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953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atrix type electrode structure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atrix type electrod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6953A KR19990006953A KR1019980022108A KR19980022108A KR19990006953A KR 19990006953 A KR19990006953 A KR 19990006953A KR 1019980022108 A KR1019980022108 A KR 1019980022108A KR 19980022108 A KR19980022108 A KR 19980022108A KR 19990006953 A KR19990006953 A KR 199900069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liquid crystal
- signal
- period
- sc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09G3/3633—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with transmission/voltage characteristic comprising multiple loops, e.g.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81—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passive matrices onl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92—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passive matrices onl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09G2310/0227—Details of interlacing related to multiple interlacing, i.e. involving more fields than just one odd field and one even fiel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5—Waveforms comprising zero voltage phase or pa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10)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플리커가 보이지 않는,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매트릭스의 주사 전극(Y1 내지 Yn)은 패널 상에 표시된 화상을 유지하기 위한 전압을 포함하는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유지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때마다 리프레시 펄스 전압이 주사 전극에 인가되며, 따라서, 화상의 휘도가 유지 전압의 극성 반전 전후에 변화되지 않는다. 화면 프레임 주파수를 더 높게 만들어 플리커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비월 주사가 채용된다. 또한, 액정(10c)의 비대칭 특성으로 인한 플리커를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선택 전압의 동일한 극성이 유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atrix type electrode structure in which flicker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panel (10) is not seen. The scan electrodes Y1 to Yn of the matrix are driven by an AC voltage including a voltage for hold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panel. The refresh pulse voltage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every time the polarity of the sustain voltage is invert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oes no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olarity inversion of the sustain voltage. Interlaced scanning is employed to further reduce the flicker by making the screen frame frequency higher. In addition, the same polarity of the selected volta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reduce the flicker due to the asym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10c.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n x m개의 픽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atrix electrode structure for driving n x m pixels.
일본 특허원 JP-A-7-43676호에는, 명암 화상 뿐만 아니라 중간 휘도(brightness)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간단한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표시를 위한 액정으로는 반-강유전성 물질(anti-ferroelectric material)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반-강유전성 액정은 적어도 하나의 반-강유전 상태(제1 안정 상태)와 2개의 강유전 상태(제2 및 제3 안정 상태)를 갖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상태는 안정하게 얻어질 수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JP-A-7-43676 disclos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simple matrix type electrode structur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with intermediate brightness as well as a contrast image. As the liquid crystal for display, an anti-ferroelectric material is used. This kind of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has at least one anti-ferroelectric state (first stable state) and two ferroelectric states (second and third stable states), and each of these states can be stably obtained .
전술한 공보의 기재에 따르면, 액정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은 주기적으로 반전되며, 따라서, 직류 성분은 패널에 인가되지 않는다. 패널의 투명 상태(transparent state)는 2개의 강유전 상태를 이용하여 교대로 실현되며, 비-투명 상태(non-transparent state)는 반-강유전성 액정의 반-강유전 상태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중간 휘도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각각의 선택 기간(selecting period) 전에 픽셀이 일시적으로 어두운 상태(dark state)로 되는 소거 기간(eliminating period)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publicati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is periodically inverted, and therefore the DC component is not applied to the panel. The transparent state of the panel is realized alternately by using two ferroelectric states, and the non-transparent state is realized by using the anti-ferroelectric state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n order to display an image of intermediate luminance, an eliminating period is provided in which the pixel becomes temporarily dark before each selecting period.
반-강유전성 액정 패널은 그것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보는 경우에 2개의 강유전 상태 사이에 상이한 굴절이방성(refractive anisotropies)(ㅿn)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2개의 강유전 상태 사이의 스위칭 주파수가 예를 들어, 30Hz 이하가 될 때 표시에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플리커는 비스듬한 방향 플리커로서 언급된다. 또한, 소거 기간 전후에 밝은 상태(bright state)가 계속될 때 조차도 소거 기간에서 일시적으로 어두운(dark) 상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어두운 상태도 역시 플리커를 유발한다. 플리커를 제거하기 위해, 30Hz 이상의 스위칭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panel exhibits different refractive anisotropies (n) between the two ferroelectric states when viewed in an oblique direction. Therefore, a flicker occurs in the display when the switching frequency between two ferroelectric states becomes, for example, 30 Hz or less. This kind of flicker is referred to as an oblique direction flicker. Also, since the dark state appears temporarily in the erase period even when the bright state continues before and after the erase period, this dark state also causes flicker. In order to remove the flicker, it is conceivable to select a switching frequency of 30 Hz or more.
그러나, 특히, 표시의 고선명도를 이루기 위해 매우 많은 수의 주사 전극이 요구될 때의 반-강유전성 액정의 응답 속도를 고려하면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considering the response speed of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particularly when a large number of scan electrodes are required to achieve high definition of the display,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switching frequency.
예를 들어, 일본 특허원 JP-A-4-311920호에는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한 제안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유지 기간(holding period) 동안에 플리커를 나타내지 않는 주파수에서 인가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유지 전압(holding voltage)은 동일한 값에서 전환 또는 반전되기 때문에, 스위칭 이후의 패널의 휘도는 스위칭 이전의 휘도를 유지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반-강유전성 액정이 극성 변화 만큼 빠르게 응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극성이 전환될 때마다 패널의 휘도가 변화되며, 패널 상에 화면을 재기록하는 주파수(frequency rewriting pictures)에 의해 유발되는 패널 상의 플리커를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중간 휘도의 화상이 표시될 때 더욱 현저해진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JP-A-4-311920 discloses a proposal for preventing flickering. This aims at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at a frequency that does not indicate flicker during the holding period. However, since the holding voltage is switched or inverted at the same value, the luminance of the panel after switching does not maintain the luminance before switching. This is because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oes not respond as fast as the polarity change. Therefore, the brightness of the panel changes every time the polarity is switched, and the flicker on the panel caused by the frequency rewriting pictures on the panel can not be avoided. This problem becomes more significant when an image of intermediate luminance is displayed.
또한, 일본 특허원 JP-A-7-20441호는 소거 기간을 제공하지 않고 픽셀을 부분적으로 재기록함으로써, 밝은 상태로부터 어두운 상태로의 휘도 변화를 감소시켜 플리커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소거 기간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중간 휘도가 얻어질 수 없다. 이 공보에는 또한, 비월 주사(주사 전극이 순차적으로 주사되지 않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웃하는 주사 전극을 건너 뛰는 방식으로 주사됨)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만일 중간 휘도를 얻기 위한 소거 기간과 함께 비월 주사가 이용되면, 소거 기간으로 인한 휘도 변화에 의해 스크롤링 스트라이프(scrolling stripe) 또는 라인 플리커와 같은 문제가 유발된다. 스크롤링 스트라이프는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휘도 변화가 스트라이프처럼 보여지는 현상이고, 라인 플리커는 휘도의 변화가 주사 전극과 평행하게 보이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현상 처럼 보인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JP-A-7-20441 also aims at reducing flicker by reducing the luminance change from a bright state to a dark state by partially rewriting a pixel without providing an erase period. However, since the erase period is not provided, the intermediate luminance can not be obtained. In this publication, it is also proposed to use interlaced scanning (scanning electrodes are not sequentially scanned but scanned in such a manner that one or more neighboring scanning electrodes are skipped). However, if interlacing is used with an erase period to obtain intermediate brightness, a change in luminance due to the erase period causes problems such as scrolling stripe or line flicker. The scrolling strip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luminance change moving in the scanning direction looks like a stripe, and the line flicker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hange in luminance appears parallel to the scanning electrode. These phenomena appear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phenomen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의 견지에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될 때 플리커를 나타내지 않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롤링 스트라이프 및/또는 라인 플리커를 실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does not exhibit a flicker when driven by an AC voltag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scrolling stripe and / or a line flicker are not actually displayed.
액정 표시장치는 실질적으로,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와 반-강유전성 액정과 같은 액정을 구비한 표시 패널, 주사 전극 구동 회로 및 신호 전극 구동 회로로 구성된다. 하나의 주사 필드는 화상이 픽셀에 기록되는 선택 기간, 화상이 유지되는 유지 기간, 및 픽셀에 기록된 화상이 소거되는 소거 기간으로 구성된다. 화상을 전달하는 신호는 주사 전압과 동기하여 신호 전극에 인가된다. 유지 기간에서는, 유지 전압의 극성이 반전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bstantially comprises a display panel including liquid crystal such as a matrix electrode structure and an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a scan electrode drive circuit, and a signal electrode drive circuit. One scan field is composed of a selection period in which an image is written to a pixel, a sustain period in which the image is held, and an erase period in which an image recorded in the pixel is erased. A signal for transferring an image is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can voltage. In the sustain period, the polarity of the sustain voltage is inverted.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전압 극성의 반전 전후에 화상의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유지 전압 극성이 반전될 때마다 리프레시 펄스 전압(refresh pulse voltage)이 인가된다. 리프레시 펄스 전압의 레벨 및 지속기간(duration)은, 정극성 및 부극성 강유전 상태는 서로 전환되면서, 액정의 반-강유전 상태는 강유전 상태로 전환되지 않게 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플리커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사 전극을 건너 뛰는 비월 주사가 사용된다. 비월 주사에서의 적절한 점핑 수는 라인 플리커 및 스크롤링 플리커를 포함하여 플리커가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게 되도록 선택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resh pulse voltage is applied whenever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inverted to maintai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onstant before and after the inversion of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The level and duration of the refresh pulse voltage are selected such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ferroelectric states are swit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nti-ferroelectric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not switched to the ferroelectric state. Further,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flicker, interlaced scanning which skips one or more scanning electrodes is used. The appropriate number of jumps in the interlaced scanning is chosen such that the flicker is virtually absent, including line flicker and scrolling flicker.
선택 기간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은 매 선택 기간 마다 반전될 수 있다. 그러나, 반-강유전성 액정의 비대칭(asymmetric)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 휘도 변화를 피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주기, 예를 들어, 3시간 동안 동일한 극성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 전압의 극성 전환은 제어 회로에 설치된 타이머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표시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새로 시작될 때, 또는 스크린 세이버(saver)가 동작중일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in the selection period can be inverted every selection period. However,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same polarit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3 hours, in order to avoid a luminance change that may occur due to the asymmetric characteristic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The polarity switching of the selection voltage may be performed by a timer installed in the control circuit, or whenever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is newly started, or whenever a screen saver is operating.
반-강유전성 액정이 그것에 인가되는 전압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관해 다양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반-강유전성 액정의 응답에는 3가지 형태가 있는데, 반-강유전 상태로부터 강유전 상태로 변화될 때, 한 강유전 상태로부터 다른 강유전 상태로 변화될 때, 및 강유전 상태로부터 반-강유전 상태로 변화될 때의 응답 형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때 표시 패널의 휘도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 전압의 극성이 반전된 후의 패널의 휘도 레벨을 전압이 반전되기 전의 레벨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만일 이것이 실현되면, 플리커를 유발하지 않고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수 있다.Various tests have been performed as to how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responds to the voltage applied thereto. Generally, there are three types of response of an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When there is a change from a half-ferroelectric state to a ferroelectric state, when the state changes from one ferroelectric state to another ferroelectric state, and from a ferroelectric state to an anti- There is a form of response when it com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does not change when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is reversed during the sustain period.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brightness level of the panel after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is inverted during the sustain period to be equal to the level before the voltage is inverted. If this is realized,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can be reversed during the sustain period without causing flicker.
도38의 그래프는 반-강유전성 액정의 인가 전압에 대한 응답 시간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그래프에서, 곡선 L1은 40℃의 온도에서 반-강유전 상태로부터 강유전 상태로 변화될 때의 응답시간(τr)을 나타내고, 곡선 L2는 40℃에서 정극성 강유전 상태로부터 부극성 강유전 상태로 변화될 때 또는 그 역으로 변화될 때의 응답시간(τ)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 따르면, 20V가 인가될 때, 응답시간(τr)은 250μsec이고, 응답시간(τ)은 33.5μsec이다. 이들 응답시간(τr)과 (τ) 사이에는 상당한 차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The graph of Fig. 38 shows the response time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of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n this graph, the curve L1 represents the response time (tau r) when the ferroelectric material is changed from the anti-ferroelectric state to the ferroelectric state at a temperature of 40 DEG C, and the curve L2 is changed from the positive ferroelectric state to the negative ferroelectric state at 40 DEG C And the response time (τ) when it is ch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 to this graph, when 20 V is applied, the response time tau r is 250 mu sec and the response time tau is 33.5 mu sec. It is clear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response times tau r and tau.
이러한 차는 반-강유전 상태에 있는 영역을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그 영역(regions)이 한 강유전 상태에 있는 액정의 상태를 다른 강유전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표시 상의 가시성 플리커를 유발하지 않고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유지 기간 동안의 극성 변화시에 33.5μsec의 지속기간을 가진 20V의 리프레시 전압(회복 전압)이 인가되면, 반-강유전 상태로부터 강유전 상태로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고, 정극성 및 부극성 강유전 상태 사이의 변화만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시성 플리커가 억제된다.Such a difference can be us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n which one of the regions is in a ferroelectric state to another ferroelectric state while keeping the region in the anti-ferroelectric state in the same state.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during the sustain period without causing visibility flicker on the display. In other words, if a refresh voltage (recovery voltage) of 20V having a duration of 33.5 mu sec is applied during the polarity change during the sustain period, the change from the anti-ferroelectric state to the ferroelectric state is not caused, Only the change between the ferroelectric states occurs. Thus, visibility flicker is suppressed.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리프레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반-강유전 상태에 있는 영역은 변화되지 않고, 강유전 상태중 한 상태에 있는 픽셀의 영역은 다른 강유전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의 휘도가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의 변화 전후에 동일한 레벨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휘도 레벨, 즉, 밝은 레벨, 어두운 레벨 및 중간 레벨에 관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9, by applying such a refresh voltage, the region in the anti-ferroelectric state is not changed, and the region of the pixel in one of the ferroelectric states can be changed to another ferroelectric state. Therefor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can be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This can be done regardless of the luminance level, i.e., the bright level, the dark level and the intermediate level.
도38의 그래프에 따르면, 곡선 L1 및 L2 사이의 범위에 있는 펄스폭 또는 지속기간을 가진,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될 20V의 리프레시 펄스가 선택되면, 유지 전압의 극성 반전 전후에 패널의 휘도가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거나 또는 휘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표시의 플리커가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aph of Fig. 38, when a refresh pulse of 20V to be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having a pulse width or duration in the range between curves L1 and L2 is selected, the brightness of the panel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Or the brightness change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henomen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atrix-like electrode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flicker is not substantially exhibited.
또한, 리프레시 전압이 주사 전극에 인가되는 기간 동안에 신호 전극 그룹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의 레벨은 그 신호 전압 변화의 기준(base) 레벨로 선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밝은 표시 또는 어두운 표시를 나타내는 신호 전압이 신호 전압의 기준 레벨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리프레시되는 픽셀의 휘도가 리프레시될 픽셀과 동일한 주사 전극 상의 다른 픽셀의 휘도를 나타내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In addition, the level of the signal voltage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group during the period when the refresh voltage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is selected as the base level of the signal voltage change. For this reason, the signal voltage indicating the bright display or the dark display is not affected by adding the reference level of the signal voltage. Thus, the brightness of the pixel to be refreshed is not affected by the signal voltage, which indicates the brightness of another pixel on the same scan electrode as the pixel to be refreshed.
또한, 주사 전극의 유지 전압의 극성은 선택 기간의 반복 사이클의 적어도 절반 동안에 이웃하는 주사 전극의 극성과 반대가 된다. 이것은 유지 전압 극성의 스위칭 주파수가 필드 반전 방법의 주파수 보다 빠르게 보이도록 하며, 따라서, 극성 전환으로 인한 표시의 플리커가 방지된다.Further, the polarity of the sustain voltage of the scan electrode is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scan electrode adjacent to the sustain electrode during at least half of the repetition cycle of the selection period. This causes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to appear faster than the frequency of the field inversion method, thus preventing flicker of the display due to polarity switching.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전압 극성이 반전될 때마다 유지 전압에 리프레시 전압을 부가함으로써 플리커를 유발하지 않고 표시 상의 화상 스틱(image stick)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 전극의 각각에서 유지 전압 극성이 교대로 반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resh voltage is added to the sustain voltage every time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inverted, so that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at each of the scan electrodes is alternately inverted to prevent image sticking on the display without causing flicke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양호한 실시예를 이해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structur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atrix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2는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도3은 주사 전극 구동 회로도.3 is a scanning electrode driving circuit diagram;
도4는 디코더 회로의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a decoder circuit;
도6은 주사 전극 구동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6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도7은 신호 전극 구동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of a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도8은 디코더의 상세 회로도.8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decoder.
도9는 신호 전극 구동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9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도10은 액정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10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11은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1)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11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1) in the bright state.
도12는 그 어두운 상태에서 픽셀 G(i,2)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Fig. 12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2) in the dark state.
도13은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3)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13 is a timing chart showing a waveform of 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3) in the bright state.
도14는 제1 필드에서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광 강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Fig. 14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in the bright state and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n the first field.
도15는 제1 필드에서 그 어두운 상태에서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광 강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15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in the dark state and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n the first field.
도16은 동일한 극성의 선택 전압이 하나 이상의 필드에 대해 주사 전극에 인가되고 유지 전압 극성이 한 필드에 한 번씩 전환될 때, 주사 전극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전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16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can voltage supplied from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when a selection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with respect to one or more fields and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switched once per field.
도17은 도16으로부터 계속되는 타이밍도.Fig. 17 is a timing chart continued from Fig. 16; Fig.
도18은 유지 전압 극성이 한 필드에 한 번씩 전환될 때, 주사 전압, 신호 전압 및 표시의 휘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18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scan voltage, the signal voltage, and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when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switched once per field;
도19는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1)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19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1) in the bright state.
도20은 그 어두운 상태에서 픽셀 G(i,2)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Fig. 20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2) in the dark state.
도21은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3)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Fig. 21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3) in the bright state.
도22는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광 강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22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in the bright state and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도23은 그 어두운 상태에서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광 강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23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in the dark state and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도24는 동일한 극성의 선택 전압이 하나 이상의 필드에 대해 주사 전극에 인가되고 유지 전압 극성이 한 필드에 3번씩 전환될 때, 주사 전극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전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FIG. 24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can voltage supplied from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when a select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for one or more fields and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switched three times in one field; FIG.
도25는 유지 전압 극성이 한 필드에 3번씩 전환될 때, 주사 전압, 신호 전압 및 표시의 휘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25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scan voltage, the signal voltage, and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when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switched three times in one field;
도2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Fig. 2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atrix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27은 주사 전극 구동 회로도.27 is a scanning electrode driving circuit diagram;
도28은 도27에 도시된 2-비트 레지스터를 도시하는 도면.28 shows a 2-bit register shown in Fig. 27; Fig.
도29는 주사 전극 구동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29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도30은 주사 전압 및 주사 패턴을 도시하는 타이밍도.30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can voltage and a scan pattern;
도31은 주사 전압 및 신호 전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31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can voltage and a signal voltage;
도32는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율을 도시하는 타이밍도.32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in the bright stat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도33은 그 밝은 상태로부터 중간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의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율을 도시하는 타이밍도.33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when the state changes from the bright state to the intermediate state.
도34는 그 밝은 상태로부터 어두운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의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율을 도시하는 타이밍도.Fig. 34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j)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when the state changes from the bright state to the dark state.
도35a는 순차 주사하에서의 각 행의 휘도 및 평균 휘도를 도시하는 도면.35A is a diagram showing luminance and average luminance of each row under progressive scanning;
도35b는 비월 주사하에서의 각 행의 휘도 및 평균 휘도를 도시하는 도면.35B is a diagram showing luminance and average luminance of each row under interlaced scanning;
도36은 순차 주사 및 비월 주사(건너 뛰는 주사 전극의 수:1,2,3, 및 4) 하에서 관찰되는 플리커 및 스크롤링 스트라이프를 도시하는 도면.36 is a diagram showing flicker and scrolling stripes observed under progressive scanning and interlaced scanning (the number of skip scanning electrodes: 1,2,3, and 4);
도37a, 도37b, 및 도37c는 스크롤링 스트라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7A, 37B and 3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crolling stripe.
도38은 반-강유전성 액정의 유지 전압에 대한 응답시간을 도시하는 그래프.Fig. 38 is a graph showing the response time to the holding voltage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Fig.
도39는 리프레시 전압이 인가될 때, 반-강유전성 액정에서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모델도.39 is a model diagram showing a state change in a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when a refresh voltage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액정 패널 20:제어 회로10: liquid crystal panel 20: control circuit
30,40:전원 회로 50:주사 전극 구동 회로30, 40: power supply circuit 50: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60:신호 전극 구동 회로60: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DX1 내지 DXm, DY1 내지 DYn:디코더 회로DX1 to DXm, DY1 to DYn: decoder circuit
RX1 내지 RXm:3-비트 레지스터RX1 to RXm: 3-bit register
RY1 내지 RYn:2-비트 레지스터RY1 to RYn: 2-bit register
SY1 내지 SYn:레벨 시프터SY1 to SYn: Level shifter
WX1 내지 WXm, WY1 내지 WYn:아날로그 스위치 회로WX1 to WXm, WY1 to WYn: Analog switch circuit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도1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되게 된다.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1은 매트릭스형 전극 구조를 가진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패널(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전극 기판(10a,10b)과, 이들 2개의 기판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반-강유전성 액정(10c), 및 각각의 전극 기판(10a,10b)의 표면에 각각 부착된 2개의 편광층(polarizer layers)(10d,10e)으로 구성된다.Fig. 1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atrix electrode structure. This apparatus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 as shown in Figs. The display panel includes electrode substrates 10a and 10b, an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10c filling a space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two polarizing layers 10b and 10c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 substrates 10a and 10b, respectively. and polarizer layers 10d and 10e.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기판(10a)은 글래스(glass) 기판(11), 이 글래스 기판(11)의 하면에 배치된, m개의 R(red), G(green), B(blue) 스트라이프를 가진 칼라 필터층(12), 이 칼라 필터층(12)의 아래에 배치된, m개의 스트라이프를 가진 투명 전극층(13), 및 이 투명 전극층(13)의 아래에 배치된 배향막(orientation film)(14)으로 구성된다.2, the electrode substrate 10a includes a glass substrate 11, m red (R), green (G), and blue (B) electrodes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1, ) Stripe,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13 having m stripes disposed under the color filter layer 12, and an orientation film disposed under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13, (14).
전극 기판(10b)은 글래스 기판(15), 이 글래스 기판(15) 상에 배치된, n개의 스트라이프를 가진 투명 전극층(16), 및 이 투명 전극층(16) 상에 배치된 배향막(17)으로 구성된다.The electrode substrate 10b includes a glass substrate 15,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16 having n stripe disposed on the glass substrate 15 and an alignment film 17 dispos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16 .
투명 전극층(13)의 m개의 스트라이프와 투명 전극층(16)의 n개의 스트라이프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강유전성 액정(10c)과 함께 픽셀의 (m x n)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픽셀, G(1,1), G(1,2)......G(m,n)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투명 전극(13)의 m개의 스트라이프는 도1의 신호 전극, X1,X2...Xm에 대응하고, 투명 전극(16)의 n개의 스트라이프는 도1의 주사 전극, Y1,Y2...Yn에 대응한다.M stripes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13 and n stripes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16 form an (m x n) matrix of pixels together with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10c as shown in Fig. Pixels, G (1,1), G (1,2), ..., G (m, n)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The m strip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13 corresponds to the signal electrode X1, X2 ... Xm of Fig. 1 and the n strip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16 corresponds to the scan electrode of Fig. 1, Y1, Y2 ... Yn .
편광 기판(10d,10e)은 크로스 니콜(cross nicol) 관계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반-강유전성 액정은 그 반-강유전 상태에서 비-투명 상태가 된다. 2개의 전극 기판(10a,10b)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스페이서(spacers)에 의해 예를 들어, 2μm의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된다.The polarizing substrates 10d and 10e are arranged in a cross nicol relationship.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becomes non-transparent in its anti-ferroelectric state. The two electrode substrates 10a and 10b are maintained at a uniform interval of, for example, 2 mu m by a plurality of spacers not shown in the figure.
반-강유전성 액정 물질(10c)로는, 예를 들어, JP-A-5-119746호에 기재된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수가지 종류의 반-강유전성 액정의 혼합물 또는 한가지 종류의 반-강유전성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As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material 10c, for example, the same materials described in JP-A-5-119746 can be used. Other materials such as a mixture of several kinds of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or a mixture of liquid crystal materials comprising one kind of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may also be used.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제어 회로(20), 전원 회로(30), 다른 전원 회로(40),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 및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20)는 출력 신호, 2개의 DP, DR, SI01, SI02, SCC, LCK, STD 및 SIC를 출력하고, 외부 회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 VSYC와 수평 동기 신호 HSYC를 수신한다. DP 신호중 한 신호(제1 DP), DR 신호, SI01 신호, SI02 신호 및 SCC 신호는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에 공급된다. 다른 DP(제2 DP), LCK, STD 및 SIC 신호는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에 공급된다.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ntrol circuit 20, a power supply circuit 30, another power supply circuit 40, a scan electrode drive circuit 50, and a signal electrode drive circuit 60. The control circuit 20 outputs an output signal, DP, DR, SI01, SI02, SCC, LCK, STD and SIC, and receive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C from the external circuit. One of the DP signals (the first DP), the DR signal, the SI01 signal, the SI02 signal, and the SCC signal ar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The other DP (second DP), LCK, STD, and SIC signals are su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SI01 및 SI02 신호는 주사 전극, Y1,Y2...Yn의 상태를 규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 SI01 신호가 L(low)이고 SI02 신호도 L이되는 상태는 주사 전극의 소거 기간에 대응한다. 이와 유사하게, SI01 신호가 H(high)이고 SI02 신호가 L일 때, 주사 전극은 선택 기간에 있게되고, SI01 신호가 H이고 SI02 신호도 H일 때, 주사 전극은 유지 기간에 있게되고, SI01 신호가 L이고 SI02 신호가 H일 때, 주사 전극은 리프레시 기간에 있게된다.The signals SI01 and SI02 are signals for defining the states of the scan electrodes Y1, Y2 ... Yn. In this embodiment, the state in which the SI01 signal is L (low) and the SI02 signal is also L corresponds to the erase period of the scan electrode. Similarly, when the SI01 signal is H (high) and the SI02 signal is L, the scan electrodes are in the selection period, and when the SI01 signal is H and the SI02 signal is also H, the scan electrodes are in the sustain period, When the signal is L and the SI02 signal is H, the scan electrodes are in the refresh period.
전원 회로(30)는 7개의 출력 신호, VWP, VRP, VHP, VE, VHN, VRN 및 VWN(도1 및 도6)을 출력하고, 다른 전원 회로(40)는 8개 레벨의 휘도를 표시하기 위한 9개의 전압, V1, V2, V3, V4, V5, V6, V7, V8 및 VG(도1 및 도9)를 출력한다.The power supply circuit 30 outputs seven output signals VWP, VRP, VHP, VE, VHN, VRN and VWN (FIGS. 1 and 6), and the other power supply circuit 40 outputs eight levels of luminance V1, V2, V3, V4, V5, V6, V7, V8, and VG (FIGS.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는 제어 회로(20)로부터의 신호, 제1 DP, DR, SI01, SI02 및 SCC에 근거하여, 소거 기간, 선택 기간, 유지 기간 및 리프레시 기간에 대응하는, 8개의 전압 레벨을 순차적으로 주사 전극, Y1...Yn에 공급한다. 이 구동 회로(50)는 또한, 교류 전압에 의해 주사 전극을 구동하기 위해 매 선택 기간 마다 인가 전압의 극성을 전환시킨다(도10 참조).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generates eight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erase period, the selection period, the sustain period, and the refresh period, based on the signals from the control circuit 20, the first DP, DR, SI01, SI02, Level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1 to Yn. The driving circuit 50 also changes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for each selection period in order to drive the scanning electrodes by the alternating voltage (see FIG. 10).
이제, 도10을 참조하여, 주사 전극 Y1을 예를 들어,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소거 기간(도10의 E) 동안에는, 주사 전극 Y1에 전압 VE를 인가함으로써 주사 전극 Y1 상에 위치된 모든 픽셀의 표시가 소거된다. 선택 기간(도10의 S)은 3개의 기간으로 분할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극성 선택 기간 동안에는, 소거 기간 동안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한 전압 VE가 제1 기간에 인가되고, 제2 기간에는 부극성 선택 전압 VWN이 인가되고, 제3 기간에는 정극성 선택 전압 VWP가 인가된다. 신호 전극으로부터 오는 화상 데이터는 선택 기간 동안에 주사 전극 Y1 상의 픽셀에 인가된다. 정극성 유지 기간(도10의 H+)에서는, 정극성 유지 전압 VHP가 주사 전극 Y1에 인가되고, 화상 데이터는 유지된다.Now, 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for example, the scan electrode Y1 will be described. During the erase period (E in FIG. 10), by applying the voltage VE to the scan electrode Y1, the display of all the pixels located on the scan electrode Y1 is erased. The selection period (S in Fig. 10)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s shown in FIG. 10, during the positive selection period, the voltage VE equal to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erase period is applied in the first period, the negative selection voltage VWN is applied in the second period, The polarity selection voltage VWP is applied. The image data coming from the signal electrode is applied to the pixel on the scanning electrode Y1 during the selection period. In the positive polarity sustain period (H + in Fig. 10), the positive sustain voltage VHP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1, and the image data is held.
부극성 리프레시 기간(도10의 R)은 2개의 기간, 즉, 제1 및 제2 기간으로 분할된다. 제1 기간에서는 주사 전극에 부극성 리프레시 전압 VRN이 인가된다. 이 제1 기간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로부터 전압 VG가 전달되는 동안의 기간에 대응하며, 이 기간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전과 같이 유지하면서 유지 전압의 극성이 반전된다. 부극성 리프레시 기간의 제2 기간에서는 부극성 유지 전압 VHN이 인가된다. 다음에는, 부극성 유지 기간(도10의 H-)이 뒤따른다. 이 부극성 유지 기간 동안에는, 부극성 유지 전압 VHN이 인가되고, 화상 데이터는 전과 같이 유지된다. 다음에는, 정극성 리프레시 기간(도10의 R)과 차기 정극성 유지 기간이 뒤따른다. 정극성 유지 기간 이후에는 다시 소거 기간이 온다.The negative refresh period (R in Fig. 10) is divided into two periods, i.e., a first period and a second period. In the first period, the negative refresh voltage VRN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This first period corresponds to a period during which the voltage VG is transferred from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and in this period, the polarity of the sustaining voltage is reversed while maintaining the image data as before. In the second period of the negative polarity refresh period, the negative sustain voltage VHN is applied. Next, a negative sustain period (H- in Fig. 10) follows. During this negative sustain period, the negative sustain voltage VHN is applied, and the image data is maintained as before. Next, the positive refresh period (R in Fig. 10) and the next positive polarity sustain period follow. After the positive sustain period, the erase period comes again.
다음에는, 차기 선택 기간이 뒤따른다. 이 선택 기간은 선행 정극성 선택 기간과 반대로 부극성 기간이다. 이 부극성 선택 기간의 제1 기간에서는, 전압 VE가 인가되고, 제2 기간에서는, 정극성 선택 전압 VWP가 인가된다. 다음에, 제3 기간에서는, 부극성 선택 전압 VWN이 주사 전극에 인가된다. 신호 전극으로부터 오는 화상 데이터는 이 선택 기간 동안에 주사 전극 Y1 상의 픽셀에 인가된다. 다음에, 부극성 유지 기간에는 부극성 유지 전압 VHN이 인가되고, 화상 데이터는 유지된다. 다음에는, 정극성 리프레시 기간, 정극성 유지 기간, 부극성 리프레시 기간, 및 부극성 유지 기간이 뒤따른다. 이후에, 이러한 순서로 반복된다.Next, the next selection period is followed. This selection period is a negative polarity period as opposed to the preceding positive polarity selection period. In the first period of the negative selection period, the voltage VE is applied, and in the second period, the positive selection voltage VWP is applied. Next, in the third period, the negative selection voltage VWN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The image data coming from the signal electrode is applied to the pixel on the scanning electrode Y1 during this selection period. Next, in the negative polarity sustain period, the negative polarity sustain voltage VHN is applied, and the image data is held. Next, a positive refresh period, a positive polarity sustain period, a negative polarity refresh period, and a negative polarity sustain period follow. Thereafter, they are repeated in this order.
주사 전극 Y1에 대해 설명된 동작은 다른 주사 전극 Y2....Yn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기간의 지속기간의 위상차를 갖고 전극 Y1으로부터 전극 Yn까지의 주사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표시 상의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Y1은 정극성, Y2는 부극성, Y3는 정극성이 되는 등의 방식으로 이웃하는 주사 전극의 극성이 교대로 선택된다.The operation described for the scan electrode Y1 is applied in the same way to the other scan electrodes Y2 .... Yn. As shown in Fig. 10, the scanning from the electrode Y1 to the electrode Yn with the phase difference of the sustain period of the selection period is sequentially performed. In order to prevent flickering on the display, for example, the polarities of the neighboring scan electrodes are alternately selected in such a manner that Y1 is a positive polarity, Y2 is a negative polarity, and Y3 is a positive polarity.
이제, 도4를 참조하여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의 동작에 대해 설명된다.Now, the ope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는 n개의 2-비트 레지스터(RY1, RY2...RYn), n개의 디코더 회로(DY1, DY2...DYn), n개의 레벨 시프터(SY1, SY2...SYn) 및 n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WY1, WY2...WYn)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는 7개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한다.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는 제어 회로(20)로부터 수신되는 5가지 종류의 신호에 근거하여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includes n 2-bit registers RY1, RY2 ... RYn, n decoder circuits DY1, DY2 ... DYn, n level shifters SY1, SY2 ... SYn And n analog switch circuits WY1, WY2 ... WYn. Each analog switch circuit includes seven analog switches.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based on the five types of signals received from the control circuit 20. [
2-비트 레지스터(RY1, RY2...RYn)는 SCC 신호의 상승(rising)과 동기하여 제어 회로(20)로부터 SI01 및 SI0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디코더 회로(DY1, DY2...DYn)에 2-비트 데이터(bit-1, bit-2)를 출력한다. 디코더 회로(DY1, DY2...DYn)는 2-비트 레지스터(RY1, RY2...RYn)로부터의 2-비트 데이터와 제어 회로(20)로부터의 제1 DP 신호 및 DR 신호에 근거하여,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WY1, WY2...WYn)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7가지 종류의 신호를 발생한다.The two-bit registers RY1, RY2 ... RYn sequentially receive the SI01 and SI02 signals from the control circuit 2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of the SCC signal and the decoder circuits DY1, DY2 ... DYn Bit data (bit-1, bit-2). The decoder circuits DY1, DY2 ... DYn are controlled based on the 2-bit data from the 2-bit registers RY1, RY2 ... RYn and the first DP signal and the DR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20, And generates seven kinds of signals for perform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analog switch circuits WY1, WY2 ... WYn.
각각의 디코더 회로(DY1, DY2...DYn)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6개의 논리 회로(51-56)를 포함하고 있다. 디코더 회로의 동작은 DY1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Each of the decoder circuits DY1, DY2, ..., DY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and includes six logic circuits 51-56. The operation of the decoder circui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DY1 as an exampl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인버터와 4개의 AND 게이트로 구성된 논리 회로(51)는 2-비트 레지스터 RY1로부터 수신되는 2-비트 데이터(bit-1, bit-2)를 디코드하고, 그것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 DDE, DDW, DDR 및 DDH로 변환한다. 소거 기간(SI01과 SI02이 모두 L임) 동안에는, 단지 DDE 신호만이 H가 되고, 다른 신호는 L이 된다. 선택 기간(SI01는 H이고, SI02는 L임) 동안에는, 단지 DDW 신호만이 H가 되고, 다른 신호는 L이 된다. 리프레시 기간(SI01는 L이고, SI02는 H임) 동안에는, 단지 DDR 신호만이 H가 되고, 다른 신호는 L이 된다. 유지 기간(SI01는 H이고, SI02도 H임) 동안에는, 단지 DDH 신호만이 H가 되고, 다른 신호는 L이 된다.5, the logic circuit 51 composed of four inverters and four AND gates decodes the 2-bit data (bit-1, bit-2) received from the 2-bit register RY1, DDE, DDW, DDR, and DDH, which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During the erase period (SI01 and SI02 are both L), only the DDE signal becomes H and the other signal becomes L. During the selection period (SI01 is H and SI02 is L), only the DDW signal becomes H and the other signals become L. During the refresh period (SI01 is L and SI02 is H), only the DDR signal becomes H and the other signal becomes L. During the sustain period (SI01 is H and SI02 is H), only the DDH signal becomes H and the other signal becomes L.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AND 게이트와 하나의 인버터 및 2개의 OR 게이트로 구성된 논리 회로(52)는 DR 신호에 근거하여 논리 회로(51)로부터의 스위칭 신호를 제어하고, 신호 DEE, DWW, DRR 및 DHH를 출력한다. DDE 신호가 H일 때에는, DEE 신호만이 H가 된다. DDW 신호가 H일 때에는, DR 신호가 H가 되는 시간 동안에 DEE 신호만이 H가 되고, DR 신호가 L이 되는 시간 동안에는 DWW 신호만이 H가 된다. DDR 신호가 H일 때에는, DR 신호가 H가 되는 시간 동안에 DRR 신호만이 H가 되고, DR 신호가 L이 되는 시간 동안에는 DHH 신호만이 H가 된다. DDH 신호가 H일 때에는, DHH 신호만이 H가 된다.5, the logic circuit 52 composed of four AND gates, one inverter, and two OR gates controls the switching signal from the logic circuit 51 based on the DR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s DEE, DWW, DRR, and DHH. When the DDE signal is high, only the DEE signal is high. When the DDW signal is H, only the DEE signal becomes H during the time when the DR signal becomes H, and only DWW signal becomes H during the time when the DR signal becomes L. When the DDR signal is H, only the DRR signal becomes H during the time when the DR signal becomes H, and only the DHH signal becomes H during the time when the DR signal becomes L. When the DDH signal is H, only the DHH signal becomes H.
논리 회로(53)는 도5에 도시된 소자로 구성된다. 이 논리 회로(53)에서, 클록된 인버터(clocked inverters)(53c, 53f)는 인버터(53a)로부터의 반전된 출력에 의해 동작하고, 클록된 인버터(53d, 53e)는 인버터(53a, 53b)로부터의 캐스케이드 출력에 의해 동작한다. 클록된 인버터 및 다른 논리 게이트의 동작에 따라, 논리 회로(53)는 DDW 신호가 H일 때 리셋되고, DDR 신호의 상승에 동기하여 OR 게이트(53g)의 출력을 반전시킨다.The logic circuit 53 is composed of elements shown in Fig. In this logic circuit 53, the clocked inverters 53c and 53f are operated by the inverted output from the inverter 53a and the clocked inverters 53d and 53e are operated by the inverters 53a and 53b, Lt; RTI ID = 0.0 > cascade < / RTI >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clocked inverter and other logic gates, the logic circuit 53 is reset when the DDW signal is H, and inverts the output of the OR gate 53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DDR signal.
논리 회로(54)는 도5에 도시된 소자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래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논리 회로(54)에서, 클록된 인버터(54c)는 DDW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54a)로부터의 반전된 출력에 의해 동작하고, 클록된 인버터(54d)는 인버터(54a, 54b)로부터의 캐스케이드 출력에 의해 동작한다. 클록된 인버터 및 다른 논리 게이트의 동작에 따라, 논리 회로(54)는 DDW 신호가 H일 때 제1 DP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DDW 신호가 L일 때 제1 DP 신호를 래치한다.The logic circuit 54 is constituted by elements shown in Fig. 5, and performs a function of latching data. In this logic circuit 54 the clocked inverter 54c is operated by the inverted output from the inverter 54a which inverts the DDW signal and the clocked inverter 54d is operated by the cascade from the inverters 54a and 54b It operates by output.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clocked inverter and other logic gates, the logic circuit 54 outputs the first DP signal intact when the DDW signal is H, and latches the first DP signal when the DDW signal is L.
논리 회로(55)는 배타적 OR 게이트로 구성되며, 논리 회로(53,54)로부터의 출력의 배타적 논리합을 DPP 신호로서 논리 회로(56)로 출력한다. DDW 신호가 H일 때의 시간 동안에, DPP 신호는 제1 DP 신호에 대응하고, 그 전압 극성은 이 제1 DP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데, 그 이유는 논리 회로(53)는 리셋되고, 그 출력은 L이 되며, 논리 회로(54)는 논리 회로(53)의 출력과 동일한 출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DDW 신호가 L일 때에는, 논리 회로(54)가 래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DPP 신호는 제1 DP 신호와 무관하게 된다. 논리 회로(53)로부터의 논리 출력은 DDR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반전되기 때문에, DPP 신호는 DDR 신호가 상승할 때마다 반전되고, 전압 극성은 매 리프레시 기간 마다 반전된다.The logic circuit 55 is constituted by an exclusive OR gate and outputs an exclusive OR of the outputs from the logic circuits 53 and 54 to the logic circuit 56 as a DPP signal. During the time when the DDW signal is at H, the DPP signal corresponds to the first DP signal and its voltage polarity is controlled by this first DP signal because the logic circuit 53 is reset, L, and the logic circuit 54 provides the same output as the output of the logic circuit 53. When the DDW signal is L, the DPP signal is independent of the first DP signal because the logic circuit 54 performs the latch function. Since the logic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53 is inver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DDR signal, the DPP signal is inverted every time the DDR signal rises, and the voltage polarity is inverted every refresh period.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AND 게이트로 구성된 논리 회로(56)는 논리 회로(52)로부터의 신호와 논리 회로(55)로부터의 DPP 신호에 따라 전압 극성을 전환시킨다. DWW 및 DPP 신호가 H일 때, DWP 신호는 H가 된다. DWW 신호가 H이고 DPP 신호가 L일 때에는, DWN 신호가 H가 된다. DRR 및 DPP 신호가 H일 때에는, DRP 신호는 H가 된다. DRR 신호가 H이고 DPP 신호가 L일 때에는, DRN 신호는 H가 된다. DHH 및 DPP 신호가 H일 때에는, DHP 신호는 H가 된다. DHH 신호가 H이고 DPP 신호가 L일 때에는, DHN 신호는 H가 된다. 이에 따라, 이들 7개의 제어 신호, DEE, DWP, DWN, DRP, DRN, DHP 및 DHN가 합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logic circuit 56 composed of six AND gates switches the voltage polarity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from the logic circuit 52 and the DPP signal from the logic circuit 55. Fig. When the DWW and DPP signals are H, the DWP signal becomes H. When the DWW signal is H and the DPP signal is L, the DWN signal becomes H. When the DRR and DPP signals are H, the DRP signal becomes H. When the DRR signal is H and the DPP signal is L, the DRN signal becomes H. When the DHH and DPP signals are H, the DHP signal is H. When the DHH signal is H and the DPP signal is L, the DHN signal becomes H. Thus, these seven control signals, DEE, DWP, DWN, DRP, DRN, DHP and DHN are synthesized.
DEE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E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도4 참조)를 제어한다. DWP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WP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DWN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WN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DRP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RP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DRN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RN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DHP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HP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DHN 신호는 레벨 시프터를 통해 전원 회로(30)의 VHN 단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한 제어 신호가 H일 때, 그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는 폐쇄(ON)되고, 전원 회로(30)로부터 대응하는 전압이 주사 전극에 공급된다. 이것은 각각의 제어 신호(DEE, DWP, DWN, DRN, DHP 및 DHN)에 적용된다.The DEE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see Fig. 4) connected to the 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The DWP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connected to the VWP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The DWN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connected to the VWN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The DRP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connected to the VRP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The DRN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connected to the VRN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The DHP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connected to the VHP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The DHN signal controls the analog switch connected to the VHN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hrough the level shifter. When one control signal is H, the corresponding analog switch is closed (ON), and a corresponding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30 to the scan electrodes. This applies to the respective control signals DEE, DWP, DWN, DRN, DHP and DHN.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파형을 가진 전압이 신호, SCC, SI01, SI02 및 제1 DP에 따라 각각의 주사 전극(Y1, Y2...Yn)에 공급된다.Therefore,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waveform as shown in Fig. 6 is supplied to each of the scan electrodes Y1, Y2, ..., Yn according to the signals SCC, SI01, SI02 and the first DP.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는 m개의 3-비트 레지스터(RX1, RX2...RXm), m개의 디코더 회로(DX1, DX2...DXm), m개의 레벨 시프터(SX1, SX2...SXm) 및 m개의 아날로그 스위치(WX1, WX2...WXm)로 구성된다. 이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는 외부로부터의 화상 신호 DAP와 제어 회로(20)로부터의 제2 DP, LCK, STD 및 SIC 신호에 따라, 전원 회로(40)로부터의 9개 레벨의 신호 전압을 신호 전극(X1, X2...Xm)에 공급한다. 액정 패널이 8단계의 휘도를 가진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DAP 신호는 3-비트 신호이다.As shown in Figs. 1 and 7,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includes m 3-bit registers RX1, RX2, ... RXm, m decoder circuits DX1, DX2 ... DXm, m Two level shifters SX1, SX2 ... SXm, and m analog switches WX1, WX2 ... WXm. This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outputs a signal voltage of nine levels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40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signal DAP from the outside and the second DP, LCK, STD and SIC signals from the control circuit 20 To the signal electrodes X1, X2, ..., Xm. Since the liquid crystal panel displays an image with eight levels of brightness, the DAP signal is a three-bit signal.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의 동작은 도9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3-비트 데이터를 가진 화상 신호 DAP는 모든 신호 전극(X1, X2...Xm)에 대해 직렬 데이터로서 외부로부터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로 전송된다. 화상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데, 즉, 주사 전극 Y1 상의 픽셀에 대한 데이터가 먼저 오고, 그 다음에 주사 전극 Y2 상의 픽셀에 대한 데이터가 오고, 이러한 방식으로 주사 전극 Yn까지의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오게 된다. 도9에서, D(1,i)는 주사 전극 Y1 상의 픽셀에 대한 일련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D(1,1), D(1,2)....D(1,m)은 각각의 신호 전극(X1, X2...Xm)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각각 나타낸다. STD 신호가 H일 때에는, 신호 전극 X1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SIC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3-비트 레지스터에 공급된다. 이와 유사하게, 신호 전극 X2, X3...Xm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SIC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3-비트 레지스터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주사 전극 상의 픽셀에 대한 화상 데이터는 3-비트 레지스터(RX1, RX2...RXm)에 저장된다. 3-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는 디코더 회로에 공급된다.The operation of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shown in Fig. The image signal DAP having 3-bi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as serial data for all the signal electrodes X1, X2, ..., Xm. Image data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that is, data for pixels on the scanning electrode Y1 comes first, then data for pixels on the scanning electrode Y2 comes, and in this way, The data up to the electrode Yn is continuously supplied. D (1, i) represents a series of image data for pixels on the scanning electrode Y1, and D (1,1) and D (1,2) X2, ..., Xm of the signal electrodes X1, X2, ..., Xm. When the STD signal is H, the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electrode X1 is supplied to the 3-bit regist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SIC signal. Similarly, the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ignal electrodes X2, X3 ... Xm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3-bit register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SIC signal. Thus, the image data for the pixels on the scan electrodes are stored in the 3-bit registers RX1, RX2 ... RXm. The data stored in the 3-bit register is supplied to the decoder circuit.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코더(DX1, DX2...DXm)는 5개의 논리 회로(61,62,63,64 및 65)를 포함한다. 이들 디코더의 동작은 DX1을 예를 들고,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As shown in Fig. 8, each of the decoders DX1, DX2 ... DXm includes five logic circuits 61, 62, 63, 64 and 65. The operation of these decoder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aking DX1 as an example.
3개의 D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논리 회로(61)는 제어 회로(20)로부터의 LCK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3-비트 화상 데이터를 래치한다. 3개의 배타적 OR 게이트로 구성된 논리 회로(62)는 제어 회로(20)로부터의 제2 DP 신호가 H일 때, 논리 회로(61)에 의해 래치된 화상 신호를 반전시킨다. 논리 회로(63)는 3쌍의 인버터와 8개의 AND 게이트로 구성되며, 디코더를 형성한다. 논리 회로(63)는 논리 회로(62)로부터의 3-비트 화상 데이터 신호를 디코드하고, 그것을 8개의 라인 출력으로 변환한다. 하나의 인버터 구성된 논리 회로(64)는 제어 회로(20)로부터의 LCK 신호를 반전시킨다. 8개의 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논리 회로(65)는 논리 회로(63)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논리 회로(64)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WX1의 8개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제어 신호 D1, D2...D8를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 회로 DX1은 제어 신호 DG로서 LCK 신호를 출력한다.The logic circuit 61 composed of three D-type flip-flops latches the 3-bit image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LCK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20. [ The logic circuit 62 composed of three exclusive OR gates inverts the image signal latched by the logic circuit 61 when the second DP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20 is H. The logic circuit 63 is composed of three pairs of inverters and eight AND gates and forms a decoder. The logic circuit 63 decodes the 3-bit image data signal from the logic circuit 62 and converts it into 8 line outputs. A single inverter configured logic circuit 64 inverts the LCK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20. The logic circuit 65 including eight AND gates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logic circuit 63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eight analog switches of the analog switch circuit WX1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64 D1, D2 ... D8. Further, the decoder circuit DX1 outputs the LCK signal as the control signal DG.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코더 회로 DX1은, 제2 DP 신호가 L이고 LCK 신호가 L인 상태 하에서, 논리 회로(61)에 의해 래치된 3-비트 데이터가 각각 (L,L,L), (L,L,H), ... (H,H,L), (H,H,H) 일 때, 그 각각의 출력, D1 내지 D8을 하이(H) 상태로 만든다. 제2 DP 신호가 H이고 LCK 신호가 L인 상태 하에서, 디코더 회로 DX1은, 논리 회로(61)에 의해 래치된 3-비트 데이터가 각각 (L,L,L), (L,L,H), ... (H,H,L), (H,H,H) 일 때, 그 각각의 출력, D8 내지 D1을 그 순서대로 하이(H) 상태로 만든다. LCK 신호가 H인 상태 하에서, 출력, D1 내지 D8은 3-비트 데이터에 관계 없이 L이 되고, 단지 출력 DG만이 H가 된다.The decoder circuit DX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the 3-bit data latched by the logic circuit 61 is (L, L, L), (L (H, H, H), (H, H, L) and (H, H, H). (L, L, L), and (L, L, H), the 3-bit data latched by the logic circuit 61 is supplied to the decoder circuit DX1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econd DP signal is H and the LCK signal is L, (H, H, L) and (H, H, H), the respective outputs D8 to D1 are brought into a high (H) state in that order.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LCK signal is H, the outputs D1 to D8 become L regardless of the 3-bit data, and only the output DG becomes H.
디코더로부터의 출력 D1 내지 D8 및 출력 DG는 레벨 시프터(도7 참조)를 통해 전원 회로(40)의 전압 V1 내지 V8 및 VG에 각각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제어한다. 출력 D1 내지 D8 및 출력 DG가 H일 때, 그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는 ON 상태로 되고, 전원 회로(4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신호 전극에 공급된다.The outputs D1 to D8 and the output DG from the decoder control the analog switch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voltages V1 to V8 and VG of the power supply circuit 40 through level shifters (see Fig. 7). When the outputs D1 to D8 and the output DG are at H, the corresponding analog switch is turned on, and the out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40 is su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한 주사 전극 상의 픽셀에 대한 화상 데이터가 LCK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논리 회로(61)에 의해 래치된 이후에, 3-비트 레지스터(RX1 내지 RX2)는 그 다음 주사 전극 상의 픽셀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타이밍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SIC, STD, LCK 및 제2 DP와 화상 데이터 DAP에 응답하여, 신호 전극 X1 내지 Xm에는 규정된 파형을 가진 전압 출력이 공급된다.After the image data for a pixel on one scan electrode is latched by the logic circuit 61 in synchronism with the rise of the LCK signal, the 3-bit registers RX1 to RX2 next receive the image data for the pixel on the next scan electrode Start typing. Therefore, as can be seen from the timing chart shown in Fig. 9, in response to the signals SIC, STD, LCK and the second DP and the image data DAP, the signal electrodes X1 to Xm are supplied with a voltage output having a prescribed waveform.
전원 회로(30)로부터의 출력 전압 VE와 전원 회로(40)로부터의 출력 전압 VG는 공통 레벨로 셋트된다. 신호 SCC, 제1 DP 및 LCK는 신호 제2 DP와 동기화 되며, 이들 모든 신호는 제어 회로(20)로부터 공급된다. 선택 기간에 있는 주사 전극 상의 픽셀에 대한 화상 데이터는 한 선택 기간 만큼 사전에 입력된다. 따라서, 도10에 도시된 파형이 실현된다.The output voltage VE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30 and the output voltage VG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40 are set to a common level. The signal SCC, the first DP and the LCK are synchronized with the signal DP, and all these signals are su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20. The image data for the pixel on the scan electrode in the selection period is input in advance by one selection period. Thus, the waveform shown in Fig. 10 is realized.
이제, 1-프레임 표시 주파수가 5Hz(1-프레임의 표시기간은 200ms)이고, 행전극(row)의 수가 220, 열전극(column)의 수가 960, 주사 듀티(duty)가 1/N(N=1000)이고, 소거 기간이 E(E=100)인,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액정 표시장치의 한 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되게 된다.Now, the 1-frame display frequency is 5 Hz (the display period of one frame is 200 ms), the number of row electrodes is 220, the number of column electrodes is 960, the duty ratio is 1 / N (N = 1000), and the erase period is E (E = 100), will be described.
그 위치가 도3에 예시되어 있는 픽셀, G(i,1), G(i,2) 및 G(i,3)에는, 도11,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파형을 가진 구동 전압이 공급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선택 기간 전압, 유지 기간 전압 및 소거 기간 전압으로 이루어진다. 유지 기간 동안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리프레시 펄스 전압과 유지 전압으로 이루어지며, 그 극성은 30Hz 이상의 주파수로 반전된다. 극성이 반전될 때마다, 리프레시 펄스가 인가된다. 하나의 표시 프레임은 제1 필드와 제2 필드로 이루어진다. 이제, 도11,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제1 프레임의 동작에 대해 설명된다.The driving voltage having the waveforms shown in Figs. 11, 12 and 13 is applied to the pixels G (i, 1), G (i, 2) and G .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is composed of the selection period voltage, the sustain period voltage, and the erase period voltage. The driving voltage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consists of the refresh pulse voltage and the sustain voltage, and the polarity thereof is inverted to a frequency of 30 Hz or more. Each time the polarity is inverted, a refresh pulse is applied. One display frame consists of a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Now,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12 and 13. Fig.
먼저, 픽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순서에 대해 설명된다. 선택 기간 동안에는, 펄스폭 t1(t1=33.3μs)을 가진 전압 VE, 펄스폭 t2(t2=33.3μs)을 가진 전압 VWN, 및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WP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선택 기간 다음에 오는 유지 기간 동안에는, 유지 전압 VHP가 인가된다. 선택 기간의 개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10ms 이후에,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전압 VRN이 인가되고, 그 다음에 리프레시 전압의 개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10ms가 경과될 때까지 유지 전압 VHN이 인가된다. 다음에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전압 VRP가 인가된다. 그 다음에는, 리프레시 전압 VRP의 개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10ms가 경과될 때까지 유지 전압 VHP가 인가된다.First, the order of driving voltages applied to the pixels is described. During the selection period, a voltage VE having a pulse width t1 (t1 = 33.3 mu s), a voltage VWN having a pulse width t2 (t2 = 33.3 mu s), and a voltage VWP having a pulse width t2 are sequentially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following the selection period, the sustain voltage VHP is applied. The refresh voltage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is applied after 10 ms calcula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election period, and then the sustain voltage VHN is applied until the elapse of 10 ms from the start of the refresh voltage. Next, the refresh voltage VRP having the pulse width t1 is applied. Thereafter, the holding voltage VHP is applied until 10 ms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refresh voltage VRP.
이후에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과 유지 전압의 사이클이 그 극성을 변화시키면서 매 10ms 마다 반복된다. 이것은 P번째 유지 전압의 종료점까지 계속된다(본 예에서 P=9임). 선택 기간의 개시점으로부터 P번째 유지 전압의 종료점까지의 총 시간은 (N-E).(t1+2.t2)이다. 다음에는, 소거 기간, 즉, E.(t1+2.t2) 동안에 전압 VE가 인가된다.Thereafter, the cycle of the refresh pulse voltage and the sustain voltage is repeated every 10 ms while changing the polarity thereof. This continues to the end point of the Pth hold voltage (P = 9 in this example). The total time from the start of the selection period to the end point of the P-th sustain voltage is (NE) . is (t1 + 2. t2). Next, the erase period, i.e., E. is applied to the voltage VE during (t1 + 2. t2).
제2 필드는 제1 필드와 동일하게 선택 기간, 유지 기간 및 소거 기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인가되는 모든 전압의 극성이 반전된다.The second field is composed of the selection period, the sustain period, and the erase perio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field, but the polarity of all applied voltages is reversed.
이제, 픽셀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의 순서에 대해 설명된다. 선택 기간의 신호 전압은 주사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파형에 따라, 각각 펄스폭 t1, t2 및 t2를 가진 3개의 펄스 전압으로 이루어진다. 제1 필드에서 밝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가 인가되고, 그 다음에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8 및 펄스폭 t2을 가진 전압 V1이 뒤따른다. 제1 필드에서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가 인가되고, 그 다음에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1 및 펄스폭 t2을 가진 전압 V8이 뒤따른다. 제2 필드에서 밝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가 인가되고, 그 다음에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1 및 펄스폭 t2을 가진 전압 V8이 뒤따른다. 제2 필드에서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가 인가되고, 그 다음에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8 및 펄스폭 t2을 가진 전압 V1이 뒤따른다. 전술한 화상 신호가 주사 전압의 파형과 조합하여 픽셀의 표시 상태를 결정한다.Now, the order of the signal voltages applied to the pixels is described. The signal voltage in the selection period consists of three pulse voltages having pulse widths t1, t2 and t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waveform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In order to display a bright image in the first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is applied, followed by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In order to display a dark image in the first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is applied, followed by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In order to display a bright image in the second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is applied, followed by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In order to display a dark image in the second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is applied, followed by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The aforementioned image signal is combined with the waveform of the scan voltage to determine the display state of the pixel.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주사 전극에 인가되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은 신호 전압 VG와 동기된다. 즉, 리프레시 펄스는 신호 전압이 VG일 때의 기간 동안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밝은 화상 또는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 파형과의 조합에 관계 없이, 항상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전압 VRP 또는 VRN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프레시되었던 픽셀은 단지 유지 전압의 극성만 반전된 채로, 동일한 신호 전극 상의 다른 픽셀에 대한 화상 신호 파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전과 동일한 휘도를 가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리프레시 기간 동안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드시 전압 VG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신호 전압 변화의 기준 레벨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이 될 수도 있다. VG 대신에 기준 레벨 전압이 사용될 때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The refresh pulse voltage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t the start of the sustain period is synchronized with the signal voltage VG. That is, the refresh pulse is appli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signal voltage is V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ways apply the refresh voltage VRP or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irrespective of the combination with the image signal waveform for displaying the bright image or the dark image. Thus, the pixel that has been refreshed can display an image having the same brightness as befor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image signal waveform for another pixel on the same signal electrode, with only the polarity of the sustain voltage being inverted.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refresh perio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voltage VG but may b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evel voltage of the signal voltage change. Even when a reference level voltage is used instead of VG, substantially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표시의 각도 가시도 특성(angular visibility characteristics)을 개선하기 위해, 이웃하는 주사 전극의 극성이 하나씩 또는 한 그룹씩 반전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angular vis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the polarities of the neighboring scan electrodes are inverted one by one or one group at a time.
전술한 방식으로, 도11,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진 전압이 픽셀 G(i,1), G(i,2) 및 G(i,3)에 각각 인가된다. 도면에 도시된 파형은 G(i,1)이 밝은 화상을 표시하고, G(i,2)가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고, G(i,3)가 밝은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와 대응한다. 이들 각각의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은 (t1+2.t2)의 기간 만큼 그 위상이 시프트된다. 다시 말하면, 선택 기간, 유지 기간 및 소거 기간 동안에 픽셀 G(i,2) 상에 인가되는 일련의 전압은 픽셀 G(i,1)에 인가되는 일련의 전압에 비교하여, 그 위상이 기간 (t1+2.t2) 만큼 지연된다. 이와 유사하게, 그 다음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도 동일한 기간 만큼 시프트된다.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 voltage having a waveform as shown in Figs. 11, 12 and 13 is applied to the pixels G (i, 1), G (i, 2) and G (i, 3), respectively. The waveform shown in the figure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G (i, 1) displays a bright image, G (i, 2) displays a dark image, and G (i, 3) displays a bright image. The voltage applied to each pixel thereof is (t1 + 2. T2) is the phase shifted by the period. In other words, a series of voltages applied on the pixel G (i, 2) during the selection period, the sustain period and the erase period is compared with the series of voltages applied to the pixel G (i, 1) +2 . T2). Similarly, the phas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next pixel is shifted by the same period.
다음에는,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광 강도를 도시하는 도14를 참조하여, 밝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에 있는 픽셀 G(i,j)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진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제1 필드의 선택 기간에서, 반-강유전성 액정은 제2 안정 상태(도14에서 F+로 도시된 정극성 강유전 상태)에 있게 되며, 이 상태는 선택 기간 뒤에 오는 제1 유지 기간 동안에도 계속된다. 이 액정의 상태는 제2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N에 의해 제2 안정 상태로부터 제3 안정 상태(도14에서 F-로 도시된 부극성 강유전 상태)로 전환되고, 이 상태는 유지 전압에 의한 제2 유지 기간 동안에 유지된다. 다음에, 이 액정의 상태는 제3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P에 의해 제3 안정 상태로부터 다시 제2 안정 상태로 전환되며, 이 상태는 유지 전압에 의한 제3 유지 기간 동안에 유지된다. 이후에, 리프레시 펄스 전압이 인가될 때마다 수행되는, 제2 안정 상태와 제3 안정 상태 사이의 전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스위칭 주파수는 표시의 플리커가 보이지 않게 되도록, 예를 들어, 50Hz로 선택된다. 모든 유지 기간의 종료점에서, 액정의 상태는 제1 안정 상태(반-강유전 상태)로 전환된다.Next, the state of the pixel G (i, j) in a state for displaying a bright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show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and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A driving voltage having a waveform as shown in Fig. 14 is applied. In the selection period of the first field,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in the second stable state (the positive polarized ferroelectric state shown by F + in Fig. 14), and this state continues also during the first sustain period following the selection period. This liquid crystal state is changed from the second stable state to the third stable state (the negative polarized state shown by F- in Fig. 14)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which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second sustain period,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during the second sustain period by the sustain voltage. Next, the liquid crystal state is switched from the third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P having the pulse width t1, which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third sustain period, Lt; / RTI > Thereafter, the switching between the second stable state and the third stable state, which is performed each time the refresh pulse voltage is applied, is repeated. This switching frequency is selected to be, for example, 50 Hz so that the flicker of the display is invisible. At the end of all sustain periods, th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switched to the first stable state (anti-ferroelectric state).
제2 필드에서, 반-강유전성 액정은 선택 기간 동안에 제3 안정 상태에 있게 되며, 이 상태는 선택 기간 뒤에 오는 제1 유지 기간 동안에도 유지된다. 이 액정의 상태는 제2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P에 의해 제3 안정 상태로부터 다시 제2 안정 상태로 전환되며, 이 상태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 이후에 인가되는 유지 전압에 의해 제2 유지 기간 동안에 유지된다. 다음에, 이 액정의 상태는 제3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N에 의해 제2 안정 상태로부터 다시 제3 안정 상태로 전환되며, 이 상태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 이후에 인가되는 유지 전압에 의해 제3 유지 기간 동안에 유지된다. 이후에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이 인가될 때마다 수행되는, 제2 안정 상태와 제3 안정 상태 사이의 전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스위칭 주파수는 표시의 플리커가 보이지 않게 되도록, 예를 들어, 50Hz로 선택된다. 모든 유지 기간의 종료점에서, 액정의 상태는 제1 안정 상태(반-강유전 상태)로 전환된다.In the second field,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in the third stable state during the selection period, and this state is also maintained during the first sustain period following the selection period. This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switched from the third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P having the pulse width t1, which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second sustain period, and this state is applied after the refresh pulse voltage And is maintained during the second sustain period by the sustain voltage. Next, the liquid crystal stat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stable state to the thir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which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third sustain period, And is maintained during the third sustain period by the sustain voltage applied thereafter. Thereafter, the switching between the second stable state and the third stable state, which is performed each time the refresh pulse voltage is applied, is repeated. This switching frequency is selected to be, for example, 50 Hz so that the flicker of the display is invisible. At the end of all sustain periods, th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switched to the first stable state (anti-ferroelectric state).
다음에는,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 및 반-강유전성 액정의 투과광 강도를 도시하는 도15를 참조하여,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에 있는 픽셀 G(i,j)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진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제1 필드의 선택 기간에서, 반-강유전성 액정은 제1 안정 상태(도15에서 AF로 도시된 반-강유전 상태)에 있게 되며, 이 상태는 선택 기간 뒤에 오는 제1 유지 기간 동안에도 계속된다. 이 액정의 상태는 제2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N에 의해서도 제1 안정 상태로부터 제3 안정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며, 이 제1 안정 상태는 유지 전압에 의한 제2 유지 기간 동안에도 유지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 액정의 상태는 제3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P에 의해서도 제1 안정 상태로부터 제2 안정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며, 이 제1 안정 상태는 유지 전압에 의한 제3 유지 기간 동안에도 유지된다. 이후에도, 제1 안정 상태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이 인가될 때마다 발생하는 극성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액정은 소거 기간에서도 그 제1 안정 상태에서 유지된다.Next, the state of the pixel G (i, j) in a state for displaying a dark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show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and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A driving voltage having a waveform as shown in Fig. 15 is applied. In the selection period of the first field,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anti-ferroelectric state shown by AF in Fig. 15), and this state continues also during the first sustain period following the selection period. The liquid crystal state is not switched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thir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applied at the start of the second sustain period, Is maintained during the second sustain period. Similarly, th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not switched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P having the pulse width t1, which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third sustain period, Is also maintained during the third sustain period due to the sustain voltage. Thereafter, the first stable state is maintained unaffected by the polarity change that occurs every time the refresh pulse voltage is applied. Further, the liquid crystal is maintained in the first stable state even in the erase period.
제2 필드에서, 반-강유전성 액정은 선택 기간 동안에 제1 안정 상태에 있게 되며, 이 상태는 제1 유지 기간 동안에도 계속된다. 이 액정의 상태는 제2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P에 의해서도 제1 안정 상태로부터 제2 안정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며, 이 상태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 이후에 인가되는 유지 전압에 의한 제2 유지 기간 동안에도 유지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 액정의 상태는 제3 유지 기간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펄스 전압 VRN에 의해서도 제1 안정 상태로부터 제3 안정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며, 이 상태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 이후에 인가되는 유지 전압에 의한 제3 유지 기간 동안에도 유지된다. 이후에도, 제1 안정 상태는 리프레시 펄스 전압이 인가될 때마다 수행되는 극성 전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된다. 소거 기간 동안에도, 반-강유전성 액정의 제1 안정 상태는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다.In the second field,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in the first stable state during the selection period, and this state continues also during the first sustain period. Th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not switched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secon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P having the pulse width t1 applied at the start of the second sustain period and this state is applied after the refresh pulse voltage And also during the second sustain period by the sustain voltage. Similarly, the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s not switched from the first stable state to the third stable state by the refresh pulse voltage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which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third sustain period, And also during the third sustain period by the sustain voltage applied after the voltage. Thereafter, the first stable state is maintained unaffected by the polarity switching performed every time the refresh pulse voltage is applied. During the erase period, the first stable state of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remains unchanged.
전술한 바와 같이, 반-강유전성 액정의 정극성 강유전 상태와 부극성 강유전 상태 사이의 전환은 반-강유전 상태에 있는 픽셀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수행된다. 그러므로, 표시 휘도는 변화되지 않고, 유지 전압의 극성 변화 전후에 동일한 레벨로 유지된다. 따라서, 표시 상의 플리커가 나타나지 않으며, 양호한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40℃에서 40 이상의 화상 콘트라스트(contrast)가 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between the positive ferroelectric state and the negative ferroelectric state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performed without changing the state of the pixel in the anti-ferroelectric state. Therefore, the display luminance is not changed, and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before and after the polarity change of the sustain voltage. Therefore, flicker on the display does not appear, and a good imag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age contrast of 40 or more is achieved at 40 占 폚.
한 필드에서 리프레시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횟수가 반드시 8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횟수로 변경될 수 있다. 주사 전극에 인가되는 리프레시 전압의 극성은 그것이 이웃하는 유지 기간에서 교대로 나타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강유전성 액정이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따라서, 화상 스틱을 방지하거나, 그것이 픽셀에 각인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number of times of applying the refresh pulse voltage in one fiel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eight, but may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number of times. The polarity of the refresh voltage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is selected such that it alternates in the neighboring sustain periods. In this way,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driven by an AC voltage, thus preventing a picture stick or preventing it from being imprinted on a pixel.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유지 전압의 극성은 이웃하는 주사 전극이 그 대부분의 유지 기간 동안에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이것은 이웃하는 주사 전극이 선택 기간의 반복 주기의 절반 이상의 기간 동안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웃하는 주사 전극이 서로 반대의 유지 전압 극성을 갖게 되는 기간은 리프레시 펄스 전압의 인가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 the polarity of the sustain voltage is selected such that neighboring scan electrodes have opposite polarities during their most sustain periods. However, this may be changed so that neighboring scan electrodes have polarities opposite to each other for a period longer than half of the repetition period of the selection period. The period in which the adjacent scan electrodes have opposite sustain voltage polariti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of the refresh pulse voltage.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전압의 극성 스위칭 주파수는 필드 반전 방법에 비해, 보는 사람에게 더 높은 것처럼 보인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olarity switching frequency of the holding voltage appears to be higher to the viewer than the field inversion method.
따라서, 리프레시 펄스 전압의 인가에 의해 초래되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유지 전압 극성의 스위칭에 의해 유발되는 표시 상의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icker on the display caused by the switching of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simultaneously,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 brought about by the application of the refresh pulse voltage.
전술한 실시예에서 논리 회로의 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된 루틴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logic circuit may be replaced by a programmed routine of the microprocessor.
이제, 도16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다. 제2 실시예에서, 선택 전압의 극성은 소거 기간 이후 마다 반전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반대로, 소거 기간 이후 마다 반전되지 않는다.Now,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5. Fig.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olarity of the selection voltage is not inverted after the erase period, as oppos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ich is inverted every erase period.
전술한 바와 같이, 반-강유전성 액정은 3가지 상태, 즉, 반-강유전 상태(AF), 정극성 강유전 상태(F+) 및 부극성 강유전 상태(F-)를 갖고 있다. 패널 상의 화상은 반-강유전성 액정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표시된다. AF와 F+ 사이의 전환 특성과 AF와 F- 사이의 전환 특성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즉, 이러한 특성은 비대칭성이 될 수도 있다. 만일 특성이 비대칭성이고, 선택 전압이 소거 기간 이후 마다 반전되면, 표시에 플리커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제2 실시예에서 선택 전압의 극성은 제어 회로(20)에 설치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장시간 동안, 예를 들어, 3시간 또는 하루 동안 반전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후술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has three states: an anti-ferroelectric state (AF), a positive ferroelectric state (F +), and a negative ferroelectric state (F-). The image on the panel is displayed by switching the state of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The switching characteristic between AF and F + and the switching characteristic between AF and F- are not always the same. That is, this characteristic may be asymmetric. If the characteristic is asymmetric and the selection voltage is inverted after the erase period, a flicker may occur in the display. 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the polarity of the selection voltage in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inverted for a long time, for example, three hours or one day by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circuit 20. [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only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도16 및 도17(도16의 타이밍도는 도17로 계속됨)은 제어 회로(20)로부터의 신호(SCC, SI01, SI02, 제1 DP 및 DR)에 근거하여, 주사 전극 Y1, Y2 및 Y3에 인가되는 주사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이 타이밍도에서, E는 소거 기간, S는 선택 기간, H+는 정극성 유지 기간, R은 리프레시 기간 및 H-는 부극성 유지 기간이며, 이들 모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 타이밍도에서, 동일한 극성의 선택 전압이 첫 번째 4개의 선택 전극에 인가되고, 그 극성은 5번째 선택 전극에서 반전된다. 이것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긴 시간 동안 선택 전압의 동일한 극성이 유지된다.16 and 17 (the timing chart of FIG. 16 continues with FIG. 17) is based on the signals (SCC, SI01, SI02, first DP and DR) from the control circuit 20 and the scan electrodes Y1, Y2 and Y3 As shown in FIG. In this timing diagram, E is an erase period, S is a selection period, H + is a positive sustain period, R is a refresh period, and H- is a negative sustain period, all of which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timing diagram, a selection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is applied to the first four selection electrodes, and the polarity thereof is inverted at the fifth selection electrode. Thi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s described above, the same polarity of the selection voltage is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도18은 제1 실시예의 도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사 전극 Y1, Y2 및 Y3에 인가되는 주사 전압과 신호 전극 Xi 상의 신호 전압 및 픽셀 G(i,1)의 휘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19는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1)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20은 그 어두운 상태에서 픽셀 G(i,2)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21은 그 밝은 상태에서 픽셀 G(i,3)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파형은 제1 실시예의 도10, 도11 및 도12에서의 파형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필드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선택 전압의 극성이 제1 필드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과 동일하다.18 shows the scan voltage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1, Y2 and Y3, the signal voltage on the signal electrode Xi and the brightness of the pixel G (i, 1)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9 shows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1) in the bright state. Fig. 20 shows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2) in the dark state. Fig. 21 shows the waveform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 3) in the bright state. These waveforms are similar to the waveforms in Figs. 10, 11, and 12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olarity of the selection voltage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field is the same as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field.
도22 및 도23은 제1 실시예의 도14 및 도15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그 밝은 상태와 어두운 상태 각각에서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22에서, 선택 전압은 제1 필드의 개시점에서 인가되며, 이때, 반-강유전성 액정은 제1 필드의 제1 유지 기간에서 상태 F+(제2 안정 상태 또는 정극성 강유전 상태)를 갖는다. 다음에는, 부극성 리프레시 전압이 인가되어 유지 전압 극성이 전환되고, 반-강유전성 액정은 제1 필드의 제2 유지 기간에서 상태 F-(제3 안전 상태 또는 부극성 강유전 상태)를 갖는다. 다음에는, 제3, 제4, 제5... 유지 기간이 뒤따르게 되며, 그 극성이 교대로 나타나고, 반-강유전성 액정의 상태가 F+ 와 F- 사이에서 전환되며, 그 다음에는, 소거 기간 E가 뒤따른다. 제2 필드의 개시점에서는, 제1 필드에서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선택 전압이 인가되고, 제1 필드에서와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도23에 도시된 어두운 상태에서, 반-강유전성 액정은 제1 필드의 개시점으로부터 상태 AF(반-강유전 상태 또는 제1 안정 상태)를 갖는다. 상태 AF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레시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F+ 및 F-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필드를 통해 상태 AF가 유지된다.Figs. 22 and 23 show waveforms of voltages applied to the pixel G (i, j) in the bright state and the dark state,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14 and 15 of the first embodiment. In Fig. 22, the selection voltage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first field, where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has the state F + (the second stable state or the positive polarized state) in the first sustain period of the first field. Next, a negative refresh voltage is applied to change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and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has a state F- (third safe state or negative polarized state) in the second sustain period of the first field. Next, the third, fourth, fifth ... sustain periods are followed, the polarities alternate, the state of the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switched between F + and F-, and then the erase period E follows. At the start of the second field, a selection voltage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in the first field is applied, and the same process as in the first field is repeated. In the dark state shown in Fig. 23,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has state AF (anti-ferroelectric state or first stable state) from the start of the first field. The state AF is not switched to the F + and F- states by applying the refresh pulse voltage, as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the state AF is maintain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elds, as shown in Fig.
도24 및 도25는 도16 및 도18과 유사한 타이밍도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24 및 도25에서는, 유지 전압이 한 필드에 한 번씩만 반전되는 도16 및 도18의 타이밍도와 달리, 한 필드에 3번씩 유지 전압이 반전된다. 한 필드에서 유지 전압이 반전되는 횟수는 그것이 홀수가 되는 한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필드의 개시점에서 동일한 극성을 가진 선택 전압이 인가되며, 각 필드에서 제1 유지 기간의 유지 전압 극성은 소정의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된다. 선택 전압 극성의 반전은 제어 회로(20)에 설치된 타이머가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시작될 때, 또는 표시 패널(10)의 스크린 세이버가 동작될 때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Figures 24 and 25 show timing diagrams similar to Figures 16 and 18. However, in Figs. 24 and 25, the sustain voltage is inverted three times in one field, unlike the timings in Figs. 16 and 18, in which the sustain voltage is inverted only once in one field. The number of times the sustain voltage is reversed in one field can be arbitrarily selected as long as it is an odd number. As shown in FIGS. 24 and 25, a selection voltage having the same polarity i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each field, and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n the first sustain period in each field is maintained the sa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inversion of the selection voltage polarity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circuit 20. [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is started, or when the screen saver of the display panel 10 is operated.
반-강유전성 액정의 반-강유전 상태는 제2 실시예에서 소정의 장시간 동안 동일한 극성의 강유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표시 상의 플리커가 더욱 감소되며, 반-강유전성 액정이 비대칭 전환 특성을 가질 때 조차도 가시성이 되지 않는다.Since the anti-ferroelectric state of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is changed to the ferroelectric state of the same polarity for a predetermined long tim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licker on the display is further reduced, and even when the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has the asymmetric switching characteristic, .
이제, 도26 내지 도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게 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및/또는 제2 실시예의 특징에 부가하여, 주사 전극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웃하는 주사 전극을 점핑하여 주사되는 비월 주사 방식이 채용된다. 제3 실시예의 대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기 때문에, 단지 제3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에 대해서만 후술되게 된다.N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37. Fig. In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first and / or second embodiments, the interlaced scanning method in which the scanning electrodes are jumped by one or more neighboring scanning electrodes is adopted. Since mo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nly specific feature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도26은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여기서는 제1 실시예의 제어 회로(20) 및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 대신에, 제어 회로(20A) 및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가 사용된다. 이 제어 회로(20A)는 출력 신호, 즉, (제어 회로(20)의 출력 신호와 동일한) 제1 및 제2 DP, DR, SCC, LCK, STD 및 SIC 신호와, (제어 회로(20)의 SI01 및 SI02 신호 대신에) SI01a 및 SI02a 신호, 및 (추가적인 신호로서) ACK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 SI01a 및 SI02a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주사 전극의 상태를 결정하지만, SI01a 및 SI02a 신호의 파형은 SI01 및 SI02 신호와 다르다. 즉, SI01a 및 SI02a가 모두 L이되는 기간은 소거 기간(E)에 대응하고, SI01a가 H이고 SI02a가 L이되는 기간은 선택 기간(S)에 대응하고, SI01a 및 SI02a가 모두 H가 되는 기간은 유지 기간(H)에 대응하고, SI01a가 L이고 SI02a가 H가 되는 기간은 리프레시 기간(R)에 대응한다.2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ere, a control circuit 20A and a scan electrode drive circuit 50A are used in place of the control circuit 20 and the scan electrode drive circuit 5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circuit 20A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DP, DR, SCC, LCK, STD and SIC signals (which are the same as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circuit 20) SI01a and SI02a signals, and (as an additional signal) ACK signals in place of the SI01 and SI02 signals. Signals SI01a and SI02a determine the state of the scan electro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waveforms of the SI01a and SI02a signals are different from the signals SI01 and SI02. That is, a period in which SI01a and SI02a both become L corresponds to an erase period E, a period in which SI01a is H and SI02a is L corresponds to a selection period S, and a period in which SI01a and SI02a are both H Corresponds to the sustain period H, and the period in which SI01a is L and SI02a is H corresponds to the refresh period R. [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는 전원 회로(30)로부터의 7개의 전압을 선택하여 비월 방식으로 주사 전극, Y1, Y2, Y3....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2개의 주사 전극을 점핑함으로써 비월 주사가 수행된다.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A selects seven voltages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30 and applies a voltage to the scan electrodes Y1, Y2, Y3 .... in an interlaced manner. In this particular embodiment, interlace scanning is performed by jumping two scan electrodes.
이제, 주사 전극 Y1을 예로하여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도29는 도6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에 대한 입력 신호와 함께 주사 전극에 인가되는 주사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도29 및 그 후속 도면에서, 선택 기간은 S+(정극성) 또는 S-(부극성)로 나타내고, 유지 기간은 H+ 또는 H-, 리프레시 기간은 R+ 또는 R-, 소거 기간은 RS+ 또는 RS-로 나타낸다. 선택 기간은 3개의 기간, 즉, 제1, 제2 및 제3 기간으로 분할된다. 정극성 선택 기간(S+)에서는, 전압 VE가 제1 기간에 인가되고, 전압 VHP가 제2 기간, 전압 VWP가 제3 기간에 인가된다. 부극성 선택 기간(S-)에서는, 전압 VE가 제1 기간에 인가되고, 전압 VHN이 제2 기간, 전압 VWN이 제3 기간에 인가된다. 정극성 소거 기간(RS+)에서는, 그 개시점에서 전압 VWP가 인가되고, 전압 VE가 뒤따른다. 부극성 소거 기간(RS-)에서는, 그 개시점에서 전압 VWN이 인가되고, 전압 VE가 뒤따른다. 이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는 전술한 논점을 제외하고는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A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scan electrode Y1 as an example. FIG. 29 shows a scan voltage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together with an input signal to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A, in a similar manner as in FIG. 29 and its subsequent figures, the selection period is represented by S + (positive polarity) or S- (negative polarity), the sustain period is H + or H-, the refresh period is R + or R-, the erase period is RS + . The selection perio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i.e.,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s. In the positive selection period (S +), the voltage VE is applied in the first period, the voltage VHP is applied in the second period, and the voltage VWP is applied in the third period. In the negative polarity selection period S-, the voltage VE is applied in the first period, the voltage VHN is applied in the second period, and the voltage VWN is applied in the third period. In the positive polarity erase period (RS +), the voltage VWP is applied at the start point, followed by the voltage VE. In the negative erase period RS-, the voltage VWN is applied at the start point, followed by the voltage VE. This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A operates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in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points.
도30은 각각의 주사 전극, Y1, Y2, Y3, Y4, Y5...에 인가되는 주사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본실시예에서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을 점프하는 비월 주사 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주사 전극 Y1이 먼저 주사되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주사된 전극에 대해 한 선택 기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엇갈리는 방식으로 전극 Y4, Y7, Y10... 이 그 순서대로 주사된다. 또한, 각각의 주사되는 전극에 대해 선택 전압 극성이 반전된다. 제1 열의 주사가 최하부까지 완료된 이후에, 전극 Y2로부터 제2 열의 주사가 시작되고, 다음에, 전극 Y5, Y8, Y11... 이 그 순서대로 주사된다. 다음에는, 주사 전극 Y3으로부터 제3 열의 주사가 시작되고, 그 다음에, 전극 Y6, Y9, Y12... 이 그 순서대로 주사된다. 이렇게하여 모든 주사 전극이 주사되면, 한 화면 프레임이 완료된다. 다음에, 반전된 극성을 이용하여, 주사 전극 Y1으로부터 그 다음 화면 프레임의 주사가 반복된다.30 shows scan voltage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1, Y2, Y3, Y4, Y5, and so 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terlaced scanning method of jumping two neighboring electrodes is used, the scanning electrode Y1 is scanned first, and then, by delaying one selection perio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canned electrodes, in a staggered manner, , Y7, Y10, ... are scanned in that order. In addition, the selection voltage polarity is invert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electrodes to be scanned. After the scanning of the first row is completed to the lowermost portion, the scanning of the second row is started from the electrode Y2, and then the electrodes Y5, Y8, Y11, ... are scanned in that order. Next, the scanning of the third row is started from the scanning electrode Y3, and then the electrodes Y6, Y9, Y12, ... are scanned in that order. When all of the scan electrodes are scanned in this manner, one screen frame is completed. Next, the scanning of the next screen frame is repeated from the scanning electrode Y1 by using the polarity reversed.
이제, 도27 및 도28을 참조하여, 도4에 도시된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의 구성과 유사한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의 구성에 대해 설명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의 2-비트 레지스터 RY1, RY2 ... RYn이 2-비트 레지스터 RY'1, RY'2 ... RY'n으로 대체되고, 신호 SI01, SI02는 신호 SI01a, SI02a로 대체되고, 신호 ACK가 추가되었다. 2-비트 레지스터 RY'1 내지 RY'n는 ACK 신호의 상승 연부(rising edge)와 동기하여 제어 회로(20A)로부터 신호 SI01a, SI02a를 수신하고, SCC 신호의 상승 연부와 동기하여 디코더 DY1 내지 DYn으로 2-비트 데이터(bit-1, bit-2)를 출력한다.Now, the configu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A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7 and Fig.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7, the 2-bit registers RY1, RY2 ... RYn in Fig. 4 are replaced by 2-bit registers RY'1, RY'2 ... RY'n, , SI02 is replaced by signals SI01a and SI02a, and signal ACK is added. The two-bit registers RY'1 to RY'n receive the signals SI01a and SI02a from the control circuit 20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ACK signal and output the decoders DY1 to DYn Bit data (bit-1, bit-2).
도28에는 2-비트 레지스터 RY'1 내지 RY'n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제, 2-비트 레지스터 RY'1 및 RY'2를 예로하여 2-비트 레지스터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2-비트 레지스터 RY'1은 1-비트를 형성하는 한쌍의 D-형 플립-플롭 Fa, Fb와 다른 1-비트를 형성하는 한쌍의 D-형 플립-플롭 Fc, Fd로 구성된다. 플립-플롭 Fb, Fd는 ACK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신호 SI01a, SI02a를 각각 수신하고, 그 각각의 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플립-플롭 Fa, Fc로 각각 전달한다. 플립-플롭 Fa, Fc는 SCC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플립-플롭 Fb, Fd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수신하고, 그 각 출력을 2-비트 데이터(bit-1, bit-2)로서 디코더 DY1으로 전달한다. 이와 유사하게, 2-비트 레지스터 RY'2는 한쌍의 D-형 플립-플롭 Fa, Fb와 다른 한쌍의 D-형 플립-플롭 Fc, Fd로 구성된다. RY'2의 플립-플롭 Fb, Fd는 ACK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RY'1의 플립-플롭 Fb, Fd의 각각의 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그 각각의 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RY'2의 플립-플롭 Fa, Fc로 각각 전달한다. RY'2의 플립-플롭 Fa, Fc는 SCC 신호의 상승과 동기하여, RY'2의 플립-플롭 Fb, Fd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수신하고, 그 각 출력을 2-비트 데이터(bit-1, bit-2)로서 디코더 DY2로 전달한다. 다른 2-비트 레지스터 RY'3 내지 RY'n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며, 그 출력을 각각 DY3 내지 DYn으로 전달한다. 디코더 DY1 내지 DYn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2-비트 레지스터 RY'1 내지 RY'n으로부터의 2-비트 데이터, 제어 회로(20A)로부터의 제1 DP 신호, 및 제어 회로(20A)로부터의 DR 신호에 근거하여, 아날로그 스위치 WY1 내지 WYn을 동작시키기 위한 7개의 신호를 발생한다.Fig. 28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2-bit registers RY'1 to RY'n. Now, the 2-bit registers RY'1 and RY'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2-bit register RY'1 is comprised of a pair of D-type flip-flops Fa, Fb forming a 1-bit and a pair of D-type flip-flops Fc, Fd forming a 1-bit other. The flip-flops Fb and Fd receive the signals SI01a and SI02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ACK signal, respectively, and deliver the outputs from their respective Q terminals to the flip-flops Fa and Fc, respectively. The flip-flops Fa and Fc receive the outputs from the flip-flops Fb and F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SCC signal and output the respective outputs as 2-bit data (bit-1, bit-2) to the decoder DY1 . Similarly, the 2-bit register RY'2 consists of a pair of D-type flip-flops Fa and Fb and a pair of D-type flip-flops Fc and Fd. The flip-flops Fb and Fd of RY'2 receive the outputs from the respective Q terminals of the flip-flops Fb and Fd of RY'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ACK signal and output the outputs from their respective Q terminals And the flip-flops Fa and Fc of RY'2, respectively. The flip-flops Fa and Fc of RY'2 receive the outputs from the flip-flops Fb and Fd of RY'2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SCC signal and output the respective outputs to the 2-bit data (bit-1, bit-2) to the decoder DY2. The other two-bit registers RY'3 to RY'n operate in the same manner and transfer their outputs to DY3 to DYn, respectively. The decoders DY1 to DYn are arrang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2-bit data from the 2-bit registers RY'1 to RY'n, the first DP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20A, And generates seven signals for operating the analog switches WY1 to WYn based on the DR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된 디코더 DY1 내지 DYn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디코더(도5에 도시됨)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디코더 DY1 내지 DYn는 제1 실시예의 신호 SI01, SI02가 신호 SI01a, SI02a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29에 도시된 주사 전압이 주사 전극 구동 회로(50A)로부터 주사 전극에 공급된다. ACC 신호의 하나의 클록이 제3 실시예의 ACK 신호의 3개의 클록에 상당하기 때문에,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SI01a, SI02a에 따라 2개의 주사 전극을 점프함으로써 비월 주사가 수행된다.The configurations of the decoders DY1 to DYn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decoder (shown in Fig. 5)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coders DY1 to DYn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signals SI01 and SI02 in the first embodiment are replaced by the signals SI01a and SI02a. As described above, the scan voltage shown in Fig. 29 is supplied from the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50A to the scan electrodes. Since one clock of the ACC signal corresponds to three clocks of the ACK signal of the third embodiment, interlaced scanning is performed by jumping two scanning electrodes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s SI01a and SI02a, as shown in Fig.
신호 전극 구동 회로(60)는 그것이 제1 실시예의 신호와 모두 동일한, 제어 회로(20A)로부터 공급되는 제2 DP, LCK, SRD 및 SIC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신호 전극 X1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이 예시되어 있는 도31에 도시된 타이밍에 따라 신호 전압이 신호 전극에 인가된다.Since the signal electrode driving circuit 60 operates on the basis of the second DP, LCK, SRD, and SIC signals supplied from the control circuit 20A, which are all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 Therefore, the signal voltage is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shown in Fig. 31 in which the signal voltage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X1 is illustrated.
이제, 도32, 도33 및 도34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동작의 예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본 특정예에서, 프레임 표시 주파수는 20Hz(1-프레임의 표시 기간은 50ms)이고, 행전극(주사 전극)의 수는 1024, 열전극(신호 전극)의 수는 3840, 주사 듀티는 1/N(N=512), 소거 기간은 E(E=12)이다. 도32는 밝은 상태에서의 픽셀이 소거 기간 이후에도 동일한 밝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의 픽셀 G(i.j)에 인가되는 전압 및 그 픽셀의 광투과율(투과광 강도)을 도시하고 있다. 도33은 밝은 상태의 픽셀이 소거 기간 이후에 그 상태를 중간 상태로 변화시는 경우의 인가 전압 및 광투과율을 도시하고 있다. 도34는 밝은 상태의 픽셀이 소거 기간 이후에 그 상태를 어두운 상태로 변화시는 경우의 인가 전압 및 광투과율을 도시하고 있다. 유지 전압 극성은 30Hz 이상의 주파수로 반전된다.Now,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 33, and 34. FIG. In this specific example, the frame display frequency is 20 Hz (the display period of one frame is 50 ms), the number of row electrodes (scan electrodes) is 1024, the number of column electrodes (signal electrodes) is 3840, (N = 512), and the erase period is E (E = 12). Fig. 32 show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G (ij) and the light transmittanc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of the pixel when the pixel in the bright state maintains the same bright state even after the erase period. FIG. 33 shows the applied voltag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hen the bright state pixel changes its state to the intermediate state after the erase period. Fig. 34 shows the applied voltag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hen the bright state pixel changes its state to a dark state after the erase period.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inverted to a frequency of 30 Hz or more.
정극성 선택 기간(S+)에서는, 펄스폭 t1(t1=32.6μs)을 가진 전압 VE가 먼저 인가되고, 다음에 펄스폭 t2(t2=32.6μs)를 가진 전압 VHP와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WP가 선택 전압으로서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펄스폭 t1,t2는 도1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펄스폭에 대응하지만, 펄스폭이 약간 짧다. 다음에는, 유지 전압 VHP가 유지 기간(H+) 동안에 인가된다. 선택 기간(S+)의 개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9.7ms 이후에 시작되는 리프레시 기간(R-) 동안에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전압 VRN이 인가된다. 다음에는, 리프레시 기간(R-)의 개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9.7ms가 경과된 후에 종료되는 유지 기간(H-) 동안에 유지 전압 VHN이 인가된다. 후속 리프레시 기간(R+)에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리프레시 전압 VRP가 인가되고, 그 다음에는 리프레시 기간(R+)의 개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9.7ms가 되는 유지 기간(H+) 동안에 유지 전압 VHP가 인가된다. 이후에는, P번째 유지 기간(본 특정예에서 P=5)의 종료점까지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선택 기간(S+)의 개시점으로부터 5번째 유지 기간의 종료점까지 제1 필드의 길이는 (N-E).(t1+2.t2)이다. 5번째 유지 기간의 종료점에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WN이 인가되고, 그 다음에는, 픽셀 G(i,j)에 기록된 화상을 제거하기 위해 E.(t1+2.t2)-t1의 기간 동안 전압 VE가 인가된다.In the positive polarity selection period S +, the voltage VE having the pulse width t1 (t1 = 32.6 mu s) is applied first and then the voltage VWP having the pulse width t2 (t2 = 32.6 mu s) and the voltage VWP Are successively applied as the selection voltage. The pulse widths t1 and t2 correspond to the pulse width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1, but the pulse widths are slightly short. Next, the sustain voltage VHP is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H +. The refresh voltage VRN having the pulse width t1 is applied during the refresh period R- which starts from 9.7 ms after the start of the selection period S +. Next, the sustain voltage VHN is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H-, which is calculated after 9.7 ms elapses from the start of the refresh period R-. In the subsequent refresh period R +, the refresh voltage VRP having the pulse width t1 is applied, and then the sustain voltage VHP is applied during the sustain period H +, which is 9.7 ms calculated from the start of the refresh period R + . Thereafter,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end point of the Pth sustain period (P = 5 in this specific example). The length of the first field from the start point of the selection period S + to the end point of the fifth sustain period is NE . is (t1 + 2. t2). The end point of the fifth sustain period, the voltage VWN having a pulse width t1 is applied, and then, E for removing an image recorded on the pixel G (i, j). (t1 + 2. t2) is the voltage VE applied over the period of -t1.
후속 선택 기간(S-)에서는, 전압 VE, VHN 및 VWN이 그 순서대로 주사 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며, 이것에 의해 제2 필드가 시작된다. 이후에는, 제1 필드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In the subsequent selection period S-, the voltages VE, VHN and VWN are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in that order, thereby starting the second field. Thereafter,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in the first field is repeated.
제1 필드에서 밝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8 및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1이 선택 기간에서 신호 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제1 필드에서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1 및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8이 선택 기간에서 신호 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역으로, 제2 필드에서 밝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1 및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8이 그 순서대로 인가된다. 제2 필드에서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펄스폭 t1을 가진 전압 VG,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8 및 펄스폭 t2를 가진 전압 V1이 그 순서대로 인가된다. 중간 휘도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중간 전압 V2 내지 V7이 선택된다. 리프레시 전압은 신호 전극 상의 전압 VG와 동기하여 주사 전극에 인가된다. 따라서, 리프레시 펄스 VRP 또는 VRN의 레벨은 신호 전압의 레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유지 전압 극성이 반전되는 전후의 휘도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다.To display a bright image in the first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are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s in the selection period. In order to display a dark image in the first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are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s in the selection period. Conversely, in order to display a bright image in the second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are applied in that order. To display a dark image in the second field, a voltage VG having a pulse width t1, a voltage V8 having a pulse width t2, and a voltage V1 having a pulse width t2 are applied in that order. To display the intermediate luminance, intermediate voltages V2 to V7 are selected. The refresh voltage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oltage VG on the signal electrode. Therefore, the level of the refresh pulse VRP or VRN is not influenced by the level of the signal voltage, and the brightness before and after the sustain voltage polarity is inverted is maintained unchang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소거 기간에서는, 밝은 화상 또는 중간 화상이 소거되며, 즉, 픽셀이 어두운 상태로 된다. 소거에 의해 유발되는 휘도 변화는 한 필드의 평균 휘도의 약 2%가 된다. 이러한 변화는 순차 주사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 프레임 표시 주파수(전술한 예에서 20Hz)의 주파수를 가진 플리커로 보일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비월 주사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플리커 주파수가 증가된다(전술한 예에서는 프레임 표시 주파수의 3배, 즉, 60Hz). 따라서, 플리커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35a 및 도35b를 참조하여 더 설명되게 된다.In the erase period, the bright image or the intermediate image is erased, that is, the pixel becomes dark. The luminance change caused by the erasure is about 2% of the average luminance of one field. Such a change may be seen as a flicker having a frequency of the frame display frequency (20 Hz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progressive scanning method is adopted. In the case of adopting the interlaced scanning method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licker frequency is increased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three times the frame display frequency, that is, 60 Hz). Therefore, the flicker may become invisible.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5A and 35B.
도35a는 주사 전극이 전극의 점핑 없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주사되는 순차 주사를 도시하고 있다. 평균 휘도는 우측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Hz의 프레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화되며, 이것은 보는 사람에게 보일수 있다. 도35b는 주사 전극이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전극(n=2)을 점프하여 주사되는 비월 주사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평균 휘도는 프레임 주파수 3배 보다 높은 주파수, 즉 60Hz로 변화되며, 이것은 플리커로서 보이지 않는다. 제3 실시예의 표시 콘트라스트는 40℃의 온도에서 약 40이 되며 플리커가 보이지 않는다. 도36에는, 비월 주사 하에서 점프되는 전극의 수(n)와 플리커 사이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스크롤링 플리커도 도시되어 있다. 플리커 및 스크롤링 플리커는 파라미터로서 평균 휘도 변화를 취함으로써 검사된 것이다. 순차 주사 하에서의 플리커는 비교 목적을 위해 검사된 것이다. 순차 주사 하에서는 평균 휘도 변화가 2% 이상일 때 플리커가 보인다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비월 주사(n=1) 하에서는, 평균 휘도 변화가 5% 이상일 때 플리커가 관찰된다. 또한, 비월 주사(n=2) 하에서는, 평균 휘도 변화가 10% 일 때, 플리커는 보이지 않지만 스크롤링 스트라이프(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됨)는 관찰된다. 비월 주사(n=3) 하에서는, 평균 휘도 변화가 5% 이상일 때 스크롤링 스트라이프가 관찰된다. 비월 주사(n=4) 하에서는, 평균 휘도 변화가 2% 이상일 때 스크롤링 스트라이프가 관찰된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최적의 수(n)는 2라는 결론이 나온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결과는 패널로부터 5cm의 거리에서 패널을 보았을 때 얻어진 것이며, 더 먼 거리에서 패널을 보면 스크롤링 프리커는 더욱 보이지 않게 된다. 수 n은 실제적인 사용시 2 이상이 될 수 있다.FIG. 35A shows progressive scanning in which the scan electrodes are scan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out jumping the electrodes. The average luminance is changed 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rame frequency of 20 Hz as shown in the right graph, which can be seen by the viewer. FIG. 35B shows an interlaced scan in which the scan electrode is scanned by jumping two electrodes (n = 2) as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average luminance is changed to a frequency higher than the frame frequency 3 times, that is, 60 Hz, which is not seen as a flicker. The display contrast of the third embodiment becomes about 40 at a temperature of 40 DEG C, and flicker is not seen. Fig. 3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n) of electrodes jumping under interlaced scanning and the flicker. This figure also shows a scrolling flicker. The flicker and the scrolling flicker are inspected by taking an average luminance change as a parameter. The flicker under progressive scanning was checked for comparison purposes. It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at flicker is seen when the average luminance change is 2% or more under progressive scanning. Under interlaced scanning (n = 1), flicker is observed when the average luminance change is 5% or more. Further, under the interlaced scanning (n = 2), when the average luminance change is 10%, the flicker is not seen, but a scrolling strip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another drawing) is observed. Under interlaced scanning (n = 3), a scrolling stripe is observed when the average luminance change is greater than 5%. Under interlaced scanning (n = 4), a scrolling stripe is observed when the average luminance change is greater than 2%. Therefore, 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optimal number (n) is 2. However, the results shown in the figures are obtained when viewing the panel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panel, and the scrolling pricker is no longer visible when viewing the panel at a greater distance. The number n can be two or more in actual use.
이제, 도37a, 도37b 및 도37c를 참조하여, 스크롤링 스트라이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에서 패널의 상부에 폭 Ls를 가진 스트라이프가 나타나서 아래로 이동한다. 도37b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 T2에서는 스트라이프가 더욱 아래로 이동하고, 시간 T3에서는 도37c에 도시된 위치에서 나타난다. 스크롤링 스트라이프가 항상 아래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보는 사람의 위치 또는 눈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위로 이동할 수도 있다. 폭 Ls가 더욱 좁아짐에 따라, 스트라이프는 더욱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보는 사람으로부터 패널까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스트라이프는 더욱 보이지 않게 된다. 폭 Ls가 5mm 보다 좁아지고, 보는 사람으로부터 패널까지의 거리가 20cm 내지 60cm(정상 거리)의 범위에 있으면, 통상적으로 스크롤링 스트라이프는 보이지 않게 된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37A, 37B and 37C, a scrolling stri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37A, at time T1, a stripe having a width Ls appears at the top of the panel and moves downward. As can be seen from Fig. 37B, the stripe moves further down at time T2 and appears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37C at time T3. The scrolling stripe does not always move down, but it may move up depending on the viewer's position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eyes move. As the width Ls becomes narrower, the stripe becomes more invisible. In addi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viewer to the panel increases, the stripe becomes more invisible. If the width Ls is narrower than 5 mm and the distance from the viewer to the panel is in the range of 20 cm to 60 cm (normal distance), the scrolling stripe will normally not be visible.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제1, 제2 및 제3 실시예)의 특징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이들 실시예에서 반-강유전성 액정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반-강유전성 액정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스멕틱(smectic) 액정과 같은 다른 액정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feature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Although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are used in these embodiments, other liquid crystals, such as smectic liquid crystals, having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semi-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may be used.
비록 본 발명이 전술한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형태 및 세부사항에서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changes may be made in form and detai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Can be achiev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리커가 보이지 않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flicker is not visible.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63093/1997 | 1997-06-19 | ||
JP16309397A JPH1114969A (en) | 1997-06-19 | 1997-06-19 |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192927/1997 | 1997-07-17 | ||
JP19292797A JPH1138383A (en) | 1997-07-17 | 1997-07-17 |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6953A true KR19990006953A (en) | 1999-01-25 |
Family
ID=2648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22108A Abandoned KR19990006953A (en) | 1997-06-19 | 1998-06-12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atrix type electrode structur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EP (1) | EP0886257A1 (en) |
KR (1) | KR1999000695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125B1 (en) * | 2000-09-29 | 2005-05-09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KR100868301B1 (en) * | 2001-03-12 | 2008-11-11 | 톰슨 라이센싱 | Method for multiplying and doubling the frame rate of an input video signal, and frame rate multiplier and doubler for an input video signal |
KR100943183B1 (en) * | 2003-07-10 | 2010-02-19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Field-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out storage capacito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93625B2 (en) | 1999-04-30 | 2007-03-20 | E Ink Corporation |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
CN1180289C (en) | 1998-03-10 | 2004-12-15 | 西铁城时计株式会社 |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
US20130063333A1 (en) | 2002-10-16 | 2013-03-14 | E Ink Corporation | Electrophoretic displays |
US11250794B2 (en) | 2004-07-27 | 2022-02-15 | E Ink Corporation | Methods for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s using dielectrophoretic forc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3537B2 (en) * | 1990-09-06 | 2001-07-0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electro-optical element |
JPH09171170A (en) * | 1995-12-20 | 1997-06-30 | Denso Corp |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1998
- 1998-06-12 KR KR1019980022108A patent/KR19990006953A/en not_active Abandoned
- 1998-06-17 EP EP98111163A patent/EP0886257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125B1 (en) * | 2000-09-29 | 2005-05-09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KR100868301B1 (en) * | 2001-03-12 | 2008-11-11 | 톰슨 라이센싱 | Method for multiplying and doubling the frame rate of an input video signal, and frame rate multiplier and doubler for an input video signal |
KR100943183B1 (en) * | 2003-07-10 | 2010-02-19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Field-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out storage capacit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86257A1 (en) | 1998-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866441B1 (en) | Method of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8 voltage levels | |
KR100873533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3230755B2 (en) | Matrix driving method for flat display device | |
WO1998059274A1 (en) |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US6147792A (en) | Light modulating devices | |
JP2002101427A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US588070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matrix electrode structure | |
JP3891018B2 (en) |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riv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999000695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atrix type electrode structure | |
JP5061403B2 (en) | Matrix type display device | |
KR10032848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matrix electrode structure | |
JP2003202540A (en) | Liquid crystal optical device | |
JPH05303076A (en) | Liquid crystal device | |
JP3555578B2 (en) |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H1114969A (en) |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H1138383A (en) |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H02130525A (en) | liquid crystal device | |
JPH116993A (en) |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H02116823A (en) |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 |
JPH112404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H0588646A (en) | Matrix driving method for plane type display device | |
JPH02113219A (en) |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 |
JP2001228462A (en) |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2001228461A (en) |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S63249130A (en) |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6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30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