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31480B1 -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 Google Patents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31480B1
KR102831480B1 KR1020230047421A KR20230047421A KR102831480B1 KR 102831480 B1 KR102831480 B1 KR 102831480B1 KR 1020230047421 A KR1020230047421 A KR 1020230047421A KR 20230047421 A KR20230047421 A KR 20230047421A KR 102831480 B1 KR102831480 B1 KR 10283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location information
lighting device
information
portable ligh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51433A (en
Inventor
이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라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라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라인원
Priority to KR102023004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31480B1/en
Publication of KR2024015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1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3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314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고,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method for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per zone, the management method including: a step of registering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 step of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a step of generating an alarm and recording first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notify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Description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과 관련이 있고, 특히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활용한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군사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민간인 신호(GPS L1 주파수 C/A 신호)를 개방하면서 현재와 같이 발전 활용한 내비게이션의 경우 보통 5~10m의 위치 오차가 발생하지만, 아파트와 실내, 터널, 공장지대 및 산악 지대 등 상당한 지역은 GPS의 사각지대 또는 오차 범위 밖의 무력화 상태 지역으로 존재하고 있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as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and with the opening of civilian signals (GPS L1 frequency C/A signals), navigation systems that utilize it as they are now typically have a positioning error of 5 to 10 meters. However, considerable areas such as apartments, indoors, tunnels, industrial complexes, and mountainous areas exist as blind spots or neutralized areas outside the error range of GPS.

대형 재난 상황 발생 시 옥내 건물의 경우 콘크리트 벽과 각종 차폐 시설물들로 인해 인명구조 인력의 현장 위치 파악이 힘들며, 산악지형이나 개활지 등의 산불 재난 현장에서도 연기나 바람, 인화성 물질 등으로 인해 본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다. 미아 방지와 독거노인 관리, 여성을 비롯한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려 차원에서도 정확한 위치정보의 파악은 필요하다.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it is difficult for rescue workers to identify the location of people in indoor buildings due to concrete walls and various shielding facilities. In the case of forest fire disaster sites in mountainous terrain or open areas, it is also difficult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due to smoke, wind, and flammable materials.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is also necessary to prevent missing children, manag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provide social care to vulnerable groups including women.

IOT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사회 전반적인 기기에 IOT 기술이 접목되고 사용되고 있으며, 구조자의 장비에도 여러 IOT 기술이 접목되어 사용하고 있거나 시험 단계에 있는 장비들도 있다. 그러나, 구조하는 구조자의 측면에서 요구조자(要救助者)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oT, IoT technology is being incorporated and used in devices throughout society, and there are also rescuers' equipment that incorporates various IoT technologies and is being used or is in the testing stage.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 in need of rescue from the rescuer's perspective.

등록특허공보 제10-2212200호 (2021년02월04일 등록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0-2212200 (registration notice on February 4, 202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요구조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계자 또는 구조대원에게 보내 구조대원의 혼선을 피하고 구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ology is proposed that allows a person in need of rescue to send his or he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levant person or rescue team, thereby avoiding confusion among rescue team members and enabling rescue to be carried out quick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요구조자가 쉽게 손에 쥐고 움직일 수 있는 휴대용 조명등에 통신 장치를 부착하고 5G 기술과 접목이 쉽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oRa(long range)를 활용한 휴대용 조명등을 개발하고자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device is attached to a portable light that can be easily held and moved by a user, and a portable light utilizing LoRa (long range) that is easy to integrate with 5G technology and enables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develop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밀폐된 지형 공간에서 LoRa WAN(wide area network)을 이용한 자기 위치 발생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device using a LoRa WAN (wide area network) in a closed terrain space is develop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고,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per zone can be provided, the method including: registering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generating an alarm and recording first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여기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ID(identification) 및 상기 구역 내의 위치별 고유번호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gister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registering an ID (identific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a unique number for each location within the area.

또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전원 상태, 통신 상태, 탈부착 상태 및 관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status, a communication status, a detachment status, and a control status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암호화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3변 측량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또한,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가 인가된 위치 정보이면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제2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ing second event information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notifying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이력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이력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 내의 프로그램에 설치된 학습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학습 결과로 출력하도록 상기 학습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a step of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step to process it into history data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inputting the history data into a learning model installed in a program within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a step of training the learning model to outpu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s a learning result using the history data as an input.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이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력 데이터가 레이블 데이터인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구역별 위치 정보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지, 또는 임계치 미만의 유사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학습 결과를 출력하도록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can train the learning model to obtain the history data through the learning model and output a learning resul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history data has a similarity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or a similarity lower than a threshold value with the area-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ich is label data.

또한, 상기 학습 모델은 지도 학습 기반의 학습 모델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학습 모델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이력 데이터를 참, 상기 임계치 미만의 유사도를 갖는 이력 데이터를 거짓으로 레이블링한 상기 레이블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is a supervised learning-based learning model, and the method can train the learning model by inputting the label data in which history data having a similarity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is labeled as true, and history data having a similarity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labeled as false through the learning model.

또한, 상기 학습 모델은 상기 레이블 데이터와 상기 학습 결과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손실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arning model can generate a loss function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bel data and the learning result.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이력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이력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 내의 프로그램에 설치된 학습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a step of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step and processing it into history data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inputting the history data into a learning model installed in a program within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a step of predi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through the learning model using the history data as in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고,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per zone, the method including: a step of registering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 step of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a step of generating an alarm and recording first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notify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고,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per zone, the method including: a step of registering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 step of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a step of generating an alarm and recording first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notify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구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고,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될 때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위치 정보를 이벤트 정보로 기록하는 관제 장치; 및 상기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를 통보받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may be provided, comprising: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a designated area; at least one gateway connected to each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s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device registering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and recording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as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a terminal device notified of the even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여기서,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기초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되, 상기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a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based on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gateway;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upply of the power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gateway, while encryp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LoRa(long range) 통신 환경에 포함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LoRa 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으로 상기 관제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gateway and the LoRa (long rang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gateway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LoRa WAN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또한, 상기 관제 장치는, 상기 LoRa WAN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상태 정보의 통신 감도를 측정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부를 통해 복호화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고,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가 인가된 위치 정보이면 위치 정보를 갱신한 후 제2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제2 이벤트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통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gateway through the LoRa WAN; a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nit that measures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status information; a decryption unit that decrypt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ateway;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decrypted through the decryption uni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and,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records first event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nd upd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s second event information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이력 데이터로 가공하며, 상기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내의 프로그램에 설치된 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llects the status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preprocesses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step to process it into history data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nputs the history data into a learning model installed in a program within the control unit, and predi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through the learning model using the history data as input.

또한, 상기 관제 장치는, 상기 학습 모델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모델은 상기 이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가 레이블 데이터인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구역별 위치 정보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지, 또는 임계치 미만의 유사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학습 결과를 출력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the learning model is stored, and the learning model can be trained to obtain the history data and output a learning resul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history data has a similarity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with the zon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ich is label data, or a similarity lower than a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IOT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조명 장치의 실제 활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그 장치를 뽑아 들고 있는 것만으로도 비상 상황의 발생과 그 위치를 방재실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요구조자를 수색하는 것 자체가 곤란한 화재 등 광범위한 공간에서 요구조자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위치와 이동 동선이 확인 가능하고 이 정보가 구조대원에게 전달될 경우 신속한 인명탐색이 가능하여 인명피해 감소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IOT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조명 장치는 휴대전화 등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므로 개인 정보 및 보안 관련 복잡한 문제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유사시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가 활성화되어 방재실 또는 소방대원이 요구조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 할 수 있어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하며, 특히 재난 발생 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로서 디지털화된 핫라인(소방, 경찰) 구축을 통한 유기적인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으로 인해 소방용 조난자 추적 또는 산업용으로는 자기 위치 추적이 필요한 장소에서 큰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that can be expected when actually using a portable lighting device with IoT technology applied is that it can be used as a device that can transmi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its location to a disaster prevention room just by pulling out the device. In a wide space such as a fire where it is difficult to search for a person in need of rescue, the location and movement route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presumed to be used by a person in need of rescue can be confirmed within a building, and if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rescue worker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casualties. Since a portable lighting device with IoT technology applied does not shar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 mobile phone, complex problem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and security can also be easily resolved. In an emergency,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activated, allowing a disaster prevention room or firefighters to quick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person in need of rescue, thereby securing the golden time, and in particular, as equipment that can protect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is possible to organically respond quickly by establishing a digitalized hotline (firefighting, police).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ill create a great effect in places where tracking of rescued persons for firefighting purposes or self-location tracking is required for industrial purpo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조명 시스템(1)의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제 장치(20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관제 장치(200)의 저장부(250) 내에 구축되는 학습 모델(252)의 학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학습 모델(252)을 이용하여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조명 시스템(1)의 관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위치 정보 모니터링 과정(S108)에서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방식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위치 정보 검출 방식을 실제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6의 위치 정보 모니터링 과정(S108)에서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다른 방식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of FIG.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of Figure 1.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emplarily explaining a learning method of a learning model (252) constructed in a storage unit (250) of a control device (200) of FIG. 3.
FIG. 5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explaining a method for predicting the posi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using the learning model (252) of FIG. 4.
FIG. 6 is a flowchart exemplarily explaining a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onitoring process (S108) of FIG. 6.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of Figure 7 is actually applie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onitoring process (S108) of FIG. 6.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unless they are actually necessar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LoRa(long range)는 IoT 통신을 위해 만들어진 통신 규격으로서, 다른 통신 규격과는 달리, 초장거리 연결과 저전력으로 좋은 환경에서 최대 10마일(16km)정도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LoRa (long range) is a communication standard created for IoT communication. Unlike other communication standards, i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up to 10 miles (16 km) in a good environment with ultra-long-distance connection and low power.

LoRa 자체는 NB-IoT나 SigFox와는 다르게 통신 규격이 아니라 변조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은 특별히 제공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사용자가 마음 먹기에 따라서 주소나 데이터가 중구난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광역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서 만들어진 통신 규격 표준이 LoRa WAN(wide area network)이다.LoRa itself is not a communication standard, unlike NB-IoT or SigFox, but a modulation method, so it does not provide a special protocol for communication. Therefore, addresses and data can be used in any way the user wants, and the communication standard created for wide area network communication is LoRa WAN (wide area network).

LoRa WAN은 합법적인 통신운용을 위한 지역 프로파일뿐만 아니라 제대로 된 노드 주소인 LoRa MAC, 통신 보안을 위한 보안 레이어가 같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서 제대로 된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 가능하게 되어있다.LoRa WAN provides not only a regional profile for legal communication operation, but also a LoRa MAC, which is a proper node address, and a security layer for communication security, making it possible to build a proper sensor network.

LoRa WAN은 응용분야에 따라 다음 A, B, C의 3가지 규격을 제공할 수 있다.LoRa WAN can provide three specifications: A, B, and C,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클래스: 양방향 초저전력, 모든 LoRa WAN 지원 기기가 기본적으로 지원해야 되는 프로파일이며, 항상 엔드 노드(end node) 쪽에서 통신 주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상시 작동할 필요 없이 만들 수 있어 배터리 소모는 가장 적으나 대신에 업링크(up-link)는 바로 가능해도 다운링크는 업링크가 발동할 때만 가능해서 통신이 매우 제한적이다.Class A: Bidirectional ultra-low power, this is the profile that all LoRa WAN-supporting devices must support by default. Since the communication cycle is always determined by the end node, it can be made without the need for constant operation, so it has the lowest battery consumption, but instead, although the uplink is possible right away, the downlink is possible only when the uplink is activated, so communication is very limited.

B클래스: A클래스와는 다르게 주기적인 비콘 신호를 보내서 엔드 노드로의 다운링크가 필요한가를 수시로 확인한다. A클래스보다는 유연하게 운용 가능하나 대신에 추가적인 전력소모를 감당해야 된다Class B: Unlike Class A, it sends periodic beacon signals to check whether a downlink to the end node is needed. It is more flexible than Class A, but require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C클래스: 엔드 노드 쪽에서 다운링크를 항상 열어놓는 프로파일. 게이트웨이에서 바로 신호를 보내서 다운링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수신기가 항상 작동해야 되기 때문에 그만큼의 추가전력 소모를 요구한다. 응용분야는 FOTA로 이를 위해서 A클래스 지원기기를 임시로 C클래스로 바꾸는 기능이 있는 기기들이 많다.Class C: A profile that always opens the downlink on the end node side. The gateway can send a signal directly to perform the downlink, but since the receiver must always be on, it require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he application area is FOTA, and many devices have the function to temporarily change Class A-supporting devices to Class C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LoRa 통신 환경과 LoRa WAN을 이용하여 주로 실내에 배치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service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mainly placed indoors is proposed by using the LoRa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LoRa WA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휴대용 조명 관제, 정보 수집, 설치 장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First, in order to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rtable lighting control,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stallation location as follows.

가) 휴대용 조명 관제 시스템 a) Portable lighting control system

(1) 서비스 데스크(information)(1) Service desk (information)

구성관리: 휴대용 조명의 등록 및 위치등록Configuration Management: Registering and Positioning Portable Lighting

장애관리: 휴대용 조명의 상태 정보를 받아 장애 파악Fault management: Receive status information of portable lighting to identify faults

이벤트 관리: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장애 이력을 관리Event Management: Manage the location fault history of portable lighting devices

문제관리: 이벤트 관리에서 장애 이력을 바탕으로 각종 문제를 관리Problem Management: Manage various problems based on failure history in event management.

변경관리: 각 장비의 위치를 변경 추가 삭제Change Management: Change the location of each piece of equipment, add, delete

(2) 대쉬 보드(dashboard)(2) Dashboard

비상 상황관리: 휴대용 조명 장치가 허가 없이 이동하거나 비상 재난 시 조명 장치의 위치를 알람과 함께 표시 Emergency management: If a portable lighting device is moved without permission 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lighting device is indicated with an alarm.

상시 상황관리 서비스: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시 위치를 표기Continuous situation management service: Display the permanent location of portable lighting devices

나) 정보 수집 센터(information collection center)b) Information collection center

(1) 정보가공(information processing operation)(1) Information processing operation

LoRa 게이트웨이에서 전송한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복호화해 기기이력 정보에 전송Decryp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transmitted from the LoRa gateway and send it to the device history information.

(2) 기기이력(Device History) (2) Device History

휴대용 조명 장치의 모든 이력 정보를 관할하며, 휴대용 조명 장치가 비인가 이탈 및 이상 시 대쉬 보드에 즉각 통보Manages all history information of portable lighting devices and immediately notifies the dashboard when a portable lighting device is unauthorized or abnormal.

(3) 위치정보(location information) (3) Location information

휴대용 조명 장치의 고유번호(MAC address) 등을 관리하고 장치의 위치를 계산 후 저장 통보하는 기능A function that manages the unique number (MAC address)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device, and then stores and notifies it.

다) 설치장소D) Installation location

(1) 휴대용 조명등 (1) Portable lighting

LoRa모듈을 포함한 휴대용 조명등으로 구역별로 설치가 되어 있고 상시에는 장비의 상태 정보만 전송하고 이탈 및 비상시에는 위치정보를 전송Portable lights including LoRa modules are installed in each area and only transmit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at all times, and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event of departure or emergency.

(2) LoRa 통신모듈 (2) LoRa communication module

위치정보는 LoRa 게이트웨이의 수신 감도만 전송하고 보안은 AES128로 전송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only with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LoRa gateway and security is transmitted with AES128.

(3) 현장정보 모듈 (3) Field information module

휴대용 조명 장치 정보를 관할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정보를 가공하고 통신 모듈에 전송하는 모듈A module that processes information with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hat controls portable lighting devic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 communication modul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술적 서포트가 필요하다.In addition, the following technical support is requir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 실내 기반 위치기반 알고리즘 및 거리 단축 로직 구현a) Implementation of indoor location-based algorithm and distance shortening logic

실외용으로 하는 위치기반 좌표 서비스(예컨대, GPS)는 여러 기술이 발전되어 왔으나 실내의 위치 파악은 아직 구역 센서 및 인식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AP 이용 시 구간 및 주파수 단거리를 이용한 거리의 제한, 여러 GateWare를 장착 등 솔루션 설계들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실내에서 최대 거리 및 효율적 위치 인식을 할 수 있는 솔루션인 LoRa 통신기술인 WAN 방식을 이용한 사업 추진의 기술 점검 및 기술 모듈별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기존의 위치 인식 정확도인 ±4.5m ~ ±12.5m보다 향상된 정확도에서 ±8m ~ ±10m 이내의 '실내 광범위 위치 발송'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10m의 정밀도 기준으로 다층간 위치 구분을 통함과 동시에 자기 좌표 발신 Process 구현이 가능하다.Location-based coordinate services for outdoor use (e.g. GPS) have been developed with various technologies, but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still uses area sensors and recognition terminals, and solution designs are inefficient due to distance restrictions using short sections and frequencies when using APs and mounting multiple GateWares. Accordingly, we plan to conduct a technology inspection and technology module-by-technology development for business promotion using the WAN method, a LoR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recognize locations at maximum distance and efficiently indoors. The goal is to develop 'indoor wide-range location transmission' within ±8m to ±10m with improved accuracy than the existing location recognition accuracy of ±4.5m to ±12.5m,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lf-coordinate transmission process while distinguishing locations between multiple layers with a precision of ±10m.

나) 실내 기반 Z축 Level 위치 파악 알고리즘 구현b) Implementation of an indoor-based Z-axis level positioning algorithm

Safe Location 좌표 정확도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삼각측정량 방식으로 (X축, Y축: 수평) 인식 및 정확한 레벨(Z축: 층)위치 기술을 이용함으로 ±8m ~ ±10m 이내 위치 발산 정확도 개발Development of location divergence accuracy within ±8m to ±10m by using recognition (X-axis, Y-axis: horizontal) and accurate level (Z-axis: floor) positioning technology as a basic triangulation method to implement Safe Location coordinate accuracy.

다) 상호 단말기내의 정확도 D) Accuracy within the mutual terminal

소방구조원 실내 위치 추적 신속성을 위한 통합기술 상용성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휴대용 조명등과 안전 관리자의 단말기 사이의 정확도를 파악하여 상호 쌍방의 단말기의 정도를 측정하여 위치 파악 거리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송신 방향성을 고려한 실시간 위치 좌표 Map을 구현 상시 위치 표기할 필요가 있다.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mercial product for integrated technology for rapid indoor location tracking of firefight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cation-finding distance algorithm by measuring the accuracy between portable lights and safety managers' terminals and measuring the degree of each other's terminals, and to implement a real-time location coordinate map that considers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and to display the location at all times.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발 범위가 요구된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evelopment scope is requir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 휴대용 비상조명등 LED 모듈과 전원 제어부 개발이 필요하다.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LED module and power control unit.

(1) 휴대용 비상조명등 LED 모듈 전원부 개발: (1) Development of portable emergency lighting LED module power supply:

조명부: 저 전력 원형 LED 모듈과 전원 조정 모듈 개발Lighting Department: Development of low power circular LED modules and power regulation modules

전원부: 5V 충전지를 선택하고 충전 모듈과 충전지 일체화 개발, 조명부와 전원부의 일체화 개발Power supply: Select a 5V rechargeable battery and develop an integrated charging module and rechargeable battery, and develop an integrated lighting unit and power supply.

(2) 휴대용 비상조명등 테스트: (2) Portable emergency lighting test:

휴대용 비상 조명등 전원 상시 ON 상태에서 지속 시간 테스트Portable emergency light power always ON duration test

LED 조명의 상시 시간 내 조도 테스트Constant time illuminance testing of LED lighting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전원인 충전지의 충전 시간 테스트Testing the charging tim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hat powers the portable emergency light

나) LoRa 통신 모듈과 정보 가공 통보용 MCU 구성 개발A) Development of LoRa communication module and MCU configura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notification

(1) LoRa 통신 모듈 (1) LoRa communication module

LoRa는 작은 데이터를 멀리 전송하는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비슷한 통신 방법이나 이와 다르게 상당히 먼 거리까지 데이터를 송신 가능하다. 최대 약 15Km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바다와 같은 장해물이 없는 지역에서는 100Km까지 전송이 가능하다.LoRa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small data over long distances.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similar to Bluetooth or Zigbee, but unlike these, it can transmit data over a considerably long distance. It can transmit up to about 15 km, and in areas without obstacles such as the sea, it can transmit up to 100 km.

(2) 현장정보 모듈 (2) Field information module

휴대용 비상 조명등 정보를 관할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정보를 가공하고 통신 모듈에 전송하는 모듈이 필요하다.A module is required to process information from a MCU (micro controller unit) that controls portable emergency lighting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a communication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의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휴대용 조명 장치(100), 게이트웨이(102), 제1 네트워크(10), 관제 장치(200), 제2 네트워크(20) 및 단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may include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 gateway (102), a first network (10), a control device (200), a second network (20), and a terminal device (300).

휴대용 조명 장치(100)는 주로 밀폐된 지형 공간, 예를 들어 지하철 플랫폼, 지하 상가,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지하 건축물의 복수 개의 지정된 구역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구역은, 예를 들어 비상구, 피난로, 대피로 등과 같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시 요구조자가 쉽게 인지가 가능한 특정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휴대용 조명 장치(100)를 하나의 장치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특정 휴대용 조명 장치의 구체적인 기능은 하기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multiple designated areas, mainly in enclosed terrain spaces, such as subway platform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underground parking lots, of underground buildings. Here, the designated areas may include specific areas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rescue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n emergency exit, an evacuation route, and an escape route, for example. Although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s illustrated as a single device in FIG. 1,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 the embodiment, and the specific functions of a specific portable ligh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2 below.

게이트웨이(102)는 복수 개로 설치된 휴대용 조명 장치(100)마다 복수 개로 연결되어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휴대용 조명 장치(100)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게이트웨이(102)가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ateways (102)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ed portable lighting devices (100) to transmit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s (100). For example, at least three gateways (102)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ed portable lighting devices (100).

이러한 게이트웨이(102)와 휴대용 조명 장치(100)는 LoRa 통신 환경에 포함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102)는 후술하는 제1 네트워크(10)를 통해 관제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These gateways (102) and portable lighting devices (100) can be included in a LoRa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gateway (102) can be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first network (10) described below.

제1 네트워크(10)는 LoRa 통신 환경의 휴대용 조명 장치(100)와 게이트웨이(102)가 관제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제1 네트워크(10)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 UWB(ultra-wide band)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네트워크(10)의 통신 방식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network (10) is a network that enables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nd a gateway (102) in a LoR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be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200). This first network (10) may include, for exampl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AN, and an ultra-wide band (UWB). However,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is first network (10) is only an example, and networks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관제 장치(200)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를 등록하고, 등록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상 모드 또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탈거가 감지될 때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위치 정보를 이벤트 정보로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장치(200)의 구체적인 기능은 하기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The control device (200) registers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monitors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collects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monito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s detected, and records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as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s changed. The specific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3 below.

제2 네트워크(20)는 관제 장치(200)와 후술하는 단말 장치(3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제2 네트워크(20)는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LAN, WAN, UWB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제 장치(200)와 단말 장치(30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2 네트워크(20)의 통신 방식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network (20) is a network that connects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terminal device (300) described below. This second network (20) may include a wide-are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AN, WAN, or UWB, and may interconnect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terminal device (300). However,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is second network (20) is only an example, and networks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단말 장치(300)는 제2 네트워크(20)를 통해 관제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300)는, 예를 들어 비상 상황시 소방대원의 단말 장치, 지하철 역무원의 단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제 장치(20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통보 받을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device (200) via the second network (20). Such terminal device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terminal device of a firefighter in an emergency situation, a terminal device of a subway station worker, etc., and may receive even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200).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of FIG.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전원부(130) 및 조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power supply unit (130), and a lighting unit (140).

통신부(110)는 LoRa 통신 환경의 게이트웨이(10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에서 취합되는 휴대용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게이트웨이(102)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provid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communicating with a gateway (102) of a LoR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120) to the gateway (10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제어부(120)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게이트웨이(102)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되, 휴대용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는 휴대용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제3자에 의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so that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gateway (102),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can be encrypted. Here, encryption is a process for prevent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from being exposed to a third party.

전원부(130)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조명 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LoRa 통신 환경에서 저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한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0) can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2). The power supply unit (130) can be a battery that can operate at low power in a LoRa communication environment.

조명부(140)는 전원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기초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40)는 는 LoRa 통신 환경에서 저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한 LED(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140) can irradiate light based on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This lighting unit (140) can be applied with LEDs (light emitting diodes) that can be operated with low power in a LoRa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3은 도 1의 관제 장치(20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of Figure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장치(200)는 LoRa WAN을 통해 게이트웨이(102)와 통신하는 통신부(210);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제공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의 통신 감도를 측정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부(220);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230); 복호화부(230)를 통해 복호화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저장부(250)에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며,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 장치(300)로 제1 이벤트 정보가 통보될 수 있게 하고, 변경된 위치 정보가 인가된 위치 정보이면 위치 정보를 갱신한 후 제2 이벤트 정보를 저장부(250)에 기록하며, 통신부(210)를 통해 제2 이벤트 정보가 단말 장치(300)로 통보될 수 있게 하는 제어부(204); 제어부(240)에 의해 가공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240)에 의해 취합되는 수집 데이터를 기초로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예측하도록 학습되는 학습 모델이 저장되는 저장부(250); 및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표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a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210) that communicates with a gateway (102) via LoRa WAN; a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nit (220) that measures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status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provided via the gateway (102); a decryption unit (230) that decrypt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gateway (102); A control unit (204)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decrypted through a decryption unit (230),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s an alarm and records first event information in a storage unit (250), and enables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a terminal device (3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210), and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upd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s second even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50), and enables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the terminal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50) that stores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40), and stores a learning model that is learned to predi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based on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240); and a display unit (260) that displays and processes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prediction results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to the user.

이때, 제어부(204)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이력 데이터로 가공하며, 가공되는 이력 데이터를 제어부(204) 내의 프로그램에 설치된 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학습 모델을 통해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4) collects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preprocesses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step, processes it into history data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nputs the processed history data into a learning model installed in a program within the control unit (204), and predi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through the learning model using the history data as input.

도 4는 도 3의 관제 장치(200)의 저장부(250) 내에 구축되는 학습 모델(252)의 학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emplarily explaining a learning method of a learning model (252) constructed in a storage unit (250) of a control device (200) of FIG. 3.

학습 모델(252)은 저장부(250) 내의 별도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휴대용 조명 장치 관리 프로그램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에 의해 휴대용 조명 장치 관리 프로그램이 로드되어 학습 모델(252)이 실행되거나, 제어부(240)에 의해 학습 모델(252)이 학습되어 휴대용 조명 장치 관리 프로그램이 수정될 수 있다.The learning model (252)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program within the storage (250), for example, a portable lighting device management program, and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anagement program may be loaded by the control unit (240) to execute the learning model (252), or the learning model (252) may be learned by the control unit (240) to modify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anagement program.

이러한 학습 모델(252)은 이력 데이터(X)를 획득하고, 이력 데이터(X)가 레이블 데이터(y)인 휴대용 조명 장치의 구역별 위치 정보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지, 또는 임계치 미만의 유사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학습 결과()를 출력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때, 이력 데이터(X)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에서 수집되는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 데이터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 위치 정보(등록 및 갱신되는 정보),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is learning model (252) obtains history data (X) and determines whether the history data (X) has a similarity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with the area-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ich is the label data (y), or a similarity lower than a threshold value. ) can be learned to output. At this time, the history data (X) may include data obtained by preprocessing collected data collected from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Here, the collected data may include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update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이러한 학습 모델(252)은 지도 학습 기반의 학습 모델이고, 제어부(240)는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이력 데이터(X)를 참, 상기 임계치 미만의 유사도를 갖는 이력 데이터(X)를 거짓으로 레이블링한 레이블 데이터(y)를 입력으로 하여 학습 모델(252)을 학습시킬 수 있다.This learning model (252) is a learning model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and the control unit (240) can train the learning model (252) by inputting label data (y) that labels history data (X) having a similarity higher than a threshold as true and history data (X) having a similarity lower than the threshold as false.

이때, 학습 모델(252)은 레이블 데이터(y)와 학습 결과()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손실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rning model (252) uses the label data (y) and the learning result ( ) can be used to create a loss function that reduces the difference.

이러한 학습 모델(252)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기반의 학습 모델, 또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기반의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학습 모델(252)은, SVM(support vector machine),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등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등의 기법들이 적용된 심층 기계학습(deep learning) 모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알고리즘의 학습 모델을 한정하지는 않는다.This learning model (252) may include a learning model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or a learning model based on unsupervised learning. 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25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chine learning model to which algorithms such as SVM (support vector machine) and linear regression are applied, and a deep machine learning model to which techniques such as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DNN (Deep Neural Network) are applied, and is not limited to a learning model of a specific algorithm.

도 5는 도 4의 학습 모델(252)을 이용하여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explaining a method for predicting the posi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using the learning model (252) of FIG. 4.

위치 예측을 위한 학습 모델(252)은 이력 데이터(X)를 획득하고, 획득되는 이력 데이터(X)를 기초로 기 구축된 학습 네트워크에 따라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 예측 결과인 학습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력 데이터(X)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에서 수집되는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 데이터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 위치 정보(등록 및 갱신되는 정보),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model (252) for location prediction obtains history data (X) and, based on the acquired history data (X), generates a learning result (which is a result of predi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learning network constructed in advance. ) can be output. At this time, the history data (X) may include data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from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Here, the collected data may include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update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이러한 학습 모델(252)은 지도 학습 기반의 학습 모델, 또는 비지도 학습 기반의 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학습 모델(252)은, SVM, 선형 회귀 등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기계학습 모델과, CNN, DNN등의 기법들이 적용된 심층 기계학습 모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알고리즘의 학습 모델을 한정하지는 않는다.These learning models (252) may include learning models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or learning models based on unsupervised learning. 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25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chine learning model to which algorithms such as SVM and linear regression are applied, and a deep machine learning model to which techniques such as CNN and DNN are applied, and is not limited to a learning model of a specific algorithm.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조명 시스템(1)의 관리 방법을 첨부하는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6 attach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은,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조명 장치(100)가 설치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의 관리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in which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s installed per zon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휴대용 조명 장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S100). 여기서, 등록하는 단계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ID(identification) 및 특정 구역 내의 위치별 고유번호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register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S100). Here, the registra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registering an ID (identific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nd a unique number for each location within a specific area.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등록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02). 여기서, 상태 정보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전원 상태, 통신 상태, 탈부착 상태 및 관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monitor status information of a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S102). Here, the status information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ower status, communication status, attachment/detachment status, and control status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04).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collect data based on status information (S104).

이후,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비상 모드가 수행되는지 또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탈거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6).Thereafter,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mode is performed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s detected (S106).

비상 모드의 수행 또는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탈거가 감지되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08).When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s detected,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monit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S108).

이러한 모니터링 단계에서,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위치 정보 변경은 사용자가 휴대용 조명 장치(100)를 탈거한 후 원래 위치에서 이동시킨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monitoring step,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has changed (S110). The change in location information may mean that the user has removed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nd moved it from its original location.

이후,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2).Thereafter,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determine whether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S112).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S114).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generate an alarm and then record the first event information (S114).

이후,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에 연결된 단말 장치(300)로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정보의 통보 방식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 애플리케이션 푸시(application push)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reafter,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notify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300) connected to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as a method for notify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thod and an application push method.

반면, 단계(S112)의 판단 과정에서, 변경된 위치 정보가 인가된 위치 정보이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은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제2 이벤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S118).On the other hand, in the judgment process of step (S112),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can updat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S118).

이러한 제2 이벤트 정보는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로 통보될 수 있다.This second event information can likewise be notified to the terminal device.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S104)의 수행 후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의 관리 방법은 다음의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performing the above data collection step (S104),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의 관리 방법은,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이력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 이력 데이터를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 내의 프로그램에 설치된 학습 모델(252)에 입력하는 단계; 및 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학습 결과로 출력하도록 학습 모델(252)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 step of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step to process it into history data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a step of inputting the history data into a learning model (252) installed in a program within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and a step of training the learning model (252) to outpu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s a learning result by using the history data as input.

또한,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1)의 관리 방법은,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휴대용 조명 장치의 이력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 이력 데이터를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 내의 프로그램에 설치된 학습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및 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학습 모델을 통해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 step of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step to process it into history data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inputting the history data into a learning model installed in a program within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a step of predi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through the learning model by using the history data as input.

도 7은 도 6의 위치 정보 모니터링 과정(S108)에서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방식을 예시한 개념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onitoring process (S108) of FIG. 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OT 네트워크를 활용한 위치 측위 로직 설계를 기초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location determination logic design utilizing an IoT network.

먼저, 위치 측위를 활용하여 요구조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도 7과 같은 3변 측량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First, it is necessary to apply a three-axis measurement method, such as that in Fig. 7, to retrieve the exa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requesting rescue by utilizing positioning.

3변 측량 방식에 의한 위치 추적은 한 변의 길이와 양끝 두 각을 이용하는 삼각 측량과는 달리 두 개 이상의 기준점과 물체의 각 기준점과 거리를 이용한 방식이며, 최소 3개의 수신 감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기초로 위치 예측이 가능하며, 수신감도에 따라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Position tracking using the 3-axis survey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riangulation, which uses the length of one side and the two angles at both ends, in that it uses two or more reference points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reference point of an object. Position prediction is possible based on at least thre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s (RSSI), and position measurement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또한, 3개의 LoRa 신호를 이용해서 위치를 찾는 방법으로 삼각 측량은 거리와 각도를 가지고 있지만, 3변 측량은 거리만을 가지고 위치를 알아낸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GPS도 삼변 측량에 해당될 수 있다.Also,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riangulation, which is a method of finding a location using three LoRa signals, has distance and angle, while trilateration only uses distance to find the location, and GPS can also be considered trilateration.

도 8은 도 7의 위치 정보 검출 방식을 실제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개념도이다.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of Figure 7 is actually applied.

휴대용 조명 장치(100)는 3변 측량 방식에 의해 3개의 게이트웨이(102-1~102-3)와 연결될 수 있으며, 3변 측량은 각각의 게이트웨이(102-1~102-3)에서 송출되는 신호 강도를 이용해서 현재 위치에서의 대략적인 거리를 구하고, 이들이 교차되는 공간의 중앙점을 사용자 위치로 정할 수 있다.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can be connected to three gateways (102-1 to 102-3) by a triangulation method. Triangulation can use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from each gateway (102-1 to 102-3) to obtain an approximat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and determine the center point of the space where they intersect as the user's location.

이때,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사용 주파수 대역은 비 면허 대역인 920~923MHz를 사용 가능하며,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를 수집할 수 있다. 수신강도(RSSI)는 밀리와트 단위 수신전력이고, dBm 단위로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값은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equency band used by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can use the unlicensed band of 920 to 923 MHz,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gateway (102).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is the received power in milliwatts, can be measured in dBm, and the measured value can be used to indicate the reception sensitivity.

또한, RSSI 값은 dBm 단위로 측정 되며(음수로 0에 가까울수록 수신 감도 좋음), 일반적으로 LoRa RSSI 최소값은 -120 dBm이며, 수신 감도가 좋은 경우는 -30dBm로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거리별 수심감도 측위 방법이 검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SSI value is measured in dBm (the closer it is to 0 as a negative number, the better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minimum LoRa RSSI value is generally -120 dBm, and in the case of good reception sensitivity, -30 dBm, so that a method for determining depth sensitivity by distance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can be examined.

한편, 도 9는 도 6의 위치 정보 모니터링 과정(S108)에서 휴대용 조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다른 방식을 예시한 개념도이다.Meanwhile,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10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onitoring process (S108) of FIG. 6.

도 9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exemplarily explaining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를 알고 있을 때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TDOA는 두 수신기의 전파 도착시간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만일 한 개의 수신기에 안테나를 2개를 두고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면 2개의 수신기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TOA (Time of Arrival)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using triangul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is known, and TDOA is a method of using the difference in the arrival times of radio waves at two receivers. If two antennas are placed on one receiver and the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is measured, a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with two receivers can be appli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IOT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조명 장치의 실제 활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그 장치를 뽑아 들고 있는 것만으로도 비상 상황의 발생과 그 위치를 방재실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요구조자를 수색하는 것 자체가 곤란한 화재 등 광범위한 공간에서 요구조자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위치와 이동 동선이 확인 가능하고 이 정보가 구조대원에게 전달될 경우 신속한 인명탐색이 가능하여 인명피해 감소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IOT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조명 장치는 휴대전화 등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므로 개인 정보 및 보안 관련 복잡한 문제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유사시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가 활성화되어 방재실 또는 소방대원이 요구조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 할 수 있어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하며, 특히 재난 발생 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로서 디지털화된 핫라인(소방, 경찰) 구축을 통한 유기적인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으로 인해 소방용 조난자 추적 또는 산업용으로는 자기 위치 추적이 필요한 장소에서 큰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when actually using a portable lighting device with IoT technology applied are that it can be used as a device that can transmi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its location to a disaster prevention room simply by pulling out the device. In a wide space such as a fire where it is difficult to search for a person in need of rescue, the location and movement route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presumed to be used by a person in need of rescue can be confirmed within a building, and if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rescue worker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casualties. Since a portable lighting device with IoT technology applied does not shar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 mobile phone, complex issu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and security can also be easily resolved. In an emergency,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activated, allowing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or firefighters to quick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person in need of rescue, thereby securing the golden time, and in particular, as equipment that can protect the lives of citizen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is possible to organically respond quickly by establishing a digitalized hotline (firefighting, police).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ill create a great effect in places where tracking of rescued persons for firefighting purposes or self-location tracking is required for industrial purposes.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Meanwhile,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attached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install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the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reate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emory) that can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specific manne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emory) can also produce a manufactured item that includes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And,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install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so that the instructions that execute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an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at least one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they perform.

1: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 100: 휴대용 조명 장치
102: 게이트웨이 110: 통신부(조명 장치측)
120: 제어부(조명 장치측) 130: 전원부
140: 조명부 10: 제1 네트워크
200: 관제 장치 210: 통신부(관제 장치측)
220: GIS부 230: 복호화부
240: 제어부(관제 장치측) 250: 저장부
252: 학습 모델 260: 표시부
20: 제2 네트워크 300: 단말 장치
1: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100: Portable lighting device
102: Gateway 110: Communications Unit (Lighting Device Side)
120: Control unit (lighting device side) 130: Power unit
140: Lighting Section 10: Network 1
200: Control device 210: Communication unit (control device side)
220: GIS Department 230: Decryption Department
240: Control unit (control device side) 250: Storage unit
252: Learning model 260: Display section
20: Second network 300: Terminal device

Claims (7)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고, 변경된 위치 정보가 비인가 위치 정보이면 알람을 발생시킨 후 제1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가 인가된 위치 정보이면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제2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per zone,
A step of registering the above portable lighting device;
A step of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being registered;
A step of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above status information;
A step of moni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A step of generating an alarm and then recording first event informa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un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notify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a step of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rding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A step of notifying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Method of maintain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ID(identification) 및 상기 구역 내의 위치별 고유번호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
In paragraph 1,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step includes a step of registering the ID (identific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a unique number for each location within the area.
Method of maintain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전원 상태, 통신 상태, 탈부착 상태 및 관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
In paragraph 1,
The abov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ower status, communication status, attachment/detachment status, and control status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ethod of maintain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암호화된 위치 정보인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
In paragraph 1,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is encrypted location information.
Method of maintain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3변 측량 방식으로 획득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의 관리 방법.
In paragraph 1,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triangular surveying method.
Method of maintaining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삭제delete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구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를 등록하고, 등록되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상 모드 또는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탈거가 감지될 때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휴대용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위치 정보를 이벤트 정보로 기록하는 관제 장치; 및
상기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를 통보받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변경된 위치 정보가 인가된 위치 정보이면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제2 이벤트 정보를 기록과 상기 제2 이벤트 정보를 상기 관제 장치로부터로 통보받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시스템.
In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s,
A portable lighting device,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in a designated area;
At least one gateway connected to each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s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s; and
A control device that registers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monitors status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portable lighting device, collects data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monito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when an emergency mode or removal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detected, and records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as event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is changed; and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the event information from the above control device;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device updating location information if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is authorized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receiving notification of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KR1020230047421A 2023-04-11 2023-04-11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Active KR102831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421A KR102831480B1 (en) 2023-04-11 2023-04-11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421A KR102831480B1 (en) 2023-04-11 2023-04-11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1433A KR20240151433A (en) 2024-10-18
KR102831480B1 true KR102831480B1 (en) 2025-07-09

Family

ID=9329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421A Active KR102831480B1 (en) 2023-04-11 2023-04-11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31480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80B1 (en) * 2008-10-16 2011-04-1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Emergency treatment methods and systems
KR101245165B1 (en) * 2011-05-02 2013-03-18 (주)삼우이앤씨 Crime prevention security system
KR101743059B1 (en) * 2015-05-21 2017-06-02 이상무 Multi-purpose emergency detecting lamp with lantern
KR102212200B1 (en) 2019-05-16 2021-02-04 (주)엔플러그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lighting device based on I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1433A (en) 202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47571B (en) Evacuation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luetooth positioning and computer equipment
RU2472226C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location of individuals
CN113543031B (en)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broadcasting with relevant range
US7091851B2 (en) Geolocation system-enabled speaker-microphone accessory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s
Naticchia et al. A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interference control on large construction sites
US8325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al measurements and displays
ES2551099T3 (en) Position Tracking System
KR101099745B1 (en)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03292A1 (en) Incident control system with multi-dimensional display
CN106408848A (en) Individual evacuation plan generation and notification via smart/wearable devices by positioning and predicting emergencies inside a building
CN103353981A (en) RFID/wireless network-based fire escape cloud command system and method
CN206133827U (en) An indoor emergency escape navigation device
US20190075421A1 (en) Location system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s
US20130093589A1 (en) Responder accountability proximity wireless alert system and method
Ulusar et al. Cognitive RF-based localization for mission-critical applications in smart cities: An overview
KR101684836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of car for educational institute using beacon on the base of bluetooth protocol
Belli et al. A cloud-oriented indoor-outdoor real-time localization IoT architecture for industrial environments
EP2597423A1 (en) Indoor navigation and localisation system and method to locate a mobile unit
KR102831480B1 (en) Portable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D'Souza et al. Wireless localisation network for patient tracking
JPH0480353B2 (en)
US20180356514A1 (en) Mobile beacon for locating building occupants
Kitazato et al. Detection of pedestrian flow using mobile devices for evacuation guiding in disaster
KR101228945B1 (en) Wen-based low power disaster warning system
Benkhelifa et al. Locating emergency responders using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