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932Y1 - medal cognition device of medal pusher game equipment - Google Patents
medal cognition device of medal pusher gam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8932Y1 KR200298932Y1 KR2020020028180U KR20020028180U KR200298932Y1 KR 200298932 Y1 KR200298932 Y1 KR 200298932Y1 KR 2020020028180 U KR2020020028180 U KR 2020020028180U KR 20020028180 U KR20020028180 U KR 20020028180U KR 200298932 Y1 KR200298932 Y1 KR 2002989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al
- plate
- reciprocating
- game machine
- reciprocating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달 푸셔 게임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종래 메달 푸셔 게임기에 부가되어 게임기 내부로 투입된 메달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슬롯을 통과함에 따라 스코어를 부가하는 새로운 형태의 메달 인식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게임기의 메달 푸싱장치에 부가된 구성 그 자체만으로도 메달 푸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소형화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상기 메달 푸싱장치를 동종 또는 이종의 게임기에 부가적으로 결합하여 본 게임에 더해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al pusher game machine, and provides a medal recognition device of a new type, which is added to a conventional medal pusher game machine and adds a score as a medal inserted into the game machine passes through slots reciproca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is makes it possible to enjoy the medal pusher game by the configuration itself added to the medal pushing device of the game machine, and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game by combining the medal pushing device additionally with the same or different game machines in various ways. You can enjoy the gam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밑판(7)의 상면에서 푸셔(8)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밑판(7) 상에 놓여진 메달(100)을 전방쪽으로 밀어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메달(100)이 중력에 의해 구름운동되면서 게임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메달슈트(medal chute)와, 상기 메달슈트의 메달 배출측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밑판(7)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고 그 가운데 부분에는 일정너비의 통공(210a)이 형성된 고정판(210)과,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가운데 부분에는 메달(1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slot)(220a)이 형성된 왕복판(220)과, 상기 왕복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슬롯을 통과한 메달(100)을 감지하는 센서(230)와, 상기 왕복판(220)의 후방에 구비되어 왕복판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왕복판 이동수단(240)과, 상기 고정판(2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밑판(7) 상에 고정되어왕복판(220)을 통과한 메달(100)이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편(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ush and drop the medal 100 placed on the bottom plate 7 forwardly while the pusher 8 move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the medal 100 ) Is a medal chute (Mal chute) to be introduced into the game machine by the cloud movement by gravity, and is fixed vertical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7 in a stat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edal discharge side of the medal chute and the center portion The fixed plate 21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through hole (210a), and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rear of the fixed plate is a plurality of slots for the medal (100) to pass through the center ( a reciprocating plate 220 having a slot 220a, a sensor 230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detecting a medal 100 passing through a slot, and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The reciprocating plate can be reciprocated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plate moving means 240 to provide a moving force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back plate 7 to be positioned behind the fixed plate 210, the medal 100 passed through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s further in the direction of travel It comprises a locking piece 250 to prevent the progress.
Description
본 고안은 메달 푸셔 게임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종래 메달 푸셔 게임기의 구성에 더해 게임기 내부로 투입된 메달이 좌, 우로 왕복이동되는 슬롯을 통과함에 따라 스코어를 부가하는 새로운 방식의 메달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medal pusher game machine, and in more detail,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dal pusher game machine, medal recognition of a new method of adding a score as a medal inserted into the game machine passes through slots left and right reciprocated is provided.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메달 푸셔 게임기는 상방으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평판 상에 낙하시키고, 이 때 상기 평판 상에는 푸셔가 전, 후방향으로 자동왕복운동됨에 따라 평판 상에 놓여진 메달을 메달 배출공으로 밀어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떨어진 메달을 플레이어가 직접 획득하거나 그에 합당한 점수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된 메달 게임기의 일종이다.In general, a medal pusher game machine drops the medal placed from above onto the flat plate, and then pushes the medal placed on the flat plate to the medal ejection hole as the pusher is automatically reciprocated forward and backward. Is a kind of medal game machine in which a player directly obtains or obtains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score.
그럼, 여기서 상기 메달 푸셔 게임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n,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medal pusher game machin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일반적인 메달 푸셔 게임기를 보인 사시도로서, 전면에 투명창이 부착된 게임기 본체 케이스(1)와, 상기 게임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메달(100)의 투입시점을 플레이어가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된 컨트롤 패널(2)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 구비된 메달 투입구(3)와, 상기 게임기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어 메달(100)을 낙하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한 메달 가이더(4)와, 좌, 우방향으로 수평왕복운동하며 상방으로부터 낙하된 메달(100)이 통과시 이를 감지하는 왕복센서부(5)와, 상기 왕복센서부가 메달(100)을 감지함에 따라 획득한 점수(score)가 표시되도록 한 점수판(6)과, 상기 왕복센서부(5)의 하방에 구비되어 전, 후방향으로 자동왕복운동되는 푸싱장치와, 상기 푸싱장치에 의해 밀려 떨어진 메달(100)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메달 인출구(13)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medal pusher game machine, the main body case 1 having a transparent window attached to the front an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case of the game machine is provided to allow the player to selectively operate the input time of the medal 100 A control panel 2, a medal inlet 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and a medal guider 4 provided inside the game machine body case 1 to guide the medal 100 to a falling position. ), A reciprocating sensor unit 5 for horizontally reciproc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detecting the medal 100 falling from the upper side when passing, and a score obtained as the reciprocating sensor unit detects the medal 100 ( a score plate 6 for displaying a score), a pushing device provided below the reciprocating sensor unit 5 and automatically moving back and forth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medal 100 pushed away by the pushing device. To withdraw It is comprised largely by the medal drawer 13.
또한 상기 밑판(7)의 전방쪽 끝단부와 게임기 본체 케이스(1) 사이는 소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메달(100)이 푸셔(8)에 의해 밑판(7)의 끝단부에 밀려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메달 배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7 and the game console main body case 1 is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edal 100 is pushed downward by the pusher 8 to the end of the bottom plate 7 downwards. Medal discharge hole 12 is formed to fall.
그러므로 플레이어가 상기 메달 푸셔 게임을 시작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적정수의 메달(100)을 메달 투입구(3)로 투입하고, 이 때 상기 투입된 메달은 게임기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메달 이동장치(도면에는 미도시)에 의해 상기 투입된 메달(100)이 게임기의 상부로 이동되어 장전된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a player wants to start the medal pusher game, first, the appropriate number of medals 100 is injected into the medal slot 3, and the injected medal is a separate medal moving device installed in the game machine (not shown in the drawing). ), The inserted medal 100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game machine to be loaded.
이 후, 플레이어가 컨트롤 패널(2) 상의 보턴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장전된 메달(100)이 게임기의 메달 가이드(4)를 통해 하나씩 또는 다수개가 하방으로 차례로 낙하되어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낙하되는 메달(100)은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게임판 상에 복수개로 형성된 못 따위에 충돌되면서 플레이어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Thereafter, as the player manipulates the button on the control panel 2, the loaded medals 100 are dropped one by one or a plurality of them through the medal guide 4 of the game machine in order, and the falling Although the medal 100 is not disclosed in the drawings, it collides with a plurality of nails formed on the game board and falls in any direction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player.
이 때, 상기 낙하되는 메달(100) 중 하나 이상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왕복센서부(5)를 통과하면 미리 설정된 일정점수를 획득하게 됨으로써 상기 획득한 점수가 점수판(6)에 표시되고, 그렇지 못한 메달(100)은 기기의 푸싱장치 상에 바로 낙하되어 놓여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one or more of the falling medals 100 pass through the reciprocating sensor unit 5 which is recipr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score is obtained so that the score is obtained on the scoreboard 6. The medal 100, which is not shown, will be dropped and placed directly on the pushing device of the device.
또한 상기 메달 푸싱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왕복센서부(5)를 통해 메달(100)을 통과시켜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과는 별도로 낙하된 메달(100)이 평판 상의 적정위치에 놓여지면 플레이어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동으로 왕복운동되는 푸셔에 의해 메달(100)을 하방으로 밀어 떨어뜨리는 메달 푸셔 게임기의 주장치부이다.In addition, the medal pushing device is a player's intention when the medal 100 is dropped in the proper position on the plate apart from the game to obtain a score by passing the medal 100 through the reciprocating sensor unit 5 as described above It is a main unit of the medal pusher game machine that pushes the medal 100 downward by the pusher automatically reciprocating regardless.
첨부된 도 2는 종래 푸싱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하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푸싱장치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ushing device,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종래 푸싱장치는 평판의 양측으로 전, 후방향을 따라 측면 프레임(7b)이 일체로 형성된 밑판(7)과, 상기 밑판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가이드레일(7a)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된 레일가이드(8a)와, 상기 레일가이드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밑판(7)의 상면에서 전, 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푸셔(pusher)(8)와, 상기 밑판(7)의 저면에 결합되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장치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9)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변속기(10)와, 상기 변속기로부터 전달된 모터(9)의 회전력을 푸셔(8)가 직선왕복운동되도록 전환하는 링크부재(11)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pushing device is slidably seated along the guide plate 7a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and the bottom frame 7b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rail guide 8a, a pusher 8 reciprocat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rail gu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Pusher 8 to rot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9 to generate a driving force of the device by us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10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and the motor 9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Is composed of a link member 11 for switching to reciprocate linearly.
이 때, 상기 링크부재(11)는 변속기(10)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바(110)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111)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는 푸셔(8)의 저면에 좌, 우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롤러가이드(8b) 내에 구름접촉가능하게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link member 11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ar 11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nsmission 10, and a roller 111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wherein the roller is a pusher (8) It has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roller guide (8b)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 contact with the cloud.
그럼, 여기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푸싱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push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면 모터(9)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 때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변속기(10)는 모터(9)의 회전속도를 푸셔(8)의 직선왕복운동에 적합한 회전속도로 변속하게 된다.First,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device, a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motor 9, and the transmission 10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motor is adapted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9 to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usher 8. The speed of rotation is changed.
계속해서 상기 변속기(10)의 회전축에는 연결바(110)의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어있음에 따라 상기 변속기(10)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바(110)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110)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111)가 푸셔(8)의 롤러가이드(8b)를 따라 좌, 우방향으로 구름운동하며 이동됨에 따라 결국 상기 푸셔(8)가 전, 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Subsequently, as one end of the connection bar 110 is integrally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nsmission 10, the connection bar 110 also rotates at the same speed as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nsmission 10 rotates. Accordingly, the roller 111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110 moves along the roller guide 8b of the pusher 8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the pusher 8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t is understood that the reciprocating motion in the direction.
즉, 이 때 상기 푸셔(8)는 모터(9)의 회전에 따라 밑판(7)의 상면에서 계속해서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밑판(7)의 상면에 깔린 다수의 메달(100)을 메달 배출공(7b)쪽으로 밀어내도록 동작되는 것이다.That is, at this time, the pusher 8 medals the plurality of medals 100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while continuously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as the motor 9 rotates. It is operated to push toward the discharge hole (7b).
따라서, 상기와 같이 푸셔(8)에 의해 밑판(7) 상면에서 메달 배출공(7b)으로 밀려 떨어진 메달(100)은 플레이어(Player)가 가지거나 이를 게임기에 재투입함으로써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하면 된다.Therefore, the medal 100 pushed by the pusher 8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 to the medal discharge hole 7b as described above has a player or re-introduces it into the game machine to continue the game. do.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메달 푸셔 게임기는 일반적으로 메달 가이더에 의해 메달이 상방에서 무작위로 낙하되는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되기 때문에 금방 게임에 흥미를 잃게 되고, 또한 이러한 메달 푸셔 게임기 내부에 게임을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여러 메달 인식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부피가 너무 커서 게임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대부분 차지하게 되므로 기기의 소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도 대폭 상승되는 등 여러모로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medal pusher game machine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loses interest in the game because the game proceeds in a manner that the medals are randomly dropped from the upper side by the medal guider, and the game is also interested in the inside of the medal pusher game machine. In case of installing several medal recognition devices to induce, the volume is so large that it occupies mos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game machine case, so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greatly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종래 메달 푸셔 게임기에 부가되어 게임기 내부로 투입된 메달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슬롯을 통과함에 따라 스코어를 부가하는 새로운 형태의 메달 인식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게임기의 메달 푸싱장치에 부가된 구성 그 자체만으로도 메달 푸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소형화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상기 메달 푸싱장치를 동종 또는 이종의 게임기에 부가적으로 결합하여 본 게임에 더해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new type of medal recognition for adding a score as a medal added to a conventional medal pusher game machine passes through a slot reciproca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which is not only miniaturized so as to enjoy a medal pusher game by the configuration itself added to the medal pushing device of the game machine, but furthermore, the medal pushing device is additionally combined with the same or different game machines. In addition to the game, the aim is to allow the game to be enjoyed in various ways.
도 1은 일반적인 메달 푸셔 게임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medal pusher game machine
도 2는 종래 푸싱장치를 보인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ushing device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4는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도 5는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가 푸싱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p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 장치의 평면도 및 우측면도6 is a plan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7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도 8은 본 고안 장치의 측면 개략도로서, (a)는 메달슈트로부터 빠져나온 메달을 보인 상태도, (b)는 메달이 왕복판의 슬롯으로 진입되는 상태도, (c)는 왕복판을 통과한 메달이 걸림편에 충돌되어 밑판 위에 안착된 상태도Figure 8 is a side schematic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showing the medal from the medal suit, (b) is a state in which the medal enters the slot of the reciprocating plate, (c) is passed through the reciprocating plate When a medal collides with the hook and sits on the base pl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메달 200 : 메달슈트100: medal 200: medal suit
210 : 고정판 211: 가이드돌기210: fixing plate 211: guide protrusion
220 : 왕복판 220a: 슬롯220: round trip plate 220a: slot
221 : 가이드공 230 : 센서221: guide hole 230: sensor
240 : 왕복판 이동수단 250 : 걸림편240: reciprocating plate moving means 250: locking piece
300 : 케이싱 301 : 투명창300: casing 301: transparent window
302 : 메달 인출구 303 : 메달 인출대302: medal drawer 303: medal draw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밑판의 상면에서 푸셔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밑판 상에 놓여진 메달을 전방쪽으로 밀어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메달이 중력에 의해 구름운동되면서 게임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메달슈트(medal chute)와, 상기 메달슈트의 메달 배출측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밑판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고 그 가운데 부분에는 일정너비의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가운데 부분에는 메달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slot)이 형성된 왕복판과, 상기 왕복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슬롯을 통과한 메달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왕복판의 후방에 구비되어 왕복판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왕복판 이동수단과,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밑판 상에 고정되어 왕복판을 통과한 메달이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푸셔 게임기의 메달 인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us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s configured to push forward and drop the medal placed on the base plate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medal is clouded by gravity game machine Medal chute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a fixed plate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 a stat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edal discharge side of the medal chute, the cent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formed a constant width, and the fixing plate A reciprocating plate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to enable a reciprocating movement, and a reciproca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lots formed therein to allow the medal to pass therethrough, and a medal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passed through the slot.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for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so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can be reciproca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Medal of the medal pusher gam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iprocating plate moving means and a locking piece which is fixed on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located behind the fixed plate so that the medal passing through the reciprocating plate can no longer advance in the direction of travel. A recognition device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가 푸싱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장치의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로서, 다만 상기 도면에서 종래 구성에 해당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에서 부여한 부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p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plan view and 7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s in the drawing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4에서,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는 메달이 중력에 의해 구름운동되면서 게임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는 메달슈트(medal chute)(200)와, 상기 메달슈트의 메달 배출측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직 고정되고 그 가운데 부분에는 일정너비로 통공(210a)이 형성된고정판(210)과,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고정판(210)의 통공(210a)에 선택적으로 일치되도록 다수의 슬롯(slot)(220a)이 형성된 왕복판(220)과, 상기 왕복판의 배면 좌, 우측에 부착되어 슬롯(220a)을 통과한 메달을 감지하는 센서(230)와, 상기 왕복판(220)의 후면에 구비되어 왕복판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왕복판 이동수단(240)과, 상기 고정판(210)의 후방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왕복판(220)의 슬롯(220a)을 통과한 메달(100)이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도록 걸림하는 걸림편(250)으로 이루어진다.First,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has a medal chute (200) having a structur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medal is introduced into the game machine by the cloud movement by gravity, and from one end of the medal discharge side of the medal chute The fixed plate 210 is fixed vertically spaced apart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hrough-hole 210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through-hole 210a of the fixed plate 210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Reciprocating plate 2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ots (220a) to be selectively matched with), and the sensor 230 is attached to the rear left and right of the reciprocating plate to detect the medal passing through the slot (220a) And a reciprocating plate moving unit 240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to provide a moving force so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can be recipr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xed plat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ixed A medal 100 passes through the slot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This prevents of longer come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made by engaging the engaging pieces (250).
또한 상기한 본 고안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은 종래 메달 푸싱장치를 구성하는 밑판(7)의 측면 프레임(7b) 상에 안착된 상태로 양단이 각각 나사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by a screw or the like in a state seated on the side frame 7b of the base plate 7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medal pushing devic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 장치가 종래 메달 푸싱장치에 결합된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달 푸싱장치의 측면 프레임(7b)에는 판상의 케이싱(300)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는 "ㄱ"자 형태의 투명창(30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투명창(301) 내부에 위치된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이 투시가능한 상태로 보호됨은 이해 가능하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ventional medal pushing device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ide frame 7b of the medal pushing device, a plate-like casing 300 is vertically installed.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301 having a “a” shape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device located inside the transparent window 301 is protected in a transparent state.
이 때, 상기 투명창(301)의 전면에는 소정길이의 메달슈트(200)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메달슈트에 좌, 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한편 상기 고정판(210)의 후면에는 가이드돌기(211)가 형성됨과 함께 이와 대향되는 왕복판(22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가이드공(22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301 is hing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the medal suit in a state in which the medal suit 200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itted, while the guide on the back of the fixing plate 210 The protrusion 211 is formed and the reciprocating plate 220 opposite thereto has a structure in which a guide hole 221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11 can be fitted therein.
이에 따라 상기 고정판(210)의 가이드돌기(211)가 왕복판(220)의 가이드공(221)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왕복판(220)은 가이드돌기(211)와 가이드공(221)에 의해 좌, 우방향의 이동이 안내된다.Accordingly, since the guide protrusion 211 of the fixing plate 210 is fitted into the guide hole 221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s left by the guide protrusion 211 and the guide hole 221. , Movement in the right direction is guided.
또한 상기 왕복판 이동수단(2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왕복판(220)의 배면에는 세로방향으로 한쌍의 롤러가이드(2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가이드의 후방에는 모터(241)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ㄱ"형태로 절곡된 연결바(242)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는 롤러(243)가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기 롤러가이드(222) 내에 삽입된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eciprocating plate moving means 240, a pair of roller guides 222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tor 241 is fixed to the rear of the roller guide. It is installed, the connecting bar 242 bent in the form of "a"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he end of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oller guide 222 in the hinged state of the roller 243 do.
이에 따라 상기 롤러(243)가 왕복판(220)의 롤러가이드(22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모터(241)의 회전축이 구동되면 롤러(243)가 양측으로 구름접촉됨에 따라 롤러가이드(222)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고, 결국 상기 롤러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된 왕복판(220)이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241 is driven while the roller 243 is located inside the roller guide 222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the roller guide 222 is rolled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ller 243.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understood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ller guide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왕복판(220)의 후면에는 센서(230)가 장착되는데, 이를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왕복판(220)의 슬롯(220a) 좌, 우측에 한쌍의 광센서(발광소자+수광소자)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왕복판(220)을 통과한 메달(100)이 상기 광센서에 감지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sensor 23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ir of optical sensors (light emitting element + light receiving element)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ot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s configured so that the medal 100 passed through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따라서, 상기한 바에 따라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는 종래 메달 푸싱장치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종래 메달 푸싱장치와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가 하나의 게임기 모듈 형태로 동종 또는 이종의 게임기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있는 구성을 갖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can be easily coupled to a conventional medal pushing device, in which case the conventional medal pushing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are easy to be used for the same or different game machines in the form of one game machine module. It is understanda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unted.
상기 도면에서 미도시된 부호 302는 메달 배출구, 303은 메달 인출대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302 denotes a medal outlet, and 303 denotes a medal drawer.
그럼 여기서, 이러한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첨부된 도 8은 본 고안 장치의 측면 개략도로서, (a)는 메달슈트로부터 빠져나온 메달을 보인 상태도, (b)는 메달이 왕복판의 슬롯으로 진입되는 상태도, (c)는 왕복판을 통과한 메달이 걸림편에 충돌되어 밑판 위에 안착된 상태도이다.Attached Figure 8 is a side schematic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showing a medal coming out of the medal suit, (b) is a state in which the medal enters the slot of the reciprocating plate, (c) is a reciprocating plate It is a state diagram that the medal passing through and hit the engaging piece and seated on the base plate.
먼저, 도 8a에서 플레이어가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 메달슈트(200)를 통해 메달(100)을 투입하면 상기 투입된 메달은 메달슈트(200)를 따라 자중에 의해 구름운동되면서 메달슈트(200)의 반대쪽으로 배출되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First, in FIG. 8A, when the player inserts the medal 100 through the medal suit 200 to start the game, the injected medal is clouded by its own weight along the medal suit 200 and is opposite to the medal suit 200.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discharged.
계속해서 상기 메달슈트(200)의 출구쪽으로 배출된 메달(100)은 그 진행방향의 전방에 구비된 고정판(210)에 마주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고정판(210)의 가운데 부분에는 통공(210a)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통공의 후방에는 왕복판(220)의 슬롯(220a)이 좌, 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상태이다.Subsequently, the medal 100 discharged toward the exit of the medal chute 200 encounters a fixed plate 210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raveling direction, and at this time, a through hole 210a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xed plate 210. While being formed, the slot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s recipr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따라서, 상기 왕복판(220)의 슬롯(220a)이 계속적으로 왕복이동되던 중 메달슈트(200)로부터 배출된 메달(100)이 상기 왕복판(220)의 슬롯(220a)을 통과하면 왕복판(220)의 후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메달(100)이 고정판(210) 또는 왕복판(220)에 부딪힌 후, 하방의 푸셔(8) 또는 밑판(7)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medal 100 discharged from the medal suit 200 passes through the slot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while the slot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s continuously reciprocated, the reciprocating plate ( It will fall to the rear of the 220, if not otherwise the medal 100 hits the fixed plate 210 or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will fal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usher 8 or the bottom plate (7). Do.
이 후, 도 8b를 참조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메달(100)이 왕복판(220)의 슬롯(220a) 중 하나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면 왕복판(220)의 후면에 설치된 센서(23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medal 100 is discharged backward through one of the slots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B, the sensor 230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is This will be detected.
상기 메달(100)이 센서(230)에 감지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일정 스코어가 게임기의 점수판에 자동적으로 부가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메달(100)은 왕복판(220)의 후방에 구비된 걸림편(250)에 부딪친 후, 결국 그 하방에 위치된 푸셔(8) 또는 밑판(7)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8c를 참조하면 이해가 용이할 것이다.When the medal 100 is detected by the sensor 230,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score is automatically added to the scoreboard of the game machine, and at the same time, the medal 1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After hitting the 250, it will eventually fal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er 8 or the bottom plate 7 located below it. Such a state will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8C.
따라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레이어가 투입한 메달(100)은 왕복판(220)의 슬롯(220a)을 통과한 개수만큼 점수로 가산되며, 이는 게임기의 점수판(도면에는 미도시)을 통해 스코어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스코어에 해당되는 개수만큼의 메달을 다시 외부로 배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는 더욱 흥미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medal 100 put by the player is added to the number of points passing through the slot 220a of the reciprocating plate 220, which is scored through the scoreboard of the game machine (not shown). Since the game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o be displayed as or the number of medals corresponding to the score to the outside again, the player will be more interested.
또한 상기 메달푸셔(200)가 투명창(30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플레이어는 메달(100)을 투입시 상기 메달푸셔(200)를 잡고 좌, 우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메달(100)을 투입할 수가 있으므로 또 다른 재미를 만끽할 수가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medal pusher 200 is hinged to the transparent window 301 to be pivotally coupled, the player grasps the medal pusher 200 when the medal 100 is inserted and rotates left and right. Because you can put the medal 100 in the direction you want to enjoy another fun.
그러므로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메달 인식장치는 종래 메달 푸싱장치에 용이하게 부가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이와 유사한 동종 또는 이종 게임기에 결합됨으로써 게임기가 갖는 본래 게임에 더해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가 있어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할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edal recognition device can be easily added to the conventional medal pushing device, and furthermore, it can be combined with simila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game machines to play the game in a variety of way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game of the game machine. The range of application is very wide.
아울러 기 설명된 본 고안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한정 기술된 것이므로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된 것만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기 설명된 구성에 더하여 얼마든지 다양한 구성의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할 것임을 명시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limited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have various chang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ed that modifications and additions to the configuration will be possible.
본 고안 메달 푸셔 게임기의 메달 인식장치는 메달 푸싱장치에 의해 게임을 진행하기에 앞서, 플레이어가 메달을 의도한 방향으로 투입하여 이를 좌, 우방향으로 왕복되는 슬롯으로 통과시키고, 이 때 상기 슬롯을 통과한 메달에 대해서는 일정 스코어가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에 대한 흥미를 더욱 배가시킬 수가 있다.The medal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al pusher game, prior to proceeding the game by the medal pushing device, the player puts the medal in the intended direction and passes it to the slot to be recipr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is time Passing medals can be given a certain score, which can further increase interest in the game.
또한 상기 메달 인식장치는 메달을 투입하는 형태의 동종 또는 이종의 어떤 게임기에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가 있으므로 플레이어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게임을 만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게임기의 교체에 따른 비용 및 폐게임기의 처리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익한 고안이라 하겠다.In addition, the medal recognition device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ny type of game machine of the same type or heterogeneity in which the medal is inserted, so that the player can enjoy various games as well as the cost and waste of the game machine from the manager's point of view. It is a very advantageous design because it can greatly reduce the cost of the game machine processing.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8180U KR200298932Y1 (en) | 2002-09-18 | 2002-09-18 | medal cognition device of medal pusher gam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8180U KR200298932Y1 (en) | 2002-09-18 | 2002-09-18 | medal cognition device of medal pusher game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8932Y1 true KR200298932Y1 (en) | 2002-12-31 |
Family
ID=7312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818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8932Y1 (en) | 2002-09-18 | 2002-09-18 | medal cognition device of medal pusher gam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8932Y1 (en) |
-
2002
- 2002-09-18 KR KR2020020028180U patent/KR20029893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4024549A (en) | Game machine | |
JP4654254B2 (en) | Decorative body unit, game board, and pachinko machine | |
JP3873067B2 (en) | Medal insertion device and medal game machine equipped with the device | |
KR200298932Y1 (en) | medal cognition device of medal pusher game equipment | |
JPH0522225Y2 (en) | ||
JP2004105624A (en) | Pinball game machine | |
JP2000308717A (en) | Pachinko machine | |
JPH11128461A5 (en) | ||
KR200290124Y1 (en) | medal pusher game equipment | |
JP4896266B2 (en) | game machine | |
JP4682113B2 (en) | Medal insertion device and game machine equipped with this device | |
JPH05177A (en) | Pinball machine | |
JP5074952B2 (en) | Pachinko machine winning device | |
JP4919425B2 (en) | Game machine | |
JP2006223474A (en) | Game machine | |
JP4072096B2 (en) | Bullet ball machine | |
JP6643588B2 (en) | Gaming machine | |
JP4072153B2 (en) | Bullet ball machine | |
JP2001070522A (en) | Ball game machine | |
JP3944371B2 (en) | Pusher game machine | |
JPH11333133A (en) | Game apparatus | |
KR200226367Y1 (en) | A game machine | |
JP4682171B2 (en) | game machine | |
JP2795714B2 (en) | Game machine winning device | |
JP3727029B2 (en) | Bullet ball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31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121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