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768A - The learning method about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American English(AHD) for Ural-Altaic peoples - Google Patents
The learning method about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American English(AHD) for Ural-Altaic peop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86768A KR20010086768A KR1020000010635A KR20000010635A KR20010086768A KR 20010086768 A KR20010086768 A KR 20010086768A KR 1020000010635 A KR1020000010635 A KR 1020000010635A KR 20000010635 A KR20000010635 A KR 20000010635A KR 20010086768 A KR20010086768 A KR 20010086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lish
- ahd
- ural
- american
- alta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54 pa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182 tip of the tong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60 voc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94 Tha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랄알타이어족을 위한 미국영어 음성표기에 관한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이러한 우랄알타이어족이 미국영어를 공부할 때 발음표기 체계를 AHD 표기 방법으로 바꾸고 AHD 발음을 익힘으로서 미국인과의 대화가 정확하고 원만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learning about American English phonetic notation for the Ural-Altaic language, which is a conversation with Americans, especially when the Ural-Altaic language is studied American English by changing the phonetic notation to AHD notation and learning AHD pronunciation. Is to ensure that it is accurate and smooth.
본 발명은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우랄알타이어족에 관한 미국영어 표기체계는 미국영어 음성 표기 형태인 AHD(AHD;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체계로 모든 영어단어를 음성표기 하는 단계와, 상기 AHD 영어 음성표기의 육성음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랄알타이어족을 위한 미국영어 음성표기 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American English notation system for the Ural-Altaic language is an American English phonetic notation form AHD (AHD;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system for the phonetic notation of all English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merican English phonetic notation method for the Ural-Altaic group comprising the step of learning the sound of the AHD English phonetic notation.
이러한 본 발명은 우랄알타이어족이 미국영어를 배울때 AHD체계로 영어단어의 음성표기가 이뤄진 책을 학습함으로서 보다 미국영어를 정확하게 익힐 수 있어 미국인과 우랄알타이어족과의 대화시에 미국인이 영어로 표기된 말을 우랄알알타이어족계가 말할 때 알아듣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learn American English more accurately by learning a book in which the English word is made with the AHD system when the Ural Al Thai learn English, so that Americans are written in English during conversations with Americans and Ural Al Thais. This can eliminate problems such as not being able to understand when the Ural-Altaic family speaks.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랄알타이어족을 위한 미국영어 음성표기에 관한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이러한 우랄알타이어족이 미국인과 대화 할 때 듣고 말하기가 자연스럽게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ethod for the American English phonetic notation for the Ural al-Thai,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Ural-Altaic to naturally hear and speak when talking with an American.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일본, 중국, 대만 등 우랄알타이어족에 해당하는 언어가 영어를 사용하고 영어발음의 음성표기(phonetic transcription)를 사용하는데는 1888년 국제 언어학회에서 제정한 아이피에이(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체계에 따라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다.Currently, Korean, Japanese, Chinese, Taiwanese, and other Ural-Altaic languages use English and phonetic transcription of the English phonemes,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Association in 1888. It is used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according to Alphabet.
그러나, 이러한 IPA 방식은 한국인을 포함한 우랄알타이어족이 실제로 듣게 되는 발음과 읽어야 하는 사전(영한사전, 영영사전 등)의 발음과 음성표기가 맞지 않아 이러한 민족이 영어를 배우고 미국인과 대화시 듣고 발음하는데는 미국인이 말하는 내용을 자기가 잘 알아듣지도 못하고 자기가 말하는 내용을 상대편이 이해하지 못하므로 많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IPA method does not match the pronunciation of the Urals and Thais, including Koreans,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dictionary (English-Korean Dictionary, English-English Dictionary, etc.) to be read. There were many problems because Americans did not understand what they were saying and did not understand what they were saying.
플"과 "애퍼우(아퍼우)"는 전혀 다르다."People" aren't completely different.
이번에는 "people"을 보자. people은 영한사전에서 발음이 people[p:pl]로 명시되어 있어 한국인은 당연히 "피풀"로 발음한다. 마찬가지로 영어를 조금 아는 사람들은 "페푸" 정도로 발음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발음법칙이 맞지가 안는다는 것이며 어딘가 어색하다고 느낄 것이다. 이것을 AHD 사전에서 찾아보면 people[p p l]로 되어 있어 "페퍼우" 또는 "피퍼우"로 발음된다. 발음에서 "피풀"과 "페퍼우(피퍼우)"는 전혀 다르다.Let's look at "people" this time. people is pronounc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 by people [p : pl], so Korean naturally pronounces "Pipul". Similarly, people who know a little English should know how to pronounce Pepe, but the pronunciation law doesn't work. If you look for it in the AHD dictionary, it is pronounced as "pepper" or "pepper" as people [ppl]. In pronunciation, "Pepple" and "Pepper" are completely different.
따라서 orange의 정확한 발음은 첫째 음절에 강세가 있는 "어~인쥐"다. 한국인의 영한 사전처럼 되어있으면 누구든지 "오-린-쥐"라고 발음할 것이며, "오린쥐"라고 발음하면 미국인들은 알아듣지 못하고 이 "오린쥐"가 orange라고 설명하면 웃거나 놀림감의 대상이 된다.Therefore,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orange is "er ~ inju" which has a strong stress on the first syllable. Anyone who pronounces a Korean-English dictionary will pronounce "O-Rin-Rat". If you pronounce "Orin-Rat", Americans will not understand it. If you describe this "Orin-Rat" as orange, you will be laughed or teased. .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주체국가인 미국이나 영국이 영어를 배우는 제 3국의 언어에 대해서는 깊은 이해가 없이 영어에 관한 각종의 서적과 학습교재들을 내놓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음성표기 (phonetic transcription)에 대해서는 영어와 그에 대응되는 언어를 사용하는 각국이 알아서 해결해야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This problem arises from the fact that the United States or the United Kingdom, which speaks English as a native language, publishes various books and learning materials on English withou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s of third countries. Phonetic transcription has to be solved by each country using English and its corresponding language.
즉 다시 말하면 영어와 제 3국의 언어가 서로 발음의 상사성이 있어 제대로 맞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고 모든 언어가 동일한 IPA 방식의 발음체계에서 통용될 수 있다고 하는 발상은 이미 언어의 다체성에 대한 엄연한 진리를 무시한 잘못된 체계의 설정이라고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dea that all languages can be used in the same IPA pronunciation system without considering whether or not English and third-language languages are similar to each other is considered properly. It is a setting of a wrong system that ignores a truth.
이러한 취지 하에서의 제 3국이 언어를 배우는데 있어서는 영어와 제 3국의 언어가 상사성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고려의 대상도 아니고 검증이 되고 있지도 않은 상황이며 미국이나 영국의 언어학자들은 제 3국의 언어에 대해서는 흥미도 없으며 미국인이나 영국인이 어떤 발음을 하는 것은 당연히 발음의 조음점(소리가 나는곳)에 혀가 자연적으로 가기 때문에 내고자 하는 소리가 나는 것이지 어떤 발음이 왜 거기에서 그 소리가 나는지는 고려의 대상이 아니며 더군다나 제 3국의 언어가 영어와 비교하여 어느 위치에서 소리가 나는 것인가는 관심 밖의 일이다.Under these circumstances, in learning a language, it is not considered whether or not the language of English and the third country has similarities, nor is it verified. I'm not interested in this, and what Americans and English speakers say is because the tongue naturally goes to the articulation of the pronunciation. It is not of interest, and in addition, where is the language of a third country compared to English?
또, native speaker들은 음성표기의 발음 기호를 사용하지 않으며 영어의 음성표기는 제 3국의 음성표기를 발음하기 위한 교량 역할을 하는 체계이기 때문에 이를 습득해야 하는 어려움은 제 3국의 국가들이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native speakers do not use phonetic symbols of phonetic marks and English phonetic notations serve as bridges to pronounce phonetic notations in third countries, the difficulty of acquiring them is solved by countries in third countries. It should be.
그런데 제 3국의 국가들 가운데서도 유독 세계의 경제 대국에 들면서도 영어의 수준이 예를 들면 세계 150 여 국가들 중 TOEFL(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외국인을 위한 영어 시험)에서 한국 120위, 일본 130위, 중국 110위 그리고 대만 90 위 정도의 하위에 머므르고 있는 것은 이들 4개국은 똑같이 우랄-알타이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 나머지의 이유로는 이들 4개국을 제외한 아시아의 나머지 나라들은 대부분 19 세기 말 20 세기 초 영국이나 미국의 제국주의에 의해서 식민지 국가로 전락하여 영어를 학문적이 아닌 자연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조건이 주어진 반면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은 영어를 주도하는 미국이나 영국의 지배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 발생적인 조건이 주어지지 않았다.However, among the countries of the third countries, even among the world's largest economies, the level of English, for example, ranks 120th in Korea in the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FL) among 150 countries. China, 130th in Japan, 110th in China, and 90th in Taiwan, because these four countries use the same Ural-Altire.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imperialism of the United Kingdom or the United States gave way to colonial states, and the conditions for acquiring English naturally, not academically, were given to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Because they did not receive, no naturally occurring conditions were given.
이러한 이유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국가는 영어를 도입하는 부류는 자연히 미국이나 영국에서 공부한 학자들이 영어와 자기나라 언어 발음의 상사성을 충분히 인식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미국이나 영국의 언어를 그대로 전파하는 데에만 급급하다 보니 영어의 학문적인 체계와 그러한 영어를 자기나라의 언어에 맞추어야 하는 실생활과는 괴리가 생기게 되었으며 각국의 언어학자들은 그러한 괴리를 느낀다고 하더라도 영어의 종주국을 상대로 한 이론을 전개할 수가 없었다.For this reason,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introduced English into the United States or the United Kingdom without natural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between English and their own languages. As they are urgent to spread the word as it is, there is a gap between the academic system of English and the real life of adapting such English to the language of their own country, and linguists of each country develop a theory against English-speaking countries even if they feel such a gap. I could not.
이러한 원인으로 현대의 영어는 과거의 단편적인 해석위주의 영어가 아니라 real time에 의해서 전개되는 실제 생활에서 real time으로 net work가 형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과거의 112년 전(1888년)에 영미 언어학자들에의해서 채택되어 사용되는 체계인 IPA 음성체계는 실생활과는 맞지 않게 되었다.For this reason, modern English is a situation where net work is being used in real time in real life developed by real time, rather than fragmentary interpretation-oriented English in the past. Thus, the IPA speech system, a system adopted and used by British linguists in the past 112 years ago (1888), did not fit with real life.
이와 같이 학문체계와 제 3국 언어발음의 상사성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IPA 체계의 발음만을 고집한다면 우랄-알타이어족이 가지는 영어 습득의 형태는 세계에서 영원히 최하위를 면치 못하게 될 것이다.Even if there is no similarity between the academic system and the third-language phonetic pronunciation, if we continue to insist on the pronunciation of the IPA system, the form of English acquisition of the Ural-Altai will remain at the bottom of the world forever.
이와같이 종래의 우랄알타이어계 민족이 사용하는 IPA 체계의 영어 음성 표기 형태는 이러한 민족이 영어를 익힌 후 미국인과 대화할 때 자기가 한 말을 상대편이 알아듣지 못하며 미국인이 한 말을 자기가 알아 듣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this way, the English phonetic notation form of the IPA system used by the conventional Ural-Altaic people does not understand what they say when they talk with Americans after they learn English, and they do not understand what they say. Was a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우랄알타이어족이 기존의 영미 학자들이 사용하여 설정한 모델인 IPA 체계의 음성표기를 버리고 미국발음 중에서 가장 우랄알타이어족의 언어 특히, 미국영어와 같은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하는 한국어 발음과의 상사성이 깊은 AHD 음성체계를 발견하여 AHD 음성체계(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AHD"라 한다)에서 예시하고 있는 영어발음 체계로 표기방식을 바꾸고, 이들을 익히게 함으로서 우랄알타이어계 민족이 보다 미국영어를 잘 말하고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ard the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IPA system, which is a model set by the existing American and American scholars, and the Korean pronunciation belonging to the Ural-Altaic language, especially the Ural-Altaic language such as American English. The AHD phonetic system was found to be very similar to the English language, and the expression system was changed to the English phonetic system exemplified in the AHD phone system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called "AHD"). It is to speak and listen to American English wel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AHD 와 IPA 영어자음의 음성표기 차이를 나타낸Figure 1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onetic representation of AHD and IPA English consona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도Reference
도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AHD 영어자음의 음성도표를 나타낸 참고도Figure 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voice diagram of the new AHD English conson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AHD 모음발음과 한글모음의 조음도를 나타Figure 3 shows the articulation of the AHD vowel and Hangul vowel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낸 참고도Reference diagram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AHD 영어모음과 IPA 및 그밖의 미국영어 음성표4 is AHD English vowels and IPA and other American English voice tab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에 관한 비교표Comparison table about flag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AHD 영어자음과 IPA 및 그밖의 미국영어 음성표5 is AHD English consonant and IPA and other American English phonetic vo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기에 관한 비교표Comparison table about flag
본 발명은 특히 우랄알타이어족의 영어 음성표기 형태를 우랄알타이어족인 한국인이 음성학적 발음의 상사성이 있으며 미국영어 발음을 익히기 쉬운 AHD (AHD;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음성표시 체계로 모든 영어단어를 신AHD영어자음 음성도표와 함께 음성표기 하는 단계와, 상기 신AHD 영어자음 음성표기와 함께 육성음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우랄알타이어족을 위한 미국영어 음성표기 방법에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lish voice representation of the Ural-Altaic language is similar to that of Koreans who are Ural-Altaic-like. There is a feature of the American English phonetic representation method for the Ural-Altaic,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speech representation with the AHD English consonant voice diagram, and learning the growing sound together with the new AHD English consonant speech notation. .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AHD 영어자음 음성도표의 조음위치/조음방법/유무성음 음성 도표를 양순음/설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 항목에서 [hw, th,th,sh, zh, ch, j, y, ng]를 새로운 표기방법으로 제시한 신AHD 영어자음 음성도표를 이용하여 익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음성표시 체계를 발음기호 끼리 상호 혼동되지 않고 좀더 정확히 익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rticulation position / articulation method / voiced voice chart of the AHD English consonant voice chart in the order of the sequential sound / installation sound / oral opening sound / research sound [hw, th, th, sh, zh, ch, j, y , ng] by using the new AHD English Consonant Phonetic Chart, which is presented as a new notation method, so that the phonetic symbols can be learned more accurately without mutual confusion.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 께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우선,본 발명을 이해하기에 앞서 AHD 발음과 IPA 발음과의 차이를 이하에서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First, before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AHD pronunciation and IPA pronunci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즉, 이러한 차이는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Second College Edition" 사전 서두에 기술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se differences are described at the beginning of the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Second College Edition" dictionary.
Pronunciation KeyPronunciation key
The system of indicating pronunciations in the Dictionary is explainedThe system of indicating pronunciations in the Dictionary is explained
in the section headed "Pronunciation" in the "Guide to the Dictionary." The column below headed AHD represents the pronunciation key used in the Dictionary. The right-hand column, labeled IPA, contains symbols from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widely used by scholars. The two systems donot precisely correspond, because they were differently conceived for somewhat different purposes.in the section headed "Pronunciation" in the "Guide to the Dictionary." The column below headed AHD represents the pronunciation key used in the Dictionary. The right-hand column, labeled IPA, contains symbols from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widely used by scholars. The two systems donot precisely correspond, because they were differently conceived for somewhat different purposes.
"발음기호""Pronouns"
이 사전에서 지시하는 발음상의 체계는 사전의 안내란에 있는 "발음"이라고 표제된 장에서 언급되고 있다. 아래 AHD라고 표제 된 것은 이 사전에서 사용된 발음기호다. AHD 오른쪽 난에 IPA이라고 된 것은 학자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는 국제 음성 알파벳에서 따온 발음기호다. 이 두 체계는 상당히 다른 목적으로 판이하게 다르게 생성되었기 때문에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The phonetic system referred to in this dictionary is mentioned in the chapter entitled "Pronunciation" in the dictionary's guide. Below, labeled AHD, is the phonetic symbol used in this dictionary. The word IPA in the right column of AHD is a phonetic symbol from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widely used by scholars. These two systems are not exactly matched because they are generated differently for quite different purposes.
그리고, 여기서는 AHD 자음 및 모음 발음과 IPA 자음 및 모음 발음이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것이 다수 있으며, 특히 모음부분에서 일치하지 않는 것이 많음을 알 수 있다.Here, the AHD consonants and vowel pronunciations and the IPA consonants and vowel pronunciation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many of the vowels do not coincide.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최초로 수정 표기된 상기 AHD 영어자음의 음성도표와 AHD 모음 발음과 한글모음의 조음도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the voice diagram of the AHD English consonants and the AHD vowel pronunciation and the Korean vowel articulation of the first modifi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s shown in Figs.
또, 도 2에서의 ( )은 종전에 AHD 영어자음 음성도표에서 표기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 in FIG. 2 has shown the form previously indicated by the AHD English consonant voice chart.
우선, 자음(Consonants)이란 발음할 때 혀, 이, 구강, 입술 등의 발음기관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제한되어 나는 소리로서, 성대의 진동과 함께 발음되는 유성 자음(Voiced Consonant)과 성대의 진동없이 발음되는 무성자음 (Voiceless Consonant)으로 나누어진다.First, consonants are sounds that are restricted by the flow of air by pronunciation organs such as tongue, teeth, mouth, lips, etc., and pronounced consonants and vibrations of the vocal cords. It is divided into Voiceless Consonant.
일례로,For example,
유성자음: [b, d, g, v,th, z, zh, j, m, n, ng, l, r, y, w, h]Voiced consonants: [b, d, g, v, th , z, zh, j, m, n, ng, l, r, y, w, h]
무성자음: [p, t, k, f, th, s, sh, ch, hw]으로 구분된다.Unvoiced consonants: [p, t, k, f, th, s, sh, ch, hw].
또, 조음 위치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Moreover, according to articulation position, it classifies as follows.
(1) 양순음(Bilabial): [p, b, m, hw, w](1) Bilabial: [p, b, m, hw, w]
아랫 입술이 조음자(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고, 윗 입술이 조음점(움직일 수 없는 부분)이 되어 발음되는 소리이다.The lower lip is the articulator (movable part) and the upper lip is the articulation point (immovable part).
(2) 순치음(Labio-dental) : [f, v](2) Labio-dental: [f, v]
아랫입술이 조음자가 되고, 웃니가 조음점이 되어 나는 소리이다.The lower lip becomes the articulator and laughter becomes the articulation point.
(3) 설치음(Apico-dental) : [th,th](3) Apico-dental: [th, th ]
혀 끝이 조음자가 되고, 웃니가 조음점이 되어 발음하는 소리이다.The tip of the tongue becomes the articulator, and the laughter is the articulation point.
(4) 치경음(Apico-alveolar) : [ t, d, s, z, n, l,](4) Apico-alveolar: [t, d, s, z, n, l,]
혀끝이 조음자가 되고, 치경(윗앞니 두 개의 입안쪽 딱딱한 부분)이The tip of the tongue becomes the articulator, and the alveolar (the hard part of the two upper incisors)
조음점이 되어 발음되는 소리이다.A sound that is pronounced as an articulation point.
(5) 경구개음(Lingua-Palatal) : [sh, zh, r, y, ch, j,](5) Oral opening (Lingua-Palatal): [sh, zh, r, y, ch, j,]
입천장이 조음점이 되어 나는 소리이다.The palate is the articulation point.
(6) 연구개음(Lingua-velar) : [k, g, ng](6) Lingua-velar: [k, g, ng]
입천장의 제일 안쪽(말랑말랑한 부분)에서 조음되어 나는 소리이며 뒤의It is the sound that is articulated in the innermost part of the palate and is soft
성문(목구멍)과 연결된 관계로 후음이 코로 섞여서 나는 소리이다.It is the sound of the nose that is mixed with the nose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gate.
(7) 성문음(Glottal) : [h](7) Glottal: [h]
성대가 조음자와 조음점이 되어 나는 소리이다.The vocal cords are the articulator and articulation points.
또, 도 3과 관련하여 모음이란 (1) 유성음이고, (2)구음이며, (3) 구강 내에서 공기의 흐름이 차단을 받거나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혀의 중앙을 통과하며, (4) 음절의 주음이 되는 음이다. 모음의 조음 위치를 우리말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3, the vowel refers to (1) voiced sound, (2) sound, (3) the flow of air in the oral cavit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ongue without being blocked or caused friction, and (4) syllable This is the main sound. The articulation of the vowels is as follows.
즉, 도 3에서는 미국모음 음성표기의 입안의 조음위치를 간이화하여 표기한 Bronstein 모음도에 AHD 모음발음과 한글모음의 조음위치를 표기한 것이다.That is, in FIG. 3, the AHD vowel pronunciation and the Korean vowel articulation position are marked on the Bronstein vowel diagram simplified by expressing the articulation position in the mouth of the American vowel voice notation.
여기에서의 모음에는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이 있으며, 긴장모음은 이완모음보다 혀의 위치가 올라가서 조음되므로, 위의 도표에 있어서 긴장(Tense)란의 모음들은 대체로 긴장모음이고, 이완(Lax)란의 모음들은 이완모음이다. 이완모음은 혀의 긴장을 풀고 조음되며, 긴장모음의 조음위치보다 구강 안쪽으로 조금 들어가서 조음된다.In this vowel, there are tension and relaxation vowels, and the tension vowels are articulated by the position of the tongue rather than the relaxation vowels, so the vowels in the Tense column in the above diagram are generally the tension collection, and the lax The vowels of are loose vowels. Relaxing vowels are articulated and relaxed by the tongue, and articulated slightly into the mouth rather than the articulation of the tension vowels.
한편, AHD 발음과 IPA 발음/그외의 미국발음들을 상호 비교된 형태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AHD pronunciation and IPA pronunciation / other American pronunciations are show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compared with each other.
여기서는 자음 25개 발음 중에서 종래 우리가 알고 있던 발음의 9 개가 IPA에서는 전혀 다르게 표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 )안의 발음은 IPA 이므로 ( )밖의 미국 발음과 AHD 발음이고, ( )안은 같은 발음의 IPA 발음기호다.Here, among the 25 pronunciations, 9 of the pronunciations we knew before are used differently in the IPA, and the pronunciation in () is IPA, so the American pronunciation and AHD pronunciation outside () are the same, and the IPA pronunciation symbol in () is the same pronunciation. All.
호와는 다른 발음기호도 알 수 있으며, 미국 발음과 AHD 발음이 같은 것은 하나로표기하였다.Other pronunciation symbols can be found, and the same American and AHD pronunciations are labeled as one.
자음(Consonants) 25개에 대해서도 설명되어 있고 동시에 AHD 와 IPA 발음이 표기되어 있으며, ( ) 안은 IPA 발음이다.The 25 consonants are also described, along with AHD and IPA pronunciations, and () are IPA pronunciations.
자음: th,th=th, sh, zh, wh=hw, y, ng, ch, j (AHD와 IPA의 표기가 다른 자음 9개)Consonants: th, th = th , sh, zh, wh = hw, y, ng, ch, j (9 consonants with different AHD and IPA notations)
보기 th=th(ð) Example th = th (ð)
미국발음 = AHD발음 (IPA발음)American noun = AHD noun (IPA noun)
모음: 보기 ee = (i) Vowel : show ee = (i)
미국발음 = AHD발음 (IPA발음)American noun = AHD noun (IPA noun)
이와같이 모음(Vowels) 18개와 이중 모음(Diphthongs) 6개 등 모음 24개 등을 설명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모음의 기호가 AHD와 IPA간에 많이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미국발음 간에도 AHD 사전의 표기가 다르게 표기된 곳도 있으며 비슷하게 보이는 발음 기호도 많다.Likewise, it describes 24 vowels, including 18 vowels and 6 diphthongs. Here, we can see that the symbols of the vowels vary greatly between AHD and IPA. There are also places and many phonetic symbols that look similar.
여기에서 표기한 모음 18개 중에서를 제외한 17개는 알고 있는 IPA 발음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AHD 발음과는 구분된다.Of the 18 vowels shown here 17 are distinguished from AHD pronunciation because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known IPA pronunciation.
또,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음성표기(phonetic transcription)방식은 대략 12가지 (Ladefoged, Kenyon & Knott, Trager & Smith, Prator & Robinet, Daniel Jones, Webster's, Ward, Gerhard, Pike, Fries, IPA, AHD)가 되지만 우리 한국인에게 영어발음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은 미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전인 AHD 발음뿐이다. 여기서 미국발음의 음성표기가 다른 것은 현재 미국발음의 음성표기 방식은 대략 6가지(Kenyon & Knott, Ladefoged, Trager & Smith, Webster's, Praror & Robinet,AHD)가 통용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우랄알타이어족에 적합하다고 고려되는 미국발음(미국발음 음성표기 6가지를 혼용함)과 AHD 발음만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re are currently 12 types of phonetic transcriptions (Ladefoged, Kenyon & Knott, Trager & Smith, Prator & Robinet, Daniel Jones, Webster's, Ward, Gerhard, Pike, Fries, IPA, AHD). But for Koreans, the only way to correct English pronunciation is to pronounce AHD, the most used dictionary in Americans. Here, the phonetic notation of American pronunciation is different. Currently, there are about six phonetic representations of American pronunciation (Kenyon & Knott, Ladefoged, Trager & Smith, Webster's, Praror & Robinet, AHD). Only the American pronunciation (a combination of six American phonetic phonetic representations) and AHD pronunciations are considered.
AHD 발음은 한국어의 발음에 상사성이 있으며 한국인이 발음하는데 혼동의AHD pronunciation is similar in Korean pronunciation and confused in Korean.
사용하여 발음을 구별하고 있으며 영어발음을 단순히 길게 하여 구별하려는 시도는 한국어처럼 모음발음의 길이로 단어의 차이를 구별하려는 것처럼 생각하여 이러한 발음을 볼 때 한국인들은 당연히 발음을 길게 하려고 한다.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pronunciations by simply lengthening English pronunciations, Koreans try to lengthen their pronunciations when they see these pronunciations, as they try to distinguish between words by the length of vowel sounds like Korean.
그러나 Kenyon과 많은 미국의 언어학자들은 "미국영어의 길이(장단)에 대해 자음과 마찬가지로 모음의 길이도 구별되지 않고 있으며 모음의 길이로만 단순히But Kenyon and many American linguists say, "The length of vowels, like the consonants of American English, is not distinct, and only the length of vowels
르다. 만일 이것들이 길이(장단)로만 다르다면 인식될 수 없다. 왜냐하면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하였다.It is. If they differ only in length, they cannot be recognized. For it is not a distinguishable feature. "
그리고, 한국인이 영어의 모음발음의 길이로서 미국영어를 구별하려는 방식은 미국영어에서는 잘못된 발음이며, 미국영어의 발음은 혀의 긴장(Tense)과 이완(Lax)에 의해서 구별되고 있고 길이(장단)로서 구별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And, the way Koreans try to distinguish American English as the length of English vowel pronunciation is wrong pronunciation in American English, and the pronunciation of American English is distinguished by tongue tension and lax and length.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distinguished as.
따라서 한국인에게 길이의 장단을 줄 수 있는 혼동의 여지가 없는 AHD 음성표기를 사용하면 한국인의 발음은 미국영어에 상사성이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re is no confusion in AHD speech notation that can give Koreans the length and length, Korean pronunciation becomes similar to American English.
여기에서 물론 AHD 발음도 크게는 미국계 발음에 속하지만 AHD 체계를 제외한 나머지의 음성표기 방식은 발음 체계의 정통성의 결여와 우랄알타이어족의 언어와 맞지 않는다는 것으로 보아 일괄로 미국발음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었다.Here, of course, AHD pronunciation is largely American, but the speech notation except for the AHD system is divided into American pronunciations because it lacks the authenticity of the pronunciation system and does not match the language of the Ural-Altaic language. This division is shown in FIGS. 4 and 5.
여기서here
1. IPA 는 미국발음체계가 아닌 음성표기 방식이나 이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같이 예시하고 있다.1. IPA exemplifies the use of speech notation and understanding rather than the US phonetic system.
2. 공란은 AHD 와 표기방식에 관하여 상사성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이다.2. In the blanks there is no mention of similarity with regard to AHD and notation.
3. 자음의 음성표기에 대해서는 Ladefoged, K & K, T & S, P & R 표기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다.3. The phonetic notation of consonants is not otherwise mentioned in Ladefoged, K & K, T & S, and P & R notation.
4. 표기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가급적 기호의 수를 줄여 동일 기호에 복수의 해석을 하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정확하게 쓰기 위해 많은 기호를 써서 잘못되는 해석이 생길 여지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Jones의 간이표기가 전자의 대표라면 Prator-Robinett는 후자의 대표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대부분의 영한사전에서 쓰고 있는 표기는 Jones 식의 간이표기이다.4. There are two major notations. One is to reduce the number of symbols as much as possible, and to interpret the same symbol more than once, and the other is to use many symbols to write correctly so that there is no room for misinterpretation. If Jones' simple notation is the former representative, then Prator-Robinett is the latter representative. The most common English-Korean dictionary issued in the Republic of Korea is Jones' simplified notation.
5. Jones 식의 간이표기는 IPA를 따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5. The simplified notation of the Jones equation follows the IPA.
한편, 2중모음(Diphthongs)에 있어서는 6개로서 이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for Diphthongs, there are six, which are as follows.
보기 yoo = yoo (ju)View yoo = yoo (ju)
미국발음 = AHD발음 (IPA발음)American noun = AHD noun (IPA noun)
여기서도 미국발음과 AHD 발음이 다르게 표기된 것을 알 수 있는데, AHD 영영사전을 보는데 도움이 되도록 AHD 발음 위주로 알아두어야 한다.Here, it can be seen that American pronunciation and AHD pronunciations are marked differently,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nunciation of AHD is mainly helpful to view the AHD English-English dictionary.
참고로,미국발음과 AHD 발음의 비교와 단어군을 다음과 같이 나타 내었다.For reference, the comparison of American pronunciation and AHD pronunciation and word group are shown as follows.
자음에 있어서 AHD 발음과 우리가 쓰고있는 국제 음성부호(IPA)의 발음은 자음 25개 중 9개의 음성표기가 상이하다. 상이점을 구분하자. ( )밖에 있는 것이 AHD 발음이고 ( )안은 국제음성부호(IPA)이다.The pronunciation of AHD in the consonants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International Voice Code (IPA) we use are different from the nine out of 25 consonants. Identify the differences. Outside () is AHD pronunciation and inside () is International Voice Code (IPA).
이러한 것을 익히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면서 읽는다.To learn this, read the following references.
-': 첫 번째 강세이며 약간 두껍게 표시된다.- ' : The first bullish, slightly thicker.
- ' : 두 번째 강세이며 가늘게 표시된다. IPA에서의 `와는 다르다.-': The second stress is thin. It is not the same as knowing in IPA.
- 이것은 단순히 IPA를 AHD로 발음을 치환하는 것은 아니며 IPA와 AHD발음이 차이가 나며, 미국발음과 AHD발음이 일치하는 음성표기는 ( )의 왼쪽 위치에 하나로 표기하였다.-This is not a simple substitution of IPA to AHD. The IPA and AHD pronunciations are different, and the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American and AHD pronunciations is indicated by one to the left of ().
미국발음= AHD 발음 (IPA 발음)How to pronounce ahd in english
th ():thinkth ( ): th ink
이에 해당되는 단어들을 보자.Let's look at the corresponding words.
[ ]안의 발음기호는 AHD 발음이다.The pronunciation symbol in [] is AHD pronunciation.
또, 모음 18개는 AHD와 IPA가 를 제외한 모든 발음의 음성표기가 다르다.Also, 18 vowels have different phonetic notations except for AHD and IPA.
한편, 이중모음은 6개의 발음표기가 모두 다르다.The double vowels, on the other hand, differ in all six phonetic notations.
이와같이 미국 영어 발음을 우랄알타이어족이 AHD 영어발음 표기와 그 발음 형태를 익힘으로서 보다 정확한 미국영어의 듣고 말하기를 익힐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American English pronunciation of the Ural-Altaic people can learn more accurate America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by learning the AHD English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form.
이러한 본 발명은 우랄알타이어계 민족이 사용하는 IPA 체계의 영어 음성 표기 형태를 AHD 체계의 영어 음성표기 형태로 바꾸고 이를 익히게 함으로서 이러한민족이 미국인과 대화할 때 듣기와 말하기가 모두 자연스러운 미국영어의 형태로 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English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IPA system used by the Ural-Altaic people into the English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AHD system and learns it. You can talk to.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0635A KR20010086768A (en) | 2000-03-03 | 2000-03-03 | The learning method about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American English(AHD) for Ural-Altaic peoples |
KR2020000016022U KR200205082Y1 (en) | 2000-03-03 | 2000-06-05 | The consnant- vowel table with AHD for Ural-Altaic peop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0635A KR20010086768A (en) | 2000-03-03 | 2000-03-03 | The learning method about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American English(AHD) for Ural-Altaic peopl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6022U Division KR200205082Y1 (en) | 2000-03-03 | 2000-06-05 | The consnant- vowel table with AHD for Ural-Altaic peop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6768A true KR20010086768A (en) | 2001-09-15 |
Family
ID=1965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0635A Ceased KR20010086768A (en) | 2000-03-03 | 2000-03-03 | The learning method about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American English(AHD) for Ural-Altaic peop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8676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51165B2 (en) * | 2000-08-18 | 2008-11-11 | Network Appliance, Inc. | File deletion and truncation using a zombie file space |
KR20230085653A (en) * | 2021-12-07 | 2023-06-14 | 이수연 | Korean Pronunciation Correction System Using Hunminjeongeum Creation Principle |
-
2000
- 2000-03-03 KR KR1020000010635A patent/KR2001008676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51165B2 (en) * | 2000-08-18 | 2008-11-11 | Network Appliance, Inc. | File deletion and truncation using a zombie file space |
KR20230085653A (en) * | 2021-12-07 | 2023-06-14 | 이수연 | Korean Pronunciation Correction System Using Hunminjeongeum Creation Princip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osephs | Palauan reference grammar | |
Jones et al. | The phonetics of Russian | |
Greenberg | A multi-tie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poken language | |
Grabe et al. | The intonation of native accent varieties in the British Isles: Potential for miscommunication | |
De Jong et al. | Vowel epenthesis and segment identity in Korean learners of English | |
Chouchane | Pronunciation difficulties for Arab learners of English | |
Cleghorn et al. | Comprehensive articulatory phonetics: a tool for mastering the world's languages | |
KR200205082Y1 (en) | The consnant- vowel table with AHD for Ural-Altaic peoples | |
KR20010086768A (en) | The learning method about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American English(AHD) for Ural-Altaic peoples | |
Yuzawa |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 |
Rudaravanija | An analysis of the elements in Thai that correspond to the basic intonation patterns of English | |
Tomokiyo | Handling non-native speech in lvcsr: A preliminary study | |
Voegelin et al. | Guide for transcribing unwritten languages in field work | |
Vancova | The pronunciation mistakes of Slovak learners of English | |
Trager | Taos I: A language revisited | |
Kochem et al. | Oral Communi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 |
Liu | The Effect of First Language on Spoken English Accents | |
Werner | How to reduce an unwritten language to writing: I | |
Amalia et al. | The Influence of Arabic Sound toward English Pronunciation at English Department Students of IAIN Palopo | |
Ashby et al. | Broad transcription in phonetic training | |
Naruemon et al. | Challenges of Thai Learners in Pronouncing English Consonant Sounds | |
Martin | The prosodic components of speech melody | |
Starkova et al. | IMPORTANCE OF THE RIGHT PRONUNCIATION IN FUTURE CAREER OF THE SPECIALIST | |
Bruhn | The Phonetic Inventory of Mong Leng | |
Aji et al. | Mispronunciation of English Consonant Sound [Θ] in the Medial Position by the Students of Smk Grafika Surakart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2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