 수 있도록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준다.The LCD driver 13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on the LCD window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view and edit the image.

주 제어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카메라부(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LCD 구동부(13)로 전달해 주고, 해당 LCD 구동부(13)에 의해 LCD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메모를 삽입할 수 있도록 LCD 구동부(13) 및 영상 메모 편집부(12)의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fers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to the LCD driver 13, which is displayed on the LCD window by the LCD driver 13 While watching the camera image, a series of operations of the LCD driver 13 and the image memo editer 12 are controlled to insert a desired memo.

또한, 주 제어부(14)는 영상 메모 편집부(12)에 의해 개인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 파일에 대한 저장 또는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데, 즉, 개인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 파일을 메모리부(15)에 저장하거나, USB 인터페이스부(16) 또는 무선 처리부(17)를 통해 다른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 준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storage or transmission processing for the camera image file into which the personal memo is inserted by the image memo editing unit 12, that is, the memory unit 15 stores the camera image file into which the personal memo is inserted. It is stored in or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USB interface unit 16 or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7.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mera image memo editing oper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임의의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주 제어부(14)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대기 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First, when a terminal user operates a camera function button to capture an arbitrary still image or video using a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in controller 14 recognizes this and cal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all / standby mode. Will switch to camera mode.

그리고, 주 제어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시킨 후에 카메라부(11)에 대한 각종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스텝 S21), 이렇게 하여 초기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카메라부(11)를 제어하여 해당 카메라부(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LCD 구동부(13)로 전달하게 된다.Then, the main control unit 14 performs various initialization operations for the camera unit 11 after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amera mode (step S21), and in this way, the camera unit 11 after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is completed. By controlling the control,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is transferred to the LCD driver 13.

이때, LCD 구동부(13)는 주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단말기에 구비된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된다(스텝 S22).At this time, the LCD driver 13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on the LCD window provided in th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step S22).

이후, 단말기 사용자가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을 보고 그 영상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삽입하기 위해 키 버튼을 조작하여 영상 메모 편집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스텝 S23), 주 제어부(14)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모드로 천이한 후에 해당 카메라 영상에 원하는 메모를 삽입할 수 있도록 영상 메모 편집부(12)에 대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n, when the terminal user views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LCD window and selects an image memo editing function by operating a key button to insert a memo such as a signature or a phrase desired by the user (step S23). The controller 14 recognizes this and performs an initialization operation on the video memo editing unit 12 so that the desired memo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camera image after the transition to the camera video memo editing mode.

그리고, 주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초기화 작업이 완료된 영상 메모 편집부(12)는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영상 즉,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에 대한 메모 편집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영상에 삽입할 메모 내용을 입력받게 되며, 또한 카메라 영상에 입력 메모 내용을 삽입할 위치를 선택받게 된다(스텝 S24).The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the image memo editing unit 12, which has been initialized, provides a memo editing function fo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that is,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LCD window. To this end, the terminal user receives a memo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camera image, and receives a position to insert the input memo content into the camera image (step S24).

이때, 영상 메모 편집부(12)는 LCD 구동부(13)를 제어하여 현재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 화면 상에 메모 삽입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를 제공하게 되는데, 여기서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는 도 3의 (가)와 같이 삽입될 메모와는 관계없이 우선 그 메모를 삽입할 위치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각이나 원형 등의 형태를 갖는 커서를 제공하거나, 도3의 (나)와 같이 보다 효율적인 메모 삽입 위치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삽입될 메모 내용을 커서로서 제공하게 되며, 단말기 사용자는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 화면 및 그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를 보면서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 키를 상/하/좌/우로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면서 자신이 입력한 메모를 삽입할 위치를 선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ideo memo editing unit 12 controls the LCD driver 13 to select a memo insertion position on the camera video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LCD window. In this case, the cursor for selecting a memo insertion position may be selected as a rectangle or a circle so as to select only a position to insert the memo regardless of the memo to be inserted as shown in FIG. Or, as shown in (b) of FIG. 3, a memo content to be inserted is provided as a cursor so that a more efficient memo insertion position can be selected, and the terminal user can select a camera image screen displayed on the LCD window and the memo insertion position. While looking at the cursor, use the up / down / left / right keys on the terminal to move the cursor and select the location to insert the memo you entered. Done.

한편, 영상 메모 편집부(12)는 상술한 절차에 따라 메모 내용을 입력받고 그 메모 내용을 삽입할 위치를 선택받은 후에는 해당 메모 내용을 카메라 영상의 선택된 위치에 삽입하게 된다(스텝 S25). On the other hand, the video memo editing unit 12 receives the memo content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and after selecting the position to insert the memo contents, inserts the memo contents into the selected position of the camera image (step S25).

이렇게 하여, 카메라 영상에 대한 메모 편집 기능이 완료된 경우 주 제어부(14)는 영상 메모 편집부(12) 및 LCD 구동부(13)를 제어하여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LCD 구동부(13)를 통해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고, 그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영상 파일로서 메모리부(15)에 저장하게 된다(스텝 S26).In this way, when the memo editing function for the camera image is completed, the main controller 14 controls the image memo editing unit 12 and the LCD driver 13 to display the camera image in which the memo is inserted through the LCD driver 13 through the LCD window. The camera image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5 as a single image file (step S26).

또한, 주 제어부(14)는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 파일을 USB 인터페이스부(16) 및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해 주거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처리부(17) 및 안테나를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4 transmits the camera image file including the memo to another device through the USB interface unit 16 and the data cable, if desired by the terminal user, or by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transmission function. Through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17 and the antenna is transmitted to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영상 화면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이나 표현이 담긴 서명이나 문구 등과 같은 메모를 원하는 위치에 편집해 넣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렇게 메모가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 처리하는 등 보다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editing a camera video memo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 such as a signature or a phrase containing a unique personality or expression on a camera video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dited in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various types of camera image services, such as storing or transmitting a camera image with a memo inserted in the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mera image memo edit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mera image memo editing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카메라부 12 : 영상 메모 편집부11: camera unit 12: video memo editing unit

13 : LCD 구동부 14 : 주 제어부13: LCD drive unit 14: main control unit

15 : 메모리부 16 : USB 인터페이스부15: memory unit 16: USB interface unit

17 : 무선 처리부 17: wireless processing unit

Claims (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과;Displaying a camera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an LCD window; 상기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에 메모를 삽입하기 위한 영상 메모 편집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모드로 천이한 후에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과;When the video memo editing function for inserting a memo into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LCD window is selected, the user inputs the memo contents from the terminal user after the user changes to the camera video memo editing mode; 상기에서 입력받은 메모 내용을 카메라 영상에 삽입한 후에 상기 메모 내용이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LCD 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And inserting the memo content received in the camera image and displaying the camera image in which the memo content is inserted in an LCD window.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메모 내용을 입력받은 후에 상기 카메라 영상 화면 상에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를 제공하여 카메라 영상에 입력 메모 내용을 삽입할 위치를 선택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And receiving a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cursor on the camera image screen after receiving the memo contents from the terminal user, and selecting a position to insert the input memo contents into the camera image. How to edit camera video memo on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는, 카메라 영상에 삽입될 메모와는 관계없이 그 메모 삽입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임의의 도형 형태를 갖는 커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And the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cursor is a cursor having an arbitrary shape so that the memo insertion position can be selected irrespective of the memo to be inserted into the camera imag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모 삽입 위치 선택용 커서는, 카메라 영상에 삽입될 메모 내용으로 구성된 커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The memo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cursor is a camera image memo ed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sor consisting of the memo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camera im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 내용이 삽입된 카메라 영상을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 영상 파일로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USB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 처리부를 통해 다른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And storing the camera image in which the memo content is inserted as a camera image file in a memory unit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user, or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other devi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USB interface unit or a wireless processing unit. Camera video memo edi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30095235A 2003-12-23 2003-12-23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drawn KR200500639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235A KR20050063977A (en) 2003-12-23 2003-12-23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235A KR20050063977A (en) 2003-12-23 2003-12-23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977A true KR20050063977A (en) 2005-06-29

Family

ID=3725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235A Withdrawn KR20050063977A (en) 2003-12-23 2003-12-23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97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16B1 (en) * 2007-03-06 2008-02-1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graphed image
KR20110122979A (en) * 2010-05-06 2011-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76653B1 (en) * 2008-09-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16B1 (en) * 2007-03-06 2008-02-1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graphed image
KR101476653B1 (en) * 2008-09-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22979A (en) * 2010-05-06 2011-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5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of
US8606179B2 (en) Cell phone terminal, method for start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7085590B2 (en)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KR20070080917A (en) Screen sett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483531B1 (en)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200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emo input function by picture and its control method
US8271030B2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077970A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6571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visual data processing
KR20050063977A (en) Memo editing method for camera pic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65059B1 (en) Method for managing calling card having bar cod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20040025313A (en) Mobile phone of menu moving algorithm
KR20040098133A (en) Method of setting background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JP2005184366A (en) Terminal device
KR100513053B1 (en) Auto controlling method for previewing image data
KR20040081962A (en)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camera b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of mobile phone
KR200352488Y1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camera having a function of remote control
KR101371022B1 (en) Portable terminal
CN1330831A (en) Communication-enable image recording device
KR10065558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zoom level setting function using slide and its method
KR20050105780A (en) Method of setting background pi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63228B1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thereof
KR20040072109A (en) Method for compositing data in mobile phone with camera and touch screen
JP2005311854A (en) Photographic control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6681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delivery of mail by message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