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58298B1 -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58298B1
KR102858298B1 KR1020230173369A KR20230173369A KR102858298B1 KR 102858298 B1 KR102858298 B1 KR 102858298B1 KR 1020230173369 A KR1020230173369 A KR 1020230173369A KR 20230173369 A KR20230173369 A KR 20230173369A KR 102858298 B1 KR102858298 B1 KR 10285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obile repeater
communication
supporting
mob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3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50084572A (en
Inventor
이일구
류정화
전유란
문정현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7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58298B1/en
Publication of KR2025008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84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5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5829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통신 자원을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와 다중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 및 상기 통신 자원 중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가 형성한 링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propo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that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forms multiple links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devic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peater and the relaying of the communication resources; a monitoring unit that checks in real time the status of the link 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riving unit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Description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와 이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mmunication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이러한 기술이 통신과 결합됨에 따라 커넥티비티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더 많은 정보와 서비스에 접근하고 싶어하는 소비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홈, 개인용 기기, 그리고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커넥티비티 기능을 갖춘 제품의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와 이동통신 기술이 융합된 커넥티드카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the connectivity market is expanding as these technologies are integrated with communications. Consumer demand for faster and more efficient access to more information and services is increasing, leading to a growing market for products with connectivity features in sectors such as smart homes, personal devices, and automobiles. In particular, the connected car market, which integrates automotiv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s growing rapidly.

그러나 위와 같이 급증하는 수요에 비하여 실제 모바일, IoT, 커넥티드카 등의 다양한 장비에서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는 통신 서비스의 데이터 도달 거리와 데이터 처리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However, despite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providing stable communication services to consumers across various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IoT devices, and connected cars. This is because the data reach and throughput of communication services cannot meet certain standards.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상황에서의 커버리지, 스루풋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되어 왔다. 대표적인 데이터 전송 성능 개선 기술로는 주파수 간 결합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는 결합(aggregation) 기술을 들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통신 요구사항에 적합한 주파수를 할당 및 조정하는 동적 스펙트럼 접근(Dynamic Spectrum Access, DSA)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coverage and throughput in data transmission environments. Representative technologies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include aggregation, which improves performance through frequency combinations. Additionally, research has focused on Dynamic Spectrum Access (DSA), which allocates and adjusts frequencies appropriate for communication requirements.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이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단일링크 기반의 주파수 결합, 할당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 채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였고, 이에 따라 이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나 대역폭이 제한되어 데이터 전송 속도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AP(Access Point)로부터 거리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장치들은 신호 감쇠로 인해 데이터의 속도가 느려지거나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통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면서 끊김이 없는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고속 데이터 전송률과 넓은 서비스 범위를 제공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existing single-link-based frequency aggregation and allocation methods used in existing technologies transmit data using only a single frequency channel, which limits the available frequency range and bandwidth, thereby limiting data transmission speeds. Furthermore, devices located far from the Access Point (AP) experience slow data rates or unstable connections due to signal attenuation. Therefore, to meet users' communication requirements while ensuring uninterrupted service, technologies that provid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rates and a wide service range are needed.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중 링크를 활용해 주파수 자원을 관리함으로써 고속으로 끊김이 없는(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동형 중계를 수행하는 이동형 중계기와 이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igh-speed, seamless service by managing frequency resources using multiple links, and to propose a mobile relay device and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the mobile relay device.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또 다른 실시예들은 다중 링크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전송 속도 및 신호 도달 거리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Other embodimen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pose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ransmission speed and signal reach distance in a data transmission process based on multiple links.

다만,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통신 자원을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와 다중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 및 상기 통신 자원 중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가 형성한 링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propo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forms multiple links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devic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peater and the relaying of the communication resources; a monitoring unit that checks in real time the status of the link 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riving unit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형 중계기와 연결된 기기들을 관리하는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repe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중계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중계기를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repeater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unit that allows a user to set up and manage the mobile repe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링크의 집계에 관련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execute an algorithm relating to aggregation of the multiple link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자원을 전송할 링크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link to transmit the communication resourc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가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가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활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활성 여부가 활성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형 중계기로 채널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주파수 특성에 따라 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용도에 따라 상기 다중 링크들을 그룹핑하는 상기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 단계; 및 상기 다중 링크를 이용해 통신 자원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is proposed, including: a step in which a user device supporting a multi-link searches for a base station supporting a multi-link; a step in which the user device supporting the multi-link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multi-link; a step in which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multi-link is active; a step in which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mobile repeater when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multi-link is determined to be active; a step in which the multi-link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step in which a purpose is determined based on a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the multi-links are grouped based on the purpose; and a step in which a communication resource is transferred to a user device supporting the multi-link using the multi-link; and the method may utilize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는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nk may include both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특성에 따라 용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1 GHz 미만의 저주파수 링크는 관리 용도, 1 GHz 이상의 고주파수 링크는 고속 전송 용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for determining a purpose ba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may be such that a low-frequency link below 1 GHz is determined to be for management purposes, and a high-frequency link above 1 GHz is determined to be for high-speed transmission purpose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중계기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측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측위 정보에서 측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is proposed, including the steps of: collec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by the mobile repeater, positioning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calculating a positioning value from the positioning information;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positioning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when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positioning value in the comparing step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value. The method may utilize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상기 이동형 중계기가 통신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 환경 데이터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환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선택하고 타 신호의 간섭 량이 최저인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includes a step of collect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by the mobile repeater; a step of assign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a step of deriving an optimal location value of the mobile repeater; and a step of setting the preset optimal location value;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a weight may include selecting an available frequency based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and selecting a channel with the lowest amount of interference from other sign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함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도달 범위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data transmission speed and reach can be improved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WiFi 자원과 셀룰러 자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중 링크 동작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 자원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링크 동작 지원으로 인해 다양한 통신 규격에 맞는 네트워크 자원을 유동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multi-link operation technology that can simultaneously utilize WiFi and cellular resources,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Furthermore, multi-link operation support enables flexible support of network resources compliant with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enabling the provision of customized servi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중계기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끊김 없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어 커넥티비티 기술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seamless service based on the mobility of a mobile repeater, thereb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commercialization of connectivity technology.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효과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구성들로 인하여 자연히 구현되는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naturally implemented due to the various configura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릴레이 통신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를 이용한 장치 사이에서 교환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릴레이 중계를 수행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활용 범위에 속하는, 2.4GHz 대역의 채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활용 범위에 속하는, 5GHz 대역의 채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활용 범위에 속하는, 6GHz 대역의 채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system fo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lay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network packets exchanged between devices using multiple link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for deriving an optimal position value of a mobile repeater performing relay re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nels in the 2.4 GHz band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use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nels in the 5 GHz band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use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nels in the 6 GHz band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use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or the specific descriptions of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ll terms used in this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provided for in this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having,” and the lik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that impl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singular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is also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claim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urtherm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duplicate descriptions of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descriptions of components are omitted, this does not mean that such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다중 링크 동작(MLO, Multi link operation) 기술을 기반으로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통하여 비면허 주파수 대역과 면허 주파수 대역상의 주파수를 한 채널을 통해 중계함으로써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peater that supports seamless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multi-link operation (MLO) technology. This multi-link operation allows for faster data transmission speeds by relaying frequencies in both unlicensed and licensed frequency bands through a single chann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운용 원리 및 시스템은 종래 시스템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링크 결합을 통해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기들(MLD, Multi link device)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통신 자원이 부족하더라도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함으로써 기기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하고, 신호 도달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principle and system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sers with an advantage of uninterrupted communication service by utilizing devices supporting multi-links (MLDs, Multi-link Devices) through link combination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syste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network environment with insufficient communication resource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signal reach can be extended by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로는 통신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통신 자원을 중계할 수 있도록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제안한다. 종래의 이동형 중계기는 단일 링크를 기반으로 통신 중계를 수행함에 따라 하나의 채널에 한 대역폭에 해당하는 통신 자원만 이용 가능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신호 도달거리 관점에서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bile repeater that supports multi-link operation, enabling the relaying of communication resources even in situations where prior art technology struggles to meet communication requirements. Conventional mobile repeaters perform communication relay based on a single link, thus only allowing the use of communication resources corresponding to one bandwidth per channel.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multi-link operation in terms of data transmission speed and signal reach.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내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신호 도달거리를 확장하기 위한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링크 선택, 관리, 설정을 통해 고속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커버리지(coverage)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transmission speeds can be improved in a network data transmission environment. Furthermore, a mechanism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to extend the signal reach of data can be proposed. This mechanism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can improve data transmission speeds by providing high-speed, uninterrupted service through link selection,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tailored to the user's needs. Furthermore, data coverag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Hereinafter, embodimen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However,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100)는 통신 자원을 송수신하는 안테나(111)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와 다중링크를 형성하는 통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형 중계기가 통신 서비스를 중계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WiFi, LTE, 5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중 링크 집계(Multi-link Aggregation)기술을 통해 여러 통신 경로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형 중계기와 연결된 기기들을 관리하는 관리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은 eUICC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100)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ntenna (11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forming multi-links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database (DB).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enable the mobile repeater to utilize various communication interfaces for relaying communication services. The various communication interfaces may be, but are not limited to, WiFi, LTE, and 5G. In addition,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may be utilized through multi-link aggreg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management module (112)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repeater. The management modul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eUICC module.

상기 관리 모듈은 사용자 및 장치, 링크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특히, 멀티 링크로 동작할 때, 링크 별 채널 상태 정보(CQI), 사용자 및 장치의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The above management module can manage users, devices, and link profiles. In particular, when operating in multi-link mode, it can manage link-specific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and user and device profil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 및 상기 통신 자원 중계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중계하는 자원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여러 통신 경로를 집계하고,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사용자 장치(STA)의 통신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2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peater and the relaying of communication resource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peater based on the resources relay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logic for aggregating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and setting priorities. The control unit is a unit that connects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and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bile repeater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requirements of a user equipment (STA).

그리고 보안적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들을 각각 어떤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데이터를 전달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각 링크를 통해 전달한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 혹은 협업할지 결정할 수 있다.From a security perspective,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ich frequency resources each link will use for communication. It can also determine which data will be transmitted.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how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each link will be used or collaborate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의 주요 연산과 명령 해석을 담당하는 중앙 처리 유닛(C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인 데이터 저장 및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임시 저장 공간인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시스템의 기본 소프트웨어 혹은 시스템의 부트 업(시작) 과정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인 ROM(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responsible for the system's main operations and command interpretation. It may also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which serves as a temporary storage space for temporary data storage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rol unit's operations. Furthermore, it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which permanently stores the system's basic software or programs required for the system's boot-up proces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여러 물리적 링크를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래픽을 해당 링크들 사이에 분산시키는 기능인 집계 제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어느 링크를 통해 전송할지 결정하는 트래픽 분배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링크 집계(Multi-link Aggregation) 관련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을 통하여 통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데이터 패킷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재전송 로직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can combine multiple physical links into a single logical link. It can also function as an aggregation control unit, which distributes traffic among the links.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a traffic distribution function, determining which link a data packet will be transmitted through.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can execute a multi-link aggregation algorithm. Through this algorithm, a communication path can be selected and data packets can be distributed. Furthermore, functions such as retransmission logic can be include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기능은 싱글 링크 모드와 멀티 링크 모드를 스위칭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멀티 링크로 전환되었을 때 심리스 로밍을 지원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싱글 링크로 동작하다가 심리스 로밍이 필요할 때 멀티 링크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및 고속전송이 동시에 필요할 때, 멀티링크로 스위칭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support a switching function. This switching function may be a function that switches between single-link mode and multi-link mode. Furthermore, the structure may support seamless roaming when switching to multi-link. That is, the device may operate in single-link mode and then switch to multi-link when seamless roaming is required. Furthermore, when management and high-speed transmission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he device may switch to multi-link.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상기 이동형 중계기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50) that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peat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상기 통신부가 형성한 링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각 통신 경로의 상태, 대역폭, 지연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센서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라이다, ToF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센서를 활용하여 상기 이동형 중계기는 실시간으로 통신 자원을 요구하는 핫스팟 구역으로 이동한 후, 동적으로 통신 자원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중계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130) that checks in real time the status of the link 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monitor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or module that checks in real time the status, bandwidth, delay, etc. of each communication path. The sensor may be a lidar or a ToF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By utilizing the sensor, the mobile repeater can move to a hotspot area requiring communication resources in real time and then dynamically relay the communication resources. In addition, data can be analyzed and control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ptimiz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relay.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각 물리적 링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제어부에 이를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여러 개의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며, 상기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의 상태와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nitoring unit can monitor the status of each physical link and notify the control unit if a problem occurs. Furthermore, it can manage multiple physical network connections and monitor the status and performance of these physical network connectio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통신 중계 기능을 설정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조작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터치 스크린, 버튼, LED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160) that allows a user to set or manage the communication relay function of the mobile repeater.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touch screen, buttons, and LED indicato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에는 cctv 카메라, 렌즈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과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n imaging unit (170) for capturing images. The imaging un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CTV camera, a lens, and a housing and bracket for fixing the camera.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바퀴, 모터,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unit (140)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wheels, motors, belts, et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system fo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주파수의 특징을 기반으로 용도에 따른 다중 링크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룹핑을 통해 통신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커버리지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중계 방법은 기존에 수집한 통신장치들 간 채널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진행한 후, 다중 링크 간 그룹핑을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룹핑 기법은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활용 가능한 다중 링크들(Link 1, 2, 3... N)을 목적에 따라 관리 목적 링크(Management link, Links M)(210), 중계 목적 링크(Roaming/Relay link, Links R)(220), 고속 전송 목적 링크(High throughput link, Links H)(230)로 그룹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개선하고 데이터의 신호 도달 거리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multi-link grouping according to the purpo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Through the grouping, data transmission speed and coverage can be improved even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satisfy communication requirements. The communication relay method may perform a process of sha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ollected in the past, and then grouping the multi-links. The grouping techniq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group usable multi-links (Links 1, 2, 3... N) based on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into management purpose links (Links M) (210), roaming/relay purpose links (Links R) (220), and high throughput purpose links (Links H) (230) according to the purpos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an be improved and the signal reach distance of the data can be effectively improved during the data transmission proces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채널 상태 정보 공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 공유 단계에서는 통신 장치들이 기존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측정 및 수집한 채널 상태 정보들에 대한 공유를 진행할 수 있다.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240)는 면허대역과 비면허대역 구분 없이 네트워크 내의 각 링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각 채널의 성능, 간섭 상황, 대역폭 사용률 등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면허 대역은 3G, 4G, 5G, 셀룰러 자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비면허 대역은 Sub 1GHz/2.4 및 5GHz Wif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nnel state information sharing step. In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sharing step, communication devices may share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d and collected while performing existing data communication. A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NIC) (240) may monitor the status of each link within the network in real tim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In addition, information on performance, interference status, bandwidth utilization, etc. of each channel may be collected. The licensed band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3G, 4G, 5G, and cellular resources. In addition, the unlicensed band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Sub 1GHz/2.4GHz and 5GHz Wi-Fi.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 단계는 사용자의 통신 요구사항에 따라 다중 링크들을 선택, 관리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 단계에서 다중 링크들은 주파수의 특성을 기반으로 용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저주파수 링크는 데이터의 신호 도달 거리가 크지만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반면, 고주파수 링크는 데이터의 신호 도달 거리가 작지만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ulti-link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step. The multi-link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step may select, manage, and configure multiple links according to a user's communication requirements. In the multi-link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step, the purpose of the multiple links may be determined based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A low-frequency link may have a long data signal reach but a low data transmission rate, whereas a high-frequency link may have a short data signal reach but a high data transmission rate.

따라서 저주파수 링크는 관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고주파수 링크는 고속 전송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저주파수 링크와 상기 고주파수 링크에 속하지 않는 링크들은 중계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다중 링크들의 목적에 따른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low-frequency links can be utilized for management purposes, while high-frequency links can be utilized for high-speed transmission. Additionally, links outside of the low-frequency and high-frequency links can be utilized for relaying purpos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multiple links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ir intended purpose.

이 때, 상기 저주파수 링크는 1 GHz 주파수 이하일 수 있고, 상기 고주파 수 링크는 1 GHz 주파수 이상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 frequency link may be a frequency of 1 GHz or less, and the high frequency link may be a frequency of 1 GHz or mo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형 중계기가 네트워크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고, 각 링크의 효율성을 최적화하여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그룹핑이 수행된 링크들은 용도에 맞게 동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혼잡도가 높은 상황과 낮은 상황 모두에서 가용 주파수를 분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ynamically manage the grouped links according to their intended use, enabling them to quickly respond to network changes and optimize the efficiency of each link, thereby improving overall network performance. Furthermore, the mobile repeater can analyze available frequencies in both high and low network congestion situatio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데이터 전송(transmission)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는 설정된 다중 링크들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와 우선순위에 따라, 가장 적합한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형 중계기는 PPDU(Physical Protocol Data Unit) 송수신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장치(STA, station)로의 고속 심리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lay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transmission step. In the data transmission step, data can be transmitted using established multiple links.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type and priority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e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st appropriate link. This allows for more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and improved reliability and speed of data transmission. Additionally, the mobile relay receiving data in the data transmission step can relay the data through a Physical Protocol Data Unit (PPDU)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Furthermore, high-speed seamless service to user equipment (STA) can be suppor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STA MLD)(310)가 주변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330)을 탐색하는 단계(S310);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STA MLD)가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S320);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의 활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의 활성 여부가 활성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중계기(320)로 채널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S340); 다중 링크 선택, 관리 및 설정하는 단계(S350); 및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STA MLD)에 심리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360);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lay station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S310) in which a user device (STA MLD)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searches for a surrounding base station (AP MLD)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330); a step (S320) in which the user device (STA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AP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a step (S330) in which the base station (AP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is active; a step (S340) in which, when the base station (AP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is determined to be ac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mobile relay station (3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S350) in which multiple links are selected, managed, and set; and a step (S360) in which a seamless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device (STA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의 활성 여부가 비활성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단일 링크 관리 및 설정하는 단계(S370); 및 상기 단일 링크를 이용하여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STA MLD)에 심리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360);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S370) of managing and setting a single lin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ivity of a base station (AP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is inactive; and a step (S360) of providing a seamless service to a user device (STA MLD)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using the single link.

상기 심리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단일 링크를 이용해 통신 자원을 전달하는 과정과 다중 링크를 이용해 통신 자원을 전달하는 과정이 독립적으로 각각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the above seamless servic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a single link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multiple links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릴레이 통신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lay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과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STA MLD)가 다수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AP MLD)과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STA MLD)에 연결되는 링크들은 주파수 특성에 따라 신호 도달 거리(커버리지)와 데이터 전송 속도(스루풋)가 상이할 수 있다. 저주파수 링크는 큰 신호 도달거리 값을 갖지만,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고주파수 링크는 작은 신호 도달거리 값을 갖지만,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값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network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P MLDs)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s and user equipment (STA MLDs)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s. Link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s (AP MLDs)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s and user equipment (STA MLDs)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s may have different signal reach (coverage) and data transmission rates (throughput) depending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A low-frequency link may have a large signal reach but a low data transmission rate. On the other hand, a high-frequency link may have a small signal reach but a high data transmission rate.

이에 따라, 저주파수 링크(Links M)(430)는 관리 목적, 고주파수 링크(Links H)(410)는 고속 전송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저주파수 링크와 고주파수 링크에 속하지 않는 링크(Links R)(420)는 중계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서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형 중계기는 기존에 수집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가용 주파수 링크들을 선택, 관리 및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frequency link (Links M) (430) can be utilized for management purposes, and the high-frequency link (Links H) (410) can be utilized for high-speed transmission purposes. Additionally, the link (Links R) (420) that does not belong to the low-frequency link and the high-frequency link can be utilized for relay purposes. In order to provide seamless service in the network, the mobile repeater can select, manage, and configure available frequency links based on previously collected channel conditio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Mobile STA MLD)(440)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릴레이 중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 방향(Mobility direction)(460)에 따라 이동하며 통신 자원을 중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Mobile STA MLD)를 이용하여, 기지국(AP)의 가용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사용자 장치(STA)도 심리스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 요구사항에 따른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을 통해 가용 주파수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신호 도달거리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user equipment (Mobile STA MLD) (440) including a mobile relay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in a mobility direction (460) to perform relay relay in the network and relay communication resources. By using the user equipment (Mobile STA MLD) including the mobile relay, even a user equipment (STA) that is not located within the available frequency range of a base station (AP) can receive seamless service. In addition, through multi-link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mmunication requirements, a stable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by improving the signal reach and data transmission spe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available frequency resources are insuffici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를 이용한 장치 사이에서 교환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network packets exchanged between devices using multiple link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패킷은 다중 링크를 이용한 전자 장치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패킷은 소스(Source), 릴레이 중계를 수행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 대상(Destination)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Links M, Links R, Links H를 독립적으로 혹은 병렬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 각 Source, Relay STA, Destination 노드들은 채널 상태 정보 공유(CQI share),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Multi-link Management & setup), 다중 링크 동작(Multi-Link Operation, MLO)의 세 단계를 거쳐 고속 심리스 MLO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공유 단계에서는 통신 장치들이 기존에 측정 및 수집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가용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태 및 품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 단계는 모바일 단말의 심리스 서비스를 위해 링크를 선택, 관리 및 설정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MLO) 단계에서는 설정된 다중 링크를 사용하여 고속 심리스 MLO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network packets can be exchanged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multiple links. The network packets can be communicated between a source, a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a mobile relay station performing relay relay, and a destination. At this time, Links M, Links R, and Links H can be utilized independently or in parallel. Each of the Source, Relay STA, and Destination nodes can support high-speed seamless MLO transmission through three steps: channel state information sharing (CQI share), multi-link management and setup, and multi-link operation (MLO). In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sharing step, communication devices can share channel state and quality information of available frequency bands based on previously measured and collected information. The multi-link management and setup step can select, manage, and configure links for seamless services of mobile terminals. In the multi-link operation (MLO) step, high-speed seamless MLO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configured multi-link.

도 6은 이동형 중계기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하는 흐름도이다. Figure 6 is a flowchart for deriving the optimal position value of a mobile repe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릴레이 중계를 수행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의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가 통신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610); 수집 데이터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620); 상기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하는 단계(S630); 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al location of a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a mobile relay that performs relay relaying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S610) of collect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by the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lay; a step (S620) of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and a step (S630) of deriving an optimal location value of the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lay.

이 때, 상기 통신 환경 데이터 수집 방식으로 DB방식과 센싱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DB 방식은 이용가능한 주파수를 사전 DB로 구축하여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방식은 단말이 스스로 이용 가능한 주파수를 찾아내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B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 과정과 상기 센싱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collection method may include a database (DB) method and a sensing method. The DB method may utilize a pre-built database of available frequencies. Furthermore, the sensing method may allow the terminal to independently discover and utilize available frequencie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using the DB method and the data collection process using the sensing method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B방식은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가 공개된 지리적 위치 DB를 사용하여 이동형 중계기가 설치될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통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일 수 있다. 통신 데이터에는 통신망 종류, 주파수 대역, 통신량, 사용자 밀집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밀집도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밀집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커버하는 지역 내의 사용자 분포와 밀집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지국(AP)의 가용범위 내 사용자의 통신 자원에 대한 요구가 높은 지역에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를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B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a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a mobile relay uses a public geographic location DB to collect communication data available in an area where the mobile relay is to be installed. The communication data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type,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volume, user density, etc. In the user density analysis step, the user density can be analyzed using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communication data,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users within an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can be analyzed.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a mobile relay can be deployed in an area where there is a high demand for communication resources by users within the available range of the base station (AP).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방식은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가 센서와 같은 장비를 통해 실시간 미사용 주파수를 수집하여, 상기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가 중계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는 방식일 수 있다. 주파수 밀집도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수집한 주파수 데이터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실시간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은 전파 간섭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가 활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최적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ing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a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a mobile relay collects real-time unused frequencies through equipment such as a sensor, thereby securing a frequency band that the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lay can relay. In the frequency density analysis step, the real-time usage status of the frequency band can be monitored through the collected frequency data. The monitoring may include measuring radio interference. Additionally, it may include measuring signal strength. Through this, the frequency band that the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lay can utilize can be optimized.

또한, 수집된 데이터에 따른 가중치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의 각 요소별 중요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DB 방식과 상기 센싱 방식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복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주파수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변 신호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 중계를 수행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가 배치될 국가나 지역에서의 무선 통신 장비 규제를 확인하여 모든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장비가 운용될 수 있는지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weighting step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ights can be assigned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of the collected data. At this time, a selection of non-overlapping and usable frequencies can be mad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B method and the sensing method. Furthermore, the optimal channel can be select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signals.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regulations in the country or region where the user equipment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peater performing the relay relay will be deployed can be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equipment can be operated in all allocated frequency bands.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릴레이 중계를 수행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하는 단계에서는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도출된 최적 위치 값은 이후 이동형 중계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Relay STA)의 이동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기준 값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the step of deriving the optimal position value of a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a mobile relay station performing relay relay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optimal position value of the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lay station can be derived. The optimal position value derived through the above step can be used as a reference value in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device (Relay STA) including the mobile relay station thereaf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를 수집하는 단계(S710);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단계(S720); 다중 링크 설정(Multi-link setup)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S7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중계기에 대한 STA의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40); 상기 측위 정보에서 측위 값을 산출하는 단계(미도시);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S750);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760); 및 통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S770); 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a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collecting 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 (S710); transmitting the channel quality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unit (S720); transmitting multi-link setup information to a control unit (S730); obtaining positioning information of an STA for a mobile rep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740); calculating a positioning value from the positioning information (not shown);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positioning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S750);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when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positioning value in the comparing step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value (S760); and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S77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760)는 생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positioning value in the comparing step does not exceed the preset threshold value, the step (S760)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may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중계기는 자원을 요청한 사용자 장치(STA)에 대한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측위 방식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oA(Angl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한 수치가 기 설정한 임계치보다 클 경우, 이동형 중계기는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STA MLD) 부근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한 수치가 기 설정한 임계치보다 낮을 경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위치 이동 없이 사용자 장치(STA)에 통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repeater can determine whether to move based on positioning information about a user equipment (STA) that has requested resources. The positioning method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oA (Angle of Arrival), ToA (Time of Arrival),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f the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mobile repeater can adjust its location to be near a user equipment (STA MLD) that supports multi-link operation to provide uninterrupted service. If the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preset threshold, the mobile repeater that supports multi-link operation can allocate communication resources to the user equipment (STA) without moving its location.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의 활용 범위에 속하는 대역의 채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FIGS. 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nnels of a band within the utilization range of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형 중계기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Radio Bands), UNII(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Band 대역의 채널들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ISM band는 ITU-T에서 통신용도가 아닌 산업, 과학, 의료 분야를 위해 예약이나 사전 허가 없이 사용 가능한 공용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상기 U-NII 채널은 5.2 GHz 대역에서 대략 300 MHz의 스펙트럼을 미국 FCC에서 지칭하는 말이며, 비인가 장비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인가 장비는 인가가 필요 없는 장비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channels in the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Radio Bands (ISM) and 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UNII) Ba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SM band may be a public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without reservation or prior permission for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purposes other than telecommunication purposes by the ITU-T. The U-NII channel is a term used by the US FCC to refer to a spectrum of approximately 300 MHz in the 5.2 GHz band, which can be used by unlicensed equipment. The unlicensed equipment may refer to equipment that does not require authoriz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하여 통신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는 장치는 통신 자원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자원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장치는 모바일 기기, IoT기기, 커넥티드카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함에 따라, 통신 자원을 할당 받는 사용자 장치(STA)는 통신 규격 및 요구 사항에 맞는 적합한 통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evice that can be allocated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communication resources. The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resource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obile device, an IoT device, or a connected car. By supporting the multi-link operation, a user equipment (STA) that is allocated communication resources can select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resource that meet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requiremen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는 종래의 이동형 중계기와 비교할 때 사용자 장치(STA)의 신호 도달거리와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중계기와 비교할 경우 기지국(AP)의 가용 주파수 범위 대비 커버리지가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서비스의 끊김 횟수가 줄어드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형 중계기는 고속의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커넥티비티 산업에의 파급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데이터의 신호 도달거리와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ple link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ignal reach and data transmission speed of a user equipment (STA) compared to conventional mobile repeaters. Furthermore, compared to fixed repeater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verage is expanded relative to the available frequency range of a base station (AP). Furtherm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ervice interruptions is reduced under the same network conditions. Consequently, a mobile rep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igh-speed, seamless services, thereby exerting a ripple effect on the connectivity industry.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signal reach and data transmission spe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illustr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가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가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활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활성 여부가 활성 상태로 판단된 경우, 이동형 중계기로 채널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주파수 특성에 따라 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용도에 따라 상기 다중 링크들을 그룹핑하는 다중 링크 관리 및 설정 단계; 및
상기 다중 링크를 이용해 통신 자원을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중계기는
통신 자원을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와 다중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 및 통신 자원 중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가 형성한 링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By using a mobile repeater,
A step in which a user device supporting multiple links searches for a base station supporting multiple links;
A step in which a user device supporting the multi-link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 base station supporting the multi-link;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ase station supporting the above multi-link is active;
A step of shar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with a mobile repeater when the activity of a base station supporting the above multi-link is determined to be active;
A multi-link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step for determining the purpose based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grouping the multi-links based on the purpose; and
A step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resources to a user device supporting multiple links using the above multiple links; including;
The above mobile repeater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forming multiple links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devic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mobile repeater and relay of communication resources;
A monitoring unit that checks the status of the link formed by the above communication unit in real time; and
A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bove-mentioned mobile repeater;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인,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In paragraph 6,
The above link includes both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특성에 따라 용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1 GHz 미만의 저주파수 링크는 관리 용도, 1 GHz 이상의 고주파수 링크는 고속 전송 용도로 결정하는 것인,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In paragraph 6,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above frequency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Low frequency links below 1 GHz are determined for management purposes, and high frequency links above 1 GHz are determined for high-speed transmission purposes.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단계;
이동형 중계기가 사용자 장치의 측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측위 정보에서 측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위 값에서 기 설정된 최적 위치 값을 뺀 절댓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Step of collect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A step of transmitting the above channel status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A step in which a mobile repeater receives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A step of calculating a positioning value from the above positioning information;
A step of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above positioning value with the preset threshold value; and
Including a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when the absolut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optimal position value from the positioning value in the step of comparing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value;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중계기가 통신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 환경 데이터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최적 위치 값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최적 위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환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선택하고 타 신호의 간섭 량이 최저인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In paragraph 9,
A step in which the above mobile repeater collects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A step of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the above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and
A step of deriving an optimal position value of the mobile repeater; including;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setting the above optimal position value;
The step of assigning the above weights is:
It includes selecting an available frequency based on the above communication environment data and selecting a channel with the lowest amount of interference from other signals.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은,
통신 자원을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와 다중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이동형 중계기의 동작 및 통신 자원 중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가 형성한 링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이동형 중계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인,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이동형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In paragraph 9,
The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the above mobile repeater is as follows: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forming multiple links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devic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mobile repeater and relay of communication resources;
A monitoring unit that checks the status of the link formed by the above communication unit in real time; and
A mobile repeater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repeater;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KR1020230173369A 2023-12-04 2023-12-04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Active KR102858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369A KR102858298B1 (en) 2023-12-04 2023-12-04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369A KR102858298B1 (en) 2023-12-04 2023-12-04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84572A KR20250084572A (en) 2025-06-11
KR102858298B1 true KR102858298B1 (en) 2025-09-10

Family

ID=9601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3369A Active KR102858298B1 (en) 2023-12-04 2023-12-04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5829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64B1 (en)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multiple link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3012798A (en) * 2011-06-28 2013-01-17 Mega Chips Corp Indoor/outdoor shared radio network system and indoor/outdoor shared radio relay equipment
JP2014204392A (en) * 2013-04-09 2014-10-2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Radio re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64B1 (en)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multiple link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3012798A (en) * 2011-06-28 2013-01-17 Mega Chips Corp Indoor/outdoor shared radio network system and indoor/outdoor shared radio relay equipment
JP2014204392A (en) * 2013-04-09 2014-10-2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Radio re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84572A (en) 202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5G next generation VANETs using SDN and fog computing framework
US10568139B2 (en)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3903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gile wireless access network
EP3149993B1 (en) Devices and method for retrieving and utilizing neighboring wlan information for lte laa operation
CN102769912B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 well as network equipment
KR20160030523A (en) Small cell network architecture for servicing multiple network operators
EP3459305B1 (en) Network node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KR201801353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hannel wlan system
KR20160066021A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473688B (en) Efficient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rooq et al. Understanding 5G wireless cellular network: challenges, emerging research directions and enabling technologies
Mesbahi et al. Cluster-based architecture capable for device-to-device millimeter-wave communications in 5G cellular networks
EP43193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858298B1 (en) Mobile repeater supporting multi-link operation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thereof
CN102958060A (en) Device and method for triggering wireless resource reconfiguration
Wang et al. Millimeter-wave mobile communications
JP2022523133A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EP4075878A1 (en) Determining coverage access
Akkari et al. Coordinated tethering over cellular networks: Handover scenarios and signaling
Ahmed et al. Scalable internet of things network design using multi-hop IEEE 802.11 ah
US12075368B2 (en) Controlling radio frequency emissions in cellular system
Chen Dynamic spectrum access and cognitive radio for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s
Mubarak et al. Tightly coupled LTE/Wi-Fi/mmWave HetNet using 2C/U plane splitting for 5G networks
Al-Haddad et al. Clustering over TV white space in dense wireless areas: Dynamic hotspot selection and resource allocation
WO202324145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