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93024B1 - Us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device,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lce by using user device - Google Patents
Us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device,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lce by using use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93024B1 KR102793024B1 KR1020200040640A KR20200040640A KR102793024B1 KR 102793024 B1 KR102793024 B1 KR 102793024B1 KR 1020200040640 A KR1020200040640 A KR 1020200040640A KR 20200040640 A KR20200040640 A KR 20200040640A KR 102793024 B1 KR102793024 B1 KR 1027930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terminal
- communication module
- area
- vehicle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1 음파통신 모듈, 제1 UWB 통신모듈 및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1 음파통신 모듈 및 제1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차량과 통신 연결된 후 원격 제어명령이 차량에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음파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WB 통신모듈,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causes a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And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nd causing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차량, 차량 제어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BLE), UWB(Ultra-Wide Band) 통신 및 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차량, 차량 제어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 vehicle,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through a user terminal using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BLE), UWB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and acoustic wave communication,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 vehicle,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최근 차량 제조회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 및 UWB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actively developing technologies that can control vehicles using smartphones. In particular, technologies for systems that can control vehicles using user terminals using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and UWB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하지만,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은 2.4GHz 고주파 및 협소한 대역폭(2MHz)을 사용하므로 환경적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었다.However,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ses a high frequency of 2.4 GHz and a narrow bandwidth (2 MHz), so it is greatly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as a result, it has the limitation of being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UWB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UWB 통신은 광대역폭 통신 베이스라 소모 전류가 상당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아울러, UWB 통신 기술이 접목되지 않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본인의 디바이스를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such problems, UWB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ut UWB communication has the limitation that it consumes a lot of current because it is a wide-bandwidth communication base. In addition, there is the limitation that users who own user devices that are not equipped with UWB communication technology cannot control their vehicles through their de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보안을 강화하며, 소모 전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차량, 차량 제어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ims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 vehicle,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which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strengthen vehicle security,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차량과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음파통신 모듈; 차량과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UWB 통신모듈; 및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1 음파통신 모듈 및 제1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차량과 통신 연결된 후 원격 제어명령이 차량에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 first UWB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allow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is established.
제1 제어부는, 차량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구분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차량에 원격 제어명령이 전송되도록 하고, 제1 영역은 차량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차량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의 실내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in one of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which are distinguished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vehicle, wherein the first zone is a zone in which the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the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the second zone is a zone in which the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and the third zone may be an interior zone of the vehicle.
제1 제어부는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차량에 사용자 단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과 통신이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a user terminal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connected,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re transmitted so that primary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제1 제어부는, 제1 음파통신모듈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차량에 송신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can transmit encrypted data to the vehicle via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second user authentication.
제1 제어부는, 제1 음파통신모듈을 통해 차량에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can transmit sound waves to the vehicle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은 차량에 사용자 단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차량과 통신이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단계; 및 차량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구분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차량에 원격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ther object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a user terminal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a vehicle; a step of transmitting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connected; and a step of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in any one of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vided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vehicle.
제1 음파통신모듈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차량에 송신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1 음파통신모듈을 통해 차량에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steps of transmitting encrypted data to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user secondary authentication; and transmitting sound waves to the vehicle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음파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WB 통신모듈;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ther objects described above, a vehicle may include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second UWB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nd causing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의 실내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area is an area where the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the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area is an area where the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third area may be an interior area of the vehicle.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 인증정보 및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2 제어부는,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정보와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perform primary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제2 제어부는,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UWB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fter performing the first user authentication.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cause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area, can receive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via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decrypt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then compare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perform second user authentication.
제2 제어부는,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t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fter performing the second user authentication,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cause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 통신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control method for achieving the other object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a step of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b) a step of performing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a storage unit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c) a step of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acoustic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d) a step of causing a remot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o be executed.
단계 (B)는,Step (B) is,
(B-1) 제2 UWB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1)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a user terminal;
(B-2)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B-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area, a step of receiving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decrypting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then performing user secondary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decrypted data with the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B-3)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B-3)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t a regular interval through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econd area or a third area based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may be included.
단계 (B-1)는,Step (B-1) is,
ToF (Time of Flight)를 이용한 TWR(Two Way Ranging) 측위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TWR (Two Way Ranging)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ToF (Time of Fl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단계 (B-3)은,Step (B-3) is,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음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파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제3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t a regular interval through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a second area if sound waves are not received,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a third area if sound waves are received.
단계 (C)에서는,In step (C),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hen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단계 (C)에서는,In step (C),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1 음파통신 모듈, 제1 UWB 통신모듈 및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1 음파통신 모듈 및 제1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차량과 통신 연결된 후 원격 제어명령이 차량에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음파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WB 통신모듈,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for achieving the other object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for allow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And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nd causing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의 실내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area is an area where the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the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area is an area where the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third area may be an interior area of the vehicle.
차량은,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 인증정보 및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2 제어부는,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정보와 인증전보가 전송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perform primary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제2 제어부는,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UWB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fter performing the first user authentication.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cause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area, can receive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via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decrypt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then compare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perform second user authentication.
제2 제어부는,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t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fter performing the second user authentication,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cause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상술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은 (1) 사용자 단말기에서 차량에 사용자 단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2)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3)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 통신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may include: (1) a step of transmitting a user termina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vehicle; (2) a step of performing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a stora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 a step of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acoustic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4) a step of causing a remot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o be executed.
단계 (3)은,Step (3) is,
(3-1) 제2 UWB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2)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3-3)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3-1)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3-2) a step of receiving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area, decrypting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comparing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perform user secondary authentication; and (3-3)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t a certain perio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or not sound waves are received.
단계 (3-1)은,Step (3-1) is,
ToF (Time of Flight)를 이용한 TWR(Two Way Ranging) 측위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TWR (Two Way Ranging)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ToF (Time of Fl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단계 (3-3)는,Step (3-3) is,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음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파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제3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t a regular interval through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a second area if sound waves are not received,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a third area if sound waves are received.
단계 (4)에서는, In step (4),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hen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단계 (4)에서는, In step (4),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및 음파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2차로 수행함에 따라 차량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of a vehicle can be strengthened b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wic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sound wave communication.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UWB 통신 모듈을 사용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소모 전류를 감소할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number of UWB communication modules used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entire system can be reduced, and the cost of the entire system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판별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verall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first area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econd area or a third area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 chart of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차량, 차량 제어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 vehicle,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판별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first area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econd area or a third area in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in the third area, and FIG. 10 is a flowchart of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는 차량(2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 차량(20)과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음파통신모듈(12), 차량(20)과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UWB 통신모듈(13) 및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 제1 음파통신모듈(12) 및 제1 UWB 통신모듈(13)을 제어하고, 차량(20)과 통신 연결된 후 원격 제어명령이 차량(20)에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20), a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a first UWB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module (13)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and a first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and 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13), and for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20) afte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20).
여기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은 차량(2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일 수 있다.Here,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Here,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may be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module.
제1 음파통신모듈(12)은 차량(20)과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음파통신모듈(12)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perform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Her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mplementing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may include a microphone.
제1 UWB 통신모듈(13)은 차량(20)과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13) can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20).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는 차량(20)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구분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차량(20)에 원격 제어명령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20)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20)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20)의 실내 영역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unit (14) can cause a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20) in any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gions, which are distinguished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vehicle (20). Here,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the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third region can be an interior region of the vehicle (20).
또한, 제1 제어부(14)는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을 통해 차량(20)에 사용자 단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20)과 통신이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14) transmits a user terminal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vehicle (20) through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and whe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is connected,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re transmitted so that the first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아울러, 제1 제어부(14)는, 제1 음파통신모듈(12)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차량(20)에 송신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14) can transmit encrypted data to the vehicle (20)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to perform secondary user authentication.
더 나아가, 제1 제어부(14)는 제1 음파통신모듈(12)을 통해 차량(20)에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control unit (14) can cause sound waves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20)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음파 통신모듈 및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블루투스 통신모듈, 음파 통신모듈 및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차량(20)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음파 통신모듈 및 UWB 통신모듈과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20)을 제어할 수 있다면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10)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martphone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acoustic communication module, and a UWB communication modu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other devices may be used as the user terminal (10) as long as the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acoustic communication module, and a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communicate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acoustic communication module, and a UWB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a vehicle (20) and control the vehicle (2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 제어방법은, 차량(20)에 사용자 단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차량(20)과 통신이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단계; 및 차량(20)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구분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차량(20)에 원격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a user terminal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a vehicle (20); a step of transmitting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is connected; and a step of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20) in one of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vided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vehicle (20).
아울러, 제1 음파통신모듈(12)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차량(20)에 송신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1 음파통신모듈(12)을 통해 차량(20)에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tep of transmitting encrypted data to a vehicle (20) through a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to perform a second user authentication; and a step of transmitting sound waves to a vehicle (20)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사용자 단말기(10)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음파통신모듈(22), 사용자 단말기(10)와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WB 통신모듈(23)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제2 음파통신 모듈(22) 및 제2 UWB 통신모듈(23)을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제2 음파통신 모듈(22) 및 제2 UWB 통신모듈(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vehic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10),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for performing UWB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and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determines which area among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10)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and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 second remote control module for executing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24).
여기서,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20)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20)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20)의 실내 영역일 수 있다.Here, the first area is an area where the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the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area is an area where the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third area may be an interior area of the vehicle (20).
또한, 차량(20)은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 인증정보 및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2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25) that stores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구체적으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은 사용자 단말기(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Here,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may be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module.
제2 음파통신 모듈(22)은 사용자 단말기(10)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음파통신 모듈(22)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차량(20) 내부의 각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경우 양방향 음파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perform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Her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mplementing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may include each speaker inside the vehicle (20), and if a microphone (not shown) is additionally provided, two-way sound wave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제2 UWB 통신모듈(23)은 사용자 단말기(10)와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can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한편, 제2 제어부(24)는,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가 인식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페어링 정보와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and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perform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또한,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UWB 통신모듈(23)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after performing the first user authentication.
아울러,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cause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더 나아가,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25)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if the second control unit (24)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not in the first area, it can receive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decrypt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then compare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to perform secondary user authentication.
또한,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24)는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파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3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determine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fter performing the second user authentication,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sound waves are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and if sound waves are received,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third area.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cause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20) 제어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 연결되면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제2 음파통신모듈(22) 및 제2 UWB 통신모듈(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vehicle (20)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a step of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10); (b) a step of performing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stored in a storage unit (25)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c) a step of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areas the user terminal (10)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d) a step of causing a remot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be executed.
구체적으로, 단계 (B)는, (B-1) 제2 UWB 통신모듈(23)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25)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step (B) may include: (B-1)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B-2) a step of receiving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decrypting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comparing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to perform user secondary authentication; and (B-3)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t a certain perio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B-1)에서는, ToF (Time of Flight)를 이용한 TWR(Two Way Ranging) 측위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step (B-1),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s calculated based on the TWR (Two Way Ranging)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ToF (Time of Flight), and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또한, 단계 (B-3)은,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음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파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3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tep (B-3)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a regular interval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if sound waves are not received, and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third area if sound waves are received.
한편, 단계 (C)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C),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when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또한, 단계 (C)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C),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한 차량(20) 제어 시스템은,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 제1 음파통신모듈(12), 제1 UWB 통신모듈(13) 및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 제1 음파통신모듈(12) 및 제1 UWB 통신모듈(13)을 제어하고, 차량(20)과 통신 연결된 후 원격 제어명령이 차량(20)에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제어부(14)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사용자 단말기(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사용자 단말기(10)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음파통신모듈(22), 사용자 단말기(10)와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WB 통신모듈(23),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제2 음파통신 모듈(22) 및 제2 UWB 통신모듈(23)을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제2 음파통신 모듈(22) 및 제2 UWB 통신모듈(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제어부(24)를 포함하는 차량(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vehicle (20)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terminal (10) including a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a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a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13), and a first control unit (14) that controls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and 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13),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20) after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vehicle (20),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and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a second UWB The vehicle (20) may include a second control unit (24) that controls a communication module (23),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areas a user terminal (10)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of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and causes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구체적으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은 사용자 단말기(10)와 차량(20) 간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and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10) and a vehicle (20). Here, the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 and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may be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modules.
제1 음파통신모듈(12)은 차량(20)과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음파통신모듈(12)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파통신 모듈(22)은 사용자 단말기(10)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음파통신 모듈(22)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차량(20) 내부의 각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경우 양방향 음파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perform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20). Her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mplementing the fir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2) may include a microphon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perform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Her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mplementing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may include each speaker inside the vehicle (20), and if a microphone (not shown) is additionally provided, two-way sound wave communication can be supported.
제1 UWB 통신모듈(13)은 차량(20)과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UWB 통신모듈(23)은 사용자 단말기(10)와 UW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UWB communication module (13) can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20),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can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10).
한편, 차량(20)은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 인증정보 및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5)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 인증정보 및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는 제어부가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초기 통신을 하면서 페어링 정보와 인증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정보는 제2 음파통신을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때 응답 요청신호를 암호화하고 응답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2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25) that stores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he storage unit (25) stores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so as to authenticate the user terminal (10). Here,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may be registered when the control unit performs initi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In addition, the encry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encrypting a response request signal and decrypting a response signal when authenticating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20)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20)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20)의 실내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area is an area where the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the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area is an area where the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third area may be an interior area of the vehicle (20).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 내에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원격에서 차량(20)을 주차시킬 수 있는 RSPA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20) 주변에서 원격으로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차량(20)의 출입이 가능한 PK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 내에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원격에서 차량(20)의 문을 열고 닫을 수 있고 차량(20)의 트렁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RKE 기능 및 원격에서 차량(20)의 시동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원격 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잇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terminal (10) is within the first area, the RSPA function that allows the vehicle (20) to be parked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can be performed, and the PKE function that allows the vehicle (20) to be entered and exited without remotely pressing a button around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if the user terminal (10) is within the second area, the RKE function that allows the vehicle (20) to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and the trunk of the vehicle (20) to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remote start function that allows the vehicle (20) to be turned on and off remotely can be performed.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한 차량(20)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가 판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10) in a vehicle (20) control system using a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원격에서 차량(20)의 RKE 기능, 원격 시동 기능 및 RSPA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페어링 정보와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제2 제어부(24)는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한다.First, when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RKE function, remote start function, and RSPA function of a vehicle (20) remotely is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10),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and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control unit (24) performs primary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사용자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을 트리거로 제2 UWB 통신모듈(23) 및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웨이컵(wake-up)시키고, 제2 UWB 통신모듈(23)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user's primary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cond control unit (24) wakes up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u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s triggers,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여기서, 제2 제어부(24)는 실시예에 따라, 기 공지된 ToF(Time of Flight) TWR(Two Way Ranging)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UWB 통신모듈(23) 간의 거리 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거리 값을 LQI, Magnitude, Moving average 필터링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UWB 통신모듈(23) 간의 최종 거리 값을 추정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lculates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using a known ToF (Time of Flight) TWR (Two Way Ranging) position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estimates a fin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using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using LQI, Magnitude, and Moving average filtering methods.
도 8을 참조하여 제2 UWB 통신모듈(23)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제2 제어부(24)는 기 공지된 ToF(Time of Flight) TWR(Two Way Ranging)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 회에 걸쳐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UWB 통신모듈(23) 간의 거리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복수의 거리 값들 중 LQI 필터링을 수행하여 기 설정된 LQI보다 높은 X개의 거리 값을 도출하고, 계산된 복수의 거리 값들 중 Magnitude 필터링을 수행하여 기 설정된 Magnitude에 매칭된 Y개의 거리 값을 산출한 후, X개의 거리 값과 Y개의 거리 값들 중 겹쳐지는 5개의 거리 값을 선택하며, 선택된 5개의 거리 값을 삼변/삼각 측량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UWB 통신모듈(23) 간의 최종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종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ToF를 이용한 TWR 측위 수식, LQI, Magnitude, Moving average 필터링 수식 및 삼변/삼각 측량 방식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lculates the distance values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multiple times using the known ToF (Time of Flight) TWR (Two Way Ranging) positioning technology, performs LQI filtering among the calculated multiple distance values to derive X distance values higher than a preset LQI, performs Magnitude filtering among the calculated multiple distance values to derive Y distance values that match the preset Magnitude, and then selects five overlapping distance values among the X and Y distance values, calculates the final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based on triangulation/triangulation of the selected five distance valu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final distance. Here, the TWR positioning formula using ToF, LQI, Magnitude, Moving average filtering formula, and triangulation/triangulation method are well-known technologie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2 제어부(24)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ntrol unit (24)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if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24)는 원격에서 차량(20)을 주차시키거나 차량(20) 주변에서 원격으로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차량(2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remotely park the vehicle (20) or allow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20) without remotely pressing a button around the vehicle (20).
한편,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25)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second control unit (24)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not in the first area, it can receive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decrypt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then perform secondary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decrypted data with the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아울러, 도 9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24)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control unit (24) performs the user secondary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n determines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a certain period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depending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여기서, 제2 제어부(24)는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3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if sound waves are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a certain period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can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third area if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a certain period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더 나아가, 제2 제어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cause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RKE(Remote Keyless Entry)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24)는 원격에서 차량(20)의 시동을 온/오프시키거나, 원격에서 차량(20)의 도어 및 트렁크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n RKE (Remote Keyless Entry)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cond control unit (24) can remotely turn the vehicle (20) on/off or remotely open or close the doors and trunk of the vehicle (20).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파 통신은 사람이 듣기 힘든 높은 주파수인 비가청 음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 또는 장치 간에 음파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ound wave communic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inaudible sound waves of high frequency that are difficult for humans to hear, and data communication may be possible through sound waves between devices or apparatuses on which software applications are install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한 차량(20)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한 차량(20) 제어 방법은 (1)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차량(20)에 사용자 단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2)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가 인식되면 저장부(25)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10)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3)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21), 제2 음파통신모듈(22) 및 제2 UWB 통신모듈(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IG. 10 is a flowchart of a vehicle (20) control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 vehicle (20) control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step of transmitting a user termina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10) to a vehicle (20); (2) a step of performing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stored in a storage unit (25)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recognized through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3) a step of determining whi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areas the user terminal (10)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1),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4) a step of causing a remot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10) to be executed;
구체적으로, 단계 (3)은, (3-1) 제2 UWB 통신모듈(23)과 사용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2)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25)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3-3)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step (3) may include: (3-1)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23) and the user terminal (10); (3-2) a step of receiving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decrypting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comparing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to perform user secondary authentication; and (3-3)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t a certain perio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3-1)에서는, ToF (Time of Flight)를 이용한 TWR(Two Way Ranging) 측위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step (3-1),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s calculated based on the TWR (Two Way Ranging)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ToF (Time of Flight), and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또한, 단계 (3-3)는, 제2 음파통신모듈(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음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파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가 제3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tep (3-3)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t a regular interval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2); and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if sound waves are not received, and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third area if sound waves are received.
아울러, 단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1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if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더 나아가, 단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제2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20)과 사용자 단말기(10)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in step (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20) and the user terminal (10),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기술적인 특징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pecific technical features at each stage of the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user's terminal are identical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user's terminal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0: 사용자 단말기 11: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
12: 제1 음파통신 모듈 13: 제1 UWB 통신모듈
14: 제1 제어부
20: 차량 21: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22: 제2 음파통신 모듈 23: 제2 UWB 통신모듈
24: 제2 제어부 25: 저장부10: User terminal 11: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2: 1st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13: 1st UWB communication module
14: Control Unit 1
20: Vehicle 21: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2: 2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23: 2nd UWB communication module
24: Second control unit 25: Storage unit
Claims (35)
사용자 단말기와 음파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음파 통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UWB(Ultra-Wide Ban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WB 통신모듈;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통신 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 인증정보 및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페어링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ound wave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second UWB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UWB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second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user terminal is i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nd causes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encryption information of the above user terminal.
A vehicle including: a second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airing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performs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의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기능 및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차량의 RKE(Remote Keyless Entry) 및 원격 시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이며,
제3 영역은, 차량의 실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In claim 8,
The first area is an area where the vehicle's 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 function and PKE (Passive Keyless Entry) function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area is an area where the vehicle's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 functions can be performed remotely by the user terminal.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area is an interior area of the vehicle.
제2 제어부는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UWB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PKE 또는 RSPA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고;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데이터를 저장부에 기 저장된 암호화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하고;
제2 제어부는 사용자 2차 인증을 수행한 후, 제2 음파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음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음파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In claim 8,
The second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fter performing the first user authentication;
The second control unit causes the received PKE or RSPA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 PKE or RSP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the first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If the second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area, it receives encryp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decrypts the received encrypted data, and then performs secondary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decrypted data with encryp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sound waves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t a certain period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fter performing the second user authentic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or the third area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ound waves are received.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2 영역에 있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RKE 또는 원격시동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In claim 11,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rol unit causes the received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to be executed when an RKE or remote star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the second area and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b)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 제2 음파 통신모듈 및 제2 UWB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명령이 수신된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페어링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a) a step of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b) a step of performing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c)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ny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ound wav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UWB communication module; and
(d) a step for causing a remot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o be executed; including,
A vehicl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executing the above remote control command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user primary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airing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640A KR102793024B1 (en) | 2020-04-03 | 2020-04-03 | Us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device,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lce by using us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640A KR102793024B1 (en) | 2020-04-03 | 2020-04-03 | Us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device,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lce by using use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4552A KR20210124552A (en) | 2021-10-15 |
KR102793024B1 true KR102793024B1 (en) | 2025-04-08 |
Family
ID=7815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0640A Active KR102793024B1 (en) | 2020-04-03 | 2020-04-03 | Us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device,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lce by using use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9302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48707B (en) * | 2021-11-15 | 2024-12-20 |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 A system for remotely displaying the movement status and fault warning of unmanned target vehicles |
KR102694707B1 (en) * | 2022-06-24 | 2024-08-13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0288A (en) * | 2017-03-27 | 2018-10-10 | 주식회사 오윈 |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Position State by using Sound Output Device in a Car |
KR20190128364A (en) * | 2018-05-08 | 2019-11-18 | 조원기 | Smart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 vehicle defending RSA using a mobile device |
KR102602767B1 (en) * | 2018-05-15 | 2023-11-1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user access direction tracking |
KR102602765B1 (en) | 2018-06-25 | 2023-11-1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terminal using signal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
-
2020
- 2020-04-03 KR KR1020200040640A patent/KR10279302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4552A (en) | 2021-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27158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mart control of vehicle while defending against RSA by using mobile device | |
US10654447B2 (en) | Vehicle sharing accessory module and system | |
US2020021602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a vehicle using a wireless access device | |
US9786108B2 (en) | NFC based secure car key | |
CN106469480B (en) |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and mobile device of carrier | |
JP7414158B2 (en) | Adaptive BLE and UWB-based connection rate control for mobile access devices in vehicle passive access systems | |
US20180096545A1 (en) | User proximity detection for activating vehicle convenience functions | |
EP3551509A1 (en) | Combined vehicle passive entry/passive start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ing system | |
GB2550244A (en) |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system with relay attack prevention | |
US20170079082A1 (en) | Vehicle based trainable transceiver and authentication of user | |
EP3555872B1 (en) | Selective transmission of commands associated with a single transceiver channel | |
US11974125B2 (en)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102793024B1 (en) | Use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device,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lce by using user device | |
JP2023523505A (en) | Phone-as-a-Key Access to Ultra-High-Frequency Low-Energy Based Vehicles Using Two-Way Communication for Multipath Mitigation | |
US9685014B1 (en) | Remote control system us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waves for polling signals | |
KR20190128364A (en) | Smart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 vehicle defending RSA using a mobile device | |
CN110988798B (en) |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mobile device relative to a vehicle | |
EP219360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the sender of a frequency hopping radio signal | |
KR20210052118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ed vehicle control | |
JP2020125588A (en) |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 |
KR2021012455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for vehicle to which multi-communication technique are applied | |
JP2020173158A (en) | Terminal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terminal position detection method | |
KR20250115309A (en) | Control of an infrastructure by a mot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