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02495B1 -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02495B1
KR102802495B1 KR1020230083190A KR20230083190A KR102802495B1 KR 102802495 B1 KR102802495 B1 KR 102802495B1 KR 1020230083190 A KR1020230083190 A KR 1020230083190A KR 20230083190 A KR20230083190 A KR 20230083190A KR 102802495 B1 KR102802495 B1 KR 102802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ar pad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50001083A (en
Inventor
김문세
Original Assignee
(주)바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컴 filed Critical (주)바이컴
Priority to KR102023008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2495B1/en
Publication of KR2025000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1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249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이 편리하고, 근거리 반경 내 서로 떨어진 작업자들이 실시간으로 업무 통화를 하면서 양손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간섭에 의한 통화 거리 손실이 없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에 구비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로서, 아치형의 헤드 밴드 및 이어 패드를 포함하는 헤드셋 본체;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 상기 이어 패드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기 헤드셋 본체에 구비되고, 장치의 온/오프 및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헤드셋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작동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field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wear, allows workers who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a close radius to make work calls in real time while freely working using both hands,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dustrial field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on a safety helmet is provided, comprising: a headset body including an arch-shaped headband and ear pads; an antenna module equipped on one of the headband and the ear pads; a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on one of the headband and the ear pads; a microphone module extended to the ear pads; a control module equipped on the headset body and controlling on/off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of the device; and a battery module equipped on the headset body and provid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Description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편리하고, 근거리 반경 내 서로 떨어진 작업자들이 실시간으로 업무 통화를 하면서 양손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간섭에 의한 통화 거리 손실이 없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which is convenient to wear, allows workers who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a close radius to make work calls in real time while working freely using both hands,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has no loss of call distance due to interference.

연구관리전문기관 :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 2022년도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기업주도형 일반분야
연구과제명 : 산업현장의 업무 효율과 관리를 강화하는 실시간 디지털 양방향 인터컴 시스템
주관연구기관 : ㈜바이컴
연구기간 : 2022.07.01 ~ 2023.06.30
송전탑의 유지 보수 현장, 건설 현장, 도로 작업 현장 등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들 간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작업자와 관리자들이 작업 지시나 위험 고지 등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한다.
Research Management Specialist Organization: Gyeonggi Economic and Scientific Promotion Agency
Research Project Name: 2022 Gyeonggi-do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Corporate-led General Field
Research Project Name: Real-time digital two-way intercom system to enhance work efficiency and management in industrial sites
Research Institution: Biocom Inc.
Research period: 2022.07.01 ~ 2023.06.30
In industrial sites such as transmission tower maintenance sites, construction sites, and road work sites, smooth work must be done among workers, and workers and managers must exchang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work instructions and hazard notices.

예를 들면, 도로를 차단하고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 차량 통행 통제를 하기 위하여 도로의 한쪽에 위치한 작업자와 다른 쪽에 위치한 작업자가 서로 차량 통제를 위한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한다.For example, when blocking a road and conducting construction, workers on one side of the road and workers on the other side must exchange information to control vehicle traffic.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징후가 보이는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장소 주변의 작업자들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야 한다.In addition,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uch as when signs of a safety accident appear, workers around the area must be notified promptly.

이러한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수단으로는 흔히 무전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들의 개인 휴대폰을 이용하기도 한다.In these fields, walkie-talkies are often used as a means for worker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when necessary, workers' personal cell phones are also used.

그러나 무전기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앙에서 집중적인 관리를 하기 어렵고, 안전사고 징후가 발생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여러 작업자들에게 이를 알릴만한 마땅한 통신수단이 되지 못한다.However, since radios are used individually,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m centrally, and they are not a suitable means of communication to notify multiple worker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when signs of a safety accident occur.

여러 작업자들에게 특정 정보를 알리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확성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확성기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를 일일이 찾아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Using a loudspeaker can be a way to inform multiple workers of specific information, but it i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because each worker carrying a loudspeaker must be identified.

또한, 작업자들이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경우에는 휴대폰 통화료를 자신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공동 업무 진행을 위한 통화를 꺼리게 될 여지가 있다.Additionally, if workers use their own cell phone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y may be reluctant to make calls for joint work because they have to pay for the call costs themselves.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882호에는 "안전모용 PTT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선행 기술은 본체와 헤드셋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와 헤드셋은 케이블로 연결되며, 외장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part of an effort to solve this problem, a "PTT communication system for a safety helmet" is prop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6882. The above prior art consists of a main body and a headset, and the main body and headset are connected by a cable and include an external antenna.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선행 기술은 본체를 몸에 장착하고, 헤드셋 케이블을 연결하고, 헤드셋을 머리에 써야 하는 3단계의 착용 절차는 현장 작업자에게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prior art has a three-step wearing procedure that requires attaching the main body to the body, connecting the headset cable, and putting the headset on the head,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for field workers.

둘째, 선행 기술은 헤드셋의 안테나나 연결 케이블이 현장 구조물이나 줄에 걸려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Second,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headset's antenna or connecting cable may get caught on on-site structures or lines, causing an accident.

셋째, 선행 기술을 포함한 현장 무선 통신 장치는 대부분 2.4Ghz 대역을 사용하여 Wi-Fi나 Bluetooth 같이 같은 대역을 사용하는 기기와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거리가 줄어들고, 또한 DECT 프로토콜을 대부분 사용하기 때문에 헤드셋 간을 연결해 주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의 중계 장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추가 비용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ird, most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prior art, use the 2.4 GHz band, which causes interference with devices that use the same band, such as Wi-Fi or Bluetooth, and reduces the communication distance.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m use the DECT protocol, a relay equipment for the base station that connects between headsets is essential, which results in additional cos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6882(2018.07.10. 공고)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6882 (announced on July 10, 20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22328(2005.12.2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22328 (published on December 29, 20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34126(2017.12.06.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4126 (published on December 6, 20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70738(2014.03.0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70738 (announced on March 6, 2014)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이 편리하고, 근거리 반경 내 서로 떨어진 작업자들이 실시간으로 업무 통화를 하면서 양손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간섭에 의한 통화 거리 손실이 없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vide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which is convenient to wear, allows workers who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a close radius to work freely using both hands while making work calls in real time,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has no loss of call distance due to interferenc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안전모에 구비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로서, 아치형의 헤드 밴드 및 이어 패드를 포함하는 헤드셋 본체;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 상기 이어 패드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 상기 헤드셋 본체에 구비되고, 장치의 온/오프 및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헤드셋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작동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ustrial field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on a safety helmet is provided,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adset body including an arched head band and ear pads; an antenna module equipped on one of the head band and the ear pads; a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on one of the head band and the ear pads; a microphone module provided to be extended to the ear pads; a control module equipped on the headset body and controlling on/off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of the device; and a battery module equipped on the headset body and provid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어 패드는 상기 헤드 밴드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pads are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head band, the antenna module is provide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ear pad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ear pad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인테나 모듈(intenna 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n intenna modul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900Mhz 대역에서 통신하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in a 900 MHz band.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음성 출력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스위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 스위치; 및 장치의 온 상태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off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module; a volume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sound output; a frequency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and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on state and control state of th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helmet for use in industrial sites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dustrial sit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는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lmet may have a helmet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head band and ear pads are mounte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안착부에서 상기 헤드 밴드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는 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 패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에는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lmet mounting portion where the head band is mounted in the helmet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groove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where the ear pad is mounted may be formed to penetrat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밴드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와 상기 헤드 밴드 간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dband and the helmet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headband is mounted, to be recessed and join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통신 장치가 안전모에 구비되어 안전모의 착용으로 통신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착용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t wearability since a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safety helmet an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by wearing the safety helmet.

둘째, 본 발명은 작업자들이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and workability by allowing workers to work with both hands free while communicating in real time.

셋째, 본 발명은 간섭에 의한 통화 거리 손실이 없어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communication reliability without loss of call distance due to interference.

넷째, 본 발명은 베이스 스테이션과 같은 중계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 현장의 통신 장비 감소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sts at work sites since it does not require relay equipment such as a base st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일측 측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타측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부들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의 사용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included in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use of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going in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ttempt various modific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 section,”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일측 측면도로서,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타측 측면도로서,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부들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의 사용 개념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dustrial sit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one side of an industrial sit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right,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an industrial sit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left.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included in an industrial sit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blocks, and FIG. 5 is a usage concept diagram of an industrial sit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는, 안전모에 구비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헤드셋 본체(100)와, 안테나 모듈(200)와, 통신 모듈(300)과, 마이크 모듈(400) 및 제어 모듈(50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equipped on a safety helmet, and as shown in FIGS. 1 to 5, it largely includes a headset body (100), an antenna module (200), a communication module (300), a microphone module (400), and a control module (5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는, 안전모에 구비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셋 본체(100);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200);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300);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400);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고, 장치의 온/오프 및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500); 및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모듈(500)의 작동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60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ustrial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equipped with a safety helmet, and as shown in FIGS. 1 to 5, includes: a headset body (100); an antenna module (200) equipped in the headset body (100); a communication module (300) equipped in the headset body (100); a microphone module (400) equipped in the headset body (100); a control module (500) equipped in the headset body (100) and controlling on/off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of the device; and a battery module (600) equipped in the headset body (100) and provid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500).

상기 헤드셋 본체(100)는 헤드 밴드(110)와, 상기 헤드 밴드(1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120)를 포함한다.The above headset body (100) includes a head band (11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12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ead band (110).

상기 헤드 밴드(110)는 아치형 또는 역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 밴드(110)의 양단부에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120)가 구비된다.The above head band (110) is formed in an arched or inverted “U” shap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12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ead band (110).

상기 이어 패드(120)는 스피커가 내장된 하우징, 및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귀 방향으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어 패드(120)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bove ear pad (120) is configured to output sound toward the wearer's ears by including a housing with a built-in speaker and a speaker driver built into the housing. This ear pad (120) is a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헤드셋 본체(100)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안전모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안전모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above headset body (100) is configur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safety helmet or is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afety helmet, as will be described below.

계속해서, 상기 안테나 모듈(200)은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어 통신 신호(전자기파)를 공간으로 전달하거나 전달받기 위한 장치 모듈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안테나 모듈(200)은 헤드 밴드(110) 또는 좌우 이어 패드(120) 중 하나에 내장되어 헤드셋 본체(100)와 일체로 구성되는 인테나 모듈(intenna module)로 이루어진다.Continuing, the antenna module (200) is provided in the headset body (100) as a device modul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electromagnetic wave) into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module (200) is formed as an intenna module that is built into one of the head band (110) or the left and right ear pads (120) and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headset body (100).

다음으로, 상기 통신 모듈(300)은 상기 헤드 밴드(110) 또는 좌우 한 쌍의 안테나 모듈(20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900Mhz의 협대역 통신이 가능한 협대역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Next,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is provided on the head band (110) or on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antenna modules (200), and is configured as a narrowband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narrowband communication of 900 MHz.

상기 마이크 모듈(400)은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음성(사운드) 신호를 통신 모듈(300)의 송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The above microphone module (400) is a component provided in the headset body (100) to transmit the worker's voice (sound)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mitt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상기 마이크 모듈(400)은 발생된 음성을 마이크에 의해 인식되고, 통신 모듈(300)의 송신부에서 음성신호(주파수)로 변환되어 다른 통신 장치의 통신 모듈의 수신부로 무선전송된다. 상기 수신부는 이어 패드(120)의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The above microphone module (400) recognizes the generated voice by the microphone,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frequency) in the transmitt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the receiv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The receiver outputs the sound through the amplifier and speaker of the ear pad (120).

일 예로, 상기 마이크 모듈(400)은 일단부가 상기 이어 패드(120)에 연결되는 마이크 연결관(410), 및 상기 마이크 연결관(41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마이크(420)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microphone module (400) includes a microphone connection tube (4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ar pad (120), and a microphone (42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icrophone connection tube (410).

상기 마이크 연결관(410)의 일단부는 이어 패드(120)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휘어짐이 자유롭게 자바라형의 관형체로 이루질 수 있다.One end of the above microphone connection tube (410)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ear pad (120) and can be formed into a tubular body in the shape of a Javara that can be freely bent.

또한, 상기 마이크(420)는 상기 마이크 연결관(17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통신 모듈(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선이 마이크(420)와 통신 모듈(30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42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icrophone connection tube (17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That is, a wire is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4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이러한 마이크 모듈(400)은 공지된 기술의 마이크 모듈이 채용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다.This microphone module (400) employs a microphone module of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헤드셋 본체(100)에 구비되고, 장치의 온/오프 및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이다.Next, the control module (500) is a component provided in the headset body (100) and controls the on/off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of the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500)은 배터리 모듈(60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510)와, 음성 출력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스위치(520)와,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주파수 조정 스위치(530), 및 장치의 온 상태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54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500) includes a power switch (510) for turning on/off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module (600), a volume control switch (52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sound output, a frequency control switch (530)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and a display window (540) for displaying the on state and control state of the device.

상기 제어 모듈(500)은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120) 중 하나에서 외측을 향하는 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module (5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facing outward of on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120).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600)은 제어 모듈(500)의 작동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로서, 내장형 충전식 배터리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내장형 충전식 배터리에 접속되는 충전 접속 포트를 갖는 충전형 배터리 모듈이나, 교체형 배터리가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는 교체형 배터리 모듈로 구성되거나, 상기 충전형 배터리 모듈과 교체형 배터리 모듈이 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battery module (600) is a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500), and may be configured as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having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nd a charging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via a power cable, or a replaceable battery module in which a power supply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power by mounting a replaceable battery is integrally formed,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the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the replaceable battery modu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구비의 안전모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셋 본체(100)의 헤드 밴드(110)와 이어 패드(120)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를 갖고 형성된다.Meanwhile, a safety helmet equipped with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afety helmet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head band (110) and ear pad (120) of the headset main body (100) described above are mounted.

상기 안전모 안착부에서 상기 헤드 밴드(110)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는 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 패드(120)가 안착되는 안착부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mentioned helmet mounting portion, the helmet mounting portion where the head band (110) is mounted is formed as a groove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where the ear pad (120) is mounted is formed to be perforated.

또한, 상기 안전모는 안전모 안착부와 상기 헤드셋 본체(100)의 헤드 밴드(110) 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안전모 안착부와 헤드 밴드(110) 간이 요철 결합되고,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lme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attachable by forming a protruding portion between the helmet mounting portion and the head band (110) of the headset main body (100) so that the helmet mounting portion and the head band (110) are protruding and attach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의하면, 통신 장치가 안전모에 구비되어 안전모의 착용으로 통신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착용성이 편리하고, 작업자들이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and the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safety helmet so that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by wearing the safety helmet, making it convenient to wear, and workers can work while communicating in real time with both hands free,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은 간섭에 의한 통화 거리 손실이 없어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베이스 스테이션과 같은 중계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 현장의 통신 장비 감소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communication reliability by eliminating loss of call distance due to interference, and reducing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sts at work sites by not requiring relay equipment such as a base sta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m, so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헤드셋 본체
110: 헤어 밴드
120: 이어 패드
200: 안테나 모듈
300: 통신 모듈
400: 마이크 모듈
410: 마이크 연결관
420: 마이크
500: 제어 모듈
510: 전원 스위치
520: 음량 조절 스위치
530: 주파수 조정 스위치
540: 디스플레이창
600: 배터리 모듈
100: Headset body
110: Hair Band
120: Ear pads
200: Antenna module
300: Communication Module
400: Microphone Module
410: Microphone connector
420: Mike
500: Control Module
510: Power switch
520: Volume Control Switch
530: Frequency adjustment switch
540: Display window
600: Battery module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모에 있어서,
아치형의 헤드 밴드 및 이어 패드를 포함하는 헤드셋 본체와,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과,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이어 패드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헤드셋 본체에 구비되고, 장치의 온/오프 및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헤드셋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작동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무선 양방향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는 상기 헤드 밴드와 이어 패드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 패드는 상기 헤드 밴드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이어 패드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인테나 모듈(intenna module)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 모듈은 900Mhz 대역에서 통신하는 통신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와, 음성 출력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스위치와,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 스위치, 및 장치의 온 상태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For safety helmets used in industrial sites,
A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s, comprising: a headset body including an arch-shaped headband and ear pads; an antenna module provided on one of the headband and the ear pads;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on one of the headband and the ear pads; a microphone module provided to be extended to the ear pads; a control module provided on the headset body and controlling on/off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of the device; and a battery module provided on the headset body and provid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The above safety helmet has a safety helmet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head band and ear pads are mounted,
The above ear pads are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head band,
The above antenna module is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The above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ear pads,
The above antenna module is composed of an intenna module,
The above communication module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in the 900 MHz band.
The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module, a volume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sound output, a frequency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and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on state and control state of the device.
Hard 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안착부에서 상기 헤드 밴드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는 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 패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In Article 7,
The helmet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head band is mounted is formed as a groove, and the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ear pad is mounted is formed as a through hole.
Hard ha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밴드가 안착되는 안전모 안착부와 상기 헤드 밴드 간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In clause 7 or 8,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afety helmet mounting portion where the head band is mounted and the head band to be protrudingly joined to each other.
Hard hat.
KR1020230083190A 2023-06-28 2023-06-28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Active KR102802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190A KR102802495B1 (en) 2023-06-28 2023-06-28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190A KR102802495B1 (en) 2023-06-28 2023-06-28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1083A KR20250001083A (en) 2025-01-06
KR102802495B1 true KR102802495B1 (en) 2025-05-07

Family

ID=9423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190A Active KR102802495B1 (en) 2023-06-28 2023-06-28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024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0987A1 (en) * 1997-08-15 2002-06-27 Christer Almqvist Arrangement in acoustic headsets
US20050202857A1 (en) * 2003-05-28 2005-09-15 Nambirajan Seshadri Wireless headset supporting enhanced call functions
US20180332919A1 (en) * 2017-02-21 2018-11-22 Unit 1 Gear, Inc. Headphone and helme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328A (en) 2004-06-24 2005-12-29 이원영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n workshop using bluetus headset and its using call control method
KR101370738B1 (en) 2010-02-18 2014-03-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VoIP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Worker's Location for Construction Site
KR20170134126A (en) 2016-05-27 2017-12-06 임송택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heavy equipment of industrial site
KR200486882Y1 (en) 2017-12-28 2018-07-10 주식회사 시코드 PTT communication system for safety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0987A1 (en) * 1997-08-15 2002-06-27 Christer Almqvist Arrangement in acoustic headsets
US20050202857A1 (en) * 2003-05-28 2005-09-15 Nambirajan Seshadri Wireless headset supporting enhanced call functions
US20180332919A1 (en) * 2017-02-21 2018-11-22 Unit 1 Gear, Inc. Headphone and helm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1083A (en) 202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5593B2 (en) Ear protection device, communications system and protective helmet
US2005009609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or masks or helmets
US2010004813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ith wireless headset
JP2009159402A (en) PTT remote control device and hands-free call system
CN204483186U (en) There is the crash helmet of audio frequency input and output
KR102802495B1 (en)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dustrial site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wireles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7251498B2 (en) Radio headset system
WO2015060569A1 (en) Headphones having vibration function
CN106037111A (en) Multifunctional safety helmet
KR200288245Y1 (en) Helmet mounted with wireless radio capable of transmission of image and voice
CN213601320U (en) Wireless head-mounted alarm device
KR200247585Y1 (en) Wireless hands free Apparatus using Bluetooth module
KR200250539Y1 (en) Helmet with Wireless Transceiver Deivice
KR10240546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neck microphone
CN212437509U (en) Intelligent safety helmet
WO2021013169A1 (en) Wearable interphone
CN214103398U (en) Engineering supervision platform convenient for manual scheduling
CN203352575U (en) Mining portable bone-conduction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system
JP3118725U (en) Helme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S5852789Y2 (en) Ear micropho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lls with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CN217089769U (en) Wireless communication protective helmet
CN210578517U (en) Built-in helmet device providing full duplex voice communication capability
CN223323040U (en) Wireless intelligent safety helmet of talkbacking
CN221614970U (en) Power grid aerial work communication device
CN201234588Y (en) Helmet with walkie-talk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