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7787Y1 -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 Google Patents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87Y1
KR200487787Y1 KR2020170006427U KR20170006427U KR200487787Y1 KR 200487787 Y1 KR200487787 Y1 KR 200487787Y1 KR 2020170006427 U KR2020170006427 U KR 2020170006427U KR 20170006427 U KR20170006427 U KR 20170006427U KR 200487787 Y1 KR200487787 Y1 KR 200487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nit
main body
compatible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영훈
Priority to KR2020170006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87Y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SB(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 기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제1 안착부와; 기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제2 안착부; 제1 안착부의 내부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송과 전원의 충전을 돕는 USB 단자부; 및 제2 안착부의 내부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USB 대응형상부;를 구비한 기기 본체와, 일 단부에 USB 단자부 또는 USB 대응형상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한 제1 스트랩, 및 일 단부에 USB 대응형상부 또는 USB 단자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한 제2 스트랩으로 이루어지고, USB 단자부와 USB 대응형상부는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기기 본체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길이연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and having a USB (USB) memory, comprising: a concave first seat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a main body of a device; A concave second sea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 USB terminal uni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inner region of the first seat portion and detachably connected to a USB port of an external device to help transfer data and charge power; And a USB-compatible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inner region of the second seat portion, a first strap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USB terminal portion or a USB-compatible feature portion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strap having a USB-compatible shape or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USB terminal. The USB terminal and the USB-compatible shape can be extended in opposite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in the same size and shape.

Description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Smart band having USB memory}Smart band having USB memory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본 고안은 유에스비(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특히 USB 단자와 USB 메모리를 수단으로 하여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과 전원의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and capable of performing data storage and transmission and a power charging function by using a smart band having a USB memory, in particular, a USB terminal and a USB memory.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신체에 착용하는 기기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특히, 손목시계 형태의 웨어러블(wearable)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 다시 말하자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장치이다. 이렇게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이하 '스마트 밴드'라 한다)는 이동성과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본체 부피의 제한으로 인해 배터리 용량 및 데이터 저장 용량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갖는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variety of devices are worn on the body. In particular,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wristwatch is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body, in other words, the wrist. A wristwatch-type wearabl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 band") worn on the wrist can provide mobility and convenience, but the limitation of the body volume restricts the battery capacity and the data storage capacity Respectively.

스마트 밴드는 시계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문자 수신 알림기능, 다앙한 멀티미디어 기능, 헬스 케어 기능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기기의 사용량이 늘어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주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The smart band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a text message reception function, a multi-media function, and a healthcare function in addition to a function as a clock, thereby increasing the usage of the device. Accordingly, .

특허문헌 1의 "손목시계형 휴대폰"은 시계줄에 밧데리 셀을 내장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손목 둘레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밧테리 셀을 분절형으로 전기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다수의 밧테리 셀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wristwatch-type mobile phone" of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is embedded in a watch-strap. Such a mobile pho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segmented manner so that the battery cell can be easily worn around the wrist. In this case,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s defective, a stable power supply can not be provided.

이와 같은 스마트 밴드에, 가정하여 USB 메모리기능까지 구현하면 USB 메모리로 인해서 본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거나, 본체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USB 메모리를 추가로 내장하면 다른 부품, 예를 들어 배터리의 부피를 감소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USB memory function is implemented on such a smart band, the volume of the main body may increase due to the USB memory, or if the USB memory is further built in without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must be reduced.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0-003867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38671

본 고안은 컴퓨터 등의 호스트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충전기능 뿐만 아니라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band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necessary data as well as a charging function through a USB interface supported by a host system such as a computer and moving stored data to a host system as necessary .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체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USB 메모리를 추가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band capable of adding a USB memory without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main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기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스트랩을 갖춘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 기기 본체는 기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제1 안착부와; 기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제2 안착부; 제1 안착부의 내부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송과 전원의 충전을 돕는 USB 단자부; 및 제2 안착부의 내부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USB 대응형상부;를 구비하고, 제1 스트랩은 일 단부에 USB 단자부 또는 USB 대응형상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제2 스트랩은 일 단부에 USB 대응형상부 또는 USB 단자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데, USB 단자부와 USB 대응형상부는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기기 본체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길이연장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and having first and second strap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a main body of the device, the main body of the device comprising: a concave first se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concave second sea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 USB terminal uni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inner region of the first seat portion and detachably connected to a USB port of an external device to help transfer data and charge power; And a USB-compliant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inner region of the second seat portion, wherein the first strap has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USB terminal portion or a USB-compatible feature portion at one end thereof, The USB terminal portion and the USB-compatible portion may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in the same size and shape.

본 고안에서, USB 단자부는 양 측면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USB 대응형상부는 양 측면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제1 스트랩은 오목부와 대응되는 수용홈의 내부면에 볼록부를 구비하고, 제2 스트랩은 오목부와 대응되는 수용홈의 내부면에 볼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with recesses on both sides thereof, the USB-compatible shape portion has recesses on both sides thereof, the first strap has the convex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portion, The convex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기기 본체는 제어부와; 기기 본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뻗어 있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USB 단자부; 기기 본체의 타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뻗어 있는 USB 대응형상부;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기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저정하는 데이터 저장부; USB 단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전원부; 및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A USB termin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ortion; A USB-compatible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display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sensor uni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detect various information; A data storag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store various data;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hrough the USB terminal unit and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선택가능하기로, 본 고안은 USB 메모리와 시스템 메모리로 구성된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ata storage unit composed of a USB memory and a system memory.

덧붙여서, 본 고안은 USB 메모리를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대응형상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cident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in the USB-compatible feature portion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ortion of the USB memory.

USB 메모리는 USB 단자부와 통신부를 수단으로 하여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USB memory can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an external device by using a USB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unit.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or her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기기 본체의 양측에 탈부착가능한 스트랩으로 신체의 일부, 손목에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band that can be easily worn on a part of the body and the wrist, with a strap detachably attachable to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apparatus.

특히, 본 고안은 기기 본체의 양측에 USB 단자부와 함께, 이러한 USB 단자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춘 USB 대응형상부를 구비하여 임의의 스트랩을 탈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스트랩으로 교환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B terminal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a USB-compatible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SB terminal portion, so that any strap can be detachably attached.

또한, 본 고안은 스트랩의 탈거를 통해 기기 본체의 일측에서 신장된 USB 단자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 기기에 용이하게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의 전송 뿐만 아니라 전원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고안은 스트랩의 일단부를 USB 단자부 및/또는 USB 대응형상부 둘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USB 단자부의 외부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the USB terminal portion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through the detachment of the strap to the external device so that it is easi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reby enabling not only data transmission but also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one end of the strap around the USB terminal portion and / or the USB-compatible feature portion, and can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USB terminal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스마트 밴드는 컴퓨터 등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통상의 USB 메모리로서 기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일한 USB 메모리에 대하여 스마트폰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OTG 메모리와 같이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어느 쪽에서도 억세스할 수 있는 USB 메모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ve smart band can be connected to a USB port of a computer and function as a normal USB memory, and at the same time, a smart phone can read and write data to the same USB memory.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has a function as a USB memory that can be accessed by both a smart phone and a computer, like a normal OTG memory.

또한, 본 고안에서는 USB 메모리를 USB 대응형상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기 본체의 체적을 동일하게 가져가면서도 USB 메모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memory can be disposed inside the USB-compatible shape unit 120, thereby enabling the USB memory function to be added while taking the same volum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를 타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밴드에 구비된 기기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main body provided in the smart band shown in FIG.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of the elem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개략적으로 기기 본체(100)와, 제1 스트랩(210), 및 제2 스트랩(220)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스마트 밴드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트랩(210,220)은 기기 본체(100)의 양측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smart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comprises a device body 100, a first strap 210, and a second strap 220. The smar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form of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The first and second straps 210 and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traps 210 and 22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pparatus body 100 and can cover the wrist of the user.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스마트 밴드는 각종 전자소자를 장착한 기기 본체(100)를 시계처럼 신체의 일부, 예컨대 손목 등에 착용가능한 밴드형상을 갖춘 전자기기이다.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smart band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shape that can be worn on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wrist, for example, as a watch body 100 equipped with various electronic elements.

기기 본체(10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각종 전자소자를 실장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착용자의 심박정보, 움직임정보, 위치정보, 체온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습도, 기온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덧붙여서, 기기 본체(100)는 외부 기기와 원거리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main body 100 can mount various electronic elements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100. The apparatus main body 100 can measure heartbeat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etc. of the weare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sensed. In addition, the apparatus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long-distance and / 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본체(100)는 이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140)를 배치하는 한편, 이의 하면에 센서부(150)를 구성하는 센서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배치할 수 있다. 기기 본체(100)는 제어부(130;도 3 참조)에서 처리된 정보 또는 센서부(150)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표시 출력할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play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and some or all of the sensors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15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see FIG. 3) or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50 as well as for sensing the touch input .

기기 본체(100)의 외부는 본체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비하는 한편, 기기 본체(100)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USB 단자부(110)와 기기 본체(100)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USB 대응형상부(120)를 구비한다. The USB terminal 11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devic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main body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40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a USB-compatible feature 120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B 단자부(110)가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면, 기기 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된 ESD부(190)를 통해, 또는 ESD부(190)를 통하지 않고 바로(도시하지 않음),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USB 메모리(120)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전력 전송을 돕는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USB 단자부(110)와 USB 대응형상부(120)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USB 단자부(110)와 USB 대응형상부(120)는 기기 본체(100)에서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 예컨대 손목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USB termina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host system (not shown), the USB terminal unit 1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SD unit 190 built in the device body 100, A USB memory 120 and a USB memory 120. The USB memory 120 can be used to bidirectionally transmit data between the host system and the USB memory 120 and to support power transmission. Preferably, the USB terminal portion 110 and the USB-compatible portion 120 may have the same shape. In addition, the USB terminal unit 110 and the USB-compatible shape unit 120 are dispos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device body 100 so that they can be stably placed on a part of the wearer's body, for example, the wrist.

USB 단자부(110)는 제1 스트랩(210)의 수용홈(211) 내로 인입되어 체결되는데, 수용홈(211)은 USB 단자부(1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랩(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결합홈(210b)을 구비한다. The USB terminal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1 of the first strap 210 and fastened to the receiving groove 211. The receiving groove 211 may have a size and shape to accommodate the USB terminal unit 110. [ The first strap 210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210b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대응되게, USB 대응형상부(120)는 제2 스트랩(220)의 수용홈(221) 내로 인입되어 체결되는데, 수용홈(221)은 USB 대응형상부(1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트랩(220)의 타 단부에 결합돌기(220b)를 구비한다. 착용자는 본 고안의 스마트 밴드를 손목 둘레에 배치하고서 결합돌기(220b)를 다수의 결합홈(210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The USB-compliant shape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21 of the second strap 220 and is fastened to the receiving groove 221. The receiving groove 221 is sized to accommodate the USB- Or the lik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20b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rap 220. The wearer can place the smar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round the wrist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20b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0b.

본 고안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USB 단자부(110)와 USB 대응형상부(120)를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어, USB 단자부(110)에 제2 스트랩(220)을 인입하여 체결할 수 있고 USB 대응형상부(120)에 제1 스트랩(210)을 인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The USB terminal 110 and the USB-compatible connector 1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SB terminal 110, and the second strap 220 can be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110, The first strap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trap 120 and fastened.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제1 또는 제2 스트랩(210,220)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상의 제1 안착부(101)를 형성하는데, USB 단자부(110)는 제1 안착부(101)의 내부영역에서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USB 단자부(110)는 제1 안착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길이연장되어 있다. 기기 본체(100)의 타측은 제2 또는 제1 스트랩(220,210)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상의 제2 안착부(102)를 형성하는데, USB 대응형상부(120)는 제2 안착부(102)의 내부영역에서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USB 대응형상부(120)는 제2 안착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길이연장되되, 특히 USB 대응형상부의 경사 각도와 USB 단자부의 경사 각도는 동일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smart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101 having a concave shape capable of receiving one end of the first or second straps 210 and 220 at one side of the device body 100 The USB terminal unit 110 is extended from the inner area of the first seat 101 toward the outside. Preferably, the USB terminal portion 110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rst seat portion toward the outside.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forms a concave second seating portion 102 capable of receiving one end of the second or first straps 220 and 210. The USB compatible shape portion 120 has a second seating Extending from the inner region of the portion 102 toward the outside. Preferably, the USB-compatible feature 120 extends from the second seat to the outside with a downward inclination. In particula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SB-compatible featur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SB terminal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본 고안은 USB 단자부(110)와 스트랩(210,220)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체결력을 보장하기 위해, USB 단자부(110)의 양 측면에 오목부(110a)를 구비하고 USB 대응형상부(120)의 양 측면에도 오목부(120a)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스트랩(210,220)은 오목부(110a,120a)와 대응되는 수용홈(211,221)의 내부면에 볼록부(211a,221a)를 구비한다. USB 단자 또는 USB 대응형상부가 스트랩(210,220)의 수용홈(211,221) 내로 억지끼움방식으로 인입할 경우에, 스트랩(210,220)의 볼록부(211a,221a)가 USB 단자 또는 USB 대응형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10a,120a) 내로 삽입되어 이들 간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기기 본체의 양측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에 안착부(101,102)의 내부면과 스트랩(210,220)의 일 단부의 외부면이 면접되는 동시에 USB 단자의 오목부(110a) 또는 USB 대응형상부의 오목부(120a) 내로 스트랩(210,220)의 볼록부(211a,221a)가 삽입되어 기기 본체(100)의 양 측면에 각각의 스트랩(210,220)을 확실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ss 110a on both sides of the USB terminal unit 110 and a recess 110a on both sides of the USB-compatible feature 120 to ensure a reliabl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USB terminal unit 110 and the straps 210, And also has a concave portion 120a. The first and second straps 210 and 220 have convex portions 211a and 221a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211 and 22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s 110a and 120a. The convex portions 211a and 221a of the straps 210 and 220 are inserted into the USB terminal or the USB compatible shape portion formed in the USB compatible shape portion when the USB terminal or the USB compatible shape portion is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s 211 and 221 of the straps 210 and 220 in a forced fit manner Are inserted into the portions 110a, 120a to enable fastening therebetween.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ap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apparatus body,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s 101 and 102 a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traps 210 and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vex portions 211a and 221a of the straps 210 and 220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20a of the shape portion to securely fix the respective straps 210 and 220 to both sides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가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체결된 제1 스트랩(210)을 소정의 외력으로 잡아당겨 기기 본체(100)의 제1 안착부(101)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에, 사용자는 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된 USB 단자부(110)를 외부 기, 예컨대 컴퓨터 등의 호스트 시스템에 형성된 USB 포트에 삽입하여 충전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strap 210 fastened to one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is pulled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so that the apparatus main body 100 can be charged or data transmitte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at portion (101). Then, the user can insert the USB terminal unit 11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into a USB port formed in an external device, e.g., a host system such as a computer, and perform charging and / or data transfer .

추가로, 본 고안은 기기 본체(100)에 센서부(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바이오 상태(예를 들면 체온)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150 in the device body 100. The sensor unit 150 may be a heartbeat sensor that measures the heartbeat of a user,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state (e.g., body temperatur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이외에도, 본 고안은 기기 본체(100) 내에 스마트 밴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을 검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예컨대, 기울기 센서, 진동 센서, 자이로 센서, 광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를 구비하여 스마트 밴드의 하드웨어를 다양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e.g., a tilt sensor, a vib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optical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etc.) capable of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ban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0 So that it can utilize various hardware of smart band.

또한, 본 고안은 기기 본체(100)내에 스마트 밴드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습도, 기온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smart band in the device body 100, and a sensor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and the like.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에 구비된 기기 본체(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body 100 provided in a smart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기기 본체(100)에 USB 단자부(110)와, USB 대응형상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센서부(150), 데이터 저장부(160), 전원부(170), 통신부(180) 및 ESD부(190)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스마트 밴드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mar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B terminal unit 110, a USB-compatible configura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 sensor unit 150, A data storage unit 160, a power supply unit 170, a communication unit 180, and an ESD unit 190, as shown in FI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and a smart band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USB 단자부(110)는 컴퓨터 등의 호스트 시스템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Type-A, Type-B, Type-C, Mini-A, Mini-B 등의 다양한 USB 단자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범용화되어 있는 Type-A의 USB 단자부(110)의 USB 단자는 외부 기기의 USB 포트로부터 5V의 전원을 공급받는 제1 핀과,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 및 제3 핀, 및 접지를 제공하는 제4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USB 단자부(110)는 호스트 시스템의 USB 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컴퓨터등의 호스트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USB terminal unit 110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to a USB port provided in a host system such as a computer. The USB terminal unit 110 has various types of USB terminals such as Type-A, Type-B, Type-C, Mini-A and Mini- Can be adopted. For example, the USB terminal of the USB terminal unit 110 of the Type-A most commonly used includes a first pin that receives power of 5V from a USB port of an external device, second and third pin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 fourth pin providing grounding. The USB terminal unit 110 receives power from a USB port of the host system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host system such as a computer.

USB 대응형상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단자부(11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1 또는 제2 스트랩(210,220)의 체결을 가능하게 돕는다. 본 고안은 USB 단자부(110)와 함게 USB 대응형상부(120)도 제1 또는 제2 스트랩(210,22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 노후화에 따라 다양한 스트랩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The USB-compatible feature 120 is disposed opposite the USB terminal unit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f the first or second straps 210 and 220.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B-compatible shape 120 to be fastened with the USB terminal unit 110, so that the first or second straps 210 and 220 can be fastened, do.

제어부(130)는 예컨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에 MCU(Micro Controller Unit)을 실장할 수 있는데, 외부 기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기기의 조작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전송, 저장, 독출, 및 실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 고안의 스마트 밴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mount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can transmit, store, read, and execute various data And the smar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so that variou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40)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의 FPC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display such as an LCD or an LED, or may be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and display. The display unit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FPCB of the controller 130 to output various information.

센서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기 본체(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대상 센싱요소를 센싱하고 이에 따른 검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50)의 검출 신호를 후술될 시스템 메모리(161)에 저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로 표시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150 senses a target sensing element inside and / or outside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ensing element as an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unit 130 may stor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50 in the system memory 161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40 as necessary.

데이터 저장부(16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로서, USB 메모리(161)와 시스템 메모리(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 storage unit 160 is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and includes a USB memory 161 and a system memory 162.

USB 메모리(161)는 USB 단자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부(180) 및 제어부(13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62)는 스마트 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이의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고 이용되는 데이터와, 센서부(150)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저장한다.The USB memory 161 can store data file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USB terminal 110 and can store data file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and the control unit 130. [ The system memory 162 stores data necessary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band, data generated and used in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50.

USB 메모리(161)는 통상의 USB 메모리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되며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를 그대로 보존되고 USB 단자부(110)와 통신부(180)를 통하여 어느 쪽으로도 억세스 가능하고 데이터의 저장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The USB memory 161 is implemented as a flash memory such as a normal USB memory. Even if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stored data is stored as it is and can be accessed through the USB terminal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80, Deletion is possible.

USB 메모리(161)는 USB 단자부(110)를 호스트 시스템의 USB 포트에 연결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파일을 전송받거나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USB 메모리(161)에 저장된 파일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송신시킬 수 있다. USB 메모리(161)는 외부 저장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e USB memory 161 can receive the file from the host system by connecting the USB terminal unit 110 to the USB port of the host system or store the file, and can transmit the file stored in the USB memory 161 to the host system. The USB memory 161 can be used as an external storage device.

또한, 스마트 밴드(100)는 통신부(180)를 개재하여 스마트폰(미도시)과 연결되며,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전용 앱(Application)은 스마트 밴드와 인터액션을 수행하는 데, 특히, 스마트폰의 전용 앱은 통신부(180) 및 제어부(130)를 이용하여 USB 메모리(120)의 메모리 영역을 브라우징하며, USB 메모리(120)에 저장된 파일을 스마트폰으로 업로드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파일을 USB 메모리(120)로 다운로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band 100 is connected to a smart phone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and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performs interaction with a smart band. In particular,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browse the memory area of the USB memory 12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80 and the control unit 130 and can upload the file stored in the USB memory 120 to the smartphone, And can be downloaded to the memory 120.

제어부(130)는 스마트폰(미도시)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USB 메모리(161)의 폴더 정보 및 파일 정보 등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며, 스마트폰이 업로드를 명령하는 파일을 USB 메모리(161)로부터 읽어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이 다운로드시키는 파일을 전송받아 USB 메모리(161)에 저장한다. 스마트 밴드의 USB 메모리(120)는 통신부(180)를 개재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 영역에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기 위하여 읽혀진다.The controller 130 provides the smart phone with folder information and file information of the USB memory 161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a smart phone (not shown), and sends a file to be uploaded by the smart phone to the USB memory 161 And transmits the file to the smart phone and receives the file to be downloaded by the smart phone and stores it in the USB memory 161. The USB memory 120 of the smart band is rea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180 to download and store a file in a memory area of the smartphone or to be transmitted to a smart phone.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컴퓨터 등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통상의 USB 메모리로서 기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일한 USB 메모리에 대하여 스마트폰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OTG 메모리와 같이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어느 쪽에서도 억세스할 수 있는 USB 메모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band can be connected to a USB port of a computer and function as a normal USB memory, and at the same time, the smartphone can read and write data to the same USB memory.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has a function as a USB memory that can be accessed by both a smart phone and a computer, like a normal OTG memory.

또한, 본 고안에서는 USB 메모리(161)를 USB 대응형상부(120)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배치한다. USB 메모리(161)는 앞서 기술되었듯이 USB 대응형상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기 본체(100)의 체적을 동일하게 가져가면서도 USB 메모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USB 메모리(161)는 제어부(130)를 위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에 함께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은 USB 메모리(161)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memories 161 are individually arranged in the USB-compatible shape unit 120. [ The USB memory 161 can be disposed inside the USB-compatible shape unit 120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USB memory function can be added while taking the same volume of the device body 100 . At this time, the USB memory 161 may be mou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or the controller 130. Accordingl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USB memory 161.

전원부(170)는 스마트 밴드의 각 구성요소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원으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배터리로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기 본체의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include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 battery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o and from the battery. As shown in FIG.

USB 단자부(1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배터리 제어 회로를 개재하여 배터리에 충전되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은 배터리 제어 회로를 개재하여 스마트 밴드의 각 부분에 공급된다.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USB terminal unit 110 is charged into the battery via the battery control circuit, and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is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mart band via the battery control circuit.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USB 단자부(110)에 체결된 제1 또는 제2 스트랩(210,220)을 탈거한 후에, 기기 본체(100)의 USB 단자부(110)를 다양한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연결하면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The smar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fter the first or second straps 210 and 220 fastened to the USB terminal unit 110 are removed and the USB terminal unit 110 of the device body 100 is connected to a USB port of various external devices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device.

ESD부(190)는 USB 단자와 USB 메모리(161) 사이의 전기적 연결선상에 설치되며, 상기한 FPCB상에 탑재될 수 있다. ESD부(190)는 TVS(Transient Votage Suppressor) 다이오드 혹은 기타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ESD 에너지를 흡수하여 회로가 ESD로부터 훼손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The ESD unit 190 is provided on an electrical connection line between the USB terminal and the USB memory 161 and can be mounted on the FPCB. The ESD portion 190 may be implemented with a TVS (Transient Votage Suppressor) diode or other component and may absorb ESD energy to prevent the circuit from being damaged from ESD.

통신부(180)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고안의 스마트 밴드와 외부 기기(예컨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무선 AP 등)를 원거리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80)는 기기 본체(100) 내에 내장되어 스마트폰 등의 외부 기기와 통화 신호, 문자메시지, 센서부(150)에서 특정된 측정신호 등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USB 메모리(161)로의 파일 다운로드와 파일 업로드시에 파일을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smar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ternal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a notebook, and a wireless A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mote and / Can be interlock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embed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0 and may transmit or receive a call signal, a text message, a measurement signal specified by the sensor unit 150, or the lik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downloads and transmits the file to the file server 161 when the file is uploaded.

통신부(18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RFID, CDMA,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한 통신규격에 대응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80 adopts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Bluetooth, NFC, Zigbee, WiFi, RFID, CDMA, Wibro, etc. to enable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기기 본체(100)는 각 구성요소가 재치된 상태에서 예컨대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를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함으로써 제작된다. 특히, USB 대응형상부(120)에는 USB 메모리(161)가 재치된 상태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in body 10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material in a state where each component is placed. Particularly, the USB-compatible portion 120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n a state in which the USB memory 161 is mounted.

이상 본 고안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the smart band having the USB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기기 본체,
110 ----- USB 단자부,
120 ----- USB 대응형상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센서부,
160 ----- 데이터 저장부,
170 ----- 전원부,
180 ----- 통신부,
210, 220 ----- 스트랩.
100 ----- Main body of equipment,
110 ----- USB terminal,
120 ----- USB compatible features,
130 ----- control unit,
140 ----- display unit,
150 ----- sensor part,
160 ----- Data storage,
170 ----- Power unit,
180 ----- communication unit,
210, 220 ----- strap.

Claims (6)

기기 본체(100)와, 상기 기기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스트랩(210,220)을 갖춘 스마트 밴드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100)는, 상기 기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안착부(101)와; 상기 기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안착부(102); 상기 제1 안착부(101)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송과 전원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USB 단자부(110); 및 상기 제2 안착부(102)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USB 대응형상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트랩(210)은 일 단부에 상기 USB 단자부(110) 또는 상기 USB 대응형상부(120)를 수용하는 수용홈(211)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스트랩(220)은 일 단부에 상기 USB 대응형상부(120) 또는 상기 USB 단자부(110)를 수용하는 수용홈(221)을 구비하는데,
상기 USB 단자부(110)와 상기 USB 대응형상부(120)는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기기 본체(100)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뻗어 있으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저장부(160)는 USB 메모리(161)와 시스템 메모리(162)를 포함하며,
상기 USB 메모리(161)는 상기 USB 단자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USB 대응형상부(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USB 메모리(161)는 상기 기기 본체(100)의 제어부(130)를 위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에 함께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A smart band having a device body (100) and first and second straps (210, 22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100)
The apparatus main body 100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101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 second seat (10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 USB terminal unit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seating unit 101 and detachably connected to a USB port of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power charging; And a USB-compatible feature (1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econd seat (102)
The first strap 210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receiving groove 211 for receiving the USB terminal unit 110 or the USB-compatible shape unit 120,
The second strap 220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receiving groove 221 for receiving the USB-compliant shape portion 120 or the USB terminal portion 110,
The USB terminal unit 110 and the USB-compatible features 120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device body 100 in the same size and shape,
And a data storage unit 160 for storing various data, wherein the data storage unit 160 includes a USB memory 161 and a system memory 162,
The USB memory 161 stor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USB terminal unit 1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USB compatible unit 120,
The USB memory 161 is mou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or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0,
A smart band having a USB memo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부(110)는 양 측면에 오목부(110a)를 구비하고,
상기 USB 대응형상부(120)는 양 측면에 오목부(120a)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트랩(210)은 상기 오목부(110a,120a)와 대응되는 상기 수용홈(211)의 내부면에 볼록부(211a)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트랩(210)은 상기 오목부(120a,110a)와 대응되는 상기 수용홈(221)의 내부면에 볼록부(22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B terminal unit 110 has recesses 110a on both sides thereof,
The USB-compatible feature 120 has recesses 120a on both sides,
The first strap 210 has a convex portion 211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110a and 120a,
Wherein the second strap 210 has a convex portion 221a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2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s 120a and 110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100)는,
상기 기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140);
상기 기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상 센싱요소를 센싱하는 센서부(150);
상기 USB 단자부(1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전원부(170); 및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1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aratus main body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4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A sensor unit 150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to sense a target sensing element;
A power supply unit 170 that receives power through the USB terminal unit 110 and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18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80)를 개재하여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USB 메모리(161)에 저장된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상기 USB 메모리(161)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so that the smartphone can upload a file stored in the USB memory 161 or download the file to the USB memory 161. [
A smart band having a USB memor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부(110)는 상기 기기 본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뻗어 있고 상기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USB 대응형상부(120)는 상기 기기 본체의 타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The method of claim 3,
The USB terminal unit 110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USB-compatible shape portion (120)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100)는 상기 USB 메모리(161)를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가 재치된 상태에서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를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00 of the apparatus 100 is formed by injecting molding material of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in a state where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USB memory 161 is mounted. .
KR2020170006427U 2017-12-13 2017-12-13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7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27U KR200487787Y1 (en) 2017-12-13 2017-12-13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27U KR200487787Y1 (en) 2017-12-13 2017-12-13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87Y1 true KR200487787Y1 (en) 2019-01-14

Family

ID=6501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2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787Y1 (en) 2017-12-13 2017-12-13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8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3322A (en) * 2019-02-22 2019-05-24 杭州亚辉生物科技有限公司 A smart genetic data bracel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671A (en) 1998-12-08 2000-07-05 오종석 Wristwatch-type portable phone
KR20120038929A (en) * 2009-04-26 2012-04-24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Athletic watch
KR20130050269A (en) * 2011-11-07 2013-05-15 애플 인크. 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with external contacts
KR20150066155A (en)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데카시스템 Distance Measuring the Flight Distance for golf
KR20160093475A (en) * 2015-01-2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typ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671A (en) 1998-12-08 2000-07-05 오종석 Wristwatch-type portable phone
KR20120038929A (en) * 2009-04-26 2012-04-24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Athletic watch
KR20130050269A (en) * 2011-11-07 2013-05-15 애플 인크. 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with external contacts
KR20150066155A (en)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데카시스템 Distance Measuring the Flight Distance for golf
KR20160093475A (en) * 2015-01-2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typ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3322A (en) * 2019-02-22 2019-05-24 杭州亚辉生物科技有限公司 A smart genetic data brace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207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with bended area
US9965002B2 (en) Modular tablet case
KR102251255B1 (en) Multi-purpose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08009B1 (en) Body wear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US8995141B1 (en) Connector pin on springs
US20160286025A1 (en)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 with interchangable connectors and casts for mobile devices
CA3023065A1 (en) Module-driven smartwatch
KR102751068B1 (en) Watch-typ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102469470B1 (en) Structure for detecting temperature of electronic device
KR102514256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band
KR102568181B1 (en) Antenna for detecting positio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32265A (en) Multi-Function Card Type USB Memory Device
KR200487787Y1 (en) Smart band having USB memory
CN111512245B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tac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764458B1 (en) Spring connector and corresponding guide element
KR102841503B1 (en) Coil capable of extending a wireless charging coverag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il
KR20200053251A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identified cov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10659580B2 (en) Connecting sled system for mobile devices
CN206162072U (en) Watch
KR200476108Y1 (en)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belt
KR2021003730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et of control integrated circuit
CN208548929U (en) Camera Components and Electronics
CN106998216A (en) Intelligent watchband
US20190081362A1 (en) Over-Molde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102510848B1 (en) Protection Structure for component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210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