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1484A -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484A
KR20040041484A KR1020030036050A KR20030036050A KR20040041484A KR 20040041484 A KR20040041484 A KR 20040041484A KR 1020030036050 A KR1020030036050 A KR 1020030036050A KR 20030036050 A KR20030036050 A KR 20030036050A KR 20040041484 A KR20040041484 A KR 2004004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terminal
user
wireless mobile
tou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646,15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40092294A1/en
Publication of KR2004004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48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one touch calling method is provided to achieve improved user convenience by permitting a user to send a call message to the radio mobile terminal of the opposite party by only pressing a button. CONSTITUTION: A one touch calling method comprises a step(S50) of permitting a user to try a call to the radio mobile terminal of the opposite party by using the radio mobile terminal of the user; a step(S52) of storing the phone number of the radio mobile terminal of the opposite party in the call list of the radio mobile terminal of the user; a step(S54,S56) of permitting the user to conduct a call communication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user and the opposite party; and a step(S58,S60) of transmitting the phone number and short message of the user to the terminal of the opposite party and ending the calling operation, if the user presses a one touch call button.

Description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원터치 호출 방법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One-touch calling method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기로 호통화를 시도 중에 상대방과 통화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원터치 호출버튼을 눌러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바로 호출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원터치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one-touch call using a wireless terminal that can directly call to a wireless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by pressing a one-touch call button when it is in a state where it is not possible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while attempting to make a call with the wireless terminal.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대방과 호통화를 시도 시에 호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 사서함 등에 연결된다.In general, when a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if the call is not made, the user is connected to a voice mailbox.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대방과 호통화 시도 시에는 상대방이 호통화 중이어서 연결이 안되거나 통화할 수 없는 상태일 때에는 음성 사서함에 연결된다. 이때 음성이나 전화번호를 남기면 단문메시지 서비스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되어 상대방으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호통화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When 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voice mailbox when the other party is in a call and cannot be connected or cannot talk. At this time, if a voice or phone number is left, 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to induce the other party to make a call to the user.

또한, 상대방의 호출 방법으로 음성사서함에서의 호출 메시지 송신 외에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보내어 직접 호출하는 것도 있으며, 발신번호표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무선단말기에 표시되어 상대방과 통화를 하지 못하여도 누가 호통화를 시도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로 호통화 시도를 다시 하는 방법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party's calling method, in addition to sending a call message from the voicemail box, may sen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directly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you can find out who attempted the call even if you did not talk to the other party.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attempting a call again with the number of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한편, 호통화 불발시 음성사서함에 연결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음성 사서함은 여러 단계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어 상대방에게 음성메시지를 남기고 호출번호를 입력하는데 번거로우며, 소요되는 시간만큼의 통화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와의 호통화가 불발시 통화연결을 종료하고 SMS(Short Message Service)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출하는 경우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시 입력해야 하며 사용자는 더 향상된 무선 모바일 단말기 서비스의 제공을 원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voice mailbox when the call is unsuccessful, the voice mailbox is composed of a menu of several levels, leaving a voice message to the other party to enter the call number, and must bear the cost of the call do. In addition, when a call with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is unsuccessful,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nd the call is made by using the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servic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must be re-entered and the user can further improve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I want to provide a ser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통화를 시도 중에 상대방이 통화중 등의 이유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일 때, 버튼을 한 번 눌러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며, 또한 통화 연결시 원터치 호출 시에는 호출 메시지를 고속으로 전송가능한 원터치 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when the other party is in a state that can not answer the call, such as during a call while attempting a call to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press the button once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one-touch call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transmitting a call message, and can transmit the call message at a high speed when the one-touch call when the call is connected.

도 1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통화를 할 수 있는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that can make a call to a wireless mobi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호출 동작 순서도.2 is a one-touch call operation flowch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호출 설정 순서도.Figure 3 is a one touch call setup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호출 시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in the one-touch call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메뉴에서 원터치 호출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 원터치 호출시에 사용할 버튼을 지정하는 과정, 사용자가 버튼을 지정 후 원터치 호출 시에 함께 송신할 호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rocess of selecting a one-touch call menu from the menu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a process of designating a button to be used for one-touch call, the user designates a button and transmits together in one-touch call This involves creating and storing a paging messa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대방에게 호통화의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 통화 불발시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원터치 호출버튼을 눌러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호출 메시지를 원터치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attempts to connect the call to the other party to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when the call is missed, the user presses the one-touch call butt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to send the user's telephone number and call message to the other's wireless mobile terminal Including one-touch calling.

또한,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원터치 호출버튼을 눌러서 호출하는 것은,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를 읽어오는 과정,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미리 작성 또는 기본 설정된 호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ser calling by pressing the one-touch call butt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process of rea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user's telephone number and a pre-written or default call message togeth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대방에게 원터치 호출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와 이동통신망(20)과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capable of one-touch calling to a counterpart by a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30 of the other party are conceptually illustra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호출 방법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one-touch ca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로 호통화를 시도한다(단계 S50).The user attempts to call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30 using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step S50).

이 때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의 통화리스트에는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의 전화번호가 저장된다(단계 S52).At this tim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30 of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the call list of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10 (step S52).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로 상대방과 호통화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는 상대방과 호통화를 실시한다(단계 S54, S56).When a call is connected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10, the user makes a call with the other party (steps S54 and S56).

한편, 단계 S54에서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10)로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호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상대방과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호신호는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는 통화중임을 알리는 톤이나 음성 메시지를 듣게 될 수도 있다. 어느 상황이든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터치 호출 버튼을 누르면(단계 S58), 이미 시도중이던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로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호출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단계 S60).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ttempts to call the other party using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in step S54, but the call signal is not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the call signal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voice mailbox, or the user indicates that the user is busy. You may also hear a voice message. Regardless of the situation, if the user presses the one-touch call button (step S58), the call is terminated after transmitting the user's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 message to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of the counterpart who was already attempting (step S60).

한편,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할 때, 호출 메시지가 가장 빠르게 상대방의 무선 단말기(30)로 전달되는 경우는 상대방과 통화중일 경우이다. 이 때에는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와 상대방의 단말기(30)가 모두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1초 이내의 빠른 속도로 호출 메시지가 전달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call message is most quick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terminal 30 when the other party is in a call. In this case, since both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30 of the counterpart are connected to a traffic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call message is delivered at a high speed within 1 second.

다음으로는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로 착신은 되었으나 여러 이유로 수신하지 못한 상태의 경우에는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호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으로 4~5초 정도 소요된다.Next, when the call is received by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30 but is not received for various reasons, the call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a paging channel, which takes about 4 to 5 seconds.

마지막으로 상대방 단말기(3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지역에 있는 경우에 상대방이 전원을 온시키거나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진입 시에 호출 메시지가 기지국으로부터 상대방 단말기(30)로 전달되는 것이다.Finally, when the other terminal 30 is powered off or in an area wher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received, a call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other terminal 30 when the other party turns on the power or enters the serviceable area. will be.

한편, 도 3은 원터치 호출을 위하여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호출 메시지를 설정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describes the procedure for setting the call message to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for one-touch call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원터치 호출 메뉴를 선택한다 (단계 S70).First, the user selects a one-touch call menu in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step S70).

여기서, 호출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성되어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별도로 작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설정되어진 기본 메시지를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에 저장해둘 수 있으며, 원터치 호출 시에 전화번호와 함께 상대방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된다.Here, the call message is preferably written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If the user does not write separately, the default message set in advance may be stored in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and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telephone number at the time of one-touch call.

또한, 사용자는 원터치 호출 시에 사용할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의 원터치 호출 버튼을 지정을 할 수 있다(단계 S72). 여기서, 사용자가 호출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기 위한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원터치 호출 버튼을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단말기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designate the one-touch call butt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to be used for the one-touch call (step S72). Here, an interface of a wireless mobile terminal for directly writing a call message and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 one-touch call button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graphic form,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a general technology in the terminal field.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에 원터치 호출을 위한 호출 메시지에 포함될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고, 원터치 호출버튼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3,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to be included in a call message for one-touch call may be set in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10, and the one-touch call button may be set in advance.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호출 시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의 동작 순서도로서, 도 2의 단계 S58에서 사용자가 원터치 호출하였을 때의 상세한 동작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 during the one-touch cal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etailed operation flowchart when the user makes one-touch call in step S58 of FIG.

사용자가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로 호통화를 시도하였으나 통화중 등의 여러 이유로 통화 연결이 불발되어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에 연결되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알리는 톤이나 음성 메시지를 듣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의 원터치 호출 버튼을 누른다(단계 S80). 원터치 호출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와 미리 설정된 SMS 메시지 형태의 호출 메시지를 읽어와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로 송신하여 원터치로 호출하는 것이다(단계 S82, S84).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30, but the call is disconnected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during a call, and the user hears a tone or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other party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voice mailbox or is busy. In this case, the user pushes the one-touch call button of his wireless mobile terminal 10 (step S80). When the one-touch call button is pressed, a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telephone number and a preset call message in the form of an SMS message are read out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30 of the other party to be called by one touch (steps S82 and S8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대방과 호통화 연결을 시도했을 때 통화중 등의 이유로 통화 연결 불발시 한 번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transmit a call message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by pressing a single button when the call is unsuccessful, for example, during a call. .

호출 메시지의 전달 속도는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10)와 상대방의 단말기(30)가 모두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에 접속된 상태인 경우가 가장 빠르게 전달된다.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paging message is fastest when both the user's wireless mobile terminal 10 and the other party's terminal 30 are connected to a traffic channel.

다음으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로 호신호가 착신은 되었으나 여러 이유로 수신하지 못한 상태의 경우, 또는 상대방 단말기(30)의 전원이 오프된상태이거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호출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전달되며,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진입 시에 호출 메시지가 기지국으로부터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되는 것이다.Next,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30 but is not received for various reasons, or when the other party terminal 30 is turned off or in an area wher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received. The call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paging channel, and the call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30 when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30 is turned on or enters a serviceable area. To be sent.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호통화 불발시 원터치 호출버튼을 눌러 상대방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원터치 호출 버튼에 미리 설정된 호출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출 메시지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user makes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e user may press the one-touch call button to read the call number set in the phone number and the one-touch call button of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and transmit the call message directly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한편, 실시 예로서 서술하지는 않았으나,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 SMS메시지를 보낼 때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원터치 호출버튼을 선택하면 호통화 시에 저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통화리스트에서 읽어와 미리 설정된 SMS메시지와 함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described as an embodiment, even when sending an SMS message to call the other party, if the one-touch call butt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stored in the call is read from the call list and the SMS message is set in advance. You can send a paging message togeth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호통화를 할 때에 통화중 등의 이유로 호통화 불발 시 버튼을 한 번 눌러서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어서, 호출번호와 문자메시지를 일일이 누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makes a call using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call the other party by pressing the button once when the call is not made for a reason such as during a call,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press the call number and the text message one by one. Can be.

또한 통화 불발시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되거나 상대방 무선 모바일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알리는 톤이 수신되는 동안에 원터치 호출 기능을 구동하면 쌍방이 모두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신속하게 호출이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f a one-touch call function is activated while a call is connected to a voice mailbox or a tone indicating that the other party's wireless mobile terminal is busy, both parties are quick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3)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메뉴에서 원터치 호출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a one-touch call menu from a menu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원터치 호출시에 사용할 버튼을 지정하는 과정;Designating a button to be used for one-touch invocation;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지정 후 원터치 호출 시에 함께 송신할 호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원터치 호출 방법.And a step of creating and storing a call message to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 one-touch call after the user designates the button.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대방에게 호통화의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A user attempting to connect a call to the other party through a wireless mobile terminal; 통화 연결 불발시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원터치 호출버튼을 눌러서 상대방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호출 메시지를 원터치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원터치 호출 방법.When the call is not connected, the user presses the one-touch call butt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one-touch call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alling the user's phone number and the call message to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원터치 호출버튼을 눌러서 호출하는 것은,Calling by pressing the one-touch call button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상기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를 읽어오는 과정;Read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of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미리 작성 또는 기본 설정된 호출 메시지를 상대방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원터치 호출 방법.And transmitting the user's telephone number and a pre-written or preset call message to the counterpart's terminal.
KR1020030036050A 2002-11-11 2003-06-04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 Ceased KR200400414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46,153 US20040092294A1 (en) 2002-11-11 2003-08-21 Method for performing a one-touch call operation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69635 2002-11-11
KR1020020069635 2002-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484A true KR20040041484A (en) 2004-05-17

Family

ID=3733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050A Ceased KR20040041484A (en) 2002-11-11 2003-06-04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48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39B1 (en) * 2007-02-0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send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39B1 (en) * 2007-02-0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send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1270B2 (en)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KR100309381B1 (en) Method for multi-transferr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radio telephone
WO2006051611A1 (en) Subject presenting method, subject information storage, and terminal
KR20000054647A (en) Wired character message phone of public subscriber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46275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176315A (en) Method and system for packet communication of voice mess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KR20040041484A (en) Method of one touch call using mobile terminal
JPH0623296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350248B1 (en) Voice Mailbox Service Method in Mobile Phone System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100398663B1 (en) Method for scramble using mobile terminal
KR20020007448A (en) Method for auto-di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45573A (en) Method of notifying telephone conversation status on mobile phone
KR20050015638A (en) Method of automatic responsing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in wireless terminal
KR100554795B1 (en) How to send a voice message
JP2000101735A (en) Telephone set with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function
KR20010037171A (en) Method for implementing voice mai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50137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US20040092294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one-touch call operation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721870B1 (en)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809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hort voice message
KR10066157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oicemail switch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KR20080090674A (en) Emergency cal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sms message
KR20030078324A (en) The method for receive cond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JP2005217873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