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7996A -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996A
KR20040027996A KR1020020059041A KR20020059041A KR20040027996A KR 20040027996 A KR20040027996 A KR 20040027996A KR 1020020059041 A KR1020020059041 A KR 1020020059041A KR 20020059041 A KR20020059041 A KR 20020059041A KR 20040027996 A KR20040027996 A KR 2004002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video
signal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996A/en
Publication of KR2004002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99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동영상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콤포지트 영상신호, S-비디오 영상신호 및 콤포넌트 영상신호 방식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변환기와, 비디오 신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변환된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signal external interface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processor for processing a video, wherein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or receives a composite video signal, an S-video video signal, and a component video signal system. And an interface connector including a video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video signal of at least one preset method, and a terminal for interfacing at least on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signal converter to an external device. .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를 외부로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내부 동영상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단말기의 외부 기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terfacing a video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in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like, in particular,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ed by an internal video processor in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device.

일반적으로,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통화에 관련된 부분은 외부 기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구현되었고, 또한 연결되는 외부 기기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사용자가 안전 운전과 보다 편리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어 이동전화를 고정하고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일명' 핸즈 프리 키트(Hands Free Kit)'을 들 수 있다.In general, in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device have been implemented, and various connected external devices have been proposed. This includes a so-called 'Hands Free Kit' installed in a vehicle to allow a user to safely drive and make a convenient call, and to fix a mobile phone and interface a voice signal.

그런데, 영상부분에서는 제2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 내장된 흑백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의 전화번호나 간단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하였고, 이에 따라 이러한 영상신호를 외부기기를 통해 내보낼 필요를 느끼지 못하였다. 즉,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색 흑백 LCD를 이용한 문자 또는 아이콘 디스플레이와 PCM(Pulse Code Modulation) 모노 음성 통화만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외부 기기와 인터페이스하는 등 확장에 대한 필요성이 거의 요구되지 않았다.However, in the video portion, the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ypically displays a phone number or an icon representing a simpl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using a built-in black and white LCD (Liquid Crystal Display). Did not feel the need to export through. That is, the existing 2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ired only a text or icon display using a monochrome monochrome LCD and a PCM (Pulse Code Modulation) mono voice call, so that the need for expansion such as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device was hardly required.

그런데, 최근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혁신적으로 발전된 부분 중에 한 분야가 내장된 천연색 고화질 LCD를 사용하여 동영상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2.5세대 이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전해 가면서 단순히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외부기기에 내보내기 위한 방식으로, 단말기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이용해 디지털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이와 연결되어 이러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별도의 신호변환장치와 모니터 구동장치를 구비한 별도의 외부 기기가 제안되었다.However, as the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ntly developed, one of the innovative developments is to implement a video display using a color high-definition LCD having a built-in field. Howev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elops to more than 2.5 generations, a digital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using a USB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of the terminal simply by exporting a still image or a video to an external device. In order to display an image signal, a separate external device having a separate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a monitor driving device has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기 및 외부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 예시도로서, 이동전화기(110)에 대한 구성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전화기(109)는 이동전화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흑백 LCD(112)를 구비한다. RF부(118)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되도록 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증폭 처리한다. 이동전화기의 제어부인 이동국 모뎀장치(MSM: Mobile Station Modem)(116)는 이동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RF부(118) 및 흑백 LCD(112)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전화기(110)에는 또한 외부 기기중 모노 이어폰/마이크(120)와 연결되어 PCM 모노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 잭(114)이 구비되며, 또한 USB포트 및/또는 RS232C 포트를 구비하여 외부 기기중 자동차용 핸즈프리 키트(130)에 PCM 모노 음성 신호를 제공하며, 외부 영상 기기(14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119)가 구비된다. 이외에도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전화기(110)에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및 다수의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 키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for an external interface of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lephone 110 is disclosed. Referring to Fig. 1, mobile phone 109 has a black and white LCD 112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phone. The RF unit 118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d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e mobile station modem (MSM) 116, which is a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s a whole and is connected to the RF unit 118 and the monochrome LCD 112 to process voice signals and video signals. Do this. The mobile phone 110 is also equipped with an earphone jack 114 for providing a PCM mono voice signal connected to the mono earphone / microphone 120 of the external device, and also provided with an external USB port and / or RS232C port The device provides a PCM mono audio signal to the hands-free kit 130 for an automobile, and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connector 119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video device 14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mobile telephone 110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a speaker,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이때, 인터페이스 커넥터(119)를 통해 외부 영상 기기(140)와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이동전화기는 영상 신호를 인터페이스 커넥터(119)의 USB 단자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장치(14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외부 영상 장치(140)는 이러한 영상 신호를 적절히 신호 변환하며, 모니터(144)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142)가 구비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external video device 140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119, the mobile phone transmits a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video device 140 using the USB terminal of the interface connector 119. In this case, the external imaging device 140 properly converts the video signal, and the device 142 for driving the monitor 144 is provided.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USB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 기기와 인터페이스 하였으며, 외부 영상 기기에는 영상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추가 장치 등이 구비되어야만 했다. 또한 이러한 외부 영상 기기는 확장성 면에서도 단순히 모니터와 TV정도로 제한되어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faces with an external video device using a USB, and the external video device should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device for converting a video signal. In addition, these external video devices are limited to monitors and TVs in terms of scal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천연색 칼라 디스플레이 기능을 최대한으로 확장하여 응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천연색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LCD)의 크기는 한계가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다 크게하여 보기를 원하는 경우에, 이러한 단말기에 외부 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여 이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and apply the color display function to the third generation mobile terminal to the maximum extent, and the size of the color display device (LCD) mounted on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mited, and thus is displayed. When a larger image is desired to be view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through an external high-definition larg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such a terminal provides a video signal external interface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비디오 신호 변환기를 추가하여 동영상 프로세서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기기에서 요구되는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방식을 구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video signal converter inside the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a video processor, converts it into a signal required by an external device, and connects it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n appropriate interface. Implement the way.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동영상 프로세서가 내부 비디오 신호변환기와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외부 영상 기기가 필요로 하는 신호인 Y, Cb, Cr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출력하도록 하며, 이때 영상 신호규격과 호환되는 모든 영상기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는 Y단자 Cb단자 Cr단자가 추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외부 영상 기기는 별도의 신호변환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internal video process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video signal converter to convert the video signal into Y, Cb, Cr signals, which are required by the external video device, and output the signals directly through the interface. Make sure to connect all video device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Y terminal Cb terminal Cr terminal is add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xternal video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ignal conversion devic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기 및 외부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 예시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for an external interface of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기 및 외부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for an external interface of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관련부의 영상 신호 입출력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video signal input / output of an associated unit for an external interface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se specific details may be chang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기 및 외부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전화기(210)에 대한 구성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전화기(209)는 이동전화기의 동작 상태 및 칼라 카메라(211)에서 입력된 영상이나 다양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칼라 LCD(212)를 구비한다. 디지털 칼라 카메라(211)는 별도의 접속 모듈 또는 단말기 내장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 소자를 통해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에 대한 영상 신호를 발생한다. 동영상 프로세서(213)는 칼라 카메라(211)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미리 설정된 각종 영상 신호 처리를 통해 적절한 포맷의 영상 신호로 생성하여 칼라 LCD(212)를 통해 출력하거나 MSM(216)으로 제공한다. RF부(218)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되도록 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증폭 처리한다. 이동전화기의 제어부인 이동국 모뎀장치(MSM: Mobile Station Modem)(216)는 이동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RF부(218) 및 동영상 프로세서(213)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전화기(210)에는 또한 이어폰 잭(214)을 통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이파이 오디오 코덱(215)이 구비되며,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로세서(21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미리 설정된 다양한 영상 신호 출력 포맷으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 커넥터(219)를 통해 외부 기기(220)로 출력토록 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변환기(217)가 구비된다. 인터페이스 커넥터(219)는 상기 비디오 신호 변환기(217)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영상 신호 출력 포맷에 따른 출력 단자를 구비하여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 인터페이스 한다. 이외에도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전화기(210)에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및 다수의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 키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for an external interface of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lephone 210 is disclosed.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lephone 209 includes a color LCD 212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lephone and an image or various images input from the color camera 211. The digital color camera 211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nnection module or a built-in terminal module, and photographs an external subject through an imaging device to generate an image signal thereof. The video processor 213 generate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olor camera 211 into an image signal having an appropriate format through various preset image signal processing,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hrough the color LCD 212 or provides the image signal to the MSM 216. The RF unit 218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d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e mobile station modem (MSM) 216, which is a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is connected to the RF unit 218 and the video processor 213 to process voice signals and video signals. Do this. The mobile phone 210 is also provided with a hi-fi audio codec 215 for outputting a stereo audio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214, and also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or 213 A video signal converter 217 for converting the signal into various preset video signal output formats to be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220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219 is provided. The interface connector 219 has an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various video signal output formats provided by the video signal converter 217 to interface the video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mobile telephone 210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a speaker,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전화기(210)에서 비디오 신호 변환기(217)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비디오 신호 변환기(217)는 동영상 프로세서(213)에서 디지털 고화질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콤포지트 영상신호(YUV가 통합된 한 개의 신호), S-비디오 신호(Y신호, UV신호의 두 개로 분리된 신호), 콤포넌트 신호(Y신호, Cb신호, Cr신호의 세 개로 분리된 신호)로 변환한다. 인터페이스 커넥터(219)는 이러한 콤포지트 영상신호, S-비디오 신호 및 콤포넌트 신호를 외부 기기(220)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한다.Looking at the video signal converter 217 in more detail in the mobile phone 2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video signal converter 217 receives a digital high-definition video signal from the video processor 213 as long as the composite video signal (YUV is integrated) Signal), an S-video signal (Y signal, a signal separated into two UV signals), and a component signal (Y signal, a signal separated into three signals, a Cb signal and a Cr signal). The interface connector 219 has a terminal for connecting the composite video signal, the S-video signal, and the component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220.

콤포지트(CVBS, Composite) 영상 신호는 인간의 눈이 채도보다는 휘도에 더민감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개발된 YUV 신호로서, Y와 UV신호를 하나의 케이블에 합쳐서 전송하는 방식을 콤포지트 방식이라 한다. 여기서 Y신호는 휘도신호로써 밝고 어두움의 정도를 나타내며, UV(색상신호)신호는 채도로써 적색과 청색으로 표현되는 색의 정도를 가리킨다. 이러한 방식의 신호 처리는 종래 흑백 TV에서 컬러 TV로의 전환을 간단하게 진행시켜 주었다. 이러한 콤포지트 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 출력 방법 중 하나이며, 아날로그 비디오의 가장 단순한 연결 타입이다. 이는 하나의 케이블을 이용해 휘도 신호와 칼라 신호를 합친(composited)후 동시에 전송하는 식이다. 하지만 이처럼 두 가지 신호를 한 케이블을 이용해 전송하기 때문에 화질이 가장 많이 떨어진다. 또한 코딩 기준에 따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PAL(Phase Alternation by Line), SECAM(Systems Equential Couleur A Memoire) 등으로 나뉘며 국내에서는 주로 NTSC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Composite (VVBS) video signal is a YUV signal developed by the fact that the human eye is more sensitive to luminance than saturation, and the Y and UV signals are combined and transmitted in a single cable. Here, the Y signal indicates the degree of light and dark as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UV (color signal) signal indicates the degree of color represented by red and blue as saturation. Signal processing in this manner has simplified the transition from conventional black and white TVs to color TVs. This composite metho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video output methods and is the simplest connection type of analog video. This combines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color signal using one cable and transmits them simultaneously. However, because these two signals are transmitted using one cable, the image quality is the worst.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PAL (Phase Alternation by Line), SECAM (Systems Equential Couleur A Memoire) according to coding standards.

S-비디오 방식은 Y신호와 UV신호를 각각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때문에 상기 콤포지트 방식 보다 깨끗한 화질 구현이 가능하다. S-비디오는 4핀의 Din 단자를 커넥터로 사용하고 있다.The S-video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Y signal and the UV signal separately. As a result, a cleaner image quality can be realized than the composite method. S-Video uses a 4-pin Din terminal as a connector.

콤포넌트(Component) 영상 신호 방식은 현재 가정의 DVD 시스템에서 선명한 화질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 방식으로 S-비디오보다 한 단계 진보하여 YUV의 Y(휘도), Cb(색차신호 = B-y), Cr(색차신호 = R-y)의 각각의 신호를 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콤포지트나 S-비디오 방식과는 달리 3개의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에 사용되는 커넥터로는 콤포지트와 같은RCA(Radio Corporation of America cables) 타입을 사용하며 각각 Y, Cb, Cr 세 단자를 따로 사용한다.Component video signal method is a connection method to enjoy clear picture quality in current home DVD system. It is one step higher than S-video, so that YUV, Y (luminance) and Cb (color difference signal = By) of YUV. , Cr (color difference signal = Ry), each signal is transmitted separately. Therefore, unlike the composite or S-video method, three cables are used. For this purpose, RCA (Radio Corporation of America cables) types such as composites are used as connectors for external devices, and three Y, Cb, and Cr terminals are used separately.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디오 신호 변환기(217)의 입력은 디지털 YUV신호가 되며 출력은 콤포지트 영상신호, S-비디오 영상신호, 콤포넌트 영상신호로 구성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input of the video signal converter 217 as shown in FIG. 2 is a digital YUV signal, and the output is composed of a composite video signal, an S-video video signal, and a component video signa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2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관련부의 영상 신호 입출력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전화기(210) 내부의 영상신호는 동영상 프로세서(213)에서 출력되는 8비트 또는 16비트 디지털 영상신호이며, 이는 비디오 신호변환기(217)에 입력된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video signal input and output of an associated unit for an external interface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video signal inside the mobile phone 210 is an 8-bit or 16-bit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or 213, which is input to the video signal converter 217.

비디오 신호변환기(217)는 다음 세 가지 모드로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첫 번째는 휘도(Y)와 색상(UV)이 합쳐진 한가지 신호라인을 갖는 콤포지트 영상신호의 출력모드이다. 두 번째는 휘도(Y)와 색상(UV)이 분리된 두가지 신호라인을 갖는 S-비디오 영상신호 출력모드이다. 세 번째는 휘도(Y)와 색상(Cb) ,색상(Cr)이 세가지로 각각 분리된 콤포넌트 영상신호 출력모드이다. 각각의 변환된 영상신호는 3세대 이동전화기(21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219)를 통하여 외부 기기(220)의 신호규격에 맞는 VTR, TV, DVD, 프로젝터,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등에 제공된다.The video signal converter 217 converts and outputs an image signal in three modes. The first is an output mode of a composite video signal having one signal line in which luminance (Y) and color (UV) are combined. The second is an S-video video signal output mode with two signal lines separated by luminance (Y) and color (UV). The third is a component video signal output mode in which luminance (Y), color (Cb), and color (Cr) are separated into three. Each converted video signal is provided to a VTR, a TV, a DVD, a projector,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etc. that meet the signal specifications of the external device 220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219 of the third generation mobile phone 210.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3세대 이동전화기(210)에서는 상기와 같이 고화질 영상신호와 더불어 하이파이 오디오 코덱(215) 및 이어폰 잭(214)을 통해 하이파이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입출력하여 외부장치와 연결하게 하여, 보다 고음질의 음성신호를 입출력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3rd generation mobile telephone 2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hi-fi audio signal is inputted and outpu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i-fi audio codec 215 and the earphone jack 214 together with the high-definition video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reb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Input and output high quality voice signal.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성 및 동작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video signal external interface device may be configured and oper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는 예를 들어 3세대 이동전화기 특징인 동영상 통화의 경우나 화상회의 또는 영화 관람 경우 등에 외부 스피커 및 앰프와 연결하고 프로젝터, TV, DVD, 컴퓨터 및 캠코더 등 외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ignal external interface devic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peaker and an amplifier, such as a video call or a video conference or movie watching, for example, a third generation mobile phone. It can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DVDs, computers, and camcorders, thereby displaying images and outputting audio signals.

Claims (3)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동영상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In the video signal external interface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processor for processing a video, 상기 동영상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변환기와,A video signal converter which receives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or and converts the video signal into at least one preset video signal; 상기 비디오 신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변환된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an interfac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for interfacing at least on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signal converter to an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변환기의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환은 콤포지트 영상신호, S-비디오 영상신호 및 콤포넌트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신호로의 변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interfac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ideo signal converter converts the video signal into at least one of a composite video signal, an S-video video signal, and a component video sig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이파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하이파이 오디오 코덱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hi-fi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hi-fi audi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KR1020020059041A 2002-09-28 2002-09-28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Withdrawn KR200400279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041A KR20040027996A (en) 2002-09-28 2002-09-28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041A KR20040027996A (en) 2002-09-28 2002-09-28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996A true KR20040027996A (en) 2004-04-03

Family

ID=3733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041A Withdrawn KR20040027996A (en) 2002-09-28 2002-09-28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99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3451B2 (en) 2004-07-16 2014-12-02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729918B2 (en) 2004-07-16 2017-08-08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3451B2 (en) 2004-07-16 2014-12-02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948814B1 (en) 2004-07-16 2015-02-03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118794B2 (en) 2004-07-16 2015-08-25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286853B2 (en) 2004-07-16 2016-03-15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355611B1 (en) 2004-07-16 2016-05-31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589531B2 (en) 2004-07-16 2017-03-07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729918B2 (en) 2004-07-16 2017-08-08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9912983B2 (en) 2004-07-16 2018-03-06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9942798B2 (en) 2004-07-16 2018-04-10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10104425B2 (en) 2004-07-16 2018-10-16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10136179B2 (en) 2004-07-16 2018-11-20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10368125B2 (en) 2004-07-16 2019-07-30 Innovation Science LL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10469898B2 (en) 2004-07-16 2019-11-05 Innovation Sciences, Ll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11109094B2 (en) 2004-07-16 2021-08-31 TieJun Wang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6115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50174488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from a remote electronic device
US2003004329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single video input of an electronic audio/visual signal receiver as an input for multiple video signal formats
KR101469838B1 (en) Image sensor and observing system having the same
JPH09233483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igital color video signal
US7590227B2 (en) Video-ready internet telephone
KR20040027996A (en) Apparatus for image signal Interfacing with external part in mobile station
KR10063309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optimal external input
CN100593942C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multiple image signal
US20050028209A1 (en) Method in a digital mobile station, a digital mobile station, application software, and a system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KR101025672B1 (e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KR1011506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image and sound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H02104080A (en) Still image videophone device
KR101050609B1 (en) Video signal output interface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95931Y1 (en) Mobile phone
KR100299984B1 (en) Video signal input and output device of digital tv
KR100678033B1 (en) How to Perform Camera Functions of Your Mobile Device
KR2004005747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therein and method of photographing using the digital camera
KR20020008858A (en) Video 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310047B1 (en)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ideo signal of digital tv
US20050105005A1 (en) Image transferring device connected to a display
EP1211899A1 (en)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40100459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video cable using ear microphone jack of mobile phone
KR19980028454A (en) Multifunction television
JPH0340585A (en) Videopho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