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6840B1 -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6840B1 KR102746840B1 KR1020210176467A KR20210176467A KR102746840B1 KR 102746840 B1 KR102746840 B1 KR 102746840B1 KR 1020210176467 A KR1020210176467 A KR 1020210176467A KR 20210176467 A KR20210176467 A KR 20210176467A KR 102746840 B1 KR102746840 B1 KR 102746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recovery
- charger
- reference point
-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68—Logging of test resul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5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expert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7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에 대한 충방전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이벤트(정전후 복전, 사용자 강제 중지후 재개)가 발생되면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주도록 하는 충방전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데이터 복구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충방전 시스템은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 대한 공정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공정에 연관된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구 데이터를 출력하는 충방전기; 및 상기 충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출력된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영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단말은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기에 의해 수행되다가 현재 중단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고,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정을 재개하고,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재개된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결과 데이터에 연속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A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a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posed to provide data continuity so that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when a predetermined event (recovery after power failure, resumption after user-forced stop) occurs during charging/discharging of a battery. The proposed charging/discharging system includes a charger/discharger which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performs a process on the battery, generat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lated to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sult, and outputs the recovery data; And an operating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er/discharger and receiving recovery data output from the charger/discharger; wherein the operating terminal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a first process which was being performed by the charger/discharger and is currently suspended according to a user key input, and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gether with a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and the charger/discharger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generates result data continuous to the result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based on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sumed first proc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방전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데이터 복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이벤트(정전후 복전되는 이벤트, 사용자 강제 중지후 재개되는 이벤트 등)에서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충방전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데이터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a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harging/discharging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process data in a predetermined event (an event in which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an event in which power is resumed after a user-forced stop, etc.) and a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전기 및 전자 기술의 발달로 작고 가벼우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형 전자제품들의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휴대형 전자제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 장치로서 배터리(Battery)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충전하여 다시 쓸 수 있는 2차 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technology, the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small and light but have various functions is rapidly increasing. Batteries are generally used as a power supply device for the oper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recharged and reused are mainly used.
니켈-카드뮴 전지 및 납 축전지와 같은 2차 전지는 생산 후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방전기는 성능 평가용으로만 필요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 및 리튬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2차 전지의 경우, 제조 후 소정의 충방전을 실시하는 과정, 즉, 화성 공정을 거쳐야만 전지로서의 성능이 완성되므로 충방전기가 2차 전지의 생산 라인에 필수적 설비가 되었다.Secondary batteries such as nickel-cadmium batteries and lead-acid batteries can be used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so chargers and dischargers were only need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in the case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ion batteries and lithium polymer batteries that are widely used recently,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completed only after the process of performing a certain charge and discharge after production, that is, the formation process, so chargers and dischargers have become essential equipment in the production line of secondary batteries.
충방전기는 2차 전지의 생산 공정 중 조립이 완료된 최초의 전지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수 회 정도의 충전 및 방전 공정을 반복하여 2차 전지의 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차 전지의 수요 급증에 따른 공급의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2차 전지의 생산 단계에서 충방전 기능을 수행하는 충방전기도 많이 필요하게 되었다.The charger/discharger performs the function of impar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by repeat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several times so that the first battery assembled during the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process can store electric energy. A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rapidly increased and the supply increased, the number of chargers/dischargers that perform the charging/discharging func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stage also increased.
통상의 충방전기는 다수개의 2차 전지를 동시에 충방전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Conventional chargers are manufactured with a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the function of charging and discharging multiple secondary batteries simultaneously.
다수개의 2차 전지를 한꺼번에 충방전시키기 위해서 충방전기에서는 2차 전지를 일정 갯수 단위로 장착하는 트레이가 사용되고, 충방전기 회로부에는 그 수에 대응되는 다수의 채널이 형성되어 사용된다. In order to charge and discharge multiple secondary batteries at the same time, a tray is used in the charger/discharger to mount a certain number of secondary batteries, and a number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that number are formed and used in the charger/discharger circuitry.
통상적으로, PC의 설비(즉, 충방전기) 전용 응용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공정을 시작하면 충방전기는 공정에 관련된 스케줄을 PC로부터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한 후에 공정에 관련된 스케줄에 따라 공정을 시작한다. 충방전기는 공정진행중인 상황을 실시간으로 PC에게로 송신하고, PC는 수신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충방전기는 공정 데이터를 내부에 파일로 저장한다. 일정 주기마다 PC는 충방전기로부터 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Typically, when a user starts a process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program for the PC's equipment (i.e., a charger/discharger), the charger/discharger receives a schedule related to the process from the PC, stores it internally, and then starts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edule related to the process. The charger/discharger transmits the status of the process in progress to the PC in real time, and the PC displays the received data in real time, and the charger/discharger stores the process data as a file internally. At regular intervals, the PC receives process data from the charger/discharger and stores it in the form of a file.
한편,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도 충방전기가 공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전원장치)가 설치된다.Meanwhil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is installed to enable the charger to save process data even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power supply.
그런데, UPS의 노후화 또는 문제가 발생하여 공정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고, 한번 공정 진행이 완료되면 동일 공정에 대한 데이터 연속성이 사라진다.However, if the UPS becomes aging or has a problem and cannot store process data, data loss occurs, and once the process is completed, data continuity for the same process is lost.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publicly available prior ar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에 대한 충방전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이벤트(정전후 복전, 사용자 강제 중지후 재개)가 발생되면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주도록 하는 충방전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데이터 복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a data recovery method thereby, which grants data continuity so that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when a predetermined event (recovery after power failure, resumption after user-forced stop) occurs during charging/discharging of a 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충방전 시스템은,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 대한 공정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공정에 연관된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구 데이터를 출력하는 충방전기; 및 상기 충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출력된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영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단말은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기에 의해 수행되다가 현재 중단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고,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정을 재개하고,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재개된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결과 데이터에 연속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rging/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r/discharger which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performs a process for the battery, generat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lated to the process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performance, and outputs the recovery data; and an operating terminal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arger/discharger and receives the recovery data output from the charger/discharger; wherein the operating terminal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a first process which was being performed by the charger/discharger and is currently suspended according to a user key input, and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gether with a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and the charger/discharger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generates result data which is continuous to the result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based on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sumed first process.
상기 측정 데이터는 공정 수행중에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로오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구 데이터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복구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값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one or more raw data measur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during the process, the recovery data may include a value created by proces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result data may include a value created by processing the recovery data.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 1 공정이 재개됨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결과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harger may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first process; 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result data based on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와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generat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by combining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nd can generat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by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는, 상기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시점의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may be the recovery data at the last saved point in time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는, 상기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시점들중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저장 시점의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may be the recovery data of a storage point in time selected by a user's key input from among the storage points in time at which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first process are stored.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운영단말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결과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storage unit additionally receives and stores recovery data of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rom the operating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result data based on the recovery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운영단말은, 상기 충방전기로부터의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operating terminal may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first process from the charger/discharger;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시킬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additionally transmit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기로부터의 데이터 세트에서 복구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서로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및 사용자 키입력에 의한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recovery data and non-recovery data from the data set from the charger; and a tim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upon receiving a forced stop command of the first process by a user key input.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상기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의 복구 데이터가 저장된 시점일 수 있다.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may be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last recovery data was saved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상기 제 1 공정은, 강제중지후에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고 나서 재개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process can be resumed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after the forced stop.
상기 제 1 공정은, 다수의 채널중에서 어느 한 채널에서의 공정이고, 상기 제 1 공정이 제 1 채널에서 수행되고 제 2 공정이 제 2 채널에서 수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제 1 공정이 강제중지후에 상기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됨에 따라 상기 제 2 공정에 후속하여 상기 제 2 채널에서 재개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process is a process in one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and while the firs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econd channel, after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the second process can be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following the second process as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은, 충방전기가, 배터리에 대한 공정 수행 결과에 따라 제 1 공정에 연관된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운영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단말이, 상기 충방전기로부터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영단말이,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기에 의해 수행되다가 현재 중단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영단말이,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정을 재개하되,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재개된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결과 데이터에 연속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in which a charger/discharger generat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lated to a first process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a process on a battery and transmits them to an operating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operating terminal receives and stores the recovery data from the charger/discharger; a step in which the operating terminal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a first process that was performed by the charger/discharger and is currently suspended according to a user key input; a step in which the operating terminal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gether with a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and a step in which the charger/discharger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generates result data that is continuous to the result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based on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sumed first process.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충방전기의 전원이 완전히 끊어졌다가 복구되는 이벤트,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하는 이벤트,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하는 이벤트 등이 행해진다고 하더라도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an event occurs in which the power of the charger/discharger is completely cut off and then restored, an event in which a user forcibly stops a first process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an event in which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while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and t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data continuity can be provided in which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방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운영단말 내부로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 저장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방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복구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to which a charging/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illustrated in Figure 1.
FIG. 3 is a drawing employed to explain the storage of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into the operating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recovery operation in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rawing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5.
Figure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rawing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7.
Figure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rawing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9.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to which a charging/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서의 충방전 시스템(50)은 이차전지와 같은 배터리를 충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charge/discharge system (50) in Fig. 1 is a system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 battery such as a secondary battery.
충방전 시스템(50)은 전원부(10) 및 배터리(30)와 연결되고, 충방전기(20) 및 운영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5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10) and a battery (30), and may include a charging/discharging unit (20) and an operating terminal (40).
전원부(10)는 소정의 입력 전원을 충방전 시스템(50)내의 충방전기(20) 및 운영단말(4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0)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input power to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the operating terminal (40) within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50).
전원부(10)는 충방전기(20)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30)의 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0)는 배터리(30)의 방전 전력을 접지 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 can receive the discharge power of the battery (30)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20).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0) can output the discharge power of the battery (30) through the ground terminal.
충방전기(20)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공정에 관련된 스케줄을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하고, 공정에 관련된 스케줄에 따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arger (20) can receive a schedule related to a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 it internally, and perform a process according to the schedule related to the process.
충방전기(20)는 조립 완료된 배터리(30)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충방전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이차전지의 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harger/discharger (20) performs the function of impar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by repeatedly performing a charging/discharging process so that the assembled battery (30) can store electric energy.
충방전기(2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즉, 평상시)에는 충방전 공정에 따른 각종의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저장시킨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데이터 종류중에서 측정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는 공정 데이터로 통칭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로는 충방전기(20)의 전원이 완전히 끊어졌다가 복구되는 이벤트,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이벤트,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The charger/discharger (20) can store various types of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i.e., during normal times), and transmit the stored data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mong the types of data exemplified above,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result data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ocess data. Here, the event may include an event in which the power of the charger/discharger (20) is completely cut off and then restored, an event in which a user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tarts the first process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an event in which the firs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econd channel, and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restarted in the second channel.
한편, 충방전기(2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근거로 이전의 공정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만약, 충방전기(20)가 운영단말(40)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과 함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한다면 수신한 복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perform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process data that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e.g., measurement data, result data) based o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mong the stored data. If the charger/discharger (20) additionally receives recovery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received recovery data can be utilized.
예를 들어, 정전되었다가 복전되는 제 1 이벤트인 경우, 충방전기(20)는 정전 이후에 복전되면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근거로 이전의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vent where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perform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process data that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based o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mong the stored data when power is restored after the power outag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2 이벤트인 경우, 충방전기(20)는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킨다. 이 경우, 충방전기(20)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에 따라 제 1 공정을 강제중지하고 강제중지때까지의 제 1 공정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한 후에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공정의 재개는 제 2 공정의 완료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공정을 재개시킬 때에는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근거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되, 이전의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econd event is that the user forceful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the charger/discharger (20) forceful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In this case, the charger/discharger (20) may forcefully stop the first process according to the forceful stop command of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may store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of the first process up to the time of the force stop internally and then transmit them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Here, the resumption of the first process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process. When resuming the first process, the first process may be resumed based o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mong the previously stored data, but a data recovery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provide continuity of the process data that can be stored continuously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예를 들어,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3 이벤트인 경우, 충방전기(20)는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킨다. 이 경우, 충방전기(20)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제 1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에 따라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을 강제중지하고 강제중지때까지의 제 1 공정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한 후에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재개는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이 완료됨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킬 때에는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근거로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되, 이전의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ird event that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battery 1) in the first channel and performs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in the second channel, and then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charger/discharger (20)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of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battery 1) in the first channel and performs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in the second channel, and then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charger/discharger (20) may forcibly stop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to forcibly stop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may internally stor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of the first process up to the time of the forcibly stop, and then transmit them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Here, the resumption of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When resuming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can be resumed based on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mong the previously stored data, and a data recovery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provide continuity of the process data that can be stored continuously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한편, 충방전기(20)는 공정진행중인 상황을 실시간으로 운영단말(40)에게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예시한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이외로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운영단말(4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로는 정전전 설비 상태, 복원후 적용된 설비 상태, 복원후 설비상태 시작 지점, 복원후 저장되는 데이터의 번호, 정전 전 마지막 저장 데이터 번호, 정전 전 공전 상태값, 정전 전 공정의 모드 상태값, 정전 전 상태의 코드값, 정전 전 진행중이던 스텝 번호, 정전 전 측정 전압값, 정전 전 측정 전류값, 정전 전 스텝의 공정 시간, 정전 전 공정의 전체 진행 시간 등이 있을 수 있다. 상태 데이터의 예는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데이터는 각각의 이벤트에서의 공정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transmit the status of the process in progress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in addition to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exemplified above, status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status data may include the equipment status before the power outage, the equipment status applied after restora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equipment status after restoration, the number of data to be stored after restoration, the last stored data number before the power outage, the idle status value before the power outage, the mode status value of the process before the power outage, the code value of the status before the power outage, the step number in progress before the power outage, the voltage value measured before the power outage, the current value measured before the power outage, the process time of the step before the power outage, the total progress time of the process before the power outage, etc. Examples of the status data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above and may be more diverse. Such status data may help in the process execution at each event.
배터리(30)는 제작 후 소정 횟수의 충방전을 실시하는 공정을 거쳐야 이차전지로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충방전 공정 수행을 위하여 충방전 시스템(50)이 필요하다. The battery (30) must go through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s after manufacturing in order to exhibit its performance as a secondary battery. A charge and discharge system (50) is required to perform this charge and discharge process.
배터리(3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A battery (30) may be a device capable of storing 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배터리(30)는 충전 및 방전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0)는 납축전지(lead-acid battery), 니켈-카드뮴 전지(Ni-Cd battery), 니켈-수소 전지(Ni-MH battery), 리튬-이온 전지(Li-ion battery) 및 전고체 전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ttery (30) may be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For example, the battery (30) may be a lead-acid battery, a nickel-cadmium (Ni-Cd) battery, a nickel-hydrogen (Ni-MH) battery, a lithium-ion battery, and an all-solid-state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30)는 양극(cathode), 음극(anode), 전해질(electrolyte) 및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cell),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module), 또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pack)을 통칭할 수 있다.A battery (30) may collectively refer to a battery cell including a cathode, an anode,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or a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도 1에는 하나의 배터리(30)가 충방전기(20)에 연결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다수개의 배터리(30)가 충방전기(20)에 연결되되 채널별로 1개씩의 배터리(30)가 연결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In Fig. 1, one battery (30) is shown as being connected to a charger (20), but it is also acceptable to view multiple batteries (30) as being connected to a charger (20), with one battery (30) connected to each channel.
운영단말(40)은 충방전기(20)와 연결되고, 충방전기(20)로부터 충방전 공정에 따른 각종의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The operating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can receive various data (e.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store them internally.
운영단말(40)은 수신한 데이터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display the received data on the screen.
운영단말(40)은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를 통해 충방전 공정에 따른 각종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receive various data according to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through FTP (File Transfer Protocol).
예를 들어, 정전되었다가 복전되는 제 1 이벤트의 경우, 운영단말(40)은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후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 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함과 더불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vent where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transmit a user's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after the power is restored, and can also transmit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dditionally transmit data necessary for data recovery (e.g.,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20).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정전 이전의 시점으로서, 복전이 됨에 따라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대로 결정할 수도 있고, 운영단말(40)측에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Her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s the point in time before the power outage, and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administrator) as the power is restored, or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operating terminal (40).
운영단말(40)은 정전 이전에는 충방전기(20)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점마다를 고유의 저장 시점으로 하여 해당 저장 시점별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s and stores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from the charger (2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a power outage. In this way, each time point at which data is received and stored is designated as a unique storage time point, and the received data can be stored for each storage time point.
그런데, 복전이 됨에 따라 사용자가 희망하는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는, 정전 이전에 충방전기(20)로부터의 데이터가 저장 시점별로 운영단말(40)에게로 인가되어 저장되었으므로 사용자가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운영단말(40)측으로 입력되고, 운영단말(40)은 사용자가 결정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한다. However, when the user determine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s the power is restored, since the data from the charger (20) before the power outag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stored by storage point in time, the user can determine one point in time among multiple storage point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determined in this way is input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determined by the user.
한편, 복전이 됨에 따라 운영단말(40)측에서 자동으로 결정하는 경우는, 정전 이전에 충방전기(20)로부터의 데이터가 저장 시점별로 운영단말(40)에게로 인가되어 저장되었으므로 운영단말(40)이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시점(예컨대, 정전이 되기 바로 이전의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 운영단말(40)측에서는 프로그래밍에 따라 정전이 되기 바로 이전의 시점 이외의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ng terminal (40) automatically determines when the power is restored, since the data from the charger (2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stored at each storage time point before the power failure,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one point in time (for example, the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the power failure) among the multiple storage time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only one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determine a point in time other than the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the power failure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according to programming.
이와 같이,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결정되면 해당 시점의 플래그 값을 "1"로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s determined,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display the flag value at that point as “1.”
그래서, 복전이 된 이후에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 명령이 입력되면 운영단말(40)은 해당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사용자가 결정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 또는 운영단말(40)에서 미리 자동으로 결정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는 복구 데이터)를 충방전기(20)에게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Therefore, after the restoration, if a user's data recovery command is input,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transmit the data recovery command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determined by the user or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utomatically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operating terminal (40) to the 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lso transmit the data (more specifically, the recovery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 (20).
그에 따라, 충방전기(20)는 데이터 복구 명령을 수신한 시점에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예컨대, 복구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를 근거로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 복구를 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harger (20) can extract data (e.g., recovery data) of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perform continuous data recovery based on the extracted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상술한 데이터 복구 명령을 수신한 시점을 현재 시점이라고 한다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정전되기 이전의 시점이므로 과거 시점이 될 수 있다.If the time at which the above-mentioned data recovery command is received is considered the current time, t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can be a past time since it is the time before the power outage.
상기에서는 충방전기(20)가 충방전 공정에 따른 채널별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채널별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채널 1에서 배터리 충방전 공정을 수행하다가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이 되었는데, 해당 배터리를 채널 2에 연결하고 데이터 복구를 하고자 한다면 채널 1에서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채널 2에서 데이터 복구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transmit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for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can also be determined for each channel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for example, if a battery charging/discharging process is performed on channel 1 and a power outage occurs and then power is restored, and the battery is connected to channel 2 and data recovery is desired, data recovery can be performed on channel 2 based on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determined on channel 1.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2 이벤트가 있다. 이 경우, 운영단말(40)은 사용자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하고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second event in which a user forceful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In this case,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transmit the user's forceful stop command of the first process to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determine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dditionally transmit data necessary for data recovery (e.g.,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20).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운영단말(40)측에서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Her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t the time of the last data saved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on the operating terminal (40) side, or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administrator).
상술한 제 2 이벤트의 경우, 운영단말(40)은 제 2 이벤트 이전에는 충방전기(20)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점마다를 고유의 저장 시점으로 하여 해당 저장 시점별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vent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s and stores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from the charger (2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the second event. In this way, each time point at which data is received and stored is a unique storage time point, and the received data can be stored for each storage time point.
그런데, 제 1 공정을 강제중지시키면,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될 때까지 충방전기(20)로부터의 데이터가 저장 시점별로 운영단말(40)에게로 인가되어 저장되었으므로 운영단말(40)이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시점(예컨대,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을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data from the charger (2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stored at each storage point until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so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one point in time (e.g., the storage point of the last data stored before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among the multiple storage point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이와 같이, 운영단말(40)은 제 1 공정이 재개될 때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결정되면 해당 시점의 플래그 값을 "1"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단말(40)은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공정이 재개될 때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display the flag value of the point in time w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is determined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s "1". Then,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the determin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may be determined by a user's key input.
그에 따라, 충방전기(20)는 제 1 공정을 수행중에 강제중지시킨 후 제 2 공정을 완료하고 나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킬 때 운영단말(40)로부터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예컨대, 복구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를 근거로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 복구를 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harger/discharger (20) extracts data (e.g.,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when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during execution and t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nd continuous data recovery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extracted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또 다른 예로써,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3 이벤트가 있다. 이 경우, 운영단말(40)은 사용자의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하고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third event that performs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transmit the user's command to forcefully stop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to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determine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dditionally transmit data necessary for data recovery (e.g.,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20).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운영단말(40)측에서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Her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s the last saved data storage point before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is forcibly stopped on the operating terminal (40) side, or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administrator).
상술한 제 3 이벤트의 경우, 운영단말(40)은 제 3 이벤트 이전에는 충방전기(20)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점마다를 고유의 저장 시점으로 하여 해당 저장 시점별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hird event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s and stores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from the charger (2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the third event. In this way, each time point at which data is received and stored is a unique storage time point, and the received data can be stored for each storage time point.
그런데,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을 강제중지시키면, 해당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될 때까지 충방전기(20)로부터의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데이터가 저장 시점별로 운영단말(40)에게로 인가되어 저장되었으므로 운영단말(40)이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시점(예컨대,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을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is forcibly stopped, the data of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stored for each storage time point until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so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one of the multiple storage time points (e.g., the storage time point of the data that was last stored before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was forcibly stopp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이와 같이, 운영단말(40)은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될 때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결정되면 해당 시점의 플래그 값을 "1"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단말(40)은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될 때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display the flag value of the point in time as “1” w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is determined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Then,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the determin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may be determined by a user’s key input.
그에 따라, 충방전기(20)는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수행중에 강제중지시킨 후 제 2 채널에서의 제 2 공정을 완료하고 나서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킬 때 운영단말(40)로부터의 해당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예컨대, 복구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데이터를 근거로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 복구를 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harger/discharger (20) extracts data (e.g., recovery data) at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when the first process is performed on the first channel, forcibly stops, completes the second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and then resumes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and can perform continuous data recovery based on the extracted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예를 들어, 운영단말(40)은 PC일 수 있는데,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ng terminal (40) may be a PC, which can be viewed as acting as a control tow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방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운영단말 내부로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 저장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되는 도면이다.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drawing employed to explain the storage of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into the operating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도 2의 충방전 시스템(50)의 충방전기(20)는 전원단(21), 통신부(22), 저장부(23), 및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er/discharger (20) of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50) of Fig. 2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21), a communication unit (22), a storage unit (23), and a control unit (24).
전원단(Power Terminal, 21)은 전원부(10)와 연결되고, 전원부(10)로부터 소정의 입력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 and can receive a predetermined input power from the power supply (10).
통신부(22)는 운영단말(4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ng terminal (40).
예를 들어, 통신부(22)는 정전이 되기 이전에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배터리 충방전 공정 수행에 따른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transmit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perform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a power outage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또한, 통신부(22)는 정전 이후에 복전이 됨에 따라 운영단말(40)로부터 데이터 복구 명령과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통신부(22)는 운영단말(40)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receive a data recovery command and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s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receiv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s needed. Here, th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for exampl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nd among them, it can be recovery data.
한편, 제 1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경우, 통신부(22)는 운영단말(40)로부터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통신부(22)는 운영단말(40)로부터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Meanwhile, if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while it is being performed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receiv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additionally receiv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Here, th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for exampl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nd among them, it can be recovery data.
또 다른 한편으로,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 통신부(22)는 운영단말(40)로부터 제 2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통신부(22)는 운영단말(40)로부터 제 2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and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receiv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additionally receiv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Here, th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for exampl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nd among them, it can be recovery data.
저장부(23)는 이벤트가 발생되기 이전에 배터리 충방전 공정(채널별 배터리 충방전 공정 포함) 수행에 따른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3)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시점마다를 고유의 저장 시점으로 하여 해당 저장 시점별로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3) can store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harging/discharging process (including the battery charging/discharging process for each channel) before an event occurs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3) can store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for each storage time by setting each time point of real time or periodic storage as a unique storage time point.
또한, 저장부(23)는 통신부(22)에 수신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23) can stor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2).
물론, 필요에 따라 운영단말(40)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 경우에는, 저장부(23)는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과 함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data (particularly,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 (20) as needed, the storage unit (23) can store the data (particularly,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제어부(24)는 충방전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harger/discharger (20).
일 예로, 제어부(24)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저장부(23)에 기저장된 데이터중에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해당하는 데이터(즉,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정전 이후에 복전되었을 때 새로 시작된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upon receiving a data recovery command from an operating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24) can control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process data by allowing newly started process data to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when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based on data (i.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mong th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물론, 충방전기(20)가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면, 저장부(23)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 및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charger (20) receives data (particularly,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data recovery operation for providing continuity of the process data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and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다른 예로,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에 따라 제 1 공정을 강제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는 저장부(23)에 기저장된 데이터중에서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해당하는 데이터(즉,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제 1 공정이 재개됨에 따라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4) can forcibly stop the first process according to a command to forcibly stop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 can control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process data so that process data newly started as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based on data (i.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among the data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물론, 충방전기(20)가 운영단말(40)로부터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라면, 저장부(23)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 및 운영단말(40)로부터의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charger (20) receives data (particularly, recovery data)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the data recovery operation for providing continuity of the process data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and the data (particularly,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또 다른 예로,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에 따라 제 1 공정을 강제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는 저장부(23)에 기저장된 데이터중에서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해당하는 데이터(즉,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됨에 따라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공정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while performing a first process (battery 1) on a first channel and performing a second process (battery 2) on a second channel,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4) can forcibly stop the first process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to forcibly stop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 can control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process data so that process data newly started as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can be stored continuously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based 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i.e., recovery data) among the data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한편, 도 2의 충방전 시스템(50)의 운영단말(40)은 전원단(41), 통신부(42), 저장부(43), 제어부(44), 표시부(45), 및 입력부(46)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ng terminal (40) of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50) of Fig. 2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41), a communication unit (42), a storage unit (43), a control unit (44), a display unit (45), and an input unit (46).
전원단(Power Terminal, 41)은 전원부(10)와 연결되고, 전원부(10)로부터 소정의 입력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4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 and can receive a predetermined input power from the power supply (10).
통신부(42)는 충방전기(2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4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harger/discharger (20).
예를 들어, 통신부(42)는 정전되기 이전에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배터리 충방전 공정 수행에 따른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충방전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2) can receive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perform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a power outage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또한, 통신부(42)는 충방전기(20)에게로 데이터 복구 명령과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통신부(42)는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2) can transmit a data recovery command and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42) can additionally transmit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discharger (20).
한편,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경우, 통신부(42)는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통신부(42)는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추가로 충방전기(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Meanwhile, if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before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the communication unit (42) can transmi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42) can additionally transmit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to the charger/discharger (20). Here, th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for exampl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nd among them, it can be recovery data.
또 다른 한편으로,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 통신부(42)는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통신부(22)는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를 추가로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복구 데이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and performing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and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unit (42) can transmi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22) can additionally transmit th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to the charger/discharger (20). Here, the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for exampl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nd among them, it can be recovery data.
저장부(43)는 통신부(42)에 수신되는 배터리 충방전 공정(채널별 배터리 충방번 공정 포함) 수행에 따른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43)는 저장하는 시점마다를 고유의 저장 시점으로 하여 해당 저장 시점별로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포함)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3) can store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harging/discharging process (including the battery charging/discharging process for each channe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42)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43) can store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for each storage time by setting each storage time as a unique storage time.
즉,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기(20)는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는 서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그에 따라, 저장부(43)는 저장공간1 및 저장공간2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가 16시에 충방전기(20)에서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되었다면, 운영단말(40)의 저장부(43)의 저장공간1에는 해당 시간(시점)에서의 공정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 포함)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부(43)의 저장공간2에는 해당 시간(시점)에서의 복구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the charger (20) can transmit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are stor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torage unit (43) can be divided into storage space 1 and storage space 2. For example, if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are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20)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t 16:00, the process data (e.g., including measurement data and result data)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in time) can be stored in storage space 1 of the storage unit (43) of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the recovery data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in time) can be stored in storage space 2 of the storage unit (43).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충방전기(20)에서의 공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가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되어 저장부(43)에 분리저장된다. 다르게는, 공정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되고 복구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되어 분리저장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공정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되고 복구 데이터는 특정 이벤트가 생성(검출; 정전 감지, 사용자의 강제중지명령 수신)될 때마다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되어 분리저장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are basically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stored separately in the storage unit (43). Alternatively, the process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and the recovery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periodically and stored separately. Alternatively, the process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and the recovery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stored separately whenever a specific event is generated (detection; power outage detection, user's forced stop command received).
여기서, 공정 데이터는 저장공간 활용차원에서 리프레쉬되는 데이터일 수 있고, 복구 데이터는 리프레쉬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누적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Here, the process data may be data that is refreshed in terms of storage space utilization, and the recovery data may be data that is not refreshed but periodically accumulated.
또한, 저장부(43)는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결정됨에 따라 해당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한 플래그 값(예컨대, "1")을 저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43) can store a flag value (e.g., “1”) for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s determined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제어부(44)는 운영단말(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4)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perating terminal (40).
일 예로, 제어부(44)는 정전되고 나서 복전후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 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함과 더불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44)는 데이터 복구 명령 및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과 함께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가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 can control the data recovery command of the user to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after the power is restored after the power is lost, and also control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44) can control the data required for data recovery (e.g.,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discharger (20)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다른 예로,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부(44)는 사용자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입력부(46)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4)는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시점의 제 1 공정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충방전기(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43)에 저장시키고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결정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부(43)에 저장하고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before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4) receives the user's forced stop command for the first process through the input unit (46) and transmits the forced stop command for the first process to the charger/discharger (20). Then, the control unit (44) can receive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of the first process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forced stop command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store them in the storage unit (43) and determine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The control unit (44) can store the determin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or the first process in the storage unit (43) and transmit it to the charger/discharger (20).
또 다른 예로,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부(44)는 사용자의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입력부(46)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4)는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에 대한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시점의 해당 공정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충방전기(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43)에 저장시키고 제 2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결정된 제 2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부(43)에 저장하고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while performing a first process (battery 1) on a first channel and performing a second process (battery 2) on a second channel,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4) receives a forced stop command for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46), and transmits the forced stop command for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to the charger/discharger (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4) can receiv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forced stop command for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store them in the storage unit (43), and determine a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for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The control unit (44) can stor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in the determined second channel in the storage unit (43) and transmit it to the charger/discharger (20).
여기서, 제어부(44)는 데이터 분리부(44a) 및 시점 결정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44) may include a data separation unit (44a) and a time determination unit (44b).
데이터 분리부(44a)는 충방전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예컨대, 파일 형태의 데이터)를 복구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즉, 공정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리부(44a)는 수신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복구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The data separation unit (44a) can separate data (e.g., data in the form of a file) received from the charger (20) into recovery data and non-recovery data (i.e., process data). For example, the data separation unit (44a) can separate the received data into recovery data and non-recovery data by parsing the data.
다시 말해서, 데이터 분리부(44a)는 충방전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세트중에서 데이터 복구시에 사용되는 복구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와는 따로 분리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ata separation unit (44a) can separate the recovery data used in data recovery from other data among the data sets received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데이터 분리부(44a)는 분리한 복구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43)에 각각 저장시킬 수 있다.The data separation unit (44a) can store separated recovery data and non-recovery data (e.g., measurement data, result data) in the storage unit (43).
시점 결정부(44b)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The point-in-time determination unit (44b) can determin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required for data recovery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일 예로,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시점 결정부(44b)는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이 됨에 따라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한다. 이 경우에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할 수도 있고, 저장부(43)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들중에서 어느 한 저장 시점(예컨대, 정전이 되기 바로 이전의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In this case, the time point determination unit (44b) determine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required for data recovery as the power is restored after the power outage. In this cas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may be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rbitrarily determined by a user (administrator) as described above, or one of the storage points (e.g., the point immediately before the power outage) among the storage points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이때, 시점 결정부(44b)는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결정되면 해당 시점에 대한 플래그 값을 "1"로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ime point determination unit (44b) can display the flag value for the time point as “1” w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is determined.
다른 예로써,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시점 결정부(44b)는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시점(예컨대,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에 해당)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한 시점(즉, 복구 데이터가 저장부(43)에 저장된 저장 시점들중에서 결정된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before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is case, the time point determination unit (44b) can determin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orced stop command is received (e.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last data was saved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Of course, if necessary, a time point arbitrarily determined by a user (administrator) (i.e., a time point determined from among the storage times at which the recovery data is saved in the storage unit (43)) can be determin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또 다른 예로써,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시점 결정부(44b)는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시점(예컨대,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에 해당)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한 시점(즉, 복구 데이터가 저장부(43)에 저장된 저장 시점들중에서 결정된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while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and performing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In this case, the time point determination unit (44b) can determin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orced stop command is received (e.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last stored data was saved before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was forcibly stopp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Of course, if necessary, the time point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administrator) (i.e., the time point determined from among the storage times at which the recovery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can be determined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표시부(45)는 통신부(42)에서 수신되는 정전되기 이전의 충방전기(20)로부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화면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5) can display data from the charger/discharger (20) prior to power outag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2) in real time.
또한, 표시부(45)는 각각의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시점별 데이터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5) can display data for each storage tim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as each event occurs.
예를 들어, 정전되었다가 복전되는 제 1 이벤트인 경우, 표시부(45)는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이 됨에 따라 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시점별 데이터(즉, 정전되기 이전의 데이터임)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vent where the power is restored after the power is lost, the display unit (45) can display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i.e., data before the power is lost) as the power is restored after the power is lost.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determine one of the multiple storage time point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2 이벤트인 경우, 표시부(45)는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됨에 따라 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제 1 공정의 저장 시점별 데이터(즉,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의 데이터임)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저장 시점을 해당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second event in which a user forcefully stops a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the display unit (45) can display data of the first proces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point (i.e., data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efully stopped) as the first process was forcefully stopped in the middle.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determine one of the multiple storage time point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of the first process.
또 다른 예로써,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3 이벤트인 경우, 표시부(45)는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됨에 따라 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저장 시점별 데이터(즉,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의 데이터임)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저장 시점을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third event that performs a first process (battery 1) on a first channel and a second process (battery 2) on a second channel,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tarts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45) can display on the screen the data of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point (i.e., data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as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is forcibly stopped.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determine one of the multiple storage time point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of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입력부(46)는 각각의 이벤트별로 데이터 복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46) can input a data recovery command for each event.
예를 들어, 정전되었다가 복전되는 제 1 이벤트인 경우, 입력부(46)는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이 됨에 따라 데이터 복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46)를 조작하여 데이터 복구 명령을 키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vent of a power outage and then power recovery, the input unit (46) can input a data recovery command as the power is restored after the power outage. In this case, the user can input the data recovery comman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46).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2 이벤트인 경우, 입력부(46)는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고 나서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사이에 데이터 복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46)를 조작하여 데이터 복구 명령을 키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second event is one in which the user forces the first process to stop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input unit (46) can input a data recovery command between the time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time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is case, the user can input the data recovery comman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46).
또 다른 예로써,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제 3 이벤트인 경우, 입력부(46)는 제 2 채널에서의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고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되는 사이에 데이터 복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46)를 조작하여 데이터 복구 명령을 키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third event that performs a first process (battery 1) on a first channel and a second process (battery 2) on a second channel,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input unit (46) can input a data recovery command between the time when the second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is completed and the first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is resumed. In this case, the user can input the data recovery comman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46).
또한, 입력부(46)는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키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45)상의 다수의 저장 시점별 데이터를 확인하고, 입력부(46)를 조작하여 어느 한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결정함으로써, 해당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46) can input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his case, the user can check multiple data points for each storage point on the display unit (45) and operate the input unit (46) to determine one storage point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here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물론, 상기와 다르게,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사용자 선택이 아니라 운영단말(40)에서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Of course, unlike the above, it has already been explained th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operating terminal (40) rather than being selected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충방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복구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recovery operation in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충방전기(20)는 상술한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에는 공정진행중인 각종의 상황에 대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 데이터로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charger (20) measures various situations in progress during the process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efore the above-described event occurs, creates recovery data using the measured measurement data, and creates result data using the recovery data.
그리고, 충방전기(2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한다.And, the charger (20) transmit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generat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여기서, 측정 데이터로는 예를 들어,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류와 전압 및 전력(W),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류와 전압 및 전력(W) 등과 같이 각종의 로오 데이터(raw data)가 있을 수 있다. 측정 데이터는 상술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 th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various raw data, such as current, voltage, and power (W)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charging step, and current, voltage, and power (W)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discharging step. It is obvious that the measurement data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but may be more diverse.
즉, 측정 데이터는 공정 수행중에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로오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하는 데이터라고 이해할 수 있다.That is, measurement data can be understood as data that includes one or more raw data measur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during process execution.
결과 데이터로는 누적 전류량(IntegralAmpareHour), 누적 전력량(InterralWattHour), 충전 스텝의 전류량(chargeAmpareHour), 충전 스텝의 전력량(chargeWattHour), 방전 스텝의 전류량(dischargeAmpareHour), 방전 스텝의 전력량(dischargeWattHour) 등이 있을 수 있다. 누적 전류량은 공정 시작부터 완료때까지 충방전 스텝마다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류로 전류량을 계산하여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적 전류량은 "IntegralAmpareHour = seedintegralCapacity + (sumintegralCapacity /(3600 * 설비 주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누적 전력량은 공정 시작부터 완료때까지 충방전 스텝마다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압과 전류로 전력량을 계산하여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적 전력량은 "IntegralWattHour = seedintegralWattHour + (sumintegralWattHour /(3600 * 설비 주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충전 스텝의 전류량은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류로 계산한 전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텝의 전류량은 "ChargeAmpareHour = seedChargeAmpreHour + (sumChargeAmpreHour /(3600 * 설비 주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충전 스텝의 전력량은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압과 전류로 계산한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텝의 전력량은 "ChargeWattHour = seedChargeWattHour + (sumChargeWattHour /(3600 * 설비 주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방전 스텝의 전류량은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류로 계산한 전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전 스텝의 전류량은 "DischargeAmpareHour = seedDischargeAmpareHour + (sumDischargeAmpareHour /(3600 * 설비 주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방전 스텝의 전력량은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압과 전류로 계산한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전 스텝의 전력량은 "DischargeWattHour = seedDischargeWattHour + (sumDischargeWattHour /(3600 * 설비 주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결과 데이터는 상술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결과 데이터로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압 및 전류로 계산한 용량값,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압 및 전류로 계산한 전력값,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압 및 전류로 계산한 전력량 등이 있을 수 있다.The result data may include accumulated current (IntegralAmpareHour), accumulated power (InterralWattHour), current of the charge step (chargeAmpareHour), power of the charge step (chargeWattHour), current of the discharge step (dischargeAmpareHour), and power of the discharge step (dischargeWattHour). The accumulated current can refer to an accumulated valu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urrent in real time at each charge/discharge step from the start of the process to the end. For example, the accumulated current can be obtained as "IntegralAmpareHour = seedintegralCapacity + (sumintegralCapacity / (3600 * equipment cycle))". The accumulated power can refer to an accumulated valu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power with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at each charge/discharge step from the start of the process to the end. For example, the accumulated power amount can be obtained as "IntegralWattHour = seedintegralWattHour + (sumintegralWattHour /(3600 * equipment cycle))". The current amount of the charging step can mean the current amount calculated with the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charging step. For example, the current amount of the charging step can be obtained as "ChargeAmpareHour = seedChargeAmpreHour + (sumChargeAmpreHour /(3600 * equipment cycle))". The power amount of the charging step can mean the power amount calculated with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charging step. For example, the power amount of the charging step can be obtained as "ChargeWattHour = seedChargeWattHour + (sumChargeWattHour /(3600 * equipment cycle))". The current amount of the discharging step can mean the current amount calculated with the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discharging step. For example, the current amount of the discharge step can be obtained as "DischargeAmpareHour = seedDischargeAmpareHour + (sumDischargeAmpareHour /(3600 * equipment cycle))". The power amount of the discharge step can mean the power amount calculated with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discharge step. For example, the power amount of the discharge step can be obtained as "DischargeWattHour = seedDischargeWattHour + (sumDischargeWattHour /(3600 * equipment cycle))". It is obvious that the result data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can be more diverse. For example, additional result data can include a capacity value calculated with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a power value calculated with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and a power amount calculated with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in real time.
즉, 결과 데이터는 측정 데이터 또는 복구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현재 시점의 결과(예컨대, 소정의 값)를 포함하는 데이터라고 이해할 수 있다.That is, the result data can be understood as data that includes the current point-in-time result (e.g., a predetermined value) created by processing measurement data or recovery data.
복구 데이터로는 누적 Ah의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integralCapacity),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전류값(sumintegralCapacity), 충전 스텝의 A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ChargeAmpareHour),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전류값(sumChargeAmpareHour), 방전 스텝의 A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DischargeAmpareHour),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전류값(sumDischargeAmpareHour), 누적 W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integralWattHour),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W값(sumintegralWattHour), 충전 스텝의 W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chargeWattHour),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W값(sumchargeWattHour), 방전 스텝의 W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DischargeWattHour),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W값(sumDischargeWattHour)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누적 Ah의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integralCapacity)은 sumintegralCapacity 변수가 허용가능한 값의 90%가 되면 현재 누적 Ah 값을 저장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전류값(sumintegralCapacity)은 충전, 방전 스텝에서 설비 주기마다 측정되는 전류 값을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충전 스텝의 A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ChargeAmpareHour)은 sumChargeAmpareHour 변수가 허용가능한 값의 90%가 되면 현재 충전 Ah 값을 저장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전류값(sumChargeAmpareHour)은 충전 스텝에서 설비 주기마다 측정되는 전류값을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방전 스텝의 A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DischargeAmpareHour)은 sumDischargeAmpareHour 변수가 허용가능한 값의 90%가 되면 현재 방전 Ah 값을 저장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전류값(sumDischargeAmpareHour)은 방전 스텝에서 설비 주기마다 측정되는 전류값을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누적 W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integralWattHour)은 sumintegralWattHour 변수가 허용가능한 값의 90%가 되면 현재 누적 Wh 값을 저장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W값(sumintegralWattHour)은 충전, 방전 스텝에서 설비 주기마다 측정되는 전류, 전압으로 계산된 W값을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충전 스텝의 W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chargeWattHour)은 sumChargeWattHour 변수가 허용가능한 값의 90%가 되면 현재 충전 Wh 값을 저장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W값(sumchargeWattHour)은 충전 스텝에서 설비 주기마다 측정되는 전류, 전압으로 계산된 W값을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방전 스텝의 Wh 계산을 위한 추가값(seedDischargeWattHour)은 sumDischargeWattHour 변수가 허용가능한 값의 90%가 되면 현재 방전 Wh 값을 저장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방전 스텝에서 실시간으로 누적되는 W값(sumDischargeWattHour)은 방전 스텝에서 설비 주기마다 측정되는 전류, 전압으로 계산된 W값을 누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복구 데이터는 상술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recovery data may include additional values for calculating accumulated Ah (seedintegralCapacity), real-time accumulated current (sumintegralCapacity), additional values for calculating Ah of the charge step (seedChargeAmpareHour), real-time accumulated current in the charge step (sumChargeAmpareHour), additional values for calculating Ah of the discharge step (seedDischargeAmpareHour), real-time accumulated current in the discharge step (sumDischargeAmpareHour), additional values for calculating accumulated Wh (seedintegralWattHour), real-time accumulated W value (sumintegralWattHour), additional values for calculating Wh of the charge step (seedchargeWattHour), real-time accumulated W value in the charge step (sumchargeWattHour), additional values for calculating Wh of the discharge step (seedDischargeWattHour), and real-time accumulated W value in the discharge step (sumDischargeWattHour). Here, the additional value (seedintegralCapacity) for calculating the accumulated Ah can mean a value that stores the current accumulated Ah value when the sumintegralCapacity variable becomes 90% of the allowable value. The current value (sumintegralCapacity) accumulated in real time can mean a value that accumulates the current value measured for each equipment cycle in the charge and discharge steps. The additional value (seedChargeAmpareHour) for calculating the Ah of the charge step can mean a value that stores the current charge Ah value when the sumChargeAmpareHour variable becomes 90% of the allowable value. The current value (sumChargeAmpareHour) accumulated in real time in the charge step can mean a value that accumulates the current value measured for each equipment cycle in the charge step. The additional value (seedDischargeAmpareHour) for calculating the Ah of the discharge step can mean a value that stores the current discharge Ah value when the sumDischargeAmpareHour variable becomes 90% of the allowable value. The current value accumulated in real time in the discharge step (sumDischargeAmpareHour) can mea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current value measured for each equipment cycle in the discharge step. The additional value for calculating the accumulated Wh (seedintegralWattHour) can mean the value that stores the current accumulated Wh value when the sumintegralWattHour variable becomes 90% of the allowable value. The W value accumulated in real time (sumintegralWattHour) can mea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W value calculated with the current and voltage measured for each equipment cycle in the charge and discharge steps. The additional value for calculating Wh in the charge step (seedchargeWattHour) can mean the value that stores the current charge Wh value when the sumChargeWattHour variable becomes 90% of the allowable value. The W value accumulated in real time in the charge step (sumchargeWattHour) can mea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W value calculated with the current and voltage measured for each equipment cycle in the charge step. The additional value (seedDischargeWattHour) for calculating Wh of the discharge step can mean the value that stores the current discharge Wh value when the sumDischargeWattHour variable becomes 90% of the allowable value. The W value (sumDischargeWattHour) accumulated in real time in the discharge step can mea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W value calculated by the current and voltage measured for each equipment cycle in the discharge step. It is obvious that the recovery data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can be more diverse.
즉, 복구 데이터는 측정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결과(예컨대, 소정의 값)를 포함하는 데이터라고 이해할 수 있다.That is, recovery data can be understood as data that includes the result (e.g., a predetermined value) created by processing measurement data.
한편, 상술한 이벤트들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게 되면 충방전기(20)는 이전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복구를 행하여 데이터 연속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Meanwhile, if any of the events described above occurs, the charger (20) must perform data recovery based on previous data to ensure data continuity.
그런데, 기존에는 충방전기(20)와 운영단말(40)간에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게 되면 용량의 한계로 인해 이들을 전부 저장할 수 없었다. 그에 따라, 기존에는 복구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단순히 결과 데이터를 얻는데에만 사용하였다. 운영단말(40)의 표시부(45)를 통해서도 측정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만을 화면표시해 주는 정도일 뿐, 복구 데이터에 대해서는 화면표시하지 않았다.However, in the past, when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were exchanged in real time between the charger (20) and the operating terminal (40), it was not possible to store all of them due to capacity limitations. Accordingly, in the past, recovery data was not stored, and was only used to obtain result data. Only measurement data and result data we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5) of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recovery data wa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그래서, 기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후 복전되거나,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거나,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면, 이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어서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할 수가 없었다.Therefore, as previously described, when power wa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or when a user forcibly stopped the first process midway and resumed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or when the first process (battery 1) was performed o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was performed on the second channel, and when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midway and the first process wa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after the second process was completed, the previous data could not be utilized to generate th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and thus data continuity could not be provid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방전기(20)와 운영단말(40)은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the operating terminal (40) are enabled to exchang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전후에 복전이 되면 충방전기(20)는 정전 이전의 복구 데이터(즉, 사용자 또는 운영단말(40)측에서 결정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와 복전후 현재 시점(즉, 데이터 복구 명령을 수신한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기(20)는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generate current point-in-time recovery data by combining the recovery data before the power outage (i.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determined by the user or the operating terminal (40)) and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after the power restoration (i.e., the point in time when the data recovery command is received). In addition,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generate current point-in-time result data by using the generated current point-in-time recovery data.
이와 같이 하면, 충방전기(20)의 전원이 완전히 끊어졌다가 복구되었을 때 새로 시작된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power of the charger/discharger (20) is completely cut off and then restored, data continuity can be provided so that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한편, 사용자가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후에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 충방전기(20)는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즉,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와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기(20)는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if a user forcibly stops the first process in the middle and resumes the first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second process,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generat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by combining the recovery data at the time of the last data storage (i.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and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addition,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generat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by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이와 같이 하면,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1 공정이 재개되더라도, 새로 시작된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even if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before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data continuity can be provided so that the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또 한편으로,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공정을 중도에 강제중지하고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시키는 경우, 충방전기(20)는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즉,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와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기(20)는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and performing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and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generate the recovery data of the current point in time by combining the recovery data of the storage time of the data last saved before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was forcibly stopped (i.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with the measurement data of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In addition,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generate the result data of the current point in time by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of the current point in time.
이와 같이 하면, 제 1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채널에서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2 채널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되더라도,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even if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in the second channel, and t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data continuity can be provided so that the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rawing employed in the explanation of FIG. 5.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기(20)가 소정 시간동안 배터리 충방전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정전이 발생된 후에 복전이 됨에 따라 데이터 복구가 행해지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a case where data recovery is performed when power is restored after a power outage occurs while the charger/discharger (20) is performing a battery charging/discharging proces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illustrated in FIG. 6.
즉, 정전이 되기 전에는 충방전기(20)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복구 데이터 및 공정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함과 더불어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한다. 운영단말(4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복구 데이터 및 공정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43)에 저장한다. 이러한 충방전기(20)와 운영단말(40) 간의 데이터 교류 과정에 대해서는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설명으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before a power outage occurs, the charger/discharger (20) stores real-time or periodically recovery data and process data (e.g., measurement data, result data) in the storage unit (23) and transmits them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real-time or periodically received recovery data and process data (e.g., measurement data, result data) in the storage unit (43). Although the data exchange process between the charger/discharger (20) and the operating terminal (40) is not illustrated in FIG. 5, those working in the same industry will be able to sufficiently understand it with the above-described explana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정전이 되고 나서 복전이 된 이후에는, 운영단말(40)은 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시점별 데이터(즉, 정전되기 이전의 데이터임)를 표시부(45)상에 화면표시한다. In this state, after the power is restored following a power outage, the operating terminal (40) display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at each storage time (i.e., data before the power outage) on the display unit (45).
그에 따라, 사용자(관리자)는 다수의 저장 시점중에서 어느 한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으로 키입력할 수 있다. 운영단말(40)은 키입력에 따라 해당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으로 결정한다(S10). 이 경우, 운영단말(40)은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에 대한 플래그 값을 "1"로 하여 저장부(43)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administrator) can input one of the multiple storage points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 The operating terminal (4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storage point a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 according to the key input (S10). In this case,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store the determin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 in the storage unit (43) with the flag value set to "1".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입력부(46)를 조작하여 데이터 복구 명령을 키입력한다. 그에 따라, 운영단말(40)은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다(S12). Then, the user inputs a data recovery command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46). Accordingly, 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s the user's data recovery command (B) (S12).
이어,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과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S14).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운영단말(40)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 and the data recovery command (B) to the charger (20) (S14). Of course,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may additionally transmit data (particularly,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
이후, 충방전기(20)는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 및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를 조합하여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한다(S16). 물론, 운영단말(40)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한 경우라면,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 및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A)에서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조합하여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harger (20) combines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time point when the data recovery command (B) is received and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A)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to generate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time point when the data recovery command (B) is received (S16). Of course, if the data (particularly,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A) is additionally receive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time point when the data recovery command (B) is received and the data (particularly,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time point (A)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be combined to generate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time point when the data recovery command (B) is received.
그리고 나서, 충방전기(20)는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18). 물론, 충방전기(20)는 이와 같이 생성한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할 것이다. 이에 의해, 충방전기(20)의 전원이 완전히 끊어졌다가 복구되었을 때 새로 시작된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Then, the charger/discharger (20) generates the result data of the current time point that received the data recovery command (B) using the recovery data of the current time point that was generated (S18). Of course, the charger/discharger (20) will store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current time point that were generated in this way in the storage unit (23). As a result, when the power of the charger/discharger (20) is completely cut off and then resto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data continuity that allows newly started process data to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이어, 충방전기(20)는 상기의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한다(S20).Next, the charger (20)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current point in time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S20).
그에 따라, 운영단말(40)은 수신한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43)에 저장한다(S22).Accordingly,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the received current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in the storage unit (43) (S22).
이후, 충방전기(20)는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시점 이후에 주기적으로(실시간으로)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한다(S24).Thereafter, the charger (20) periodically (in real time) generat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fter receiving the data recovery command (B) and transmits them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S24).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명령(B)을 수신한 시점 이후에 주기적으로(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43)에 저장한다(S26).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ceived periodically (in real time) after receiving a data recovery command (B) in the storage unit (43) (S26).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rawing employed in the explanation of FIG. 7.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은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기(20)가 제 1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해당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한 후에 다시 제 1 공정을 재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공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제 1 공정이 완료되기 전에 급하게 처리해야 할 테스트가 끼어들 때, 제 1 공정을 강제중지시키고 해당 테스트를 제 2 공정으로 빨리 수행한 후에 제 1 공정을 다시 재개하면 공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irst, the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hen, as illustrated in FIG. 8, the charger/discharger (20) is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is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n other words, when a test that needs to be processed urgently intervenes before the first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the test is quickly performed as the second process, and t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ncreased.
충방전기(20)는 공정 스케줄에 따라 제 1 공정을 수행한다(S50).The charger (20) performs the first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schedule (S50).
충방전기(20)는 제 1 공정을 수행함에 따른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부(23)에 저장한 후에, 해당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52).The charger (20) stores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in the storage unit (23) according to the first process, and then transmits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S52).
그에 따라, 운영단말(4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복구 데이터 및 공정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43)에 저장한다(S54). Accordingly,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recovery data and process data (e.g., measurement data, result data) receiv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in the storage unit (43) (S5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영단말(40)이 입력부(46)를 통해 사용자의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하면(S56에서 "Yes") 운영단말(40)은 강제중지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s a forced stop comman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46) (“Yes” in S56),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forced stop command to the charger (20).
충방전기(20)는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현재 시점(예컨대,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에 해당함)의 제 1 공정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한 후에 해당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한다(S58).Upon receiving a forced stop command, the charger (20) stores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of the first process at the current time when the forced stop command was received (e.g., the time of saving the last saved data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ed to stop) in the storage unit (23) and then transmits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S58).
운영단말(40)은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현재 시점을 근거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영단말(40)은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결정되면 운영단말(40)은 해당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부(43)에 저장시킨다(S60). 물론, 운영단말(40)은 저장시킨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서,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저장되었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erating terminal (40) determine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orced stop command is received.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terminal (40)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s the last data storage point before the first process is forced to stop, or the user (administrator) may arbitrarily determine it. W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s determined in this way,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the corresponding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he storage unit (43) (S60). Of course,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stor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 (20).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may additionally transmit the data (particularly, the recovery data) that was stored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이후, 충방전기(20)는 강제중지명령에 따라 현재 수행중인 제 1 공정을 강제중지하게 된다(S62).Afterwards, the charger/discharger (20) forces the first process currently being performed to stop according to the forced stop command (S62).
그에 따라, 충방전기(20)는 제 1 공정의 강제중지 이후에 제 2 공정을 수행하여 완료한다(S64).Accordingly, the charger (20) performs and completes the second process after the forced stop of the first process (S64).
이와 같이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되면 충방전기(20)는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강제중지되었던 제 1 공정을 재개시킨다(S66). 이 경우, 운영단말(40)로부터의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 명령에 따라 해당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와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운영단말(40)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한 경우라면,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와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복구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충방전기(20)는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충방전기(20)는 이와 같이 생성한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할 것이다. In this way, when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the charger/discharger (20) resumes the first process that was forcibly stopped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S66). In this case, in response to the user's data recovery comman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of the first process and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Of course, if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is additionally receive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nd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can be combined to generate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Then, the charger/discharger (20) generates th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Of course, the charger/discharger (20) will store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generated in this way in the storage unit (23).
이에 의해, 충방전기(20)는 제 1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해당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공정을 수행완료한 후에 다시 제 1 공정을 재개하는 경우에라도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provide data continuity that allows newly started process data to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even when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midway during the first process and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fter the second process is comple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rawing employed in the explanation of FIG. 9.
먼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복구 방법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기(20)가 제 1 채널(CH1)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CH2)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채널(CH2)의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2 채널(CH2)에서 제 1 공정을 다시 재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제 1 채널(CH1)에서 제 1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채널(CH1)에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가 없는 채널(예컨대, 제 2 채널(CH2))에서 제 1 공정을 재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채널(CH1)에 문제가 생겼다면 제 1 채널(CH1)은 수리가 완료될때까지 대기해야 하였으나, 문제가 없는 채널에서 제 1 공정을 재개하면 수리가 완료될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게 된다.First, the data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hen,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charger/discharger (20) performs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CH1) and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CH2),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process is restarted on the second channel (CH2) after the second process of the second channel (CH2) is completed. This is to restart the first process on a channel without a problem (e.g., the second channel (CH2)) when a problem occurs on the first channel (CH1) while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on the first channel (CH1). If a problem occurred on the first channel (CH1), the first channel (CH1) had to wait until the repair was completed, but if the first process is restarted on a channel without a problem, there is no need to wait until the repair is completed.
충방전기(20)는 공정 스케줄에 따라 제 1 채널(CH1)에서는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CH2)에서는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한다(S70).The charger/discharger (20) performs the first process (battery 1) on the first channel (CH1) and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on the second channel (CH2) according to the process schedule (S70).
충방전기(20)는 각 채널별로 해당 공정을 수행함에 따른 각 채널별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부(23)에 저장한 후에, 해당 각 채널별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72).The charger (20) stores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for each channel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in the storage unit (23) as the process is performed for each channel, and then transmits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for each channel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S72).
그에 따라, 운영단말(4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각 채널별 복구 데이터 및 공정 데이터(예컨대, 측정 데이터,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43)에 저장한다(S74). Accordingly,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recovery data and process data (e.g., measurement data, result data) for each channel receiv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in the storage unit (43) (S7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영단말(40)이 입력부(46)를 통해 사용자의 제 1 채널(CH1)의 제 1 공정에 대한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하면(S76에서 "Yes") 운영단말(40)은 해당 강제중지명령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ng terminal (40) receives a forced stop command for the first process of the user's first channel (CH1) through the input unit (46) (“Yes” in S76),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forced stop command to the charger (20).
충방전기(20)는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현재 시점(예컨대,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에 해당함)의 제 1 채널에서의 제 1 공정의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한 후에 해당 공정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운영단말(40)에게로 전송한다(S78).Upon receiving a forced stop command, the charger (20) stores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of the first process in the first channel at the current time when the forced stop command was received (e.g., the time of saving the last saved data before the first process was forced to stop) in the storage unit (23) and then transmits the process data and recovery data to the operating terminal (40) (S78).
운영단말(40)은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한 현재 시점을 근거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영단말(40)은 제 1 채널(CH1)의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시점을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관리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이 결정되면 운영단말(40)은 해당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저장부(43)에 저장시킨다(S80). 물론, 운영단말(40)은 저장시킨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충방전기(20)에게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서, 운영단말(40)은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저장되었던 데이터(특히, 복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erating terminal (40) determine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orced stop command is received.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terminal (40)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s the last saved data storage point before the first process of the first channel (CH1) is forced to stop, or the user (administrator) may arbitrarily determine it. When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s determined in this way, the operating terminal (40) stores the corresponding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he storage unit (43) (S80). Of course, the operating terminal (40) transmits the stor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 (20). If necessary, the operating terminal (40) may additionally transmit the data (particularly, the recovery data) that was stored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이후, 충방전기(20)는 강제중지명령에 따라 현재 수행중인 제 1 채널(CH1)의 제 1 공정을 강제중지하게 된다(S82).Afterwards, the charger/discharger (20) forces the first process of the first channel (CH1) currently being performed to stop according to the forced stop command (S82).
그에 따라, 충방전기(20)는 제 2 채널(CH2)에서의 제 2 공정을 완료하면(S84),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강제중지되었던 제 1 공정을 제 2 채널(CH2)에서 재개시킨다(S86). 이 경우, 운영단말(40)로부터의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 명령에 따라 해당 제 1 공정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와 제 2 채널(CH2)에서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운영단말(40)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한 경우라면,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와 운영단말(40)로부터의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서의 복구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충방전기(20)는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충방전기(20)는 이와 같이 생성한 현재 시점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할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charger/discharger (20) completes the second process in the second channel (CH2) (S84), it resumes the first process, which was forcibly stopped, in the second channel (CH2)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S86). In this case, in response to the user's data recovery comman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of the first process and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CH2)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Of course, if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is additionally received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and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from the operating terminal (40). Then, the charger/discharger (20) generates th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Of course, the charger (20) will store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generated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in the storage unit (23).
이에 의해, 충방전기(20)는 제 1 채널(CH1)에서 제 1 공정(배터리 1)을 수행하고 제 2 채널(CH2)에서 제 2 공정(배터리 2)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제 1 공정이 중도에 강제중지되고 제 2 채널(CH2)의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에 제 2 채널(CH2)에서 제 1 공정을 다시 재개하는 경우에라도 새로 시작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전 공정 데이터의 마지막 지점부터 이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연속성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harger/discharger (20) can provide data continuity so that newly started process data can be stored from the last point of the previous process data even when the first process is forcibly stopped in the middle while the first process (battery 1) is performed on the first channel (CH1) and the second process (battery 2) is performed on the second channel (CH2) and t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on the second channel (CH2) after the second process on the second channel (CH2) is completed.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원부 20 : 충방전기
21, 41 : 전원단 22, 42 : 통신부
23, 43 : 저장부 24, 44 : 제어부
30 : 배터리 40 : 운영단말
44a : 시점 결정부 44b : 데이터 분리부
45 : 표시부 46 : 입력부
50 : 충방전 시스템10: Power supply 20: Charger
21, 41:
23, 43:
30: Battery 40: Operating Terminal
44a: Point of
45: Display section 46: Input section
50: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laims (15)
상기 충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출력된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영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단말은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기에 의해 수행되다가 현재 중단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고,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정을 재개하고,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재개된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결과 데이터에 연속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제 1 공정은 상기 충방전기의 다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단된 제 1 공정은, 상기 충방전기의 상기 다수의 채널들 중 제 2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 상기 제 2 채널에서 상기 제 2 공정에 후속하여 재개되는,
충방전 시스템.A charger/discharger connected to a battery to perform a process on the battery, generat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lated to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sult, and output the recovery data; and
It includes an operating terminal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bove charger and discharger and receives recovery data output from the above charger and discharger;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that is currently suspended and is being performed by the charger/discharger according to a user key input, and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long with a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The above charger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generates result data that is continuous to the result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sumed first process.
The above firs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channel among the multiple channels of the charger and discharger,
The above-mentioned interrupted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following the second process after the second process performed in the second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of the charger/discharger is completed.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측정 데이터는 공정 수행중에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로오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하고,
상기 복구 데이터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값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복구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값을 포함하는,
충방전 시스템.In paragraph 1,
The above measurement data includes one or more raw data measur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during process execution,
The above recovery data includes a value created by processing the above measurement data,
The above result data includes a value created by processing the above recovery data.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 1 공정이 재개됨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결과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시스템.In paragraph 1,
The above charger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first process; 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data recovery operation to provide continuity of result data based on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와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충방전 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By combining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nd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is generated, and th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는,
상기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시점의 복구 데이터인,
충방전 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is:
The recovery data is the last saved data before the abov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상응하는 복구 데이터는,
상기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시점들중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저장 시점의 복구 데이터인,
충방전 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is:
Among the storage points where th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above first process are stored, the recovery data of the storage point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운영단말로부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근거로 결과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 복구 작업을 수행하는,
충방전 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storage unit additionally receives and stores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rom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The above control unit,
Performs data recovery work to provide continuity to result data based on the recovery data at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stored in the above storage unit.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제 1 공정이 재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현재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충방전 시스템.In Article 7,
The above control unit,
By combining the recovery data at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and the measuremen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process is resumed, the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is generated, and the result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recovery data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운영단말은,
상기 충방전기로부터의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와 복구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시스템.In paragraph 1,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of the first process from the above charger;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복구 데이터를 추가로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시키는,
충방전 시스템.In Article 9,
The abov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recovery data at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s transmitted to the above charge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기로부터의 데이터 세트에서 복구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서로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및
사용자 키입력에 의한 제 1 공정의 강제중지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결정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시스템.In Article 9,
The above control unit,
A dat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recovery data and non-recovery data from the data set from the above charger; and
A point-in-tim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n time upon receiving a forced stop command of the first process by user key input;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은,
상기 제 1 공정이 강제중지되기 이전에 마지막의 복구 데이터가 저장된 시점인,
충방전 시스템.In Article 11,
The abov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is,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last recovery data was saved before the above first process was forcibly stopped,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충방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기로부터 출력된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영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단말은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기에 의해 수행되다가 현재 중단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고,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정을 재개하고,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재개된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결과 데이터에 연속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제 1 공정은 상기 충방전기의 다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단된 제 1 공정은, 상기 충방전기의 상기 다수의 채널들 중 제 2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 재개되는,
충방전 시스템.A charger/discharger connected to a battery to perform a process on the battery, generate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lated to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sult, and output the recovery data; and
It includes an operating terminal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bove charger and discharger and receives recovery data output from the above charger and discharger;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that is currently suspended and is being performed by the charger/discharger according to a user key input, and transmits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long with a data recovery command to the charger/discharger.
The above charger resumes the first process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generates result data that is continuous to the result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sumed first process.
The above firs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channel among the multiple channels of the charger and discharger,
The above-mentioned interrupted first process is resumed after the second process performed in the second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of the charger/discharger is completed.
Charge and discharge system.
상기 운영단말이, 상기 충방전기로부터의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영단말이,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기에 의해 수행되다가 현재 중단된 제 1 공정에 대한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영단말이,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을 데이터 복구 명령과 함께 상기 충방전기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기는 상기 데이터 복구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공정을 재개하되,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복구 데이터 및 상기 재개된 제 1 공정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복구 기준 시점의 결과 데이터에 연속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공정은 상기 충방전기의 다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단된 제 1 공정은, 상기 충방전기의 상기 다수의 채널들 중 제 2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제 2 공정이 수행완료된 후, 상기 제 2 채널에서 상기 제 2 공정에 후속하여 재개되는,
데이터 복구 방법.A step of generating measurement data, recovery data and result data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performance results for the battery by the charger/discharger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operating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receives and stores recovery data from the charger/discharger;
A step in which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determines a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for the first process that was performed by the charger and discharger and is currently suspended according to a user key input;
The step of the above operat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to the charger together with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The above charger comprises a step of resuming the first process in response to the data recovery command, and generating result data that is continuous to the result data of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recovery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overy reference point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sumed first process;
The above firs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channel among the multiple channels of the charger and discharger,
The above-mentioned interrupted first process is resumed in the second channel following the second process after the second process performed in the second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of the charger/discharger is completed.
How to recover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467A KR102746840B1 (en) | 2021-12-10 | 2021-12-10 |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467A KR102746840B1 (en) | 2021-12-10 | 2021-12-10 |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861A KR20230087861A (en) | 2023-06-19 |
KR102746840B1 true KR102746840B1 (en) | 2024-12-26 |
Family
ID=8698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6467A Active KR102746840B1 (en) | 2021-12-10 | 2021-12-10 |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684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6759A (en) * | 2006-01-31 | 2007-08-16 | Hitachi Ltd | Storag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9040A (en) * | 1995-11-22 | 1997-06-26 | 김광호 | Computer system capable of recovering work by key signal input and its control method |
JPH1125007A (en) * | 1997-06-27 | 1999-01-29 | Kofu Nippon Denki Kk | Method for storing/recovering backup data |
KR19990049082A (en) * | 1997-12-11 | 1999-07-05 | 김영환 | How to Save System Configuration Data |
KR100254785B1 (en) | 1998-01-30 | 2000-05-01 | 이종수 | Data ba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plc |
US7003620B2 (en) | 2002-11-26 | 2006-02-21 |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 Appliance, including a flash memory, that is robust under power failure |
-
2021
- 2021-12-10 KR KR1020210176467A patent/KR1027468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6759A (en) * | 2006-01-31 | 2007-08-16 | Hitachi Ltd | Storag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861A (en) | 2023-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67848B2 (en) |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ate of health of battery | |
KR100793194B1 (en) | Multi battery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device | |
CN101213717A (en) | Method and charger for boost charging a chargeable battery on the basis of a physical model | |
CN113612281B (en) |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 |
CN101443672A (en) | Method for managing a bank of rechargeable batteries using the whiplash effect of charging | |
EP2956784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charge and remaining operation life of a battery | |
KR10192593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of secondary battery | |
KR102546821B1 (en) | Battery test system | |
KR102711058B1 (en) | Method for eliminating voltage imbalance between battery modules connected in series and battery pack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
JP4485489B2 (en) | DC power supply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and program for executing DC power supply system test method | |
KR102746840B1 (en) |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746835B1 (en) |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data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994601A (en) | A black-start method for distribution network based on energy storage system | |
CN107294163B (en) | Storage battery state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with storage battery monomer balancing function | |
CN102263432A (en) | Gush-surplus lithium battery storage battery | |
KR20190054512A (en) | Battery charging method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 |
CN101931109B (en) | Battery charging method | |
CN117790947A (en) | Battery module electricity supplement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
CN111600354B (en) | Grouping protection system for batteries used in echelon and battery pack forming method | |
CN115986881A (en) | Constant-voltag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lithium battery series-connection component-capacity detection equipment | |
CN105529782B (en) | Online storage battery pack lagging battery emergency auxiliary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KR101401805B1 (en) |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 |
KR20220026184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harging of a lithium battery for a dron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2167426B1 (en) |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pack of low voltage statement | |
KR20220048494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harging of a battery for a smart mobility and the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3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