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6596B1 -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6596B1
KR102736596B1 KR1020240057760A KR20240057760A KR102736596B1 KR 102736596 B1 KR102736596 B1 KR 102736596B1 KR 1020240057760 A KR1020240057760 A KR 1020240057760A KR 20240057760 A KR20240057760 A KR 20240057760A KR 102736596 B1 KR102736596 B1 KR 10273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nodes
unit
digit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7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명산
김종현
송만희
Original Assignee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셜인프라테크 filed Critical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to KR102024005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65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65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8Transfer of content, software, digital rights or licenses
    • G06F21/1085Content sharing, e.g. peer-to-peer [P2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제공되고, N 개의 노드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과 저작권을 등록하는 퍼스널 로딩 유닛; 퍼스널 로딩 유닛으로부터 등록된 디지털 데이터의 정보,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 정보,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정보를 N 개의 노드에 공유되도록 하는 노드 액션 유닛; 및 N개의 노드에 저장되고 공유된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ical idea including a personal loading unit provided on a user's terminal, composed of N nodes, receiving digital data generated from the user's terminal and registering ownership and copyright of the digital data; a node action unit causing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registered from the personal loading unit,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and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to be shared with N nodes; and an external sharing unit sharing digital data stored and shared in the N nodes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nodes.

Description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본 발명은 데이터 증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단말기 상에 데이터의 무결성을 증명하는 노드를 내장하고, 디지털 데이터 생성 시점에 위변조 불가능한 방식으로 저작권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퍼블릭 블록체인에 디지털 데이터의 최초 생성 시점을 위변조 불가능한 방식으로 증명하도록 하는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verific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field that embeds a node that verifies the integrity of data in a terminal, enables copyright authentication in a non-forgery manner at the time of digital data creation, and verifies the time of initial creation of digital data in a non-forgery manner on a public blockchain.

전세계 디지털 사진, 동영상 시장 규모는 2021년 60조 3천억원(약 459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The global digital photo and video market size is estimated to reach KRW 60.3 trillion (approximately USD 45.9 billion) in 2021.

21세기 들어 스마트폰 등 사진,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는 55억 명을 넘었으며, 보급률은 70%를 넘어 스마트폰은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된 개인화 기기로 자리잡고 있다. In the 21st century, digital devices capable of taking photos and videos, such as smartphones, have increased explosively. As of 2023,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worldwide will exceed 5.5 billion, and the penetration rate will exceed 70%, making smartphones a universally used personal device worldwide.

스마트폰 디지털 사진, 동영상 시장은 연간 6%가량 지속 성장 중이며, 개인 사진, 동영상 거래시장(스톡시장)이 2022년 글로벌 10조, 국내 400억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The smartphone digital photo and video market continues to grow at an annual rate of approximately 6%, and the personal photo and video trading market (stock 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KRW 10 trillion globally and KRW 40 billion domestically by 2022.

하루 50억장, 연간 약1조 8,100억개의 디지털 사진, 동영상이 촬영되고 있으며 매년 증가하며 SNS(예컨대, 인스타그램)에서는 매일 13억장의 사진이 공유되는 등 전체 사진의 6%가 온라인에 공유되고 있다. Five billion digital photos and videos are taken every day, or about 1.81 trillion per year, and the number is increasing every year. 1.3 billion photos are shared daily on social media (e.g. Instagram), accounting for 6% of all photos shared online.

여러 유형의 데이터들이 여러가지 방식으로 곳곳에 축적되면서 기존에 부각되지 않았던 새로운 문제점과 관리 포인트들이 대두되고 있는데, 개인정보 누출 등 프라이버시 문제 발생, 개인정보 무단 도용 및 악용, 기업들의 개인정보에 대한 무분별한 수집과 거대 회사들의 무차별 데이터 수집 및 허가 받지 않은 상업적 활용 등의 문제점이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As various types of data are accumulated in various ways and in various places, new problems and management points that were not previously highlighted are emerging. Issues such as privacy issue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s, unauthorized theft and ab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discriminat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y companies, indiscriminate data collection by large companies, and unauthorized commercial use are emerging as current issues.

이미지 저작권 침해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사진에 워터마크를 삽입하거나, 웹 사이트에서의 우클릭 후 다운로드를 금지하는 것, 저작권 공지를 강화하거나 또는 DCMA Badge(CMA Badge 란, 해당 Badge를 웹사이트에 삽입하면 DCMA에서 자동으로 저작권을 추적해 무단 사용된 웹사이트를 발견하면 게시 중단 처리(Takedown service)하는 서비스)를 웹사이트에 삽입하는 등을 제안하고 있으나 개인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방법이나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Some suggested methods to fundamentally prevent image copyright infringement include inserting watermarks into photos, prohibiting downloads after right-clicking on a website, reinforcing copyright notices, or inserting a DCMA Badge (a CMA Badge is a service that automatically tracks copyright and takes down websites that are found to have been used without permission when the Badge is inserted into a website). However, a strong method or solution is needed to protect individual copyrights.

또한, 최근 AI가 생성하는 글, 사진, 동영상의 품질이 높아지면서 AI가 생산한 가공 데이터와 실제 기사, 사람이 찍은 원작 사진을 구분할 필요성이 급격하게 증대하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quality of text, photos, and videos generated by AI has recently improved, th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processed data produced by AI and actual articles and original photos taken by people has rapidly increased.

최근 많은 스타트업들이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하고 있으나, 금융데이터, 각종 인증서와 증명서, 건강기록, 취향 데이터 등의 기록들은 정부, 금융기관, 보험사, 공공기관 등 외부 기관들이 주로 데이터를 생산, 축적, 관리하고 있기에 이들 데이터에 대한 사실상의 독점적 관리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나 기관들과 데이터 연계 및 데이터 공동관리 등의 협업 없이는 비즈니스가 불가능하다. Recently, many startups are trying out new business models to address these issues. However, records such as financial data, various certificates and credentials, health records, and preference data are mainly produced, accumulated, and managed by exter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government, financial institutions, insurance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business is impossible without collaboration in data linkage and data joint management with companies or organizations that have de facto exclusive management rights to this data.

그러나, 개인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동영상 등 개인 아카이브(archive)들은 잠재적 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개인이 그 관리 및 처분 권한을 보유하고 있기에, 관리권한이 기관 및 기업들에 공유 내지 위임되어 있는 다른 컨텐츠들보다 비교적 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owever, personal archives such as photos and videos stored on personal terminals or smartphones not only have great potential value,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relatively easier to manage than other content where management authority is shared or delegated to institutions and companies, as individuals have the authority to manage and dispose of them.

예컨대, 블록체인을 통하여 데이터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선행하는 특허문헌으로는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등록번호 제10-2144302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For example, there is also a prior patent document on a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 of data through blockchain,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Registration No. 10-21443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의 경우,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관리 방법은 저작권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저작권 처리 요청에 따라 저작권 관리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것과, 저작권 관리 트랜잭션을 처리를 위해 블록 체인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블록체인은 모든 블록 체인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 저작권 관리 트랜잭션의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 digital content copyright management method includes receiving a copyright processing request, configuring a copyright management transaction according to the copyright processing request, and storing the copyright management transaction in a blockchain for processing, wherein the blockchain is stored in all blockchain devices. Reliable and secure processing of the copyright management transaction can be implemented.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비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등록번호 제10-1981699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 In addition, there exists a “copyright management system for non-digital works based on blockchain (registration number 10-198169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의 경우, 저작권 관리를 위해 저작물을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저작권자 기기, 저작권자 기기로부터 저작물에 대한 등록 요청 및 저작물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저작물에 대한 등록을 수행하되, 등록 시 저작물에 매칭하는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ID 및 저작물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저작물은 비디지털 저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a copyright holder device that requests registration of a copyrighted work on a server for copyright management, a server that receives a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copyrighted work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pyrighted work from the copyright holder device, performs registration of the copyrighted wor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and generates an ID matching the copyrighted work upon registration, and records the generated ID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pyrighted work on a blockchai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pyrighted work is a non-digital copyrighted work.

아울러,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등록번호 제10-2319006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The first copyright own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Registration No. 10-2319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3의 경우, 최초 저작물에 대한 최소단위 정보가 입력되고, 저작권자의 고유 ID 생성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저작권자 단말; 고유 ID 생성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며, 고유 ID의 인증 여부에 따라 고유 ID 정보를 생성하고, 최소 단위 정보의 수신 시 최소 단위 정보에 대한 식별력 및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최소 단위 정보의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해쉬값을 생성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생성된 해쉬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저작물 관리서버; 및 저작물 관리서버로부터 고유 ID에 대한 정보와 최소 단위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정보들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the method includes: a copyright terminal which inputs minimum unit information on an original work and generates a request signal for generating a unique ID of the copyright holder; a copyright management server which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generating a unique ID, generates unique ID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unique ID is authenticated, determines whether the minimum unit information has the distinctiveness and similarity when the minimum uni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generates a hash value including time information of the minimum unit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stores the generated hash value in a blockchain while connected to a blockchain network; and an authentication server which receives information on a unique ID and minimum unit information from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예컨대, 사진과 동영상 등 스마트폰에 지속적으로 누적되고 있는 개인 아카이브는 1)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 아카이브를 타겟으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는 방식은 비교적 쉽게 사업화할 수 있으며, 2) 개인이 생산하여 SNS에 공유되어 있는 사진/동영상 등의 미디어 컨텐츠들에 대해서도 개인 저작권과 소유권에 대한 표식 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저작권 침해, 무단도용 가능성을 해소시키고 개인들이 생산하는 데이터에 정당한 권리를 부여하고 정당한 대가로 거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personal archives such as photos and videos that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on smartphones can be commercialized relatively easily by 1) providing a new service model targeting personal archives stored on smartphones, and 2) strengthening indications of personal copyright and ownership for media contents such as photos and videos produced by individuals and shared on SNS, there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unauthorized use, and granting legitimate rights to the data produced by individuals and enabling it to be traded for a fair price.

이러한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요구사항의 등장에 직면하여, 가공 컨텐츠와 원본 컨텐츠를 구분하고, 개인들이 생산하는 데이터에 정당한 권리를 부여하고 정당한 대가로 거래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Faced with these changing environments and the emergence of new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distinguishes between processed content and original content, grants individuals fair rights to the data they produce, and allows it to be traded for fair compensation.

등록번호 제10-2144302호Registration No. 10-2144302 등록번호 제10-1981699호Registration No. 10-1981699 등록번호 제10-2319006호Registration No. 10-2319006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esents the following tasks to be solved.

첫째, 저작권 및 소유권이 인증된 양질의 컨텐츠가 유통되고 거래될 수 있는 마켓을 제공하며, 원작자를 보호하고 창작 저작물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 First, we aim to provide a market where high-quality content with certified copyright and ownership can be distributed and traded, protecting original creator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creative works.

둘째, 블록체인에 대한 사용을 무료로 가능하도록 함으로 저작권 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며, 네트워크가 끊겨진 상태에서도 블록체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Second, it minimizes copyright management costs by allowing free use of blockchain, and allows use of blockchain even when the network is disconnected.

셋째, 퍼블릭 블록체인에 NFT를 발행하더라도 컨텐츠 최초 생성 시점을 위변조 불가능한 방식으로 증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rd, even if NFTs are issued on public blockchains, we want to be able to prove the time of initial creation of the content in a way that cannot be falsified.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 sharing of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olving mean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제공되고, N 개의 노드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과 저작권을 등록하는 퍼스널 로딩 유닛; 상기 퍼스널 로딩 유닛으로부터 등록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정보,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 정보,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정보를 상기 N 개의 노드에 공유되도록 하는 노드 액션 유닛; 및 상기 N개의 노드에 저장되고 공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ersonal loading unit provided on a user's terminal and composed of N nodes, receiving digital data generated from the user's terminal and registering ownership and copyright of the digital data; a node action unit causing information on the digital data registered from the personal loading unit, ownership information on the digital data, and copyright information on the digital data to be shared with the N nodes; and an external sharing unit sharing the digital data stored and shared in the N nodes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퍼스널 로딩 유닛은,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노드로 구성되되, 각각이 구분된 N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ersonal loading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conceptually distinct nodes, each of which is formed by N distinct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퍼스널 로딩 유닛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업로딩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상기 소유권 정보와 상기 저작권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ersonal loading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data, through which the digital data is uploaded from the user;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for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노드 액션 유닛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상기 N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정보 공유부; 및 상기 N개의 노드를 통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가 상호 검증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node action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formation sharing unit that shares the digital data,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with the N nodes; and a verification unit that mutually verifies the digital data,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through the N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검증부는, 상기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N개의 노드를 통해 검증하는 데이터 검증부; 및 상기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N개의 노드를 상호 교차 매칭 비교하여 검증하는 정보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verification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ata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N nodes through each of the N nodes; and a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N nodes by cross-matching and comparing each of the N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노드 액션 유닛은, 상기 정보 공유부를 통해 공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를 N개의 노드 각각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node action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digital data,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shared through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in each of N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부; 상기 소유권 정보와 상기 저작권 정보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고 저장하는 인증 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external sharing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ata sharing unit for sharing the digital data from the terminal to a plurality of external nodes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selectively genera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sharing and sto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plurality of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인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로부터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와 상기 N개의 노드에 각각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sharing data exter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for the digital data,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shared with each of the external multiple nodes and the N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은, 상기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와 네트워킹하며, 상기 N개의 노드로부터 상기 정보 검증부를 통해 검증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며, 상기 복수 개의 노드와 상기 N개의 노드 간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상호 매칭을 통한 공유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external sharing unit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networks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nodes, shares the digital data verified through the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from the N nodes, and creates sharing through mutual matching of the digital data between the plurality of nodes and the N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상기 N개의 노드 각각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 개의 노드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Each of the N nodes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and allow the transaction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nod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compare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with the digital data to confirm whether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and the digital data match each other.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 sharing of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인입되는 각종 데이터를 퍼스널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하며, 수수료 없이 저장이 가능하도록 한다.First, all types of data being imported are stored in a personal blockchain, and can be stored without fees.

둘째, 스마트폰 내에서 작동하기에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블록체인에 기록이 가능하도록 한다.Second, it works within a smartphone, allowing records to be written to the blockchain even when there is no network connection.

셋째, 마이 데이터에 대해서 오프라인에 소유권과 저작권 정보를 저장해 두고 공적 인증이 필요할 시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을 외부 블록체인에 소유권, 저적권 및 컨텐츠 생성 시점 등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store ownership and copyright information about My Data offline, and when public authentication is required, use the stored data to authenticate ownership, copyright, and content creation time on an external blockchain.

넷째,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은 저작권, 소유권에 대한 외부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 마켓 등과의 연동을 통하여 거래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Fourth, external public blockchains enable external authentication of copyright and ownership, and can act as transaction intermediaries through linkages with external markets, etc.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디지털 데이터가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후 퍼스널 로딩 유닛에 업로딩되어 저장된 후, 외부 블록체인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외부 블록체인과 SNS가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과 노드 액션 유닛,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이 관리앱이 연동되고 관리 앱을 통하여 외부로 디지털 데이터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각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노드 액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검증부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ly sharing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digital data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 sharing of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data is generated from a terminal, uploaded to a personal loading unit, stored, and then shared with an external blockchain.
FIG. 3 illustrates the linkage between an external blockchain and SNS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personal loading unit, a node action unit, and an external sharing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nagement app is linked and digital data is provided externally through the management app.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 personal loading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 node action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 verification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 sharing of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n external sharing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sharing data exter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디지털 데이터가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후 퍼스널 로딩 유닛에 업로딩되어 저장된 후, 외부 블록체인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외부 블록체인과 SNS가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과 노드 액션 유닛,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이 관리앱이 연동되고 관리 앱을 통하여 외부로 디지털 데이터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각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노드 액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검증부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digital data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generated from a terminal, uploaded to a personal loading unit, stored, and then shared with an external blockchain. FIG. 3 illustrates an external blockchain and SNS being linked in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personal loading unit, a node action unit, and an external sharing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linked with a management app and digital data being provided externally through the management app.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 personal loading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 node action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 verification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mponent of an external sharing unit of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인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하여, 퍼블릭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블록체인 데이터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모두가 상시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투명하게 검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In order to verify personal data, it is common to use public blockchains, and in order to objectively and transparently verify blockchain data, a method is used where everyone can access the blockchain at all times and transparently verify the data.

그러나, 일반적인 퍼블릭 블록체인(메인넷)은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과 함께, 블록체인 사용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과 온라인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However, general public blockchains (mainnets) have the disadvantage of slow data processing speed, requiring payment of blockchain usage fees, and being available only online.

반면, 본원 발명의 경우, 스마트폰에 내장된 개념화된 복수 개의 노드(예컨대, 퍼스널 블록체인)에 먼저 기록하도록 하는 퍼스널 블록체인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blockchain is provided that first records are made on a conceptualized plurality of nodes (e.g., personal blockchain) built into a smartphone.

내장 프라이빗 노드로 형성된 퍼스널 블록체인을 제공함에 대한 장점은 i) 신규 저작권 정보의 실시간 등록, ii) 사용료 무료로 저작권 관리 비용 최소화, iii) 네트워크가 끊겨진 오프라인(offline)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 iv) 법적 분쟁에 대한 근거자료 상시 보관 등이 있다. The advantages of providing a personal blockchain formed with built-in private nodes include i) real-time registration of new copyright information, ii) minimization of copyright management costs with no usage fees, iii) usability even in offline states when the network is disconnected, and iv) constant storage of supporting data for legal disputes.

또한, 퍼스널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과의 연동 및 활용이 가능하다. Additionally, in order to secure the public nature of data stored in personal blockchains, it is possible to link with and utilize external public blockchain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퍼스널 로딩 유닛(personal loading unit, 100), 노드 액션 유닛(node action unit, 200),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external sharing unit, 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A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ly shar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rsonal loading unit (100), a node action unit (200), and an external sharing unit (300).

먼저, 퍼스널 로딩 유닛(100)은, 사용자의 단말기(1) 상에 제공되고, N 개의 노드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단말기(1)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10)를 수신하고, 디지털 데이터(10)의 소유권과 저작권을 등록한다. First,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is provided on the user's terminal (1), is composed of N nodes, receives digital data (10) generated from the user's terminal (1), and registers the ownership and copyright of the digital data (10).

사용자의 단말기(1)는 스마트폰, 태블릿PC, 퍼스널 컴퓨터 등 사진, 동영상에 대한 컨텐츠 생산과 문서 등의 데이터 생성이 가능한 전자 기기(electronic equipment)를 총망라할 수 있다. The user's terminal (1) may include any electronic equipment capable of producing content such as photos and videos and creating data such as document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personal computers.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10)의 경우, i) 이미지, 동영상, 기타 개인 저작물로서 스마트폰 등 개인 아카이브에 누적/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ii) SNS에 포스팅된 게시글이나 사진과 같이 개인의 관리 권한이 제한되었거나 관리 권한이 외부 기관이나 기업에 공유되어 있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digital data (10), it may correspond to i) data accumulated/stored in personal archives such as smartphones, such as images, videos, and other personal works, and ii) data for which personal management rights are limited or management rights are shared with external organizations or companies, such as posts or photos posted on SNS.

또한, iii) 신상정보, 금융정보, 의료정보와 같이 개인의 데이터이지만 관리기관이 개인 외부의 기관이나 기업에 사실상 위임되어 있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ii) it may be data that is personal data,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financi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but whose management agency has been effectively delegated to an organization or company outside the individual.

디지털 데이터(10)의 구체적 예로서, 개인의 금융 기록, 건강 기록, 취향 기록, 구매 기록, 사진, 동영상, 개인 계약서 등의 문서, 각종 인증서와 증명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digital data (10) include personal financial records, health records, preference records, purchase records, photographs, videos, documents such as personal contracts, various certificates and certifications, etc.

디지털 데이터(10)의 소유권과 저작권이라 함은,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저작권과 소유권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컨대, 컨텐츠에 대한 생성 시점 정보, 디지털 데이터(10)가 저장된 시점에 대한 정보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Ownership and copyright of digital data (10) may correspond to copyright and ownership information for digital data (10), and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time of creation of content,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digital data (10) was stored, etc.

퍼스널 로딩 유닛(100), 노드 액션 유닛(200)의 경우, 스마트폰 내에서 작동하는 프라이빗(Private)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라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and the node action unit (200), they can be said to be private applications that operate within a smartphone.

노드 액션 유닛(200)은 퍼스널 로딩 유닛(100)으로부터 등록된 디지털 데이터의 정보,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 정보,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정보를 N 개의 노드에 공유되도록 한다. The node action unit (200) shares information on registered digital data, ownership information on digital data, and copyright information on digital data from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to N nodes.

퍼스널 로딩 유닛(100), 노드 액션 유닛(200),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를 통한 디지털 데이터(10)에 저작권/원작자 정보의 유통 흐름의 단계는 표1에 해당할 수 있다. The stages of the distribution flow of copyright/original author information in digital data (10) through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node action unit (200), and external sharing unit (300) may correspond to Table 1.

단계step 단계 설명Step Description 세부설명Detailed Description 11 컨텐츠 생성Content Creation 카메라폰 등으로 신규 이미지/동영상 생성Create new images/videos using a camera phone, etc. 22 사적 인증정보 생성 및 저장Create and store private credentials 핸드폰에 내장된 개인용 블록체인에 생성 및 저장Create and store on your personal blockchain built into your phone 33 공적 인증정보 생성 및 저장Create and store public credentials 선별적으로 앱에 연동된 공개 블록체인에 생성 및 저장Create and store on a public blockchain selectively linked to the app 44 SNS에 공적 인증 정보 자동 노출Automatic exposure of publ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 SNS SNS공유시 게시물에 공개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 노출When sharing on SNS, information stored in the public blockchain is exposed in the post.

예컨대, 디지털 데이터에 저작권 도용 또는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단계 1과 단계2 또는 단계 3과 단계4는 법적 절차의 증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copyright infringement or dispute arises regarding digital data, steps 1 and 2 or steps 3 and 4 can be used as evidence in legal proceedings.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은 N개의 노드에 저장되고 공유된 디지털 데이터(10)를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한다. The external sharing unit (300) shares digital data (10) stored and shared in N nodes with multiple external nodes.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의 경우, 외부 블록체인(30)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multiple external nodes, it may correspond to an external blockchain (30).

외부 블록체인은 NFT를 발행하고, 저작권/소유권에 대한 외부 인증 역할을 할 수 있다. External blockchains can issue NFTs and serve as external authentication for copyright/ownership.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 즉, 외부 블록체인은 그 종류와 크기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hat there be no limitations on the type and size of the external multiple nodes, i.e. external blockchains.

퍼스널 로딩 유닛(100), 노드 액션 유닛(200),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은 단말기(1) 내에 제공되는 CPU, 메모리, 저장 공간 및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10)의 정보와 디지털 데이터(10)를 저장할 수 있다.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node action unit (200), and external sharing unit (300) can store information and digital data (10) using the CPU, memory, storage space, and database provided within the terminal (1).

또한, 예컨대, 내장된 퍼스널 로딩 유닛(100), 노드 액션 유닛(200)은 사진첩(또는 카메라) 앱 상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새로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추가될 경우 해당 디지털 데이터(10)의 저작권 기본 정보 및 해시값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built-in personal loading unit (100) and node action unit (200) can be driven on a photo album (or camera) app, and when a new image or video is added, the copyright basic information and hash value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data (10) can be stored.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100)은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노드로 구성되되, 각각이 구분된 N개로 형성된다.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conceptually distinct nodes, each of which is formed by N distinct nodes.

N개의 노드의 경우, 최소 2개의 노드(node)로 구성되며,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For N nodes, it consists of at least 2 nodes, but can consist of more than 2.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100)은 단말기(1)에 내장된 프라이빗한 노드로 형성되는 퍼스널 블록체인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메인넷 구조 대비 표2과 같은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of the system may correspond to a personal blockchain formed by a private node built into the terminal (1), and may have differences as shown in Table 2 compared to the generally utilized mainnet structure.

구분division 일반적인 블록체인 구조General blockchain structure 퍼스널 블록체인 구조Personal Blockchain Structure 작동 환경Operating environment 최소 개인용 고성능 컴퓨터 또는 서버급 환경에서 작동Operates in a minimum personal high-performance computer or server-class environment iOS 및 Andriod 스마트폰 환경에서 작동Works on iOS and Andriod smartphone environments 네트워크 구성Network configuration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Public or private 프라이빗Private 네트워크 환경Network environment 온라인 상태에서만 블록체인 사용 가능Blockchain is only available online 오프라인에서도 블록체인 사용 가능Blockchain can be used offline too 블록체인 사용 비용Cost of using blockchain 블록체인 사용 수수료 지불Paying blockchain usage fees 무료(개인의 스마트폰에서 작동)Free (works on your personal smartphone) 데이터 처리 속도Data processing speed 일반적으로 빠르지 않음Generally not fast 빠름(0.1초 미만)Fast (less than 0.1 seconds)

N개의 노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스마트폰(또는 단말기) 앱에 데이터의 무결성을 증명하는 N개의 노드를 내장하고, 디지털 컨텐츠 생성 시점에 위변조 불가능한 방식으로 저작권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하여 SNS 등에 공유할 때 블록체인에 기록된 저작권 인증 및 소유권 표시를 자동을 노출함으로 기술적으로 저작권을 증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As a specific method for N nodes, a technology can be implemented that technically proves copyright by embedding N nodes that prove the integrity of data in a smartphone (or terminal) app, and authenticating copyright in a way that cannot be tampered with at the time of digital content creation, thereby automatically exposing the copyright authentication and ownership mark recorded on the blockchain when sharing on SNS, etc.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퍼스널 로딩 유닛(100)은 데이터 수신부(110), 정보 수신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 sharing of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110)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데이터 수신부(110)는 디지털 데이터가 사용자로부터 업로딩되어,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data receiving unit (110) receives digital data uploaded from a user.

데이터 수신부(110)는 API 연동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으며, 업로딩 가능할 수 있는데, 외부 기관이나 기업에 공유되어 있는 데이터의 경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연동을 통하여 다수의 디지털 데이터(10)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an retrieve and upload various types of data through API linkage. In the case of data shared with external organizations or companies, a plurality of digital data (10) can be received through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inkage.

정보 수신부(120)는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소유권 정보와 저작권 정보를 수신한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receives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for digital data (10)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ing unit.

정보 수신부(120)는 단말기에서 생산되는 사진, 동영상, 문서, 텍스트 등 1차 저작물에 대한 생성 시점의 저작권 및 소유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and ownership at the time of creation of primary works such as photos, videos, documents, and texts produced by the terminal.

디지털 데이터(10)에 소유권 정보와 저작권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10)의 생성 시점에 대한 기록 또는 디지털 데이터(10)를 퍼스널 로딩 유닛(100)에 불러오는 시점에 대한 기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in digital data (1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creation of the digital data (10) or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loading the digital data (10) into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데이터 수신부(110)는 단말기 내 디지털 데이터(10)가 생성될 때마다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사용자의 조작 등- 내장 퍼스널 블록체인을 호출하여 사용자들의 디지털 테이터(10)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automatically or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e.g., user operation) call the built-in personal blockchain to receive the users' digital data (10) whenever digital data (10)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노드 액션 유닛(200)은, 정보 공유부(210), 검증부(220) 및 데이터 저장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node action unit (20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formation sharing unit (210), a verification unit (220), and a data storage unit (230).

정보 공유부(210)의 경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10)와 소유권 정보,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N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210), the digital data (10) and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re shared among N nodes.

저작권 정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10)의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의 권리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pyright information, it may correspond to the creator's rights information for the work of digital data (10).

저작권 정보의 경우, 예컨대, 저작자명 정보, 저작물명 정보, 발행자 정보, 저작물 크기 정보, 분류 정보, 저작물 구조 정보, 저작물 장르 정보, 저작물 발행일 정보, 저작물 등록일 정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pyright information, it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uthor name information, work title information, publisher information, work size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work structure information, work genre information, work publication date information, work registration date information, etc.

소유권 정보의 경우, 예컨대, 소유자명 정보, 소유자 지역 정보, 소유자 변경 정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ownership information, this may include, for example, owner name information, owner location information, and owner change information.

검증부(220)는 N개의 노드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10)와 소유권 정보, 저작권 정보가 상호 검증되는 구성이다. The verification unit (220) is configured to mutually verify digital data (10),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through N nodes.

데이터 저장부(230)는 정보 공유부(210)를 통해 공유된 디지털 데이터(10)와 소유권 정보, 저작권 정보를 N개의 노드 각각에 저장한다. The data storage unit (230) stores digital data (10) and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shared through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210) in each of the N nodes.

데이터 저장부(230)는 스마트폰 내에서 작동하며,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unit (230) operates within the smartphone and can enable storage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아울러, 데이터 저장부(230)는 단말기(1)에 내장된 N개의 노드에 각각 저장되는 것이며,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지불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230) is stored in each of the N nodes built into the terminal (1), and may not require separate payment conditions for data storage.

데이터 저장부(230)는 새로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이 추가되었을 경우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선택적 작동을 통하여 단말기(1)의 내장 데이터 베이스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230) can be selectively operated when new photos or videos are added, and the amount of internal database usage of the terminal (1) can be minimized through selective operation.

데이터 저장부(230)는 새로운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될 때 작동하여 디지털 데이터(10)의 해시값과 저작권, 원작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며, 하드웨어 자원 및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내부 저장소를 사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230) operates when new digital data is stored to store the hash value, copyright, and original author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10), and can operate to use hardware resources and internal storage of a terminal (e.g., a smartphone).

아울러,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정보는 단말기 고장, 분실, 오작동 등에 대응하여 백업 기능을 제공하여 외부 백업 서비스에 디지털 데이터(10)와 디지털 데이터(10)의 저작권 정보와 소유권 정보를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컨텐츠 유실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30) can provide a backup function in response to terminal failure, loss, malfunction, etc., and can periodically back up the digital data (10)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and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10) to an external backup servic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content loss.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백업을 위해서는 외부 백업 서비스를 위한 서버(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For backup of digital data (10), a server (not shown) for an external backup ser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검증부(220)는 데이터 검증부(221), 정보 검증부(22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verification unit (22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 sharing of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verification unit (221) and a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222).

데이터 검증부(221)는 N개의 노드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하여 각각의 N개의 노드를 통해 검증한다. The data verification unit (221) verifies digital data (10) stored in N nodes through each of the N nodes.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각각의 상호 매칭 비교하여 검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Verification can be made possible by comparing each other's matching for digital data (10).

정보 검증부(222)는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소유권 정보,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N개의 노드를 상호 교차 매칭 비교하여 검증한다. The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222) verifies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stored in each of the N nodes by cross-matching and comparing the N nodes.

소유권 정보와 저작권 정보에 대한 각각의 상호 매칭 비교하여 검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verify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by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은, 데이터 공유부(310), 인증 정보 생성부(320), 인증 정보 공유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external sharing unit (30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externally shar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sharing unit (310),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0),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haring unit (330).

데이터 공유부(3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로부터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10)를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한다. The data sharing unit (310) shares digital data (10) stored from the terminal (1) with multiple external node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인증 정보 생성부(320)는 소유권 정보와 저작권 정보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0) selectively generat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인증 정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공적인 저작권 및 소유권에 대한 인증을 위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it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of public copyright and ownership of digital data (10).

인증 정보는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하여 NFT(Non-fungible token)을 발행하기 위한 소유주를 증명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also correspond to information that proves ownership for issuing NFTs (Non-fungible tokens) by multiple external nodes.

인증 정보 공유부(330)는 인증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고 저장한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haring unit (330) shares and sto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multiple nodes.

인증 정보 공유부(330)를 통해 저장되는 인증 정보의 경우, N개의 노드에 공유되고 저장됨과 함께, 복수 개의 노드에도 공유되고 저장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haring unit (330), it can be shared and stored in N nodes and also shared and stored in multiple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인증 정보 생성부(320)는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소유권 정보, 저작권 정보로부터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인증 정보가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와 N개의 노드에 각각 공유되도록 한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on digital data (10), and allow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be shared with multiple external nodes and N nodes, respectively.

외부 복수 개의 노드와 N개의 노드는 연동되며, N개의 노드에 대한 무결성과 N개의 노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동 및 활용될 수 있다. External multiple nodes and N nodes are linked and can be linked and utilized to secure the integrity of N nodes and the public nature of data stored in N nodes.

복수 개의 노드(예컨대,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은 NFT 발행, 저작권 및 소유권에 대한 외부 인증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마켓과 연동하여 거래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ultiple nodes (e.g. external public blockchains) can act as external authentication for NFT issuance, copyright, and ownership, and can act as transaction intermediaries by linking with external markets.

복수 개의 노드(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제공되는 컨텐츠(데이터)의 경우, N개의 노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소유권, 저작권 및 컨텐츠(디지털 데이터) 생성 시점 등을 인증할 수 있다. For content (data) provided to multiple nodes (external public blockchains), ownership, copyright, and content (digital data) creation time can be authenticated on the external public blockchain based on the data stored in N nodes.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은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와 네트워킹하며, N개의 노드로부터 정보 검증부(222)를 통해 검증된 디지털 데이터(10)를 공유하며, 복수 개의 노드와 상기 N개의 노드 간 디지털 데이터(10)의 상호 매칭을 통한 공유가 생성되도록 한다. The external sharing unit (300)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etworked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nodes, shares digital data (10) verified through a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222) from N nodes, and enables sharing through mutual matching of digital data (10) between a plurality of nodes and the N nodes.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의 경우, N개의 노드와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가 연동되고 네트워킹하여 상호 간에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external sharing unit (300), N nodes and multiple external nodes are linked and networked to share information among themselves.

본원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사용과 판매에 대한 대표적인 사용자 시나리오는, 실시예1에 해당할 수 있다. A representative user scenario for the use and sale of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Example 1.

[실시예1][Example 1]

i) 단말기(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퍼스널 로딩 유닛(100)에 연동하여 업로드하고, 저작권과 소유권을 등록한다. i) Upload a photo taken with a terminal (smartphone) to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and register the copyright and ownership.

ii) 1주일 후 해당 사진을 외부 블록체인에 NFT로 발행하고, 인스타그램에 SNS에 저작권/소유권 정보(저작권 공지)가 포함된 사진을 업로드한다. 이때, 외부 블록체인 사용 수수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앱 광고를 시청하고 사용 수수료를 획득하여 지불할 수 있다. ii) After one week, issue the photo as an NFT on an external blockchain, and upload the photo to Instagram with copyright/ownership information (copyright notice) included. At this time, you can watch in-app ads to earn external blockchain usage fees and pay for the usage fees.

iii) 인스타그램에서 누군가 해당 사진을 구매하고 싶다는 의향을 전달해와 마켓 플레이스에서 판매한다. iii) Someone on Instagram expresses interest in purchasing the photo and sells it on the marketplace.

iv) 마켓 플레이스에 공개된 내 사진의 썸네일들을 보고 AI회사에서 전체 컨텐츠를 구매하고 싶다는 의향을 전해와 해당 AI회사에 사진 사용권을 제공하고 보상을 받는다. iv) After viewing the thumbnails of my photos published on the marketplace, I express my intention to purchase the entire content from the AI company, provide the AI company with the right to use the photos, and receive compensation.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N개의 노드 각각은, 디지털 데이터(10)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며,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한다. Each of the N nodes of the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ransaction information of digital data (10) and allows the transaction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복수 개의 노드는, 디지털 데이터(10)의 트랜잭션 정보와 디지털 데이터(10)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디지털 데이터(10)의 트랜잭션 정보와 디지털 데이터가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A plurality of nodes compare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10) with the digital data (10) to confirm whether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10) and the digital data match each other.

디지털 데이터(10)의 트랜잭션 정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작업 상태 변화 내역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ransaction information of digital data (10), it may correspond to the work status change history for digital data (10).

예컨대, 디지털 데이터(10)의 조회, 갱신, 추가 작업, 소유권 변경 등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correspond to inquiry, update, additional work, change of ownership, etc. of digital data (10).

트랜잭션 정보 또한 N개의 개념화된 노드의 매칭을 통해 상호 검증될 수 있고 저장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 N개의 노드와 외부 복수 개의 노드 사이에서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Transaction information can also be mutually verified and stored through matching of N conceptualized nodes, and transaction information can also be mutually shared between N nodes and multiple external nodes.

또한, 사진/동영상 등 개인 디지털 데이터(10)를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공유 시 N개의 노드에 기록된 Hash값 및 저작권 정보와 원작자 정보를 노출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를 통해 NFT를 발행하고, NFT를 기반으로 저작권 인증 정보가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sharing personal digital data (10) such as photos/videos on SNS (Social Network Service), the hash value and copyright information recorded in N nodes and the original author information can be exposed, or NFT can be issued through multiple external nodes and copyrigh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exposed based on the NFT.

예컨대, 사진첩의 사진 및 동영상을 SNS에 공유할 경우, 저작권 및 원작자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SNS 공유 시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정보를 내보내거나 또는 사진, 동영상 및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저장하고 기록하여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의 정보를 SNS에 내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sharing photos and videos from a photo album on SNS, it is possible to display copyright and original author information, and when sharing on SNS, information stored in N nodes can be exported, or photos, videos, and information stored in N nodes can be stored and recorded on multiple external nodes, and information from multiple external nodes can be exported to SN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데이터의 소유권 인증 증명을 위한 데이터 증명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10)을 관리하기 위한 앱에 해당하는 관리 앱(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ata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ownership of person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nagement app (20) corresponding to an app for managing digital data (10).

관리 앱(20)은 퍼스널 로딩 유닛(100) 및 노드 액션 유닛(200)과 API통신으로 연동하여 개인이 생산한 사진, 동영상, 문서 등 단말기 내의 저작권, 소유권을 인증하고 증명하여 외부와의 공유 및 거래가 가능한 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app (20) can provide an app that authenticates and proves the copyright and ownership of photos, videos, documents, etc. produced by individuals within the terminal by linking with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and the node action unit (200) through API communication, thereby enabling sharing and trading with the outside.

또한, 관리 앱(20)은 외부의 마켓 플레이스(미도시)와 연동되어 디지털 데이터(10)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NFT로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app (20) can be linked with an external marketplace (not shown) to enable content corresponding to digital data (10) to be issued and traded as NFT.

사용자는 외부의 마켓 플레이스(미도시)를 통하여 거래자(2)와 디지털 데이터(10)에 대한 거래를 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작자와의 거래가 가능할 수도 있다. Users can trade with traders (2) for digital data (10) through external marketplaces (not shown), and may also be able to trade with content creators.

검증부(220)는 N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된 트랜잭션에 대한 이벤트를 통해 노드 상호간의 데이터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디지털 데이터(10)의 정보와 저작권 정보, 소유권 정보가 퍼스널 로딩 유닛(100), 노드 액션 유닛(200),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300)으로부터 소싱(sourcing)되지 않은 정보는 선택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노드 상호간의 데이터에 대한 정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data matching between nodes is not achieved through an event regarding a transaction that occurred in one of the N nodes, the verification unit (220) selectively removes information on digital data (10), copyright information, and ownership information that are not sourced from the personal loading unit (100), node action unit (200), and external sharing unit (300), and it is desirable to achieve matching of data between nodes.

N개의 노드의 경우, 예컨대, 1, 2, …, n개의 노드가 있다면, 복수 개의 노드 중 리딩 노드(leading node)를 선출하여 검증이 이루어지고, 리딩 노드를 통해 정보가 공유되며, 이후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노드를 통해 이벤트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N nodes, for example, if there are 1, 2, …, n nodes, a leading node is selected from among multiple nodes to perform verification, information is shared through the leading node, and thereafter, verification of the event can be performed through multiple preset nodes.

이에 대하여 노드 액션 유닛(200)은 리딩 노드를 선출하는 리더(leader) 선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node action unit (200) may include a leader selection unit (240) that selects a leading node.

리딩 노드에 대한 선출은 미리 설정된 선출 방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Election for the leading node follows a preset election method.

리딩 노드의 경우,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하여 설정된 선출 방식 또는 N개의 노드에 대한 미리 설정된 선출 방식을 따라 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e leading node, it is desirable to be elected according to an election method set by a plurality of preset nodes or a preset election method for N nodes.

또한, 리더 선출부(240)는 선출된 리더에 의하여 이벤트 발생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도록 하는 리딩(leading) 검증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eader sel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leading verification unit (241) that enables the selected leader to perform verification on the occurrence of an event.

또한, 리딩 검증부(241)를 통해 검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리더 노드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는 스케터링부(242)를 포함하며, 스케터링부(242)를 통해 각각의 노드에게 공유된 이벤트 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노드에 의하여 검증되는 이벤트 검증부(243)를 포함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ncludes a scattering unit (242) in which information about an event verified through a leading verification unit (241) is shared by a plurality of nodes preset by a leader node, and an event verification unit (243) in which event information shared to each node through the scattering unit (242) is verified by each node.

리딩 검증부(241)의 경우, 미리 설정된 선출 방식에 따라 선출된 리딩 노드가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검증(여기서의 이벤트 발생에 대한 검증은, 디지털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정보, 소유권 정보와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을 진행하고,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합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합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리딩 노드에 의하여 선택적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leading verification unit (241), a leading node selected according to a preset election method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here, ver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correspond to copyright information, ownership information of digital data, and transaction information of digital data), and if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occurrence of an event with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digital data, the transaction for which there is no agreement is selectively removed by the leading node.

리딩 노드에 의하여 이벤트 발생에 대한 검증 후, 스케터링부(242)는 복수 개의 노드에게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을 공유하게 된다. After ver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the leading node, the scattering unit (242) shares a transac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about the event with multiple nodes.

이벤트 검증부(243)를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노드 각각은 노드 간 상호 검증을 통하여 후속 적인 트랜잭션 검증을 진행하도록 하며, 각각의 노드에 공유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합치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상호 검증이 이루어지도록하며, 디지털 데이터에서 발생된 이벤트와 소유권 정보, 저작권 정보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합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e event verification unit (243),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set in advance is allowed to proceed with subsequent transaction verification through mutual verification between the nodes, and mutual verific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information about digital data shared by each node and an event occurring in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are consistent, and if an event occurring in digital data and an event occurring in ownership information or copyright information are not consistent, the corresponding transaction can be selectively removed.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described for optional limitation, but are used to indicate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 within the parentheses should also be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1: 단말기
10: 디지털 데이터
20: 관리앱
30: 외부 블록체인
100: 퍼스널 로딩 유닛
110: 데이터 수신부
120: 정보 수신부
200: 노드 액션 유닛
210: 정보 공유부
220: 검증부
221: 데이터 검증부
222: 정보 검증부
230: 데이터 저장부
300: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
310: 데이터 공유부
320: 인증 정보 생성부
330: 인증 정보 공유부
1: Terminal
10: Digital Data
20: Management App
30: External Blockchain
100: Personal Loading Unit
110: Data receiving unit
120: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0: Node Action Unit
210: Information Sharing Department
220: Verification Department
221: Data Verification Department
222: Information Verification Department
230: Data storage
300: External Sharing Unit
310: Data Sharing Section
320: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section
330: Sha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Claims (10)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제공되고, N 개의 노드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과 저작권을 등록하는 퍼스널 로딩 유닛;
상기 퍼스널 로딩 유닛으로부터 등록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정보,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 정보,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정보를 상기 N 개의 노드에 공유되도록 하는 노드 액션 유닛; 및
상기 N개의 노드에 저장되고 공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퍼스널 로딩 유닛은,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노드로 구성되되, 각각이 구분된 N개로 형성되며,
상기 노드 액션 유닛은,
리딩 노드를 선출하는 리더 선출부;
상기 리더 선출부를 통해 선출된 리더에 의하여 이벤트 발생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는 리딩 검증부;
검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리더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는 스케터링부;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노드 각각이 노드 간 상호 검증을 통하여 후속적인 트랜잭션 검증을 진행하며, 각각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합치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상호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벤트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A personal loading unit provided on a user's terminal, comprising N nodes, receiving digital data generated from the user's terminal and registering ownership and copyright of the digital data;
A node action unit that shares information on the digital data registered from the personal loading unit, ownership information on the digital data, and copyright information on the digital data to the N nodes; and
Including an external sharing unit that shares the digital data stored and shared in the above N nodes to multiple external nodes,
The above personal loading unit is,
It is composed of conceptually distinct nodes, each of which is formed by N distinct nodes.
The above node action unit is,
A leader election committee that elects a leading node;
A leading verification unit that performs verification of event occurrence by a leader elected through the above leader election unit;
A scattering unit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verified event is shared by a leader to a plurality of nodes preset by the leader; and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vent verification unit that allows each of the preset plurality of nodes to mutually verify subsequent transactions through inter-node mutual verification, and mutually verifies whether information about the digital data shared by each node matches an event that occurred i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로딩 유닛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업로딩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상기 소유권 정보와 상기 저작권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personal loading unit,
The above digital data is uploaded from the user, and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digital data; and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data external shar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for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액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상기 N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정보 공유부; 및
상기 N개의 노드를 통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가 상호 검증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the node action unit,
An information sharing unit that shares the digital data,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with the N nodes; and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in which the digital data,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are mutually verified through the N no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N개의 노드를 통해 검증하는 데이터 검증부; 및
상기 N개의 노드에 저장된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N개의 노드를 상호 교차 매칭 비교하여 검증하는 정보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fourth paragraph, the verification unit,
A data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N nodes through each of the N nodes; and
A data linkage system for proving ownership of data and sharing data externall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each of the N nodes by cross-matching and comparing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N no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액션 유닛은,
상기 정보 공유부를 통해 공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를 N개의 노드 각각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fifth paragraph, the node action unit,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digital data,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copyright information shared through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in each of N nod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부;
상기 소유권 정보와 상기 저작권 정보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고 저장하는 인증 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sixth paragraph, the external sharing unit,
A data sharing unit that shares the digital data from the terminal to multiple external node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selectively generat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 ownership information and the above copyright information; and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haring unit that shares and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nod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상기 소유권 정보, 상기 저작권 정보로부터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와 상기 N개의 노드에 각각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7th paragrap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verification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ownership information and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shared with each of the external multiple nodes and the N nod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터널 쉐어링 유닛은,
상기 외부의 복수 개의 노드와 네트워킹하며, 상기 N개의 노드로부터 상기 정보 검증부를 통해 검증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며, 상기 복수 개의 노드와 상기 N개의 노드 간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상호 매칭을 통한 공유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the seventh paragraph, the external sharing unit,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networks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nodes, shares the digital data verified through the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from the N nodes, and creates sharing through mutual matching of the digital data between the plurality of nodes and the N no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노드 각각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 개의 노드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트랜잭션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데이터 외부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연동 시스템.





In clause 9, each of the N nodes,
Receiv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above digital data and allow the transaction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The above multiple nodes are,
A data linkage system for data ownership proof and external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ares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with the digital data to confirm whether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and the digital data match each other.





KR1020240057760A 2024-04-30 2024-04-30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Active KR102736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7760A KR102736596B1 (en) 2024-04-30 2024-04-30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7760A KR102736596B1 (en) 2024-04-30 2024-04-30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6596B1 true KR102736596B1 (en) 2024-12-03

Family

ID=9384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7760A Active KR102736596B1 (en) 2024-04-30 2024-04-30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659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753A (en) * 2004-07-05 2006-01-19 Toshiba Corp Digital contents right generating apparatus, digital contents right generating method, and digital contents right generating program
KR101981699B1 (en) 2018-10-22 2019-05-23 김보언 System for copyright management of non-digital work based on block-chain
KR102144302B1 (en) 2016-03-01 2020-08-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210060599A (en) * 2018-11-21 2021-05-26 블록체인 시스템즈 피티이. 엘티디. Blockchain secured by backward chain elements
KR102319006B1 (en) 2020-02-27 2021-10-29 (주)브레인콜라 First copyright hold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nd its method
KR20240019897A (en) *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System of token issuance by reflec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mbination of pieces
KR20240049937A (en) * 2022-10-11 2024-04-18 조영삼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nft-based sound source playback and creation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753A (en) * 2004-07-05 2006-01-19 Toshiba Corp Digital contents right generating apparatus, digital contents right generating method, and digital contents right generating program
KR102144302B1 (en) 2016-03-01 2020-08-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Copyr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981699B1 (en) 2018-10-22 2019-05-23 김보언 System for copyright management of non-digital work based on block-chain
KR20210060599A (en) * 2018-11-21 2021-05-26 블록체인 시스템즈 피티이. 엘티디. Blockchain secured by backward chain elements
KR102319006B1 (en) 2020-02-27 2021-10-29 (주)브레인콜라 First copyright hold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nd its method
KR20240019897A (en) *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System of token issuance by reflecting position information for recombination of pieces
KR20240049937A (en) * 2022-10-11 2024-04-18 조영삼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nft-based sound source playback and creation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7439A1 (en) Rights-enabled tokens for blockchain applications
US20240119124A1 (en) Rights transfers using block chain transactions
US20220156706A1 (en) File vault and cloud based document notary service
US20220229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anaging and monetizing creative works using blockchain
CN111108522B (en) Blockchain-based service of subpoenas
US20210150003A1 (en) Content anti-pi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3261029A (e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US20160321675A1 (en) Authenticating content at an online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210133875A1 (en) Comprehensive buying, selling, trading, tracking, verification, validation, tokenization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blockchain
US20170034182A1 (en) System and protocol for programmatic inheritance of digital assets
CN109949057A (en) Blockchain-based anti-counterfeiting traceability transaction system and transaction method for digital artworks
CN118922852A (en) System and method for bilateral trade of greenhouse gases and environmental rights
TW494324B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nting period of electronic documents and the system thereof
TW201327440A (en) Cloud-computing based digital rights products commercial platform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Datta et al. Sanskriti—a distributed e-commerce site implementation using blockchain
US20240037591A1 (en) Techniques for redemption via webpage unique asset tokens
KR102736596B1 (en) System for data interworking for ownership certification of data and data sharing
US20230368186A1 (en) Process for Creation storage retrieval of immutable NFT Non-fungible token based electronic book publishing on a decentralized proof ofstake blockchain
KR100780533B1 (en) Mediation method of online agency of digital contents centering on photos and videos
KR102736595B1 (en) System of data to verification for proof of ownership and copyright of personal data
KR102864569B1 (en) Method of digital content management for authenticating and proving ownership and copyrights of personal contents
US20230259378A1 (en) Tokenization of software applications and techniques for providing application functionality via webpage non-fungible tokens
WO2024142169A1 (en) Nft minting device, nft minting method, and nft minting program
CN118975189A (en) Authentication and related platforms
CN118103837A (en) Protecting digital art and ownership rec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