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69964A -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usage frequency in portable tele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usage frequency in portabl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964A
KR20020069964A KR1020010010567A KR20010010567A KR20020069964A KR 20020069964 A KR20020069964 A KR 20020069964A KR 1020010010567 A KR1020010010567 A KR 1020010010567A KR 20010010567 A KR20010010567 A KR 20010010567A KR 20020069964 A KR20020069964 A KR 2002006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usage
user
search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24884B1 (en
Inventor
이승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884B1/en
Publication of KR2002006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88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earching a phone number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r use.

본 발명은 다수의 상대방 사용자 이름들과, 상기 사용자 이름들 각각에 대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검색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요구된 전화번호 검색의 검색 항목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된 검색 항목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를 적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ne number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in a mobile phon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counterpart user names and a phone book database for storing telephone number and user usage data for each of the user names. When a phone number search request is detected, determining a search item of the requested phone number search; searching the phone book databas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earch item to detect corresponding phone numbers; And displaying the telephone numbers in order of high priority by applying the user usage history data.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USAGE FREQUENCY IN PORTABLE TELEPHONE}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USAGE FREQUENCY IN PORTABLE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trieving a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전해나가면서 사용자들의 편의 향상 욕구, 즉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매뉴얼) 제공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래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그 중 전화번호 검색 기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이라 함은 사용자들이 상대방으로 전화를 걸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자신이 이용하려고 하는 전화번호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단말기에 다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전화번호부 형태로 저장시켜 놓은 후, 사용자 필요에 따라 그때 그때 검색하여 사용하는 기능을 말한다.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evelops, the desire for convenience of users, that is, the desire for providing various user interfaces (manuals) is increasing. Therefore, various user interfaces are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among them, a phone number search function is used. The phone number search function is generally difficult to remember a phone number that the user wants to use in order to make a call to the other party. Therefore, after stor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the form of a phone book, the user needs Follow and then say the function to search and use.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부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일종의 데이터 베이스(DB: Data Base) 형태로 저장되는데, 그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phone book is stored in the form of a database (DB) in the mobile phone terminal, the structure of the phone book datab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 number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 저장영역, 일 예로 메모리(memory)와 같은 저장영역에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저장 번지(address)와 상기 저장번지에 저장될 전화번호의 해당 상대방 이름, 그리고 해당 전화번호가 하나의 레코드(record)로 형성되어 다수의 레코드들이 하나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a storage addres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storage area, for example, a storage area such as a memory, a corresponding address of the storage address and a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to be stored in the storage address, and a corresponding address. A telephone number is formed into one record, so that a plurality of records constitute on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그래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전화번호 검색을 요구함이 감지되면(211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 형태의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상기 요구한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항목을 검색하게 된다(213단계).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 요구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에 제공되는 사용자 메뉴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화번호 검색 메뉴가 최근 발신 전화번호 검색 메뉴, 최근 수신 전화번호 검색 메뉴, 상대방 이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메뉴, 저장번지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메뉴로 제공될 경우, 사용자는 이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메뉴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요구한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항목, 즉 전화번호를 검색하면 그 검색 결과에 따른 전화번호들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215단계). 그리고 이렇게 정렬된 전화번호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화번호 검색 결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217단계).Thu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requests a phone number search through a user interface (step 211), the phone book in the database form is searched to search for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search condition. (Step 213). Here, the telephone number retrieval request is different according to a user menu provided to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That is, when the phone number search menu is provided as a recent outgoing phone number search menu, a recently received phone number search menu, a phone number search menu according to the other party's name, and a phone number search menu according to the storage address,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menus. The user selects and performs a phone number search according to the search menu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ndition requested by the user, that is, the phone number is searched, the phone numbers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are sorted alphabetically (step 215). The sorted phone numbers are displayed to the user as a phone number search resul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tep 217).

이렇게, 사용자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Phone Book)기능을 이용해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화번호부에는 다수개, 일 예로 수백개의 전화번호들을 기록·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재로 사용하는 전화번호는 그중 일부, 일 예로 수십 개에 불과하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전화번호의 개수는 소수개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이해서는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일일이 검색한 후에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그래서 전화번호 검색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사용자의 사용패턴(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발신 전화번호, 최근 수신 전화번호 등)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을 제공하고 있지만 단순히 이런 사용패턴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결과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전화번호가 중복되어 저장되고 출력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 역시 전화번호 검색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the user searches for a phone number using a phone book function stored in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uses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However, although it is possible to record and store a number of phone numbers, for example, hundreds of phone numbers in the phone book, only a few of them are actually used, for example, a few dozen. That is, although the number of frequently used phone numbers is few, the user can search only after search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stored in the phone book in order to search the phone number.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phone number search is lowered. Of course, the phone number search based on the user's usage pattern (as described above, the latest outgoing phone number, the latest incoming phone number, etc.) is provided, but the phone number is simply transferred to the user only because the phone number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is provided. Most of the cases are duplicated and stored and output, which also cause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is reduced.

여기서, 상기 사용패턴에 따른 중복 저장의 일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an example of redundant storag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발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 call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먼저,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자의 발신 혹은 착신 이벤트(event)가 발생함이 감지되면(311단계)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는 상기 발신 혹은 착신 이벤트를 수행한다(313단계). 그러면, 상기 수행한 발신 혹은 착신 이벤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이런 식으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해당 전화번호들을 순차적으로 계속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발신 혹은 착신 이벤트가 동일한 전화번호에 대해 지속적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 역시 중복적으로 저장되게 되어 전화번호 검색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이다.First, when it is detected that an outgoing or incoming event of a user occurs in the mobile phone terminal (step 311), the mobile phone terminal performs the outgoing or incoming event (step 313). Then,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erformed outgoing or incoming event is stored in the storage area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s for the event generated in this way are continuously stored sequentially. By the way, when the outgoing or incoming event is continuously performed for the same phone number, the stored phone number is also stored in duplicate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phone number search is reduced.

또한, 상대방 이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가 상대방 사용자의 풀네임을 입력하지 않고 일부분만을 입력할 경우 그 입력한 일부분에 조합되는 모든 전화번호들을 일정한 순서(일 예로, 가나다 순서)를 가지고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일정한 순서로 출력되는 다수의 전화번호들중 다수번의이동 버튼 입력을 통해 원하는 전화번호를 직접 검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수번의 이동 버튼 입력이라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phone number search based on the other party's name, if the user inputs only a part of the user's full name without inputting the full name of the other user's name, all the phone numbers combined in the inputted part may be arranged in a certain order (for example, in Canadian order). And print it out. Then, the user can directly search for the desired phone number through the input of a plurality of mobile buttons of the plurality of phone numbers output in the predetermined order, this has caused a problem that the user's inconvenience of multiple mobile button input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ne number search fun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in a mobile phon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최소의 키조작을 통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ne number search function through a minimum key operation in a mobile phon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다수의 상대방 사용자 이름들과, 상기 사용자 이름들 각각에 대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검색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요구된 전화번호 검색의 검색 항목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된 검색 항목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를 적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requency of use in 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counterpart user names, a phone book database for storing the phone number and user usage data for each of the user names A phone number search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search item of the requested phone number search when a phone number search request is detected, searching the phone book databas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earch item, and searching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s. And detecting and display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s in order of high priority by applying the user usage history dat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lephone number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발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 call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 number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 cal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1)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3)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구조로 저장한다. 키입력부(11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음성처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을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송신부(121)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23)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123)는 상기 송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2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5)는 상기 듀플렉서(12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2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The controller 1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The memory 113 stores control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Save it as a structure. The key input unit 115 includes a plurality of dialing digit keys, a menu key, a send key,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ed by a user to the controller 111. The voice processor 119 analog-processes the voice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and transmits the voice through a speaker, and also digitally processes the analog voic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The transmitter 121 inpu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1, digitally modulat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uplexer 123. The duplexer 123 transmits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121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receiver 125. The receiver 125 demodulates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duplexer 123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11, and the controller 111 controls a call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The display unit 127 is implement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LCD), an LED, and the like, and displays control data and input data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11)는 휴대 전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명령, 즉 전화번호 검색 요구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 검색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결과 데이터, 즉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와 휴대 전화 단말기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렇게 상기 전화번호 검색 요구를 입력받음에 따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검색 엔진(513)이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해당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표시부(127)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메인 프로그램(517)은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즉 호처리(call process) 및 각종 하드웨어(hardware) 구동(drive)등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5, the user interface 511 inputs a command, i.e., a telephone number search request, from a mobile phone terminal user, and inputs result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search request, i.e., a telephone number. Display to provide an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hone number search request being received, the phone book database search engine 513 searches the phone book database 515 and displays the searched phone numb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511. Display via. In addition, the main program 517 performs the overall operation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that is, a call process and various hardware driv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 number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전화 단말기의 메모리(113)의 특정 영역에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가 저장된다.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는 저장 번지(address)와, 상기 저장번지에 저장되는 전화번호의 상대방 사용자 이름과,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정보와,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정보가 하나의 레코드(record)로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의 레코드들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를 구성하는 것이다.The phone book database 515 is stored in a specific area of the memory 113 of the cellular phone terminal. Th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515 includes a storage address, a counterpart user name of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address, the stored telephone number, call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telephone number.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is is formed as one record. Thus, a number of records make up the phone book database 515.

상기 레코드 구조에서, 상기 발신정보는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가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발신된 사용빈도와, 그 사용에 따른 최근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 정보의 사용빈도는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을 했을 경우 그 값이 증가되는 것이며, 상기 사용빈도값의 증가와 함께 사용된 사용시간을 갱신한다. 물론, 상기 발신정보의 사용빈도는 설정 임계값을 가지며, 상기 사용빈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빈도값은 증가시키지 않고 이전의 값을 유지시키고 단지 상기 사용시간만을 갱신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신정보는 상기 저장되는 전화번호가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수신된 사용빈도와, 그 사용에 따른 최근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정보의 사용빈도는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로부터 수신을 했을 경우 그 값이 증가되는 것이며, 상기 사용빈도값의 증가와 함께 사용된 사용시간을 갱신한다. 물론, 상기 수신정보의 사용빈도는 설정 임계값을 가지며, 상기 사용빈도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빈도값은 증가시키지 않고 이전의 값을 유지시키고 단지 상기 사용시간만을 갱신시키게 된다.In the record structure, 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frequency of use of which the stored telephone number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a recent use time according to the use. He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alling information is increased when the user makes a call to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usage time is updated with the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use. Of cours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originating information has a set threshold value, and if the frequency of use exceeds the threshold, the frequency of use is not increased and the previous value is maintained and only the usage time is updated. In addition, the receive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tored telephone number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the latest usage time according to the use. He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received information is increased when the user receives from the telephone number, and updates the usage time used with the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use. Of cours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received information has a set threshold, and when the frequency exceeds the threshold, the frequency of use is not increased and the previous value is maintained and only the usage time is upda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특히 사용자 이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 user name.

먼저, 제어부(111)는 사용자 검색 요구가 감지되면(711단계) 상기 요구된 사용자 검색 요구에 맞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메모리(113)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515)의 해당 항목을 검색한다(713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검색 요구는 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들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하다. 일 예로, 메뉴키와 다이얼링 디지트 키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검색키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검색키가 입력되면 사용자 검색 요구로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에서 해당 항목을 검색한다 함은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515)의 저장번지들에 저장된 각각의 상대방 사용자 이름들 중 상기 검색 요구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들을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First, when a user search request is detected (step 711), the controller 111 searches for a corresponding item in the phone book database 515 of the memory 113 to search for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user search request (713). step). The user search request may be inpu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5.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menu key and a dialing digit key is set as a user search key, and when the user search key is input, the user key is detected as a user search request. Further, searching for the corresponding item in the phone book database 515 means searching for user names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quest among respective counterpart user names stored in the storage addresses of the phone book database 515. it means.

이렇게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515)의 사용자 이름 항목을 검색한 후 상기 제어부(111)는 사용자 사용 내역 적용 옵션을 활성화시킨다(715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적용 옵션(option)을 활성화시킨다함은 상기 사용자 이름에 따른 검색을 적용하여 해당되는 사용자 이름들이 다수개 검색되었을 때, 상기 검색된 다수개의 사용자 이름들을 상기 표시부(127)에 디스플레이하는 순서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의 다른 정보들, 즉 발신정보 혹은 수신정보 등을 이용하여 정하기 위해, 상기 순서를 정하기 위한 해당 옵션들을 활성화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적용 옵션을 활성화 시킨후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가 적용 가능한지를 검사한다(717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가 적용 가능할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검색된 다수개의 사용자 이름을 사용자 사용 내역순으로 정렬한 후(719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511)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부(127)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종료한다(723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내역 순으로 정렬한다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515)에서 검색된 다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상기 적용된 옵션, 즉 발신정보 혹은 수신정보등과 같은 옵션에따라, 일 예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혹은 최근 사용시간이 가장 최근인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After searching for the user name item in the phone book database 515, the control unit 111 activates the user usage history application option (step 715). In this case, activating the user usage history applying option (option) is applied to a search based on the user name, and whe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user names are found, the searched user nam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7. In order to determine the order using the other information of the phone book database 515, that is, the calling information or the receiving information, it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options for determining the order are activated. Thus, after activating the user usage history application option, the controller 111 checks whether the user usage history data is applicable (step 717). If the user usage history data is applicabl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the control unit 111 sorts the plurality of searched user names in order of user usage history (step 719) and then drives the user interface 511 to display the display unit 127. Display through and exit (step 723). As described above, sorting in the order of the user details may include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retrieved from the phone book database 515 according to the applied option, that is, an option such as calling information or receiving information. This means that the frequency of use is sorted in order of highest or recent use time.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가 적용가능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검색된 다수개의 사용자 이름을 일반적인 정렬 순서, 일 예로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여(721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상기 정렬된 사용자 이름들을 상기 표시부(127)에 디스플레이하고 종료한다.If the user usage history data is not applicabl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the control unit 111 sorts the plurality of searched user names in a general sorting order, for example, “in order” (step 721). The sorted user nam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7 and termina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 cal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11)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기에 발신 혹은 착신 이벤트(event)가 발생함을 감지하면(811단계) 메모리(113)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515) 상의 사용자 사용 내역 정보를 갱신한다(813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정보 갱신이라 함은 상기 발신 혹은 착신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들을 갱신함을 의미한다. 즉 상기 발신 이벤트 발생일 경우 상기 발생한 발신 이벤트의 해당 전화번호의 사용빈도값 및 최근사용시간을 각각 수정시키고, 상기 착신 이벤트 발생일 경우 상기 발생한 착신 이벤트의 해당 전화번호의 사용빈도값 및 최근 사용시간을 각각 수정하여 갱신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갱신된 사용자 사용 내역 정보들이 전화번호 검색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 사용 내역 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제어부(111)는 발신 혹은 착신 서비스를 수행하고 종료한다(815단계).First, when the controller 111 detects that an outgoing or incoming event occurs in the mobile phone terminal (step 811), the controller 111 updates user usage history information on the phone book database 515 of the memory 113 ( Step 813). Here, updating the user usage history information means upda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riginating or incoming event. That is, when the outgoing event is generated,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latest usage time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of the outgoing outgoing event are respectively corrected. Each update will be updated. Thus, the updated user usage information is used for phone number search. After updating the user usage history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11 performs an outgoing or incoming service and ends (step 815).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 검색 기능을 사용자의 편의 요구에 적합한 형태로 옵션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편의 요구에 따른 우선순위별로 검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earch the phone numbers searched by priority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request by displaying the phone book search function by applying an option in a form suitable for the user's convenience request. .

그리고, 상기 검색을 사용자 옵션 요구에 따라 우선순위별로 검색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다수번의 키조작 등과 같은 불편함을 제거한다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search can be searched by priority according to a user option request, it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inconveniences such as conventional key operation.

또한, 상기 전화번호부 검색 기능을 사용자 편의에 따른 옵션을 적용하여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중복 검색 등을 제거하여 검색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phone book search function by applying an op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by removing the existing duplicate search.

Claims (11)

다수의 상대방 사용자 이름들과, 상기 사용자 이름들 각각에 대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있어서,Claims [1] A phone number search method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in a mobile phon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counterpart user names and a phone book database for storing telephone number and user usage data for each of the user names. 전화번호 검색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요구된 전화번호 검색의 검색 항목을 판별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search item of the requested telephone number search if a telephone number search request is detected; 상기 판별된 검색 항목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들을 검출하는 과정과,Searching th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earch item and detecting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s;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를 적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s in order of high priority by applying the user usage history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는;The user usage history data; 상기 전화번호의 발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가 사용된 사용빈도와 사용된 시간을 나타내는 최근 사용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caller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wherein the caller information is a recent use time indicating a frequency of use and a time u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는;The user usage history data; 상기 전화번호의 수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가 사용된 사용빈도와 사용된 시간을 나타내는 최근 사용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wherein the received information is a recent usage time indicating a frequency of use and a time us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사용 빈도가 클수록, 상기 최근 사용시간이 길수록 높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iorit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e, the higher the recent use time is high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사용 빈도가 클수록, 상기 최근 사용시간이 길수록 높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iorit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e, the higher the recent use time is higher.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에 있어서,In the phone book database generation method of a mobile phone terminal, 상대방 사용자 이름과, 상기 상대방 사용자 이름에 전화번호를 매핑하는 과정과,Mapping a counterpart user name and a phone number to the counterpart user name; 상기 전화번호에 발신한 빈도를 나타내는 발신 사용빈도와, 상기 발신에 따른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발신 사용시간을 발신 정보로 매핑하는 과정과,Mapping outgoing usage frequency indicative of the frequency of outgoing calls to the telephone number, outgoing usage time indicative of the usage time according to the outgoing call with outgoing information; 상기 발신 정보를 매핑한 후 상기 전화번호로 수신된 빈도를 나타내는 수신 사용빈도와, 상기 수신에 따른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수신 사용시간을 수신 정보로 매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mapping the received usage time indicating the frequency received with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receiving usage time indicating the usage time according to the reception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fter mapping the calling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발신 사용빈도 및 수신 사용빈도는 설정 임계값을 가지며, 상기 발신 사용 빈도 및 수신 사용빈도값이 상기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발신 혹은 수신이 발생할 때 상기 발신 사용 빈도 및 수신 사용 빈도값은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outgoing usage frequency and the reception usage frequency have a set threshold, and when the outgoing or reception frequency occurs when the outgoing usage frequency and the reception usage frequency value reach the threshold, the outgoing usage frequency and the reception usage frequency value are no lo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increase.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에 있어서,In the mobile phone terminal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상대방 사용자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 정보 및 수신 정보를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로 매핑하여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a phone book database by mapping the counterpart user's phone number and the call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to user usage data;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한 후 전화번호 검색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요구된 전화번호 검색의 검색 항목을 판별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search item of the requested telephone number search if a telephone number search request is detected after generating the telephone book database; 상기 판별된 검색 항목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해당 전화번호들을 검출하는 과정과,Searching th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earch item and detecting the telephone numbers;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사용자 사용 내역 데이터를 적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detected telephone numbers in order of high priority by applying the user usage history dat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발신정보는 상기 전화번호에 발신한 빈도를 나타내는 발신 사용빈도와, 상기 발신에 따른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발신 사용시간을 발신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alling information is a calling use frequency indicating a frequency of calling to the telephone number, and a calling time using time indicating a using time according to the calling metho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수신정보는 상기 전화번호로 수신된 빈도를 나타내는 수신 사용빈도와, 상기 수신에 따른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수신 사용시간을 수신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reception information is reception usage frequency indicating a frequency received by the telephone number, and reception usage time indicating a usage time according to the recepti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전화번호들의 발신 사용 빈도 및 수신 사용 빈도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prior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reception of the telephone numbers.
KR1020010010567A 2001-02-28 2001-02-28 How to Retrieve Phone Numbers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Mobile Phones Expired - Fee Related KR100724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67A KR100724884B1 (en) 2001-02-28 2001-02-28 How to Retrieve Phone Numbers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Mobile 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67A KR100724884B1 (en) 2001-02-28 2001-02-28 How to Retrieve Phone Numbers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Mobile Pho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64A true KR20020069964A (en) 2002-09-05
KR100724884B1 KR100724884B1 (en) 2007-06-04

Family

ID=2769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4884B1 (en) 2001-02-28 2001-02-28 How to Retrieve Phone Numbers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Mobile Ph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884B1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88A (en)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group management of phone book by the frequency number of calls in mobile phone
KR20040041862A (en)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priority
KR100892457B1 (en) * 2007-09-18 2009-04-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hone book search method and phone book search function of mobile device
WO2010111679A3 (en) * 2009-03-27 2011-01-13 T-Mobile Usa, Inc. Variable path management of user contacts
US8255281B2 (en) 2006-06-07 2012-08-28 T-Mobile Usa, Inc. Servic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subscriber-driven changes to service plans
US8893025B2 (en) 2009-03-27 2014-11-18 T-Mobile Usa, Inc. Generating group based information displays via template information
US8893041B2 (en) 2005-06-10 2014-11-18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9160828B2 (en) 2009-03-27 2015-10-13 T-Mobile Usa, Inc. Managing communications utilizing communication categories
US9195966B2 (en) 2009-03-27 2015-11-24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9210247B2 (en) 2009-03-27 2015-12-08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9355382B2 (en) 2009-03-27 2016-05-31 T-Mobile Usa, Inc. Group based information displays
US9369542B2 (en) 2009-03-27 2016-06-14 T-Mobile Usa, Inc. Network-based processing of data requests for contact information
US10178519B2 (en) 2005-06-10 2019-01-08 T-Mobile Usa, Inc. Variable path management of user contacts
US10177990B2 (en) 2005-06-10 2019-01-08 T-Mobile Usa, Inc. Managing subset of user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009B1 (en) * 1998-05-22 2000-11-15 윤종용 Wireless handset and its method for improved memory dialing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88A (en)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group management of phone book by the frequency number of calls in mobile phone
KR20040041862A (en)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priority
US10969932B2 (en) 2005-06-10 2021-04-06 T-Mobl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11564068B2 (en) 2005-06-10 2023-01-24 Amazon Technologies, Inc. Variable path management of user contacts
US10178519B2 (en) 2005-06-10 2019-01-08 T-Mobile Usa, Inc. Variable path management of user contacts
US8893041B2 (en) 2005-06-10 2014-11-18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8954891B2 (en) 2005-06-10 2015-02-10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10459601B2 (en) 2005-06-10 2019-10-29 T-Mobli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10191623B2 (en) 2005-06-10 2019-01-29 T-Mobile Usa, Inc. Variable path management of user contacts
US9304659B2 (en) 2005-06-10 2016-04-05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10177990B2 (en) 2005-06-10 2019-01-08 T-Mobile Usa, Inc. Managing subset of user contacts
US8255281B2 (en) 2006-06-07 2012-08-28 T-Mobile Usa, Inc. Servic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subscriber-driven changes to service plans
US10733642B2 (en) 2006-06-07 2020-08-04 T-Mobile Usa, Inc. Servic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subscriber-driven changes to service plans
US8504112B2 (en) 2007-09-18 2013-08-06 Kt Corporation Methods for searching phone book, and portable devic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having phone-book search function
KR100892457B1 (en) * 2007-09-18 2009-04-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hone book search method and phone book search function of mobile device
US9369542B2 (en) 2009-03-27 2016-06-14 T-Mobile Usa, Inc. Network-based processing of data requests for contact information
US10021231B2 (en) 2009-03-27 2018-07-10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9886487B2 (en) 2009-03-27 2018-02-06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9355382B2 (en) 2009-03-27 2016-05-31 T-Mobile Usa, Inc. Group based information displays
US9210247B2 (en) 2009-03-27 2015-12-08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9195966B2 (en) 2009-03-27 2015-11-24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10510008B2 (en) 2009-03-27 2019-12-17 T-Mobile Usa, Inc. Group based information displays
US9160828B2 (en) 2009-03-27 2015-10-13 T-Mobile Usa, Inc. Managing communications utilizing communication categories
US10771605B2 (en) 2009-03-27 2020-09-08 T-Mobile Usa, Inc. Managing contact groups from subset of user contacts
US8893025B2 (en) 2009-03-27 2014-11-18 T-Mobile Usa, Inc. Generating group based information displays via template information
US10972597B2 (en) 2009-03-27 2021-04-06 T-Mobile Usa, Inc. Managing executable component groups from subset of user executable components
US11010678B2 (en) 2009-03-27 2021-05-18 T-Mobile Usa, Inc. Group based information displays
WO2010111679A3 (en) * 2009-03-27 2011-01-13 T-Mobile Usa, Inc. Variable path management of user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884B1 (en)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899B1 (en) Intelligent dialing scheme for telephony application
KR100724884B1 (en) How to Retrieve Phone Numbers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Mobile Phones
US20040204119A1 (en) Method enabling mobile telephones to have automatic multiple telephone number dialing capability to a same called party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KR20050055360A (en) Method for display recent call list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06309B1 (en) Telephone number bookmark method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ing the same
EP1517522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interface using a voice signal
US20020071534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calling method in the same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6968213B1 (en) Mobile telephone having a redial function relating multiple redial numbers to a selected redial number and redial method therefor
JP2002354104A (en) Method for accessing tele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1536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list
KR101030904B1 (en) Mobile terminal and his phone number search method
KR100749184B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book function
KR100529470B1 (en) Method for Saving Call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1862A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priority
KR100606098B1 (en) How to save phone number of portable terminal
KR10090028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hone number search method for same
KR100947224B1 (en) How to save phone number of mobile terminal
KR20030064514A (en) Method for storing telephone numb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630151B1 (en) Phonebook registration and retrieval method of mobile phone using directory structure
KR100520665B1 (en) Method for storing telephone 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995026B1 (en) How to Search for Multiple Phone Numbers of Mobile Phone Callers
KR20020056987A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in the order of frequency transmitting signal in mobile wireless telephone
KR20130073325A (en) User equipment displaying interworked quick dial number on the dialing screen, and a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3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24884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60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5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52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