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117Y1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4117Y1 KR200324117Y1 KR20-2003-0011147U KR20030011147U KR200324117Y1 KR 200324117 Y1 KR200324117 Y1 KR 200324117Y1 KR 20030011147 U KR20030011147 U KR 20030011147U KR 200324117 Y1 KR200324117 Y1 KR 2003241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alarm
- signal
- board
- extinguish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P형 일급 수신기가 경보 작동을 취할 시 이와 연동하여 고유의 RF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고유의 RF신호를 건물 수곳에 위치한 소화기와 같은 진화기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수신함과 동시에 음과 불빛을 발하여 곳곳에 비치된 진화기의 위치를 사람들이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unique RF signal in conjunction with a P-type first-class receiver that detects a fire in case of an alarm,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unique RF signal in an extinguisher such as a fire extinguisher located in several build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system for identifying fire extinguishers that can extinguish a fire early by allowing people to quickly and easily grasp positions of fire extinguishers located throughout the area by receiving sound and light.
특히, 건물 내의 벽부에 설치되어 있어 방호 대상물의 임의구역 내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 발하여진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지점을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 음향 및 조명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되, 이와 같은 화재 신호를 수신시 동시에 화재 경보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TX 보드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P형 일급 수신기와; 상기, 알람 TX 보드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시 경고 음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안개 투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알람 RX 보드와 알람장치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소화기 지지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it is designed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detector or transmitter in any area of the protection target to indicate the place of fire and to activate the alarm sound and lighting. P-type first-class receiver having an integrated alarm TX board for generating a fire alarm RF signal at the same time receiving;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alarm RX board, an alarm device, and a fog viewing lantern device to generate a warning sound upon receiv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alarm TX board and to light a fog perspective 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재 현장에서 진화기의 식별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소방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P형 일급 수신기가 경보 작동을 취할 시 이와 연동하여 고유의 RF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고유의 RF신호를 건물 수곳에 위치한 소화기와 같은 진화기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수신토록 함과 동시에 음과 불빛을 발하여 곳곳에 비치된 진화기의 위치를 사람들이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facility that makes it easy to identify the fire extinguisher at a fire sit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P-type first-class receiver that detects a fire occurs in response to an alarm operation, an inherent RF signal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unique RF signal generated at the same time from the fire extinguishers located in several buildings at the same time, and to emit sound and light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fire-fighting facil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fire extinguishers that enables them to identify fires so they can extinguish the fire early.
일반적으로 소방시설이란 화재발생시 화재발생 사실을 탐지하여 주위에 통보하는 시설과 이를 소화하기 위한 일련의 시설 그리고, 피해가 우려되는 소화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시설 및 소방대의 소화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시설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방용수설비 및 소화활동설비로 구분된다.In general, a fire-fighting facility is a facility that detects and notifies a fire occurrence in case of fire, a series of facilities to extinguish it, a facility to secure water necessary for extinguishing a fire, and a fire brigade to assist fire fighting. It is a generic term for facilities such a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larm equipment, evacuation equipment, fire fighting water equipment and fire fighting activity equipment.
이중 소화설비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옥내와 옥외에 설치되는 소화기구 및 스프링쿨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보설비는 건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단계에서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consists of fire extinguishers and sprinklers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that we know well, and the alarm system detects the heat, smoke or flames generated by the fire in the early stages of the fire in the building. Automatically detects fire and alarms people or occupants in the building by sound devices such as bells or sirens, and consists of receivers, detectors, transmitters, and sound devices.
여기서, 상기 소화설비는 화재의 초기 진압에 가장 요긴하게 사용되는 설비로 일반 가정집을 포함하여 건물 등의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설비이다.Here, the fire-extinguishing equipment is the equipment most often used for the initial suppression of fire, and is a facility commonly foun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a general home.
그러나, 이러한 소화설비 중 수동식 소화기는 일반인에게 가장 널리 이용되는 설비이나 화재시에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However, among thes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manual fire extinguishers are the most widely used equipment for the general public, but are often not effectively used in a fire.
이유는 화재시 동반되는 다량의 스모그에 의해 비치된 위치를 정확히 식별할 수 없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ocation provided by the large amount of smog accompanying the fire cannot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thus cannot be used effectively.
이에 따라 얼마전 본원 출원인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소방시설이 출원(출원번호20-2002-0008065)된 바 있다.Accordingly, a firefighting facility has been filed (Application No. 20-2002-0008065)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는 소화기를 거치 하는 지지대에 화재시 전달되어 오는 열이나 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자동감지 한 후 램프나 부저를 점등 또는 울려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이 소화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t automatically detects at least one of the heat or smoke that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through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the fire sensor, and then lights up or rings the lamp or buzzer so that people nearby can easily locate the fire extinguisher. It is.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열 또는 연기의 감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정 근접부위까지 화재가 진행되어야만 작동을 취하는 문제로 다소 거리가 있는 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시에는 이미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키므로 효과적인 진화에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takes place only when the fire has to go up to a certain proximate part where heat or smoke can be detected. When a fire occurs in another space which is far away, an alarm sound o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for effective fire extinguishing alarm lamp.
즉, 상술한 소화설비는 조기 진화에 이용하지 않으면 사실상 큰 효과를 볼 수 없는 설비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an be said to be a facility that does not have a great effect unless it is used for early evolution.
또한, 소화기를 안치하는 모든 지지대 내에 각각 화재감지센서(열감지센서,연기감지센서)를 설치해 주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구매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 (heat detection sensor, smoke detection sensor) must be installed in each of the support for holding the fire extinguisher,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f the buyer by causing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P형 일급 수신기가 경보 작동을 취할 시 이와 연동하여 고유의 RF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고유의 RF신호를 건물 수곳에 위치한 소화기와 같은 진화기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수신토록 함과 동시에 음과 불빛을 발하여 곳곳에 비치된 진화기의 위치를 사람들이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is to generate a unique RF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is when the P-type first-class receiver that detects the fire occurs when the alarm is activated, By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unique RF signal generated by the extinguishers such as fire extinguishers located in various places of the building simultaneously, it emits sound and light so that people can quickly and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extinguishers located in various places. It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fire extinguishers that enables the fire to extinguish earl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건물 내의 벽부에 설치되어 있어 방호 대상물의 임의구역 내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 발하여진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지점을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 음향 및 조명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되, 이와 같은 화재 신호를 수신시 동시에 화재 경보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TX 보드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P형 일급 수신기;It is installed in the wall of the building to receive signals from detectors or transmitters in any area of the object to be protected and to indicate the place of fire and to activate alarm sound and lighting. P-type first-class receiver having an integrated alarm TX board for generating a fire alarm RF signal at the same time;
상기, 알람 TX 보드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시 경고 음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안개 투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알람 RX 보드와 알람장치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소화기 지지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alarm RX board, an alarm device, and a fog viewing lantern device to generate a warning sound upon receiv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alarm TX board and to light a fog perspective lighting. It is configured b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전체 구성을 개략 도시한 구성도.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송신부 구성을 개략 도시한 결선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figh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수신부 구성을 개략 도시한 구성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unit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송신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수신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Figure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감지기 2 : 발신기1: detector 2: transmitter
3 : P형 일급 수신기 4 : 소화기3: P type first class receiver 4: fire extinguisher
5 : 지지대 6a : 주벨5: support 6a: jubel
6b : 지구벨 6c : 점멸등6b: Earth Bell 6c: Blinker
10 : 알람 TX 보드 20 : 알람 RX 보드10: Alarm TX Board 20: Alarm RX Board
21 : 알람장치 22 : 안개 투시 랜턴장치21: alarm device 22: fog sight lantern device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전체 구성을 개략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송신부 구성을 개략 도시한 결선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수신부 구성을 개략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송신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의 수신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fi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unit of the fire extinguisher for fire extingu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of the fire extinguisher for identifying fire extingu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receiver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의 벽부에 설치되어 있어 방호 대상물의 임의구역 내 감지기(1) 또는 발신기(2)로 발하여진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지점을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되, 이와 같은 화재 신호를 수신시 동시에 고유의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TX 보드(10)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P형 일급 수신기(3)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it is design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detector (1) or transmitter (2) in any area of the object to be protected an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o operate the sound system. However, the P-type first-class receiver 3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alarm TX board 10 that generates a unique RF signal upon receiving such a fire signal.
또한, 상기, P형 일급 수신기(3)와는 별도의 물품으로 제작되어 있지만 알람 TX 보드(10)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시 경고 음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안개 투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알람 RX 보드(20)와 알람장치(21)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2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소화기(4) 지지대(5)가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manufactured as a separate article from the P-type first-class receiver (3), the alarm RX boar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upon receiv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alarm TX board 10 and to light the fog perspective lighting The fire extinguisher 4 support stand 5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20, the alarm apparatus 21, and the fog sight lantern apparatus 22 is comprised.
참고로 상기 P형 일급 수신기(3)와 알람 TX 보드(10) 및 알람 RX 보드(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만을 참조하여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P-type first-class receiver 3, the alarm TX board 10, and the alarm RX board 20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omitted.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본 고안을 알기 쉽게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기존의 P형 일급 수신기(3)와 초기 진화기 용도로 사용되는 소화기(4) 등을 안치해 놓는 지지대(5) 등에 별도 설치되어 상기 P형 일급 수신기(3)가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 작동을 취할 시 이와 연동하여 고유의 RF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고유의 RF신호를 건물 수곳에 위치한 소화기(4)와 같은 진화기가 안치된 지지대(5)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수신토록 함과 동시에 알람장치(21)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22)를 통해 음과 불빛을 발하여 건물 내부의 곳곳에 비치된 진화기의 위치를 사람들이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초기 진화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작용을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described in brief, which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support (5) for placing the existing P-type first-class receiver (3) and the fire extinguisher (4) used for the initial fire extinguisher, etc. When the receiver 3 detects a fire and takes an alarm action, it generates a unique RF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and a support having a fire extinguisher such as a fire extinguisher 4 located at several places in the building is placed therein.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located in various places inside the building by emitting sound and light through the alarm device 21 and the fog sight lantern device 22 at the same time. It is used to make effective use in early firefighting in case of fire.
즉, 열 또는 연기의 감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정 근접부위까지 화재가 진행되어야만 작동을 취하는 문제로 다소 거리가 있는 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시에는 이미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키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초기 진화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a fire occurs in a space that is a little distance away, the alarm or alarm lamp should be operated only after the fire has already progressed considerably. This is because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early evolu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또한, 소화기(4)를 안치하는 모든 지지대(5) 내에 화재감지센서(열감지센서,연기감지센서)를 설치해 주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품의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fire sensor (heat sensor, smoke sensor) in all the support 5 to the fire extinguisher (4) serves to prevent unnecessary manufacturing cost increase of the product in advance.
여기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으로 인해 방호 대상물의 임의구역 내 감지기(1) 또는 발신기(2)로 발하여진 신호가 P형 일급 수신기(3)에 전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detector 1 or the transmitter 2 in any zone of the protection target due to the fire is transmitted to the P-type first-class receiver 3.
즉, P형 일급 수신기(3)에 화재 신호가 접수되면 이 P형 일급 수신기(3) 내에 일체로 마련된 각종 경보기(주벨(6a), 지구벨(6b), 점멸등(6c))에 DC 24V의 공급이 자동으로 취해져 경보 동작을 취하게 된다.That is, 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by the P-type primary receiver 3, the various alarms (the bell 6a, the earth bell 6b, the flashing light 6c)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P-type primary receiver 3 are connected to the DC 24V. The supply is taken automatically and an alarm action is taken.
이때, 이러한 경보 동작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은 동시에 송신보드라 칭할 수 있는 알람 TX 보드(10)에 인가되어 알람 TX 보드(10)에 지정된 어드레스와 데이터의 신호를 RF MODULE을 통해 건물내에 전파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wer to enable the alarm operation is applied to the alarm TX board 10, which can be called a transmission board at the same time to propagate the signal of the address and data specified in the alarm TX board 10 in the building through the RF module. do.
그리고, 이렇게 건물 내에 전파된 신호는 소화기와 같은 진화기를 비치하여 놓는 곳곳의 지지대(5) 내에 장착된 수신보드라 칭할 수 있는 알람 RX 보드(20)에서 수신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pagated in the building is received by the alarm RX board 20, which may be called a reception board mounted in the support 5 where the fire extinguisher such as a fire extinguisher is provided.
이때, 상기 알람 RX 보드(20)에 전달되는 RF신호는 디코더를 거쳐 프로세서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신호는 출력프로그램에 의해 출력단에 연결된 알람장치(21)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22)를 외부로 울림과 동시에 점멸시킨다.In this case, the RF signal transmitted to the alarm RX board 20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through a decoder,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alarm device 21 and the fog viewing lantern device 2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by the output program to the outside. Flashes at the same time as ringing.
한편, 이러한 경보 신호의 정보는 송신부에서 화재경보신호가 OFF될시 자동으로 정지되게 된다.Meanwhile, the information of the alarm signal is automatically stopped when the fire alarm signal is turned off at the transmitter.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must be understoo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기존의 P형 일급 수신기와 초기 진화기 용도로 사용되는 소화기 등을 안치해 놓는 지지대 등에 별도 설치되어 상기 P형 일급 수신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 작동을 취할 시 이와 연동하여 고유의 RF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고유의 RF신호를 건물 수곳에 위치한 소화기와 같은 진화기가 안치된 지지대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수신토록 함과 동시에 알람장치 및 안개 투시 랜턴장치를 통해 음과 불빛을 발하여 건물 내부의 곳곳에 비치된 진화기의 위치를 사람들이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초기 진화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at is, it is installed separately in the support that holds the existing P-type first-class receiver and the fire extinguisher used for the initial fire extinguisher, and when the P-type first-class receiver detects a fire and takes an alarm action, it interlocks with the unique RF signal. And receive the unique RF signal generated by the fire extinguisher such as a fire extinguisher located in several places at the same time, and simultaneously emit sound and light through the alarm device and the fog sight lantern device.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s located in various places allows people to quickly and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thus providing an effect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early stage of fire.
즉, 열 또는 연기의 감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정 근접부위까지 화재가 진행되어야만 작동을 취하는 문제로 다소 거리가 있는 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시에는 이미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키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초기 진화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a fire occurs in a space that is a little distance away, the alarm or alarm lamp should be operated only after the fire has already progressed considerably. This is because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early evolu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또한, 소화기를 안치하는 모든 지지대 내에 화재감지센서(열감지센서,연기감지센서)를 설치해 주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품의 불필요한 제조원가 상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fire detection sensor (heat sensor, smoke sensor) in all the support holding the fire extinguisher,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unnecessary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in advanc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1147U KR200324117Y1 (en) | 2003-04-11 | 2003-04-11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1147U KR200324117Y1 (en) | 2003-04-11 | 2003-04-11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2944A Division KR20040089249A (en) | 2003-04-11 | 2003-04-11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4117Y1 true KR200324117Y1 (en) | 2003-08-21 |
Family
ID=4941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1147U Ceased KR200324117Y1 (en) | 2003-04-11 | 2003-04-11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4117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480U (en) * | 2017-04-06 | 2017-04-26 | 강선욱 | Portable fire fighting system |
KR102465170B1 (en) | 2021-12-30 | 2022-11-10 |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device of a road tunnel using RF communication |
-
2003
- 2003-04-11 KR KR20-2003-0011147U patent/KR200324117Y1/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480U (en) * | 2017-04-06 | 2017-04-26 | 강선욱 | Portable fire fighting system |
KR200484889Y1 (en) | 2017-04-06 | 2017-11-03 | 강선욱 | Portable fire fighting system |
KR102465170B1 (en) | 2021-12-30 | 2022-11-10 |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device of a road tunnel using RF commun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34161C2 (en) | Public safety network system equipped with portable lights for wireless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 |
US7576659B2 (en) | Smoke detection and laser escape indication system utilizing base and satellite | |
US5952919A (en) | Fire extinguisher alarm system | |
KR101049796B1 (en) | Fire f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US6545608B1 (en) | Smoking rules enforcement apparatus | |
TW200532592A (en) | Integrated fire exit alert system | |
TWM610476U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detection fire extinguisher system | |
KR101775770B1 (en) | Emergency warning alarm function for fire | |
KR200324117Y1 (en)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
JP2016140414A (en) | Automatic fire alarm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 |
JPH09108382A (en) | Fire extinguishing system | |
KR20040089249A (en) | Discernment of extinguish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
KR200358354Y1 (en) | Sounds announce apparatus of a fire extinguisher maintenance holder | |
KR20120126940A (en) | Firefighting Device | |
CN214763033U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detection fire extinguisher system | |
US6972679B2 (en) | Multi-processor burglar-proof apparatus | |
KR100267257B1 (en) | An extinguish box system with a function of language message and back light | |
US10311688B1 (en) | System for alerting and guiding rescue personnel to a building | |
CN114681850A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detection fire extinguisher system | |
JP6566790B2 (en) | Alarm system | |
JPH07155393A (en) | Disaster protection system | |
KR102726067B1 (en) | Automatic alarm notification system in case of fire in an apartment building | |
TWI755205B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detection fire extinguisher system | |
KR102465170B1 (en) | Fire extinguisher identification device of a road tunnel using RF communication | |
KR20200112318A (en) | Multifunctio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or disaster safe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1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8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8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3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UC2102 | Extinguishment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9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211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