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03899B1 -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03899B1
KR102803899B1 KR1020220056547A KR20220056547A KR102803899B1 KR 102803899 B1 KR102803899 B1 KR 102803899B1 KR 1020220056547 A KR1020220056547 A KR 1020220056547A KR 20220056547 A KR20220056547 A KR 20220056547A KR 102803899 B1 KR102803899 B1 KR 10280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pecific
terminal
service
virtual destin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7048A (en
Inventor
이동진
이성준
이창화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3899B1/en
Publication of KR2023015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389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도 고정 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실현하여, 해당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에 대한 유연한 서비스 품질 제공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by providing flexible service quality for a service (e.g., cloud service) by realizing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fixed address-based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Description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QoS 제어 방법, 단말장치{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QoS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QoS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QoS control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technology that enables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5G에서는, 단말, 기지국(액세스), 코어 및 서버를 End to End로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기존 LTE(4G)에서 단일 노드(예: S-GW, P-GW 등)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던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분리하여, 제어 시그널링 기능의 영역(Control Plane)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영역(User Plane)을 구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In 5G, a network structure is defined to support terminals, base stations (access), cores, and servers end to end, and the functions of control signaling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at were performed complexly by a single node (e.g. S-GW, P-GW, etc.) in the existing LTE (4G) are separated, defining a network structure that divides the area of control signaling functions (Control Plane) and the area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User Plane).

이때, 5G에서 Control Plane(CP)의 노드는,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Session)을 제어/관리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외부 망과의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사용자의 가입자 DB 및 인증을 관리/제어하는 UDM/AUSF(Unified Data Management / AUthentication Function), 네트워크 내 각 NF(Network Function)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제어하는 기능의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가입자의 과금을 처리하는 CHF(CHarging Function)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des of the Control Plane (CP) in 5G can be defined as th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that controls the wireless section access of the terminal, the Policy Control Function (PCF) that manages/controls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specific subscription service information, charging policies, etc., the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that controls/manages sessions for data service use by terminal, the 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that is in charge of information sharing with external networks, the Unified Data Management / AUthentication Function (UDM/AUSF) that manages/controls the user's subscriber DB and authentication, the 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 that manages/controls information on each NF (Network Function) within the network, and the CHF (CHarging Function) that processes the subscriber's charging.

그리고, 5G에서 User Plane(UP)의 노드는, SMF의 제어(연동)를 토대로 단말과의 세션을 통해 단말 및 외부 서비스망(예: 인터넷) 상의 서버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PF(User Plane Function)로 정의할 수 있다.And, in 5G, the User Plane (UP) node can be defined as a UPF (User Plane Functio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on an external service network (e.g., the Internet) through a session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trol (interlocking) of the SMF.

한편, Cloud 기반의 IT 서비스(이하, Cloud 서비스)들의 등장이 지속되면서, 해당 서비스들에 대해 서비스 품질을 유연하게 제공/제어해야 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Meanwhile, as the emergence of cloud-based IT services (hereinafter, “Cloud services”) continues, the need to flexibly provide/control service quality for such services is increasing.

Cloud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다수의 public IP(접속 주소)를 가지고 Cloud 서비스에 유동 IP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Cloud 서비스 별로 주소가 매우 많으며, 시간 별/지역 별/단말 별로 회신하는 Cloud 서비스의 주소가 다를 수 있다.Companies providing cloud services have a large number of public IPs (access addresses) and assign dynamic IPs to cloud services, so there are a lot of addresses for each cloud service, and the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responding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region/terminal.

이에, Cloud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은, 먼저 DNS Request/DNS Response를 통해 Cloud 서비스의 주소(유동 IP)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주소(유동 IP)를 기반으로 Cloud 서비스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a terminal that wishes to use a Cloud service can first obtain the address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through a DNS Request/DNS Response, and then communicate with the Cloud service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dynamic IP).

한편, 3GPP 표준에 따르면 5G Core에서는, 세션 별, 혹은 세션 내 세부 SDF(Service Data Flow) 별 Policy Rule를 적용하여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을 처리하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3GPP standard, 5G Core will process QoS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es by applying Policy Rules per session or per detailed SDF (Service Data Flow) within the session.

헌데, 5G Core(UPF/SPGW-U) 입장에서는, Cloud 서비스가 매번 변경될 수 있는 유동 IP를 사용하는 점, 이런 유동 IP들에 대해서 수시로 갱신하는 절차를 동작상/구현상 실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점 때문에, 단말 - Cloud 서비스 간의 통신 즉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을 처리할 수 없다.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5G Core (UPF/SPGW-U), since Cloud services use dynamic IPs that can change each time, an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implement a procedure to update these dynamic IPs frequently in terms of operation/status, it is impossible to process QoS quality control,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es for data traffic of Cloud services, i.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Cloud services.

결국, 이동통신망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Cloud 서비스들에 대해 현실적으로 품질 제어(QoS 제어)가 불가능 하며, 품질 제어 기반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 역시 불가능한 상황이다.Ultimatel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re unable to realistically control quality (QoS) for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cloud service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quality control are also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의 QoS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technical method that enables QoS control, such as QoS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ing, for data traffic of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QoS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 방안을 실현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new technical solution that enables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는, 단말로부터의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에 대하여 상기 단말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하는 변환부; 및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하되, 상기 통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ata gateway device includes: a conversion unit which changes an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in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returned to a terminal in response to an address request for a specific service from th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which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by transferring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and which performs QoS (Quality of Service) control based on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상기 QoS 제어는,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QoS contr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dynamic address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and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ay be a fixed address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부는, 기 설정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단말의 세션 및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하여 상기 주소 응답의 변경에 사용하도록 할당하며, 상기 가상목적지 테이블은, 단말 별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기 설정 및 전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version unit assigns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on a preset virtual destination tabl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ssion of the terminal and the identifier of the specific service to be used for changing the address response, and the virtual destination table can be preset and transmitted by a control device that manages/controls sessions for each terminal.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목적지주소는,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vContex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and vContext.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부는, 다수의 서비스 별로 실시간의 유동 주소를 보유하는 특정 노드로 상기 주소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특정 노드로부터 획득한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상기 단말로 회신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주소 응답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회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version unit may forward the address request to a specific node that holds real-time floating addresses for a number of services, change the address response obtained from the specific node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or, if an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address request of the specific service is determined to be present in the previously stored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extract the address response chang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rom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and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는, RAN(Radio Access Network) 및 상기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N3, S1U, N9 Interface에서 검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an be detected at the N3, S1U, N9 Interface between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data gateway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와 연동하여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관리하며, 상기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은, 단말의 세션 및 주소 정보, 서비스의 식별자, 상기 서비스의 실제 주소, 상기 서비스에 할당한 가상목적지주소, 상기 주소 변환 기능에서 상기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맵핑하여 상기 단말의 주소로서 사용하도록 할당한 외부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nages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in conjunction with the conversion unit, and th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session and addres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 identifier of the service, an actual address of the servic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ssigned to the service, and an external address assigned to be used as an address of the terminal by mapping with the actual address of the service in the address conversion fun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주소를 요청하는 주소 요청부; 및 주소 요청에 대하여 회신되는 주소 응답으로부터 확인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응답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이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관여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일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erminal device includes: an address request unit for requesting an address for a specific service; and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pecific service by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confirmed from an address response returned in response to the address request; the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may be an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or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hanged by a data gateway device involved in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QoS 제어 방법은, 단말로부터의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에 대하여 상기 단말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하는 변환단계; 및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하되, 상기 통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Qo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data gateway device includes a conversion step of changing an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in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returned to a terminal in response to an address request for a specific service from a terminal; and a control step of transmitting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while performing QoS (Quality of Service) control based on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상기 QoS 제어는,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QoS contr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dynamic address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and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ay be a fixed address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목적지주소는,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vContex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and vContext.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는, RAN(Radio Access Network) 및 상기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N3, S1U, N9 Interface에서 검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an be detected at the N3, S1U, N9 Interface between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data gateway device.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QoS 제어 방법, 단말장치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고정 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data gatew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QoS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performed in the device,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fixed address-based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is realized.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도 QoS 제어가 가능해짐으로써, 해당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에 대한 유연한 서비스 품질 제공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oS control is enabled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through flexible service quality provision for the service (e.g., a cloud service).

도 1은 기존 Cloud 서비스의 (주소 기반) 데이터 트래픽 흐름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Cloud 서비스의 (주소 기반) 데이터 트래픽 흐름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QoS 제어를 위한 고정 주소(가상목적지주소)의 할당을 설명하는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정 주소(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실현하는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정 주소(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실현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제어 시나리오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address-based) data traffic flow of an existing Cloud service.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address-based) data traffic flow of a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gateway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explaining allocation of a fixed address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QoS control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realizing QoS control based on a fixed address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realizing QoS control based on a fixed address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are flowcharts showing examples of control scenarios in which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QoS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5G에서는, 단말, 기지국(액세스), 코어 및 서버를 End to End로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기존 LTE(4G)에서 단일 노드(예: S-GW, P-GW 등)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던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분리하여, 제어 시그널링 기능의 영역(Control Plane)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영역(User Plane)을 구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In 5G, a network structure is defined to support terminals, base stations (access), cores, and servers end to end, and the functions of control signaling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at were performed complexly by a single node (e.g. S-GW, P-GW, etc.) in the existing LTE (4G) are separated, defining a network structure that divides the area of control signaling functions (Control Plane) and the area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User Plane).

이때, 5G에서 Control Plane(CP)의 노드는,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Session)을 제어/관리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외부 망과의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사용자의 가입자 DB 및 인증을 관리/제어하는 UDM/AUSF(Unified Data Management / AUthentication Function), 네트워크 내 각 NF(Network Function)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제어하는 기능의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가입자의 과금을 처리하는 CHF(CHarging Function)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des of the Control Plane (CP) in 5G can be defined as th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that controls the wireless section access of the terminal, the Policy Control Function (PCF) that manages/controls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specific subscription service information, charging policies, etc., the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that controls/manages sessions for data service use by terminal, the 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that is in charge of information sharing with external networks, the Unified Data Management / AUthentication Function (UDM/AUSF) that manages/controls the user's subscriber DB and authentication, the 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 that manages/controls information on each NF (Network Function) within the network, and the CHF (CHarging Function) that processes the subscriber's charging.

그리고, 5G에서 User Plane(UP)의 노드는, SMF의 제어(연동)를 토대로 단말과의 세션을 통해 단말 및 외부 서비스망(예: 인터넷) 상의 서버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PF(User Plane Function)로 정의할 수 있다.And, in 5G, the User Plane (UP) node can be defined as a UPF (User Plane Functio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on an external service network (e.g., the Internet) through a session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trol (interlocking) of the SMF.

한편, Cloud 기반의 IT 서비스(이하, Cloud 서비스)들의 등장이 지속되면서, 해당 서비스들에 대해 서비스 품질을 유연하게 제공/제어해야 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Meanwhile, as the emergence of cloud-based IT services (hereinafter, “Cloud services”) continues, the need to flexibly provide/control service quality for such services is increasing.

Cloud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다수의 public IP(접속 주소)를 가지고 Cloud 서비스에 유동 IP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Cloud 서비스 별로 주소가 매우 많으며, 시간 별/지역 별/단말 별로 회신하는 Cloud 서비스의 주소가 다를 수 있다.Companies providing cloud services have a large number of public IPs (access addresses) and assign dynamic IPs to cloud services, so there are a lot of addresses for each cloud service, and the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responding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region/terminal.

이에, Cloud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은, 이용하고자 하는 Cloud 서비스의 주소를 요청하는 DNS Request를 특정 노드(예: DNS)로 전달하여 DNS Response를 통해 Cloud 서비스의 주소(유동 IP)를 획득하는 과정을 통해, 획득된 주소(유동 IP)를 기반으로 Cloud 서비스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a terminal that wishes to use a Cloud service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loud service based on the acquired address (dynamic IP) by transmitting a DNS Request requesting the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it wishes to use to a specific node (e.g. DNS) and obtaining the address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through a DNS Response.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5G Core(UPF/SPGW-U)와 세션(예: PDU Session: APN/DNN = 5g.sktelecom.com)을 설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의 유동 IP를 사용하여 Cloud 서비스를 이용하고, 5G Core(UPF/SPGW-U) 입장에서는 단말이 보내는 유동 IP별 데이터 트래픽(예: a), b), c))을 각 유동 IP로 전달하여(예: a), b), c)), 단말 -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 the terminal uses multiple dynamic IPs to use the cloud service while establishing a session (e.g., PDU Session: APN/DNN = 5g.sktelecom.com) with the 5G Core (UPF/SPGW-U),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5G Core (UPF/SPGW-U), the data traffic (e.g., a), b), c)) sent by the terminal for each dynamic IP can be forwarded to each dynamic IP (e.g., a), b), c)), thereby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loud service.

한편, 3GPP 표준에 따르면 5G Core에서는, 세션 별, 혹은 세션 내 세부 SDF(Service Data Flow) 별 Policy Rule를 적용하여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을 처리하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3GPP standard, 5G Core will process QoS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es by applying Policy Rules per session or per detailed SDF (Service Data Flow) within the session.

헌데, 5G Core(UPF/SPGW-U) 입장에서는, Cloud 서비스가 매번 변경될 수 있는 유동 IP를 사용하여 Cloud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송수신하는 목적지주소(유동 IP)가 매우 많고 수시로 변경이 되는 점, 이런 단말 별 다수의 유동 1P들에 대해서 수시로 갱신하는 등의 관리/절차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점 때문에, 단말 - Cloud 서비스 간의 통신 즉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을 처리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5G Core (UPF/SPGW-U), since the destination address (dynamic IP)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erminals using the Cloud service is very large and changes frequently because the Cloud service uses dynamic IPs that can change each time, an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manage/procedure such as frequent updates for these numerous dynamic 1Ps per terminal,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handle QoS quality control,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loud service, i.e. data traffic of the Cloud service.

결국, 이동통신망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Cloud 서비스들에 대해 현실적으로 품질 제어(QoS 제어)가 불가능 하며, 품질 제어 기반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 역시 불가능한 상황이다.Ultimatel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re unable to realistically control quality (QoS) for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cloud service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quality control are also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의 QoS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technical method that enables QoS control, such as QoS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ing, for data traffic of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 방안의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하겠다.First, the concept of the technical solu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서 5G Core(UPF/SPGW-U)는, 단말이 특정 노드(예: DNS)로 전달하는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하고, QoS 제어 대상인 경우 단말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회신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5G Core (UPF/SPGW-U) monitors an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transmitted by a terminal to a specific node (e.g., DNS)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subjec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is a subject of the QoS control, changes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transmits the response.

이렇게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주소를 변경한 후 회신하는 것을, 단말로 하여금 정해진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하게 하는 "dictation 동작"이라 할 수 있다.This process of changing the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and then replying can be called a "dictation operation" that causes the terminal to forward data traffic of the cloud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이에, 단말은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Cloud 서비스의 주소 즉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이용하여, Cloud 서비스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terminal will send and receive data to the cloud service using the chang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e., the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이 과정 중, 본 발명에서 5G Core(UPF/SPGW-U)는,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해당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로 전달하여 단말 - 해당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하되, 단말 - 해당 Cloud 서비스 간 통신 즉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하여 해당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During this process, the 5G Core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loud service by transferring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orresponding Cloud service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and can perform QoS control based on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loud service, i.e., data traffic of the Cloud service.

여기서, 본 발명이 사용할 수 있는 주소 변환 기능은, 일반적인 Proxy/NAT 동작을 채택할 수 있으며, 실제 주소 <-> 가상목적지주소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이라면 제한 없이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can adopt a general Proxy/NAT operation, and any operation that enables conversion of a real address <->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an be adopted without limitation.

이에, 도 2를 언급하여 일 예를 설명하면, 단말은 5G Core(UPF/SPGW-U)와 세션(예: PDU Session: APN/DNN = 5g.sktelecom.com)을 설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Cloud 서비스에 대한 각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에 대해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회신 받아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사용하여 Clou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2 to explain an example, when a terminal establishes a session (e.g. PDU Session: APN/DNN = 5g.sktelecom.com) with 5G Core (UPF/SPGW-U), for each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or the same Cloud service,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chang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received, and the Cloud service can be used using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이때, 5G Core(UPF/SPGW-U) 입장에서는 단말이 보내는 특정 가상목적지주소의 데이터 트래픽을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각 유동 IP로 전달하여(예: a), b), c)), 단말 -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from the 5G Core (UPF/SPGW-U) perspective, data traffic of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sent by the terminal can be transferred to each dynamic IP through the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e.g. a), b), c)),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cloud service.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5G Core(UPF/SPGW-U)에 의하여 단말은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와 무관하게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기반으로 Cloud 서비스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5G Core(UPF/SPGW-U) 입장에서는 Cloud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별 다수의 유동 1P들에 대한 관리/절차가 불필요할 뿐 아니라, Cloud 서비스별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으로 QoS 품질 제어, Usage 모니터링, 기타 과금 등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Ultimat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loud service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regardless of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by means of the 5G Core (UPF/SPGW-U),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5G Core (UPF/SPGW-U), not only is there no need to manage/procedure multiple dynamic 1Ps for each terminal using the cloud service, but also QoS control such as QoS quality control, usage monitoring, and other charging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each cloud service.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고정 주소 형태를 갖는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enables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having a fixed address format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 즉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 방안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we will explain specific technical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QoS control method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안 기술 즉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 방안을 실현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단말장치를 제안하며, 도 3은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단말장치의 구성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ata gateway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that realize the proposed technology, that is, a QoS control method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s of the data gateway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respectively.

먼저,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First,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UPF, SPGW-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을 포괄하여 GW-U로 지칭할 수 있다.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one of UPF and SPGW-U, and thes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GW-U.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변환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vers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이러한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의 전술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entire tactical configuration of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r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a software module, or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hardware modules and software modules.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ere, a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command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controls operations within a data gateway device (100), and such a command may have a form loaded into a memory within the data gateway device (100).

결국,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 즉 유동 주소(예: 유동 IP)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고정 주소 형태의 가상목적지주소 기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Ultimatel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rough the aforementioned configuration, a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e.g., a dynamic IP).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 the data gateway device (100) for realiz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변환부(110)는, 단말(10)로부터의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에 대하여 단말(10)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conversion unit (110) is responsible for changing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sent to the terminal (1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n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from the terminal (10).

여기서,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를 의미한다.Here,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dynamic address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and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eans a fixed address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즉,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서비스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가 할당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서비스의 타입이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만 그 일 예로서 이하 설명에서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Cloud 서비스(20)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That is, a specific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eans a service to which at least one floating address is allocat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r kind of the service, but as an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loud service (20) using a floating address will be mentioned and explained.

즉, 변환부(110)는, 단말(10)로부터의 주소 요청, 즉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특정 서비스(이하,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요청에 대하여 단말(10)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에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conversion unit (110) can change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address response returned to the terminal (10) in response to an address request from the terminal (10), i.e., an address request for a specific service (hereinafter, a specific Cloud service (20)) using a dynamic address.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변환부(110)는, 다수의 서비스 별로 실시간의 유동 주소를 보유하는 특정 노드(30)로 단말(10)로부터의 주소 요청을 전달하고, 특정 노드(30)로부터 획득한 주소 응답에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단말(10)로 회신할 수 있다.To explain one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the conversion unit (110) can forward an address request from a terminal (10) to a specific node (30) that holds real-time floating addresses for a number of services, and change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obtained from a specific node (30) and then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10).

이때, 특정 노드(30)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다수의 서비스 예컨대 다수의 Cloud 서비스 별로 실시간의 유동 주소(예: 유동 IP)를 보유하는 기능의 노드로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DNS(Domain Name System),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EASDF(Edge Application Service Discovery Function),...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pecific node (30) is a node having a function of holding a real-time dynamic address (e.g., dynamic IP)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rvic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cloud services, and as can be seen in FIG. 3, a DNS ( Domain Name System) , an NRF (Network Repository Function) , an EASDF (Edge Application Service Discovery Function) , etc. may correspond to this.

Cloud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자신의 접속 가능한 주소 리스트(예: 유동 IP 리스트)를 특정 노드(30)에 주기적으로 또는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알려 줄 수 있다.Companies providing cloud services can periodically notify a specific node (30) of their list of accessible addresses (e.g., a list of dynamic IPs) or according to a set event.

이에, 변환부(110)는, 단말(10)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를 요청하는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이 수신되면 이를 특정 노드(30)로 전달하여 특정 노드(30)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가 포함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version unit (110) receives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requesting the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from the terminal (10), it transmits the request to a specific node (30) and obtains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containing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from the specific node (30).

그리고, 변환부(110)는, 특정 노드(30)로부터 획득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에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단말(10)로 회신할 수 있다.And, the conversion unit (110) can change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obtained from a specific node (30) and then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10).

본 발명에서는, 전술과 같이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회신하는 것을, 단말로 하여금 정해진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하게 하는 "dictation 동작"이라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ing an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as described above and changing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a Cloud service in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sending a reply can be called a "dictation operation" that causes a terminal to transmit data traffic of a Cloud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determined fixed address.

이에, 단말(10)은,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즉 본 발명에 의해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 will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at is,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hang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렇듯, 본 발명의 dictation 동작에 의하여, 단말(10)은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와 무관하게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Cloud 서비스(20)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In this way, by the dicta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regardless of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더 나아가, 변환부(110)는, 단말(10)의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고, QoS 제어 대상인 경우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의 주소 변경(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 -> 가상목적지주소)에 사용할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version unit (110) can monitor th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of the terminal (10)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subjec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is a subject of the QoS control, can specifically allocat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be used for address change (real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단말 별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제어 장치(예: SMF/SPGW-C)에 의해 기 설정되는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전달받아 보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nd retain a virtual destination table set by a control device (e.g., SMF/SPGW-C) that manages/controls sessions for each terminal.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장치(예: SMF/SPGW-C)는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와 최초 연동 시 진행되는 PFCP Association 과정 중에, UPF/SPGW-U 별 Cloud 서비스Domain 이름 관리를 위한 자원 및 고정 IP가상목적지주소 자원을 확인하여 UPF/SPGW-U의 다른 정보(예: Capability, Service Location, SNSSAI 등)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해당 정보는 제어 장치(예: SMF/SPGW-C)에서 향후 단말의 세션 설정/수립 과정 중 UPF/SPGW-U 선택을 위한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To be more specific, the control device (e.g., SMF/SPGW-C) can check resources for managing Cloud service domain names and fixed IP virtual destination address resources for each UPF/SPGW-U during the PFCP Association process performed upon initial connection with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nage them together with other information (e.g., Capability, Service Location, SNSSAI, etc.) of the UPF/SPGW-U. This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factor for selecting the UPF/SPGW-U during the session setup/establishment process of the terminal in the future in the control device (e.g., SMF/SPGW-C).

그리고, 제어 장치(예: SMF/SPGW-C)는, 자신의 제어 하에 설정/수립된 단말의 세션 및 Cloud 서비스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에 따라, 가상목적지주소 할당 시 기준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설정하여 해당 세션에 관여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로 제공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device (e.g., SMF/SPGW-C) can set up a virtual destination table to be used as a criterion for allocating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on the session of the terminal set/established under its control and the identifier (e.g., domain name) of the cloud service, and provide it to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involved in the session.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하면, 제어 장치(예: SMF/SPGW-C)에 의해 설정되는 가상목적지 테이블은, 단말의 세션 상태 및 서비스 모드에 따라 세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o explain a more specific example, the virtual destination table set by the control device (e.g., SMF/SPGW-C) can be set in detail according to the session status and service mode of the terminal.

이때의 설정 내용은,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에서 단말 및/또는 Cloud 서비스에 할당할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선택하는데 사용하는 요소이며, 다음과 같은 Factor에 의한 특정/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The setting contents at this time are elements used to specify/select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be assigned to a terminal and/or cloud service in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ation/selection may be possible by the following factors.

- 단말의 연동 기지국/Cell 위치, 단말의 물리적인 실제 위치, 단말/세션의 상태, 단말의 Capability, 단말의 LTE/NSA/SA 모드,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SPGW-U)의 제공 가능한 Interface,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SPGW-U)의 제공 가능한 가상 IP Pool 등- Location of the terminal's linked base station/cell, physical actual location of the terminal, status of the terminal/session, capability of the terminal, LTE/NSA/SA mode of the terminal, interfaces available to the data gateway device (e.g. UPF/SPGW-U), virtual IP pools available to the data gateway device (e.g. UPF/SPGW-U), etc.

아울러, 위 설명에서 언급되는 단말의 세션 상태는, 단말(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프로파일 및 실제 세션의 종류 및 Status를 기반하며, 아래 예시와 같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ssion status of the terminal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subscriber profile for the terminal (subscriber) and the type and status of the actual session, and may be as shown in the example below.

·세션의 Idle/Active, H/O 상태, N/W 슬라이스 ID 식별·Identify session Idle/Active, H/O status, N/W slice ID

·가입자는 단말 IP, 전화번호 (IMSI, MSISDN, SUPI, GPSI) 등으로 식별·Subscribers are identified by terminal IP, phone number (IMSI, MSISDN, SUPI, GPSI), etc.

·가입자의 식별과 매칭되는 가입자 서비스/상품 기반 상태 식별·Identification of subscriber service/product-based status matching the subscriber’s identification

·가입자가 특정 지역(위치) Entry / Exit 시 Triggering 상태 식별·Identify triggering status when a subscriber enters/exits a specific area (location)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자신이 데이터 송수신에 관여하는 단말/세션들에 대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보유할 수 있으며, 변환부(110)는, 이러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근거로, 단말(10)의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virtual destination table for terminals/sessions that it participates 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conversion unit (110) can monitor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of the terminal (10) based on this virtual destination ta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환부(110)는,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QoS 제어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근거로 단말(10)의 세션 및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하여 금번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주소 변경에 사용하도록 할당한다.The conversion unit (110) monitors th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 target of QoS control, specifies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on the virtual destination tabl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ss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identifier (e.g., domain name)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and allocates it to be used for address change in the current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이에, 본 발명에서 가상목적지주소는, 서로 다른 단말/세션이 동일한 Cloud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단말/세션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an be alloc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terminal/session even when different terminals/sessions access the same cloud service.

그리고, 변환부(11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의 세션 및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에 따라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할당하면, 금번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할당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단말(10)로 회신할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version unit (110) can specify/assig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on the sess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identifier (e.g., domain name)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and then change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in the current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o the assign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10).

한편, 본 발명에서 할당하는 가상목적지주소의 구성/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structure of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lloc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할당하는 가상목적지주소는,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vContex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lloc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 (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 (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and vContext.

(v)IP로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SPGW-U)의 interface 에 대한 주소 분리가 가능하며, (v)Tag로는 Protocol 별에 대한 pkt stream 구분이 가능하며, (v)TEID로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SPGW-U)와 기지국 간의 tunneling end point 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며, (v)DSCP로는 패킷 flow에 대한 링크의 QoS 제어가 가능하며, (v)Location으로는 해당 패킷 처리에 사용되는 각 시스템의 물리 주소 및 실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구분할 수 있고, (v)Context로는 세션 처리에 사용되는 pre-define된 패킷 처리 방식에 대한 형태를 지정하여 pattern 화된 동작으로 내부 processing 방식이 결정되게 할 수 있다.(v)IP enables address separation for the interface of a data gateway device (e.g. UPF/SPGW-U), (v)Tag enables pkt stream differentiation for each protocol, (v)TEID enables identification of a tunneling end point between a data gateway device (e.g. UPF/SPGW-U) and a base station, (v)DSCP enables link QoS control for packet flow, (v)Location enables differentiation of the physical address of each system used for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packe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terminal, and (v)Context enables specifying the form of a pre-defined packet processing method used for session processing so that the internal processing method can be determined by a patterned operation.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가상목적지주소로서, 전술의 (v)IP를 비롯한 식별 인자 외에도,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SPGW-U)가 내부 및 기지국 연동을 위해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별 가능한 형태의 인자라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factor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v)IP, as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y identifiable factor that can be allocated and used by a data gateway device (e.g., UPF/SPGW-U) for internal and base station interconnection may be utilized.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가상목적지주소 식별이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received uplink data.

도 4는 본 발명에서 고정 주소 형태의 가상목적지주소의 할당/특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llocating/specifying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어 장치(예: SMF)는 Core 노드(예: AF, NEF, UDM/HLR, PCF/PCRF)와 연동하여 얻을 수 있는 요금제 상품(예: 상품 A) 및 요금제 상품 별로 정해지는 Cloud 서비스 상품(예: Cloud 서비스 #1,#2,...)에 따른 정책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에서 가상목적지주소 특정/선택에 반영하도록 하는 정보(예: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내려줄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according to one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device (e.g., SMF) may link with a core node (e.g., AF, NEF, UDM/HLR, PCF/PCRF) to obtain a rate plan product (e.g., Product A) and a Cloud service product (e.g., Cloud Service #1, #2, ...) determined for each rate plan product, and may provide information (e.g., virtual destination table) to be reflected in specifying/selecting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 data gateway device (e.g., UPF).

그리고, 본 발명에서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는, Cloud 서비스의 Domain 이름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적으로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선택하여 할당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와 할당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예: 고정 vIP)를 맵핑한 정보(후술의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gateway device (e.g., UPF) can internally specify/select and allocat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on the domain name of the cloud service, and in this process, can manage information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described below) that maps the actual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e.g., dynamic IP) and the allocat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e.g., fixed vIP).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MAP.CO.KR"의 Domain 이름을 갖는 Cloud 서비스의 경우, 실제 IP 주소는 X, Y, Z, E, T,... 등의 유동 IP일 수 있으나, 단말에게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예: UPF)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할당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즉 고정 vIP인 것으로 변경/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4, in the case of a Cloud service having a domain name of "TMAP.CO.KR", the actual IP address may be a dynamic IP such as X, Y, Z, E, T, etc., but may be changed/deliver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e. a fixed vIP, internally allocated to the terminal by a data gateway device (e.g. UPF).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모니터링한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을 저장/caching하여 내역(이하,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으로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cache the monitored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as described above and manage it as a history (hereinafter,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단말(10)로부터의 주소 요청(예: DNS Request) 수신 시, 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을 근거로 필요 시에만 특정 노드(30)로부터 주소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rom a terminal (10), can obtain an address response from a specific node (30) only when necessary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환부(110)는, 단말(10)로부터의 주소 요청(예: DNS Request) 수신 시, 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전술과 같이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을 특정 노드(30)로 전달하여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획득 및 내부 주소 변경 후 단말(10)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회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receiving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rom a terminal (10), the conversion unit (110) ca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previously stored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transmit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to a specific node (30) as described above, obtain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change the internal address, and then retur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o the terminal (10).

이때,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아래 세부 내용의 분석으로 통해 판단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ther there is an "identical address request" in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e.g. DNS Request) can be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the details below.

- 동일한 위치, 단말의 세션 상태, 동일 시간(기간 내), 동일 단말 Prefix 등- Same location, terminal session status, same time (within the period), same terminal prefix, etc.

- 동일한 Cloud 서비스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 등- Identifiers of the same Cloud service (e.g. domain name)

즉, 변환부(110)는, 단말(10)로부터의 주소 요청(예: DNS Request) 수신 시, 위 세부 내용의 분석을 통해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 단말/세션/Cloud 서비스의 주소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receiving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rom a terminal (10), the conversion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ddress request for the same terminal/session/cloud service as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through analysis of the above details.

그리고, 변환부(110)는, 단말(10)로부터의 주소 요청(예: DNS Request) 수신 시, 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있다고 판단되면,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을 특정 노드(3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And, when the conversion unit (110) receives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rom the terminal (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previously stored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the conversion unit (110) may not forward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to a specific node (30).

대신, 변환부(110)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에 대하여 과거에 회신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즉 과거 동일한 주소 요청에 대해 내부 주소를 변경(실제 주소 -> 특정 가상목적지주소)하여 회신한 이력의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추출하여 단말(10)로 즉시 회신할 수 있다.Instead, the conversion unit (110) can extract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at was previously replied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rom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i.e.,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at was replied to by changing the internal address (real address ->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same address request in the past, and immediately reply to the terminal (10).

제어부(120)는,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로 전달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을 지원하되,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에 대하여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control unit (120)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transferring uplink data of a terminal (10) received at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and is responsible for performing QoS (Quality of Service) control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여기서 주소 변환 기능은, 일반적인 Proxy/NAT 동작을 채택할 수 있으며, 실제 주소(예: IP/Port) <-> 가상목적지주소(예: IP/Port)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이라면 제한 없이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can adopt general Proxy/NAT operation, and any operation that enables conversion of real address (e.g. IP/Port) <-> virtual destination address (e.g. IP/Port) can be adopted without limitation.

한편, 제어부(120)는, 변환부(110)와 연동하여, 단말의 세션 및 Cloud 서비스에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할당 및 전달한 내용에 따른 맵핑 정보, 즉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와 할당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맵핑한 정보(후술의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in conjunction with the conversion unit (110), can generate/manage ma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allocation and transmission of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terminal session and Cloud service, that is, information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described below) that maps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and the allocat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이러한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은, 단말의 세션 및 주소 정보,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 상기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주소), 상기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에 할당한 가상목적지주소, 주소 변환 기능에서 상기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맵핑하여 상기 단말의 주소로서 사용하도록 할당한 외부주소(예: GW~서비스 간 외부 I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is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session and address information of a terminal, an identifier (e.g., domain name)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a real address (e.g., dynamic address) of the service (e.g., cloud servic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ssigned to the service (e.g., cloud service), and an external address (e.g., external IP between GW and service) assigned to be used as an address of the terminal by mapping with a real address of the service (e.g., cloud service) in an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도 7은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에서 관리되는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managed in a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은, 단말의 세션 및 주소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단말/세션 및 Src.(Source) IP를 포함하고,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Dst.(Destination) IP를 포함하고, 해당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맵핑한 가상목적지주소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도록 구성/관리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can be configured/managed to include terminal/session and Src. (Source) IP as items representing terminal session and address information, Dst. (Destination) IP as an item representing the actual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and an item representing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apped to the actual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그리고, 앞서 설명하였듯이, 가상목적지주소는, vIP, vTag, vInterface, vTEID, vDSCP, vLoc., vContext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한 고정 주소 형태로 할당/맵핑될 수 있다. And, as explained above,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an be allocated/mapped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that combines at least one of vIP, vTag, vInterface, vTEID, vDSCP, vLoc., and vContext.

이처럼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단말의 소스주소(예: IP/Port), 세션에 따라서, RAN과 연결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 업링크의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설정하여 단말로 내릴 수 있다. 이에,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물리 Interface 정보 및 가상 Interface 정보를 포함하여, QoS 제어와 단말의 상태(위치 등) 정보 등을 Table 형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y/set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of the uplink of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connected to the RAN according to the source address (e.g., IP/Port) and session of the terminal and send it to the terminal. Accordingly, as can be seen in FIG. 7, information such as QoS control and terminal status (location, etc.) information, including actual physical interface information and virtual interface information, can be maintained/managed in the form of a table.

예를 들어, 단말에게 다수의 실제 유동 IP(Dst. IP)로의 접속을 강제로 가상목적지주소(예: vIP, vIF,...)로의 접속으로 특정/변경하여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예시들과 같이, 단말이 (변경된)고정 주소 형태의 가상목적지주소(예: vIP, vIF,...)로 통신을 하게끔 "dict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ce a terminal to connect to a number of real dynamic IPs (Dst. IPs) by specifying/changing them to connect to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e.g. vIP, vIF, ...). Through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ct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e.g. vIP, vIF, ...) in the form of a (changed) fixed address, as in the following examples.

예시 1: 단말(Sec. IP A/Session A)에 대하여 가상목적지주소 vIP(10.0.0.1)를 특정하여 단말에 지정 -> 해당 단말(Sec. IP A/Session A)은 해당 10.0.0.1로 데이터 송수신Example 1: Specify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vIP (10.0.0.1) for the terminal (Sec. IP A/Session A) and assign it to the terminal -> The terminal (Sec. IP A/Session A) sends and receives data to 10.0.0.1.

예시 2: 단말(Sec. IP A/Session A)에 대하여 가상목적지주소 vIF(S1U_#1)를 특정하여 단말에 지정 -> 해당 단말(Sec. IP A/Session A)은 S1U_#1로 데이터 송수신Example 2: Specify virtual destination address vIF (S1U_#1) for terminal (Sec. IP A/Session A) -> Terminal (Sec. IP A/Session A)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S1U_#1

즉, 단말이 실제 물리 IP(예: X1,Y1,Z1,...)를 갖고 있는 서비스 서버와 연동을 시도하더라도, 단말은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에 의하여 변경된 고정 주소(예: 10.0.0.1)로 통신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후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의 주소 변환 기능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실제 물리 IP(예: X1,Y1,Z1,...)로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terminal attempts to connect to a service server having an actual physical IP (e.g., X1, Y1, Z1, ...),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at it is communicating with a fixed address (e.g., 10.0.0.1) changed b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temp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fterwards, data communication to the actual physical IP (e.g., X1, Y1, Z1, ...) of the service server may become possible according to the address conversion function of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7에 도시된 예시 외에도,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은, 해당 Cloud 서비스의 Domain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 해당 Cloud 서비스의 각 실제 주소 별로 맵핑하여 할당한 외부주소(예: GW~서비스 간 외부 IP)를 나타내는 항목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관리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7, th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may be configured/managed to further include an item indicating the domain name of the corresponding Cloud service and an item indicating an external address (e.g., an external IP between GW and service) mapped and allocated for each actual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Cloud service.

또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는, RAN(Radio Access Network) 및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 사이의 N3, S1U, N9 Interface에서 검출/식별될 수 있다.In addition, uplink data of a terminal (10) receiv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an be detected/identified at the N3, S1U, N9 Interface between a RAN (Radio Access Network) and a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이에 다시 제어부(12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이 관리하는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근거로, N3, S1U, N9 Interface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즉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data received from the N3, S1U, and N9 interfaces, i.e., uplink data, is subject to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managed as described above.

예컨대, 제어부(120)는,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근거로, N3, S1U, N9 Interface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즉 업링크 데이터의 소스주소 및/또는 세션 정보, 목적지주소에서 "dictation 동작"을 적용한 단말(예: 10)의 주소 및/또는 세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가 확인되면, 해당 업링크 데이터를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120) confirms, based on th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the source address and/or session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the N3, S1U, and N9 interfaces, that is, uplink data, the address and/or session of a terminal (e.g., 10) that has applied the “dictation operation” to the destination address, and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the corresponding uplink data as a QoS control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uplink data of a terminal (10) receiv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이에, 제어부(120)는, 특정 Cloud 서비스(20)에 할당하여 단말(10)에 전달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서는,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로 전달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can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transferring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10) received at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ssigned to a specific Cloud service (20) and transferred to the terminal (10) to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예를 들면, 제어부(120)가 직접 주소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수신기에서 주소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the address conversion function directly, but the address convers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 transceiver as shown in FIG. 3.

즉,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 내에서 송수신기는, 직접 주소 변환 기능을 수행하여, 단말 ~ 실제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송수신기의 역할은 일반적인 Proxy/NAT 동작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기술로서, 후술의 도 6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다시 한번 설명하겠다.That is, within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ceiver directly performs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to connect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 actual cloud service. The role of this transceiver is a data traffic processing technology of a general Proxy/NAT operation, and will be explained agai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below.

한편,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서의 "dictation 동작" 및 단말 ~ 실제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연결해 주는 역할에 기반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에 대하여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can perform QoS control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ased on the "dicta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ole of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 actual Cloud service.

여기서, QoS 제어는, 단말 및 특정 서비스(예: Cloud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Here, QoS control includes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speed-based quality control,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pecific service (e.g., cloud service).

즉,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단말이 이용하는 유동 주소 기반의 서비스 관련 통신에 대하여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업링크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사용량/과금 처리 등의 QoS 제어를 가상 EndPoint 단위(가상목적지주소 활용)로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service-related communication based on a floating address used by a terminal, thereby performing QoS control such as QoS quality control/usage/charging processing based on transmission speed for the uplink of the terminal in virtual EndPoint units (utilizing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RAN으로부터 들어오는 N3, S1U, N9 Interface를 제어하며, 이 제어 기준은 "dictation 동작"과 관련하여 단말의 주소 및/또는 세션, Cloud 서비스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 실제 주소, 가상목적지주소 등이 맵핑/관리되는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이다. 즉, 각 인터페이스 별로 가상목적지주소가 Assign이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N3, S1U, N9 Interfaces coming from RAN, and this control criterion is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in which terminal addresses and/or sessions, Cloud service identifiers (e.g., domain names), actual addresses, virtual destination addresses, etc. are mapped/managed in relation to the "dictation operation". That is,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ssigned to each interface.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기반으로, 단말 세션 내, Cloud 서비스 별, 1개의 목적지가상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단말 ~ Cloud 간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시 하나의 (가상) EndPoint를 목적 주소로 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 (가상) EndPoint 단위로 수행하는 QoS 제어에 따라 제어/조정되는 실제 Cloud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one destination virtual address per Cloud service within a terminal session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Accordingly, when processing data traffic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loud, the terminal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one (virtual) EndPoint as a destination address, and can utilize communication with an actual Cloud service server controlled/adjusted according to QoS control performed per (virtual) End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장치(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Below, the termin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는, 주소요청부(11), 데이터송수신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termin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dress request unit (11),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이러한 단말장치(10)의 전술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entire tactical configuration of such terminal device (10) or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a software module, or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hardware modules and software modules.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단말장치(1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단말장치(1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ere, a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command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controls operations within a terminal device (10), and such a command may have a form loaded into a memory within the terminal device (10).

결국, 본 발명의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 즉 유동 주소(예: 유동 IP)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고정 주소 형태의 가상목적지주소 기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Ultimately, the termin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rough the aforementioned configuration,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e.g., a dynamic IP).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 for realiz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주소요청부(11)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주소를 요청할 수 있다.The address request section (11) can request an address for a specific service.

여기서,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를 의미한다.Here,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dynamic address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and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eans a fixed address allocated to the specific service.

즉,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서비스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가 할당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서비스의 타입이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만 그 일 예로서 이하 설명에서는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Cloud 서비스(20)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That is, a specific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eans a service to which at least one floating address is allocat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r kind of the service, but as an example, a Cloud service (20) using a floating address will be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단말장치(10)에서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특정 서비스(이하, 특정 Cloud 서비스(20))를 이용하고자 하면, 주소요청부(11)는 특정 Cloud 서비스(20)에 대한 주소를 요청하게 된다.When a terminal device (10) wishes to use a specific service (hereinafter,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hat uses a floating address, the address request unit (11) requests an address for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일반적으로는 단말장치(10)가, 다수의 Cloud 서비스 별로 실시간의 유동 주소(예: 유동 IP)를 보유하는 특정 노드(30, 예: DNS Server, NRF, EASDF, ...)로 주소 요청을 전달하게 된다.Typically, a terminal device (10) transmits an address request to a specific node (30, e.g., DNS Server, NRF, EASDF, ...) that holds a real-time dynamic address (e.g., dynamic IP) for each of a number of cloud services.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10, 주소요청부(11))가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로 주소 요청을 전달할 수 있도록 사전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10, address request unit (11)) can perform a pre-operation so that it can transmit an address request to a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에서 제어 장치(예: SMF/SPGW-C)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세션 설정/수립 시, 특정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주소 요청 시 해당 세션에 관여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를 사용하도록 하는 정보를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or EPCOExtended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에 수록하여 단말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tting up/establishing a session for a terminal device (10), the control device (e.g., SMF/SPGW-C) may include information to use a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involved in the session when requesting an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e.g., Cloud service) in the PCO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or EPCO Extended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device (10).

이에 단말장치(10)에서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특정 Cloud 서비스(20)를 이용하고자 하면, 주소요청부(11)는 세션 설정/수립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근거로 특정 Cloud 서비스(20)에 대한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을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terminal device (10) wishes to use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hat uses a dynamic address, the address request unit (11) can transmit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o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session setup/establishment process.

데이터 송수신부(12)는,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에 대하여 회신되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2)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returned in response to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즉, 데이터 송수신부(12)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를 목적지주소로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후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가 소스주소로 사용된 다음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특정 Cloud 서비스(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특정 Cloud 서비스(20)와 통신할 수 있다.That is,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 can communicate with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transmitting uplink data using the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as a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receiving next link data in which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is used as a source address.

이때,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서비스 예컨대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는,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이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관여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such as a specific Cloud service (20), identifi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may be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or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hanged by a data gateway device involved 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단말장치(10)의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하고, QoS 제어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주소 변경 없이 그대로 단말장치(10)에 회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of the terminal device (10)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determines that it is not a target of the QoS control, it can reply to the terminal device (10) as is without changing the address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이 경우,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는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1P)일 것이며, 데이터 송수신부(12)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즉 실제 주소(예: 유동 1P)를 목적지주소로 사용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와 통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will be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1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and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 can use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i.e.,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1P), as a destination address to communicate with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단말장치(10)의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하고, QoS 제어 대상이라고 판단하면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의 주소를 변경(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 -> 특정 가상목적지주소)하여 단말장치(10)에 회신할 수 있다(dictation 동작). Meanwhile,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of the terminal device (10)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determines that it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it can change the address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device (10) (dictation operation).

이 경우,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는 특정 Cloud 서비스(20)에 할당한 고정 주소 형태의 가상목적지주소일 것이며, 데이터 송수신부(12)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즉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목적지주소로 사용하여, 특정 Cloud 서비스 서비스(20)와 통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identifi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will b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assigned to a specific Cloud service (20), and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 can use the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identifi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i.e.,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s a destination address to communicate with a specific Cloud service (20).

이에, 단말장치(10)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즉 본 발명에 의해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 will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at is,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hang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렇듯, 본 발명의 dictation 동작에 의하여, 단말장치(10)는,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와 무관하게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Cloud 서비스(20)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way, by the dicta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regardless of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참고로, 단말장치(100)의 입장에서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에 대하여 회신되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는, 특정 노드(30, 예: DNS Server, NRF, EADSF,...)로부터 획득한 후 내부 주소를 변경한 것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 내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내역으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도 있다.For re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returned in response to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may be obtained from a specific node (30, e.g., DNS Server, NRF, EADSF, ...) and then the internal address may be changed, or may be extracted from the details managed within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이에 특정/할당하는 가상목적지주소는 반드시 달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상황에 따라 실제 주소 = 가상목적지주소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address of the cloud service and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specified/allocated thereto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different, and depending on the need/situation, the actual address = virtual destination address may be the same.

예를 들면, 단말장치의 기기 특징 또는 App 특징 등 다양한 필요/상황 상 '제약'으로 인해, 특정 단말장치에 대해서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주소를 변경하기 어려울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difficult to change the address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for a specific terminal device due to various necessary/situational 'restrictions' such as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device or app characteristics.

이러한 경우를 반영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단말장치의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 회신 시,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와 동일한 주소 정보를 가상목적지주소로서 특정/할당하여 회신할 수 있다.Reflecting such case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sponding to an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address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can be specified/allocated as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sent in response.

이렇게 되더라도,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100, 예: UPF/SPGW-U)는, 전술과 같이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특정 단말장치 - 서비스(예: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Even in this case, the data gateway device (100, e.g.,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 service (e.g., cloud service)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can perform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단말장치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고정 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ata gateway device and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fixed address-based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is realized.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도 QoS 제어가 가능해짐으로써, 해당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에 대한 유연한 서비스 품질 제공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oS control is enabled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through flexible service quality provision for the service (e.g., a cloud servic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 주소(가상목적지주소) 기반 QoS 제어를 실현하는 Call-Flow 예시들을 보여주고 있다.Figures 5 and 6 show Call-Flow examples that realize fixed address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를 UPF/SPGW-U(100)로 도시하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단말(10)으로 도시하고 있다.In Fig. 5, the data gatew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UPF/SPGW-U (100), and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terminal (1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F/SPGW-C는 기본적으로 UPF/SPGW-U를 관리하며 아울러 UPF/SPGW-U 별 Cloud 서비스Domain 이름 관리를 위한 자원 및 고정 IP가상목적지주소 자원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ure 5, SMF/SPGW-C basically manages UPF/SPGW-U and can also manage resources for Cloud service domain name management by UPF/SPGW-U and fixed IP virtual destination address resources.

SMF/SPGW-C는 이러한 관리를 근거로, UPF/SPGW-U 별로 단말의 세션 및 Cloud 서비스에 따라 가상목적지주소 할당 시 기준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설정 및 전달할 수 있다.Based on this management, SMF/SPGW-C can set up and transmit a virtual destination table to be used as a criterion for allocating virtual destination addresses according to terminal sessions and cloud services for each UPF/SPGW-U.

이에, UPF/SPGW-U(100)는, 단말(10)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에 대한 DNS Request 수신 시, 이를 DNS(30)로 전달하여 DNS(30)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가 포함된 DNS Response을 획득하고 내부(LDNS, Local DNS)에 저장할 수 있다(①).Accordingly, when the UPF/SPGW-U (100) receives a DNS Request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from the terminal (10), it forwards it to the DNS (30) and obtains a DNS Response containing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from the DNS (30) and stores it internally (LDNS, Local DNS) (①).

그리고, UPF/SPGW-U(100)는,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근거로, 해당 단말(10)/세션의 제로레이팅 요금제(예: Zero Rating 1,...,N) 및 특정 Cloud 서비스가 유동 Domain 가입자인지 여부 등,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하며, QoS 제어 대상으로 판단 시 단말(10)로 회신되는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유동 IP를 고정 IP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회신한다(②).And, UPF/SPGW-U (100) monitors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based on the virtual destination t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session is subject to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whether the terminal (10)/session is subject to QoS control (e.g. Zero Rating 1,...,N) and whether a specific Cloud service is a dynamic Domain subscriber, and if determined to be a QoS control target, changes the actual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in the DNS Response returned to the terminal (10)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IP and then returns the response (②).

이렇게 되면, 단말(10)은 DNS Response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의 주소 즉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이용하여, Cloud 서비스로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terminal (10) will transmit uplink data to the cloud service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confirmed from the DNS response, i.e., the chang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이에, UPF/SPGW-U(100)는, N3, S1U, N9 Interface에서 수신되는 단말(10)의 특정 Cloud 서비스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를 식별하고(단말(10)/세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준 식별), UPF/SPGW-U(100) 내의 주소 변환 기능(예: NAT/Proxy)을 통해 해당 업링크 데이터를 특정 Cloud 서비스의 실제 유동 IP로 접속/전달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③).Accordingly, UPF/SPGW-U (100) identifies uplink data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of a terminal (10) received from N3, S1U, N9 Interface (terminal (10)/session, identification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connects/transmits the corresponding uplink data to the actual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through an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e.g., NAT/Proxy) within UPF/SPGW-U (100)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③).

이와 함께, UPF/SPGW-U(100)는, 단말(10)의 특정 Cloud 서비스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고정 IP로서 사용 중인 특정 가상목적지주소(SVC_ID)를 기반으로 CDR/과금을 처리하는 등 QoS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단말(10) - 유동 주소 기반의 특정 Cloud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가상목적지주소 기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③).In addition, UPF/SPGW-U (100) performs QoS control, such as processing CDR/charging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SVC_ID) used as a fixed IP for uplink data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of the terminal (10), thereby performing virtual destination address-based QoS contro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based on a floating address (③).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고정 주소(가상목적지주소) 기반 QoS 제어를 실현하는 또 다른 Call-Flow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FIG. 6 shows another Call-Flow example that realizes fixed address (virtual destination address) based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를 UPF/SPGW-U(100)로 도시하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단말A로 도시하고, 전술의 변환부(110) 기능을 Loacal DNS로 도시하고, 전술의 제어부(120)에 송수신기의 기능(Local NAT)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In Fig. 6, the data gatew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UPF/SPGW-U (100),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terminal A, the function of the conversion unit (110)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as Local DNS, and the function of the transceiver (Local NAT)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20) described above.

UPF/SPGW-U(100)는, 단말A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예: TMAP.co.kr)에 대한 DNS Request를 수신하면(1.), 이를 Caching하는 한편(2a.) DNS(30)로 전달하여(2b.) DNS(30)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예: TMAP.co.kr)의 실제 유동 IP가 포함된 DNS Response(Domain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3a).When UPF/SPGW-U (100) receives a DNS request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e.g. TMAP.co.kr) from terminal A (1.), it caches it (2a.) and forwards it to DNS (30) (2b.) so that it can obtain a DNS response (domain response) containing the actual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e.g. TMAP.co.kr) from DNS (30) (3a).

UPF/SPGW-U(100)는,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이면 단말A로 회신되는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유동 IP를 고정 IP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예: 50.0.0.1 -> 10.0.0.1)한 후 회신한다(3b./4.).UPF/SPGW-U (100) monitors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and, if it is a target of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actual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in the DNS Response returned to terminal A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IP (e.g. 50.0.0.1 -> 10.0.0.1) and then returns the response (3b./4.).

전술한 바와 같이,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회신하는 전술의 1.~ 4.까지의 제반 과정을, 단말A로 하여금 정해진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하게 하는 "dictation 동작"이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process from 1. to 4. of the above-described strategy, which monitors address requests/address responses (e.g., DNS Request/DNS Response) and changes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replies, can be called a "dictation operation" that causes terminal A to forward the data traffic of the Cloud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determined fixed address.

이렇게 되면, 단말A는 DNS Response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의 주소 즉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10.0.0.1)를 이용하여, Cloud 서비스로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1.).In this case, terminal A will transmit uplink data to the cloud service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confirmed from the DNS response, i.e. the chang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10.0.0.1) (1.).

이에, UPF/SPGW-U(100)는, N3, S1U, N9 Interface에서 수신되는 단말A의 특정 Cloud 서비스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를 식별하고(단말A/세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준 식별), 주소 변환 기능(예: Local NAT)을 통해 해당 업링크 데이터를 특정 Cloud 서비스의 실제 유동 IP로 접속/전달하고(sIP: 단말A IP_A -> GW~서비스 간 외부 IP_20.0.0.1, dIP: 특정 가상목적지주소_10.0.0.1 -> 실제 유동 IP_50.0.0.1)(가., 나-1., 나-2.), 반대로 특정 Cloud 서비스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A로 전달하여(sIP: 실제 유동 IP_50.0.0.1 -> 특정 가상목적지주소_10.0.0.1, dIP: GW~서비스 간 외부 IP_20.0.0.1 -> 단말A IP_A), 단말A 및 특정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다-1., 다-2., 라.)Accordingly, UPF/SPGW-U (100) identifies uplink data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of Terminal A received from N3, S1U, and N9 Interfaces (terminal A/session, identification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onnects/forwards the corresponding uplink data to the actual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through an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e.g., Local NAT) (sIP: Terminal A IP_A -> GW~Service external IP_20.0.0.1, dIP: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_10.0.0.1 -> Actual dynamic IP_50.0.0.1) (a., b-1., b-2.), and conversely, forwards downlink data received from a specific Cloud service to Terminal A (sIP: Actual dynamic IP_50.0.0.1 ->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_10.0.0.1, dIP: GW~Service external IP_20.0.0.1 -> Terminal A IP_A), and connects/forwards the corresponding uplink data to the actual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through an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e.g., Local NAT). It can support communication (D-1., D-2., D.)

이와 함께, UPF/SPGW-U(100)는, RAN으로부터 들어오는 N3, S1U, N9 Interface 제어를 통해, 단말A의 Cloud 서비스 별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각기 할당/설정한 고정된 IP 형태의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CDR 생성 및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등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UPF/SPGW-U (100) can perform QoS control, such as performing CDR generation and charging processing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IP allocated/set for each uplink data of terminal A's cloud service through N3, S1U, and N9 Interface control coming from RAN.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제어 시나리오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S. 8 to 10 are flowcharts showing examples of control scenarios in which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를 GW-U(UPF/SPGW-U)(100)로 도시하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UE(10)로 도시하고 있다.In Fig. 8, the data gatew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GW-U (UPF/SPGW-U) (100), and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UE (1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GW-C(SMF/SPGW-C)는 GW-U(100)와 최초 연동 시 진행되는 PFCP Association 과정 중에, GW-U 별 Cloud 서비스Domain 이름 관리를 위한 자원 및 고정 IP가상목적지주소 자원을 확인하여 GW-U의 다른 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PFCP Association process performed when initially connecting with the GW-U (100), the GW-C (SMF/SPGW-C) can check resources for managing the Cloud service domain name for each GW-U and the fixed IP virtual destination address resources and manage them together with other information of the GW-U.

한편, GW-C(SMF/SPGW-C)는 UE(10)의 세션 설정/수립 과정(Session Establishment) 중, 특정 서비스(예: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요청 시 해당 세션에 관여하는 GW-U(100)의 LDNS를 사용하도록 하는 정보를 PCO or EPCO에 수록하여 UE(10)에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GW-C(SMF/SPGW-C)는 해당 세션에 관여하는 GW-U(100)로 관련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설정 및 지공할 수 있다.Meanwhile, during the session setup/establishment process (Session Establishment) of the UE (10), the GW-C (SMF/SPGW-C) can include information in the PCO or EPCO to use the LDNS of the GW-U (100) involved in the session when requesting an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e.g., Cloud service (20)) and transmit it to the UE (10). In addition, the GW-C (SMF/SPGW-C) can set up and provide a virtual destination table related to the GW-U (100) involved in the session.

이에 본 발명의 UE(10)에서 특정 Cloud 서비스(20)를 이용하고자 하면, 세션 설정/수립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근거로 특정 Cloud 서비스(20)에 대한 주소 요청(예: DNS Query)을 GW-U(100)로 전달하여 GW-U(100)의 LDNS로 Query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specific Cloud service (20) is to be used in the U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ress request (e.g., DNS Query) for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is transmitted to the GW-U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session setup/establishment process, and a query can be performed with the LDNS of the GW-U (100).

본 발명의 GW-U(100) 내 LDNS는 코어 내의 DNS(30)나 상위 DNS(30)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Query)을 전달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가 포함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획득할 수 있다. The LDNS in the GW-U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containing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transmitting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Query) to the DNS (30) in the core or the upper DNS (30).

본 발명의 GW-U(100)는,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하고, QoS 제어 대상인 경우 단말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회신되도록 한다. The GW-U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QoS control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is a QoS control target, changes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20)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returned to the terminal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returns the response.

이렇게 되면, UE(10)는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 즉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이용하여, Cloud 서비스(20)로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데이터 w/ 가상목적지주소).In this case, the UE (10) will transmit uplink data to the Cloud service (20)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i.e., the chang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data w/ virtual destination address).

본 발명의 GW-U(100)는, N3, S1U, N9 Interface에서 수신되는 UE(10)의 특정 Cloud 서비스(20)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를 식별하고, GW-U(100) 내의 주소 변환 기능(예: NAT/Proxy)을 통해 해당 업링크 데이터를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유동 IP로 전달하여 UE(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을 지원하되, 해당 통신에 대해 가상목적지주소 기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GW-U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uplink data for a specific Cloud service (20) of a UE (10) received from an N3, S1U, and N9 Interface, and transfers the uplink data to an actual floating IP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hrough an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e.g., NAT/Proxy) within the GW-U (100)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UE (10) and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while performing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communication.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GW-U(100)에 의해, UE(10) - 유동 주소 기반의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 중, UE(10) - GW-U(100) 간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명확한 QoS 제어가 가능해 진다.In this way, clear QoS control of data traffic between the UE (10) and the GW-U (100)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UE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ased on a dynamic address is possible by the GW-U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GW-U(UPF/SPGW-U)에 의하여 단말은 실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유동 IP 여부와 무관하게 고정 IP(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고정 IP 기반으로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등 GW-U(UPF/SPGW-U)의 QoS 제어 동작을 더 적은 물리적 리소스를 사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a fixed IP (virtual destination address) regardless of whether an actual service providing server has a dynamic IP, by means of GW-U (UPF/SPGW-U), and based on the fixed IP,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effect of performing QoS control operations of GW-U (UPF/SPGW-U), such as QoS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more efficiently using fewer physical resources.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GW-U(UPF/SPGW-U) 관점에서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the flow of performing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W-U (UPF/SPGW-U)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단말(10)로부터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주소를 요청하는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이 수신되면(S10), 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20).First, 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requesting an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is received from a terminal (10) (S10), the GW-U (UPF/SPGW-U)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previously stored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S2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을 저장/caching하여 내역(이하,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으로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can store/cache address requests/address responses (e.g., DNS Request/DNS Response) and manage them as history (hereinafter,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S20 No),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을 특정 노드(예: DNS Server, NRF, EASDF,...)로 전달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가 포함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획득할 수 있다(S30).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W-U (UPF/SPGW-U) determines that there is no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S20 No), the GW-U can forward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to a specific node (e.g., DNS Server, NRF, EASDF, ...) to obtain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including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S30).

그리고,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40).And,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can monitor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S40).

구체적으로, GW-U(UPF/SPGW-U)는, 자신이 데이터 송수신에 관여하는 단말/세션들에 대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보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근거로 단말(10)의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W-U (UPF/SPGW-U) can maintain a virtual destination table for terminals/sessions that it participates 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an monitor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of the terminal (10) based on this virtual destination ta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금번 주소 요청/주소 응답(예: DNS Request/DNS Response)를 모니터링하여 QoS 제어 대상이라고 판단되면(S40 Yes), 가상목적지주소 할당에 앞서, 가상목적지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Capability가 있는지 여부(예: 유휴 가상목적지주소 자원, 유휴 Mapping Table 리소스 등)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S50).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W-U (UPF/SPGW-U) determines that the current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e.g., DNS Request/DNS Response) is a target of QoS control by monitoring it (S40 Yes), prior to allocating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t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apability that can allocat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e.g., idl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resources, idle Mapping Table resources, etc.) (S50).

이에,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가상목적지주소 할당이 가능하다면(S50 Yes), 단말(10)의 세션 및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식별자(예: Domain 이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하여 금번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주소 변경에 사용하도록 할당할 수 있다(S60).Accordingly,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llocation is possible (S50 Yes),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ss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identifier (e.g., domain name) of a specific cloud service (20) can be specified and allocated to be used for address change in the current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S60).

그리고,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금번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Cloud 서비스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를 S60단계에서 할당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단말(10)로 회신할 수 있다(S70,S80). And,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can change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cloud service in the current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llocated in step S60 and then send it back to the terminal (10) (S70, S80).

한편,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S20 Yes),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금번 주소 요청(예: DNS Request)에 대하여 과거에 회신한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즉 과거 동일한 주소 요청에 대해 내부 주소를 변경(실제 주소 -> 특정 가상목적지주소)하여 회신한 이력의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추출하여 단말(10)로 즉시 회신할 수 있다(S25, S80).Meanwhile,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W-U (UPF/SPGW-U) determines that there is an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S20 Yes), it can extract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at was replied to the current address request (e.g., DNS Request) in the past from the service address request/address response history, that is,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hat was replied to by changing the internal address (real address ->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same address request in the past, and immediately reply to the terminal (10) (S25, S80).

전술의 S70,S80 또는 S25, S80와 같이,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 내 주소를 변경한 후 회신하는 것을, 단말로 하여금 정해진 고정 주소 형태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하게 하는 "dictation 동작"이라 할 수 있다.As in the S70, S80 or S25, S80 described above, changing the address in the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and then replying can be called a "dictation operation" that causes the terminal to forward data traffic of the Cloud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rm of a fixed address.

이렇게 되면, 단말(10)은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으로부터 확인한 특정 Cloud 서비스의 주소 즉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Cloud 서비스(20)로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terminal (10) will transmit uplink data to a specific Cloud service (20) using the address of a specific Cloud service confirmed from an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i.e., a changed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한편,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QoS 제어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40 No), 금번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주소 변경 없이 그대로 단말(10)로 회신할 수 있다(S65).Meanwhile,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W-U (UPF/SPGW-U) determines that it is not a QoS control target (S40 No), it can return the current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to the terminal (10) without changing the address (S65).

또한,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QoS 제어 대상이라고 판단되나(S40 Yes) 가상목적지주소 할당이 불가능하다면(S50 No), 필요 시 SMF 또는 SPGW-C 등 해당하는 GW-C로 GW-U(UPF/SPGW-U) 재 선택을 요청하며(S55) 금번 주소 응답(예: DNS Response)을 주소 변경 없이 그대로 단말(10)로 회신할 수도 있다(S65).In addition,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W-U (UPF/SPGW-U) is determined to be a QoS control target (S40 Yes) but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llocation is impossible (S50 No), the GW-U (UPF/SPGW-U) re-selection is requested from a corresponding GW-C such as an SMF or SPGW-C, if necessary (S55), and the current address response (e.g., DNS Response) can be returned to the terminal (10) as is without address change (S65).

도 10을 참조하여 더 설명하면,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N3, S1U, N9 Interface에서 데이터 즉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면(S100),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10 for further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e., uplink data, is received from the N3, S1U, and N9 interfaces (S100), the GW-U (UPF/SPGW-U) can determine whether the uplink data is a target of the Qo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S110).

구체적으로, GW-U(UPF/SPGW-U)는,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근거로, 업링크 데이터의 소스주소 및/또는 세션 정보, 목적지주소에서 "dictation 동작"을 적용한 단말(예: 10)의 주소 및/또는 세션, 특정 가상목적지주소가 확인되면, 해당 업링크 데이터를 본 발명의 QoS 제어 대상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S110 Yes).Specifically, when the GW-U (UPF/SPGW-U) identifies, based on th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the source address and/or session information of uplink data, the address and/or session of a terminal (e.g., 10) that applied the “dictation operation” to the destination address, and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he GW-U can determine the corresponding uplink data as a QoS control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uplink data of a terminal (10) receiv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S110 Yes).

이에,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QoS 제어 대상으로 판단된 업링크 데이터, 예컨대 특정 Cloud 서비스(20)에 할당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서는, 주소 변환 기능(예: Local NAT)을 통해 특정 Cloud 서비스(20)의 실제 주소(예: 유동 IP)로 전달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S120).Accordingly,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can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transferring the uplink data determined to be a QoS control target, for example,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10) receiv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ssigned to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o the actual address (e.g., dynamic IP) of the specific Cloud service (20) through an address translation function (e.g., Local NAT) (S120).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단말(10)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지원하는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과 관련하여,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20).In addition,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can perform QoS control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that supports uplink data of the terminal (10) received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S120).

즉 GW-U(UPF/SPGW-U)는, 본 발명에서의 "dictation 동작" 및 단말 ~ 실제 Cloud 서비스 간 통신을 연결해 주는 역할에 기반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에 대하여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GW-U (UPF/SPGW-U) can perform QoS control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ased on the "dicta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role in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 actual Cloud service.

여기서, QoS 제어는, 단말 및 특정 서비스(예: Cloud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Here, QoS control includes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speed-based quality control,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pecific service (e.g., cloud service).

즉,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단말이 이용하는 유동 주소 기반의 서비스 관련 통신에 대하여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업링크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QoS 품질 제어/사용량/과금 처리 등의 QoS 제어를 가상 EndPoint 단위(가상목적지주소 활용)로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performs QoS control based on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service-related communication based on a dynamic address used by the terminal, thereby performing QoS control such as QoS quality control/usage/charging processing based on transmission speed for the uplink of the terminal in virtual EndPoint units (utilizing th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이 종료되기 전까지(S130 No), S110단계 및 이후 단계를 수행하여 단말(10) 및 특정 Cloud 서비스(20) 간 통신에 대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지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W-U (UPF/SPGW-U) can continuously perform QoS control based on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by performing step S110 and subsequent steps until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a specific Cloud service (20) is terminated (S130 No).

한편,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GW-U(UPF/SPGW-U)는, S110단계에서 금번 업링크 데이터가 QoS 제어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110 No), 해당 업링크 데이터를 목적지주소의 서비스(예: 일반 데이터 서비스, Cloud 서비스 등) 전달하여 단말(10) 및 해당 서비스(예: 일반 데이터 서비스, Cloud 서비스 등) 간 통신을 지원할 것이다(S140).Meanwhile,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W-U (UPF/SPGW-U) determines in step S110 that the current uplink data is not subject to QoS control (S110 No), it will transfer the corresponding uplink data to a service of the destination address (e.g., general data service, Cloud service, etc.)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corresponding service (e.g., general data service, Cloud service, etc.) (S14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QoS 제어 방법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 고정 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is realized that can perform fixed address-based QoS control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도 QoS 제어가 가능해짐으로써, 해당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에 대한 유연한 서비스 품질 제공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oS control is enabled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e.g., a cloud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through flexible service quality provision for the service (e.g., a cloud ser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QoS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Qo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s such as ROMs, RAMs, and flash memories. Examples of the program command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의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QoS 제어 방법, 단말장치에 따르면, 유동 주소를 사용하는 서비스(예: Cloud 서비스)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도 고정 주소 기반의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data gatew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QoS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performed in th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technology capable of performing fixed address-based QoS control even for data traffic of a service using a dynamic address (e.g., cloud service), and thu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chnologies,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possible to utilize related technologies but also to market or sell applicable devices, and is clearly implementable in reality.

100 :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110 : 변환부 120 : 제어부
10 : 단말장치
11 : 주소요청부 12 : 데이터 송수신부
100 : Data Gateway Device
110: Conversion section 120: Control section
10: Terminal device
11: Address request section 12: Data transmission/reception section

Claims (14)

단말로부터의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에 대하여 상기 단말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하는 변환부; 및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하되, 상기 통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무관하게,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A conversion unit that changes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returned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n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from th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by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and performs QoS (Quality of Service) control based on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communication;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fixed address assigned to the specific service, regardless of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제어는,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QoS control is,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dynamic address dynamically allocated for the specific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기 설정된 가상목적지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단말의 세션 및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가상목적지주소를 특정하여 상기 주소 응답의 변경에 사용하도록 할당하며,
상기 가상목적지 테이블은,
단말 별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기 설정 및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version part,
Based on the preset virtual destination tabl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specifi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ssion identifiers of the terminal and the identifier of the specific service, and is allocated to be used for changing the address response.
The above virtual destination table is,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and transmitted by a control device that manages/controls sessions for each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목적지주소는,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vContex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t least one of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and vContex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다수의 서비스 별로 실시간의 유동 주소를 보유하는 특정 노드로 상기 주소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특정 노드로부터 획득한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후 상기 단말로 회신하거나,
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과 동일한 주소 요청이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주소 요청/주소 응답 내역에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한 주소 응답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version part,
The address request is forwarded to a specific node that holds real-time floating addresses for a number of services, and the address response obtained from the specific node is chang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nd then returned to the terminal.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address request identical to the address request of the specific service is determined to be present in the history of previously stored service address requests/address responses, an address response chang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extracted from the history of the service address requests/address responses and is returned to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는,
RAN(Radio Access Network) 및 상기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N3, S1U, N9 Interface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abov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detected at the N3, S1U, N9 Interface between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data gatew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와 연동하여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을 관리하며,
상기 가상목적지 맵핑 테이블은,
단말의 세션 및 주소 정보, 서비스의 식별자, 상기 서비스의 실제 주소, 상기 서비스에 할당한 가상목적지주소, 상기 주소 변환 기능에서 상기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맵핑하여 상기 단말의 주소로서 사용하도록 할당한 외부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manages a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 conversion unit,
The above virtual destination mapping table is:
A data gatew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session and address information of a terminal, an identifier of a service, a real address of the service, a virtual destination address assigned to the service, and an external address assigned to be used as an address of the terminal by mapping to the real address of the service in the address conversion function.
특정 서비스에 대한 주소를 요청하는 주소 요청부; 및
주소 요청에 대하여 회신되는 주소 응답으로부터 확인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응답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이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관여하는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변경된 특정 가상목적지주소이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무관하게,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An address request section requesting an address for a specific service; and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is included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pecific service by using the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confirmed from the address response in response to the address request;
The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identified from the above address response is,
The actual address of the above specific service or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changed by the data gateway device involved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above data,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fixed address assigned to the specific service, regardless of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QoS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의 특정 서비스의 주소 요청에 대하여 상기 단말로 회신되는 주소 응답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를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변경하는 변환단계; 및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주소 변환 기능을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을 지원하되, 상기 통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 기반의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와 무관하게, 상기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는 고정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In a Qo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data gateway device,
A conversion step for changing the actual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to a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n an address response returned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n address of a specific service from the terminal; and
A method of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by transmitting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to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through an address conversion function, the method including a control step of performing QoS (Quality of Service) control based on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for the communication;
A Qo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fixed address assigned to the specific service, regardless of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제어는,
상기 단말 및 상기 특정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전송 속도 기반의 품질 제어, 사용량(Usage) 측정, 과금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In Article 10,
The above QoS control is,
A Qo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quality control based on transmission speed, usage measurement, and billing process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ser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의 실제 주소는,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In Article 10,
A Qo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l address of the specific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dynamic address dynamically allocated for the specific ser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목적지주소는,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vContex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In Article 10,
The above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Qo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t least one of v(virtual)IP, vTag, vInterface, v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v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vLocation, and vContex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상목적지주소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데이터는,
RAN(Radio Access Network) 및 상기 데이터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N3, S1U, N9 Interface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In Article 10,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 received to the above specific virtual destination address is:
A Qo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cted at the N3, S1U, N9 Interface between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data gateway device.
KR1020220056547A 2022-05-09 2022-05-09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Active KR102803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47A KR102803899B1 (en) 2022-05-09 2022-05-09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47A KR102803899B1 (en) 2022-05-09 2022-05-09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048A KR20230157048A (en) 2023-11-16
KR102803899B1 true KR102803899B1 (en) 2025-05-02

Family

ID=8896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547A Active KR102803899B1 (en) 2022-05-09 2022-05-09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0389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726A1 (en) * 2001-11-27 2009-02-19 Luis Felipe Cabrera Virtual network with adaptive dispatch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398A (en) * 2008-04-15 2009-10-20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Adaptive Variable Speed Contents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00171A (en)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케이티 Virtual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having same subscriber address processing function
KR101393861B1 (en) * 2012-10-08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based on vehicle network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318746B1 (en) * 2019-10-30 2021-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plurality of pdu sessions using virtual id and smf perform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726A1 (en) * 2001-11-27 2009-02-19 Luis Felipe Cabrera Virtual network with adaptive dispatc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048A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UE context and PDU session context management
US11564084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378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election
US1051664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on mobile network, mobile network, and policy control entity
CN114365518B (en) Method for influencing data service route in core network by service application
CN11161584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ssion management entity ser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2245311B2 (en) Method for influencing data traffic routing in a core network
CN115529342B (en) Service access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8337674B (en) A method, device and network system for IP address allocation
JP7310006B2 (en) SERVICE CONTINUITY IMPLEMENTAT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WO202105210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556703B1 (en) Method for allocating a network entity
US20210195465A1 (en) Traffic in a distributed cloud system
CN103379479B (en) A kind of determine ID and the method for notifying parameters information, system and equipment
KR102803899B1 (en) DATA GATEWAY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THE DEVICE, TERMINAL DEVICE
CN112533236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3379555B (en) A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57921A (en)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9584322A (en) Computing network session management system,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