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93318B1 - Drive-in Food Store System With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spaces - Google Patents
Drive-in Food Store System With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spa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93318B1 KR102793318B1 KR1020230001771A KR20230001771A KR102793318B1 KR 102793318 B1 KR102793318 B1 KR 102793318B1 KR 1020230001771 A KR1020230001771 A KR 1020230001771A KR 20230001771 A KR20230001771 A KR 20230001771A KR 102793318 B1 KR102793318 B1 KR 102793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dicated
- food
- drive
- mode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인 푸드 매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커피, 햄버거 등과 같은 푸드 매장에서 운용 중인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 수직 주차가 가능한 개별 전용 공간 제공하여 운용할 수 있는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푸드 매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which can be operated by providing individual dedicated spaces capable of vertical parking in drive-through stores operated by food stores such as coffee shops and hamburg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인 푸드 매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커피, 햄버거 등과 같은 푸드 매장에서 운용 중인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 수직 주차가 가능한 개별 전용 공간 제공하여 운용할 수 있는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푸드 매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which can be operated by providing individual dedicated spaces capable of vertical parking in drive-through stores operated by food stores such as coffee shops and hamburgers.
커피, 차 등을 판매하는 카페, 햄거버 등의 패스트 푸드를 판매하는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푸드 매장을 중심으로 자동차에서 하차하지 않고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푸드를 주문하고 주문된 푸드를 픽업하여 포장하여 테이크아웃이 가능한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 운용되고 있다.Drive-through stores are being operated, centered around food stores such as cafes that sell coffee, tea, etc., and fast food restaurants that sell fast food such as hamburgers, where customers can order food while driving without getting out of their cars, pick up the ordered food, package it, and take it out.
종래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은 자동차를 가지고 방문한 고객이 자동차를 주차시킬 필요없이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푸드 주문과 픽업이 가능한 동선을 제공하여 주차장이 협소한 매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고객이 자동차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주문과 픽업이 가능하여 자동차를 이용한 고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 drive-thru stores provide a path for customers visiting by car to order and pick up food while driving without having to park their cars, making them useful in stores with limited parking lots. In addition, customers can order and pick up food without getting out of their cars, making them convenient for customers using their cars.
그러나, 자동차를 이용한 고객이 테이크 아웃이 아닌 푸드 매장 내에서 음식을 먹는 경우 주차장에 주차시킨 후 매장 내로 이동하여 푸드를 주문하고 픽업하여야 하므로 이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f a customer using a car wants to eat inside the food store instead of taking out food, they have to park in the parking lot and go inside the store to order and pick up the food, which is very inconven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 수직 주차가 가능한 개별 전용 공간을 결합하여 푸드 매장에서 음식을 먹는 고객이 자동차에서 하차 하지 않고도 주문과 픽업이 가능하고 자동차를 수직 주차시킨 후 주차장에 부속된 개별 전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드라이브 스루와 매장의 장점을 혼용한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푸드 매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tore system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drive-thru and a store, which provides vertical parking and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by combining a drive-thru store with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capable of vertical parking, so that customers eating at the food store can order and pick up food without getting out of their cars, and by providing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attached to the parking lot after vertically parking their ca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인 푸드 매장 시스템은 푸드 매장에 부설되어 자동차를 통해 이동하면서 푸드 주문과 주문한 푸드를 픽업하여 출구로 이동하거나 수직 주차룸 유닛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설계된 드라이브 웨이유닛과; 주문한 푸드를 픽업한 후 자동차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전용 주차 공간에 주차시키고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 주차룸 유닛과; 드라이브인카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용 주차 공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전용 주차 공간에 자동차를 수직 이동하여 주차시켜 입차시키고, 입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수직 주차룸 유닛의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터 사이를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s, the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vertical parking and providing individual dedicated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riveway unit which is installed in a food store and designed to guide customers to order food and pick up the ordered food while moving by car and to move to an exit or enter a vertical parking room unit; a vertical parking room unit which vertically moves the car to park in a dedicated parking space after picking up the ordered food and provides a space where the picked up food can be eaten; a control unit which, when a drive-in car mode is selected, allocates a dedicated parking space, vertically moves and parks the car in the allocated dedicated parking space to enter, and controls the exit of the entered car; and a horizontal movement means which horizontally moves between the dedicated parking lot of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and a car elevator.
상기 드라이브 웨이 유닛은 자동차가 입구를 통해 출입하여 푸드를 주문하고 주문된 푸드를 픽업하고, 드라이브 스루 모드인 경우 출구를 통해 나갈 수 있거나 드라이브 인 모드인 경우 수직 주차룸으로 진입하도록 연결된 드라이브 웨이와; 상기 드라이브 웨이 경로상에서 모드를 선택하고 푸드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모듈과;주문한 푸드를 픽업하는 픽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driveway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riveway connected to enable a car to enter through an entrance, order food, pick up the ordered food, and exit through an exit when in drive-through mode or enter a vertical parking room when in drive-in mode; an ordering module that can select a mode and order food on the driveway route; and a pickup module that picks up the ordered food.
상기 수직 주차룸은 자동차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과; 수직층의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용 주차장과; 상기 전용 주차장과 연결되어 주문하여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인 전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vertical parking room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vehicle elevator module for vertically moving a vehicle up and down; at least one dedicated parking lot formed adjacent to the vehicle elevator module on the vertical floor; and a dedicated space connect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which is a space where food ordered and picked up can be eaten.
상기 제어부는 드라이브인 모드를 선택한 고객을 식별하고 식별된 고객에게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을 할당하는 주차룸관리유닛과; 고객의 차량 엘리베이터 호출을 관리하는 호출관리유닛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에 따라 자동차의 차량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수단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이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rking room management unit that identifies a customer who has selected the drive-in mode and allocates a dedicated space and a dedicated parking lot to the identified customer; a call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 customer's vehicle elevator call; and a vehicle movemen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
상기 주차룸관리유닛은 고객의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에 대한 주문을 받아 관리하는 주문관리모듈과;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한 고객에게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을 할당하여 관리하는 전용공간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주문관리모듈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에 설치된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에 대한 사전 예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드라이브 웨이 유닛의 주문모듈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의 주문을 요청한 경우 해당 모드 및 음식 메뉴를 주문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이 드라이브 스루 모드 또는 드라이브 스루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고객이 주문하는 음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전용공간관리모듈은 고객이 드라이브 인 모드에 대해 사전 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예약없이 방문하여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용공간의 예약 및 점유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전용공간을 할당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parking room management unit includes an order management module that receives and manages a customer's mode selection and an order for a food menu; and a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and allocates a dedicated space and a dedicated parking lot to a customer who has selected the drive-in mode; wherein the order management module provides an interface for a customer to select a mode and make a reservation for a food menu in advance through a user application installed on a customer terminal carried by the customer, and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n order for the corresponding mode and food menu when a request for mode selection and a food menu order is made in real time through the order module of the drive-way unit; the user application provides an interface for a customer to select a desired mode among the drive-through mode or the drive-through mode, and select a food menu to be ordered by the customer; and th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customer requests a reservation in advance for the drive-in mode or visits without a reservation and selects the drive-in mode, it checks the reservation and occupancy status information of the dedicated space and allocates and manages the dedicated space in real time.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인 푸드 매장 시스템은 고객이 주문하고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전용공간 인근에 주차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 공간에 자동차를 수직 및 수평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를 이용한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테이크아웃하지 않고,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동차를 이용한 고객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The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rking space near a dedicated space where customers can order and pick up food, and can park cars by moving the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the parking space, thereby providing a space where customers using cars can eat food without having to take it out, thereby producing an excellent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for customers using ca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비한 집합 건물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주차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가 각 층마다 좌, 우측 양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장치 제어를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를 통해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에 따른 컨베이어 밸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메인 플레이트 상에 자동차가 로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이 컨베이어 밸트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 엘리베이터에서 전용 주차장으로 횡방향 이송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수평 이동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유닛이 설치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artment building equipped with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partment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rtical parking room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elevator system in which one car elevator moves cars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each fl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 multi-unit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for device control of Figure 3.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horizontal movement of a vehicle through a main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rizontal movemen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a main plate, and FIG. 8 illustrates an automobile being loaded onto a main plate.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horizontal transportation from an elevator to a dedicated parking lot when a horizont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FIG.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rizontal movemen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rizontal moving lifter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ase where multiple elevator units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푸드 매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푸드 매장 시스템은 푸드 매장에 부설되어 자동차를 통해 이동하면서 푸드 주문과 주문한 푸드를 픽업하여 출구로 이동하거나 수직 주차룸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설계된 드라이브 웨이 유닛(10) 주문한 푸드를 픽업한 후 자동차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전용 주차 공간에 주차시키고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 주차룸 유닛(20) 드라이브인카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용 주차 공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전용 주차 공간에 자동차를 수직 이동하여 주차시켜 입차시키고, 입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30)과 상기 수직 주차룸 유닛의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터 사이를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수단(40)을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way unit (10) installed in a food store and designed to allow a customer to move by car while ordering food, picking up the ordered food, and moving to an exit or guiding to a vertical parking room; a vertical parking room unit (20) that vertically moves the car to park in a dedicated parking space after picking up the ordered food, and provides a space where the picked up food can be eaten; a control unit (30) that controls the allocation of a dedicated parking space when a drive-in car mode is selecte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r in the allocated dedicated parking space to enter, and the exit of the entered car; and a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that horizontally moves between the dedicated parking lot of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and a car elevator.
여기서, 푸드는 카폐, 베이커리, 패스트푸드, 식당 등에서 제공되는 식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Here, food is defined to include all food and beverages served in cafes, bakeries, fast food restaurants, etc.
상기 드라이브 웨이 유닛(10)은 자동차가 입구를 통해 출입하여 푸드를 주문하고 주문된 푸드를 픽업하여 출구를 통해 나갈 수 있거나 수직 주차룸으로 진입하도록 연결된 드라이브 웨이(110)와 상기 드라이브 웨이(110) 경로상에서 푸드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모듈(120)과 주문한 푸드를 픽업하는The above driveway unit (10) is connected to a driveway (110) that allows a car to enter through an entrance, order food, pick up the ordered food, and exit through an exit or enter a vertical parking room, and an ordering module (120) that allows a car to order food along the driveway (110) and pick up the ordered food.
픽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pickup module (130).
따라서, 고객이 자동차를 타고 드라이브 웨이(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문모듈(120)에서 드라이브 스루 모드 또는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하고 푸드를 주문하고, 주문한 푸드를 픽업해서 드라이브 스루 모드인 경우 출구로 이동하거나, 드라이브 인 모드인 경우 수직 주차룸으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a customer can drive along the driveway (110) in a car, select the drive-thru mode or drive-in mode at the ordering module (120), order food, pick up the ordered food, and move to the exit in the drive-thru mode or to the vertical parking room in the drive-in mode.
상기 드라이브 웨이 유닛(10)은 통상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 적용되는 구성으로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푸드를 주문하고, 주문한 푸드를 픽업해서 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는 드라이브 웨이가 ㄱ자형으로 구성된 것이지만, 푸드 매장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드라이브 웨이가 일자형, ㄱ자형 , ㄷ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driveway unit (10)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a typical drive-through store, in which food is ordered while driving a car, the ordered food is picked up, and the food is moved through the exit. In this embodiment, the driveway is configured in an L-shape, but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food store, the driveway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line, an L-shape, or a T-shape.
그리고 드라이브 인 모드에 따라 수직 주차룸 유닛의 고객 전용 공간(220)에서 푸드를 먹은 후 푸드 트레이를 반납하기 위한 반납모듈(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depending on the drive-in mode, it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module (140) for returning the food tray after eating food in the customer-only space (220) of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상기 드라이브 웨이 유닛(10)은 반납모듈(140)을 제외하고는 카페 또는 패스트푸드 매장에 형성된 통상의 드라이브 스루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driveway unit (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typical drive-through configuration formed in a cafe or fast food restaurant, except for the return module (140),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종래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은 자동차를 타고 방문한 고객이 푸드를 주문 및 픽업만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고객이 푸드를 주문 및 픽업하고 수직 주차룸의 전용 주차장에 주차한 후, 상기 전용 주차장에 부속된 전용 공간에서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While conventional drive-through stores only allow customers who visit by car to order and pick up fo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in which customers can order and pick up food, park in a dedicated parking lot of a vertical parking room, and then eat the food they picked up in a dedicated space attach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이하, 자동차를 이용한 고객이 내리지 않고 푸드를 주문하고 픽업하여 테이크아웃하는 방식을 드라이브 스루 모드, 자동차를 이용한 고객이 내리지 않고 푸드를 주문하고 픽업하여 수직 주차룸의 전용 주차장에 주차한 후 전용 주차장에 부속된 전용 공간에서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방식을 드라이브 인 모드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thod in which customers using their cars order and pick up food without getting out and take it out is defined as the drive-thru mode, and the method in which customers using their cars order and pick up food without getting out and park in a dedicated parking lot in a vertical parking room and eat the food they pick up in a dedicated space attach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is defined as the drive-in mod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주차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rtical parking room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주차룸 유닛(20)은 도 2a와 같이, 같이 별도의 서비스 코어 없이 구성될 수 있지만,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사람 전용 엘리베이터 및 복도 공간을 포함하여 서비스 코어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thout a separate service core, as in FIG. 2a, but can be configured with a service core including a people-only elevator and corridor space, as in FIG. 2c and FIG. 2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주차룸 유닛(20)은 자동차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210)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용 주차장(220)과 상기 전용 주차장과 연결된 주문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고객 전용공간(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vehicle elevator module (210) for vertically moving a vehicle up and down, at least one dedicated parking lot (220) formed adjacent to the vehicle elevator module, and a customer-only space (230) connect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where ordered food can be eaten.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210)은 각 차량 엘리베이터가 각각 좌우측의 횡방향 중 한 방향 또는 도 2d와 같이 전후 방향인 종방향 중 한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일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a 내지 2c와 같이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가 각 층마다 좌우측의 횡방향 또는 전후 방향인 종방향 중 양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vehicle elevator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as a one-way elevator method in which each vehicle elevator moves a vehicle in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or on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2d, and may be configured as a two-way elevator method in which one vehicle elevator moves a vehicle in both directions on each floor, ei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S. 2a to 2c.
그리고 전용 주차장(220)에 인접하여 자동차를 주차한 고객이 독접적으로 이용하며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고객 전용 공간(230)이 형성된다. And, a customer-only space (230) is formed adjacent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220) where customers who park their cars can exclusively use the space and eat food.
즉, 드라이브인 모드로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으며 부속된 전용 공간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다.That means you can park your car in drive-in mode and eat your food in the dedicated space attached.
상기 고객 전용 공간(230)에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가 세팅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인원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객 편의를 위해 도 2b, 도 2d와 같이, 화장실이 부속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customer-only space (230) can be set with tables and chairs for eating,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use it.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a restroom can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2b and FIG. 2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주차룸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vertical parking roo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용 주차장은 주차 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기(미도시)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전용 주차자에 주차된 자동차가 전기차인 경우 전기 충전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3, a dedicated parking lot can be individually installed with a charger (not shown)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to parking. Accordingly, if a car parked in an individual dedicated parking lot is an electric vehicle, it can be charged.
상기 전용 주차장은 화재나 안전을 위해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과 밀폐될 수 있는 방화문(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dedicated parking lot may be equipped with a fire door (not shown) that can be sealed to the vehicle elevator module for fire or safety reasons.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는 물론 하차한 상태에서(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자동으로 특정층의 전용 주차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nsport a car to a dedicated parking lot on a specific floor, with or without a driver on board.
한편, 상기 수평 이동수단(40)은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210)과 전용 주차장(220) 사이에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Meanwhile,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is responsible for moving the car horizontally between the vehicle elevator (210) and the dedicated parking lot (220).
상기 수평 이동수단(40)은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210)과 전용 주차장(220)이 횡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경우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고, 종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경우 종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can be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vehicle elevator (210) and the dedicated parking lot (220) are forme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o move horizont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y are formed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수평 이동수단(40)이 횡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지만, 종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방식에도 동일한 구성으및 동작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In the following exampl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horizontal moving means (40) moves a vehicle laterally is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can be applied to a method of moving a vehic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를 통해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horizontal movement of a vehicle through a main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평 이동수단(40)은 차량 엘리베이터(210)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41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측면 또는 하부에 형성된 레일(420)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이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431)와 구동 모터(432)를 구비한 구동유닛(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plate (410) on which a vehicle entering or exiting a vehicle elevator (210) is loaded, a rail (420)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main plate, a rotating member (431) that is mounted on the rail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rail can move horizont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driving unit (430) having a driving motor (432).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는 전용 주차장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전용 메인 플레이트로 할당되어 고객으로부터 입차 호출이 있는 경우 차량 엘리베이터(210)는 메인 플레이트(410)를 로딩하여 입차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 상에 로딩하고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차시킬 수 있다.Here, the main plates (410) are installed on the floor of each dedicated parking lot, and when a call for entry is received from a customer as a dedicated main plate, the vehicle elevator (210) loads the main plate (410) and moves vertically to the entry floor, then loads a car onto the main plate (410), moves vertically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n slides and parks the car.
따라서, 상기 수평 이동수단(40)은 각 층의 전용 주차장마다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4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로 차량 엘리베이터가 특정 층에 도착하면 슬라이딩 이동 제어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410)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이동 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410)를 전용 주차장(20)으로 수평이동 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has the role of sliding and moving the main plate (410) placed in each dedicated parking lot on each floor. When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a specific floor, the main plate (410) can be horizontally moved into the vehicle elevator through sliding movement control, or conversely, the main plate (410) inside the vehicle elevator can be horizontally moved into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상기 회전부재(431)는 바퀴, 롤러같은 활차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측면 또는 바닥에 형성된 레일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의 정,역회전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410)를 수평 왕복이동 시킬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otating member (43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ulley such as a wheel or roller, and the main plate may move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while the rotating member is engaged with a rail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main plate. Here, the main plate (410) may be moved horizontally and reciprocally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레일(420)과 회전부재(431)는 렉기어와 같이 기어를 조합한 기어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ail (420) and the rotating member (431) may be configured as a gear assembly combining gears such as a rack gear.
상기 구동모터(432)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스텝 모터 또는 전기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motor (432)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member to provide a driving force that allows the main plate to slide laterally, and may be configured as a step motor or an electric motor.
상기 구동유닛(430)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레일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측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unit (430) can be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surfac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ail formed on the main plate.
도 5a는 메인 플레이트 측면에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상기 레일에 회전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동 유닛은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트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Fig. 5a is a structure in which a rail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plate, and a driving unit can be formed on each side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vehicle elevator so that a rotating member can be installed on the rail.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rizontal movemen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40)은 컨베이어 밸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a conveyor belt mann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이동수단(40)은 차량 엘리베이터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41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된 컨베이어 밸트(450)과 상기 컨베이어 밸트 내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밸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 유닛(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plate (410) on which a vehicle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elevator is loaded, a conveyor belt (450) formed under the main plate, and a conveyor drive unit (460) coupled within the conveyor belt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conveyor belt.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는 전용주차장 또는 엘리베이터 바닥과 동일한 레벨이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하부의 컨베이어 밸트 수용부(A)를 통해 컨베이어 밸트(450)와 컨베이어 구동 유닛(460)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main plate (410) is installed so as to be at the same level as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elevator floor, and a conveyor belt (450) and a conveyor drive unit (460) can be formed through a conveyor belt receiving portion (A) under the main plate.
상기 컨베이어 밸트(450)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 수용부(A) 내부 측벽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conveyor belt (450)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conveyor belt receiving portion (A) or on a separate frame.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는 자동차 하부를 커버하는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지만, 자동차의 바퀴가 맞닿는 부분만 형성된 2개의 단위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ain plate (41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late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car, but may be composed of two unit plates formed only at the part where the wheels of the car come into contact.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에 따른 컨베이어 밸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메인 플레이트 상에 자동차가 로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a main plate, and FIG. 8 illustrates an automobile being loaded onto a main plate.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도 7a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가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경우 컨베이어 밸트는 단수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7b와 같이 2개의 단위 플레이트로 구성될 1쌍의 컨베이어 밸트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if the main plate (410) is composed of a single plate as in FIG. 7a, the conveyor bel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unit, but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conveyor belts composed of two unit plates as in FIG. 7b.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가 2개의 단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 도 8b와 같이 자동차 앞바퀴와 뒷바퀴가 로딩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above main plate (410) is composed of two unit plates,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car can be formed respectively in the loading section as shown in Fig. 8b.
상기 컨베이어 밸트(45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 하부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conveyor belt (450) is responsible for moving the main plate (410) laterally below the main plate.
상기 컨베이어 밸트(450)는 차량 엘리베이터 바닥에 형성되는 제 1 컨베이어 밸트(450a)와 전용 주차장 바닥에 형성되는 제 2 컨베이어 밸트(450b)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conveyor belt (450) may be composed of a first conveyor belt (450a) formed on the floor of a vehicle elevator and a second conveyor belt (450b) formed on the floor of a dedicated parking lot.
상기 구동 유닛(460) 역시 상기 제 1 컨베이어 밸트(450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컨베이어 구동유닛(460a)와 제 2 컨베이어 밸트(45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컨베이어 구동유닛(46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unit (460) may also be composed of a first conveyor driving unit (460a)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first conveyor belt (450a) and a second conveyor driving unit (460b)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second conveyor belt (450b).
기본적으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은 수직으로 이동하고 각 층의 전용 주차장에 자동차를 수평으로 입출차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와 전용 주차장 사이에는 도어가 형성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밸트가 분리 구성되어야 한다.Basically, the vehicle elevator unit (10) moves vertically and is responsible for horizontally entering and exiting automobiles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n each floor. Since a door is formed between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dedicated parking lot, the conveyor belt must be configured separately.
컨베이어 밸트가 분리 구성된다 하더라도 컨베이어 밸트 사이의 이격된 너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가 안정적으로 횡방향으로 이송될 수있다.Even if the conveyor belts are configured separately, the main plate (410) can be stably transported laterally because the gap width between the conveyor belts is not large.
상기 컨베이어 밸트와 메인 플레이트(410) 사이는 횡방향 이동시 메인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톱니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Between the above conveyor belt and the main plate (410), teeth may be formed to mesh to prevent the main plate from separating during lateral movement.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밸트(450)를 구동 제어하는 컨베이어 구동 유닛(460)은 컨베이어 밸트 내부에 형성되는 휠(461)과 상기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62)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onveyor drive unit (460) that controls the drive of the conveyor belt (4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461) formed inside the conveyor belt, a motor (462)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wheel, and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drive of the motor.
상기 휠(461)은 컨베이어 밸트 내부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462) 역시 구동에 필요한 힘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wheels (461) may be formed in multiple pieces inside the conveyor belt, and the motors (462) may also be formed in multiple pieces depending on the power required for driving.
그리고 도 7b와 같이 제 1 컨베이어 밸트와 제 2 컨베이어 밸트가 각각 2개의 컨베이어 밸트로 구성되는 경우 2개의 컨베이어 밸트가 동기화되어 동작되도록 휠이 2개의 컨베이어 밸트와 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as in Fig. 7b, when the first conveyor belt and the second conveyor belt are each composed of two conveyor belts, the wheel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two conveyor belts by an axis so that the two conveyor belts operate in synchronization.
상기 컨트롤러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을 통해 메인 플레이트(410)를 횡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controller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main plate (410) to be moved laterall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이 컨베이어 밸트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 엘리베이터에서 전용 주차장으로 횡방향 이송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horizontal transportation from an elevator to a dedicated parking lot when a horizontal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 내의 메인 플레이트(410) 상에 로딩된 자동차가 자동차 소유주의 수직 세대로 수직 이동하면, 엘리베이터 내의 구동 유닛(461)이 동작하여 이 제 1 컨베이어 밸트(451)가 전용 주차장(20) 방향으로 횡방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용 주차장(20) 내의 구동 유닛(462)이 동작하여 제 2 컨베이어 밸트(452)가 횡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자동차를 전용 주차장(20) 내로 이송시킨다.When a car loaded on the main plate (410) in the car elevator unit (10) moves vertically to the vertical generation of the car owner, the drive unit (461) in the elevator operates to cause the first conveyor belt (451) to move laterally toward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Then, the drive unit (462)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operates to cause the second conveyor belt (452) to move laterally and transport the car into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상기와 같이 자동차가 전용 주차장(20) 내로 완전히 이송되어 주차되면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는 다른 자동차를 입출차시키도록 수직 이송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ar is completely moved into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and parked, the vehicle elevator unit (10) is vertically moved to allow other cars to enter and exit the parking lot.
그리고 상기 전용 주차장(20)에 주차된 자동차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으로 횡방향 이송시키는 동작은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에서 전용 주차장(20)으로 횡방향 이송시키는 동작의 역과정에 의해 수행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the operation of horizontally transporting a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10) is performed by the reverse process of the operation of horizontally transporting the car from the vehicle elevator unit (10)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rizontal movemen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수단(40)은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리프팅하여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 이동 리프터(45)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45) that lifts and horizontally moves an automobile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to a vehicle elevator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10a 내지 10c와 같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5)은 메인 플레이트 없이 자동차를 직접 로딩하는 방식과 도 10d 내지 도 10f와 같이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가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a to 10c,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5) can be configured in a way that directly loads a car without a main plate, and as shown in FIGS. 10d to 10f, in a way that has a main plate on which a car is loaded.
먼저, 자동차를 직접 로딩하는 방식은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의 이동을 위해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바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수평 이동 리프터의 이동 가이드홈(480) 바닥 또는 측면을 통해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method of directly loading the car is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rough the floor or side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movement guide home (480) formed o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elevator floor, respectively, for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on which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is mounted and can slide.
도 10a 내지 10c의 실시예는 전용 메인 플레이트 없이 자동차의 입출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용 주차장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가져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mbodiments of FIGS. 10a to 10c have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moving a vehicle, sinc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is possible without a dedicated main plate, and there is no need to bring the main plate from the dedicated parking lot.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는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하거나, 엘리베이터에 로딩된 자동차를 전용 주차장에 입차시켜 주차하는 경우 자동차를 리프트 업(Lift-up)한 후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자동차를 수평 이동 시킨 후 자동차를 리프트 다운(Lift-dowm)하여 자동차를 전용주차장에 주차시키거나 전용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is responsible for lifting up a car, sliding horizontally to move the car horizontally, and then lifting down the car to park the car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to pull out a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when pulling a car loaded onto an elevator into the dedicated parking lo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는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 바퀴 사이의 배면에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플레이트(471)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리프트 업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리프터(472)와 상기 리프터 하부에 결합되어 자동차가 들어올려지면 전용 주차장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로 횡방향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4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plate (471) positioned at the bottom on the rear surface between the wheels of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to a car elevator unit, a lifter (472) that lifts up the car by lifting the lifting plate, and a horizontal movement means (473) that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ifter and moves the car laterally and horizontally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car elevator when the car is lifted.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471)는 리프트 다운된 상태에서는 바닥면과 높이가 동일하고 리프트 업된 상태에서는 자동차 바퀴 사이의 배면에 맞닿으면서 자동차가 들어올려지게 되며, 자동차 하부와 직접 맞닿기 때문에 리프트 업과정에서 자동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료의 탄성층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lifting plate (471) is the same height as the floor surface when lifted down and touches the back surface between the wheels of the car when lifted up, thereby lifting the car. Since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car, an elastic layer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may be combined on a metal base plate to prevent damage to the car during the lift-up process.
상기 리프터(472)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리프트 업하거나 리프트 다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모터로 펌프를 구동하여 압력을 가한 오일이 실린더를 통하여 플런저(Plunger)를 밀어 올려 자동차를 상승 하강시키는 방식을 유압 실린더 방식의 리트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lifter (472) is responsible for lifting up or lifting down the lifting plate, and may be configured as a hydraulic cylinder type lifter that raises and lowers the car by pushing a plunger through a cylinder with pressurized oil driven by a motor.
여기서, 상기 리프터의 구성은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lifter is a technology that is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리프터(472)는 수평 이동수단(473)의 몸체상에 노출되거나 몸체 상에 표면이 플랫한 형태로 수용되는 형태로 리프트 다운될 수 있다.The above lifter (472) can be lifted down in a form in which it is exposed on the body of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73) or is received on the body in a flat form.
한편, 도 10d 내지 도 10g와 같이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가 있는 방식은 수평 이동 리프터(470)에 의해 리프트업/다운되는 메인 플레이트(410)와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바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수평 이동 리프터의 이동 가이드홈(480)과 상기 이동 가이드홈(480)의 테두리에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부(4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method having a main plate on which a car is loaded, such as in FIGS. 10d to 10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plate (410) that is lifted up/down by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a movement guide home (480) of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formed on a dedicated parking lot and an elevator floor, respectively, in which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is mounted and can slide, and a plate fixing part (481) formed on the edge of the movement guide home (480).
여기서,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의 이동 가이드홈(480)은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가 메인 플레이트(410)를 리프트업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481)는 메인 플레이트(410)를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이동 가이드홈(480) 테두리의 바닥에서 돌기 또는 띠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ovement guide home (480)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can move while lifting up the main plate (410), and the plate fixing part (481) serves to fix the main plate (410) and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a protrusion or band shape from the bottom of the edge of the movement guide home (480).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481)의 상부는 메인 플레이트(410)를 로딩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재는 고무,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above plate fixing member (481) may further include a shock-absorbing buffer material to prevent damage due to impact during the process of loading the main plate (410), and the buffer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481)의 높이는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의 리프팅플레이트(451)가 리프트-다운됐을 때의 수평 이동 리프터(45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가 리프트-다운 상태에서 이동 가이드홈(480)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481) 상에 메인 플레이트(410)가 놓이면 해당층의 바닥면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above plate fixing member (481)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50) when the lifting plate (451)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is lifted down,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can move through the movement guide groove (480) in the lifted-down state, and when the main plate (410) is placed on the plate fixing member (481), it can be configured to be identical to the floo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loor.
수평 이동 리프터(470)의 수평 이동수단(473)이 도 10과 같이 레일 타입으로 구성된 경우 리프터(472) 바닥에 형성된 상기 레일(473c)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453a)와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한 힘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5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73)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is configured as a rail type as in FIG. 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member (453a) that is coupled to the rail (473c)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ifter (472) and moves horizontal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rail, and a driving motor (453b)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moving member.
상기 이동부재(473a)는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홈 바닥 또는 측면에 형성된 레일(473c)을 따라 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구성으로 레일에 바퀴, 롤러와 같은 활차가 결합되는 방식,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과 이동부재는 렉기어와 같은 기어 어셈블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oving member (473a) may be configured to move laterally in a straight line along a rail (473c)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of a horizontal moving lifter moving home, and may be configured with a method in which a pulley such as a wheel or roller is coupled to the rail, and a shaft having a protrusion that is se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rail. In addition, the rail and the moving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gear assembly manner such as a rack gear.
상기 구동모터(473b)는 상기 이동부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스텝모터 또는 전기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motor (473b) is configured to provide driving force that allows the moving member to slide laterally and may be configured as a step motor or an electric motor.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차량 엘리베이터의 동작과 개별 차량 주차장의 도어를 제어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입차된 자동차를 운전자가 원하는 층의 차량 주차장으로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doors of individual vehicle parking lots to control the movement of a car entered into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vehicle parking lot on the floor desired by the driver.
또한, 상기 수평 이동수단(473)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타입이 아닌 자율 주행이 가능한 휠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73) may be configured as a wheel typ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rather than a rail type that moves along a rail.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수평 이동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rizontal moving lifter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로봇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bot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이 경우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는 자체 이동이 가능한 휠 유닛(474)과 리프터와 상기 휠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475)을 구비하고, 메인 플레이트 (410)를 리프트업/다운 및 이동 가이드홈(480)을 따라 자율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is equipped with a wheel unit (474) capable of self-movement and a controller unit (475)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er and the wheel unit, and can be configured to autonomously move the main plate (410) along the lift-up/down and movement guide home (480).
상기 휠 유닛(474)은 상기 이동 가이드홈(480) 바닥을 따라 자율 이동하는 휠과 휠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wheel unit (47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that moves autonomously along the bottom of the moving guide home (480) and a wheel drive module.
여기서,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의 리프팅 플레이트(471)가 리프트 다운된 상태의 높이가 자동차의 하부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바닥 레벨보다 낮게 형성된 별도의 이동 가이드홈(480) 없이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바닥면에서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가 이동할 수 있다. Here, when the height of the lifting plate (471)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in the lifted-down state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can move o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elevator floor without a separate movement guide home (480) formed lower than the floor level.
상기 컨트롤러(475)는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70)의 횡방향 이동을 위해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휠제어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휠의 자율 이동을 위한 휠 제어명령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휠 제어명령을 상기 휠제어모듈에 제공하는 무선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controller (47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heel for the later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70) and a wireless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a wheel control command for autonomous movement of the wheel in real tim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es the wheel control command to the wheel control module.
상기 무선제어모듈은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의 수직이동과 자동차의 수평을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부터 상기 휠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상기 휠제어모듈에 제공하여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50)가 자율 주행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 wireless control module receives the wheel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30)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1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and provides it to the wheel control module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50) can be controlled to move according to autonomous driving.
그리고 상기 휠은 1축 방향 뿐만 아니라, 2축(X축, Y축) 이동이 가능한 다축 이동 휠 또는 옴니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축 이동 휠은 휠로 구성될 경우 휠이 회전축에 결합되고, 진행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여 2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the wheel may be configured as a multi-axis movement wheel or omni-wheel capable of movement in not only one direction but also two axes (X-axis, Y-axis). When the multi-axis movement wheel is configured as a wheel, the wheel may be coupled to a rotation axis, and the rotation axis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ravel to enable two-axis movement.
1. 메인 플레이트를 통한 슬라이딩 이동 자동차 입출차 방식1. Sliding vehicle entry/exit method through the main plate
먼저, 각 전용 주차장에 배치된 전용공간 전용의 메인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방식의 경우 입차시 배차 순서가 되면 차량 엘리베이터가 인식된 자동차의 전용 공간 정보에 따라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이동한 후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통해 전용 주차장에 위치한 메인 플레이트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 이동시킨다.First, in the case of the method in which the main plate dedicated to the dedicated space in each dedicated parking lot moves, when the order of entry is reached, the vehicle elevator moves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dedicated space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car, and then moves the main plate locat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horizontally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elevator using a sliding movement means.
이어서,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로 하강한 후,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면 인식된 자동차의 전용 공간 정보에 따라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수직 이동한다.Next, after descending to the vehicle elevator entrance, when the car is moved inside the vehicle elevator, it moves vertically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dedicated space information of the car.
그리고 전용 주차장 층에 도착하면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통해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를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And when it arrives at the dedicated parking lot floor, the main plate inside the vehicle elevator is moved horizontally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through a sliding moving means.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용공간의 전용 주차장에 자동차가 메인 플레이트에 로딩된 상태로 주차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ar is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f the dedicated space with the main plate loaded.
출차시에는 유저가 차량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후 배차 순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가 전용 주차장이 있는 층에 도착하면 전용 주차장의 메인 플레이트에 자동차가 로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이동 시킨다.When exiting, the user calls the car elevator, and when the car elevator arrives at the floor with the dedicated parking lot in the order of dispatch, the car is loaded onto the main plate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main plate is moved horizontally into the car elevator using a sliding means.
그리고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로 하강 한 후 이용자가 차량 엘리베이터 외부로 차를 이동시켜 자동차를 출차시키게 된다. After descending to the vehicle elevator entrance, the user moves the car outside the vehicle elevator to exit the car.
2. 수평이동 리프터를 통한 슬라이딩 이동 자동차 입출차 방식2. Sliding vehicle entry/exit method using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수평이동은 전용 주차장에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와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전용 주차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구분되고, 동작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orizontal movement is divided into moving from a dedicated parking lot to inside a car elevator and moving from inside a car elevator to a dedicated parking lot. Since the movements are the same except that they slide in opposite directions, only the case of horizontal movement from inside a car elevator to a dedicated parking lot will be described.
먼저, 차량 엘리베이터가 유저의 전용 주차장 층에 도착하면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 바닥면의 이동 리프터 이동 가이드홈(480)에 수용된 이동 리프터의 리프터(472)가 리프팅 플레이트(471)을 승강하면서 자동차의 바퀴 사이의 하부에 맞닿으면서 상기 자동차가 리프트 업된다.First, when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floor, the lifter (472) of the movable lifter accommodated in the movable lifter movable guide home (480) on the floor surface inside the vehicle elevator lifts up the lifting plate (47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between the wheels of the vehicle, thereby lifting up the vehicle.
이 상태에서, 리프터(472) 하부의 수평 이동수단(473)이 전용 주차장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자동차는 리프터(472)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수평 이동수단(473)에 의해 수평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73) below the lifter (472) slides toward the dedicated parking lot. Here, since the car is lifted by the lifter (472),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by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473).
상기 수평 이동수단(473)이 전용 주차장 끝단까지 수평이동 하면 상기 리프터(472)가 리프팅 플레이트(471)가 하강하면서 상기 자동차는 리프트 다운되어 전용 주차장의 바닥면에 바퀴가 닿으면서 주차된다.When the above horizontal moving means (473) moves horizontally to the end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the lifter (472) lowers the lifting plate (471) and the car is lifted down and parked with its wheels touching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수단(473)이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동 리프터(47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And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73) sli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elevator so that the moving lifter (47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와 같이 이동 리프터(470)가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복귀하면 다른 자동차를 입출차시킬 준비가 되고, 배차 정보에 따라 다음 자동차를 입출차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ing lifter (470)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it is ready to allow another vehicle to enter or exit, and allows the next vehicle to enter or exit according to dispatch information.
상기 제어부(30)는 드라이브인 모드를 선택한 고객을 식별하고 식별된 고객에게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을 할당하는 주차룸관리유닛(310)과 고객의 차량 엘리베이터 호출을 관리하는 호출관리유닛(320)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에 따라 자동차의 차량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수단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이동제어유닛(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rking room management unit (310) that identifies a customer who has selected the drive-in mode and allocates a dedicated space and dedicated parking lot to the identified customer, a call management unit (320) that manages the customer's vehicle elevator call, and a vehicle movement control unit (330)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
상기 주차룸관리유닛(310)은 고객의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에 대한 주문을 받아 관리하는 주문관리모듈(311)과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한 고객에게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을 할당하여 관리하는 전용공간관리모듈(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parking room management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rder management module (311) that receives and manages customer mode selection and food menu orders, and a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that allocates and manages dedicated spaces and dedicated parking lots to customers who select the drive-in mode.
상기 주문관리모듈(311)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에 설치된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에 대한 사전 예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드라이브 웨이 유닛(10)의 주문모듈(120)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의 주문을 요청한 경우 해당 모드 및 음식 메뉴를 주문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order management module (311)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customer can select a mode and make a reservation for a food menu in advance through a user application installed on a customer terminal carried by the customer, and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n order for the corresponding mode and food menu when a request for a mode selection and a food menu order is made in real time through the order module (120) of the driveway unit (10).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이 드라이브 스루 모드 또는 드라이브 스루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고객이 주문하는 음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user application may provide an interface that allows the customer to select a desired mode, either drive-through mode or drive-through mode, and to select a food menu to order.
여기서, 상기 드라이브 스루 모드는 주문한 음식을 픽업해서 가져가는 모드이고, 드라이브 인 모드는 주문한 음식을 픽업해서 수직 주차룸 유닛(20)의 전용 주차장(210)에 주차하고 부속된 전용 공간(220)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모드이다.Here, the drive-through mode is a mode in which the ordered food is picked up and taken away, and the drive-i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ordered food is picked up,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210) of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20), and the food is eaten in the attached dedicated space (220).
상기 전용공간관리모듈(312)은 고객이 드라이브 인 모드에 대해 사전 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예약없이 방문하여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용공간의 예약 및 점유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전용공간을 할당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is responsible for checking the reservation and occupancy status information of the dedicated space and allocating and managing the dedicated space in real time when a customer requests a prior reservation for the drive-in mode or visits without a reservation and selects the drive-in mode.
여기서, 상기 전용공간관리모듈(312)은 예약 요청시 비어있는 전용공간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이 직접 전용공간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can provide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customer can directly select a dedicated spac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empty dedicated spaces when a reservation is requested.
먼저, 고객이 전용공간을 사전 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예약 정보를 등록하고, 과금을 결제하고, 예약을 인증하는 예약식별코드를 발급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70)의 유저 어플리케이션(71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약식별코드는 바코드, QR코드, NF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rst, when a customer requests a reservation for a dedicated space in advance, reservation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a fee can be paid, and a reservation identification code that authenticates the reservation can be issued, which can be stored in the user application (710) of the customer terminal (70). Here, the reservation identification code can be composed of a barcode, QR code, NFC, etc.
또한, 상기 예약 정보는 전용공간 이용 날짜, 예약식별코드, 이용자 정보, 인원 정보, 예약자 전화번호, 자동차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date of use of the exclusive space, reservation identification code, user information, number of people, reservation holder's phone number, car number, etc.
예약없이 방문하여 드라이브 웨이 유닛의 주문 모듈(120)을 통해 드라이브 인 모드를 요청하는 경우 실시간 전용공간 점유 상태 정보를 검색하고 빈 전용공간이 있는 경우 과금과 함께 빈 전용공간을 할당할 수 있다. When visiting without a reservation and requesting drive-in mode through the ordering module (120) of the driveway unit, real-time dedicated space occupancy status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and, if there is an empty dedicated space, an empty dedicated space can be allocated with a charge.
여기서, 상기 전용공간은 음식을 먹는 시간을 고려하여 분, 시간 단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전용공간의 회전율을 위해 시간 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dedicated space can be provided in units of minutes or hours,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for eating food, and a time limit can be set for the turnover rate of the dedicated space.
예를 들어, 시간 제한이 3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고객은 3시간 내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ime limit is set to 3 hours, the customer can choose any time within 3 hours.
그리고 상기 전용공간관리모듈(312)은 고객에게 특정 전용공간을 할당하면 고객의 자동차 번호와 특정 전용공간의 호수 및 할당시간을 매핑하여 등록하여 예약 정보를 생성한다.And when th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allocates a specific dedicated space to a customer, it registers the customer's car number and the number and allocation time of the specific dedicated space by mapping them to create reserv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전용공간은 전용 주차장에 부속된 공간이므로 전용 주차장이 특정되면 전용공간이 특정될 수 있다. Here, the above-mentioned exclusive space is a space attached to an exclusive parking lot, so if the exclusive parking lot is specified, the exclusive space can be specified.
따라서, 상기 전용공간관리모듈(312)은 전용공간이 할당되면 해당 전용공간의 호수를 특정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전용 주차장을 특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can specify a dedicated parking lot by specify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he dedicated space when the dedicated space is allocated.
예를 들어, 차량 엘리베이터가 3개의 엘리베이터(제 1 내지 3 엘리베이터)로 구성되고, 각 엘리베이터 양측에 전용주차장이 각각 형성되는 경우 제 1 엘리베이터 좌우측을 1-2호 라인, 제 2엘리베이터 좌우측을 3-4호 라인, 제 3 엘리베이터 좌우측을 5-6호 라인으로 설정할 경우 전용공간이 306호로 할당되면 제 3 엘리베이터의 3층 우측에 형성된 전용주차장이 특정되고, 상기 전용 주차장에 부속된 전용공간이 특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vehicle elevator is composed of three elevators (elevators 1 to 3) and a dedicated parking lot is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elevator, and i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elevator are set as lines 1-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elevator are set as lines 3-4,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elevator are set as lines 5-6, and if the dedicated space is allocated as 306, the dedicated parking lot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floor of the third elevator is specified, and a dedicated space attach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can be specified.
그리고 상기 전용공간 관리모듈(312)은 전용공간이 할당되고 시간 제한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시간 제한이 도래한 경우 이를 고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을 전송하여 고객에게 알리는 시간제한관리모듈(31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ime limit management module (312a) that notifies the customer by sending an alarm through the customer application when the dedicated space is allocated and the set time limit has been reached.
상기 시간제한관리모듈(312a)은 설정된 시간 제한이 도래하기 전에 고객이 충분히 준비하여 출차하도록 가이드하고 출차 대기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여 시간 제한이 도달하기 전에 설정된 알림시간에 알람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시간은 시간 제한 10분전, 5분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above time limit management module (312a) can be configured to guide the customer to sufficiently prepare and exit before the set time limit arrives and to send an alarm at the set notification time before the time limit arrives, considering the waiting time for exit. Here, the notification time can be set to 10 minutes before the time limit, 5 minutes before, etc.
또한, 상기 시간제한관리모듈(312a)은 고객이 유저 어플리케이션(710)을 통해 전용공간의 추가 시간을 요청할 경우 전용공간 할당 및 예약 정보를 분석하여 추가 제공이 가능할 경우 추가시간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시간 제공시 과금이 필요한 경우 상기 시간제한관리모듈(312a)은 과금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limit management module (312a) can analyze the dedicated space allocation and reserv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to allocate additional time if additional time is available when a customer requests additional time for the dedicated space through the user application (710). If a charge is required for providing additional time, the time limit management module (312a) can be responsible for processing the charge.
상기 호출관리유닛(320)은 고객이 전용주차장으로 자동차를 입차시키거나 전용주차장으로부터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경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호출이 요청되면 상기 호출에 따라 이용자를 인증하여 식별하고 호출 정보를 등록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을 배차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call management unit (320) is responsible for authenticating and identifying the user according to the call when a call is requested for the vehicle elevator unit when the customer enters or exits the dedicated parking lot with the vehicle, registering the call information, and managing the dispatch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출관리유닛(320)은 전용공간관리모듈(312)에 의해 전용공간이 할당되어 전용공간 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전용공간 정보를 등록하고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전용공간 정보로부터 전용공간을 이용하는 고객을 식별하고, 식별된 전용공간 정보로부터 고객에 할당된 전용 주차장 위치를 식별하는 유저정보관리모듈(321)과 고객 식별이 완료되면 먼저 호출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호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배차관리모듈(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ll management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21) that registers the dedicated space information when the dedicated space is allocated by th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312) and the dedicated space information is registered, identifies a customer using the dedicated space from the dedicated space information when there is a call for a vehicle elevator unit, and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llocated to the customer from the identified dedicated space information, and a dispatch management module (322) that determines and assigns the dispatch order for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 by considering the call inform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ed first when the customer identification is completed.
본 발명은 사람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각 전용 주차장마다 호출버튼이 형성되어 수동으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을 호출할 수도 있지만, 고객의 단말(70)의 유저 어플리케이션(710)을 통해 차량 엘리베이터을 호출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n interface for calling a vehicle elevator unit through a user application (710) of a customer's terminal (70), although a call button is formed in each dedicated parking lot, similar to an elevator used by people, to manually call the vehicle elevator unit.
상기 유저정보관리모듈(321)은 전용공간의 이용자인 고객이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유저 어플리케이션(710)을 통해 호출 요청하면 기 저장된 예약 식별코드 또는 자동차 번호 인식을 통해 고객을 식별하고, 등록된 전용공간 정보에 따라 고객의 전용 주차장(220)의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bov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21) is responsible for identifying the customer through a previously stored reservation identification code or vehicle number recognition when a customer who is a user of the exclusive space makes a call request through a user application (710) installed on his/her terminal, and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customer's exclusive parking lot (220) based on the registered exclusive spac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호출관리유닛(320)은 입차 호출시에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의 대기 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진입하는 경우 차량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차량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인식센서로부터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을 호출할 수 있는 자동호출모듈(3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call management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call module (323) that is equipped with a vehicle recognition sensor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when a vehicle enters and is installed in a waiting position at the entrance of the vehicle elevator when a vehicle is called for entry, and can automatically call the vehicle elevator unit 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by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출차와 달리 입차의 경우 고객이 자동차를 운전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대기 위치에 정차시키기 때문에 상기 자동호출모듈(323)이 상기 자동차의 번호판을 자동인식하고 인식된 번호판과 일치하는 전용공간 정보로부터 이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용자의 전용 주차장 위치를 확인하여 자동 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Unlike exiting, in the case of entry, since the customer drives the car and stops it at the waiting posi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the automatic call module (323)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license plate of the car, identify the user from the exclusive space information matching the recognized license plate, and confirm the exclusive parking lot location of the identified user to automatically call.
여기서, 입차 시 대기 차량이 있는 경우 유저 단말의 예약 어플리케이션(710)을 통해 직접 차량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Here, if there is a waiting vehicle upon entry, the vehicle elevator can be called directly through the reservation application (710) of the user terminal.
따라서, 상기 유저정보관리모듈(321)은 전용공간 정보와 연동되어 고객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용공간이 할당된 고객의 전용 주차장의 위치와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21) can identify a customer by linking with the dedicated space information, and accordingly, can check the location and vehicle numbe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of the customer to whom the dedicated space has been allocated.
그리고 상기 배차관리모듈(322)은 고객으로부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호출이 있는 경우 입차, 출차 여부와 기 호출된 호출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배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And the above dispatch management module (322) is responsible for determining the dispatch order by scheduling the vehicle elevator unit by considering whether it is entering or leaving and the previously called call information when a call for the vehicle elevator unit is received from a customer, and providing dispatch information to the customer.
상기 배차관리모듈(322)이 이용자 호출에 따라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배차 정보가 생성되면 호출한 고객의 유저 어플리케이션(710)을 통해 배차 정보를 전송한다.The above dispatch management module (322) determines the dispatch order according to the user call and when dispatch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dispat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application (710) of the calling customer.
여기서, 배차 정보는 배차 순서, 차량 엘리베이터까지 탑승까지 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차시 고객은 상기 배차 정보 확인을 통해 출차 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e dispatch information can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dispatch order and the time required to board the vehicle elevator, and when exiting, the customer can check the dispatch information to know the exact exit time, thereby minimizing waiting time.
또한, 상기 배차관리모듈(322)은 고객의 자동차가 차량 엘리베이터 탑승 순서가 되면 출차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고객의 유저 어플리케이션(710)을 통해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dispatch management module (322) can transmit an alarm through the customer's user application (710) to prevent delay in exiting the vehicle when the customer's vehicle is in the car elevator's turn to board.
그리고 상기 차량 이동 제어유닛(330)은 호출관리유닛(320)에 따라 결정된 배차 순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자동차를 수평이동시키고 차량 엘리베이터를 수직이동시키고 수평 이동시켜 자동차를 입,출차 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And the above vehicle movement control unit (330)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move horizontally inside the vehicle elevator and to move the vehicle elevat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and exit according to the dispatch order determined by the call management unit (3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이동 제어유닛(330)은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이동제어모듈(331)과 입차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전용공간 이용자의 전용 주차장으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고, 출차시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내부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제어하는 수평이동제어모듈(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movement control unit (3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movement control module (331)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332) that controls a vehicle loaded onto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move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exclusive parking lot of the exclusive space user when entering, and to move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when exiting.
상기 수직이동제어모듈(331)은 통상의 차량 엘리베이터와 같이 승하강 제어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vertical movement control module (331)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scent and descent of a conventional vehicle elevator, and since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elevator an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general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제어모듈(332)의 동작은 도 5 내지 11의 수평 이동수단의 동작과 중복되는 부분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since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332) overlaps with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of FIGS. 5 to 11,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유닛이 설치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ase where multiple elevator units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실시예는 수직 주차룸의 전용공간이 1호 라인에서 4호 라인까지 배치되고, 2개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1, EV2)가 배치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The embodiment of Fig. 12 is an embodiment in which dedicated spaces for vertical parking rooms are arranged from lines 1 to 4, and two vehicle elevator units (EV1, EV2) are arranged.
고객이 푸드 주문시 501호를 할당받아 전용공간 할당 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고객의 단말에 설치된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할당된 전용공간 정보(501호)를 제공하면서 제 1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1)으로 진입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When a customer is assigned room 501 when ordering food and the dedicated space allo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the customer can be guided to enter the first vehicle elevator unit (EV1) while providing the assigned dedicated space information (room 501) through the user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customer's terminal.
상기 고객이 자동차를 제 1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1)으로 진입하면 제 1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1)의 식별수단이 이용자의 예약 식별코드 또는 자동차 번호를 인식한다.When the above customer enters the first vehicle elevator unit (EV1) with his/her car, the identification means of the first vehicle elevator unit (EV1) recognizes the user's reservation identification code or car number.
상기 예약 식별코드 또는 자동차 번호가 인식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약 정보 및 전용공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전용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의 위치를 추출한다.When the above reservation identification code or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th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exclusive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re compared to extract the matching exclusive spac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exclusive space and exclusive parking lot.
여기서, 상기 고객이 전용공간 501호를 할당받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1)은 자동차를 내부로 수평 이동시키고, 상기 고객의 자동차를 501호의 전용 주차장이 위치한 5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상기 501호의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다. Here, since the customer is assigned exclusive space 501, the first vehicle elevator unit (EV1) can move the car horizontally inside, move the customer's car vertically to the 5th floor where the exclusive parking lot of 501 is located, and then move horizontally to the exclusive parking lot of 501 to park the car.
만일, 이용자가 제 2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2)로 진입한 경우 제 1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EV1)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If the user enters the second vehicle elevator unit (EV2), he/she can be guided to move to the first vehicle elevator unit (EV1).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자동차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과; 수직층의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모듈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용 주차장과; 상기 전용 주차장과 연결되어 주문하여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인 전용공간을 포함하여 주문한 푸드를 픽업한 후 자동차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전용 주차 공간에 주차시키고 픽업한 푸드를 먹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 주차룸 유닛과;
드라이브인카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용 주차 공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전용 주차 공간에 자동차를 수직 이동하여 주차시켜 입차시키고, 입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수직 주차룸 유닛의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터 사이를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 인 푸드 매장 시스템.
A driveway unit installed in a food outlet and designed to guide customers to order food and pick up ordered food while moving through a car and to move to the exit or enter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At least one vehicle elevator module for vertically moving a vehicle up and down; At least one dedicated parking lot formed adjacent to the vehicle elevator module on the vertical layer; A vertical parking room unit including a dedicated space connect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where food ordered and picked up can be eaten, and where the vehicle is moved vertically after picking up the ordered food,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space, and provided with a space where the picked up food can be eaten;
A control unit that allocates a dedicated parking space when the drive-in car mode is selected, moves a car vertically into the allocated dedicated parking space to park it, and controls the entry of the car and the exit of the parked car;
A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orizontal moving means for moving horizontally between the dedicated parking lot of the vertical parking room unit and the vehicle elevator.
상기 드라이브 웨이 유닛은
자동차가 입구를 통해 출입하여 푸드를 주문하고 주문된 푸드를 픽업하고, 드라이브 스루 모드인 경우 출구를 통해 나갈 수 있거나 드라이브 인 모드인 경우 수직 주차룸으로 진입하도록 연결된 드라이브 웨이와;
상기 드라이브 웨이 경로상에서 모드를 선택하고 푸드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모듈과;
주문한 푸드를 픽업하는 픽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 인 푸드 매장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drive way unit
A driveway connected to allow cars to enter through an entrance, order food, pick up the ordered food, and exit through an exit when in drive-thru mode or enter a vertical parking room when in drive-in mode;
An ordering module that can select a mode and order food on the above driveway route;
A drive-in food store system featur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ickup module for picking up ordered food.
상기 제어유닛은
드라이브인 모드를 선택한 고객을 식별하고 식별된 고객에게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을 할당하는 주차룸관리유닛과;
고객의 차량 엘리베이터 호출을 관리하는 호출관리유닛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에 따라 자동차의 차량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수단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이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 인 푸드 매장 시스템.
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control unit
A parking room management unit that identifies customers who have selected drive-in mode and allocates dedicated spaces and dedicated parking lots to the identified customers;
A call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customer vehicle elevator calls;
A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ehicle movemen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a vehicle elevator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a horizontal movement means of a vehicle according to a call of a vehicle elevator unit.
상기 주차룸관리유닛은
고객의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에 대한 주문을 받아 관리하는 주문관리모듈과;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한 고객에게 전용공간 및 전용 주차장을 할당하여 관리하는 전용공간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주문관리모듈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에 설치된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에 대한 사전 예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드라이브 웨이 유닛의 주문모듈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드 선택 및 음식 메뉴의 주문을 요청한 경우 해당 모드 및 음식 메뉴를 주문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유저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이 드라이브 스루 모드 또는 드라이브 스루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고객이 주문하는 음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전용공간관리모듈은 고객이 드라이브 인 모드에 대해 사전 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예약없이 방문하여 드라이브 인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전용공간의 예약 및 점유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전용공간을 할당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주차와 개별 전용 공간 제공이 가능한 드라이브 인 푸드 매장 시스템.In paragraph 4,
The above parking room management unit
An order management module that receives and manages orders for customer mode selection and food menu;
Includes a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that allocates and manages dedicated spaces and dedicated parking lots to customers who select drive-in mode;
The above order management module provide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mode and making a reservation for a food menu in advance through a user application installed on a customer terminal carried by the customer, and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n order for the corresponding mode and food menu when a request for selecting a mode and ordering a food menu is made in real time through the order module of the driveway unit;
The above user application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customer can select the desired mode, either drive-through mode or drive-through mode, and select the food menu to be ordered;
A drive-in food stor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pa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dedicated space management module checks the reservation and occupancy status information of the dedicated space and allocates and manages the dedicated space in real time when a customer requests a prior reservation for the drive-in mode or visits without a reservation and selects the drive-in m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1771A KR102793318B1 (en) | 2023-01-05 | 2023-01-05 | Drive-in Food Store System With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spa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1771A KR102793318B1 (en) | 2023-01-05 | 2023-01-05 | Drive-in Food Store System With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spac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9801A KR20240109801A (en) | 2024-07-12 |
KR102793318B1 true KR102793318B1 (en) | 2025-04-16 |
Family
ID=9195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1771A Active KR102793318B1 (en) | 2023-01-05 | 2023-01-05 | Drive-in Food Store System With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spa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9331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57116A (en) * | 2008-04-10 | 2011-05-11 | 餐饮技术公司 | Drive-thru system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9060A (en) * | 2013-03-05 | 2014-09-15 | 박성준 | An independence drive-in residential facilities |
KR102274107B1 (en) * | 2018-07-09 | 2021-07-08 |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 Automatic kiosk platform and drive-through ordering method using same |
KR102305211B1 (en) * | 2019-12-31 | 2021-09-24 | 정성인 | Elevator Device |
KR102477003B1 (en) * | 2020-10-08 | 2022-12-13 | 정성인 |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and waiting system for entering and leaving vehicle |
-
2023
- 2023-01-05 KR KR1020230001771A patent/KR1027933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57116A (en) * | 2008-04-10 | 2011-05-11 | 餐饮技术公司 | Drive-thru system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9801A (en) | 2024-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6326B1 (en) | Elevator Device | |
US12227965B2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temporary park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
KR102785945B1 (en) | Vertical Parking System For PAV For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s | |
JP7154900B2 (en) | Parking assistance system, parking assistance method, parking assistance program, and mechanical parking device | |
KR102685509B1 (en) | Moving Or Cargo Transport Control System Using Vehicle Elevator Device For Collective Building | |
KR102793318B1 (en) | Drive-in Food Store System With Vertical Parking And Individual Dedicated Sspaces | |
KR102685511B1 (en) | Delivery System Of Courier Goods For Individual Households Using Vehicle Elevator Device For Collective Building | |
CN108360853B (en) | Intelligent object conveying system based on automobile passenger station | |
KR102656596B1 (en) |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In Individual Rooms Of the Lodging Building | |
KR20230031232A (en) | transport system | |
KR102836300B1 (en) | Vertical Parking System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 |
KR102785940B1 (en) | Fire Door Device | |
KR102794428B1 (en) | Automatic Parking system For Valet Parking Of Collective Building | |
KR20230108579A (en) |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 |
HK40080965A (en) | Transportation system | |
HK40080971A (en) | Transport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9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