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32411B1 -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dcy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dcy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r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32411B1 KR102832411B1 KR1020230027203A KR20230027203A KR102832411B1 KR 102832411 B1 KR102832411 B1 KR 102832411B1 KR 1020230027203 A KR1020230027203 A KR 1020230027203A KR 20230027203 A KR20230027203 A KR 20230027203A KR 102832411 B1 KR102832411 B1 KR 102832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cell
- distribution
- work
- pro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분배 작업 정보 및 상기 상품 분배 작업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분류장치로 셀분배 정보를 전송하는 물류관리서버; 상품 투입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셀감지장치; 상기 물류관리서버에서 전송한 상기 셀분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셀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셀의 분배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분류장치; 및 주문 정보 조회, 상품 정보 조회, 상품 분배 작업 조회 및 분배 작업 시작 요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작업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and method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including: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which receives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and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transmits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 cell detection device which detects whether a product has been put in and transmit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a digital sorting device which receives and displays th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determines whether distribution work of a cell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a work terminal which performs at least one of order information inquiry, product information inquiry, product distribution work inquiry, and distribution work start reques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탈 피킹(Total Picking)한 상품을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 및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분배 공간에 설치된 디지털 분류 장치로 분배 정보를 전달하면, 작업자가 디지털 분류 장치에 표시된 분배 작업 정보를 확인하여 상품을 분배하는 물류 분배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작업자가 컨테이너에 상품을 투입하면 투입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a worker checks the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and distributes the products by generating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scheduling information based on order information and shipping information for products picked in total, and transmitting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to a digital sorting devic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spac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and method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whether products have been put into a container when the worker puts them into the container.
쇼핑몰 유통 환경이 급변하고, 소비자 요구(Needs)가 다양화되어 주문 상품의 다품종 소량화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물류 센터 효율화를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As the shopping mall distribut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nd consumer demands are diversifying, the trend toward small quantities of a variety of ordered products is increasing, and the need for logistics center efficiency is increasing.
특히, 주문하는 상품 유형의 다양화되고, 합포장이 증가하면서, 합포장 작업을 지원하고, 다품종 소량화를 위한 출고처별 상품 배분 업무의 효율성이 요구되고 있다. In particular, as the types of products ordered are diversifying and combined packaging is increasing, there is a need for support for combined packaging work and efficient distribution of products by shipping location for small quantities of a variety of products.
물류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지원하기 위한 물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품의 피킹(Picking) 작업을 위한DPS(Digital Picking System)와 상품의 분배 작업을 위한 DAS(Digital Assorting System)를 적용되고 있으나, 피킹 또는 분배할 상품 수량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주로 제공하는 기능에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표시 장치가 물류 작업 공간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상품 종류 및 출고 정보가 변경되어 상품 분배 위치가 변경되거나 확장될 때 빠르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분배 작업을 수행하고, 상품 투입 완료에 대한 입력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입력 오류나 실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검수 작업이 필요하다.As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logistics work, a DPS (Digital Picking System) for picking work and a DAS (Digital Assorting System) for distributing work are applied, but they are mainly limited to the function of providing a display device that indicates the quantity of products to be picked or distribu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display devices cannot be quickly applied when they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logistics work space or when the product distribution location is changed or expanded due to changes in the product type and shipping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workers perform distribution work and input work on the completion of product input, input errors or mistakes by workers may occur, and therefore additional inspection work is required for thi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탈 피킹(Total Picking)한 상품을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 및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출고처별로 자동 할당하는 물류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지원 및 물류 분배 공간의 랙(Rack) 또는 선반에 탈부착 가능하여 이동 설치가 가능하고, 물류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상품 분배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분류장치를 통해 작업자가 디지털분류장치에 표시된 분배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을 분배하고, 상품 분배 여부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물류 분배의 효율성을 높이는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hat automatically allocates products by shipment location by generating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scheduling information based on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for products that have been total picked, and a digital sorting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 rack or shelf in a logistics distribution space so as to be movable and installed, and displays product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hereby allowing a worker to distribute products based o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and automatically recognizing whether or not products have been distribu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ogistics distribution, and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and method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및 방법은,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분배 작업 정보 및 상기 상품 분배 작업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분류장치로 셀분배 정보를 전송하는 물류관리서버; 상품 투입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셀감지장치; 상기 물류관리서버에서 전송한 상기 셀분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셀의 분배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분류장치; 및 주문 정보 조회, 상품 정보 조회, 상품 분배 작업 조회 및 분배 작업 시작 요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작업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and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transmits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 cell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whether a product has been put in and transmit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a digital sorting device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determines whether distribution work of a cell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result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a work terminal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order information inquiry, product information inquiry, product distribution work inquiry, and distribution work start request.
또한,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과 대응되고, 상기 셀은 상기 셀감지장치 및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셀은 셀 식별코드로 구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cell, the cell includes the cell detection device and a container, and the cell can be distinguished by a cell identification code.
또한,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는,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분류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부; 상기 셀분배 정보를 정해진 화면 템플릿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및 각 셀의 상품 투입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셀의 상품 분배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digital sor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interface capable of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 touch unit that detects a user's input through a touch interface; a display unit that configures th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as a set screen template and outputs i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of the cell is complete based on product input detection information of each cell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정해진 화면 템플릿은, 소정 개수의 행과 소정 개수의 열을 포함하는 표 형태이고, 상기 표의 각 칸은 상기 셀과 대응되어 상기 셀에 분배된 주문 번호, 출고 정보 및 컨테이너에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termined screen template is in the form of a table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ow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columns, and each cell of the table corresponds to the cell and can display at least one of the order number distributed to the cell, the shipping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placed in the container.
또한, 상기 디지털분류장치의 표시부는, 작업자, 주문 정보, 출고 정보, 상품 종류 및 상품 분배 작업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셀의 표시 정보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 can display cell display inform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the worker, order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product type, and product distribution operation status.
또한, 상기 셀감지장치는, 상기 셀에 배치된 상기 컨테이너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 detection device can detect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container placed in the cell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또한,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및 상기 셀감지장치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설치되는 구조물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또한, 상기 물류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복수개의 상기 셀감지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표시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정의된 연동 규격에 따라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연동부;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상기 셀감지장치 및 상기 작업정보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 정보를 등록, 설정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부;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을 스케줄링하고, 작업자에 할당하는 작업부; 및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작업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 분배 작업 진행 정보, 통계 데이터, 작업자 정보, 분배 작업 스케줄 정보 및 장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조회/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linkage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at least one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s, a plurality of the cell detection devices, and at least one work display device, and collects and stores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according to defined linkage specifications; a device unit that registers, sets, and monitors devic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s, the cell detection devices, and 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s; a work unit that schedules product distribution work based on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and assigns it to a worker; and a service provider unit that provides a query/management func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igned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distribution work progress information, statistical data, worker information, distribution work schedule information, and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the work terminal.
또한, 상기 장치부는, 장치 종류, 장치ID, 장치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등록/관리하고, 상기 디지털분류장치와 상기 셀감지장치를 매핑하여, 매핑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작업표시장치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설정부; 및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상기 셀감지장치 및 상기 작업정보표시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unit may include a setting unit that registers/manages at least one of a device type, a device ID, and device connection information, maps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stores/manages the mapping information, and configures a screen display of the task display device; and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the cell detection device, and the task information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작업부는, 작업자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작업자관리부; 작업자 정보,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에 따라 상품 분배 작업 생성, 스케줄링 및 셀분배 정보를 생성하는 분배부; 상기 상품 분배 작업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작업의 상태에 따라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처리부; 실시간 분배 작업 현황 및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부; 상품 분배 작업이 완료된 셀에 대해 송장 정보를 생성하는 송장생성부; 및 상기 상품 분배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작업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unit may include a work management unit that registers/manages work information; a distribution unit that generates product distribution work, scheduling, and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based on work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a work processing unit that manages the status of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performs the next work based on the status of the work; a statistics unit that generates real-time distribution work status and statistical data; an invoic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voice information for cells where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has been completed; and a work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status of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또한, 물류 효율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물류 효율화 방법에 있어서, 물류관리서버에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류관리서버에서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 생성 및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물류관리서버가 디지털분류장치로 셀에 할당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분류장치가 수신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물류관리서버가 작업단말기가 요청한 상품에 대해 분배 작업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분류장치가 상기 분배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셀감지장치가 상품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셀감지장치가 셀에 대한 상품 투입 완료 정보를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관리서버가 분배 작업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logistics efficiency method implemented by a logistics efficiency system, the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from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 step of creating and scheduling a product distribution task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 step of transmitting, by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assigned to a cell to a digital sorting device; a step of displaying, by the digital sorting device,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on a screen; a step of searching, by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distribution task information for a product requested by a work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a step of receiving, by the digital sorting device, the distribution task information and displaying it; a step of detecting, by a cell detection device, product input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a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ell detection device, product input completion information for a cell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a step of updating, by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distribution task status information.
상품 종류, 상품수, 출고처, 작업자 수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 작업 정보를 생성하고, 디지털분류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By automatically generating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type, number of products, shipping location, and number of workers and displaying it on a digital sorting devic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무선 통신 및 탈부착이 가능한 디지털분류장치를 통해 분배 작업 공간의 이동, 상품 분배 위치 변경 및 확장 시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achable digital sorting devices allow for rapid adaptation to movement of distribution workspaces, changes in product distribution locations, and expansion.
작업자의 컨테이너에 상품 투입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입력 오류나 실수를 줄일 수 있다.By automatically detecting whether a worker has put goods into a container, work time can be shortened and input errors or mistakes by workers can be reduced.
실시간 작업 현황 및 작업 통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 공정률 확인 및 실적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다.By providing real-time work status and work statistics information, work progress rate confirm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can be autom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디지털분류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디지털분류장치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디지털분류장치 및 셀감지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물류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sorting device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sorting device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sorting device and a cell detection device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regressive invention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deleting, etc.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써 이는 발명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uch,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ventor's intention or custom, and therefore, their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10)은 디지털분류장치(100), 셀감지장치(200), 물류관리서버(300), 작업정보표시장치(400), 작업단말기(500) 및 관리자단말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 장치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10)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a cell detection device (200),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a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a work terminal (5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600), and each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ZigBee, Bluetooth, WIFI, RFID, NFC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nline network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d public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ortable Internet, and may mean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TCP/IP protocol and its upper layer, such a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and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cluding ZigBee, Bluetooth, WIFI, RFID, NFC, etc.
다만,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comprehensively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various forms.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서버는 일종의 웹 서비스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빅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하는 서버로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웹 서비스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빅데이터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서버로 구성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버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server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as a server that plays at least one of the roles of a web service server, a database server, a big data server, and an application server, for example, it can display a processed result on a web page through an online network or receive necessary input data through a web page, and here, the web pag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software for performing specific tasks such as web applications in addition to simple text, images, sounds, and videos, and can also be constructed to provide an interface with applications installed on desktops, laptops, smartphones, tablet PCs, PDAs, etc. In addition, the server can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a web service server, a database server, a big data server, and an application server in one physical server, or it can be configured and operated by being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physically separated serv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ype of the server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디지털분류장치(100)는 출고될 상품을 출고처 별로 분배하는 분배 공간에 설치되는 장치로 물류관리서버(300)와 통신하여, 분배할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작업자의 상품 분배에 따라 분배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is a devic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space that distributes products to be shipped by shipping location. It communicates with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products to be distributed, and can transmit distribution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orker's distribution of products.
작업장에는 피킹(Picking)한 상품을 출고처 별로 배분하여 담기 위한 복수개의 컨테이너가 존재할 수 있다.There may be multiple containers in a work area to distribute picked products to each shipping location.
또한, 작업장에는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선반, 랙(Rack) 등의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는데 구조물에 수용되어 있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공간을 셀이라고 명명한다.Additionally, structures such as shelves and racks that can accommodate multiple containers may be placed in the workplace, and the space that contains on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structure is called a cell.
이하, 구조물을 랙(Rack)으로 기재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is described as a rack.
이때, 하나의 셀은 하나의 컨테이너와 셀감지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셀은 셀 식별코드로 구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cell may include one container and a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each cell may be distinguished by a cell identification code.
컨테이너는 상품을 담을 수 있는 택배 박스, 바구니, 수납함 등 일수 있다.A container can be a shipping box, basket, storage box, etc. that can hold goods.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컨테이너로 제공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of containers.
디지털분류장치(100)는 구조물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셀에 대응하여, 각 셀의 출고처 정보, 주문번호, 해당 셀에 분배되어야 하는 상품 개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be attached to a structure and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cells, and information on the shipping location of each cell, order number, and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distributed to the corresponding cell can be displayed.
각 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이 분배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본인이 분배할 상품을 작업단말기(500)를 통해 스캔하여 분배 작업 시작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한 물류관리서버(300)는 디지털분류장치(100)로 각 셀에 분배되어야 하는 상품 개수를 표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Since at least one product can be distributed to each cell, the worker scan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through the work terminal (500) to request the start of the distribution work, and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hat receives the request can instruct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o display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distributed to each cell.
따라서, 작업자는 디지털분류장치(100)에 표시된 숫자를 확인하여 해당 상품을 복수개의 셀에 분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orker can check the number displayed 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and distribute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multiple cells.
셀감지장치(200)는 랙(Rack)에 셀에 설치될 수 있고, 각 셀마다 한 개의 셀감지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be installed in a cell in a rack, and on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be installed for each cell.
셀감지장치(200)는 컨테이너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상품이 담겼는지를 인식하여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한다.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measures the change in weight of the container to recognize whether it contains a produc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이를 위해, 셀감지장치(200)는 디지털분류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보다 구체적으로, 셀감지장치(200)는 디지털분류장치(100)로부터 상품 투입 감지 요청을 받으면, 컨테이너의 무게 변화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품 투입 감지 정보를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receives a product insertion detection request from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it periodically measures the change in weight of the container and transmits product insertion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이때, 상품 투입 감지 정보는 감지 상태(정상, 이상), 감지 이전 무게, 감지된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product insertion det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on status (normal, abnormal), weight before detection, and detected weight.
디지털분류장치(100)는 셀감지장치(200)로부터 상품 투입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의 분배되어야 하는 상품 개수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receives product inpu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changes and displays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distributed on the display unit.
이로써, 작업자는 해당 셀에 상품을 넣은 후 분배 작업 완료에 대한 별도의 입력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 시간의 단축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is allows workers to reduce work time and increase efficiency by eliminating the need for separate input work to complete distribution work after placing products in the corresponding cells.
물류관리서버(300)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출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고 정보에 따라 상품을 복수개의 셀에 분배하고, 디지털분류장치(100)에게 작업 내역을 전송하며, 디지털분류장치(100)로부터 분배 작업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of products ordered by a customer, distributes products to multiple cells accor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transmits work details to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and receives distribution work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o store the work information.
또한, 작업정보표시장치(400)로 주기적 또는 실시간 분배 작업 상태를 전송하여 작업정보표시장치(400)가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work status is transmitted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to 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so that 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can display the information received.
또한, 작업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품 정보, 작업자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 내역, 분배 작업 진행 상태 등을 제공하고, 작업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작업자에게 할당된 상품 분배 작업을 표시하도록 디지털분류장치(100)에 지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be instructed to provide product information, distribution work details assigned to workers, distribution work progress status, etc. at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work terminal (500), and to display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assigned to workers at the request of the work terminal (500).
작업정보표시장치(400)는 물류관리서버(300)로부터 분배 작업 상태에 대한 실시간 작업 상태/현황 및 통계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can receive real-time work status/status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work status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작업정보표시장치(400)는 물류관리서버(300)로부터 작업 공정률 및 작업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신한 작업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work progress rate and work status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a memory that stores a program and data for control,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received work status information on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예를 들어, 작업정보표시장치(400)는 PC, 노트북, 데스크톱에 LCD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may be configured with an LCD display connected to a PC, laptop, or desktop.
이때, 연결된 PC, 노트북, 데스크톱 등의 제어 장치는 LCD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작업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작업정보표시장치(40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such as a connected PC, laptop, or desktop may support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work statu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다른 예로, 작업정보표시장치(400)는 LCD 디스플레이 하드웨어 장치 내부에 CPU/MCU, 메모리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may be a device including a CPU/MCU, memory, and network interface inside the LCD display hardware device.
작업단말기(5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자가 분배 작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The work terminal (500) can retriev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worker to perform distribution work through the installed application.
이를 위해, 작업단말기(500)는 스캐너 기능을 구비한 PDA 형태일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work terminal (500) may be in the form of a PDA equipped with a scanner function.
또한, 무선망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a network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enabl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단말기(500)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자는 작업자 정보 전송, 상품 정보 확인, 작업자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 조회, 분배 작업 시작 요청, 분배 작업 상태 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work terminal (500), the worker can transmit worker information, check product information, check distribution work assigned to the worker, request distribution work start, check distribution work status, etc.
또한, 작업단말기(500)는 스캐너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QR Code 등을 스캔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물류관리서버(300)에게 상품 분배 작업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 terminal (500) may be equipped with a scanner function, through which a barcode, QR code, etc. attached to a product can be scanned to obtain product information or request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o start product distribution work.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단말기(500)를 통해 자신의 식별코드를 입력하거나 바코드 등 작업자 식별스캔하면, 작업단말기(500)는 스캔한 정보를 물류관리서버(300)로 전달하고, 물류관리서버(300)는 작업자 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를 작업단말기(500)로 전달한다.For example, when a worker enters his/her identification code or scans a barcode or other worker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work terminal (500), the work terminal (500) transmits the scanned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verifies the work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istribution task information assigned to the worker to the work terminal (500).
이때, 작업자는 작업단말기(500)에 표시된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를 확인하고, 분배 작업 시작을 요청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orker can check the assigned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work terminal (500) and request the start of the distribution work.
여기서, 분배 작업 시작을 요청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 즉, 특정 상품을 특정 셀에 위치한 컨테이너에 분배할 수 있도록 디지털분류장치(100) 에 상품이 배분되어야 하는 셀과 상품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requesting the start of a distribution task means indicating the number of cells and products to which products should be distributed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so that the distribution task assigned to the worker can be distributed to a container located in a specific cell.
관리자단말기(600)는 데스크탑,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웹 기반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물류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600)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desktop, tablet, 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smartphone, wearable smart device, etc., and can execut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web-based or separate software/application, etc.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6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분류장치(100), 셀감지장치(200) 및 작업정보표시장치(400)의 장치 설정 및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dministrator can set up the device setting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6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물류 관리 전반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셀을 정의하여 각 셀의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하나의 셀에 셀감지장치(200)를 할당하며, 디지털분류장치(100)에 복수개의 셀을 매핑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can monitor the progress of overall logistics management work in real tim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anager terminal (600), define cells, assign an identification code to each cell, assign a cell detection device (200) to one cell, and perform tasks of mapping multiple cells to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6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자 정보를 등록하고, 주문받은 출고 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dministrator can register worker information and upload ordered shipment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한편,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600)를 통해 작업장에 설치된 모든 장치들을 모니터링하고, 상태를 확인하여 오류 및 장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ager can monitor all devices installed in the workplac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600), check the status, and identify errors and failur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디지털분류장치(100)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분류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디지털분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 통신모듈, 메모리 및 MCU, CPU 등의 제어부를 구비한 하드웨어 장치와 메모리 상의 저장되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may be composed of a hardware device having a display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and a control unit such as an MCU or CPU, and a software program stored and operated in the memory.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module can support a touch interface.
디지털분류장치(100)는 통신부(110), 터치부(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 (140)를 포함할 수 있다.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touch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40).
통신부(11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network interface capable of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이때, 통신부(110)는 사전에 정의된 연동 규격을 적용하여 셀감지장치(200) 및 물류관리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by applying predefined linkage standards.
예를 들어, 통신 방법은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Zigbee, or RFID.
다른 예로, 상기 통신 연결은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유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be wir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However, without limitation to this,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can be derived by ordinary technicians can be applied.
한편, 작업 공간에 설치된 랙(Rack)의 특정 셀에 셀감지장치(200)와 디지털분류장치(100)가 배치된 후, 디지털분류장치(100) 및 셀감지장치(200)는 물류관리서버(300)에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are placed in a specific cell of a rack installed in a work space,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물류관리서버(300)는 설정된 디지털분류장치(100)와 셀감지장치(200)의 통신 연결 정보를 각각 전달하고,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분류장치(100)와 셀감지장치(200)간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t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ell detection device (2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통신부(110)는 디지털분류장치(100) 및 셀감지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가 요청한 데이터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data from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ransmits data requested by the control unit (130)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터치부(120)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이벤트 내용을 분석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The touch unit (120) detects a touch event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ven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30).
예를 들어,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은 LCD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is configured as an LCD touch panel, and can receive and process user input through a touch interface.
터치 인터페이스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 구성에 따라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좌표)를 찾아 화면 구성과 대응하는 이벤트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touch interface can find the location (coordinates) where a touch event occurs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transmit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즉, 현재 화면에서 터치가 발생한 곳의 위치에 대응하는 UI요소를 확인하여, UI에 설정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That is, the UI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occurred on the current screen is checked and the event processing set in the UI is performed.
제어부(130)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지털분류장치(100)의 동작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performs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 on the screen.
예를 들어, 통신부(110)가 물류관리서버(100)로부터 각 셀에 표시할 주문 번호 및 출고처 정보, 각 셀에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정보(상품 무게, 상품 수량, 상품 ID 등)를 수신하면, 주문 번호, 출고처 정보,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수량을 표시부(14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order number and shipp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each cell and product information (product weight, product quantity, product ID, etc.) to be input into each cell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100), the order number, shipping information, and product quantity to be inpu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또한, 통신부(110)가 셀감지장치(200)로부터 상품 투입 감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품 투입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셀에 상품 투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물류관리서버(300)로 해당 정보의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product insertion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it can analyze the product insertion detection information, determine whether product insertion into the cell is complete, and instruct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상품 투입 감지 정보는 감지 상태(정상, 이상), 감지 이전 무게, 감지된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Product insertion det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on status (normal, abnormal), weight before detection, and detected weight.
만약 상품 투입 감지 정보의 감지 상태가 정상이면, 감지된 무게를 통해 투입된 상품 개수를 계산하여 셀에 상품 투입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the detection status of product inser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normal, the number of products inserted can be calculated using the detected weight to determine whether product insertion into the cell is complete.
만약, 상품 투입 감지 정보의 감지 상태가 이상이면 사전에 정해진 방법으로 표시부(14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detection status of product input detection information is abnormal,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in a pre-determined manner.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방법은 셀의 색깔을 정해진 색으로 표시하거나, 글자를 출력하거나, 해당 셀의 화면을 깜빡거리도록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a predefined method could be to display the color of a cell in a predetermined color, print text, or set the screen of that cell to blink.
한편, 제어부(130)는 터치부(120)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can receive an event from the touch unit (120) and perform an action corresponding thereto.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품 수량을 조정하거나, 상품 투입 완료 처리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 시 통신부(110)를 통해 물류관리서버(300)로 해당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worker adjusts the quantity of goods or a touch event occurs for the completion of goods input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이때, 디지털분류장치(100)의 LCD화면에서 상품 수량이 표시된 영역에 대해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CD screen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be set to detect a touch event for an area where the product quantity is displayed.
한편, 디지털분류장치(100)는 셀감지장치(200)로부터 상품 투입 여부 수신과 더불어 작업자의 화면 터치를 통해 상품 투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a product has been put in through the worker's touch on the screen in addition to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a product has been put in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즉, 셀감지장치(200) 없이도 작업자의 입력을 통해 상품 투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 function that can recognize whether a product has been inserted can be provided through input from a worker even without a cell detection device (200).
또한, 셀감지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상품 투입 정보와 작업자의 화면 터치를 통해 발생한 터치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상품 투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mparing the product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with the touch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orker touching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nal product has been input.
이로써,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셀감지장치(2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고, 셀감지장치(200)에서 전송한 정보와 작업자 터치 입력 정보 비교를 통해 상품 분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10) can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using a cell detection device (200)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of product distribution can be increas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with the worker's touch input information.
표시부(140)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을 구성하고, 제어부(130)의 제어 지시에 따라 화면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constitutes the scree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an display dat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130).
도 3을 참조하여, 작업 상태에 따른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 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work status is described.
초기 화면은 셀식별코드(셀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할당된 작업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의 1번 참조)The initial screen may display a cell identification code (cell number). This means that there is no assigned task. (See No. 1 in Figure 3)
디지털분류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는 셀의 개수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표시되는 셀의 개수가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또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셀의 최대 개수는 사전에 정해지고,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최대 개수 이내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셀의 개수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the maximum number of cell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number of cell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set within the maximum number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ettings.
따라서, 랙(Rack)이 수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셀의 개수를 조정하고, 이를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umber of cell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that the rack can accommodate, and this can be reflected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예를 들어,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셀은 기본적으로 2개의 행과 n개의 열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cell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may basically be composed of two rows and n columns.
이는, 디지털분류장치(100)가 랙(Rack)의 선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의 셀과 디지털분류장치(100)에 표시되는 셀 정보를 직관적으로 매칭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o be placed between the shelves of the rack so that the upper/lower cells and the cel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be intuitively matched and confirmed.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디지털분류장치(100)에 표시되는 셀은 랙(Rack)의 구조에 따라 m*n(m은 행, n은 열 개수) 의 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cells display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may be displayed in a table format of m*n (m is the number of rows, n is the number of column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rack.
관리자단말기(600)의 작업 지시에 따라 작업이 시작되면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화면의 각 셀은 할당된 주문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2번 참조)When work is started according to the work instructions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each cell of the scree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can display the assigned order number. (See No. 2 of FIG. 3)
이후, 작업자가 본인에게 할당된 작업을 확인하고, 작업단말기(500)를 통해 배분할 상품을 스캔하면, 물류관리서버(300)는 각 셀에 할당되어야 하는 상품 개수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디지털분류장치(100)는 화면에 각 셀에 대응하는 상품 개수를 표시한다. (도 3의 3번 참조)Afterwards, when the worker checks the work assigned to him/her and scan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through the work terminal (500),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assigned to each cell, and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hat receives this displays the number of products corresponding to each cell on the screen. (Refer to No. 3 of FIG. 3)
상품 분배 작업은 상품별로 작업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Product distribution tasks can be assigned to workers on a product-by-product basis.
즉, 하나의 상품 분배 작업은 동일한 상품을 대해 여러 개의 셀에 분배하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That is, one product distribution task can mean distributing the same product to multiple cells.
작업자가 상품을 투입하면, 셀감지장치(200)가 상품 투입을 인지하여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한다.When a worker inserts a product,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recognizes the product inser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이를 수신한 디지털분류장치(100)는 다음 작업자가 넣을 상품의 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5번 참조)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hat receives this can display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placed by the next worker on the screen. (See No. 5 of Fig. 3)
이때, 작업자의 분배 작업 대상 셀의 구분을 위해 셀이 다른 색깔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cells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o distinguish the target cells for the worker's distribution work.
예를 들어, 첫번째 작업자의 작업 셀은 녹색으로 표시되고, 두번째 작업자의 작업 셀은 주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worker's work cells might be colored green, the second worker's work cells might be colored orange, etc.
따라서, 여러 명의 작업자가 각기 다른 상품(상품 종류)을 동시에 분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Therefore, multiple workers can distribute different products (types of products) simultaneously, which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한편, 하나의 분배 작업에서 작업의 마지막 셀임을 작업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4번 참조)Meanwhile, in a distribution task, it can be indicated to the worker that it is the last cell of the task. (See No. 4 in Fig. 3)
예를 들어, 마지막 셀인 경우 디지털표시장치(100) 상에서 해당 셀이 깜빡 거릴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the last cell, the cell may blink on the digital display device (100).
다른 예로, 특정 색깔로 해당 셀이 표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cell may be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that can be deriv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해당 셀에 모든 주문된 모든 상품이 투입되면, 작업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6번 참조)When all ordered items are placed in the cell, the work can be marked as complete. (See No. 6 in Figure 3)
예를 들어, 작업이 완료된 셀은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주문 번호 및 출고 정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cells that have completed work might be highlighted in red, and information about the order number and shipping information might be displayed.
또한, 완료를 의미하는 문구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hrase or symbol indicating completion may be displayed.
또한, 주문된 총 상품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otal quantity of goods ordered may be displayed.
디지털분류장치(100)는 작업이 완료된 셀 정보를 물류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작업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cells in which work has been complet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o convey the work status.
한편, 위에서 설명한 디지털분류장치(100)의 통신부(110), 터치부(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의 각 기능들은 작업자 단말기(500) 상에 구현되어 동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uch unit (120), control unit (130), and display unit (140)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nd operated on the worker terminal (500).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단말기(500)는 PDA, 휴대전화, 태블릿,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일 수 있고, 디지털분류장치(100)의 상기 구성 요소들은 작업자 단말기(500)에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 형태로 구성되어 동작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orker terminal (5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PDA, a mobile phone, a tablet, or a laptop, and the above components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and opera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software) on the worker terminal (500).
작업자 단말기(500)상에 설치되어 디지털분류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은 랙(Rack)에 설치되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An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on a worker terminal (500) and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replace the function of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installed in a rack.
즉, 작업자는 랙(Rack)에 설치되는 디지털분류장치(100) 대신 작업자 단말기(500)를 사용하여, 각 셀에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정보를 확인하여 분배 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셀에 상품 투입 작업을 완료하면, 작업자 단말기(100)에 디지털분류장치(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된 화면을 통해 해당 셀을 터치하여 상품 투입 완료를 전달할 수 있다.That is, instead of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installed on a rack, a worker uses a worker terminal (500) to check product information to be input into each cell and perform distribution work, and when the product input work into the corresponding cell is completed, the worker terminal (100) can touch the corresponding cell through a screen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o notify completion of product input.
셀감지장치(200)는 랙(Rack)의 각 셀에 설치되어 해당 셀에 수용된 컨터이너에 상품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A cell detection device (200) is installed in each cell of the rack to detect whether a product has been placed in a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cell and transmit the result to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셀감지장치(200)는 무게의 변화를 인식하는 센서 모듈, 통신모듈, 메모리 및 MCU, CPU 등의 제어부를 구비한 하드웨어 장치와 메모리 상의 저장되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may be composed of a hardware device having a sensor module that recognizes changes in weight, a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and a control unit such as an MCU or CPU, and a software program that is stored and operated in the memor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디지털분류장치(100) 및 셀감지장치(200)의 구성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sorting device (100) and a cell detection device (200)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셀감지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셀감지장치(200)는 랙(700)의 선반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선반에서 컨테이너가 수용되는 각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be installed on a shelf of a rack (700) and can be installed at each location where a container is received on the shelf.
이때, 셀감지장치(200)는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랙(70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be detached or installed built into the rack (700).
한편, 셀감지장치(200)는 각각의 셀과 대응될 수 있고, 복수개의 셀감지장치(200)는 하나의 디지털분류장치(100)와 대응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correspond to each cell, and a plurality of cell detection devices (200) can correspond to on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셀감지장치(200)는 구동 시 물류관리서버(300)와 통신 연결하여, 연결할 디지털분류장치(100)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is in operation, it can communicate with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and receive information on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to be connected.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셀감지장치(200)는 매핑된 디지털분류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pped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이후, 각 셀에 컨테이너가 설치되고, 분배 작업이 시작되면, 셀감지장치(200)는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 정보를 디지털분류장치(100)에게 전송한다.Afterwards, when a container is installed in each cell and distribution work begins,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detects a change in weight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이는 작업자가 상품을 컨테이너에 투입할 때 마다 디지털분류장치(100)를 터치하거나, 입력 버튼을 누르는 등의 상품 투입 완료 여부를 일일이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is can improv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check whether product input is complete by touching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or pressing an input button every time a worker inputs a product into a container.
셀감지장치(200)는 상품 투입을 감지하기 위해 디지털분류장치(100)로부터 감지해야 하는 무게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할 수 있다.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receive and detect weight information to be detected from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o detect product input.
또한, 감지해야 되는 무게 이외의 무게 변화를 감지한 경우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이를 전달하고, 디지털분류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a change in weight other than the weight to be detected is detected, this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and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displa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to inform the worker.
또한, 감지된 무게 변화를 통해 상품의 개수를 계산하여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umber of products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detected weight change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에서 물류관리서버(300)의 구성도이다.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물류관리서버(300)는 연동부(310), 장치부(320), 작업부(330), 서비스제공부(340) 및 DB(3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equipped with a linkage unit (310), a device unit (320), a work unit (330), a service provision unit (340), and a DB (350).
연동부(310)는 디지털분류장치(100), 셀감지장치(200) 및 작업정보표시장치(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연동부(311)와 출고관리정보를 수집하는 출고정보연동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age unit (310) may include a device linkage unit (311) that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a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and a shipment information linkage unit (312) that collects shipment management information.
장치연동부(3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분류장치(100), 복수개의 셀감지장치(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표시장치(4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The device linkage unit (311)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at least on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multiple cell detection devices (200), and at least one task display device (400).
이때, 장치연동부(311)는 사전에 구성된 디지털분류장치(100)와 셀감지장치(200)의 매핑 정보에 따라 통신 연결된 디지털분류장치(100)와 셀감지장치(200)에게 해당 매핑 정보 및 연결 정보를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device linkage unit (311) transmits the corresponding mapping information and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ell detection device (20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pre-configured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ell detection device (200).
전달된 연결 대상을 수신한 디지털분류장치(100)와 셀감지장치(200)는 매칭 정보를 바탕으로 서로간의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cell detection device (200) that received the transmitted connection target can proceed with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출고정보연동부(312)는 출고처별로 상품 분배 작업을 하기 위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hipment information linkage unit (312) can receive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for product distribution by shipment location.
예를 들어, 출고정보연동부(312)는 정의된 연동 규격에 따라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과 연동하여 출고 정보를 수집/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ipment information linkage unit (312) can collect/store shipment information by linking with a server or system that manages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defined linkage standards.
또한, 파일 형태의 출고 정보를 업로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연동 되지 않은 서버 또는 시스템으로부터 출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Additionally, it provides an interface for uploading shipment information in file form, enabling collection of shipment information from non-linked servers or systems.
장치부(320)는 디지털분류장치(100), 셀감지장치(200) 및 작업정보표시장치(400) 정보를 등록/관리하고, 각 장치의 설정을 수행하는 설정부(321) 및 각 장치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unit (320) may include a setting unit (321) that registers/manages information on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a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and performs settings for each device, and a monitoring unit (322) that monitors the connection status of each device.
예를 들어, 설정부(321)는 각각의 장치 종류, 장치ID, 장치 연결 정보를 등록/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tting unit (321) can register/manage each device type, device ID, and device connection information.
또한, 설정부(321)는 디지털분류장치(1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셀과 셀에 설치되는 셀감지장치(200)를 매핑하여, 매핑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unit (321) can store/manage mapping information by mapping multiple cells and cell detection devices (200) installed in the cells according to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이때, 매핑 정보는 셀 식별코드, 셀 순서정보, 셀감지장치(200)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pping information may include cell identification code, cell order information, cell detection device (200) ID, etc.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600)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장치를 조회하여, 해당 장치간의 매핑할 수 있고, 설정부(321)는 관리자단말기(600)가 입력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장치 간 매핑 정보를 저장한다.The administrator can search for registered devices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and map between the devices, and the setting unit (321) receives the mapping information entered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devices.
또한, 설정부(321)는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600)를 통해 구성한 화면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표시장치(400)의 화면 디스플레이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unit (321) can set the screen display configuration of the task display device (400) based o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nfigured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예를 들어, 화면 디스플레이 구성은 각 총 주문수, 분배 완료된 주문수, 진행률, 총 상품수, 분배 완료된 상품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display configuration may include the total number of orders, the number of orders distributed, the progress, the total number of items, the number of items distributed, etc.
모니터링부(322)는 등록되어 통신 연결된 디지털분류장치(100), 셀감지장치(200) 및 작업정보표시장치(40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22) can monitor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us of the registered and communication-connected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예를 들어, 디지털분류장치(100), 셀감지장치(200) 및 작업정보표시장치(400)가 물류관리서버(300)로 일정 시간 마다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연결 상태가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by transmitting data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o check the connection status at regular intervals,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ell detection device (200), and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can confirm that the connection status is normal.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을 적용하여 장치 간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nection status between devices can be checked by applying various protocols and methods.
작업부(330)는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을 스케줄링하고, 작업자에 할당할 수 있다.The work unit (330) can schedul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assign it to workers based on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작업부(330)는 작업자관리부(331), 분배부(332), 작업처리부(333), 통계부(334), 송장생성부(335) 및 작업모니터링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unit (330) may include a worker management unit (331), a distribution unit (332), a work processing unit (333), a statistics unit (334), an invoice generation unit (335), and a work monitoring unit (336).
작업자관리부(331)는 작업자 정보를 등록/관리할 수 있다.The worker management department (331) can register/manage worker information.
이때, 작업자 정보는 작업자 ID, 이름, 담당 상품 파트, 근무 스케줄(주간/야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worker information may include worker ID, name, product part in charge, work schedule (day/night), etc.
또한, 작업자 정보를 DB(350)에 저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worker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DB (350).
분배부(332)는 상품 종류, 상품수, 출고처, 작업자 수에 따라 분배 작업 생성, 스케줄링 및 셀분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332) can create distribution tasks, schedule, and creat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number of products, shipping location, and number of workers.
예를 들어, 주문 정보 또는 출고 정보의 수와 주문 상품의 개수 및 종류를 고려하여 작업을 생성하고, 해당 작업의 순서를 정하여 스케줄링 할 수 있다.For example, tasks can be created and schedul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order information or shipping information and the number and type of ordered products, and by determining the order of the tasks.
또한, 생성된 작업에 대해 상품 종류 및 출고처의 주문 수량에 따라 셀의 크기를 고려하여 각 셀로 분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generated work, distribution work can be performed to each cell by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ell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order quantity of the shipping location.
이는 상품 종류에 따라 크기, 무게, 형태가 상이하고, 주문 상품 수량에 따라 컨테이너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size, weight, and shape differ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and the size of the container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oducts ordered.
복수개의 랙(Rack) 구성 시 셀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구성하고, 사전에 각 셀에 수용할 수 있는 상품군 및 수량을 정의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배 작업 할당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When configuring multiple racks, the cell sizes can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and the product groups and quantitie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each cell can be defined in advance, and distribution work assignments can be performed based on this.
분배된 할당 작업 내역은 DB(35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distributed allocation work history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DB (350).
작업처리부(333)는 분배 작업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작업의 상태에 따라 작업을 제어한다.The work processing unit (333) manages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work and controls the work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work.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DB(350)를 조회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를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upon request from the work terminal (500), the DB (350) is searched and the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worker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예를 들어,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600)를 통해 작업 시작을 요청하면, 작업처리부(333)는 DB(350)에서 작업 스케줄 정보를 조회하여 셀에 주문 번호를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an administrator requests to start a task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600), the task processing unit (333) searches for task schedule information in the DB (350) and transmits an order number to the cell.
이후, 작업자가 작업단말기(500)를 통해 분배할 상품을 스캔하여, 상품 정보를 전송하면, 작업처리부(333)는 현재 셀에 배치된 주문 정보에 스캔한 상품이 배분되어야 하는 수량을 전송한다.Afterwards, when the worker scan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through the work terminal (500) and transmits the product information, the work processing unit (333) transmits the quantity of the scanned product to be distributed to the order information currently placed in the cell.
또한, 작업처리부(333)는 디지털분류장치(100)로부터 각 셀에 분배된 상품의 투입 완료됨을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DB(35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processing unit (333) can receive the completion of input of products distributed to each cell from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and stor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DB (350).
이때, 작업처리부(333)는 상기와 같은 분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분배 작업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ork processing unit (333) can manage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task to perform the distribution task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분배 작업의 상태는 분배부(332)에 의해 분배 작업 정보가 생성되어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할당상태, 디지털분류장치(100)의 각 셀에 할당된 주문 정보/출고 정보가 표시된 작업시작상태, 작업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을 확인하고, 분배할 상품을 스캔하여 디지털분류장치(100)의 각 셀에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수가 표시된 셀분배작업상태, 각 셀에 해당 상품 투입이 완료된 상품투입완료단계 및 주문 번호에 대한 모든 상품 투입이 완료된 작업완료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atus of a distribution task can be defined as a task assignment status in which distribution task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unit (332) and assigned to a worker, a task start status in which order information/delivery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cell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is displayed, a cell distribution task status in which a worker checks the distribution task assigned to him/herself, scan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and displays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input into each cell of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a product input completion stage in which input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nto each cell is completed, and a task completion status in which input of all products for the order number is completed.
작업처리부(333)는 각 작업별 상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task processing unit (333) can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status of each task.
또한 각 상태는 작업 정보와 함께 DB(350)에서 관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state can be managed in DB (350) along with work information.
통계부(334)는 작업정보표시장치(400)에 표시할 실시간 분배 작업 현황 및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DB(35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tatistical department (334) can generate real-time distribution work status and statistical data to be displayed on the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and store them in the DB (350).
실시간 분배 작업 현황은 총 주문 건수, 분배 작업 완료 건수, 분배 작업률, 총 상품 수, 분배 작업 완료 상품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al-time distribution task status may include total number of orders, number of completed distribution tasks, distribution task rate, total number of products, number of completed distribution tasks, etc.
또한, 작업자별 실시간 분배 작업 건수 및 완료률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can further include the number of real-time distributed tasks and completion rates per worker.
또한, 상기 정보는 시간별, 일별, 월별, 년간 통계로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managed as hourly, daily, monthly, and yearly statistics.
송장생성부(335)는 상품의 분배 작업이 완료된 셀에 대해 송장 정보를 생성하여 작업단말기(500) 또는 관리자단말기(6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The invoice generation unit (335) can generate invoice information for a cell where distribution of goods has been completed and provide it upon request from a work terminal (500)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600).
송장 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송장 규격에 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송장 템플릿 및 송장 내에 기록되어야 하는 주문자 정보, 출고처 또는 수신자 정보, 주문 상품 정보로 생성될 수 있다.Invoi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with an invoice template and the orderer information, shipper or recipient information, and ordered product information that must be recorded in the invoice so that it can be printed according to predefined invoice specifications.
작업모니터링부(336)는 분배 작업 진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작업단말기(500) 및 관리자단말기(6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work monitoring unit (336) can periodically monitor the progress of distribution work and send notification messages to the work terminal (5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보다 구체적으로, 미완료된 분배 작업을 대상으로 처리 시간을 체크하여 사전에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관리자단말기(600) 및 해당 작업에 할당된 작업단말기(5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ing time for an unfinished distribution task can be checked and, if it exceeds a preset threshold time, a notification message can be sent to the corresponding manager terminal (600) and the task terminal (500) assigned to the task.
또한, 특정 장치 또는 셀분배 작업의 오류 상황에 대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체 작업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notification messages can be sent to notify all workers of error situations in specific devices or cell distribution operations.
서비스제공부(340)는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 진행 현황, 통계데이터, 작업자 정보, 분배 작업 스케줄, 등록된 디지털분류장치(100)/셀감지장치(200)/작업정보표시장치(400)에 대한 장치 정보 및 구성 정보 조회/등록 서비스 등을 관리자단말기(600) 또는 작업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340) can provide assigned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progress status, statistical data, worker information, distribution work schedule, device information for registered digital sorting device (100)/cell detection device (200)/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400),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inquiry/registration service, etc., at the request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600) or work terminal (500).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부(340)는 웹 요청 또는 관리자단말기(600) 또는 작업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대해 필요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물류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340) provides the necessary servic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web request or a request from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n administrator terminal (600) or a work terminal (500), so that a worker or administrator can use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from a remote lo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효율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분류 장치 기반 물류 효율화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of a logistics efficiency improvement method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logistics efficiency improvement method based on a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물류 분배 효율화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물류관리서버(300)는 출고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신하여 DB(350)에 저장할 수 있다(S610).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can receive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from a server that manages shipment information and store them in DB (350) (S610).
이후, 물류관리서버(300)는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을 생성하고, 각 작업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DB(350)에 저장할 수 있다(S620).Thereafter,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can create a product distribution task based on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and create scheduling information for each task and store it in the DB (350) (S620).
관리자단말기(600)의 요청에 의해 물류관리서버(300)는 분류 작업을 위해 각 셀에 할당된 주문 정보 및 출고처 정보를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At the request of the management terminal (600),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can transmit order information and shipping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cell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for sorting work.
이를 수신한 디지털분류장치(100)는 화면에 각 셀에 할당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표시하고, 작업자는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분배 작업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S640).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that receives this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and shipping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cell on the screen, and the worker can check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recognize that preparation for distribution work is complete (S640).
작업자는 작업단말기(500)를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를 조회하고, 분배할 상품을 스캔한다.The worker checks the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assigned to him/her through the work terminal (500) and scans the product to be distributed.
이때, 작업단말기(500)는 스캔 정보를 물류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분배 작업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ork terminal (500) can transmit sca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to request the start of distribution work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물류관리서버(300)는 스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셀분배 정보를 조회하여 디지털분류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50).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can receive scan information, retriev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nd transmit it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S650).
이를 수신한, 디지털분류장치(100)는 화면에 각 셀에 분배되어야 하는 상품 수를 표시할 수 있다(S660).Upon receiving this,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can display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distributed to each cell on the screen (S660).
또한, 셀감지장치(200)로 상품 투입에 대한 감지를 요청할 수 있다.Additionally, detection of product insertion can be requested using a cell detection device (200).
이때, 감지해야 하는 상품의 무게 정보를 셀감지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detec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다음으로, 작업자가 디지털분류장치(100)에 표시된 상품 수를 확인하고, 상품을 투입한다. Next, the worker checks the number of products displayed on the digital sorting device (100) and inserts the products.
셀감지장치(200)는 상품 투입이 감지되면, 디지털분류장치(100)로 해당 감지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S670).When product insertion is detected,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can transmit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S670).
이를 수신한 디지털분류장치(100)는 해당 셀에 할당된 상품 수와 셀감지장치(200)가 감지한 상품 수를 비교하여 상품 투입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00) that receives this can compare the number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cell with the number of products detected by the cell detection device (200) to determine whether product input is complete.
해당 셀에 특정 상품 투입이 완료된 경우, 이를 물류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680). When a specific product is put into a cell,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00) (S680).
다음으로, 물류관리서버(100)가 특정 셀에 상품 투입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분배 작업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690).Next, when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product input into a specific cell, it can update distribution work status information (S690).
이후, 작업표시장치(400)는 주기적으로 물류관리서버(100)로 작업 현황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작업자 및 관리자가 별도의 조회 작업 없이도 전체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the work display device (400) periodically requests work status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o that workers and managers can easily check the overall work status without a separate inquiry task.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t is made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0: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100: 디지털분류장치
110: 통신부 120: 터치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200: 셀감지장치
300: 물류관리서버
310: 연동부
311: 장치연동부 312: 출고정보연동부
320: 장치부
321: 설정부 322: 모니터링부
330: 작업부
331: 작업자관리부 332: 분배부
333: 작업처리부 334: 통계부
335: 송장생성부 336: 작업모니터링부
340: 서비스제공부
350: DB
400: 작업정보표시장치
500: 작업단말기
600: 관리자단말기
700: 구조물(랙(Rack), 선반)10: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100: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110: Communication section 120: Touch section
130: Control section 140: Display section
200: Cell detection device
300: Logistics Management Server
310: Linkage
311: Device linkage part 312: Delivery information linkage part
320: Device section
321: Setting section 322: Monitoring section
330: Work Department
331: Worker Management Department 332: Distribution Department
333: Work Processing Department 334: Statistics Department
335: Invoice generation department 336: Work monitoring department
340: Service Provider Department
350: DB
400: Work information display device
500: Work terminal
600: Admin terminal
700: Structure (Rack, Shelf)
Claims (11)
상품 투입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셀감지장치;
상기 물류관리서버에서 전송한 상기 셀분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셀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셀의 분배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분류장치; 및
주문 정보 조회, 상품 정보 조회, 상품 분배 작업 조회 및 분배 작업 시작 요청을 수행하는 작업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과 대응되고, 상기 셀은 상기 셀감지장치 및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셀은 셀 식별코드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는,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분류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부;
상기 셀분배 정보를 정해진 화면 템플릿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및
각 셀의 상품 투입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셀의 상품 분배 작업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해진 화면 템플릿은,
소정 개수의 행과 소정 개수의 열을 포함하는 표 형태이고, 상기 표의 각 칸은 상기 셀과 대응되어 상기 셀에 분배된 주문 번호, 출고 정보 및 컨테이너에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물류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및 복수개의 상기 셀감지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정의된 연동 규격에 따라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연동부;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및 상기 셀감지장치에 대한 정보 등록, 설정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부;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을 스케줄링하고, 작업자에 할당하는 작업부; 및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작업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할당된 분배 작업 정보, 분배 작업 진행 정보, 통계 데이터, 작업자 정보, 분배 작업 스케줄 정보 및 장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조회/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관리서버는,
생성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분배 작업을 위해 각 셀에 할당된 주문 정보 및 출고처 정보를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작업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분배 작업 시작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셀분배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는,
수신한 셀분배 정보에 따라 각 셀에 분배된 주문 번호, 출고 정보 및 컨테이너에 투입되어야 하는 상품 수를 표시하고, 작업자 및 분배 작업 상태에 따라 셀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셀에 특정 상품이 투입되면, 다음 작업자가 넣을 상품의 수 및 다음 작업자를 나타내는 셀 색깔이 상기 셀에 표시되어 복수의 작업자가 서로 다른 상품을 동시에 분배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및 상기 셀감지장치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설치되는 구조물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generates product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and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transmits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digit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 cell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whether a product has been inserted and transmit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cell distribution work is complet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ell detec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Includes a work terminal that performs order information inquiry, product information inquiry, product distribution task inquiry, and distribution task start request;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cell, and the cell includes the cell detection device and a container, and the cell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tinguished by a cell identification code.
The abov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through a network interface capable of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 touch part that detects user input via a touch interface;
A display unit that outputs the abov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by configuring it into a set screen template; an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roduct distribution work of the cell is complete based on the product input detection information of each cell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he above defined screen template is,
It is a table format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ow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columns, and each cell of the table corresponds to the cell and displays the order number distributed to the cell, shipping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placed in the container.
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 linkage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abov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s and a plurality of the above cell detection devices, and collects and stores order information and shi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efined linkage standards;
A device section for registering, setting an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A work unit that schedules and assigns product distribution work to workers based on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and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a query/management func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llocated distribution task information, distribution task progress information, statistical data, worker information, distribution task schedule information, and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the above-mentioned work terminal;
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generated scheduling information, the order information and shipping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cell for distribution work are transmitted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and when a request to start distribution work for a specific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work terminal, the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s searched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The abov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the order number distributed to each cell, the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put into the container are displayed, and the color of the cell is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orker and the distribution work status, and when a specific product is put into the cell,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put by the next worker and the cell color indicating the next worker are displayed in the cell, so that multiple workers can simultaneously distribute different products.
The abov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상기 셀감지장치는,
상기 셀에 배치된 상기 컨테이너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In claim 1,
The above cell detection device,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container placed in the cell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상기 장치부는,
장치 종류, 장치ID, 장치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등록/관리하고, 상기 디지털분류장치와 상기 셀감지장치를 매핑하여, 매핑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작업표시장치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설정부; 및
상기 디지털분류장치 및 상기 셀감지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In claim 1,
The above device part,
A setting unit that registers/manages at least one of device type, device ID, and device connection information, maps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stores/manages the mapping information, and configures the screen display of the task display device; and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nd the cell detection device;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상기 작업부는,
작업자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작업자관리부;
작업자 정보,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에 따라 상품 분배 작업 생성, 스케줄링 및 셀분배 정보를 생성하는 분배부;
상기 상품 분배 작업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작업의 상태에 따라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처리부;
실시간 분배 작업 현황 및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부;
상품 분배 작업이 완료된 셀에 대해 송장 정보를 생성하는 송장생성부; 및
상기 상품 분배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작업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물류 분배 효율화 시스템.
In claim 1,
The above working unit,
Worker management department that registers/manages worker information;
Distribution unit that creates product distribution tasks, schedules them, and generates cell distribution information based on worker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A task processing unit that manages the status of the above product distribution task and performs the following task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above task;
A statistics department that generates real-time distribution task status and statistical data;
An invoic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voice information for cells where product distribution work has been completed; and
A work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status of the above product distribution work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system.
물류관리서버에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류관리서버에서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출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분배 작업 생성 및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물류관리서버가 디지털분류장치로 셀에 할당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분류장치가 수신한 주문 정보 및 출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물류관리서버가 작업단말기가 요청한 상품에 대해 분배 작업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분류장치가 상기 분배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셀감지장치가 상품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디지털분류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셀감지장치가 셀에 대한 상품 투입 완료 정보를 상기 물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관리서버가 분배 작업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분배 효율화 방법.
In a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method implemented by the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improvement system described in claim 1,
A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 step of creating and scheduling a product distribution task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shipment information in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 step in which 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ransmits order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assigned to a cell to a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 step of displaying order information and shipp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bov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on the screen;
A step in which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searches for distribution work information for a product requested by a work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A step in which the digital classification device receives and displays the distribution operation information;
A step in which a cell detection device detects product inser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 sorting device;
The step of the above cell detection device transmitting the product input completion information for the cell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nd
Including a step of updating distribution work status information by 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Methods for improving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c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7203A KR102832411B1 (en) | 2023-02-28 | 2023-02-28 |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dcy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r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7203A KR102832411B1 (en) | 2023-02-28 | 2023-02-28 |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dcy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r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3363A KR20240133363A (en) | 2024-09-04 |
KR102832411B1 true KR102832411B1 (en) | 2025-07-10 |
Family
ID=9275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7203A Active KR102832411B1 (en) | 2023-02-28 | 2023-02-28 |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dcy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r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3241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843B1 (en) * | 2021-02-10 | 2021-09-01 | 주식회사 테크타카 | Job scheduling apparatus for digital assort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96523C2 (en) * | 2012-01-06 | 2016-09-10 | САНРАЙЗ Ар ЭНД Ди ХОЛДИНГЗ, ЭлЭлСи | Display shelf modules with projectors for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and modular shelving systems comprising the same |
KR102208005B1 (en) * | 2019-01-11 | 2021-01-26 | 씨제이대한통운 (주)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inspection in digital assorting system |
KR102482387B1 (en) * | 2020-07-31 | 2022-12-30 | 누리디에스엠(주) | Information indicator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t |
KR20220091257A (en) * | 2020-12-23 | 2022-06-30 | 울랄라랩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ing detachable to shelf inventory management device |
-
2023
- 2023-02-28 KR KR1020230027203A patent/KR1028324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843B1 (en) * | 2021-02-10 | 2021-09-01 | 주식회사 테크타카 | Job scheduling apparatus for digital assort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3363A (en) | 2024-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4692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implemented artificial intelligence batch picking optimization and communication | |
CN110826959B (en) |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icking process | |
US973363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order fulfillment | |
TW202234315A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implemented system for automated communication with fulfillment centers | |
JP2022071124A (en) |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inbound product, stowing inbound product, and monitoring inbound error | |
KR101682276B1 (en) | Method of automatic delivery service based on cloud,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 |
US795799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sset installation and evaluation | |
CA2878466C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 |
JP2022501679A (en) | Computer implementation methods and computer implementation systems for efficient sorting of items based on limited access to item information | |
JP6754987B1 (en) | Business support system, business support device, business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2022095510A (en) | Electronic devices that manage the transfer of goods and thei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 |
JP2022091859A (en) | Computer imple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quantity of items in fulfillment center for inventory management | |
JP6899535B2 (en) | Business support equipment, business support methods, computer programs, and business support systems | |
JP7126570B2 (en) | Automated user interface for efficient packing of objects | |
JP2023533621A (en) |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inventory optimization through intelligent distribution of inbound products using product allocation verification | |
JP2022091966A (en) | System and method for outbound prediction based on fulfillment center priority value | |
JP7258058B2 (en) |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Determining Guaranteed Delivery Time Choices | |
CN111861323B (en) |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system | |
KR102832411B1 (en) | Logistics distribution efficiendcy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sorting device | |
JP2022009751A (en) | Inventory management device, inventor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JP7576782B2 (en) | Business support system, business support device, business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2021082364A (en) | Business support apparatus, business support method, computer program, and business support system | |
JP6796787B1 (en) | Business support system, business support device, terminal, business support method, busines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2015012033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quote | |
US20250307765A1 (en) | Planogram void detection and automated resolu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