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9464Y1 - Portable toilet - Google Patents

Portable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64Y1
KR200459464Y1 KR2020110005873U KR20110005873U KR200459464Y1 KR 200459464 Y1 KR200459464 Y1 KR 200459464Y1 KR 2020110005873 U KR2020110005873 U KR 2020110005873U KR 20110005873 U KR20110005873 U KR 20110005873U KR 200459464 Y1 KR200459464 Y1 KR 200459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eat
portable toilet
urine
hinge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8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길섭
Original Assignee
정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섭 filed Critical 정길섭
Priority to KR2020110005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6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64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 커버와 시트가 힌지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블록을 중심으로 커버와 시트가 순차적으로 회동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힌지블록이 상면 타측에 설치되고, 중앙이 개구되어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배설한 대소변이 개구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제각기 취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의 선단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프론트와, 상기 프론트의 하면에 마련되는 바구니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의 측면에 제각기 힌지 결합되어 서로 엇갈리게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접철 다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의 연부에 입구가 지지되고 입구를 봉인하는 묶음 줄이 마련되어 대소변을 담는 수거용 봉투를 포함하는 휴대용 변기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유아가 화장실까지 가지 않고도 그 자리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고, 휴대용 변기에 받아진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접철 구조를 갖아 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oilet, the seat and the cover is fastened to the hinge block and the seat and the seat is rotated about the hinge block sequentially and the hinge block of the sea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base plate which is opened and excreted b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falls downward through the opening, the guide rail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guide rails and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The front end of the rod and the front end of the rod which is drawn out in front of the base plate and provided with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 baske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The base play hinged and mutually supported The root edge of the folding legs,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is located on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entrance to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bundle line to seal the entrance to the portable toilet comprising a sugeoyong envelope holds the feces are disclosed. From this, the elderly or infants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can see urine on the spot without going to the bathroom, and can easily handle the urine that is received in the portable toilet, and it has a folding structure to reduce its volume for easy storage and carrying. There is one effect.

Description

휴대용 변기{PORTABLE TOILET}Portable toilet seat {PORTABLE TOILET}

본 고안은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유아가 화장실까지 가지 않고도 그 자리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고, 휴대용 변기에 받아진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접철 구조를 갖아 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oilet, more specifically, the elderly or infants who are inconvenient to be able to see the urine on the spot without going to the toilet, it is easy to process the urine received by the portable toilet, the fold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oilet bowl having a volume which is easy to store and carry.

최근에는 개인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가족, 친구들과 함께 나들이 및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improves, more and more people use their weekends and holidays to go out and travel with family and friends.

그런데, 이러한 가족, 친구들이 찾는 여행지에는 음식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상점 등만 즐비할 뿐 여행객의 기초적 생리 욕구인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는 공중 화장실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However, there are many public toilets that can solve the urine, which is the basic physiological need of tourists, as there are only shops for selling food and goods in the travel destinations of family and friends.

여행지에 공중 화장실이 있다고 하여도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거나 화장실이 있는 다른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기 때문에 화장실의 위생이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Even if you have a public restroom at the destination, you will not only have to wait for a long time or move to another location where the restroom is located because it is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There is.

특히, 기초적 생리 욕구를 장시간 참을 수 있는 건강한 성인의 경우에는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기다리는 문제가 없지만 상대적으로 참을성이 부족한 유아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환자들 같은 경우에는 화장실을 찾아 이동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을 참고 기다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healthy adults who can tolerate basic physiological needs for a long time have no problem of moving or waiting to the toilet, but they are not only difficult to find and move to the toilet in the case of relatively impatient infants and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reduced mobility. Note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wai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유아가 화장실까지 가지 않고도 그 자리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고, 휴대용 변기에 받아진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접철 구조를 갖아 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elderly or infants inconvenient to move to the toilet without going to the toilet can be seen on the spot, it is easy to handle the urine received by the portable toilet, folding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oilet which is easy to store and carry by reducing its volu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커버와 시트가 힌지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블록을 중심으로 커버와 시트가 순차적으로 회동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힌지블록이 상면 타측에 설치되고, 중앙이 개구되어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배설한 대소변이 개구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제각기 취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의 선단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프론트와, 상기 프론트의 하면에 마련되는 바구니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의 측면에 제각기 힌지 결합되어 서로 엇갈리게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접철 다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의 연부에 입구가 지지되고 입구를 봉인하는 묶음 줄이 마련되어 대소변을 담는 수거용 봉투를 포함하는 휴대용 변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ver and the seat is fastened to the hinge block and the seat and the seat and the seat rotates sequentially around the hinge block, the hinge block of the seat The base plate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 center plate is opened, and the toilet seat disposed b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falls downward through the opening, the guide rail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guide rails are respectively mounted. A front provided with a handle for connecting a tip of the rod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and a rod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and gripped by the user; a bask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The hinges are coupled to the sid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they cross each other. The portable toilet includes a folding leg for collecting a small urine, provided with a foldable leg for positioning the base pl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n edge of an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and a bundle line for sealing the inlet. Is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바구니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asket is preferably made of a net.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수거용 봉투에 마련된 묶음 줄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할 때 안내하는 끼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tting holder for guiding the bundle string provided in the bag for collection to the front side of the base plat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또한, 상기 끼움홀더는 상기 묶음 줄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tting holder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undle string is formed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의 연부를 따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에 끼워지는 끼움홀이 수거용 봉투의 입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in which protrudes upwards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aid base plate, and the fitting hole fitted in the said pin is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ag.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변기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유아가 화장실까지 가지 않고도 그 자리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고, 휴대용 변기에 받아진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접철 구조를 갖아 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derly or infants who are inconvenient to be able to see urine on the spot without going to the toilet, easy to handle the urine received by the portable toilet, has a folding structure to reduce its volume It is easy to store and carry.

특히, 수거용 봉투에 담긴 대소변을 묶음 줄의 당김에 따라 그 즉시 수거용 봉투의 입구가 봉인되기 때문에 대소변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사용자가 수거용 봉투의 내부를 볼 시간을 단축시켜 대소변의 시각적 노출에 따른 혐오를 최소화시켜 대소변이 담긴 수거용 봉투의 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s the urin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bag is pulled in a bundle line, the entrance of the collection bag is sealed immediately, so that the user who collects and handles the urine can reduce the time to see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ag, thereby reducing the disgust caused by the visual exposure of the toilet By minimizing i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handle the collection bag containing ur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 중 시트와 커버가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와 수거용 봉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수거용 봉투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에 거치된 수거용 봉투가 봉인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로부터 봉인된 수거용 봉투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 중 접철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and the cover are lifted out of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and a collection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g for collecting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lection bag mounted on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l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ed collection bag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lding leg of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must be constru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는 크게 사용자가 착석하여 대소변을 볼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커버(112)를 닫는 시트부(110)와, 상기 시트부(110)가 상면에 마련되고 중앙에 개구(122)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대소변의 무게를 지탱하는 바구니(16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시키는 접철 구조를 갖는 접철 다리(17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구(122)에 입구가 지지되어 대소변을 담는 수거용 봉투(18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ortabl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seated by the user can see the toilet and seat seat 110 when not in use and close the cover 112, the seat portion 110 The base plate 1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opening 122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basket 160 and the base plate 120 drawn out in front of the base plate 120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rine It consists of a folding leg 170 having a folding structur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pening 180 of the base plate 120 and an inlet supported by the collection bag 180 containing a small urine.

상기 시트부(11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114)와 상기 시트(114)를 상부에서 닫아 평상시 휴대용 변기(100)를 보관할 때 시트(114)를 통해 이물질이 수거용 봉투(180) 또는 바구니(16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는 커버(112) 및 상기 커버(112)와 시트(114)를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힌지블록(116)으로 구성된다.The seat 110 is a bag 114 or a basket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s through the seat 114 when the user seats the seat 114 and the seat 114 to close the seat 114 at a normal time to store the portable toilet bowl 100. The cover 112 and the hinge block 116 for supporting the cover 112 and the seat 114 can be rotated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160.

또한, 상기 시트(114)는 사용자가 시트(114)에 착석했을 때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그 내부에 쿠션부재가 마련되고, 소변 및 대변과 같은 이물질이 표면에 묻었을 때 세정이 용이한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외피가 상기 쿠션부재의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 114 is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therein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a sense of heterogeneity when seated on the seat 114, and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hat is easy to clean when foreign matter such as urine and faeces on the surface The envelope forms the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이와 같은 상기 시트부(110)의 힌지블록(116)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기초로 시트부(110)의 시트(114)와 커버(112)가 힌지블록(116)을 중심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hinge block 116 of the seat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and the seat 114 and the cover 112 of the seat unit 110 based on the base plate 120. Has a structure that is rotated as shown in FIG. 3 around the hinge block 116.

따라서,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 시트(114)에 착석하지 않고 소변만을 볼 때 시트(114)와 커버(112)를 들어올려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또는 소변이 시트(114)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배설한 대소변을 담은 수거용 봉투(180)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 분리하기 편리하다.Therefore, when the user is a man, the seat 114 and the cover 112 are lifted and used when only the urine is not seated on the seat 114, so that the user lowers the posture or the urine is asked to the seat 114. Not only can it be prevented, it is convenient to lift the separation bag 180 containing the urine excreted by the user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120 to separate.

한편, 상기 시트부(1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그 중앙이 개구(122)가 형성되어 시트(114)에 착석한 사용자가 배설한 대소변이 개구(122)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120 that supports the seat 110 so as to be rotatab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122 is downward through the toilet seat 122 excreted b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114 It will act as a path to fall.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틀의 형상을 갖고 상면 타측에 시트부(110)의 힌지블록(116)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시트부(110)의 커버(112) 및 시트(114)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부(11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적층되었을 때 평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ase plate 120 has a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hinge block 116 of the seat par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but in some cases, the base plate 120 may be seated.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ver 112 and the sheet 114 of the portion 110 when the sheet portion 110 is laminated with the base plate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in a plane.

상기에서 설명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하면에는 수거용 봉투(180)에 담긴 대소변의 무게를 지탱하는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평상 시 좌욕 용품 내지 다수의 수거용 봉투를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바구니(160)가 마련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weight of the urine contained in the bag 180 for collection while being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120 so that the basket can be stored in a stool or a plurality of collection bags for everyday use. 160 is provided.

특히, 상기 바구니(16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하면 양측으로 각각 가이드 레일(1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30)에 제각기 취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140) 및 상기 로드(140)의 선단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바구니(160)의 인출을 쉽게하는 손잡이(152)가 마련된 프론트(150)가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guide rails 130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so that the basket 160 can be drawn out in front of the base plate 120, respectively, and are mounted on the guide rails 130, respectively. The front 150 is provided with a handle 140 that connects the rod 140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120 and the tip of the rod 140 and is easily gripped by the user by holding the rod 160. Is formed.

이러한 상기 프론트(150)의 하면에는 바구니(160)가 형성되는 바, 상기 바구니(160)는 프론트(150)와 로드(140)들을 연결하여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의 형태를 갖는다.A basket 160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ont 150, and the basket 160 has a form of a net that connects the front 150 and the rods 14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따라서, 휴대용 변기(100)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접철 다리(170)가 접철되어도 상기 바구니(160)가 접철되는 형태에 맞게 변형될 뿐만 아니라 바구니(160)에 담긴 물품을 먼 거리에서도 그물망의 틈새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folding leg 170 is folded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portable toilet 100, the basket 160 is not only deformed to be folded, but also in the gap of the net at a distance from the article contained in the basket 160 Can be identified.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접철 구조를 갖고 휴대용 변기(100)의 사용시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접철 다리(170)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folding leg 170 having a folding structure and positioning the base plate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when the portable toilet 100 is used.

상기 접철 다리(17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측과 타측의 측면을 제각기 관통하여 서로 엇갈리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접철 다리(17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측 측면에 힌지 결합된 대략 "ㄷ"자의 형상을 갖는 전방 다리(17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타측 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전방 다리와 유사한 형태를 갖지만 상기 전방 다리(172)에 비해 그 폭이 좁아 상기 전방 다리(172)의 내부를 향해 회동하여 위치되는 후방 다리(174)로 구성된다.The folding leg 17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of th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20 passes through each other to be alternately supported. That is, the folding leg 170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leg 120 and the front leg 172 having a shape of approximately "c" hinged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120 and It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ront leg, but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front leg 172 consists of a rear leg 174 which is positioned to rotate toward the inside of the front leg 172.

또한, 상기 전방 다리(172)에는 스토퍼(172a)가 마련되어 후방 다리(174)가 전방 다리(172)의 내부에서 엇갈린 상태로 위치할 때 상기 후방 다리(174)를 지지함으로써 접철 다리(170)를 세워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착석할 수 있고 접철 다리(170)를 눕히는 경우 휴대용 변기(100)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leg 172 is provided with a stopper 172a to support the rear leg 174 when the rear leg 174 is staggered in the interior of the front leg 172 to support the folding leg 170 Stand up base plate 120 can be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be seated in a comfortable posture and can be stored in a reduced state of the portable toilet 100 when the folding leg 170 lying down.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122)의 연부에는 입구가 지지되고 입구를 봉인하는 묶음 줄(182)이 마련되어 대소변을 담는 수거용 봉투(180)가 설치된다. 상기 수거용 봉투(180)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대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형이 자유롭게 변형되어 보관을 편리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12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bundle line 182 for supporting the inlet and sealing the inlet so that the bag 180 for collecting urine is installed. The collection bag 18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vinyl to prevent the urine outflow to the outside, the appearance is freely deformed to facilitate storage.

특히, 상기 수거용 봉투(180)는 입구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수거용 봉투(180)를 시침질한 형태로 관통하는 묶음 줄(182)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배설한 대소변이 수거용 봉투(180)에 담긴 경우 상기 묶음 줄(182)로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를 봉인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collection bag 180 is provided with a bundle line 182 penetrating through the collection bag 180 in the form of tack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trance, when the user's excreted in the urine collection bag 180 is bundled A string 182 allows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collection bag 180.

이러한, 상기 수거용 봉투(18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122)의 연부에 쉽게 지지되고, 상기 묶음 줄(182)을 당겨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를 편리하게 봉인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개구(122)의 연부를 따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핀(124)이 형성된다.This, the collection bag 180 is easily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opening 12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20, by pulling the bundle string 182 can conveniently seal the opening of the collection bag 180. The pin 124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122 formed in the base plate 120.

또한, 상기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 둘레를 따라 끼움홀(184)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핀(124)에 수거용 봉투(180)의 끼움홀(184)이 끼워져 지지된다.In addition, a fitting hole 184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let of the collecting bag 180 so that the fitting hole 184 of the collecting bag 180 is fitted to the pin 124 of the base plate 120.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거용 봉투(180)가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묶음 줄(182)을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연부에 형성된 핀(124)에 끼워진 수거용 봉투(180)에 형성된 끼움홀(184)이 순차적으로 찢어지면서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가 봉인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llection bag 180 is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vinyl, when the bundle string 182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base plate 120, the pin 124 formed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120 is formed. The insertion hole 184 formed in the collection bag 180 inserted into the torn pieces are sequentially torn and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ag 180 is sealed.

이렇게,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를 봉인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묶음 줄(182)이 항상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묶음 줄(182)을 안내하는 끼움홀더(126)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다.In this way, the bundle string 182 that pulls forward of the base plate 120 to seal the opening of the collection bag 180 is always located in front of the base plate 120, while guiding the bundle string 182. The fitting holder 12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상기 끼움홀더(12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형상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홀더(126)의 상부를 통해 묶음 줄(182)을 끼움홀더(126)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끼움홀더(126)의 외부로 인출된 묶음 줄(182)을 잡아당겨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를 봉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tting holder 126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pen shap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positions the bundle string 182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holder 126 inside the fitting holder 126. By pulling the bundle string 182 drawn to the outside of the fitting holder 126 in the state it is possible to seal the entrance of the bag 180 for colle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100)의 사용을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use of the portabl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3 to 7.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마련된 커버(112)와 시트(114)를 힌지블록(116)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세워놓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as shown in FIG. 3, the cover 112 and the seat 114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20 are rotated about the hinge block 116 to stan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거용 봉투(18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변기(100)의 직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구(122) 연부로 지지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ag 18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122 of the base plate 120 in a state where the collection bag 180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portable toilet 100 as shown in FIG. 4. Supported by.

이때, 상기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 둘레에 형성된 끼움홀(184)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구(122) 둘레에 돌출 형성된 핀(124)에 끼워 상기 수거용 봉투(180)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구(122) 연부에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184 formed around the inlet of the collecting bag 180 is inserted into the pin 124 protruding around the opening 122 of the base plate 120 as shown in FIG. 180 is support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122 of the base plate 120.

이와 같이 수거용 봉투(18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구(122)에 설치되면 세워진 시트(114)를 힌지블록(116)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대소변을 배설할 사용자가 시트(114)에 착석한 뒤 대소변을 수거용 봉투(180)의 내부를 향해 배설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collecting bag 18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122 of the base plate 120, the standing sheet 114 is rotated about the hinge block 116 to be positioned above the base plate 120. Then, after the user to excrete the urine is seated on the sheet 114, the urine is excre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ag 180.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배설이 끝난 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수거용 봉투(180)의 묶음 줄을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After the user's excretion is finished as described above, the bundle string of the collection bag 180 exposed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120 is pulled forward.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에 위치한 묶음 줄(182)의 당겨짐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나머지 묶음 줄(182)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개구(122)에 형성된 핀(124)에 끼워진 수거용 봉투(180)의 끼움홀(184)들이 순차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찢어지면서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가 끼움홀더(126)와 인접하게 모아지며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가 봉인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as the bundle string 182 located in front of the base plate 120 is pulled, the remaining bundle string 182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ase plate 120 is the base plate 120. The insertion holes 184 of the collecting bag 180 inserted into the pin 124 formed in the opening 122 of the base plate 120 are sequentially moved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base plate 120 while moving forward. The opening of the collecting bag 180 is gathered adjacent to the fitting holder 126 while being torn toward and the opening of the collecting bag 180 is sealed.

이렇게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가 묶음 줄(182)의 당김에 의해 봉인되면 사용자는 수거용 봉투(180)에 담긴 대소변이 유출되지 않게 묶음 줄(182)로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를 완전히 묶은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개구(122)를 통해 대소변이 담긴 수거용 봉투(180)를 분리하여 수거하게 된다.When the opening of the collection bag 180 is sealed by pulling the bundle line 182 in this manner, the user completely bundles the entrance of the collection bag 180 with the bundle line 182 so that the urin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bag 180 does not leak. Thereafter, as shown in FIG. 7, the collection bag 180 containing the urine is separa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opening 122 formed in the base plate 120.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변기(100)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유아가 화장실까지 가지 않고도 그 자리에서 대소변을 볼 수 있고, 휴대용 변기(100)에 받아진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접철 구조를 갖아 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derly or infants inconvenient to move to the toilet can be seen on the spot without going to the toilet, it is easy to process the urine received by the portable toilet (100). It has a folding structure to reduce the volume has the effect of easy storage and portability.

특히, 수거용 봉투(180)에 담긴 대소변을 묶음 줄(182)의 당김에 따라 그 즉시 수거용 봉투(180)의 입구가 봉인되기 때문에 대소변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사용자가 수거용 봉투의 내부를 볼 시간을 단축시켜 대소변의 시각적 노출에 따른 혐오를 최소화시켜 대소변이 담긴 수거용 봉투(180)의 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s the urin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bag 180 is pulled out of the bundle line 182, the entrance of the collection bag 180 is immediately sealed, thereby shortening the time for a user who collects and processes the urine to see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ag. By minimizing the disgust caused by the visual exposure of the urin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treatment of the collection bag 180 containing the urine.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carried out by modifying and modifying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seen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예를 들어, 대소변을 담는 수거용 봉투(180)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수거용 봉투(180)에 담긴 대소변이 다른 사람의 시각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urine collection bag 180 containing the urine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may prevent the urin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bag 180 to be exposed to the eyes of others.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접철 다리(170)는 앞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folding leg 170 provided below the base plate 1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8.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변기 중 접철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하부의 사방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리(170a)가 형성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lding leg of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a leg 170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ll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20.

상기 다리(170a)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갖고, 각각의 다리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The leg 170a has a structure that pivots around the hinge, and each leg has a structure that is erected or laid down by pivoting around the hinge so that the base plate can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 다리는 탁상, 찻상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전식 접철 다리의 구조를 갖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이식 낚시용 의자 또는 레포츠용 접이식 의자에 적용되는 다리의 구조가 본 고안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Such a folding le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structure of a rotary folding leg generally used in a tabletop, a tea table, etc., and in some cases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of the leg applied to the folding fishing chair or folding chair for spor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휴대용 변기 110 : 시트부
112 : 커버 114 : 시트
116 : 힌지블록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22 : 개구 124 : 핀
126 : 끼움홀더 130 : 가이드 레일
140 : 로드 150 : 프론트
152 : 손잡이 160 : 바구니
170 : 접철 다리 172 : 전방 다리
172a : 스토퍼 174 : 후방 다리
180 : 수거용 봉투 182 : 묶음 줄
184 : 끼움홀
100: portable toilet 110: seat
112: cover 114: sheet
116: hinge block 120: base plate
122: opening 124: pin
126: fitting holder 130: guide rail
140: Load 150: Front
152: handle 160: basket
170: folding leg 172: front leg
172a: stopper 174: rear leg
180: collection envelope 182: bundle string
184: fitting hole

Claims (5)

커버와 시트가 힌지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힌지블록을 중심으로 커버와 시트가 순차적으로 회동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힌지블록이 상면 타측에 설치되고, 중앙이 개구되어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배설한 대소변이 개구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제각기 취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의 선단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프론트;
상기 프론트와 상기 로드를 연결하여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형태의 바구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의 측면에 제각기 힌지 결합되어 서로 엇갈리게 지지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접철 다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의 연부에 입구가 지지되고 입구를 봉인하는 묶음 줄이 마련되어 대소변을 담는 수거용 봉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수거용 봉투에 마련된 묶음 줄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인출할 때 안내하는 끼움홀더를 포함하는 휴대용 변기.
A seat portion in which the cover and the sheet are fastened to the hinge block so that the cover and the sheet are sequentially rotated around the hinge block;
A base plate on which the hinge block of the seat par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center plate of which is opened downwards through a large toilet seat disposed b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Guide rai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 front that is attached to each of the guide rails and is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and a front end of the rod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d to be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base plate and provided with a handle for holding by a user;
A net-shaped basket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rod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foldable leg hinged to side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the folding legs for stabilizing the base pl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ground;
A bag for collecting urine and urine having an inlet supported at an edge of an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and sealed with an inlet; And
A portable toilet comprising a fitting holder for guiding the bundle string provided in the bag for collection to the front side of the base plat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더는,
상기 묶음 줄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tting holder,
Portable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is form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undle string and the top is op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의 연부를 따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에 끼워지는 끼움홀이 수거용 봉투의 입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n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Portable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s fitted to the pi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ag.
KR2020110005873U 2011-06-28 2011-06-28 Portable toilet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4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73U KR200459464Y1 (en) 2011-06-28 2011-06-28 Portable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73U KR200459464Y1 (en) 2011-06-28 2011-06-28 Portable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464Y1 true KR200459464Y1 (en) 2012-03-27

Family

ID=4762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87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464Y1 (en) 2011-06-28 2011-06-28 Portable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64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32Y1 (en) 2013-12-30 2014-03-25 이승웅 A portable toilet
CN104873141A (en) * 2015-05-27 2015-09-02 瞿洪贵 Multifunctional foldable stool
KR20180048271A (en) 2016-11-02 2018-05-10 임준호 Toilet having folding chair
CN111150593A (en) * 2020-01-16 2020-05-15 仁寿县人民医院 Medical bed squatting and enema assis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796A (en) 1997-10-13 1999-04-27 Takatec:Kk Portable toilet
KR20100115472A (en) * 2009-04-20 2010-10-28 (주)엠에스헬스케어 A chair having a chamber pot for the o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796A (en) 1997-10-13 1999-04-27 Takatec:Kk Portable toilet
KR20100115472A (en) * 2009-04-20 2010-10-28 (주)엠에스헬스케어 A chair having a chamber pot for the ol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32Y1 (en) 2013-12-30 2014-03-25 이승웅 A portable toilet
WO2015102259A1 (en) * 2013-12-30 2015-07-09 이승웅 Portable toilet bowl for both urination and defecation
CN104873141A (en) * 2015-05-27 2015-09-02 瞿洪贵 Multifunctional foldable stool
KR20180048271A (en) 2016-11-02 2018-05-10 임준호 Toilet having folding chair
CN111150593A (en) * 2020-01-16 2020-05-15 仁寿县人民医院 Medical bed squatting and enema assis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5683A (en) Orthopedic chair
US7618055B2 (en) Stroller changing station
US7665157B2 (en) Child's toilet training chair
US7281759B1 (en) Portable high chair
US5852832A (en) Portable toilet seat
KR200459464Y1 (en) Portable toilet
US8317268B2 (en) Portable footrest for use when sitting on a toilet
US20240306863A1 (en) Honey Bucket For Collapsible Chair
KR101030052B1 (en) Portable toilet seat
KR20180007831A (en)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CN107307952A (en) Folding wheelchair capable of urinating and defecating
JP3208915U (en) Folding wheelchair that can urinate and defecate
CN110603019A (en) Seat arrangement for a wheelchair and wheelchair comprising such a seat arrangement
JP3199367B2 (en) Chair type toilet
KR20210131080A (en) Seating plate for fishing
CN204743976U (en) Shower defecation folding chair
CN205625780U (en) Multi -functional portable removes closestool
TWM492712U (en) Portable folding toilet device
CN211129327U (en) Auxiliary driving pet bag
JP5781788B2 (en) Simple support device for small urinal and storage box / toilet seat that can store this
CN209610101U (en) toilet crutch chair
CN209499210U (en) A kind of volume cane sofa with function of containing articles
JP5537451B2 (en) Portable toilet
CN221963033U (en) A foldable crutch stool with toilet function
CN205410436U (en) Beach chair with sunshad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603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3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