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11202A -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202A
KR20010111202A KR1020000031741A KR20000031741A KR20010111202A KR 20010111202 A KR20010111202 A KR 20010111202A KR 1020000031741 A KR1020000031741 A KR 1020000031741A KR 20000031741 A KR20000031741 A KR 20000031741A KR 20010111202 A KR20010111202 A KR 2001011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seat belt
license plate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대운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00003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202A/en
Publication of KR2001011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20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방법은 경찰관의 육안에 의존하기 때문에 차량이 고속으로 진행하는 고속도로나 간선도로에서는 육안으로 안전 벨트 착용을 단속하기가 불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 의무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차량이 진입됨을 검출하여 차량의 전면부를 촬상하여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단계와; 상기 촬상된 차량의 영상으로 부터 차량의 번호판 위치를 추출하는 번호판영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번호판영역으로 부터 차량의 번호를 검출하는 차량번호 검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번호판영역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추출하거나, 전체의 영상에서 운전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추출하는 운전자영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한 운전자영역에서 상호 평행한 두 사선을 검출하여, 그 사선이 안전벨트인지를 판별하는 안전벨트 판단단계와; 상기 안전벨트 판단단계에서 안전벨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하고, 안전벨트가 아니거나 평행한 사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고지서를 발부하는 고지서 발부단계로 구성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여 하루 24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차량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검사하여 사고 발생시 사망률을 줄임과 아울러 부상정도를 감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unfastening seat belts and a method thereof, and it is impossible to clamp seat belts with the naked eye on a highway or highway where the vehicle proceeds at a high speed because the conventional method for unfastening seat belts depends on the naked eye of a police offic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river's feeling of wearing the belt is lower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capturing step of acquiring an image of a vehicle by detecting a front part of the vehicle by detec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A license plate are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license plate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of the vehicle; A vehicle number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vehicle number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A driver reg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rea where the driver is located by using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or extracting an area where the driver is located by using the face of the driver from an entire image; A seatbelt determining step of detecting two diagonal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extracted driver reg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agonal lines are seat bel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t belt is determined in the seat belt determination step, the process is terminated, and if a non-seat belt or parallel diagonal line is not detected, the system continuously consists of a bill issuing step for issuing a bill for 24 hours a day. By checking whether the vehicle's seatbelt is worn, it can reduce the mortality rate and reduce the degree of injury when an accident occurs.

Description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Control system without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범칙금 고지서를 발부하여,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을 활성화함으로써, 교통사고의 발생시 사망사고를 줄일 수 있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ecks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by the driver, issues a penalty notice, and activates the seat belt of the driver, thereby reducing the accidents caused by a traffic accident. will be.

현재, 미국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하여 매년 5만명이 사망하고, 3백만명이 부상을 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막대한 사회 손실 비용이 초래되고 있다. 사고를 당한 가족들은 경제적인 피해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피해로 인해 매우 고통받고 있다. 교통사고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왔고, 연구결과에 따르면 안전벨트 착용은 교통사고시 사망률을 57% 까지 줄일 수 있다. 모든 유럽인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한다면, 유럽 전체로 볼 때 연간 7500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Currently in the United States, 50,000 people die each year and 3 million people are injured in traffic accidents, incurring significant social losses. Accident families are suffering from mental as well as economic damage.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wearing a seatbelt in a traffic accident can reduce the damage, and studies show that wearing a seatbelt can reduce the mortality rate by 57%. If all Europeans wear seat belts, 7500 lives per year can be saved in all of Europe.

이와 같은 관점에서, 미국 연방정부는 보다 강력하게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1997년 미국은 운전자 및 자동차 탑승자들의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는 것은 물론 경찰이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운전자들을 적발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안'을 발표하였다. 이 안전벨트 발표 착용 의무화 안은 현재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지 않고 있는 뉴햄프셔주를 비롯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차량 탑승자라도 경찰이 단속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 대부분의 주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도로 건설 지원예산등을 대폭 삭감하는 제재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캘리포니아를 비롯하여 11개 주에서만 실시되고 있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primary seat belt laws)' 제도를 나머지 주에서도 오는 2002년 9월 30일까지 받아들일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도로 건설 지원에서 1.5%는 안전 벨트 착용 캠페인 비용으로 전용하도록 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단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안전벨트 착용률이 85%를 넘는 주는 대상에서 제외되며, 현재 미국 연방정부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전국적으로 68%에 그치고 있다.In this regard, the US federal government has a stronger mandate to wear seat belts. In 1997, the United States issued a mandatory seat belt mandate that would allow drivers and occupants to wear seat belts, as well as allow police to detect drivers who did not wear seat belts. The mandatory announcement of the seatbelt includes new Hampshire, which currently does not require seatbelts, and most states where passengers who do not wear seatbelts do not want police to crack down. It includes sanctions to cut drastically. The United States is strongly urging to accept the 'primary seat belt laws' system, now in California and 11 other states, by September 30, 2002. In the road construction support, 1.5 percent are reported to be dedicated to the cost of the seat belt campaign. However, the state that the seat belt wearing rate of drivers and passengers exceeds 85% is excluded, and the US federal government seat belt wearing rate is only 68% nationwide.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그 단속 방법은 경찰관의 육안으로만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자동화된 장치에 의해 단속하지 않고 있다. 자동화된 장치에 의한 단속은 과속방지를 위해 속도 위반 단속 시스템이 전부이며, 이는 1990년부터 도입되어 200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전국에 약 250대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영상을 이용한 속도 위반 단속 시스템은 크게 지역장치와 중앙장치로 나누어진다. 지역장치는 카메라, 조명, 속도센서, 영상처리장치, 전송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지역장치와 중앙장치는 1대 1 전용회선을 통해 데이터, 영상, 시스템제어신호등을 주고 받는다. 중앙장치는 차적조회시스템, 데이터베이스서버, 출력장치, 통신장치, 네트워크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영상을 이용한 속도 위반 단속 시스템은 속도 측정 및 영상촬영에서부터 고지서 발부까지의 모든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유는 지역 장치의 영상 처리장치의 프로그램이 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결과를 전송장치를 이용하여 중앙장치로 전송하기 때문이다. 중앙장치는 전송받은 차량의 번호를 이용하여 차적조회하여 차량 소유주와 소유주의 주소를 알아내고, 이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고지서를 발부한다. 영상을 이용한 속도 위반 시스템은 24시간 온라인에 연결되어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단속의 공정성, 경찰인력의 감축, 교통사고 감소 등의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향후 2005년 까지 약 1000대를 추가로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In Korea, drivers and passengers are required to wear seat belts, but the crackdown method is determined only by the naked eye of police officers, and is not controlled by automated devices. In order to prevent speeding by automated devices, speeding control system is all for speeding prevention, which was introduced since 1990 and about 250 vehicl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nationwide as of January 1, 2000. Speed violation control system using video is divided into local and central units. Local devices consist of cameras, lights, speed sensors, image processing devices, and transmission devices. The local unit and the central unit exchange data, video and system control signals through one-to-one dedicated lines. The central unit consists of a vehicle inquiry system, database server, output unit, communication unit and network unit. Speed Violation Enforcement Systems with Imaging Automatically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from speed measurement and imaging to billing. The whole process can be done automatically because the program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local apparatus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using a recognition algorithm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entral apparatus using the transmission apparatus. The central unit finds the address of the vehicle owner and the owner by using the vehicle number received, stores the result in a database, and issues a bill. The speed violation system using video is connected 24 hours online and all processes are automatic, so it has a very positive effect such as fairness of crackdown, reduction of police personnel and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We plan to install and run additional units.

이와 같이 속도 위반을 단속하는 장치는 자동화되어, 운전자들에게 경각심을 주어 규정속도를 지키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안전벨트 미착용의 경우 자동화된 단속장치가 없어, 경찰들이 도로에 직접나가서 단속하며, 단속시 운전자가 위반사실을 시인하면 발부된 범칙금 고지서에 자필 서명을 하고, 고지서는 현장에서 운전자에게 전달되며, 운전자는 정해진 기일 내에 범칙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즉결심판에 회부되고 면허가 정지된다.As such, the device to control the speed violation is automated to induce the driver to be alert to the specified speed, but in the case of the non-belt wearing, there is no automated enforcement device, so police officers go directly to the road to crack down on the road. If the driver acknowledges the violation, he or she will sign the penalty notice and hand it over to the driver at the scen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방법은 경찰관의 육안에 의존하기 때문에 차량이 고속으로 진행하는 고속도로나 간선도로에서는 육안으로 안전 벨트 착용을 단속하기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경찰이 도로에 직접나가서 시행하는 안전벨트단속은 대부분 시내 도로로 한정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벨트의 착용은 고속주행에서 더욱 요구되는 것이고, 또한 경찰이 길가에 서서 단속을 하는 방법은 안쪽 차선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단속할 수 없으며, 육안에 의한 단속으로 그 증거가 미비하여, 경찰관과 운전자간의 시시비비를 가린다거나, 선처를 요구하는 운전자에의해 교통체증의 증가 및 단속의 공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 의무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rackdown method without wearing a seatbelt depends on the naked eye of a police officer, it is impossible to clamp the seatbelt visually on a highway or highway where the vehicle proceeds at a high speed. Restraint of seatbelts is mostly restricted to city roads, but wearing seatbelts is more demanding on high-speed driving, and the way police are standing by the roadside and cracking down is not able to crack down on vehicles traveling in the inside lane. The evidence is insufficient due to the crackdown caused by the crackdown, and the driver's sense of duty to wear the seatbelt decreases due to the problem that the police officer and the driver are covering the fertilization ratio, or the driver who asks for a detention increases the traffic jam and impairs the fairness of the crackdown. there was.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고속주행시 차로에 관계없이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을 검사하여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 의무감을 고양하고, 그에 따른 사고시 사망률을 줄일수 있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belt non-coupling enforc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inspecting a driver's seat belt wearing regardless of a lane during high-speed driving, thereby increasing a driver's feeling of wearing a seat belt and reducing a death rate in an accident. Has its purpose.

도1은 본 발명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at belt non-regulation system.

도2는 도1에 있어서, 지역장치의 상세 구성도.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al apparatus in FIG. 1;

도3은 본 발명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방법의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t belt non-coupling method.

도4는 도3에 있어서 번호판 인식의 순서도.4 is a flowchart of license plate recognition in FIG.

도5a 내지 도5c는 도3에 있어서, 운전자 영역 검출방법의 다른 실시 순서도.5A to 5C are flowchart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r area detection method in FIG.

도6a 내지 도6d는 모서리 강조법을 통해 안전벨트 영역을 추출하는 실시예도.Figures 6a to 6d is an embodiment of extracting the seat belt area through the corner emphasis method.

도7은 안전벨트 인식의 순서도.7 is a flow chart of seat belt recognition.

도8a 내지 도8c는 실제 차량의 영상으로 부터 운전자 영역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운전자영역으로 부터 안전벨트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인 사진.8A to 8C are photographs show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driver's area from an image of an actual vehicle and extracting a seat belt area from the extracted driver's are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지역장치 11:루프센서10: Local device 11: Loop sensor

12:루프카드 13:카메라12: Loop card 13: Camera

14:트리거보드 15:영상처리장치14: trigger board 15: image processing device

16:DSU 17:전용선16: DSU 17: dedicated line

30:중앙장치 31:집합형 DSU30: central unit 31: integrated DSU

32:라우터 33:데이터베이스 서버32: Router 33: Database Server

40:국가기관망 50:차적조회 데이터베이스 서버40: national institution network 50: vehicle query database server

상기와 같은 목적은 센서를 통해 차량이 감지되면 카메라 및 조명을 동작시 감지된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트리거보드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추출하여 번호판을 인식하고 운전자의 위치를 추출하여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출력신호를 전용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DSU를 구비하는 복수의 지역장치와; 상기 복수의 지역장치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집합형 DSU와 라우터를 통해 인가받아,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기관망에 연결된 차적조회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의 차적을 검색한 후, 출력장치를 통해 고지서를 출력하는 차적조회 컴퓨터를 구비하는 중앙장치로 구성하고, 차량이 진입됨을 검출하여 차량의 전면부를 촬상하여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단계와; 상기 촬상된 차량의 영상으로 부터 차량의 번호판 위치를 추출하는 번호판영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번호판영역으로 부터 차량의 번호를 검출하는 차량번호 검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번호판영역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추출하거나, 전체의 영상에서 운전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추출하는 운전자영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한 운전자영역에서 상호 평행한 두 사선을 검출하여, 그 사선이 안전벨트인지를 판별하는 안전벨트 판단단계와; 상기 안전벨트 판단단계에서 안전벨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하고, 안전벨트가 아니거나 평행한 사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고지서를 발부하는 고지서 발부단계를 통해 자동으로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단속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object is to trigger the camera and the light when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and the trigger board to obtain an image of the detected vehicle, and extracting the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from the acquired image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and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river A plurality of local apparatuses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tract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and a DSU for transmi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a dedicated lin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ocal devices is authorized through a collective DSU and a router, and stored in a database server for storing the data and a vehicle inquiry database server connected to a national institution network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After searching for the vehicle's track by a driver who is not wearing a seatbelt, the central unit is equipped with a vehicle tracking computer that outputs a bill through the output device, and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front of the vehicle. An imaging step of acquiring an image of the vehicle by imaging the unit; A license plate are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license plate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of the vehicle; A vehicle number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vehicle number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A driver reg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rea where the driver is located by using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or extracting an area where the driver is located by using the face of the driver from an entire image; A seatbelt determining step of detecting two diagonal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extracted driver reg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agonal lines are seat bel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t belt is determined in the seat belt determination step, the process is terminated, and if a parallel slant is not detected, the automatic seat control step is performed through a bill issuing step for issuing a bill. 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1은 본 발명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센서(11)를 통해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이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카드(12)와, 상기 루프카드(12)의 출력신호에 따라 카메라(13) 및 조명(도면 미도시)을 동작시 감지된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트리거보드(14)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추출하여 번호판을 인식하고 운전자의 위치를 추출하여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영상처리장치(15)와, 상기 영상처리장치(15)의 출력신호를 전용회선(17)을 통해 중앙장치(30)로 전송하는 DSU(16)을 포함하는 지역장치(10)와; 상기 복수의 지역장치(10)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집합형 DSU(31)와 라우터(32)를 통해 인가받아,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3)와, 데이터베이스서버(3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기관망(40)에 연결된 차적조회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의 차적을 검색한 후, 출력장치(35)를 통해고지서를 출력하는 차적조회 컴퓨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장치(3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seat belt control system, as shown in the loop card 11, when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a loop card (12) for outputting a signal that the vehicle is detected, and the loop card ( A trigger board 14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vehicle detected when the camera 13 and the lighting (not shown)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12), and the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is extracted from the acquired imag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5 which recognizes and extracts the position of the driv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and the DSU which transmits the output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5 to the central apparatus 30 through the dedicated line 17. A local device (10) comprising (16);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ocal apparatuses 10 are received through the collective DSU 31 and the router 32, and are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33 and the database server 33 for storing the data. After searching the data stored in the vehicle inquiry database server 50 connected to the national institution network 40 to retrieve the vehicle's vehicle driven by a driver who is not wearing a seat belt, the repor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device 35. Consists of a central unit 30, including a vehicle inquiry computer 34 for outputting the.

도2는 상기 도1에 있어서 지역장치(10)의 상세 구성도로서, 루프센서(11)로 부터 차량이 검지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루프카드(12)와; 상기 루프카드(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보드(19)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는 조명(18)과 카메라(14)를 동작시켜, 상기 검지된 차량의 전면부를 촬상하는 트리거보드(13)와; 상기 카메라(14)에서 촬상된 차량의 영상중 특정 프레임을 검출하며,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프레임그레버(20)와; 상기 촬상된 차량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인메모리(21)와; 상기 메인메모리(21)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로 부터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추출하는 번호판영역 추출수단(22)과; 상기 추출된 차량의 번호판 영역으로 부터 차량번호의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23)과;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를 중앙장치(30)로 전송하여 차적조회를 통해 차량의 종류를 알아내어, 그 차량의 종류에 따른 운전자와 번호판 사이의 거리를 알아내거나, 운전자의 얼굴영역을 추출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운전자 위치결정수단(24)과; 상기 결정된 운전자의 위치에서 대각선으로 위치하는 두개의 선을 찾고, 그 선의 폭과 경사도 및 선의 길이를 판단하여 안전벨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벨트 인식수단(25)과; 상기 얻어진 영상과 데이터를 전용선(17)을 통해 중앙장치(30)로 전송하는 DSU(16)로 구성된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al apparatus 10 in FIG. 1, which includes a loop card 12 which outputs a control signal when a vehicle is detected from the loop sensor 11; A trigger board 13 for imaging the front side of the detected vehicle by operating the illumination 18 and the camera 14 which are powered by the relay board 19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roof card 12; ; A frame grabber 20 which detects a specific frame of the image of the vehicle captured by the camera 14 and generates an interrupt; A main memory 21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vehicle; License plate area extraction means (22) for extracting the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ain memory (21); Character recognition means 23 for recognizing characters of the vehicle number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Transfer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the central unit 30 to find out the type of vehicle through vehicle inquiry, find out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license plate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or extract the driver's face area Driver positioning means 24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river; Seat belt recognition means (25) for finding two lines located diagonally from the determined driver's posi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at belt is a seat belt by judging the width, the slope and the length of the line; The DSU 16 transmits the obtained image and data to the central device 30 through the dedicated line 17.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the seat belt non-coupling system and the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3은 본 발명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방법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차량이 진입함을 루프센서(11)에서 검지하게 되면, 루프카드(12)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루프센서(11)의 동작원리는 루프 코일과 인입선까지의 루프케이블에 전류가 흘러,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일정한 인덕턴스에 비례하는 자속이 발생한다. 이는 도체나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체 주위로 자속이 발생하여, 자장이 형성되고 그 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을 따르게 된다.First, Figure 3 is a flow chart of the seat belt non-clamp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oop sensor 11 when the vehicle enters, as shown in the loop card 12 generates a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loop sensor 11 flows a current through the loop cable to the loop coil and the lead wire, and when there is no vehicle, magnetic flux proportional to a constant inductance occurs. When a current flows in a conductor or wire, magnetic flux is generated around the conductor, and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its direction follows Fleming's right hand rule.

상기 루프센서 외에도 일반적인 차량의 검지를 위해 사용되는 광센서, 영상검지기, 압력센서, 마이크로 웨이브, 레이져, 초음파 검지기를 사용하여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loop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an entered vehicle by using an optical sensor, an image detector, a pressure sensor, a microwave, a laser, and an ultrasonic detector which are used for detecting a general vehicle.

이와 같이 형성된 자장위로 차량이 통과하면 차량과 루프 사이에는 자속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 자속의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vehicle passes over the magnetic field formed as described above, a change in magnetic flux occur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loop, and the entry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using the change in the magnetic flux.

그 다음, 상기 차량이 진입함을 감지한 루프카드(12)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를 인가받은 트리거보드(13)는 조명(18)과 카메라(14)를 동작시켜 진입한 차량의 전면부를 촬영하게 된다.Next, the loop card 12 that detects the vehicle entering outputs a control signal, and the trigger board 13 receiving the vehicle is operated by the lighting 18 and the camera 14 to operate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vehicle. I will shoot.

이때, 주간에는 조명(18)이 필요치 않으므로 릴레이보드(19)를 이용하여 주간에는 조명(18)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illumination 18 is not necessary during the day, the relay board 19 is used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illumination 18 during the day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그 다음, 상기 카메라(14)를 통해 촬상된 차량의 영상은 프레임그레버(20)에 의해 추출되며, 그 프레임그레버(20)는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영상처리장치(15)에 구비된 메인메모리(21)에 상기 차량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Then, the image of the vehicle captured by the camera 14 is extracted by the frame grabber 20, the frame grabber 20 generates an interrupt to the main memory provided i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5 The image data of the vehicle is stored at 21.

그 다음, 번호판영역 추출수단(22)은 상기 메인메모리(21)에 저장된 영상에서 소정의 알고리듬을 통해 번호판의 영역을 추출한다. 이때의 번호판 추출 방법은 자동차의 번호판 영역이 다른 부분에 비해 윤곽선이 많은 점을 이용하여 추출한다.Then, the license plate area extraction means 22 extracts the area of the license plate from a video stored in the main memory 21 through a predetermined algorithm. At this time, the license plate extraction method is extracted using a point where the license plate area of the car has more contours than other parts.

이는 아래의 수학식1에 기재한 회선 연산 커널을 사용하여, 윤곽선 영상을 먼저 얻어 번호판 위치 추출을 위한 기본 영상으로 삼는다. 회선 연산 커널은 1×3기울기 연산자이며, 비교적 노이즈에 강하다.This is obtained by using the line operation kernel described in Equation 1 below to obtain the contour image as a basic image for the license plate position extraction. The line operator kernel is a 1x3 gradient operator and is relatively noise-free.

[-1 0 1][-1 0 1]

수평 기울기 여과 후에 영상을 이진화 한 후, 연결 요소 분석법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영상에서 각각의 물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각각의 문체들을 미리 입력된 번호판의 일련번호 숫자 크기와 비교하여 이 물체가 일련번호 문자인지를 판단한다. 4개의 일련번호 문자가 발견되면 이를 기준으로 일련번호 위치를 산출하고, 차량의 일련번호 영역을 기준으로 나머지 문자들의 위치를 산출해서 분리해 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번호판의 시작위치와 번호판의 크기가 산출되어 번호판 영역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After horizontal gradient filtration, the image is binarized, and each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binarized image using the connection factor analysis. Each extracted style i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serial number of the license plate in adv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serial number character. If four serial number characters are found, the serial number posi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is, and the position of the remaining characters based on the serial number area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and separated. Through this proces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license plate and the size of the license plate are calculated to extract the license plate area.

그 다음, 문자인식수단(23)은 도4에 도시한 문자인식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된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각 문자를 분리한다. 이때의 문자는 지역문자, 차종기호, 차량용도기호, 일련번호로 한글과 숫자로 구분한다.Then,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23 separates each character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as shown in the character recognition flowchart shown in FIG. The characters at this time are divided into Korean letters and numbers as local letters, car model symbols, car use symbols and serial numbers.

이와 같이 분리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정합법(template matching)을 사용하게 된다. 정합법은 미리 저장해 놓은 숫자 및 문자의 형판과 비교하여 인식하는 방법이다.In order to recognize the separated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template matching is used. The matching method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number of letters and letters stored in advance.

그 다음, 운전자 위치결정수단(24)은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차종마다 번호판과 운전자의 이격거리를 저장해놓은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한 번호판과 운전자의 이격거리 계산을 통해 운전자의 위치를 추출하게 된다.Next, the driver positioning means 24 uses the table storing the license plate and the driver's separation distance for each vehicle type as shown in FIG. 5A, and calculates the driver's position by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etected license plate and the driver. Will be extracted.

이때, 상기 촬영한 차량의 종류를 알기 위해서, 상기 검출된 차량의 번호를 DSU(16)와 전용선(17)을 통해 중앙장치(30)로 출력하며, 중앙장치(30)에서는 차량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 차량의 차종을 다시 지역장치(1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in order to know the type of the photographed vehicle, the detected vehicle number is output to the central unit 30 through the DSU 16 and the dedicated line 17, and the central unit 30 outputs the database of the vehicle. The vehicle model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local apparatus 10 agai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의 종류를 인지하고, 그 차량에 해당하는 번호판과 운전자간 간격을 테이블에서 찾아내어 촬상한 영상에서 운전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type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cense plate and the driv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s found in the ta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river in the captured image.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운전자의 얼굴영역을 추출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도5b, 도5c의 순서에 따른다.In a method different from the method using the database, the driver's face region may be determined by extracting the driver's face region, which follows the order of FIGS. 5B and 5C.

즉, 제안된 얼굴영역 검출시스템이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얼굴영역을 추출하게 되며, 현재까지 제안되거나 사용되는 흑백 정지 영상에서 얼굴영역 검출방법은 모양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 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모양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은 얼굴에서 얼굴의 윤곽, 코의 모양, 입의 모양, 눈과 눈썹의 모양등을 이용해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을 사용한 예로는 얼굴 모양의 곡선과 눈썹과 눈, 코, 입을 연결하는 곡선을 찾아서 얼굴을 찾는 방법과 이진화 영상에서 타원을 얼굴영역에 맞추어 찾는 방법등이 있다.That is, the face area of the driver is extracted by using the proposed face area detection system or algorithm, and the face area detection method in the black and white still image proposed or used up to now is a shape-based method and a feature-based method. , Based on the type, the shape-based method is to detect the face area using the contour of the face, the shape of the nose, the shape of the mouth, the shape of the eyes and eyebrows, etc. For example, this method is used to find a face by finding a curve of a face shape and a curve connecting eyebrows, eyes, nose and mouth, and a method of finding an ellipse according to a face region in a binarization image.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은 모든 사람의 얼굴에서 눈의 홍채, 눈의 끝, 눈 자체, 코의 끝, 콧구멍, 입 등이 특징들이 갖는 기하학적인 관계가 항상 일정하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으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할 경우 특징들간의 거리가 얼굴 인식의 매개변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얼굴의 표정이나 기울어짐 등의 변화에 대해서 다른 방법들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과정으로써 특징을 찾기 위해 많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 찾고자 하는 특징의 형판을 이용하는 형판 정합 알고리듬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특징을 추출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판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경우 영상에서의 분산의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징점에 대한 오인식률이 다른 경우에 비해 커질 수 있다.The feature-based method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of the features of the eyes iris, the tip of the eye, the eye itself, the tip of the nose, the nostrils, the mouth, etc. is always constant on every face. When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using, distance between features is frequently used as a parameter of face recognition. This method is more flexible than other methods for changing facial expressions and tilting. In addition, many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find features as a preprocessing process. Among them, a template matching algorithm using a template of a desired feature is widely used and known to be successfully used to extract a feature. There is a method of using a filter as a method that does not use a template, and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s of variance in an image are often used, and a false recognition rate for a feature point may be larger than in other cases.

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얼굴과 얼굴이 아닌 부분의 영상을 신경망을 이용해서 구분하는 방법이다. 몇 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높은 인식률을 가지는 신경망이 제안되기도 했다. 신경망을 이용하는 방법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올수 있었던 이유는 많은 학습 데이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와는 별도로 다른 유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입력된 영상을 이미 학습된 얼굴 영상들간의 중요한 변화를 나타내는 공간으로 투사 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중요 특징은 고유 얼굴이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ype-based method is a method of classifying images of face and non-face using neural networks. Over the years, many people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neural networks with high recognition rates have been proposed. The reason why using neural networks has been successful is because they used a lot of training data. Apart from this, another method is to project the input image into a space that represents a significant change between already learned face images. An important feature in this method is the unique fac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운전자의 얼굴영역을 찾게 되면, 그 얼굴영역으로부터 운전자영역을 유추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ace region of the driver is found in this manner, the driver region can be inferred from the face region.

그 다음, 안전벨트 인식수단(25)은 상기 설정된 운전자 영역에서, 안전벨트를 찾는다. 이때, 운전자의 얼굴아래 부분 또는 운전자영역에서 안전벨트를 찾기 위해서는 모서리 강조커널(edge enhancement kernel)과 회선연산을 통해 경계영역을 찾아낸다.Then, the seat belt recognition means 25 finds the seat belt in the set driver area. At this time, in order to find the seat belt in the lower part of the driver's face or the driver's area, the boundary area is found through an edge enhancement kernel and a line operation.

아래의 수학식2는 모서리 강조 커널인 sobel커널이며, 그 모서리 강조 커널의 식으로 발견 모서리의 크기는 수학식3, 방향은 수학식4와 같이 계산된다.Equation 2 below is the sobel kernel, which is an edge-enhancing kernel, and the size of the found edge is calculated as Equation 3 and the direction is Equation 4 by the edge-enhancing kernel.

이와 같이 모서리가 강조된 운전자 영역의 영상을 임계치를 이용하여 이진화한다. 임계치는 무매개변수 방법의 하나이며 비교적 고속이고 계산이 명확하다고 알려진 Otsu의 알고리듬을 사용한다.In this way, the image of the driver's area with the highlighted corner is binarized using the threshold. Threshold is one of the parametric methods and uses Otsu's algorithm, which is known to be relatively fast and computationally clear.

이진화된 영상에서 안전벨트를 찾아내기 위해서 연결요소 분석법(connected component label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각각의 요소들을 분리해 낸다. 연결요소 분석법은 영상을 수평으로 읽어 나가면서 만나는 물체를 지우고 새로운 메모리에 방향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고유번호를 붙이는 방법이며, 이를 도6a 내지 도6d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find the seat belt in the binarized image, each component is separated using a connected component labeling algorithm. Connection element analysis is a method of erasing the objects that meet while reading the image horizontally and attaching each unique numb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in the new memory, which is shown in Figures 6a to 6d.

즉 도6a에 도시한 이진화된 영상으로 부터, 연결요소를 분석하여 안전벨트에 비해 그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큰 물체는 삭제하고, 그 물체에 고유의 번호를 붙여,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의 양측모서리 부분의 데이터를 얻어낸다.In other words, from the binary image shown in FIG. 6A, the connection element is analyzed to delete an object whose size is too small or too large compared to the seat belt, and the object is assigned a unique number. Obtain data on both sides of the belt.

그 다음, 상기 도6b의 결과를 세선화하여 선으로 변환하여 도6c의 결과를 얻게 된다.Then, the result of FIG. 6B is thinned and converted into a line to obtain the result of FIG. 6C.

그 다음, 상기 도6c의 동일번호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 도6d의 안전벨트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Next, the same number in FIG. 6c is connected by one line to extract the seat belt area of FIG. 6d.

이와 같이 얻어진 두 사선의 영상을 이용하여 그 사선이 안전벨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두 사선간의 이격거리가 안전벨트의 폭과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사선간의 양끝점이 상기 추출한 운전자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분포해 있는 가를 판단하고, 그 두 사선의 기울기가 약 40에서 50도 범위 인지를 판단하여 안전벨트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하게 된다.Using the images of the two diagonal lines thus obta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agonal line is the seat belt or not, and whe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diagonal lines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eat belt.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distribut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two diagonal lines is in the range of about 40 to 50 degrees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seat belt or not.

이와 같은 과정은 도7에 나타내었으며, 안전벨트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얻어진 차량번호와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This process is shown in FIG. 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t belt, the vehicle number and data obtained are not output, and the data is deleted.

도8은 촬상된 차량의 영상으로 부터 운전자영역을 검출하고, 운전자영역을 이진화하여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써, 운전자영역에서 안전벨트의 경계가 명확히 드러남을 알 수 있다.FIG. 8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driver's area from an image of a vehicle photographed and binarizing the driver's area to detect whether a seatbelt is worn, and the boundary of the seat belt is clearly shown in the driver's area.

만약 운전자영역에서 두개의 평행한 사선을 찾지 못하거나, 사선을 찾았으나안전벨트가 아닌 것으로 판정될 때, 상기 검출한 차량의 번호와 데이터를 중앙장치(30)로 출력한다.If two parallel oblique lines are not found in the driver's area, or when the oblique line is found but not the seat belt, the detected vehicle number and data are output to the central unit 30.

중앙장치(30)는 상기 지역장치(10)에서 보낸 데이터를 집합형 DSU(31)와 라우터(32)를 통해 인가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33)에 저장하고, 그 데이터베이스서버(3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기관망(40)에 연결된 차적조회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차적조회 컴퓨터(34)를 통해 검색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의 차적을 검색한 후, 출력장치를 통해 고지서를 출력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에게 부과하게 된다.The central device 30 receives data sent from the local device 10 through the collective DSU 31 and the router 32, stores the data in the database server 33, and stores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33. After searching the data stored in the vehicle tracking database server 50 connected to the national institution network 40 through the vehicle tracking computer 34 to retrieve the vehicle tracks of the driver driving without a seat belt, The bill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device and charged to the driver who is not wearing a seat bel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하루 24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고속도로 등 고속주행에 의해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단속할 수 없는 위치에서 운행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검사하고, 자동으로 고지서를 발부함으로써, 운전자들의 안전벨트 착용 의무감을 고취시켜, 사고 발생시 사망률을 줄임과 아울러 부상정도를 감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ecks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on a vehicle which is operated at a position where the seat belt cannot be clamped by high speed driving such as a highway continuously for 24 hours a day, and automatically issues a bill. By inspiring the driver to wear the seat belt, thereby reducing the mortality rat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degree of injury.

Claims (6)

센서를 통해 차량이 감지되면 카메라 및 조명을 동작시 감지된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트리거보드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추출하여 번호판을 인식하고 운전자의 위치를 추출하여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출력신호를 전용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DSU를 구비하는 복수의 지역장치와; 상기 복수의 지역장치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집합형 DSU와 라우터를 통해 인가받아,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기관망에 연결된 차적조회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의 차적을 검색한 후, 출력장치를 통해 고지서를 출력하는 차적조회 컴퓨터를 구비하는 중앙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When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a trigger board that acquires the image of the vehicle detected when the camera and the light are operated, extracts the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from the acquired image,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and extracts the driver's position to wear the seat belt. A plurality of local devices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d a DSU for transmi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through a dedicated lin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ocal devices is authorized through a collective DSU and a router, and stored in a database server for storing the data and a vehicle inquiry database server connected to a national institution network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After searching for the vehicle's vehicle by a driver who is not wearing a seat belt by searching for, the system is composed of a central unit having a vehicle tracking computer that outputs a bill through the output devic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차량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인메모리와; 상기 메인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로 부터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추출하는 번호판영역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된 차량의 번호판 영역으로 부터 차량번호의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과;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를 중앙장치로 전송하여 차적조회를 통해 차량의 종류를 알아내어, 그 차량의 종류에 따른 운전자와 번호판 사이의 거리를 알아내거나, 운전자의 얼굴영역을 추출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운전자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결정된 운전자의 위치에서 대각선으로 위치하는 두개의 선을 찾고, 그 선의 폭과 경사도 및 선의 길이를 판단하여 안전벨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벨트 인식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in memory configured to store an image of a vehicl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License plate area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a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ain memory; Character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haracter of a vehicle number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of the vehicle; Sends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the central unit to find out the type of vehicle through track inquiry, finds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license pl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or extracts the driver's face area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river. Driver positioning means for determining; Finding two lines diagonally located at the determined driver's position, and determining the width and inclination of the line and the length of the line to determine whether the seat belt is seat belt identific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seat belt. system. 차량이 진입됨을 검출하여 차량의 전면부를 촬상하여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단계와; 상기 촬상된 차량의 영상으로 부터 차량의 번호판 위치를 추출하는 번호판영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번호판영역으로 부터 차량의 번호를 검출하는 차량번호 검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번호판영역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추출하거나, 전체의 영상에서 운전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치한 영역을 추출하는 운전자영역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한 운전자영역에서 상호 평행한 두 사선을 검출하여, 그 사선이 안전벨트인지를 판별하는 안전벨트 판단단계와; 상기 안전벨트 판단단계에서 안전벨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하고, 안전벨트가 아니거나 평행한 사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고지서를 발부하는 고지서 발부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방법.An imaging step of detecting an entry of the vehicle and acquiring an image of the vehicle by imaging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A license plate are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license plate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of the vehicle; A vehicle number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vehicle number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A driver reg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rea where the driver is located by using the extracted license plate area or extracting an area where the driver is located by using the face of the driver from an entire image; A seatbelt determining step of detecting two diagonal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extracted driver reg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agonal lines are seat belts; End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t belt is in the seat belt determination step, if the non-belt or parallel oblique line is not detected, the seat belt is not attach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illing step issuing step for issuing a bil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영역 추출단계는 검출된 차량의 번호를 이용하여 그 차종을 검사하고, 차종마다 번호판과 운전자의 이격거리를 저장해놓은 테이블에서 해당 차종에 대한 번호판과 운전자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driver's area checks the vehicle model using the detected vehicle number, and stores the license plate and the driver's separation distance for the vehicle model in a table storing the license plate and the driver's separation distance for each vehicle type. Safety belt non-clamp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extra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er us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영역 추출단계는 얼굴의 윤곽, 코의 모양, 입의 모양, 눈과 눈썹의 모양등을 이용해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모양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 또는 모든 사람의 얼굴에서 눈의 홍채, 눈의 끝, 눈 자체, 코의 끝, 콧구멍, 입 등이 특징들이 갖는 기하학적인 관계가 항상 일정하다는 사실을 이용한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driver's region is based on a method of detecting a face region by using a contour of a face, a shape of a nose, a shape of a mouth, a shape of an eye and an eyebrow, or a face of every person. Extracting the driver's position using a feature-based method that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geometric relationships of the iris, the tip of the eye, the eye itself, the tip of the nose, the nostrils, the mouth, etc. are always constant. The seat belt non-clamping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판단단계는 상기 추출한 운전자 영역에서 모서리 강조 회선연산을 이용하여, 두개의 평행한 사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선이 검출되면 두 사선의 길이가 안전벨트의 길이에 적당한가를 판단하고, 사선간의 이격거리가 안전벨트의 폭과 동일한가, 사선의 양끝단이 운전자 영역 중앙으로부터 각각 좌우측에 위치하는 가를 판단하여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seat belt comprises: detecting two parallel oblique lines using edge-enhanced line calculation in the extracted driver area; When the diagonal lin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ngth of the two diagonal lines is appropriate to the length of the seat belt, and whe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agonal lines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at belt, and whether both ends of the diagonal lines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driver's area, respectively. Safety belts do not 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nsisting of determining whether the belt worn.
KR1020000031741A 2000-06-09 2000-06-09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Ceased KR200101112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741A KR20010111202A (en) 2000-06-09 2000-06-09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741A KR20010111202A (en) 2000-06-09 2000-06-09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202A true KR20010111202A (en) 2001-12-17

Family

ID=4593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741A Ceased KR20010111202A (en) 2000-06-09 2000-06-09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202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81B1 (en) * 2008-03-03 2010-05-04 안진득 Enforcement system without wearing seat belt
KR101509087B1 (en) * 2014-04-21 2015-04-08 아엠아이테크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Safety Belts
KR101537961B1 (en) * 2013-10-18 2015-07-20 아이브스테크놀러지(주)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eat belt
KR20150112491A (en) * 2014-03-28 2015-10-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seat belt
KR20160095450A (en) * 2015-02-03 2016-08-11 (주) 미래테크원 system for control in order to seat bel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19586A (en) 2021-08-02 2023-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detecting safety belt wearing of vehicle passengers, and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2497A (en) * 1990-10-17 1992-05-26 Toshiba Corp Vehicle information managing device
KR940002008Y1 (en) * 1991-09-09 1994-04-01 오리엔탈전자시스템 주식회사 Traffic monitoring system
US5948038A (en) * 1996-07-31 1999-09-07 American Traffic Systems, Inc. Traffic violation processing system
JPH11321562A (en) * 1998-05-19 1999-11-24 Shigeru Kato Seat belt wear display device
KR20000054337A (en) * 2000-06-01 2000-09-05 이호준 The pay and rating method of car insurance fee in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belt and handphone
KR100318723B1 (en) * 2000-05-19 2001-12-28 주종대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llegal parking/stopping automobiles by an wire/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2497A (en) * 1990-10-17 1992-05-26 Toshiba Corp Vehicle information managing device
KR940002008Y1 (en) * 1991-09-09 1994-04-01 오리엔탈전자시스템 주식회사 Traffic monitoring system
US5948038A (en) * 1996-07-31 1999-09-07 American Traffic Systems, Inc. Traffic violation processing system
JPH11321562A (en) * 1998-05-19 1999-11-24 Shigeru Kato Seat belt wear display device
KR100318723B1 (en) * 2000-05-19 2001-12-28 주종대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llegal parking/stopping automobiles by an wire/wireless communication
KR20000054337A (en) * 2000-06-01 2000-09-05 이호준 The pay and rating method of car insurance fee in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belt and handpho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81B1 (en) * 2008-03-03 2010-05-04 안진득 Enforcement system without wearing seat belt
KR101537961B1 (en) * 2013-10-18 2015-07-20 아이브스테크놀러지(주)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eat belt
KR20150112491A (en) * 2014-03-28 2015-10-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seat belt
KR101509087B1 (en) * 2014-04-21 2015-04-08 아엠아이테크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Safety Belts
KR20160095450A (en) * 2015-02-03 2016-08-11 (주) 미래테크원 system for control in order to seat bel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19586A (en) 2021-08-02 2023-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detecting safety belt wearing of vehicle passengers, and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4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judge the kind of vehicle
US7786897B2 (en) High occupancy vehicle (HOV) lane enforcement
US20180107892A1 (en) Dual embedd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engines
KR102526583B1 (en) Deep learning-based intersection object detection and automatic alarm system
CN103824452A (en) Lightweight peccancy parking detection device based on full view vision
CN103021175A (en) Pedestrian red light running video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Davinci architecture
CN101739809A (en) Automatic alarm and monitoring system for pedestrian running red light
KR102459906B1 (en) System for detecting passengers in vehicle using dual band infrared camera, and method for the same
EP1553516A2 (en) Pedestrian extracting apparatus
CN111785050A (en) A kind of expressway fatigue driving early warning device and method
KR102557351B1 (en) System for detecting safety belt wearing of vehicle passengers
Johnson et al. Number-plate matching for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KR100948382B1 (en) Security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2656252B1 (en) unmanned traffic enforcement system for enhancing accuracy of enforcement
KR101819568B1 (en) The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recognition of electric vehicle and Hi-pass
CN107221156A (en) The method and system that a kind of real-time monitoring is driven when intoxicated
Devi et al. An efficient hybrid technique for 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s
JP2002344952A (en)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KR20010111202A (en) System for keep in order to wear seat belt and method thereof
JP5261064B2 (en) Automatic ticket gate apparatus and automatic ticket gate method
JP2009048225A (en) Vehicle recognition device and vehicle recognition method
Nguwi et al. Number plate recognition in noisy image
JP2940296B2 (en) Parked vehicle detection method
CN112200148A (en) A Decentralized Traffic Integrity Evaluation System
JP2893814B2 (en) Plate cutout device for automatic car number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