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063A - Apparatus for wireless video camera using bluetoot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ireless video camera using bluetoo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8063A KR20010068063A KR1020010020804A KR20010020804A KR20010068063A KR 20010068063 A KR20010068063 A KR 20010068063A KR 1020010020804 A KR1020010020804 A KR 1020010020804A KR 20010020804 A KR20010020804 A KR 20010020804A KR 20010068063 A KR20010068063 A KR 200100680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camera
- bluetooth
- video
- wireless communication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시 일체화 형태에서 탈피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본체와 헤드세트로 대표되는 카메라 제어부를 분리하여 불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재고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which reconstructs the ease of use by using Bluetooth by separating a camera control unit represented by a main body and a headset of a video camera by separating from an integrated form when shooting an analog or digital video camera. In that,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과 음성을 입력하여 인식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세트; 및 비디오 카메라의 기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헤드세트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카메라본체를 포함하는데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eadset for inputting and recognizing video and audio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mera body that controls the mechanical device of the video camera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eadse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세트와 비디오 카메라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비디오 카메라를 들지 않고도 수십~수백미터 이내에서 손쉽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 인식 명령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근거리의 비디오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의학 마이크로 로봇, 지하 공사용 카메라 등의 연관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반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video and audio dat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dset and the video camer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hoot within tens to hundreds of meters without lifting the video camera, and uses a voice recognition comman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near video camera and applying it to the base technology for application in related fields such as medical micro robot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camera.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시 일체화 형태에서 탈피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본체와 헤드세트로 대표되는 카메라 제어부를 분리하여 불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재고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using Bluetooth, and more particularly, to separate from the camera control unit represented by the main body and the headset of the video camera by removing the integrated form during the shooting of analog and digital video cameras. It relates to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reconsidering the ease of use by us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10)와 피사체(20)를 보인 도면으로, 비디오 카메라(10)는 실내나 야외에서 간단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비로 기존에는 고가의 사치품으로 취급받았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현재는 가정의 필수품으로 된 가전 제품이다. 이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10)는 촬영을 위한 영상 입력 렌즈나 LCD, 그리고 영상입력을 위한 마이크등이 본체에 기본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을 위하여 반드시 사용자의 손에 들고 있을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10)의 동작을 위하여 무선 리모콘을 별도 사용하거나 기계적인 버튼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일이 손으로 비디오 카메라(10)를 제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비디오 카메라(10)가 야외에서의 촬영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불편한 구조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video camera 10 and the subject 2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video camera 10 is a device that can easily shoot the image indoors or outdoors, but was previously treated as expensive luxury good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it is now a home appliance which is a necessity of a home. Since the video camera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video input lens or an LCD and a microphone for video input are basical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video camera 10 must be held in the user's hand for shooting. It is. In addition, since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s separately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10 or a mechanical button method, the video camera 10 is controlled by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video camera 10 is a very inconvenient structure in view of being used for shooting outdoor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본체와 헤드세트(Headset)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현재와 같은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불루투스 기술을 적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한 불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uetooth technology to transmit the video and audio data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headset (Headset) of the video camera to take the current ima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using Bluetooth using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automatically control a video camera at a short distance by applying th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디오 카메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비디오 카메라와 헤드세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방향 통신 구조를 이용하여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자가 손에 들지 않고도 헤드세트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불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two-way communication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video camera and the headset in order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video camera to mount the headset on the user's head without the video camera user's hands desired image It is to provide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using a Bluetooth that can shoo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etween a video camera and a subjec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제1제어부의 세부 구성도,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제2제어부의 세부 구성도,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shown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헤드세트의 외관도.5 is an external view of a headset of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헤드세트 110 : 영상입력부100: headset 110: video input unit
120 : 음성기능처리부 130 : 카메라상태표시부120: audio function processing unit 130: camera status display unit
140 : 제1제어부 150 : 제1무선통신부140: first control unit 150: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0 : 카메라본체 210 : 제2제어부200: camera body 210: second control unit
220 : 제2무선통신부220: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과 음성을 입력하여 인식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세트; 및 비디오 카메라의 기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헤드세트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카메라본체를 포함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eadset for inputting and recognizing video and audio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mera body that controls the mechanical device of the video camera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eadset.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세트는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입력부; 음성 인식을 위하여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기능 명령을 처리하는 음성기능처리부;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하는 비디오카메라상태표시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에서 처리된 제어 신호와 영상/음성 신호를 상기 카메라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본체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는 제1무선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eadset comprises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A voice func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a function command to operate the video camera for voice recognition; A video camera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atus of the video camera;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An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first control unit to the camera body and receives and processes data from the camera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입력부는 피사체를 처리하는 촬영 렌즈; 및 상기 촬영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USB(범용직렬버스)를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mage input unit comprises a photographing lens for processing the subject; And a universal serial bus (USB)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of the subject input through the photographing lens.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기능처리부는 마이크로폰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oice function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hone.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기능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해 음성 인식의 기능 명령을 숫자로 입력받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oice func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and processes a function command of voice recognition as a number to operate the video camera.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 명령은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실행, 정지, 일시정지, 기록, 촬영렌즈 사용, 촬영렌즈 미사용 등의 기본 명령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unction command is a basic command such as forward, backward, run, stop, pause, record, use of a photographing lens, no use of a photographing lens, etc. to operate the video camera.
바람직하게, 상기 제1무선통신부는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음성 신호를 불루투스 방식으로 처리하는 제1불루투스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Bluetooth chip for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in a Bluetooth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영상입력부와 상기 음성기능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카메라본체의 다량의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상태표시부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프로그램로직수단; 상기 제1프로그램로직수단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처리하는 제1중앙프로세싱수단; 및 상기 제1중앙프로세싱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controller controls the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input unit and the audio function processor, compresses and decompresses and extracts a large amount of data of the camera body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irst program logic means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video camera status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camera; First central process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control signals from the first program logic means; And first memory means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central processing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어부는 다량의 데이터의 압축, 해제하는 단일 PLD(Program Logic Device)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control unit is a single PLD (Program Logic Device)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a large amount of data.
바람직하게, 상기 제1메모리수단은 SD램, 플래쉬램 및 S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memory means is composed of an SD RAM, a flash RAM and an S RAM.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본체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기계 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있다.Preferably, the camera body comprises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device of the video camera;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헤드세트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2프로그램로직수단; 상기 제2프로그램로직수단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처리하는 제2중앙프로세싱수단; 및 상기 제2중앙프로세싱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s second program logic means for controlling data of the headse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econd central process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program logic means; And second memory means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entral processing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제2메모리수단은 SD램, 플래쉬램 및 S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memory means is composed of an SD RAM, a flash RAM and an S RAM.
바람직하게, 상기 제2무선통신부는 불루투스 방식에 의해서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음성 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by a Bluetooth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제2무선통신부는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음성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스되는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영상/음성 신호를 불루투스 방식으로 처리하는 제2불루투스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nterfac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And a second Bluetooth chip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interfac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n a Bluetooth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PCI 인터페이스를 위한 전용 인터페이스칩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dicated interface chip for the PCI interfa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the other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은 헤드세트(100)와 카메라본체(200)로 구성되는데, 헤드세트(100)는 영상입력부(110), 음성기능처리부(120), 카메라상태표시부(130), 제1제어부(140), 제1무선통신부(150)로 구성되며, 카메라본체(200)는 제2제어부(210), 제2무선통신부(220), 기계장치(230)로 구성된다.2,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eadset 100 and a camera body 200, the headset 100 is an image input unit 110, a voice function processing unit 120, a camera status display unit 130,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the camera body 200 is composed of a second control unit 21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mechanical device 230.
헤드세트(100)는 피사체의 영상과 음성을 입력하여 인식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입력부(110)와, 피사체의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기능처리부(120)와,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카메라상태표시부(130)와, 영상입력부(110)와 음성기능처리부(120)에서 각각 전송되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받아서 처리하여 카메라상태표시부(130)에 제어 신호를 보내는 제1제어부(140) 및 제1제어부(140)에서 처리된 제어 신호와 영상/음성 신호를 카메라본체(200)의 제2무선통신부(220)로 전송하고 카메라본체(200)의 제2무선통신부(220)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불루투스 방식으로 처리하는 제1무선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음성기능처리부(120)는 마이크로폰으로 비디오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해 음성 인식의 기능 명령을 숫자로 입력받아 처리하는데, 기능 명령은 비디오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실행, 정지, 일시정지, 기록, 촬영렌즈 사용, 촬영렌즈 미사용 등의 기본 명령이다.The headset 10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an image of an object and recognizing the voice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 voice function processing unit 120 for voice recognition of the object, The camera status display unit 130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video camera, the video input unit 110 and the audio function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nd processes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respectively, the control signal to the camera status display unit 130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first control unit 140 that transmits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camera body 200 and the second of the camera body 200 It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for receiving data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in a Bluetooth manner. The voice function processor 120 receives and processes a function command of voice recognition as a number to operate the video camera with a microphone. The function command is used to forward, reverse, execute, stop, pause, and operate the video camera. Basic commands for recording, using a shooting lens, and not using a shooting lens.
카메라본체(200)는 비디오 카메라의 메카니즘인 기계 장치(230)를 제어하고헤드세트(100)의 제1무선통신부(150)와 근거리 통신인 불루투스 방식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계 장치(23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10)와, 제2제어부(2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무선통신부(220)를 포함한다.The camera main body 200 controls the mechanical device 230, which is a mechanism of the video camera, and performs a Bluetooth communication, which is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headset 100.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10 and a second control unit 21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제1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first controller of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shown in FIG. 2.
도 3에 있어서, 영상입력부(110)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비디오 카메라의 현 상태, 배터리 상태, 통신 이상 유무, 줌(Zoom) 상태 및 촬영시간이 나타나는 촬영 렌즈(111)와, 촬영 렌즈(111)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USB(범용직렬버스)(112)로 구성되며, 음성기능처리부(120)는 비디오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해 촬영렌즈(111) 상에 나타나는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실행, 정지, 일시정지, 기록, 촬영렌즈 사용, 촬영렌즈 미사용 등의 기본 기능 명령인 음성 인식 명령을 숫자로 입력받아 처리하는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다.In FIG. 3, the image input unit 110 captures a subject, a photographing lens 111 showing a current state of a video camera, a battery state, a communication abnormality, a zoom state, and a photographing time, and a photographing lens 111. It consists of a USB (Universal Serial Bus) 112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of the subject input through the, the voice function processing unit 120 is a forward-fast forward, backward-winding appearing on the shooting lens 111 to operate the video camera It consists of a microphone that receives and processes voice recognition commands, which are basic function commands such as play, stop, pause, record, use of photographic lenses, and non-use of photographic lenses.
제1무선통신부(130)는 제어 신호와 영상/음성 신호를 불루투스 방식으로 처리하는 제1불루투스칩(131)으로 구성된다. 제1제어부(140)는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압축, 해제하는 단일 PLD(Program Logic Device)가 사용된 VHDL의 하드웨어 구현 언어로 로직이 구성되어, 영상입력부(110)의 USB(112)와 음성기능처리부(120)에서 전송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베이스밴드(Baseband)를 제어하고, 제1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송신되는 카메라본체(200)의 제2무선통신부(220)에서 송신되는 다량의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비디오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하는 카메라상태표시부(130)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프로그램로직수단(141)와, 제1프로그램로직수단(141)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처리하는 제1중앙프로세싱수단(142) 및 제1중앙프로세싱수단(142)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수단(1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메모리수단(143)은 SD램, 플래쉬램 및 S램으로 구성된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s composed of a first Bluetooth chip 131 for processing a control signal and a video / audio signal in a Bluetooth manner. The first controller 140 is configured in the hardware implementation language of the VHDL using a single PLD (Program Logic Device) to compress and decompress a large amount of data, the logic is configured, USB 112 of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The baseband controls the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function processor 120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camera body 200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The first program logic means 141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a large amount of data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amera state display unit 130 displaying the state of the video camera,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program logic means 141. It comprises a first central processing means 142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nd a first memory means 143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central processing means 142. At this time, the first memory means 143 is composed of an SD RAM, a flash RAM and an S RAM.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제2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controller of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shown in FIG. 2.
도 4에 있어서, 제2제어부(210)는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압축, 해제하는 단일 PLD(Program Logic Device)가 사용되어 VHDL이라는 하드웨어 구현 언어를 사용하여 필요한 로직으로 구성되어, 불루투스 방식에 의해서 제어 신호와, 영상/음성 신호를 베이스밴드 처리하기 위하여, PCI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인터페이스(22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불루투스칩(222)으로 구성된 제2무선통신부(220)를 경유하여 헤드세트(100)의 제1무선통신부(150)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2프로그램로직수단(211)과, 제2프로그램로직수단(211)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처리하는 제2중앙프로세싱수단(212) 및 제2중앙프로세싱수단(212)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수단(2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메모리수단(213)은 SD램, 플래쉬램 및 S램으로 구성된다.In FIG. 4, the second controller 210 is configured with logic required by using a hardware implementation language called VHDL by using a single PLD (Program Logic Device)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data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Via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composed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221 for a PCI interface and a second Bluetooth chip 222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baseband process the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 audio signal. The second program logic means 211 for controlling data received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headset 100 and the second central processing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s of the second program logic means 211. And second memory means 213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eans 212 and the second central processing means 212. At this time, the second memory means 213 is composed of an SD RAM, a flash RAM and an S RAM.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헤드세트(100)의 외관도로서, 제1제어부(140)가 내장되어 있는 제어박스(CB)와, 영상입력부(110)인 촬영 렌즈(111)와, 일반 마이크(MIC)로 구성되어 있다. 촬영 렌즈(111)는 헤드세트(100)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하여 렌즈 지지대ⓐ를 이용하며, 렌즈 지지대ⓐ는헤드세트(100)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박스(CB)의 전면에 부착되어 촬영시는 안테나처럼 촬영자의 눈 방향으로 뻗어 나오고 미 촬영시는 제어박스(CB)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있다.FIG. 5 is an external view of the headset 100 of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shown in FIG. 2. The control box CB in which the first control unit 140 is built, and the photographing lens 111 that is the image input unit 110. ) And a general microphone (MIC). The photographing lens 111 uses a lens support ⓐ for fixing to the housing of the headset 100. The lens support ⓐ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ontrol box CB mounted on the housing of the headset 100. Poetry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photographer's eye like an antenna, and when it's not photographed, it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C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불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wireless video camera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vantages occur.
즉, 헤드세트와 비디오 카메라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비디오 카메라를 들지 않고도 수십~수백미터 이내에서 손쉽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 인식 명령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근거리의 비디오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의학 마이크로 로봇, 지하 공사용 카메라 등의 연관 분야로의 응용을 위한 기반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dat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dset and the video camera, users can easily shoot within tens to hundreds of meters without lifting the video camera. The video camera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and can be applied to the underlying technology for applications in related fields such as medical micro robots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cameras.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0804A KR20010068063A (en) | 2001-04-18 | 2001-04-18 | Apparatus for wireless video camera using bluetoo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0804A KR20010068063A (en) | 2001-04-18 | 2001-04-18 | Apparatus for wireless video camera using bluetoo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8063A true KR20010068063A (en) | 2001-07-13 |
Family
ID=1970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0804A Ceased KR20010068063A (en) | 2001-04-18 | 2001-04-18 | Apparatus for wireless video camera using bluetoo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6806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637B1 (en) * | 2002-12-12 | 2007-10-29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Digital camera |
WO2008148107A1 (en) * | 2007-05-28 | 2008-12-04 | Kossin Philip S | Transmission of uncompressed video for 3-d and multiview hdtv |
-
2001
- 2001-04-18 KR KR1020010020804A patent/KR2001006806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637B1 (en) * | 2002-12-12 | 2007-10-29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Digital camera |
WO2008148107A1 (en) * | 2007-05-28 | 2008-12-04 | Kossin Philip S | Transmission of uncompressed video for 3-d and multiview hdtv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82015B1 (en) | Moving pictur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communicating apparatus | |
DE69529046T2 (en) | Image input device | |
KR100759350B1 (en) | Camera module | |
EP2932704B1 (en) | Remote control of a camera module | |
US20010050720A1 (en) |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card device connectable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KR20040040167A (en) | Camera of image communication with a viewfinder | |
CN114390199A (en) |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6101403A (en) | A kind of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uetooth Wireless remote control mobile phone photograph | |
US5980124A (en) | Camera tripod having speech recognition for controlling a camera | |
CN105708407A (en) | Wearable voice recognition endoscope control system and wearable equipment | |
CN107846553B (en) | Remote control method,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 |
CN106534783A (en) | Real-time picture play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VR glasses | |
JP2007310303A (en) | Lens system | |
KR20010068063A (en) | Apparatus for wireless video camera using bluetooth | |
WO202000665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recording and processing, and video recording and processing system | |
CN102014244A (en) | Portable electronic system with detachable camera module | |
JP7494000B2 (en) | Worker terminal, work support system | |
JP2004024340A5 (en) | ||
JPH0898076A (en) | Image input device | |
KR20030083318A (en) | Image terminal | |
CN112463086A (en) |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217240779U (en) | Image acquisition device based on two cameras | |
WO2023065077A1 (en) | Remote control method, photographing device, control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 |
KR20050041673A (en) | Digital camera remote control systen and method | |
JPH10224783A (en) | Image transmitter with resolution selecting function and imag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3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