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06949A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Personal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Personal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949A
KR20040106949A KR20030036268A KR20030036268A KR20040106949A KR 20040106949 A KR20040106949 A KR 20040106949A KR 20030036268 A KR20030036268 A KR 20030036268A KR 20030036268 A KR20030036268 A KR 20030036268A KR 20040106949 A KR20040106949 A KR 2004010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mote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36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0504B1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Priority to KR102003003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504B1/en
Publication of KR2004010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9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50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웹 서버 등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컨텐츠를 원격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a subscriber using a mobile terminal to remotely manage various contents stored in a personal PC, a content server, a web server, and the like.

본 발명은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한 원격 제어기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와; 인터넷 상에서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관리 메시지를 해석하여 대응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원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또는 웹 서버 등에 존재하는 각종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저장, 삭제, 동기화 및 전송하는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원격 컨텐츠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remote controller function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that interoperates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various contents on the Internet, and performs remote management of content managed by a corresponding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by interpreting a remote content management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by us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to search for a variety of content existing in the personal PC, content server or web server, such as integrated, systematic remote, such as storing, deleting, synchronizing and transmitting Content management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Personal Contents}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Personal Contents

본 발명은 개인 컨텐츠의 원격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웹 서버 등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컨텐츠를 원격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mote management of personal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that enables a subscriber using a mobile terminal to remotely manage various contents stored in a personal PC, content server, web server, or the like. It is about.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 전화기, PDA, IMT-2000 단말기,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 기능과 화상 표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IMT-2000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etc., which simultaneously provide communication functions and image display functions, have been widely used.

이러한 통신 단말기들은 단순 전화 기능을 포함하여 온/오프라인 게임, 이메일, 문자 서비스, 일정 관리, 결제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가 부가적으로 제공되고 있다.Such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dditionally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such as online / offline games, email, text service, schedule management, payment function, etc., including simple telephone functions.

그리고, 최근에는 컴퓨터 및 인터넷의 발전으로 개인 또는 기업은 업무상 많은 전자화된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즉, 컨텐츠)을 생성하고 있으며, PC 중심의 유선 환경으로 전자메일이나 파일 서버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컨텐츠를 관리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컨텐츠가 과잉 생성되는데 비례하여 그 관리는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individuals or companies are generating files (i.e., contents) such as electronic documents, images, videos, etc. in business, and using e-mail or file server in a PC-oriented wired environment. It takes a structure to manage the corresponding content, but the content is over-produced in proportion to the management is not systematic.

특히, 영업사원이나 배달원 등과 같이 이동량이 많은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외부에서 자신의 PC나 파일 공유 서비스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및 컨텐츠 서버에 보관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 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문서의 경우에는 그 문서 열람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되는 열람 프로그램을 별도로 다운받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people in high-volume industries such as salespeople or deliverymen use computer terminals to manage data shared by their PCs or file sharing services and content data stored on content servers. It can be used only after certification, and in the case of a specific document, if the document reading program is not installed, there is inconvenience of having to download and install the corresponding reading program separately.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개인이 자신의 관리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저장 및 전송하는 등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컨텐츠에 접근해야 했으며, 그 관리에 있어서도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an individual has to access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using a computer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such as searching, storing,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be managed by the individual, and the management is not systematic. Had a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를 통해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웹 서버 등이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들에 존재하는 각종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저장, 삭제, 동기화 및 전송하는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원격 컨텐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allow a personal PC, a content server, a web server, and the like to interoperate with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so that various contents existing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It is to enable integrated and systematic remote content management such as searching, storing, deleting, synchronizing and transmit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with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컨텐츠 검색 및 저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for explaining a remote content search and storage operation in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컨텐츠 동기화 및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for explaining a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and transmission operation in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 31 : 개인 PC(발신자 PC)20: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31: Personal PC (sender PC)

32 : 컨텐츠 서버 33 : 웹 서버32: Content Server 33: Web Server

40 : 통합 메시지 서버40: integrated message serve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한 원격 제어기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와; 인터넷 상에서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관리 메시지를 해석하여 대응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원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remote controller function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that interoperates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various contents on the Internet, and performs remote management of content managed by a corresponding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by interpreting a remote content management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와 접속하여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해 원격 컨텐츠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IP가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to support a remot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and mobile IP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그리고,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는, 인터넷 상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는 개인 PC, 파일 서버, 컨텐츠 서버, 웹 서버, 메일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may be a personal PC, a file server, a content server, a web server, or a mail server that manages various contents of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on the Internet.

또한, 상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는, 원격 컨텐츠 관리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서비스 활성/비활성 상태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원격 컨텐츠 관리 단말기인 가입자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통합 메시지 서버와 연동하여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MMS 전송, UMS 전송, 메일 전송, 팩스 전송, 프린터 전송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whether to subscribe to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activation / inactivity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and the type of the subscriber terminal that is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terminal can be identified and viewed i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an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MMS transmission, UMS transmission, mail transmission, fax transmission, printer transmission for the content managed by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원격 컨텐츠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관리 요청에 따라 관리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요청된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요청한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 관리 수행 결과를 응답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ccessing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using a remot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requested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in association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managed according to a remote content management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personal content, which includes a step of responding a result of performing content management to a mobile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상술한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가입자 로그인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로그인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접속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리턴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personal content,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search for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subscriber login request from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perform a login process, and then perform a login processing result including access status information.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turning to.

그리고,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 분석 결과에 따라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디렉토리 정보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performing a search function for directory information or specific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earched according to the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analysis result.

이때, 상기 디렉토리 정보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을 요청한 후에 그 검색 결과로서 리턴받은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한 이동 단말기로 응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erforming of the search function for the directory information or the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analyzing local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and managing local content to be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when it is confirmed as a content list search request in a specific directory. Interworking with the device; Requesting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search for a content list in a specific directory and 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which requested the remote content retrieval of the content list in the specific directory returned as a result of the search.

또한, 상기 디렉토리 정보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특정 컨텐츠 오픈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특정 컨텐츠 오픈을 요청한 후에 그 결과로서 리턴받은 특정 컨텐츠를 상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한 이동 단말기로 응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rforming of the search function for the directory information or the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interworking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which is a search target through the Internet, when the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s determined to be a specific content open request. Steps; And requesting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open a specific content and 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that requested the remote content retrieval.

한편으로,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저장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가 위치한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 및 해당되는 컨텐츠 저장 대상이 되는 타겟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원본 컨텐츠를 인출한 후에 이를 타겟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storage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storage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Analyzing the remote content storage request message to identify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source content to be stored is located and target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retrieving the original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result confirmed above, and storing the original content in the target content management device.

그리고,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동기화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컨텐츠 동기화 요청 메시지 분석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동기화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동기화 요청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리턴받는 단계와; 상기에서 리턴받은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를 가장 최근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 file name and changed date information of a content file for which synchronization is requested in synchronization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ynchronized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And comparing the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of the returned content file to synchronize the content of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ynchronized with the content including the lates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컨텐츠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비교하여 바뀐 날짜 정보가 최근인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확인된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로부터 컨텐츠 파일을 인출한 후에 이를 동기화 대상이 되는 다른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해당되는 컨텐츠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nchronizing of the contents of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may include: identifying a local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that manages a content file in which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is recent by comparing the content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And after fetching the content file from the identified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ransmitting the content file to another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ynchronized to synchronize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전송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가 위치한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 및 해당되는 컨텐츠 전송 대상이 되는 타겟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원본 컨텐츠를 인출한 후에 이를 타겟 시스템에 맞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transfer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transfer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Analyzing the remot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to identify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source content to be transmitted is located and target system information to be corresponding to content transmission; And retrieving the original content by interworking with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net, converting the original content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target system, and transmitting the same.

이때, 상기 컨텐츠 전송 대상되는 타겟 시스템은 MMS 서버, UMS 시스템, 메일 서버, 팩스 서버, 프린터 서버로서, 컨텐츠 전송시 통합 메시지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target system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is an MMS server, a UMS system, a mail server, a fax server, and a printer serv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웹 서버 등과 같은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이동 전화기, PDA, IMT-2000 단말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존재하는 각종 파일이나 데이터(Rich-Media Data),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저장, 동기화, 전송하는 등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 IMT-2000 terminal, a laptop, and the like by interworking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such as a personal PC, a content server, a web server, etc. that exist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Subscriber uses his mobile terminal to search and store, synchronize, and transmit all kinds of contents such as various files or data (rich-media data), documents, images, videos, etc.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An integrated management is performed, 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with such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ervice is illustrated in FIG. 1.

즉,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 MS 또는 이동 가입자)가 통신망을 통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와 접속하여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한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역할을 수행하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관리 메시지를 해석하여 해당되는 개인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웹 서버(33) 및 통합 메시지 서버(40) 등과 연동하는 구성을 갖는데,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한 컨텐츠 원격 관리를 위해 모바일 IP(Mobile IP)가 지원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별도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때 모바일 IP 지원이나 별도의 로그인 절차는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지원되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in the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mobile terminal (MS or mobile subscriber)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terprets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to perform a corresponding personal content management function to perform a corresponding personal content management function. The server 32, the web server 33 and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and the like configuration, wherein the mobile terminal has a mobile IP (Mobile IP)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t is supported by default, otherwise you will need to perform a separate login procedure. At this time, the mobile IP support or a separate login procedure is a technology supported for a general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동 단말기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와 접속하여 컨텐츠 원격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원격 컨텐츠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으며, 원격 컨텐츠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고,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has a built-in remot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to access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o perform content remote management, and to receive and display remote content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management. Send.

그리고,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원격 컨텐츠 관리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서비스 활성/비활성 상태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웹 서버(33) 등에 대한 접속 정보 관리 즉, 각종 컨텐츠의 검색, 저장, 동기화 등을 수행하고,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전송한다. 또한 통합 메시지 서버(40)를 통한 컨텐츠 전송(MMS 전송, UMS 전송, 메일 전송, 팩스 전송, 프린터 전송 등)이 요청되는 경우 통합 메시지 서버(40)로의 컨텐츠 중계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되는 컨텐츠 전송 처리를 컨텐츠 수신 대상이 되는 가입자 단말기에 알려준다. 그리고, 컨텐츠 변환시 컨텐츠 관리(저장, 동기화, 전송 등)를 위한 메뉴를 해당되는 컨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한다.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manages whether to subscribe to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service and manages service activation / inactivity status informatio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terprets the remote conten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who uses the mobile terminal.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content server 32, the web server 33, and the like, that is, search, storage, and synchronization of various types of content are performed. Convert and send. In addition, when content transmission (MMS transmission, UMS transmission, mail transmission, fax transmission, printer transmission, etc.) through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is requested, the content relay process is performed to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ssion The process is informed of the subscriber station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When the content is converted, a menu for content management (storage, synchronization, transmission, etc.)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provided.

개인 PC(31)와 컨텐츠 서버(32)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한 가입자 단말기의 접근 권한을 체크하고,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한 특정 디렉토리 및 컨텐츠 검색 요청이나 컨텐츠 인출 요청을 처리하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와 연동하여 컨텐츠 저장 및 동기화 처리를 수행한다.The personal PC 31 and the content server 32 check the access rights of the subscriber terminal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process a specific directory and content search request or content retrieval request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and remotely.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nt relay gateway 20, the content storage and synchronization process is performed.

웹 서버(33)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한 특정 컨텐츠 검색 요청 및 컨텐츠 전송을 위한 컨텐츠 인출 요청을 처리한다.The web server 33 processes a specific content search request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and a content retrieval request for content transmission.

통합 메시지 서버(40)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와 연동하여 원격으로 제어되는 컨텐츠에 대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송, UMS(Unified Messaging System) 전송, 메일 전송, 팩스 전송, 프린터 전송 등을 처리한다.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interworks wit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o transmit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unified messaging system (UMS) transmission, mail transmission, fax transmission, printer transmission, and the like, for remotely controlled content.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의 원격 컨텐츠 관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operation of the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술한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원격 컨텐츠 관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어야 할 뿐 아니라 그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원격 컨텐츠 관리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서비스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의해 관리된다.First, in order to receive the above-mentioned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ervice, not only must be subscribed to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service but also the service must be activated. It is managed by the gateway 20.

이와 같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서 원격 컨텐츠 관리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서비스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한 후에 가입자 로그인을 요청하게 되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서는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접속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처리 결과를 가입자 단말기에 리턴해 줌으로써 로그인 처리를 완료하게 된다.As such, while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manages information on whether to subscribe to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service and activate the service, any mobile terminal user accesses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o log in to the subscriber. Upon request,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retrie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login processing, and then returns the login processing result including the connec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terminal to complete the login processing.

상술한 로그인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웹 서버(33) 등과 연동함으로써, 서비스 가입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웹 서버(33) 등과 같은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존재하는 각종 컨텐츠(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를 검색하고, 이를 저장, 동기화 및 전송하는 등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above-described login processing is performed, the service subscriber is linked to the personal PC 31, the content server 32, the web server 33, or the like existing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so that the service subscriber can use his mobile terminal. Searching for, storing, synchronizing and transmitting various contents (documents, images, videos, etc.) existing in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such as personal PC 31, content server 32, web server 33, etc. And integrated management.

이러한 컨텐츠 검색, 저장, 동기화 및 전송 등과 같은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첫째로 원격 컨텐츠 검색 서비스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연동 가능한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에 대해 검색이 가능한데, 이때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가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인 경우에는 디렉토리 정보 검색 및 컨텐츠 검색이 가능하고, 기타 서버 예컨대, 웹 서버(33)인 경우에는 컨텐츠 검색이 가능하다.Remote content management operations such as content search, storage, synchronization and transmiss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rst, a remote content search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ll kinds of contents managed by various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s existing on the interoperable Internet. In this case, if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is a personal PC 31 or a content server 32, directory information search and Content search is possible, and in the case of other servers, for example, the web server 33, content search is possible.

상술한 원격 컨텐츠 검색 동작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원격 컨텐츠 검색을 위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한 가입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임의의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대한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컨텐츠 검색 요청은 메시지 형태로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로 전달된다.In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ent retrieval operation, as shown in FIG. 2, a subscriber who first accesses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for remote content retrieval uses a mobile terminal to retrieve a content for an arbitrary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e content search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 the form of a message.

그러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가 개인 PC(31)인지, 컨텐츠 서버(32)인지, 웹 서버(33)인지를 확인하고, 또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검색 요청인지, 컨텐츠 오픈 요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The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analyzes th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earched is the personal PC 31, the content server 32, or the web server 33. In addition, it is also checked whether the search request for the content list or the content open request.

이때,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개인 PC(31)의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개인 PC(31)와 연동하여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을 요청한 후에 그 검색 결과로서 리턴받은 개인 PC(31)의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를 가입자 단말기로 응답해 줌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개인 PC(31)에 의해 관리되는 특정 디렉토리의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s analyzed and found to be a content list search request in a specific directory of the personal PC 31,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s connected to the personal PC 31 to be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After requesting a search for a list of contents in a specific directory by interworking, the content list in a specific directory of the personal PC 31 returned as a result of the search is returned to the subscriber station, whereby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remotely relays the gateway 20.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content lis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irectory managed by the personal PC 31 through.

그리고,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컨텐츠 서버(32)의 개인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 서버(32)와 연동하여 현재 컨텐츠 검색 요청한 가입자에게 할당된 개인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을 요청한 후에 그 검색 결과로서 리턴받은 컨텐츠 서버(32)의 개인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를 가입자 단말기로 응답해 줌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컨텐츠 서버(32)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디렉토리의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s analyzed and determined to be a content list search request in the personal directory of the content server 32,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32 to be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After requesting to search the list of contents in the personal directory assigned to the subscriber who requested the current content search by interworking,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returned by responding the contents list in the personal directory of the content server 32 returned as the search result to the subscriber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tent list information of the personal directory managed by the content server 32 may be searched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또한,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개인 PC(31)의 특정 컨텐츠 오픈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개인 PC(31)로 특정 컨텐츠 오픈을 요청한 후에 그 결과로서 오픈 요청된 특정 컨텐츠를 리턴받게 되면, 이를 원격 컨텐츠 관리 단말기인 가입자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응답해 줌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개인 PC(31)에 의해 관리되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해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 for opening a specific content of the personal PC 31,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opens the specific content to the personal PC 31 to be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After receiving the request, if the specific content requested to be opened is returned as a result, it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viewed in the subscriber terminal, which is a remote content management terminal, and respond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whereby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specific content managed by the personal PC 31 through.

이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컨텐츠 서버(32)의 특정 컨텐츠 오픈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 서버(32)로 현재 컨텐츠 오픈을 요청한 가입자에게 할당된 개인 디렉토리에 있는 특정 컨텐츠 오픈을 요청한 후에 그 결과로서 오픈 요청된 컨텐츠 서버(32)의 개인 디렉토리에 있는 특정 컨텐츠를 리턴받게 되면, 이를 원격 컨텐츠 관리 단말기인 가입자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응답해 줌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컨텐츠 서버(32)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디렉토리의 특정 컨텐츠를 검색해 볼 수 있게 된다.Similarly, when th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s analyzed and confirmed as a specific content open request of the content server 32,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opens the current content to the content server 32 to be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After requesting to open a specific content in the personal directory assigned to the subscriber requesting the request, as a result, the specific content in the personal directory of the content server 32 requested to be opened is returned.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into a subscriber station and responding to the subscriber statio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can search specific contents of the personal directory managed by the content server 32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그리고,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웹 서버(33)의 특정 컨텐츠 오픈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웹 서버(33)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 오픈을 요청한 후에 그 결과로서 오픈 요청된 특정 컨텐츠를 리턴받게 되면, 이를 원격 컨텐츠 관리 단말기인 가입자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응답해 줌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웹 서버(33)에 의해 관리되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해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s analyzed and confirmed to be a specific content open request of the web server 33,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ransmits HTTP (Hyper-) to the web server 33 to be searched over the Internet. After requesting the opening of a specific content using the Text Transfer Protocol (Text Transfer Protocol) protocol, if a specific content requested to be opened is returned as a result, it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viewed in the subscriber terminal, which is a remote content management terminal, and respond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may search for specific content managed by the web server 33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둘째로, 원격 컨텐츠 저장 서비스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연동 가능한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를 특정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서비스로서, 이때 특정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하고자 하는 컨텐츠는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또는 웹 서버(33) 등 어떠한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로부터도 인출할 수 있으나, 이렇게 인출한 컨텐츠 저장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는 가입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원격 컨텐츠 관리가 가능한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로 한정된다. 즉,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는 관리용 클라이언트 에이전트를 통해 완전한 원격 컨텐츠 관리(검색, 저장, 동기화, 전송 등)가 가능한 반면, 웹 서버(33)는 원격 컨텐츠 검색만 가능하다.Secondly, the remote content storage service is a service for storing content managed by any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existing on the Internet that can be linked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o a specific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e content to be stored in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can be retrieved from any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such as a personal PC 31, a content server 32, or a web server 33. The device is limited to a personal PC 31 or content server 32 capable of complete remote content management using a subscriber terminal. That is, the personal PC 31 or the content server 32 can perform full remote content management (search, storage, synchronization, transmission, etc.) through the client agent for management, while the web server 33 can only search for remote content. .

이러한 원격 컨텐츠 저장 동작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원격 컨텐츠 저장을 위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한 가입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 저장을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컨텐츠 저장 요청은 메시지 형태로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로 전달된다.In the remote content storage operation, as shown in FIG. 2, a subscriber accessing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for remote content storage first requests to store a specific content using his mobile terminal. The request is delivered to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 the form of a message.

그러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저장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가 위치한 소스(source)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 및 해당되는 컨텐츠의 저장 대상이 되는 타겟(target)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The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analyzes the content storage request message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and analyzes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the original content to be stored is located and a target to be stored.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is checked.

그리고,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가 되는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또는 웹 서버(33)와 연동하여 원본 컨텐츠를 인출한 후에 이를 타겟 컨텐츠 관리 장치가 되는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로 전송하여 개인 PC(31)의 특정 디렉토리나 컨텐츠 서버(32)의 개인 디렉토리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임의의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있는 원본 컨텐츠를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와 같은 특정 로컬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personal PC 31, the content server 32, or the web server 33, which becomes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storage request message. After retrieving the content, the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personal PC 31 or the content server 32 serving as the target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directory of the personal PC 31 or the personal directory of the content server 32, thereby providing a corresponding subscriber. The terminal may store the original content in any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 a specific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such as a personal PC 31 or a content server 32.

셋째로, 원격 컨텐츠 동기화 서비스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연동 가능한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 중에서 완전한 원격 컨텐츠 관리가 가능한 개인 PC(31)와 컨텐츠 서버(32) 간의 컨텐츠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이러한 컨텐츠 동기화는 해당되는 컨텐츠 파일명 및 바뀐날짜 정보를 비교하여 처리하게 된다.Third, the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service provides content synchronization between a personal PC 31 and a content server 32 capable of complete remote content management among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s that can be linked through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As a service, this content synchronization is handled by compar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이러한 원격 컨텐츠 동기화 동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원격 컨텐츠 동기화를 위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한 가입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 동기화를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컨텐츠 동기화 요청은 메시지 형태로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로 전달된다.In this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3, a subscriber accessing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for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first requests content synchronization using his mobile terminal. Is delivered to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 the form of a message.

그러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인지, 동일 파일명을 갖는 모든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The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analyzes th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ubscriber st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request synchronization for the specified specific content or to request synchronization for all contents having the same file name.

그리고,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컨텐츠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개인 PC(31) 및 컨텐츠 서버(32)와 연동하여 컨텐츠 동기화를 요청함으로써, 해당되는 개인 PC(31) 및 컨텐츠 서버(32)로부터 컨텐츠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 즉, 동기화 요청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리턴받은 후, 이를 비교하여 가장 최근에 바뀐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파일 즉, 바뀐 날짜 정보가 최근인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로컬 컨텐츠 관리장치가 개인 PC(31)인지, 컨텐츠 서버(32)인지를 확인하게 된다.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requests content synchroniz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personal PC 31 and the content server 32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thereby corresponding personal PC 31. And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synchronizing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32, that is, the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of the content file requested to be synchronized, the content file including the most recently changed information is compared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is returned. It is checked whether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the recent content file is the personal PC 31 or the content server 32.

이후,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컨텐츠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가장 최근의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가 개인 PC(31)인 경우에는 개인 PC(31)의 컨텐츠 파일을 인출한 후에 이를 컨텐츠 서버(32)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동기화시키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컨텐츠 서버(32)의 컨텐츠 파일을 인출한 후에 이를 개인 PC(31)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개인 PC(31)와 컨텐츠 서버(32)에 의해 각각 관리되는 컨텐츠를 가장 최근의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로 동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managing the most recent content file is the personal PC 31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has a personal PC 31. After the content file is withdrawn,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32 to synchronize the content, and vice versa, after the content file of the content server 32 is withdrawn, the content file is transferred to the personal PC 31 for the content. By synchronizing,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can synchronize the content managed by the personal PC 31 and the content server 32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o the content including the latest information.

마지막으로, 원격 컨텐츠 전송 서비스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연동 가능한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를 전송 대상이 되는 시스템(MMS 서버, UMS 시스템, 메일 서버, 팩스 서버, 프린터 서버 등)에 맞게 변환한 후에 통합 메시지 서버(40)를 통해 전송해 주는 서비스로서, 이때 통합 메시지 서버(40)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의해 변환된 컨텐츠에 대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송, UMS 전송, 메일 전송, 팩스 전송, 프린터 전송 등을 처리하게 된다.Finally, the remote content delivery service is a system (MMS server, UMS system, mail server) to which the content managed by any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existing on the Internet that can be linked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o be transmitted. , A fax server, a printer server, etc.), and then, the servi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wherein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is an MMS for the content converted by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Transmission, UMS transmission, mail transmission, fax transmission, printer transmission and so on.

이러한 원격 컨텐츠 전송 동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원격 컨텐츠 전송을 위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한 가입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게 되며, 이러한 컨텐츠 전송 요청은 메시지 형태로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로 전달된다.In the remote content transmiss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3, a subscriber accessing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for remote content transmission first requests content transmission using his mobile terminal. Is delivered to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in the form of a message.

그러면,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전송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가 위치한 소스(source)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 및 해당되는 컨텐츠의 전송 대상이 되는 타겟(target)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The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analyzes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ubscriber station to determine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the original content to be transmitted is located and a target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ransmitted. You will see the system information.

그리고,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가 되는 개인 PC(31)나 컨텐츠 서버(32) 또는 웹 서버(33)와 연동하여 원본 컨텐츠를 인출한 후에 이를 타겟 시스템 예컨대, MMS 서버, UMS 시스템, 메일 서버, 팩스 서버, 프린터 서버 등에 맞는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personal PC 31, the content server 32, or the web server 33, which becomes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fter the content is withdrawn, it is converted into a form suitable for a target system such as an MMS server, a UMS system, a mail server, a fax server, a printer server, and the like.

이후,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타겟 시스템에 맞게 변환된 컨텐츠를 통합 메시지 서버(40)와 연동하여 대응하는 타겟 시스템에 전송해 줌으로써,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임의의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있는 원본 컨텐츠를 MMS 서버, UMS 시스템, 메일 서버, 팩스 서버, 프린터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ransmits the content converted according to the target system to the corresponding target system in association with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40, so that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provided through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The original content in any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an MMS server, a UMS system, a mail server, a fax server, a printer server, and the like.

여기서,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시 컨텐츠 전송 대상이 되는 타겟 시스템 정보 이외에 컨텐츠 전송 사실을 통보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원본 컨텐츠를 타겟 시스템에 변환하여 전송한 후에 해당되는 컨텐츠 전송 사실을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로 통보해 주게 된다.Here,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converts the original content to the target system when the remote content transmission gateway 2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to notify the content transmission in addition to the target system information that is the target of the content transmission. After the transmissio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한편으로, 상술한 원격 컨텐츠 검색, 저장, 동기화, 전송 등과 같은 원격 컨텐츠 관리 동작에 있어서,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20)는 가입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처리한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한 후에는 그 결과를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로 통보해 주게 되며, 또한 상술한 원격 컨텐츠 관리는 다른 서비스 가입자의 컨텐츠를 접근할 수 있는 공유 모드와 접근이 불가능한 비공유 모드로 나누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mentioned remote content management operation such as remote content search, storage, synchronization, transmission, etc.,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20 performs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process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ubscriber terminal, and as a result, Notify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and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ent management can be divided into a shared mode that can access the content of other service subscribers and a non-shared mode that is inacce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를 통해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또는 웹 서버 등 네트웍 상에 존재하는 시스템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 PC나 컨텐츠 서버 또는 웹 서버 등에 존재하는 각종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저장, 삭제, 동기화 및 전송하는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원격 컨텐츠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ystems existing on the network such as a personal PC, a content server, or a web server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through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thereby us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a personal PC, a content server, or a web server.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various contents existing, to store, delete, synchronize, and transmit the integrated and systematic remote contents management.

Claims (15)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한 원격 제어기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remote controller function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인터넷 상에서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관리 메시지를 해석하여 대응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원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that interoperates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various contents on the Internet, and performs remote management of content managed by a corresponding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by interpreting a remote content management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단말기는,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와 접속하여 원격 컨텐츠 관리를 위해 원격 컨텐츠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IP가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remot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for remote content management and mobile IP remote person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는, 인터넷 상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는 개인 PC, 파일 서버, 컨텐츠 서버, 웹 서버, 메일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is a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sonal PC, file server, content server, web server, mail server that manages the various contents owned on the Intern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는, 원격 컨텐츠 관리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서비스 활성/비활성 상태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원격 컨텐츠 관리 단말기인 가입자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manages whether to subscribe to a remote content management service and manages service activation / inactivity state information.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determines a type of a subscriber terminal that is a remote content management terminal and displays the content in a form that can be viewed from a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는, 통합 메시지 서버와 연동하여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에 대한 MMS 전송, UMS 전송, 메일 전송, 팩스 전송, 프린터 전송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시스템.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in conjunction with an integrated message server, handles MMS transmission, UMS transmission, mail transmission, fax transmission, and printer transmission for content managed by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원격 컨텐츠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과정과;Accessing a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using a remot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컨텐츠 관리 요청에 따라 관리 대상이 되는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요청된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a requested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in association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managed according to a remote content management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요청한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 관리 수행 결과를 응답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respon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content management to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원격 컨텐츠 중계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가입자 로그인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 후에 접속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리턴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Retrie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bscriber logi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remote content relay gateway, performing a login process, and returning a login processing result including access status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상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 분석 결과에 따라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디렉토리 정보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performing a search function for directory information or a specific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earch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렉토리 정보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는 단계와;The performing of the search function for the directory information or the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is searched over the Internet when it is determined as a content list search request in a specific directory as a result of analyzing a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nterlocking;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 검색을 요청한 후에 그 검색 결과로서 리턴받은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한 이동 단말기로 응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Requesting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search for a content list in a specific directory, and then 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which has requested the remote content search to return the content list in the specific directory returned as a result of the search. Remote management metho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렉토리 정보 또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특정 컨텐츠 오픈 요청으로 확인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검색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는 단계와;The performing of the search function for the directory information or the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interworking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which is a search target through the Internet, when the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message. ;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에 특정 컨텐츠 오픈을 요청한 후에 그 결과로서 리턴받은 특정 컨텐츠를 상기 원격 컨텐츠 검색 요청한 이동 단말기로 응답해 주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requesting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open a specific content and 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requesting the remote content search reques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storage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storage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상기 원격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저장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가 위치한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 및 해당되는 컨텐츠 저장 대상이 되는 타겟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remote content storage request message to identify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source content to be stored is located and target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상기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원본 컨텐츠를 인출한 후에 이를 타겟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retrieving the original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Internet and storing the extracted original content in the target cont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esul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동기화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상기 원격 컨텐츠 동기화 요청 메시지 분석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동기화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동기화 요청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리턴받는 단계와;Receiving a file name and changed date information of a content file for which synchronization is requested in synchronization with a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ynchronized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request message; 상기에서 리턴받은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이 되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를 가장 최근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comparing the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of the returned content file to synchronize the content of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ynchronized with the content including the most recent information. Way.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의 컨텐츠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컨텐츠 파일명 및 바뀐 날짜 정보를 비교하여 바뀐 날짜 정보가 최근인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와;Synchronizing the content of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comparing the content file name and the changed dat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the content file is the latest date information; 상기에서 확인된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로부터 컨텐츠 파일을 인출한 후에 이를 동기화 대상이 되는 다른 로컬 컨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해당되는 컨텐츠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fetching a content file from the identified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file to another local content management device to be synchronized to synchronize the corresponding conten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원격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와;The performing of the remote content management function may include analyzing a corresponding remote content transfer request message when a remote content transfer request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상기 원격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전송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가 위치한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 정보 및 해당되는 컨텐츠 전송 대상이 되는 타겟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remot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to identify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source content to be transmitted is located and target system information to be corresponding to content transmission; 상기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소스 컨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원본 컨텐츠를 인출한 후에 이를 타겟 시스템에 맞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And retrieving the original content by interworking with the source content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Internet, converting the original content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target system, and transmitt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컨텐츠 전송 대상되는 타겟 시스템은 MMS 서버, UMS 시스템, 메일 서버, 팩스 서버, 프린터 서버로서, 컨텐츠 전송시 통합 메시지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컨텐츠 원격 관리 방법.The target system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is an MMS server, a UMS system, a mail server, a fax server, and a printer server.
KR1020030036268A 2003-06-05 2003-06-05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xpired - Lifetime KR100570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268A KR100570504B1 (en) 2003-06-05 2003-06-05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268A KR100570504B1 (en) 2003-06-05 2003-06-05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949A true KR20040106949A (en) 2004-12-20
KR100570504B1 KR100570504B1 (en) 2006-04-13

Family

ID=3738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268A Expired - Lifetime KR100570504B1 (en) 2003-06-05 2003-06-05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504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09B1 (en) * 2004-11-05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ltimedia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Internet
KR100723708B1 (en) * 2005-10-26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ncoming call signal
KR100804671B1 (en) 2006-02-27 2008-02-20 엔에이치엔(주) Local terminal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response delay
KR100813741B1 (en) * 2006-08-25 2008-03-13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management i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838046B1 (en) 2007-06-13 2008-06-12 엔에이치엔(주) Local terminal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response delay
WO2009011525A3 (en) * 2007-07-14 2009-03-19 Logicplant Co Ltd A system that provides virtual secure connections between a terminal and a web server on a relay server-based web browsing environ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2093768A1 (en) * 2011-01-07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for
US8364005B2 (en) 2009-08-24 2013-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280970B1 (en) * 2006-03-21 2013-07-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dia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3169020A1 (en) * 2012-05-11 2013-11-14 (주)형아소프트 Integrat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359A (en) * 1999-11-04 2001-06-05 조영선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the remote managing function of file and data
KR20020003775A (en) * 2000-07-03 2002-01-15 조영선 A Document Management for Wireless Mobile Devices
KR20020005882A (en) * 2000-07-10 2002-01-18 박태형 The system and the method of remote controlling a computer and reading the data therein using the mobile phone
KR100351682B1 (en) * 2000-09-06 2002-09-05 주식회사 이씨오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comput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421182B1 (en) * 2001-05-26 200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Computer remote control using a mobile phone
KR20030026680A (en)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위트넷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mputer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record medium stored above method and terminal device having above record mediu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09B1 (en) * 2004-11-05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ltimedia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Internet
KR100723708B1 (en) * 2005-10-26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ncoming call signal
KR100804671B1 (en) 2006-02-27 2008-02-20 엔에이치엔(주) Local terminal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response delay
KR101280970B1 (en) * 2006-03-21 2013-07-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dia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13741B1 (en) * 2006-08-25 2008-03-13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management i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838046B1 (en) 2007-06-13 2008-06-12 엔에이치엔(주) Local terminal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response delay
WO2009011525A3 (en) * 2007-07-14 2009-03-19 Logicplant Co Ltd A system that provides virtual secure connections between a terminal and a web server on a relay server-based web browsing environ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521388B2 (en) 2009-08-24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8364005B2 (en) 2009-08-24 2013-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9992545B2 (en) 2009-08-24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9131206B2 (en) 2009-08-24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12093768A1 (en) * 2011-01-07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for
WO2013169020A1 (en) * 2012-05-11 2013-11-14 (주)형아소프트 Integrat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504B1 (en)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076B2 (en) System, computer produc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private communication portal from a wireless device
KR100966506B1 (en) Messaging Systems, Methods, Software, and Devices
US6925481B2 (en) Technique for enabling remote data access and manipulation from a pervasive device
CN101395838B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01711386B (en) Synchronizing email messages between an external and/or local email server and/or a wireless device
RU2504115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 book contact management
CN101277472B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of synchronization of blog contents
US8422642B2 (en) Message system for conducting message
KR20110008334A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converged address book
JP2009508235A (en) Data distribution method for mobile devices
EP1302056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ivate communication portal
JP5742318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onfigured to provide document notification
US20030200264A1 (en) Wireless email protocol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1955559A1 (en) Internet mail client system for mobile devices using remote computer systems and method thereof
CN108306966B (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device, system, terminal and server
CN101304429A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personal computer document through mobile terminal
KR100570504B1 (en) Personal Content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2984181A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CN101184123B (en) Method for obtaining linkman information in address list,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9094805B2 (en) Mobile messaging concierge
KR1019735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haring applications between multiple clients
KR1013851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ivate Information through Association with Memo Application in Wireless Internet Browser of Mobile Station
JP2005057706A (en)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resence management server, computer program and user terminal
EP19475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8137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management i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60711

Opposition date: 20060711

Opposition identifier: 102006000210

Registration number: 1005705040000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PO1301 Decision on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8

Patent event code: PO13011S01D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O070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7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103

Comment tex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20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