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3469B1 - Gift recommendation system chosen by recipients - Google Patents
Gift recommendation system chosen by recipi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3469B1 KR102753469B1 KR1020210166754A KR20210166754A KR102753469B1 KR 102753469 B1 KR102753469 B1 KR 102753469B1 KR 1020210166754 A KR1020210166754 A KR 1020210166754A KR 20210166754 A KR20210166754 A KR 20210166754A KR 102753469 B1 KR102753469 B1 KR 1027534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ft
- recipient
- list
- recommendation
- recommen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Recommending goods or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선물을 받는 사람, 즉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수취인이 직접 원하는 선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which generates a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selected through information on a recipient, i.e., a gift recipient input by a purchaser, and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comprehensively considering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to the recipient, thereby allowing the recipient to directly select a desired gift, thereby maximiz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선물을 받는 사람, 즉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수취인이 직접 원하는 선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which generates a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selected through information on a recipient, i.e., a gift recipient input by a purchaser, and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comprehensively considering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to the recipient, thereby allowing the recipient to directly select a desired gift, thereby maximiz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하나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소비자들은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한다.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come an essential element for many people living in the modern era. Consumers want to receive various high-quality services they want anytime and anywhere using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다양한 고품질의 서비스 중 선물 제공 서비스는, 선물을 받는 사람, 즉 수취인에게 선물이 제공되도록, 선물을 주는 사람, 즉 구매자의 요청에 의해 선물 수취인의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로 선물을 수령하기 위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Among the various high-quality services, the gift provis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receiving a gift to the gift recipient's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gift giver, i.e. the purchaser, so that the gift is provided to the gift recipient.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선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통신 회로들을 제어하여 다른 기기와 선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게 된다.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using the gift service and control communication circuits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or using the gift service with other devices.
이러한 선물 제공 서비스에서는, 선물 수취인에게 최적의 선물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최근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수취인들의 취향이나 선호도 등을 반영하여 선물 추천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In these gift-giving servic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best gift to the gift recipient, and recently, systems or method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a gift recommendation list that reflects the recipient's tastes and preferences.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0260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9582호에는 각각 패션상품 선물 추천 방법과, 선물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선물 추천 서버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선물을 받을 사람에 대한 정보 또는 선호도 분석을 통해 추천선물 목록을 작성하여 선물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물에 대한 수취인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40260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9582 disclose a fashion product gift recommendation method, a gift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and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for executing the same, respectively. Their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the gift purchaser by analyzing information or preferences of the person receiving the gift,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 of the gift.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추천선물 목록에서 최종적으로 선물을 선택하는 당사자가 선물 구매자이므로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최적의 선물을 제공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the optimal gift to the gift recipient because the person who ultimately selects the gift from the recommended gift list is the gift purchaser.
또한, 통상적으로 최종적으로 선택된 선물 정보는 다른 구매자들의 선물 추천시 사용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선물의 최종 선택이 수취인이 아닌 구매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추천선물 목록 작성시 수취인에 대한 정보 또는 선호도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구매자의 의견이 개입될 수 밖에 없으므로 추천선물 목록 작성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usually, the gift information that is finally selected can be used when recommending gifts to other buyers.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final selection of a gift is made by the buyer, not the recipient, even if information or preferences about the recipient are used when creat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he buyer's opinion inevitably interven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creat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may be reduc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선물의 최종 선택을 수취인이 직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the recipient, which generates a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 first recommended gift list selected through recipient information and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to the recipient so that the recipient can directly make the final selection of the gift,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또한, 본 발명은 수취인이 추천된 선물 목록에서 선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수취인 단말기를 이용한 수취인의 행동 패턴을 고려한 추천 선물목록을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수취인에게 다시 제공함으로써 수취인들이 원하는 선물을 보다 정확하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purpose of providing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which allows more accurate recommendations of gifts desired by the recipient by additionally generat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recipient using the recipient terminal and providing the list to the recipient when the recipient fails to select a gift from the recommended list of gift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은,
선물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와 선물을 받을 수취인이 각각 소지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매자 단말기 및 수취인 단말기와, 오픈마켓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저장하는 상품지표 DB와, 구매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목록을 저장하는 상품DB를 포함하고, 구매자 단말기 및 수취인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한 선물추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수취인 정보와 오픈마켓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이용하여 수취인에게 제공할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 및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추천선물목록으로부터 상기 수취인에 의해 선택된 선물은 상기 수취인에 의해 상기 선물추천서버로 등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s,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buyer terminal and a recipient terminal, each of which is possessed by a buyer who wishes to purchase a gift and a recipient who is to receive the gift; a product index DB storing open data indices for products collectable from an open market; and a product DB storing a list of products that the buyers can purchase; and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accessible via the buyer terminal and the recipient terminal, wherein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generates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using recipient information input via the buyer terminal and open data indices for products collectable from the open market, and transmits the list to the buyer terminal and the recipient terminal, and a gift selected by the recipient from the recommended gift list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can be registered by the recipient to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삭제delete
이때,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구매자 정보와 수취인 정보를 수신하는 제1데이터 수집부와, 오픈마켓으로부터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수집하는 제2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제1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와 제2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이용하여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는 선물추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물추천모듈은, 제1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DB로부터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1차적으로 추출하는 1차 추출부와, C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선물목록과 제2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매칭시켜 수취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2차적으로 추출하는 2차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includes a first data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purchaser inform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input through a purchaser terminal, a second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from an open market, and a gift recommendation module that generates a recommended gift list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open data indicator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extraction unit that primarily extracts a gift list to be recommended from the product DB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that secondarily extracts a gift list to be recommended to the recipient by matching the gift list extracted by the first extraction unit with the open data indicators collected by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using a CF algorithm.
또한,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추천선물목록 중 받고자하는 선물을 선택하기 위한 수취인의 수취인 단말기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제3데이터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물추천모듈은 L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 사용 패턴 분석결과와 상품 DB로부터 새로운 상품들을 매칭시켜 수취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3차적으로 추출하는 3차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further includes a third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 recipient's terminal usage pattern for selecting a gift to be received from a list of recommended gifts, and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hird extraction unit that uses an LF algorithm to matc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cipient's terminal usage pattern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with new products from a product DB to thirdly extract a list of gifts to be recommended to the recipient.
그리고,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상기 선물추천모듈에서 사용될 CF 알고리즘 및 LF 알고리즘을 학습하기 위한 AI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n AI learning unit for learning the CF algorithm and LF algorithm to be used in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선물의 최종 선택을 수취인이 직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selected through recipient information and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are generat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is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so that the recipient can directly make the final selection of the gift, thereby having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된 선물 목록에서 수취인이 선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수취인 단말기를 이용한 수취인의 행동 패턴을 고려한 추천 선물목록을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수취인에게 다시 제공함으로써 수취인들이 원하는 선물을 보다 정교하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취인의 성향 및 기호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한 인공지능(AI) 학습을 통해 보다 정확한 선물목록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cipient is unable to select a gift from the recommended gift list, a recommended gift lis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recipient's behavioral pattern using the recipient's terminal is additionally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recipient, thereby enabling more precise recommendations of gifts desired by the recipient, and at the same time, having the additional effect of recommending a more accurate gift lis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learning us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recipient's tendencies and preferen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1차 및 2차 선물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3차 선물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구매자 단말기와 수취인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gift recommendation method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lgorithm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gift extraction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4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lgorithm used in the third gift extra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5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a decision-making process performed through a purchaser terminal and a recipien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1차 및 2차 선물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3차 선물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구매자 단말기와 수취인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gift recommendation method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lgorithm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gift extraction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2, FIG. 4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lgorithm used in the third gift extra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decision-making process performed through a purchaser terminal and a recipien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
본 발명은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선물을 받는 사람, 즉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수취인이 직접 원하는 선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10)(이하, '선물 추천 시스템(10)'이라 한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구매자 단말기(100), 수취인 단말기(200), 선물추천 서버(300) 및 선물추천 플랫폼(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which generates a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selected through information on a recipient, i.e., a gift recipient input by a purchaser, and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comprehensively considering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to the recipient so that the recipient can directly select a desired gift, thereby maximiz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First,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10)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ift recommendation system (10)') may largely include a purchaser terminal (100), a recipient terminal (200),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and a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as illustrated in FIG. 1.
상기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는 각각 선물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람, 즉 구매자와, 구매자에 의해 주문된 선물을 받을 사람, 즉 수취인이 각각 소지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후술할 선물추천 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선물추천 플랫폼(400)이 실행되는 단말기이며, 선물추천 플랫폼(400)을 통해 선물추천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buyer terminal (100) and recipient terminal (200) are each carried by a person who wishes to order a gift, i.e., a buyer, and a person who will receive a gift ordered by the buyer, i.e., a recipient, and are terminal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on which a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provided by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described below is executed,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can be received through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는 후술할 선물추천 플랫폼(400)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로서,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recipient terminal (200) are devices for executing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a wearable computer, etc., and may mean any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 web/mobile site or installing and executing a service-only application.
그리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는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recipient terminal (200) can perform overall service operations such as service screen configuration, data input, data transmission/reception, and data storage under the control of a web/mobile site or dedicated application.
다음, 상기 선물추천 서버(300)는 구매자와 수취인이 각각 구매자 단말기(100) 및 수취인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선물추천 플랫폼(400)을 생성 및 관리하는 통상의 서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품지표 DB(310), 상품 DB(320), AI 학습부(330) 및 플랫폼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acts as a typical server that creates and manages a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that the buyer and recipient can access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 product index DB (310), a product DB (320), an AI learning unit (330), and a platform providing unit (3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품지표 DB(310)는 오픈마켓(20)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품지표 DB(310)에 저장되는 오픈데이터 지표로는 상품평, 구매횟수, 평가점수, 평가순위, 연령별 선호도, 성별 선호도, 브랜드, 모델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product indicator DB (310) serves to store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that can be collected from the open market (20). The open data indicators stored in the product indicator DB (310) may include product reviews, number of purchases, evaluation scores, evaluation rankings, age-based preferences, gender-based preferences, brands, model names, etc.
다음, 상품 DB(320)는 구매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목록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들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기준에 의해 구분된 상품들을 종류별로 다시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Next, the product DB (320) serves to store a list of products that buyers can purchase. Preferred products can be stored by classifying them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products classified by the above criteria can be stored by classifying them again by type.
다음, 상기 AI 학습부(330)는 후술할 선물추천 플랫폼(400)에서의 선물 추출에 사용될 AI 알고리즘들을 학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머신러닝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AI learning unit (330) plays a role in learning AI algorithms to be used for gift extraction in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described later, and methods such as machine learning can be used.
상기 AI 학습부(330)는 제1학습모듈과 제2학습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학습모듈과 제2학습모듈은 각각 선물추천목록 생성을 위한 AI 추천 과정에서 사용되는 Collaborative Filtering 알고리즘(이하, 'CF 알고리즘'이라 한다)과 Latent Factorization 알고리즘(이하, 'LF 알고리즘'이라 한다)을 학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above AI learning unit (330) may include a first learning module and a second learning module. The first learning module and the second learning module are configured to learn the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F algorithm') and the Latent Factorization algorith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F algorithm'), respectively, which are used in the AI recommendation process for generating a gift recommendation lis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다음, 상기 플랫폼 제공부(340)는 후술할 선물추천 플랫폼(400)을 생성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품지표 DB(310) 및 상품 DB(32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선물추천 플랫폼(400)에 제공하거나, AI 학습부(330)에 의해 학습된 내용을 선물추천 플랫폼(400)에 추가로 적용하기 위한 업데이트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platform providing unit (340) plays a role in creating and managing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described later, and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data stored in the product index DB (310) and product DB (320) to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or to perform updates to additionally apply content learned by the AI learning unit (330) to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선물추천 서버(300)에는 구매자, 수취인 등의 회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나, 구매자 및 수취인에 의해 작성되는 추천선물목록에 대한 리뷰 또는 선물 사용 리뷰 등의 평가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구성 및 구매자에 의한 선물 비용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included in the city,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storing and managing member information of buyers, recipients, etc., a configuration for storing and managing evaluations such as reviews of recommended gift lists or gift usage reviews written by buyers and recipients, and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gift cost payments by buyers.
다음, 상기 선물추천 플랫폼(400)은 선물추천 서버(300)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되어 구매자와 수취인이 각각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자 단말기(100) 및 수취인 단말기(20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app),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is configured to be created and managed by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so that the buyer and recipient can access it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pplications (apps), programs, web pages, etc. that are installed and run on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선물추천 플랫폼(400)은 제1데이터 수집부(410), 제2데이터 수집부(420) 및 선물추천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제1데이터 수집부(410)는 구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구매자 정보 및 수취인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매자 정보로는 성명,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취인 정보로는 성별, 직업, 나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선물하고자 하는 상품의 금액이 구매자 정보 또는 수취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may include a first data collection unit (410), a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and a gift recommendation module (430). First,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410) serves to receive buyer inform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input through a buyer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5, the buyer information may include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and the recipient information may include gender, occupation, age, etc., and the amount of the product to be gifted may be included in the buyer information or the recipient information.
다음, 상기 제2데이터 수집부(420)는 오픈마켓(20)으로부터 판매되는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픈데이터 지표로는 상품평, 구매횟수, 평가점수, 평가순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데이터 수집부(420)를 통해 새로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은 선물추천 서버(300)의 상품지표 DB(310)에 추가 저장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collects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sold from the open market (20). As described above, the open data indicators may include product reviews, number of purchases, evaluation scores, evaluation rankings, etc., and the open data indicators newly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product indicator DB (31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다음, 상기 선물추천모듈(430)은 제1데이터 수집부(410)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와 제2데이터 수집부(420)를 통해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이용한 AI 추천을 통해 수취인에게 제공할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차 추출부(431) 및 2차 추출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430) plays a role in generat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through AI recommendations using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410) and open data indicator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and may include a first extraction unit (431)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432).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1차 추출부(431)는 제1데이터 수집부(410)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를 이용하여 선물추천 서버(300)의 상품 DB(320)로부터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1차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데이터 수집부(410)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의 성별, 나이 및 직업 등을 고려하여 상품 DB(320)에 저장된 상품목록들 중에서 수취인에게 적합한 추천선물목록(이하, '1차 추천선물목록'이라 한다)을 추출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first extraction unit (431) primarily extracts a list of gifts to be recommended from the product DB (32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410). As shown in FIG. 3, a list of recommended gifts suitable for the recipient can be extracted from the list of products stored in the product DB (320) by considering the gender, age, occupation, etc. of the recipient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4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ecommended gift list').
다음, 상기 2차 추출부(432)는 CF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1차 추출부(431)에 의해 추출된 1차 추천선물목록과 제2데이터 수집부(420)에 의해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매칭시켜 수취인에게 최초로 전송할 추천선물목록(이하, '2차 추천선물목록'이라 한다)을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extraction unit (432) may match the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extracted by the first extraction unit (431) with the open data indicators collected by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using the CF algorithm to extract the recommendation gift l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to be initially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상기 CF 알고리즘은 다양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추천 알고리즘으로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CF algorithm is a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big data that collects the preferences of various users and is used to predict the user's areas of interest. Since it is an algorithm that is already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선물추천 서버(300)의 AI 학습부(330)에 구비되는 제1학습모듈에 의해 성별, 나이 및 직업 등을 고려하여 추출된 1차 추천선물목록과 제2데이터 수집부(420)에 의해 수집되거나 상품지표 DB(310)에 저장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매칭시켜 수취인에게 적합한 2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는 CF 알고리즘을 선행 학습함으로써, 상기 2차 추출부(432)에서 AI 추천에 의해 수취인에게 최초로 전송할 추천선물목록, 즉 2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F algorithm is pre-learned to extract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suitable for a recipient by matching a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extracted by considering gender, age, and occupation, etc. by a first learning module equipped in an AI learning unit (330) of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with open data indices collected by a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or stored in a product index DB (310), thereby extracting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suitable for a recipient by AI recommendation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432).
또한, 상기 2차 추출부(432)에 의해 추출된 2차 추천선물목록이 선물추천 플랫폼(400)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로 각각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extracted by the secondary extraction unit (432) can be transmit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by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이때, 상기 구매자 단말기(100)로는 2차 추천선물목록이 단순 목록 형태로 전송될 수 있고, 수취인 단말기(200)로는 페이지 링크 형태의 2차 추천선물목록이 전송되어 수취인이 페이지 링크를 오픈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취인 단말기(200)를 통해 2차 추천선물목록이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can be transmit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00) in the form of a simple list, and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page link, so that when the recipient opens the page link,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can be configured to open through the recipient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5.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100)로는 2차 추천선물목록과 함께 선물 구매금액이 전송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추천선물목록을 확인함과 동시에 구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구매금액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ift purchase price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to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purchaser can check the recommended gift list and proceed with payment of the purchase price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100).
이때, 상기 구매금액의 결제는 구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수취인 정보 입력시 선물 금액대 결정과 함께 선결제로 진행될 수도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결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payment of the above purchase amount may be made as a prepayment together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gift amount when enter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using the purchaser's terminal (100), and since various payment methods currently in use may be us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수취인 단말기(200)로 전송된 2차 추천선물목록에서 수취인이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상품을 수취인에게 발송할 수 있다.And, when the recipient selects a gift he or she wishes to receive from the list of secondary recommended gifts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200), the selected product can be sent to the recipient.
한편, 상기 선물추천 플랫품은 수취인이 2차 추천선물목록 중 선물을 선택하기 위해 하는 행동패턴, 즉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을 수집하는 제3데이터 수집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데이터 수집부(440)로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은 보다 정확한 선물추천을 위한 학습, 즉 선물추천 서버(300)의 AI 학습부(330)에서의 학습에 활용되거나, 수취인이 2차 추천선물목록 중에서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적인 추천선물목록(이하, '3차 추천선물목록'이라 한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that collects a behavioral pattern of a recipient in selecting a gift from a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i.e., a usage pattern of a recipient's terminal (200).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s terminal (200)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may be utilized for learning for more accurate gift recommendations, i.e., learning in an AI learning unit (330) of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or may be used to generate an additional recommended gift l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tiary recommended gift list') when the recipient is unable to select a gift he or she wishes to receive from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선물추천모듈(430)은 3차 추출부(43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3차 추출부(434)는 제3데이터 수집부(440)에 의해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200)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해 상품 DB(320)로부터 새로운 상품들을 매칭시켜 3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LF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4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xtraction unit (434), and the third extraction unit (434) matches new products from the product DB (320) through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 terminal (200)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to extract a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and the aforementioned LF algorithm may be utilized.
상기 LF 알고리즘은 수취인에 대한 잠재요인(Latent Factors)을 이용하여 수취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 목록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잠재요인으로는 제3데이터 수집부(440)를 통해 수집한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 즉 수취인이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클릭한 상품, 상품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선호도 클릭(좋아요, 별로에요 등), 상세정보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상품 썸네일 클릭 횟수, 목록 재방문 시간과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above LF algorithm is a method of extracting a list of gifts to be recommended to the recipient by using latent factors of the recipient. The latent factors may include usage patterns of the recipient's terminal (200) collected through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i.e., products clicked by the recipient using the recipient's terminal (200), time spent on product images, preference clicks (like, dislike, etc.), time spent on detailed information images, number of product thumbnail clicks, time and number of times of revisiting the list, etc.,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본 발명에서는 선물추천 서버(300)의 AI 학습부(330)에 구비되는 제2학습모듈에 의해 수취인 단말기(200)로 1차적으로 전송된 2차 추천선물목록에 대한 제3데이터 수집부(440)에 의해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과 상품 DB(320)에 저장된 새로운 상품들을 매칭시켜 새로운 추천선물목록, 즉 3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는 LF 알고리즘을 선행 학습함으로써, 상기 3차 추출부(434)에서 AI 추천에 의해 수취인에게 새롭게 전송할 3차 추천선물목록을 상품 DB(320)로부터 새롭게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F algorithm is pre-learned by matching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 terminal (200)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with the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initially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200) by the second learning module equipped in the AI learning unit (33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with new products stored in the product DB (320) to extract a new recommendation gift list, i.e., a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so that the third extraction unit (434) can newly extract a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to be newly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by AI recommendation from the product DB (320).
또한, 상기 3차 추출부(434)는 LF 알고리즘에 의한 AI 추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추출된 상기 3차 추천선물목록을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로 각각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extraction unit (434) may play a role in transmitting the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extracted based on the AI recommendation result by the LF algorithm to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respectively.
수취인은 새로 전송된 페이지 링크 형태의 3차 추천선물목록을 오픈하여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할 수 있고, 선물 선택이 확정되면 선택된 상품을 수취인에게 발송할 수 있다.The recipient can open the 3rd recommended gift list in the form of a newly sent page link and select the gift they wish to receive. Once the gift selection is confirmed, the selected product can be sent to the recipient.
이때, 수취인이 3차 추천선물목록 중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하는 과정에서의 수취인 단말기(200) 사용패턴 또한 제3데이터 수집부(440)에서 수집될 수 있고, 수취인이 3차 추천선물목록 중에서도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제3데이터 수집부(440)를 통해 새롭게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200) 사용패턴을 이용한 AI 추천에 의해 상품 DB(320)로부터 새로운 추천선물목록을 다시 추출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s terminal (200)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gift to receive from the third recommended gift list can also be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and if the recipient is unable to select a gift to receive from the third recommended gift list, the process of extracting a new recommended gift list from the product DB (320) by AI recommendation using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s terminal (200) newly collected through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can be repe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물 추천 시스템(10)은 선물추천 플랫폼(400)에 구비되는 제4데이터 수집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4데이터 수집부(450)는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로부터 서비스 사용 리뷰, 선물 사용 리뷰 등의 평가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4데이터 수집부(450)를 통해 수집된 평가는 선물추천 서버(300)의 상품지표 DB(310)에 추가적으로 저장되거나, AI 학습부(330)를 통한 CF 알고리즘 및 LF 알고리즘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gift recommend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data collection unit (450) equipped in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The fourth data collection unit (450) serves to collect evaluations such as service usage reviews and gift usage reviews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The evaluations collected through the fourth data collection unit (450)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product index DB (31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or utilized for learning the CF algorithm and LF algorithm through the AI learning unit (330).
또한, 상기 선물추천 서버(300)에는 구매자 및 수취인에 의해 작성된 평가들을 저장하기 위한 평가 DB(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어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may separately have and manage an evaluation DB (not shown) for storing evaluations written by buyers and recipien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방법(이하, '선물 추천 방법'이라 한다)은 전술한 선물 추천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수취인에게 추천선물목록을 전송함으로써 수취인이 직접 받고자하는 선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데이터 저장 및 AI 학습단계(S10),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20), 1차 선물 추출단계(S30), 2차 선물 추출단계(S40), 추천선물목록 발송단계(S50), 선물선택단계(S60), 선물발송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gift recommendation method selected by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ift recommendation method") relates to a service provision method that enables a recipient to directly select a gift he or she wishes to receive by send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the recipient using the aforementioned gift recommendation system (10), and it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can largely include a data storage and AI learning step (S10), a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20), a first gift extraction step (S30), a second gift extraction step (S40), a recommended gift list sending step (S50), a gift selection step (S60), and a gift sending step (S70).
먼저, 상기 데이터 저장 및 AI 학습단계(S10)는 선물추천 플랫폼(400)을 이용한 선물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처리, 즉 준비 과정으로, 선물제공 서버(300)를 구성하는 상품지표 DB(310) 및 선물 DB에 각각 데이터를 저장하고, AI 학습부(330)를 통해 선물목록 추천과정에서 사용될 알고리즘들을 학습하는 과정이다.First, the data storage and AI learning step (S10) is a preprocessing, i.e., preparation step for providing a gift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It is a process of storing data in the product index DB (310) and gift DB constituting the gift provision server (300), and learning algorithms to be used in the gift list recommendation process through the AI learning unit (330).
즉, 상기 상품지표 DB(310)에는 여러 오픈마켓(20)들로부터 수집 가능한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저장하여 빅데이터화 할 수 있고, 상품 DB(320)에는 구매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들의 목록이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도 또는 종류 등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product index DB (310), open data indices for various products that can be collected from various open markets (20) can be stored and converted into big data, and in the product DB (320), a list of various products that buyers can purchase can be stored, categorized by gender, age, occupation, preference, or type.
다음, 상기 AI 학습부(330)를 통한 학습은 후술할 선물 추출 과정에서 사용될 AI 추천을 위한 제1학습단계(S12)와 제2학습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제1학습단계(S12)에서는 제1학습모듈을 이용한 CF 알고리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learning through the AI learning unit (330) may include a first learning step (S12) and a second learning step (S14) for AI recommendation to be used in the gift extraction process described later. First, in the first learning step (S12), CF algorithm learning may be performed using the first learning module.
즉, 상기 제1학습단계(S12)에서는 제1데이터 수집부(410)에 의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추출된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제2데이터 수집부(420)에 의해 수집된 오픈마켓(20)의 오픈데이터 지표를 서로 매칭시켜 2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는 CF 알고리즘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후술할 2차 선물 추출단계(S40)에서의 AI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first learning step (S12), learning can be performed on a CF algorithm that extracts a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by matching the first recommended gift list extracted first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410) with the open data index of the open market (20) collected by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thereby enabling AI recommendation in the second gift extraction step (S40) described later.
또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오픈데이터 지표를 매칭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오픈데이터 지표 중 구매횟수, 선호도 등의 특정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다 정교한 추천선물목록이 추출되도록 하거나, 연령 및 직업에 검색 유사군을 설정하여 매칭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추천선물목록 추천시 선택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the process of matching the first recommended gift list with the open data indicators, weights may be given to specific indicators among the open data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of purchases and preferences, so that a more sophisticated recommended gift list can be extracted, or a matching range may be expanded by setting a search similar group for age and occupation, so that selection errors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when recommending the recommended gift list.
이때, 검색 유사군은 연령이 40대인 경우 30대와 50대를 유사군으로 설정하고, 직업이 회사원인 경우 성별에 따라 주부나 학생을 유사군으로 설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rch similar group can be set to similar groups in their 30s and 50s if the age is in the 40s, and if the occupation is office workers, the similar group can be set to housewives or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다음, 상기 제2학습단계(S14)에서는 제2학습모듈을 이용한 LF 알고리즘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3차 선물 추출단계(S90)에서의 AI 추천을 위한 것이다.Next, in the second learning step (S14), learning of the LF algorithm using the second learning module can be performed, which is for AI recommendation in the third gift extraction step (S90) described later.
즉, 상기 제2학습단계(S14)에서는 수취인에게 전송된 추천선물목록들에 대한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 즉 상기 선물추천 플랫폼(400)의 제3데이터 수집부(440)에 수집되는 수취인이 클릭한 상품, 상품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선호도 클릭(좋아요, 별로에요 등), 상세정보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상품 썸네일 클릭 횟수, 목록 재방문 시간과 횟수 등을 이용한 LF 알고리즘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천선물목록에 포함된 상품별로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을 구분하여 표시한 후, 이를 공간으로 차원(dimension)화하여 나타내면 수취인이 선호하는 상품, 즉 선택할 확률이 높은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econd learning step (S14), the LF algorithm can be learned by using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s terminal (200) for the recommended gift list sent to the recipient, that is, the product clicked by the recipient, the time spent on the product image, the preference click (like, dislike, etc.), the time spent on the detailed information image, the number of product thumbnail clicks, the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list is revisited, etc., which are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of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As shown in FIG. 4, if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s terminal (200) is displayed by dividing it by product included in the recommended gift list and then dimensioning it into space to display it, the product preferred by the recipient, that is, the product with a high probability of being selected, can be identified.
이때, 특정 상품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stay time)은 다른 이벤트가 생기기 전까지 또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전환 이벤트가 생기기 전까지를 카운트할 수 있고, 정확도 향상을 위해 통계에서는 머무르는 시간이 사전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경우 미사용 타임으로 분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spent on a specific product image (stay time) can be counted until another event occurs or until a background process transition event occurs, and for improved accuracy, statistics can classify it as unused time if the stay time exceeds a preset threshold.
이상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학습단계(S12,S14)를 사전단계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학습단계(S12,S14)를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선물추천 플랫폼(400)에서의 AI 추천이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first and second learning stages (S12, S14) were described as preliminary stages,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figure the AI recommendation in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to be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updated by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performing the first and second learning stages (S12, S14) by utilizing newly added data during the service provision process.
다음, 상기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20)는 선물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선물을 수령할 수취인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구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선물추천 서버(300)를 통해 생성되는 선물추천 플랫폼(4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먼저 성명, 연락처, 결제방법 등의 구매자 정보를 입력한 후, 성별, 직업, 나이 등을 포함하는 수취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Next,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20) is a process in which a buyer who wishes to purchase a gift inputs the information of the recipient who will receive the gift using the buyer terminal (100). The buyer first inputs the buyer information such as name, contact information, and payment method while connected to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generated by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using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n the recipient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occupation, age, etc. can be input.
다음, 상기 1차 선물 추출단계(S30)는 선물추천 서버(300)의 상품 DB(320)로부터 수취인에게 제공할 추천선물목록을 1차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으로,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수취인의 성별, 직업, 나이 등의 정보와 대응되는 내부 데이터, 즉 상품 DB(320)에 구분되어 저장된 성별, 직업, 나이 등에 따른 선호 데이터를 활용하여 1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Next, the first gift extraction step (S30) is a process of initially extract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from the product DB (32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The first list of recommended gifts can be extracted by utilizing intern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recipient, such as gender, occupation, and age, entered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20), i.e., preference data according to gender, occupation, age, etc., stored separately in the product DB (320).
다음, 상기 2차 선물 추출단계(S40)는 1차 선물 추출단계(S30)에서 추출된 1차 추천선물목록과 오픈마켓(20)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를 활용하여 수취인에게 제공할 2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오픈 데이터 수집단계(S42)와 제1상품지표 매칭단계(S44)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gift extraction step (S40) is a process of extracting a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by utilizing the first recommended gift list extracted in the first gift extraction step (S30) and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that can be collected from an open market (20), and may include an open data collection step (S42) and a first product indicator matching step (S44).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픈 데이터 수집단계(S42)는 선물추천 플랫폼(400)의 제2데이터 수집부(4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오픈마켓(20)들로부터 판매되는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수집하는 과정으로, 상기 오픈데이터 지표에는 상품평, 구매횟수, 평가점수, 평가순위, 연령별 선호도, 성별 선호도, 브랜드, 모델명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은 선물추천 서버(300)의 상품지표 DB(310)에 저장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open data collection step (S42) is a process of collecting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sold from various open markets (20) using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20) of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The open data indicators may include product reviews, number of purchases, evaluation scores, evaluation rankings, age-based preferences, gender-based preferences, brands, model names, etc., and the collected open data indicators may be stored in the product indicator DB (31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다음, 상기 제1상품지표 매칭단계(S44)는 1차 선물 추출단계(S30)에서 추출된 1차 추천선물목록과 오픈 데이터 수집단계(S42)에서 수집된 해당 상품, 즉 1차 추천선물목록에 포함된 상품들의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매칭시켜 AI 추천에 의해 수취인에게 제공할 2차 추천선물목록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상품지표 매칭단계(S44)는 상기 선물추천 플랫폼(400)의 2차 추출부(432)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AI 추천에는 전술한 제1학습단계(S12)에서 학습된 CF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first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44) is a process of extracting a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by AI recommendation by matching the first recommended gift list extracted in the first gift extraction step (S30) with the open data indexes of the corresponding products collected in the open data collection step (S42), i.e., products included in the first recommended gift list. The first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44) can be perform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432) of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and the CF algorithm learned in the first learning step (S12)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the AI recommendation.
다음, 상기 추천선물목록 발송단계(S50)는 2차 선물 추출단계(S40)에서 AI 추천에 의해 추출된 추천선물목록, 즉 2차 추천선물목록을 구매자와 수취인에게 각각 전송하는 과정으로 선물추천 플랫폼(400)의 2차 추출부(432)는 AI 추천에 의해 추출된 2차 추천선물목록을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로 각각 전송함으로써 구매자에게는 추천된 선물 종류 및 구매가격을 알리고, 수취인에게는 구매자로부터 선물이 제공된 사실을 알림과 동시에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recommended gift list sending step (S50) is a process of sending the recommended gift list extracted by AI recommendation in the secondary gift extraction step (S40), i.e.,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to the buyer and the recipient, respectively. The secondary extraction unit (432) of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sends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extracted by AI recommendation to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respectively, thereby informing the buyer of the recommended gift type and purchase price, and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fact that a gift has been provided by the buyer, while allowing the recipient to select the gift he or she wishes to receive.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100)로는 2차 추천선물목록과 함께 선물 구매금액과 결제링크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추천선물목록을 확인함과 동시에 구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구매금액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gift purchase amount and payment link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cond recommended gift list to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purchaser can proceed with payment of the purchase amount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100) while checking the recommended gift list.
또한, 상기 수취인 단말기(200)로는 페이지 링크 형태의 2차 추천선물목록이 전송되어 수취인이 페이지 링크를 오픈하면 2차 추천선물목록이 열리면서 수취인이 목록에 포함된 상품들의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in the form of a page link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200) so that when the recipient opens the page link,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opens and the recipient can check detailed information on products included in the list.
다음, 상기 선물선택단계(S60)는 수취인이 직접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하는 단계로, 수취인은 수취인 단말기(200)로 전송된 2차 추천선물목록에 포함된 상품들을 충분히 살펴본 후 받고자하는 선물을 선택하고, 선택된 선물을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선물추천 플랫폼(400)에 등록할 수 있다.Next, the gift selection step (S60) is a step in which the recipient selects a gift that he or she wishes to receive. The recipient can carefully review the products included in the secondary recommended gift list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200), select the gift he or she wishes to receive, and register the selected gift on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using the recipient terminal (200).
다음, 상기 선물발송단계(S70)는 선물선택단계(S60)에서 선택된 선물을 수취인에게 발송하는 과정으로, 선물을 보내는 주소는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S20)에서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수취인 주소를 사용하거나, 구매자가 수취인의 주소를 알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선물선택단계(S60)에서 수취인이 직접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선물을 받고자 하는 주소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Next, the gift sending step (S70) is a process of sending the gift selected in the gift selection step (S60) to the recipient. The address to which the gift is sent uses the recipient address entered by the purchaser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ep (S20). If the purchaser does not know the recipient's address, the gift selection step (S6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recipient directly inputs the address at which he or she wishes to receive the gift using the recipient terminal (2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물 추천 방법은 3차 선물 추출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3차 선물 추출단계(S90)는 선물선택단계(S60)에서 수취인이 받고자 하는 선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수취인에게 제공할 추천선물목록을 다시 추출하기 위한 과정이다.Meanwhile, the gif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gift extraction step (S90). The third gift extraction step (S90) is a process for re-extracting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when the recipient is unable to select a gift they wish to receive in the gift selection step (S6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3차 선물 추출단계(S90)는 수취인 패턴 수집단계(S92)와 상품지표 매칭단계(S94)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수취인 패턴 수집단계(S92)는 수취인이 상기 선물선택단계(S60)에서 선물을 선택하기 위해 수행하는 행동패턴, 즉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을 수집하는 과정으로, 수취인이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클릭한 상품, 상품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선호도 클릭(좋아요, 별로에요 등), 상세정보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상품 썸네일 클릭 횟수, 목록 재방문 시간과 횟수 등의 수취인 단말기(200) 사용패턴이 선물추출 플랫폼의 제3데이터 수집부(44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third gift extraction step (S90) may include a recipient pattern collection step (S92) and a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94). First, the recipient pattern collection step (S92) is a process of collecting a behavioral pattern performed by the recipient to select a gift in the gift selection step (S60), i.e., a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 terminal (200).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 terminal (200), such as a product clicked by the recipient using the recipient terminal (200), time spent on a product image, preference clicks (like, dislike, etc.), time spent on a detailed information image, number of product thumbnail clicks, time and number of list revisits, etc.,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of the gift extraction platform.
다음, 상기 상품지표 매칭단계(S94)는 수취인 패턴 수집단계(S92)에서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200)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해 상품 DB(320)로부터 추가적인 상품들을 매칭하여 AI 추천을 통해 새로운 추천선물목록, 즉 3차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상품지표 매칭단계(S94)를 전술한 2차 선물 추출단계(S40)의 제1상품지표 매칭단계(S44)와의 구분을 위해 제2상품지표 매칭단계(S94)라 칭하기로 한다.Next, the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94) is a process of creating a new recommended gift list, i.e., a third recommended gift list, through AI recommendation by matching additional products from the product DB (320) through analysis of the recipient terminal (200) usage pattern collected in the recipient pattern collection step (S92). Hereinafter, the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94)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94) to distinguish it from the first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44) of the second gift extraction step (S40) described above.
즉, 상기 제2상품지표 매칭단계(S94)는 전술한 제2학습단계(S14)에서 학습된 L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AI 추천을 통해 새로운 3차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선물추천 플랫폼(400)의 3차 추출부(434)에서는 학습된 L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3데이터 수집부(440)로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200)의 사용패턴, 즉 수취인이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클릭한 상품, 상품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선호도 클릭(좋아요, 별로에요 등), 상세정보 이미지에 머무르는 시간, 상품 썸네일 클릭 횟수, 목록 재방문 시간과 회수 등의 분석 결과를 상품 DB(320)에 저장된 상품들을 매칭하여 3차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새롭게 생성된 3차 추천선물목록은 3차 추출부(434)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100)와 수취인 단말기(200)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product index matching step (S94) is a process of generating a new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through AI recommendation using the LF algorithm learned in the second learning step (S14) described above, and the third extraction unit (434) of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can matc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usage pattern of the recipient terminal (200)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440) using the learned LF algorithm, i.e., the product clicked by the recipient using the recipient terminal (200), the time spent on the product image, the preference click (like, dislike, etc.), the time spent on the detailed information image, the number of product thumbnail clicks, the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list is revisited, etc., with the products stored in the product DB (320) to generate a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and the newly generated third recommendation gift list can be transmitted back to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by the third extraction unit (434).
상기와 같이, 3차 추천선물목록의 추출이 완료되면 전술한 추천선물목록 발송단계(S50)와, 선물선택단계(S60)가 반복되며,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은 수취인에 의해 최종적인 선물 선택이 이루어질 때까지 연속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traction of the third recommended gift list is completed, the recommended gift list sending step (S50) and the gift selection step (S60) described above are repeated, and this repetition of the process can be continued until the final gift selection is made by the recipient.
또한, 상기 선물선택단계(S60)에서 수취인에 의해 선물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전술한 수취인 패턴 수집단계(S92)가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수취인 패턴 수집단계(S92)에서 수집된 수취인의 수취인 단말기(200) 사용 패턴들은 선물추천 서버(300)의 상품지표 DB(310)에 추가적으로 저장되거나, AI 학습부(330)를 통한 CF 알고리즘 및 LF 알고리즘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gift is selected by the recipient in the gift selection step (S60), the recipient pattern collection step (S92)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The recipient terminal (200) usage patterns collected in the recipient pattern collection step (S92)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product index DB (310)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or may be utilized for learning the CF algorithm and LF algorithm through the AI learning unit (3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물 추천 방법은 리뷰등록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리뷰등록단계(S80)는 구매자와 수취인이 각각 구매자 단말기(100) 및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선물 추천 서비스에 대한 사용 리뷰, 선물 사용 리뷰 등의 평가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구매자 단말기(100) 및 수취인 단말기(200)에 의해 입력된 평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물추천 플랫폼(400)의 제4데이터 수집부(450)에 의해 수집되어 선물추천 서버(300)의 평가 DB에 저장될 수 있고, 평가 결과는 AI 학습부(330)를 통한 CF 알고리즘 및 LF 알고리즘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gif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view registration step (S80). The review registration step (S80) is a process in which the buyer and the recipient input evaluations, such as usage reviews and gift usage reviews, for the gift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respectively. The evaluations input by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terminal (200) may be collected by the fourth data collection unit (450) of the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00) as described above and stored in the evaluation DB of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300), and the evaluation results may be utilized for learning the CF algorithm and the LF algorithm through the AI learning unit (33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물 추천 시스템에 의하면,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선물의 최종 선택을 수취인이 직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추천된 선물 목록에서 수취인이 선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수취인 단말기(200)를 이용한 수취인의 행동 패턴을 고려한 추천 선물목록을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수취인에게 다시 제공함으로써 수취인들이 원하는 선물을 보다 정교하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취인의 성향 및 기호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한 인공지능(AI) 학습을 통해 보다 정확한 선물목록을 추천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gif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is generat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selected through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is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so that the recipient can directly make the final selection of the gift,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and in the case where the recipient is unable to select a gift from the recommended gift list, the recommended gift list is additionally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recipient using the recipient terminal (200) and provided again to the recipient, thereby enabling more precise recommendations of gifts desired by the recipient, and at the same time, recommending a more accurate gift lis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learning using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tendencies and preferences of the recipient, etc., has various advantages.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described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선물을 받는 사람, 즉 수취인 정보를 통해 선택되는 1차 추천 선물목록과, 성별, 연령별 및 직업별 선호 상품에 대한 오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2차 추천 선물목록을 수취인에게 전송하여 수취인이 직접 원하는 선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와 수취인 모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which generates a first recommendation gift list selected through information on a recipient, i.e., a gift recipient input by a purchaser, and a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comprehensively considering open data on preferred product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recommendation gift list to the recipient, thereby allowing the recipient to directly select a desired gift, thereby maximizing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purchaser and the recipient.
10 : 선물 추천 시스템 20 : 오픈마켓
100 : 구매자 단말기 200 : 수취인 단말기
300 : 선물추천 서버 310 : 상품지표 DB
320 : 상품 DB 330 : AI 학습부
340 : 플랫폼 제공부 400 : 선물추천 플랫폼
410 : 제1데이터 수집부 420 : 제2데이터 수집부
430 : 선물추천모듈 431 : 1차 추출부
432 : 2차 추출부 434 : 3차 추출부
440 : 제3데이터 수집부 450 : 제4데이터 수집부
S10 : 데이터 저장 및 AI 학습단계 S12 : 제1학습단계
S14 : 제2학습단계 S20 : 수취인 정보 입력단계
S30 : 1차 선물 추출단계 S40 : 2차 선물 추출단계
S42 : 오픈데이터 수집단계 S44 : 제1상품지표 매칭단계
S50 : 추천선물목록 발송단계 S60 : 선물선택단계
S70 : 선물발송단계 S80 : 리뷰등록단계
S90 : 3차 선물 추출단계 S92 : 수취인 패턴 수집단계
S94 : 제2상품지표 매칭단계10: Gift recommendation system 20: Open market
100: Buyer terminal 200: Recipient terminal
300: Gift recommendation server 310: Product index DB
320: Product DB 330: AI Learning Department
340: Platform provider 400: Gift recommendation platform
410: First data collection unit 420: Second data collection unit
430: Gift recommendation module 431: 1st extraction section
432: 2nd extraction section 434: 3rd extraction section
440: 3rd data collection unit 450: 4th data collection unit
S10: Data storage and AI learning stage S12: First learning stage
S14: Second learning stage S20: Recipient information input stage
S30: 1st gift extraction stage S40: 2nd gift extraction stage
S42: Open data collection stage S44: First product indicator matching stage
S50: Recommended gift list sending stage S60: Gift selection stage
S70: Gift delivery stage S80: Review registration stage
S90: 3rd gift extraction stage S92: Recipient pattern collection stage
S94: Second product index matching stage
Claims (7)
오픈마켓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저장하는 상품지표 DB와, 구매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목록을 저장하는 상품DB를 포함하고, 구매자 단말기 및 수취인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한 선물추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수취인 정보와 오픈마켓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이용하여 수취인에게 제공할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 및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추천선물목록으로부터 상기 수취인에 의해 선택된 선물은 상기 수취인에 의해 상기 선물추천서버로 등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
A buyer terminal and a recipient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each possessed by a buyer who wishes to purchase a gift and a recipient terminal who wishes to receive the gift,
It consists of a product index DB that stores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that can be collected from open markets, a product DB that stores a list of products that buyers can purchase, and a gift recommendation server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buyer terminals and recipient terminals.
The above gift recommendation server is,
A list of recommended gifts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is created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entered through the above buyer terminal and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that can be collected from the open market, and is transmitted to the buyer terminal and the recipient terminal.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characterized in that a gift selected by the recipient from the list of recommended gifts transmitted to the recipient terminal can be registered by the recipient to the gift recommendation server.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구매자 정보와 수취인 정보를 수신하는 제1데이터 수집부와, 오픈마켓으로부터 상품들에 대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수집하는 제2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제1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와 제2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이용하여 추천선물목록을 생성하는 선물추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물추천모듈은,
제1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수취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DB로부터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1차적으로 추출하는 1차 추출부와,
C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선물목록과 제2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오픈데이터 지표들을 매칭시켜 수취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2차적으로 추출하는 2차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gift recommendation server is,
It includes a first data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buyer information and recipient information input through a buyer terminal, a second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open data indicators for products from an open market, and a gift recommendation module that generates a recommended gift list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open data indicator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The above gift recommendation module is,
A first extraction unit that primarily extracts a list of gifts to be recommended from the product DB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data collection unit;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ary extraction unit that secondarily extracts a gift list to be recommended to a recipient by matching the gift list extracted by the first extraction unit with open data indicators collected by the second data collection unit using a CF algorithm.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추천선물목록 중 받고자하는 선물을 선택하기 위한 수취인의 수취인 단말기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제3데이터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물추천모듈은 L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3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수취인 단말기 사용 패턴 분석결과와 상품 DB로부터 새로운 상품들을 매칭시켜 수취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선물목록을 3차적으로 추출하는 3차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gift recommendation server is,
It further includes a third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recipient's terminal usage pattern for selecting a gift to be received from the recommended gift list.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hird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list of gifts to be recommended to the recipient by matching new products from the product DB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cipient's terminal usage patterns collected by the third data collection unit using the LF algorithm. The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the recipi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third extraction unit that uses the LF algorithm to extract a list of gifts to be recommended to the recipient.
상기 선물추천 서버는,
상기 선물추천모듈에서 사용될 CF 알고리즘 및 LF 알고리즘을 학습하기 위한 AI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는 사람이 선택하는 선물 추천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gift recommendation server is,
A gif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ed by a recipi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I learning unit for learning the CF algorithm and LF algorithm to be used in the gift recommendation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754A KR102753469B1 (en) | 2021-11-29 | 2021-11-29 | Gift recommendation system chosen by recipi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754A KR102753469B1 (en) | 2021-11-29 | 2021-11-29 | Gift recommendation system chosen by recipie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704A KR20230079704A (en) | 2023-06-07 |
KR102753469B1 true KR102753469B1 (en) | 2025-01-10 |
Family
ID=8676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6754A Active KR102753469B1 (en) | 2021-11-29 | 2021-11-29 | Gift recommendation system chosen by recipi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346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33831A (en) * | 2023-09-01 | 2025-03-10 | 주식회사 카카오 | Method,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product recommendation |
KR102845873B1 (en) * | 2025-04-17 | 2025-08-12 | 김태광 | Customized gift recommend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64334A1 (en) | 2007-12-21 | 2009-06-25 | Heart Of America E-Commerce, L.L.C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gift |
US20200034914A1 (en) | 2018-07-24 | 2020-01-3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ift determination and delivery |
US20210182976A1 (en) | 2019-12-12 | 2021-06-17 | KoTrie |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media recommendations engin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9582A (en) | 2019-01-07 | 2019-07-05 | 주식회사 루돌프라이딩 | Service mehtod for recommending gifts and server usingn the same |
KR102240260B1 (en) | 2019-05-30 | 2021-04-14 | 김진아 | Gift recommendation method |
-
2021
- 2021-11-29 KR KR1020210166754A patent/KR1027534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64334A1 (en) | 2007-12-21 | 2009-06-25 | Heart Of America E-Commerce, L.L.C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gift |
US20200034914A1 (en) | 2018-07-24 | 2020-01-3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ift determination and delivery |
US20210182976A1 (en) | 2019-12-12 | 2021-06-17 | KoTrie |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media recommendations engin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704A (en) | 2023-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077317B (en) | Item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user data | |
KR100779592B1 (en) |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receipt and questionnaire of consumer panel | |
US8332258B1 (en) | Business to business dynamic pricing system | |
KR101868583B1 (en) | Method for providing affiliate store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bigdata analysis with objective information | |
CN113742492A (en) | Insurance schem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20200115694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trading area information using big data | |
KR102753469B1 (en) | Gift recommendation system chosen by recipients | |
CN114820123B (en) | Group purchase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US20070250330A1 (en) | Sourcing controller | |
KR102474654B1 (en) |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price comparison service using crosschecking | |
JP2006053616A (en) | Server device, WEB site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 |
KR102696245B1 (en) | System for automated product trad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1744764B1 (en) | System for managing real estate offerings | |
KR101744765B1 (en) | Server for managing real estate offerings | |
CN101770467B (en) |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ssociated products via a computer network | |
US20150142782A1 (en) | Method for associating metadata with images | |
CN116842266B (en) | Dynamic recommendation system for perceiving user behaviors and interests | |
KR100893413B1 (en) | Internet product sales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user's own database construction | |
KR20080030202A (en) | How to promote online shopping malls using blogs and product sales system | |
KR102709420B1 (en) | System that assists in searching for the lowest price product on a multi-platform | |
KR102780026B1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pros and cons keyword based on product review | |
CN110020136A (en) | Object recommend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 |
CN114297514A (en) |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being configured and generated autonomously | |
CN113886450A (en) | User match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10193281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ord-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9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