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4924A -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924A
KR20030004924A KR1020010040679A KR20010040679A KR20030004924A KR 20030004924 A KR20030004924 A KR 20030004924A KR 1020010040679 A KR1020010040679 A KR 1020010040679A KR 20010040679 A KR20010040679 A KR 20010040679A KR 20030004924 A KR20030004924 A KR 2003000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information
schedule
subscriber
voice signal
data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하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Priority to KR102001004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924A/en
Publication of KR2003000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92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방법은 (a)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일정정보를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일정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따라서, 본 발명은 한다.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an internet access means of a subscriber; (b) arrang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time sequence and stor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database; (c)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to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of the subscrib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thus made.

Description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의 일정을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위한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a service for managing a schedule of a subscrib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개인 일정, 업무 일정 등 각종 일정을 관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수첩이나 달력에 일정을 표시해둔다. 그러나 일정을 표시해두었다 하더라도 일정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위해서는 매일 수첩이나 달력을 매일 확인해야 한다. 특히, 장기 출장 등으로 인해 수첩이나 달력을 미처 확인하지 못할 경우에는 일정을 놓치기 쉽다.In order to manage various schedules such as personal schedules and work schedules, a user generally displays schedules in a notebook or calendar. However, even if you mark your schedule, you should check your notebook or calendar every day to make sure you don't miss it. In particular, when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notebook or calendar due to a long business trip, it is easy to miss the schedule.

최근에는 대부분의 가정이나 직장에 컴퓨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자신의 컴퓨터에 일정을 기록하여 저장해놓고 체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같은 경우라도 사용자가 자신의 일정을 잊지 않고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아 있다.Nowadays, most homes and workplaces have computers, so you can keep track of your schedule on your computer. 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 user still hass to check his or her schedule without forgetting.

일부 기업 등에서는 일정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2~3일 단위로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정을 입력해두면 일정에 대한 검색기능을 제공해주므로 편리한점이 있지만,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자신의 일정을 잊지 않고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별개의 일정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Some companies, for example, create a calendar program to check in advance every 2-3 days. It is convenient to provide a search function for a schedule by entering a schedule, but similarly, the user must prepare a separate schedule management program as well as the hassle of having to check his or her schedule without forgetting i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해주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schedules more conveniently from a user's point of view.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개의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일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receiving a schedule service even without a separate schedule management progr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실시도,1 is an embodiment of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도 3a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3A is a detailed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1;

도 3b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3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다른 실시도,4 is another embodiment of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정정보 입력화면의 일 예,5 is an example of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도 6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정정보 입력화면의 다른 예,6 is another example of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도 7은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도 8은 도 7의 603단계 및 604단계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steps 603 and 604 of FIG. 7.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2: 가입자 컴퓨터1: scheduling service system 2: subscriber computer

3: 가입자 무선단말기7: 게이트웨이3: subscriber wireless terminal 7: gateway

11: 웹서버13: 일정관리부11: web server 13: scheduling

14: 음성신호 처리부15: 다이얼링부14: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5: dialing unit

18: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0: 가입자 무선단말기18: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0: subscriber wireless terminal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일정정보를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일정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s Internet access means; (b) arrang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time sequence and stor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database; (c)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to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of the subscriber.

상기 (a)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음성신호로 구성된 메시지를 입력받거나, 입력받은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통보시간에 따라 배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ep (a) includes receiving a message composed of a voice signal from the Internet access means of the subscriber or arranging the received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time and storing the received message in a database.

상기 (c)단계는 (c1)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텍스트로 저장된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2) 추출된 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변환하는 단계; 및 (c3) 변환된 음성신호로 된 일정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p (c) comprises: (c1)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as text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c2) converting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And (c3) transmitt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of the subscriber.

상기 일정정보는 가입자가 원하는 통보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b)단계 및 (c)단계는 상기 통보시간에 따른 시간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chedule information includes a notification time desired by the subscriber, and steps (b) and (c) are more preferably performed in a time sequenc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tim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웹서버; 수신된 일정정보를 시간에 따라 배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일정 관리부; 상기 일정 관리부에 의해 추출된 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및 변환된 음성신호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a web server for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ccess means of the subscriber; A schedule manager for arranging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stor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A voice signal processor converting the schedul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schedule manager into a voice signal;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of the subscriber.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전송하는 다이얼링부로 구현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r is a dialing unit that transmi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subscriber's wired or wireless teleph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출력기를 이용한 학습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실시도이다.1 is an embodiment of a schedule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과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인 컴퓨터(2)는 통신망에 접속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게이트웨이(7)를 통해 무선망에 연결되어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및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7)는 통신망으로부터 무선망으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한다. 통신망은 공중전화망(PSTN), 공중데이터망(PSDN), 케이블망, LAN, W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 게이트웨이(7), 및 가입자 컴퓨터(2)에 구비된 인터페이스(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통신망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1,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and a computer 2, which is an Internet access means of a subscriber,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mor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gateway 7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subscriber's wireless terminal. The gateway 7 serves as an entrance to the wireless network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 public data network (PSDN), a cable network, a LAN, and a WAN.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hardware and / or software) provided in the schedule management system 1, the gateway 7, and the subscriber computer 2 will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이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웹서버(11), 일정관리부(13), 음성신호 처리부(14), 다이얼링부(15), 및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18)를 구비한다.2,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includes a web server 11, a schedule management unit 13,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4, a dialing unit 15, and a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18.

가입자의 컴퓨터(2)에는 인터넷을 통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다. 웹서버(11)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설치된 브라우저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가입자는 컴퓨터(2)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메시지(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 전송하거나 웹 페이지 상에서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웹서버(11)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 웹의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웹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상의 모든 컴퓨터들에는 모두 웹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가장 보편적인 웹서버들로는 32 비트 윈도우와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계에서 모두 쓸 수 있는 아파치와, 윈도우 NT에 딸려 나오는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 그리고 넷스케이프의 엔터프라이즈 서버 등이 있다. 가입자는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신호는 패킷화되어 전달된다. 일정관리부(13)는수신된 일정정보를 통보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하고 통보시간에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18)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한다. 통보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거나, 일정으로부터 소정 시간 선행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음성신호 처리부(14)는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된 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다이얼링부(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로서,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20)를 호출하여 음성신호 처리부(14)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다이얼링부(15)는 음성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패킷화하여 인터넷을 통과시킨 후 통과된 음성패킷을 다시 음성신호로 재생시켜 전화망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르거나, 인터넷을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전화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에 따른다. 가입자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호출음에 응답하면 일정정보를 알리는 음성신호가 송출된다.The subscriber's computer 2 is equipped with a browser so as to be able to access the schedule management system 1 via the Internet. The web server 11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from a browser installed in the subscriber's computer 2. At this time, the subscriber may transmit a message (schedule information) as a voice signal or input as text on a web page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computer 2. The web server 11 is a program that provides users with a file containing a web page using the client / server model and the HTTP of the web. Every computer on the Internet where a website runs has a web server program installed. The most common web servers are Apache, which can be used on both 32-bit Windows and Unix-based operating systems, Internet Information Server (IIS) that comes with Windows NT, and Netscape's enterprise server. The subscriber inputs a message as a voice signal, and the input voice signal is packetized and delivered.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13 arranges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order of notification time,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18, and extracts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18 at the notification time. The notification tim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or set to a time preced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chedul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4 converts schedule information composed of text data into a voice signal. The dialing unit 15 is a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lls the subscriber's wireless terminal 20 and transmi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4. The dialing unit 15 packetizes the voic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14 and passes it through the Internet, and then replays the voice packet again as a voice signal and delivers it to the telephone network, or does not pass through the Internet.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When the subscriber responds to the ring ton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 voice signal informing of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18)에는 가입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각 가입자에 대해 마련된 테이블에는 가입자의 로그인 ID, 패스워드, 일정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일정정보는 일시, 일정내용, 메모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정보는 가입자의 개인적인 일정은 물론, 각종 모임 일정, 경조사 일정, 등을 포함한다. 일정정보는 사용자가 통보시간을 지정한 경우 통보시간 순서대로, 지정하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통보시간 순서대로 소팅되어 저장된다.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18 stores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In the table provided for each subscriber, the login ID, password, and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re recorded. The schedule information may include a date and time, schedule contents, memo note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schedule information includes a subscriber's personal schedule as well as various meeting schedules, event schedules, and the like. The schedule information is sorted and stored in the order of notification time when the user designates a notification time, and in the order of notification time set as a default when not specified.

한편, 웹서버(11), 일정관리부(13), 음성신호 처리부(14), 다이얼링부(15), 및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18)는 시스템 디자인 정책에 따라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모두는 하나로 코딩되어 하나의 시스템 내에 존재하거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별개로 코딩되어 별개의 시스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예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web server 11, the scheduler 13, the voice signal processor 14, the dialing 15,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18 may be distributed in the network according to a system design policy. In addition, all of them may be coded into one and present in one system, or some or all of them may be coded separately and present in separate systems. The same applies to other examples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described below.

도 3a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이다.FIG. 3A is a detailed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1.

도 3a를 참조하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웹서버(21), 일정관리부(23), 메시지 전송부(25), 및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A,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includes a web server 21, a schedule manager 23, a message transmitter 25, and a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8.

웹서버(21)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한다. 일정관리부(23)는 수신된 일정정보를 통보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하고 통보시간에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한다. 통보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통보시간은 일정으로부터 소정 시간 선행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로서, 추출된 일정정보에 기초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40)를 호출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25)에는 이-메일서버가 설치되어 생성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와 같이 가입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web server 21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from a web browser mount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23 arranges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order of notification time,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8, and extracts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8 at the notification time. The notification time is determined by the user. Similarly, the notification time can be set to a time preceding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chedule. The message transmitter 25 is a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ssage transmitter 25 generates a message based on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and calls the subscriber's wireless terminal 40 to transmit the message.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25 may be provided with an e-mail server to selectively send a message generated by the e-mail. Similarly,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is stor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8 as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8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도 3b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이다.3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1.

도 3b를 참조하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웹서버(31), 음성신호 처리부(32), 일정관리부(33), 메시지 전송부(35), 및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38)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B,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includes a web server 31, a voice signal processor 32, a schedule manager 33, a message transmitter 35, and a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38.

웹서버(31)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가입자는 컴퓨터(2)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일정정보에 포함시키고자 원하는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전송하거나 웹 페이지 상에서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가입자가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신호는 패킷화되어 전달된다. 일정관리부(33)는 수신된 일정정보를 통보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38)에 저장하고 통보시간이 도래하면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38)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한다. 통보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거나 일정으로부터 소정 시간 선행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음성신호 처리부(32)는 일정정보 데이터 베이스(38)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시지 전송부(3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로서, 추출된 일정정보에 기초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50)를 호출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35)에는 이-메일서버가 설치되어 생성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38)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38)와 같이 가입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web server 31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from a web browser mount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At this time, the subscriber can transmit a desired message to be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computer 2 as a voice signal or input as text on a web page. When the subscriber inputs a message as a voice signal, the input voice signal is packetized and delivered. The schedule manager 33 arranges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the order of notification time,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38, and extracts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38 when the notification time arrives. The notification tim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or set to a time preced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chedule. The voice signal processor 32 provides a function of converting text data stor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38 into voice signals. The message transmitter 35 is a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ssage transmitter 35 generates a message based on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and calls the subscriber's wireless terminal 50 to transmit the message. The message transmitter 35 may be installed with an e-mail server to selectively transmit the generated messages by e-mail. Similarly,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is stor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38 as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38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도 4는 도 1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세 블록도이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음성신호 처리부(42), 일정관리부(43), 및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48)를 포함한다. 나아가, 다이얼링부(45) 또는 메시지 전송부(46)를 더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includes a voice signal processor 42, a schedule manager 43, and a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48. Furthermore,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aling unit 45 or a message transmitting unit 46.

가입자는 무선 단말기(60)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7)에 접속하고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및 음성으로 일정정보를 일정관리부(43) 및 음성신호 처리부(42)에 각각 전송한다. 즉, 일정정보 중 일시(및 통보시간)는 무선 단말기(60)에 마련된 DTMF버튼을 사용하여 전송하고, 일정내용(메시지)은 음성으로 전송한다. 음성신호 처리부(42)는 일정내용을 음성신호로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일정관리부(43)로 전달하고 일정관리부(43)로부터 제공된 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일정관리부(43)는 음성신호 처리부(42)에 의해 처리된 일정정보를 통보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48)에 저장하고 통보시간이 도래하면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48)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한다. 통보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되거나 일정관리부(43)에 의해 일정으로부터 소정 시간 선행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48)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28)와 같이 가입자의 일정정보가 저장된다.The subscriber connects to the gateway 7 using the wireless terminal 60 and transmits schedule information to the scheduler 43 and the voice signal processor 42, respectively, by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and voice. That is, the date and time (and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the DTMF butt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60, and the schedule content (message) is transmitted by voice. The voice signal processor 42 receives the schedule content as a voice signal, processes the received voice signal,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schedule manager 43, and converts schedul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chedule manager 43 into a voice signal. The schedule manager 43 arranges the schedul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42 in the order of notification time and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48. When the notification time arrives, the schedule manager 43 receives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48. Extract. The notification time may be determined and received by the user, or set by the schedule manager 43 to a time preced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chedule.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48 stores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s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28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다이얼링부(45) 또는 메시지 전송부(4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이다. 다이얼링부(45)는 일정관리부(43)에 의해 추출되고 음성신호 처리부(42)에 의해 음성신호로 처리된 일정정보를 패킷화하여 인터넷을 통과시킨 후 통과된 음성패킷을 다시 음성신호로 재생시켜 전화망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르거나, 인터넷을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전화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에 따른다. 가입자는 무선 단말기(60)로부터 송출되는 호출음에 응답하면 일정정보를 알리는 음성신호가 송출된다. 한편, 메시지 전송부(46)는 일정관리부(43)에 의해 추출된 일정정보에 기초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60)를 호출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46)에는 이-메일서버가 설치되어 생성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The dialing section 45 or the message sending section 46 is a sen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ling unit 45 packetizes the schedul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43 and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2 as a voice signal, passes through the Internet, and reproduces the voice packet again as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to the telephone network, or to transmit the voice signal directly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ternet. When the subscriber responds to the ring ton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60, a voice signal for informing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Meanwhile, the message transmitter 46 generates a message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schedule manager 43 and calls the subscriber's wireless terminal 60 to transmit the message.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46 is provided with an e-mail server can selectively transmit the generated message by e-mail.

도 5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정정보 입력화면의 일 예이다.5 is an example of a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도 5를 참조하면, 일정정보 입력화면에는 일시 및 통보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과 일정내용(또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다. 가입자는 일정정보 입력화면을 통해 일정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일정정보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으로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5, a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date and time and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schedule contents (or messages). The subscriber inputs th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the input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through a web browser install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도 6은 가입자의 컴퓨터(2)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정정보 입력화면의 다른 예이다.6 is another example of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도 6을 참조하면, 일정정보 입력화면에는 일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마련되어 있고, 메시지(또는 일정내용)를 녹음할 수 있는 녹음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가입자는 일정정보 입력화면을 통해 일시를 선택하고, 헤드셋의 마이크(51)를 통해 전달받고자 하는 메시지(또는 일정내용)를 녹음할 수 있다. 녹음된 메시지는 가입자의 컴퓨터(2)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으로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date and time, and a recording button for recording a message (or schedule content). The subscriber may select a date and time through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record a message (or schedule content) to be delivered through the microphone 51 of the headset. The record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alendar service system 1 through a web browser installed on the subscriber's computer 2.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7은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도 7을 참조하면, 가입자는 컴퓨터(2)를 통해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접속하고 로그인한 다음 일정정보 입력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일정정보를 입력하거나 무선 단말기(60)를 사용하여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직접 접속하고 DTMF 신호 또는 음성으로 일정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가입자의 컴퓨터(2) 또는 무선 단말기(60)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한다(601단계).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일정관리부는 수신된 일정정보를 통보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602단계). 통보시간이 도래하면 일정관리부는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여(603단계),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604단계).Referring to FIG. 7, a subscriber accesses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through a computer 2, logs in, displays a schedule information input screen, enters schedule information, or uses the wireless terminal 60 to perform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Directly connects to system 1 and transmits schedule information via DTMF signals or voice. Accordingly,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receives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s computer 2 or the wireless terminal 60 (step 601).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1 arranges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time sequence and stores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step 602). When the notification time arrives, the schedule manager extracts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step 603)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s wired / wireless terminal (step 604).

도 8은 도 7의 603단계 및 604단계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steps 603 and 604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일정관리부는 통보시간이 도래하면 일정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텍스트로 저장된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고(701단계), 음성신호 처리부는 추출된 텍스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702단계). 다이얼링부(또는 메시지 전송부)는 음성신호로 변환된 일정정보를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703단계).Referring to FIG. 8, when the notification time arrives, the schedule manager extracts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as text from the schedule information database (step 701), and the voice signal processor converts the extracted text into a voice signal (step 702). The dialing unit (or messag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converted into the voice signal to the subscriber's wired / wireless terminal (step 703).

한편, 일정관리부는 통보시간이 도래하면 음성신호로 저장된 일정내용(메시지)는 음성신호로 전송하고 텍스트로 저장된 일시는 텍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notification time arrives, the schedule manager may transmit the schedule content (message) stored as the voice signal and the date and time stored as the text as tex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일정을관리해주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일정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즉, 일정정보를 미리 입력해놓기만 하면 그 후 일정을 다시 확인하지 않아도 원하는 통보시간에 일정을 통보받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별개의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일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schedules more conveniently from a user's point of view. That is, if the schedule information is inputted in advance, the schedule can be notified at a desired notification time without checking the schedule again. Furthermor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schedule management program,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can be obtained.

Claims (7)

(a)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a)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s Internet access means; (b) 수신된 일정정보를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b) arrang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time sequence and stor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database; (c)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c)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d) 추출된 일정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to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of the subscri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음성신호로 구성된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The step (a) is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ceiving a message consisting of a voice signal from the Internet access means of the subscrib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b)단계는 입력받은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통보시간에 따라 배열하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The step (b) comprises the step of arranging the received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time and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a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단계는Step (c) is (c1)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텍스트로 저장된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c1)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as text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c2) 추출된 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c2) converting the extracted schedule information into a voice signal; And (c3) 변환된 음성신호로 된 일정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and (c3) transmitt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of the subscri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정정보는 가입자가 원하는 통보시간을 포함하고,The schedule information includes a notification time desired by the subscriber, 상기 (b)단계 및 (c)단계는 상기 통보시간에 따른 시간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Step (b) and step (c) is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in the order of tim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time.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하는 웹서버;A web server for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s Internet access means; 수신된 일정정보를 시간에 따라 배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 일정정보를 추출하는 일정 관리부;A schedule manager for arranging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storing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extracting corresponding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t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일정 관리부에 의해 추출된 일정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신호처리부; 및A voice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schedul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schedule manager into a voice signal; And 변환된 음성신호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subscriber's wired / wireless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를 상기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전송하는 다이얼링부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And the transmitting unit is implemented as a dial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subscriber's wired / wireless telephone.
KR1020010040679A 2001-07-07 2001-07-07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Ceased KR200300049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79A KR20030004924A (en) 2001-07-07 2001-07-07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79A KR20030004924A (en) 2001-07-07 2001-07-07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24A true KR20030004924A (en) 2003-01-15

Family

ID=2771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679A Ceased KR20030004924A (en) 2001-07-07 2001-07-07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92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4905B2 (en) Individual user selectable multi-level authorization method for accessing a computer system
KR100394305B1 (en) E-mail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US7032030B1 (en) Message publishing system and method
US7506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device access to e-mail applications
EP1542439B1 (en) Method of raising schedule alarm with avatars in wireless telephone
US20030021416A1 (en) Encrypting a messaging session with a symmetric key
US200200595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ing token information to adjust access rights
US76169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for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wireless access device
US200301036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honically accessing and navigating the internet
US20020099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ssages
CN101889457B (en) Multiple and multipart message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lectronic message cont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2002529945A (en) Storage media interface engine that provides a summary record of multimedia files stored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 center
US7269622B2 (en) Watermarking messaging sessions
US20020123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workers to communicate anonymously with their employers
US8880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il messages
JP3597327B2 (en) Multimedia email system
US7496186B2 (en) Outside-LAN connectable IP key telephone system, terminal unit thereof, main unit thereof, and outside-LAN connecting method
US20030023850A1 (en) Verifying messaging sessions by digital signatures of participants
KR100477553B1 (en) Job Offering And Seeking Information Providing and Intermediating System and Method Which Can Integratedly Support Multi-Devices
CN1620018A (en) Method and system of accessing voice services through a personal computing system
US200200394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workers to communicate anonymously with their employers
US20030206200A1 (en) Bar communication
KR20030004924A (en)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0613938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00005003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ail as voice or 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