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8331A -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331A
KR20040028331A KR1020020059483A KR20020059483A KR20040028331A KR 20040028331 A KR20040028331 A KR 20040028331A KR 1020020059483 A KR1020020059483 A KR 1020020059483A KR 20020059483 A KR20020059483 A KR 20020059483A KR 20040028331 A KR20040028331 A KR 2004002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ath
router
network
path
ls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훈
김이한
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331A/en
Publication of KR2004002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33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LS망에서 특정구간의 폭주로 인해 경로를 재선정 해야 하는 경우보다 빨리 경로를 재선정하기 위한것이다. 일반적으로 MPLS 백본망은 P라우터로 구성된 코어망과 백본망의 에지 역할을 하는 PE라우터로 구성되고, 경로를 재선정 할 때 망의 전체 자원을 고려하기 위해 소스 라우팅을 하며, LSP는 PE라우터에서 시작되어 항상 P라우터로 구성된 백본망을 경유하여 목적 PE라우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LSP경로 재선정 시 경로의 변경은 보통 P라우터로 구성된 백본망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참고하여 폭주로 인해 경로 재선정 시 소스 노드로 폭주를 감지한 P라우터에서 먼저 LSP경로리스트를 반영한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우회 경로 설정여부를 판단하게 하여 보다 빨리 경로를 재선정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select the path faster than the need to reselect the path due to congestion of a specific section in the MPLS network. In general, the MPLS backbone network consists of a core network composed of P routers and a PE router serving as an edge of the backbone network. When rerouting, source routing is performed to consider the entire resources of the network. It is always configured as a destination PE router via a backbone network consisting of P rou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SP path is reselected, the path change is usually performed in a backbone network composed of P routers. Referring to FIG. Use to determine whether to set the bypass route to re-select the route faster.

Description

MPLS망에서 경로 재선정 방법{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본 발명은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LS망에서 한쪽 링크의 폭주로 인해 새로운 LSP(Label Switching Path)를 재선정하거나 변경시에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경로를 재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reselect a new label switching path (LSP) due to congestion of one link in an MPLS network or to reselect a path using a network structure table when a change is made.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MPLS를 이용한 백본망(back bone network)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ore)망(n1)과 에지(n2)로 이루어져 있는데, 코어망(n1)은 다수의 LSR(Label Switching Router:이하 'P 라우터'라 칭함)들(P1, P2, P3, P4 등)로 이루어져 있고, 백본망의 에지에는 PE(Provider Edge) 라우터(PE11, P12, PE21, P22, PE31, 등)들이 존재한다.In general, a back bone network using MPLS is composed of a core network n1 and an edge n2 as shown in FIG. 1, and the core network n1 includes a plurality of LSRs (Label). Switching Ro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 Router') (P1, P2, P3, P4, etc.), and PE (Provider Edge) Router (PE11, P12, PE21, P22, PE31, etc.) at the edge of the backbone Are present.

이와 같은 MPLS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핵심인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의 인터넷 기능을 강화한 기술로써, 계층 3과 계층 2를 통합하여 레이블 할당이 계층 3 프로토콜과 독립적으로 수행됨으로서 다양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위 계층에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MPLS is a technology that enhances the Internet function of the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exchange, which is the core of the high-speed information network, and integrates Layer 3 and Layer 2 to support various network layer protocols by performing label assignment independently of the Layer 3 protocol. Not only can it be applied, but it can also be flexibly applied to lower layers.

또한, MPLS는 신뢰성있게 네트워크 운용을 제공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자원의 이용률을 최대화할 목적으로 트래픽의 해당 요구사항을 네트워크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In addition, MPLS reliably distributes the corresponding requirements of traffic to the network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network resources while providing reliable network operation.

이를 통해서 네트워크 링크와 노드들의 이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링크에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서 한 링크나 노드의 장애나 폭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s maximizes the utilization of network links and nodes and minimizes the effects of failure or congestion of one link or node by distributing network traffic properly across multiple links.

그런데, MPLS에서는 LSP의 선정 및 CR-LDP(Constraint-Based Label Distribution protocol)나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와 같은 신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데, 소스 노드(PE 측)에서 망 전체 자원 정보를 수합하여 목적지까지(다른 PE측)의 자원 할당이 가능한 경로를 찾아 경로 리스트(Explicit Route; 이하 'ER'이라 칭함)를 만든 후, 해당 경로상의 중간 노드(즉, 코어망)들에게 보내어 경로를 설정하는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으로 경로를 선정한다.However, MPLS uses LSP selection and signaling protocols such as the Constraint-Based Label Distribution Protocol (CR-LDP) or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which collects the entire re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node (PE) to the destination. Source routing that finds routes that can be allocated by (other PE side), creates route l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ER'), and sends them to intermediate nodes (ie core network) on the route to set route Select route by (source routing).

그리고, 이렇게 설정된 경로에서 폭주가 발생하면 폭주를 감지한 노드의 P 라우터는 폭주 신고(notify) 메시지를 소스 노드인 PE로 보내 PE에서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게 하며, 이에 소스 노드인 PE에서는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망 자원 정보를 수집하여 우회시킬 LSP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처음 경로 선정시 수행하였던 프로세스(process)를 다시 수행한다.When congestion occurs in the route configured in this way, the P router of the node that detects the congestion sends a notify congestion message to the source node PE so that the new route can be set in the PE. In order to set, considering the bandwidth of the LSP to collect and bypass network resource information, the process performed at the first path selection is performed again.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MPLS망에서의 LSP 재선정 과정은 초기 LSP 선정시와 동일한 프로세스로서 LSP를 재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LSP 재선정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경로 복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LSP reselection process in the conventional MPLS network has a problem in that the LSP reselection time becomes longer because the LSP reselection time becomes the same process as the initial LSP selection, and thus the path recovery is delayed.

즉, 특정 링크에서 폭주가 일어나면, 폭주가 일어났음을 감지한 P 라우터는 폭주 사실을 소스 노드로 폭주 사실을 알리고, 이에 소스 노드가 소스 라우팅 동작을 수행하여 새로운 LSP 경로를 재선정을 하기 때문에 경로 복구 시간이 지연되었다.That is, when a congestion occurs on a specific link, the P router that detects the congestion has informed the congestion of the congestion to the source node, and the path is re-selected as a new LSP path by performing the source routing operation. Recovery time has been delayed.

본 발명은 MPLS 백본망의 코어망에서 특정링크나 노드에서의 트래픽 폭주로 인한 경로 재선정을 보다 빠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eed up reselection due to congestion of traffic on a specific link or node in a core network of an MPLS backbone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MPLS 망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general MPL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LS 망에서 하나의 LSP의 경로상에 트래픽 폭주가 발생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at traffic congestion occurs on the path of one LSP in the MPL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폭주를 감지한 P 라우터에서 가능한 우회 경로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sible bypass path in the P router detecting the congestion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폭주를 감지한 P 라우터에서의 경로 재선정 과정을 보인 플루우챠트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e-selection process in a P router detecting a congestion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폭주를 감지한 P 라우터에서 후보 우회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candidate bypass path in a P router detecting a congestion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1 라우터에서 망구조 테이블을 만드는 것을 보인 테이블 표이다.FIG. 6 is a table table showing a network table created in a P1 ro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P 라우터에서의 망구조 테이블을 보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table in each P ro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MPLS 백본망의 코어망에서 특정링크나 노드에서의 트래픽 폭주가 발생하여 LSP를 재선정하는 경우에, 상기 트래픽 폭주를 소스 노드에 알리지 않고 코어망 자체내에서 경로를 재선정하여 상기 트래픽 폭주가 발생된 노드를 우회하는 새로운 LSP가 선정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hen traffic congestion occurs on a specific link or node in a core network of an MPLS backbone network and reselects an LSP, the congestion may be performed within the core network itself without informing the source node of the congestion. Re-routing allows a new LSP to be selected that bypasses the node on which the traffic congestion has occurred.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코어망의 각 P 라우터에 후보 우회 경로 리스트 정보를 담고 있는 망구조 테이블을 두어 새로운 LSP를 재선정시에 상기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게 한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a network table containing candidate bypass path list information in each P router of the core network to use the network table when reselecting a new LSP.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래픽 폭주가 발생한 노드를 담당하는 코어망의 해당 P 라우터에서 LSP 재선정을 하도록 함으로써, 소스 노드의 PE에서 LSP 재선정을 하였던 종래보다 훨씬 빠르게 경로 복구가 이루어지게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LSP reselection in the corresponding P router of the core network that is in charge of the node where the traffic congestion has occurred, so that the path recovery can be performed much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LSP reselection in the PE of the source nod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P 라우터로 구성된 코어망과, 소스 노드와 연결된 다수의 PE 라우터가 위치하는 에지를 포함하는 MPLS망에서의 경로 재선정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소스노드에 의해 설정된 LSP 상에 위치하는 제1 P 라우터에서 다음 홉으로의 링크가 트래픽 폭주임을 감지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코어망에 존재하는 상기 LSP의 목적 노드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 노드로의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지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하는제2 단계와, 상기 망구조 테이블에 상기 목적 노드로의 우회 경로가 있으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우회 경로중에서 목적 노드로의 최단 경로인 제1 우회 경로를 선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제1 우회 경로상의 중간노드들에게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물어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한 것이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제1 우회 경로를 새로운 LSP로 재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selecting a path in an MPLS network including a core network composed of a plurality of P routers and an edge where a plurality of PE routers connected to a source node are located, the LSP configured by one source node. A first step of detecting that a link from a first P router located in a network to a next hop is congested; and identifying the destination node of the LSP in the first network by the first P router,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a bypass path exists by using a network table stored therein; and if the network path has a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the first P router selects a destination path from the bypass path. Selecting a first bypass path that is the shortest path to the node, and wherein the first P router passes the first bypass path to intermediate nodes on the first bypass path; As far as the fourth step to determine whether to ask whether or not, when the first bypass path is enabled, and the first P router, a fifth step to establish a re-election of the first bypass path to the new LSP.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구조 테이블은 자신이 저장된 P 라우터를 제외한 동일 코어망내의 나머지 P 라우터들을 목적 노드로 하는 경로 정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Preferably, the network table preferably stores a route information list for the remaining P routers in the same core network except for the P router in which the network table is stor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LS망에서의 경로 재선정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ath reselection method in an MPL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로 하여 초기 LSP를 선정하는 과정 및, 선정한 LSP상의 특정링크 중 하나를 트래픽 폭주가 발생한 지점으로 지정한다.First,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selecting an initial LSP with reference to FIG. 2 and designating one of a specific link on the selected LSP as a point where traffic congestion occur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LS 망에서 하나의 LSP의 경로상에 트래픽 폭주가 발생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at traffic congestion occurs on the path of one LSP in the MPL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에지에 위치한 소스 노드인 PE11은 목적 노드인 PE41까지 LSP(L10)를 설정하기 위해 소스 라우팅 알고리즘에 따라 최단 경로를 찾아 경로상에 있는 노드 리스트를 만든다. 이때, 노드 리스트는 PE11, P1, P4, PE41이 된다.PE11, the source node located at the edge, finds the shortest path according to the source routing algorithm to establish the LSP (L10) to the destination node PE41 and makes a list of nodes on the path. At this time, the node list is PE11, P1, P4, PE41.

상기와 같이 노드 리스트가 만들어지면, PE11은 노드 리스트를 경로상의 각 중간 노드(P1, P4)에게 전달하여 PE11에서 시작된 LSP(L10)가 해당 노드(P1, P4)를 통해 목적 노드인 PE41에 트래픽이 전달할 것임을 알림으로써, 각 중간 노드(P1, P4)에서 LSP(L10)가 미리 설정되게 한다.When the node list is created as described above, PE11 forwards the node list to each intermediate node (P1, P4) on the path, so that LSP (L10) started at PE11 traffics to the destination node PE41 through the corresponding node (P1, P4). By notifying that this will be delivered, the LSP L10 is set in advance at each intermediate node P1, P4.

상기와 같이 LSP(L10)가 설정되면, PE11은 LSP(L10)를 따라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한다. 그런데, 데이터 트래픽 전송 도중에 특정 링크(P1-P4)에 트래픽이 과도하면 폭주(congestion)가 발생하게 된다.When the LSP L10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PE11 transmits data traffic along the LSP L10. However, when traffic is excessive on a specific link P1-P4 during data traffic transmission, congestion occurs.

그러면, P1 라우터는 링크(P1-P4)의 폭주를 감지하게 된다.Then, the P1 router detects the congestion of the links P1-P4.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LSP(L20)는 종래 기술로부터 재선정된 LSP이다.Here, LSP L20 shown in FIG. 2 is an LSP reselected from the prior art.

종래 기술로 재선정된 LSP(L20)을 보면, 화살표가 양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LSP 재선정시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P1 라우터에서 PE11로 전달되고, 이에 PE11이 LSP(L2)를 재선정하여 PE41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이다.Looking at the LSP L20 reselected in the prior art, the arrows are shown in both directions. This is because the data transmission path at the time of LSP reselection is transferred from the P1 router to PE11, and PE11 reselects LSP (L2) to transmit data to PE41.

그러나, 본 발명의 LSP 재선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는 다르다.However, the LSP re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FIG. 2 as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폭주를 감지한 P 라우터에서 가능한 우회 경로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sible bypass path in the P router detecting the congestion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노드인 PE11은 초기 LSP(L3)를 선정하여 트래픽을 P1로 보내면 초기 LSP(L3)에 대한 LSP 재선정 과정에 관여하지 하지 않는다. LSP 재선정은 링크(P1-P4)의 트래픽 폭주를 감지한 P1 라우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P1 라우터는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경로(1) 또는, 경로(2), 또는 경로(3) 중 하나를 새로운 LSP로 재선정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source node PE11 selects the initial LSP L3 and sends traffic to P1, the PE11 does not participate in the LSP reselection process for the initial LSP L3. LSP reselection is performed by a P1 router that detects a congestion of traffic on links P1-P4, which uses either a network table or a route (1), route (2), or route (3). Is reselected as a new LSP.

이때, P1 라우터에서의 LSP 재선정 기준은 경로가 짧은 것을 우선 선정하고 및, 트래픽 폭주가 없는 경로를 선정한다.At this time, the LSP reselection criterion in the P1 router first selects a short path and selects a path without congestion.

상기에서 망구조 테이블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리스트(ER)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In the network structure table, as shown in FIG. 7, route list (ER) information is record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구조 테이블의 내용을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a network stru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a는 P1 라우터에 저장된 망구조 테이블의 내용이고, b는 P2 라우터에 저장된 망구조 테이블의 내용이며, c는 P3 테이블에 저장된 망구조 테이블의 내용이고, d는 P4 테이블에 저장된 망구조 테이블의 내용이다.In FIG. 7, a is the content of the network table stored in the P1 router, b is the content of the network table stored in the P2 router, c is the content of the network table stored in the P3 table, and d is the network stored in the P4 table. The contents of the structure table.

상기 각 망구조 테이블은 코어망이 P1, P2, P3, P4 라우터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작성된 것이다.Each network structure table is crea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ore network is composed of only P1, P2, P3, and P4 routers.

도 7에 도시된 각 망구조 테이블을 보면, 각 라우터에는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라우터로의 경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망구조 테이블의 각 줄을 포인트(i)라고 칭하면, 테이블은 포인트(i) 값이 적을수록(즉, 테이블의 상측 위쪽 줄에 해당될수록) 목적지로의 경로가 짧을 것을 기록하며, 포인트(i)가 커질수록 순차적으로 경로가 긴 것들을 기록한다.Referring to each network structure table shown in FIG. 7, each router records route information to the routers other than itself. Here, if each row of the network table is called a point (i), the table records that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point (i) (i.e., the higher the upper row of the table), the shorter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s (i) increases, record long paths sequentially.

코어망 내의 각 라우터는 LSP를 재선정하는 경우에 경로가 제일 짧은 것부터 선정하는 것이 양호하다.Each router in the core network should be selected from the shortest path in case of reselection of the LSP.

이하, 도 4를 참조로 도 3을 실현하는 P1 라우터에서의 LSP 재선정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SP reselection operation in the P1 router that realizes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폭주를 감지한 P 라우터에서의 경로 재선정 과정을 보인 플루우챠트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e-selection process in a P router detecting a congestion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 라우터는 링크(P1-P4)의 트래픽 폭주를 감지하면(S410), 망구조 테이블의 포인트(i)를 초기화화여 i=1이 되게 한다(S411).As shown in FIG. 4, when the P1 router detects the traffic congestion of the links P1-P4 (S410), it initializes the point i of the network table to be i = 1 (S411).

P1 라우터는 초기화 과정(S411)을 수행하고 나면, i=1에 해당하는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지 즉, 목적노드로 가는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12).After performing the initialization process (S411), the P1 router determines whether a bypass path corresponding to i = 1 exists, that is, a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exists (S412).

상기 판단(S412)에서 목적노드로 가는 우회 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면, P1 라우터는 경로 재선정이 불가능해지므로, 종래와 같이 경로 재선정을 소스노드가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P1 라우터는 소스노드로 폭주신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소스노드가 LSP 경로 재선을 하게 한다(S418).If there is no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in the determination (S412), since the route reselection is impossible for the P1 router, the source node performs the route reselection as in the prior art. To this end, the P1 router transmits a congestion report message to the source node to allow the source node to re-renew the LSP path (S418).

그러나, 상기 판단(S412)에서 도 7과 같이 목적노드로 가는 우회 경로가 존재하게 되면, 위에서 첫 번째 줄을 i=1로 선택하고, i=1인 경로(P1-P4)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413).However, if there is a detour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as shown in FIG. 7 in step S412, i = 1 is selected as the first line from abov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hs P1-P4 having i = 1 are valid. (S413).

상기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해당 경로의 트래픽이 폭주되어 있는지 또는 경로에 에러가 있는지를 검사하고 판단하는 것이다.To determine whether the validity is to check and determine whether the traffic of the path is congested or there is an error in the path.

상기 판단에서, P1 라우터는 선택한 i번째 경로가 유효하지 않은 것이라면 i를 하나 증가시킨 후(S416), 다음 경로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417).In this determination, the router P1 increases i by one if the selected i-th path is invalid (S416),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next path (S417).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경로 P1-P4는 유효하지 않으므로, P1 라우터는 다음 포인트(i=2)의 우회 경로인 P1-P2-P4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7, since the paths P1-P4 are not valid, the P1 router will select P1-P2-P4 which is the bypass path of the next point (i = 2).

그런데, 상기 검사(S417)에서 다음 경로가 없으면, P1 라우터는 LSP 재선정이 불가능하므로 소스노드가 LSP 재선정을 하게 한다(S418).However, if there is no next path in the check (S417), since the P1 router cannot reselect the LSP, the source node causes the LSP to reselect (S418).

그러나, 상기 검사(S417)에서 다음 경로가 있으면, P1 라우터는 포인트(i=2)에 해당하는 경로(P1-P2-P3)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과정(S413)을 다시 수행하고,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과정(S416-417)을 반복하고, 유효하면 현재 선택한 경로를 새로운 LSP로 재선정한다.However, if there is a next path in the check (S417), the P1 router again performs a process (S413)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th (P1-P2-P3) corresponding to the point (i = 2) is valid, and if it is not valid The process (S416-417) is repeated, and if valid, reselects the currently selected path as a new LSP.

여기서, P1 라우터는 새로운 LSP를 재선정하기 위해서, 선택한 경로(P1-P2-P3) 경로상의 모든 중간 노드(P2)에게 새로운 LSP 설정 및 대역폭 할당이 가능한지에 대한 메시지를 보낸다(S414).Here, in order to reselect a new LSP, the P1 router sends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new LSP configuration and bandwidth allocation are possible to all intermediate nodes P2 on the selected paths P1-P2-P3.

그런 다음, P1 라우터는 중간 노드(P2)에서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스노드와 새로 설정할 중간노드들(P2)에게 새로운 경로 리스트(ER)를 보내 선택한 우회 경로인 P1-P2-P4를 새로운 LSP로 설정한다(S415).Then, when the P1 router receives the message that the route can be established at the intermediate node P2, the P1 router sends a new route list ER to the source node and the intermediate nodes P2 to be newly set up, thereby selecting P1-P2-. P4 is set to a new LSP (S415).

상기에서, P1 라우터는 상기 과정들(410-418)을 반복하여 후보 경로 리스트 테이블의 마지막 경로까지도 유효한 경로를 찾지 못하면 소스노드에 폭주 신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소스 라우팅을 통해 새로운 LSP를 설정하게 한다.In the above, the P1 router repeats the processes 410-418 to find a valid path up to the last path of the candidate route list table, and sends a congestion notification message to the source node to configure a new LSP through source routing.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망구조 테이블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reating a network structure t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구조 테이블을 만드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1 라우터에서 망구조 테이블을 만드는 것을 보인 테이블 표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net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able table illustrating making a network table in a P1 ro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든 P 라우터(P1 라우터, P2 라우터, P3 라우터 등을 총칭)는 자신의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에 대해 각각의 목적 노드리스트를 만든다(S510).All P routers (P1 routers, P2 routers, and P3 routers collectively) make respective destination node lists for all nodes except their own nodes (S510).

일예로 도 7의 a를 보면, P1 라우터가 나머지 노드인 P2, P3, P4 라우터에 대한 목적 노드리스트가 있는 것과 같다. P2, P3, P4 라우터 또한 P1 라우터와 같이 4개의 목적 노드리스트를 만들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7, it is as if the P1 router has a destination node list for the remaining nodes P2, P3, and P4 routers. P2, P3, and P4 routers will also create a list of four destination nodes, just like P1 routers.

여기서, 모든 P 라우터에서의 망구조 테이블을 만드는 과정이 동일하므로, P1 라우터를 일예로 설명하며, P1 라우터에서 각 목적 노드리스트에 대한 경로 리스트를 만드는 과정 또한 동일하므로 P4를 목적 노드로 하여 후보 리스트를 만드는 과정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 since the process of creating a network table in all P routers is the same, the process of creating a P1 rout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route list for each destination node list in the P1 router is also the same. As an example, the process of making a recipe will be described.

P1 라우터는 각 목적 노드를 만들고 나면, 각 목적 노드에 대하여 링크 및 노드와 각 링크의 상태를 표시한다(S511).After creating the target node, the P1 router displays a link, a node, and a state of each link for each target node (S511).

상기 과정을 도 2와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P1 라우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칸에 자신의 노드를 자신이 소스 노드(SN)라고 SN으로 표기하고, 자신의 노드에 연결된 다음 홉의 링크(L1, L2, L3)를 기록한다. 상기 다음 홉의 링크는 도 2로부터 얻어진 결론이다. 그리고, P1 라우터는 각 링크에 연결된 홉을 1홉 칸에 기록한다. 이때, L3 링크에 연결된 다음 홉이 P4 이므로 P4 대신 목적 노드라고 표시되는 DN을 표시한다. 그런 다음, 각 링크의 상태를 나타내게 되는데, 각 링크의 다음 홉이 목적 노드이면 후보 경로 리스트를 작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홉(next hop)'이라고 표시한다. 도 6의 첫 번째 단계에서 보면, L3 링크가 SN-DN으로 후보 경로 리스트가 지정되었다. 여기서, 다음 홉이 탐색했던 노드가 되면 상태(status) 칸에 'loop 발생'이라고 기록한다.Referring to FIG. 2 and FIG. 6, the P1 router denotes its own node as the source node SN as SN in the node field, and is connected to its node as shown in FIG. 6. Record the next hop link (L1, L2, L3). The next hop link is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FIG. 2. The P1 router records the hops connected to each link in one hop space. At this time, since the next hop connected to the L3 link is P4, the DN indicated as the destination node is displayed instead of P4. Then, the status of each link is displayed. If the next hop of each link is the destination node, a candidate path list is created, otherwise it is marked as 'next hop'. In the first step of FIG. 6, the candidate path list is designated as the L3 link as the SN-DN. Here, when the next hop becomes the searched node, it records 'loop occurrence' in the status column.

P1 라우터는 상기 과정(S511)을 수행하고 나면, 각 링크의 상태 칸을 검사하여 각 링크이 상태가 '다음 홉인'인지를 검사하고(S512), 상태가 '다음 홉'이라면 홉수를 증가시켜(S513), 그 다음 홉의 상태가 무엇인지를 검사한 후 검사 결과로서 상기 과정(S511)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S514).After performing the process (S511), the P1 router checks the status column of each link to check whether each link has a status of 'next hop' (S512), and if the status is 'next hop', increases the number of hops (S513). After checking what the next hop state is, i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process (S511) (S514).

그리고, 상기 과정(S514) 후에 다시 상태 칸에 '다음 홉'인 링크가 있으면 해당 링크에 대하여 상기 과정(S512-514)을 수행한다.After the process (S514), if there is a link having a 'next hop' in the status column, the process (S512-514) is performed on the link.

상기 과정(S512)에서, 상태 칸에 다음 홉이나 loop 발생이라고 기록되지 않은 링크가 있으면, 상기 링크는 도 6에 빗금친 부부과 같이 소스노드와 목적노드가 연결된 링크이며, 이에 따라 P1 라우터는 소스노드와 목적노드가 연결된 링크의 경로를 홉수 또는 라우터 순서, 또는 ID 순서에 따라 망구조 테이블에 후보 경로 리스트로 기록한다(S515).In the process (S512), if there is a link that is not recorded as a next hop or loop occurrence in the status field, the link is a link to which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P1 router is a source node. And the path of the link to which the destination node is connected are recorded as candidate path lists in the network table according to the hop number, router order, or ID order (S515).

이렇게 기록된 결과는 도 7과 같다.The results thus recorded are shown in FIG. 7.

상기 과정(S515)은 목적 노드의 수만큼 기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516-S517).The process S515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number of target nodes is recorded (S516-S517).

상기 반복 과정을 마치면, P1 라우터는 P4 목적 노드에 대한 후보 경로 리스트 작성을 완료한다(S518).After the repetition process, the P1 router completes the preparation of the candidate path list for the P4 target node (S518).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MPLS 백본망내의 코어망에서 링크나 노드의 폭주 발생시에 코어망내에서 해당 링크를 우회하는 후보경로 리스트 정보가 기록된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빠르게 경로 재선정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a fast reselection using a network structure table in which candidate path list information for bypassing a link in a core network is recorded when a link or node congestion occurs in a core network in an MPLS backbone network.

Claims (6)

다수의 P 라우터로 구성된 코어망과, 소스 노드와 연결된 다수의 PE 라우터가 위치하는 에지를 포함하는 MPLS망에서의 경로 재선정 방법에 있어서,In the re-selection method in the MPLS network including a core networ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 routers, and an edge where a plurality of PE routers connected to the source node is located, 하나의 소스노드에 의해 설정된 LSP 상에 위치하는 제1 P 라우터에서 다음 홉으로의 링크가 트래픽 폭주임을 감지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etecting that a link to a next hop is a traffic congestion in a first P router located on an LSP set by one source node;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코어망에 존재하는 상기 LSP의 목적 노드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 노드로의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지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the first P router identifying a destination node of the LSP existing in the core network and confirming whether a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exists by using a network table stored therein; 상기 망구조 테이블에 상기 목적 노드로의 우회 경로가 있으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우회 경로중에서 목적 노드로의 최단 경로인 제1 우회 경로를 선택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the first P router selecting a first bypass path, which is the shortest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from the bypass path if there is a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in the network table;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제1 우회 경로상의 중간노드들에게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물어 확인하는 제4 단계; 및A fourth step of the first P router asking the intermediate nodes on the first bypass path whether or not the first bypass path is valid; And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한 것이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제1 우회 경로를 새로운 LSP로 재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망에서 경로 재선정 방법.And if the first detour path is valid, the first P router re-selects the first detour path to a new LSP.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망구조 테이블은 자신이 저장된 P 라우터를 제외한 동일 코어망내의 나머지 P 라우터들을 목적 노드로 하는 경로 정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망에서 경로 재선정 방법.The network structure table rerouting method in the MPL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te information list for the remaining P routers in the same core network except the P router is stored as the destination nod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5 단계는,The fifth step, 상기 제1 우회 경로상의 중간 노드들로부터 유효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노드 및 상기 새로운 LSP 상의 중간노드들에게 새로운 LSP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우회 경로를 새로운 LSP로 재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망에서 경로 재선정 방법.Receiving a message that is valid from intermediate nodes on the first bypass path, transmitting information of a new LSP to the intermediate nodes on the source node and the new LSP, and converting the first bypass path to a new LSP Resel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selection in the MPLS network.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제2 단계 이후에,After the second step, 상기 망구조 테이블에 우회 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소스노드로 해당 링크의 트래픽 폭주를 알려 상기 소스노드가 새로운 LSP를 재선정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경로 재선정 방법.And if the bypass path does not exist in the network table, the first P router notifies the source node of the congestion of traffic of the corresponding link and causes the source node to reselect a new LSP. Reselection method.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제4 단계 이후에,After the fourth step,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하지 않다면, 상기 제1 라우터가 자신의 망구조 테이블을 조사하여 다른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에서 다른 우회 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소스노드에서 새로운 LSP를 선정하게 하고, 상기 검사에서 다른 우회 경로가 존재하면 존재하는 우회 경로중에서 상기 목적 노드로의 최단 경로인 우회 경로를 제2 우회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제4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망에서 경로 재선정 방법.If the first bypass path is invalid, the first router examines its network table to determine if another bypass path exists; and if the other bypass path does not exist in the check, a new LSP at the source node. Selecting a bypass path, which is the shortest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from among the bypass paths existing as the second bypass path, and performing the fourth step, if another bypass path exists in the inspection. Reselection method in the MPL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컴퓨터에,On your computer, 하나의 소스노드에 의해 설정된 LSP 상에 위치하는 제1 P 라우터에서 다음 홉으로의 링크가 트래픽 폭주임을 감지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etecting that a link to a next hop is a traffic congestion in a first P router located on an LSP set by one source node;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코어망에 존재하는 상기 LSP의 목적 노드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 노드로의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지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망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the first P router identifying a destination node of the LSP existing in the core network and confirming whether a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exists by using a network table stored therein; 상기 망구조 테이블에 상기 목적 노드로의 우회 경로가 있으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우회 경로중에서 목적 노드로의 최단 경로인 제1 우회 경로를 선택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the first P router selecting a first bypass path, which is the shortest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from the bypass path if there is a bypass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in the network table;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제1 우회 경로상의 중간노드들에게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물어 확인하는 제4 단계; 및A fourth step of the first P router asking the intermediate nodes on the first bypass path whether or not the first bypass path is valid; And 상기 제1 우회 경로가 유효한 것이면, 상기 제1 P 라우터가 상기 제1 우회 경로를 새로운 LSP로 재선정하는 제5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nd if the first bypass path is valid, the first P router may execute a fifth step of reselecting the first bypass path to a new LSP.
KR1020020059483A 2002-09-30 2002-09-30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Withdrawn KR200400283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83A KR20040028331A (en) 2002-09-30 2002-09-30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83A KR20040028331A (en) 2002-09-30 2002-09-30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331A true KR20040028331A (en) 2004-04-03

Family

ID=3733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483A Withdrawn KR20040028331A (en) 2002-09-30 2002-09-30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33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24B1 (en) * 2005-12-07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abel switch rout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7580359B2 (en) * 2006-02-14 2009-08-25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maximizing network capacity utilization in multiprotocol label switched networks by moving label switched paths
US7733784B2 (en) 2005-12-07 2010-06-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label switched path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24B1 (en) * 2005-12-07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abel switch rout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7733784B2 (en) 2005-12-07 2010-06-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label switched path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7580359B2 (en) * 2006-02-14 2009-08-25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maximizing network capacity utilization in multiprotocol label switched networks by moving label switched path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307B2 (en) Label switch path routing control method
US7366109B2 (en) Virtual private networks within a packet network having a mesh topology
JP5135748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path setting method
US7139278B2 (en) Routing traffic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787364B2 (en) Control scheme for standby channel route
CN103379032B (en) The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 sub-route computational entity of cross-domain end-to-end route
US20070011284A1 (en) Dynamic distributed method for local protection of a label switching path
EP16753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path
EP2503742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shared mesh protection, equipment and optical network system
WO2007062608A1 (en) A method for realizing the separate routes spanning domains
US7366112B2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node and program
US20050188100A1 (en) Method for local protection of label-switching paths with resource sharing
JP2005252368A (en) Route calculation system, route calcul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US8189610B2 (en) Resource management and recursive path computation for real-time automatic path setup at multi-layer transport network
CA2542045A1 (en) Transparent re-routing of mpls traffic engineering lsps within a link bundle
US71680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network connection provisioning
CN101296178B (en) Inter-domain flux engineering route computing method and route computing device
CN113242179A (en) SDN-based SR path calculation and label stack generation method and SDN controller
US8009677B2 (en) Path set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in network segmented into plurality of areas
CN101072161A (en) Method and device for ensuring virtual special net bandwidth and service quality
JP2009060673A (en) Route calculation system, route calcul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US7639607B2 (en) Signaling system for simultaneously and autonomously setting a spare path
JP2010199882A (en) Communication system, path computation device, path computation method and program
KR20040028331A (en) Method for selecting a new Label Switching Path on MPLS network
CN102264009B (en) Virtual path acquisition method, relevant devices and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