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27562B1 - Citizen-engaged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 Google Patents
Citizen-engaged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27562B1 KR102827562B1 KR1020230150541A KR20230150541A KR102827562B1 KR 102827562 B1 KR102827562 B1 KR 102827562B1 KR 1020230150541 A KR1020230150541 A KR 1020230150541A KR 20230150541 A KR20230150541 A KR 20230150541A KR 102827562 B1 KR102827562 B1 KR 1028275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aster
- information
- user
- data
- ty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간 재해정보를 공유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와,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자료를 포함하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취득하는 사용자데이터 취득부; 상기 시각자료 및 상기 텍스트자료에서 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 위치정보 간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 상기 신뢰성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사건정보로 등록하는 재해정보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재해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사용자 단말기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재해정보 공유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tizen-participatory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sharing disaster information between users, and comprises a user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user upload data including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a photo and a video, and text data including a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for judging the reliability of the user upload data by judging the identity between at least one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visual data and the text data; a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user upload data determined to be reliable as event information; and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selecting a user terminal related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민들이 직접 실시간 재해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a service through which citizens can directly shar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따라 재난 피해 예방과 대비를 위해 재난발생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해당 지역 내에 시민들에게 발송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end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ontaining disaster information to citizens in the relevant region in order to prevent and prepare for disaster damage when a disaster occurs.
여기서 재난정보는 지진 등 자연재해부터 기상특보, 정전, 화재, 바이러스 유행 등의 사회 재난, 민방공경보 등의 국가비상사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Disaster information here provides a variety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o social disasters such as weather warnings, power outages, fires, and virus outbreaks, to national emergencies such as civil defense warnings.
그러나 재난정보 제공주체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소수에 불과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is limited because only a small number of disaster information providers ar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이를 해결하기 위한 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150호는, 재난현장에 있는 사용자가 직접 재난현장정보를 보고하고, 타 사용자가 재난현장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s a patent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150 discloses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that allows users at a disaster site to directly report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other users to view disaster site information.
하지만 상기 특허의 경우, 사용자가 업로드한 재난현장정보의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지 않아 잘못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문제점과, 재난현장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사용자에게 재난현장정보를 전송하므로 재난현장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 모두에게 전송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과,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patent,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possibility of incorrect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because the reliability of disaster site information uploaded by the user is not judged, the possibility of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not being transmitted to all people who need it becaus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users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upload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 absence of a means to activate the service.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간 실시간 재해정보 공유가 가능하고, 잘못된 재해정보를 필터링하여 정확한 재해정보만을 제공하고, 필요한 사용자에게만 해당 재해정보가 공유될 수 있고, 서비스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enables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between users, filters out incorrect disaster information to provide only accurate disaster information, enables disaster information to be shared only with necessary users, and improves service utiliza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간 재해정보를 공유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와,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자료를 포함하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취득하는 사용자데이터 취득부; 상기 시각자료 및 상기 텍스트자료에서 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 위치정보 간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 상기 신뢰성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사건정보로 등록하는 재해정보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재해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사용자 단말기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재해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tizen-participatory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sharing disaster information between users, comprising: a user data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user upload data including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a photo and a video, and text data including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 data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user upload data by determining the identity between at least one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visual data and the text data; a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user upload data determined to be reliable as event information; and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selecting a user terminal related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는, 상기 텍스트자료로부터 제1 재해유형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환경추출부; 상기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에 인공지능 기반 재해유형판단모델을 적용하여 제2 재해유형을 판단하는 재해유형 판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재해유형 간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재해유형 동일성 판단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includes a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that obtains first disaster type information from the text data; a disaster type judgment unit that applie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to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the photos and videos to determine a second disaster type; and a disaster type identity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types.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는, 상기 시각자료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되는 제1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상기 텍스트자료에 의해 취득되는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identity of the first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metadata of the visual data and the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xt data.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해정보 등록부는, 적어도 2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또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이상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서로 동일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일사건 판단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includes a same eve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user upload data uploaded from at least two user terminals or two or more user upload data uploaded from one user terminal are the same event.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등록된 사건정보의 재해발생위치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를 공유대상 사용자로 선별하는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ncludes a user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user as a sharing target user, in which a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of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matches the reg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는, 집주소, 회사주소, 출퇴근경로, 관심지역에 대한 지역정보를 포함한다.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the reg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regional information on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commuting route, and area of interest.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상기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한 시각자료를 포함하는 사건정보현황을 작성하는 재해정보 현황제공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시각자료를 포함하는 사건정보현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 공유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ncludes a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unit that creates an incident information status including visual data for each of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and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control unit that provides the incident information status including the visual data to a user terminal when a user accesses an application or web p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상기 사건정보현황에, 등록된 사건정보에 관련된 CCTV의 URL주소를 포함하는 CCTV리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provides CCTV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RL address of the CCTV related to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in the incident information status.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업로드 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 점수를 조정 및 관리하고, 등록된 사건정보별로 상기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작성하는 사용자 점수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상기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관련 사건정보현황에 추가로 표시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user score management unit that adjusts and manages user scores based on user upload data upload performance and creates a user score ranking list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additionally displays the user score ranking list in the relevant incident information status.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점수 관리부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사건정보로 등록된 횟수 및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시각자료를 타 사용자가 열람한 횟수에 기반하여 사용자 점수를 조정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adjusts the user scor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pload data is registered as event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visual data included in the user upload data is viewed by other users.
본 발명에 따르면,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는 신뢰성판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한 업로드 데이터가 잘못된 정보인지 여부가 판단되므로, 잘못된 정보를 필터링함으로서 정확한 재해정보만을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uploaded data by a user is incorrect information through a reliability judgment unit, so that incorrect information can be filtered out, thereby sharing only accurate disast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장치의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가 등록된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용자를 선별함으로써, 사용자 각각에 대한 불필요한 재난정보 알림을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evice, unnecessary disaster information notifications to each user can be blocked by selecting users who are actually necessary and registered in a user selection unit based on user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점수 관리부가 조정 및 관리하는 사용자 점수, 사용자 점수 순위를 재해정보 공유부가 타 사용자에게도 공유함으로써, 본 서비스 이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adjusts and manages the user score and user score ranking, and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shares this with other users,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is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해정보 등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해정보 공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해정보 공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점수 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section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llustrated in Figure 4.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illustrated in Figure 1.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First,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In addition, some terms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of a term, it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described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represent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o describe them. That is, even i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all depicted in multiple drawings, the multiple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o distinguish between components. These ordinals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manner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s. For example,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se ordinals should not be restricted in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etc., by their numbers.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module," "unit," "part," etc. are terms used to refer to component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units," "parts," etc.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or chip and implemented as at least one processor, except in cases where each of them needs to be implemented as individual specific hardware.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there is a specific description to the contrary.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1 구성, 제2 구성 및 제3 구성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1, configuration 2 or configuration 3)의 의미는, "오직 제1 구성", "오직 제2 구성", "오직 제3구성", "제1 구성과 제2 구성", "제2 구성과 제3 구성", "제1 구성과 제3 구성", "제1 구성과 제2 구성과 제3 구성 모두"인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1, configuration 2 or configuration 3” can include all of the cases of “only the first configuration,” “only the second configuration,” “only the third configuration,” “both the first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the second configuration and the third configuration,” “the first configuration and the third configuration,” and “both the first configuration, the second configuration and the third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인증부(110), 데이터 취득부(120),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130), 재해정보 등록부(140), 재해정보 공유부(150), 재해정보 공유부(150), 사용자 점수 관리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unit (110), a data acquisition unit (120), a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a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0),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150), a user score management unit (160), and a storage unit (170).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가 업로드한 재해정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해정보 발생위치와 관련된 타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서버와 같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er (100) filters disaster information uploaded by users who have subscribed to the servic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sharing the filtered disaster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related to the location of occurrence, and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such as a server equipp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memory, and storage device.
사용자 인증부(11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10) performs the function of authenticating a user terminal based on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인증부(110)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 접속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A user can access the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or webpage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f authenticated by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10), and a user accessing the service can upload data through the application or webpage on the user terminal.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본 서비스에 최초로 가입 시 입력받아 저장부(180)에 저장하는 정보로서, 사용자 성명, 집주소, 회사주소, 출퇴근경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서비스 이용 중에 추가된 관심지역 등의 부가정보와, 사용자점수 정보를 포함한다. Us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s entered by the user when he or she first registers for this service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and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name,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commuting route, and phone number, as well a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reas of interest added while using the service, and user score information.
개인정보 중 집주소, 회사주소, 출퇴근경로는 공유대상 사용자를 선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관심지역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도 공유대상 사용자를 선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리고 사용자점수 정보는 서비스 이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이다.Personal information such as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and commuting route are used to select users to be shar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reas of interest are also used to select users to be shared. In addition, user score information is used to improve service usability.
사용자데이터 취득부(120)는 사용자 단말기에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와, 텍스트 자료를 포함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The user data acquisition unit (120) provides a user interface to a user terminal and acquires user upload data including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a video and a photo and text data from the user terminal.
유저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와,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위치를 포함하는 텍스트자료를 업로드하도록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다.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of the service can upload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a photo and a video, and text data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인터페이스는 텍스트자료 입력부분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위치 각각에 대해 텍스트로 입력 시, 입력내용과 관련된 관련 항목을 팝업시켜 일정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With regard to the text data input section, the interface can be provided so that when the user inputs text for each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related items related to the input content can be popped up and a certain type can be selected.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재해유형을 '침수'라고 입력하면, 관련 선택항목을 '침수' 선택항목을 팝업시킨 후, 사용자 A가 '침수'선택항목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 A가 '침수'선택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A가 입력한 재해유형은 '침수'로 판단된다.For example, if User A inputs 'flooding' as the disaster type, the related selection items 'flooding' are displayed in a pop-up, and User A is guided to select the 'flooding' selection item. If User A selects the 'flooding' selection item, the disaster type entered by User A is determined to be 'flooding'.
재해발생위치는 사용자 A의 위치를 기반으로 '가락시장역'로 입력하면, 관련 선택항목으로서 '가락시장역 1번 출구', '가락시장역 2번 출구' 등으로 선택항목을 팝업시킨 후, 사용자 A가 '가락시장역 2번 출구'를 선택하면, 사용자 A가 입력한 재해발생위치는 '가락시장역 2번 출구'로 판단된다.If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s entered as 'Garak Market St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User A, then the related selection items such as 'Garak Market Station Exit 1', 'Garak Market Station Exit 2' will be displayed as pop-up options, and if User A selects 'Garak Market Station Exit 2',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entered by User A will be determined to be 'Garak Market Station Exit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illustrated in Figure 1.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130)는 데이터 환경추출부(131),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132), 재해유형 판단부(133), 재해유형 동일성 판단부(13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includes a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131),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132), a disaster type judgment unit (133), and a disaster type identity judgment unit (134).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130)는 시각자료 및 텍스트자료를 기반으로 재해유형,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제1 및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동일성 판단결과와, 제1 및 제2 재해유형의 동일성 판단결과를 재해정보 등록부(140)에 제공함으로써 잘못된 재해정보의 공유를 방지한다.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determines the reliability of user uploaded data by judging the identity of the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visual and text data, and prevents the sharing of incorrect disaster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results of the identity judg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sults of the identity judg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types to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0).
데이터 환경추출부(131)는, 사용자데이터 취득부(120)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로부터, 시각자료인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재해발생시간정보 및 제1 재해발생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텍스트자료에 기반하여 제1 재해유형정보 및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를 취득한다.The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131) obtains disaster occurrence time information and first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metadata of at least one of visual data, such as a photo or video, from user upload data obtained from the user data acquisition unit (120), and obtains first disaster type information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ext data.
데이터 환경추출부(131)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재해발생시간정보와 현재시각 간의 차이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차이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최신 정보가 아닌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 시간초과 결과를 제공한다.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aster occurrence time information extracted from metadata and the current time exceeds the time difference preset by the administrator, the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131) provides a data timeout result to the user terminal, meaning that the user uploaded data is not the latest information.
시각자료인 영상 및 사진 각각은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타데이터는 카메라 성능, 해상도, 생성날짜, 생성시간, 생성위치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텍스트 자료는 재해유형, 재해발생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Each visual data, such as video and photo, contains metadata, and the metadata includes information on camera performance, resolution, creation date, creation time, and creation location. Text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132)는 시각자료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된 제1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텍스트자료에 의해 취득된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132) determines the identity of the first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metadata of the visual data and the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text data.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132)는, 제1 및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 간에 동일성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는 재해발생 위치정보가 서로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재해발생 위치정보 불일치 결과를 제공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132) determines that the user upload data uploa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oes not have the sam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s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if there is no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inconsistency result to the user terminal.
이때 동일성 판단기준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한계거리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재해발생 위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한계거리보다 더 큰 경우 위치정보 불일치, 제1 및 제2 재해발생 위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한계거리보다 더 작은 경우 위치정보 일치로 동일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dentity judgment criterion is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s is greater than the preset limit distance based on the threshold distance set in advance by the administrato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judged to be inconsistent,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s is less than the preset limit distanc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judged to be identical.
한편 상기와는 달리,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132)는, 제1 및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 간에 동일성이 없는 경우, 데이터 환경추출부(131)에서 시각자료인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도출된 제1 재해발생 위치정보를 당해 사건의 재해발생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재해정보 등록부(140)는, 신뢰성 판단부(130)에서 자료간 동일성을 검토한 결과, 제1 및 제2 재해유형정보 간의 동일성이 인정되어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가공하여 재해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Meanwhile, unlike the above, if there is no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132) may determine the first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131) based on metadata of at least one of the visual data, such as a photo or video, as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cident. In this case, if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0) described below determines that the user upload data is reliable because the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type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examining the identity between the data, the user upload data may be processed and registered as disaster information.
재해유형 판단부(133)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중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인공지능 기반 재해유형판단모델을 이용하여 재해유형을 판단한다. The disaster type judgment unit (133) determines the disaster typ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for at least one of the photos and videos among the user uploaded data.
재해유형판단모델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상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 및 사진이 화재 발생, 산사태 발생, 교통사고, 폭행사고, 응급사고 등을 판단한다.The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determines whether a video or photo uploaded by a user is a fire, landslide, traffic accident, assault, emergency, etc.,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videos or photos.
본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는 재해유형으로는 침수, 폭설, 폭우, 홍수, 산사태, 산불, 화재, 교통사고, 교통정체정보, 폭발사고정보, 화학물질 누출사고, 흉기사고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진, 영상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고를 포함한 재해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ypes of disasters that may be applied to this servic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looding, heavy snow, heavy rain, floods, landslides, forest fires, fires, traffic accidents, traffic congestion information, explosion accident information, chemical leaks, weapon accidents, etc., and may include disaster types that can be determined based on photos and videos.
재해유형판단모델은, 딥러닝 기술로 널리 알려진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기술을 기반으로 재해유형별 영상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등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can be created by learning at least one of the images and photos of each disaster type based on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echnology, which is widely known as a deep learning technology.
또한 이외에도 재해유형판단모델은 널리 알려진 방법을 통해 영상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학습되어 생성된 모델이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may be created by learning from at least one of images and photographs using a widely known method, or a model created by learning from an external source may be used.
재해유형 동일성 판단부(134)는 데이터 환경추출부(131)로부터 취득된 텍스트 자료로부터 도출되는 제1 재해유형정보과, 시각자료 재해유형 판단부(133)에서 판단된 제2 재해유형정보 간 동일성을 비교한다The disaster type identity judgment unit (134) compares the identity between the first disaster type information derived from text data acquired from the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131) and the second disaster type information judged by the visual data disaster type judgment unit (133).
제1 및 제2 재해유형정보 간에 동일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재해유형 동일성 판단부(134)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재해유형정보 불일치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재해유형정보 불일치 결과를 제공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type information, the disaster type identity determination unit (134) determines that there is a mismatch in the disaster type information of the user uploaded data and provides a result of the disaster type information mismatch to the user terminal.
데이터신뢰성 판단부(130)는 제1 및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동일성 판단결과와, 제1 및 제2 재해유형의 동일성 판단결과를 재해정보 등록부(140)에 제공한다.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provides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types to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해정보 등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section illustrated in Figure 1.
도 3을 참조하면, 재해정보 등록부(140)는 동일사건 판단부(141), 사건정보 등록부(142) 및 사건정보 종료부(1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0) includes a same-incident judgment unit (141), an inciden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2), and an incident information termination unit (143).
재해정보 등록부(140)는, 신뢰성 판단부(130)에서 자료간 동일성을 검토한 결과, 제1 및 제2 시각정보 간의 동일성, 제1 및 제2 재해유형정보 간의 동일성이 모두 인정되어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이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가공하여 재해정보로 등록한다.Th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0) processes the user uploaded data and registers it as disaster information if,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dentity between data in the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the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isual information and the ident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type information are both acknowledged and the user uploaded data is judged to be reliable.
동일사건 판단부(141)는, 적어도 2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또는 적어도 1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이상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서로 동일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same incident judgment unit (141) determines whether user upload data uploaded from at least two user terminals or two or more user upload data upload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re the same incident.
동일사건 판단부(141)는, 2 이상의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신뢰성 판단부(130)에 의해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된 2 이상의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간 재해유형정보 및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2 이상의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간 동일성이 인정되는 경우 각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는 동일사건인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각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는 다른사건인 것으로 판단한다. The same-event judgment unit (141) determines whether the disaster type information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wo or more user uploaded data judged to be reliable by th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130) match, if the sameness between the two or more user uploaded data is recognized, the user uploaded data is judged to be the same event, and if the sameness is not recognized, the user uploaded data is judged to be different events.
사건정보 등록부(142)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재해발생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재해발생위치, 시각자료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영상 및 사진 생성시각, 재해발생위치에 재해유형, 영상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시각자료,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업로드한 사용자ID를 포함하여 사건정보로 등록시킨다.The inciden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42) refers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uploaded data, registers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the time of creation of the video and photo extracted from the visual data metadata, the disaster type at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t least one of the video or image and the visual data, and the user ID that uploaded the user uploaded data as incident information.
예를 들어,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에 의해 추출된 정보로부터, 재해발생 위치정보가 용인시 가락시장역이고,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시각자료에 추출된 생성된 시각정보가 오전 9시이고, 재해유형이 침수인 경우, 저장부(180)에 [가락시장역, 오전 9시, 침수, 영상자료, 사용자ID]의 형식으로 사건정보를 저장 등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disaster is Garak Market Station in Yongin City from information extracted by user upload data, the generated vis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visual data of the user upload data is 9:00 AM, and the type of disaster is flooding, the incident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80) in the format of [Garak Market Station, 9:00 AM, flooding, video data, user ID].
2 이상의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서로 동일사건인 경우, 동일 사건정보에 해당 업로드데이터를 누적하여 등록하고, 2 이상의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서로 다른사건인 경우, 사건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If two or more user upload data are for the same incident, the upload data is accumulated and registered in the same incident information, and if two or more user upload data are for different incidents, the incident information is stored separately.
이에 따라 사건정보 종료부(143)에 의해 사건정보별로 종료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se information can be terminated by case information by the case information termination unit (143).
사건정보 종료부(143)는 동일사건에 대해 최종적으로 저장부(170)에 등록된 사건정보를 재해유형별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타이머에 기초하여 종료시키거나, 등록된 사건정보에 대해 타 사용자가 종료되었다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에 의해 종료될 수도 있다. The incident information termination unit (143) may terminate incident information finally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70) for the same incident based on a timer preset by the administrator for each disaster type, or may be terminated by user upload data indicating that another user has terminated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사건정보 종료부(143)에 의해 사건정보가 종료된 경우, 타 사용자는 종료된 사건정보를 열람할 수 없게 된다. When case information is terminated by the case information termination section (143), other users cannot view the terminated case information.
예를 들어, 침수는 'A'시간, 지진은 'B'시간, 응급사고는 'C'시간 등 각각의 재해유형별로 재해유형별 타이머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 timer for each disaster type can be set by the administrator, such as 'A' time for flooding, 'B' time for earthquake, 'C' time for emergency accident, etc.
예를 들어, [가락시장역, 오전 9시, 침수, 영상자료, JH0919]가 등록되고, 이후 동일사건으로서 [가락시장역, 오전 9시30분, 침수, 사진자료, Honggildong]이 등록된 경우, 해당 사건은 재해유형별 타이머는 최종적으로 사건등록DB에 등록된 오전 9시30분을 기준으로 A시간이 경과된 후에 사건정보가 종료된다. 즉 추가로 오전 9시30분 이후에 동일사건이 추가로 등록되는 경우, 동일사건이 추가등록된 시점부터 A시간이 새로 경과된 후에 사건정보가 종료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Garak Market Station, 9:00 AM, flooding, video data, JH0919] is registered, and later [Garak Market Station, 9:30 AM, flooding, photo data, Honggildong] is registered as the same incident, the timer by disaster type for that incident ends after A hour has elapsed from 9:30 AM, the time when the incident was finally registered in the incident registration DB. In other words, if the same incident is additionally registered after 9:30 AM, the incident information may end after A hour has newly elapsed from the time the same incident was additionally register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해정보 공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해정보 공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4를 참조하면, 재해정보 공유부(150)는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151), 재해정보 추가정보 검색부(152), 재해정보 현황제공부(153) 및 재해정보 공유제어부(15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150) includes a sharing target user selection unit (151), a disaster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search unit (152), a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unit (153), and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control unit (154).
재해정보 공유부(150)는 재해발생 시각정보, 재해발생 위치정보 및 재해유형, 영상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 관련 CCTV 리스트, 재해발생지역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재해상황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150) transmits user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occurrence time information,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disaster type,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video and photo, related CCTV list, and disaster occurrence area user score ranking list to the user terminal.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151)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재해발생 위치와 관련있는 사용자를 선별한다. The sharing target user selection unit (151) selects users related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본 서비스에 가입 시에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는 집주소, 회사주소 등의 개인정보와, 관심지역, 집주소와 직장주소간 출퇴근경로에 해당되는 각 지역들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한다. 직장주소는 학교주소, 학원주소, 기타 주요목적지로 대체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entered when signing up for this service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etc.,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interest and commuting route between home address and work address. The work address can be replaced with the school address, academy address, or other major destinations.
도 5를 참조하면,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151)는 등록된 사건정보의 재해발생위치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지역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공유대상 사용자로 선별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sharing target user selection unit (151) selects a user whos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matches the reg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as a sharing target user.
구체적으로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151)는 집주소, 회사주소, 관심지역, 집주소와 회사주소 간 이동경로에 해당되는 지역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사용자를 공유대상 사용자로 선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haring target user selection unit (151) can select a user who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following areas: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area of interest, or are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oute between home address and company address as a sharing target user.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A가 '가'지역에 대한 재해정보를 공유하여 사건정보로 등록된 경우, '가'지역이 집주소, 회사주소, 집과 회사 사이 경로 상의 주소, 관심주소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사용자 B, 사용자 C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가'지역에 대한 재해정보과 무관한 사용자 D에는 알림이 전송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ure 5, when user A shares disaster information for region ‘A’ and it is registered as incident information, a notification is sent to users B and C who are related to any one of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address on the route between home and company, or address of interest for region ‘A’, and no notification is sent to user D who is not related to disaster information for region ‘A’.
재해정보 추가정보 검색부(152)은,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의 재해발생위치와 관련된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별 CCTV주소를 검색하고,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관련 CCTV주소 리스트를 작성하고, 재해정보 현황제공부(153)에 제공한다. The disaster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search unit (152) searches for CCTV address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related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of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creates a list of related CCTV addresses corresponding to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unit (153).
재해정보 현황제공부(153)은, 재해발생위치별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한 시각자료를 포함한 등록된 사건정보현황을 작성한다. 이때 등록된 사건정보현황은 등록된 사건정보 외에도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한 CCTV URL 주소 리스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department (153) creates a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atus including visual data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by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t this time,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atus may also include a list of CCTV URL addresses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재해정보 공유제어부(154)는, 사건정보 등록부(152)에 의해 등록된 사건정보마다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151)에서 등록된 사건정보별로 선별된 공유대상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 사용자가 접속한 경우, 재해정보 공유제어부(154)는 재해정보 현황제공부(153)에 의해 작성된 등록된 사건정보현황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재해정보 현황제공부(153)가 제공하는 등록된 사건정보현황 중 CCTV URL주소를 선택하여 재해발생위치를 CCTV로 열람할 수 있게 된다.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control unit (154) sends an alarm to the sharing target users selected by the sharing target user selection unit (151) for each inciden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inciden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52), and when the user accesses an application or web page through a user terminal,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control unit (154) provides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atus creat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unit (153).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a CCTV URL address from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atus provided by the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unit (153) to view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occurrence through CCTV.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무관한 지역에 대한 재해정보 알림 전송은 줄이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재해정보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재해정보 현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user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of disaster information notifications to areas unrelated to the user is reduced, and disaster information notifications that are actually necessary are provided to the user. In addition, disaster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pplications or web pages installed on the user's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등록된 사건정보현황은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에 관련된 등록된 사건정보의 재해발생위치, 시각자료 등을 포함한 세부사항과,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포함한다.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atu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cludes details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occurrence, visual data, etc. of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ed user terminal user, as well as a list of user score rankings.
재해정보 공유제어부(154)는,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는 본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등록된 사건정보현황 뿐 아니라,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해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제공한다.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control unit (154) provides a user score ranking list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as well as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atus to activate this servic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점수 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illustrated in Figure 1.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점수 관리부(160)는 사용자 점수 조정부(161) 및 사용자 점수 순위 작성부(16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160) includes a user score adjustment unit (161) and a user score ranking creation unit (162).
사용자 점수 관리부(160)는 본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유도책으로서, 사용자 점수를 조정 및 관리하며, 재해정보 공유부(150)를 통해 사용자 점수 순위가 재해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사용자 점수를 관리하고,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작성 및 갱신한다.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160) adjusts and manages user scores as a means of activating this service, manages user scores so that user score rankings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150), and creates and updates a user score ranking list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사용자 점수 조정부(161)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용자 점수를 조정하고,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갱신하고, 사용자 점수 및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저장부(170)에 등록한다. The user score adjustment unit (161) adjusts the user scor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updates the user score ranking list, and registers the user scores and the user score ranking list in the storage unit (170).
사용자 점수 조정부(161)는 저장부(170)에 등록된 사건정보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점수를 점수를 상향시킬 수 있다. The user score adjustment unit (161) can increase the user score based on the number of inciden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70).
또한, 사용자 점수 조정부(161)는 사용자A가 업로드한 가락시장역에서의 침수사건과 관련된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시각자료를 다른 사용자B가 열람한 경우, 사용자A의 점수를 상향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score adjustment unit (161) can increase the score of user A when another user B views visual data such as video or photos related to the flooding incident at Garak Market Station uploaded by user A.
사용자 점수 순위 작성부(162)는 등록된 사건정보별로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 작성부(162)는 사용자 점수 조정부(161)에 의해 사용자 점수가 조정된 경우, 저장부(170)에 저장된 각 등록된 사건정보에 대한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갱신하고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The user score ranking creation unit (162) creates a user score ranking list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70). In addition, when the user score is adjusted by the user score adjustment unit (161), the user score ranking list creation unit (162) updates the user score ranking list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70).
또한 사용자 점수 순위 작성부(162)는 동일사건별로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뿐만 아니라, 시, 군, 구별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도 작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score ranking creation unit (162) can create a user score ranking list by city, county, or district as well as a user score ranking list by case.
사용자 점수는, 관리자는 사용자 점수에 기초하여 서비스이용료 할인 또는 면제, 지역화폐, 상품구매포인트 등을 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The user score can be used by administrators as a basis for calculating service fee discounts or exemptions, local currency, product purchase points, etc. based on the user score.
저장부(170)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사용자 점수, 사용자 점수 순위, 위치별 CCTV리스트 등 각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각 구성에 정보를 제공한다.The storage unit (170) stores information required for each configuration, such as user information, user upload data, user scores, user score rankings, and CCTV lists by loc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to each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는 신뢰성판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한 업로드 데이터가 잘못된 정보인지 여부가 판단되므로, 잘못된 정보를 필터링함으로서 정확한 재해정보만을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uploaded data by a user is incorrect information through a reliability judgment unit, so that incorrect information can be filtered out, thereby sharing only accurate disast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장치의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가 등록된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용자를 선별함으로써, 사용자 각각에 대한 불필요한 재난정보 알림을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evice, unnecessary disaster information notifications to each user can be blocked by selecting users who are actually necessary and registered in a user selection unit based on user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점수 관리부가 조정 및 관리하는 사용자 점수, 사용자 점수 순위를 재해정보 공유부가 타 사용자에게도 공유함으로써, 본 서비스 이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core management unit adjusts and manages the user score and user score ranking, and th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shares this with other users,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is servi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
110: 사용자 인증부
120: 데이터 취득부
130: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
140: 재해정보 등록부
150: 재해정보 공유부
160: 사용자 점수 관리부
170: 저장부100: Citizen Participatory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er
110: User Authentication Unit
120: Data Acquisition Department
130: Data reliability judgment department
140: Disaster Information Registry
150: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Department
160: User Score Management Department
170: Storage
Claims (1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와,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자료를 포함하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취득하는 사용자데이터 취득부;
상기 시각자료 및 상기 텍스트자료에서 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해유형 및 재해발생 위치정보 간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
상기 신뢰성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를 사건정보로 등록하는 재해정보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재해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사용자 단말기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재해정보 공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뢰성 판단부는, 상기 시각자료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되는 제1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상기 텍스트자료에 의해 취득되는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와; 상기 텍스트자료로부터 제1 재해유형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환경추출부와; 상기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자료에 인공지능 기반 재해유형판단모델을 적용하여 제2 재해유형을 판단하는 재해유형 판단부; 및 상기 제1 재해유형정보 및 상기 제2 재해유형 간의 비교를 통해 재해유형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재해유형 동일성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정보 동일성 판단부는 상기 제1 재해발생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재해발생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기 설정된 한계거리 이내인 경우 동일성을 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that shares disaster information between users,
A user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user upload data including at least one visual data among photos and videos and text data including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reliability of user uploaded data by judging the identity between at least one disaster type a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above visual data and the above text data;
A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that registers user uploaded data judged to be reliable as incident information; and
The registered disaster information includes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that selects user terminals related to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s.
The above data reliability judgment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identity of the first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metadata of the visual data and the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xt data; a data environment extraction unit that acquires the first disaster type information from the text data; a disaster type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second disaster type by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saster type judgment model to at least one of the photos and videos; and a disaster type identity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identity of the disaster typ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disaster ty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aster type.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identity judgment unit compares the first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gnizes identity if it is within a preset limit distance.
상기 재해정보 등록부는,
적어도 2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또는 적어도 1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이상 업로드된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서로 동일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일사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isaster information registration department is,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ame-event judgment unit that judges whether user upload data uploaded from at least two user terminals or two or more user upload data upload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re the same incident.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등록된 사건정보의 재해발생위치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를 공유대상 사용자로 선별하는 공유대상 사용자 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department is,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haring target user selection unit that selects users whos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matches the reg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user information as sharing target users.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는, 집주소, 회사주소, 출퇴근경로, 관심지역에 대한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paragraph 5,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 user information includes regional information on home address, company address, commuting route, and area of interest.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상기 등록된 사건정보 각각에 대한 시각자료를 포함하는 사건정보현황을 작성하는 재해정보 현황제공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시각자료를 포함하는 사건정보현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정보 공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department is,
Disaster information status provision department that prepares incident information status including visual data for each of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above, and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user accesses an application or webpage through a user terminal, incident information status including the visual data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상기 사건정보현황에, 등록된 사건정보에 관련된 CCTV의 URL주소를 포함하는 CCTV리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Article 7,
The abov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department is,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providing CCTV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URL address of the CCTV related to the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in the above incident information status.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 업로드 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 점수를 조정 및 관리하고, 등록된 사건정보별로 상기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작성하는 사용자 점수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해정보 공유부는, 상기 사용자 점수 순위 리스트를 관련 사건정보현황에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In Article 7,
It further includes a user score management unit that adjusts and manages user scores based on the upload performance of user upload data and creates a user score ranking list for each registered incident information.
The abov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unit is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additionally displaying the user score ranking list to the relevant incident information status.
상기 사용자 점수 관리부는,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가 사건정보로 등록된 횟수 및 사용자 업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시각자료를 타 사용자가 열람한 횟수에 기반하여 사용자 점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재해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장치.
In Article 9,
The above user score management department,
A citizen participation-type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adjusting a user scor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user upload data is registered as incident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visual data included in the user upload data is viewed by other us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0541A KR102827562B1 (en) | 2023-11-03 | 2023-11-03 | Citizen-engaged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0541A KR102827562B1 (en) | 2023-11-03 | 2023-11-03 | Citizen-engaged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64858A KR20250064858A (en) | 2025-05-12 |
KR102827562B1 true KR102827562B1 (en) | 2025-07-02 |
Family
ID=9571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0541A Active KR102827562B1 (en) | 2023-11-03 | 2023-11-03 | Citizen-engaged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2756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728B1 (en) | 2018-12-10 | 2019-08-23 |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
KR102018151B1 (en) * | 2018-12-12 | 2019-09-06 | 대한민국 | Disaster situation managing system based on vide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0926A (en) * | 2010-12-22 | 2012-07-02 |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phone |
KR102013150B1 (en) | 2018-12-12 | 2019-08-27 | 대한민국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
KR20220004409A (en) * | 2020-07-03 | 2022-01-11 | 주식회사 자비스넷 | A terminal device for participating a security surveillance service based on user involvement |
-
2023
- 2023-11-03 KR KR1020230150541A patent/KR1028275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728B1 (en) | 2018-12-10 | 2019-08-23 |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
KR102018151B1 (en) * | 2018-12-12 | 2019-09-06 | 대한민국 | Disaster situation managing system based on video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64858A (en) | 2025-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9040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 |
US11381931B2 (en) | Emergency alert systems with secondary alerts | |
US9071367B2 (en) | Emergency including crime broadcast in a neighborhood social network | |
US1092951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 |
US970637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alert notifications relating to a crowd gathering | |
US10783275B1 (en) | Electronic alerts for confidential content disclosures | |
US2018022737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nd searching social networking media | |
US20120066345A1 (en) | Emergency communications platform | |
US10142213B1 (en) | Techniques for providing event driven notifications | |
US10311692B2 (en) |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for security intelligence and alerts | |
US10638298B1 (en) | Public event detection platform | |
WO2015076905A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surveillance | |
US1036046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description generation | |
US2021024875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ntent | |
US20190373219A1 (en) |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emergency situations | |
Weaver et al. | Applications and trust issues when crowdsourcing a crisis | |
US10972860B2 (en) | Responding to changes in social traffic in a geofenced area | |
GB2556664A (en) | Third party application configuration for issuing notifications | |
US10360255B2 (en) |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location of media items | |
US10750346B1 (en) | Emergency incident detection platform | |
KR102827562B1 (en) | Citizen-engaged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rovision device | |
US20160342846A1 (e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Matching | |
US1080336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tioning geographic regions | |
KR102145549B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 |
US20170301051A1 (en) | Media sharing application with geospatial tagging for crowdsourcing of an event across a community of us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