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481A - Document link method using a hypertext - Google Patents
Document link method using a hypertex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57481A KR20020057481A KR1020010000532A KR20010000532A KR20020057481A KR 20020057481 A KR20020057481 A KR 20020057481A KR 1020010000532 A KR1020010000532 A KR 1020010000532A KR 20010000532 A KR20010000532 A KR 20010000532A KR 20020057481 A KR20020057481 A KR 200200574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pertext
- document
- displayed
- screen
- mo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된 경우에,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가 클릭되면,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In the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hypertext is set on a document displayed on a screen, when a pointer such as a mouse is clicked at a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oint where the hypertext is set, the hypertext is connected to the hypertext. The connect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복수의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가 클릭되면, 마우스의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거리상으로 제일 가까운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Here, when a plurality of hypertexts are set on the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 pointer such as a mouse is clicked,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hypertext nearest to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mouse pointer is loca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하이퍼텍스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마우스의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클릭하여도,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표시되지 않는 특정 영역이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hypertext is set on a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if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and clicked within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ypertext,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is not displayed is displayed. exis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문서가 표시되는 웹 화면에 있어,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가 표시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를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웹 문서로 자동 연결될 수 있도록 하이퍼텍스트 수행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를 선택하여 해당 웹 문서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licks a pointer such as a mouse at a position within a certain range from a point where a hypertext is displayed on a web screen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hypertext is displayed, the hypertext is connected to the hypertext. By setting the hypertext execution region to automatically link to a web documen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hypertext and link to the web docu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문서가 표시되는 웹(web) 화면에 있어,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가 표시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mouse)와 같은 포인터(pointer)를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웹 문서로 자동 연결될 수 있도록 하이퍼텍스트 수행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를 선택하여 해당 웹 문서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In particular, in a web screen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hypertext is displayed, a user moves a mous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point where a hypertext is displayed. When you click a pointer such as mouse, you can set the hypertext execution area to automatically link to the web document linked to the hypertex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hypertext and link to the web document. It relates to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일반적으로, 하이퍼텍스트는 문서 중간중간에 특정 키워드(keyword)를 두고 문자나 그래픽 화일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만든 문서를 말한다. 즉, 문서의 중요한 키워드마다 다른 문서로 연결(link)되는 통로를 만들어 여러 개의 문서가 하나의 문서인 것처럼 보여주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hypertext refers to a document created by combining a character or graphic file with a specific keyword in the middle of the document. In other words, each important keyword of a document creates a link to another document so that several documents appear as one document.
CD롬 타이틀이나 CD롬 백과사전, 소프트웨어의 도움말 파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서들은 기본적으로 이 하이퍼텍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문서를 제공하며 월드와이드웹에서 파란글자를 눌렀을 때 연관되는 하위정보를 볼 수 있게 한 것도 하이퍼텍스트 활용의 한 예다.Documents commonly found in CD-ROM titles, CD-ROM encyclopedias, and software help files provide this document by default using this hypertext method, allowing you to view sub-information related to blue letters on the World Wide Web. One example is the use of hypertext.
도 1은 종래의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hypertext.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문서의 내용 중에 'http:// www.lge.co.kr'과 같은 인터넷 웹 페이지에 대한 주소가 하이퍼텍스트로 작성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를 이용하여 하이퍼텍스트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설정되어 있는 인터넷 웹 페이지로 바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 when an address for an Internet web page such as 'http: // www.lge.co.kr' is created in hypertext among the contents of a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By clicking on the hypertext using a pointer such as,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o the Internet web page set in the hypertext.
즉, 사용자가 도 1의 (a)에서 'http://www.lge.co.kr'로 표시된 하이퍼텍스트를 마우스의 포인터 위치를 조정하여 클릭함으로써, 도 1의 (b)와 같이 해당 인터넷 웹 페이지로 바로 연결되어, 그 인터넷 웹 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clicks on the hypertext displayed as 'http://www.lge.co.kr' in FIG. 1 by adjusting the pointer position of the mouse, the corresponding Internet web as shown in FIG. By linking directly to the page, you can displa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ternet web page on the screen.
그런데, 사용자가 문서에 표시된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에 포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문서가 표시되는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마우스(mouse), 트랙 볼(track ball) 또는 미니 조이스틱(mini joystick)을 이용하여 해당 하이퍼텍스트의 위치에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클릭하여야 한다.However, in order for a user to display on the screen information included in a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by using the hypertext displayed in the document, a mouse and a track bal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on which the document is displayed. Use the ball or mini joystick to position and click the pointer at the location of the hypertext.
이때, 트랙 볼 또는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작은 공간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단말기(노트북, 인터넷 TV 등)에 채용되지만, 마우스에 비해 정밀한 움직임을 조정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웹페이지 상의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해당 하이퍼텍스트의 위치에 포인터를 조정하는 것이 힘든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ointer is adjusted using the track ball or the joystick, it is adopted in a terminal (laptop, Internet TV, etc.)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made using a small space.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ointer to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hypertext which occupies a small space on the web p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건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문서가 표시되는 웹 화면에 있어,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가 표시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를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웹 문서로 자동 연결될 수 있도록 하이퍼텍스트 수행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를 선택하여 해당 웹 문서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when a user clicks a pointer such as a mouse at a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point where a hypertext is displayed on a web screen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hypertext is displayed. By setting the hypertext execution area to automatically link to the web document linked to the hypertext, the user can select the hypertext and easily link to the web docu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종래의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hypertex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2 conceptually illustrates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3 to 5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가클릭되면,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정보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linking a document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er such as a mouse at a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oint at which the hypertext is set when the hypertext is set on a document displayed on a screen. When clicked, the feature is that the information linked to the hypertext is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복수의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가 클릭되면, 상기 마우스의 커서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거리 상으로 제일 가까운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when a plurality of hypertexts are set on the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 pointer such as a mouse is clicked,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hypertext nearest to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cursor is loca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characterized by the point displayed.
또한,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하이퍼텍스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마우스의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클릭하여도, 상기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표시되지 않는 특정 영역이 존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Also, when hypertext is set on the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if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and clicked within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ypertext,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is not displayed. The characteristic is that certain areas exist.
또한, 상기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표시되지 않는 특정 영역은 텍스트 입력을 위한 영역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region in which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is not displayed is an area for text inpu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문서가 표시되는 웹 화면에 있어,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가 표시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를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웹 문서로 자동 연결될 수 있도록 하이퍼텍스트 수행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를 선택하여 해당 웹 문서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licks a pointer such as a mouse at a position within a certain range from a point where a hypertext is displayed on a web screen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hypertext is displayed, the hypertext is connected to the hypertext. By setting the hypertext execution region to automatically link to a web documen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hypertext and link to the web docu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을 개념적으로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무선 연결방법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도 2의 화면에는 두 개의 하이퍼텍스트('하이퍼텍스트1', '하이퍼텍스트2')가 존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마우스의 포인터를 소정 영역에 위치시키고 클릭하면, 마우스 위치로부터 제일 가까운 영역에 존재하는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정보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즉, 도 2에서는 마우스가 '제 1 영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하면 '제 1 영역'의 '하이퍼텍스트1'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FIG. 2 i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a wireless connection method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wo hypertexts (“hypertext 1” and “hypertext 2”) exist on the screen of FIG. 2. When the user places the mouse pointer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clicks, the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hypertext existing in the area closest to the mouse position is designed to be output on the screen. That is, in FIG. 2, since the mouse exists in the 'first area', when the user clicks the mouse,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1' of the 'first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다시 부연하여 설명하면, 화면 상에 두 개의 하이퍼텍스트가 위치하는 경우에, 화면 상의 각 점과 하이퍼텍스트의 특정점(예컨대, 중심점)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까운 쪽의 하이퍼텍스트가 동작하도록 하여, 쉽게 하이퍼텍스트를 선택하고 연결된 문서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wo hypertexts are located on the screen, the distance between each point on the screen and a specific point (for example, a center point) of the hypertext is calculated so that the adjacent hypertext operates. You can easily select hypertext and obtain information contained in linked documents.
여기서, '제 1 영역'은 마우스가 클릭되었을 때 '하이퍼텍스트1'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제 2 영역'은 마우스가 클릭되었을 때 '하이퍼텍스트2'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즉, '제 1 영역'에 있는 포인트들은 상기 '하이퍼텍스트1'에 더 가까운 지점들이며, '제 2 영역'에 있는 포인트들은 상기 '하이퍼텍스트2'에 더 가까운 지점들인 것이다.Here, the 'first area' refers to the area where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1'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mouse is clicked, and the 'second area' connects to the 'hypertext2' when the mouse is clicked. The area in which the document is display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points in the 'first area' are points closer to the 'hypertext 1', and points in the 'second area' are points closer to the 'hypertext 2'.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ocument linking method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화면에는 4 개의 하이퍼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마우스의 포인터가 클릭된 지점에서 제일 가까운 포인트에 위치한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즉, 도 3에 표시된 지점에서 마우스의 포인트가 클릭되는 경우에는 '하이퍼텍스트1'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에 포함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2, four hypertexts exist on the screen of FIG. 3. As illustrated in FIG. 2, information included in a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located at the point closest to the point where the mouse pointer is clicked is displayed.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when the mouse point is clicked at the point shown in FIG. 3,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1" is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도 4는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최대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마우스의 포인터가 실선의 위치에서 클릭되는 경우에는 '하이퍼텍스트1'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4 illustrates a case where a maximum distance for displaying a document connected to hypertext is set on the screen. When the mouse pointer is clicked at a solid line position, FIG. 4 is connected to 'hypertext 1'.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마우스의 포인터가 점선의 위치에서 클릭되는 경우에는 4 개의 하이퍼텍스트 중에서 각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어느 문서로도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현재 상태의 정보가 계속해서 화면에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pointer of the mouse is clicked at the dotted line position, since no document is connected to each hypertext among the four hypertexts,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e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도 5는 화면에 표시된 문서 상에 하이퍼텍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하이퍼텍스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마우스의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클릭하여도, 상기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문서가 표시되지 않는 특정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Fig. 5, when hypertext is set on the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if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and clicked within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ypertext,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is displayed. An example of the case in which a specific area that does not exist is shown.
예컨대,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 영역이 있거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정보에 억세스하지 않고 화면을 클릭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 입력 영역 등은 하이퍼텍스트로 연결시키지 않아야 하며,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에 억세스하지 않고 화면을 클릭할 수 있는 영역이필요하다.Fo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is a user input area on the screen or a user needs to click on the screen without using hypertext to access information for other reasons. Therefore, the user input area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nected by hypertext, and an area where a user can click the screen without accessing the hypertext is required.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하이퍼텍스트로 연결시키기 위한 최대거리를 설정함으로써, 그 영역 이내에서 마우스의 포인터가 클릭되는 경우에만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문서에 포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by setting the maximum distance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hypertext,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ocument connected to the hypertex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when the mouse pointer is clicked within the area. Can be.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 나타낸 최대거리 이내의 영역에 사용자 입력 영역이 존재하게 될 수도 있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화면의 일부 영역 예컨대, 사용자 입력 영역은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되지 않는 영역으로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영역을 클릭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some cases, the user input area may exist in the area within the maximum distance shown in FIG. 4. FIG. 5 illustrates such a case. As a part of the screen, for example, a user input area is designed as an area not connected to the hypertext, the user can click the area and input necessary information.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서 연결방법에 의하면, 하이퍼텍스트가 포함된 문서가 표시되는 웹 화면에 있어,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가 표시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위치에서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를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하이퍼텍스트에 연결된 웹 문서로 자동 연결될 수 있도록 하이퍼텍스트 수행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를 클릭하여 해당 웹 문서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linking a document using hyper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web screen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hypertext is displayed, a user moves a mouse, such as a mouse, at a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point where the hypertext is displayed. When the pointer is clicked, the hypertext execution region is set to automatically link to the web document linked to the hypertex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lick the hypertext to link to the web document. .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0532A KR20020057481A (en) | 2001-01-05 | 2001-01-05 | Document link method using a hypertex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0532A KR20020057481A (en) | 2001-01-05 | 2001-01-05 | Document link method using a hypertex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7481A true KR20020057481A (en) | 2002-07-11 |
Family
ID=2769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0532A Ceased KR20020057481A (en) | 2001-01-05 | 2001-01-05 | Document link method using a hypertex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57481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44726A1 (en) * | 1996-05-06 | 1997-11-27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Internet hyperlink drag and drop |
JPH11250087A (en) * | 1998-03-03 | 1999-09-17 |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 Hyperlink definition method and image file data recording medium |
US6075537A (en) * | 1997-11-20 | 2000-06-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Ease of use interface to hotspots in hypertext document pages in network display stations |
-
2001
- 2001-01-05 KR KR1020010000532A patent/KR20020057481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44726A1 (en) * | 1996-05-06 | 1997-11-27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Internet hyperlink drag and drop |
US6075537A (en) * | 1997-11-20 | 2000-06-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Ease of use interface to hotspots in hypertext document pages in network display stations |
JPH11250087A (en) * | 1998-03-03 | 1999-09-17 |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 Hyperlink definition method and image file data recording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031774A1 (en) | Indic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web pages | |
Roto et al. | Minimap: a web page visualization method for mobile phones | |
KR100274135B1 (en) | Web browser allowing navigation between hypertext objects using remote control | |
US5615325A (en) | Graphical viewer for heirarchical datasets | |
US704353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ed browsing and searching in a document collection based on information scent | |
US6510468B1 (en) | Adaptively transforming data from a first computer program for use in a second computer program | |
US7496831B2 (en) | Method to reformat regions with cluttered hyperlinks | |
US8176185B2 (en) | Method of switching Internet personas based on URL | |
SG108239A1 (en) | Internet web browser with memory enhanced hyperlink display | |
US200201240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eb documents using multi-browse function | |
US200200510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rowser interface operation | |
US20020080179A1 (en) | Data transfer method and data transfer device | |
JP2012511208A (en) | Preview search results for proposed refined terms and vertical search | |
WO2002059734A1 (en) | Interactive marking and recall of a document | |
US20080163065A1 (en) | Using a light source to indicate navigation spots on a web page | |
JP2014506365A (en) | Display fixed multi-monitor screen magnifier | |
US7631264B2 (en)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of a web site | |
US7047487B1 (en) | Methods for formatting electronic documents | |
KR20080057907A (en) | Method for providing hyperlink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wireless Internet access | |
US2005002810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processing display information to combine display focus and context information in screen displays | |
JPH10293767A (en) |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HTML document | |
US20030088827A1 (en) | Multimedia data publishing system | |
KR20020057481A (en) | Document link method using a hypertext | |
US20060136406A1 (en) | Spatial search and selection feature | |
KR20020000311A (en) | Information Bar Which Enables a Connection to Internet and Data Sear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3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