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2300A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300A
KR20040052300A KR1020020080147A KR20020080147A KR20040052300A KR 20040052300 A KR20040052300 A KR 20040052300A KR 1020020080147 A KR1020020080147 A KR 1020020080147A KR 20020080147 A KR20020080147 A KR 20020080147A KR 20040052300 A KR20040052300 A KR 2004005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isitor
password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성원
서창옥
Original Assignee
차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원 filed Critical 차성원
Priority to KR102002008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2300A/en
Publication of KR2004005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300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시 도어벨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벨센서와,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부와, 방문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도어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어벨감지신호 발생시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 전송하며, 방문객과 전화번호 가입자 간에 방문객 신분 확인을 위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통화과정에서 방문객의 신분 확인 후 발생되는 도어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비밀번호 수신시 저장중인 비밀번호와 비교하며 두 비밀번호가 일치할 때 도어개폐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Door opening and closing door sensor including a door bell sensor for generating a door bell detection signal when the door bell is pressed, a memory for storing a password and a user's terminal number, 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visitor.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when the door bell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dialing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to form a call path, and transmits a pictur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rough the formed call path, between the visitor and the subscriber The process of conducting a call to confirm the visitor's identity, receiving a password to open the door generated after confirming the visitor's identity in the call process, comparing the stored password when receiving the passwor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en the two passwords match. Control is made by opening the door.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Door opener and metho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 RELEASE DOOR}

본 발명은 도어개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위치에서 방문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and method that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identifying the visitor's identity at a remote location.

일반적으로 댁내의 도어는 기계식 및 전자식 개폐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식 개폐장치는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며, 전자식 개폐장치는 버튼 또는 지문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기계식 및 전자식을 혼합한 혼합형 개폐장치도 있다.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열쇠 등을 이용하여 개폐하거나 내부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In general, the door of the home is composed of a mechanical and 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mechanical switching device opens and closes the door using a key, and the electronic switching device opens and closes the door using a button or a fingerprint. There is also a hybrid switchgear in which the above mechanical and electronic are mixe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designed to be opened or closed by using a key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어개폐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댁내에 사람이 있거나 또는 열쇠등을 항상 지참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친지가 방문하는 경우, 댁내에 사람이 없으면 상기 도어를 열 수 없어 방문객은 사람이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대의 가정은 부부가 맞벌이를 하게 되어 집을 비우는 가정들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경우 아이들은 열쇠를 가지고 다니거나 열쇠를 다른 장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열쇠를 잃어버리는 경우 아이들은 집에 들어갈 수 없게 되어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린 아이가 열쇠를 가지고 다니는 경우, 제3자에 의한 도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n the door, there must be a person or a key at all times in the house. However, when a relative visi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itor has to wait until a person comes because the door cannot be opened without a person in the house. Modern homes also tend to have a growing number of families who are leaving their homes as couples earn double income. In this case, the children should carry the key or keep the key in another place. In this case, if the child loses the key, the children will not be able to enter the house, which may cause another problem. And if a young child carries a key, a third party may have theft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in a remotely spaced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댁내 방문시 원격 이격된 위치에서 방문객의 신분을 확인한 후 원격 제어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remotely controlling the identity of a visitor at a remotely spaced location during a home vis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는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시 도어벨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벨센서와,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도어벨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번호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며, 상기 단말기에서 응답시 상기 방문객과 단말기 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어열림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단말기번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응답시 응답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통화로형성제어신호 발생시 상기 단말기와 방문객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도어열림제어신호에 의해 도어를 여는 도어개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bell sensor for generating a door bell detection signal when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door bell, a memory for storing the password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and the door Accessing and outputting a terminal number stored in the memory when a bell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forming a call path between the visitor and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sponds, and a password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a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Compares and compares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a door ope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terminal number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terminal, and generates the call path form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 interface unit for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visit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n a door by the door open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또한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시 도어벨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벨센서와,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부와, 방문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도어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이, 상기 도어벨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 전송하며 상기 방문객과 전화번호 가입자 간에 방문객 신분 확인을 위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과정에서 방문객의 신분 확인 후 발생되는 도어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번호 수신시 저장중인 비밀번호와 비교하며 상기 두 비밀번호가 일치할 때 도어개폐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여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has a door bell sensor for generating a door bell detection signal upon detecting the door bell being pressed, a memory for storing a password and a terminal number of the user, a door opening / closing part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visitor. The control method of the switchgear, dialing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doorbell detection signal occurs, and forming a call path, and transmits the picture of the visitor taken by the camera through the formed call path Performing a call to confirm the visitor's identity between the subscriber and the telephone number subscriber, receiving a password for opening a door generated after confirming the visitor's identity in the call process, and comparing the stor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when two passwords match It is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 절차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 절차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d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도어벨의 입력시간, 다이알링 횟수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doorbell input time, dialing frequency, etc.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lso by their modifications.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문객 신분을 확인하여 도어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한다. 메모리113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도어개폐장치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들을 구비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들을 저장하는 버퍼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13의 버퍼들은 설정시간을 카운트하거나 다이알링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버퍼, 도어벨의 멜로디들을 저장하는 멜로디버퍼, 도어를 열수 있는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비밀번호버퍼, 방문객의 사진을 저장하기 위한 사진버퍼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키입력부115는 댁내에 위치되며, 도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키, 인터폰키 및 다이알링을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 the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performance of a function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by confirming the visitor ident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13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stores operation program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in particular, stores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do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has buffers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also has buffers for s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s of the memory 113 may include a timer buffer for counting a set time or a number of dialing times, a melody buffer for storing melody of the doorbell, a password buffer for storing a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and storing a picture of the visitor. It may be provided with a photo buffer for. The first key input unit 115 is located in the home, and includes a key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 interphone key, and keys for dialing.

도어벨센서121은 도어 외부에 설치되며, 도어벨이 눌려짐을 감지하여 상기제어부111에 통보한다. 도어센서123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1에 통보한다. 도어개폐부125는 상기 제어부111의 도어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제2키입력부127은 상기 도어 외부에 설치되며, 도어벨 키등을 구비한다.The door bell sensor 121 is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detects that the door bell is pressed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11. The door sensor 123 is installed in the door and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1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125 perform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1. The second key input unit 127 is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includes a door bell key.

카메라131은 도어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벨키 발생시 구동되어 방문객을 촬영한다. 영상처리부133은 상기 카메라131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35의 크기에 맞도록 조정하며, 상기 제어부111에서 촬영 명령 발생시 상기 카메라13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정지화상으로 부호화하여 제어부111에 출력한다. 표시부135는 상기 영상처리부13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한다.The camera 131 is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is driven when the door bell key is generated to photograph the visitor. The image processor 133 adjusts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1 to fit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35.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generated in the controller 111, the image processor encod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131 as a still imag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11. The display unit 135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33.

마이크141 및 스피커143은 도어 외부에 설치된다. 오디오처리부145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상기 마이크141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라인인터페이스부147에 출력하거나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143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icrophone 141 and the speaker 143 are installed outside the door. The audio processor 145 process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1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line interface unit 147 or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line interface unit 147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speaker 143. do.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전화라인인터페이스 및 인터폰 라인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14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인터폰 및 전화라인과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화라인의 톤신호 등을 검출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11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댁내에 설치된 콘솔박스에서 전화기능을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제어부111에서 출력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기 위한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발생기(DTMFgenerator), 수신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DTMF수신기(DTMF receiver), 수신되는 톤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톤검출기(tone detector)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댁내 전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원격 이격된 사람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면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휴대전화기 모듈,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line interface unit 147 functions as a telephone line interface and an interphone line interface. The line interface unit 147 functions to interface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processor 145 with the interphone and telephone line. After converting to the transmission to the control unit 1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line interface unit 147 includes all the telephone functions in the console box installed in the home. The line interface unit 147 is a DTMF (Dual Tone Multi-Frequency) generator (DTMFgenerator) for dialing the telephone number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1, DTMF receiver for converting the received DTMF signal into digital data, DTMF receiver Tone detectors for detecting the tone signal is provided. Accordingly, the line interface unit 147 may be a home telephone. In addition, the line interface unit 147 may have an interface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ly spaced person. Accordingly, the line interface unit 147 may be replaced with a mobile phone module or a network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음성합성부151은 도어개폐에 따른 음성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억세스하여 음성신호로 처리한 후 상기 오디오처리부145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합성부151은 음성메모리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voice synthesizer 151 stores vo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accesses the voic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to process th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audio processor 145. The voice synthesizer 151 may be implemented as a voice memory.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는 방문객을 원격 위치에서 확인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댁내에 사람이 없거나 또는 어린 아이들만 있어 도어를 함부로 열어줄수 없는 상황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어개폐장치에 부재중모드를 세트한다. 상기 부재중 모드가 세트된 경우,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원격 제어되어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identifying the visitor at a remote position. To this end, if there are no people in the home or there are only young children, the door can not be opened, the user sets the missed mod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en the absent mode is se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remotely controll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상기 부재중모드가 세트된 상태에서 방문객이 제2키입력부127 상의 도어벨을 누르면 도어벨센서127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1에 통보하며, 이때부터 상기 제어부111은 시간을 카운트하며, 상기 도어벨이 설정시간이 경과되어서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며, 상기 전화번호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오디오처리부145 및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제어하여 음성 통화로를 형성한다. 또한 카메라131을 제어하여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한 후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통해 전화번호 가입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문객을 정지화상으로 촬영하여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전송율이 높은 전송라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영상 화면으로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로를 형성할 때 사진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11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방문객의 신분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가 없는 일반전화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visitor presses the doorbell on the second key input unit 127 while the missed mode is set, the doorbell sensor 127 detects this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11. From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1 counts the time, and the doorbell is set. When the time elapses, the controller 111 dials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113. When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responds, the controller 111 controls the audio processor 145 and the line interface 147 to establish a voice call path. Form. In addition, the camera 131 controls the camera 131 to take a picture of the visitor and transmits the picture to the subscriber through the line interface unit 14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visitor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as a still image. However, when the transmission line having a high transmission rate is used, the visitor may also be transmitted as a video screen.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a picture is transmitted together when forming a call path. Therefore,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111 may be a mobile phone having a display unit. However, if the visitor's status is not visually confirmed, a general telephone without a display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방문객과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방문객의 신분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통화중인 전화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비밀번호를 다이알링한다. 그러면 상기 비밀번호는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며, 제어부111은 상기 수신되는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113의 비밀번호버퍼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한다. 이때 두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도어개폐부125를 제어하여 도어를 연다. 따라서 댁내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원격 이격된 전화번호의 가입자는 전화를 통해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한 후 방문객의 댁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When the visitor's identity is confirmed in the state of performing a call function with the visito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dials a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by using the telephone in the call. Then, the password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rough the line interface unit 147, and the control unit 111 compares the received password with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buffer of the memory 113. At this time, if the two passwords match, the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125 to open the door. Therefore, subscribers of remotely-divided telephone numbers in the absence of people in the home can check the user's identity through the telephone and then open the door to enter the visitor's hom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벨센서121은 상기 제2키입력부127에 위치된 도어벨이 눌려질 때 온되는 센서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벨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벨센서121은 상기 도어벨의 눌림신호를 상기 제어부111에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211단계에서 상기 도어벨이 눌려졌음을 감지하고, 메모리113의 멜로디버퍼에 저장된 도어벨 오디오신호를 억세스한 후 오디오처리부145에 출력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145는 상기 도어벨 멜로디를 스피커134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도어벨 멜로디는 인터폰149를 통해 댁내에서도 발생된다. 이때 댁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 인터폰149을 동작시키면 상기 라인인터페이스, 오디오처리부145 및 마이크141 및 스피커143으로 이루어지는 통화로가 형성되어 방문객과 댁내의 사람 간에 음성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댁내의 사람이 인터폰을 통해 도어개폐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이를 감지하고 도어개폐부125에 도어락(door lock)을 해제하기 위한 도어열림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도어개폐부125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해제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면 도어센서123은 이를 상기 제어부111에 상기 도어의 열림을 통보한다. 또한 상기 댁내의 사람은 수동으로 상기 도어개폐부12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상기 도어센서123은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1에 통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하면, 213단계에서 도어센서123의 상태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센서123에서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절차를 종료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oorbell sensor 121 is a sensor that is turned on when the doorbell located at the second key input unit 127 is pressed. Therefore, when the door bell is pressed, the door bell sensor 121 notifies the control unit 111 of the pressed signal of the door bell. Then,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at the doorbell has been pressed in step 211, accesses the doorbell audio signal stored in the melody buffer of the memory 113, and outputs it to the audio processor 145. The audio processor 145 outputs the doorbell melody. Output through speaker 134. In addition, the doorbell melody is generated in the home via the interphone 149. At this time, if there is a person in the home, when the interphone 149 is operated, a call path consisting of the line interface, the audio processor 145, the microphone 141, and the speaker 143 is formed to enable a voice call between the visitor and the person in the home. At this time, if a person in the home generates a door open / close signal through an interphone,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and generates a door open signal for releasing a door lock to the door open / close unit 125. T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125 releases the door lock stat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sensor 123 notifies the control part 111 of the opening of the door. In addition, the person in the home can manually unloc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125. In this case, the door sensor 123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11 when the door is opened.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e pressing of the door bell, the control unit 111 checks the state of the door sensor 123 in step 213. When the door sensor 123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in step 213 and ends the procedure.

그러나 제1설정시간 내에 상기 도어센서123으로부터 도어열림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213단계 및 215단계를 수행하면서 이를 감지하고, 다음 도어벨의 입력을 대기힌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시간은 댁내에 사람이 있을 경우 상기 도어벨이 울린 후 도어를 개폐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한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초 정도로 가정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설정시간은 최초 도어벨이 울린 시점에서 카운트되는 시간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도어벨이 울리면, 상기 제어부111은 219단계에서 부재중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부재중 모드는 원격 이격된 위치에서 방문객을 확인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부재중 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211단계로 되돌아간다.However, if the door ope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door sensor 123 within the first set time,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by performing steps 213 and 215 and waits for the next doorbell input. Here, the first setting tim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to open and close the door after the door bell rings when there is a person in the ho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o be about 30 seconds. In addition, it is assumed here that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counted at the time when the first doorbell rings. If the doorbell rings after the first preset time elapses, the controller 111 determines whether the missed mode is set in step 219. The missed mode refers to a mod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checking a visitor at a remotely spaced position. If the missed mode is not set, the controller 111 returns to step 211.

그러나 상기 219단계에서 부재중모드가 설정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22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21의 전화번호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상기 제어부111에서 출력되는 전화번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전화라인 상으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다이알링을 수행한 후 설정된 전화번호의 가입자로부터 응답을 기다린다. 이때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응답신호는 링백톤(ringback tone)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링백톤이 수신되면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은 이를 제어부111에 알린다. 따라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223단계에서 응답을 감지하고 227단계에서 통화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223단계에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25단계 및 223단계를 수행하면서 재 다이알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다이알링한 후 응답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설정된 횟수의 재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회라고 가정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메모리113에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1은 221단계-225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다른 전화번호들을 번갈아가며 억세스하여 다이알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횟수로 다이알링을 수행한 이후에도 응답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어개폐 제어 동작의 절차를 종료한다.However, if it is detected in step 219 that the missed mode is set, the controller 111 accesses and outputs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number buffer of the memory 121 in step 221. Then, the line interface unit 147 converts the telephone number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1 into a DTMF signal and outputs the telephone number on the telephone lin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1 waits for a response from the subscriber of the set phone number after performing the dialing. In this case,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elephone line may be a ringback tone. When the ringback tone is received, the line interface unit 147 notifies the controller 111 of this. Therefore, whe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line interface unit 147,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e response in step 223 and forms a call path in step 227. However,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in step 223, the controller performs redialing while performing steps 225 and 223. That is, if there is no response after dialing the preset phone number, the controller 111 performs the re-dialing operation of the set number of tim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o be three times.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in the memory 113, the control unit 111 may alternately dial other telephone numbers while performing steps 221 to 225 repeatedly. If there is no response even after the dialing is performed the 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ler 111 detects this in step 225 and ends the procedure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operation.

이때 상기 223단계에서 응답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27단계에서 오디오처리부145 및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제어하여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 오디오처리부145 및 마이크141, 스피커143을 통해 통화로를 형성하며, 229단계에서 방문객과 전화번호의 가입자간에 통화를 서비스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1은 상기 227단계에서 카메라131을 구동하여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하며, 영상처리부133은 상기 카메라131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동시에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압축부호화된 영상신호를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메모리113에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전화번호의 가입자는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통해 출력되는 방문객의 사진을 보면서 방문객과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response is detected in step 223, the controller 111 controls the audio processor 145 and the line interface unit 147 in step 227 to form a call path through the line interface unit 147, the audio processor 145 and the microphone 141, and the speaker 143. In step 229, the call service is performed between the visitor and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1 drives the camera 131 to take a picture of the visitor in step 227,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33 displays a pictur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1 on the display unit 135 and simultaneously compresses and outputs the picture of the visitor. The compressed and output vide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line interface unit 147 and stored in the memory 113. Then,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can perform a call function with the visitor while viewing the picture of the visitor output through the line interface unit 147.

이때 상기 통화중인 상태에서 전화번호 가입자는 방문객의 사진이 찍히지 않은 화면을 수신하게 되거나 또는 방문객의 사진이 명확하지 않아 신원 확인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재촬영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전화번호 가입자는 사진 재촬영을 요구하는 키데이타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재촬영요구키는 전화기의 특정키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재촬영요구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3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5단계에서 상기 카메라131을 구동하여 방문객의 사진을 재촬영하며, 영상처리부133은 상기 카메라131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동시에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압축부호화된 영상신호를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메모리11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메모리113의 이전 사진데이타를 저장하는 중복하여 저장(over write)한다.At this time,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in the call state may receive a screen in which the visitor's picture is not taken or, if the identification of the visitor is unclear because the visitor's picture is not clear, the subscriber may request re-shooting.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subscriber generates key data requesting to retake the picture. In this case, the retake request key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ecific key of the phone. When the re-shooting request key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in step 233, and in step 235, the camera 131 drives the camera 131 to retake a picture of the visitor, and the image processor 133 photographs the visitor taken by the camera 13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5 and compressed and output. The control unit 111 outputs the compressed coded video signal through the line interface unit 147 and stores the compressed video signal in the memory 113.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1 overwrites the previous picture data of the memory 113.

그리고 상기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방문객의 신분이 확인되면, 상기 전화번호의 가입자는 상기 도어개폐장치를 원격제어하여 열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전화번호의 가입자는 상기 도어를 열 수 있는 비밀번호를 다이알링하며, 상기 다이얼링된 비밀번호는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의 DTMF수신기(DTMF receiver)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제어부111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231단계에서 이를 비밀번호로 감지하고 239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3의 비밀번호버퍼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241단계에서 상기 도어개폐부125에 도어열림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부125는 도어를 연다. 그러나 상기 239단계에서 두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음성합성부151을 제어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이 틀렸음을 안내하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합성부151에서 출력되는 안내음성 메시지는 라인인터페이스부147을 통해 전화번호 가입자에게 전달되며, 상기 전화번호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가 재입력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And if the visitor's identity is confirmed during the call,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can be opened by remotel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this case,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dials a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and the dialed password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in a DTMF receiver of the line interface unit 147 and then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1. Then,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as a password in step 231 and compares it with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buffer of the memory 113 in step 239. In this case, if the received password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113 match, in step 241, the door opening signal is output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part 125,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part 125 opens the door. However, if the two passwords do not match in step 239, the voice synthesis unit 151 is controlled to output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incorrect. The voice message output from the voice synthesizer 151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of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line interface 147. When the password is re-entered from the subscriber, the operation is repeated.

그러나 상기 통화 과정에서 방문객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원치않는 방문객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통화종료키를 누르거나 훅크오프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23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어를 열지않고 도어개폐절차를 종료한다.However, if the visitor's identity is not confirmed or determined to be an unwanted visitor during the call process, the user presses or hooks off the call termination key. Then,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in step 237 and end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dure without opening the door.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제어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roced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1은 311단계에서 상기 부재중 모드가 세트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부재중 모드가 세트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의 도어개폐 제어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부재중모드가 세트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313단계에서 상기 도어벨센서121로부터 도어벨눌림 감지신호가 발생되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도어벨센서121로부터 도어벨눌림이 감지되면 315단계에서 카메라131을 구동하여 도어벨을 누른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한다. 그러면 상기 영상처리부133은 상기 카메라131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동시에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압축부호화된 방문객의 사진을 메모리113의 사진버퍼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13의 사진버퍼에는 부재중인 상태에서 방문한 방문객들의 사진이 순차적으로 누적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방문객의 사진을 누적 저장하면, 사용자는 상기 메모리131의 사진버퍼에저장된 방문객들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억세스하여 표시부135에 표시하므로써, 부재중인 상태에서 방문한 방문객들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11 determines whether the missed mode is set in step 311. At this time, if the missed mode is not set, the normal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rocedure is performed. However, when the missed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the door bell pressing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door bell sensor 121 in step 313. In this case, when the door bell is detected from the door bell sensor 121, the camera 131 is driven in step 315 to take a picture of the visitor who pressed the door bell. Then, the image processor 133 displays a pictur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1 on the display unit 135 and compresses and outputs the picture. The controller 111 stores the compressed coded picture of the visitor in the photo buffer of the memory 113. Therefore, the photograph buffer of the visitor who visited while not in the memory 113 is accumulated and stored sequentially. When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visitor's photo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quentially access the photographs of the visitors stored in the photo buffer of the memory 131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unit 135, so that the visitor who visited the absent state can be confirmed.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설정시간 동안 대기하며,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시 도어벨이 눌리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도어벨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도어개폐 제어절차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도어벨의 눌림이 감지되면,상기 제어부111은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3의 전화번호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다이알링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1 waits for the setting time, and when the setting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111 detects this and checks whether the door bell is pressed again. At this time, if the doorbell is not detecte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111 terminat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rocedure. However, if the doorbell is detecte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is in step 321 and dials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number buffer of the memory 113 in step 323.

이후 상기 323단계에서 345단계까지의 동작은 도 2의 221단계에서 243단계 까지의 동작과 동일한 절차로 진행된다.Subsequently, operations 323 to 345 are performed in the same procedure as operations 221 to 243 of FIG.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는 원격 위치에서 방문객의 신분을 확인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방문객의 신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신분이 확인된 경우 방문객을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도 문을 열어 방문객을 댁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예기치 않은 손님이 방문하거나 약속된 손님의 방문 시간에 맞추지 못한 경우에도 손님을 밖에서 기다지리지 않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맞벌이를 하는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열쇠를 별도로 주지않고 부모들이 원격에서 댁내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므로써, 방문객들을 누적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confirming the visitor's identity at a remote location. Therefore, the identity of the visitor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if the identity is confirmed, the visitor can be opened without a person so that the visitor can enter the house. Even if you do not meet th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not wait for the guests outside. Especially in homes with two par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parents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house remotely without giving a key to the children. You can also accumulate and store visitors by taking and storing pictures of visitors.

Claims (7)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시 도어벨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벨센서와,A door bell sensor which generates a door bell detection signal when the door bell is pressed;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password and a terminal number of the user; 상기 도어벨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번호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며, 상기 단말기에서 응답시 상기 방문객과 단말기 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어열림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When the doorbell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terminal number stored in the memory is accessed and output, and when the terminal responds, a control signal for forming a call path between the visitor and the terminal is generated, and the password and the memory received from the terminal are generate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stored passwords and generating a door open control signal if they match;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단말기번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응답시 응답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통화로형성제어신호 발생시 상기 단말기와 방문객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부와,An interface unit which transmits a terminal number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a termi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ler in response to the terminal, and forms a call path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visitor when the call path forma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도어열림제어신호에 의해 도어를 여는 도어개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장치.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the door by the door open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와,A camera that takes pictures of visitors,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방문객의 사진을 압축 부호화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구비하며,And an image processor for compressing and encoding the visitor's picture taken by the camera.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화로 형성시 상기 압축부호화된 방문객의 사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장치.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hoto of the compressed coded visitor when the call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가 전화라인인터페이스부이며,The telephone line interface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terface unit is a telephone line interface unit, 상기 전화라인인터페이스부가,The telephone line interface unit, 전화번호를 디티엠에프신호로 변환하는 디티엠에프송신기와,DMT transmitter for converting telephone number into DFM signal, 수신되는 비밀번호의 디티엠에프신호를 디지털데이타로 변환하는 디티엠에프수신기와,A DFM receiver for converting a DTP signal of a received password into digital data; 수신되는 응답톤을 검출하는 톤검출기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장치.And a tone detector for detecting a response tone received.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시 도어벨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벨센서와,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부와, 방문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도어개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The door opening / closing door door sensor includes a door bell sensor for generating a door bell detection signal when a door bell is pressed, a memory for storing a password and a user terminal number, a door opening / closing part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visito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상기 도어벨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Forming a call path by dialing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doorbell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 전송하며, 상기 방문객과 전화번호 가입자 간에 방문객 신분 확인을 위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 pictur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rough the formed call path, and performing a call to confirm visitor identity between the visitor and the subscriber; 상기 통화과정에서 방문객의 신분 확인 후 발생되는 도어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password for opening a door generated after the identification of the visitor in the call process; 상기 비밀번호 수신시 저장중인 비밀번호와 비교하며, 상기 두 비밀번호가 일치할 때 도어개폐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여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방법.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word is stored when the password is received and the door is opened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the two passwords matc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인 상태에서 재촬영요구신호 수신시 상기 카메라를 다시 구동하여 방문객의 사진을 재촬영한 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방법.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re-taking the camera when receiving the re-shooting request signal in the busy state, re-taking a photograph of the visitor,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 도어벨의 눌림을 감지시 도어벨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벨센서와,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단말기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부와, 방문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도어개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The door opening / closing door door sensor includes a door bell sensor for generating a door bell detection signal when a door bell is pressed, a memory for storing a password and a user terminal number, a door opening / closing part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visito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부재중 모드에서 상기 도어벨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방문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the photograph of the visitor by driving the camera when the doorbell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missed mode; 설정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벨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When the doorbell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dialing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to form a call path;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방문객의 사진을 전송하며, 상기 방문객과 전화번호 가입자 간에 방문객 신분 확인을 위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 picture of the visit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rough the formed call path, and performing a call to confirm visitor identity between the visitor and the subscriber; 상기 통화과정에서 방문객의 신분 확인 후 발생되는 도어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password for opening a door generated after the identification of the visitor in the call process; 상기 비밀번호 수신시 저장중인 비밀번호와 비교하며, 상기 두 비밀번호가 일치할 때 도어개폐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여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방법.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word is stored when the password is received and the door is opened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the two passwords ma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인 상태에서 재촬영요구신호 수신시 상기 카메라를 다시 구동하여 방문객의 사진을 재촬영한 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개폐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re-taking the camera when the re-shoot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in the call state to retake a picture of the visitor and transmit the picture to the terminal. .
KR1020020080147A 2002-12-16 2002-12-1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Ceased KR200400523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147A KR20040052300A (en) 2002-12-16 2002-12-1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147A KR20040052300A (en) 2002-12-16 2002-12-1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300A true KR20040052300A (en) 2004-06-23

Family

ID=373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147A Ceased KR20040052300A (en) 2002-12-16 2002-12-1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230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94A (en) * 2004-07-30 2006-02-03 백귀현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of digital door lock
KR100614596B1 (en) * 2004-08-09 2006-09-25 주식회사 삼전 Digital door lock using mobile phone and its operating system
KR20130122333A (en) * 2012-04-30 2013-11-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oor remote control system, visitor recognition apparatus and door lock apparatus for door remote control, door remote control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94A (en) * 2004-07-30 2006-02-03 백귀현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of digital door lock
KR100614596B1 (en) * 2004-08-09 2006-09-25 주식회사 삼전 Digital door lock using mobile phone and its operating system
KR20130122333A (en) * 2012-04-30 2013-11-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oor remote control system, visitor recognition apparatus and door lock apparatus for door remote control, door remote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9598A (en) Facility for tying a door intercommunication system with a video camera to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KR20060053760A (en) Door phone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mobile terminal
JPH08251305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tely recor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using local recording unit
JP2019193124A (en) Intercom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5065259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remot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remote control program
KR20040052300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release door
KR100918040B1 (en)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KR20010019901A (en) Doorphone system capable of taking over the telephone with a visitor during my absence
JP2019193095A (en) Intercom system
JP2019140579A (en) Intercom master unit, intercom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2194936A (en) Security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100430774B1 (en) Multi-functional interphone device
JP2000307744A (en) Intercom device with transfer func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intercom system with transfer function
JPH0832945A (en) Video phone
KR20030082672A (en) Doorphone system possible communicating with mobile phone of an external
KR20080049968A (en) Video Phone System and Its Method of Apartment Housing Using IP Telephone Network
KR100834127B1 (en) Door control device
JP4407414B2 (en) Home device in remote monitoring system
JP3901152B2 (en) Apartment house management call system
JP2022173941A (en) intercom system, calling method, program
KR100341050B1 (en) System for in/outputting visitor image and method of the same over network
JP2000341419A (en) Intercom equipment
JPH09107399A (en) Telephone set
KR200244470Y1 (en) Multi-functional interphone device
JP3511317B2 (en) Call waiting video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