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67223A -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 Google Patents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223A
KR20040067223A KR1020030004239A KR20030004239A KR20040067223A KR 20040067223 A KR20040067223 A KR 20040067223A KR 1020030004239 A KR1020030004239 A KR 1020030004239A KR 20030004239 A KR20030004239 A KR 20030004239A KR 20040067223 A KR20040067223 A KR 2004006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transceiver
frequency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주
박승호
조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양산업
Priority to KR102003000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223A/en
Publication of KR2004006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223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가 자유공간을 통해 통신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도너 장치는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와 기준 신호 발생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출력을 송신하는 제2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송수신부; 상기 제2 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는 감쇠부; 상기 감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을 송신하는 제4 송수신부; 상기 제3 송수신부의 출력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쇠부의 감쇠율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자유공간 손실이 시스템적으로 보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wherein a donor device and a remote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free space, the donor device comprising: a first transceiver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A first frequency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a frequency of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ceiver to output a second signal;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signal;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frequency converter and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And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witch, wherein the remote device comprises: a third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An attenuator for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transceiver; A second frequency converte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in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frequency; A fourth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frequency converter; A detector detecting the reference signal at an output of the third transceiver; And a gain adjuster for adjusting the attenuation ratio of the attenuator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or.

Description

주파수 변환 중계기{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너(Donor) 장치와 리모트(Remote) 장치간 무선으로 링크된 주파수 변환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wirelessly linked between a donor device and a remote device.

최근 인간의 생활이 문화적 경제적 윤택해 지고 그에 따른 활동범위가 넓어지면서 인간이 이동을 하는 중 통신하는 것에 대한 필요와 욕구가 나타나게 되었다. 정보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새로운 신호처리 기술의 개발과 반도체 집적 기술의 향상은 경제적으로 통신비용을 낮추어 주었고, 또한 정보용량이 큰 고주파수대를 이용한 통신기술과 부품들이 획기적으로 연구되어, 100여년간 유선에만 그치던 통신사업이 이동통신사업으로 확대되게 하는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로 인해 인간의 생활은 더욱 편리해지고 정보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해 주고 있다.Recently, as human life becomes more culturally and economically and its range of activities is widened, the necessity and desire for communication while humans are moving has emerged. As we enter the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 of new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semiconductor integration technology have lowered the cost of communication economically, and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ponents using the high frequency band with large information capacity have been studied. It provided electricity for the telecom business, which was only wired, to expand into the mobile telecom business. As a result, human life becomes more convenient and the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quickly.

우리나라는 1988년 한국이동통신사에 의해 아날로그 방식의 셀룰라 이동전화 서비스가 실시된 이후로, 1997부터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css)방식을 이용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이동통신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이동전화 서비스는 현재까지 최근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해 현재 1500만명에 이르는 이동전화 가입자수를 보이고 있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단말기는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통신이 잘되지 않는 통신 사각 지대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상기 통신 사각 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파수 변환 중계기를 사용하고 있다.Since Korea's analog cell phone service was implemented by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s company in 1988,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css (CDMA) method has been provided since 1997. The mobile phone service has seen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to date, with the number of mobile subscribers reaching 15 million. With the increase in mobile subscribers, terminals are being used anywhere in the country. As a result, communication blind spots, which are not well communicated, have started to appear, and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s used as a method for eliminating the communication blind spots.

주파수 변환 중계기를 설치하려면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 사이의 링크용 안테나를 가급적 가시선(Line of sight) 이내로 하고, 자유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다 먼 지역까지 리모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 때, 자유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링크용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시그널 제너레이터(Signal Generator)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Spectrum Analyzer)를 사용하여 자유 공간 손실을 측정한 다음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의 이득(Gain)을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시그널 제너레이터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의 구입 비용이 높아서 초기 비용이 높아지고, 유지 비용도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주파수 변환 중계기를 설치할 때마다 시그널 제너레이터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를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In order to install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the link antenna between the donor device and the remote device should be kept within the line of sight as much as possible, and the remote device can be installed to a farther area by minimizing the loss of free space. At this time, in order to install a link antenna while minimizing free space loss, a free space loss is conventionally measured by using a signal generator and a spectrum analyzer, and then a donor based on the measured data. You are adjusting the gain of the device and the remote device. In this way, the cost of purchasing signal generators and spectrum analyzers is high, leading to higher initial costs and higher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every time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s installe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signal generator and a spectrum analyz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유공간 손실을 시스템적으로 보상해주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that systematically compensates for free space los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 도너 장치 113 : 리모트 장치111: donor device 113: remote device

121,123,161 & 163 : 송수신부 131,132, 181 & 182 : 전치 증폭기121,123,161 & 163: Transceiver 131,132, 181 & 182: Preamplifier

141 : RF 스위치 151 : 기준 신호 발생부141: RF switch 151: reference signal generator

153,191 : 검출부 155 : 기준 신호 조정부153,191: detector 155: reference signal adjuster

171,172 : 감쇠부 193 : 이득 조정부171, 172 attenuation section 193 gain adjustment section

135,136,185 & 186 : 메인 증폭기135,136,185 & 186: Main Amplifi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가 자유공간을 통해 통신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도너 장치는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와 기준 신호 발생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출력을 송신하는 제2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송수신부; 상기 제2 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는 감쇠부; 상기 감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을 송신하는 제4 송수신부; 상기 제3 송수신부의 출력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쇠부의 감쇠율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를 구비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를 제공한다.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n which a donor device and a remote device communicate through free space, the donor device comprising: a first trans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A first frequency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a frequency of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ceiver to output a second signal;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signal;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frequency converter and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And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witch, wherein the remote device comprises: a third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An attenuator for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transceiver; A second frequency converte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in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frequency; A fourth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frequency converter; A detector detecting the reference signal at an output of the third transceiver; And a gai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ttenuation ratio of the attenu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바람직하기는, 상기 도너 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출력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다른 검출부; 및 상기 다른 검출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도록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를 조정하는 기준 신호 조정부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donor device includes anoth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reference signal at the output of the switch; And a reference signal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unit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is constant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other detecting unit.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스위치는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빠르게 출력시키는 고주파 스위치이다.Preferably, the switch is a high frequency switch for quickly outputting the input high frequency signal.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송수신부들은 각각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first to fourth transceivers each include a duplexer for separating an input signal and a transmission signal.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기준 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기준 신호와 상기 제3 송수신부의 출력에서 검출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자유공간에서 발생하는 자유공간 손실을 계산하여 출력한다.Preferably, the detector stores a reference signal output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compares the stored reference signal with a reference signal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third transceiver, and in the free space by the comparison. Calculate and output the free space loss that occurs.

바람직하기는, 상기 도너 장치는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감쇠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donor device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remote device includes a high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ttenuator.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자유공간 손실이 시스템적으로 보상된다.The free space loss is systematically compens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 변환 중계기(101)는 도너 장치(111)와 리모트 장치(113)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101 includes a donor device 111 and a remote device 113.

도너 장치(111)는 제1 및 제2 송수신부들(121,123), 전치 증폭기들(131,132), 주파수 변환부들(145,146), 메인 증폭기들(135,136), 스위치(141), 기준 신호 발생부(151), 검출부(153) 및 기준 신호 조정부(155)를 구비한다.The donor device 111 includes first and second transceivers 121 and 123, preamps 131 and 132, frequency converters 145 and 146, main amplifiers 135 and 136, a switch 141, and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151. And a detector 153 and a reference signal adjuster 155.

제1 송수신부(121)는 안테나(ANT1)를 통해 입력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메인 증폭기(136)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서 안테나(ANT1)로 송신한다. 제1 송수신부(121)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first transceiver 121 receives the first signal input through the antenna ANT1,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amplifier 136,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ntenna ANT1. The first transceiver 121 includes a duplexer that separates and outputs an input received signal and a transmitted signal.

전치 증폭기(131)는 제1 송수신부(121)로부터 출력되는 제1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면서 그 전력을 증폭한다. 즉, 전치 증폭기(131)는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를 구비한다. 제1 송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제1 신호는 자유공간을 통해서 송신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노이즈가 많이 유입된다. 때문에 도너 장치(111)의 초기 증폭단에서 저잡음 증폭기(131)를 사용하여 증폭기의 첫 째단 노이즈 계수를 줄여 다음단의 메인 증폭기(135)에서 노이즈가 증폭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메인 증폭기(135)에서 노이즈가 정보신호와 같이 증폭되어지므로 S/N(Signal to Noise)비가 개선되어지지 않는다.The preamplifier 131 amplifies the power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ransceiver 121. In other words, the preamplifier 131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LNA). Since the first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121 i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free space, a lot of noise is introduced. Therefore, it is best to reduce the noise coefficient of the first stage of the amplifier by using the low noise amplifier 131 in the initial amplifier stage of the donor device 111 so that the noise is not amplified in the main amplifier 135 of the next stage. Otherwise, since the noise is amplified in the main amplifier 135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ignal, the S / N ratio is not improved.

주파수 변환부(145)는 전치 증폭기(131)에서 출력되는 제1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제2 신호로써 출력한다. 주파수 변환부(145)는 믹서(Mixer)와 중간주파 발생기를 구비하여 주파수를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부(145)는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requency converter 145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131 and outputs it as a second signal. The frequency converter 145 includes a mixer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generator to convert frequencies. The frequency converter 145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메인 증폭기(135)는 주파수 변환부(145)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The main amplifier 135 includes a high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of the second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converter 145.

기준 신호 발생부(151)는 기준 신호(Ref1)를 발생한다. 기준 신호(Ref1)의 주파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101)의 링크용 주파수 중 밴드 내의 중앙 주파수를 사용한다. 기준 신호(Ref1)의 크기는 1[mW] 즉, 0[dBm]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51 generates the reference signal Ref1.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uses the center frequency in the band among the link frequencies of th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101. It is preferable to se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to 1 [mW], that is, 0 [dBm].

스위치(141)는 메인 증폭기(135)와 기준 신호 발생부(151) 중 하나를 선택한다. 스위치(141)는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빠르게 출력시키는 고주파 스위치를 구비한다. 도너 장치(111)는 스위치(141)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switch 141 selects one of the main amplifier 135 and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51. The switch 141 includes a high frequency switch for quickly outputting an input high frequency signal. The donor device 111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switch 141.

검출부(153)는 스위치(14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기준 신호(Ref1)를 검출한다.The detector 153 detects the reference signal Ref1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141.

기준 신호 조정부(155)는 검출부(153)의 출력에 응답하여 기준 신호(Ref1)의 크기가 일정하게 발생되도록 기준 신호 발생부(151)를 조정한다.The reference signal adjuster 155 adjusts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51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is constant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detector 153.

제2 송수신부(123)는 스위치(141)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ANT2)를 통해서 자유공간으로 송신하고, 자유공간을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기(132)로 전송한다. 제2 송수신부(123)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second transceiver 123 transmits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 141 to the free space through the antenna ANT2, and transmits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ree space to the preamplifier 132. The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123 includes a duplexer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an input recep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signal.

전치 증폭기(132)는 제2 송수신부(123)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면서 그 전력을 증폭한다. 전치 증폭기(132)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한다.The preamplifier 132 amplifies the power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123. Preamplifier 132 has a low noise amplifier.

주파수 변환부(146)는 전치 증폭기(13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주파수 변환부(146)는 믹서와 중간주파 발생기를 구비하여 주파수를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부(146)는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requency converter 146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132, converts the frequency in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signal, and outputs the same frequency. The frequency converter 146 includes a mixer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generator to convert frequencies. The frequency converter 146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메인 증폭기(136)는 주파수 변환부(146)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켜서 제1 송수신부(121)로 전송하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The main amplifier 136 includes a high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converter 146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power to the first transceiver 121.

도 1을 참조하면, 리모트 장치(113)는 제3 및 제4 송수신부들(161,163), 감쇠부들(171,172), 전치 증폭기들(181,182), 주파수 변환부들(175,176), 메인 증폭기들(185,186), 검출부(191) 및 이득 조정부(193)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mote device 113 includes third and fourth transceivers 161 and 163, attenuators 171 and 172, preamps 181 and 182, frequency converters 175 and 176, main amplifiers 185 and 186, The detector 191 and the gain adjuster 193 are provided.

제3 송수신부(161)는 자유공간을 통해 안테나(ANT3)에 입력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메인 증폭기(186)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ANT3)를 통해 송신한다. 제3 송수신부(161)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third transceiver 161 receives the second signal input to the antenna ANT3 through the free space, and transmits a signal output through the main amplifier 186 through the antenna ANT3. The third transceiver 161 includes a duplexer that separates and outputs an input received signal and a transmitted signal.

전치 증폭기(181)는 제3 송수신부(161)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신호의 노이즈를감소시키면서 그 전력을 증폭한다. 즉, 전치 증폭기(181)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한다. 제3 송수신부(161)에 수신되는 제2 신호는 자유공간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노이즈가 많이 유입된다. 때문에 리모트 장치(113)의 초기 증폭단에서 저잡음 증폭기(181)를 사용하여 증폭기의 첫 째단 노이즈 계수를 줄여 다음단의 메인 증폭기(185)에서 노이즈가 증폭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메인 증폭기(185)에서 노이즈가 정보신호와 같이 증폭되어지므로 S/N비가 개선되어지지 않는다.The preamplifier 181 amplifies the power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second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transceiver 161. In other words, the preamplifier 181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Since the second signal received by the third transceiver 161 i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free space, a lot of noise is introduced. Therefore, it is best to use the low noise amplifier 181 in the initial amplifier stage of the remote device 113 to reduce the noise coefficient of the first stage of the amplifier so that the noise is not amplified in the main amplifier 185 of the next stage. Otherwise, since the noise is amplified in the main amplifier 185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ignal, the S / N ratio is not improved.

감쇠부(171)는 전치 증폭기(181)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여 출력한다.The attenuator 171 reduces the amplitude of the second signal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181 and outputs it.

주파수 변환부(175)는 감쇠부(171)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의 주파수를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제1 신호로써 출력한다. 주파수 변환부(175)는 믹서(Mixer)와 중간주파 발생기를 구비하여 주파수를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부(175)는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requency converter 175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171 in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signal and outputs the first signal. The frequency converter 175 includes a mixer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generator to convert the frequency. The frequency converter 175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메인 증폭기(185)는 주파수 변환부(175)에서 출력되는 제1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The main amplifier 185 includes a high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of th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converter 175.

제4 송수신부(163)는 메인 증폭기(185)의 출력을 안테나(ANT4)를 통해서 상기 자유공간으로 송신한다. 제4 송수신부(163)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fourth transceiver 163 transmits the output of the main amplifier 185 to the free space through the antenna ANT4. The fourth transceiver 163 includes a duplexer that separates and outputs an input received signal and a transmitted signal.

검출부(191)는 제3 송수신부(1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기준 신호(Ref2)를 검출한다. 검출부(191)는 기준 신호 발생부(151)에서 출력되는 기준 신호(Ref1)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기준 신호(Ref1)와 송수신부(161)의 출력에서 검출된 기준 신호(Ref2)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자유공간에서 발생하는 자유공간 손실을 계산한다.The detector 191 detects the reference signal Ref2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transceiver 161. The detector 191 stores the reference signal Ref1 output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51, compares the stored reference signal Ref1 with the reference signal Ref2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transceiver 161. The free space loss occurring in the free space is calculated by the comparison.

이득 조정부(193)는 검출부(191)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감쇠기들(171,172)의 감쇠율을 조정한다.The gain adjuster 193 adjusts the attenuation ratios of the attenuators 171 and 172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or 191.

제4 송수신부(163)는 메인 증폭기(18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ANT4)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 송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전치 증폭기(182)로 전송한다. 제4 송수신부(163)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fourth transceiver 163 transmi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main amplifier 185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antenna ANT4,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transmits the preamplifier 182. To send. The fourth transceiver 163 includes a duplexer that separates an input received signal and a transmitted signal.

전치 증폭기(182)는 제4 송수신부(163)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면서 그 전력을 증폭한다. 전치 증폭기(182)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한다.The preamplifier 182 amplifies the power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ourth transceiver 163. Preamplifier 182 has a low noise amplifier.

주파수 변환부(176)는 전치 증폭기(18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상기 제2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주파수 변환부(176)는 믹서와 중간주파 발생기를 구비하여 주파수를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부(176)는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requency converter 176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182,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to the same frequency as the second signal, and outputs the same frequency. The frequency converter 176 includes a mixer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generator to convert frequencies. The frequency converter 176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주파수 변환부(17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감쇠부(172)에 의해 감쇠된 다음 메인 증폭기(186)에서 그 전력이 증폭되어 제3 송수신부(161)로 전송된다. 메인 증폭기(186)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converter 176 is attenuated by the attenuator 172 and then amplified by the main amplifier 186 to be transmitted to the third transceiver 161. The main amplifier 186 has a high power amplifier.

도너 장치(111)와 리모트 장치(113)는 각각 입력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는 대역통과필터들(미도시)을 구비하기도 한다.The donor device 111 and the remote device 113 may each include band pass filters (not shown) for filtering the input signal.

주파수 변환 중계기(101)가 설치되는 초기에 도너 장치(111)는 기준 신호(Ref1)를 발생하여 제2 송수신부(123)를 통해 송신하면 리모트 장치(113)는 이를 수신하여 자유공간 손실을 알아낸다. 그런 다음 리모트 장치(113)의 이득을 조정하여 통화 품질을 최대한 높이도록 감쇠기(171)를 조정한다. 이에 더하여 리모트 장치(113)는 상기 조정된 신호를 도너 장치(111)로 송신하여 도너 장치(111)로 하여금 상기 자유공간 손실을 최대로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101 is installed, the donor device 111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Ref1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123, and the remote device 113 receives the free space loss to know the free space loss. Serve The attenuator 171 is then adjusted to maximize the call quality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remote device 113. In addition, the remote device 113 may transmit the adjusted signal to the donor device 111 so that the donor device 111 generates and transmits a signal that maximizes the free space loss.

도너 장치(111)는 통신 중이라도 필요할 경우에는 기준 신호(Ref1)를 발생하고, 그에 따라 리모트 장치(113)는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도너 장치(111)와 리모트 장치(113)는 언제든지 자유공간 손실을 최대한 보상하도록 시스템을 유지하며, 그에 따라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The donor device 111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Ref1 if necessary even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remote device 113 adjusts the gain accordingly so that the donor device 111 and the remote device 113 can maximize the free space loss at any time. Maintain the system to compensate, thus improving call quality.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너 장치(111)는 기준 신호(Ref1)를 발생하여 자유공간을 통해 송신하고, 리모트 장치(113)는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자유공간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자유공간 손실을 보상해줌으로써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자유공간 손실을 시스템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자유공간 손실을 보상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그에 따라 별도의 장비를 운반해야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유지 비용도 절감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nor device 111 generates and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Ref1 through the free space, and the remote device 113 receives the free signal by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The loss occurring in space can be recognized, and the call quality can be improved by compensating for the free space loss. In addition, a method of compensating free space loss by systematically compensating the free space loss is simple and easy. Thi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separate equipment and reduces maintenance costs.

Claims (6)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가 자유공간을 통해 통신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에 있어서,In th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n which the donor device and the remote device communicate through free space, 상기 도너 장치는The donor device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A first transceiver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 변환부;A first frequency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a frequency of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ceiver to output a second signal;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A referenc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signal; 상기 제1 주파수 변환부와 기준 신호 발생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및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frequency converter and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And 상기 스위치의 출력을 송신하는 제2 송수신부를 구비하고,And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witch, 상기 리모트 장치는The remote device 상기 자유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송수신부;A third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ree space; 상기 제2 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는 감쇠부;An attenuator for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transceiver; 상기 감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주파수 변환부;A second frequency converte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in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frequency; 상기 제2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을 송신하는 제4 송수신부;A fourth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frequency converter; 상기 제3 송수신부의 출력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A detector detecting the reference signal at an output of the third transceiver; And 상기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쇠부의 감쇠율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And a gai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ttenuation ratio of the attenuation unit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장치는The donor device of claim 1, wherein 상기 스위치의 출력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다른 검출부; 및Another detector for detecting the reference signal at an output of the switch; And 상기 다른 검출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도록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를 조정하는 기준 신호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And a reference signal adjuster for adjusting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is constant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other det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빠르게 출력시키는 고주파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Th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is a high frequency switch for quickly outputting an input high frequency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송수신부들은 각각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Th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o fourth transceivers each include a duplexer for separating an input signal and a transmission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기준 신호와 상기 제3 송수신부의 출력에서 검출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자유공간에서 발생하는 자유공간 손실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or stores a reference signal output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compares the stored reference signal with a reference signal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third transceiver, and compares the free space by the comparison.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free space loss generated in the outpu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장치는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감쇠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중계기.2. The frequency converter repeater of claim 1, wherein the donor device comprises a low noise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remote device comprises a high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ttenuator. .
KR1020030004239A 2003-01-22 2003-01-22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Abandoned KR200400672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39A KR20040067223A (en) 2003-01-22 2003-01-22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39A KR20040067223A (en) 2003-01-22 2003-01-22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23A true KR20040067223A (en) 2004-07-30

Family

ID=3735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239A Abandoned KR20040067223A (en) 2003-01-22 2003-01-22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2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19B1 (en) 2006-11-21 2009-02-13 텐테크놀로지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with mobile telephony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19B1 (en) 2006-11-21 2009-02-13 텐테크놀로지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with mobile telephony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7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s to remote cellular antennas
US612208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mall base station and equipment for its system
US86939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easuring uplink traffic in signal repeating systems
US7486933B2 (en) Multi-path interference removing for wireless rela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ing by same channel frequency
US20030143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isy-chained optical repeaters
UA44762C2 (en) RADIO TELEPHONE RECEIVING A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RF SIGNAL
KR20010050297A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US20020009982A1 (en) Antenna sharing apparatus of base station in W-CDMA system
CN102761382A (en) Method, system and correlated device for determining isolation between antennae
KR100385611B1 (en) Wireless intercha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51560B1 (en) Apparatus for rejecting the outer interference signal in cdma terminal equipmeut
KR20100043224A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US6038460A (en) Receiver for an RF signal boos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267343B1 (en) External interference cance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dma terminal
KR100251685B1 (en) Low loss repeater with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P3300552B2 (en) Repeater using optical cable
JP3742372B2 (en) In-build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US6545455B2 (en) Upstream channel overload detection circuit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20040067223A (en) Frequency conversion relay system
KR20040067224A (en) Distribution relay system for in-building
JP2004147009A (en) Relay amplifying device
US65297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mplifying a cellular radio signal
JPH11122190A (en)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KR100377935B1 (en) Sysyem for monitoring adjacent channel power in a wireless base station
JP2008236370A (e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3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