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32128B1 - Display screen photographing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 Google Patents
Display screen photographing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32128B1 KR102832128B1 KR1020240168852A KR20240168852A KR102832128B1 KR 102832128 B1 KR102832128 B1 KR 102832128B1 KR 1020240168852 A KR1020240168852 A KR 1020240168852A KR 20240168852 A KR20240168852 A KR 20240168852A KR 102832128 B1 KR102832128 B1 KR 102832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output
-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상기 장치에서 출력될 경우, 장치 전방 및 측방에서 이미지의 촬영 여부를 감지하며, 촬영이 감지될 경우,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제1 이미지 및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 상황에 대한 정보인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captured from the front and side of the device when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device, and outputs an image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capture is detected. The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 first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second image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 camera unit which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shooting range;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or the image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상기 장치에서 출력될 경우, 장치 전방 및 측방에서 이미지의 촬영 여부를 감지하며, 촬영이 감지될 경우,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hich detects whether an imag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s captured from the front and side of the device when the device outputs an imag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f capture is detected, outputs an image no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공공, 금융, 기업들은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ISMS-P,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규 및 규정에 근거하여 물리적, 관리적, 기술적 보안 기준을 마련하고 보호하고 있다.Public,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are establishing and protecting physical, management, and technical security standards based on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ISMS-P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protect information assets.
예를 들어, 금융 기관(및 기업)은 금감원으로부터 감사를 받고 있으며 공공기관은 국정원으로부터 감사를 받고 있다.For example, financial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are audit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public institutions are audited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일반 기업은 정기 감사에 대한 의무는 없는 편이지만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을 기준으로 정보보호체계를 구축하여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있다.Although general companies are not required to conduct regular audits, they protect information assets by establishing an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etc. depending on the services they provide.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 보안사고는 끊이지 않으며 사이버 범죄는 더욱 지능화되고 있다.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continue to occur and cybercrimes are becoming more sophisticated.
최근에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가 보편화 되고 COVID-19가 확산되면서 원격근무 및 스마트워크와 같은 비대면 업무로 업무 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 및 기관 정보 자산에 대한 위협도 급증하는 추세이다.Recently, as terminal devices (e.g., smartphones, laptops, tablet PCs, etc.) have become widespread and the work environment has changed to non-face-to-face work such as remote work and smart work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reats to corporate and institutional information assets are also rapidly increasing.
그에 대한 대책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는 이러한 업무 환경을 고려하여 "비대면 업무 환경 도입 및 운영을 위한 보안 가이드"를 통한 정보 보호 대책을 제시하였다.As a countermeasure,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took this work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and presented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 through the "Security Guide for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a Non-Face-to-Face Work Environment."
특히 본 가이드에서는 단말기 보안, 보안 USB, 백신, DLP, 매체제어, DRM 등 인적 위협 및 물리적 위협에 대한 보안 방법과 점검 체크리스트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In particular, this guide also provides security methods and inspection checklists for human and physical threats, such as terminal security, secure USB, vaccines, DLP, media control, and DRM.
하지만, 상술한 보안 대책이나 가이드는 대부분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되어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암호화 모듈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보를 보호하므로 디스플레이에서 표출되는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영상 및 영상 촬영 등의 행위를 통한 정보의 유출을 막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However, since most of the security measures or guides described above protect information through software that runs within the device and provides functions such as network security, system security, and encryption modules, it is impossible to prev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from being leaked through actions such as video and image recording using other devices.
현재까지의 정보보안 체계에서 단말 장치의 보안은 백신, DLP, DRM과 같이 단말 장치에 설치하여 제어(및 암호화 저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단말 장치 내에서만 제어 및 보호되는 방식이다.In the current information security system, the security of terminal devices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and encrypted and stored) by installing antivirus software, DLP, and DRM on the terminal device, and is controlled and protected only within the terminal device.
이러한 방식이 완벽한 정보 보호를 제공한다고 할 수 없지만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보안 취약점이 발생한다.Although this approach does not provide complete information protection, even if it did, it creates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e information exposed to the user's display.
다시 말해, 기업 및 기관 내부의 정해진 사무 공간이 아닌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외부 공간이나 개인 공간에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업무에 접속해 정보를 열람하거나, 타인이 사용자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는 정보 자산에 대한 불법 촬영(사진, 영상 등)을 하는 등의 공격에는 무방비 상태이다.In other words, the company is defenseless against attacks such as users accessing work and viewing information using their devices while they are away from their desks in external spaces or personal spaces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gather, or others illegally filming (photos, videos, etc.) information assets displayed on the user's display.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를 점차 인식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보안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Although these problems have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in recent years, there are no realistic security measures in pl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233-7779 B1호(2021.12.06)에서는 단말 장치 내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에 대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No. 10-233-7779 B1 (December 6, 2021) discloses a behavior-based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method and a system for executing the same that can prevent leakage of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s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in a terminal device.
그러나, 산업 현장에서는 개인 정보의 유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불법 촬영 여부를 보다 면밀히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촬영이 금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industrial setting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more closely determine whether illegal filming has occurred and prohibit film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termination in order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in adv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전 센서와 같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장치 전방 및 측방의 영상 정보를 기초로, 불법 촬영 여부를 보다 면밀히 판단하여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splay screen shooting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can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y more closely determining whether illegal shooting has occurred based on image information of the front and side of the device acquired through a camera such as a vision sens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상기 장치에서 출력될 경우, 장치 전방 및 측방에서 이미지의 촬영 여부를 감지하며, 촬영이 감지될 경우,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제1 이미지 및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 상황에 대한 정보인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captured from the front and side of the device when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device, and outputs an image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capture is detected. The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 first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second image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 camera unit which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shooting range;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or the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의하면,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장치 전방에서 불법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ag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if it is determined that illegal filming is taking place in front of the device, an image no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의하면,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카메라의 전원이 ON으로 제어되며,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카메라의 전원이 OFF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소비 전력이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ag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the camera power is controlled to ON, and when an image no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the camera power is controlled to OFF,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가 제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된 이미지인 제1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인 제2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제어부에 의해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제어부에 의해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elements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explaining that a first imag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explaining that a second image, which is an image that does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re switched and output by a control uni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switching and output of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process of switching and outputt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by a control uni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regressive invention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deleting, etc.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상기 장치에서 출력될 경우, 장치 전방 및 측방에서 이미지의 촬영 여부를 감지하며, 촬영이 감지될 경우,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제1 이미지 및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 상황에 대한 정보인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captured from the front and side of the device when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device, and outputs an image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capture is detected. The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 first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second image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 camera unit which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shooting range;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or the imag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ON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be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keeps the camera unit's power ON when the first image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s the camera unit's power from ON to OFF when the second image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controls the second image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not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한편,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인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output on the display unit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the control unit may be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the second image if a first condition, which is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while the first image is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은,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및 신체의 특정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조건 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that, with respect to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n image of a specific item and a specific part of a body is included.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인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may be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controls the first image to be output when a second condi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while the second image is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및 신체의 특정 부위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an image of a specific item or a specific part of the body.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am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가 제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s 1 (a) and (b) are exemplary drawings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elements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된 이미지인 제1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S. 3 (a) and 3 (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a first image, which is an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인 제2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S.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a second image, which is an image that does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제어부에 의해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re switched and output by a control uni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FIGS. 6(a) to 6(c) are graphs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switching and output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on the display unit constituting the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제어부에 의해 상호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S. 7 and 8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process of outputt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by switching them with each other by a control unit on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ed drawings have simplified or omitted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undergo various modific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such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sol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10)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10, 이하 장치라 지칭함)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관공서, 사옥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장치(10)를 통해, 회사의 정보, 인력 정보, 상기 장치(10)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관광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A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government office, a company building, etc.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a user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personnel information, and tourist information for the area where the device (10) is installed through the device (10).
상기 장치(10)는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일례로 벽걸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일례로, 도 1의 (b)와 같이 공지된 키오스크(kiosk)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사용자로 기업 정보, 인력 정보, 관광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device (10) may be manufactured as a wall-mounted type, as shown in (a) of Fig. 1, or as another example, may be manufactured as a known kiosk type, as shown in (b) of Fig. 1, and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corporate information, human resources information, and tourism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constituting the device (10).
상기 정보는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The above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500), for example.
상기 이미지는 이미지(image)뿐만 아니라 동영상 또한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The above image may mean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an image but also a video.
상기 장치(10)를 구성하는 메모리부(300)는 개인 정보(PI)가 포함된 제1 이미지 (I1)및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이미지(I2),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이미지와 상이한 제3 이미지(I3)를 관리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제1 이미지(I1) 내지 상기 제2 이미지(I3)를 출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300) constituting the above device (10) can receive and store in advance from an administrator a first image (I1)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PI), a second image (I2) no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third image (I3) no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different from the second image, and the display unit (500) can output the first image (I1) to the second image (I3).
상기 제1 이미지(I1)는 일례로,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개인 정보(PI)가 포함된 조직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1 이미지(I1)는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개인 정보(PI)가 포함된 기구도를 의미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image (I1) above may mean an organizational char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PI), as can be seen in (a) of FIG. 3, and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image (I1) may mean an organizational char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PI), as can be seen in (a) of FIG. 3.
상기 제2 이미지(I2) 및 상기 제3 이미지(I3)는 일례로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이미지(I1)에 대해, 촬영을 제한하는 경고 이미지(W)에 의해 가려져 개인 정보(PI)가 노출되지 않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개인 정보(PI)가 포함되지 않는 관광 정보, 회사 소식, 회사 홍보 영상과 같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image (I2) and the third image (I3) may mean images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PI) is not exposed because they are covered by a warning image (W) that restricts shooting, as shown in (a) of FIG. 4,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I1), and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4, they may mean images such as tourist information, company news, and company promotional videos that do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PI).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2 이미지(I2) 및 상기 제3 이미지(I3)는 제1 이미지(I1)에 포함된 개인 정보(PI)가 워터마크(watermark)로 가려진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이미지(I1)에 포함된 개인 정보(PI)가 아바타(avatar)로 대체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image (I2) and the third image (I3) may mean images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PI) included in the first image (I1) is covered with a watermark, and may also mean images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PI) included in the first image (I1) is replaced with an avata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I1) 및 상기 제3 이미지(I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출력되는 영상 또한 포함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mage (I1) and the third image (I3) may include not only images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but also images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한편, 상기 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 상황에 대한 정보인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비전 센서와 같은 카메라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400), such as a vision sensor, which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display unit (500)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display unit within the shooting range.
여기서, 상기 촬영 범위라 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전방 및 디스플레이부(500)의 측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범위는 상기 카메라부(40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 탑재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shooting range may mea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shooting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camera unit (400)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500).
상기 장치(1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 출력되는 제1 이미지(I1) 내지 제3 이미지(I3) 및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상기 카메라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S100 단계, S200 단계)The control unit (100), such as the processor constituting the above device (1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camera unit (400) based on the first image (I1) to the third image (I3)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image information. (Step S100, Step S2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 개인 정보(PI)가 포함된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될 경우, (S110 단계)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ON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S130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I1)에 대한 촬영을 실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when the first image (I1)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PI)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the control unit (100) keeps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in the ON state (step S110), thereby allowing (step S130) to confirm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whether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of the first image (I1).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카메라부(400)의 구동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되기 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부(4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implement this, as can be seen in (a) of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100) control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400) from OFF to ON before the first image (I1) is output, taking into account the operating time of the camera unit (400).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장치(10)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The above user may refer to a person who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above device (10).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 개인 정보(PI)가 포함되지 않은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될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하여, (S120 단계) 상기 장치(1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Conversely, when the second image (I2) that does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PI)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from ON to OFF (step S120) so that the power consumed by the device (10) can be reduced.
즉, 상기 제어부(100)는 개인 정보(PI)가 포함된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될 경우에 상기 카메라부(100)의 전원을 ON으로 제어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개인 정보(PI)가 포함되지 않은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될 경우에 상기 카메라부(100)의 전원을 OFF으로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한 전력 소모량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100) to be turned ON when the first image (I1)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PI) is output, thereby obtaining the image information,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100) to be turned OFF when the second image (I2) containing no personal information (PI) is output,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camera unit (100).
나아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부(400)의 오작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400)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불법 촬영에 의해 개인 정보(PI)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when the control unit (100) fails to obtai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unit (400) due to a malfunction of the camera unit (400), it controls the second image (I2)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thereby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PI) from being leaked due to illegal filming by the user.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현재 시점에서 개인 정보(PI)가 포함된 상기 제1 이미지(I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출력 중이며, 현재 시점에서 상기 카메라부(500)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상기 제1 이미지(I1)가 아닌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법 촬영에 의해 개인 정보(PI)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100) is currently outputting the first image (I1)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PI) on the display unit (500) and is unable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unit (500) at the current time, the control unit (100) causes the display unit (500) to output the second image (I2) instead of the first image (I1), thereby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PI) from being leaked due to illegal filming by the user.
한편, 상기 제1 이미지(I1), 상기 제2 이미지(I2) 및 상기 제3 이미지(I3)는 도 5 및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mage (I1), the second image (I2), and the third image (I3) can be sequentially and continuously output on the display unit for a preset time, as can be seen in (a) of FIGS. 5 and 6.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상기 제1 이미지(I1), 상기 제2 이미지(I2) 및 상기 제3 이미지(I3)의 출력 순서 및 출력 시간은 상기 장치(10)의 관리자가 직접 장치(10)를 통해 입력하거나, PC,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통신부(200)로 출력 순서 및 출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output order and output time of the first image (I1), the second image (I2), and the third image (I3) on the display unit (500)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device (10) through the device (10), or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order and output tim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constituting the device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such as a PC or smartphone.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인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140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상기 제2 이미지(I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50 단계)Meanwhile, the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500) to output the second image (I2) (step S150) when the first image (I1) is output and the first condi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step S140).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카메라부(40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및 신체의 특정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ition may mean a condi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n image of a specific item and a specific part of a body is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ntrol unit (100) from the camera unit (400).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건은 신체의 특정 부위인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대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특정 물품, 즉, 스마트폰, 삼각대 등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dition may mean an image of a specific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user's arm or hand, or as another example, image information of a specific item, such as a smartphone or tripod.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부(40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팔 또는 손에 대한 영상 또는 스마트폰, 삼각대 등에 대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상기 제1 이미지(I1)에서 상기 제2 이미지(I2)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display unit (500) to switch from the first image (I1) to the second image (I2) when at least one of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400) includes an image of the user's arm or hand, or image information of a smartphone, tripod, etc.
이는, 상기 장치(10)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촬영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I1)에 대해,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개인 정보(PI)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이미지(I2)로 전환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P1)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P1) by allowing the device (1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taking a photo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if 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a photo of the first image (I1), converting it to a second image (I2) that does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PI) and outputting it.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T1시점에서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T1 시점에서 상기 제2 이미지(I2)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촬영에 의한 개인 정보(PI)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for example, as can be seen in (a) of FIG. 6, when the first image (I1) is output, if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at time T1, it controls the display unit (500) to output the second image (I2) at time T1, thereby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PI) from being leaked due to the user taking a picture.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에 대한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상기 제2 이미지(I2)로 전환되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P1)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of the first image (I1) while it is being output, it causes the display unit (500) to switch to the second image (I2) and output it,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P1).
상기 장치(10)는 사용자의 촬영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00)가 머신 러닝을 통한 학습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device (10) enables the control unit (100) to automatically generate learning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so as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taking a photo.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생성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영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촬영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taken a photo by comparing the generated learning data with the image information.
나아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또는 신체의 특정 부위가 포함된 영상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즉 스마트폰, 또는 삼각대가 포함된 영상을 우선으로 적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PI)에 대한 촬영 여부를 보다 면밀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00) gives priority to images of specific items, i.e., images including a smartphone or a tripo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ver images of specific items or images including specific parts of the body, so as to enable a more detailed judgment on whether to film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PI).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I1)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이에 대한 영상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저장된 영상 또한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the first image (I1)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it controls the storage of the image in the memory unit (300), and the stored image can also be utilized as learning data.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이미지(I1)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영상에 대해, 윤곽선 주변 처리, 명도 처리 등을 실시하여, 상대적으로 용량을 줄인 후, 상기 메모리부(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outline processing, brightness processing, etc. on the image determined to be the first image (I1) to relatively reduce the capacity so that i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300).
다만, 상기 장치(10)는 상기 제어부(100)가 머신 러닝을 통해, 학습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영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촬영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장치(10)는 USB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입력 받고 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100)가 영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촬영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the device (10) is described as having the control unit (100) automatically generate learning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by comparing the data with image information, the device (10) may also be configured to receive learning data from an external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and hav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by comparing the data with image information.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된 상태에서,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인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240 단계)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50 단계)Meanwhile, the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the first image (I1) to be output (step S240) when the second condi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while the second image (I2) is output (step S25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및 신체의 특정 부위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dition may mean a condition in which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an image of a specific item or a specific part of the body.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2 이미지(I2)는 개인 정보(PI)가 포함되지 않은 정보에 대한 이미지이며, 상기 장치(10)는 상기 제2 이미지(I2)의 출력 시간을 기준으로, 출력이 종료되는 시점 또는 출력이 종료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카메라부(4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카메라부(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second image (I2) is an image of information that does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PI), and the device (10) controls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400) from OFF to ON at or before the output ends based on the output time of the second image (I2), thereby enabling the control unit (100) to obtain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unit (400).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촬영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미지(I2)의 출력 종료 시점에서, 개인 정보(PI)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이미지(I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taking pictures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taking pictures, it controls the first image (I1)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PI)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at the time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image (I2) ends.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이미지(I2)의 출력 후, 개인 정보(PI)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이미지(I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second image (I2)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if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taking pictures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first image (I1)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PI)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after the output of the second image (I2).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미지(I2)가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이미지(I1)의 출력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while the first image (I1)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it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econd image (I2) and compensate for the output time of the first image (I1).
예를 들어, 도 6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T1 점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이미지(I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can be seen in (c) of Fig. 6, at point T1,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and can control the second image (I2)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T3 시점에서, 상기 카메라부(400)의 전원을 OFF에서 ON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I1)의 나머지 출력 시간 동안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되도록 한 후, 이미지 전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400) from OFF to ON at time T3 to obtain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unit (400), and if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that the user is not performing shooting,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image switching after allowing the first image (I1) to be output for the remaining output time of the first image (I1).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미지(I1) 및 상기 제2 이미지(I2)의 출력 시간이 5분이며, 상기 제어부(100)는 출력 시간이 3분 경과했을 때,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이미지(I2)의 출력 후, 나머지 시간인 2분 동안 상기 제1 이미지(I1)가 출력되도록 한 후, 이미지 전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output time of the first image (I1) and the second image (I2) is 5 minutes, and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taking a picture when the output time of 3 minutes has elapsed, it can control the image switching so that the first image (I1) is output for the remaining 2 minutes after the output of the second image (I2).
즉, 상기 장치(10)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인 제1 이미지(I1)가 출력될 경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촬영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상에 출력되는 개인 정보(PI)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first image (I1), which is a scree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the device (1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being photographed based on the user's image information and take action accordingly, thereby minimizing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PI) output on the display unit (5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t is made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0: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
100: 제어부
200: 통신부
300: 메모리부
400: 카메라부
500: 디스플레이부
I1: 제1 이미지, I2: 제2 이미지, I3: 제3 이미지
PI: 개인정보, W: 경고 이미지10: Anti-screen capture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100: Control Unit
200: Communication Department
300: Memory section
400: Camera section
500: Display section
I1: 1st image, I2: 2nd image, I3: 3rd image
PI: Personal Information, W: Warning Image
Claims (7)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제1 이미지 및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 상황에 대한 정보인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인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조건은,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및 신체의 특정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조건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
In a device to prevent display screen capture for privacy protection,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first imag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second image no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 camera unit mount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display unit within the shooting rang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or the image information;
The above first image and the above second image,
It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for a preset period of time,
The above control unit,
Based on the above image information, if the first image is output and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condition,
Controlling the above display unit to output the second image,
The first condition above is,
For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 condition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of a specific item and a specific part of the body,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ON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출력될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image is output on the above display unit,
Keep the power of the above camera unit turned ON,
When the second image is output on the above display section,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above camera unit from ON to OFF,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If the image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from the above camera unit,
Controlling so that the second image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인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image is output, if the second condi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Controlling so that the first image above is output,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상기 제2 조건은,
획득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영상 및 신체의 특정 부위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촬영 방지 장치.
In Article 6,
The second condition above is,
Regarding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he condition is that the image of a specific item and a specific part of the body are not included.
Display screen capture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168852A KR102832128B1 (en) | 2024-11-22 | 2024-11-22 | Display screen photographing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168852A KR102832128B1 (en) | 2024-11-22 | 2024-11-22 | Display screen photographing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832128B1 true KR102832128B1 (en) | 2025-07-09 |
Family
ID=9639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68852A Active KR102832128B1 (en) | 2024-11-22 | 2024-11-22 | Display screen photographing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3212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1202A (en) * | 2019-09-13 | 2022-05-12 |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Interactive display system with multifunctional privacy switch |
KR20220104471A (en) * | 2021-01-18 | 2022-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220157853A (en) * | 2021-05-21 | 2022-11-29 | 주식회사 마크애니 | Screen data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
KR20230012848A (en) * | 2021-07-16 | 2023-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o provicde priv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screen expansion |
-
2024
- 2024-11-22 KR KR1020240168852A patent/KR1028321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1202A (en) * | 2019-09-13 | 2022-05-12 |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Interactive display system with multifunctional privacy switch |
KR20220104471A (en) * | 2021-01-18 | 2022-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220157853A (en) * | 2021-05-21 | 2022-11-29 | 주식회사 마크애니 | Screen data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
KR20230012848A (en) * | 2021-07-16 | 2023-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o provicde priv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screen expans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409900B2 (en) | Providing security to mobile devices via image evaluation operations that electronically analyze image data received from cameras of the mobile devices | |
US1099129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sensitive on-screen information | |
CN104715337A (en) | Attendance method, and attendan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 |
CN108804956A (en) | Screen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based on secret protection | |
KR10131956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Leaking of Digital Content | |
US10013578B2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with a secure system manager | |
US9225514B2 (en) | Method for image encryption and decryption incorporating physiological features and image capture device thereof | |
Wang et al. | {CamShield}: Securing smart cameras through physical replication and isolation | |
KR102832128B1 (en) | Display screen photographing prevention device for privacy | |
CN108696355B (en) | 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the theft of user avatars | |
JP763229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user interface | |
KR102337779B1 (en) | Method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information based on behavior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 |
CN111177770A (en) | Protection method of sensitive information, mobile equipment and storage device | |
US20160241766A1 (en) | Method of disabling transmission and capture of visual content on a device to protect from inappropriate content | |
KR20200132930A (en) |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safe image storage | |
JP7160393B1 (en) |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Vandenberg | Encryption Served Three Ways: Disruptiveness as the Key to Exceptional Access | |
CN113536402A (en) | Peep-proof display method based on front camera shooting target identification | |
JP2006025060A (en) | Image protection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 |
KR102336165B1 (en) |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spill displayed on display device and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 |
JP7077504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programs, and control methods for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 |
US20250094650A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untering screen capturing based on watermark related to device identification code | |
US11763042B2 (en) |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spill displayed on display device and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 |
KR20190100844A (en) |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spill displayed on display device and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 |
KR102866131B1 (en) | Method for protecting information using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