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13364B1 - 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 - Google Patents

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13364B1
KR102813364B1 KR1020220030136A KR20220030136A KR102813364B1 KR 102813364 B1 KR102813364 B1 KR 102813364B1 KR 1020220030136 A KR1020220030136 A KR 1020220030136A KR 20220030136 A KR20220030136 A KR 20220030136A KR 102813364 B1 KR102813364 B1 KR 10281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information
content
item
celebr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1567A (en
Inventor
권태현
Original Assignee
미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1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133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sing intermediate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by investigating good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tilising 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hopping
    • G06Q30/0643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tilising 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hopping graphically representing goods, e.g. 3D product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 단말기와,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결되어, 고객 단말기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패션 아이템의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제공된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를 편집하여 생성된 편집 컨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고, 검색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컨텐츠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ent provider server which provides broadcast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celebrity, an information provider terminal which provides fashion item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in broadcas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server, a fashion item manufacturer server which provides an online shopping mall which sells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and a service provider server which is connected to an online shopping mall operated by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and provides a shopping mediation service of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between a customer terminal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wherei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a search service for broadcast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server and edited content created by edi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when any one of the searched contents is selected, detects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the selected content,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at least one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content.

Description

방송 컨텐츠를 활용한 유명인 협찬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

본 발명은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스타(Star)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같은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elling fashion i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selling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such as stars or influencers.

최근에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연예인이나 운동선수와 같은 스타 또는 유명한 정치인이나 경제인과 같은 인플루언서 등의 유명인사(Celebrity)를 방송 매체 등을 통해 대중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ultimedia technology, the public has been able to more easily access celebrities, such as stars like entertainers or athletes, or influencers like famous politicians or businesspeople, through broadcast media.

더욱이 IT 기술의 발달로 방송 매체 또는 멀티미디어 매체 관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광고와 같은 수동적 접근이 아니라, 대중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유명인사(이하 유명인)를 방송 컨텐츠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특정 유명인을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즉 팬(fan) 또는 그러한 특정 유명인을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문화현상(fandom) 등이 생겨나게 되었다. Furthermore,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broadcast media or multimedia media-related technologies have developed, and instead of a passive approach such as advertising, the public can actively access celebr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elebrities) of their choice through broadcast content, etc.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people who are enthusiastically fond of certain celebrities, i.e., fans, or cultural phenomena (fandom) that enthusiastically like such certain celebrities.

이처럼 유명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유명인이 착용하고 있는 의상 또는 액세서리나 지갑과 같은 의상 소품, 즉 그 유명인이 착용하는 패션 아이템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 역시 크게 증대되었다. As interest in celebrities has increased,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such as clothing, accessories, and purse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한편 대중 매체를 통해 노출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의 경우, 패션 아이템을 제조하는 제조사 브랜드에서 협찬을 받는 경우가 많으며, 이처럼 협찬을 받는 패션 아이템인 경우 상기 유명인이 등장하는 방송 컨텐츠를 통해 상기 패션 아이템의 제조사 브랜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들은, 상기 방송 컨텐츠를 통해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의 브랜드 정보를 확인하고, 검색을 통해 상기 패션 아이템의 제조사 브랜드에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직접 찾음으로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fashion items of celebrities exposed through mass media, they are often sponsored by the manufacturer brand that manufactures the fashion items, and in the case of fashion items sponsored in this way, information on the manufacturer brand of the fashion item can be provided through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Accordingly, consumers who wish to purchase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can check the brand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provided through the broadcast content, and directly find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from the manufacturer brand of the fashion item through a search, thereby purchasing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그러나 상기 방송 컨텐츠가 특정 패션 아이템을 홍보하는 광고 컨텐츠가 아닌 이상, 상기 방송 컨텐츠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의 브랜드 정보이거나 또는 방송 컨텐츠에서 등장하는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간접 광고(Product PLacement, PPL)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는, 방송 컨텐츠와 상기 유명인의 정보에 근거하여 직접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가 제공하는 광고에 의존하여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판매처를 검색하고, 검색한 판매처에 방문하여 해당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unless the broadcast content is an advertisement content promoting a specific fashion item,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broadcast content may be limited to brand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or indirect advertisement (Product Placement, PPL) provided indirectly through a medium appearing in the broadcast content. Therefore, a consumer who wants to purchase the fashion item of the celebrity must directl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based on the broadcast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celebrity, or obtain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by relying on an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Then, the consumer must search for a store selling the fashion item, visit the store, and purchase the fashion ite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purchase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한편 패션 아이템 제조사 브랜드의 경우, 전문성을 위해 통상적으로 많지 않은 종류의 의상이나 의상 소품만을 생산한다. 따라서 방송 컨텐츠를 통해 제공되는 제조사 브랜드의 정보는,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 중 일부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에 불과하다. 또한, 이와 같이 특정 종류의 한정된 패션 아이템을 제조 또는 판매하는 제조사는 통상적으로 자신이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공할 뿐, 유명인이 착용한 타사의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해서는 제공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ashion item manufacturers, brands usually only produce a limited number of 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for the sake of specialization. Theref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manufacturer brand provided through broadcast content is only fragmentary information about some of the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In addition, manufacturers that manufacture or sell a limited number of specific fashion items usually on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items they sell, and do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from other companies.

그런데, 방송 컨텐츠 등을 통해 노출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은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아니라 복수의 서로 다른 브랜드의 패션 아이템들의 조합으로 완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특정 컨텐츠에 노출된 특정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모방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패션 아이템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없는 통상적인 소비자에게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fashion style of celebrities exposed through broadcast content, etc. is usually completed not by a single fashion item but by a combination of fashion items from multiple different brand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who want to imitate the fashion style of a specific celebrity exposed to a specific content must obtain information about each fashion item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and this is very difficult for ordinary consumers who do not have extensive knowledge about fashion items.

또한 컨텐츠에 따라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은 매우 다양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은 계속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단편적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는, 선호하는 특정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획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fashion style of a celebrity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accordingly, the fashion style of said celebrity may continue to chan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style of a specific celebrity they prefer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fragmentary fashion item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특정 컨텐츠를 통해 대중에게 노출된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보다 쉽게 획득하고,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d provides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that enable users to more easily obtain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who have been exposed to the public through specific content, and to more easily purchase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ies.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된 패션 스타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션 아이템을 보다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that enable a user to more easily obtain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a specific celebrity and to more easily purchase a plurality of fashion items that make up the obtained fashion sty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은,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자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 단말기와,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결되어, 고객 단말기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패션 아이템의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제공된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를 편집하여 생성된 편집 컨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고, 검색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컨텐츠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purposes,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er server providing broadcast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celebrity, an information provider's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roviding fashion item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in the broadcas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a fashion item manufacturer server providing an online shopping mall selling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and a service provider server connected to an online shopping mall operated by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to provide a shopping mediation service of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between a customer terminal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wherei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provides a search service for broadcast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server and edited content generated by edi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when any one of the searched contents is selected, detects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the selected content,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at least one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conte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션 아이템의 정보는, 상기 패션 아이템의 명칭, 상기 패션 아이템을 제조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 상기 패션 아이템의 가격 정보 및, 상기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name of the fashion item, a fashion item manufacturer that manufactures the fashion item, pric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and inform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that sells the fashion item.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는,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특정 유명인의 패션을,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로부터 제휴 또는 협찬받은 패션 아이템으로 상기 특정 유명인의 패션을 스타일링하는 스타일리스트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서,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의 정보,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정보,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이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 및,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put from a stylist who styles the fashion of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with fashion items affiliated with or sponsored by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on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 또는 그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편집 컨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earch service for the broadcast content and the edited content based on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or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는,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로부터 제휴 또는 협찬받은 패션 아이템의 전시 공간을 제공하는 홍보 대행사의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 입력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formation inpu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from the server of a public relations agency that provides an exhibition space for fashion items affiliated with or sponsor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나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패션 아이템 선택 이력 또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관련 아이템의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fashion item is selected from th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fashion item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the service provider server determines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as a related item based on a fashion item selection history of another user who selected the selected content or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or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and furth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related item.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나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가 구매 또는 추천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 중 기 설정된 상품 분류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 및,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arches for other fashion items purchased or recommended by other users who selected the selected content or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detects fashion items of the same or similar type among the searched other fashion items according to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detected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이 등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arches for at least one other content in which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appears, detects other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from the searched at least one other content,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detected other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에 등장하는 다른 유명인들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 및,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과 동일한 유명인이 등장하는 다른 컨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컨텐츠 명칭이 동일한 다른 컨텐츠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searches for at least one other content similar to the selected content, detects other fashion items worn by other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content searched for,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other detected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wherein the at least one other content similar to the selected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ther content in which the same celebrity appears as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or other content having the same content name as the selected conte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검출하고, 검출된 패션 스타일과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유명인들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 및,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fashion style of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from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detects other fashion items worn by other celebrities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as the detected fashion style,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other detected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나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들이 구매하거나 추천한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또는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들이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함께 착용한 이력이 일정 수 이상인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을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며,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들이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함께 착용한 이력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션 아이템 정보 각각으로부터 검출된 유명인들 및 검출된 유명인들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determines, as the related item, another type of fashion item purchased or recommended by other users who selected the selected content or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or another type of fashion item that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celebrities who wore the selected fashion item have worn together with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the history of celebrities who wore the selected fashion item together with the selected fashion item is detected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celebrities detected from each of a plurality of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roadcast contents stored i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and fashion items worn by the detected celebriti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관련 아이템이 결정되면,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상기 관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착용한 유명인이 등장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상기 관련 아이템에 대한 피팅(fitting) 컨텐츠로서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lated item is determined, it searches for content in which a celebrity wear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at least one of the related items appears, and provides the searched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as fitting content for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the related item.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기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기 등록한 선호 유명인에 대응하는 최신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최신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색 및 검색된 최신 컨텐츠와 상기 최신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상기 로그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re-registered user logs in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the service provider server searches for the late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favorite celebrity pre-registered by the user, searches for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latest content, and provides the searched latest content and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test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logi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의 제공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를 운영하는 정보 제공자가 유명인 또는 컨텐츠의 종류 별로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는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fashion style preferr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operat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by celebrity or type of content based on the provision history of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는,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유명인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패션 아이템 정보들의 패션 스타일 정보들을 검출 및, 검출된 각 그룹의 패션 스타일 비율에 근거하여 각 그룹별로 지배적인(predominant) 패션 스타일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is characterized by grouping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elebrity and a type of content, detecting fashion styl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of each group, and detecting a dominant fashion style for each group based on a fashion style ratio of each detected group.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특정 유명인 및 특정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유명인 및 특정 컨텐츠의 종류에 근거하여 분석된 상기 정보 제공자의 선호 패션 스타일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a request for a fashion item sugges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cific celebrity and a specific type of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fashion style of the information provider analyzed based on the specific celebrity and the specific type of content as a response to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방송 컨텐츠에 등장한 특정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 판매 방법은, 상기 패션 아이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연결된 고객 단말기에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를 편집하여 생성된 편집 컨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검색 서비스를 통해 검색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컨텐츠에 관련된 세부 정보 및, 상기 검출된 패션 아이템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서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을 추출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에 입점한 온라인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고객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어느 하나의 쇼핑몰 사이의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purposes, a fashion item selling method for selling a fashion item of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comprises: a step in which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fashion item selling service receives broadcast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from a content provider; a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er receives fashion item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in the broadcast content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a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search service for the broadcast content and edited content created by edi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a connected customer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er detects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ontents searched through the search service; a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er extracts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and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from the detected fashion item information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ny one of the searched contents and provide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a step in which, when any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provided fashion items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er searches for any one of the online shopping malls that have joined a shopping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that sells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th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connecting a customer terminal and providing a shopping mediation service between the customer terminal and one of the shopping malls.

본 발명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method of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한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정보 제공자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매칭하여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한 유명인에 대한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하나 이상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한번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who appeared in specific broadcast content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matches the collected fashion item information with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elebrity who appeared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thereby enabling a user to receive information on one or more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at on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과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유명인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search for content of another celebrity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as a specific celebrity selected by the user, and to receiv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the other celebrity based on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ontent.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추천한 다른 사용자 또는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 또는 다른 컨텐츠의 유명인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더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특정 패션 아이템에 어울리는 다른 패션 아이템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fashion i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other fashion items worn by other users who recommended the selected fashion item, celebrities who wore the selected fashion item, or celebrities in other content, thereby enabling an easy search for other fashion items that go well with the specific fashion item.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유명인을 선호 유명인으로 등록하는 경우, 등록된 유명인에 대해 업로드된 최신 컨텐츠와, 그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통해, 상기 선호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최신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egisters a specific celebrity as a preferred celebr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obtain the latest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the preferred celebrity through the latest content uploaded for the registered celebrity and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matching the content.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패션 아이템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주체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패션 아이템 제조사와 정보 제공자와의 관계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컨텐츠 제공자 및 정보 제공자로부터 방송 컨텐츠 및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고객의 요청에 따라 패션 아이템의 판매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 단말기에 편집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컨텐츠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선택된 패션 스타일에 따른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패션 아이템에 대한 최저가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다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더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상품 분류에 따라 유사한 종류로 분류된 패션 아이템을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피팅 컨텐츠가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등록된 선호 유명인에 대한 최신 패션 정보를 제공받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정산부와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에서, 정산부를 통해 비용 및 수수료의 정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가,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 이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제안 아이템으로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에 패션 아이템 제안을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제공자의 화면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제공부와 관리부로 구성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a fashion item sales service in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model that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ntity constituting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drawing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shion item manufacturer and an information provider in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related to the sale of a fashion item at the request of a customer, while receiving broadcast content and fashion item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er and an information provider.
FIG. 4a is an example diagram of a main interface screen that provides content search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to a custom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b and 4c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terface screens through which a service provider provides edited content to a custom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including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provided in response to selection of specific content by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lected fashion style.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provides lowest price information for a fash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n other fashion items related to a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Figures 9a to 9d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fashion items classified into similar types according to product classification as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Figures 10a and 10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fitting content.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latest fashion information on a pre-registered favorite celebrity.
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includes a settlement unit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ling costs and fees through a settlement department in a service provider of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of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fashion item as a suggested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of an information provider.
FIG. 1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n information provider in which a service provider is requested to suggest a fash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on suggested fashion items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IG.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rvice provider is comprised of a service providing unit and a management uni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to necessarily include all of the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not be included,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making it easy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not only each embodiment described below, but also a combination of embodiments may correspond to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의 온라인 쇼핑몰과 연결되어, 고객 단말기(20)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에서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패션 아이템의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10)와, 상기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30),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40),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platform)에 입점되는 쇼핑몰을 제공하며, 상기 쇼핑몰을 통해 상기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A,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rvice provider (10) that is connected to an online shopping mall of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and provides a shopping mediation service for fashion items related to a specific celebrity between a customer terminal (20)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a content provider (30) that provides various broadcast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an information provider (40)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in the broadcast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30), and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at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and provides a shopping mall that is entered into a shopping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and sells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through the shopping mall.

여기서 컨텐츠 제공자(30)는, 서비스 제공자(10)와의 제휴 서비스를 통해, 드라마, 영화, CF(Commercial Film), 광고(advertisement), 다큐멘터리, 공영 영상, 인터뷰, 토론 컨텐츠 및 뉴스나 기사 등의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에게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Here, the content provider (30) may be an entity that provides various broadcast contents such as dramas, movies, CFs (Commercial Films), advertisements, documentaries, public videos, interviews, discussion contents, and news or articles to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an affiliate service with the service provider (10).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는 지상파 방송 시스템을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지상파 방송국을 포함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는 유선(cable) 방송 시스템을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유선 방송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IP 방송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는 공중파(sky wave)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공중파 방송국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er (30) may include a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 that broadcasts the broadcast content through a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Or, the content provider (30) may be a cable broadcasting station that broadcasts the broadcast content through a cable broadcasting system. Or, the content provider (30) may be an IP broadcasting station that provides the broadcast content through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Or, the content provider (30) may be a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 that provides the broadcast content using sky waves.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의 운영자 등)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국과,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대가를 지급하는 제휴 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 상기 제휴 계약에 따라 다수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subject of the above service provider (10) (e.g., the operator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enter into an affiliate agreement with at least one broadcasting station to receive broadcast content and pay a corresponding price for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and may receive broadcast content from multiple broadcast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affiliate agreement.

한편 상기 제휴 계약은 방송 컨텐츠의 저작권자와의 합의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사용료가 방송 컨텐츠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저작권자와 합의 하에, 방송 컨텐츠의 출처를 방송 컨텐츠와 함께 게시 및 노출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광고 효과가 상기 방송 컨텐츠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partnership agreement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agreement with the copyright holder of the broadcast content. For example, the usage fee for the broadcast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compensation for the use of the broadcast content. Or, under an agreement with the copyright holder, the source of the broadcast content may be published and exposed together with the broadcast content, and the advertising effect generated by providing the broadcast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compensation for the use of the broadcast content.

한편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방송 컨텐츠에서 유명인이 착용한 다양한 점퍼나 코트, 장갑, 모자나 신발 등과 같은 의류, 안경, 반지, 귀걸이나 목걸이 또는 핸드백이나 지갑 또는 허리띠와 같은 액세서리 등의 패션 아이템을 제조하는 제조사일 수 있다.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다양한 의류 브랜드나 액세서리 브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be a manufacturer that manufactures fashion items such as various jumpers, coats, gloves, hats, shoes, etc., glasses, rings, earrings, necklaces, or accessories such as handbags, wallets, or belts worn by celebrities in various broadcast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30).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include various clothing brands or accessory brands.

한편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정보 제공자(40)와의 제휴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자(40)에게 자신이 제조한 패션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자신의 패션 아이템을 홍보 또는 광고하기 위해 상기 정보 제공자(40)에게 자신이 제조한 패션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제공자(40)는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받은 패션 아이템을 특정 유명인에게 제공 및 상기 제공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이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상기 패션 아이템의 제공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될 수 있다. Meanwhile,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with the fashion item it has manufactured through an affiliate service with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with the fashion item it has manufactured in order to promote or advertise its own fashion item,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provide the fashion item it has received from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o a specific celebrity and have the celebrity wearing the provided fashion item appear in broadcast content. In this case,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s for the fashion item of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be paid as compensation for the provision of the fashion item.

또한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에 자신이 제조하는 패션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는 쇼핑몰을 입점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10)에 접속한 고객이 상기 입점된 쇼핑몰을 통해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경우, 구매된 패션 아이템을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can open a shopping mall where it can sell the fashion items it manufactures on the shopping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In addition, when a customer who accesses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a customer terminal (20) purchases a fashion item through the opened shopping mall, the purchased fashion item can be delivered to the customer.

한편 정보 제공자(40)는 특정 방송 컨텐츠에게 출연하는 유명인에게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받은 패션 아이템을 제공하는 주체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 제공자(40)는 상기 유명인의 패션을 스타일링(styling)하는 스타일리스트의 단말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be a terminal of an entity that provides a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o a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be a terminal of a stylist who styles the fashion of the celebrity. Here, the terminal may be any one of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nd a wearable device, as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따라서 스타일리스트는,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 예정인 유명인의 패션을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휴 또는 협찬받은 패션 아이템으로 스타일링하고, 스타일링된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링에 사용된 제휴 또는 협찬받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상기 유명인 및 상기 유명인이 출연하는 방송 컨텐츠의 정보와 함께 정보 제공자(40)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정보 제공자(40)를 통해 상기 스타일리스트가 입력한 정보들이 서비스 제공자(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상기 제공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에 대한 대가로서, 소정의 수수료 등을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주체, 예를 들어 상기 스타일리스트에게 지급할 수 있다. Accordingly, a stylist may style the fashion of a celebrity scheduled to appear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with at least one fashion item affiliated or sponsored by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input information about the affiliated or sponsored fashion items used in the fashion styling of the celebrity as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style of the styled celebrity, togeth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celebrity and the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into an information provider (40). T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stylist may b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 this case, the entity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ay a predetermined fee, etc. to the ent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the stylist, as compensation for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vided fashion items.

그러면 상기 스타일리스트에 의해 패션 스타일링된 유명인은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할 수 있으며, 상기 유명인이 출연하는 특정 방송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를 통해 방송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된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와 컨텐츠 제공자(30) 사이의 제휴 서비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10)로 제공될 수 있다. Then, the celebrity who has been fashion-stylisted by the stylist can appear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and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can be broadcast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30). And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that has been broadcast can be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 to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an affiliate service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e content provider (30).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유명인이 출연한 특정 방송 컨텐츠 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collect information on not only specific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ed, but also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who appeared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 단말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무선 통신망 및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고객에게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be connected to a customer terminal (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ustomer terminal (20), various broadcast contents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한편 고객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자(30)에게 제공받는 방송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출연하는 유명인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된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편집된 컨텐츠를 상기 특정 유명인에 관련된 방송 컨텐츠로써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ed to the customer may be content that has edi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30). For example, the subject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edit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30) according to the celebrity appearing. Then, the edited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service provider (10).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the edited content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broadcast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한편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방송 컨텐츠는 출연하는 유명인, 방송 시간, 프로그램 명칭, 공연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는 메타데이터(metadata)로서 각 방송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the above content provider (30)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content. For example, each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elebrity appearing, broadcast time, program name, performance location, etc. In this way,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content may be included in each broadcast content as metadata.

일 예로 상기 방송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는 해시(hash) 태그와 같은 태그 정보로 각 방송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각 방송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각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를 태그(tag) 정보라고 하기로 한다. For exampl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 broadcast content may be included in each broadcast content as tag information such as a hash tag. Hereinafter,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broadcast content a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each broadcast content will be referred to as tag information.

이 경우 방송 컨텐츠가 편집되면, 편집된 컨텐츠는 편집된 내용에 따라 수정된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된 원본 방송 컨텐츠 중 특정 유명인이 출연하는 부분만 추출하여 편집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원본 방송 컨텐츠의 태그 정보 중 출연하는 유명인들의 정보가 상기 특정 유명인 하나로 수정된 태그 정보가 상기 편집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수정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편집 컨텐츠가, 상기 특정 유명인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로서 서비스 제공자(10)에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broadcast content is edited, the edited content may include tag information modified according to the edited content. That is, if the edited content is created by extracting only the portion of the original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30) in which a specific celebrity appears, tag information in which information of the celebrities appearing amo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original broadcast content is modified to one of the specific celebrities may be included in the edited content. In addition, the edited content including the modified ta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rvice provider (10) as broadca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elebrity.

한편 상기 편집 컨텐츠는 복수의 원본 방송 컨텐츠에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특정 유명인이 복수의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상기 복수의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출연하는 출연분만을 추출 및 결합하여 하나의 독립된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자(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원본 방송 컨텐츠와 별개의 컨텐츠로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컨텐츠의 편집 및 편집된 컨텐츠의 가공(2차적 컨텐츠)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와 컨텐츠 제공자(30) 사이에 사전에 이루어진 제휴 계약에 의해 허가된 것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edited content may be extracted from multiple original broadcast contents. That is, when a specific celebrity appears in multiple broadcast contents, the subject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extract and combine only the portions in which the specific celebrity appears from the multiple broadcast contents to create a single independent content, and may store the created content in the service provider (10). The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the created content to the customer as separate content from the original broadcast contents. Such editing of broadcast contents and processing of the edited contents (secondary content) may be permitted by a partnership agreement made in advance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e content provider (30).

한편 상술한 바에 의하면,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은,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링을 담당하는 스타일리스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스타일리스트는 정보 제공자(40)를 통해 상기 유명인이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할 당시에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이하 패션 아이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0)에게 제공함을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에는 각 방송 컨텐츠와 상기 각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fashion items of a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can be determined by a stylist in charge of the fashion styling of the celebrity. And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stylis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shion item information) worn by the celebrity when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to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tore information on each broadcast content and the fashion items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each broadcast content.

또한 각 방송 컨텐츠에는, 출연하는 유명인 및 방송 프로그램 명칭, 방송 시간, 공연 장소 등의 정보가 태그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는 각 방송 컨텐츠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방송 컨텐츠 또는 각 편집 컨텐츠와 상기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결과로부터, 특정 방송 컨텐츠 또는 특정 편집 컨텐츠에 출연한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has been mentioned that each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celebrities appearing, broadcast program name, broadcast time, and performance venue as tag information. Therefo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use the tag information of each broadcast content to match each broadcast content or each edited content with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nd from the matching result,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or a specific edited content can be detected.

이러한 매칭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10)는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태그 정보에 포함된 일 속성에 따른 분류나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 제공자(30) 또는 방송 프로그램 명칭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방송 컨텐츠 및 편집 컨텐츠)들을 제공하거나, 컨텐츠 제공자(30) 또는 방송 프로그램 명칭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유명인의 명칭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특정 유명인의 명칭에 따른 컨텐츠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시간이나 공연 장소에 따른 분류나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this matching,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various search functions.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classification or search according to a property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contents (broadcast contents and edited cont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r (30) or the broadcast program name, or provide a search function for the content provider (30) or the broadcast program name. O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cont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me of a specific celebrity, or provide a content search function according to the name of the specific celebrity. O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a classification or search function according to the broadcast time or the performance location.

또한 서비스 제공자(10)는 특정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정보에 근거한 분류 또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패션 스타일에 근거한 분류 또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지정된 패션 스타일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특정 패션 스타일과 같은 패션 스타일의 유명인이 출연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classification or search function based on fashion item information of a specific celebrity.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classification or search function based on fashion styl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at least one pre-designated fashion style, or may provide a function for searching content featuring a celebrity with a fashion style such as a specific fashion style.

여기서 패션 스타일은 정보 제공자(40)를 통해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패션 스타일은, 가르손느 룩, 레이어 룩, 리조트 룩, 밀리터리 룩, 빈티지 룩 등 스타일리스트가 특정 유명인이 스타일링한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로서, 스타일리스트에 의해 결정 및 정보 제공자(4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10)로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fashion style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he fashion style may be information on a fashion style styled by a stylist for a specific celebrity, such as a Garconne look, a layered look, a resort look, a military look, a vintage look, etc., and may be determined by the stylist and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r (40).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특정 컨텐츠에 출연한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따른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고객이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와 함께, 상기 패션 아이템들로 이루어지는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이 상기 패션 스타일을 선택하는 경우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유명인의 컨텐츠들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search function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 of a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when a customer selects a specific content,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long with information on a fashion style comprised of the fashion items. In addition, when a customer selects the fashion sty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function for searching for content of other celebrities with the same fashion style.

한편 상기 분류 또는 검색 기능을 통해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출연하는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들을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one content is selected through the above classification or search function,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20).

여기서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패션 아이템들의 이름,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의 구매에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provided her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ames and manufacturers of the fashion items.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of the detected fashion items.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패션 아이템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의 가격은 해당 패션 아이템에 대해 검색된 가격들 중 최저 가격일 수 있다. 이러한 최저가 검색을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10)는 쇼핑 플랫폼에 입점한 쇼핑몰들 중 동일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이 있는지를 검색하고, 동일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이 복수인 경우 상기 검색된 쇼핑몰들에서 판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가격들 중 최저 가격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최저 가격을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의 가격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price of the selected fashion item when one of the detected fashion items is selected. The price of the fashion item provided here may be the lowest price among the prices searched for the corresponding fashion item. In order to search for the lowest pric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search for a shopping mall that sells the same fashion item among shopping malls that have entered the shopping platform, and if there are multiple shopping malls that sell the same fashion item, the service provider (10) may search for the lowest price among the prices of the fashion item sold in the searched shopping malls. In addition, the searched lowest price may be provided as the price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fashion item.

또한 상기 패션 아이템의 구매에 관련된 정보는, 그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에 대한 링크(link)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이 상기 패션 아이템의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해 그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고객은 상기 연결된 쇼핑몰에서 상기 선택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할 수 있으며, 쇼핑몰은 고객이 구매한 패션 아이템을 고객에게 배송함으로써, 상기 패션 아이템의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of the above fashion item may be link information for a shopping mall selling the fashion item. In this case, when a customer selects price information for the above fashion item, the shopping mall selling the fashion item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link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ustomer may purchase the selected fashion item from the connected shopping mall, and the shopping mall may deliver the fashion item purchased by the customer to the customer, thereby enabling the sale of the fashion item.

한편 상기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정보는 패션 아이템에 대한 피팅(fitting) 컨텐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팅 컨텐츠는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다른 유명인의 컨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피팅(fitting) 모델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팅 모델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치수에 대응하는 신체 사이즈를 가지는 피팅 모델일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의 신체 치수에 유사한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서 제공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 fashion items may further include fitting content for the fashion items. Here, the fitting content may be content of another celebrity wear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or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ear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In this case, the fitting model may be a fitting model having a body size corresponding to the body size input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customer may be provided with an image of a fitting model similar to his/her body size as the fitting content.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다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추천 패션 아이템 정보로서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특정 패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동일한 패션 아이템을 선택한 다른 고객들이 더 구매하거나 추천한 다른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추천 패션 아이템의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유명인 또는 컨텐츠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추천 패션 아이템의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certain fashion item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other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selected fashion item as recommended fashion item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fashion item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other fashion items that other customers who selected the same fashion item purchased or recommended as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fashion item. Alternatively,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may be provided as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fashion item based on a celebrity or content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이 경우 고객이 추천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추천 패션 아이템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착용한 피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추천 패션 아이템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착용한 유명인의 컨텐츠를 검색 및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저장된 피팅 모델의 이미지 중, 상기 추천 패션 아이템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착용한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 customer selects a recommended fashion item,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fitting content that wears both the selected recommended fashion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content of a celebrity wearing both the recommended fashion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nd provide the searched content as the fitting content. Alternative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earing both the recommended fashion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mong images of previously stored fitting models as the fitting content.

한편 상술한 서비스 제공자(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30),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50),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자(40)에 연결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를 운영하는 운영자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described above may be a server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tent provider (30),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er (40). In this case, the subject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be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service provider (10).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패션 아이템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er (10) that provides a fashion item sales service in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제어부(1000)와, 상기 제어부(1000)에 연결되는 저장부(100), 통신부(12), 컨텐츠 검색부(13),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14), 추천 아이템 검색부(15), 및 쇼핑 플랫폼(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서비스 제공자(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자(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the service provider (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00), a storage unit (10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a communication unit (12), a content search unit (13), a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unit (14), a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15), and a shopping platform (16). Here,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b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us the service provider (1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먼저 제어부(100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상기 제어부(1000)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0)의 제어에 따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제어부(1000)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서비스 제공자(10)의 제어부(1000)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10)의 제어부(1000)를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service provider (10) and can drive at least one of the connected components to control the function. Therefore, at least one componen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can be simultaneously driven by the control unit (1000) and can provide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00). That i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mean the control unit (1000) of the service provider (10).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e control unit (1000) of the service provider (1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m.

통신부(12)는 컨텐츠 제공자(30), 정보 제공자(40),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와 서비스 제공자(10)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30), 정보 제공자(40),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30), 정보 제공자(40), 패션 아이템 제조사(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 connects the content provider (30),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30),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nd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o the service provider (10).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10) can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ent provider (30),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nd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또한 통신부(1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 단말기(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단말기(20)로부터 고객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자(1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 can be connected to a customer terminal (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 a customer request from the customer terminal (20),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rvice provider (1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quest.

그리고 저장부(100)는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부(110)와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이 저장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 저장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And the storage unit (100) may be equipped with a content storage unit (110) in which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o customers through customer terminals (20) are stored, and a fashion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in which fashion item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specific celebrities is stored.

여기서 패션 아이템 정보는 특정 컨텐츠 및 그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출연한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로서, 패션 아이템의 제조사 및 명칭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는 상기 특정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션 스타일의 정보는, 상기 특정 유명인의 패션을 스타일링한 스타일리스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specific content and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content. In addition, as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on the manufacturer and name of the fashion item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the specific celebrity. Here, the fashion styl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a stylist who styled the fashion of the specific celebrity.

그리고 컨텐츠 저장부(110)는, 통신부(12)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들을 저장하는 방송 컨텐츠 저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컨텐츠를 편집한 2차 저작물, 즉 편집 컨텐츠를 저장하는 편집 컨텐츠 저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저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에 대응하는 피팅 모델들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피팅 이미지 저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ntent storage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content storage unit (111) that stores broadcast contents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 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edited content storage unit (112) that stores a secondary work edited from the broadcast contents, i.e., edited contents. In addition, the content storage unit (110) may include a fitting image storage unit (113) that stores images of fitting model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ashion item.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들은 태그 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는 컨텐츠의 명칭, 컨텐츠 제공자, 방송 시간, 방송 장소(공연 장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명칭은 방송 컨텐츠의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일 수 있으며, 편집 컨텐츠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원본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는 특정 방송국의 정보 또는 특정 방송 채널의 정보일 수 있다. Here,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110) may each include tag information. The ta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er, the broadcast time, the broadcast location (performance location), etc. Here, the name of the content may be the name of a broadcast program in the case of broadcast content, and may be the name of at least one original broadcast program in the case of edited content.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may be information of a specific broadcasting station or information of a specific broadcasting channel.

또한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컨텐츠는 복수의 유명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편집 컨텐츠의 경우 복수의 유명인의 정보 뿐만 아니라 유명인 한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팅 모델들의 이미지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태그 정보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f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content. In this case,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of multiple celebrities, and in the case of edited content, information of multiple celebrities as well as information of one celebrity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ages of fitting model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fashion item may be included as tag information.

또한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의 분류와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부(13)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검색부(13)는 기 설정된 메뉴 항목이나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방송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편집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분류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나 특정 항목(예를 들어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검색 및 검색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content search unit (13) that provides a classification and search function for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110). The content search unit (13) may classify and provide content stored in the broadcast content storage unit (110) or the edited content storage unit (110) according to preset menu items or categories, or may search and provide searched content based on keywords or specific items (e.g., fashion style) selected by the user.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패션 아이템 정보와 저장된 컨텐츠들의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컨텐츠와 특정 유명인에 관련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매칭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14)는 상기 매칭의 결과로서 특정 장소(또는 공연 장소), 특정 프로그램, 특정 방송 시간에 따른 컨텐츠에 출연한 특정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특정 컨텐츠에 대한 고객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include a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unit (14) that matches fashion item information related to specific content and specific celebrities based on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110) and tag information of the stored contents.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unit (14) may detect fashion item information of specific celebrities who appeared in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location (or performance location), specific program, and specific broadcast time as a result of the matching.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ashion items may be provided as a response to a customer's selection of specific content.

그리고 추천 아이템 검색부(15)는 고객이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더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아이템 검색부(15)는 국제상품분류 등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유사한 다른 패션 아이템을 더 검색하거나, 또는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선택한 다른 고객 및,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다른 유명인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더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결과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추천 아이템으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And the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15) can search for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when a customer selects one fashion item. The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15) can search for other similar fashion items based on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such as the Interna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or can search for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based on other customers who selected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other celebrities related to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the search result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a recommended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14)는 상기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다른 구성부, 즉 컨텐츠 검색부(13) 또는 추천 아이템 검색부(15)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검색부(13) 또는 추천 아이템 검색부(15)는 특정 컨텐츠에 출연한 특정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컨텐츠 또는 다른 패션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 또는 패션 아이템을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unit (14)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ashion items to another component, i.e., the content search unit (13) or the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15). Accordingly, the content search unit (13) or the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15) can search for other content or other fashion items based on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of a specific celebrity who appeared in a specific content. Then, the searched content or fashion item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복수의 서로 다른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들이 운영하는 쇼핑몰이 입점할 수 있는 쇼핑 플랫폼(16)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쇼핑 플랫폼(16)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20)가 각 쇼핑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쇼핑몰을 통해 패션 아이템이 고객에게 판매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의 쇼핑 플랫폼(16)은 결제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판매 대금으로 결제된 결제 금액의 일부를 중개 수수료로서 선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결제 금액을 상기 패션 아이템을 판매한 쇼핑몰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shopping platform (16) in which shopping malls operat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 fashion item manufacturers (50) may enter. In addition, the customer terminal (20) may be able to access each shopping mall through the shopping platform (16), and fashion items may be sold to customers through the shopping mall. To this end, the shopping platform (16)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be equipped with a payment system, and may preemptively collect a portion of the payment amount paid as the sales price of fashion items sold through the shopping mall as a brokerage fee. In addition, the payment amount excluding the brokerage fee may be provided to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of the shopping mall that sold the fashion item.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주체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와 정보 제공자(40)와의 관계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model that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ntity constituting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an information provider (40) in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그 구성요소의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이거나 또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정보 제공자(40)는 정보 제공자(40)가 운영하는 서버나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의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컨텐츠 제공자(30)는 온라인 뉴스 기업(31)의 서버 또는 방송국(32)의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20)는 소비자(20)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표권자(60)는 상표권자(60)의 서버나 단말기일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ach component of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rver or a terminal operated by the subject of the component.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the subject of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be a server or a terminal operat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 addition,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the subject of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Similarly, the content provider (30) may be a server of an online news company (31) or a server of a broadcasting station (32). In addition, the consumer (20) may be a terminal of the consumer (20), and the trademark owner (60) may be a server or a terminal of the trademark owner (60).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제휴나 합의 또는 사용료의 결정 등 직접적으로 인위적인 사고가 요구되는 행위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서비스 제공자(10), 패션 아이템 제조사(50), 정보 제공자(40), 온라인 뉴스 기업(31), 방송국(32), 컨텐츠 제공자(30), 상표권자(60) 및 소비자(20)로 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직접적으로 인위적인 행위가 요구되는 행위는, 특정 구성요소의 '주체' 또는 '사용자' 의 행위임을 기재함으로써, 서버 또는 단말기의 행위와 구분하기로 한다.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component will be referred to as a service provider (10),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 information provider (40), an online news company (31), a broadcasting station (32), a content provider (30), a trademark holder (60), and a consumer (20), except for acts that directly require artificial thinking, such as partnerships, agreements, or determination of usage fees. In this case, the acts that directly require artificial actions will be distinguished from the actions of a server or terminal by stating that they are acts of a 'subject' or 'user' of a specific component.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는 온라인 기사 또는 드라마, 영화, CF, 공연, 뉴스 등 지상파 방송이나 유선 방송, 또는 IP 방송을 통해 방송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first, a service provider (10) can receive broadcast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er (30). Here, the broadcast content can include various contents broadcast through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broadcasting, or IP broadcasting, such as online articles, dramas, movies, CFs, performances, and news.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컨텐츠 제공자(30)에게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는 대가를 지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뉴스 기업(31)의 기사와 같이 컨텐츠를 수정 없이 제공하거나 또는 출처를 함께 게시하는 것으로 무상사용이 가능한 컨텐츠의 경우는, 수정 없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출처를 함께 게시함으로써 컨텐츠 사용에 대한 대가를 지급할 수 있다. The subject of the above service provider (10) may pay a fee to the content provider (30) for receiving broadcast content. In this case, in the case of content that can be used free of charge by providing the content without modification or posting the source together, such as an article from an online news company (31), the fee for using the content may be paid by providing the content without modification or posting the source of the content together.

반면 방송국(32)과 같이 저작권을 가지는 저작권 컨텐츠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방송국(32) 등의 저작권자와 제휴 또는 합의를 통하여 컨텐츠 사용료를 결정하고, 컨텐츠 사용료를 지급함으로써 컨텐츠 사용에 대한 대가(예를 들어 저작권료)를 지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는, 2차 저작물, 즉 원본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편집한 편집 컨텐츠의 사용 허가에 대한 대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pyrighted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station (32), the service provider (10) may determine the content usage fee through partnership or agreement with the copyright holder such as broadcasting station (32), and pay the content usage fee, thereby paying the compensation for the use of the content (e.g., copyright fee). In this case, the content usage fee may include the compensation for permission to use secondary works, i.e., edited content that has been modified or edited from the original content.

그런데 상기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은 상표권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상표권자(60),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사에 유명인의 상표 사용 허가를 위한 대가로서 상표권 사용료를 지급할 수 있다. However,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above broadcast content may have trademark rights.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ay a trademark usage fee to the trademark owner (60)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above broadcast content, for example, an entertainment company, as compensation for permission to use the celebrity's trademark.

한편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협찬 또는 제휴를 통해 패션 아이템을 정보 제공자(40), 즉 정보 제공자(40)의 주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자(40)는 정보 제공자(40) 주체의 제어에 따라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한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 및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상기 제공된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 및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에 대한 대가로서, 소정의 수수료를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주체, 예를 들어 스타일리스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10)와 정보 제공자(40)는 상기 수수료의 제공에 관련된 정산 프로세스에 따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provide fashion items to an information provider (40), i.e.,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hrough sponsorship or partnership. Then,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provid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and fashion styles of celebrities who appeared in specific broadcast content to the service provid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hen, the subject of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predetermined fee to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a stylist, as compensation for th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and fashion styles of celebrities provided.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perform a process according to a settlement proces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he fee.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주체가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결정하는 스타일리스트인 경우, 스타일리스트는 협찬 또는 제휴를 통해 제공받은 패션 아이템으로,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유명인은 스타일리스트가 결정한 패션 스타일에 따라 패션 아이템을 착용하고,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할 수 있다. Here, if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s a stylist who determines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the stylist can determine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with fashion items provided through sponsorship or partnership. Then, the celebrity can wear the fashion items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 determined by the stylist and appear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한편 패션 아이템 제조사(5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들은 그 개수가 많고 또한 다양하므로 스타일리스트가 이를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도 2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시 공간(쇼 륨(show room))을 제공하는 홍보 대행사(45)를 이용하여 홍보하고자 하는 패션 아이템들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제조하는 패션 아이템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홍보 대행사(45)가 상기 전시 공간을 통해 제공받은 패션 아이템들을 전시하고, 전시된 패션 아이템들을 스타일리스트(46)가 확인 및 픽업함으로써,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으로 유명인의 패션이 스타일링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number of fashion items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is large and divers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stylist to recognize them. Accordingl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can maximize the promotional effect of the fashion items it manufactures by providing the fashion items it wishes to promote through a public relations agency (45) that provides an exhibition space (show room), as shown in FIG. 2b. Accordingly,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exhibits the fashion items provided through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stylist (46) checks and picks up the exhibited fashion items, so that the fashion of a celebrity can be styled with the fashion items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이처럼 홍보 대행사(45)를 통해 패션 아이템들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타일리스트(46)가 픽업하는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들이 홍보 대행사(45)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은 픽업된 패션 아이템들을 착용할 유명인 및 그 유명인이 출연할 방송 컨텐츠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fashion items are provided through a public relations agency (45),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items picked up by the stylist (46) can be recorded in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In addi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items recorded can include information about celebrities who will wear the picked fashion items and information about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ies will appear.

이 경우 홍보 대행사(45)는 상기 유명인이 출연할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유명인의 정보, 그리고 상기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할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주체는 홍보 대행사(45)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may provide the service provider (10) with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will appear, information on the celebrity, and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to be worn by the celebrity in the broadcast content. In this case,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be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여기서 상기 홍보 대행사(45)가 정보 제공자(40)인 경우, 상기 홍보 대행사(45)는 픽업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패션 아이템들을 착용할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패션 아이템들에 공통적으로 대응하는 패션 스타일이 상기 패션 아이템들을 착용할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명인이 착용할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과 함께 서비스 제공자(10)에 제공할 수 있다. Here, if the above-mentioned public relations agency (45) is an information provider (40),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can determine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who will wear the fashion item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icked-up fashion items. In this case, a fashion style that commonly corresponds to each fashion item can be determined as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who will wear the fashion items. Then,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fashion style can b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that the celebrity will wear.

따라서 홍보 대행사(45)가 정보 제공자(40)의 주체인 경우에도,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 뿐만 아니라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1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홍보 대행사(45)가 정보 제공자(40)의 주체인 경우, 상기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한 대가는 상기 홍보 대행사(45)가 수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is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can b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And, if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is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he public relations agency (45) can receive compensation for the information on the celebrity's fashion items.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의 쇼핑몰이 입점할 수 있는 쇼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패션 아이템에 대해 제공되는 구매 관련 정보의 일환으로 상기 검색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상기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에 입점된 쇼핑몰)로의 링크 정보를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이 링크 정보를 통해 연결된 쇼핑몰에서 상기 검색된 패션 아이템을 선택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쇼핑 플랫폼의 결제 서비스를 통해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패션 아이템에 대한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shopping platform where a shopping mall of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be located. In addition, as part of the purchase-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searched fashion item, link information to a shopping mall (a shopping mall located in the shopping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that sells the searched fashion item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In addition, a shopping intermediary service for the searched fashion item may be provided by allowing the customer to select and purchase the searched fashion item from the shopping mall connected through the link information and make payment through the payment service of the shopping platform.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쇼핑 플랫폼에 대한 사용 대가로서, 상기 쇼핑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결제 대금 일부를 수수료로 선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수료를 제외한 결제 대금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 지급될 수 있다. 그러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서비스 제공자(10)에서 지급된 결제 대금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을 소비자, 즉 고객 단말기(20)의 주체에게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eemptively collect a portion of the payment for fashion items sold through the shopping platform as a commission as a fee for using the shopping platform. Accordingly, the payment excluding the commission may be paid to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en,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deliver the fashion item purchased by the user to the consumer, i.e., the subject of the customer terminal (20), in response to the payment paid by the service provider (1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각 주체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비즈니스 모델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들 및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활용하여,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한 특정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대한 구매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usiness model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ntity of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hopping platform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ashion items of a specific celebrity who appeared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by utilizing broadcast contents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30) and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40),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related to the purchase of a selected fashion ite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컨텐츠 제공자(30) 및 정보 제공자(40)로부터 방송 컨텐츠 및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고객의 요청에 따라 패션 아이템의 판매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가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 4b 내지 도 4c는 서비스 제공자(10)가 고객 단말기(20)에 편집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related to the sale of fashion items upon a customer's request, while receiving broadcast content and fashion item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er (30) and an information provider (40). FIG. 4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terface screen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search to a customer terminal (20), and FIGS. 4b to 4c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interface screen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0) provides edited content to a customer terminal (20).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 프로그램 명칭이나 유명인의 명칭 또는 방송 시간이나 공연 장소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ervice provider (10) of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Here, the preset criteria can be a content provider, a broadcast program name, a celebrity name, a broadcast time, or a performance venue.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메뉴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 즉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 프로그램 명칭이나 유명인의 명칭 또는 방송 시간이나 공연 장소에 따른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메뉴 항목에 따라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들(방송 컨텐츠 또는 편집 컨텐츠)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방영프로그램/종영작/스타/캘린더 등의 항목에 따라 분류 및 정렬된 컨텐츠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410) 별로 분류 및 정렬된 컨텐츠들이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above-described criteria may be displayed as menu items. In this case, the customer, i.e.,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menu items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r, the broadcast program name, the celebrity name, the broadcast time, or the performance venue, and in respons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sort and display the contents (broadcast contents or edited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110)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a, contents classified and sorted according to items such as category/broadcast program/ended work/star/calendar, etc. may be provided, and contents classified and sorted by content provider (410) may be provided.

또한 서비스 제공자(10)는 도 4a에서 보이고 있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과 같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각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시청한 횟수 또는 시청 시간에 근거하여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컨텐츠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가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제공하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정렬된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또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list of contents sorted in order of popularity among user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r viewing time that users have viewed each content during a preset period, as shown in the main interface screen of Fig. 4a. In this case, the main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20) may display still images or thumbnai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orted contents.

또한 서비스 제공자(10)가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제공하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사용자들이 구매한 횟수 및 사용자들이 추천한 횟수에 근거하여, 인기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패션 아이템들의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a의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과 같이, 상기 정렬된 패션 아이템들의 목록은 각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420)와 제조사(421), 그리고 명칭(422), 및 가격 정보(423)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특정 유명인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424)가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20) may include a list of fashion items sorted in order of popularity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s have purchased and the number of times the users have recommended them. In this case, as in the main interface screen of Fig. 4a, the list of the sorted fashion items may display the image (420), manufacturer (421), name (422), and price information (423) of each fashion item, and content information (424) about the content of a specific celebrity wearing the fashion item may be displayed.

이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424)는 해당 컨텐츠의 스틸 이미지 또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정보(424)를 선택하면, 상기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특정 유명인의 컨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및, 해당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다양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재생 화면 및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이 표시되는 화면은 팝업(pop-up) 윈도우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메인 인터페이스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재생 윈도우 및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ent information (424) may be a still image or a thumbnail imag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information (424), a screen in which content of a specific celebrity wearing the fashion item is played and a screen in which information on various fashion items worn by the specific celebrity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are displayed may be displayed. Here, the content playback screen and the screen in which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is displayed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interface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or a PIP (picture in picture). Alternatively, it may be switched to a separate interface screen including the content playback window and the window in which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is displayed.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텐츠들이 구분된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편집 컨텐츠, 즉 2차 저작물들만을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항목(페리 TV : 401) 또는 특정 유명인이나 피팅 모델들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냅샷(402)을 포함하는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2차 저작물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페리 TV : 401)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2차 저작물, 예를 들어 복수의 방송 컨텐츠에서 특정 유명인이 출연하는 출연분만을 추출하여 생성한 편집 컨텐츠들만을 포함하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메뉴 항목으로부터 스냅샷(402)을 선택하는 경우, 유명인 또는 피팅 모델의 스틸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menu item in which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110)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s.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n interface screen including a separate item (Ferry TV: 401) that allows selection of only edited contents, i.e., secondary works, or a menu item including snapshots (402) including images of specific celebrities or fitting models. Then, when a user selects a menu item (Ferry TV: 401)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works, a list including only edited contents created by extracting only the secondary works, for example, the portions in which specific celebrities appear from multiple broadcast contents, may be displayed. Or, when a user selects a snapshot (402) from a menu item, a list including still images of celebrities or fitting models may be displayed.

여기서 상기 스냅샷(402) 선택 시 표시되는 스틸 이미지들은, 유명인의 이름 또는 컨텐츠의 명칭(예 : 방송 프로그램 명), 또는 공연 장소 등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틸 이미지들은 패션 아이템들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피팅 모델들의 이미지가 목록에 더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still images displayed when selecting the above snapshot (402) may be provided classified by the name of a celebrity, the name of the content (e.g., the name of a broadcast program), or the performance venue. Or, the still images may be provided classified by the fashion items. In this case, the list may further include images of fitting models wearing the fashion items.

한편 스냅샷(402) 선택을 통해 표시되는 스틸 이미지들의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스틸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스틸 이미지와 함께, 상기 선택된 스틸 이미지에 등장한 유명인 또는 피팅 모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은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 명칭, 제조사, 가격 정보(예 : 최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의 구매에 관련된 정보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대한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still image is selected from a list of still images displayed through selection of snapshot (402),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a celebrity or fitting model appearing in the selected still image, together with the selected still imag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ashion item may include an image, name, manufacturer, and price information (e.g., lowest pric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and when a fashion item is selected, information related to purchas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for example, link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hopping mall, may be provided.

한편 도 4b는 사용자가 상기 2차 저작물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예 : 페리 TV(401))을 선택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2차 저작물들의 목록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Meanwhile, FIG. 4b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screen that displays a list of secondary works when a user selects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work (e.g., Ferry TV (401)).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b는 2개의 2차 저작물들의 타이틀 화면들(430, 440)이 표시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각 2차 저작물들의 타이틀 화면(430, 440)에는 각 2차 저작물의 서지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지 사항은, 적어도 하나의 원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들(431, 441) 및, 원본 컨텐츠가 방송된 시간 또는 2차 저작물이 생성된 시간과 2차 저작물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들(432, 4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2차 저작물들의 타이틀 화면(430, 440)에는 각 2차 저작물의 스틸 이미지(433. 4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스틸 이미지(433, 443)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스틸 이미지가 표시되는 타이틀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선택된 스틸 이미지에 대응하는 2차 저작물이 재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FIG. 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itle screens (430, 440) of two secondary works are displayed. In this cas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each secondary work may be displayed on the title screens (430, 440) of each secondary work. For exampl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431, 441) related to at least one original content, and information (432, 442)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original content was broadcast or the time when the secondary work was created and information about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condary work. In addition, the title screens (430, 440) of each secondary work may include a still image (433, 443) of each secondary work, and when a user selects the still image (433, 443), the secondary work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ill image may be played in an area of the title screen where the selected still image is displayed.

한편 각 2차 저작물들의 타이틀 화면(430, 440)에는 각 2차 저작물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추천수(435, 445)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저작물에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상세 보기 항목(436, 446)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품 상세 보기 항목(436, 446)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2차 저작물에 등장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이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itle screens (430, 440) of each secondary work may display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435, 445) from other users for each secondary work. In addition, a product detail view item (436, 446) may be displayed to check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condary work. In this case, when a user selects the product detail view item (436, 446),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appearing in the secondary work may be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한편 도 4b에서는 스틸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타이틀 화면의 일 영역에서 2차 저작물이 재생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스틸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스틸 이미지에 대응하는 2차 저작물의 정보들만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Fig. 4b,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is described in which, when a still image is selected, a secondary work is played in one area of the title screen and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can be check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hange to an interface screen in which only information on the secondary work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ill image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 single still image.

도 4c는 이처럼 2차 저작물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차 저작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 4c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screen in which information about one of the selected secondary works is displayed when one of the secondary works is selected.

예를 들어, 상기 도 4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2차 저작물 타이틀 화면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타이틀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도 4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차 저작물에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2차 저작물의 스틸 이미지(450)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2차 저작물의 컨텐츠를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one of the title screens while a plurality of secondary work title screens are displayed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Fig. 4b,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isplay an interface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one of the selected secondary works as shown in Fig. 4c. In addition, when a still image (450) of the secondary work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is selected, the content of the selected secondary work can be played in the form of a video.

또한 서비스 제공자(10)는 어느 하나의 2차 저작물에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선택된 2차 저작물에 관련된 보다 다양한 정보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적어도 하나의 원본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451) 뿐만 아니라, 상기 원본 컨텐츠에서 등장한 유명인의 실명(452) 및 상기 원본 컨텐츠에서의 상기 유명인의 극중 이름(453)을 포함하는 서지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more diverse information and functions related to the selected secondary work through an interface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 single secondary work.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display not only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riginal content (451), but also bibli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l name (452)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name (453) of the celebrity in the play in the original content.

또한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2차 저작물에서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은, 각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 명칭, 제조사, 가격 정보(예 : 최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의 구매에 관련된 정보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대한 링크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lected secondary work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may include the image, name, manufacturer, and price information (e.g., lowest price information) of each fashion item, and when one fashion item is selected, information related to purchas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for example, link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shopping mall, may be provided.

또한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2차 저작물에서 등장하는 유명인의 대사를 다양한 언어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언어 선택(454) 기능을 통해 선택되는 서로 다른 언어로 상기 2차 저작물에서 등장하는 유명인의 대사를 번역한 자막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유명인의 대사를 선택된 언어로 더빙(dubbing)한 더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lines of a celebrity appearing in a selected secondary work in various languages.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subtitles that translate lines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condary work into different languages selected through the language selection (454) function, or may provide a dubbing service that dubs lines of a celebrity into the selected language.

한편 상기 도 4a 내지 도 4c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된 방송 컨텐츠 또는 편집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Meanwhile, through interface screens such as those shown in FIGS. 4A to 4C,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broadcast content or edited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30) to the user. Then, one of the provided contents can be selected.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유명인을 기준으로 분류된 컨텐츠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먼저 선택하고 선택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들 중에서 특정 유명인에 따른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특정 유명인을 먼저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특정 유명인이 등장하는 컨텐츠들을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 중에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특정 유명인이 출연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300).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contents classified based on the broadcast program or celebrity.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first, and then select one of the contents based on a specific celebrity from the searched contents based on the selection. Or,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celebrity first.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and display the contents in which the specific celebrity appears. Then, the user can select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broadcast program from the searched contents, and select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broadcast program in which the specific celebrity appears. Then, when one of the contents is selecte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can be detected (S300).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10)는 정보 제공자(40)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 즉 유명인이 착용하는 패션 아이템들 및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예 : 방송 프로그램 또는 유명인 명칭 등) 또는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receive information (fashion item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items of celebrities appearing in specific content, i.e.,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and fashion styles,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can provide searched contents according to a menu item selected by the user (e.g., broadcast program or celebrity name, etc.) or a search request.

한편 방송 컨텐츠 또는 편집 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장하는 유명인, 방송 시간, 프로그램 명칭, 공연 장소 또는 방송 장소 등에 대한 정보가 해시 태그와 같은 태그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Meanwhile, as mentioned above, broadcast content or edited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celebrities appearing, broadcast time, program name, performance location or broadcast location, etc. as tag information such as hashtags.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 또는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명칭과 그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 명칭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패션 아이템 정보 저장부(12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 when one of the contents searched according to the menu item selected by the user or the search request is selected.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name of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name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content from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Then, the searched fashion item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a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한편 상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와 그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02). Meanwhile,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above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of one content,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items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S30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가, 특정 컨텐츠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including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selection of specific content.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이미지 및 명칭이 표시되는 컨텐츠 윈도우(5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윈도우(502)와 함께,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 각각의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interface screen on which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may include a content window (502) on which images and names of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re displayed. In addition, together with the content window (502), information on each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may be displayed.

일 예로 각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은, 각각 패션 아이템의 제조사(511), 명칭(512), 가격 정보(예 : 최저가 정보)(513) 및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는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on each fashion item may include the manufacturer (511) of the fashion item, the name (512), price information (e.g., lowest price information) (513), and the image (514) of the fashion item. In this case, the image of the fashion item may be displayed as a thumbnail image.

또한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따른 의상분류 카테고리 정보(5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명인의 활동 분야(예 : 가수, 영화배우 등)에 따라 상기 의상분류 카테고리 정보(500)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의상분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 의상분류 카테고리에 따른 상기 유명인의 컨텐츠가 검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screen on which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can provide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information (500)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In this case, the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information (500)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elebrity's field of activity (e.g., singer, movie actor, etc.),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the celebrity's cont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can be searched.

일 예로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공항 패션', '뉴스', '무대 의상'과 같은 의상분류 카테고리 정보(500)가 표시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공항 패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에 대하여 '공항 패션'으로 분류된 컨텐츠를 검색 및 검색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각 컨텐츠의 태그 정보에 포함된 유명인의 명칭 및 장소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유명인에 대해 '공항 패션'으로 분류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information (500) such as 'airport fashion', 'news', and 'stage costume' is displayed, if a user selects the 'airport fashion' categor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content classified as 'airport fashion' for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nd display the search results.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content classified as 'airport fashion' for a celebrity based on the celebrity's name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of each content.

또는 사용자가 '뉴스'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이 등장한 뉴스 또는 기사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무대의상'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각 컨텐츠의 태그 정보에 포함된 공연 장소 또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유명인의 명칭에 근거하여, 상기 유명인에 대해 상기 유명인이 공연한 장소 또는 무대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결과를 상기 의상분류 카테고리 정보(500)에 대한 선택으로 제공할 수 있다. Or, if the user selects the 'News' categor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erform a content search corresponding to news or articles in which a celebrity appears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Or, if the user selects the 'Stage Costume' category, the service provider can search for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ce or stage where the celebrity performed based on the performance venue or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d the name of the celebrity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of each content. And, the search result can be provided as a selection for the costume classification category information (500).

한편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에 관련된 세부 정보(510)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부 정보(510)는 상기 유명인이 특정 장소에 방문한 시각, 또는 공연한 시각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세부 정보(510)는 특정 유명인이 방문한 장소(AA공항) 및 유명인의 방문 시각(2021.04.25)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terface screen on which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may further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510) related to the celebrity of the selected content. For example, the detailed information (51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me the celebrity visited a specific place, or the time and place of performance.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detailed information (5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place (AA Airport) visited by a specific celebrity and the time of visit by the celebrity (2021.04.25).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컨텐츠의 출처에 대한 출처 정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출처 정보(520)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출처 정보(520)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송 컨텐츠는 팝업 윈도우나 PIP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screen may include source information (520) regarding the source of the content.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source information (520),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broadca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ource information (520). For example, the broadcast content may be played in a pop-up window or PIP format.

한편 상기 S302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와 그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따른 검색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06). Meanwhile, in step S302, if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of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re provided to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a search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S306).

일 예로 상기 패션 스타일은,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션 스타일은, 상기 도 5의 의상분류 카테고리 정보로서 제공되거나,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이미지와 명칭이 표시되는 컨텐츠 윈도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되는 패션 스타일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사용자가 패션 스타일에 따른 검색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shion style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of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For example, the fashion style may be provided as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information of FIG. 5, or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a content window in which an image and name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r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provided fashion style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selected a search according to a fashion style.

한편 상기 S306 단계에서, 사용자가 패션 스타일에 따른 검색을 선택한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검색 및 검색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S306).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 즉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tep S306, if the user selects a search based on a fashion sty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t least one fashion item based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nd provide the searched result (S306).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t least one other content based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i.e., the fashion styl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e the searched content to the user.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the user with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earched contents.

한편 상술한 도 5의 경우 특정 방송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나, 사용자가 2차 저작물, 즉 편집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도 5에서 도시되는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보다 더 많은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is selected, but if the user selects a secondary work, i.e., an edited content, information on more fashion items than th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illustrated in the above Fig. 5 may be provided.

일 예로 상기 편집 컨텐츠는, 복수의 서로 다른 방송 컨텐츠의 일 부분을 추출하여 서로 연결하여 생성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집 컨텐츠가 선택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편집 컨텐츠의 원본 방송 컨텐츠 각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원본 방송 컨텐츠에서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edited content may be content created by extracting a portion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roadcast contents and connecting them. In this case, when the above-mentioned edited content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each of the original broadcast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edited content,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specific celebrities in each original broadcast content.

한편 상기 편집 컨텐츠가 복수의 유명인에 대한 것이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각 유명인 별로, 각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분류하여 정렬한 정보들을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above-mentioned edited content is about multiple celebrities, the service provider (10) can classify and arrang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each celebrity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20).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편집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편집 컨텐츠의 특정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원본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원본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명인과, 그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고객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service provider (10) may detect a specific portion of the edited content that the user is currently watching based on the playback time of the edited content. Then, one orig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pecific portion may be detected. The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elebrit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riginal content and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20).

이하,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검출 및 검출된 패션 아이템을 제공하는 상기 S306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below, the step S306 of detecting at least one fashion item and providing the detected fashion item based on a fashion style selected by a us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편 상기 S304 단계의 검출 결과,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션 스타일에 따른 검색을 선택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S306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스타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08). 그리고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S304 단계 내지 S306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ove step S304, 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search according to a fashion style while th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of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is provided, or if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above step S306,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whether any one of the currently provided fashion item information has been selected by the user (S308). If no fashion item has been selected, the process from the above steps S304 to S306 can be repeated.

반면 사용자가 상기 S308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다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을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특정 패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다른 아이템의 정보 제공과 관련된 메뉴항목을 팝업 윈도우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다른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2).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lects one fashion item in the step S308, the service provider (10) can ask the user whether to provide information on other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S310). For example, if a specific fashion item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a menu item related to providing information on other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Then,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of the menu item, information on other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can be provided (S312).

한편 상기 S31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국제상품분류 등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분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 즉 관련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 또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에 근거하여 다른 패션 아이템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검색한 다른 패션 아이템을,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step S312,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t least one other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nother fashion item of the same or similar classification as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ccording to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such as the Interna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as an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e., a related item. Alternative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nother fashion item based o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or a celebrity wearing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nd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searched other fashion item as information about the related item. Alternatively, another fashion item searched by the user can be detected as an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이와 같이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다른 패션 아이템이 결정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결정된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 및,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2). In this way, when other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re determine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related items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S312).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0)는 다시 S308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패션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S308 단계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지 않고 특정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라면, S306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패션 스타일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다시 제공할 수 있다. The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ceed to step S308 again to detect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one of the currently provided fashion items. If the user does not select one of the fashion items in step S308 and re-selects a fashion style of a specific celebrit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ceed to step S306 to provi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according to the selected fashion style again.

그러나 상기 S308 단계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다시 S31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다른 패션 아이템, 즉 관련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다시 확인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 제공이 선택된 경우라면, 다시 S312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검출하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user selects one fashion item in step S308,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ceed to step S310 and ask the user again whether to receive information on other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e., information on related items. If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related items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er may proceed to step S312 and detect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ashion item.

그러나 상기 S310 단계에서 사용자가 관련 아이템의 정보 제공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의 구매에 관련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14).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o provide information on related items in the above step S310,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of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S314).

여기서 상기 패션 아이템의 구매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을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의 판매 가격에 따라 정렬한 쇼핑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된 쇼핑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링크 정보를 통해, 선택된 쇼핑몰과 연결 및 상기 선택된 쇼핑몰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연결된 쇼핑몰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에 대한 응답으로 쇼핑몰의 주체, 즉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사용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He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of the fashion item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hopping mall sell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search for a shopping mall sell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and provide shopping mall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earched shopping malls is sorted according to the selling price of the selected fashion item. The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hopping mall information provided, the selected shopping mall may be connected through link information and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elected shopping mall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Then, the user may purchase the selected fashion item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the connected shopping mall. Then, in response to the purchase, the subject of the shopping mall, i.e.,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deliver the fashion item purchased by the user to the user.

여기서 상기 패션 아이템의 구매에 따른 구매 대금의 결제는, 서비스 제공자(10)의 쇼핑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결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제공자(10)는 결제 대금을 사용자로부터 지급받고, 일정량의 수수료를 선취 후 잔액을 쇼핑몰의 주체, 즉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에게 지급할 수 있다. Here, payment for the purchase of the above fashion item can be made through a payment system provided on the shopping platform of the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receive payment from the user, take a certain amount of commission in advance, and then pay the balance to the main body of the shopping mall, i.e.,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패션 스타일에 따른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a fashion style selected by a user.

상기 도 3의 S302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와 그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10)를 통해 제공된 상태에서, 고객 단말기(20)의 사용자는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패션 스타일과 같은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유명인들이 등장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600).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패션 스타일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302 of the above-described FIG. 3, when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are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provider (10), the user of the customer terminal (20) can select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The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content in which celebrities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as the selected fashion style appear (S600). Then, at least one searched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a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fashion style.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패션 스타일에 대응하는 패션 스타일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 저장부(12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을 컨텐츠 저장부(11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들을 상기 패션 스타일과 같은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유명인이 등장하는 컨텐츠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3의 S300 단계에서 선택되었던 컨텐츠의 유명인 뿐만 아니라 다른 유명인이 등장하는 다른 컨텐츠도 검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fashion item information including fashion sty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ashion style from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Then, the service provider can search fo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fashion item information from the contents storage unit (110). Then, the searched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contents in which a celebrity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as the fashion style appears. In this case, not only the celebrity of the contents selected in step S300 of FIG. 3 but also other contents in which other celebrities appear can be searched.

한편 패션 스타일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한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602). 그리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은, 서비스 제공자(10)가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S604). Meanwhile, while providing at least one content searched according to a fashion sty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receive a user's request to select one content. The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S602). Then,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detected fashion item can be provided as a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o select the content. Then, the information on the provided fashion item can be displayed through an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to the customer terminal (20) (S604).

한편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을 제공하면서, 상기 패션 아이템의 최저 판매 가격을 상기 가격 정보로서 제공함을 설명한 바 있다. 이처럼 패션 아이템의 최저 판매 가격을 검출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10)는 패션 아이템 각각에 대한 최저가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최저 판매 가격을 상기 가격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planation, the service provider (10) provides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including pric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lowest sale price of the fashion item as the price information. In this way, in order to detect the lowest sale price of the fashion item,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erform a lowest price search for each fashion item, and provide the searched lowest sale price as the price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가, 패션 아이템에 대한 최저가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owest price information for a fashion item.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도 3의 S3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등장한 유명인의 패션 아이템들이 검출되면,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들을 검색할 수 있다(S700). 여기서 상기 쇼핑몰들은,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에 입점된 쇼핑몰들일 수 있다. In step S300 of the above-described Fig. 3, if fashion items of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re det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lect one fashion item and search for shopping malls selling the selected fashion item (S700). Here, the shopping malls may be shopping malls that have entered the shopping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상기 S700 단계의 검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쇼핑몰이 검출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쇼핑몰의 개수에 따라 최저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S700 단계의 검색 결과 검출된 쇼핑몰이 하나인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쇼핑몰의 상기 패션 아이템 판매 가격을 최저 판매 가격으로 결정하고 도 7의 최저가 검색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700 단계의 검색 결과 검출된 쇼핑몰이 두 개 이상인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는 검출된 쇼핑몰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 판매 가격을 검색할 수 있다(S704). 그리고 검색된 패션 아이템 판매 가격 중 최저 가격을 상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가격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S706). As a result of the search in step S700, if a shopping mall selling one of the fashion items is det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erform a lowest price search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tected shopping malls. That is, if there is only one shopping mall detected as a result of the search in step S700,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the selling price of the fashion item of the detected shopping mall as the lowest selling price and end the lowest price search process of FIG. 7. However, if there are two or more shopping mall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search in step S700, the service provider can search for the selling price of one of the fashion items from each of the detected shopping malls (S704). In addition, the lowest price among the searched fashion item selling prices can be provided as price information for one of the fashion items (S706).

상기 도 7의 최저가 검색 과정은 상기 도 3의 S3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의해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패션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수행된 최저가 검색의 결과로서 검색된 최저 판매 가격들이, 각 패션 아이템의 가격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The lowest price search process of the above Fig. 7 can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fashion items detected by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300 of the above Fig. 3. And, as a result of the lowest price search performed for each of the fashion items, the lowest sale prices searched can be provided as price information for each fashion item.

한편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관련 아이템의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도 3의 S312 단계),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다른 패션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검출 및 검출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request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a related item while one of the provided fashion item information is selected (step S312 of FIG. 3),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ashion item as information on the related item.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관련된 다른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더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n other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s described above.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아이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사 아이템 제공 방식, 프렌드 아이템 제공 방식 또는 지정 아이템 제공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S800). Referring to FIG. 8, when a user requests at least one related item information for a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n step S312 of FIG. 3, the service provider (10) may select one of the similar item provision method, the friend item provision method, or the designated item provision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800).

상기 S80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사용자가 유사 아이템 제공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국제상품분류 등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더 검색하고 검색된 패션 아이템을 상기 관련 패션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S810).In the above S800 step, if the user selects the similar item provision metho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based on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such as the interna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and detect the searched fashion item as the related fashion item. The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ashion item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information on the related item (S810).

여기서 상기 유사 아이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 즉 동일한 유명인을 팔로우(follow)한 다른 사용자의 구매 수 또는 추천 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유사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이 등장하는 다른 컨텐츠에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 또는 유사한 컨텐츠에 등장하는 다른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과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Here, the similar item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as a similar item based on the number of purchases or recommendations of other users who selected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i.e., other users who follow the same celebrity. O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s the similar item in other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O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 fashion item worn by another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or similar content as the similar item. O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 fashion item worn by another celebrity who has the same fashion style as the celebrity of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s the similar item.

그리고 유사 아이템이 검출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유사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유사 아이템의 검출 및 검출된 유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1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And when a similar item is detecte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similar item as information on the related item to the customer terminal (20).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ervice provider (10) for detecting the similar item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etected similar item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9d.

한편 상기 S800 단계에서, 사용자가 프렌드(friend) 아이템 제공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유명인 또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의 선택 이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상기 프렌드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구매 또는 추천한 다른 사용자들이 일정수 이상 구매 또는 추천한 다른 패션 아이템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들이 함께 착용한 이력이 일정 수 이상인 다른 패션 아이템을 상기 프렌드 아이템으로 검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tep S800, if the user selects the friend item provision metho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t least one fashion item as the friend item based on the selection history of a celebrity or a number of other users.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other fashion items that other users who have purchased or recommende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have purchased or recommended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Alternatively, other fashion items that celebrities who have worn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have worn together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can be detected as the friend item.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복수의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션 아이템 정보 각각으로부터,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 및 그 유명인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이 중첩된 횟수에 따라, 상기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들이 함께 착용한 이력'을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a celebrity wearing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nd other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from each of a plurality of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roadcast contents. Then,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detected fashion items overlap, the service provider can detect 'history of celebrities wearing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together' for each of the other detected fashion items.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프렌드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S820).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riend item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information on the related item (S820).

또한 상기 S8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지정 아이템 제공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검색 메뉴는 카테고리 검색 또는 키워드 검색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검색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에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패션 아이템을 직접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패션 아이템이 상기 지정 아이템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지정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S830).In addition, in the step S800, if the user selects the designated item provision method,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search menu for searching for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For example, the search menu may include a category search or keyword search function. Then, through the search menu, the user may directly search for a fashion item that he or she thinks suits the celebrity of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nd the searched fashion item may be determined as the designated item.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designated item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as information on the related item (S830).

한편 도 9a 내지 도 9d는, 상기 도 8의 유사 아이템으로서 상품 분류에 따라 유사한 종류로 분류된 패션 아이템을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1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Meanwhile, FIGS. 9a to 9d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service provider (10) that provides fashion items classified into similar types according to product classification as similar items of FIG. 8 as related items.

먼저 도 9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8의 S810 단계에서 유사 아이템 방식에 따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패션 아이템이 검출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먼저 현재 선택된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 즉 동일한 유명인을 팔로우(follow)한 다른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다른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추천한 패션 아이템들을 검색할 수 있다(S910). First, referring to Fig. 9a, if a fashion item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similar item method in step S810 of Fig. 8, the service provider (10) can first detect another user who selected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i.e., another user who follows the same celebrity. Then, the fashion items purchased or recommended by the other detected user can be searched (S91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S910단계에서 검색된 패션 아이템들 중,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분류되는 패션 아이템들만을 검출할 수 있다(S912).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을 상기 S912 단계에서 검출할 수 있다.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only the fashion items classifi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the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among the fashion items searched in step S910 (S912). Therefo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not only the fashion items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but also the fashion items of the same type in step S912.

한편 상기 S912 단계에서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들이 검출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이 구매되거나 추천된 수(구매 수, 추천 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수 또는 추천 수에 따라 상기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유사 아이템의 정보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관련 아이템의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f fashion items of the same or similar type as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re detected in the step S912,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the number of detected fashion items purchased or recommended (the number of purchase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And, based on the number of purchases or recommendations, at least one fashion item among the detected fashion items can be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 And,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similar item can be provided as information on related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일정 수 이상의 구매 수 또는 일정 수 이상의 추천 수를 갖는 패션 아이템들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유사 아이템이 복수인 경우 구매 수 또는 추천 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상기 유사 아이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구매 수 또는 추천 수에 따라 상기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을 정렬하고, 구매 수 또는 추천 수가 많은 순서대로 기 설정된 개수의 패션 아이템들을 상기 유사 아이템들로 결정할 수도 있다.He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only fashion items with a certain number of purchases or a certain number of recommendations as the similar items. In addition, if there are multiple determined similar items, the information on the similar item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sorting them in order of the number of purchases or recommendations. Alternative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ort the detected fashion item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rchases or recommendations, and determine a preset number of fashion items in order of the number of purchases or recommendations as the similar items.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구매 수와 추천 수에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하나의 구매 수가 복수의 추천 수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 각각의 구매 수를 추천 수로 치환하고, 치환된 추천 수에 근거하여 정렬하여 기 유사 아이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t different weights for the number of purchases and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t the weights so that one number of purchases corresponds to multiple numbers of recommendations.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ubstitute the number of purchases of each detected fashion item with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and sort the items based on the substituted number of recommendations to determine similar items.

한편 서비스 제공자(10)는,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선택 이력에 따라 상기 유사 아이템을 결정하는 도 9a의 동작 과정과 달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 또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유사한 컨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유사 아이템들을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유명인에 따라 유사 아이템들을 결정하는 동작 과정을 하기 도 9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고, 상기 유사한 컨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유사 아이템들을 결정하는 동작 과정을 하기 도 9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of course, determine the similar items based on the celebrity of the selected content or similar content to the selected content, unlike the operation process of FIG. 9a in which the similar item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selection history of other users who have selected the celebrity of the selected content.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determining the similar items based on the celebrity of the selected content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 9b,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determining the similar items based on the similar content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 9c.

먼저 도 9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이 등장하는 다른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920).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들 각각에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S922). First, referring to FIG. 9b,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for other content in which a celebrity who appears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ppears (S920). Then,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can be detected in each of the searched contents (S922).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색된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분류되는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을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관련 아이템, 즉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하고,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924). 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fashion items classifi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the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among the searched fashion items. In this case, not only fashion items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but also fashion items of the same type can be detected. 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the detected fashion items as related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e., similar items,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s (S924).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각각의 판매 수 또는 추천 수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유사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판매 수 또는 추천 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기 상품 분류표에 따라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패션 아이템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품 분류표에 따라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판매 수 또는 추천 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패션 아이템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10)는 판매 수와 추천 수에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similar items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sales or recommendations of each fashion item detect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only a preset number of fashion items among the fashion items detect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ales or recommendations as the similar items. Alternatively, among the fashion items detect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only fashion items with a certain number or more of sales or recommendations can be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s.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t different weights for the number of sales and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respectively.

한편 도 9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와 유사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930). 여기서 상기 유사한 컨텐츠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종류(예 :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 명칭을 가지는 컨텐츠)의 다른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다수의 회차로 이루어지는 미니시리즈(miniseries) 드라마의 어느 한 회차에 대응하는 컨텐츠인 경우, 상기 유사한 컨텐츠는 동일한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다른 회차에 대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는 시즌(season) 별로 구분되는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경우, 서로 다른 시즌의 회차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서로 유사한 컨텐츠일 수 있다. 또는 주요 인물(예 : 주연)로 등장하는 복수의 유명인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유사한 컨텐츠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9c,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for content similar to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S930). Here, the similar content may mean other content of the same type (e.g., content having the same broadcast program name) as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For example, if the selected content is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episode of a miniseries drama consisting of multiple episodes, the similar content may be content corresponding to another episode of the same miniseries drama. Or, in the case of a miniseries drama divided by season, content corresponding to episodes of different seasons may be similar content. Or, if multiple celebrities appearing as main characters (e.g., lead characters) are the same, they may be the similar content.

상기 S930 단계에서 유사한 컨텐츠가 검색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 및 상기 검색된 유사 컨텐츠에서 등장하는 유명인들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932). When similar content is searched in the above step S930,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nd the searched similar content (S932).

그리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분류되는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을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관련 아이템, 즉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하고,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934). And among the detected fashion items,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fashion items classifi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the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In this case, not only fashion items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but also fashion items of the same type can be detected. 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the detected fashion items as related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e., similar items,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s (S934).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각각의 판매 수 또는 추천 수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유사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판매 수 또는 추천 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기 상품 분류표에 따라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패션 아이템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품 분류표에 따라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판매 수 또는 추천 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패션 아이템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10)는 판매 수와 추천 수에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similar items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sales or recommendations of each fashion item detect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only a preset number of fashion items among the fashion items detect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ales or recommendations as the similar items. Alternatively, among the fashion items detect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only fashion items with a certain number or more of sales or recommendations can be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s.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t different weights for the number of sales and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respectively.

한편 상술한 도 9a 내지 도 9c에서 살펴본 바와 달리,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상기 유사 아이템을 검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유사 아이템을 결정하는 동작 과정을 하기 도 9d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Meanwhile, unlike what was examined in the above-described Figures 9a to 9c, the service provider (10) can of course detect the similar item based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wearing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determining the similar item based on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ure 9d.

도 9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는 경우,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과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유명인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940). Referring to FIG. 9d,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for content of another celebrity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as the celebrity wearing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when a selection for one fashion item is detected in step S308 of FIG. 3 (S940).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유명인의 컨텐츠들을 검색하기 위해, 현재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로부터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패션 스타일에 대응하는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출 및, 검출된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특정 패션 스타일에 대응하는 유명인들의 컨텐츠들이 검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information about a fashion style from information about a fash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in order to search for contents of a celebrity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Then, it can detect information about another fashion item having a fashion styl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fashion style, and search fo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ly, contents of celebritie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ashion style can be searched.

한편 상기 S940 단계에서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유명인들의 컨텐츠들이 검색되면,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색된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들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942).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에 각각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로부터 상기 S940 단계에서 검색된 컨텐츠의 유명인들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Meanwhile, if contents of celebrities with the same fashion style are searched in step S940,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arched contents (S942).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celebrities in the contents searched in step S940 from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arched contents.

그리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분류되는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을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관련된 관련 아이템, 즉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하고,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944). And among the detected fashion items,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fashion items classifi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the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In this case, not only fashion items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but also fashion items of the same type can be detected. 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the detected fashion items as related item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e., similar items,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s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s (S944).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10)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표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로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각각의 판매 수 또는 추천 수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유사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10)는 판매 수 또는 추천 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기 상품 분류표에 따라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패션 아이템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품 분류표에 따라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 중, 판매 수 또는 추천 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패션 아이템만을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10)는 판매 수와 추천 수에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similar items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sales or recommendations of each fashion item detected as the same or similar type according to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rmine only a preset number of fashion items among the fashion items detect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ales or recommendations as the similar items. Alternatively, among the fashion items detect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only fashion items with a certain number or more of sales or recommendations can be determined as the similar items.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t different weights for the number of sales and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respectively.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도 3의 S308 단계의 판별 결과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선택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아이템이 더 검출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현재 검출된 관련 아이템에 대한 피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이러한 피팅 컨텐츠가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자(1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planation, if at least one related item is detected while one fashion item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8 of the above-described Fig. 3, it has been mentioned that the service provider (10) can provide fitting content for not only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but also the currently detected related item. Figs. 10a and 10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ervice provider (10) in which such fitting content is provided.

한편 판매되는 모든 제품에 대한 피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제공자(10)는 동종의 유사한 패션 아이템들을 하나의 아이템 그룹으로 구룹화하고, 같은 그룹의 패션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대표 아이템으로 선정하여, 선정된 대표 아이템의 피팅 컨텐츠가 상기 피팅 컨텐츠로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동종의 유사한 패션 아이템은, 패션 아이템의 제조사, 패션 아이템의 종류가 서로 동일하나, 부가적인 모양 또는 색상이 서로 다른 패션 아이템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realistically difficult to provide fitting content for all products being sol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10) may group similar fashion items of the same type into one item group, select one of the fashion items of the same group as a representative item, and provide the fitting content of the selected representative item as the fitting content. Here, the similar fashion items of the same type may be fashion items whose manufacturers and types of fashion items are the same, but whose additional shapes or colors are different.

이러한 아이템 그룹은 각 패션 아이템을 제조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50) 또는 쇼핑몰의 운영자가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템 그룹의 대표 아이템 역시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 또는 쇼핑몰의 운영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se item groups can be determin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at manufactures each fashion item or the operator of the shopping mall, and the representative item of the item group can also be determin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or the operator of the shopping mall.

먼저 도 10a는 유사 아이템 검출 방식에 따라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아이템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컨텐츠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rst, Fig. 10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tting content is provided when at least one related item is detected according to a similar item detection method.

도 10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도 8의 S810 단계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의 대표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S1000). 그리고 상기 결정된 유사 아이템 또는 대표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1002).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결정된 유사 아이템 또는 대표 아이템을 착용한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피팅 이미지 저장부(113)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a,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 representative item of an item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similar item determined in step S810 of FIG. 8 (S1000). Then, the content of a celebrity wearing the determined similar item or representative item can be searched for (S1002). Alternatively,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earing the determined similar item or representative item from the fitting image storage unit (113).

여기서 상기 피팅 모델의 이미지는, 사전에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치수와 유사한 피팅 모델이 상기 결정된 유사 아이템 또는 대표 아이템을 착용한 이미지일 수 있다. Here, the image of the above fitting model may be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ith body measurements similar to those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wearing the determined similar item or representative item.

그리고 검색된 유명인의 컨텐츠 또는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S1004). And the content of the searched celebrity or the image of the fitting model can be provided as the fitting content (S1004).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유사한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이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 대신 상기 유사 아이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른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통해 선택한 패션 아이템이 모자인 경우,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에서 등장한 유명인이 착용한 모자 대신, 상기 유사 아이템으로 제공된 다른 모자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Meanwhile, as explained above, not only other types of fashion items similar to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but also the same type of fashion item can be determined as similar items.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nd purchase other fashion items provided through the similar items instead of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That is, if the fashion item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ntent is a hat, the user can select and purchase another hat provided as the similar item instead of the hat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content.

따라서 도 10a에서 서비스 제공자(10)는 유사 아이템으로 결정된 패션 아이템이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한 종류인 경우, 상기 유사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의 컨텐츠 또는 상기 유사 아이템을 착용한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사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의 대표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의 컨텐츠 또는 상기 대표 아이템을 착용한 피팅 모델의 이미지가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Fig. 10a, if the fashion item determined as a similar item is of the same type as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content of a celebrity wearing the similar item or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earing the similar item as the fitting content. In this case, content of a celebrity wearing a representative item of an item group including similar items or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earing the representative item may be provided as the fitting content.

그러나 유사 아이템이,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이 아닌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유사 아이템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포함하는 유명인의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유명인의 컨텐츠 또는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0a에서 제공되는 유사 아이템에 대한 피팅 컨텐츠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10)는 유사 아이템이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한 종류인지 다른 종류인지에 따라, 상기 유사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들을 피팅 컨텐츠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유사 아이템 및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포함하는 컨텐츠들을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similar item is not the same type of fashion item as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the service provider (10) may search for content of a celebrity that includes both the similar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or may search for an image of a fitting model. Then, the searched content of the celebrity or the image of the fitting model may be provided as the fitting content.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tting content for the similar item provided in FIG. 10a,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contents including the similar item as the fitting content, or may provide contents including both the similar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s the fitting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the similar item is the same type or a different type from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한편 상기 도 8의 S820 단계에서 검출된 프렌드 아이템 또는 S83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정 아이템은,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다른 종류의 아이템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는 프렌드 아이템 또는 사용자 지정 아이템 중 어느 하나와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 모두를 착용한 유명인의 컨텐츠를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b는 이처럼 프렌드 아이템 또는 사용자 지정에 따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에 대한 관련 아이템이 결정되는 경우, 결정된 관련 아이템에 대한 피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the friend item detected in step S820 of the above-described Fig. 8 or the designated item designated by the user in step S830 may be a different type of item from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the content of a celebrity wearing both the friend item or the user-designated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as fitting content. Fig. 10b illustrates an operation process for providing fitting content for the determined related item when the related item for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iend item or the user-designated item.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도 8의 S820 단계에서 검출된 프렌드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의 대표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 또는 S83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정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의 대표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S1050).Referring to FIG. 10b,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 representative item of an item group including a friend item detected in step S820 of FIG. 8. Or, it can search for a representative item of an item group including a designated item designated by a user in step S830 (S105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프렌드 아이템(또는 대표 아이템) 또는 지정 아이템(또는 대표 아이템)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착용한 유명인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1052). 또는 서비스 제공자(10)는 상기 프렌드 아이템(또는 대표 아이템) 또는 지정 아이템(또는 대표 아이템)과 현재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모두 착용한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피팅 이미지 저장부(113)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유명인의 컨텐츠 또는 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상기 피팅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S1054). 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content of a celebrity who wears both the friend item (or representative item) or the designated item (or representative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S1052). Or,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ho wears both the friend item (or representative item) or the designated item (or representative item) and the currently selected fashion item from the fitting image storage unit (113). And the searched content of the celebrity or the image of the fitting model can be provided as the fitting content (S1054).

여기서 상기 피팅 모델의 이미지는, 사전에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치수와 유사한 피팅 모델이 상기 프렌드 아이템(또는 대표 아이템) 또는 지정 아이템(또는 대표 아이템)을 착용한 이미지일 수 있다.Here, the image of the fitting model may be an image of a fitting model with body measurements similar to those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wearing the friend item (or representative item) or the designated item (or representative item).

한편 사용자 지정에 의해 결정되는 지정 아이템의 경우, 상기 검색된 피팅 컨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게 게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시되는 피팅 컨텐츠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와 그 컨텐츠에 등장하는 특정 유명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a designated item determined by user specification, the searched fitting content may be posted to other user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the posted fitting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selected content and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the content.

즉,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에 등장하는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지정 아이템)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아이템과 상기 패션 아이템에 따른 피팅 컨텐츠를 상기 특정 유명인의 정보와 함께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에 등장한 패션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유명인의 패션을 직접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으며, 코디네이션된 패션 아이템들에 대한 피팅 컨텐츠와 함께 다른 사용자들에게 게시할 수 있다.That is, a user can select one of the fashion items worn by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content, and directly select at least one fashion item (designated item) through the user-specified method. Then, the user can post at least one selected designated item and fit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fashion item togeth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elebrity. Accordingly, a user can directly coordinate the fashion of the specific celebrity using the fashion items appearing in various contents, and post the coordinated fashion items together with fitting content to other users.

이 경우 상기 게시된 사용자의 코디네이션, 즉 특정 유명인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customized) 코디네이션이 다른 사용자들에게 게시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사용자들은 이에 대한 평가 정보(예를 들어 '좋아요'등의 추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0)의 주체는, 추천수가 일정 개수를 넘어가는 사용자 맞춤형 코디네이션은 상기 특정 유명인의 엔터테인먼트사 등을 통해 상기 특정 유명인에게 전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ordination of the user posted above, that is, customized coordination for a specific celebrity, can be posted to other users, and the other users can input evaluation information (e.g., recommendation information such as 'like') for this.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0) may provide a service of delivering customized coordination for which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exceeds a certain number to the specific celebrity through the entertainment company of the specific celebrity.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서비스 제공자(10)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유명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유명인을 상기 사용자의 선호 유명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그인 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명인의 패션에 관련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ervice provider (10) can receive information on a specific celebrity prefer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registers as a member. Then, the specific celebrity entered by the user can be registered as the preferred celebrity of the user. Then, when the user logs in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the late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ashion of the celebrity preferred by the user can be provided.

도 11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0)가, 기 등록된 특정 유명인에 대한 최신 패션 정보를 제공받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latest fash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celebrity who has already been registered.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자(10)는 서비스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기 등록한 선호 유명인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110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컨텐츠 저장부(110)로부터 상기 선호 유명인이 등장하는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들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컨텐츠, 즉 최신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1102). Referring to FIG. 11, when a user logs into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detect information on a preferred celebrity registered by the user through an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0) (S1100). The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contents in which the preferred celebrity appears from the content storage unit (110). Then, among the searched contents, the most recently stored content, i.e., the latest content, can be searched (S1102).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는 검색된 최신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패션 아이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최신 컨텐츠에 등장한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 및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1104).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S1102 단계에서 검색된 최신 컨텐츠 및 상기 S1104 단계에서 검색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고객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S1106). And the service provider (10) can search for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latest content. And based on the searched fashion item information,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latest content and information on fashion styles can be detected (S1104). And in response to the user's login, an interface screen including the latest content searched in step S1102 and information searched in step S1104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0) (S1106).

따라서 상기 선호 유명인에 대한 새로운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 및,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패션 아이템 정보가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것만으로 상기 선호 유명인에 대한 최신 컨텐츠 및 그 컨텐츠에서 상기 선호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마치 패션 정보를 구독하는 것과 같이, 상기 선호 유명인에 대한 최신 패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new content about the preferred celebrity is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30) and fashion item information about the provided content is provided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40), the user can receive the latest content about the preferred celebrity and information about fashion items worn by the preferred celebrity in the content simply by logging into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user can receive the latest fashion information about the preferred celebrity as if subscribing to fashion information.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 또는 2차 저작을 통해 생성된 편집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컨텐츠 또는 편집 컨텐츠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특정 유명인의 스틸 이미지(예 : 스냅샷)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스냅샷 또는 스틸 이미지는 상기 컨텐츠(방송 컨텐츠 및 편집 컨텐츠)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in which a user selects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30) or edited content created through secondary authoring, and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the selected content is provided.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roadcast content or edited content may be a still image (e.g., snapshot) of a specific celebrity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snapshot or still image may be us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content (broadcast content and edited cont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도 2a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도, 정산을 위한 정산부와 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에 따른 이력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service provider configuring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FIG. 2a, a settlement unit for settlement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that analyzes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도 12는 이처럼 정산부와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e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includes a settlement unit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1)는, 도 2a에서 도시한 통신부(12), 컨텐츠 검색부(13),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14), 추천 아이템 검색부(15), 저장부(100) 및 쇼핑 플랫폼(16) 뿐만 아니라 수수료 등 비용의 지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정산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 제공자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에 근거하여, 각 정보 제공의 패션 아이템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service provide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ttlement unit (17) that provides functions related to payment of fees, etc.,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2), content search unit (13),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unit (14),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15), storage unit (100), and shopping platform (16) illustrated in FIG. 2A. In addition,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18) that can analyze the fashion item preference of each information provider based on fashion item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ers may further be included.

먼저 정산부(17)는 각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에 따른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산부(17)는 상기 정산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 제공자(40)에게 입금 예정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자(40)의 주체, 예를 들어 스타일리스트 또는 서비스 제공자(11)의 주체, 즉 서비스 제공자(11)의 운영자가 요청하는 경우 요청된 기간에 따른 패션 아이템 정보 제공 현황과 그에 따른 수수료 관련 정보(예 : 대금 총액 등)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정보를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리스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11)로부터 수수료 현황 정보 또는 입금 예정 금액 등의 정보가 제공되어 정보 제공자(40), 예를 들어 스타일리스트의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First, the settlement unit (17) can settle the commiss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each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the settlement unit (17) can calculate the amount to be deposited to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ettlement. In addition, if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a stylist, or the subject of the service provider (11), that is, the operator of the service provider (11), requests, the provision status of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ed period and the commission-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total amount, etc.)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Accordingly, if there is a request from a stylist, information such as the commission status information or the amount to be deposited can be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11)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the stylist.

이를 위해 상기 정산부(17)는, 정산 관리부(701), 유입 매출 분석부(702), 인증 및 결제 프로세스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 매출 분석부(7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청된 주체(예 : 정보 제공자(40) 주체 - 스타일리스트)로부터 정산 현황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수수료/비용 지급 대상 항목을 분석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ettlement unit (17) may include a settlement management unit (701), an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and an authentication and payment process unit (703). Here, as described above, when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requesting entity (e.g., information provider (40) entity - stylist),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may analyze items subject to payment of fees/cost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quest.

이 경우 상기 정산 현황 요청은 정산할 기간, 즉 정산 기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입 매출 분석부(702)는 상기 정산 기간 동안에 서비스 제공자(11)로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유입 매출 분석부(702)는 특정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정산 현황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정산 기간 동안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40)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ttlement status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ettlement period, i.e., the settlement period, and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or contents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11)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That is, when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40),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may search for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40) during the designated settlement period.

또는 유입 매출 분석부(702)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정산 현황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정산 기간 동안 상기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유입 매출 분석부(702)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정산 현황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지정된 정산 기간 동안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등록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 매출 분석부(702)는 상기 등록된 패션 아이템 정보 중 매매가 발생한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이 더 검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content provider (30),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may search for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30) during a designated settlement period. Alternatively, when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registered fashion items from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during a designated settlement period. In this case,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may further detect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for which transactions have occurred among the registered fashion item information.

한편 유입 매출 분석부(702)에서 검색된 정산 기간 동안의 패션 아이템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이 검색되면, 상기 정산 관리부(701)는 상기 검색된 패션 아이템 정보 또는 컨텐츠에 근거하여 정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산 정보는 상기 정산 기간 동안에 지급되거나 또는 지급된 총 비용이나 총 수수료의 정보일 수 있다. 즉, 정산 관리부(701)는 정산 현황 요청이 특정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수신된 경우, 지정된 정산 기간 동안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한 패션 아이템 정보에 근거하여 수수료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산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if fashion item information or contents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searched by the inflow sales analysis unit (702) are searched, the settlement management unit (701) can generate settl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ed fashion item information or contents. Here, the settlement information can be information on the total cost or total commission paid or paid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That is, if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40), the settlement management unit (701) can calculate a commission based on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40) during the designated settlement period and generate information on the calculated commission as the settlement information.

또는 정산 관리부(701)는 정산 현황 요청이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수신된 경우, 지정된 정산 기간 동안 상기 컨텐츠 제공자(30)가 제공한 컨텐츠에 근거하여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고 산출된 컨텐츠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산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정산 관리부(701)는 정산 현황 요청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에 의해 등록된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들 중, 판매된 패션 아이템들의 판매 대금에 근거하여 결제 대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제 대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산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content provider (30), the settlement management unit (701) may calculate a content usage fee based on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30) during a designated settlement period and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fee as the settlement information. Alternatively, when a settlement status request is received from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e settlement management unit (701) may calculate a payment amount based on the sales price of fashion items sold among the fash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calculated payment amount as the settlement information.

그러면 정산부(17)는 상기 생성된 정산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1)의 제어부(1100)에 제공하고, 제어부(1100)는 통신부(12)를 통해 수신된 정산 현황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정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n, the settlement unit (17) provides the generated settle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0) of the service provider (11), and the control unit (1100) can transmit the settlement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ettlement status reques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

한편 상기 정산부(17)는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정산된 비용 또는 수수료에 관련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비용 또는 수수료 지급 조건으로서, 기 설정된 기한의 만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프로세스를 위해 정산부(17)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기능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인증 및 결제 프로세스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기능과 상기 결제 기능은 기 설정된 인증 서버 또는 결제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제공하는 기능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및 결제 프로세스부(703)는, 통신부(12)를 통해 기 설정된 인증 서버 또는 결제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ttlement unit (17) may proceed with a payment process related to the settled cost or fee if a preset condition is met. Here, the preset condition may be a preset cost or fee payment condition, such as the expiration of a preset period. For this payment process, the settlement unit (17)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and payment process unit (703) that provides at least one authentication function and at least one payment function.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function and the payment function may be functions that provide user authentication and payment through a preset authentication server or payment server, and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and payment process unit (703) may include a function that connects to a preset authentication server or pay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12).

도 13은, 도 1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11)에서, 상기 정산부(17)를 통해 비용 및 수수료의 정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 of calculating costs and fees through the settlement unit (17) in the service provider (11) of the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2.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정보 제공자(40)로부터 패션 아이템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11)에 제공될 수 있다(1300).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1)는 상기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수신된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를 방송국(32)에 요청하거나(1302), 온라인 뉴스 기업(31)에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에 대응하는 사진 기사 및 출처의 정보 요청할 수 있다(S1301). 그러면 온라인 뉴스 기업(31)과 방송국(3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진 기사 및 출처 정보가 수신되거나(1311), 방송 컨텐츠가가 수신될 수 있다(1312).Referring to FIG. 13, first, fashion item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a service provider (11)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40) (1300). Then, the service provider (11) can request broadca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rom a broadcasting station (32) (1302), or request photo article a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from an online news company (31) (S1301). Then, photo article and sourc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online news company (31) and the broadcasting station (32) (1311), or broadcast content can be received (1312).

이처럼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진 기사 및 출처 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0)는 수신된 사진 기사 및 출처 정보,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가, 상기 제공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1320). 예를 들어 제어부(1100)는 수신된 사진 기사 및 출처, 또는 방송 컨텐츠가,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수신된 패션 아이템 관련 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0)는 수신된 사진 기사 및 출처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photo article a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ashion item provided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40) are received, or when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whether the received photo article and sourc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provided fashion item (13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photo article and source, or the broadcast content, match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ashion item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4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based on ta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hoto article and source, or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또는 제어부(1100)는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로부터, 상기 패션 아이템을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과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을 비교 분석하여,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providing the fashion item from th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hen, it can access the detected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obtain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provided from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en, it can compare and analyze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nd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s correct.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11)는 이미지 인식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0)는 상기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와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동일한 패션 아이템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이미지 인식부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100)는 상기 수신된 사진 기사 및 출처, 또는 방송 컨텐츠로부터 검출된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와,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온라인 뉴스 기업(31)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진 기사 및 출처 정보 또는 상기 방송국(32)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패션 아이템이,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과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매칭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service provider (11)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cognition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mages of the fashion items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nd the images of the fashion items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re the same fashion ite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In addition, when the image recognition unit is used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100) may compare and analyze the images of the fashion items detected from the received photo articles and sources, or broadcast contents, and the images of the fashion items provid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hereby matching whether the fashion items included in the photo articles and sour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online news company (31) or the broadcast contents provided by the broadcast station (32) are the same as the fashion items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1)는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올바른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에 상기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을 쇼핑 플랫폼에 등록 요청할 수 있다(1350). 그러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등록 요청이 수신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된 패션 아이템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갱신할 수 있다(1351).And, if th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s correct, the service provider (11) can request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to register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on the shopping platform (1350). Then,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can register th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for which the registration request has been received in the online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update the online shopping mall to enable the sale of the fashion item for which the registration request has been received (1351).

이처럼 패션 아이템, 즉 상품의 등록이 완료되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상품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면 서비스 제공자(11)가 제공하는 쇼핑 플랫폼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한 패션 아이템이 판매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egistration of a fashion item, i.e. a product, is completed,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can transmit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product registration is complete to the service provider (11). Then,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can be sold through the shopping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11).

한편 상기 정보 매칭(1320) 결과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0)는 정보 제공자(40)에게 패션 아이템의 정보 확인을 다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올바른 패션 아이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 프로세스, 즉 정산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information matching result (1320) above does not match, the control unit (1100) can request the information provider (40) to confirm the information on the fashion item again. Then, only if the correct fashion item information is received, the next process, i.e., the settlement process, can proceed.

먼저 방송국(32)의 경우, 방송국(32)은 기 설정된 조건(예 : 정산 기간 만기)이 충족되는 경우 지정된 정산 기간 동안 방송국(32)에서 제공된 방송 컨텐츠의 노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1)에게 요청할 수 있다(1330).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1)는 상기 방송 컨텐츠 노출 내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방송국(32)에서 제공된 방송 컨텐츠의 노출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331). 그리고 방송국(32)이 상기 방송 컨텐츠 노출 내역에 따른 컨텐츠 사용료 정산을 요구하면(1332), 기 설정된 정산 조건(예 : 정산 기한 만기 등)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 사용료 정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사용료를 정산할 수 있다(1333). 이 경우 정산부(17)는 인증 및 결제 프로세스부(703)를 통해 상기 요구된 컨텐츠 사용료를 정산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a broadcasting station (32), if a preset condition (e.g., expiration of a settlement period) is met, the broadcasting station (32) can request information on the exposure history of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the broadcasting station (32) during a designated settlement period from the service provider (11) (1330). Then, the service provider (11) can transmit exposure history information of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the broadcasting station (32)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he broadcasting content exposure history (1331). Then, if the broadcasting station (32) requests a content usage fee settlement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content exposure history (1332), the content usage fee can be settled in response to the content usage fee settlement request if a preset settlement condition (e.g., expiration of a settlement period, etc.) is met (1333). In this case, the settlement unit (17) can settle the requested content usage fee through the authentication and payment process unit (703).

한편 상기 정산 프로세스는 정보 제공자(40)에 대한 수수료 정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1)는 상기 1320 단계의 정보 매칭 결과,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올바른 경우, 기 설정된 정산 기간 동안에 정보 제공자(40)가 제공하였던 올바른 패션 아이템 정보 목록, 즉 매칭 일치 목록을 상기 정보 제공자(40)에게 제공할 수 있다(1340). 이 경우 상기 매칭 일치 목록은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요청에 의한 응답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칭 일치 목록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자(40)는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표시부 상에 상기 매칭 일치 목록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ttlement process may include a fee settlement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 this case, if the information matching result of step 1320, th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s correct, the service provider (11) may provid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with a list of correct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 during the preset settlement period, i.e., a matching list (1340). In this case, the matching list may be provid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 addition, when the matching list is received,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display a screen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matching list on a display unit such as a display unit.

그러면 상기 정보 제공자(40)는, 제공된 매칭 일치 목록에 근거하여 수수료의 지급을 서비스 제공자(11)에 요청할 수 있다(1341).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1)는 수수료 지급과 관련된 정산 조건(예 : 정산 기간)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요청된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1342).Then, the information provider (40) can request payment of a fee to the service provider (11) based on the provided matching list (1341). Then, the service provider (11) can settle the requested fee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40) based on whether the settlement conditions (e.g., settlement period) related to the payment of the fee are met (1342).

한편 상기 정산 프로세스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에 지급되는 결제 대금의 정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산을 위해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는 서비스 제공자(11)에 자신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된 상품의 매출 내역을 요청할 수 있다(1352).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1)는 상기 매출 내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판매된 상품들의 목록, 즉 매출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1353). 그리고 패션 아이템 제조사(50)가 정산을 요청하면(1354), 기 설정된 정산 조건(예 : 정산 기간 만기)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50)의 정산 요청에 따른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1355).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11)는 상기 정산 요청에 대한 정산으로서 각 상품별로 지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결제 대금을 상기 정산부(17)(예 : 인증 및 결제 프로세스부(703))를 통해 지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ttlement process may include settlement of payment to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For this settlement,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may request the service provider (11) for sales details of products sold through the online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1352). Then, in response to the sales details request, the service provider (11) may transmit a list of products sold during a preset period, i.e., a sales list, in the online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1353). Then, when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requests settlement (1354), settlemen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tlement request of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based on whether preset settlement conditions (e.g., settlement period expiration) are met (1355).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er (11) may pay the payment amount excluding the fee specified for each product as a settlement for the settlement request through the settlement department (17) (e.g., authentication and payment process department (703)).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1)는 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에 따른 이력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0)는 상기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18)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정보 제공자 각각 별로, 컨텐츠 또는 유명인에 따라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을 판별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에 따른 패션 아이템을 제안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t has been mentioned that the service provide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18) that analyzes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0) may determine the preferred fashion styl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ers according to content or celebr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18), and may provide a service that suggests fashion items according to the preferred fashion style when request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도 1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11)가,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 이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제안 아이템으로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service provider (11) of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fashion item as a suggested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of an information provider.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11)의 제어부(1100)는 먼저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별로, 각 정보 제공자가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을, 관련된 유명인과 그 유명인이 출연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그룹화 할 수 있다(S1400).Referring to FIG. 14, the control unit (1100) of the service provider (11) can first group fashion items styled by each information provider providing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related celebrity and content featuring the celebrity (S1400).

예를 들어, 제어부(1100)는 각 정보 제공자에 대하여, 그 정보 제공자가 특정 유명인에 대해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상기 특정 유명인을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는 각 정보 제공자에 대하여, 그 정보 제공자가 특정 유형의 컨텐츠에 대해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0) may group,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styl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for a specific celebrity based on the specific celebrity. Or,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styl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for a specific type of content may be grouped based on the type of the content.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경우, 방송 컨텐츠의 장르가 상기 컨텐츠의 종류일 수 있다. 또는 신문 기사 등의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카테고리(예 : 도 5의 의상분류 카테고리(500))가 상기 컨텐츠의 종류일 수 있다. 따라서 유명인이 출연한 방송 컨텐츠의 장르 또는 유명인이 출연한 장소(예 : 공항(공항 패션) 등)나 그 유명인이 출연한 컨텐츠(예 : 뉴스, 무대 등)에 따라 제공된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가 그룹화될 수 있다. Here, the type of the content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n the case of broadcast content, the genre of the broadcast content can be the type of the content. Or, in the case of content such as newspaper articles, a preset category (e.g., clothing classification category (500) of FIG. 5) can be the type of the content.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provided fashion items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broadcast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ed, the place where the celebrity appeared (e.g., airport (airport fashion), etc.), or the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ed (e.g., news, stage, etc.).

그리고 제어부(1100)는 상기 유명인 또는 컨텐츠에 따라 각각 그룹화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공통된 정보에 따라 서로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1400 단계에서, 제어부(1100)는 각 정보 제공자 별로, 유명인과 그 유명인이 출연한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1100) can match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grouped according to the celebrity or conten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common information. Accordingly, in the step S1400, the control unit (1100) can create a database including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the celebrity and the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그러면 제어부(1100)는 상기 그룹화된 패션 아이템들의 특징을 각각 분석할 수 있다(S1402). 일 예로, 제어부(1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각 정보 제공자 별로, 그 정보 제공자가 스타일링한 유명인들을 검출할 수 있으며, 각 유명인에 대하여 그 정보 제공자가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유명인에 대해 스타일링된 패션 아이템들 각각의 패션 스타일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각 정보 제공자 별로, 그 정보 제공자가 스타일링한 유명인이 출연한 컨텐츠들을 검출할 수 있으며, 각 컨텐츠에 대하여 그 정보 제공자가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컨텐츠에 대해 스타일링된 패션 아이템들 각각의 패션 스타일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100)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grouped fashion items (S140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celebrities styled by each information provider based on the database, and can detect fashion items styled by each celebrity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Then, the control unit can detect fashion styl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ashion items styled by each celebrity.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contents featuring celebrities styled by each information provider based on the database, and can detect fashion items styled by each content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Then, the control unit can detect fashion styl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ashion items styled by each content.

이처럼 유명인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룹화된 패션 아이템들의 특성이 검출되면, 제어부(1100)는 검출된 특성에 근거하여 각 그룹별로 지배적인(predominant) 패션 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다(S1404). 이 경우 제어부(1100)는 특정 정보 제공자에 대응하는 각 그룹의 패션 아이템들의 패션 스타일 정보들로부터, 각 그룹 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패션 스타일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각 유명인에 대하여, 또는 유명인이 등장하는 컨텐츠의 종류 별로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가 가장 많이 스타일링한 패션 스타일(지배적 패션 스타일)을 검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tems grouped by celebrity or type of content are detected, the control unit (1100) can analyze the dominant fashion style for each group based on the detected characteristics (S1404).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the fashion style that has the largest proportion for each group from the fashion styl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s of each group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In other words, for each celebrity or for each type of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the fashion style (dominant fashion style) that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styles the most can be detected.

이와 같이 제어부(1100)는, 특정 유명인에 대하여 또는 특정 컨텐츠의 종류에 대하여 지배적 패션 스타일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가 삭이 특정 유명인 또는 특정 컨텐츠의 종류에 대하여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404 단계는 각각의 정보 제공자에 대하여 수행됨으로써, 각 정보 제공자 별로, 각 유명인 및 각 컨텐츠의 종류 별로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의 정보가 분석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the fashion style preferred by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for the specific celebrity or the specific type of content by detecting the dominant fashion style for the specific celebrity or the specific type of content. In addition, the step S1404 is performed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so that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fashion style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each celebrity, and each type of content can be analyzed.

이처럼 각 정보 제공자 별로, 유명인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 정보가 분석된 상태에서, 제어부(1100)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406). 그리고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을 전송한 정보 제공자에 대응하는 그룹별 패션 스타일을 검출할 수 있다(S1408).In this way, in a state where preferred fashion style information is analyzed for each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the type of celebrity or content, the control unit (1100) can detect whether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has been received (S1406). In addition, when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is received, the group-specific fashion styl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r that sent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can be detected (S1408).

일 예로 정보 제공자(이하 특정 정보 제공자)는, 사용자, 예를 들어 스타일리스트의 입력에 따라 패션 아이템 제안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할 유명인 또는 상기 패션 아이템을 착용할 유명인이 출연할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100)는 상기 S1408 단계에서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에 포함된 정보, 즉 유명인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검출할 수 있다(S1408). 그리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스타일을 검출할 수 있다(S1410). For example, an information provi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may request a fashion item suggestion based on an input from a user, for example, a stylist. In this case,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celebrity who will wear the fashion item or a type of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who will wear the fashion item will appear. Then, the control unit (1100) may detect at least one group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in step S1408, that is, the type of the celebrity and the content (S1408). Then, from the detected at least one group, at least one fashion style preferred by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may be detected (S1410).

그리고 기 저장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 중, 상기 S1410 단계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스타일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저장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은, 복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광고 등의 목적으로 미리 제공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0)는 검출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에 따른 제안 아이템 정보로서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1412). 그러면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는 수신된 제안 아이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And, among the pre-stored fashion item information,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at least one fashion style detected in the step S1410 can be detected. Here, the pre-stored fashion item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provided in advance by a plurality of fashion item manufacturers (50) for purposes such as advertising, or information on fashion items registered in at least one online shopping mall. And, the control unit (1100) can transmit the detected fashion item information as suggest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to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S1412). Then,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can display the received suggestion item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따라서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의 사용자(예 : 스타일리스트)는 상기 제안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된 제안 아이템 정보에 근거하여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패션 스타일링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는 패션 스타일링을 수행한 유명인과 그 유명인이 출연하는 컨텐츠의 정보, 그리고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을 서비스 제공자(11)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e.g., stylist) of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can receive the suggested item information and perform fashion styling of the celebrity based on the provided suggested item information. Then, when the fashion styling is completed,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elebrity who performed the fashion styl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 which the celebrity appears, and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to the service provider (11).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에 패션 아이템 제안을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제공자(1500)의 화면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Meanwhile, FIG. 1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n information provider (1500) that requests a service provider to suggest a fash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s information on suggested fashion items in response to the request.

먼저 도 15의 (a)와 (b)는 정보 제공자(40)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11)에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을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는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First, (a) and (b) of Fig. 15 illustrate examples of display screens of an information provider (40) that inputs information for requesting fashion item suggestions from a service provider (11) when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s a mobile terminal.

이 경우 도 15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자(40)의 제어부는 정보 제공자(40)에 기 등록된 유명인(셀럽)들의 목록(15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횟수 이상 패션 스타일링이 이루어진 유명인의 경우 그렇지 않은 유명인과 구분될 수 있도록 그래픽 객체(예 : 별 모양)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셀럽(1511)이 선택(1531)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셀럽(1511)의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a) of Fig. 15,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can display a list (1510) of celebrities already registered in the information provider (40). Here, in the case of celebrities who have been fashion-styl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a graphic object (e.g., a star shape) can be additionally displayed so that they can be distinguished from celebrities who have not. In addition, when a celebrity (1511) is selected (1531) by the user,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elebrity (1511) selected by the user can be generated.

또한 이와 유사하게 도 1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자(40)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서로 다른 컨텐츠의 종류들의 목록(152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횟수 이상 특정 컨텐츠의 종류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링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종류와 다른 컨텐츠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그래픽 객체(예 : 별 모양)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컨텐츠 종류(1521)가 선택(1532)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의 종류(1521)의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Also, similarly, as shown in (b) of FIG. 15,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can display a list (1520) of different types of preset content. Here, if a fashion styling of a celebrity who appears in a specific type of content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s done, a graphic object (e.g., a star shape) can be additionally displayed so that the specific type of conten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content. In addition, if one type of content (1521) is selected (1532) by the user,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type of content (1521) selected by the user can be generated.

한편 정보 제공자(40)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도 15의 (a)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유명인의 정보 또는 도 15의 (b)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컨텐츠의 종류만을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자(40)는 상기 도 15의 (a)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상기 도 15의 (a)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may be generated that includes only the information of a specific celebrity selected by (a) of Fig. 15 or the type of specific content selected by (b) of Fig. 15.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make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only through one of the screens displayed in (a) of Fig. 15 and the screens displayed in (a) of Fig. 15.

그러나 정보 제공자(40)의 선택에 따라, 특정 유명인의 정보와 특정 컨텐츠의 종류 모두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자(40)는 상기 도 15의 (a)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상기 도 15의 (b)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표시하고, 다른 하나를 이후에 표시하여, 상기 특정 유명인의 정보와 특정 컨텐츠의 종류 모두를 사용자(예 : 스타일리스트)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택된 특정 유명인의 정보와 특정 컨텐츠 종류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서비스 제공자(11)에 전송될 수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including both information of a specific celebrity and a specific content type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first display one of the screens displayed in (a) of Fig. 15 and (b) of Fig. 15, and then display the other screen, so that both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elebrity and the specific content typ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e.g., a stylist). In this case,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celebrity and the specific content typ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er (11).

한편 도 15의 (c) 및 (d)는, 전송된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자(11)로부터 수신된 제안 아이템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c) and (d) of Fig. 15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suggestion item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er (11) is displayed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먼저 도 15의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5의 (c)는 제안 아이템 정보로 복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가 제공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안 아이템 정보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에 포함된 유명인(셀럽)의 정보와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1550), 제안된 복수의 패션 아이템들의 정보들(157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안된 복수의 패션 아이템들은, 정보 제공자(40)의 사용자가 과거에 스타일링한 정보로부터, 현재 선택된 셀럽(DDD)에 대해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의 패션 스타일, 및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로맨스)에 대하여 유명인들을 스타일링한 패션 아이템들의 패션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결정된 패션 아이템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안된 복수의 패션 아이템 중 어느 하나가, 정보 제공자(40)의 사용자(예 : 스타일리스트)의 선택에 따라 표시(1560)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c) of FIG. 15, (c) of FIG. 1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ashion items is provided as suggested item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uggested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celebrity included in a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selected content (1550), and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suggested fashion items (1570). In this case, the suggested plurality of fashion items may be fashion item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ashion styles of fashion items styled for the currently selected celebrity (DDD) from information on styling by a user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in the past, and the fashion styles of fashion items styled for celebrities for the type of content (romance) currently selected. In addition, any one of the suggested plurality of fashion items may be displayed (156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e.g., stylis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한편 이처럼 제안된 복수의 패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정보(1560)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정보 제공자(40)의 제어부는 사용자(예 : 스타일리스트)의 선택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제안된 패션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의 (d)는 이처럼 제안된 패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세부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in a state where information (1560) rela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ggested fashion items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can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about one of the suggested fashion item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e.g., stylist). Fig. 15 (d) illustrates a screen whe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one of the suggested fashion items is displayed.

도 15의 (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정보 제공자(40)의 제어부는 세부 정보 표시 영역(1580)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이미지들 또는 적어도 한명의 모델이 상기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서로 다른 착용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d) of Fig. 15,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brand of one of the proposed fashion items through the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area (1580). In addition, images of one of the fashion items taken from different angles or different images of at least one model wearing one of the fashion items can be displayed.

일 예로 상기 정보 제공자(40)의 제어부는 상기 세부 정보 표시 영역(1580)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예 : 스타일리스트)의 기 설정된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 터치, 플리크 터치 또는 스와이프 터치 등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서로 다른 착용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may display images taken from different angles or different wearing images when a preset input from a user (e.g., a stylist), such as a drag touch, a flick touch, or a swipe touch, is applied while the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area (1580) is displayed.

뿐만 아니라 상기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파생 상품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제안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한 파생 상품, 예를 들어 다른 색상을 가지는 상품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는 상기 파생 상품의 이미지등 상기 파생 상품의 이미지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파생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파생 상품과 관련된 웹 페이지 정보(예 :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생 상품 선택 영역(1590)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파생 상품의 정보, 예를 들어 다른 색상을 가지는 상기 제안된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proposed fashion item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derivative products of the one proposed fashion item. That is, if there is a derivative product identical to the one proposed fashion item, for example, a product having a different color, the information of the proposed fashion i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of the derivative product, such as an image of the derivative product, or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derivative product, for example, web page information (e.g., URL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rivative product. In addition, based on the input to the derivative product selection area (1590), information on the derivative product,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proposed fashion item having a different color, may further be displayed.

즉, 상기 제안 아이템 정보는, 특정 유명인 또는 특정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특정 정보 제공자가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에 따른 패션 아이템들 뿐만 아니라, 그와 유사한 파생 상품들에 대한 정보까지도 상기 특정 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을 요청한 정보 제공자(40)의 사용자에게, 선호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보다 많은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suggested item information provides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with information on not only fashion items according to the fashion style preferred by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er, but also similar derivative products, based on a specific celebrity or type of specific content, thereby provid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provider (40) who requested the fashion item suggestion with more information on preferred fashion items.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컨텐츠와 패션 아이템 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패션 아이템 정보와 컨텐츠 정보들을 그룹화 및 그룹화된 패션 아이템 정보와 컨텐츠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전반적인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관리(management)에 관련된 기능과 컨텐츠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 서로 분리된 이원화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의 기능들 중,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서비스 제공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관리에 관련된 기능은 상기 서비스 제공부와 별개로 구비되는 매니지먼트부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n overall service of matching content and fashion item information, grouping the matched fashion item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and creating a database including the grouped fashion item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the service provider may be configured in a dual state in which the function related to service management and the function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cont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among the functions of the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related to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ntent may be implemented as a service providing unit, and the function related to the service management may be implemented as a management uni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rvice providing unit.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12)가, 서비스 제공부(1610)와 매니지먼트부(1600)의 이원화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1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12) has a du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unit (1610) and a management unit (1600).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서비스 제공부(1610)는 도 1b에서 설명한 서비스 제공자(10)의 구성과 유사하게 서비스 제공부 제어부와 통신부, 컨텐츠 검색부,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 추천 아이템 검색부와 쇼핑 플랫폼, 그리고 컨텐츠 저장부와 패션 아이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는 상술한 도 12에서 설명한 서비스 제공자(11)의 구성과 같이 정산부와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는, 상기 도 1b 및 도 12에서 설명한 서비스 제공자(10 또는 11)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firs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610) may be provided with a service providing unit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a content search unit, a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unit, a recommended item search unit, a shopping platform, and a storage unit including a content storage unit and a fashion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10) described in FIG. 1b.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1610)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settlement unit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11) described in FIG. 12. That is, the service providing unit (1610) may have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10 or 11) described in FIG. 1b and FIG. 12.

한편 매니지먼트부(1600)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와 연결되며, 상기 기 설정된 관리 주체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agement department (160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sion department (1610) and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preset management entity.

일 예로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는 정보 제공자(40)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와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서로 매칭시키는 정보 매칭 관리자(정보 매칭 관리 주체의 단말기 또는 정보 매칭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매칭부(160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편집 및 가공하여 편집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가공 관리자(컨텐츠 가공 주체의 단말기 또는 컨텐츠 가공 애플리케이션)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컨텐츠 가공부(16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로부터 제공되는 각 패션 아이템의 정보들을 관리하는 상품 관리자(상품 관리 주체의 단말기 또는 상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그룹핑부(1602)와 DB 생성부(16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룹핑부(1602)는 상기 상품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제공된 패션 아이템 각각의 특성, 예를 들어 패션 스타일 등에 따라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그룹화할 수 있으며, 상기 DB 생성부(1603)는 상기 그룹핑부(1602)에서 그룹화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nagement unit (1600) may include a matching unit (1601) that interfaces with an information matching manager (a terminal of an information matching management entity or an information matching manager application) that matches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40) with content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30).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content processing unit (1604) that interfaces with a content processing manager (a terminal of a content processing entity or a content processing application) that edits and processes content and provides edited content.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grouping unit (1602) that interfaces with a product manager (a terminal of a product management entity or a product management application) that manages information on each fashion item provided from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d a DB generation unit (1603). Here, the grouping unit (1602) can group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shion item provided through interfacing with the product manager, for example, fashion style, and the DB creation unit (1603) can create a database according to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grouped in the grouping unit (1602).

한편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의 각 구성요소의 작업 수행 결과는 서비스 제공부(161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1610)는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의 작업 수행 결과들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부(1610)는 매칭부(1601)의 매칭 결과에 따라, 선택된 특정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가공부(1604)를 통해 가공된 컨텐츠는 서비스 제공부(1610)의 편집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고객의 선택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핑부(1602)와 DB 생성부(1603)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제공부(1610)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의 요청에 따른 패션 아이템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work performance results of each component of the management unit (1600) may b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1610). And the service provider (1610) may provide a fashion item sales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work performance results of the management unit (1600).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1610) may provide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as a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content based on the matching result of the matching unit (1601).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ed through the content processing unit (1604) may be stored in the edited content storage unit of the service provider (1610)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selection. In addition, the database generated through the grouping unit (1602) and the DB generation unit (1603)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service provider (1610) and may provide a search service of fashion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other connected component.

또한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는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16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객 관리부(1605)의 고객은, 서비스 제공자(12)와 연관된 패션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즉, 패션 아이템 제조사(50)나 정보 제공자(40), 컨텐츠 제공자(30), 상표권자(60) 및 소비자(2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기 고객 관리부(160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관리부(160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관리부(1605)에서 관리되는 고객의 정보는, 정산 서비스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의 정산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1600) may further include a customer management unit (1605) that manages customer information. The customer of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1605) may be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a fashion item sales system associated with the service provider (12). That i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 fashion item manufacturer (50), an information provider (40), a content provider (30), a trademark holder (60), and a consumer (20) may be stored in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1605) and managed by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1605). In addition, the customer information managed in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1605) may be provided to the settlement unit of the service provider (1610) for settlement service.

한편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와 서로 분리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와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는 서로 구분되며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와 상기 서비스 제공부(1610)는 기 설정된 통신 연결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니지먼트부(1600)와 서비스 제공부(1610)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션 아이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anagement unit (160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service provision unit (1610). For example, the management unit (1600) and the service provision unit (1610)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system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operate independently. In this case, the management unit (1600) and the service provision unit (16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reset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In this case, the management unit (1600) and the service provision unit (1610) may be implement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when necessary, and to provide a fashion item sales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서비스 제공자 20 : 고객 단말기
30 : 컨텐츠 제공자 40 : 정보 제공자
50 : 패션 아이템 제조사
110 : 저장부 111 : 방송 컨텐츠 저장부
112 : 편집 컨텐츠 저장부 113 : 피팅 이미지 저장부
120 : 패션 아이템 저장부 12 : 통신부
13 : 컨텐츠 검색부 14 : 패션 아이템 정보 검출부
15 : 추천 아이템 검색부 16 : 쇼핑 플랫폼
10: Service provider 20: Customer terminal
30: Content Provider 40: Information Provider
50: Fashion Item Manufacturer
110: Storage 111: Broadcast content storage
112: Editing content storage 113: Fitting image storage
120 : Fashion Item Storage 12 : Communications
13: Content search section 14: Fashion item information detection section
15: Recommended Item Search Section 16: Shopping Platform

Claims (17)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에 관련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 단말기, 및
상기 특정 유명인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에서 상기 특정 유명인과 관련된 패션 아이템의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출연하는 유명인에 따라 편집하여 생성된 편집 컨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검색 서비스를 통해 상기 편집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패션 아이템 정보를 통해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유명인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세부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특정 유명인 및 특정 편집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의 제공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유명인 및 특정 편집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석된 상기 정보 제공자의 선호 패션 스타일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패션 아이템 제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등장하는 유명인과 동일한 유명인이 등장하는 다른 편집 컨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와 컨텐츠 명칭이 동일한 다른 편집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대한 유사 컨텐츠로서 적어도 하나 검색하고,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컨텐츠에 등장하는 다른 유명인들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 및,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관련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더 제공하며,
상기 유사 컨텐츠는,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가 포함된 미니시리즈 또는 시즌의 회차와 다른 회차에 대응하는 다른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등장하는 인물들 중 동일한 유명인이 등장하는 다른 컨텐츠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Content provider server that provides broadcast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celebrity;
An information provider's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hat provides fashion item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items worn by a specific celebrity in broadcas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er server, and
Connected to the server of a fashion item manufacturer that provides an online shopping mall selling fashion items worn by the above-mentioned specific celebrity,
Through the above communication connection, a shopping mediation service for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specific celebrity is provided between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above online shopping mall through an online shopping mall operated by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A search service for edited content created by editing broadcast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server according to the celebrity appearing is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when any one of the edited contents is selected through the search service, fashion item information matching the selected edited content is detected, an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and detaile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the celebrity ar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through the detected fashion item information.
When a request for a fashion item sugges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ecific celebrity and a specific type of edited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fashion style of the information provider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c celebrity and the specific type of edited content based on the provision history of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is provided in response to the fashion item suggestion request.
Searching for at least one similar content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wherein the celebrity appearing in the selected edited content is the same celebrity, or another edited content having the same content name as the selected edited content, detecting other fashion items worn by other celebrities appearing in the selected edited content and the at least one similar content searched for, determining at least some of the detected other fashion items as related items, and furthe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related items to the customer terminal.
The above similar content is,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selected edited content is included in an episode of the miniseries or season and other content corresponding to another episode or other content featuring the same celebrity among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cont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아이템 정보는,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특정 유명인의 패션을,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 제조사로부터 제휴 또는 협찬받은 패션 아이템들로 상기 특정 유명인의 패션을 스타일링하는 스타일리스트 또는 상기 패션 아이템 제조사로부터 제휴 또는 협찬받은 패션 아이템의 전시 공간을 제공하는 홍보 대행사가 상기 정보 제공자로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 입력하는 정보로서,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의 정보,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정보 및,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이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패션 아이템의 세부 정보는,
상기 패션 아이템의 명칭, 상기 패션 아이템을 제조하는 패션 아이템 제조사, 상기 패션 아이템의 가격 정보 및, 상기 패션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s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by a stylist who styles the fashion of a specific celebrity appearing in a specific broadcast content with fashion items affiliated or sponsored by at least one fashion item manufacturer or a public relations agency that provides an exhibition space for fashion items affiliated or sponsored by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as the information provid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on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shion item worn by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fashion style of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Details of the above fashion item are: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name of the fashion item, the fashion item manufacturer that manufactures the fashion item, pric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and inform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that sells the fashion i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에 출연하는 유명인 또는 그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에 근거하여 상기 편집 컨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third paragraph,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earch service for the edited content based on a celebrity appearing in the specific broadcast content or the fashion style of the celebr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나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패션 아이템 선택 이력 또는 기 설정된 상품 분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션 아이템을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관련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y one of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ashion item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is selected, at least one other fashion item is determined as the related item based on the fashion item selection history of another user who selected the selected edited content or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or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related item is further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나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가 구매 또는 추천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 중 기 설정된 상품 분류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 및, 검출된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searches for other fashion items purchased or recommended by other users who have selected the above-mentioned selected edited content or a celebrit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selected edited content, detects fashion items of the same or similar type among the other searched fashion items according to a preset product classification,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detected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이 등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편집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편집 컨텐츠에서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searches for at least one other edited content in which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appears, detects other fashion items worn by the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from the searched for at least one other edited content,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detected other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의 패션 스타일을 검출하고, 검출된 패션 스타일과 동일한 패션 스타일을 가지는 다른 유명인들이 착용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을 검출 및, 검출된 다른 패션 아이템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fashion style of a celebrity related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from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dited content, detects other fashion items worn by other celebrities having the same fashion style as the detected fashion style, and determines at least some of the other detected fashion items as the related ite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나 상기 선택된 편집 컨텐츠에 관련된 유명인을 선택한 다른 사용자들이 구매하거나 추천한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 또는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들이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함께 착용한 이력이 일정 수 이상인 다른 종류의 패션 아이템을 상기 관련 아이템으로 결정하며,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유명인들이 상기 선택된 패션 아이템과 함께 착용한 이력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제공된 복수의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션 아이템 정보 각각으로부터 검출된 유명인들 및, 검출된 유명인들이 착용한 패션 아이템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selected edited content or other types of fashion items purchased or recommended by other users who selected a celebrit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selected edited content, or other types of fashion items that celebrities who wore the above-mentioned selected fashion items have worn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selected fashion items for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are determined as the above-mentioned related items.
The history of celebrities wearing the above selected fashion items together with the above selected fashion items is as follows: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detects celebrities from each of a plurality of fashio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roadcast contents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and detects the celebr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shion items worn by the detected celebrit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아이템 정보들의 제공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를 운영하는 정보 제공자가 유명인 또는 편집 컨텐츠의 종류 별로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는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이력 분석부는,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패션 아이템 정보들을, 유명인 및 편집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패션 아이템 정보들의 패션 스타일 정보들을 검출 및, 검출된 각 그룹의 패션 스타일 비율에 근거하여 각 그룹별로 지배적인(predominant) 패션 스타일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
In the first paragraph,
Based on the provision history of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bove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the information provider operating the above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referred fashion style by celebrity or type of edited content.
The above information provision history analysis department is,
A service provid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provider groups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bov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types of celebrities and edited content, detects fashion style information of the fashion item information of each group, and detects a dominant fashion style for each group based on the fashion style ratio of each detected grou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30136A 2021-09-17 2022-03-10 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 Active KR1028133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270 2021-09-17
KR20210125270 2021-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567A KR20230041567A (en) 2023-03-24
KR102813364B1 true KR102813364B1 (en) 2025-05-28

Family

ID=8587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136A Active KR102813364B1 (en) 2021-09-17 2022-03-10 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1336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46B1 (en) * 2020-10-06 2021-08-24 주식회사 왈라 Platform system supplying styling fashion information of famous person using AI to foll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72B1 (en) * 2018-10-23 2022-03-24 오드컨셉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KR102320749B1 (en) * 2019-09-30 2021-11-02 주식회사 온더룩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inforation via influencers
KR20210065374A (en)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슈퍼셀 A method of providing product advertisem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on video cont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46B1 (en) * 2020-10-06 2021-08-24 주식회사 왈라 Platform system supplying styling fashion information of famous person using AI to foll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567A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076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mote items related to program content
US20250285195A1 (en) Systems/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within audio-visual content and enabling seamless purchasing of such identified products by viewers/users of the audio-visual content
JP5649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media streams
US8458038B2 (en) Information retrieving system,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information retrieving apparatus, information retrieving program, image recognizing apparatus image recognizing method image recognizing program and sales
US106504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media content
US20130166382A1 (en) System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Product Collections Represented In Video
US20200286160A1 (en) System and method of localized searching and discovery of style and fashion of proximity based in store inventory
JP4729785B2 (en) Program additional data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70186066A1 (en) System and Method of Searching Style and Fashion
TW20094507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3)
US12406005B2 (en) Media triggered virtual repository with temporal data recognition and matching engine
JP2001076007A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used for them
US10204371B2 (en) Method and system to conduct electronic commerce through motion pictures or life performance events
KR100854143B1 (en) Advertising method through video user-generated content
KR102813364B1 (en) Celebrity-sponsored fashion item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ing broadcast contents
WO2009024990A1 (en) System of processing portions of video stream data
KR100761956B1 (en) Video A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2009026040A (en) Information source guide system and marketing research system
JP2007293919A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use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