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165Y1 - Glass fog detection module - Google Patents
Glass fog detection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8165Y1 KR200438165Y1 KR2020070000883U KR20070000883U KR200438165Y1 KR 200438165 Y1 KR200438165 Y1 KR 200438165Y1 KR 2020070000883 U KR2020070000883 U KR 2020070000883U KR 20070000883 U KR20070000883 U KR 20070000883U KR 200438165 Y1 KR200438165 Y1 KR 2004381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disposed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gla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19030 MCU 22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6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 B60S1/086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면 상에 커버 관통구가 구비되고 차량 실내를 향하여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 및 차량 글라스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배치되는 온도 습도 센서 및 상기 차량 글라스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면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over through-hole on one surface and a housing cover disposed toward a vehicle interior and a housing bas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glass;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sensor unit having a temperature humidity senso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ward the housing cover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glass.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chematic mounting state of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 10...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 ...
100...하우징 110...하우징 커버100
120...하우징 베이스 130...하우징 공간 차단부120
200...인쇄회로기판 210...레귤레이터200 ...
220...전자 소자 300...센서부220
310...온도 습도 센서 320...표면 온도 센서310 ...
본 고안은 감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차량 글라스 표면 상에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ing module, and to a glass fog sensing module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fog on the vehicle glass surface.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 및 안전 장치의 기능 탑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는 주행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인데, 우기 또는 겨울철과 같이 차량 실내외의 온도 및/또는 습도 차가 커지는 경우 발생하는 차량 실내에서의 글라스 상 김서림은 운전자의 시야를 급격하게 저하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공조 제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BACKGROUND ART In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ounting functions of various convenience means and safety devices that allow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Particularly, securing the driver's forward vis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driving safety. The glass-fogging in the vehicle interior, which occurs whe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outside the vehicle interior such as rainy season or winter season, increases the driver's vision suddenly. Lowers. In order to prevent this, various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하지만,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는 공조 장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 차량 실내 온도만을 단순 검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환경 감지가 어려워 김서림 조건 여부 판단 곤란으로 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차량 글라스 김서림 방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environment by using only the vehicle indoor temperature i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 the steaming conditions Due to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more effective vehicle glass fog.
본 고안은 차량 글라스 김서림 방지를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환경을 감지하여 공조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 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of a simple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ing device by detecting the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to prevent vehicle glass fo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면 상에 커버 관통구가 구비되고 차량 실내를 향하여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 및 차량 글라스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배치되는 온도 습도 센서 및 상기 차량 글라스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면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having a cover through-hole on one surface and a housing cover disposed toward the vehicle interior and a housing bas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glass;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sensor unit having a temperature humidity senso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ward the housing cover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glass.
상기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 커버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온도 습도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상기 사이 공간을 격리시키는 하우징 공간 차단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의 차량 글라스를 향한 일면에는 투명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대응 영역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 상에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the housing isolating the space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housing cover in order to isolate the area w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s dispos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housing cover. A space block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and a transparent plat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base facing the vehicle glass, and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s a corresponding area of the transparent plate. May be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는 조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으로 상기 조도 센서의 대응 영역에는 상기 조도 센서로의 빛 유입을 허용하는 광 유입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illuminance sensor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ight inlet for allowing light to enter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region of the illuminance sensor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 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Hereinafter,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state diagram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전방에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가 배치되고, 차량 윈드 글라스(1)와 차량 바디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2)이 구획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내측면으로 차량의 실내 공간(2)을 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예일뿐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차량의 후방 글라스로 차량의 실내 공간(2)을 일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 vehicle windshield glass 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은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센서부(30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구비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다. The glass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에는 커버 관통구(111;111a,111b,111c)가 구비된다. 커버 관통구(111;111a,111b,111c)는,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기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고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 측정을 허용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하우징 공간과 외부 환경과의 유체 소통을 허용한다. 도 2 및 도 3에서 하우징 커버(110)는 세 영역으로 분할되는 하우징 커버(111a,111b,111c)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는 본 고안의 일예로써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Cover through-
하우징 베이스(120)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 상에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20)의 측단에는 베이스 결합부(121)가 하우징 커버(110)를 향하여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110)의 측단에는 커버 결합부(115)가 구비되는데, 커버 결합부(115)는 베이스 결합부(121)와 맞물리어 결합됨으로써,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 공간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베이스(120)는 배면측, 즉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를 향한 일면의 외곽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에 의하여 하우징 베이스(120)의 배면측과 이의 대응하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가 형성하는 베이스 배면 공간(129,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베이스 배면 공간(129)에는 접착 패드(400)가 구비되는데, 접착 패드(400)의 일면은 하우징 베이스(120)에 그리고 타면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 베이스(120)가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내부 하우징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부 하우징 공간에 배치되는데, 하우징(100)의 하우징 베이스(120)의 내측에는 기판 지지부(123)가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기판 지지부(123)에 의하여 하우징 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 3 및 도 4에서 인쇄회로기판(200)은 단순하게 기판 지지부(123)의 상단에 놓여지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 나, 이는 본 고안의 일예일뿐 본 고안에 따른 기판 지지부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지지 구조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인쇄회로기판에 결합 홀이 구비되고 결합 홀에 삽입 관통되는 결합 핀이 하우징 커버 및/또는 하우징 베이스에 구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하우징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The prin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 상에는 레귤레이터(210) 및 전기소자(220;221,222,223)가 배치된다. 레귤레이터(210)는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의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레귤레이터(210)는 전력 제어를 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열이 발생하는데, 하기되는 센서부의 온도 습도 센서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 내지 저감시키기 위해 레귤레이터(2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하기되는 온도 습도 센서(310)로부터 원거리 이격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전기 소자(220;221,222,223)는 저장부(223)와 MCU(222)와 송신부(221)를 포함한다. 저장부(223)는 하기되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온도, 조도 및/또는 강우량 신호 등의 사전 설정값이 저장되는 EEPROM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MCU(222)는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저장부(223)에 기 저장된 사전 설정값과 비교하여 공조 장치, 조명 장치 및/또는 와이퍼 장치 등의 작동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작동 여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며, 송신부(221)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과 같은 통신 방식으로 MCU(222)로부터의 신호를 공조 장치, 조명 장치, 와이퍼 장치 및/또는 ETACTS(Electronic Time and Alarm Control System)을 관장하는 컨트롤러(미도시) 등으로 송신한다.The
전기소자(220) 중, 신호 처리 등의 과정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하는 레귤레이터(210)는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온도 습도 센서(310)와 원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단부에는 기판 결합 홈(201)이 구비되는데, 기판 결합 홈(201)의 형성 위치는 하기되는 하우징 공간 차단부(130)에 의하여 레귤레이터(210)가 배치되는 공간과 온도 습도 센서(310)가 배치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The
센서부(300)는 온도 습도 센서(310)와 표면 온도 센서(320)를 포함한다. 온도 습도 센서(310)는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110)에 구비되는 커버 관통구(111c)를 통하여 내부 하우징 공간은 차량 실내와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장착된 온도 습도 센서(310)는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온도 및 습도 센서(310)는 두 개의 기능, 즉 온도 감지 기능과 습도 감지 기능을 함께 실행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개별적인 구성을 취하여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로 구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센서로 형성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표면 온도 센서(320)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일면으로 하우징 베이스(120)를 향한 일면 상에 면접하여 배치된다. 즉, 표면 온도 센서(320)는 소결된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어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치 특성을 갖는 저가의 부특성 서미스터와 같은 접촉식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 온도 센서(320)는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차량 실내 측을 향한 일면에 면접촉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온도를 직접 감지하여 보다 정확한 차량 글라스의 표면 온도를 구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서부(300)의 온도 습도 센서(310)는 사전 설정된 일정 주기마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 및 검출하고,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에 면착된 표면 온도 센서(320)는 열전도를 통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일면 상의 온도를 직접 측정한다.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신호는 배선을 따라 MCU(222)로 전달된다. MCU(222)는 입력된 온도 및 습도 센서(310)로부터의 차량 실내 온도 및 습도 신호로부터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에서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한다. 또한, MCU(222)는 표면 온도 센서(320)로부터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 온도 신호와 상기 산출된 이슬점 온도 및 저장부(223)에 기 저장된 사전 설정값(계산식 및/또는 록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에서의 김 서림 발생을 예측한다. MCU(222)는 김 서림 발생 예측 신호로부터 공조 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송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송신부(221)로 전달하고 송신부(221)는 LIN 통신 방식등을 사용하여 MCU(222)로부터의 신호를 공조 장치 및/또는 ETACS를 관장하는 컨트롤러 등으로 송신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emperature and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은 보다 정확한 온도 감지를 위하여 다량의 열이 생성되는 공간과 온도 습도 센서가 배치되는 공간을 격리 분할시키기 위한 하우징 공간 차단부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 공간 차단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10)은 보다 정확한 온도 감지를 위하여, 다량의 열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가 배치되는 공간과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습도 센서가 배치되는 공간을 격리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glas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소자(220) 중, 신호 처리 등의 과정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하는 레귤레이터(210)는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온도 습도 센서(310)와 원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단부에는 기판 결합 홈(201)이 구비되는데, 기판 결합 홈(201)의 형성 위치는 하기되는 하우징 공간 차단부(130)에 의하여 레귤레이터(210)가 배치되는 공간과 온도 습도 센서(310)가 배치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As shown in FIG. 3, the
하우징 공간 차단부(130)는 각각의 단부에 기판 결합 홈(201)과 결합되는 차단 연장부(131)가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어 배치되는 차단 연장부(131)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단면의 홈에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이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공간 차단부(130)의 상단면은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 하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서로 맞닿도록 배칭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200)과 하우징 커버(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공간 차단부(130)는 인쇄회로기판(200) 및 하우징 커버(110)의 사이 공간으로 온도 습도 센서(310)가 배치되는 공 간과 다량의 열을 방출하는 레귤레이터(210)가 배치되는 공간을 분할 격리한다. 또한, 커버 관통구(111)는 복수 개의 커버 관통구(111a,111b,111c)로 분할되고 각각은 하우징 공간 차단부(130)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각의 내부 공간과 외부와의 소통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 부호 111a로 표현되는 커버 관통구(111a)는 레귤레이터와 같은 열 방출이 큰 전기소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외부(차량실내), 도면 부호 111b로 표현되는 커버 관통구(111b)는 일반 전기소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외부, 그리고 도면 부호 111c로 표현되는 커버 관통구(111c)는 온도 습도 센서(31)가 배치되는 공간과 외부 간의 개별적인 소통을 허용한다. 따라서, 레귤레이터(210)로부터 생성된 열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하우징 커버(110)의 커버 관통구(111a)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하우징 커버(110)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사이 공간으로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된 온도 습도 센서(310)는 레귤레이터(210)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제거 내지 저감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기판 결합 홈이 그리고 하우징 공간 차단부에 차단 연장부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의 내측 하면에 하우징 공간 차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부가 구비되어 하우징 공간 차단부의 단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단순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판 결합 홈과 하우징 공간 차단부가 동시에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을 통한 열전도와 하우징 내부 공간을 통한 열대류를 모두 방지 내지는 저감시켜 열전달을 차단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기판 결합 홈만이 되는 구성을 취할 수 도 있다. 즉, 레귤레이터가 배치되는 영역과 온도 습도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의 사이에 노치 타입으로 형성되는 기판 결합 홈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을 통한 열전도를 저감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The housing
또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모듈은 외부 환경의 빛을 감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변형예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조도 센서(330)가 구비되고 하우징 커버(110)에는 광 유입구(113)가 구비된다. 즉,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는 조도 센서(330)가 배치되고, 조도 센서(33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입을 허용하는 광 유입구(113)가 구비됨으로써, 광 유입구(113)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고 이를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MCU(222)로 전달한다. MCU(222)는 저장부(223)에 기 저장된 사전 설정 조도 값과 조도 센서(33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비교하고 이로부터 외부 환경의 조도 상태, 즉 헤드 라이트(미도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헤드 라이트 장치(미도시) 등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lass fo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modification further comprising a means for detecting the light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s shown in FIG. 3, an
또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모듈은 우천으로 인한 주행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20)의 일면으로,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향한 일면에는 투명 플레이트(125)가 구비되고, 투명 플레이트(125)의 대응 영역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의 타면 상에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340, 도 4)가 구비된 다. 도 4에서 적외선 센서(340)는 네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예일뿐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외선 센서(34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다만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세 개 이상의 적외선 센서가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부와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함께 구비하는데, 적외선 센서(340)의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은 투명 플레이트(125) 및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때, 외부 환경이 강우 상태인 경우,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의 표면에 존재하는 빗물에 의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투과한 적외선은 빗물에 의하여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1)를 재투과하여 차량 실내 측으로 반사 유입된다. 반사 유입된 적외선은 적외선 센서(340)의 수광부에 의하여 감지되고 적외선을 감지한 적외선 센서(340)는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MCU(222)로 강우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전달하고 MCU(222)는 저장부(223)에 기 저장된 사전 설정 강우량 값과 전달된 신호를 비교하여 강우 상태를 판단하고 와이퍼 장치(미도시)의 작동 여부 신호를 LIN 송신부(221)를 통하여 와이퍼 장치(미도시) 등으로 전달한다. 와이퍼 장치는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lass fo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preventing driving obstacles due to rain. That is, as shown in FIG. 3, one surface of the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은 차량 전방의 차량 윈드 쉴드 글라스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후방 글라스에 부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공간 차단부는 하우징 커버에 의하여 지지되고 인쇄회로 기판 상에 단순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은 하우징 공간 차단부를 구비하지 않고 레귤레이터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영역과 온도 습도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영역 사이에 노치로서의 홈을 형성하여 직접적인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구성만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은 수신부를 더 구비하여 차량의 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 글라스의 김 서림 예측 시 이용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차량 글라스의 표면 온도와 이슬점의 변화곡선을 감지하여 보다 정확한 김서림 발생 시점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어 시간에 공조 장치 등을 가동시킴으로써 작동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는 등, 차량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차량 글라스에 면착되어 열전도를 통한 차량 글라스의 온도를 직접 감지하는 표면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has a structure mounted on the vehicle windshield glass in front of the vehicle, but may have a structure attached to the rear glass. In addition, the housing space blocking portion may take the configuration of being supported by the housing cover and simply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does not have a housing space blocking portion, but only takes a configuration of reducing direct thermal conductivity by forming a groove as a notch between th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 the regulator is disposed and th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 the temperature humidity sensor is disposed. It may be. In addition,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to receive a speed signal of the vehicle and take a structure to use when predicting the rim of the vehicle glas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by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at a preset contro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and the vehicle glass directly through the heat conduc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including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은, 차량 실내의 온도와 차량 글라스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개별적인 온도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차량 글라스의 김서림을 예측하여 김서림의 발생 전에 공조 장치의 작동을 통한 김서림 방지 기능을 수행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First,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glass, respectively, to predict the mist of the more precise vehicle glass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mist By performing the anti-fog function through the driver can enable a more stable driving.
둘째, 본 고안에 따른 글라스 포그 감지 모듈은, 부가적으로 적외선 센서 및 /또는 조도 센서를 통한 와이퍼 장치 및/또는 조명 장치의 작동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주행 상황을 제공할 수도 있다. Second, the glass fog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device and / or the lighting device through the infrared sensor and / or illuminance sensor, may provide a more stable driving situation to the driver.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ttach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0883U KR200438165Y1 (en) | 2007-01-18 | 2007-01-18 | Glass fog detection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0883U KR200438165Y1 (en) | 2007-01-18 | 2007-01-18 | Glass fog detection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8165Y1 true KR200438165Y1 (en) | 2008-01-23 |
Family
ID=4134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0883U Expired - Lifetime KR200438165Y1 (en) | 2007-01-18 | 2007-01-18 | Glass fog detection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816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17164A (en) * | 2019-03-20 | 2020-09-29 | 力特保险丝公司 | Rain and temperature sensor module for a motor vehicle |
-
2007
- 2007-01-18 KR KR2020070000883U patent/KR200438165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17164A (en) * | 2019-03-20 | 2020-09-29 | 力特保险丝公司 | Rain and temperature sensor module for a mot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46505B2 (en) |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 |
US8382368B2 (en) |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 |
CN102374877A (en) | Sensor arrangement for acquiring state variables | |
KR101854466B1 (en) |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ambient conditions | |
US7197927B2 (en) | Sensor for determining the interior humidity and fogging up tendency and fastening device of the sensor | |
JP5475218B2 (en) | Compound sensor | |
JP2009544534A (en) | Automotive modular sensor unit | |
KR101926471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Vehicle | |
KR101499746B1 (en) | Defog sensor unit | |
US20110128991A1 (en) | Sensor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n inside temperature in a motor vehicle | |
CN104369715A (en) | Automotive blue-light rain sensor integrated with fog detection and rain detection | |
KR200438165Y1 (en) | Glass fog detection module | |
US11884247B2 (en) | Automobile rain and temperature sensor module comprising a compound providing a thermally conductive medium between the cover of a housing and a temperature sensing element | |
JP6194729B2 (en) | Attachment detection device | |
KR200408235Y1 (en) |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unit | |
KR20190037428A (en) | Vehicle's indoor temperature sensor | |
US20230032079A1 (en) | Thermometer structure with high stability and system using the same | |
KR20120027855A (en) | System and method for anti-fog of lkas | |
CN209118157U (en) | Temperature sensor and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KR20030025736A (en) | Humidity sensing module for an automobile using dew point | |
KR200439214Y1 (en) | Glass Fog Detection Rear View Mirror Unit | |
KR100957421B1 (en) | Rain sensor for indoor detection | |
CN120369712A (en) | Water smoke detects sensor and defogging device | |
JP2000266664A (en) | Fogging detector | |
JP2010091368A (en) | Thermopile infrared det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1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1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